KR20200115449A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449A
KR20200115449A KR1020207005906A KR20207005906A KR20200115449A KR 20200115449 A KR20200115449 A KR 20200115449A KR 1020207005906 A KR1020207005906 A KR 1020207005906A KR 20207005906 A KR20207005906 A KR 20207005906A KR 20200115449 A KR20200115449 A KR 20200115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member
cylindrical body
tubular body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744B1 (ko
Inventor
타쿠미 스기노
Original Assignee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5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9/00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9/002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articular features of the valve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9/00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9/005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articular features of the valve 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16K15/02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 F16K15/202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and with flexible valve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3584Inflatable article [e.g., tire filling chuck and/or stem]
    • Y10T137/3786Removable valve head and seat unit [valve in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Valve Housings (AREA)
  • Check Valv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과제] 부착 대상물에 일단부가 부착된 통형 보디로부터 타단측으로 밸브 부재를 떼어내는 것.
[해결 수단] 밸브(10)는 부착 대상물의 밸브 부착구(91)에 일단부가 부착되는 통형 보디(20)와, 통형 보디(20)의 내측에 형성된 밸브 구멍(12)과, 통형 보디(20)의 내측에 삽입통과되어 밸브 구멍(12)을 개폐하는 밸브 부재(30)와, 밸브 부재(30)에 설치되어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으로 뻗어있는 샤프트부(31)와, 밸브 부재(30)에 설치되어 샤프트부(31)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튀어나와 밸브 구멍(12)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밸브체부(32)와, 통형 보디(20) 중 밸브 구멍(12)에 대하여 축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인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밸브체부(32)의 전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밸브 구멍(12)과 밸브 부착구(91)를 연통시키는 밸브실(13)과,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을 밸브 부재(30)가 받지 않을 때에는, 밸브체부(32)를 밸브 구멍(12)의 내측에 유지하고,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의 일단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을 밸브 부재(30)가 받았을 때에는,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체 유지 기구(50)와,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의 타단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상태와,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의 타단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로 변화 가능한 빠짐 방지 기구(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밸브
본 개시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밸브의 부착 대상물의 밸브 부착구에 일단부가 부착되는 통형 보디를 갖고, 그 통형 보디의 내측에 설치된 밸브 구멍을 밸브 부재에 의해 개폐하는 밸브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밸브에서는, 밸브 부재가 샤프트부로부터 밸브체부를 플랜지 형상으로 튀어나오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밸브 폐쇄 상태에서는 밸브체부가 밸브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통형 보디의 일단측으로부터 꼭맞게 대어진다.
일본 특표 2015-512826호 공보(단락 [0028], 도 1a1 및 도 1b1)
상술한 종래의 밸브에서는, 예를 들면, 밸브 부재를 교환할 때, 밸브 부재만을 통형 보디의 축 방향의 타방측으로부터 떼어 낼 수 없기 때문에, 부착 대상물로부터 밸브 전체를 떼어 낼 필요가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청구항 1의 발명은 부착 대상물에 설치된 밸브 부착구에 일단부가 부착되는 통형 보디와, 상기 통형 보디의 내측에 형성된 밸브 구멍과, 상기 통형 보디의 내측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밸브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통형 보디의 축 방향으로 뻗는 샤프트부와, 상기 밸브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튀어나와 상기 밸브 구멍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추는 밸브체부와, 상기 통형 보디 중 상기 밸브 구멍에 대하여 축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인접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부의 전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 구멍과 상기 밸브 부착구를 연통시키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 부재를 상기 통형 보디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을 상기 밸브 부재가 받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밸브체부를 상기 밸브 구멍의 내측에 유지하고, 상기 밸브 부재를 상기 통형 보디의 일단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을 상기 밸브 부재가 받았을 때에는, 상기 밸브체부가 상기 밸브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체 유지 기구와,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통형 보디의 타단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상태와,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통형 보디의 타단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로 변화 가능한 빠짐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밸브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측단면도
도 2는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밸브의 제1 환상 돌출부 및 제2 환상 돌출부 주변의 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밸브 구멍이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의 밸브의 측단면도
도 5(A)는 밸브 부재가 통형 보디에 삽입되어 걸어맞춤 발톱부가 제1 환상 돌출부에 닿았을 때의 빠짐 방지편의 측단면도, (B) 탄성 변형하여 제1 환상 돌출부 내를 통과할 때의 빠짐 방지편의 측단면도
도 6(A)는 걸어맞춤 발톱부가 제2 환상 돌출부에 닿았을 때의 빠짐 방지편의 측단면도, (B) 탄성 변형하여 제2 환상 돌출부 내를 통과할 때의 빠짐 방지편의 측단면도
도 7(A)는 걸어맞춤 돌출부가 제2 환상 돌출부와 걸어맞춤 했을 때의 빠짐 방지편의 측단면도, (B)는 밸브 부재가 통형 보디의 기단측으로 뽑아질 때 소성 변형된 상태에서 제2 환상 돌출부의 내측을 통과하는 빠짐 방지편의 측단면도
도 8(A)는 밸브 부재가 통형 보디의 기단측으로 뽑아질 때 소성 변형된 상태에서 제1 환상 돌출부의 내측을 통과하는 빠짐 방지편의 측단면도, (B) 제1 환상 돌출부의 내측을 통과한 후의 빠짐 방지편의 측단면도
도 9(A)는 밸브 부재가 통형 보디의 기단측으로 뽑아질 때 밸브 부재와 빠짐 방지편이 받는 힘을 나타내는 개념도, (B)는 밸브 부재와 꺾여 구부러진 빠짐 방지편의 개념도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측단면도
도 11은 빠짐 방지편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통형 보디로부터 뽑아지는 밸브 부재와 빠짐 방지편의 측단면도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측단면도
도 13(A)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측단면도, (B)는 통형 보디를 둘레 방향으로 전개했을 때의 통형 보디의 내측에서 본 수용 오목부와 걸어맞춤 핀의 주변의 측단면도
도 14(A)는 밸브 구멍이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의 밸브의 측단면도, (B)는 통형 보디를 둘레 방향으로 전개했을 때의 통형 보디의 내측에서 본 수용 오목부와 걸어맞춤 핀의 주변의 측단면도
도 15(A)는 걸어맞춤 핀이 가이드홈의 기단 개구에 수용되어 있을 때의 밸브의 측단면도, (B)는 통형 보디를 둘레 방향으로 전개했을 때의 통형 보디의 내측에서 본 수용 오목부와 걸어맞춤 핀의 주변의 측단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측단면도
도 17(A)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측단면도, (B)는 통형 보디를 둘레 방향으로 전개했을 때의 통형 보디의 내측에서 본 수용 오목부와 걸어맞춤 핀의 주변의 측단면도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확대 측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형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는 타이어 휠의 림(90)(특허청구범위의 「부착 대상물」에 상당한다.)에 설치된 밸브 부착구(91)에 부착된다. 밸브(10)는 통형 보디(20)와, 통형 보디(20)의 내측에 삽입통과되는 밸브 부재(30)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 보디(20)는, 예를 들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축 방향의 일단측의 소직경 통부(20A)와, 타단측의 대직경 통부(20B)로 이루어진다. 소직경 통부(20A)의 외주면에는, 통 형상의 탄성 커버 부재(19)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커버 부재(19)가 림(90)의 밸브 부착구(91)에 압입됨으로써 밸브 부착구(91)에 통형 보디(20)의 일단부가 부착된다. 또한, 통형 보디(20)의 타단부는 림(90)으로부터 타이어 휠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타이어 내에의 공기의 주입부를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통형 보디(20)의 선단, 기단이라 하기로 한다.
통형 보디(20)의 내측 부분은 유체 유로(11)를 구성하고, 통형 보디(20)의 내주면에는, 유체 유로(11)를 좁히는 환상 돌출부가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에서 2개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환상 돌출부 중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의 제1 환상 돌출부(21)는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을 향하여 내경을 작게 하는 직경 축소부(23)와,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으로 뻗고 내경이 일정하게 된 스트레이트부(24)와,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을 향하여 내경을 크게 하는 직경 확장부(25)를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부터 차례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스트레이트부(24)의 내측 부분은 밸브(10)에 있어서의 밸브 구멍(12)을 구성한다. 유체 유로(11) 중 밸브 구멍(12)보다도 선단측의 부분은 밸브실(13)을 구성한다. 직경 축소부(23)의 내주면은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 통형 보디(20)의 중심축에 접근하는 밸브 구멍 기단측 테이퍼면(23T)으로 되어 있다. 직경 확장부(25)의 내주면은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을 향함에 따라 통형 보디(20)의 중심축에 접근하는 밸브 구멍 선단측 테이퍼면(25T)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직경 축소부(23) 중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의 끝면은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된 단차면(23D)으로 되어 있다.
2개의 환상 돌출부 중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의 제2 환상 돌출부(22)는 밸브실(13)의 내면에 설치된다. 제2 환상 돌출부는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내경을 작게 하는 직경 축소부(26)와, 내경이 일정하게 된 선단 소직경부(27)를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부터 차례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직경 축소부(26)의 내주면은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통형 보디(20)의 중심축에 접근하는 유도 테이퍼면(26T)으로 되어 있다. 선단 소직경부(27) 중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을 향하는 면은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된 기립면(27M)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선단 소직경부(27)의 내경은 밸브 구멍(1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30)는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샤프트부(31)와, 샤프트부(31)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튀어나온 밸브체부(32)를 갖는다. 밸브체부(32)는 샤프트부(31)의 선단부로부터 둘레 방향 전체적으로 튀어나온 밸브체부 본체의 외주부에 O링(33)이 끼워 부착되어 된다. 밸브체부 본체 중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을 향하는 면은 기단측에 직경 축소되는 밸브체 테이퍼면(32T)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부재(30)는 샤프트부(31)의 축 방향의 기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튀어나온 걸침부(34)를 갖는다. 걸침부(34)는 샤프트부(31)로부터 상반되는 방향으로 튀어나온 1쌍의 튀어나옴부(35)를 갖는다. 샤프트부(31)의 중심축(31C)으로부터 각 튀어나옴부(35)의 튀어나옴 선단까지의 거리는 통형 보디(20)의 내주면 중, 1쌍의 튀어나옴부(35)를 둘러싸는 부분(구체적으로는, 제1 환상 돌출부(21)보다도 기단측의 부분)의 반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에서는,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통형 보디(20)의 밸브 구멍(12)이 개폐된다. 밸브(10)에서는,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밸브체부(32)의 O링(33)으로 밸브 구멍(12)과 밸브체부(32) 사이가 실링되어, 밸브 구멍(12)이 폐쇄 상태로 된다(도 1참조). 또한, 밸브체부(32)는 밸브 구멍(12)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되어 있어,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으로부터 빠져나와 밸브체부(32) 전체가 밸브실(13)에 수용되면, 밸브 구멍(12)이 개방 상태가 된다(도 4 참조). 개방 상태에서는, 밸브실(13)의 내면과 밸브체부(32)의 사이에는, 유체가 유통하는 간극(S)이 형성되고, 림(90)의 밸브 부착구(91)와 밸브 구멍(12)이 연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구멍 선단측 테이퍼면(25T)에 의해,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부터 유체 유로(11)를 흘러 온 유체를 원활하게 밸브실(13)로 흘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10)에는, 밸브 부재(30)에 조작력이 결려 있지 않을 때, 밸브체부(32)를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여 밸브 구멍(12) 내에 유지하는 밸브체 유지 기구(50)(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체 유지 기구(50)에는,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51)과, 밸브 부재(30)로부터 돌출편 형상으로 돌출하여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편(40)이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51)은 통형 보디(20) 내에서 제1 환상 돌출부(21)(즉 단차면(23D)(도 3 참조))와 밸브 부재(30)의 걸침부(34)의 사이에 끼워진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51)의 내경은 밸브체부(32)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편(40)은 밸브체부(32)로부터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을 따라 뻗은 돌출편부(41)와, 돌출편부(41)로부터 통형 보디(2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온 걸어맞춤 발톱부(42)를 가지고 있다.
돌출편부(41)는 밸브 부재(30)의 선단부로부터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으로 뻗고, 밸브체부(32)에 편측 지지 형태로 지지되어 있다.
걸어맞춤 발톱부(42)는 돌출편부(41)의 돌출 선단부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걸어맞춤 발톱부(42)는, 돌출편부(41)의 폭 방향에서 보아, 돌출편부(41)의 돌출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돌출편부(41)로부터의 돌출량을 작게 하는 단면 삼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걸어맞춤 발톱부(42) 중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을 향하는 면은 돌출편부(41)와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 기립면(42M)으로 되어 있다. 걸어맞춤 발톱부(42) 중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을 향하는 면은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돌출편부(41)에 접근하는 외측 경사면(42T)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돌출편부(41)는 통형 보디(2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돌출편부(41)는 변형되지 않은 자연 상태에서는, 걸어맞춤 발톱부(42)가 제2 환상 돌출부(22)와 통형 보디(20)의 축 방향에서 포개진다. 그리고, 빠짐 방지편(40)이 자연 상태일 때, 걸어맞춤 발톱부(42)(상세하게는, 걸어맞춤 발톱부(42)의 기립면(42M))이, 통형 보디(20)의 제2 환상 돌출부(22)(상세하게는, 제2 환상 돌출부(22)의 기립면(27M))에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에서 맞닿으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 빠짐 방지된다(도 1 및 도 7(A) 참조).
돌출편부(41)는 통형 보디(2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걸어맞춤 발톱부(42)를 포함한 빠짐 방지편(40) 전체를 제2 환상 돌출부(22)의 내측으로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환상 돌출부(21)의 최소의 내경(즉 밸브 구멍(12)의 직경)이 제2 환상 돌출부(22)의 최소의 내경(선단 소직경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빠짐 방지편(40)은 탄성 변형에 의해 제1 환상 돌출부(21)의 내측으로도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빠짐 방지편(40)은 샤프트부(31)의 축 둘레로 복수,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샤프트부(31)와 동축의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 발톱부(42)의 외경은 통형 보디(20)의 내주면 중 제2 환상 돌출부(22)보다도 기단측의 부분(단, 제1 환상 돌출부(21)는 제외한다.)의 직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빠짐 방지편(40)과 밸브 부재(30)는 수지로 구성되고, 일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51)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예를 들면, 유체 주입용의 기구로 밸브 부재(30)를 선단측으로 미는 힘)이 밸브 부재(30)에 걸리면, 걸어맞춤 발톱부(42)와 제2 환상 돌출부(22)가 떨어지고,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으로부터 빠진다(즉 밸브 구멍(12)이 개방 상태가 된다. 도 4 참조). 이와 같이, 밸브체 유지 기구(50)는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이 밸브 부재(30)에 걸렸을 때,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게 되어 있다.
도 4로부터 도 1로의 변화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력이 제거되면, 스프링(51)의 바이어스력으로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 내로 돌아가고, 밸브 구멍(12)이 폐쇄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실(13)의 내면 중 밸브 구멍(12)측의 단부(즉 제1 환상 돌출부(21)의 직경 확장부(25)의 내주면)에,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을 향함에 따라 통형 보디(20)의 중심축에 접근하는 밸브 구멍 선단측 테이퍼면(25T)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 구멍 선단측 테이퍼면(25T)에 의해 밸브체부(32)를 가이드할 수 있어, 밸브체부(32)를 밸브 구멍(12)으로 되돌리기 쉬워진다. 게다가, 밸브체부(32)의 밸브체 테이퍼면(32T)에 의해서도 밸브체부(32)를 밸브 구멍(12)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밸브체부(32)를 밸브 구멍(12)으로 더욱 되돌리기 쉬워진다. 또한, 밸브 구멍(12)이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걸어맞춤 발톱부(42)가 통형 보디(20)의 선단으로부터 밀려나온다(도 4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 보디(20)의 선단 개구 가장자리에 기단측으로 직경 축소되는 선단 개구 테이퍼면(20S)이 있으므로, 걸어맞춤 발톱부(42)가 통형 보디(20) 내로 되돌아오기 쉬워진다.
밸브 부재(30)의 통측 보디에의 조립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도 2 및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에 기단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이 때, 스프링(51)을 밸브 부재(30)에 감고, 밸브 부재(30)의 걸침부(34)와 빠짐 방지편(40)의 걸어맞춤 발톱부(42)의 사이에 배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발톱부(42)의 외경이 밸브 구멍(12)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에 삽입되면, 걸어맞춤 발톱부(42)가 제1 환상 돌출부(21)에 닿는다(도 5(A) 참조).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편(40)이 제1 환상 돌출부(21)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통형 보디(20)의 직경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 발톱부(42)는 제1 환상 돌출부(21)를 타고 넘어, 밸브 구멍(12)을 통과할 수 있다(도 5(B) 참조). 이 때, 밸브 구멍 기단측 테이퍼면(23T)에 의해, 빠짐 방지편(40)이 밸브 구멍(12) 내로 가이드되므로, 빠짐 방지편(40)이 밸브 구멍(12) 내에 삽입되기 쉬워진다. 또한, 걸어맞춤 발톱부(42)의 외측 경사면(42T)에 의해서도, 빠짐 방지편(40)이 밸브 구멍(12) 내로 가이드되므로, 빠짐 방지편(40)이 밸브 구멍(12) 내에 삽입되기 쉬워진다. 또한, 빠짐 방지편(40) 중 걸어맞춤 발톱부(42)가 밸브 구멍(12) 내에 삽입되면, 스프링(51)은 통형 보디(20)의 단차면(23D)에 걸려, 통형 보디(20) 중 밸브 구멍(12)보다도 기단측에 멈춰진다.
걸어맞춤 발톱부(42)가 밸브 구멍(12)을 통과하면, 빠짐 방지편(40)이 통형 보디(2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복원된다. 걸어맞춤 발톱부(42)의 외경은 제2 환상 돌출부(22)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에 더욱 깊게 삽입되면, 걸어맞춤 발톱부(42)가 제2 환상 돌출부(22)에 닿는다(도 6(A) 참조).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편(40)이 제2 환상 돌출부(22)의 내측으로도 들어가도록 통형 보디(20)의 직경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 발톱부(42)가 제2 환상 돌출부(22)의 내측을 통과할 수 있다(도 6(B) 참조). 이 때, 제2 환상 돌출부(22)의 유도 테이퍼면(26T)에 의해, 걸어맞춤 발톱부(42)가 통형 보디(2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이드되므로, 걸어맞춤 발톱부(42)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기 쉬워진다. 또한, 걸어맞춤 발톱부(42)의 외측 경사면(42T)에 의해서도, 걸어맞춤 발톱부(42)가 통형 보디(2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이드되므로, 걸어맞춤 발톱부(42)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기 쉬워진다.
또한, 걸어맞춤 발톱부(42)가 제2 환상 돌출부(22)에 삽입될 때는, 밸브체부(32)는 제1 환상 돌출부(21)의 내측의 밸브 구멍(12)에 삽입된다. 이 때, 밸브 구멍 기단측 테이퍼면(23T)에 의해, 밸브체부(32)의 O링(33)이 가이드 되므로, 밸브체부(32)를 밸브 구멍(12)에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 발톱부(42)가 제2 환상 돌출부(22)의 내측을 통과하면, 빠짐 방지편(40)은 통형 보디(2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복원된다(도 7(A) 참조). 이 때, 스프링(51)은 통형 보디(20)의 제1 환상 돌출부(21)와 밸브 부재(30)의 걸침부(34)의 사이에서 압축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스프링(5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 바이어스된다. 그리고, 빠짐 방지편(40)의 걸어맞춤 발톱부(42)가 제2 환상 돌출부(22)에 통형 보디(20)의 선단측에서 맞닿으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밸브체부(32)는 밸브 구멍(12)에 끼워맞추어지고, 밸브 구멍(12)을 폐쇄 상태로 한다. 이상에 의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에 조립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빠짐 방지편(40)이 샤프트부(31)의 축 주위에 복수,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 발톱부(42)에 의해 샤프트부(31)와 밸브 구멍(12)의 축을 맞추기 쉬워져, 밸브체부(32)를 밸브 구멍(12)에 삽입하기 쉽다. 또한, 각 튀어나옴부(35)에 있어서 샤프트부(31)의 중심축(31C)으로부터 튀어나옴 선단까지의 거리가 통형 보디(20)의 내주면 중 1쌍의 튀어나옴부(35)를 둘러싸는 부분의 반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1쌍의 튀어나옴부(35)에 의해 샤프트부(31)와 밸브 구멍(12)의 축을 맞추기 쉬워져, 밸브체부(32)를 밸브 구멍(12)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통형 보디(20)의 기단 개구 가장자리에는, 선단측을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기단 개구 테이퍼면(20K)이 설치되고, 이 테이퍼면에 의해, 밸브 부재(30)의 걸침부(34)가 통형 보디(2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에서는, 통형 보디(20)의 선단부가 타이어 휠의 림(90)에 부착된 상태에서,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부터 밸브 부재(30)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밸브(10)에서는, 빠짐 방지편(40)의 걸어맞춤 발톱부(42)가 제2 환상 돌출부(22)에 걸어맞추어진다. 여기에서, 빠짐 방지편(40)은 밸브 부재(30)에 편측 지지 형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 뽑는 조작력이 발생했을 때, 통형 보디(2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소성 변형된다(구체적으로는, 꺾여 구부러짐). 그 결과, 빠짐 방지편(40)을 제2 환상 돌출부(22)의 내측으로 넣을 수 있다(도 7(B) 참조). 또한, 밸브(10)에서는, 걸어맞춤 발톱부(42)와 제2 환상 돌출부(22)의 걸어맞춤 부위가 샤프트부(31)의 중심축(31C)과 어긋난 위치에 있으므로(도 9(A) 참조), 샤프트부(31)에 기단측으로 뽑는 조작력이 걸리면, 회전 모멘트에 의해 빠짐 방지편(40)이 샤프트부(31)의 중심축(31C)측(직경 방향 내측)으로 힘을 받아, 빠짐 방지편(40)의 소성 변형이 발생된다고 생각된다(도 9(B) 참조).
빠짐 방지편(40)이 소성 변형하여 제2 환상 돌출부(22)의 내측에 들어가면, 빠짐 방지편(40)을 제2 환상 돌출부(22)로부터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도 8(A) 및 도 8(B) 참조). 또한 이와 같이 빠짐 방지편(40)이 소성 변형함으로써, 빠짐 방지편(40)이 제1 환상 돌출부(21)의 내측(즉 밸브 구멍(12))도 통과할 수 있다. 밸브(10)에서는, 이와 같이 빠짐 방지편(40)이 소성 변형함으로써 제1 환상 돌출부(21)와 제2 환상 돌출부(22)를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부터 밸브 부재(30)만을 떼어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에서는, 빠짐 방지편(40)이 자연 상태(도 7(A)에 도시하는 상태)일 때에는,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빠짐 방지편(40)이 제1 환상 돌출부(21) 및 제2 환상 돌출부(22)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소성 변형된 소성 변형 상태(도 7(B)에 도시되는 상태)일 때에는,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허용된다. 즉 빠짐 방지편(40)은 도 7(A)에 도시되는 규제 상태(자연 상태)와, 도 7(B)에 도시되는 허용 상태(소성 변형 상태)로 변화되는 빠짐 방지 기구(60)를 구성한다.
또한,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부터 잡아당기는 조작력이 발생했을 때, 돌출편부(41)가 꺾어 구부러지는 대신에, 돌출편부(41)가 파손되거나(예를 들면, 도중에 찢기거나), 걸어맞춤 발톱부(42)가 파손되어도(예를 들면, 걸어맞춤 발톱부(42)가 떨어져도),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의 기단측으로부터 뽑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교환용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에 기단측에서 조립하는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 보디(20)로부터 기단측에 밸브 부재(30)만을 뽑으므로, 밸브 부재(30)를 교환할 때 림(90)으로부터 밸브(10) 전체를 떼어내지 않아도 되게 된다. 예를 들면, O링(33)이 마모된 경우에, O링(33)이 설치된 밸브 부재(30)만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걸침부(3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걸침부(34)에 공구를 걸어 밸브 부재(30)를 뽑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환상 돌출부(22)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환상 돌출부」에 상당한다. 또한, 밸브 구멍 선단측 테이퍼면(25T)과 유도 테이퍼면(26T)이 각각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제1 테이퍼면」, 「제2 테이퍼면」에 상당한다.
[제2 실시형태]
도 10에는, 제2 실시형태의 밸브(10V)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V)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에 있어서, 제2 환상 돌출부(22)와 빠짐 방지편(40)의 배치를 변경한 것이다.
밸브(10V)의 통형 보디(20V)에서는, 제2 환상 돌출부(22V)가 통형 보디(20V)의 내주면 중 제1 환상 돌출부(21)보다도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환상 돌출부(22V) 중 통형 보디(20V)의 선단측을 향하는 면은 통형 보디(20V)의 축 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된 기립면(27M)으로 되어 있다. 제2 환상 돌출부(22V) 중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을 향하는 면은 통형 보디(20V)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통형 보디(20V)의 중심축에 접근하도록 직경 축소되는 유도 테이퍼면(26T)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 보디(20V)의 내주면 중 제1 환상 돌출부(21)와 제2 환상 돌출부(22V)의 사이에, 유체 유로(11)를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에 직경 확장하는 기단측 직경 확장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즉 유체 유로(11)에는, 기단측 직경 확장부(28)보다도 통형 보디(22V)의 기단측에 배치되는 기단측 대직경 구멍(29A)과, 기단측 직경 확장부(28)와 제1 환상 돌출부(21) 사이에 설치되는 중직경 구멍(29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밸브(10V)에서는 밸브실(13) 내에 제2 환상 돌출부(22V)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밸브실(13) 중 밸브 구멍 선단측 테이퍼면(25T)보다도 통형 보디(20V)의 선단측의 부분은 내경이 일정하게 된 스트레이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밸브(10V)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와 마찬가지로,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에 대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밸브 구멍(12)이 개폐된다. 또한, 1쌍의 튀어나옴부(35)는,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에 끼워맞추어져 밸브 구멍(12)이 폐쇄 상태로 되었을 때, 통형 보디(20V)의 중직경 구멍(28B)에 수용된다. 그리고, 샤프트부(31)의 중심축으로부터 각 튀어나옴부(35)의 튀어나옴 선단까지의 거리가 중직경 구멍(28B)의 반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밸브(10V)의 밸브체 유지 기구(50V)는 스프링(51)과, 빠짐 방지편(40V)을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51)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환상 돌출부(21)와 밸브 부재(30)의 걸침부(34)의 사이에 끼워진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빠짐 방지편(40V)은 밸브 부재(30)의 기단부로부터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 돌출해 있다.
빠짐 방지편(40V)의 돌출편부(41V)는 밸브 부재(30)의 걸침부(34)의 각 튀어나옴부(35)(상세하게는, 각 튀어나옴부(35)의 튀어나옴 선단 근처 위치로부터)로부터 돌출해 있다.
빠짐 방지편(40V)의 걸어맞춤 발톱부(42V)는 돌출편부(41V) 중 돌출 방향의 도중 위치(상세하게는, 선단 근처의 위치)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걸어맞춤 발톱부(42V)는 돌출편부(41V)의 돌출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돌출편부(41V)로부터의 돌출량을 크게 하는 단면 삼각 형상을 하고 있다. 걸어맞춤 발톱부(42V) 중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을 향하는 면은 돌출편부(41V)와 대략 수직으로 된 기립면(42A)으로 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 발톱부(42V) 중 통형 보디(20V)의 선단측을 향하는 면은 샤프트부(31)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돌출편부(41V)에 접근하는 외측 경사면(42B)으로 되어 있다.
돌출편부(41V)는 통형 보디(20V)의 직경 방향 내측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어, 이 탄성 변형에 의해, 빠짐 방지편(40V) 전체를 제2 환상 돌출부(22V)의 내측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돌출편부(41V)는 변형되지 않은 자연 상태일 때에는, 걸어맞춤 발톱부(42V)가 제2 환상 돌출부(22)와 통형 보디의 축 방향에서 겹친다. 그리고, 빠짐 방지편(40V)이 자연 상태일 때에 걸어맞춤 발톱부(42V)가 제2 환상 돌출부(22V)에 맞닿으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 빠짐 방지된다(도 10 참조).
본 실시형태의 밸브(10V)에는, 통형 보디(20V)의 기단 개구를 폐색하는 캡(70)이 구비되어 있다. 캡(70)은 통형 보디(20V)보다도 큰 직경이며 통형 보디(20V)의 기단 개구를 폐색하는 대략 원반 형상의 베이스부(73)와, 베이스부(73)의 중심부로부터 통형 보디(20V)의 선단측으로 돌출한 중심 돌출부(71)와, 베이스부(73)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통형 보디(20V)의 선단측으로 돌출한 외벽부(72)로 이루어진다. 중심 돌출부(71)는 통형 보디(20V) 내에 삽입통과되어 빠짐 방지편(40V)에 통형 보디(20V)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대향한다. 외벽부(72)는 통형 보디(20V)의 기단부의 외주면에 겹치고, 외벽부(7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72N)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캡(70)의 암나사부(72N)가 통형 보디(20V)의 기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수나사부(20N)와 나사결합함으로써, 캡(70)이 통형 보디(20V)에 고정된다. 또한, 캡(70)이 통형 보디(20V)에 고정되었을 때, 캡(70)이 밸브 부재(30)에 통형 보디의 기단측에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캡(70)에 의해서도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 빠짐 방지된다.
밸브(10V)의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와 동일하다. 밸브(10V)에 있어서 밸브(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부재(30)는 이하와 같이 하여 통형 보디(20V)에 조립된다. 밸브 부재(30)는 통형 보디(20V)에 기단측에서 삽입된다. 이 때, 스프링(51)을, 밸브 부재(30) 중 걸침부(34)보다도 선단측의 부분에 감아 놓는다. 또한, 스프링(51)만을 밸브 부재(30)의 삽입보다도 전에, 통형 보디(20V)에 삽입해 놓아도 된다.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V)에 삽입되면,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 내에 삽입되어 밸브 구멍(12)에 끼워맞추어진다. 또한 걸어맞춤 발톱부(42V)가 제2 환상 돌출부(22V)에 닿는다. 여기에서, 빠짐 방지편(40V)은 제2 환상 돌출부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통형 보디(20V)의 직경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 발톱부(42V)는, 제2 환상 돌출부(22V)를 타고넘어, 제2 환상 돌출부(22V)의 내측을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제2 환상 돌출부(22V)의 유도 테이퍼면(26T)과 걸어맞춤 발톱부(42V)의 외측 경사면(42B)에 의해, 걸어맞춤 발톱부(42V)가 통형 보디(20V)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이드되므로, 걸어맞춤 발톱부(42V)가 탄성 변형되기 쉬워진다.
걸어맞춤 발톱부(42V)가 제2 환상 돌출부(22V)의 내측을 통과하면, 돌출편부(41V)가 통형 보디(20V)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복원된다. 이 때, 스프링(51)은 통형 보디(20V)의 제1 환상 돌출부(21)와 밸브 부재(30)의 걸침부(34) 사이에서 압축 상태가 되고, 스프링(5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 바이어스된다. 그리고, 걸어맞춤 발톱부(42V)가 제2 환상 돌출부(22V)에 통형 보디(20V)의 선단측에서 맞닿으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V)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밸브체부(32)는 밸브 구멍에 끼워맞추어져, 밸브 구멍(12)을 폐쇄 상태로 한다.
이어서, 캡(70)의 수나사부(72N)와 통형 보디(20V)의 암나사부(20N)를 나사결합하고, 캡(70)으로 통형 보디(20V)의 기단 개구를 폐색한다. 이상에 의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V)에 조립된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V)에서도,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와 마찬가지로, 통형 보디(20V)의 선단부가 타이어 휠의 림(90)에 부착된 상태에서,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부터 밸브 부재(30)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V)에서는 캡(70)을 빼내고, 빠짐 방지편(40V)끼리를, 예를 들면, 잡고,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빠짐 방지편(40V)를 제2 환상 돌출부(22V)의 내측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이것에 의해, 빠짐 방지편(40V)을 제2 환상 돌출부(22V)로부터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 빼낼 수 있어,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 때, 스프링(5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 밀리므로,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부터 밸브 부재(30)를 뽑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부터의 밸브 부재(30)의 떼어냄을, 빠짐 방지편(40V)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행하므로, 빠짐 방지편(40V)을 재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돌출편부(41V) 중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의 단부와, 제2 환상 돌출부(22V)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을 만듦으로써, 돌출편부(41V)끼리를 잡고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V)에서는, 캡(70)이 빠짐 방지편(40V)에 통형 보디(20V)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통형 보디(20V)에 부착된다. 따라서, 밸브 구멍(12)의 개방 조작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캡(70)을 통형 보디(20V)에 부착함으로써, 빠짐 방지편(40V)이 통형 보디(20V)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빠짐 방지편(40V)과 제2 환상 돌출부(22V)의 걸어맞춤이 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V)에서는 빠짐 방지편(40V)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연 상태(도 10에 가리켜지는 상태)일 때에,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상태가 된다. 또한 빠짐 방지편(40V)은 제2 환상 돌출부(22V)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도 11에 도시되는 상태)일 때,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가 된다. 즉 빠짐 방지편(40V)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빠짐 방지 기구」에 상당한다.
[제3 실시형태]
도 12에는, 제3 실시형태의 밸브(10W)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W)는,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에 있어서, 밸브체 유지 기구(50)와 빠짐 방지 기구(60)를 변경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의 보디(20W)의 제2 환상 돌출부(100)는 통형 보디(20W)의 선단측을 향하여 내경을 작게 하는 직경 축소부(101)와, 통형 보디의 축 방향으로 뻗는 스트레이트부(102)와, 통형 보디의 선단측을 향하여 내경을 크게 하는 직경 확장부(103)를 통형 보디(20W)의 기단측으로부터 차례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2 환상 돌출부(100)의 스트레이트부(10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02N)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경 축소부(101)의 내주면은 통형 보디(20W)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통형 보디의 중심축에 접근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직경 확장부(103)의 내주면은 통형 보디(20W)의 기단측을 향함에 따라 통형 보디의 중심축에 접근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밸브 부재(30W)는 밸브체부(32)가 샤프트부(31W)의 축 방향의 도중 위치로부터 튀어나와 이루어진다. 샤프트부(31W)는 제2 환상 돌출부(100)보다도 통형 보디(20W)의 선단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길이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W)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와 마찬가지로,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에 대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밸브 구멍(12)이 개폐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체 유지 기구(50W)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빠짐 방지편(40) 대신에, 샤프트부(31W)로부터(상세하게는, 샤프트부(31W) 중 밸브체부(32)보다도 선단측 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 전체에 튀어나온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는 통형 보디(20W)의 선단측을 향하여 외경을 크게 하는 직경 확장부(111)와, 통형 보디(20W)의 축 방향으로 뻗는 스트레이트부(112)와, 통형 보디(20W)의 선단측을 향하여 외경을 작게 하는 직경 축소부(113)를 통형 보디(20W)의 기단측으로부터 차례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의 스트레이트부(11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12N)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부(112)의 외경은 밸브 구멍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직경 확장부(111)의 외주면은 통형 보디의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 통형 보디의 중심축에 접근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직경 축소부(113)의 외주면은 통형 보디의 기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통형 보디의 중심축에 접근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구멍(12)에 밸브체부(32)가 끼워맞추어져 밸브 구멍(12)이 폐쇄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는 제2 환상 돌출부(100)보다도 통형 보디(20W)의 선단측에 배치된다. 또한 밸브 구멍(12)이 폐쇄 상태일 때에는,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의 수나사부(112N)와 제2 환상 돌출부(100)의 암나사부(102N)는 나사결합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의 수나사부(112N)가 제2 환상 돌출부(100)의 암나사부(102N)에 선단측에서 맞닿으면, 밸브 부재(30W)가 통형 보디(20W)의 기단측으로 빠짐 방지된다.
밸브(10W)의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와 동일하다. 밸브(10W)에 있어서 밸브(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 보디(20W)에의 밸브 부재(30W)의 조립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밸브 부재(30W)는 통형 보디(20W)에 기단측에서 삽입된다. 이 때, 스프링(51)을 밸브 부재(30W) 중 걸침부(34)보다도 선단측의 부분에 감아 둔다. 또한, 스프링(51)만을 밸브 부재(30W)의 삽입보다도 전에, 통형 보디(20W)에 삽입해 두어도 된다.
밸브 부재(30W)가 통형 보디(20W)에 기단측에서 삽입되면,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의 외경이 밸브 구멍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가 밸브 구멍(12)을 통과한다. 그리고,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의 수나사부(112N)와 제2 환상 돌출부(100)의 암나사부(102N)가 닿는다. 이 때, 밸브 부재(30W)를 축 주위의 일방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나사부(112N)와 암나사부(102N)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밸브 부재(30W)를 축 주위의 일방측으로 더 회전하면서 밸브 부재(30W)를 통형 보디(20W)에 삽입하면,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의 수나사부(112N)와 제2 환상 돌출부(100)의 암나사부(102N)의 나사결합이 풀어져,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가 제2 환상 돌출부(100)로부터 통형 보디(20W)의 선단측으로 빠져나온다. 이 때, 스프링(5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가 제2 환상 돌출부(100)에 통형 보디(20W)의 선단측에서 맞닿으면, 밸브 부재(30W)가 통형 보디(20W)의 축 방향에서 위치 결정되어, 밸브체부(32W)가 밸브 구멍(12) 내에 유지된다. 이상에 의해, 밸브 부재(30W)가 통형 보디(20W)에 조립된다.
본 실시형태 밸브(10W)에서도,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와 마찬가지로, 통형 보디(20W)의 선단부가 타이어 휠의 림(90)에 부착된 상태에서, 통형 보디(20W)의 기단측으로부터 밸브 부재(30W)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조립시와 반대 방향으로 밸브 부재(30W)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브 부재(30W)를 통형 보디(20W)의 기단측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에 의해 빠짐 방지 기구(60W)가 구성된다.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의 수나사부(112N)와 제2 환상 돌출부(100)의 암나사부(102N)의 나사결합이 풀어져,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가 제2 환상 돌출부(100)보다도 통형 보디(20W)의 선단측에 배치된 상태가 빠짐 방지 기구(60W)의 「규제 상태」에 상당한다. 수나사부(102N)와 암나사부(112N)가 나사결합한 상태가 빠짐 방지 기구(60W)의 「허용 상태」에 상당한다.
[제4 실시형태]
도 13∼도 15에는, 제4 실시형태의 밸브(10X)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X)는,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에 있어서, 밸브체 유지 기구(50)와 빠짐 방지 기구(60)를 변경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밸브(10X)에는, 제2 환상 돌출부(2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 보디(20X)의 내주면 중 제1 환상 돌출부(21)보다도 통형 보디(20X)의 기단측에, 수용 오목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20)는 가이드홈(121)과 수용공간(126)을 통형 보디(20X)의 둘레 방향에 나열하여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홈(121)은 스트레이트 홈부(122)와 만곡 홈부(123)로 이루어진다. 스트레이트 홈부(122)는 통형 보디(20X)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측으로 뻗어 있다. 만곡 홈부(123)는 스트레이트 홈부로부터 뻗어 나오고, 통형 보디(20X)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수용공간(126)에 접근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 홈부(122) 중 통형 보디(20X)의 기단에 개구하는 기단 개구(122K)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홈(121)의 홈폭을 통형 보디(20X)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좁게 하는 조임 경사면(122T)이 설치되어 있다.
수용공간(126)은 통형 보디(20X)의 직경 방향에서 보아 통형 보디(20X)의 축 방향으로 길게 된 긴 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수용공간(126) 중 통형 보디의 축 방향의 선단부에는, 가이드홈(121)의 만곡 홈부(123)가 통형 보디(20X)의 둘레 방향에 연결되어 있다. 수용공간(126)의 내면 중 통형 보디(20X)의 축 방향에서 선단에 배치되는 선단면(127)은 만곡 홈부(123)의 외주부(123S)와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다. 또한 통형 보디(20X)의 축 방향에서, 수용공간(126)의 길이는 가이드홈(121)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고, 수용공간(126)은 통형 보디(20X)의 기단측에 스트레이트 홈부(122)의 도중 위치까지 뻗어 있다. 또한, 수용공간(126)에서의 통형 보디(20X)의 둘레 방향의 폭은 가이드홈(121)의 홈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밸브 부재(30)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걸침부(34)가 1쌍의 튀어나옴부(3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튀어나옴부(35) 중 일방의 튀어나옴부(35)의 튀어나옴 선단으로부터, 통형 보디(20X)의 직경 방향 외측에, 걸어맞춤 핀(125)이 뻗어 나와 있다. 걸어맞춤 핀(125)은 수용 오목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어맞춤 핀(125)은 가이드홈(121)의 기단 개구(122K)로부터 수용공간(126)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수용공간(126) 내를 통형 보디(20X)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 핀(125)은, 예를 들면, 단면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X)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밸브(10X)와 마찬가지로,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에 대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밸브 구멍(12)이 개폐된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에서는, 밸브체 유지 기구(50X)는 스프링(51)과, 걸어맞춤 핀(125)과, 수용공간(126)을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51)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통형 보디(20X)의 제1 환상 돌출부(21)와 밸브 부재(30)의 걸침부(34) 사이에 배치된 압축 코일스프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51)에 의해 밸브 부재(30)(즉 걸어맞춤 핀(125))가 통형 보디(20X)의 기단측으로 바이어스된다. 그리고, 걸어맞춤 핀(125)이 수용공간(126)의 내면 중 통형 보디(20X)의 축 방향에서 기단에 배치되는 기단면(128)에 맞닿으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X)의 기단측으로 빠짐방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 내에 배치되어, 밸브 구멍(12)이 폐쇄 상태로 된다.
스프링(51)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X)의 선단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이 밸브 부재(30)에 걸리면, 걸어맞춤 핀(125)이 수용공간(126) 내를 통형 보디(20X)의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으로부터 빠져나온다(즉 밸브 구멍(12)이 개방 상태가 된다. 도 14(A) 및 도 14(B) 참조).
또한, 상기 조작력이 제거되면, 스프링(5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 내로 돌아옴과 아울러, 걸어맞춤 핀(125)이 수용공간(126)의 기단면(128)에 맞닿는다.
밸브 부재(30)의 통형 보디(20X)에의 조립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밸브 부재(30)는 통형 보디(20X)에 기단측에서 삽입된다. 이 때, 스프링(51)을 밸브 부재(30) 중 걸침부(34)보다도 선단측의 부분에 감아 둔다. 또한, 스프링(51)만을, 밸브 부재(30)의 삽입보다 전에, 통형 보디(20X)에 삽입해 두어도 된다.
또한,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X)에 삽입할 때는, 밸브 부재(30)의 걸어맞춤 핀(125)을, 통형 보디(20X)의 가이드홈(121)에, 기단 개구(122K)로부터 수용시킨다(도 15 (A) 및 도 15(B) 참조). 이 때, 가이드홈(121)의 기단 개구(122K)의 개구 가장자리에 조임 경사면(122T)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 핀(125)을 가이드홈(121)에 수용시키기 쉽다.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X)에 삽입되면, 걸어맞춤 핀(125)이 가이드홈(121) 내(상세하게는, 스트레이트 홈부(122) 내)를 통형 보디(20X)의 선단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에 삽입된다. 또한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X)에 삽입되면, 걸어맞춤 핀(125)이 가이드홈(121)의 만곡 홈부(123) 내로 진입하고,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X)의 둘레 방향의 일방측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밸브체부(32)가 밸브 구멍(12)으로부터 통형 보디(20X)의 선단측으로 빠져나온다.
그리고, 걸어맞춤 핀(125)이 가이드홈(121) 중 통형 보디(20X)의 축 방향에서의 선단부에 도달했을 때, 밸브 부재가 통형 보디의 둘레 방향의 일방측으로 회전되면, 걸어맞춤 핀(125)이 수용공간(126) 내로 진입한다(도 14(A) 및 도 14(B) 참조). 이 때, 스프링은 통형 보디(20X)의 제1 환상 돌출부(21)와 밸브 부재(30)의 걸침부(34) 사이에서 압축되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X)의 기단측으로 바이어스된다. 그리고, 걸어맞춤 핀(125)이 수용공간(126)의 기단면(128)에 맞닿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X)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도 13(A) 및 도 13(B) 참조). 이 상태에서는, 밸브체부(32)는 밸브 구멍(12)에 끼워맞추어져, 밸브 구멍(12)이 폐쇄 상태가 된다. 이상에 의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X)에 조립된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10X)에서는, 통형 보디(20X)의 선단부가 타이어 휠의 림(90)에 부착된 상태에서,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X)에의 조립 시와 역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통형 보디(20X)의 기단측으로부터 밸브 부재(30)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X)의 선단측으로 누른다. 걸어맞춤 핀(125)이 수용공간(126)의 선단면(127)에 닿으면(도 13으로부터 도 14로의 변화를 참조),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X)의 둘레 방향의 타방측으로 돌린다. 그러면, 걸어맞춤 핀(125)이 가이드홈(121)의 만곡 홈부(123)에 진입하고, 만곡 홈부(123)의 내면(즉 만곡 홈부(123)의 외주부(123S))에 걸어맞춤 핀(125)이 닿는다. 그리고, 걸어맞춤 핀(125)이 가이드홈(121) 내를 통형 보디(20X)의 기단으로 이동하도록 밸브 부재(30)를 돌리면서 통형 보디(20X)의 기단측으로 뽑으면, 걸어맞춤 핀(125)이 가이드홈(121)로부터 빠져나와, 밸브 부재(30)를 통형 보디(20X)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걸어맞춤 핀(125)이 가이드홈(121) 내로 진입하면, 스프링(5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밸브 부재(30)가 통형 보디(20X)의 기단측으로 밀리므로, 통형 보디(20X)의 기단측으로부터 밸브 부재(30)를 뽑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부재(30)의 걸어맞춤 핀(125)과, 통형 보디(20X)의 수용 오목부(120)가 빠짐 방지 기구(60X)를 구성한다. 걸어맞춤 핀(125)이 수용 오목부(120)의 수용공간(126)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가 빠짐 방지 기구(60X)의 「규제 상태」에 상당한다. 걸어맞춤 핀(125)이 수용 오목부(120)의 가이드홈(121)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가 빠짐 방지 기구(60X)의 「허용 상태」에 상당한다. 또한, 수용 오목부(120)가 통형 보디(20X)를 내외로 관통하는 수용 구멍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밸브(10)가 부착되는 밸브 부착구(91)를 갖는 부착 대상물이 타이어 휠의 림(90)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로의 말단부에 밸브 부착구가 설치된 유체 기기나 배관 등이어도 된다.
(2)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나사부(112N)를 갖는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 및 암나사부(102N)를 갖는 제2 환상 돌출부(100)가 밸브체부(32) 및 제1 환상 돌출부(21)보다도, 통형 보디의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6에 도시되는 밸브(10Y)에서는, 밸브 부재(30Y)의 샤프트부(31Y)의 선단부로부터 밸브체부(32)가 튀어나오고, 샤프트부(31Y)의 도중 부분부터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Y)가 튀어나와 있다. 또한 밸브체부(32)의 외경은 제2 환상 돌출부(100)의 내경 이하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스프링(51Y)은, 예를 들면, 통형 보디(20Y)의 제1 환상 돌출부(21)와 밸브 부재(30Y)의 빠짐 방지 튀어나옴부(110) 사이에 배치되고, 통형 보디(20Y)의 기단측으로 직경 축소되는 테이퍼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프링(51Y)의 최대의 외경은 제2 환상 돌출부(100)의 내경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통형 보디(20Y)에 대한 기단측으로부터의 스프링(51Y)의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3)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되는 밸브(10Z)와 같이, 상기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어맞춤 핀(125) 및 수용 오목부(120)의 배치를 변경해도 된다. 밸브(10Z)에서는, 통형 보디(20Z)의 내주면 중 제1 환상 돌출부(21)보다도 통형 보디(20Z)의 선단측에, 유체 유로(11)를 선단측을 향하여 단차 부착 형상으로 직경 축소하는 직경 축소면(13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직경 축소면(131)보다 통형 보디(20Z)의 선단측의 선단측 소직경부(130)의 내주면에, 수용 오목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20)의 가이드홈(121)의 기단 개구(122K)는 직경 축소면(131)에 개구한다. 또한 밸브(10Z)에서는 밸브체부(32)가 밸브 부재(30Z)의 샤프트부(31Z)의 도중 부분으로부터 튀어나오고, 걸어맞춤 핀(125Z)은 샤프트부(31Z)의 선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튀어나와 있다. 또한, 걸어맞춤 핀(125Z)의 샤프트(31Z)로부터의 튀어나옴량은 밸브체부(32)의 샤프트(31Z)로부터의 튀어나옴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통형 보디(20Z)에 대한 기단측으로부터의 밸브 부재(30Z)의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밸브(10Z)에서는 유체 유로(11) 중 제1 환상 돌출부(21)와 선단측 소직경부(130) 사이의 부분이 밸브실(13)로 되어 있다.
(4) 도 18에 도시되는 밸브(10Q)와 같이, 밸브실(13Q)이 밸브 구멍(12)과 동일한 직경으로 된 구멍의 내주면에 통형 보디(20Q)의 축 방향으로 뻗는 유통 홈(138)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유통 홈(138)은 밸브체부(32)보다도 통형 보디(20Q)의 축 방향에서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어, 밸브체부(32)의 전체가 밸브실(13Q) 내에 배치되면, 유체가 유통 홈(138) 내를 통과하여 밸브 구멍(12)과 밸브 부착구(91)의 사이를 유통할 수 있다.
(5)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빠짐 방지편(40)의 돌출편부(41)가 원호 형상이었지만, 판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돌출편부(41)는 판 두께 방향이 샤프트부의 직경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걸침부(34)가 샤프트부(31)로부터 상반되는 방향으로 1쌍의 튀어나옴부(35)가 튀어나온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걸침부(34)가 샤프트부(31)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1개의 튀어나옴부(35)가 튀어나온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샤프트부(31)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3개 이상의 튀어나옴부(35)가 튀어나온 구성(예를 들면, 방사상으로 튀어나온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밸브 부재(30)에 걸침부(34)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7)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통형 보디(20)의 외주면에 고착한 탄성 커버 부재(19)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탄성 커버 부재(19)가 설치되지 않고, 통형 보디(20)의 선단부가 밸브(10)의 부착 대상물의 밸브 부착구에 바로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8)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70)에 수나사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통형 보디(20V)에 암나사부가 설치되고, 그들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캡(70)이 통형 보디(20V)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통형 보디(20V)의 암나사부는 통형 보디(20V)의 내주면 중 제2 환상 돌출부(22V)보다도 기단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예를 들면, 캡(70)은 통형 보디(20V)에 삽입통과되어 빠짐 방지편(40V)에 통형 보디(20V)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대향하는 소직경부와, 소직경부보다도 통형 보디(20V)의 기단측에 배치되는 대직경부(72)로 이루어지고, 대직경부의 외주면에 상기 수나사부가 설치된다.
10 밸브
12 밸브 구멍
13 밸브실
20 통형 보디
21 제1 환상 돌출부
22 제2 환상 돌출부
30 밸브 부재
31 샤프트부
32 밸브체부
40 빠짐 방지편
50 밸브체 유지 기구
51 스프링
60 빠짐 방지 기구
90 림
91 밸브 부착구

Claims (7)

  1. 부착 대상물에 설치된 밸브 부착구에 일단부가 부착되는 통형 보디와,
    상기 통형 보디의 내측에 형성된 밸브 구멍과,
    상기 통형 보디의 내측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밸브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통형 보디의 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샤프트부와,
    상기 밸브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튀어나와 상기 밸브 구멍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추는 밸브체부와,
    상기 통형 보디 중 상기 밸브 구멍에 대하여 축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인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체부의 전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 구멍과 상기 밸브 부착구를 연통시키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 부재를 상기 통형 보디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을 상기 밸브 부재가 받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밸브체부를 상기 밸브 구멍의 내측에 유지하고, 상기 밸브 부재를 상기 통형 보디의 일단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을 상기 밸브 부재가 받았을 때에는, 상기 밸브체부가 상기 밸브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체 유지 기구와,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통형 보디의 타단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상태와,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통형 보디의 타단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로 변화 가능한 빠짐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은 상기 밸브 구멍보다도 큰 직경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밸브실의 내면 중 상기 밸브 구멍측의 단부에는, 상기 밸브 구멍을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1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보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환상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 유지 기구에는,
    상기 밸브 부재로부터 상기 통형 보디의 축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돌출편 형상을 이루고, 상기 환상 돌출부에 상기 통형 보디의 일단측으로부터 걸어맞추는 빠짐 방지편과,
    상기 밸브 부재를 상기 통형 보디의 타단측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빠짐 방지편은 상기 환상 돌출부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상기 통형 보디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 빠짐 방지 기구는 상기 빠짐 방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돌출부 중 상기 통형 보디의 타단측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통형 보디의 일단측을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제2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편은 복수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의 축 주위에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의 축 방향 타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튀어나온 걸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부는 샤프트부로부터 상반되는 방향으로 뻗은 1쌍의 튀어나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샤프트부의 중심축으로부터 각 상기 튀어나옴부의 튀어나옴 선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통형 보디의 내주면 중 상기 1쌍의 튀어나옴부를 둘러싸는 부분의 반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207005906A 2019-03-26 2019-03-26 밸브 KR102252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13049 WO2020194561A1 (ja) 2019-03-26 2019-03-26 バル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449A true KR20200115449A (ko) 2020-10-07
KR102252744B1 KR102252744B1 (ko) 2021-05-17

Family

ID=7260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906A KR102252744B1 (ko) 2019-03-26 2019-03-26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85549B1 (ko)
EP (2) EP3736473B1 (ko)
JP (1) JP7008803B2 (ko)
KR (1) KR102252744B1 (ko)
CN (2) CN114593244A (ko)
TW (2) TWI740421B (ko)
WO (1) WO2020194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0458A4 (en) * 2018-08-01 2022-04-27 Fastest, Inc. VALVE ARRANGEMENT FOR DUTY LINK
WO2020218633A1 (ko) * 2019-04-23 2020-10-29 주식회사 커버써먼 공기 주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US20210387489A1 (en) * 2019-09-27 2021-12-16 Pacific Industrial Co., Ltd. Valve core
JP7419752B2 (ja) * 2019-11-07 2024-01-23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装置
IT202100005231A1 (it) * 2021-03-05 2022-09-05 Wonder S P A Valvola per ruote gommate con nuovo meccanismo di azionament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0129A (en) * 1939-02-15 1941-04-29 Bridgeport Brass Co Valve
JP2002517682A (ja) * 1998-06-04 2002-06-18 ファステスト,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高流量弁付き管継手
KR20040014207A (ko) * 2002-08-07 2004-02-14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밸브 코어
JP2012077894A (ja) * 2010-10-06 2012-04-19 Fuji Koki Corp 逆止弁
JP2015512826A (ja) 2012-03-28 2015-04-30 アドバンタリア、エス.エル. 区画化されたタイヤ用のバルブおよび区画化された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3554A (en) * 1919-08-19 Fbedekik nielsen
US2625170A (en) * 1950-01-07 1953-01-13 Bridgeport Brass Co Valve core for pneumatic tire valve stems
US2862515A (en) * 1956-02-21 1958-12-02 Scovill Manufacturing Co Check valve
US3712328A (en) * 1971-08-05 1973-01-23 Scovill Manufacturing Co Tire valve core
CH604047A5 (ko) * 1975-10-30 1978-08-31 Wallisellen Armaturenfabrik Ag
IT1056460B (it) * 1976-02-04 1982-01-30 Dante B Corpo valvolare per valvole per pneumatici
LU79202A1 (fr) * 1977-03-11 1978-06-28 Michelin & Cie Valve de gonflage
US4275756A (en) * 1979-03-12 1981-06-30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Plastic valve core
US4506695A (en) * 1983-04-04 1985-03-26 Scovill Inc. Plastic tire valve
US4819685A (en) * 1984-04-17 1989-04-11 Bridge Products, Inc. Tubeless tire valve
US4739813A (en) * 1984-04-17 1988-04-26 Bridge Products, Inc. Tubeless tire valve
DE8516229U1 (de) 1985-06-03 1986-10-09 Alligator Ventilfabrik GmbH, 7928 Giengen Ventil für Fahrzeugreifen
IT209132Z2 (it) 1986-03-04 1988-09-12 Bridgeport Brass Spa Perfezionamenti a valvole per pneumatici di tipo tubeless.
US4979721A (en) * 1989-12-01 1990-12-25 Bridge Products, Inc. Check valve having combined quick disconnect wrench flat defining ridge
JPH04285376A (ja) 1991-03-14 1992-10-09 Masayoshi Teramoto 自動車タイヤの空気取入れ口の安全キャップ
JP3101436B2 (ja) * 1992-10-22 2000-10-23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に使用される電極端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
FR2727735B1 (fr) * 1994-12-02 1997-01-24 Hutchinson Dispositif de purge ou de vidange d'un conduit
US5558117A (en) 1995-01-11 1996-09-24 Mcguinness; Frank J. Pneumatic valve assembly with dynamic annular seal flange
TW363924B (en) 1996-05-14 1999-07-11 Nvb Int Activation pin for valve connector providing a reliable activation pin which is inexpensive, has low air-power resistance, and is therefore suitable for use as pump
JPH1145691A (ja) * 1997-07-28 1999-02-1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電池パック
US6117112A (en) * 1997-11-18 2000-09-12 Mahurkar; Sakharam D. Single-use safety syringe
GB2345526B (en) * 1999-01-08 2003-07-09 James Jeor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nectors and valves
ES2185468B1 (es) * 2000-12-21 2005-05-16 Genebre, S.A. Valvula de retencion.
US6659426B2 (en) * 2001-12-26 2003-12-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harge valve in a high pressure air conditioning system
US6719003B2 (en) * 2001-12-26 2004-04-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harge valve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604652B1 (ko) * 2003-06-26 2006-07-25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밸브 코어
JP4180451B2 (ja) * 2003-06-26 2008-11-12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コア
JP4271530B2 (ja) * 2003-08-08 2009-06-03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タイヤバルブ
JP4417803B2 (ja) 2004-08-02 2010-02-17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4285376B2 (ja) 2004-09-06 2009-06-2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FR2896293B1 (fr) * 2006-01-17 2010-08-13 Schrader Sas Mecanisme d'ouverture ou de fermeture d'une valve a deux positions de fermeture
JP4714631B2 (ja) * 2006-04-20 2011-06-29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コア
US7624752B2 (en) * 2006-11-22 2009-12-01 Tien-Tsai Huang Inflation valve
CN100491787C (zh) 2007-08-10 2009-05-27 四川大学 汽车轮胎通用防爆限压气嘴
CN100455861C (zh) 2007-08-10 2009-01-28 四川大学 汽车轮胎通用防爆安全气嘴
CN201093106Y (zh) 2007-08-15 2008-07-30 梁伟 机动车防爆胎气门
CN101776549B (zh) * 2009-12-29 2011-07-1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搭铁螺栓螺柱焊的检测夹具
JP2012074535A (ja) * 2010-09-29 2012-04-12 Panasonic Corp キャパシタ及びこれを用いたキャパシタモジュール
CN203146896U (zh) * 2013-02-27 2013-08-21 宁波朝阳家用燃气具有限公司 适用两种不同气源的燃气阀芯
CN105358887B (zh) * 2013-05-31 2018-05-08 丹佛斯动力系统有限责任两合公司 用于致动阀的流体流量帽的附接
JP6131966B2 (ja) * 2015-01-30 2017-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及び組電池
US9969242B2 (en) * 2016-06-23 2018-05-15 Hanon Systems Contaminant resistant charge valve
CN205824297U (zh) 2016-07-27 2016-12-21 海宁金能热水器有限公司 空气能热水器用充气阀
US11313483B2 (en) * 2018-03-29 2022-04-26 Pacific Industrial Co., Ltd. Valve core
TWM565258U (zh) * 2018-05-18 2018-08-11 穩勝福股份有限公司 Improvement of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0129A (en) * 1939-02-15 1941-04-29 Bridgeport Brass Co Valve
JP2002517682A (ja) * 1998-06-04 2002-06-18 ファステスト,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高流量弁付き管継手
KR20040014207A (ko) * 2002-08-07 2004-02-14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밸브 코어
JP2012077894A (ja) * 2010-10-06 2012-04-19 Fuji Koki Corp 逆止弁
JP2015512826A (ja) 2012-03-28 2015-04-30 アドバンタリア、エス.エル. 区画化されたタイヤ用のバルブおよび区画化された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4561A1 (ja) 2020-10-01
JP7008803B2 (ja) 2022-01-25
US20210231224A1 (en) 2021-07-29
TW202035187A (zh) 2020-10-01
EP3736473A4 (en) 2020-11-25
CN112005035A (zh) 2020-11-27
EP3736473A1 (en) 2020-11-11
TWI812998B (zh) 2023-08-21
EP3736473B1 (en) 2022-11-23
JPWO2020194561A1 (ja) 2021-09-13
TWI740421B (zh) 2021-09-21
CN114593244A (zh) 2022-06-07
US11085549B1 (en) 2021-08-10
EP4155590A1 (en) 2023-03-29
KR102252744B1 (ko) 2021-05-17
TW202144201A (zh) 2021-12-01
CN112005035B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744B1 (ko) 밸브
US6514023B2 (en) Removable and reusable fastener
EP3149381B1 (en)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EP2240706B1 (en) Captive fastener apparatus for chain guide or tensioner arm
US10125908B2 (en)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with integrated check valve
US20150145240A1 (en) Fluid coupling with lock connection
CA2554086A1 (en) Barrel assembly and attachment system
US5901743A (en) Valve system, especially for use in veterinary syringes
US10539172B2 (en) Fastener with a stud hold-out position
KR101783443B1 (ko) 주입 및 클리닝 범용 어댑터
CN105679608B (zh) 电磁开关及车辆起动机
WO2006009757A1 (en) Valve for pressurized canister
US11430591B2 (en) Solenoid valve lock
JP7366554B2 (ja) ホースユニット及び水栓
CN108533769B (zh) 水龙头组件、喷雾器组件及水龙头
CN216078515U (zh) 阀超驰组件和阀
RU2019109351A (ru) Пистолет-распылитель и компоненты для распыления красок и других покрытий
CN114929070A (zh) 用于家具的调节装置和组装调节装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