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316A -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316A
KR20200113316A KR1020190033291A KR20190033291A KR20200113316A KR 20200113316 A KR20200113316 A KR 20200113316A KR 1020190033291 A KR1020190033291 A KR 1020190033291A KR 20190033291 A KR20190033291 A KR 20190033291A KR 20200113316 A KR20200113316 A KR 20200113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eat cushion
seat
div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461B1 (ko
Inventor
문현규
정찬호
나선채
황상범
황인창
이명수
김정수
유엄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461B1/ko
Priority to US16/521,203 priority patent/US10933776B2/en
Priority to DE102019211728.7A priority patent/DE102019211728B4/de
Priority to CN201910716525.8A priority patent/CN111731165B/zh
Publication of KR2020011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5Rea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pivoting about an axis located in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드 앤 다이브 시트에 폴드 앤 다이브 메카니즘 및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카니즘 외에 시트쿠션 전단부의 팁업 및 익스텐션이 이루어지도록 한 팁업-익스텐션 메카니즘을 탑재하여, 시트백 리클라이닝 작동시 시트쿠션의 전단부가 상승하는 팁업 및 전방으로 늘어나는 익스텐션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상체 및 하체에 대한 고른 체압 분산이 가능한 피로 저감 자세를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FOLD AND DIVE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 리클라이닝시 시트쿠션 전단부의 팁업 및 익스텐션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일종으로서, 물건 등의 적재를 위한 공간 확보 및 승객 승하차 통로 등의 확보를 위해 폴드 앤 다이브 시트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긴 물품 등을 적재할 경우, 시트백 뒤쪽의 적재공간이 부족하여 시트백을 시트쿠션 위로 접는 폴딩(folding) 작동과, 폴딩되는 시트백의 배면을 수평면으로 만들어주기 위하여 시트쿠션의 앞쪽 부분을 하강시키는 다이브(dive) 작동이 가능한 시트를 말한다.
이러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에도 승객의 휴식 및 취침 등을 위한 피로 저감 자세 구현하기 위하여 시트백을 후방으로 리클라이닝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이 기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참고로, 상기 피로 저감 자세란, 승객의 상체 지지 각도가 변화할 때 엉덩이, 허벅지 및 종아리 등의 지지 각도를 체압을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는 각도로 함께 변화시켜서 피로도를 저감하는 동시에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자세를 말한다.
그러나, 상기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경우, 폴드 앤 다이브 메카니즘 외에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카니즘이 조합되어, 시트백 리클라이닝시 승객이 상체를 뒤로 더 기댈 수 있는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지만, 시트쿠션은 그대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승객의 엉덩이 및 허벅지 부분에 대한 체압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하체 부분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승객의 상체 및 하체에 대한 고른 체압 분산이 가능한 피로 저감 자세를 제공할 수 있는 폴드 앤 다이브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에 폴드 앤 다이브 메카니즘 및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카니즘 외에 시트쿠션 전단부의 팁업 및 익스텐션이 이루어지도록 한 팁업-익스텐션 메카니즘을 탑재하여, 시트백 리클라이닝 작동시 시트쿠션의 전단부가 상승하는 팁업 및 전방으로 늘어나는 익스텐션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상체 및 하체에 대한 고른 체압 분산이 가능한 피로 저감 자세를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쿠션 프레임;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백 프레임; 상단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고, 하단부에는 제1다이브 링크를 밀어주기 위한 푸시 스토퍼가 형성된 레버리지 링크;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측부에 고정 장착되는 제2다이브 링크; 하단부는 상기 제2다이브 링크와 힌지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레버리지 링크와 힌지 체결되는 제1다이브 링크; 양쪽 시트 레일 간에 연결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단부는 상기 제2다이브 링크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는 시트쿠션 지지링크;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레일 파이프; 상기 레일 파이프에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부와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 간에 힌지 체결되는 틸팅용 지지링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리지 링크는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부에 고정 장착되는 상단부와 푸시 스토퍼가 형성된 하단부 사이에 수직 절곡부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수직 절곡부의 내측부에 제1다이브 링크의 상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힌지로 체결되는 동시에 제1다이브 링크의 후면에 푸시 스토퍼가 푸시 가능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쿠션 지지링크와 시트 레일 간에는 시트쿠션 지지링크의 복귀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리턴 스프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로 저감 시트는: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측부에 젖힘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슬라이더를 레일 파이프에 락킹시키거나 또는 락킹 해제시키는 선형 락킹장치; 상기 레버와 선형 락킹장치 간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 젖힘 조작시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선형 락킹장치의 락킹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 조작 해제시 케이블이 본래 위치로 이동하여 선형 락킹장치의 락킹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선형 락킹장치는: 한쪽이 개방된 형태의 원형 관 구조로 구비되어 레일 파이프의 외경과 슬라이더의 내경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 클램프; 상기 탄성 클램프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더 외경부로 연장 배열되는 당김 플레이트; 로 구성되고, 상기 당김 플레이트에는 케이블의 내끝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의 외경부에는 당김 플레이트의 당김 전 위치 및 당김 후 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클램프의 내경면에는 레일 파이프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마찰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에는 시트백 리클라이닝 장치와 연결되는 리클라이닝용 케이블이 함께 당김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폴드 앤 다이브 시트에 폴드 앤 다이브 메카니즘 및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카니즘 외에 시트쿠션 전단부의 팁업 및 익스텐션이 이루어지도록 한 팁업-익스텐션 메카니즘을 더 장착하여, 시트백 리클라이닝 작동시 시트쿠션의 전단부가 상승하는 팁업 및 전방으로 늘어나는 익스텐션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승객에게 상체 및 하체에 대한 고른 체압 분산이 가능한 피로 저감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시트쿠션의 팁업-익스텐션 메카니즘 작동은 승객이 시트백 리클라이닝을 위한 레버를 조작하는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고가의 모터 등을 사용하는 전동식 방식을 탈피하는 등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의 선형 락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의 선형 락킹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로 저감 시트의 기본 착좌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로 저감 시트의 시트쿠션 팁업 및 익스텐션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로 저감 시트에 의하여 구현되는 승객의 피로 저감 자세를 기존 자세와 비교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로 저감 시트의 폴드 및 다이브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0은 시트쿠션 프레임을 지시하고, 도면부호 200은 시트백 프레임을 지시한다.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0)에 시트백 프레임(200)이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후단부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하단부 간의 연결 지점에 공지의 리클라이닝 장치(300)가 장착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200)의 후방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백 리클라이닝 작동시 시트쿠션의 전단부가 상승하는 팁업 및 전방으로 늘어나는 익스텐션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를 위해 시트쿠션 프레임(100)과 시트백 프레임(200)은 레버리지 링크(30), 제1다이브 링크(10), 제2다이브 링크(20) 등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레버리지 링크(30)의 상단부는 시트백 프레임(100)의 측면부에 고정 장착되고, 하단부에는 제1다이브 링크(10)를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시 스토퍼(3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레버리지 링크(30)는 시트백 프레임(100)의 측면부에 고정 장착되는 상단부와, 푸시 스토퍼(32)가 돌출 형성된 하단부 사이에 수직 절곡부(34)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며, 그 이유는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300)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동시에 상기 제1다이브 링크(10)와 겹쳐지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에 있다.
이에, 상기 레버리지 링크(30)의 수직 절곡부(34)의 내측부에 제1다이브 링크(10)의 상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힌지로 체결되고, 레버리지 링크(30)의 하단부에 형성된 푸시 스토퍼(32)가 제1다이브 링크(10)를 전방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제1다이브 링크(10)의 후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2다이브 링크(20)는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측부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1다이브 링크(10)는 레버리지 링크(30)와 제2다이브 링크(20) 간에 힌지로 연결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다이브 링크(10)의 하단부는 상기 제2다이브 링크의 후단부와 힌지 체결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버리지 링크(30)의 수직 절곡부(34) 내측부에 힌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리클라이닝시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팁업 및 익스텐션을 위한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하부 위치에 양쪽 시트 레일(180) 간에 고정 플레이트(182)가 연결되고, 이 고정 플레이트(182)에 레일 파이프(120)가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며 장착되며, 이 레일 파이프(120)의 외경부에는 슬라이더(130)가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단부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전단부 저면 간에는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되는 틸팅용 지지링크(140)가 힌지 체결된다.
즉, 상기 틸팅용 지지링크(140)의 전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전단부 저면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고, 후단부는 슬라이더(130)의 전단부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팁업 및 익스텐션 동작시 시트쿠션 프레임(100)을 받쳐주기 위한 링크로서, 상기 제2다이브 링크(20)와 고정 플레이트(182) 간에는 시트쿠션 지지링크(190)가 연결된다.
즉, 상기 시트쿠션 지지링크(190)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열되면서 그 하단부는 고정 플레이트(182)에 힌지 체결되고, 그 상단부는 제2다이브 링크(20)의 앞쪽 내측부에 힌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팁업 및 익스텐션 동작 후 본래 기본 위치로 복귀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쿠션 지지링크(190)와 시트 레일(180)의 측부 소정 위치 간에는 리턴 스프링(192)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30)에는 슬라이더(130)가 레일 파이프(120)를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슬라이더(130)를 락킹시키거나, 슬라이더(130)가 레일 파이프(120)를 따라 이동되도록 락킹 해제시키는 선형 락킹장치(15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측부에는 선형 락킹장치(150)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를 위한 레버(160)가 젖힘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버(160)와 선형 락킹장치(150) 간에는 레버(160)의 젖힘 조작력을 선형 락킹장치(150)에 전달하는 케이블(170)이 연결된다.
이에, 상기 레버(160) 젖힘 조작시 케이블(170)이 당겨지면서 선형 락킹장치(150)의 슬라이더(130)에 대한 락킹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160) 젖힘 조작 해제시 당겨졌던 케이블(170)이 본래 위치로 이동하여 선형 락킹장치(150)의 슬라이더(130)에 대한 락킹 작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선형 락킹장치(15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선형 락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선형 락킹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선형 락킹장치(150)는 한쪽이 슬릿 형태로 개방된 원형 관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레일 파이프(120)의 외경과 슬라이더의 내경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 클램프(152)와, 이 탄성 클램프(15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더(130)의 외경부로 연장 배열되는 평판형의 당김 플레이트(15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 클램프(150)가 벌어지면서 그 직경이 증가하면 탄성 클램프(150)의 내경부가 레일 파이프(120)의 외경부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되어, 슬라이더(130)에 대한 락킹이 해제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슬라이더(130)가 탄성 클램프(150)와 함께 레일 파이프(12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면, 상기 탄성 클램프(15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본래 직경으로 돌아가면 탄성 클램프(150)의 내경부가 레일 파이프(120)의 외경부에 조여지며 밀착되는상태가 되어, 슬라이더(130)에 대한 락킹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슬라이더(130)가 레일 파이프(120)를 따라 이동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클램프(150)의 내경면에는 레일 파이프(120)의 외경면과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마찰판(156)이 형성되는 바, 이 마찰판(156)은 탄성 클램프(150)의 내경부가 레일 파이프(120)의 외경부에 조여지며 밀착될 때 탄성 클램프(150)의 슬립을 방지하는 동시에 탄성 클램프(150)에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170)의 내끝단이 슬라이더(130)의 외경부를 통하여 돌출된 당김 플레이트(154)의 선단부에 결합되고, 케이블(170)의 외끝단은 상기와 같이 레버(16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130)의 외경부에는 당김 플레이트(154)의 당김 전 위치 및 당김 후 위치를 한정하는 한 쌍의 스토퍼(132)가 "V"자를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레버(160)의 선단부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소정 위치 간에는 레버(160)의 젖힘 작동 후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2)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레버(160)의 선단부에는 리클라이닝 장치(300)와 연결되는 리클라이닝용 케이블(310)이 함께 당김 가능하게 연결되어, 레버(160)의 젖힘 작동시 상기 케이블(170) 뿐만 아니라 리클라이닝용 케이블(310)도 함께 당겨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피로 저감 시트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트쿠션 팁업 익스텐션 작동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로 저감 시트의 기본 착좌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로 저감 시트의 시트쿠션 팁업 및 익스텐션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승객이 상기 레버(160)를 젖힘 조작하면, 상기 케이블(170) 및 리클라이닝 케이블(310)이 동시에 당겨진다.
연이어, 상기 케이블(170)이 당겨짐에 따라 선형 락킹장치(150)의 당김 플레이트(154)를 당기게 되어, 당김 플레이트(154)가 도 4a의 당김 전 위치에 도 4b의 당김 후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당김 플레이트(154)와 일체로 된 탄성 클램프(150)가 벌어지면서 그 직경이 증가하게 되어, 도 4b에서 보듯이 상기 탄성 클램프(150)의 내경부가 레일 파이프(120)의 외경부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슬라이더(130)에 대한 락킹 해제가 이루어져 슬라이더(130)가 탄성 클램프(150)와 함께 레일 파이프(12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 클램프(150)와 당김 플레이트(154)를 포함하는 선형 락킹장치(150)가 레일 파이프(12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아울러 탄성 클램프(150)를 감싸고 있는 슬라이더(130)도 레일 파이프(12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레버(160)의 젖힘 조작시 리클라이닝 케이블(310)도 당겨짐으로써, 공지의 리클라이닝 장치(300)도 잠금 해제되어 시트백 프레임(2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한 리클라이닝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객이 시트백에 등을 기대며 가압하면, 도 6a에서 보듯이 시트백 프레임(200)이 리클라이닝 장치(300)에 의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리클라이닝시 레버리지 링크(30)도 함께 후방으로 기울어지며 위치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레버리지 링크(30)의 푸시 스토퍼(32)가 제1다이브 링크(1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즉, 상기 푸시 스토퍼(32)가 마치 제1다이브 링크(10)를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1다이브 링크(10)는 레버리지 링크(30)와의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전방의 상방향을 향하여 회전(도 6a 기준 시계방향)을 하게 되어, 제1다이브 링크(10)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밀려나는 동시에 상승하는 위치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다이브 링크(10)의 하단부와 힌지 체결된 제2다이브 링크(20)도 전방으로 밀려나는 동시에 상승하는 위치 이동을 하게 되고, 또한 제2다이브 링크(20)와 일체로 된 시트쿠션 프레임(100)도 전방으로 밀려나는 동시에 상승하는 위치 이동을 하게 된다.
결국,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전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익스텐션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승하는 팁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0)이 전방으로 밀려나는 동시에 상승하는 위치 이동을 할 때, 상기 틸팅용 지지링크(140)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틸팅용 지지링크(140)가 슬라이더(13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며, 슬라이더(130)는 상기와 같이 락킹 해제 상태이므로 레일 파이프(12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객이 레버(160)를 놓으면 케이블(170)의 당김이 해제됨과 함께 상기 탄성 클램프(15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본래 직경으로 돌아가게 되어, 탄성 클램프(150)의 내경부가 레일 파이프(120)의 외경부에 조여지며 밀착되는상태가 됨으로써, 슬라이더(130)에 대한 락킹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과 시트쿠션의 팁업 및 익스텐션이 완료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시트백 리클라이닝 작동시 시트쿠션의 전단부가 상승하는 팁업 및 전방으로 늘어나는 익스텐션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승객에게 상체 및 하체에 대한 고른 체압 분산이 가능한 피로 저감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첨부한 도 7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기존에 시트백 리클라이닝 작동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승객의 상체를 시트백에 편하게 기댈 수 있지만, 시트쿠션은 고정된 상태이므로 하체의 엉덩이가 시트쿠션의 전방을 향하여 밀리는 동시에 허리 부분이 시트백으로부터 들뜨게 되며, 시트쿠션 길이가 짧아 무릎과 인접한 허벅지 부분을 감싸주지 못함으로써, 피로 저감 자세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의 우측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와 같은 시트쿠션의 팁업 및 익스텐션이 완료되면, 시트쿠션 길이가 길어져 허벅지 부분을 감싸주며 지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시트쿠션의 전단부가 상승하는 팁업에 의하여 무릎과 인접한 허벅지 부분이 지지되며 상승하는 동시에 엉덩이 및 허리 부분이 시트 표면에 자연스럽게 밀착됨으로써, 체압이 분산되는 동시에 마치 무중력 자세(무중력 상태에서 관절의 힘을 뺀 편안한 상태의 자세)와 같은 피로 저감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시트백 폴딩 및 시트쿠션 다이브 작동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로 저감 시트의 폴드 및 다이브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로 저감 시트는 리어 시트로서, 시트백 뒤쪽의 적재공간(예, 러기지 룸)이 부족하여 시트백을 시트쿠션 위로 접는 폴딩(folding) 작동과, 폴딩된 시트백의 배면을 수평면으로 만들어주기 위하여 시트쿠션의 앞쪽 부분을 하강시키는 다이브(dive) 작동이 가능하다.
먼저, 승객이 상기 레버(160)를 젖힘 조작하여 상기와 같이 케이블(170)과 리클라이닝용 케이블(310)이 당겨지면서 상기 선형 락킹장치(150)의 슬라이더(130)에 대한 락킹 해제와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300)의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을 시트쿠션 프레임(100)의 위쪽으로 전방 회전시키는 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이 전방 폴딩됨에 따라, 도 8에서 보듯이 시트백 프레임(200)에 장착된 레버리지 링크(30)도 시트백 프레임(200)과 함께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레버리지 링크(30)와 제1다이브 링크(10) 간의 힌지 체결점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1다이브 링크(10)가 하방향으로 밀리면서 이동하게 되고, 제1다이브 링크(10)와 제2다이브 링크(20) 간의 힌지 체결점도 후방으로 약간 당겨지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다이브 링크(20)와 일체로 된 시트쿠션 프레임(100)도 후방으로 약간 당겨지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이브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100)이 후방으로 당겨지며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이브 동작을 할 때, 상기 틸팅용 지지링크(140)가 기울어지는 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틸팅용 지지링크(140)가 슬라이더(130)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며, 슬라이더(130)는 상기와 같이 락킹 해제 상태이므로 레일 파이프(12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객이 레버(160)를 놓으면 케이블(170)의 당김이 해제됨과 함께 상기 탄성 클램프(15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본래 직경으로 돌아가게 되어, 탄성 클램프(150)의 내경부가 레일 파이프(120)의 외경부에 조여지며 밀착되는상태가 됨으로써, 슬라이더(130)에 대한 락킹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시트백 폴딩 및 시트쿠션 다이브 동작의 완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10 : 제1다이브 링크
20 : 제2다이브 링크
30 : 레버리지 링크
32 : 푸시 스토퍼
34 : 수직 절곡부
100 : 시트쿠션 프레임
120 : 레일 파이프
130 : 슬라이더
132 : 스토퍼
140 : 틸팅용 지지링크
150 : 선형 락킹장치
152 : 탄성 클램프
154 : 당김 플레이트
156 : 마찰판
160 : 레버
162 : 스프링
170 : 케이블
180 : 시트 레일
182 : 고정 플레이트
190 : 시트쿠션 지지링크
192 : 리턴 스프링
200 : 시트백 프레임
300 : 리클라이닝 장치
310 : 리클라이닝용 케이블

Claims (9)

  1. 시트쿠션 프레임;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백 프레임;
    상단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고, 하단부에는 제1다이브 링크를 밀어주기 위한 푸시 스토퍼가 형성된 레버리지 링크;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측부에 고정 장착되는 제2다이브 링크;
    하단부는 상기 제2다이브 링크와 힌지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레버리지 링크와 힌지 체결되는 제1다이브 링크;
    양쪽 시트 레일 간에 연결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단부는 상기 제2다이브 링크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는 시트쿠션 지지링크;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레일 파이프;
    상기 레일 파이프에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부와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 간에 힌지 체결되는 틸팅용 지지링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리지 링크는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부에 고정 장착되는 상단부와 푸시 스토퍼가 형성된 하단부 사이에 수직 절곡부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절곡부의 내측부에 제1다이브 링크의 상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힌지로 체결되는 동시에 제1다이브 링크의 후면에 푸시 스토퍼가 푸시 가능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지지링크와 시트 레일 간에는 시트쿠션 지지링크의 복귀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리턴 스프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측부에 젖힘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슬라이더를 레일 파이프에 락킹시키거나 또는 락킹 해제시키는 선형 락킹장치;
    상기 레버와 선형 락킹장치 간에 연결되는 케이블;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 젖힘 조작시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선형 락킹장치의 락킹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 조작 해제시 케이블이 본래 위치로 이동하여 선형 락킹장치의 락킹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선형 락킹장치는:
    한쪽이 개방된 형태의 원형 관 구조로 구비되어 레일 파이프의 외경과 슬라이더의 내경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 클램프;
    상기 탄성 클램프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더 외경부로 연장 배열되는 당김 플레이트;
    로 구성되고,
    상기 당김 플레이트에는 케이블의 내끝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외경부에는 당김 플레이트의 당김 전 위치 및 당김 후 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램프의 내경면에는 레일 파이프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마찰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시트백 리클라이닝 장치와 연결되는 리클라이닝용 케이블이 함께 당김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KR1020190033291A 2019-03-25 2019-03-25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KR102586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291A KR102586461B1 (ko) 2019-03-25 2019-03-25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US16/521,203 US10933776B2 (en) 2019-03-25 2019-07-24 Fold and dive seat for vehicle
DE102019211728.7A DE102019211728B4 (de) 2019-03-25 2019-08-05 Klapp- und absenksitz für ein fahrzeug
CN201910716525.8A CN111731165B (zh) 2019-03-25 2019-08-05 用于车辆的折叠及下俯式座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291A KR102586461B1 (ko) 2019-03-25 2019-03-25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316A true KR20200113316A (ko) 2020-10-07
KR102586461B1 KR102586461B1 (ko) 2023-10-10

Family

ID=7260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291A KR102586461B1 (ko) 2019-03-25 2019-03-25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33776B2 (ko)
KR (1) KR102586461B1 (ko)
CN (1) CN111731165B (ko)
DE (1) DE10201921172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433A (ko) * 2020-10-16 2022-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CN114801900B (zh) * 2021-01-22 2024-03-05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系统及车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2533A (en) * 1997-05-27 2000-11-28 Bertrand Faure Components Ltd. Slide/fold/EZ entry seat mechanism
US20030075394A1 (en) * 2001-10-24 2003-04-24 Shields Roy E. Positionable linear friction lock assembly
JP2008264272A (ja) * 2007-04-20 2008-11-06 Tenryu Ind Co Ltd 座席
US20090322134A1 (en) * 2006-07-31 2009-12-31 Masayuki Yamada Vehicular seat device
KR20120126346A (ko) *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US20130292982A1 (en) * 2012-03-15 2013-11-07 Johnson Controls Gmbh Longitudinal seat adjuster for a vehicle seat having easy entry functionality and folding functi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700B2 (ja) * 1994-03-25 2001-06-04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WO2002055333A1 (en) * 2000-12-20 2002-07-18 Intier Automotive Inc. Seat assembly with displaceable seat back recliner pivot
JP4583613B2 (ja) * 2001-01-19 2010-11-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支持機構
DE102005060444B4 (de) 2005-12-17 2008-01-10 Keiper Gmbh & Co.Kg Fahrzeugsitz mit Bodenstellung
DE102006004497A1 (de) 2006-02-01 2007-08-09 Faurecia Autositze Gmbh Kraftfahrzeugsitz
JP5104853B2 (ja) * 2007-03-29 2012-12-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119911B2 (ja) * 2007-12-26 2013-01-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125617B2 (ja) * 2008-03-03 2013-01-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EP2321146B9 (en) * 2008-08-07 2018-05-02 Magna Seating Inc. Tip slide stow seat
JP2011073472A (ja) 2009-09-29 2011-04-14 Toyo Seat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WO2011077902A1 (ja) * 2009-12-25 2011-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装置
DE102010033752B4 (de) * 2010-08-07 2020-04-09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Fluggastsitz
KR101209993B1 (ko) * 2010-12-03 2012-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KR101209975B1 (ko) * 2010-12-07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JP5788216B2 (ja) 2011-05-13 2015-09-30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クッションシートフレーム構造および該構造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US8585147B2 (en) * 2011-06-30 2013-11-19 Lear Corporation Stowable rear seat with fore and aft adjustment
US20130175841A1 (en) 2012-01-11 2013-07-11 James W. Finck Reclining seat assembly
US8882197B2 (en) * 2012-08-28 2014-11-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ltra flex and fold seat with ingress/egress feature
KR101904976B1 (ko) 2016-11-29 2018-11-28 주식회사 다스 시트의 쿠션부 틸트 익스텐션 장치
US10647227B2 (en) * 2016-12-05 2020-05-12 Porter Systems Inc. Precision linear mechanical lock device
US10561244B2 (en) * 2017-09-20 2020-02-18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with recline and tilt
CN109177832B (zh) * 2018-08-28 2021-09-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座椅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2533A (en) * 1997-05-27 2000-11-28 Bertrand Faure Components Ltd. Slide/fold/EZ entry seat mechanism
US20030075394A1 (en) * 2001-10-24 2003-04-24 Shields Roy E. Positionable linear friction lock assembly
US20090322134A1 (en) * 2006-07-31 2009-12-31 Masayuki Yamada Vehicular seat device
JP2008264272A (ja) * 2007-04-20 2008-11-06 Tenryu Ind Co Ltd 座席
KR20120126346A (ko) *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US20130292982A1 (en) * 2012-03-15 2013-11-07 Johnson Controls Gmbh Longitudinal seat adjuster for a vehicle seat having easy entry functionality and folding function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31165B (zh) 2022-11-08
DE102019211728A1 (de) 2020-10-01
KR102586461B1 (ko) 2023-10-10
DE102019211728B4 (de) 2023-07-20
US10933776B2 (en) 2021-03-02
CN111731165A (zh) 2020-10-02
US20200307420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2798B2 (ja) 折り畳み位置を備えた車両用座席
KR101058762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JP4499109B2 (ja) 進入/退出位置及び積荷フロア位置を備える車輌シートシステム
KR102299335B1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US20170080831A1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US20090273211A1 (en) Vehicle seating system
US7478882B2 (en) Motor vehicle seat
EP2517925A1 (en) Seat device
KR10262161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US6663181B2 (en) Vehicle seat portion
KR20200113316A (ko)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KR20210031037A (ko) 차량용 후석 시트
EP1316468A1 (en) Seat arrangement
US11440450B2 (en) Thigh support and seat
US20230143122A1 (en) Seating assembly with displaceable panel
US20170001543A1 (en) Stowable vehicle seat with slotted guide linkage
KR102411246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JP5215796B2 (ja) 作業用補助椅子
JP6387839B2 (ja)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装置
JP7449756B2 (ja) 座席装置
KR102605705B1 (ko)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US11752905B2 (en) Device for providing fatigue-reducing position of vehicle seat
JPH0537703Y2 (ko)
JP4981384B2 (ja) オットマン装置及びシート
JPH0623821U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