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427A -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427A
KR20200110427A KR1020207024311A KR20207024311A KR20200110427A KR 20200110427 A KR20200110427 A KR 20200110427A KR 1020207024311 A KR1020207024311 A KR 1020207024311A KR 20207024311 A KR20207024311 A KR 20207024311A KR 20200110427 A KR20200110427 A KR 20200110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ntrol unit
battery
communication method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5277B1 (ko
Inventor
가즈오미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Publication of KR2020011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기동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제공한다. 이 전원 장치(1)는, 복수의 전지 팩(5)과, 복수의 전지 팩(5)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한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갖는 복수의 전지 제어부(3A, 3B, 3C)를 구비한다. 복수의 전지 제어부(3A, 3B, 3C)는, 마스터·슬레이브간에 있어서, 전원 장치(1)가 기동될 때 행하여지는 자기 진단 시에는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해서 통신하고,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제1 통신 방식보다도 통신 주기가 짧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해서 통신한다.

Description

전원 장치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 팩과, 각 전지 팩에 대응한 복수의 전지 제어부를 갖는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원 장치는, 전지 제어를 개시하기 전에, 각 전지 팩에 마련되어 전지 팩으로부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릴레이 등의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예를 들어 릴레이 융착·용단 진단)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이러한 종류의 전원 장치로서, 복수의 전지 제어부가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갖고, 전지 제어를 개시하기 전에, 마스터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전지 팩의 고장(예를 들어 릴레이의 고착 등)을, 각 슬레이브 제어부에서 검출함과 함께, 그 고장 진단 결과를 마스터·슬레이브간에서 통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09907호 공보
그러나, 마스터·슬레이브간에서 통신하는 복수의 전지 제어부가, 전지 제어부 자신 및 기계 부품의 진단의 양쪽을 행하는 경우, 통신 방식의 설정에 따라서는, 전지 제어를 개시할 때까지의 준비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제어부의 자기 진단 및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을 행할 때, 마스터·슬레이브간에서의 통신 방식에 대해서, 전지 제어를 보다 신속하게 개시하는 것에 관련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동 문헌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시스템 기동 시에, 제어부 자신의 자기 진단 및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을 행하면, 전원 장치를 조기에 기동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동 문헌에 기재된 기술은,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전원 장치를 전기 자동차의 주행용 전원에 사용하는 경우, 기동 시간을 짧게 해서 신속하게 주행을 개시시키는 데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주목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종류의 전원 장치에 있어서, 전지 제어부 자신의 자기 진단 및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고, 그로써 신속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전원 장치는, 부하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전지 팩과, 상기 복수의 전지 팩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전지 제어부와, 상기 전지 팩으로부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 제어부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가짐과 함께, 전지 제어를 개시하기 전에, 각각의 상기 전지 제어부는, 자신의 자기 진단과, 상기 릴레이를 포함하는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을 실행하는 전원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전지 제어부는, 제1 통신 방식과, 해당 제1 통신 방식보다도 통신 주기가 짧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해서 통신하는 통신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자기 진단 시에는, 마스터 제어부와 슬레이브 제어부의 사이에서의 통신은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고, 상기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마스터 제어부와 슬레이브 제어부의 사이에서의 통신은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전원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전지 제어부는, 복수의 전지 팩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갖고, 마스터·슬레이브간에서의 통신 시에, 전지 제어부의 자기 진단과, 기계적 동작 진단에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전원 제어부의 자기 진단은, 복수의 진단 체크를 행하는 경우가 많아 처리 부하가 크기 때문에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축차 처리가 되기 때문에 처리 부하가 작은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제1 통신 방식보다도 통신 주기가 짧은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기동 시의 고장 진단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고, 그로써 신속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전원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전지 제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마스터 제어부가 실행하는 고장 진단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슬레이브 제어부가 실행하는 고장 진단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비교예에서의 통신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며, 동 도면은, 자기 진단 시 및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 제1 통신 방식만으로 통신하는 통신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며, 동 도면은, 자기 진단 시에는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상태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며, 동 도면은,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 제2 통신 방식으로의 통신과, 제1 통신 주기로의 통신을 함께 사용하는 통신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자동차의 차량 탑재용 전원 장치를 구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단, 전기 자동차는, 내연 기관인 엔진과 전동기를 차량의 구동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및 전동기를 차량의 유일한 구동원으로 하는 순정 전기 자동차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차량 탑재용 전원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정용 전원 장치에 사용해도 된다.
또한, 각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다. 그 때문에,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하며,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 등을 하기의 실시 형태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는, 조전지(2)와, 전지 감시 시스템(3)(전지 제어부)을 구비한다. 조전지(2)는, 복수의 전지 팩(5)이 외부 부하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는, 차량의 시스템측의 요구에 따라, 모터 제너레이터(8)에 대하여 인버터(7)를 통해서 삼상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는 직류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이 전원 장치(1)는, 차량의 시스템측에 장비된 차량 제어 장치(10)의 판단에 따라서 충전이 필요할 때 등에, 모터 제너레이터(8)가 발생시킨 삼상 교류 전력이 인버터(7)를 통해서 변환된 직류 전력을 축전한다. 여기서, 「차량의 시스템측」에는, 후술하는 차량 제어 장치(10) 외에, 차량 제어 장치(10)와 접속된 통신 버스, 이 통신 버스에 각각이 접속된 에어컨 제어부나 라이트 제어 장치 등이 포함된다.
각 전지 팩(5)은,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전지 셀(6)과, 전지 팩(5)으로부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계 부품인 릴레이(7A, 7B)를 각각 구비한다. 전지 셀(6)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나 니켈 수소 이차 전지 등으로 구성된다.
릴레이(4A, 4B)가 모두 ON인 상태에서, 각 전지 팩(5)은, 전지 팩(5)으로부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릴레이(7A, 7B)가 ON으로 됨으로써 상기 모터 제너레이터(8) 등의 외부 부하에 접속되고, OFF로 됨으로써 외부 부하와는 차단된다. 또한, 동 도면의 예에서는, 복수의 전지 팩을 갖는 예로서, 세 전지 팩(5)이 각각 세 전지 셀(6)을 갖는 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지 감시 시스템(3)은, 시스템 기동 시의 고장 진단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 외에, 조전지(2)의 상태의 관리 및 충방전 제어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전지 감시 시스템(3)이 실행하는 처리로서는, 조전지(2)의 전압 및 전류의 계측, 조전지(2)의 축전 상태(SOC: State Of Charge) 및 열화 상태(SOH: State Of Health) 등의 연산, 그리고, 각 전지 팩(5)의 온도의 계측, 전압의 계측 및 축전량의 조정 처리 등이 실행된다.
전지 감시 시스템(3)은, 전지 팩(5)마다 마련되는 복수의 전지 제어부(3A, 3B, 3C)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팩(5)의 수에 따라 세 전지 제어부(3A, 3B, 3C)가 마련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복수의 전지 제어부(3A, 3B, 3C)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갖는다. 전지 제어부(3A, 3B, 3C)는, 전지 제어부(3A)와 차량 제어 장치(10)의 사이를 접속하는 통신 버스와는 다른 통신 버스로 접속되어 있다.
즉,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지 제어부(3A, 3B, 3C)는, 하나의 전지 제어부(3A)가 「마스터 제어부」이며, 다른 전지 제어부(3B, 3C)가 「슬레이브 제어부」이다. 이하, 각 전지 제어부(3A, 3B, 3C)를 마스터 제어부(3A) 및 슬레이브 제어부(3B, 3C)라고도 칭한다.
여기서, 전지 감시 시스템(3)은, 마스터 제어부(3A)만이 차량 제어 장치(10)와 시스템측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마스터 제어부(3A)에는, 차량 제어 장치(10)에 의해 스타트 스위치(11)의 ON 및 OFF에 관한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마스터 제어부(3A)는, 각 전지 팩(5)의 상태나, 각 전지 팩(5)의 전압, 각 전지 팩(5)의 고장 상태 등에 관한 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또한, 복수의 전지 제어부(3A, 3B, 3C)는, 마스터·슬레이브간에서 제1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소정의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통신을 행한다. 마스터·슬레이브간에서의 통신은,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B) 또는 슬레이브 제어부(3C)의 사이에서만 통신이 행하여지고, 슬레이브 제어부(3B, 3C) 사이에서는 통신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어서, 각 전지 제어부(3A, 3B, 3C)의 기능적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전지 제어부(3A, 3B, 3C)의 기본적 구성은,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외하고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마스터 제어부(3A)에 대해서 상세를 설명하고, 슬레이브 제어부(3B, 3C)의 기능적 구성도 및 그 설명은 생략한다.
마스터 제어부(3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적 구성부로서, 입력부(20)와, 출력부(21)와, 감시부(22)와, 통신부(23A)를 구비한다. 입력부(20)에는, 전지 팩(5)이나 전지 셀(6)의 전압 등에 관한 신호가 입력된다. 출력부(21)는, 릴레이(7A, 7B)의 ON 및 OFF를 전환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감시부(22)는, 전압 검출부(22A)와, 이상 검출부(22B)와, 모드 설정부(22C)와, 통신 방식의 설정부(30A)를 구비한다.
감시부(2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내부 클럭 회로 등을 갖는다. CPU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감시부(22)의 기능적 구성부의 각 기능이 발휘된다. 후술하는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통신 주기는, 감시부(22)의 내부 클럭 회로를 사용해서 결정된다.
전압 검출부(22A)는, 입력부(20)에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각 전압을 검출한다. 이상 검출부(22B)는, 검출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여, 각 전압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정하여, 전압 이상을 검출한다. 이상 검출부(22B)는, 전지 팩(5) 및 전지 셀(6)의 전압 이상을 검출하는 것 외에, 시스템 기동 시의 고장 진단을 행한다.
모드 설정부(22C)는, 전압 검출 모드를 「고장 진단 모드」 및 「통상 모드」의 어느 한쪽으로 설정한다. 스타트 스위치(11)가 ON으로 되면, 전지 팩(5)에 의한 충방전이 개시되기 전에 고장 진단 모드가 기동한다.
고장 진단 모드는, 마스터 제어부(3A) 자신의 고장 진단, 그리고, 릴레이(7A, 7B)의 기계적 동작 진단을 포함하는 전지 팩(5)의 고장 진단을 행하는 모드이다. 통상 모드는, 메인 릴레이(4A, 4B)를 ON으로 해서 통상의 전지 제어로 이행하여, 전지 팩(5)(조전지(2))에 의한 충방전 제어를 개시하는 모드이다. 모드 설정부(22C)는, 스타트 스위치(11)가 OFF에서 ON으로 전환되었을 때, 전압 검출 모드를 고장 진단 모드로 설정한다.
이상 검출부(22B)는, 마스터 제어부(3A)의 기동 시에 고장 진단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마스터 제어부(3A) 자신의 고장 진단, 그리고, 전지 팩(5)의 고장 진단 및 릴레이(7A, 7B)의 기계적 동작 진단(릴레이(7A, 7B)의 융착·용단의 유무 진단)을 행한다.
이상 검출부(22B)는, 기계적 동작 진단으로서, 예를 들어 릴레이(7B)가 ON일 때 릴레이(7A)를 OFF로 하는 지령을 출력하고, 정상 시에는 제로가 되어야 할 전압이 제로보다도 큰 경우에, 릴레이(7A)가 ON 고착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릴레이(7A)의 ON 고착을 검출한다. 모드 설정부(22C)는, 고장 진단 모드를 실행한 결과, 마스터 제어부(3A) 자신의 고장이 검출되지 않고, 또한 전지 팩(5)의 고장 및 릴레이(7A, 7B)의 융착·용단이 검출되지 않고 고장 진단이 완료되었을 때, 전압 검출 모드를 통상 모드로 설정한다.
통신 방식의 설정부(30A)는, 전압 검출 모드에 따라, 통신 방식을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의 적어도 한쪽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방식의 설정부(30A)는, 전압 검출 모드가 통상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통신 방식에 한해서 통신 방식을 설정한다.
제1 통신 방식은, 차량 시스템 전체에 있어서 미리 시스템측에서 설정되어 있는 통신 방식이며, 통신부(23A)에 의한 통신을 제1 통신 주기(T1)로 행하는 것이다. 제1 통신 방식에서는, 제1 통신 주기(T1)에 의해 마스터 제어부(3A)와, 차량 제어 장치(10), 슬레이브 제어부(3B) 및 슬레이브 제어부(3C)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하여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제어부(3B) 및 슬레이브 제어부(3C)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마스터 제어부(3A)가,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에 관한 마스터측의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이것을 실행하는 점 이외는, 마스터 제어부(3A)와 동일하다.
즉, 슬레이브 제어부(3B, 3C)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에 관한 슬레이브측의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이것을 실행하고, 마스터 제어부(3A)의 제어 하에서 필요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슬레이브 제어부(3B, 3C)의 통신부(23B, 23C)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성 하에서, 마스터 제어부(3A)의 통신부(23A)와만 통신한다.
여기서, 전원 장치(1)는, 통신 방식이 제1 통신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지시 신호나, 전지 셀(6)의 전압 검출 등의 이벤트의 결과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1 통신 주기(T1)의 에지의 타이밍에 통합해서 통신한다.
이에 비해, 제2 통신 방식은, 릴레이 등의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 한하여, 전지 감시 시스템(3)의 마스터·슬레이브 구성 하에서,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B)의 사이, 및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C)의 사이에서만 행하는 통신 방식이며, 통신부(23A, 23B, 23C)에 의한 통신을, 제1 통신 방식보다도 통신 주기가 짧은 제2 통신 주기(T2)로 행한다. 제2 통신 주기(T2)는, 릴레이(7A, 7B)의 고착 판정 등의 기계적 동작 진단에 관한 이벤트의 결과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2 통신 주기(T2)의 에지 타이밍에 통합해서 통신한다.
이어서, 상기 고장 진단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각 전지 제어부(3A, 3B, 3C)에서 실행되는 고장 진단 처리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전지 제어부(3A, 3B, 3C)에서 고장 진단 처리가 실행되면, 마스터 제어부(3A)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1로 이행해서 통신 방식을 제1 통신 방식으로 설정하고, 계속되는 스텝 S12로 이행해서 자기 진단을 개시한다.
마찬가지로, 고장 진단 처리가 실행되면, 슬레이브 제어부(3B, 3C)에서는, 마스터 제어부(3A)의 제어 하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21로 이행해서 통신 방식을 제1 통신 방식으로 설정하고, 계속되는 스텝 S22로 이행해서 자기 진단을 개시한다. 자기 진단 시에는, 각 이벤트에 관한 통신이, 일정 제1 통신 주기(T1)의 에지 타이밍에 행해진다.
마스터 제어부(3A)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속되는 스텝 S13으로 이행하여, 자기 진단의 결과, 마스터 제어부(3A) 자신 및 다른 전지 제어부에서 고장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마스터 제어부(3A) 자신 및 다른 전지 제어부에서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아니오") 스텝 S14로 이행하고, 마스터 제어부(3A) 자신 또는 다른 전지 제어부에서 고장이 검출되면("예") 스텝 S15로 이행하여, 고장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차량 제어 장치(10)에 출력하고 나서 스텝 S14로 이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통신 방식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설정하고, 계속되는 스텝 S16에서는 기계적 고장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기계적 고장 검출 처리에서는, 전지 팩(5)의 고장 검출 및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릴레이(7A, 7B)의 고착 검출 등)이 마스터 제어부(3A) 자신 및 다른 전지 제어부에서 순차 행하여진다.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제어부(3B, 3C)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23으로 이행하여, 자기 진단의 결과, 자신의 고장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아니오") 스텝 S24로 이행하고, 자신의 전지 제어부에서 고장이 검출되면("예") 스텝 S25로 이행해서 그 고장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으로 마스터 제어부(3A)에 출력하고 나서 스텝 S24로 이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통신 방식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설정해서 대기하고, 마스터 제어부(3A)로부터의 지시를 받으면 스텝 S26으로 이행해서 기계적 고장 검출 처리를 마스터 제어부(3A)의 제어 하에서 실행한다.
이어서, 마스터 제어부(3A)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속되는 스텝 S17로 이행하여, 기계적 동작 진단의 결과, 기계적 고장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자신 및 다른 전지 제어부에서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아니오") 스텝 S19로 이행하고, 자신 및 다른 전지 제어부에서 고장이 검출되면("예") 스텝 S18로 이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전지 팩(5)의 기계적 고장 내용에 관한 고장 통지 정보를, 마스터 제어부(3A)의 통신부(23A)로부터 차량 제어 장치(10)에 제1 통신 방식으로 출력해서 스텝 S19로 이행한다.
마스터 제어부(3A)는, 스텝 S19에서는, 기계적 동작이 미진단의 슬레이브 제어부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미진단의 슬레이브 제어부가 있으면 스텝 S16으로 처리를 되돌리고, 이어서 대응하는 슬레이브 제어부의 기계적 동작 진단을 실행한다. 이때,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B), 및,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C)의 사이에서는, 제2 통신 주기(T2)를 사용한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이 행하여진다.
마스터 제어부(3A)는, 스텝 S19에서, 다음에 대응할 슬레이브 제어부가 없어지면("아니오"), 기계적 동작 진단을 종료하여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각 전지 제어부(3A, 3B, 3C)는, 제2 통신 방식을 종료하고 통신 방식을 제1 통신 방식으로만 설정함과 함께, 각 전지 제어부(3A, 3B, 3C)는 릴레이(7A, 7B)를 접속하여, 처리를 되돌려서 통상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슬레이브 제어부(3B, 3C)에서는, 마스터 제어부(3A)로부터 제2 통신 주기(T2)를 사용한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기계적 동작 진단의 실행 지시를 받으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26으로 이행해서 기계적 고장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슬레이브 제어부(3B, 3C)는, 기계적 동작 진단의 결과, 자신의 기계적 고장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기계적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아니오") 스텝 S29로 이행하고, 자신의 기계적 고장이 검출되면("예") 스텝 S28로 이행한다.
슬레이브 제어부(3B, 3C)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28에서는, 전지 팩(5)의 기계적 고장 내용에 관한 고장 통지 정보가, 슬레이브 제어부(3B, 3C)의 통신부(23B, 23C)로부터 마스터 제어부(3A)의 통신부(23A)에, 제2 통신 방식으로 출력해서 스텝 S29로 이행한다.
스텝 S29로 이행하면, 슬레이브 제어부(3B, 3C)는, 제2 통신 방식을 종료하고 통신 방식을 제1 통신 방식으로만 설정하고, 마스터 제어부(3A)로부터 실행 지시를 받으면, 각 전지 제어부(3B, 3C)는, 릴레이(7A, 7B)를 접속해서 처리를 되돌려서 통상 모드로 이행한다.
이어서, 전지 제어를 개시하기 전에 실행되는, 고장 진단 시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는, 스타트 스위치(11)가 ON으로 되면 차량 제어 장치(10)를 통해서, 전원 장치(1)의 전지 감시 시스템(3)이 기동되어 고장 진단이 개시된다. 각 전지 제어부(3A, 3B, 3C)는, 시스템의 기동 시에, 전지 제어부 자신의 자기 진단 및 각 전지 팩(5)의 기계적 고장 진단을 행한다.
또한, 스타트 스위치(11)가 ON으로 되어, 각 전지 팩(5)의 충전이 개시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원 장치(1)의 마스터 제어부(3A)는, 전지 팩(5)의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 또한, 이하의 동작 설명에서는, 마스터 제어부(3A)를 주체로 해서 흐름을 설명한다.
고장 진단이 개시되면, 각 전지 제어부(3A, 3B, 3C)는, 통신 방식을 제1 통신 방식으로 설정하고(스텝 S11, S21), 마스터 제어부(3A)의 제어 하에서, 각 전지 제어부(3A, 3B, 3C)에 있어서 일련의 자기 진단 처리가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된다(스텝 S12, S22).
슬레이브 제어부(3B, 3C)의 자기 진단의 결과는,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B)의 사이(스텝 S25), 및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C)의 사이(스텝 S25)에서 제1 통신 주기(T1)에 의해 각각 통신이 행하여져 자기 진단을 완료한다.
마스터 제어부(3A)는, 자기 진단에 의한 고장 검출 처리에 의해, 자신 또는 다른 전지 제어부에서 제어 회로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에는(스텝 S13: "예"), 그 고장 내용에 관한 고장 통지 정보를 통신부(23A)로부터 차량 제어 장치(10)에 제1 통신 방식으로 출력한다(스텝 S15). 이와 같이, 자기 진단 시에는, 각 이벤트에 관한 통신이, 시스템측에서 설정되어 있는 일정 제1 통신 주기(T1)로 행하여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자기 진단 시에 고장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마스터 제어부(3A)는, 릴레이(7A, 7B) 등의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을 행한다. 기계 부품의 동작 진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릴레이(7A, 7B)의 고착(ON 고착 및 OFF 고착) 등을 진단한다(스텝 S16).
마스터 제어부(3A)는, 마스터 제어부(3A) 또는 슬레이브 제어부(3B, 3C)에서 기계적 고장이 검출된 경우에는(스텝 S17: "예"), 그 고장 내용에 관한 고장 통지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차량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스텝 S18).
그리고, 마스터 제어부(3A)는, 마스터 제어부(3A) 및 슬레이브 제어부(3B, 3C)에서 기계적 고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릴레이(7A, 7B)를 ON으로 해서 고장 진단을 완료하고, 통상의 전지 제어로 이행한다(스텝 S20). 이에 의해, 전지 팩(5)(조전지(2))으로부터 모터 제너레이터(8) 등의 외부 부하에의 전력 공급이 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마스터 제어부(3A)를 마스터로 하고, 다른 전지 제어부(3B, 3C)를 슬레이브로 하는 동기식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갖고, 복수의 전지 제어부(3A, 3B, 3C)가 협조 동작할 때, 각 통신부(23A, 23B, 23C)는 공통의 통신 주기로 동기를 취하여,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B, 3C)의 사이에서 지시 신호나 고장 진단 결과 등의 필요한 정보의 통신을 행한다.
여기서, 이 고장 진단 시의 통신을 행할 때, 종래는, 도 5에 비교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지 제어부(3A, 3B, 3C) 및 차량 제어 장치(10)의 사이에서의 통신 방식이, 시스템측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서만 행하여지고 있다.
제1 통신 방식만에 의한 통신이면,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통신 주기(T1)가 비교적으로 길기 때문에, 고장 진단이 완료되어 그 진단 정보를 통신하려고 해도, 제1 통신 주기(T1)의 클럭 신호에 의해 동기를 취하는 에지를 기다리기 위해서 비교적 긴 대기 시간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비교적으로 긴 대기 시간이 다수 겹치면, 고장 진단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의 클럭 신호의 에지를 기준으로 해서 보면, 클럭 신호의 에지(e17)의 시점에서 진단 처리가 완료되어 시스템측에 처리 결과가 반환되고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원 장치(1)에서는, 통신 방식의 설정부(30)는, 자기 진단 시에는, 시스템측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1 통신 주기(T1)에 의한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 방식을 설정하는 한편,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제1 통신 방식보다도 통신 주기가 짧은 제2 통신 주기(T2)에 의한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 방식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도 6에 본 실시 형태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B, 3C)는, 각 전지 제어부의 자기 진단 시에는, 시스템측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1 통신 주기(T1)를 사용해서 통신하고,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제1 통신 주기(T1)보다도 통신 주기가 짧은 제2 통신 주기(T2)를 사용해서 통신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기 진단 시와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 설정부(30)에 의해 통신 방식을 변경해서 통신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의 클럭 신호의 에지를 기준으로 해서 보면, 클럭 신호의 에지(e14)의 시점에서 진단 처리가 완료되어 시스템측에 처리 결과가 되돌려지고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비교예에서의 에지(e17)에 비하여 3주기분의 처리 시간이 단축된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상세하게는, 동 도면에서,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먼저, 마스터 제어부(3A)에 있어서, 이벤트로서 릴레이(7A), 릴레이(7B)의 ON 고착 판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릴레이의 고착 판정에는, ON 고착의 판정과 OFF 고착의 판정이 있어, 양쪽의 판정이 행하여진다. 여기에서는 ON 고착 판정에 대해서만 기재한다. 마스터 제어부(3A)에 있어서 릴레이(7A)의 ON 고착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벤트 종료 시에 응답하는 제2 통신 주기(T2)의 에지에 의해 동기를 취하고,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B)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슬레이브 제어부(3B)에 있어서, 이벤트로서 릴레이(7A), 릴레이(7B)의 ON 고착 판정이 행하여진다. 슬레이브 제어부(3B)는, 릴레이의 ON 고착을 검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2 통신 주기(T2)의 에지에 의해 동기를 취하고, 슬레이브 제어부(3B)와 마스터 제어부(3A)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하여진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제2 통신 주기(T2)의 에지에 의해 동기를 취하고,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C)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행하여진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제어부(3C)에 있어서, 이벤트로서 릴레이(7A), 릴레이(7B)의 ON 고착 판정이 행하여진다. 슬레이브 제어부(3C)는, 릴레이의 ON 고착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통신 주기(T2)의 에지에 의해 동기를 취하고, 슬레이브 제어부(3C)와 마스터 제어부(3A)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행하여진다.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각 제어부(3A, 3B, 3C)에서의 릴레이(7A, 7B)의 고착 판정이 완료되면, 마스터 제어부(3A)에 있어서 각 제어부(3A, 3B, 3C)의 릴레이(7A, 7B)를 ON으로 하는 지령이 출력되고, 그 후, 슬레이브 제어부(3B) 및 슬레이브 제어부(3C)가, 릴레이(7A, 7B)를 ON으로 설정해서 고장 진단을 완료하고, 통상의 전지 제어로 신속하게 이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갖는 복수의 전지 제어부(3A, 3B, 3C)를 구비하고, 각 전지 제어부(3A, 3B, 3C)는, 각 전지 제어부(3A, 3B, 3C)가 기동되기 전에, 먼저 행하는 자기 진단 시에는, 통신 방식을 시스템측에서 설정되어 있는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통신 방식을 제1 통신 방식보다도 통신 주기가 짧은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므로, 고장 진단을 단시간에 완료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원 장치(1)의 기동 시간을 단축하고, 그로써 차량의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제어 장치(10)에는, 전지 감시 시스템(3) 이외에도 복수의 유닛이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량 제어 장치(10)는, 통신/처리의 부하가 높기 때문에, 비교적 통신 주기가 긴 제1 통신 주기(T1)에 의한 제1 통신 방식만을 사용한다. 비교적 통신 주기가 짧은 제2 통신 주기(T2)에 의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면, 통신 주기가 짧으므로 통신/처리의 부하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전지 제어부(3A, 3B, 3C)의 제어 회로의 자기 진단에 대해서도 다양한 진단이 있으므로, 전지 제어부(3A, 3B, 3C)에서의 자기 진단 시의 처리 부하가 높기 때문에, 자기 진단 시의 마스터·슬레이브간에서의 통신 주기가 너무 빠르면 전지 제어부(3A, 3B, 3C)의 처리 부하가 더 높아진다는 이유도 있다. 여기에서 다양한 진단이란, 메모리 체크, AD 변환기 기능 체크, 상전압 회로 체크, CPU 기능 체크 등, 제어부의 일반적인 자기 진단을 들 수 있다.
이에 비해, 전지 팩(5)으로부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릴레이(7A, 7B)의 기계적 동작 진단은,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가, 외부 부하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복수의 전지 팩(5)을 갖는 구성이므로, 전지 팩(5)이 병렬 접속되어 있는 경우, 각 전지 팩(5)에 탑재된 릴레이(7A, 7B)를 임의로 동작시키면, 정확한 기계적 동작 진단을 실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에서는, 각 전지 팩(5)의 출력을 제어하는 릴레이(7A, 7B)를 차례로 진단할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릴레이(7A, 7B)의 기계적 동작 진단이 동시에 행하여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전지 감시 시스템(3)의 각 전지 제어부(3A, 3B, 3C)의 처리 부하가 비교적 낮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7A, 7B, 7C)의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통신 가능한 범위에서 마스터·슬레이브간에서의 통신 주기를 가급적 빠르게 설정해도 통신/처리의 부하가 대폭 증대되는 일은 없다. 또한, 축차적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시리얼 통신은 일대일 대응의 통신이므로, 통신 부하가 낮기 때문에, 통신 주기를 가급적 빠르게 설정한 제2 통신 주기(T2)이어도 통신/처리의 부하가 과대해지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지견에 기초하여, 먼저 행하는 자기 진단 시에는, 제1 통신 주기(T1)에 의한 제1 통신 방식으로의 통신을 채용하고, 자기 진단 후에 실행되는 릴레이(7A, 7B) 등의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제1 통신 주기(T1)보다도 통신 주기가 짧은 제2 통신 주기(T2)에 의한 제2 통신 방식으로의 통신을 채용하여, 진단 시의 통신/처리의 부하에 따라,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전지 제어를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전체적으로 단축한 것이다.
이에 비해, 도 5에 도시한 비교예에서는, 예를 들어 마스터 제어부(3A)에 있어서, 이벤트로서 릴레이(7A)의 ON 고착 판정이 종료된 경우에 있어서도, 제1 통신 주기(T1)의 클럭 신호에 의해 동기를 취하는 에지에 이르기까지는 통신을 할 수 없어,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처리와 같이 많은 대기 시간이 생기기 때문에, 고장 진단을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 즉 전원 장치(1)의 기동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다. 즉, 부하가 높은 기간인 「자기 진단」에서는 긴 주기를, 부하가 낮은 기간인 「릴레이의 진단」에서는 짧은 주기를 채용함으로써, 전지의 충방전 제어를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고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통신 주기」란, 각 전지 제어부가 통신 버스에 액세스하는 주기이다. 통신 주기의 타이밍에, 예를 들어 전지 제어부는, 통신 버스 상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후, 전지 제어부는, 판독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 연산 처리, 연산 결과를 메모리에 기입하는 처리, 송신 버퍼에 도입하는 처리를 행하고, 다음의 통신 주기의 타이밍에서 송신 버퍼의 정보를 통신 버스 상에 송신하는 처리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성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1)는,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통신 방식을 제2 통신 방식으로 해서 통신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 제2 통신 방식에 더하여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해도 된다. 도 7은,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이 실패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통신이 실행되는 통신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전지 감시 시스템(3)의 각 전지 제어부(3A, 3B, 3C)의 설정부(30A, 30B, 30C)는,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제2 통신 방식에 더하여, 제1 통신 방식을 통신 방식으로서 설정하고, 각 전지 제어부(3A, 3B, 3C)의 통신부(23A, 23B, 23C)는,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중 먼저 통신 주기가 도달한 통신 방식에 의해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B, 3C)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슬레이브 제어부(3C)에 있어서, 마스터 제어부(3A)와의 제2 통신 방식으로의 통신에 실패한 경우(동 도면에 나타내는 ×표)에도, 제2 통신 주기(T2)의 클럭 신호에 의해 동기를 취하는 다음의 에지를 기다리는 일 없이,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1 통신 주기(T1)의 클럭 신호에 의해 동기를 취하는 에지를 송신 타이밍으로 해서 신속하게 통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계속되는 슬레이브 제어부(3C)에 의한 릴레이(7A)의 고착 판정 처리를 한층 일찍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장치(1)는,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제2 통신 방식에 더하여, 제1 통신 방식에 의해서도 통신을 행함으로써, 고장 진단에 관한 통신을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의 클럭 신호의 에지를 기준으로 해서 보면, 클럭 신호의 에지(e15)의 시점에서 진단 처리가 완료되어 시스템측에 처리 결과가 반환되고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비교예에서의 에지(e17)에 비하여 2주기분의 처리 시간이 단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통신 주기(T1)의 클럭 신호에 의해 동기를 취하는 제1 통신 방식이, 시스템측에서 설정되어 있는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의 제1 통신 방식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통신 방식은, 제2 통신 방식보다도 통신 주기가 긴 주기의 클럭 신호에 의해 동기를 취하는 양태에 대하여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타트 스위치(11)의 신호가 차량 제어 장치(10)로부터 마스터 제어부(3A)에 입력되고, 마스터 제어부(3A)로부터 슬레이브 제어부(3B, 3C)에 입력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도 일 실시예이며, 차량 제어 장치(10)로부터 마스터 제어부(3A) 및 슬레이브 제어부(3B, 3C)에 직접 스타트 스위치(11)의 신호를 보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때, 마스터 제어부(3A) 및 슬레이브 제어부(3B, 3C) 각각에서 설정되는 제1 통신 주기(T1) 및 제2 통신 주기(T2)는, 이하와 같이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제어부(3A)에서는, 스타트 스위치(11)가 ON으로 되면 제1 통신 주기(T1)로 동기를 취하는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고, 차량 제어 장치(10)로부터의 기계적 동작 진단의 개시 신호에 의해 제1 통신 방식에서 제2 통신 주기(T2)로 동기를 취하는 제2 통신 방식으로 전환하고, 기계적 동작 진단의 결과가 슬레이브 제어부(3B, 3C)로부터 모아져서, 그 정보를 차량 제어 장치(10)에 송신하면 제1 통신 주기(T1)에 의한 제1 통신 방식으로 복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슬레이브 제어부(3B, 3C)에서는, 스타트 스위치(11)가 ON으로 되면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고, 자기 진단이 종료되면 제1 통신 방식으로부터 제2 통신 방식으로 전환하고, 기계적 동작 진단이 종료되면 제1 통신 주기(T1)에 의한 제1 통신 방식으로 복귀되는(즉, 마스터 제어부(3A)의 제어 하에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마스터 제어부(3A)가 제어하는 전지 팩(5)의 릴레이(7A, 7B)만의 고장 진단을 완료한 후에, 마스터 제어부(3A)와 슬레이브 제어부(3B, 3C)간의 통신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마스터 제어부(3A)의 릴레이(7A, 7B)를 ON으로 해서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가령 슬레이브 제어부(3B, 3C)의 릴레이의 진단 결과가 이상이고 전지 팩(5B, 5C)의 전력을 사용할 수 없어도, 전지 팩(5A)의 전력을 최저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제어부(3A)가, 자기 진단 결과를 슬레이브 제어부(3B, 3C)의 자기 진단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차량 제어 장치(10)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은, 차량 제어 장치(10)가 릴레이 제어를 실행하는 시스템 구성이 전제가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가 기계적 동작 진단을 지시해도, 마스터 제어부(3A)는, 슬레이브 제어부(3B, 3C)로부터의 자기 진단이나 결과를 취득할 때까지 대기하는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장치(1)를, 다른 전동 차량,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전동차 등의 철도 차량, 버스 등의 승합 자동차, 트럭 등의 화물 자동차, 배터리식 포크리프트 트럭 등의 산업 차량 등의 차량용 전원 장치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장치(1)를, 컴퓨터 시스템이나 서버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무정전 전원 장치, 자가용 발전 설비에 사용되는 전원 장치 등, 전동 차량 이외의 전원 장치를 구성하는 전원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구성되는 전지 셀(6)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이외에, 예를 들어 니켈 수소 전지 등의 다른 이차 전지로 구성되는 전지 셀(6)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전원 장치
2: 조전지
3: 전지 감시 시스템
5: 전지 팩
6: 전지 셀
3A: 마스터 제어부(전지 제어부)
3B: 슬레이브 제어부(전지 제어부)
3C: 슬레이브 제어부(전지 제어부)
22: 감시부
30A, 30B, 30C: (통신 방식의) 설정부
23A, 23B, 23C: 통신부

Claims (3)

  1. 부하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전지 팩과, 상기 복수의 전지 팩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전지 제어부와, 상기 전지 팩으로부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 제어부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가짐과 함께, 전지 제어를 개시하기 전에, 각각의 상기 전지 제어부는, 자신의 자기 진단과, 상기 릴레이를 포함하는 기계 부품의 기계적 동작 진단을 실행하는 전원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전지 제어부는,
    제1 통신 방식과, 해당 제1 통신 방식보다도 통신 주기가 짧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해서 통신하는 통신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자기 진단 시에는, 마스터 제어부와 슬레이브 제어부의 사이에서의 통신은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고,
    상기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는, 마스터 제어부와 슬레이브 제어부의 사이에서의 통신은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계적 동작 진단 시에, 상기 제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중 먼저 통신 주기가 도달한 통신 방식에 의해 마스터 제어부와 슬레이브 제어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전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자기 진단 및 기계적 동작 진단에 의해 적어도 자신이 이상을 갖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때는, 슬레이브 제어부의 진단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통상의 전지 제어로 이행하는, 전원 장치.
KR1020207024311A 2018-03-26 2019-03-20 전원 장치 KR102475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58456A JP6963358B2 (ja) 2018-03-26 2018-03-26 電源装置
JPJP-P-2018-058456 2018-03-26
PCT/JP2019/011917 WO2019188731A1 (ja) 2018-03-26 2019-03-20 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427A true KR20200110427A (ko) 2020-09-23
KR102475277B1 KR102475277B1 (ko) 2022-12-08

Family

ID=6806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311A KR102475277B1 (ko) 2018-03-26 2019-03-20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6005B2 (ko)
EP (1) EP3780329B1 (ko)
JP (1) JP6963358B2 (ko)
KR (1) KR102475277B1 (ko)
CN (1) CN111742460A (ko)
WO (1) WO2019188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2777B2 (en) * 2017-10-04 2022-10-04 Envision Aesc Japan Ltd. Battery pack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device for anomaly detection via voltage comparison over time
KR102433848B1 (ko) * 2018-09-12 2022-08-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위치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0843532A (zh) * 2019-11-29 2020-02-2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低压配电控制装置、方法、电子设备及电动汽车
KR20210080070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병렬 배터리 릴레이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230152388A1 (en) * 2020-11-27 2023-05-1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Diagnosis Apparatus, Battery Diagnosis Method, Battery Pack, and Vehicle
CN113410887B (zh) * 2021-06-29 2023-08-18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供电的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9907A (ja) 2002-01-10 2003-07-25 Panasonic Ev Energy Co Ltd 電池電源装置のリレー接点溶着検査方法
JP2013500548A (ja) * 2009-07-24 2013-01-07 ルノー・エス・アー・エス 電池と車両両の車載電力系統との切断および接続を行なうための装置の動作を診断する方法
JP2013206643A (ja) * 2012-03-28 2013-10-07 Hitachi Ltd 電池システムのリレー溶着検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システム
KR20140136844A (ko) * 2013-05-21 2014-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9877B2 (ja) * 2009-09-28 2014-06-25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EP2560265A4 (en) * 2010-10-19 2014-09-03 Sanyo Electric Co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EACH COMPRISING THE SAME
JP5910172B2 (ja) * 2012-03-01 2016-04-27 株式会社Gsユアサ スイッチ故障診断装置、電池パックおよびスイッチ故障診断プログラム、スイッチ故障診断方法
CN102738525A (zh) * 2012-06-14 2012-10-17 沈阳中科正方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车载锂动力电池的电池管理系统
CN104603627B (zh) * 2012-09-10 2017-11-03 瑞萨电子株式会社 半导体装置和电池电压监视装置
KR20150102778A (ko) * 2013-11-13 2015-09-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장치, 및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CN106415974B (zh) * 2014-05-26 2018-11-2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池系统
WO2017002526A1 (ja) * 2015-06-30 2017-01-05 株式会社Gsユアサ 制御装置、蓄電装置及び蓄電システム、ならびに、制御方法
EP3321135A4 (en) * 2015-07-07 2019-03-1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VEHICLE CONTROL DEVICE
JP6603085B2 (ja) * 2015-09-04 2019-11-06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車両用電源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US10320034B2 (en) * 2017-03-03 2019-06-11 The Boeing Company Modular battery with battery cell and submodule interconnectivity
JP6831281B2 (ja) * 2017-03-27 2021-02-17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電池監視システムおよび電池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9907A (ja) 2002-01-10 2003-07-25 Panasonic Ev Energy Co Ltd 電池電源装置のリレー接点溶着検査方法
JP2013500548A (ja) * 2009-07-24 2013-01-07 ルノー・エス・アー・エス 電池と車両両の車載電力系統との切断および接続を行なうための装置の動作を診断する方法
JP2013206643A (ja) * 2012-03-28 2013-10-07 Hitachi Ltd 電池システムのリレー溶着検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システム
KR20140136844A (ko) * 2013-05-21 2014-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3358B2 (ja) 2021-11-10
EP3780329A1 (en) 2021-02-17
EP3780329B1 (en) 2022-10-12
JP2019169445A (ja) 2019-10-03
US11936005B2 (en) 2024-03-19
CN111742460A (zh) 2020-10-02
US20210005938A1 (en) 2021-01-07
KR102475277B1 (ko) 2022-12-08
WO2019188731A1 (ja) 2019-10-03
EP3780329A4 (en)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277B1 (ko) 전원 장치
US11309718B2 (en) Battery monitoring system and battery monitoring apparatus
US8954220B2 (en) Battery condition monitoring device
US89336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identifier to multi-BMS
EP3514000B1 (en) Battery system
US7813849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5355224B2 (ja) 複数組電池の電圧監視装置
US9590432B2 (en) Battery control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ell controllers and being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a cell controller is operating abnormally
JP5527183B2 (ja) 電池制御システム、充放電制御ecu
JP7247543B2 (ja) 車両
KR101640888B1 (ko) 동기화된 유닛들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유닛들의 동기화 방법
CN102770301B (zh) 车辆
JP6770184B2 (ja) 電源システム、電源システム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システム制御装置
JP2013051764A (ja) 蓄電池監視装置
JP2018165659A (ja) 異常検出システムおよび異常検出装置
KR20210102852A (ko) 전지 진단 장치 및 차량
JP5910538B2 (ja) 電池監視装置
CN114709853B (zh) 供电系统和方法
JP2018179530A (ja) 異常検出システムおよび異常検出装置
JP2023033812A (ja) 電池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池管理方法
JP5970563B2 (ja) 電池制御装置
JP2023091287A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装置
JP2023033811A (ja) 電池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池管理方法
KR20230141450A (ko) 차량 탑재 시스템 및 제어 장치
JP2021052464A (ja) 蓄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