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817A -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 Google Patents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817A
KR20200109817A KR1020190029511A KR20190029511A KR20200109817A KR 20200109817 A KR20200109817 A KR 20200109817A KR 1020190029511 A KR1020190029511 A KR 1020190029511A KR 20190029511 A KR20190029511 A KR 20190029511A KR 20200109817 A KR20200109817 A KR 20200109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hole
tube
suppo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463B1 (ko
Inventor
고의환
고재환
Original Assignee
필립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산업 (주) filed Critical 필립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90029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통공용 관체(T)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거푸집(F)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몸체부(3); 상기 몸체부(3)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체결부(5); 및 상기 복수의 체결부(5)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되, 말단 모서리면(71)이 그 중점(O)을 지나는 법선(N)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있어 거푸집(F) 내측면의 기준선(S)과 나란하게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가늠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거푸집 내측면에 관체 받침대를 결합할 때 한 쪽의 관체 받침대가 아래로 처지거나 각도가 돌아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후 관체에 의해 건조물 내에 형성되는 통공의 배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Bracket For Tube Used With Concrete Form For Making Through-hole}
본 발명은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조하면서 구조물에 통공을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과 함께 조립되는 관체를 거푸집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관체의 조립이 용이하고 간단하며, 관체의 양단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양생 이후 건조물로부터 거푸집을 떼어낼 때 건조물이나 자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물이나 가옥 등 건축 구조물들의 성능이 날로 향상되어 감에 따라, 건축 구조물 시공 시 건축 구조물들의 벽체를 관통하는 통공의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통공을 건축 구조물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타설 공간을 만드는 거푸집 거푸집 사이에, 통공을 만들기 위한 관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중 가장 흔하게 적용되는 방식은 예컨대, 등록특허 제10-1643398호에 개시된 관통슬리브를 채용하는 방식이다.
이 관통슬리브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가 제1슬리브(103)와 제2슬리브(105)로 이분되어 있고, 이들은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상대적으로 대직경인 제1슬리브(103)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소직경인 제2슬리브(105) 외주면에 수나사가 각각 가공되어 있습니다.
또한, 각각의 제1 및 제2 슬리브(103,105)는 대응하는 거푸집(107) 내측면에 각각 나사(109)로 체결되는 바, 나사(109)를 체결하기 위해, 거푸집(107) 내측면과 접촉하는 양단이 직각을 이루며 바깥쪽으로 절곡된 절곡부(111)를 형성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관통슬리브(101)는 제1 및 제2 슬리브(103,105)와 그 절곡부(111)의 직경이 위와 같이 다르기 때문에, 나사(109)를 체결하기 전 거푸집(107) 내측면의 목표 위치에 제1 및 제2 슬리브(103,105)를 정확하게 배치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를 위해 사전에 거푸집(107) 내측면에 기준선을 긋더라도, 기준선의 높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작업이 중복되어 불편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곡부(111)가 슬리브(103,105)의 외주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므로,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위와 같이 거푸집(107) 내측면에 기준선을 긋더라도 제1 및 제2 슬리브(103,105)는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에 의한 오배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배치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양생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 건조물로부터 제1 및 제2 슬리브(103,105)를 떼어낼 때, 나사(109)가 슬리브(103,105) 잔류하지 않고 거푸집(107)과 함께 떨어져 나감으로써, 절곡부(111) 또는 절곡부(111) 주위의 콘크리트를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06963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 통공용 관체슬리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거푸집 사이에 통공용 관체를 배치함에 있어, 관체의 배치를 결정하는 관체 받침대를 정확한 높이에서 거푸집 내측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물의 통공이 한쪽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관체의 배치를 결정하는 관체 받침대를 정확한 각도로 거푸집 내측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물의 통공이 왜곡되지 않고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생이 완료된 건조물로부터 거푸집을 떼어낼 때,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이 체결부로부터 거푸집과 함께 떨어져 나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이로 인해 체결부나 체결부 주위의 건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공용 관체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거푸집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체결부; 및 상기 복수의 체결부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되, 말단 모서리면이 그 중점을 지나는 법선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있어 거푸집 내측면의 기준선과 나란하게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가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와 상기 가늠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이어져 하나의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거푸집과의 사이에 타설홈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통공용 관체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환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원호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에 따르면, 거푸집 사이에 관체를 배치할 때, 관체 받침대의 가늠부를 거푸집 내주면의 기준선에 맞추어, 관체의 위치를 좌우하는 관체 받침대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관체 받침대를 정확한 높이에서 거푸집 내측면에 결합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거푸집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형성되는 건조물의 통공을 한쪽으로 처지지 않고 정확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관체 받침대의 가늠부를 거푸집 내주면의 기준선에 맞추어, 관체 받침대의 설치 각도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관체 받침대를 정확한 각도로 거푸집 내측면에 결합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물의 통공이 비틀림이나 경사 없이 정확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림턱과 거푸집 내측면 사이의 타설홈에도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으므로, 양생이 완료된 건조물로부터 거푸집을 떼어낼 때, 타설홈에 형성된 건조물 부분으로 인해 거푸집에 의해 당겨지는 체결수단의 버티는 힘이 강화되고, 따라서 떨어져 나가는 체결수단으로 인한 체결부나 체결부 주위의 건조물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용 관통슬리브를 사용 상태로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를 사용 상태로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를 사용 상태로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체 받침대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F)과 거푸집(F) 사이에 통공용 관체(T)를 개재하도록, 통공용 관체(T)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면서, 대응하는 거푸집(F)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바, 크게 몸체부(3), 체결부(5), 및 가늠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3)는 관체 받침대(1)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통공용 관체(T)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바,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환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 원통형의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3)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그 외주면 상에 내주면이 접하도록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내주면 상에 외주면이 접하도록 통공용 관체(T) 양단을 끼울 수 있다. 또한, 몸체부(3)는 체결부(5)를 통해 거푸집(F)의 내측면에 결합됨으로써, 통공용 관체(T)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한편, 몸체부(3)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몸체부(3)는 통공용 관체(T)를 얹어 지지할 수 있도록 U자 모양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체결부(5)는 위와 같은 몸체부(3)를 거푸집(F) 내측면에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으로,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의 외주면 상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 적어도 2 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체결부(5)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나의 판체로 이루어져 조립 시 거푸집(F) 내측면에 직접 접촉하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판체(51)와 심체(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판체(51)는 거푸집(F)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후술하는 걸림턱(9)을 형성하며, 심체(53)는 판체(51)에서 거푸집(F)을 향해 연장되어 거푸집(F) 내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판체(51)와 심체(53) 즉, 체결부(5)는 관체 받침대(1)를 거푸집(F)에 결합하고자 할 때,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거푸집(F)에 박아 넣을 수 있도록, 중심부분에 축선을 따라 조립공(55)이 형성된다.
상기 가늠부(7)는 관체 받침대(1)를 정확한 높이에서 거푸집(F) 내측면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가늠부(7)는 체결부(5)의 배치를 고려하여 몸체부(3) 원주방향으로 체결부(5)와 체결부(5)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가늠부(7)는 거푸집(F) 내측면에 결합되는 관체 받침대(1)의 높이를 정확히 맞추도록 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거푸집(F) 내측면 일측의 소정 높이에 기준선(S)이 수평하게 그어져 있어야 한다. 이때, 기준선(S)은 먹줄 등을 이용해 간단히 그을 수 있다. 따라서, 가늠부(7)는 도 4와 같이, 거푸집(F) 내측면에 그어져 있는 기준선(S)과 나란하게 맞출 수 있도록, 말단 모서리면(71)이 그 중점(O)을 지나는 법선(N)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있다. 즉, 말단 모서리면(71)은 중점(O)을 지나는 접선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체결부(5)의 판체(51)와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거푸집(F)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거푸집(F)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후술하는 걸림턱(9)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3) 하단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부(5)와 가늠부(7))가 중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 상태에서 몸체부(3) 중앙 하단의 체결부(5)는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관체 받침대(1)는 체결부(5)와 가늠부(7)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거푸집(F)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더욱이 원주방향으로 연이어지면서 하나의 걸림턱(9)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체결부(5)와 가늠부(7)는 판체(51)와 말단 모서리면(71) 부분을 하나로 이어 걸림턱(9)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푸집(F) 내측면과 걸림턱(9) 사이에는 타설홈(91)이 형성되며, 이후 타설 시 타설홈(91)에도 콘크리트 등이 투입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관체 받침대(1)에 의하면, 거푸집(F)과 거푸집(F)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보나 기둥 모양의 구조물을 건조함에 있어, 보 또는 기둥을 관통하는 통공을 만들 경우가 있으며, 이 때 관체 받침대(1)를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하나의 보 또는 기둥을 건조하도록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한 쌍의 거푸집(F) 사이의 소정 위치에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관체(T)를 횡방향으로 즉, 수평하게 개재시켜야 하는 바, 한 쪽이 기울지 않도록 각각의 거푸집(F) 내측면 상의 상호 대응하는 부분에 나란하게 즉, 같은 높이에 위치시켜야 하며, 따라서, 각각의 거푸집(F) 내측면 상의 해당 위치에는 관체(T)를 지지할 관체 받침대(1)가 결합된다.
이때, 관체(T)는 수평 또는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각각의 관체 받침대(1)는 어느 한 쪽이 밑으로 처지거나, 관체(T)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일이 없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거푸집(F) 내측면 상의 목표 지점에 정확히 위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사전에 거푸집(F) 내측면에 도 4와 같은 기준선(S)을 표시한다.
이에 따, 도 4와 같이 가늠부(7)의 말단 모서리면(71)을 기준선(S)과 일치되도록 하면서 관체 받침대(1)를 정확한 높이 및 각도로 거푸집(F) 내측면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부(5)의 조립공(55)을 통해 거푸집(F)에 체결함으로써, 관체 받침대(1)를 거푸집(F)에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몸체부(3)에 관체(T) 양단을 각각 끼우면서 거푸집(F)을 조립하면, 타설 준비가 완료된다.
그 다음, 거푸집(F)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과정을 거친 뒤, 구조물로부터 거푸집(F)을 제거하면, 구조물의 건조가 완료된다.
다만, 관체 받침대(1)는 걸림턱(9)에 의해 거푸집(F) 내측면과 사이에 타설홈(91)이 형성된 경우, 양생이후 구조물의 타설홈(91) 부위를 채운 중첩부에 의해 체결수단이 걸려 지지되는 바, 거푸집(F)을 제거할 때 체결수단에 의해 구조물 또는 걸림턱(9)의 일부분이 떼어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1 : 관체 받침대 3 : 몸체부
5 : 체결부 7 : 가늠부
9 : 걸림턱 51 : 판체
53 : 심체 55 : 조립공
71 : 말단 모서리면 91 : 타설홈
F : 거푸집 S : 기준선
T : 관체

Claims (5)

  1. 통공용 관체(T)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거푸집(F)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몸체부(3);
    상기 몸체부(3)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체결부(5); 및
    상기 복수의 체결부(5)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되, 말단 모서리면(71)이 그 중점(O)을 지나는 법선(N)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있어 거푸집(F) 내측면의 기준선(S)과 나란하게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가늠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5)와 상기 가늠부(7)는 원주방향으로 연이어져 하나의 걸림턱(9)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거푸집(F)과의 사이에 타설홈(91)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는 상기 통공용 관체(T)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는 환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는 원호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KR1020190029511A 2019-03-14 2019-03-14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KR10229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511A KR102290463B1 (ko) 2019-03-14 2019-03-14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511A KR102290463B1 (ko) 2019-03-14 2019-03-14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17A true KR20200109817A (ko) 2020-09-23
KR102290463B1 KR102290463B1 (ko) 2021-08-18

Family

ID=7270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511A KR102290463B1 (ko) 2019-03-14 2019-03-14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4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960B2 (ja) * 1996-04-26 2001-03-05 丸井産業株式会社 設備工事用スリーブ受け具
KR101069636B1 (ko) 2009-07-24 2011-10-04 한병량 밀봉링이 수축되는 필터장치
KR101438099B1 (ko) * 2013-06-21 2014-09-25 대도건철(주)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에서 사용되는 파이프슬리브의 시공방법
KR20180135220A (ko) * 2017-06-12 2018-12-20 필립산업 (주)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관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960B2 (ja) * 1996-04-26 2001-03-05 丸井産業株式会社 設備工事用スリーブ受け具
KR101069636B1 (ko) 2009-07-24 2011-10-04 한병량 밀봉링이 수축되는 필터장치
KR101438099B1 (ko) * 2013-06-21 2014-09-25 대도건철(주)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에서 사용되는 파이프슬리브의 시공방법
KR20180135220A (ko) * 2017-06-12 2018-12-20 필립산업 (주)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관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463B1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2057A (en) Steel tube prop with rapid release
KR20210055559A (ko) 방화충전재 일체형 관통슬리브
KR20200109817A (ko)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200231221Y1 (ko) 철근 배근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철근 받침대
KR20090000525U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CN115012532A (zh) 与钢骨直连的劲性构件装配式预埋组件及其施工方法
CN212105093U (zh) 混凝土建筑模板
ITMI20121416A1 (it) Dispositivo di connessione antisismico per la connessione di elementi strutturali
KR20160000615U (ko)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KR20060000874A (ko) 비계용 클램프
KR20120049687A (ko) 건축용 기능성 파이프 서포트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JP2000129842A (ja) コンクリート用有孔型枠の取付け金具
JP2750668B2 (ja) 鉄筋位置決め用スペーサー
KR20210128643A (ko) 체결 편의성이 향상된 서포트 체결구조
JP5305941B2 (ja) 床フレーム高さ調整ナットの埋設方法および床フレーム高さ調整ナット保持具
JP4944500B2 (ja) 柱部材
JP2008202341A (ja) 手すりブラケット
KR200482026Y1 (ko)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JPH11323962A (ja) 建付け調整具及び同建付け調整具を用いた建付け方法
CN216690435U (zh) 一种施工模具
WO2020017004A1 (ja) ジャッキベース高さ調整治具
CN215759222U (zh) 一种混凝土支撑轴力监测装置
CN212427183U (zh) 一种基础穿透型预埋套管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