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697A -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697A
KR20200108697A KR1020190027698A KR20190027698A KR20200108697A KR 20200108697 A KR20200108697 A KR 20200108697A KR 1020190027698 A KR1020190027698 A KR 1020190027698A KR 20190027698 A KR20190027698 A KR 20190027698A KR 20200108697 A KR20200108697 A KR 20200108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extract
skin whitening
rose oil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533B1 (ko
Inventor
이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인
Priority to KR102019002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533B1/ko
Priority to CN201910585817.2A priority patent/CN111671674A/zh
Publication of KR2020010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멜라닌 합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타이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며, 이는 시너지 효과를 가짐으로서 피부 미백 용도로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Rosa Damascena Flower Oil and Rhodiola Rosea root extract}
본 발명은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멜라닌 합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피부의 기초층(basal layer)에 존재하는 멜라닌세포(melanocyte)에 의해 합성되어, 세포질 돌기를 통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전달된다.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세포의 단백질이나 핵산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멜라닌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노화 등에 의해 피부의 생리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멜라닌 생성과정에 이상이 생겨 기미, 주근깨, 검버섯 및 일광흑색증 등의 색소 침착을 유발하게 된다. 상술한 멜라닌 합성의 주요인으로는, 유전, 호르몬의 불균형, 내분비 질환, 스트레스, 자외선 등이 해당하며, 특히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α-MSH), 자외선(ultraviolet B) 등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노출되기 쉬운 내재적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생성에 대한 화학적 작용은 현재까지 여러 논문 등을 통해 많이 보고되고 있는데, 멜라닌 생성세포인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가 멜라노좀(melanosome)이라는 세포내 소기관 내에서 자외선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멜라닌을 합성한 후, 상기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에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렇게 각질형성세포로 이동된 멜라닌이 피부색을 결정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서 필요한 전구물질은 티로신(tyrosine)이라는 아미노산으로, 이 티로신은 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dihydroxyphenylalanine, DOPA)으로 전환되고, 그 후 도파퀴논(dopaquinone)이라는 물질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멜라닌으로 전환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게 합성된 멜라닌은 피부색을 짙게 만드는데, 건강 또는 미용상의 요구로 인해 상기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피부색을 밝게 하려는 피부 미백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 예로서, 스티피탈리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3150호), 제비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9743호) 등이 개발되었다.
아울러, 코지산(koj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니코틴아마이드(nicotinamide), 알부틴(arbut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트리티노인(tretinoin) 등의 화합물이 개발되어 현재 미백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트리티노인 등의 화합물은 부작용을 나타내어 많은 국가에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며(Desmedt B, J Pharm Biomed Anal 2014; 90:85-91.), 살리실산은 각질 용해 효과에 의해 화장품에 포함된 다른 성분을 피부 내로 침투시키는 부작용을 나타낸다(Bashir SJ, Int J Pharm 2005;292(1-2):187-94.). 따라서, 부작용이 최소화된,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색소 침착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및 멜라닌의 합성 억제에 시너지 효과를 확인함으로서,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합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피부 미백에 대한 시너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로즈오일(rose oil) 또는 불가리안 로즈오일"이란 장미의 꽃잎에서 추출한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로즈오일은 에센셜 오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로즈오일은 로즈 다마스크(Rosa damascena) 품종에서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로즈 오일의 원산지는 불가리아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은 증류법 또는 용매추출법에 의해 수득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로즈오일은 조성물 총 부피에 대하여 0.0001 내지 0.01%(v/v)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09%(v/v), 0.0001 내지 0.008%(v/v), 0.0001 내지 0.007%(v/v), 0.0001 내지 0.006%(v/v), 0.0001 내지 0.005%(v/v), 0.0001 내지 0.004%(v/v), 0.0001 내지 0.003%(v/v), 0.0001 내지 0.002%(v/v), 0.001 내지 0.01%(v/v), 0.001 내지 0.009%(v/v), 0.001 내지 0.008%(v/v), 0.001 내지 0.007%(v/v), 0.001 내지 0.006%(v/v), 0.001 내지 0.005%(v/v), 0.001 내지 0.004%(v/v), 0.001 내지 0.003%(v/v), 0.001 내지 0.002%(v/v)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돌꽃 뿌리" 또는 "바위돌꽃뿌리"란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백두산, 낭림산, 티벳 등의 해발 2000m 이상 고산지대 바위에서 자생하는 바위돌꽃(Rhodiola Rosea)식물의 뿌리부분을 의미한다. 돌꽃 뿌리는 식용, 약용으로 쓰이고 민간에서는 진정제, 해열제, 수렴제로 쓰였으며 한의학에서는 강장약, 특히 노인성 심장쇠약, 음위(陰威)에 효과가 뛰어나며 당뇨병, 빈혈, 담낭질병에 가루약이나 탕제로 사용되고 전신 및 육체 피로, 신경쇠약, 산후 치료약제로 사용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Zucker, L. M., et al. J. Lipid Res. 13, 234, 197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이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돌꽃뿌리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돌꽃뿌리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돌꽃뿌리 추출물은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 이들의 혼합용매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 역시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돌꽃뿌리의 건조물, 가공물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40 내지 100 ℃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상기 돌꽃뿌리 추출물은 추출 이후 농축, 여과, 분획, 건조, 분쇄 등 식물의 추출물에 적용될 수 있는 통상의 추가적 공정에 의해 제조된, 농축물, 여과물, 분획물, 건조물, 분쇄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농축물'은 화학 물질에서 용매 등을 제거하여 주요 고체 성분의 농도를 높인 물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물'은 액체와 고체가 혼합된 물질을 입자의 크기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물질, 상기 '분획물'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 상기 '건조물'은 소량의 물을 함유하는 물질에서 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물, 상기 '분쇄물'은 고체입자에 힘을 가해 잘게 부수거나 잘라내어 작은 입자로 만드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농축물, 여과물, 분획물, 건조물, 분쇄물 등은 해당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C4의 알코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에 의해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돌꽃뿌리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부피에 대하여 0.001 내지 0.1%(v/v)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01 내지 0.09%(v/v), 0.001 내지 0.08%(v/v), 0.001 내지 0.07%(v/v), 0.001 내지 0.06%(v/v), 0.001 내지 0.05%(v/v), 0.001 내지 0.04%(v/v), 0.001 내지 0.03%(v/v), 0.001 내지 0.02%(v/v), 0.002 내지 0.1%(v/v), 0.003 내지 0.1%(v/v), 0.004 내지 0.1%(v/v), 0.005 내지 0.1%(v/v), 0.002 내지 0.05%(v/v), 0.005 내지 0.05%(v/v), 0.005 내지 0.04%(v/v), 0.005 내지 0.03%(v/v), 0.005 내지 0.02%(v/v)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미백"이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타이로시나제(tyrosinase)"는 멜라닌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상기 타이로시나제는 타이로신을 기질로 하는 여러 반응을 통해 멜라닌을 형성하므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타이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용어 "멜라닌"은 피부나 눈 등의 조직에 존재하는 흑색 내지는 갈색 색소를 총칭한다. 세포 내에서 다양한 요인에 의해 합성되며,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세포의 단백질이나 핵산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멜라닌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노화 등에 의해 피부의 생리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멜라닌 생성과정에 이상이 생겨 기미, 주근깨, 검버섯,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 사마귀, 밀크커피반점, 오타모반, 청색모반, 몽고반점, 과다 색소침착 반(macule) 또는 잡티 등의 색소 침착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MNT-1 인간 악성흑색종 세포주에서 불가리안 로즈오일 단독 또는 돌꽃뿌리 추출물 단독 물질을 처리한 경우보다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참조). 또한, 동일 세포주에서 a-MSH에 의한 멜라닌 합성 유도 조건에서도 역시 로즈오일 단독 또는 돌꽃뿌리 추출물 단독 물질을 처리한 경우보다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이 증가하여 상기와 같이 시너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불가리안 로즈오일 단독 또는 돌꽃뿌리 추출물 단독 물질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멜라닌 합성 억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참조).
이는, 상기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미백용도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팩(필오프 팩, 워시오프(wash off) 팩, 또는 마스크 시트팩)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산화티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 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로즈오일, 바위돌꽃뿌리, 추출물, 피부 미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약외품" 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특별히 제한 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타이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므로, 피부 미백 용도로서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 추출물이 타이로시나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 유도 조건에서 타이로시나제 활성이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세포 배양 방법
MNT-1 인간 악성흑색종 세포주(human melanoma cell line)는 20% FBS, 10% DMEM, 20 mM HEPES 및 50 ㎍/㎕ 겐타마이신(gentamicin)이 포함된 최소 필수 배지(minimal essential medium; MEM)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실험예 2. 멜라닌의 정량 방법
5 x 105 수의 각 세포를 1 N NaOH-10% DMSO 100㎕를 이용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용해하였다. 이후, 용액에 포함된 멜라닌 양을 405nm 흡광도에서 측정하였고, 멜라닌 표준품(Sigma)으로 얻은 표준 검량선을 이용하여 생성된 멜라닌 양을 산출하였다.
실험예 3. 타이로시나제 활성 어세이(tyrosinase activity assays) 방법
먼저, L-DOPA를 이용한 방법으로서, 각 세포를 1% Triton X-100, 1μM PMSF, 1㎍/㎖ aprotinin 및 10 ㎍/㎖ leupeptin이 포함된 50mM 인산나트륨 버퍼(pH 6.8)를 이용하여 용해하였다. 상기 용해물을 13,000 rpm 및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뒤, L-DOPA로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4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예 4. 통계 분석
모든 값은 세 번의 독립적인 실험으로부터 얻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통계 분석은 unpaired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P 값(P value)이 0.05 미만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하였다.
실시예 1. 추출물의 수득
바위돌꽃뿌리를 세척 및 건조한 후, 바위돌꽃뿌리 50g에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300g, 글리세린(Glycerin) 50g과 물 600g을 넣고 60℃에서 72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0.5㎛ 필터로 여과하고, 0.3㎛ 필터로 여과하여 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불가리안 로즈를 100℃에서 2시간 30분동안 물 증류법으로 추출한 후 95℃에서 1시간 동안 멸균과정을 거친 후 다시 98℃에서 증류법을 통해 로즈 오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추출물의 혼합물의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 확인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추출물의 혼합물의 피부 미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물의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MNT-1 세포를 6well 플레이트에 2 X105 세포/웰 수로 분주하였고, 불가리안 로즈오일 단독 (0.002%, v/v), 돌꽃뿌리 추출물 단독(0.02%, v/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각 웰에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tyrosin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불가리안 로즈오일 단독 (0.002%, v/v) 또는 돌꽃뿌리 추출물 단독(0.02%, v/v)을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타이로시나제 활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불가리안 로즈오일(%) 돌꽃뿌리추출물(%) 평균
0 0 100
0.002 0 91.97
0 0.02 92.00
0.002 0.02 73.39
또한, a-MS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의 처리를 통해 멜라닌 합성 유도 조건에서도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NT-1 세포를 6well 플레이트에 2 X105 세포/웰 수로 분주하였고, a-MSH 100nM 과 불가리안 로즈오일 단독 (0.002%, v/v), 돌꽃뿌리 추출물 단독(0.005, 0.01%, 0.02%, v/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각 웰에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tyrosin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a-MSH (100nM) 불가리안로즈오일(%) 돌꽃뿌리추출물(%) 평균
- 0 0 66.36
+ 0 0 100.00
+ 0.002 0 87.70
+ 0 0.005 93.88
+ 0 0.01 88.66
+ 0 0.02 84.94
+ 0.002 0.005 66.03
+ 0.002 0.01 65.90
+ 0.002 0.02 46.93
그 결과, 도 2 및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불가리안 로즈오일 단독(0.002%, v/v) 또는 돌꽃뿌리 추출물 단독(0.005, 0.01%, 0.02%, v/v)을 처리한 결과보다 이들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타이로시나제 활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결과로 불가리안 로즈오일(0.002%, v/v) 대비 돌꽃뿌리 추출물의 처리 양에 비례하여 타이로시나제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불가리안 로즈오일(0.002%, v/v) 및 돌꽃뿌리 추출물(0.02%, v/v)의 혼합물을 처리할 경우 가장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현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2의 내용을 종합하여, 불가리안 로즈오일 또는 돌꽃뿌리 추출물 각각의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의 경우 단독물질에 비해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뛰어나며, 이는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 추출물의 시너지효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확인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추출물의 혼합물의 피부 미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MNT-1 세포를 6well 플레이트에 2 X105 세포/웰 수로 분주하였고, a-MSH 100nM 과 불가리안 로즈오일 단독 (0.001%, 0.002%, v/v), 돌꽃뿌리 추출물 단독(0.005, 0.01%, 0.02%, v/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각 웰에 처리하였다. 48시간 후 멜라닌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a-MSH
(100nM)
불가리안로즈오일(%) 돌꽃뿌리추출물(%) 평균
- 0 0 70.38
+ 0 0 100
+ 0.001 0 87.53
+ 0.002 0 80.28
+ 0 0.005 97.70
+ 0 0.01 90.83
+ 0 0.02 87.42
+ 0.001 0.005 80.18
+ 0.001 0.01 75.51
+ 0.001 0.02 67.26
+ 0.002 0.005 69.01
+ 0.002 0.01 66.12
+ 0.002 0.02 55.25
그 결과 도 3, 도 4 및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불가리안 로즈오일 단독 (0.001%, 0.002%, v/v) 또는 돌꽃뿌리 추출물 단독(0.005, 0.01%, 0.02%, v/v)을 처리한 경우보다, 이들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현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불가리안 로즈오일 또는 돌꽃뿌리 추출물 단독을 처리한 경우 처리 양에 비례하여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혼합물 역시 처리 양에 비례하여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증가를 볼 수 있었다.
특히,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불가리안 로즈오일(0.002%, v/v) 및 돌꽃뿌리 추출물(0.02%, v/v)의 혼합물을 처리할 경우 가장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현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3의 내용을 종합하여, 불가리안 로즈오일 또는 돌꽃뿌리 추출물 각각의 처리양에 비례하여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돌꽃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의 경우 단독물질에 비해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뛰어나며 이는 시너지 효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증류법에 의해 수득된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가리안 로즈오일은 조성물 총 부피에 대하여 0.0001 내지 0.01%(v/v)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은 조성물 총 부피에 대하여 0.001 내지 0.1%(v/v)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타이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
  9.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합성 억제용 조성물.

KR1020190027698A 2019-03-11 2019-03-11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6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698A KR102186533B1 (ko) 2019-03-11 2019-03-11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201910585817.2A CN111671674A (zh) 2019-03-11 2019-07-01 包含保加利亚玫瑰油及红景天根提取物的皮肤美白用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698A KR102186533B1 (ko) 2019-03-11 2019-03-11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97A true KR20200108697A (ko) 2020-09-21
KR102186533B1 KR102186533B1 (ko) 2020-12-03

Family

ID=7245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698A KR102186533B1 (ko) 2019-03-11 2019-03-11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6533B1 (ko)
CN (1) CN1116716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7545A (zh) * 2014-09-18 2015-01-07 北京工商大学 一种红景天发酵原浆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180112284A (ko) * 2017-04-03 2018-10-12 최재춘 다마스크 장미꽃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70524C2 (ru) * 1999-10-13 2001-07-20 Новоселов Владимир Геннадьевич Композиция ингредиентов для безалкогольного бальзама "золотой корень"
CN102657589B (zh) * 2012-05-18 2013-06-05 通德集团有限公司 一种大花红景天防晒霜
CN103393568B (zh) * 2013-07-28 2015-09-30 娇时化妆品(杭州)有限公司 一种美白祛斑霜
AU2015217430B9 (en) * 2014-02-11 2018-02-01 Elc Management Llc Method, compositions, and kit for modulating the appearance of volume on keratin surfaces
CN108175723A (zh) * 2017-12-11 2018-06-19 百朗德生物化学(海门)有限公司 具有美白和防止皮肤老化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7545A (zh) * 2014-09-18 2015-01-07 北京工商大学 一种红景天发酵原浆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180112284A (ko) * 2017-04-03 2018-10-12 최재춘 다마스크 장미꽃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71674A (zh) 2020-09-18
KR102186533B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209B1 (ko)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H07187989A (ja) シソ抽出液、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KR101908077B1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11002B1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4568A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7187988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KR20140137540A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186533B1 (ko)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2325393B1 (ko) 소계 추출물의 생물전환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H0987164A (ja) 皮膚外用剤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16400B1 (ko)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100558184B1 (ko) 미인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2196B1 (ko) 홍화씨유 가수분해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731264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사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85771A (ko) 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조성물
KR102115988B1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H0987135A (ja) 皮膚外用剤
KR20190003011A (ko) 오이풀 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색소 침착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3708B1 (ko) 침피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30006131A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59004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