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509A -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 Google Patents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509A
KR20200108509A KR1020207026345A KR20207026345A KR20200108509A KR 20200108509 A KR20200108509 A KR 20200108509A KR 1020207026345 A KR1020207026345 A KR 1020207026345A KR 20207026345 A KR20207026345 A KR 20207026345A KR 20200108509 A KR20200108509 A KR 20200108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shielding plate
g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타로 다키가미
야스히로 사와다
Original Assignee
가무이 이노베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무이 이노베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무이 이노베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8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02B26/02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mprising movable attenuating elements, e.g. neutral density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간이하고 저렴한 구성이면서, 효과적으로 고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를 제공한다.
(해결수단)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저감장치(1A)는, 광을 통과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11a)를 갖음과 아울러, 촬상광학계(2)의 광축에 관하여 상기 개구부(11a)의 대칭위치를 모두 차광하는 차광판(11)이, 상기 촬상광학계(2)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GHOST REDUCTION DEVICE, IMAGING DEVICE INCLUDING SAME, GHOST REDUCING METHOD, AND IMAGING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태양 등의 고휘도 피사체(高輝度 被寫體)에 기인하는 고스트(ghost)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고스트 저감장치(ghost 低減裝置)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撮像裝置),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撮像光學系)에 관한 것이다.
태양 등의 고휘도 피사체로부터의 광(光)이 촬상광학계에 입사(入射)되면, 렌즈의 표면이나 경통(鏡筒)의 내면 등에 의하여 반사되어, 미광(迷光)으로 되는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광은, 촬영화면 내에 의도하지 않는 상(像)(고스트)을 형성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당해 고스트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미광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62669호 공보에는, 조리개 값에 의거하여 변화하는 유효광속(有效光速)에 대응하여, 개구(開口)의 작용하는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고스트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1).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8-334725호 공보에는, 조리개를 개방값보다 작은 조리개 값으로 제한하여 유해광(有害光)을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렌즈면의 코팅에 의하여 반사율을 저하시켜서, 고스트를 억제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62669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8-334725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스트 저감기술에서는, 여전히 미광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고스트가 발생하여 버리는 케이스가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1, 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개구의 크기나 조리개를 제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화됨과 아울러 비용이 비싸지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이하고 저렴한 구성이면서, 효과적으로 고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저감장치는, 광을 통과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음과 아울러, 촬상광학계의 광축에 관하여 상기 개구부의 대칭위치를 모두 차광하는 차광판이, 상기 촬상광학계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으로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직선에 관하여 한쪽의 일방에만 1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으로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광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1개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으로서, 상기 촬상광학계에 대하여 상기 차광판을 진퇴시키는 진퇴구동수단과,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검출수단과, 상기 광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광의 강도를 감시하여, 상기 광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차광판을 상기 촬상광학계로 진출시켜서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광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차광판을 상기 촬상광학계로부터 대피시키도록 상기 진퇴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촬상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어느 하나의 태양을 갖는 고스트 저감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감소방법은, 광을 통과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음과 아울러, 촬상광학계의 광축에 관하여 상기 개구부의 대칭위치를 모두 차광하는 차광판을 촬상광학계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 근방에 배치하고, 상기 차광판에 의하여 촬상소자로부터의 반사광을 차광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촬상광학계는, 렌즈를 통하여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소자에 결상시키는 촬상광학계로서, 광을 통과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음과 아울러,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축에 관하여 상기 개구부의 대칭위치를 모두 차광하는 차광판이, 상기 촬상광학계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하고 저렴한 구성이면서, 효과적으로 고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저감장치, 촬상장치 및 촬상광학계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리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광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차광판과 조리개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원호형상의 개구부를 3개 갖는 차광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음양태극도 형상의 개구부를 1개 갖는 차광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광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개구부를 1개 갖는 차광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광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타원형의 개구부를 1개 갖는 차광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저감장치, 촬상장치 및 촬상광학계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10은, 본 실시예1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저감장치, 촬상장치 및 촬상광학계를 탑재한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종래의 촬상광학계에 있어서 고스트가 발생하는 요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본원 발명자들은, 열심히 연구한 결과 및 시행착오의 결과, 태양 등의 고휘도 피사체(高輝度 被寫體)로부터의 광(光)은, 렌즈면에서의 반사와 비교하여, 사진 필름이나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면(撮像面)에서의 반사되는 것이 더 많다는 것을 찾아내었다. 그리고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촬상면에서 반사된 불요광(不要光)이, 렌즈에 의하여 반사되어 복귀광(復歸光)이 됨으로써 고스트(ghost)를 발생시키는 큰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을 찾아내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촬상면에서 반사된 불요광이 촬상면으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억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고스트를 저감시키는 것을 착상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저감장치(ghost 低減裝置)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撮像裝置),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撮像光學系)의 제1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제1실시형태의 고스트 저감장치(1A)를 내부에 포함하는 촬상광학계(2)를 구비한 촬상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1실시형태의 촬상장치(10)는, 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상광학계(2)와, 이 촬상광학계(2)에 있어서의 초점위치에 배치되는 촬상소자(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촬상광학계(2)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 근방에 고스트 저감장치(1A)를 배치함으로써, 촬상소자(3)의 표면에 의하여 반사된 복귀광을 차단하여 고스트를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상광학계(2)는, 렌즈를 통하여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소자(3)에 결상(結像)시키는 것이다.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상광학계(2)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동자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전군 렌즈(前群 lens)(21)와, 눈동자 위치에 배치되는 조리개(diaphragm)(22)와, 눈동자 위치 직후에 배치되는 고스트 저감장치(1A)와, 눈동자 위치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후군 렌즈(後群 lens)(23)를 갖고 있다.
전군 렌즈(21) 및 후군 렌즈(23)는, 각각 1매 또는 복수 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소자(3)에 결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상광학계(2)는, 전군 렌즈(21) 및 후군 렌즈(23)를 갖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전군 렌즈(21)를 갖는 촬상광학계(2)에 대하여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조리개(22)는, 촬상광학계(2)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에 배치되어, 통과되는 광의 양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조리개(22)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의 중심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개구의 크기를 증감시킬 수 있는 홍채 조리개(iris diaphragm)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조리개(22)를 갖는 촬상광학계(2)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리개(22)를 갖지 않는 촬상광학계(2)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고스트 저감장치(1A)는, 촬상소자(3)로부터의 복귀광을 차단하여 고스트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스트 저감장치(1A)는, 반사율이 낮은 흑색소재로 이루어지는 차광판(遮光板)(1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차광판(11)은,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리개(22)의 개구와 대략 동일한 지름의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광을 통과시키는 개구부(11a)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개구부(11a)의 중심이 광축(光軸)과 일치하도록 조리개(22)의 직후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광판(11)은, 개구부(11a)가 광축과 직교하는 직선에 관하여 한쪽의 일방(一方)에만 배치되어 광을 투과시키고, 타방(他方)측에서는 광을 차광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눈동자 위치에 조리개(2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조리개(22)의 직후에 고스트 저감장치(1A)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개(22)가 없는 촬상광학계(2) 및 촬상장치(10)인 경우에는, 촬상광학계(2)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에 고스트 저감장치(1A)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눈동자 위치 근방이라는 것은, 눈동자 위치뿐만 아니라, 눈동자 위치 직후와 같이 비네팅(vignetting)을 생기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감소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범위에서 눈동자 위치에 가까운 위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촬상소자(3)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수광면(受光面)에 결상된 상(像)의 광에 의한 명암을 전하(電荷)의 양으로 광전변환(光電變換)하고, 그것을 순차적으로 읽어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또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촬상광학계(2)가 촬상소자(3)를 갖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름 카메라와 같이 촬상소자(3)를 갖지 않는 촬상광학계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본 제1실시형태의 고스트 저감장치(1A)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10),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2)에 의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광학계(2)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 근방에 고스트 저감장치(1A)로서의 차광판(11)을 배치한다. 이 차광판(11)은, 흑색의 판재(板材)에 불과하기 때문에, 구성이 매우 간이하고 저렴하다.
다음에, 본 제1실시형태의 촬상광학계(2)에 있어서 태양 등의 고휘도 피사체가 시야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스트 저감장치(1A)가 눈동자 위치 근방에 있어서, 광축(光軸)과 직교하는 직선에 관하여 상반부분(上半部分)에 형성된 개구부(11a)를 통과하는 광에만 입사광속(入射光束)을 제한한다. 이때에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11a)가 광축과 직교하는 직선에 관하여 한쪽의 일방에만 1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축에 관하여 개구부(11a)의 대칭위치를 모두 차광한다는 조건하에 있어서, 개구부(11a)의 면적이 최대이기 때문에 충분한 광량(光量)을 확보한다.
고스트 저감장치(1A)를 통과한 광은, 후군 렌즈(23)를 통하여 촬상소자(3)의 표면에서 결상되고, 그 대부분은 촬상소자(3)에 흡수된다. 단, 일부의 광은,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3)의 표면에서 정반사되어 복귀광으로 된다. 이들 복귀광은, 다시 눈동자 위치 근방으로 되돌아왔을 때에,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축에 관하여 입사되었을 때의 위치와 대칭의 위치에 도달한다.
즉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복귀광은, 차광판(11)의 상반부분에 형성된 개구부(11a)를 통과한 광에 유래하기 때문에, 눈동자 위치 근방에서는 모두 차광판(11)의 하반부분(下半部分)으로 되돌아온다. 이 때문에, 차광판(11)은 눈동자 위치 근방에서 모든 복귀광을 차단하여 전방으로 되돌려 버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 제1실시형태의 고스트 저감장치(1A)는,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복귀광이 전군 렌즈(21)에 도달하고, 당해 전군 렌즈(21)에서 다시 반사되어 촬상소자(3)의 표면에 고스트 상(ghost 像)을 생성하여 버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또 후군 렌즈(23)의 매수가 많은 경우에는, 복귀광이 차광판(11)에 도달하기 전에 반사되어 촬상소자(3)로 되돌아갈 확률이 높아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제거되는 고스트는 적다. 그러나 전군 렌즈(21)의 매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거 대상이 되는 고스트(복귀광)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들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판(11)의 효과는 매우 크다.
이상과 같은 본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1.간이하고 저렴한 구성이면서, 효과적으로 고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2.고스트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하여 항상 일정 영역의 촬영이 요청되는 감시 카메라나 차량탑재 카메라 등에 있어서, 보기 좋은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3.특히 전군 렌즈(21)의 매수가 많은 경우에 큰 고스트 감소효과를 갖는다.
4.머신 비전 시스템(machine vision system)과 같이 촬상장치(10)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에 대하여 화상인식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노이즈가 되는 고스트를 저감시켜서 시인 정밀도(視認 精密度)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에서 설명한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차광판(11)이, 광축과 직교하는 직선에 관하여 한쪽의 일방에만 반원형상의 개구부(11a)를 1개 갖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광을 통과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11a)를 갖음과 아울러, 촬상광학계(2)의 광축에 관하여 개구부(11a)의 대칭위치를 모두 차광하는 것과 같은 차광판(11)이면 좋다.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각이 60°인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11a)를 광축에 관하여 60° 간격으로 3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광축과 직교하는 직선에 관하여 한쪽 뿐만 아니라 양쪽에 복수의 개구부(11a)를 갖는 차광판(11)이더라도, 촬상광학계(2)의 광축에 관하여 각 개구부(11a)의 대칭위치가 모두 차광된다.
또한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양태극도의 일방과 같은 개구부(11a)를 차광판(11)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광축과 직교하는 직선에 관하여 양쪽에 걸쳐서 1개의 개구부(11a)를 갖는 차광판(11)이더라도, 촬상광학계(2)의 광축에 관하여 개구부(11a)의 대칭위치가 모두 차광된다.
또한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11a)를 1개 갖는 차광판(11)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차광판(11)에 의하면, 원형의 자연스러운 흐릿한 상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11a)를 1개 갖는 차광판(11)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차광판(11)에 의하면, 도7의 개구부(11a)와 비교하여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의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제2실시형태의 구성 중에서,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 혹은 상당하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시 설명하는 것을 생략한다.
본 제2실시형태의 특징은, 태양 등의 고휘도 피사체가 촬영범위 내에 들어갔을 때에만, 고스트 저감장치(1B)를 기능시키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제2실시형태의 고스트 저감장치(1B)는,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광학계(2)에 대하여 차광판(11)을 진퇴시키는 진퇴구동수단(進退驅動手段)(12)과,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검출수단(光檢出手段)(13)과, 이 광검출수단(13)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진퇴구동수단(12)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4)을 갖고 있다.
진퇴구동수단(12)은, 촬상광학계(2)에 대하여 차광판(11)을 진퇴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진퇴구동수단(12)은,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차광판(11)을 슬라이드(slide)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solenoid actuator)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상광학계(2)에 대하여 차광판(11)을 진퇴시키는 기구이면 좋다.
광검출수단(13)은, 촬상광학계(2)에 입사되는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소자(10)가 광검출수단(13)으로서도 겸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상광학계(2)에 입사되는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것이라면, 황화카드뮴 셀(CdS cell)을 탑재한 광센서 등을 광검출수단(13)으로서 채용하여도 좋다.
제어수단(14)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검출수단(13)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진퇴구동수단(12)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수단(14)은, 광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차광판(11)을 촬상광학계(2)로 진출시켜서 배치한다. 한편 광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차광판(11)을 촬상광학계(2)로부터 대피시키도록 진퇴구동수단(12)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고스트가 발생하기 쉽게 되는 광의 강도를 미리 구해 두고, 당해 광의 강도를 상기 임계값으로서 설정한다. 이에 따라 고스트를 발생시키는 정도의 고휘도 피사체가 촬영범위에 들어가면, 차광판(11)이 촬상광학계(2)로 진출하여 고스트를 저감시킨다. 한편 촬영범위 내에 고스트를 발생시키는 정도의 고휘도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광판(11)이 대피하여 충분한 광량을 확보한다.
이상과 같은 본 제2실시형태의 고스트 저감장치(1B)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10),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2)에 의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음과 아울러,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는 촬영조건하에서는 차광판(11)을 자동적으로 대피시켜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1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고스트 저감장치(1A), 촬상장치(10) 및 촬상광학계(2)를 자동차에 탑재하는 것을 상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장치(10)로서의 차량탑재 카메라를 프론트 글라스의 상단부 근방에서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하였다. 이 경우에, 시간대 및 자동차의 방향에 따라서는 고휘도 피사체인 태양광이 들어가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고스트 저감장치(1A)는, 촬상광학계(2)에 입사된 태양광 중에서 차광판(11)의 개구부(11a)를 통과하는 광에만 입사광속을 제한하였다. 또한 차광판(11)은, 촬상소자(3)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눈동자 위치 근방으로 되돌아온 복귀광을 차단하였다. 이 때문에, 태양광이 촬영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차량탑재 카메라의 영상에서는 고스트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1에 의하면, 항상 일정 영역의 촬영이 요청되는 차량탑재 카메라에 있어서도, 고스트를 효과적으로 저감시켜서 보기 좋은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는,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촬상장치(10)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하고 있고, 본 발명에 관한 촬상광학계(2)를 당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구비된 촬상광학계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스틸 카메라, 필름 카메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에 갖추어진 카메라 등과 같이 각종 카메라에 구비된 촬상광학계 및 이들 촬상광학계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A : 고스트 저감장치(제1실시형태)
1B : 고스트 저감장치(제2실시형태)
2 : 촬상광학계
3 : 촬상소자
10 : 촬상장치
11 : 차광판
11a : 개구부
12 : 진퇴구동수단
13 : 광검출수단
14 : 제어수단
21 : 전군 렌즈
22 : 조리개
23 : 후군 렌즈

Claims (7)

  1. 광(光)을 통과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開口部)를 갖음과 아울러, 촬상광학계(撮像光學系)의 광축(光軸)에 관하여 상기 개구부의 대칭위치를 모두 차광(遮光)하는 흑색소재의 차광판(遮光板)이, 상기 촬상광학계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광에 유래하는 복귀광(復歸光)이 상기 차광판에 의하여 모두 차단되도록 미리 설계된 형상을 갖고 있는 고스트 저감장치(ghost 低減裝置).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직선에 관하여 한쪽의 일방(一方)에만 1개 형성되어 있는 고스트 저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광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1개의 원형(圓形)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스트 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광학계에 대하여 상기 차광판을 진퇴시키는 진퇴구동수단(進退驅動手段)과,
    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검출수단(光檢出手段)과,
    상기 광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광의 강도를 감시하여, 상기 광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차광판을 상기 촬상광학계로 진출시켜서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광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차광판을 상기 촬상광학계로부터 대피시키도록 상기 진퇴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고스트 저감장치.
  5. 제1항의 고스트 저감장치를 구비한 촬상장치(撮像裝置).
  6. 광을 통과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음과 아울러, 촬상광학계의 광축에 관하여 상기 개구부의 대칭위치를 모두 차광하는 흑색소재의 차광판을 촬상광학계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 근방에 배치하고, 상기 차광판에 의하여 촬상소자로부터의 반사광을 차광하는 고스트 감소방법으로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광에 유래하는 복귀광이 상기 차광판에 의하여 모두 차단되도록 미리 설계된 형상을 갖고 있는 고스트 감소방법.
  7. 렌즈를 통하여 피사체(被寫體)로부터의 광을 촬상소자에 결상(結像)시키는 촬상광학계로서,
    광을 통과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음과 아울러, 상기 촬상광학계의 광축에 관하여 상기 개구부의 대칭위치를 모두 차광하는 흑색소재의 차광판이, 상기 촬상광학계에 있어서의 눈동자 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광에 유래하는 복귀광이 상기 차광판에 의하여 모두 차단되도록 미리 설계된 형상을 갖고 있는 촬상광학계.
KR1020207026345A 2015-11-24 2016-11-24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KR202001085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8966A JP6685040B2 (ja) 2015-11-24 2015-11-24 ゴースト低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ゴースト低減方法、ならびに撮像光学系
JPJP-P-2015-228966 2015-11-24
PCT/JP2016/084771 WO2017090670A1 (ja) 2015-11-24 2016-11-24 ゴースト低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ゴースト低減方法、ならびに撮像光学系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763A Division KR102260920B1 (ko) 2015-11-24 2016-11-24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509A true KR20200108509A (ko) 2020-09-18

Family

ID=587642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763A KR102260920B1 (ko) 2015-11-24 2016-11-24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KR1020207026345A KR20200108509A (ko) 2015-11-24 2016-11-24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763A KR102260920B1 (ko) 2015-11-24 2016-11-24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45674B2 (ko)
EP (1) EP3382436B1 (ko)
JP (1) JP6685040B2 (ko)
KR (2) KR102260920B1 (ko)
CN (1) CN108292023B (ko)
HK (1) HK1256826A1 (ko)
IL (1) IL259438B (ko)
WO (1) WO2017090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5041B2 (ja) * 2015-12-24 2020-04-22 カムイ・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ゴースト低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ゴースト低減方法、ならびに撮像光学系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4725A (ja) 1995-06-06 1996-12-17 Fuji Photo Optical Co Ltd 撮影レンズ部の遮光装置
JPH1062669A (ja) 1996-08-23 1998-03-06 Ricoh Co Ltd カメラのフレア・ゴースト除去装置および除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1731A (en) * 1980-03-10 1985-12-31 Kley Victor B Electronic illumination control
JPS5958420U (ja) * 1982-10-08 1984-04-16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系のフレア防止装置
JPS6032014A (ja) * 1983-08-01 1985-02-19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の焦点検出装置
JP2816708B2 (ja) * 1989-06-09 1998-10-2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カメラ
CA2289323A1 (en) * 1994-11-04 1996-05-05 Noritsu Koki Co., Ltd. Image reading device for photographic printing
JP3610989B2 (ja) * 1995-03-01 2005-01-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レンズの遮光構造
US5831736A (en) * 1996-08-29 1998-11-03 Washington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topographical image of a microscopic specimen
US6637894B2 (en) * 2001-03-06 2003-10-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contrast projection
US7390098B2 (en) * 2003-09-30 2008-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jection lens, an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ing the projection lens
JP2005156936A (ja) * 2003-11-26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周辺減光効果をもつ光量制限フィルタ及び光学装置
JP4538725B2 (ja) * 2004-08-27 2010-09-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載用撮像装置
JP4764075B2 (ja) * 2005-06-20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該像ぶれ補正装置を備えたレンズ鏡筒
JP2007212745A (ja) * 2006-02-09 2007-08-23 Canon Inc 調光フィルター
US7780364B2 (en) * 2008-05-01 2010-08-2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glare in images
JP2011070150A (ja) 2009-04-14 2011-04-07 Nippon Hoso Kyokai <Nhk> Ndフィルタ及びテレビカメラ並びにnd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5517533B2 (ja) * 2009-09-08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遮光羽根部材及び遮光羽根部材の製造方法
NL2006935A (en) * 2010-06-28 2011-12-29 Asml Netherlands Bv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6019918B2 (ja) * 2012-08-17 2016-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WO2014034133A1 (ja) 2012-08-31 2014-03-06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撮像光学系、及び撮像装置
US9513417B2 (en) * 2012-11-16 2016-12-06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Optical filter and optical apparatus
JP6443633B2 (ja) * 2013-04-04 2018-12-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組み合わせレンズ及び撮像装置
EP2797310B1 (en) * 2013-04-25 2018-05-30 Axis AB Method, lens assembly, camera, system and use for reducing stray light
JP6112966B2 (ja) * 2013-05-16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特性測定装置、眼特性測定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5098242A1 (ja) * 2013-12-27 2015-07-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標本観察装置および標本観察方法
JP6685041B2 (ja) * 2015-12-24 2020-04-22 カムイ・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ゴースト低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ゴースト低減方法、ならびに撮像光学系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4725A (ja) 1995-06-06 1996-12-17 Fuji Photo Optical Co Ltd 撮影レンズ部の遮光装置
JPH1062669A (ja) 1996-08-23 1998-03-06 Ricoh Co Ltd カメラのフレア・ゴースト除去装置および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59438A (en) 2018-07-31
US20180356708A1 (en) 2018-12-13
WO2017090670A1 (ja) 2017-06-01
CN108292023A (zh) 2018-07-17
KR20180085776A (ko) 2018-07-27
CN108292023B (zh) 2021-06-01
JP6685040B2 (ja) 2020-04-22
HK1256826A1 (zh) 2019-10-04
IL259438B (en) 2020-04-30
EP3382436B1 (en) 2021-04-21
EP3382436A4 (en) 2019-08-07
JP2017097164A (ja) 2017-06-01
US10845674B2 (en) 2020-11-24
KR102260920B1 (ko) 2021-06-03
EP3382436A1 (en) 201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5115B2 (en) Lens device
KR101276641B1 (ko) 광량 제어 장치, 촬상 장치 및 광량 제어 방법
EP3340600B1 (en) Lens, camera, package inspection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7490842B (zh) 摄像模组、成像设备和图像处理方法
WO2018177347A1 (zh) 一种镜头模组及终端
KR102590894B1 (ko)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기구
KR102260920B1 (ko)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US742368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system
CN112135066B (zh) 调整摄像装置的入射光强度的装置、方法、介质和设备
JP2010020181A (ja) レンズ鏡筒
CN212163461U (zh) 一种相机组件及监控设备
CN112511760B (zh) 调整摄像装置的入射光强度的方法和装置、介质和设备
CN107343135B (zh) 一种摄录设备
JP2006003572A (ja) 撮影光学系
JP2008180922A (ja) 光学ローパスフィルタ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2010015172A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S5968712A (ja) 合焦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