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051A -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051A
KR20200108051A KR1020207023294A KR20207023294A KR20200108051A KR 20200108051 A KR20200108051 A KR 20200108051A KR 1020207023294 A KR1020207023294 A KR 1020207023294A KR 20207023294 A KR20207023294 A KR 20207023294A KR 20200108051 A KR20200108051 A KR 20200108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wer
power supply
connector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로 다테야마
히데유키 하라
아키라 이시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05Edge mounted components, e.g.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2Stacked spaced PCBs; Planar parts of folded flexible circuits having mounted components in between or spaced from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9Electromo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86Clip leads; Terminals gripping the edge of a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커넥터 단자(40)를, 상대 측의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40C)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40C)부터 절곡되어 기판(31)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40A)와, 기판(31)에 형성한 이동 저지부(31E)에 계합하여 커넥터 접착 부재(40A)가 기판(31)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부재(40P-C)로 구성하고, 커넥터 접착 부재(40A)를 기판(31)에 도포된 땜납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동 저지 부재(40P-C)를 기판(31)의 이동 저지부(31E)에 계합하고, 땜납을 녹여 커넥터 단자(40)가 기판(31)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본 발명은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제어 장치를 내장한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산업 기계 분야에서는 전동 모터에 의해서 기계계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최근에는 전동 모터의 회전 속도나 회전 토크를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제어부를 전동 모터에 일체적으로 조립해 넣는, 소위 기전(機電) 일체형의 전동 구동 장치가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기전 일체형의 전동 구동 장치의 예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는,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회동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고, 이 검출치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전동 모터를 구동하여, 조타 어시스트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동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 제어부(ECU : Electronic Control Unit)가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15-134598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전동 모터와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구성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모터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진 통부를 갖는 모터 하우징에 수납되고, 전자 제어 장치는, 모터 하우징의 축 방향의 출력축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ECU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다. ECU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는 전자 제어 장치는, 전원 회로부와, 전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MOSFET 같은 파워 스위칭 소자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와, 파워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고, 파워 스위칭 소자의 출력 단자와 전동 모터의 입력 단자는 버스 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ECU 하우징에 수납된 전자 제어 장치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를 통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또한 검출 센서류로부터 운전 상태 등의 검출 신호가 공급되고 있다.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는 덮개체로서 기능하고 있고, ECU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도록 하여 전자 제어 장치와 접속되며, 또한 고정 볼트에 의해서 ECU 하우징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밖에 전자 제어 장치를 일체화한 전동 구동 장치로서는 전동 브레이크나 각종 유압 제어용의 전동 유압 제어기 등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15-134598호 공보
그런데,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에서는, 도 17∼도 1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원에 접속된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60)로부터 전원 회로부(6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부는,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60)로부터 연장된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를 전원 회로부(61)에 설치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에 서로 겹치게 하고, 서로 겹친 부분의 선단(62t, 63t)을 TIG 용접하여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는, 가늘고 긴 금속판을 절곡하여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와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가 서로 겹쳐 접합되기 때문에,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는, 전원 회로부(61)의 기판(64)과의 땜납 접착면을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 측과 같은 방향으로 길게 연장시킬 필요가 있어, 대략 「L」자형의 커넥터 단자 형상으로 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는 기판(64) 상에 배치되어 땜납에 의해서 기판(64)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의 납땜은 일반적으로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리플로우 프로세스」는, 미리 기판(64)에 크림 땜납이라고 불리는 페이스트형의 땜납을 배선 패턴에 맞춰 도포하고, 거기에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의 접착면을 배치하고, 기판(64)에 열을 가하여 땜납을 녹임으로써 납땜을 행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대략 「L」자형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판(64)의 내측면 쪽이 땜납의 양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로 땜납이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가 용융된 땜납의 표면장력 등의 영향으로,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기판(64)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리플로우 프로세스」가 종료되어, 도 1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를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에 서로 겹치고, 서로 겹친 부분의 선단(62t, 63t)을 하나의 면으로 합쳐 TIG 용접하여 접속하는 공정에 있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가 기판(64)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있으면,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와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가 상호 간섭하여, 선단(62t, 63t)의 TIG 용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TIG 용접 공정에 있어서,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로부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에 굽힘의 외력이 작용하여,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를 땜납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응력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와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 사이에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전원 회로부와 인버터 회로부의 접속부도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와 인버터 회로부의 커넥터 단자의 사이에서도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로 커넥터 단자를 납땜할 때에, 커넥터 단자가 이동하지 않고서 정규의 위치에서 커넥터 단자를 납땜할 수 있는 신규의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커넥터 단자를, 상대 측의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으로부터 절곡되어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와, 기판에 형성한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커넥터 접착 부재가 기판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하고, 커넥터 접착 부재를 기판에 도포된 땜납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동 저지 부재를 기판의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고, 땜납을 녹여 커넥터 단자가 기판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로 커넥터 단자를 납땜할 때에, 이동 저지 부재를 기판의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도록 했기 때문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로 땜납이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단자가 용융된 땜납의 표면장력 등의 영향으로 기판 위를 이동하는 일이 없고, 정규의 위치에서 커넥터 단자를 납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례로서의 조타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체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모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모터 하우징을 축 방향으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모터 하우징에 전력 변환 회로부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모터 하우징에 전원 회로부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시하는 모터 하우징에 제어 회로부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모터 하우징에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를 배치,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회로부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가 배치된 부분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와 기판의 제1 계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제1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전원 커넥터 단자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와 기판의 제2 계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제2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제3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전원 회로부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가 배치된 쪽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와 기판의 계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와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를 TG 용접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개념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예나 응용예도 그 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례로서의 조타 장치의 구성에 관해서 도 1을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의 전륜을 조타하기 위한 조타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조타 장치(1)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는 핸들에 연결된 스티어링 샤프트(2)의 하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피니언이 마련되고, 이 피니언은 차체 좌우 방향으로 긴 도시하지 않는 랙과 맞물려 있다. 이 랙의 양끝에는 전륜을 좌우 방향으로 조타하기 위한 타이 로드(3)가 연결되어 있고, 랙은 랙 하우징(4)에 덮여 있다. 그리고, 랙 하우징(4)과 타이 로드(3)의 사이에는 고무 부츠(5)가 마련되어 있다.
핸들을 회동 조작할 때의 토크를 보조하기 위해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가 마련되어 있다. 즉, 스티어링 샤프트(2)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7)가 설치되고, 토크 센서(7)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랙에 기어(10)를 통해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부(8)와, 전동 모터부(8)에 배치된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ECU)부(9)가 마련되어 있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의 전동 모터부(8)는, 출력축 측의 외주부의 세 곳이 도시하지 않는 나사를 통해 기어(10)에 접속되고, 전동 모터(8)부의 출력축과는 반대측에 전자 제어부(9)가 마련되어 있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에서는, 핸들이 조작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2)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이 스티어링 샤프트(2)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토크 센서(7)가 검출하고, 이 검출치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부가 전동 모터의 구동 조작량을 연산한다. 이 연산된 구동 조작량에 기초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의 파워 스위칭 소자에 의해 전동 모터가 구동되고, 전동 모터의 출력축은 스티어링 샤프트(2)를 조작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회동된다. 출력축의 회동은, 도시하지 않는 피니언으로부터 기어(10)를 통해 도시하지 않는 랙에 전달되어, 자동차가 조타되는 것이다. 이들 구성, 작용은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반복하게 되지만,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판(64)의 내측면 쪽이 땜납의 양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로 땜납이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가 용융된 땜납의 표면장력 등의 영향으로,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기판(64)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리플로우 프로세스」가 종료되어, 도 1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를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에 서로 겹치고, 서로 겹친 부분의 선단(62t, 63t)을 TIG 용접하여 접속하는 공정에 있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가 기판(64)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있으면,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와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가 상호 간섭하여, 선단(62t, 63t)의 TIG 용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TIG 용접의 공정에서,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62)로부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에 외력이 작용하여,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63)를 땜납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응력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의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단자를, 상대 측의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되어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와, 기판에 형성한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커넥터 접착 부재가 기판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하고, 커넥터 접착 부재를 기판에 도포된 페이스트형의 땜납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동 저지 부재를 기판의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커넥터 단자를 기판에 접착, 고정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르면, 기판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로 커넥터 단자를 납땜할 때에, 이동 저지 부재를 기판의 이동 저지부의 계합면에 계합하도록 했기 때문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로 땜납이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단자가 용융된 땜납의 표면장력 등의 영향으로 기판 위를 이동하는 일 없이, 정규의 위치에서 커넥터 단자를 납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되는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 도 2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가 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성 부품을 분해하여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9는 각 구성 부품의 조립 순서에 따라서 각 구성 부품을 조립하여 부착해 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도면을 적절하게 인용하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구성하는 전동 모터부(8)는,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계 금속으로 만들어진 통부를 갖는 모터 하우징(11) 및 이것에 수납된 도시하지 않는 전동 모터로 구성되고, 전자 제어부(9)는, 모터 하우징(11)의 축 방향의 출력축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알루미늄계 금속 혹은 철계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 커버(12) 및 이것에 수납된 도시하지 않는 전자 제어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1)과 금속 커버(12)는, 그 대향 단부면에 형성되어 외주 방향의 고정 영역부에 있어서 코킹 고정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금속 커버(12)의 내부에 수납된 전자 제어 조립체는,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부나, 전동 모터부(8)의 전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MOSFET 혹은 IGBT 등으로 이루어지는 파워 스위칭 소자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나, 이 파워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로 이루어지고, 파워 스위칭 소자의 출력 단자와 전동 모터의 코일입력 단자는 버스 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1)과는 반대측의 금속 커버(12)의 단부면에는, 금속 커버(12)에 형성한 구멍부로부터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는 모터 하우징(11)에 형성한 고정부에 고정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에는, 전력 공급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A), 검출 센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B), 제어 상태를 외부 기기에 송출하는 제어 상태 송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금속 커버(12)에 수납된 전자 제어 조립체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전력 공급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A)를 통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또한 검출 센서류로부터 운전 상태 등의 검출 신호가 검출 센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B)를 통해 공급되어, 현재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 상태 신호가 제어 상태 송출용의 커넥터 단자 형성부(13C)를 통해 송출되고 있다.
도 3에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6)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11)에는 내부에 원환형의 철제 사이드 요크(도시하지 않음)가 감합되어 있고, 이 사이드 요크 내에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전동 모터의 출력부(14)는 기어를 통해 랙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전동 모터의 구체적인 구조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모터 하우징(11)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전동 모터에서 발생한 열이나,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나 전력 변환 회로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 대기로 방출하는 히트 싱크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전동 모터와 모터 하우징(11)으로 전동 모터부(8)를 구성하고 있다.
전동 모터부(8)의 출력부(14)의 반대측의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는 전자 제어부(EC)가 부착되어 있다. 전자 제어부(EC)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는 모터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밖에, 단부면부(15)만을 별개로 형성하고, 나사나 용접에 의해서 모터 하우징(11)과 일체화하여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는 용장계를 구성하는 것이며, 메인 전자 제어부와 서브 전자 제어부의 이중계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은 메인 전자 제어부에 의해서 전동 모터가 제어, 구동되고 있지만, 메인 전자 제어부에 이상이나 고장이 생기면, 서브 전자 제어부로 전환되어 전동 모터가 제어, 구동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지만, 통상은 메인 전자 제어부로부터의 열이 모터 하우징(11)에 전해지고, 메인 전자 제어부에 이상이나 고장이 생기면, 메인 전자 제어부가 정지하고 서브 전자 제어부가 작동하여, 모터 하우징(11)에는 서브 전자 제어부로부터의 열이 전해지는 것이다.
또한, 메인 전자 제어부와 서브 전자 제어부를 합하여 정규의 전자 제어부로서 기능하게 하고, 한쪽의 전자 제어부에 이상, 고장이 생기면, 다른 쪽의 전자 제어부로 반(半)의 능력으로 전동 모터를 제어,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동 모터의 능력은 반으로 되지만, 소위 「파워 스티어링 기능」은 확보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경우는, 메인 전자 제어부와 서브 전자 제어부의 열이 모터 하우징(11)에 전해지는 것이다.
전자 제어부(EC)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로 구성되어 있고, 단부면부(15)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18)는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마이크로컴퓨터, 주변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는 제어 회로부(18)를 구동하는 전원 및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전원을 생성하는 것으로, 콘덴서, 코일, 스위칭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력 변환 회로부(16)는 전동 모터의 코일에 흐르는 전력을 조정하는 것으로, 3상의 상하 아암을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제어부(EC)에서 발열량이 많은 것은 주로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이며,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의 열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모터 하우징(11)으로부터 방열되는 것이다. 이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제어 회로부(18)와 금속 커버(12)의 사이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차량 배터리(전원)나 외부의 도시하지 않는 다른 제어 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물론 이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와 접속되어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금속 커버(12)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를 수납하여 이들을 액밀하게 밀봉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킹 고정에 의해서 모터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각 구성 부품의 구성과 조립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는 모터 하우징(1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그 축 방향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도 5에서, 모터 하우징(11)은, 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측방 둘레면부(11A)와 측방 둘레면부(11A)의 일단을 폐색하는 단부면부(15)와 측방 둘레면부(11A)의 타단을 폐색하는 단부면부(19)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하우징(11)은 바닥을 가진 원통형이며, 측방 둘레면부(11A)와 단부면부(15)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부면부(19)는 덮개 기능을 갖추고 있어, 측방 둘레면부(11A)에 전동 모터를 수납한 후에 측방 둘레면부(11A)의 타단을 폐색하는 것이다.
또한, 단부면부(15)의 전체 둘레면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하여 형성된 환상 홈부(이하, 모터 하우징 측의 환상 홈부라고 표기한다)(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모터 하우징 측의 환상 홈부(35)에, 도 9에 도시하는 금속 커버(12)의 개구단(이하, 금속 커버 측의 환상 선단부라고 표기한다)(37)이 수납되는 것이다. 모터 하우징 측의 환상 홈부(35)와 금속 커버(12)의 금속 커버 측의 환상 선단부(37)(도 9 참조) 사이의 부분은, 소위 액상 시일제에 의해서 액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도 5에 있는 것과 같이, 모터 하우징(11)의 측방 둘레면부(11A)의 내부에는, 철심에 코일(20)이 휘감긴 스테이터(21)가 감합되어 있고, 이 스테이터(21)의 내부에 영구자석을 매설한 로터(22)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로터(22)에는 회전축(23)이 고정되어 있으며, 일단은 출력부(14)가 되고, 타단은 회전축(23)의 회전 위상이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 검출부(24)로 되어 있다. 회전 검출부(24)에는 영구자석이 마련되어 있으며, 단부면부(15)에 형성한 관통 구멍(2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GMR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성 감지부에 의해서 회전축(23)의 회전 위상이나 회전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로 되돌아가면, 회전축(23)의 출력부(1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면부(15)의 면에는, 전력 변환 회로부(16)(도 3 참조), 전원 회로부(17)(도 3 참조)의 방열 영역(15A, 15B)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부(15)의 네 모퉁이에는, 기판/커넥터 고정 볼록부(26)가 일체적으로 식립(植立)되어 있고, 내부에 나사 구멍(26S)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커넥터 고정 볼록부(26)는, 후술하는 제어 회로부(18)의 기판 및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를 고정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으로부터 식립한 기판/커넥터 고정 볼록부(26)에는, 이것도 후술하는 전원용 방열 영역(15B)과 축 방향에서 같은 높이의 기판 받음부(27)가 형성되고, 기판 받음부(27)에는 나사 구멍(27S)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 받음부(27)는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17)를 구성하는 기판인 유리 에폭시 기판(31)을 배치,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부면부(15)를 형성하는, 회전축(23)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의 평면 영역은 이분할되어 있다. 하나는 MOSFET 등의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지는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부착되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을 형성하고, 또 하나는 전원 회로부(17)가 부착되는 전원용 방열 영역(15B)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 쪽이 전원용 방열 영역(15B)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술한 것과 같이 이중계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설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과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축 방향(회전축(23)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향해서 높이가 다른 단차를 갖고 있다. 즉,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23) 방향에서 봤을 때,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는,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설치한 후에 전원 회로부(17)를 설치한 경우에, 전력 변환 회로부(16)와 전원 회로부(17)가 각각 간섭하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는 3개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돌출형 방열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형 방열부(28)는, 후술하는 이중계의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돌출형 방열부(28)는, 전동 모터의 회전축(23) 방향에서 봤을 때 전동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원용 방열 영역(15B)은 평면형이며,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17)가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돌출형 방열부(28)는,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서 발생한 열을 단부면부(15)에 전열(傳熱)하는 방열부로서 기능하고, 전원용 방열 영역(15B)는, 전원 회로부(17)에서 발생한 열을 단부면부(15)에 전열하는 방열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돌출형 방열부(28)는 생략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이 전력 변환 회로부(16)에서 발생한 열을 단부면부(15)에 전열하는 방열부로서 기능한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형 방열부(28)에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금속 기판을 마찰 교반 접합에 의해서 용착하여 확실한 고정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가 되는 모터 하우징(11)의 단부면부(15)에 있어서는, 히트 싱크 부재를 생략하여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 하우징(11)은 충분한 열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17)나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6은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돌출형 방열부(28)(도 4 참조)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는 것과 같이,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 형성된 돌출형 방열부(28)(도 4 참조)의 상부에는, 이중계로 이루어지는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는, 금속 기판(여기서는 알루미늄계 금속을 사용하고 있다)에 배치되어, 방열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 기판은 돌출형 방열부(28)에 마찰 교반 접합에 의해서 용착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 기판은 돌출형 방열부(28)(도 4 참조)에 강고하게 고정되고, 또한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돌출형 방열부(28)(도 4 참조)에 전열하게 할 수 있다. 돌출형 방열부(28)(도 4 참조)에 전해진 열은,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으로 확산되고, 또한 모터 하우징(11)의 측방 둘레면부(11A)에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축 방향의 높이는, 전원용 방열 영역(15B)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전원 회로부(17)와 간섭하는 일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에 형성된 돌출형 방열부(28)의 상부에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돌출형 방열부(28)에 전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돌출형 방열부(28)에 전해진 열은, 전력 변환용 방열 영역(15A)으로 확산되고, 모터 하우징(11)의 측방 둘레면부(11A)에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게 된다.
이어서, 도 7은 전력 변환 회로부(16) 상에서 전원 회로부(17)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있는 것과 같이, 전원용 방열 영역(15B)의 상부에는 전원 회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를 구성하는 콘덴서(29)나 코일(30) 등은 전원 회로 기판인 유리 에폭시 기판(31)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도 이중계가 채용되어 있으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각각 대칭으로 콘덴서(29)나 코일(30)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리 에폭시 기판(31)에는,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스위칭 소자 이외의 콘덴서 등의 전기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 측의 면은, 전원용 방열 영역(15B)과 접촉하게 하여 단부면부(15)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방법은, 도 7에 있는 것과 같이, 기판/커넥터 고정 볼록부(26)의 기판 받음부(27)에 형성된 나사 구멍(27S)에, 도시하지 않는 고정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에 형성된 나사 구멍(27S)에도, 도시하지 않는 고정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원 회로부(17)가 유리 에폭시 기판(31)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면 실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 측의 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GMR 소자나 이것의 검출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위상, 회전수 검출부가 실장되고, 회전축(23)(도 5 참조)에 마련한 회전 검출부(24)(도 5 참조)와 협동하여, 회전의 회전 위상이나 회전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리 에폭시 기판(31)은,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에 접촉하게 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 회로부(17)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에 전열하게 할 수 있다.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에 전해진 열은, 모터 하우징(11)의 측방 둘레면부(11A)로 확산되고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리 에폭시 기판(31)과 전원용 방열 영역(15B)(도 6 참조)의 사이는, 열전달성이 좋은 접착제, 방열 그리스, 방열 시트의 어느 하나를 개재시킴으로써 더욱 열 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용 방열 영역(15B)의 상부에는 전원 회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17)의 회로 소자가 배치된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전원용 방열 영역(15B) 측의 면은, 전원용 방열 영역(15B)과 접촉하게 하여 단부면부(15)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회로부(17)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전열하게 할 수 있다. 전원용 방열 영역(15B)에 전해진 열은, 모터 하우징(11)의 측방 둘레면부(11A)로 확산되고 전열되어 외부로 방열되게 된다.
이어서, 도 8은 전원 회로부(17) 상에서 제어 회로부(18)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있는 것과 같이, 전원 회로부(17)의 상부에는 제어 회로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18)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32)나 주변 회로(33)는, 제어 회로 기판인 유리 에폭시 기판(34)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18)도 이중계가 채용되어 있으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각각 대칭으로 마이크로컴퓨터(32)나 주변 회로(33)로 이루어지는 제어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2)나 주변 회로(33)는, 유리 에폭시 기판(34)의 전원 회로부(17) 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은 것이다.
이 유리 에폭시 기판(34)은, 도 8에 있는 것과 같이, 기판/커넥터 고정 볼록부(26)(도 7 참조)의 꼭대기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26S)에,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도시하지 않는 고정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고, 전원 회로부(17)(도 7 참조)의 유리 에폭시 기판(31)과 제어 회로부(18)의 유리 에폭시 기판(34)의 사이는, 도 7에 도시하는 전원 회로부(17)의 콘덴서(29)나 코일(30)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도 9는 제어 회로부(18) 상에서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있는 것과 같이, 제어 회로부(18)의 상부에는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는, 기판/커넥터 고정 볼록부(26)의 꼭대기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제어 회로부(18)를 사이에 끼우는 식으로 하여 고정 나사(36)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가 전력 변환 회로부(16), 전원 회로부(17), 제어 회로부(18)와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도 10∼도 12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가 되는 전원 회로부(17)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전원 회로부(17)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가 고정되어 있는 부근을 도시하고 있다. 전원 회로부(17)를 구성하는 기판인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상면에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고, 또한 배선 패턴 상에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각종 전기,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리 에폭시 기판(31) 상에는, 전원 회로부(17)와 수지제 커넥터 조립체(13)의 커넥터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는 2개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는, 가늘고 긴 금속 평판을 절곡 가공하여, 단면이 도 11에 있는 것과 같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절곡된 각 면은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있는 것과 같이,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는,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외연 단부면(31E)을 넘어, 파선으로 나타내는 커넥터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41)(도 11 참조)와 접합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40C)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40C)로부터 절곡되어 연속해서 형성되어, 유리 에폭시 기판(31) 상의 배선 패턴에 접속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40A)로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접착 부재(40A)는 도중에 되접혀 이중으로 형성되어,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를 유리 에폭시 기판(31)에 배치했을 때에 쓰러지지 않도록 중량을 무겁게 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표면에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고, 배선 패턴 상에는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의 커넥터 접착 부재(40A)가 배치되어, 땜납에 의해서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다. 즉, 커넥터 접착 부재(40A)를 유리 에폭시 기판(31) 상의 배선 패턴에 도포된 페이스트형의 땜납에 배치하고,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를 유리 에폭시 기판(31)에 접착,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 접착 부재(40A)는 평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 마운터 기구에 의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를 배선 패턴에 배치할 때의 흡착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를 유리 에폭시 기판(31)에 접착, 고정하는 경우,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내측의 표면 쪽이 땜납의 양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로 땜납이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가 용융된 땜납의 표면장력 등의 영향으로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리플로우 프로세스」가 종료되어, 커넥터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41)를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에 서로 겹치고, 서로 겹친 부분의 각각의 선단(40T, 41T)을 TIG 용접하여 접속하는 공정(도 11 참조)에 있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가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있으면, 커넥터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41)와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가 상호 간섭하여, 선단 부분의 TIG 용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나, TIG 용접의 공정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41)로부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에 굽힘의 외력이 작용하여,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를 땜납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응력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접속 부재(40C)로부터 유리 에폭시 기판(31) 측으로 연장되는 이동 저지 부재(40P-C)를 형성하고 있다. 이 이동 저지 부재(40P-C)는 커넥터 접속 부재(40C)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의 커넥터 접착 부재(40A)를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땜납 도포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동 저지 부재(40P-C)는,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외연 단부면(31E)에 접촉, 계합되어 있다. 이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외연 단부면(31E)은, 이동 저지 부재(40P-C)가 접촉, 계합하여,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를 유리 에폭시 기판(31)에 접착, 고정하는 경우, 유리 에폭시 기판(31) 내측의 표면 쪽에 땜납의 양이 많이 존재하여,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가 용융된 땜납의 표면장력 등의 영향으로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외연 단부면(31E)과 이동 저지 부재(40P-C)가 접촉, 계합하여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리플로우 프로세스」가 종료되어,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커넥터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41)를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의 커넥터 접속 부재(40C)에 서로 겹치고, 서로 겹친 부분의 각각의 선단(40T, 41T)을 TIG 용접하여 접속하는 공정에 있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가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정규의 위치에서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41)와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가 상호 간섭하는 일이 없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각각의 커넥터 단자의 선단(40T, 41T)의 TIG 용접을 잘 행할 수 있고, 또한 TIG 용접의 공정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41)로부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에 외력이 작용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를 땜납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응력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의 상세한 형상에 관해서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는, 상술한 것과 같이, 가늘고 긴 금속 평판을 절곡 가공하여,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커넥터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41)와 접합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40C)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40C)로부터 절곡되어 연속해서 형성되며, 유리 에폭시 기판(31) 상의 배선 패턴에 접속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40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접속 부재(40C)의 폭 방향 양측에는, 커넥터 접착 부재(40A)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폭이 커지는 경사부(40B)가 형성되어 있고, 소정 폭의 길이에 달하면, 커넥터 접착 부재(40A)의 절곡 부분의 형성 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이동 저지 부재(40P-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저지 부재(40P-C)의 폭 방향 내측에는 공극(40S)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접착 부재(40A)는 이 공극(40S)들 사이에 끼워져, 커넥터 접속 부재(40C)에 대하여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회로부(17)의 유리 에폭시 기판(31) 상에 배치된 상태는,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동 저지 부재(40P-C)는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외연 단부면(31E)에 접촉, 계합하게 하여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는, 금속 판재를 펀칭하여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경사부(40B)의 사변을 형성함으로써, 이 부분의 버어를 잡는 작업을 생략하여, 버어를 잡는 작업에 따른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저지 부재(40P-C)와 커넥터 접착 부재(40A)의 사이에 공극(40S)을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접착 부재(40A)의 절곡 가공의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하는 이동 저지 부재(40P-C)는, 커넥터 접속 부재(40C)로부터 하측, 즉, 유리 에폭시 기판(31)에 배치하는 상태에서 유리 에폭시 기판(31) 측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지만, 도 14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4에서, 유리 에폭시 기판(31) 표면의 일부에,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저지부(31H)를 형성하고, 이 이동 저지부(31H)에 접촉, 계합하는 이동 저지 부재(40P-A)를 커넥터 접착 부재(40A)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를 유리 에폭시 기판(31)에 배치할 때에, 커넥터 접착 부재(40A)의 이동 저지 부재(40P-A)를 이동 저지부(31H) 내에 배치함으로써,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의 이동 현상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 저지부(31H)는 바닥을 가진 오목부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0)의 제2 형상을 설명한다. 도 15에서는, 커넥터 접속 부재(40C)의 폭 방향 양측에는, 커넥터 접착 부재(40A)에 가까워지면 커넥터 접속 부재(40C)의 양측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폭이 커지는 광폭부(40D)가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접착 부재(40A)의 절곡 부분의 형성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이동 저지 부재(40P-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와 마찬가지로, 이동 저지 부재(40P-C)의 폭 방향 내측에는 공극(40S)들이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접착 부재(40A)는 이 공극(40S)들 사이에 끼워져, 커넥터 접속 부재(40C)에 대하여 대략 「L」글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회로부(17)의 유리 에폭시 기판(31) 상에 배치된 상태는,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동 저지 부재(40P-C)는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외연 단부면(31E)에 접촉, 계합하게 하여 배치되게 된다.
이어서,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제3 형상을 설명한다. 도 16에서는,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43)는, 가늘고 긴 금속 평판을 절곡 가공하여,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커넥터 조립체 측의 커넥터 단자(41)와 접합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43C)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43C)로부터 절곡되어 연속해서 형성되어, 유리 에폭시 기판(31) 상의 배선 패턴에 접속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43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접속 부재(43C)의 폭 방향 양측에는, 커넥터 접착 부재(43A)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접착 부재(43A)의 폭 방향 내측에는 공극(43S)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 저지 부재(43P-C)는, 이 공극(43S)들 사이에 끼워져, 커넥터 접속 부재(40C)로부터 하측, 즉 유리 에폭시 기판(31)에 배치하는 상태에서 유리 에폭시 기판(31) 측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회로부(17)의 유리 에폭시 기판(31) 상에 배치된 상태는, 도 10과 마찬가지로 이동 저지 부재(43P-C)는 유리 에폭시 기판(31)의 외연 단부면(31E)에 접촉, 계합하게 하여 배치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커넥터 단자를, 상대 측의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되어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와, 기판에 형성한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커넥터 접착 부재가 기판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하고, 커넥터 접착 부재를 기판에 도포된 페이스트형의 땜납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동 저지 부재를 기판의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커넥터 단자를 기판에 접착, 고정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르면, 기판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로 커넥터 단자를 납땜할 때에, 이동 저지 부재를 기판의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도록 했기 때문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로 땜납이 용융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단자가 용융된 땜납의 표면장력 등의 영향으로 기판 위를 이동하는 일이 없고, 정규의 위치에서 커넥터 단자를 납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세히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더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관해서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기초한 전동 구동 장치로서는, 예컨대 이하에 설명하는 양태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구동 장치는, 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기계계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 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 제어부를 구비한 전동 구동 장치로서, 상기 전자 제어부에 사용되는 커넥터 단자가, 상대 측의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자 제어부를 구성하는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와, 상기 기판에 형성한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기판의 표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기판에 도포된 땜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기판의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고, 상기 땜납을 녹여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기판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가, 외부 전원에 접속된 커넥터 조립체와, 전원의 생성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전원 회로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전력 변환 회로부와,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의 제어를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어 회로부로 분할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전원 회로부를 접속하는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가,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상기 커넥터 단자와 접속되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원 회로부를 구성하는 전원 회로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에 형성한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기 판의 표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기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에 도포된 상기 땜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고, 상기 땜납을 녹여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기판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상기 커넥터 단자의 선단 측과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의 선단 측이 서로 TIG 용접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단면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의해서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넘어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땜납 도포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이동 저지부로서의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외연 단부면에 계합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폭이 커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가 소정 폭의 길이에 달하면,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의 형성 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이동 저지 부재의 폭 방향 내측에는 공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는 상기 공극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에 대하여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 장치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땜납 도포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초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는, 예컨대 이하에 설명하는 양태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그 일 양태로서,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 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 제어부와, 상기 전자 제어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 상기 전자 제어부에 사용되는 커넥터 단자가, 상대 측의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자 제어부를 구성하는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와, 상기 기판에 형성한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기판의 표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기판에 도포된 땜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기판의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고, 상기 땜납을 녹여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기판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가, 외부 전원에 접속된 커넥터 조립체와, 전원의 생성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전원 회로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전력 변환 회로부와, 상기 전력 변환 회로부의 제어를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어 회로부로 분할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전원 회로부를 접속하는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가,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상기 커넥터 단자와 접속되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원 회로부를 구성하는 전원 회로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에 형성한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표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기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에 도포된 상기 땜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고, 상기 땜납을 녹여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기판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상기 커넥터 단자의 선단 측과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의 선단 측이 서로 TIG 용접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단면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의해서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넘어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땜납 도포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이동 저지부로서의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외연 단부면에 계합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폭이 커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가 소정 폭의 길이에 달하면,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의 형성 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이동 저지 부재의 폭 방향 내측에는 공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는 상기 공극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에 대하여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땜납 도포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어 있다.

Claims (12)

  1. 기계계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 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 제어부를 구비한 전동 구동 장치로서,
    상기 전자 제어부에 사용되는 커넥터 단자는, 상대 측의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자 제어부를 구성하는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와, 상기 기판에 형성한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기판의 표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기판에 도포된 땜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기판의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고, 상기 땜납을 녹여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기판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는, 외부 전원에 접속된 커넥터 조립체와, 전원의 생성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전원 회로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전력 변환 회로부와, 이 전력 변환 회로부의 제어를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어 회로부로 분할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전원 회로부를 접속시키는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상기 커넥터 단자와 접속되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원 회로부를 구성하는 전원 회로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에 형성한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표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기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에 도포된 상기 땜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고, 상기 땜납을 녹여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기판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상기 커넥터 단자의 선단 측과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의 선단 측이 서로 TIG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단면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의해서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넘어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땜납 도포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이동 저지부로서의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외연 단부면에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폭이 커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가 미리 정해진 폭의 길이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의 형성 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이동 저지 부재의 폭 방향 내측에는 공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는 상기 공극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에 대하여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땜납 도포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장치.
  7.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타 보조력을 부여하는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모터 하우징의 단부면부 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 제어부와, 상기 전자 제어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
    상기 전자 제어부에 사용되는 커넥터 단자는, 상대 측의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 부재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자 제어부를 구성하는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접착 부재와, 상기 기판에 형성한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기판의 표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기판에 도포된 땜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기판의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고, 상기 땜납을 녹여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기판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부는, 외부 전원에 접속된 커넥터 조립체와, 전원의 생성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전원 회로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전력 변환 회로부와, 이 전력 변환 회로부의 제어를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어 회로부로 분할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전원 회로부를 접속시키는 상기 커넥터 단자의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가,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상기 커넥터 단자와 접속되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와, 이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원 회로부를 구성하는 전원 회로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에 형성한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하여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표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기 이동 저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에 도포된 상기 땜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고, 상기 땜납을 녹여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기판에 접착, 고정되게 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상기 커넥터 단자의 선단 측과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의 선단 측이 서로 TIG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단면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와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의해서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넘어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땜납도포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이동 저지부로서의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외연 단부면에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폭이 커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가 미리 정해진 폭의 길이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의 형성 위치를 넘어 연장됨으로써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이동 저지 부재의 폭 방향 내측에는 공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는 상기 공극들 사이에 끼워져,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에 대하여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커넥터 접속 부재로부터 절곡된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 측의 커넥터 단자의 상기 커넥터 접착 부재를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땜납 도포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전원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이동 저지부에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0207023294A 2018-02-14 2018-09-07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200108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23753 2018-02-14
JP2018023753A JP7041540B2 (ja) 2018-02-14 2018-02-14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CT/JP2018/033148 WO2019159407A1 (ja) 2018-02-14 2018-09-07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051A true KR20200108051A (ko) 2020-09-16

Family

ID=6761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294A KR20200108051A (ko) 2018-02-14 2018-09-07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406959A1 (ko)
JP (1) JP7041540B2 (ko)
KR (1) KR20200108051A (ko)
CN (1) CN111801266B (ko)
DE (1) DE112018007077T5 (ko)
WO (1) WO2019159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2324B2 (en) * 2018-06-06 2024-03-19 Hitachi Astemo, Ltd. Electric drive device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4598A (ja) 2013-12-19 2015-07-27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のモータ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1065U (ko) * 1989-02-22 1990-09-05
JPH0716298Y2 (ja) * 1989-02-23 1995-04-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ターミナル取付構造
GB2298530A (en) * 1995-02-28 1996-09-04 Zierick Mfg Corp Surface mount electrical contacts
US20080019120A1 (en) * 2004-01-27 2008-01-24 Carmen Rapisarda Lighting systems for attachment to wearing apparel
JP2005222861A (ja) 2004-02-06 2005-08-18 Calsonic Kansei Corp 自立型sipクリップターミナル
JP5832576B2 (ja) 2014-04-10 2015-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回転電機
JP6327114B2 (ja) * 2014-10-30 2018-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部品搭載基板、電動機、空気調和機、及び電子部品搭載基板の製造方法
US10523091B2 (en) * 2014-11-13 2019-12-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uni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employing control unit
JP6408926B2 (ja) * 2015-02-05 2018-10-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486250B2 (ja) 2015-09-10 2019-03-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
FR3044861B1 (fr) * 2015-12-02 2018-01-19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Support d'une unite electronique, dispositif electrique le comprenant et machine electrique comprenant ledit dispositif electrique
DE112017005927T5 (de) * 2016-11-23 2019-08-08 Nidec Corporation Motor und elektrische servolenkvorrichtung
KR101896060B1 (ko) * 2017-02-15 2018-09-0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전자제어장치
JP7124400B2 (ja) * 2018-04-10 2022-08-24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KR102536589B1 (ko) * 2018-05-15 2023-05-25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동 구동 제어 장치
JP6838254B2 (ja) * 2019-04-24 2021-03-03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4598A (ja) 2013-12-19 2015-07-27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のモータ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406959A1 (en) 2020-12-31
JP2019137303A (ja) 2019-08-22
CN111801266B (zh) 2022-09-20
JP7041540B2 (ja) 2022-03-24
WO2019159407A1 (ja) 2019-08-22
CN111801266A (zh) 2020-10-20
DE112018007077T5 (de)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6408B2 (en) Electric driving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7445081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6867245B2 (ja)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1264021B (zh) 电动驱动装置以及电动助力转向装置
CN107444479B (zh) 电动驱动装置及电动助力转向装置
US10965181B2 (en) Electric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N109964392B (zh) 电动驱动装置以及电动动力转向装置
WO2017134959A1 (ja) 駆動装置
JP2007062433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894714B2 (ja)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0892616B (zh) 电动驱动装置及电动动力转向装置
CN113169633A (zh) 电动驱动装置及电动助力转向装置
KR20200108051A (ko)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CN111727545B (zh) 电子控制装置以及电动驱动装置
JP2019134679A (ja) 電動駆動装置
JP6909689B2 (ja)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852945B2 (ja)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7296205B2 (ja) 配線基板、及び電動駆動装置
JP2020028165A (ja)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