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589B1 - 전동 구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구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589B1
KR102536589B1 KR1020180055480A KR20180055480A KR102536589B1 KR 102536589 B1 KR102536589 B1 KR 102536589B1 KR 1020180055480 A KR1020180055480 A KR 1020180055480A KR 20180055480 A KR20180055480 A KR 20180055480A KR 102536589 B1 KR102536589 B1 KR 102536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nit
electric motor
heat dissipation
electric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839A (ko
Inventor
김지환
이수민
이종무
제규영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89B1/ko
Priority to US16/409,738 priority patent/US11511792B2/en
Priority to CN201910393353.5A priority patent/CN110492691A/zh
Priority to DE102019207025.6A priority patent/DE102019207025A1/de
Publication of KR2019013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8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ribs or fins for improving heat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전동 모터의 제어를 수행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의 양측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에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와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구동 제어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ELECTRIC DRIVE}
본 발명은 전동 구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전동 모터의 제어를 수행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의 양측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에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도록 대향 배치된 2개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 EPS) 시스템 등에는 전동 모터의 회전 속도나 회전 토크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부(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전동 모터와 일체로 구성하는 패키징 기술이 채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 내 제한된 장착 공간의 극복을 위하여 패키지 내 배치의 효율화 내지 패키지 사이즈의 축소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차량의 전장 시스템 증가에 따라 패일/세이프티(Fail/Safety) 관련 안전 규정(ISO26262)이 강화 되고 있는 추세 속에서 그 대응 방안으로 리던던시(Redundancy) 설계가 사용되고 있는데, 리던던시 설계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패키지 내에 2개의 전자 제어부를 장착해야 하므로 패키지 내 배치의 효율화 내지 패키지 사이즈의 축소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리던던시 설계는 동일한 전자 제어부의 이중화 설계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전자 제어부는 상호 감시 동작하며 독립적인 운전되어야 하며 각 전자 제어부는 고유의 개별 식별 아이디(ID)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중화 설계로 이루어진 두 전자 제어부는 하드웨어(H/W) 구조에 있어서 동일한 것이 일반적이므로, 만약, 외관상 동일한 전자 제어부에 고유의 식별 아이디를 바운더리 스캔(Boundary Scan)과 같은 소프트웨어(S/W)적인 방법으로 부여한 후 조립 공정을 진행할 경우 두 전자 제어부의 구별이 어려우며, 그 결과 혼입되어 조립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하드웨적으로 풀 업(Pull-down) 저항 및 풀 다 운(Pull-down) 저항을 사용하여 두 전자 제어부의 아이디를 식별할 경우 양산 라인에서 관리를 이원화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321361 “모터구동용 인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모터구동장치와인버터 집적회로 패키지”, 2013. 10. 22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제어부를 전동 모터와 일체로 구성함에 있어서 패키지 내 배치의 효율화 내지 패키지 사이즈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전자 제어부의 방열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방열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전자 제어부를 장착함에 있어서 연결부의 연결단자에 하드웨어적으로 고유 식별 아이디(ID)를 할당함으로써 양산 및 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전동 모터의 제어를 수행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의 양측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에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와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양측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에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여 주는 방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상기 방열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양측 단부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 단부에 접하여 배치되는 환형의 제1 방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1 방열부와 연결된 판형의 제2 방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방열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양측 단부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는 각각 상기 전동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과 관련된 전력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열부는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와 접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전력 회로부와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는 각각 하나의 회로 기판 상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양측 단부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를 상기 전동 모터와 연결하여 주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 및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는 각각 하드웨어적으로 구별되게 부여된 고유 식별 아이디(ID)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식별은 각각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의 고유 식별 아이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 구동 제어 장치는, 상기 연결부는 모터 포지션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제어부를 전동 모터와 일체로 구성함에 있어서 패키지 내 배치의 효율화 내지 패키지 사이즈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전자 제어부의 방열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방열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2개의 전자 제어부를 장착함에 있어서 연결부의 연결단자에 하드웨어적으로 고유 식별 아이디를 할당함으로써 양산 및 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구동 제어 장치가 포함된 전동 구동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전동 구동 제어 장치의 커버부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구동 제어 장치의 제1 제어부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 및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구동 제어 장치가 포함된 전동 구동 패키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서 전동 구동 제어 장치의 커버부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구동 제어 장치(3)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전동 모터의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1)의 양측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A)의 출력부(11)와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제어부(31a), 제2 제어부(31b), 방열부(33), 연결부(35) 및 커버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하우징(1) 내의 전동 모터는 차량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 EPS)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동 모터는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작에 따라 검출된 조향각과 토크에 상응하는 조향 보조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31a)는 상기 모터 하우징(1)의 양측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A)의 출력부(11)와 반대쪽에 상기 회전축(A)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제어부(31a)는 전력 회로부(311a), 연결핀부(313a), 커넥터부(315a), 제어 회로부(317a) 및 스크류 홀(319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31a)는 하나의 회로 기판 상에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회로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전력 회로부(311a)는 상기 전동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과 관련된 회로로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한다. 상기 전력 회로부(311a)는 상기 제1 제어부(31a)에서 주된 발열부가 되며, 뒤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원활한 방열을 위하여 적어도 일부분 이상이 제2 방열부(333)의 돌출부(3331)에 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연결핀부(313a)는 상기 전동 모터와 상기 제1 제어부(31a)를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연결핀부(313a)를 통해 상기 전력 회로부(311a)가 공급하는 전원이 상기 전동 모터로 공급되며, 상기 전동 모터와 관련된 센싱 정보가 상기 제1 제어부(31a)로 전달되기도 한다.
상기 커넥터부(315a)는 상기 제1 제어부(31a)가 외부의 전원(미도시) 및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커넥터부(315a)는 상기 제1 제어부(31a)의 제어 정보나 상기 전동 모터와 관련된 센싱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제1 커넥터(3151a) 및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는 제2 커넥터(315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317a)는 상기 전력 회로부(311a), 상기 연결핀부(313a), 상기 커넥터부(315a)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어 회로부(317a)는 상기 전력 회로부(311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적다.
상기 스크류 홀(319a)은 상기 제1 제어부(31a)를 상기 방열부(33)에 결합시켜주는 스크류(S)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제1 제어부(31a)와 상기 방열부(33) 사이의 결합은 스크류(S)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 홀(319a)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2 제어부(31b)는 상기 제1 제어부(31a)와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A)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제어부(31b)는 상기 제1 제어부(31a)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부(31b)의 외관은 상기 제1 제어부(31a)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31a)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회로 기판, 더욱 구체적으로 하나의 PCB 기판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31b)는 상기 제1 제어부(31a)와 동시에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제어부(31a)의 리던던시로서 상기 제1 제어부(31a)의 작동 시에는 가동되지 않다가 상기 제1 제어부(31a)가 고장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제어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상기 전동 모터의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방열부(33)는 상기 모터 하우징(1)의 양측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A)의 출력부(11)와 반대쪽에 상기 회전축(A)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부(33)는 제1 방열부(331) 및 제2 방열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열부(331)는 상기 모터 하우징(1)의 양측 단부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A)의 출력부(11)와 반대쪽 단부에 접하여 배치되는 환형 부분이다. 상기 제1 방열부(331)는 상기 모터 하우징(1)의 양측 단부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A)의 출력부(11)와 반대쪽 단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방열부(331)는 외주면에 상기 모터 하우징(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스크류 홀(13)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스크류 홀(33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방열부(331)가 상기 모터 하우징(1)의 단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크류를 통해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열부(331)와 상기 모터 하우징(1) 사이에는 수분,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성 확보를 위해 오링(3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열부(333)는 상기 제1 제어부(31a)와 상기 제2 제어부(31b)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A)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1 방열부(331)와 연결된 판형 부분이다.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제2 방열부(333)를 통해 상기 제1 방열부(331)로 전달되어 상기 모터 하우징(1) 또는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제2 방열부(333)는 돌출부(3331), 비돌출부(3333) 및 스크류 홀(33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31)는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와 접하는 상기 제2 방열부(333)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상기 제1 제어부(31a)의 전력 회로부(31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의 전력 회로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된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많은 상기 제1 제어부(31a)의 전력 회로부(311a)와 상기 제2 제어부(31b)의 전력 회로부의 열이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원활히 전도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비돌출부(3333)는 상기 제2 방열부(333)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돌출부(3331)의 주변으로 상기 돌출부(333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비돌출부(3333)는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와 상기 제2 방열부(333) 사이에 공기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스크류 홀(3335)은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의 배치 시 상기 제1 제어부(31a)의 스크류 홀(319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의 스크류 홀과 연통되는 부분으로 스크류(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가 상기 방열부(33)에 결합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상기 제1 방열부(331) 및 상기 제2 방열부(3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기계적 성질 및 열전도도 등에 있어서 유리한 ADC12 등과 같은 알루미늄 합급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35)는 상기 모터 하우징(1)의 양측 단부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A)의 출력부(11)와 반대쪽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를 상기 전동 모터와 연결하여 주는 부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35)는 하나의 회로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회로 기판은 PC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5)는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와 수직으로 만나는 형태로 상기 모터 하우징(1)의 일측 단부면에 일면이 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단자(351), 제1 저항(352), 제2 연결단자(353), 제2 저항(354), 모터 포지션 센싱부(355) 및 스크류 홀(3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단자(351) 및 상기 제2 연결단자(353)는 각각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연결단자(351) 및 상기 제2 연결단자(353)는 각각 상기 제1 제어부(31a)의 연결핀부(313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의 연결핀부와 결합되는 슬롯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단자(351) 및 상기 제2 연결단자(353)는 각각 하드웨어적으로 구별되게 부여된 고유 식별 아이디(ID)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단자(351) 및 상기 제2 연결단자(353)는 각각 고유 식별 아이디가 부여되어 있을 경우, 동일한 PCB 기판 상에 구현된 제1 제어부(31a) 및 제2 제어부(31b)의 식별은 상기 제1 제어부(31a)나 상기 제2 제어부(31b)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연결단자(351) 및 상기 제2 연결단자(353) 가운데 어느 곳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동일한 PCB 기판으로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가 구현되어 외관상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를 구별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연결단자(351)에 결합된 것이 제1 제어부(31a)가 되고, 상기 제2 연결단자(353)에 결합된 것이 제2 제어부(31b)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연결부(35) 상에서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의 식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산 과정에서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의 식별 및 관리를 별도로 할 필요가 없어지며, 혼입으로 인한 조립 불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 저항(352) 및 상기 제2 저항(354)은 상기 제1 연결단자(351) 및 상기 제2 연결단자(353)를 외관상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저항(352) 및 상기 제2 저항(354) 중 어느 하나는 풀 업(Pull-up) 저항이고, 다른 하나는 풀 다운(Pull-down)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단자(351) 및 상기 제2 연결단자(353)을 외관상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포지션 센싱부(355)는 상기 모터 하우징(1) 내에 배치된 전동 모터의 로터의 포지션을 센싱하여 그 정보를 상기 제1 제어부(31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에 전달하여 준다.
상기 스크류 홀(356)은 상기 모터 하우징(1)의 단부면에 상기 연결부(35)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가 삽입되는 홀이다. 상기 스크류 홀(356)은 상기 연결부(35)와 상기 모터 하우징(1) 사이의 체결 방식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7)는 상기 전동 구동 제어 장치(3)를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부분으로 도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되지 않은 타측에도 상기 제1 제어부(31a)의 커넥터부(315a) 및 상기 제2 제어부(31b)의 커넥터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 및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를 커버하는 더스트 필터(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모터 하우징
11: 출력부
3: 전동 구동 제어 장치
31a: 제1 제어부 31b: 제2 제어부(31b)
33: 방열부
331: 제1 방열부 333: 제2 방열부
35: 연결부
351: 제1 연결단자 353: 제2 연결단자
355: 모터 포지션 센싱부
37: 커버부

Claims (10)

  1. 구동력을 생성하는 전동 모터의 제어를 수행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동 모터가 수납된 모터 하우징의 양측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에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와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양측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에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여 주는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양측 단부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 단부에 접하여 배치되는 환형의 제1 방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1 방열부와 연결된 판형의 제2 방열부; 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양측 단부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는 각각 상기 전동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과 관련된 전력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열부는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와 접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전력 회로부와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는 각각 하나의 회로 기판 상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양측 단부 중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의 출력부와 반대쪽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를 상기 전동 모터와 연결하여 주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 및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는 각각 하드웨어적으로 구별되게 부여된 고유 식별 아이디(ID)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식별은 각각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의 고유 식별 아이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모터 포지션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구동 제어 장치.
KR1020180055480A 2018-05-15 2018-05-15 전동 구동 제어 장치 KR102536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480A KR102536589B1 (ko) 2018-05-15 2018-05-15 전동 구동 제어 장치
US16/409,738 US11511792B2 (en) 2018-05-15 2019-05-10 Electric drive control device
CN201910393353.5A CN110492691A (zh) 2018-05-15 2019-05-13 电驱动控制装置
DE102019207025.6A DE102019207025A1 (de) 2018-05-15 2019-05-15 Steuervorrichtung für elektrischen Antrie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480A KR102536589B1 (ko) 2018-05-15 2018-05-15 전동 구동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39A KR20190130839A (ko) 2019-11-25
KR102536589B1 true KR102536589B1 (ko) 2023-05-25

Family

ID=6853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480A KR102536589B1 (ko) 2018-05-15 2018-05-15 전동 구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11792B2 (ko)
KR (1) KR102536589B1 (ko)
CN (1) CN110492691A (ko)
DE (1) DE102019207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1540B2 (ja) * 2018-02-14 2022-03-24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7153483B2 (ja) * 2018-07-02 2022-10-14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4146523A1 (en) * 2020-05-08 2023-03-15 HELLA GmbH & Co. KGaA Electronic control uni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20240107687A1 (en) * 2020-12-10 2024-03-28 Lg Innotek Co., Ltd. Electronic control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3242A (ja) 2008-09-02 2010-03-18 Hitachi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制御装置
JP2017159771A (ja) * 2016-03-09 2017-09-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361B1 (ko) 2005-09-05 2013-10-22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모터구동용 인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모터구동장치와인버터 집적회로 패키지
JP5177711B2 (ja) * 2010-05-21 2013-04-1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装置
US9210829B2 (en) * 2011-01-31 2015-12-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ounting structure for power control unit
CN106953451B (zh) * 2011-07-22 2020-11-03 株式会社日立产机系统 泵装置
JP5853820B2 (ja) * 2012-03-29 2016-02-09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JP6593625B2 (ja) * 2015-05-25 2019-10-2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回転角検出装置
JP6514135B2 (ja) * 2016-03-09 2019-05-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524023B2 (ja) * 2016-06-01 2019-06-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FR3052610B1 (fr) * 2016-06-14 2021-12-03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a electronique de puissance amelioree
JP6837257B2 (ja) * 2016-09-02 2021-03-03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651742B1 (ko) * 2016-10-07 2024-03-28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방열판 어셈블리
KR102508264B1 (ko) 2016-11-17 2023-03-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구
JP2018125940A (ja) *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US10715010B2 (en) * 2017-02-07 2020-07-14 Nidec Motor Corporation Motor controller can with synthetic housing and metal heat sin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3242A (ja) 2008-09-02 2010-03-18 Hitachi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制御装置
JP2017159771A (ja) * 2016-03-09 2017-09-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39A (ko) 2019-11-25
US11511792B2 (en) 2022-11-29
US20190351935A1 (en) 2019-11-21
DE102019207025A1 (de) 2019-12-19
CN110492691A (zh)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589B1 (ko) 전동 구동 제어 장치
US20080091326A1 (en) Electro Mechanical Brake
US10693347B2 (en) Motor device and heat dissipation device
JP2006303106A (ja) 電子回路装置
KR101610901B1 (ko)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CN112104300A (zh) 电机控制装置
CN110710087A (zh) 电动驱动装置及电动动力转向装置
JP2000217310A (ja) ドライバ―一体型モ―タ
JP2007046511A (ja) 複数ファンの結線方法及びスクリューファンユニット
JP738470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06685142B (zh) 用于车辆的hvac系统的鼓风机电机
JPH11313466A (ja)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JP420869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110867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ecu
CN112042084B (zh) 用于旋转电机的控制系统
US20200373813A1 (en) Integrated Motor Electronics
CN219513924U (zh) 伺服系统
JP7059530B2 (ja) 電子制御装置
KR102607264B1 (ko) 전동 구동 제어 장치
WO2020062574A1 (zh) 连接器、动力系统及无人机
CN112290749A (zh) 马达控制装置
US20230059509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Mechatronic Power Conversion Device
KR101650448B1 (ko) 전자 주차 브레이크의 구동 유닛
JP2020145856A (ja) モータ制御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JP2019021731A (ja) 電子制御装置、及び電子制御装置を備えた電子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