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835A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835A
KR20200107835A KR1020200027055A KR20200027055A KR20200107835A KR 20200107835 A KR20200107835 A KR 20200107835A KR 1020200027055 A KR1020200027055 A KR 1020200027055A KR 20200027055 A KR20200027055 A KR 20200027055A KR 20200107835 A KR20200107835 A KR 20200107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680B1 (ko
Inventor
박은경
장민철
송태섭
선세호
이동수
손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2152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13970B2/ja
Priority to US17/257,615 priority patent/US20210273217A1/en
Priority to EP20769062.9A priority patent/EP3809496A4/en
Priority to CN202080003630.8A priority patent/CN112335077A/zh
Priority to PCT/KR2020/003125 priority patent/WO2020184900A1/ko
Publication of KR2020010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0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C23C8/24Nitr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6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lkaline aqueous solutions with pH greater than 8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82After-treatment
    • C23C22/83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4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liquids, e.g. salt baths, liquid suspensions
    • C23C8/42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liquids, e.g. salt baths, liquid suspension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C23C8/48Nitr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32Alkaline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32Alkaline compositions
    • C23F1/34Alkaline compositions for etching copper or alloy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6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은 금속과 질화리튬으로 이루어진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보호층이 형성되어, 음극의 표면에 균일한 이온 전도도와 전기 전도도를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음극으로 리튬을 사용하는 고에너지 밀도 전지를 개발하는데 있어 상당한 관심이 있어 왔다. 예를 들어, 비-전기 활성 재료의 존재로 음극의 중량 및 부피를 증가시켜서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감소시키는 리튬 삽입된 탄소 음극, 및 니켈 또는 카드뮴 전극을 갖는 다른 전기화학 시스템과 비교하여, 리튬 금속은 저중량 및 고용량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전기화학 전지의 음극 활물질로서 매우 관심을 끌고 있다. 리튬 금속 음극, 또는 리튬 금속을 주로 포함하는 음극은, 리튬-이온, 니켈 금속 수소화물 또는 니켈-카드뮴 전지와 같은 전지보다는 경량화 되고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를 구성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프리미엄이 낮은 가중치로 지불되는, 휴대폰 및 랩-탑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용 전지에 대해 매우 바람직하다.
종래의 리튬 이온전지는 음극에 흑연, 양극에 LCO(Lithium Cobalt Oxide)를 사용하여 700 wh/l 수준의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높은 에너지 밀도를 필요로 하는 분야가 확대되고 있어, 리튬 이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켜야 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의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를 500 km 이상으로 늘리기 위해서도 에너지 밀도의 증가가 필요하다.
리튬 이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리튬 전극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리튬 금속은 반응성이 크고 취급하기 어려운 금속으로서 공정에서 다루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으로 리튬 금속을 사용할 경우, 리튬 금속은 전해질, 물 또는 유기용매 등의 불순물, 리튬염 등과 반응하여 부동태층(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부동태층은 국부상의 전류밀도 차이를 초래하여 충전시 리튬 금속에 의한 수지상의 덴드라이트의 형성을 촉진시키고, 충방전시 점차적으로 성장하여 양극와 음극 사이의 내부 단락을 유발한다. 또한, 덴드라이트는 기계적으로 약한 부분(bottle neck)을 가지고 있어 방전중에 집전체와 전기적 접촉을 상실하는 불활성 리튬(dead lithium)을 형성함으로써 전지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싸이클 수명을 단축시키며, 전지의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리튬 금속 음극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성 또는 형태를 가지는 보호층이 형성된 리튬 금속 음극이 개발되어 왔다 (중국공개특허 제107863488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12541호).
그러나, 리튬 이차전지에서 전반적인 전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리튬 금속 음극의 보호층에 대한 연구 성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전지에서, 전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극 표면에서 균일한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어 리튬 덴드라이트 성장을 억제하고 dead Li의 발생을 방지하는 리튬 금속 음극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국공개특허 제107863488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12541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내부에 공동(void)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리튬 금속층의 표면에 전사시켜 음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3차원 구조체는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 형성된 질화리튬층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질화리튬층에 의해 리튬 금속층의 표면에 균일한 이온 전도도와 전기 전도도가 유도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튬 금속층의 표면에서 균일한 이온 전도도와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튬 금속층; 및 상기 리튬 금속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서, 상기 보호층은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3차원 구조체는 금속 및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한다.
상기 금속은 Cu, Si, Ge, Zn 및 T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리튬 친화적 금속(Lithiophilic Metal)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1 내지 3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3차원 구조체는 금속 50 내지 99 중량% 및 질화리튬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금속층의 두께는 1 내지 700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S1) 에칭 용액에 금속을 침지시켜,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질화(nitration) 반응시켜,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리튬 금속층 상에 전사시켜, 금속 및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에칭 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리튬 및 암모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카라인(alkaline)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칭 용액은 과황산암모늄 (Ammonium persulfate),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황산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질화 반응은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에 질소공급원 가스를 반응시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질소공급원 가스는 암모니아(NH3), 질소(N2) 및 아산화질소(N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상기 리튬 금속층에 접하게 한 후 가압하여 전사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아 화학합성을 통해서만 제조 가능한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 수산화물의 질화 반응을 통해 3차원 구조의 금속질화물을 형성한 다음 리튬 금속층에 전사하는 공정에 의해 질화리튬이 리튬 금속 표면에 자발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튬 금속층 및 상기 금속과 질화리튬으로 이루어진 3차원 구조체가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할 수 있다. 질화리튬은 리튬 이온 전도도가 우수하므로, 상기 리튬 금속층 표면에 형성된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보호층으로 인하여, 상기 리튬 금속층의 표면이 균일한 이온 전도도와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리튬 금속층과 전해액과의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상기 질화리튬은 금속과 함께 상기 보호층에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하므로,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방지하고, 리튬 이온이 리튬 금속층의 표면에 매끄럽고 밀집된 구조로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의 수명과 안전성을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과 질화리튬으로 이루어진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보호층으로 인하여, 리튬 금속 표면의 저항을 낮출 수 있고, 지속적인 충방전 이후에도 부반응이 최소화되어 계면의 안정성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에 포함된 3차원 구조체로 인하여, 리튬 금속층 상에 국소적으로 높은 커런트가 나타내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종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음극에 대한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4에서 각각 제조된 음극 표면에 대한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이다.
도 5a 및 5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구동 시 음극에서의 리튬 증착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각각 음극의 표면 및 종단면에 대한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각각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4에서 각각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명특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성능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 LCO 전극 포함 리튬 이차전지, 도 7b: LTO 전극 포함 리튬 이차전지).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3차원 구조"는 내부에 공동(void)을 포함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공동은 기공, 통로 등과 같이 빈 공간의 형태를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구조체"는 내부에 공동(void)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framework)로서, 상기 프레임이 금속 및 질화리튬으로 이루어진 구조체를 의미한다.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본 발명은, 리튬 금속층; 및 상기 리튬 금속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서, 상기 보호층은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3차원 구조체는, 금속 및 질화리튬(Li3N)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종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1)은 리튬 금속층(10); 및 리튬 금속층(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층(2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리튬 금속층(10)은 집전체(미도시)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에 형성된 3차원 구조체는, 금속 및 질화리튬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50 내지 99 중량% 및 질화리튬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전기 전도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상기 3차원 구조체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구리, Cu, Si, Ge, Zn 및 T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리튬 친화적 금속(Lithiophilic Metal)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서 리튬 친화적 금속을 사용할 경우,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 형성에 유리할 수 있고, 리튬 금속 표면의 저항을 낮출 수 있으며, 지속적인 충방전 이후에도 부반응이 최소화되어 계면의 안정성을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상기 3차원 구조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의 함량은 상기 3차원 구조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가능하고, 99 중량% 이하, 98 중량% 이하 가능하다. 상기 금속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3차원 구조체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리튬 금속층 표면에서의 전기 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고, 99 중량% 초과이면, 상기 3차원 구조체 내에 포함된 질화리튬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리튬 이온 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질화리튬은 높은 리튬 이온 전도도로 인하여 리튬 금속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 물질로서 적합하다. 상기 리튬 금속의 보호층 물질로서 질화리튬을 사용할 경우, 리튬 금속과 전해액의 계면에서 전기 전도도를 낮추고 이온 전도도를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질화리튬은 상기 3차원 구조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질화리튬의 함량은 상기 3차원 구조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가능하고, 5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가능하다. 상기 질화리튬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음극에서의 리튬 이온 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고, 50 중량% 초과이면 상기 3차원 구조체 내에 포함된 금속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3차원 구조체의 내구성과 전기 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1 ㎛ 내지 30 ㎛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1 ㎛ 이상, 2 ㎛ 이상 가능하고, 30 ㎛ 이하, 10 ㎛ 이하, 5 ㎛ 이하 가능하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가 1 ㎛ 미만이면 수분 및 외기로부터 상기 리튬 금속층을 보호하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30 ㎛ 초과이면 보호층 자체가 저항으로 작용하여 전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튬 금속층의 두께는 1 ㎛ 내지 700 ㎛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 금속층의 두께는 1 ㎛ 이상, 5 ㎛ 이상, 50 ㎛ 이상, 100 ㎛ 이상 가능하고, 700 ㎛ 이하, 600 ㎛ 이하, 550 ㎛ 이하 가능하다. 상기 리튬 금속층의 두께가 1 ㎛ 미만이면 전지 용량이 저하될 수 있고, 700 ㎛ 초과이면 리튬 덴드라이트 성장 억제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및 소성 탄소 중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리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은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체는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체는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또한, (S1) 에칭 용액에 금속을 침지시켜,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질화(nitration) 반응시켜,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리튬 금속층 상에 전사시켜, 금속 및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는, 에칭 용액에 금속을 침지시켜,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Cu, Si, Ge, Zn 및 T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리튬 친화적 금속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은 상기 금속을 에칭시킬 수 있는 상기 금속용 에칭 용액과 반응하여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하고, 질화 반응에 의해 금속 질화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리튬 친화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금속 질화물과 리튬과의 반응에 의해 질화리튬을 형성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금속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은 Cu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용 에칭 용액은 상기 금속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을 포함하는 물질을 에칭시키면서 3차원 구조로 성장시켜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은 상기 에칭 용액에 의해 에칭되어, 나노 와이어(nanowire, NW) 또는 나노로드(nanorod, NR) 형태로 성장하여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용 에칭 용액은 알카라인를 포함하거나, 또는 알카라인과 과황산염을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용 에칭 용액은 알칼라인과 과황산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하는 시간이 단축된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용 에칭 용액의 농도는 1 M 내지 10 M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용 에칭 용액의 농도는 1 M 이상, 1.5 M 이상, 2 M 이상 가능하고, 10 M 이하, 8 M 이하, 5 M 이하 가능하다. 상기 금속용 에칭 용액의 농도가 1 M 미만이면 3차원 구조의 금속 수화물이 합성되는 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있고, 10 M 초과이면 3차원 구조의 금속 수화물이 합성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용 에칭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용매로 사용한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알카라인(alkaline)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리튬 및 암모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일 수 있다. 상기 과황산염은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APS),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황산암모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는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질화(nitration) 반응시켜,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질화 반응은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에 질소공급원 가스를 반응시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분위기는 질소, 아르곤, 헬륨, 네온 및 제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활성 가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활성 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일 수 있다.
상기 질소공급원 가스는 암모니아(NH3), 질소(N2) 및 아산화질소(N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일 수 있다.
상기 질소공급원 가스를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에 흘려주면 질화 반응이 진행되어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는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리튬 금속층 상에 전사시켜, 금속 및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는, 상기 3차원 구조의 질화금속층을 리튬 금속층 상에 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전사는, 상기 3차원 구조의 질화금속층을 리튬 금속층에 접하게 한 다음, 가압에 의해 기계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를 가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사 시에는 상기 리튬 금속층에 포함된 일부의 리튬 금속과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질화물이 반응하여, 상기 리튬 금속층 상에 금속과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리튬 금속층 상에 보호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금속과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을 갖는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도전재 및 바인더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NiaCobMnc)O2(0<a<1, 0<b<1, 0<c<1, a+b+c=1), LiNi1 - yCoyO2, LiCo1 - yMnyO2, LiNi1 - yMnyO2(O≤y<1), Li(NiaCobMnc)O4(0<a<2, 0<b<2, 0<c<2, a+b+c=2), LiMn2 - zNizO4, LiMn2 - zCozO4(0<z<2), LiCoPO4 및 LiFe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산화물(oxide) 외에 황화물(sulfide), 셀렌화물(selenide) 및 할로겐화물(halide)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은 황 원소(elemental sulfur, S8), 황 계열 화합물, 황-탄소 복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황 계열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Li2Sn(n≥1), 유기황 화합물 또는 탄소-황 폴리머((C2Sx)n: x=2.5∼50, n≥2)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내지 8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 활물질의 함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가능하고, 80 중량% 이하, 78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의 함량이 60 중량% 미만이면 전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80 중량% 초과이면 양극 활물질 이외의 선형 도전재 또는 바인더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도전성 또는 내구성과 같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SBR (Styrene-Butadiene Rubber)/CMC (Carboxymethyl Cellulose),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알킬레이티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코폴리머(상품명: Kynar),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피리딘,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산, 이들의 유도체, 블랜드, 코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가능하고, 20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가능하다. 상기 바인더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양극 활물질간 또는 양극 활물질과 집전체간 결착력이 크게 개선되고, 용량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폴리설파이드와 바인더로 사용되는 고분자 사슬의 특정 작용기 간 상호작용에 의한 폴리설파이드 용출 억제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의 함량이 20 중량% 초과이면 전지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상기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리튬 이차전지에서 화학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전자 전도성 물질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휘스커; 산화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상기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집전체는 양극 활물질과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도록,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은 음극과 양극을 서로 분리 또는 절연시키고, 음극과 양극 사이에 이온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기재는, 통상적으로 전기화학소자에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막(membrane) 또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막의 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한 고분자로 형성한 막(membrane)을 들 수 있다.
상기 부직포로는 폴리올레핀계 부직포 외에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 (polyester), 폴리아세탈 (polyacetal), 폴리아미드 (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olyetheretherketone), 폴리에테르설폰 (polyethersulfone),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polyphenyleneoxid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렌 (polyethylenenaphthalene)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한 고분자로 형성한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부직포의 구조는 장섬유로 구성된 스폰본드 부직포 또는 멜트 블로운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 ㎛ 내지 100 ㎛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기재의 두께는 1 ㎛ 이상, 5 ㎛ 이상 가능하고, 100 ㎛ 이하, 50 ㎛ 이하 가능하다.
다공성 기재에 존재하는 기공의 크기 및 기공도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각각 0.001㎛ 내지 50㎛ 및 10% 내지 95%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분리막에 의해 구분된 양극 측의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측의 음극 전해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은 각각 용매 및 전해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수계 전해액 또는 비수계 전해액일 수 있다. 상기 수계 전해액은 용매로서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수계 전해액은 용매로서 비수계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수 전해액에 포함되는 전해질 염은 리튬염이다. 상기 리튬염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것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튬염은 LiFSI, LiPF6,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P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및 4-페닐 붕산 리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전술한 비수 전해액에 포함되는 유기용매로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선형 카보네이트, 환형 카보네이트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는 환형 카보네이트, 선형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슬러리인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1,2-부틸렌 카보네이트, 2,3-부틸렌 카보네이트, 1,2-펜틸렌 카보네이트, 2,3-펜틸렌 카보네이트, 비닐렌 카보네이트, 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할로겐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슬러리가 있다. 이들의 할로겐화물로는 예를 들면,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fluoroethylene carbonate, FEC)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슬러리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카보네이트계 유기용매 중 환형 카보네이트인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고점도의 유기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질 내의 리튬염을 보다 더 잘 해리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환형 카보네이트에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보다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전해액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용매 중 에테르로는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디프로필 에테르, 메틸에틸 에테르, 메틸프로필 에테르 및 에틸프로필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슬러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유기 용매 중 에스테르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카프로락톤, σ-발레로락톤 및 ε-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슬러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수 전해액의 주입은 최종 제품의 제조 공정 및 요구 물성에 따라, 전기화학소자의 제조 공정 중 적절한 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다. 즉, 전기화학소자 조립 전 또는 전기화학소자 조립 최종 단계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인 공정인 권취(winding) 이외에도 세퍼레이터와 전극의 적층(lamination, stack) 및 접음(folding) 공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원통형, 적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들 전지의 구조와 제조 방법은 이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사용하는 양극/음극 재질에 따라 리튬-황 전지, 리튬-공기 전지, 리튬-산화물 전지, 리튬 전고체 전지 등 다양한 전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모듈은 고온 안정성, 긴 사이클 특성 및 높은 용량 특성 등이 요구되는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의 예로는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도 2에 나타난 공정에 따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하였다.
(1)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 형성 (Cu(OH)2NW foil)
금속은 18 ㎛ 두께의 Cu foil, 금속용 에칭 용액은 0.133M의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수용액과 2.67M의 NaOH 수용액을 1:1 무게비로 혼합한 에칭 용액을 사용하였다.
상기 Cu foil을 상기 에칭 용액에 10분 동안 담가 에칭시킨 다음,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세척(washing)하고, 50℃ 오븐에서 베큠(vacuum) 건조하여, 3차원 구조의 Cu 수산화물인 Cu(OH)2NW foil을 제조하였다 (NW: nanowire)
(2)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질화시켜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 형성 (Cu3N NW foil)
질소 가스에 의해 형성된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인 Cu(OH)2NW foil에 암모니아 가스를 흘려주어 질화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인 Cu3N NW foil을 제조하였다.
(3)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리튬 금속층에 전사 (Li3N@Cu3N NW-Li)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인 Cu3N NW foil를 500 ㎛ 두께의 리튬 금속층 상에 접하게 한 후 압연하여 상기 리튬 금속층 상에 Cu3N NW foil을 전사시키는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상기 리튬 금속층 상에 Cu와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를 형성시켰다.
전사 공정 후, 상기 리튬 금속층 상에 상기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두께 3 ㎛인 보호층이 형성된 음극이 제조된 것을 확인하였다 (Li3N@Cu3N NW-Li).
실시예 2: 리튬 이차전지 (Full cell test용)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음극(500 ㎛ 두께의 리튬에 3차원 구조체가 전사되어 보호층이 형성된 형태), LCO(LiCoO2) : ketjen black : PVDF(Polyvinylidene fluoride)을 8:1:1로 혼합한 LCO 전극을 양극으로 사용하였다. 전해액은 용매로써 EC/DEC(3:7, v/v)을 사용하고, 1.3M LiPF6와 5% 중량의 FEC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제조된 전해액 및 폴리 프로필렌 분리막을 사용하여 코인셀 형태의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EC: ethylene carbonate, DEC: diethyl carbonate, FEC: fluoroethylene carbonate).
비교예 1: 보호층이 없는 리튬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두께가 500 ㎛인 리튬 금속 박막을 음극(Bare Li)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리튬 금속층 상에, 3차원 구조의 질화금속층인 Cu3N NW foil을 접하게 한 후 가압하지 않고 전사 공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압 공정을 실시하지 않아, 상기 리튬 금속층 상에 Cu와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 박막 형태의 보호층이 형성된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500 ㎛의 리튬 금속층(Honjo, lithium 1415)을 준비하였다.
Cu3N 나노 파우더 70 중량% 및 SBR(Styrene Butadiene Rubber) 바인더 30 중량%를 혼합하여 보호층 형성용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보호층 형성용 슬러리를 상기 리튬 금속층에 4 ㎛ 두께로 코팅한 후 건조시켜 리튬 금속층 및 Cu3N를 포함하는 레이어 형태의 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이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박막 형태의 보호층이 형성된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금속으로서 Cu foil 대신 Cu foam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상기 Cu3N NW foil 대신 Cu3N NW foam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Cu3N NW foam을 액체 리튬(molten Li)과 200℃에서 반응시켜, Li가 상기 Cu3N NW foam의 내부 공간으로 침지된 형태의 음극을 제조하였다 (Li infiltrated Cu3N NW).
상기 음극을 이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광전자 분석 실험
실시예 1에서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Cu3N NW foil)을 리튬 금속층에 전사한 후, 질화리튬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음극에 대하여 광전자 분석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을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Li3N@Cu3N NW-Li) 및 비교예 1(Bare Li)의 음극에 대한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음극은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Cu3N NW foil)이 리튬 금속층에 전사된 후, 자발적 반응에 의해 Cu3N가 Cu로 환원되고, Li3N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분석
도 4은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4에서 각각 제조된 음극 표면에 대한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음극은 Bare Li의 표면이고, 실시예 1의 음극에는 공동(void)이 형성된 3차원 구조체 형태의 보호층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4의 음극은 foam의 내부에 리튬이 침지된 형태가 관찰되었다.
실험예 3: 리튬 이차전지 구동시 음극의 형태 관찰
실시예 1(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보호층이 형성된 리튬 음극) 및 비교예 1(Bare Li)에서 각각 제조된 음극을 이용하여 대칭셀(symmetric cell)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칭셀을 구동시 음극에서의 리튬 증착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3 내지 20 mAh/cm2 조건 하에 상기 대칭셀을 구동하여 음극의 표면 및 종단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구동시 음극에서의 리튬 증착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각각 음극의 표면 및 종단면에 대한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경우 리튬 덴드라이트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리튬 이차전지 수명특성 측정(1)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4 에서 각각 제조된 음극을 이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1 mAh/cm2 충전 및 1 mAh/cm2 방전 조건 하에서 리튬 이차전지를 구동하였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각각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명특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들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은 600 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반면(도 6a), 비교예 1은 100 시간까지도 구동하는 것이 어렵고(도 6b), 비교예 4는 500 시간까지도 구동하는 것이 어려운 것(도 6c)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리튬 이차전지 수명특성 측정(2)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때, 양극 활물질로는 각각 LCO(LiCoO2) 및 LTO(Li4Ti5O12)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설계하였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1 mAh/cm2 충전 및 1 mAh/cm2 방전 조건 하에서 충방전시켰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성능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 LCO 전극 포함 리튬 이차전지, 도 7b: LTO 전극 리튬 이차전지).
LCO 전극 같은 경우 상용 전극 수준의 단위 면적당 용량 3.4 mAh·cm-2로 제작되어, 전체 셀을 0.5C rate (~1.7 mA·cm- 2)로 수명 평가를 하였고, LTO 전극의 경우 단위 면적당 용량 약 0.5 mAh·cm-2로 제작하여 4C rate (~2 mA·cm- 2)로 수명 평가를 하였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양극 활물질로서 LCO를 사용하는 경우와 LTO를 사용하는 경우 모두 실시예 1이 성능이 비교예 1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음극
10: 리튬 금속층
20: 보호층(3차원 구조체)

Claims (12)

  1. 리튬 금속층; 및 상기 리튬 금속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서,
    상기 보호층은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3차원 구조체는 금속 및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Cu, Si, Ge, Zn 및 T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리튬 친화적 금속(Lithiophilic Metal)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1 내지 30 ㎛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구조체는 금속 50 내지 99 중량% 및 질화리튬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금속층의 두께는 1 내지 700 ㎛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6. (S1) 에칭 용액에 금속을 침지시켜,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을 질화(nitration) 반응시켜,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리튬 금속층 상에 전사시켜, 금속 및 질화리튬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에칭 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리튬 및 암모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카라인(alkaline)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 용액은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황산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질화 반응은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수산화물에 질소공급원 가스를 반응시켜 수행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공급원 가스는 암모니아(NH3), 질소(N2) 및 아산화질소(N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3차원 구조의 금속 질화물을 상기 리튬 금속층에 접하게 한 후 가압하여 전사시키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200027055A 2019-03-08 2020-03-04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8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26186A JP7213970B2 (ja) 2019-03-08 2020-03-05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17/257,615 US20210273217A1 (en) 2019-03-08 2020-03-05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EP20769062.9A EP3809496A4 (en) 2019-03-08 2020-03-05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REFORE
CN202080003630.8A CN112335077A (zh) 2019-03-08 2020-03-05 锂二次电池用负极、其制造方法以及包含该负极的锂二次电池
PCT/KR2020/003125 WO2020184900A1 (ko) 2019-03-08 2020-03-05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6807 2019-03-08
KR1020190026807 2019-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835A true KR20200107835A (ko) 2020-09-16
KR102488680B1 KR102488680B1 (ko) 2023-01-17

Family

ID=7266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055A KR102488680B1 (ko) 2019-03-08 2020-03-04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73217A1 (ko)
EP (1) EP3809496A4 (ko)
JP (1) JP7213970B2 (ko)
KR (1) KR102488680B1 (ko)
CN (1) CN1123350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6151A (zh) * 2021-03-08 2021-06-25 江汉大学 一种氮化物修饰集流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3287B2 (en) 2020-09-24 2024-04-16 6K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tarting plasma
CA3196653A1 (en) 2020-10-30 2022-05-05 Sunil Bhalchandra BADWE Systems and methods for synthesis of spheroidized metal powders
CN113140812A (zh) * 2021-03-04 2021-07-20 恒大新能源技术(深圳)有限公司 锂金属负极及其制备方法、锂二次电池
CN115036465A (zh) * 2021-03-04 2022-09-09 上海卡耐新能源有限公司 锂金属负极及其制备方法、锂二次电池
CN113823767B (zh) * 2021-09-02 2023-08-0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用于锂金属电池的改性负极及其制备方法
CN113991067B (zh) * 2021-10-27 2023-09-29 福州大学 一种开放式锂金属负极二次电池
WO2023212540A1 (en) * 2022-04-25 2023-11-02 Krishna Kumar Sarode Polymer-supported and lithiophilic material impregnated carbon fiber protection for li-metal stability
CN114899348B (zh) * 2022-06-21 2023-06-23 天目湖先进储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锂枝晶抑制作用的活化负极
WO2024039607A1 (en) * 2022-08-17 2024-02-22 Soelect Inc Functional battery separ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484A (ko) * 2003-07-08 2005-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리튬 이차 전지
KR20090018775A (ko) * 2006-03-22 2009-02-23 시온 파워 코퍼레이션 재충전 가능한 리튬 전지를 포함하는, 수성 및 비―수성 전기화학 전지 모두에서 전극 보호
KR20170026098A (ko) * 2015-08-31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금속 음극을 포함한 리튬금속전지, 상기 리튬 금속 음극을 보호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보호막
KR20180012541A (ko) 2016-07-27 2018-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7863488A (zh) 2017-09-21 2018-03-30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复合锂金属负极片的制备方法及复合锂金属负极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2282A1 (fr) * 2006-07-18 2008-01-18 Hydro Quebec Materiau multi-couches a base de lithium vif, procedes de preparation et applications dans les generateurs electrochimiques
CN102315420B (zh) * 2010-07-05 2014-09-10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具有保护层的金属负极结构及其制备方法
CN104882632B (zh) * 2015-06-03 2017-03-01 浙江大学 一种聚硫氰酸锂阴极液及其半液流锂硫电池
EP3136475B1 (en) * 2015-08-31 2021-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thium metal battery
US10847799B2 (en) * 2016-04-29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metal battery and lithium metal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06159200B (zh) * 2016-07-29 2019-01-11 中国科学院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一种具有保护涂层的金属锂负极及其制备和应用
KR102003307B1 (ko) * 2016-09-21 2019-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중 보호층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484A (ko) * 2003-07-08 2005-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리튬 이차 전지
KR20090018775A (ko) * 2006-03-22 2009-02-23 시온 파워 코퍼레이션 재충전 가능한 리튬 전지를 포함하는, 수성 및 비―수성 전기화학 전지 모두에서 전극 보호
KR20170026098A (ko) * 2015-08-31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금속 음극을 포함한 리튬금속전지, 상기 리튬 금속 음극을 보호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보호막
KR20180012541A (ko) 2016-07-27 2018-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7863488A (zh) 2017-09-21 2018-03-30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复合锂金属负极片的制备方法及复合锂金属负极片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ohui Bai et al., Surface modification via a nanosized nitride material to stabilize lithium metal anode, Ceramics International 45, 2019, 8045-8048 (2019.01.05.)* *
Yayuan Liu et al., An Artificial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with High Li-Ion Conductivity, Mechanical Strength, and Flexibility for Stable Lithium Metal Anodes, Adv. Mater. 2017, 29, 1605531 (2016.12.2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6151A (zh) * 2021-03-08 2021-06-25 江汉大学 一种氮化物修饰集流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036151B (zh) * 2021-03-08 2022-12-27 江汉大学 一种氮化物修饰集流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9496A4 (en) 2021-10-27
EP3809496A1 (en) 2021-04-21
JP7213970B2 (ja) 2023-01-27
US20210273217A1 (en) 2021-09-02
KR102488680B1 (ko) 2023-01-17
JP2021530855A (ja) 2021-11-11
CN112335077A (zh)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68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722996B1 (ko) 전해액과 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극
KR101540618B1 (ko)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402110B1 (ko) 이차전지용 음극의 전리튬화 방법
KR101527748B1 (ko)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KR20150040736A (ko) 규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US11476456B2 (en) Lithium cobalt-base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of, posi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80124724A (ko)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1495302B1 (ko) 다층구조 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6827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US10008720B2 (en) Method of preparing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N112514133A (zh) 锂二次电池
JP7134556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US1123327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pretreatment discharge
KR20210109896A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1514303B1 (ko)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KR20200095713A (ko)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CN111129433B (zh) 用于从电化学电池中除去可能形成氢的化合物的方法
KR101514297B1 (ko)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KR20220109699A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210083098A (ko)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KR20140008956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20240063437A1 (en) Organic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EP4040536A1 (en) Secondary battery
US1105004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ing lithium metal as negative electr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