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451A -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 Google Patents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451A
KR20200105451A KR1020200100941A KR20200100941A KR20200105451A KR 20200105451 A KR20200105451 A KR 20200105451A KR 1020200100941 A KR1020200100941 A KR 1020200100941A KR 20200100941 A KR20200100941 A KR 20200100941A KR 20200105451 A KR20200105451 A KR 20200105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ster
catching
mission
monsters
prob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200100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5451A/ko
Publication of KR2020010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451A/ko
Priority to KR1020200162050A priority patent/KR102307611B1/ko
Priority to KR1020200162055A priority patent/KR102506652B1/ko
Priority to PCT/KR2020/019397 priority patent/WO20220349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1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using advertis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몬스터 잡기 앱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줄넘기 회전수를 계산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 및 줄넘기 가운데 충격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충격량에 따라 음계가 선택되어 연주를 할 수 있는 줄넘기로 구성된 것으로써, 몬스터 잡기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주변의 환경을 탐색하는 단계; 특정 지역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몬스터가 탐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몬스터를 잡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단계; 몬스터를 잡지 않을 경우 탐색을 계속하는 단계; 몬스터를 잡을 경우 몬스터 잡기를 선택하여 미션을 부여 받는 단계; 미션에 따라 스마트폰 몬스터 잡기 앱과 연동된 줄넘기를 통한 미션을 수행하여 몬스터 잡을 확률을 상승시키는 단계; 전송된 줄넘기를 통한 미션 수행 결과를 반영한 몬스터 잡기 성공 결과가 계산되는 단계; 만일 잡았으면 성공 알림이 표시되고 잡은 몬스터는 몬스터 수집 목록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이다.
[색인어]
몬스터잡기, 포켓몬, 증강현실, 줄넘기, 충격센서, 줄넘기 회전수

Description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How to catch monsters using jump rope}
본 발명은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줄넘기를 넘을 때에 회전한 회전수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줄넘기 및 줄넘기를 넘을 때에 줄넘기 줄 가운데 설치된 충격센서에서 발생하는 충격량에 따라 음계가 선택되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줄넘기의 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줄넘기를 기반으로 이것들을 가지고 주어진 미션을 완료하여 그 결과값을 몬스터를 잡는 확률을 상승시키는 값으로 사용하여 재미있는 몬스터 잡기 게임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넘기를 넘을 때 줄넘기 손잡이에서 줄넘기 줄이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여 그 회전수를 기계적으로 표시해주는 줄넘기가 있었다. 이를 회전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그 회전수에 따라 운동량을 측정해주는 서비스로 현재는 발전하고 있다.
또한 줄넘기 줄 가운데 충격센서를 설치하여 줄넘기를 넘을 때 발생하는 충격센서의 충격량의 강약에 따라 음계의 값을 결정하여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줄넘기도 있다.
이러한 줄넘기들은 해당 줄넘기의 회전수 또는 충격량을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앱에 그 값을 전송하여 운동량을 측정하던가 또는 음악을 연주하는 값으로 하여 소리를 발생시켜 악기를 연주하는 듯한 효과를 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해당 줄넘기들이 가지고 있는 회전수 또는 충격량을 가지고 몬스터 잡기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여 다양한 잡을 가능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하여 재미있는 줄넘기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줄넘기에 설치된 회전수 감지센서 및 충격량 측정 센서를 통해 생성된 값을 몬스터를 잡는 스마트폰 앱에서 특정 미션을 수행하였는지 판단하여 그 값을 몬스터를 잡을 확률을 상승시키는데 사용하여 아슬아슬한 몬스터 사냥 앱을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몬스터 잡기 앱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줄넘기 회전수를 계산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 및 줄넘기 가운데 충격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충격량에 따라 음계가 선택되어 연주를 할 수 있는 줄넘기로 구성된 것으로써, 몬스터 잡기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주변의 환경을 탐색하는 단계; 특정 지역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몬스터가 탐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몬스터를 잡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단계; 몬스터를 잡지 않을 경우 탐색을 계속하는 단계; 몬스터를 잡을 경우 몬스터 잡기를 선택하여 미션을 부여 받는 단계; 미션에 따라 스마트폰 몬스터 잡기 앱과 연동된 줄넘기를 통한 미션을 수행하여 몬스터 잡을 확률을 상승시키는 단계; 전송된 줄넘기를 통한 미션 수행 결과를 반영한 몬스터 잡기 성공 결과가 계산되는 단계; 만일 잡았으면 성공 알림이 표시되고 잡은 몬스터는 몬스터 수집 목록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몬스터 사냥게임인 포켓몬고에서 단순한 조작에 의한 몬스터 사냥이 아니라 보다 실감나고 현실적인 난이도를 제공하기 위해 줄넘기를 사용하여 그 재미를 더해주는 게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의 게임수행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의 개략적인 스마트폰 앱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의 게임수행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게임수행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우선 게임의 제목(100)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되고 있는 주변 환경(200)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되고 있는 주변 환경에 여러 종류의 몬스터(300)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주변 환경은 건물, 동상, 상징물, 간판, 강, 호수, 분수, 동물, 식물, 자동차, 비행기 등 다양한 것들을 말한다.
그리고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앱을 실행시키고 있는 게임 이용자는 몬스터들을 선택(400)하고 해당 몬스터들에 대한 기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게임수행인터페이스 맨 아래에 게임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몬스터에 대한 정보(500)가 표시된다.
게임정보는 몬스터의 이름, 하트의 개수로 표시되는 몬스터의 등급, 몬스터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선택버튼, 몬스터의 체력, 힘, 민첩, 마법에 대한 수치 및 선택한 몬스터를 잡을 지를 선택하는 선택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의 개략적인 스마트폰 앱 구성도이다.
도 2에 표시한 구성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앱 화면에 제공되고 그 주변 환경에 매칭되어 몬스터들이 생성되고 해당 몬스터들 중에 잡을 수 있는 대상을 선택하여 주어지는 줄넘기 미션을 수행하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올려서 몬스터를 수집하는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수행인터페이스(100); 게임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게임 조작부(200);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된 동영상을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게임수행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증강현실구현부(300); 주변 환경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몬스터의 등급에 따른 출현 확률을 계산하여 몬스터를 증강현실화면에 생성하여 제공하는 몬스터제공부(400); 선택된 몬스터의 정보를 제공하는 몬스터정보제공부(500); 몬스터잡기를 선택할 경우 해당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을 상승시키기 위한 미션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미션생성부(600); 미션이 실행되었는지 판단하여 몬스터잡기처리부에 통보해 주는 미션수행판단부(700); 미션수행에 따른 몬스터잡기확률의 상승을 바탕으로 몬스터 잡기가 실행되는 몬스터잡기처리부(800); 잡힌 몬스터를 저장하고 있는 잡힌 몬스터저장부(900); 잡을 수 있는 몬스터의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몬스터목록저장부(1000); 몬스터생성을 위한 주변 환경 가중치 값을 가지고 있는 주변환경가중치데이터베이스(1100); 몬스터 잡기 확률을 올릴 수 있도록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제공부(1200); 광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광고데이터베이스(1300)를 포함한다.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앱 화면에 제공되고 그 주변 환경에 매칭되어 몬스터들이 생성되고 해당 몬스터들 중에 잡을 수 있는 대상을 선택하여 주어지는 줄넘기 미션을 수행하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올려서 몬스터를 수집하는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수행인터페이스(100)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인식하고 해당 환경의 가중치와 몬스터가 출현할 확률을 계산하여 몬스터가 출연하도록 하고 이를 잡기를 원할 경우 일정한 미션을 부여하며 이를 줄넘기의 일정 시간 동안의 회전수 및 충격센서에 의한 악기 연주 등을 통한 미션 수행 결과 값을 가지고 몬스터를 잡을 확률을 상승시켜 몬스터를 잡는 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게임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게임 조작부(200)는 주변 환경이 촬영되어 증강현실이 구현되는 스마트폰 화면 내에서 손가락으로 몬스터 및 몬스터 정보 등을 터치하여 선택하고 정보 등을 제공받는 등 게임을 수행하는데 보조하는 컨트롤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된 동영상을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게임수행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증강현실구현부(300)는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스마트폰 화면으로 제공되고 각각의 촬영된 주변 환경의 평가 가중치 및 몬스터의 등급에 따른 출현 확률에 따라 몬스터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져서 함께 스마트폰 화면에 제공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주변 환경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몬스터의 등급에 따른 출현 확률을 계산하여 몬스터를 증강현실화면에 생성하여 제공하는 몬스터제공부(400)는 예를들어 몬스터의 등급을 5등급으로 나누고 해당 등급이 상승함에 따라 출현할 수 있는 확률이 점점 낮아지고 또한 같은 등급이라도 일반 몬스터인 경우 출현 확률이 더 높고 특별 몬스터인 경우 더 낮게 책정되어 있으며 주변 환경의 중요도를 5등급으로 나누고 해당 등급이 상승함에 따라 몬스터의 출현할 수 있는 확률이 점점 낮아지고 또한 주변 환경의 종류에 따라 출현할 수 있는 몬스터의 종류도 달라지도록 하는 것이다.
선택된 몬스터의 정보를 제공하는 몬스터정보제공부(500)는 증강현실로 나타나는 몬스터들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몬스터의 이름, 등급, 스킬이나 방어력 및 공격력, 회피력이나 주요 무기 및 방어구 등의 착용정보, 체력, 힘, 민첩, 마력과 같은 스텟 등이 포함된다.
몬스터잡기를 선택할 경우 해당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을 상승시키기 위한 미션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미션생성부(600)는 줄넘기를 정해진 시간 안에 몇 회를 넘을 수 있는가를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많이 넘을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또는 줄넘기 넘는 정해진 횟수를 얼마 만에 넘을 수 있는가를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시간이 짧을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또는 줄넘기에 장착되어 있는 충격센서의 충격량에 의해 미션 음악의 일정 소절이 연주되는 것을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정확한 일치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수행 시간이 짧을 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또는 줄넘기에 장착되어 있는 충격센서의 충격에 따라 자동으로 연주되는 음악의 일정 소절을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수행 시간이 짧을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미션이 실행되었는지 판단하여 몬스터잡기처리부에 통보해주는 미션수행판단부(700)는 몬스터를 잡기 위한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어진 미션에 대해 회전수 및 충격량을 측정하여 스마트폰에 그 값을 전송할 수 있는 줄넘기가 해당 미션을 잘 수행하였는지 얼마의 미션성공점수를 얻었는지 계산하여 이를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스마트폰 앱에 전달해주는 것이다.
미션수행에 따른 몬스터잡기확률의 상승을 바탕으로 몬스터 잡기가 실행되는 몬스터잡기처리부(800)는 몬스터 등급에 따라 기본적인 몬스터잡기확률이 제공되고 여기에 미션성공점수의 높고 낮음에 따라 성공확률이 추가되어 몬스터잡기 성공 및 실패가 계산되는 것을 말한다. 물론 확률이 높을수록 잡을 확률도 높아지게 된다.
잡힌 몬스터를 저장하고 있는 잡힌 몬스터저장부(900)는 만일 몬스터가 잡히면 잡힌 몬스터는 잡힌 몬스터 목록에 수록되어 보관된다. 이는 잡힌 몬스터의 모습을 나열시키는 형태로도 제공된다.
잡을 수 있는 몬스터의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몬스터목록저장부(1000)는 등급별, 일반 및 특별 몬스터별, 몬스터의 성격에 따른 종류별 제공되는 잡을 수 있는 몬스터의 목록이 저장되는 것이다.
몬스터생성을 위한 주변 환경 가중치 값을 가지고 있는 주변환경가중치데이터베이스(1100)는 건물, 동상, 상징물, 간판, 강, 호수, 분수, 동물, 식물, 자동차, 비행기 등 다양한 것들에 대해 미리 등록된 것들인지 등록된 것들이면 해당 등록된 것에 대한 등급에 따라 생성되는 몬스터의 등급도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만 등록되어있지 않는 주변 환경들은 그것의 활동하는 정도, 주변 환경에서 차지하는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등록된 것들에 비해 낮은 등급의 몬스터들이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몬스터 잡기 확률을 올릴 수 있도록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제공부(1200)는 일정 등급의 몬스터에 설정되어 있는 광고로써 해당 광고를 보면 해당 몬스터를 잡을 확률이 일정부분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광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광고데이터베이스(1300)는 광고주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로써 해당 광고들은 광고비에 따라 몬스터 등급이 서로 매칭되어 있고 광고비에 따라 잡힐 확률도 조금 더 높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같은 몬스터에 대해 제공되는 광고에 책정된 광고비에 따라 더 많은 광고비를 제공한 광고가 더 높은 잡을 확률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에 표시한 흐름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몬스터 잡기 앱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줄넘기 회전수를 계산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 및 줄넘기 가운데 충격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충격량에 따라 음계가 선택되어 연주를 할 수 있는 줄넘기로 구성된 것으로써, 몬스터 잡기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주변의 환경을 탐색하는 단계(S101); 특정 지역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몬스터가 탐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S102); 몬스터를 잡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단계(S103); 몬스터를 잡지 않을 경우 탐색을 계속하는 단계(S104); 몬스터를 잡을 경우 몬스터 잡기를 선택하여 미션을 부여 받는 단계(S105); 미션에 따라 스마트폰 몬스터 잡기 앱과 연동된 줄넘기를 통한 미션을 수행하여 몬스터 잡을 확률을 상승시키는 단계(S106); 전송된 줄넘기를 통한 미션 수행 결과를 반영한 몬스터 잡기 성공 결과가 계산되는 단계(S107); 만일 잡았으면 성공 알림이 표시되고 잡은 몬스터는 몬스터 수집 목록에 저장되는 단계(S108)를 포함한다.
몬스터 잡기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주변의 환경을 탐색하는 단계(S101)는 몬스터 잡기 스마트폰 앱이 실행되고 카메라로 촬영되는 주변의 환경이 제공되는 것이다.
특정 지역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몬스터가 탐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S102)는 각각의 주변 환경에 대해 몬스터가 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판단되어 일정한 확률로 몬스터가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몬스터를 잡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단계(S103)는 스마트폰 화면에 증강현실 형태로 나타나있는 몬스터를 선택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잡기버튼을 선택하여 잡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몬스터를 잡지 않을 경우 탐색을 계속하는 단계(S104)는 몬스터를 잡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면 스마트폰을 주변의 다른 환경에 비추어 지속적으로 몬스터가 출현할 수 있도록 촬영을 계속하는 것이다.
몬스터를 잡을 경우 몬스터 잡기를 선택하여 미션을 부여 받는 단계(S105)는 줄넘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 및 줄넘기에 설치되어있는 충격센서의 충격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줄넘기에서 미션에 따른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션내용이 생성되어 제공되는 것이다.
미션의 내용은 줄넘기를 정해진 시간 안에 몇 회를 넘을 수 있는가를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많이 넘을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또는 줄넘기 넘는 정해진 횟수를 얼마 만에 넘을 수 있는가를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시간이 짧을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또는 줄넘기에 장착되어 있는 충격센서의 충격량에 의해 미션 음악의 일정 소절이 연주되는 것을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정확한 일치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수행 시간이 짧을 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또는 줄넘기에 장착되어 있는 충격센서의 충격에 따라 자동으로 연주되는 음악의 일정 소절을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수행 시간이 짧을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미션에 따라 스마트폰 몬스터 잡기 앱과 연동된 줄넘기를 통한 미션을 수행하여 몬스터 잡을 확률을 상승시키는 단계(S106)는 주어진 미션이 줄넘기를 통해 수행되면 해당 미션수행 정도가 몬스터 잡기 스마트폰 앱에 전송되고 이를 미션성공점수로 해서 높을수록 몬스터 잡기 확률이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송된 줄넘기를 통한 미션 수행 결과를 반영한 몬스터 잡기 성공 결과가 계산되는 단계(S107)는 잡기를 선택한 몬스터의 등급에 따라 정해진 잡기 확률과 일반 몬스터보다 더 낮은 확률이 설정되어 있는 특수 몬스터인지에 대해 설정된 잡기 확률과 줄넘기를 통한 미션수행 결과에 따라 상승한 몬스터 잡기 확률을 종합하여 몬스터가 잡히는지 계산되는 것이다.
만일 잡았으면 성공 알림이 표시되고 잡은 몬스터는 몬스터 수집 목록에 저장되는 단계(S108)는 잡힌 몬스터의 액션 영상이 잠시 제공되면서 축하 메시지를 받고 몬스터 잡기가 완료되어 수집 목록에 기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본 발명은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몬스터 잡기 앱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줄넘기 회전수를 계산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 및 줄넘기 가운데 충격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충격량에 따라 음계가 선택되어 연주를 할 수 있는 줄넘기로 구성된 것으로써,
    몬스터 잡기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주변의 환경을 탐색하는 단계;
    특정 지역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몬스터가 탐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몬스터를 잡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단계;
    몬스터를 잡지 않을 경우 탐색을 계속하는 단계;
    몬스터를 잡을 경우 몬스터 잡기를 선택하여 미션을 부여 받는 단계;
    미션에 따라 스마트폰 몬스터 잡기 앱과 연동된 줄넘기를 통한 미션을 수행하여 몬스터 잡을 확률을 상승시키는 단계;
    전송된 줄넘기를 통한 미션 수행 결과를 반영한 몬스터 잡기 성공 결과가 계산되는 단계;
    만일 잡았으면 성공 알림이 표시되고 잡은 몬스터는 몬스터 수집 목록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지역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몬스터가 탐색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는
    예를들어 몬스터의 등급을 5등급으로 나누고 해당 등급이 상승함에 따라 출현할 수 있는 확률이 점점 낮아지고 또한 같은 등급이라도 일반 몬스터인 경우 출현 확률이 더 높고 특별 몬스터인 경우 더 낮게 책정되어 있으며 주변 환경의 중요도를 5등급으로 나누고 해당 등급이 상승함에 따라 몬스터의 출현할 수 있는 확률이 점점 낮아지고 또한 주변 환경의 종류에 따라 출현할 수 있는 몬스터의 종류도 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몬스터를 잡을 경우 몬스터 잡기를 선택하여 미션을 부여 받는 단계는
    줄넘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 및 줄넘기에 설치되어있는 충격센서의 충격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줄넘기에서 미션에 따른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션내용이 생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부여되는 미션은
    줄넘기를 정해진 시간 안에 몇 회를 넘을 수 있는가를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많이 넘을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부여되는 미션은
    줄넘기 넘는 정해진 횟수를 얼마 만에 넘을 수 있는가를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시간이 짧을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부여되는 미션은
    줄넘기에 장착되어 있는 충격센서의 충격량에 의해 미션 음악의 일정 소절이 연주되는 것을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정확한 일치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수행 시간이 짧을 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부여되는 미션은
    줄넘기에 장착되어 있는 충격센서의 충격에 따라 자동으로 연주되는 음악의 일정 소절을 가지고 미션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수행 시간이 짧을수록 미션성공점수가 높아져서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8. 몬스터를 잡을 확률을 상승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일정 등급의 몬스터에 설정되어 있는 광고로써 해당 광고를 보면 해당 몬스터를 잡을 확률이 일정부분 상승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9. 제9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광고와 몬스터는
    광고주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로써 해당 광고들은 광고비에 따라 몬스터 등급이 서로 매칭되어 있고 광고비에 따라 잡힐 확률도 조금 더 높은 것이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10. 본 발명은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앱 화면에 제공되고 그 주변 환경에 매칭되어 몬스터들이 생성되고 해당 몬스터들 중에 잡을 수 있는 대상을 선택하여 주어지는 줄넘기 미션을 수행하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올려서 몬스터를 수집하는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수행인터페이스(100); 게임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게임 조작부(200);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된 동영상을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게임수행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증강현실구현부(300); 주변 환경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몬스터의 등급에 따른 출현 확률을 계산하여 몬스터를 증강현실화면에 생성하여 제공하는 몬스터제공부(400); 선택된 몬스터의 정보를 제공하는 몬스터정보제공부(500); 몬스터잡기를 선택할 경우 해당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을 상승시키기 위한 미션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미션생성부(600); 미션이 실행되었는지 판단하여 몬스터잡기처리부에 통보해주는 미션수행판단부(700); 미션수행에 따른 몬스터잡기확률의 상승을 바탕으로 몬스터 잡기가 실행되는 몬스터잡기처리부(800); 잡힌 몬스터를 저장하고 있는 잡힌 몬스터저장부(900); 잡을 수 있는 몬스터의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몬스터목록저장부(1000); 몬스터생성을 위한 주변 환경 가중치 값을 가지고 있는 주변환경가중치데이터베이스(1100); 몬스터 잡기 확률을 올릴 수 있도록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제공부(1200); 광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광고데이터베이스(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KR1020200100941A 2020-08-12 2020-08-12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KR20200105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41A KR20200105451A (ko) 2020-08-12 2020-08-12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KR1020200162050A KR102307611B1 (ko) 2020-08-12 2020-11-27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KR1020200162055A KR102506652B1 (ko) 2020-08-12 2020-11-27 줄넘기를 이용한 운동 유도 시스템
PCT/KR2020/019397 WO2022034998A1 (ko) 2020-08-12 2020-12-30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41A KR20200105451A (ko) 2020-08-12 2020-08-12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050A Division KR102307611B1 (ko) 2020-08-12 2020-11-27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451A true KR20200105451A (ko) 2020-09-07

Family

ID=7247243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941A KR20200105451A (ko) 2020-08-12 2020-08-12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KR1020200162055A KR102506652B1 (ko) 2020-08-12 2020-11-27 줄넘기를 이용한 운동 유도 시스템
KR1020200162050A KR102307611B1 (ko) 2020-08-12 2020-11-27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055A KR102506652B1 (ko) 2020-08-12 2020-11-27 줄넘기를 이용한 운동 유도 시스템
KR1020200162050A KR102307611B1 (ko) 2020-08-12 2020-11-27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200105451A (ko)
WO (1) WO2022034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742A (ko) * 2020-08-12 2022-02-21 김동환 줄넘기를 이용한 운동 유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836B1 (ko) 2007-03-19 2009-02-0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몬스터 재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35802A (ko) * 2007-10-08 2009-04-1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게임에서의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0122A (ko) * 2008-06-24 2010-01-06 강재민 운동 관리와 운동 장려를 위한 롤플레잉 게임 기반의 엑서게이밍 시스템 및 서비스
KR20140063167A (ko) * 2012-11-16 2014-05-27 우승훈 운동기구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방법
KR101487391B1 (ko) * 2014-08-29 2015-01-29 (주)팜스포 무선 줄넘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80019828A (ko) * 2016-08-17 2018-02-27 메디플랫폼 주식회사 증강현실기반게임 캐릭터 또는 아이템 출몰예상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950427B1 (ko) * 2017-09-20 2019-05-08 주식회사 디엔제이 휴먼케어 스텝 기반 운동 장치를 이용하여 건강 교육 콘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75483B1 (ko) 2019-08-27 2020-03-02 김동일 음향 출력 줄넘기 및 줄넘기 시스템
KR20200105451A (ko) * 2020-08-12 2020-09-07 김동환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742A (ko) * 2020-08-12 2022-02-21 김동환 줄넘기를 이용한 운동 유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652B1 (ko) 2023-03-06
WO2022034998A1 (ko) 2022-02-17
KR20220020742A (ko) 2022-02-21
KR102307611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6473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and remote gameplay for traditional trading card games
US10610772B2 (en) Game system
US9884254B2 (en) Augmented reality gaming systems and methods
EP1470845B1 (en) Game performing method, storage medium, game apparatus, data signal and program
KR101066180B1 (ko) 게임 장치, 게임 처리 방법 및 정보 기록 매체
WO2007060850A1 (ja) ゲーム成績評価方法及び装置
US10695676B2 (en)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game processing method
CN106457042A (zh) 带有实时更新的系统级成就的显示
CN105592899B (zh) 离线比赛安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JP6547032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端末装置
JP2022103754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058434B1 (ko)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JPWO2018158836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制御方法
KR20200105451A (ko) 줄넘기를 이용한 몬스터 잡기 방법
JP6511567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647600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12221135B (zh) 画面显示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JP2010051605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方法
KR101188824B1 (ko) 온라인 게임의 팀 제공 방법 및 장치
JP6651091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71497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9097821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922720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151515B (zh) 表演场景下的互动系统和方法
JP2008295659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並びにゲーム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