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232A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232A
KR20200104232A KR1020200020766A KR20200020766A KR20200104232A KR 20200104232 A KR20200104232 A KR 20200104232A KR 1020200020766 A KR1020200020766 A KR 1020200020766A KR 20200020766 A KR20200020766 A KR 20200020766A KR 20200104232 A KR20200104232 A KR 20200104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toy
shaft
rod
toy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533B1 (ko
Inventor
마코토 무라키
타케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20010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16Hopping, dancing, or curve-drawing 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18Double tops; Multiple tops mounted in or on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6Spinning-top gam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과제] 의도하지 않은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상향면과 상하 운동 가능한 봉 형상 축이 형성된 상측 부분과, 하향면과 상기 봉 형상 축이 삽통 가능한 통 형상 축이 형성된 하측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상향면과 상기 하측 부분의 상기 하향면을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이 소정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여 결합이 해제되는 구조를 가지고, 봉 형상 축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에 통 형상 축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상대 회전을 저지하고, 봉 형상 축이 접지되어 있을 때에 위로 이동하여 결합을 해제한다.

Description

팽이 완구{TOY TOP}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팽이 완구로서, 제1 조(爪)가 형성된 동체(胴體)와, 제2 조(爪)가 형성된 축부(軸部)를 구비하고, 동체와 축부를 축심 방향으로부터 맞댄 상태에서 동체 측의 제1 조의 상면과 축부 측의 제2 조의 하면을 맞닿게(當接)함으로써 동체와 축부가 결합되고, 외부 충격이 동체에 작용했을 때에 동체와 축부가 상대 회전하여 결합이 해제하여 분해되는 구조를 가지는 팽이 완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5793631호 공보
그렇지만, 팽이 완구를 필드(field)에 놓은 경우뿐만 아니라, 동체와 축부를 상대 회전하도록 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동체 및 축부의 일방만을 가지는 팽이 완구를 취급하는 경우이다. 구체적으로는, 동체 및 축부를 런처(launcher)에 장착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동체와 축부가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여, 의도하지 않은 분해가 일어나는 위험성이 있었다. 이러한 위험성은, 동체와 축부와의 사이뿐만 아니라, 2개의 팽이 완구를 결합시킨 합체형 팽이 완구의 경우에도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의도하지 않은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 수단은,
상향면(上向面)과 상하 운동 가능한 봉 형상(棒狀) 축이 형성된 상측 부분과, 하향면(下向面)과 상기 봉 형상 축이 삽통(揷通) 가능한 통 형상(筒狀) 축이 형성된 하측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을 축심 방향으로부터 맞댄 상태에서 상기 상측 부분의 상기 상향면과 상기 하측 부분의 상기 하향면을 맞닿게(當接) 함으로써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이 결합되고, 외부 충격이 상기 상측 부분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이 소정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여 결합이 해제되는 구조를 가지는 팽이 완구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 축은,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이 결합하고 또한 비접지(非接地) 상태에 있을 때, 하강 위치를 취한 상기 통 형상 축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봉 형상 축에는 제1 계합부(係合部)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부분에는, 상기 봉 형상 축이 상기 하강 위치를 취할 때에 상기 제1 계합부와 걸어 맞춰서(係合)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과의 상대 회전을 저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봉 형상 축이 접지될 때에 상기 상측 부분에 대해서 위로 이동하여(上動) 상기 제1 계합부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제2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축은, 하측 부분 본체에 대해서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스프링의 가해지는 힘(付勢力)에 의해서 하방을 향해 힘이 가해지고, 상기 하측 부분 본체 또는 상기 통 형상 축에는 상기 제2 계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통 형상 축을 상기 스프링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상기 하측 부분 본체에 대해서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측 부분의 상기 상향면과 상기 하측 부분의 상기 하향면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2 수단에 있어서, 상기 팽이 완구는, 제1 팽이 완구 및 제2 팽이 완구로부터 구성되는 합체형의 팽이 완구이며, 상기 상측 부분은 상기 제1 팽이 완구이며, 상기 하측 부분은 상기 제2 팽이 완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수단은, 제3 수단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부분 본체는 상기 제2 팽이 완구의 동체이며, 상기 상향면과 상기 하측 부분의 상기 하향면과의 맞닿음(當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스프링의 가해지는 힘으로 상기 제2 팽이 완구의 상기 동체를 밀어 올려(押上) 상기 제1 팽이 완구를 날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수단에 의하면, 제1 계합부와 제2 계합부는, 봉 형상 축이 비접지일 때에는, 제1 계합부와 제2 계합부가 걸어 맞춰져서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과의 상대 회전이 저지되므로, 의도하지 않은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과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봉 형상 축이 접지되면, 봉 형상 축이 위로 이동하여 제1 계합부와 제2 계합부와의 걸어 맞춤이 자동적으로 해제되므로, 소망하는 놀이를 즐길 수 있다.
제2 수단에 의하면,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과의 결합 시에, 스프링이 힘을 모으기(蓄勢) 때문에, 상측 부분의 상향면과 하측 부분의 하향면과의 맞닿음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측 부분을 날릴 수 있다.
제3 수단에 의하면, 제1 팽이 완구와 제2 팽이 완구와의 의도하지 않은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제4 수단에 의하면, 제1 팽이 완구와 제2 팽이 완구와의 분해가 용이하게 행하여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제1 단계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팽이 완구의 제2 단계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팽이 완구의 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팽이 완구의 축부의 반부(半部)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팽이 완구의 동체 및 성능 가변 링의 반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팽이 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팽이 완구의 반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팽이 완구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팽이 완구와 제2 팽이 완구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팽이 완구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1단계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팽이 완구의 2단계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00)는, 이른바 배틀 게임(battle game)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합체형의 팽이 완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팽이 완구(100)는, 서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팽이 완구(100)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계에서 제1 팽이 완구(1)(이하 「팽이 완구(1)」라고 한다.)와 제2 팽이 완구(1A)(이하 「팽이 완구(1A)」라고 한다.)로 분해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단계에서 제1 팽이 완구(1)가 더욱 더 분해요소로 분해된다.
또한, 이 팽이 완구(1)는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팽이 완구(1)와 제2 팽이 완구(1A)는 분해된 후에도 계속 돌 수 있다.
<제1 팽이 완구(1)>
팽이 완구(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軸部)(10), 성능 가변 링(30) 및 동체(胴體)(40)를 구비하고 있다.
<팽이 완구(1)의 세부 구성>
1. 축부(10)에 대해
도 3은 축부(10)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축부(10)의 반부(半部)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반부만을 나타냈지만, 나머지의 반부도 봉 형상(捧狀) 축(11)을 제외하고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축부(10)는, 접지부(接地部)인 봉 형상 축(11), 상하 방향 중간부에 날(鍔)(12), 상부에 원통부(圓筒部)(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날(12)과 원통부(1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날(12) 및 원통부(13)에는, 전후에 구멍(14)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원통부(13)에는, 좌우에 돌출부(15)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5)의 바깥면은 날(12)의 외주면(外周面)과 동일면(面一)으로 되어 있다.
원통부(13)의 내측에는 원주체(圓柱體)(16)가 배치되어 있다. 원주체(16)는 날(12)의 아래에 장착된 하판(下板)(101)에 입설(立設)되어 있다. 이 원주체(16)의 상단에는 전후에 조(爪)(17)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조(17)의 하면은 하향면을 구성한다. 원주체(16)의 내부에는 봉 형상 축(11)이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봉 형상 축(11)의 상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長孔)(11a)이 형성되고, 봉 형상 축(11)은, 장공(11a)을 통과한 핀(pin)(102)에 의해서 원주체(16)에 지지되고 있다. 이 봉 형상 축(11)은 하판(101)을 관통하여 하판(101)의 하방까지 연장된다. 봉 형상 축(11)의 하단부는 소경부(小徑部)(11b)로 되어 있으며, 소경부(11b)의 상단부에는 계합돌기(係合突起)(1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돌기(11c)는 제1 계합부(係合部)를 구성하고 있다.
또, 축부(10)는 원통 형상(圓筒狀)의 압압 부재(押壓部材)(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압압 부재(18)는, 원통부(13)의 내측에 원주체(16)의 외주(外周)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18)의 외주 하단부에는 좌우에 각부(脚部)(18a)가 1개씩 설치되어 있다. 각부(18a)는, 날(12)과 원통부(13)에 걸쳐 형성된 구멍(14)에 삽입되어 있다. 또, 압압 부재(18)는, 코일 스프링(19)에 의해서 상방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압압 부재(18)는, 각부(18a)가 구멍(14)의 상연(上緣)에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는, 압압 부재(18)의 상단은 원통부(13)의 상단과 동일 높이 위치에 있다. 또, 압압 부재(18)의 천정부(天井部)의 상면에는, 좌우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철조(凸條)(돌기)(21)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2. 성능 가변 링(30)에 대해
도 5는, 성능 가변 링(30) 및 동체(40)의 반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반부만을 나타냈지만, 나머지의 반부도 식별용 부품(60)을 제외하고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성능 가변 링(30)으로서 플라이휠(flywheel)이 이용되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은 판 형상(板狀)을 이루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의 저면에는 축부(10)의 날(12)을 하부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 형상 단부(環狀段部)(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좌우에 상방을 향해서 내뻗은(張出) 돌출부(32)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2)의 하측 부분에는, 축부(10)의 돌출부(15)를 하부로부터 수용 가능한 요부(凹部)(3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각 돌출부(32)의 바로 외측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편(舌片)(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성능 가변 링(30)으로서는, 플라이휠을 대신하거나 혹은 플라이휠과 일체적으로, 외주면에 돌출부가 있어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를 공격하기 쉽게 한 것이나, 외주면에 요부가 있어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로부터의 공격을 받기 어려운 것을 이용해도 좋다.
3. 동체(40)에 대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체(40)의 외주에는 요철(凹凸)(40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동체(40)의 하면에는, 성능 가변 링(30)의 돌출부(32)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 형상 요부(環狀凹部)(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 형상 요부(42)를 구획 형성하는 내주벽(內周壁)(43a)의 내주면(內周面) 하단에는, 전후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서 내뻗은 조(44)가 1개씩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내주벽(43a)의 내주면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좌우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서 내뻗은 돌기(47)가 1개씩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주벽(43a)의 하단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요철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철조(21)에 서로 맞물리는 기복부(起伏部)(4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동체(40)의 환 형상 요부(42)를 구획 형성하는 천정벽(43b)에는, 성능 가변 링(30)의 각 설편(34)을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호 형상 슬릿(弧狀 slit)(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호 형상 슬릿(46)의 길이는 설편(34)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 호 형상 슬릿(46)의 일단부는, 후술의 런처(50)의 조(54b)가 테두리 밑에 걸어 맞추도록 좁은 폭으로 되어 있다.
4. 팽이 완구(1)의 조립 방법
다음으로, 팽이 완구(1)의 조립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축부(10)의 돌출부(15)를 하방으로부터 성능 가변 링(30)의 요부(33)에 합치시키도록 하고,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을 끼워 맞춘(嵌合) 상태로 조립한다.
다음으로, 이 조립체를 동체(40)에 하방으로부터 근접시킨다. 이 때, 상기 조립체의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동체(40)의 호 형상 슬릿(46)의 소정의 가장자리에 합치시킨다. 이 상태는, 축부(10)의 조(17)와 동체(40)의 조(44)는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가 결합 해제 상태이다.
그 후, 상기 조립체의 축부(10)를 동체(40) 측에 누른다(押壓). 그러면, 우선, 성능 가변 링(30)을 동체(40)의 하면에 꽉 누를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9)이 수축하고, 축부(10)의 조(17)가 동체(40)의 조(44)보다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축부(10)를 성능 가변 링(30)과 일체적으로 동체(40)에 대해서 설편(34)이 상기 소정의 가장자리와는 반대 측의 가장자리까지 이동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그러면, 축부(10)의 조(17)와 동체(40)의 조(44)가 상하로 겹쳐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축부(10)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코일 스프링(19)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축부(10)의 조(17)의 하면과 동체(40)의 조(44)의 상면이 맞닿게 된다. 축부(10)의 조(17)의 하면과 동체(40)의 조(44)의 상면이 맞닿은 상태가 결합 상태이다. 이것에 의해,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 및 동체(40)가 결합되어, 팽이 완구(1)가 조립된다.
<팽이 완구(1A)의 구성>
1. 전체
도 6은 팽이 완구(1A)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팽이 완구(1A)의 반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반부만을 나타냈지만, 나머지의 반부도 코일 스프링(114)을 제외하고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팽이 완구(1A)는, 통 형상(筒狀) 축(110)과 동체(150)를 구비하고 있다. 통 형상 축(110)은 동체(150)에 대해서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2. 동체(150)에 대해
동체(150)는, 대략 원반 형상(圓盤狀)이 되어 있고, 상면에는, 축심과 동심적인 원형 요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요부(151)에는, 축부(10)의 하판(下板)(101)이 착석(着座)한다. 원형 요부(151)의 마루(床)에는, 중앙에 축심과 동심적인 원형 구멍(圓形孔)(1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구멍(152)에는 상기 봉 형상 축(11)이 상방으로부터 삽통(揷通)된다. 또, 원형 요부(151)의 마루에는, 원형 구멍(152)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2개의 개소에 축심과 동심적인 호 형상 구멍(弧狀孔)(153)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호 형상 구멍(153)에는, 둘레(周) 방향 중간부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노치(切欠)(153a)가 형성되어 있다.
동체(150)의 하면은, 하방을 향해서 서서히 축경(縮徑)하도록 역원추(逆圓錐) 형상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동체(150)의 하면에는, 중앙에 축심과 동심적으로 상기 원형 구멍(152)에 연결되는 원형 구멍(1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구멍(154)에는 통 형상 축(110)이 삽입된다.
3. 통 형상 축(110)에 대해
통 형상 축(110)은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 형상 축(110)의 하면은 역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 형상 축(110)의 하면에는, 중앙에 축심과 동심적인 원형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구멍(111)에는 상기 봉 형상 축(11)의 소경부(小徑部)(11b)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된다. 또, 통 형상 축(110)의 저벽(底壁)에는, 도 7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 상기 계합돌기(係合突起)(11c)에 걸어 맞춤(係合) 가능한 계합요부(係合凹部)(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요부(112)는 제2 계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통 형상 축(110)의 상반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릿(110a, 110a)에 의해서 구획된 2개의 호 형상 벽(110b, 110b)으로 되어 있다. 각 호 형상 벽(110b)은 대응하는 호 형상 구멍(153)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또, 각 호 형상 벽(110b)의 둘레 방향 중간부에는, 상단 외측에 돌기(110c)(도 9)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10c)의 하면은 하향면을 구성한다. 각 돌기(110c)는 대응의 노치(153a)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서 통 형상 축(110)은, 동체(150)에 대해서 상하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축(110)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외주에 날이 형성되고, 한편, 동체(150)에는 상기 날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발지(拔止) 방지 부재가 부설(付設)되어 있다.
또, 통 형상 축(110) 내에는 코일 스프링(114)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4)은, 통 형상 축(110)의 저벽의 상면과 원형 구멍(154)의 상벽과의 사이에 배설(配設)되어, 통 형상 축(110)에 하방으로 힘을 가한다.
<팽이 완구(1)와 팽이 완구(1A)와의 결합>
팽이 완구(1)와 팽이 완구(1A)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서로 맞대고, 봉 형상 축(11)과 원형 구멍(152)을 합치시키도록 하여 원형 요부(151)에 팽이 완구(1)의 축부(10), 즉 하판(101)을 착석시킨다. 이 때에는, 봉 형상 축(11)은 하강 위치에 있지만 통 형상 축(110)의 하단에서는 돌출하고 있지 않다.
다음으로, 손으로 통 형상 축(110)을 코일 스프링(114)의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여 강하게 동체(150)에 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서, 팽이 완구(1A)의 본체(동체(150))에 대해서 통 형상 축(110)이 위로 이동하고(上動), 돌기(110c)가 팽이 완구(1) 측의 철부(凸部)(101b)의 상면과 걸어 맞춰진다. 철부(101b)의 상부 상면이 형성된 부분은 탄성을 가지고 있다. 이 철부(101b)의 상면은 상향면을 구성한다. 또, 통 형상 축(110)이 위로 이동함에 의해서, 계합돌기(11c)와 계합요부(112)가 걸어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팽이 완구(1)의 축부(10)와 팽이 완구(1A)와의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계합돌기(11c)와 계합요부(112)와의 걸어 맞춤은 봉 형상 축(11)이 접지되었을 때에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팽이 완구(1)의 축부(10)와 팽이 완구(1A)와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철부(101b)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하판(10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101a)의 둘레 방향 중간 정도에 형성되어 있다. 계합돌기(11c)와 계합요부(112)와의 걸어 맞춤은, 팽이 완구(1)의 축부(10)와 팽이 완구(1A)가 상대 회전했을 때에 해제되고, 통 형상 축(110)은 코일 스프링(114)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팽이 완구(1A)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돌출한다.
<놀이 방법>
계속하여, 이 팽이 완구(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의 팽이 완구(100)의 회전력의 차지(charge)는, 도 8에 나타내는 런처(50)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런처(50)는, 핸들(51)을 당기면 팽이 홀더(53)가 회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팽이 홀더(53)에는, 포크(fork)(54)가 형성되고, 이 포크(54)는 동체(40)의 호 형상 슬릿(46)에 끼워 넣어지고, 호 형상 슬릿(46)의 테두리 아래에 조(54b)가 걸어 맞춰진다. 그리고, 런처(50)의 핸들(51)을 당기면, 원판 나아가서는 팽이 홀더(53)의 회전이 정지하는 한편, 팽이 완구(1)는 관성력에 의해서 여전히 회전하므로, 포크(54)의 경사면(54a)을 따라서 팽이 완구(1)가 팽이 홀더(53)로부터 벗겨진다.
이렇게 발사된 팽이 완구(100)는 소정의 필드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대방의 팽이 완구(100)에 충돌하면,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나 마찰 등에 의해서, 동체(40)에는,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의 힘(외부 충격)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1 팽이 완구(1)와 팽이 완구(1A)가 분해된다(제1 단계의 분해). 제1 단계의 분해 후에도, 팽이 완구(1)와 팽이 완구(1A)는 회전이 계속된다. 그리고, 팽이 완구(1)의 동체(40)에 외부 충격이 작용하면, 동체(40)는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반대의 방향으로 상대적 회전한다. 그러면, 동체(40)의 기복부(45)에 철조(21)가 서로 맞물리고, 철조(21)에는 코일 스프링(19)의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므로,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할 때마다, 동체(40)에 대해서 축부(10)가 상대 회전하고 서로 맞물려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결합 해제 위치에 이르면, 동체(40)의 조(44)가 축부(10)의 조(17)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19)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동체(40)가 축부(10)로부터 이반(離反)한다(제2 단계의 분해). 그리고, 도 1에서,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이 완구(1)는 분해된다.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부분이 제1 팽이 완구(1)의 축부(10), 하측 부분이 제2 팽이 완구(1A)의 경우를 나타냈지만, 상측 부분에 봉 형상 축이 설치되는 부위이면, 1개의 팽이 완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봉 형상 축(11)이 하강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스프링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하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팽이 완구(100)가 직립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대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봉 형상 축(11)의 계합돌기(11c)를 통 형상 축(110)의 계합요부(112)에 걸어 맞췄지만, 계합돌기(11c)를 동체(150)에 걸어 맞춰도 좋다.
100: 팽이 완구
1: 제1 팽이 완구
1A: 제2 팽이 완구
11: 봉 형상 축
110: 통 형상 축

Claims (4)

  1. 상향면과 상하 운동 가능한 봉 형상 축이 형성된 상측 부분과, 하향면과 상기 봉 형상 축이 삽통 가능한 통 형상 축이 형성된 하측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을 축심 방향으로부터 맞댄 상태에서 상기 상측 부분의 상기 상향면과 상기 하측 부분의 상기 하향면을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이 결합되고, 외부 충격이 상기 상측 부분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이 소정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여 결합이 해제되는 구조를 가지는 팽이 완구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 축은,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이 결합하고 또한 비접지 상태에 있을 때, 하강 위치를 취한 상기 통 형상 축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봉 형상 축에는 제1 계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부분에는, 상기 봉 형상 축이 상기 하강 위치를 취할 때에 상기 제1 계합부와 걸어 맞춰서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과의 상대 회전을 저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봉 형상 축이 접지될 때에 상기 상측 부분에 대해서 위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계합부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제2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축은, 하측 부분 본체에 대해서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스프링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하방을 향해 힘이 가해지고, 상기 하측 부분 본체 또는 상기 통 형상 축에는 상기 제2 계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통 형상 축을 상기 스프링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상기 하측 부분 본체에 대해서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측 부분의 상기 상향면과 상기 하측 부분의 상기 하향면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 완구는, 제1 팽이 완구 및 제2 팽이 완구로 구성되는 합체형의 팽이 완구이며, 상기 상측 부분은 상기 제1 팽이 완구이며, 상기 하측 부분은 상기 제2 팽이 완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부분 본체는 상기 제2 팽이 완구의 동체이며, 상기 상향면과 상기 하측 부분의 상기 하향면과의 맞닿음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스프링의 가해지는 힘으로 상기 제2 팽이 완구의 상기 동체를 밀어 올려 상기 제1 팽이 완구를 날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KR1020200020766A 2019-02-26 2020-02-20 팽이 완구 KR102388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32927 2019-02-26
JP2019032927A JP6915811B2 (ja) 2019-02-26 2019-02-26 コマ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232A true KR20200104232A (ko) 2020-09-03
KR102388533B1 KR102388533B1 (ko) 2022-04-20

Family

ID=7214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766A KR102388533B1 (ko) 2019-02-26 2020-02-20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69145A1 (ko)
JP (1) JP6915811B2 (ko)
KR (1) KR1023885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812U (ja) * 2000-03-15 2000-09-22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
KR20030059008A (ko) * 2003-05-30 2003-07-07 전경호 다단팽이
KR20050005663A (ko) * 2003-07-07 2005-01-14 박상기 다결합 방식 팽이
JP5793631B1 (ja) 2015-03-27 2015-10-1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812B2 (ja) * 1990-09-26 2000-07-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像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812U (ja) * 2000-03-15 2000-09-22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
KR20030059008A (ko) * 2003-05-30 2003-07-07 전경호 다단팽이
KR20050005663A (ko) * 2003-07-07 2005-01-14 박상기 다결합 방식 팽이
JP5793631B1 (ja) 2015-03-27 2015-10-1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5811B2 (ja) 2021-08-04
KR102388533B1 (ko) 2022-04-20
US20200269145A1 (en) 2020-08-27
JP2020137536A (ja)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1629B1 (ja) コマ玩具
KR101579417B1 (ko) 코마 완구
KR101675722B1 (ko) 코마 완구
JP6111365B1 (ja) コマ玩具
JP6184576B1 (ja) コマ玩具
EP3205383B1 (en) Toy top
JP5990354B1 (ja) コマ玩具
KR102332707B1 (ko) 팽이 완구
JP6250202B1 (ja) コマ玩具
EP3323480B1 (en) Toy top
JP2019000418A (ja) コマ玩具
JP6261786B1 (ja) コマ玩具
US20190111352A1 (en) Toy top
JP6232153B1 (ja) コマ玩具
JP6236177B1 (ja) コマ玩具
KR102388533B1 (ko) 팽이 완구
JP2020068969A (ja) コマ玩具及びコマ玩具セット
JP6516587B2 (ja) コマ玩具
JP6346976B1 (ja) コマ玩具
JP6904543B2 (ja) コマ玩具
JP2020058684A (ja) コマ玩具
CN210229121U (zh) 陀螺玩具
JP2018126425A (ja) コマ玩具
KR102429691B1 (ko) 팽이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