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663A - 다결합 방식 팽이 - Google Patents

다결합 방식 팽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663A
KR20050005663A KR1020030045675A KR20030045675A KR20050005663A KR 20050005663 A KR20050005663 A KR 20050005663A KR 1020030045675 A KR1020030045675 A KR 1020030045675A KR 20030045675 A KR20030045675 A KR 20030045675A KR 20050005663 A KR20050005663 A KR 20050005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ent
fixed
housing
chil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기
Original Assignee
박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기 filed Critical 박상기
Priority to KR102003004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5663A/ko
Publication of KR2005000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18Double tops; Multiple tops mounted in or on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02Clockwork mechanism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결합 방식 팽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떨어뜨리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다 큰 운동량을 자팽이에 전달할 수 있는 다결합 방식 팽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팽이는 자팽이가 모팽이 내부로 돌출됨 없이 완전히 삽입되어 자팽이를 용이하게 돌려 감을 수 없으며, 실제 모팽이의 경사부에 끈을 감아 던져서 돌리게 되면 땅에 접지되는 순간 지면에 대해 수평을 취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충분한 운동량이 자팽이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수평을 유지한 채 지면의 수직방향으로 떨어뜨리려 사용함이 용이한 다결합 방식 팽이를 제공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강력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어 큰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팽이는 떨어뜨려 자회전시키는 모팽이로 사용함과 아울러 자팽이를 회전 시킬 수 있는 돌림장치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놀이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쉽게 싫증을 느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이에게 상상력을 키워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Description

다결합 방식 팽이{MULTI-COMBINATION TYPE TOP}
본 발명은 다결합 팽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떨어뜨리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다 큰 운동량을 자팽이에 전달할 수 있는 다결합 팽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결합 팽이는 모팽이와 자팽이를 한쌍으로 한 쌍팽이로 사용하여, 모팽이의 경사부에 끈을 감아 던져 돌리게 되면 감겨진 스프링의 순간적인 강한 탄력과 회전력에 의하여 돌고 있는 모팽이로부터 자팽이가 떨어져 나가 분리 회전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예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실1985-0000587(출원번호 20-1983-0004325)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종래 팽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 팽이의 작동을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1d는 모팽이로부터 자팽이가 이탈하여 각기 자회전하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팽이(1)의 하측 중심부에 요홈(1")이 형성된 원통형 안치구(1')를 형성하고, 내측 중심부에 돌봉(3')이 돌설된 작동구(3)를 안치구(1')에 상, 하 이동이 자유롭게 재치하되 돌편(3")은 요홈(1")에 끼워지며, 종홈(4')이 요설되고 상방에 걸림돌치(4")를 형성한 회전구(4)를 작동구(3)의 상방에 위치하게 하여 회전구(4)의 종홈(4')과 돌봉(3')의 상부에 스프링(4)을 끼워 탄력설치하며, 탄편(6)이 형성된 덮개판(8)의 구멍(7)에 회전구(4)의 상단 걸림돌치(4")를 끼우고 덮개판(8)을 철못(12)으로 모팽이(1)의 고정돌기(14)에 고정하여 테(9)를 재치턱(13)에 재치하고, 자팽이(2)의 저면에는 돌치(10)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걸림돌치(11)를 형성하여 이 걸림돌치(11)가 회전체(4)의 걸림돌치(4")와 이맞춤되어 스프링(5)을 태엽식으로 조아서 감을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A는 자팽이(2)를 끼울 수 있는 개방부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종래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c와 같이 자팽이(2)의 돌치(11)를 모팽이(1)의 회전체(4)상부에 돌설된 돌치(4")에 접촉시키고, 자팽이(2)를 손으로 약간 누르면서 돌리게 되면 회전체(4)가 따라서 회전하게 되고 회전체(4)의 종홈(4')에 단부가 끼워진 스프링(5)은 태엽식으로 조여 감겨지게 되는데, 이때 자팽이(2)의 돌치(10)와 덮개판(8)의 탄간(6)은 제2(b)도와 같이 스프링(5)이 조여지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돌치(10)가 탄간(6)에 걸려진 제2(a)도의 점선화살표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5)을 용이하게 감아 조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에 힘을 주어 자팽이(2)를 돌려서 스프링(5)을 어느 정도 탄탄하게 감은 다음, 통상의 팽이를 돌리는 방법과 같이 모팽이(1)의 경사부에 끈을 감은 다음 모팽이(1)를 던져 돌리게 되면 땅에 모팽이(1)가 접지됨과 동시에 작동구(3)가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감겨 압축되었던 스프링(5)이 순간적으로 풀리는 회전력과 탄력으로 자팽이(2)가 회전되면서 제5도와 같이 모팽이(1)로부터 이탈되어 오랫동안 자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팽이는 자팽이가 모팽이 내부로 돌출됨 없이 완전히 삽입되어 자팽이를 용이하게 돌려 감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제 모팽이의 경사부에 끈을 감아 던져서 돌리게 되면 땅에 접지되는 순간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취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충분한 운동량이 자팽이로 전달되지 못하여 자팽이가 모팽이로부터 이탈하여 동작시에 자주 쓰러져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팽이가 모팽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경우 관성이 작용하게 되어 모팽이의 회전 운동력은 자팽이로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달리 자팽이가 모팽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경우 모팽이의 회전력에 대한 자팽이의 회전력이 감쇄되어 자팽이의 회전력이 강하지 못하여 흥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모팽이에 끈을 감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채로 팽이를 떨어뜨려 보다 큰 회전의 운동량을 모팽이 뿐만 아니라 자팽이로 전달할 수 있는 놀이용 다결합 팽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들이 사용함에 있어서 수평으로 용이하게 떨어뜨려 회전시킬 수 있는 다결합 팽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팽이가 자회전을 할 수 있는 팽이로서의 용도 이외에 자팽이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돌림기구로 사용할 수 있는 다결합 팽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떨어뜨려 회전시킬 수 있는 2단 및 3단 팽이의 사용방법 이외에 모팽이를 돌림기구로 회전시키는 2단 팽이로 사용할 수 있는 다결합 팽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 다른 목적은 떨어뜨려 회전시킬 수 있는 3단 팽이와 돌림 장치로 회전시키는 2단팽이로 사용하는 경우 팽이의 내부에 자석을 구비하여 적층된 전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다결합 팽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 팽이의 작동을 설명하는 구성도.
도 1d는 종래 팽이의 모팽이로부터 자팽이가 이탈하여 각각 자회전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결합 방식 팽이의 일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결합 방식 팽이의 다른 일실시예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다결합 방식 팽이의 또 다른 일실시예도.
도 5은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힌지의 수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모팽이 1':안치구
1":요홈 2:자팽이
3:작동구 3':돌봉
3":돌편 4:회전구
5,140,295:스프링 6:탄편
7:구멍 8:덮개판
10:돌치 11:걸림돌치
100:모팽이 하우징 110:숫 걸림돌치
112:숫 걸림돌기 114:능선
120:안착홈 130:고정부재
132:돌출판 150:회전축
160:모팽이 돌치 170:회전돌기/구동버튼
172:걸림턱 174:회전공
200:제 1 자팽이 하우징 210,310:암 걸림돌치
212:암 걸림돌기 220:제 1 자팽이 회전돌기
230:자팽이 돌치 240,330:힌지
250,340:수평유지봉 260,350:체결부재
270,360:탄성부재 280:안착부재
282:걸림턱/체결부재 285:밀핀
290:걸림부재 293:자석
300:제 2 자팽이 하우징 320:제 2 자팽이 회전돌기
370:제 2 자팽이 돌치 400:힌지수납박스
410:자팽이 상부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팽이의 외곽을 형성하는 모팽이 하우징;과 상기 모팽이 하우징의 상단부에서 자팽이와 이 맞춤되며, 태엽식으로 감아 탄성적인 회전력을 고정하는 숫 걸림돌치;와 모팽이의 내부 저면의 중심부에 부설된 안착홈;과 중심부에서 원형의 홈이 천공되며, 상기 안착홈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서 고정되어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고정부재의 천공된 홈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서 체결/고정되고 제 1 자팽이와 이 맞춤 되거나 제 2 자팽이와 이 맞춤 되는 모팽이 돌치;와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지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팽이를 지지하며, 자팽이를 구동시키는 회전돌기/구동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자팽이는 상기 모팽이와 돌치하여 사용하며, 외곽을 형성하는 제 1 자팽이 하우징;과 상기 제 1 자팽이 하우징의 저면에서 모팽이와 이 맞춤되어 태엽식으로 감아 탄성적인 회전력을 고정하는 암 걸림돌치;와 상기 제 1자팽이 하우징 저면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지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팽이를 지지하는 제 1 자팽이 회전돌기;와 상기 제 1 자팽이 회전돌기를 감싸며 제 1 자팽이 하우징 저면에서 체결/고정되고 모팽이와 이 맞춤 되는 자팽이 돌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다결합 방식 팽이의 일실시예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을 형성하는 모팽이 하우징(100);과 상기 모팽이 하우징(100)의 상단부에서 자팽이와 이 맞춤되며, 태엽식으로 감아 탄성적인 회전력을 고정하는 숫 걸림돌치(110);와 모팽이의 내부 저면의 중심부에 부설된 안착홈(120);과 중심부에서 원형의 홈이 천공되며, 상기 안착홈(120)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고정부재(130)의 일측에서 고정되어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140);과 상기 스프링(140)의 중심과 상기 고정부재의 천공된 홈을 관통하는 회전축(150);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서 체결/고정되고 제 1 자팽이와 이 맞춤 되거나 제 2 자팽이와 이 맞춤 되는 모팽이 돌치(160);와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지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팽이를 지지하며, 자팽이를 구동시키는 회전돌기/구동버튼(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팽이는 전체적으로 외곽을 형성하는 모팽이 하우징(100) 내부 저면에 안착홈(12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20)은 통공된원기둥 형태이며, 벽면에 상기 고정부재(130)의 양쪽으로 돌출된 돌출판(132)을 인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홈이 제공된다.
상기 회전돌기/구동버튼(170)은 모팽이의 회전시에 지면에 접촉하며, 상기 모팽이 하우징(100)의 저면 중심의 통공된 회전공(174)에 인입되어 사용한다.
이때, 상기 회전돌기/구동버튼(170)은 상부면에 돌출된 걸림턱(172)이 존재하여 상기 회전공(174)에 인입 고정된다.
상기 회전돌기/구동버튼(170) 내부에는 홈이 파져 상기 회전축(150)의 일측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모팽이 돌치(160)는 상기 회전축(150)의 타측에 체결/고정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140)의 일단은 고정부재(130)의 일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모팽이 하우징(100) 상부 내면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운동의 탄성력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회전돌기/구동버튼(170)의 걸림턱(172)이 헐거워짐 없이 탄성적인 힘에 의해 지지/지탱된다.
상기 모팽이의 숫 걸림돌치(110)와 자팽이의 암 걸림돌치(210)를 이 맞춤 하여 조아서 감는 경우, 숫 걸림돌기(112)가 암 걸림돌기(212)의 능선(114)을 따라 쉽게 움직일 수 있어 내부 스프링(140)의 탄성력을 축적한 채로 각각의 걸림돌기(112)(212)에 서로 맞물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자팽이 하우징(200)의 상부면에서 그 내면에 위치한 구형의 힌지(240);와 상기 힌지(240)의 상부에 연결되어 움직임이 자유로운 수평유지봉(250);과 상기 수평유지봉(250) 상단에서 체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인 체결부재(260);와 상기 채결 부재(260)와 연결되어 손으로 파지하며 결합된 팽이의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자팽이와 모팽이는 마련된 각각의 걸림돌치(110)(210)에 탄성적인 회전력을 축적한 채로 서로 맞물려 고정되며,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에서 떨어뜨려 놀이용 2단 팽이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힌지(240)는 그 움직임이 자유로우며, 지면에 대하여 상기 2단팽이가 수평방향을 유지한 채 수직방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조력한다.
상기 채결부재(260)는 상기 수평유지봉(250)과 탄성부재(270)를 채결하며, 상기 탄성부재(270)를 손으로 파지한 채로 떨어뜨려 상기 2단팽이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60)는 수평유지봉(250)과 더불어 팽이를 중력이 작용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떨어뜨릴 수 있도록 조력한다.
한편, 상기 제 1 자팽이의 하우징(200) 외부에 설치된 회전파지부(205)는 제 1 자팽이와 모팽이의 각각의 걸림돌치(110)(210)에 결합하여 감아서 사용할 때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배려한 구성이다.
상기의 놀이용 2단팽이를 소정의 지면의 높이에서 떨어뜨릴 경우, 지면에 상기 회전돌기/구동버튼(170)이 닿게 되며, 위치에너지의 변화된 운동에너지를 최종적으로 연결된 모팽이 돌치(16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팽이 돌치(160)는 상승함과 동시에 자팽이 돌치(230)를 밀어내게 된다.
이 순간 상기 각각의 걸림돌치(110)(210)의 걸림돌기(112)(212)에 의해 이맞춤되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어 작동하게 된다.
즉, 각각의 팽이가 결합이 풀어짐과 동시에 스프링(140)의 회전 탄성력을 전달받아 각각의 모팽이와 자팽이는 자회전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 다결합 방식 팽이의 다른 일실시예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단팽이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2단팽이로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며, 제 1 자팽이의 내부에는 자석을 내재하여 제 2 자팽이를 부착하여 소정의 높이에서 지면에 떨어뜨려 사용한다.
상기 모팽이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제 1 자팽이는 상기 제 1 자팽이 하우징(200)의 내부 저면의 중심부에 부설된 안착부재(280);와 상기 안착부재(280) 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자팽이 돌치(230)와 상기 제 1 자팽이 회전돌기(220)와 체결/고정되며, 표면에 다수개의 천공 면을 가지는 밀핀(285);과 상기 밀핀(285)의 천공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부재(280) 내면에 체결/고정되는 걸림부재(290);와 상기 걸림부재(290) 중심부에 제공된 자석(293);과 상기 밀핀(285)의 상부에 위치한 스프링(295);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 2 자팽이는 제 1 자팽이의 내부에 삽입하여 결합된 형태로 사용하며, 제 2 자팽이의 외곽을 형성하는 제 2 자팽이 하우징(300);과 상기 제 2 자팽이 하우징(300)의 상부면에서 모팽이와 이 맞춤되어 태엽식으로 감아 탄성적인 회전력을 고정하는 암 걸림돌치(310);와 상기 암 걸림돌치(310) 내주에 위치하며, 제 2 자팽이 하우징(300) 상부면에서 체결/고정되어 모팽이와 이 맞춤되는 제 2 자팽이 돌치(370);와 상기 제 2 자팽이 하우징(300) 저면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지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팽이를 지지는 제 2 자팽이 회전돌기(320);와 상기 제 2 자팽이 하우징(300) 상부면에서 그 내면에 위치한 구형의 힌지(330);와 상기 힌지(3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움직임이 자유로운 수평유지봉(340);과 상기 수평유지봉(340) 상단에서 체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인 체결부재(350);와 상기 채결부재(350)와 연결되어 손으로 파지하며 연결된 팽이의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290)는 안착부재(280)의 내벽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에 자석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걸림부재(290)의 외주에는 다수개의 천공된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천공된 수와 일치하는 밀핀(285)의 천공된 표면은 각각 서로 맞물려 일정구간 상, 하의 방향으로 그 움직임이 자유롭다.
또한, 상기 밀핀(285)의 상부에 스프링(295)을 내재하여 모팽이로부터 제 2 자팽이가 분리하여 동작할 때 그 힘을 배가시킴과 아울러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스프링(295)은 안착부재(280)의 상단부에 걸림턱/채결부재(280)를 사용하여 노출됨 없이 지지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제 2 자팽이는 상기 제 1 자팽이 하우징(200)의 선단에 천공된 인입홈(208)에 삽입되며, 제 2 자팽이 회전돌기(320)는 금속성 물질로 상기의 자석(293)과 부착된다.
상기 자석(293)은 최소한 놀이용 3단 팽이의 전체 무게를 극복할 자화력을가지기 때문에, 소정의 높이에서 각각의 모팽이와 제 1, 2 자팽이의 자석이 내재된 부분이 분리됨 없이 결합되어 일정 흔들림에도 기계적으로 안정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다결합 방식 팽이의 또 다른 일실시예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자팽이의 돌치(370)와 모팽이 돌치(160)가 이 맞춤하여 돌려 사용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팽이 내부 스프링(140)의 탄성 회전력을 이용하는 실시예의 경우이다.
상기 모팽이의 회전돌기/구동버튼(170)을 눌러서 축적된 탄성력을 인가하여 회전시키는 놀이용 2단팽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자팽이의 수평 유지봉(340)과 탄성부재(360)는 모팽이의 모팽이 돌치(160) 내부로 삽입되어 깔끔하게 처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모팽이는 떨어뜨려 자회전하는 모팽이로 사용함과 아울러 자팽이를 회전 시킬 수 있는 돌림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은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힌지의 수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240)(330)는 자팽이 상부면(41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나 그 움직임은 자유롭다.
한편, 팽이놀이를 하지 않을 경우, 자팽이의 내부의 힌지수납박스(400)에 상기 힌지(240)(330)가 수납/저장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을 유지한 채 지면의 수직방향으로 떨어뜨리려 사용함이 용이한 다결합 방식 팽이를 제공하여 가지고 놀기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강력한 회전력을 줄 수 있어 아동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팽이의 내부에 구동시키는 탄성 회전력을 다른 방식으로 복합적으로 활용한 다단 팽이의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어서 쉽게 싫증을 느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이에게 상상력을 키워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회전체로 사용하는 모팽이와 상기 모팽이와 회전탄성력을 축적한 채로 이 맞춤되어 고정/결합되는 제 1 자팽이와 상기 각각의 모팽이, 제 1 자팽이를 결합하여 수평면을 유지한 채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떨어뜨려 회전시키는 다결합 방식 팽이에 있어서,
    상기 모팽이는 외곽을 형성하는 모팽이 하우징;과 상기 모팽이 하우징의 상단부에서 자팽이와 이 맞춤되며, 태엽식으로 감아 탄성적인 회전력을 고정하는 숫 걸림돌치;와 모팽이의 내부 저면의 중심부에 부설된 안착홈;과 중심부에서 원형의 홈이 천공되며, 상기 안착홈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서 고정되어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고정부재의 천공된 홈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서 체결/고정되고 제 1 자팽이와 이 맞춤 되는 모팽이 돌치;와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지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팽이를 지지하며, 자팽이를 구동시키는 회전돌기/구동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팽이는 모팽이와 돌치하여 사용하며, 외곽을 형성하는 제 1 자팽이 하우징;과 상기 제 1 자팽이 하우징의 저면에서 상기 모팽의 숫 걸림돌치와 이 맞춤되어 탄성회전력을 고정하는 암 걸림돌치;와 상기 제 1 자팽이 하우징 저면에서 회전시 팽이를 지지하는 제 1 자팽이 회전돌기;와 상기 제 1 자팽이 회전돌기를 감싸며 제 1 자팽이 하우징 저면에서 체결/고정되고 모팽이와 이 맞춤 되는 자팽이 돌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결합 방식 팽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팽는 하우징의 상부에서 그 내면에 위치한 구형의 힌지와 상기 힌지의 상부에 연결되어 움직임이 자유로운 수평유지봉과 상기 수평유지봉 상단에서 체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인 체결부재와 상기 채결부재와 연결되어 손으로 파지하며 연결된 팽이의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결합 방식 팽이.
  3. 회전체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돌림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모팽이와 내부에 자석이 내장되며, 상기 모팽이와 회전탄성력을 축적한 채로 이 맞춤되어 고정/결합되는 제 1 자팽이와 그 상부면에 인입되어 고정/부착되는 제 2 자팽이와 상기 각각의 모팽이, 제 1 자팽이, 제 2 자팽이를 결합하여 수평면을 유지한 채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떨어뜨려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 2 자팽이와 이 맞춤된 모팽이를 돌림장치로 사용하여 제 1 자팽이, 제 2 자팽이를 회전시키는 다결합 방식 팽이에 있어서,
    상기 모팽이는 외곽을 형성하는 모팽이 하우징;과 상기 모팽이 하우징의 상단부에서 자팽이와 이 맞춤되며, 태엽식으로 감아 탄성적인 회전력을 고정하는 숫 걸림돌치;와 모팽이의 내부 저면의 중심부에 부설된 안착홈;과 중심부에서 원형의 홈이 천공되며, 상기 안착홈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서 고정되어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중심과 상기 고정부재의 천공된 홈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서 체결/고정되고 제 1 자팽이와 이 맞춤 되거나 제 2 자팽이와 이 맞춤 되는 모팽이 돌치;와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지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팽이를 지지하며, 자팽이를 구동시키는 회전돌기/구동버튼;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팽이는 외곽을 형성하는 제 1 자팽이 하우징;과 상기 제 1 자팽이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내부에서 일정구간 상하의 움직임이 자유로우며, 표면에 다수개의 천공면을 가지는 밀핀;과 상기 밀핀의 천공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부재 내면에 체결/고정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밀핀의 선단부와 연결하여 체결/고정되는 회전돌기;와 상기 걸림부재 중심부에 제공된 자석;과 상기 밀핀의 상부에 위치하여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과 회전하는 팽이를 지지하는 제 1 자팽이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자팽이는 상부면에서 돌림장치와 이 맞춤되어 태엽식으로 감아 탄성회전력을 고정하는 암 걸림돌치;와 상기 암 걸림돌치 내주에 위치하여 돌림장치의 돌치와 이 맞춤되는 제 2 자팽이 돌치;와 상기 제 2 자팽이 저면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지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팽이를 지지하는 제 2 자팽이 회전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다결합 방식 팽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팽이는 하우징의 상부에서 그 내면에 위치한 구형의 힌지와 상기 힌지의 상부에 연결되어 움직임이 자유로운 수평유지봉과 상기 수평유지봉 상단에서 체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인 체결부재와 상기 채결부재와 연결되어 손으로 파지하며 연결된 팽이의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결합 방식 팽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구동버튼은 모팽이의 지면과 접하는 회전점이 될 뿐만 아니라 제 2 자팽이의 암 걸림돌치와 태엽식으로 감아 축적된 탄성적인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버튼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결합 방식 팽이.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팽이, 제 1 자팽이, 제 2 자팽이 중 하나의 팽이의 외주 일측에 회전추 또는/및 회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결합 방식 팽이.
  7.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힌지는 자팽이 내부에 힌지수납박스를 구비하여 자동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결합 방식 팽이.
KR1020030045675A 2003-07-07 2003-07-07 다결합 방식 팽이 KR20050005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675A KR20050005663A (ko) 2003-07-07 2003-07-07 다결합 방식 팽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675A KR20050005663A (ko) 2003-07-07 2003-07-07 다결합 방식 팽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663A true KR20050005663A (ko) 2005-01-14

Family

ID=3721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675A KR20050005663A (ko) 2003-07-07 2003-07-07 다결합 방식 팽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56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7565A (zh) * 2016-04-12 2016-07-06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一种自驱动陀螺及基于该自驱动陀螺的子母陀螺
CN111001165A (zh) * 2019-12-31 2020-04-14 广州市三宝动漫玩具有限公司 一种陀螺及陀螺对抗方法
KR20200104232A (ko) * 2019-02-26 2020-09-03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팽이 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7565A (zh) * 2016-04-12 2016-07-06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一种自驱动陀螺及基于该自驱动陀螺的子母陀螺
KR20200104232A (ko) * 2019-02-26 2020-09-03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팽이 완구
CN111001165A (zh) * 2019-12-31 2020-04-14 广州市三宝动漫玩具有限公司 一种陀螺及陀螺对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187398U (zh) 紧固装置
US4966178A (en) Tent movable between a collapsed position and a latched erect position
US5423584A (en) Golf ball retriever
CN206681523U (zh) 一种配电柜插销锁
US4890828A (en) Ornamental display assembly
WO2011143644A2 (en) Animal mobile entertainment device
US4204359A (en) Flying toy
US3945146A (en) Gyroscopic top
KR20050005663A (ko) 다결합 방식 팽이
US6530845B1 (en) Golf swing plane trainer
US6645123B1 (en) Jump rope apparatus
CN212854620U (zh) 一种多功能式陀螺玩具
CN202822753U (zh) 一种暴旋组合式陀螺玩具发射器
CN205683514U (zh) 折叠式球类收纳装置
KR20050005664A (ko) 자석이 내장된 놀이용 다결합 팽이
CN203029980U (zh) 一种陀螺
KR100983799B1 (ko) 골프공 공급기
KR20130065635A (ko) 중력 보조 회전 기구 및 그와 협력하는 발전기 장치
CN208678357U (zh) 拨动式触发互动玩具
CN209316954U (zh) 一种便携式球类收纳袋
CN209033753U (zh) 一种可发光的玩具抛伞
JP3198601U (ja) 縄跳び収納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縄跳びセット
US20150027013A1 (en) Articulated ring set
CN209510797U (zh) 一种卡扣装置
JP2003523274A (ja) キャッチボール用グ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