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221A -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221A
KR20200104221A KR1020200016088A KR20200016088A KR20200104221A KR 20200104221 A KR20200104221 A KR 20200104221A KR 1020200016088 A KR1020200016088 A KR 1020200016088A KR 20200016088 A KR20200016088 A KR 20200016088A KR 20200104221 A KR20200104221 A KR 20200104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point
information processing
driving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589B1 (ko
Inventor
가나 하마가미
다쿠야 마에카와
요스케 나카야마
아키토시 지쿠마루
다에 스기무라
다카오 히시카와
신이치 아다치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4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4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of traffic, e.g. cars on the road, trains or bo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3Recognising seat occupa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G06V40/175Static express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4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the source of the transmitted information selects which information to transmit to each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a selec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takes place in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G08G1/162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event-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19Control system elements or transf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65Data transmitted betwee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부(11)와, 다른 차량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2)와, 차량(10)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를 구비하고, 제어부(11)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P)에 차량(10)이 도달하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지점(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시스템{IN-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TER-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체의 원인이 되는 사상이 돌발적으로 발생한 경우라도 정체 예측을 행할 수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84003호 공보에는, 타차의 위치 및 진행 방향 등에 관한 내비게이션 정보, 타차의 속도 등의 주행 상태, 그리고 타차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송신원 정보를 포함하는 타차 정보를 정체 원인이 발생한 노선 상에 존재하는 타차로부터 차차간 통신에 의해 취득하여, 소정 시간 후의 당해 노선에 있어서의 교통 밀도를 산출하는 차량용 운전 지원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정체의 원인이 교통 사고인 경우에,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을 향해 주행하고 있는 후속 차량의 탑승자는, 당해 지점에 있어서의 교통 사고의 복구 상황 및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 등을 포함하는 교통 사고의 정보를, 상기한 바와 같은 타차 정보와는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
본 발명은, 후속 차량의 탑승자가 교통 사고의 정보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부와, 다른 차량과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와, 차량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상기 차량이 도달하면, 상기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지점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상기 제1 양태의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점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점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상기 제1 양태의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점에 상기 차량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되고, 상기 지점에 상기 차량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상기 지점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후속 차량으로 송신해도 된다.
상기 제1 양태의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는, 상기 차량의 외부를 촬상하는 차량 외부 카메라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상기 차량의 주행 화상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 양태의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제1 차량과, 상기 제1 양태의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제2 차량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차량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점에 상기 제1 차량이 도달하면, 상기 지점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차량에 있어서의 상기 통신부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상기 제2 차량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점에 상기 제1 차량이 도달한 후에 상기 제2 차량이 도달하면, 상기 지점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차량에 있어서의 상기 통신부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차량과, 상기 차량과 통신 접속되어 있는 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상기 차량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상기 지점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상기 제3 양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외부를 촬상하는 차량 외부 카메라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상기 차량의 주행 화상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3 양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차실 내에서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지점에 상기 차량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상기 지점에 있어서의 상기 탑승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해도 된다.
상기 제3 양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차실 내를 촬상하는 차실 내 카메라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차실 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상기 제3 양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취득해도 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지점에 상기 차량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상기 지점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양태에 의하면, 후속 차량의 탑승자가 교통 사고의 정보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유사 요소를 유사 도면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후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서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서버의 서버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10)에 탑재된다.
차량(10)은, 예를 들어 자동차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이 탑승 가능한 임의의 차량이어도 된다. 차량(10)은, 운전자에 의해 운전되는 차량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자동 운전을 행하는 차량이어도 된다. 자동 운전은, 예를 들어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 있어서 정의되는 레벨 1 내지 5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정의되어도 된다. 차량(10)의 탑승자는, 차량(10)의 운전자 및 동승자를 포함한다. 차량(10)의 탑승자의 수는, 1명이어도 되고, 복수여도 된다.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제어부(11)와, 통신부(12)와, 기억부(13)와, 입력부(14)와, 탑승자 정보 취득부(15)와, 위치 정보 취득부(16)와, 주행 상태 취득부(17)와,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를 갖는다.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를 구성하는 이들 구성부는, 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차량 탑재 네트워크 또는 전용선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개요로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10)에 탑재된 상태에서, 통신부(12)에 의해 다른 차량과 통신을 행한다.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차량(10)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입력부(14)가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고, 입력부(14)에 의해 취득된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를 취득한다. 입력 정보는, 예를 들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하는 제어 정보, 및 소정의 지점에 있어서 교통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인식 정보 등을 포함한다.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예를 들어 지점 P에 있어서 입력부(14)로부터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를 취득하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즉,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점 P에 있어서 교통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해도 된다.
제어부(1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범용의 프로세서, 또는 특정한 처리에 특화된 전용의 프로세서이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10)에 탑재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제어부(11)로서 기능해도 된다. 제어부(11)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와 예를 들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각 취득부를 제어하여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통신부(12)는, 차량 탑재 네트워크 또는 전용선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12)는, 차차간 통신 및 노차간 통신 등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차량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DCM(Data Communication Module) 등의 차량 탑재 통신기가 통신부(12)로서 기능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통신부(12)를 통해 후속 차량과 통신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13)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모리」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 자기 메모리, 또는 광 메모리 등이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억부(13)에 포함되는 각 메모리는, 예를 들어 주 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 또는 캐시 메모리로서 기능해도 된다. 기억부(13)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의 동작에 사용되는 임의의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13)는, 시스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도로 교통 정보, 도로 지도 정보, 및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의 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각종 정보 등을 기억해도 된다.
입력부(14)는,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부(14)는, 예를 들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갖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입력부(14)는,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여,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를 취득한다. 입력부(14)는, 취득한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를 제어부(11)에 출력한다.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차량(10)의 차실 내에서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차량(10)의 차실 내를 촬상하는 차실 내 카메라를 포함한다.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예를 들어 차실 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때, 탑승자에 관한 정보는, 차량(10)의 탑승자의 표정, 얼굴 방향, 시선, 깜박임 상태, 몸짓, 언동, 인원수, 소지품, 운전(승차) 계속 시간, 그리고 연령, 성별, 국적, 및 인종 등을 포함하는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상시 취득해도 되고, 정기적으로 취득해도 된다.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예를 들어 얼굴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차실 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탑승자의 표정, 얼굴 방향, 시선, 및 깜박임 상태 등의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그 밖에도,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임의의 화상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차실 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탑승자 정보 취득부(15)의 구성은,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차실 내 카메라와는 다른, 임의의 다른 화상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CAN에 접속되어 있는 임의의 다른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차량(10)의 차실 내에 설치되고, CAN에 접속되어 있는 임의의 소리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예를 들어 소리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이때, 탑승자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탑승자의 대화 내용, 그 밖의 음성 언어를 표출하는 탑승자의 행동에 의해 발생한 음성, 및 그 밖의 소리를 표출하는 탑승자의 행동에 의해 발생한 소리 등을 포함하는 탑승자에 기인하는 소리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예를 들어 음성 인식 기술 및 다른 임의의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소리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차량(10)의 차실 내에 설치되고, CAN에 접속되어 있는 임의의 생체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예를 들어 생체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이때, 탑승자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뇌파, 뇌혈류, 혈압, 혈당값, 혈중 아미노산, 심박, 맥박, 체온, 체감 온도, 공복감, 및 피로감 등을 포함하는 탑승자의 생체 상태를 포함해도 된다.
위치 정보 취득부(16)는,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정보 취득부(16)는, 임의의 위성 측위 시스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취득부(16)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때, 위치 정보 취득부(16)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위도, 경도, 고도, 및 주행 차선 위치 등을 포함한다. 위치 정보 취득부(16)는,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상시 취득해도 되고, 정기적으로 취득해도 된다.
위치 정보 취득부(16)의 구성은,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 정보 취득부(16)는, 지자기 센서 및 각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이때, 위치 정보 취득부(16)는, 차량(10)이 향하고 있는 방향, 즉 차량(10)의 주행 방향을 취득해도 된다.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CAN에 접속되어 있는 임의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는, 예를 들어 LIDAR(Light Detecting and Ranging), 레이더, 소나,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스티어링 타각 센서 등의 차량(10)의 주행 상태를 취득 가능한 임의의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예를 들어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차량(10)의 주행 상태를 취득해도 된다. 이때, 주행 상태는, 차간 간격, 주행 차선에 있어서의 위치, 속도, 가속도, 스티어링 상태, 액셀러레이터 상태, 브레이크 상태, 클러치 상태, 기어 상태, 윙커 상태, 와이퍼 상태, 라이트 상태, 도어 미러 상태, 및 시트 상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차량(10)의 주행 상태를 상시 취득해도 되고, 정기적으로 취득해도 된다.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차량(10)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차량(10)의 외부를 촬상하는 차량 외부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때,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10)의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차량(10)의 주행 화상을 포함한다.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차량(10)의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차량(10)의 주행 화상으로부터 취득되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교통 사고 차량의 유무, 교통 사고 차량의 상태, 긴급 차량의 도착 상황, 주행 차선의 상태, 차선 수, 정체 상황, 노면의 상태, 도로 종별, 도로의 폭, 및 신호 상황 등을 포함해도 된다. 교통 사고 차량은, 예를 들어 승용차 및 트랙 등의 임의의 자동차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이 탑승 가능한 임의의 차량이어도 된다. 교통 사고 차량의 상태는, 바퀴의 빠짐, 뒤집힘, 및 충돌 등의 임의의 상태를 포함한다. 긴급 차량은, 예를 들어 경찰차, 구급차, 소방차, 및 견인차 등을 포함한다.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시 취득해도 되고, 정기적으로 취득해도 된다.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임의의 화상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주행 화상으로부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의 구성은,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CAN에 접속되어 있는 임의의 다른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센서는, 예를 들어 차량 외부 카메라와는 다른 임의의 다른 화상 센서 및 소리 센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예를 들어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이때,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는, 상기한 내용 외에도, 예를 들어 긴급 차량의 사이렌 소리 등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제어부(11)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를 구성하는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10)의 주행 화상을 후속 차량으로 송신해도 된다. 제어부(11)는,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후속 차량으로,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소정의 거리는, 예를 들어 지점 P로부터, 지점 P에 있어서 발생한 교통 사고를 원인으로 하는 교통 사고 정체의 개시 지점 근방까지의 거리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지점 P에 있어서 입력부(14)로부터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를 취득하면,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해도 된다.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는,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입력부(14)에 의해 취득된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 및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다는 판정 정보의 양쪽에 기초하여,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가 그러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의 동작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의 동작 흐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00: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의 제어부(11)는,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를 입력부(14)로부터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하는 제어 정보를 입력부(14)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101: 제어부(11)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스텝 S102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11)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스텝 S100의 처리로 돌아간다.
스텝 S102: 제어부(11)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이상과 같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에 의하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함으로써, 교통 사고의 정보를 정확하게, 또한 실시간으로 후속 차량의 탑승자를 파악할 수 있다. 교통 사고의 정보는, 예를 들어 교통 사고가 발생한 순간 및 직후의 상황, 긴급 차량의 도착 상황, 교통 사고의 복구 상황, 그리고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상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후속 차량의 탑승자는,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점 P에 있어서의 교통 사고 정체의 예측을 행하여, 주행 루트를 유지하거나, 변경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지점 P에 있어서 입력부(14)로부터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를 취득하면,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인식에 기초하여, 지점 P에 있어서의 교통 사고의 정보를 정확하게, 또한 실시간으로 후속 차량의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인식에 관계없이, 제어부(11)에 의한 판정에만 기초하여, 지점 P에 있어서의 교통 사고의 정보를 정확하게, 또한 실시간으로 후속 차량의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입력부(14)에 의해 취득된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 및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다는 판정 정보의 양쪽에 기초하여,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인식 및 제어부(11)에 의한 판정의 양쪽에 기초하는 더 정확한 정보로서, 지점 P에 있어서의 교통 사고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후속 차량의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차량(10)의 주행 화상으로부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화상에 기초하는 시각 정보로서 더 정확하게, 지점 P에 있어서의 교통 사고의 정보를 후속 차량의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10)의 주행 화상을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로서 그대로 후속 차량으로 송신함으로써, 더 정확한 정보로서, 지점 P에 있어서의 교통 사고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후속 차량의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은, 복수의 차량(10)을 갖는다. 도 3에서는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차량(10)에 대해 2대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이 갖는 차량(10)의 수는 3대 이상이어도 된다. 복수의 차량(10)의 각각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를 탑재한다. 따라서, 복수의 차량(10)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은, 그대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을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10)의 각각에도 적용된다. 복수의 차량(10)의 각각은,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에 의해 실현되는 교통 사고의 정보의 실시간의 배신을 수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미리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에 등록되어 있어도 된다.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을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10) 중 제1 차량(10)에 있어서의 제어부(11)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제1 차량(10)이 도달하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이때, 후속 차량은,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차량(10) 이외의 다른 차량(10)이어도 되고,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 임의의 차량이어도 된다.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을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10) 중 제2 차량(10)에 있어서의 제어부(11)는, 지점 P에 제1 차량(10)이 도달한 후에 제2 차량(10)이 도달하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이때, 후속 차량은,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차량(10) 및 제2 차량(10) 이외의 다른 차량(10)이어도 되고,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 임의의 차량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에 의하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후속 차량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속 차량의 탑승자는, 교통 사고의 정보 경과를 정확하면서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후속 차량의 탑승자는, 이러한 교통 사고의 정보의 경과에 따라서, 지점 P에 있어서의 교통 사고 정체의 예측을 행하여, 주행 루트를 유지하거나, 변경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 정보 처리 시스템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3)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3)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를 탑재하는 차량(10),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2)을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10)을 갖는다. 도 4에서는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차량(10)에 대해 2대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정보 처리 시스템(3)이 갖는 차량(10)의 수는 1대 이상의 임의의 수여도 된다. 차량(10)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은, 그대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차량(10)에도 적용된다. 차량(10)은, 정보 처리 시스템(3)에 의해 실현되는 교통 사고의 정보의 실시간의 배신을 수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미리 정보 처리 시스템(3)에 등록되어 있어도 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은, 복수의 차량(10) 외에도 서버(20)를 갖는다. 복수의 차량(10)의 각각과 서버(20)는, 예를 들어 이동체 통신망 및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3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과 서버(2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로 통신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에 있어서의 제어부(11)는 통신부(12)를 제어하여, 취득된 각종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20)로 송신한다.
서버(20)는, 예를 들어 서버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 범용의 정보 처리 장치이다. 서버(20)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처리 시스템(3)에 전용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여도 된다. 서버(20)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서버(20)를 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하나만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3)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차량(10)이 탑재하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한다.
통신부(12)는, 네트워크(30)에 접속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는, 4G(4th Generation) 및 5G(5th Generation) 등의 이동체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10)은, 통신부(12)를 통해 네트워크(30)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13)에 기억된 상기한 정보는, 예를 들어 통신부(12)를 통해 네트워크(30)로부터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 가능해도 된다.
도 5는, 서버(2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20)는, 서버 제어부(21)와, 서버 통신부(22)와, 서버 기억부(23)를 갖는다.
서버 제어부(2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갖는다. 서버 제어부(21)는, 서버(2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와 접속되고, 서버(2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21)는, 서버 통신부(22)를 제어하여, 네트워크(30)를 통해 차량(10)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21)는, 서버 기억부(23)를 제어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3)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서버 기억부(23)에 저장한다.
서버 통신부(22)는, 네트워크(30)에 접속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버 통신부(22)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규격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20)는, 서버 통신부(22)를 통해 네트워크(30)에 접속되어 있다.
서버 기억부(23)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서버 기억부(23)에 포함되는 각 메모리는, 예를 들어 주 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 또는 캐시 메모리로서 기능해도 된다. 서버 기억부(23)는, 서버(20)의 동작에 사용되는 임의의 정보를 기억한다. 서버 기억부(23)에 기억된 정보는, 예를 들어 서버 통신부(22)를 통해 네트워크(30)로부터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 가능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버 기억부(23)는, 시스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도로 교통 정보, 도로 지도 정보, 및 차량(10)에 있어서의 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각종 정보 등을 기억해도 된다.
서버 기억부(23)는, 정보 처리 시스템(3)의 동작에 필요한 다른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서버 기억부(23)는, 정보 처리 시스템(3)에 의해 산출된, 후술하는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과,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각종 정보는, 예를 들어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각종 정보는, 예를 들어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복수의 차량(10)의 각각이 도달하였을 때의 시각과, 대응하는 차량(10)의 차량 정보를 포함한다. 각종 정보는, 예를 들어 지점 P에 있어서,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 탑승자 정보 취득부(15)에 의해 취득된 탑승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상태 취득부(17)에 의해 취득된 차량(10)의 주행 상태를 포함한다. 각종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의 차량(10)이 복수의 지점 P를 주행하였을 때의 데이터를 모두 서버(20)에 집약하여, 빅 데이터로서 관리되어 있어도 된다.
서버 제어부(21)는, 서버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도로 지도 정보를 참조하면서, 위치 정보 취득부(16)에 의해 취득된 차량(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서버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한다.
서버 제어부(21)에 의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의 산출 방법은,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 제어부(21)는,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 외에도, 탑승자 정보 취득부(15)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10)의 탑승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상태 취득부(17)에 의해 취득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10)의 주행 상태 중 적어도 한쪽도 추가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해도 된다.
서버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기계 학습에 의해,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한다. 서버 제어부(21)는, 이러한 산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임의의 학습 처리의 구성을 가져도 된다. 서버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복수의 차량(10)이 도달할 때마다 계속적으로 이러한 산출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서버 통신부(22)는, 서버 제어부(21)에 의해 산출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후속 차량으로 송신해도 된다. 이때, 후속 차량은, 정보 처리 시스템(3)의 일부를 구성하는 다른 차량(10)이어도 되고, 정보 처리 시스템(3)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 임의의 차량이어도 된다. 서버 통신부(22)는,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후속 차량에,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송신해도 된다. 소정의 거리는, 예를 들어 지점 P로부터, 지점 P에 있어서 발생한 교통 사고를 원인으로 하는 교통 사고 정체의 개시 지점 근방까지의 거리여도 된다.
도 6은, 서버(20)의 서버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서, 서버(20)의 서버 기억부(23)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서는,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대해 하나만을 예시하고, 당해 지점 P에 3대의 차량(10)이 도달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는 복수여도 되고, 하나의 지점 P에 도달하는 차량(10)의 대수도 임의의 수여도 된다.
예를 들어,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 A1이 도달한다.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 A1이 도달한 시각은 T1이다. 이때, 차량 A1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차량 A1의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1의 주행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차량 A1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1의 주행 화상으로부터, 예를 들어 교통 사고 차량의 유무, 긴급 차량의 도착 상황, 및 주행 차선의 상태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시각 T1에서는, 지점 P에 있어서 교통 사고 차량이 존재하고, 긴급 차량이 미도착이며, 복수의 주행 차선의 전부가 교통 사고 차량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이때, 차량 A1에 있어서의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1의 탑승자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탑승자의 표정, 시선, 및 대화 내용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시각 T1에서는,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지점 P에 있어서, 찌푸린 얼굴인 탑승자의 표정 및 교통 사고 차량을 향해 보내고 있는 탑승자의 시선을, 차량 A1의 차실 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지점 P에 있어서 「차가 정체로 움직이지 않는다」고 하는 탑승자의 대화 내용을, 차량 A1의 소리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이때, 차량 A1에 있어서의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1의 주행 상태로서, 예를 들어 차간 간격 및 속도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시각 T1에서는,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지점 P에 있어서 차간 간격이 거의 없음을, 차량 A1의 LIDAR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지점 P에 있어서 차량 A1의 속도가 제로임을, 차량 A1의 속도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서버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 탑승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에 의해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T1'이라고 산출한다. 예를 들어, 시각 T1에서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직후이며, 긴급 차량도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 T1'과 시각 T1의 차는 커진다. 서버 통신부(22)는, 서버 제어부(21)에 의해 산출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 T1'을,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 A2가 도달한다.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 A2가 도달한 시각은 T2이다. 이때, 차량 A2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차량 A2의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2의 주행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차량 A2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2의 주행 화상으로부터, 예를 들어 교통 사고 차량의 유무, 긴급 차량의 도착 상황, 및 주행 차선의 상태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시각 T2에서는, 지점 P에 있어서 교통 사고 차량이 존재하고, 긴급 차량이 도착하였고, 복수의 주행 차선의 일부에 있어서 교통 사고 차량에 의한 차단이 해소되어 있다.
이때, 차량 A2에 있어서의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2의 탑승자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탑승자의 표정, 시선 및 대화 내용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시각 T2에서는,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지점 P에 있어서, 안도하는 탑승자 표정 및 긴급 차량을 향해 보내지고 있는 탑승자의 시선을, 차량 A2의 차실 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지점 P에 있어서 「차가 움직이기 시작하였다」고 하는 탑승자의 대화 내용을, 차량 A2의 소리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이때, 차량 A2에 있어서의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2의 주행 상태로서, 예를 들어 차간 간격 및 속도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시각 T2에서는,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지점 P에 있어서 차간 간격이 좁음을, 차량 A2의 LIDAR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지점 P에 있어서 차량 A2의 속도가 느림을, 차량 A2의 속도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서버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 탑승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에 의해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T2'라고 산출한다. 예를 들어, 시각 T2에서는, 교통 사고가 어느 정도 복구되었고, 긴급 차량도 이미 도착하였다는 점에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 T2'과 시각 T2의 차는, 해소 시각 T1'과 시각 T1의 차보다 작아진다. 해소 시각 T2'은, 서버 제어부(21)에 의해 산출된 타이밍 여하에 따라서는, 해소 시각 T1'과 비교하여, 빨라질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고, 늦어질 수도 있다. 서버 통신부(22)는, 서버 제어부(21)에 의해 산출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 T2'을,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 A3이 도달한다.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 A3이 도달한 시각은 T3이다. 이때, 차량 A3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차량 A3의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3의 주행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차량 A3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3의 주행 화상으로부터, 예를 들어 교통 사고 차량의 유무, 긴급 차량의 도착 상황, 및 주행 차선의 상태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시각 T3에서는, 지점 P에 있어서 교통 사고 차량이 철거되었고, 긴급 차량도 철수하였으며, 복수의 주행 차선의 전부에 있어서 교통 사고 차량에 의한 차단이 해소되어 있다.
이때, 차량 A3에 있어서의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3의 탑승자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탑승자의 표정, 시선 및 대화 내용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시각 T3에서는,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지점 P에 있어서, 쾌적한 탑승자의 표정 및 차 밖의 경치를 향해 보내고 있는 탑승자의 시선을, 차량 A3의 차실 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탑승자 정보 취득부(15)는, 지점 P에 있어서 「차가 움직이고 있다」고 하는 탑승자의 대화 내용을, 차량 A3의 소리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이때, 차량 A3에 있어서의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 A3의 주행 상태로서, 예를 들어 차간 간격 및 속도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시각 T3에서는,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지점 P에 있어서 차간 간격이 보통임을, 차량 A3의 LIDAR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주행 상태 취득부(17)는, 지점 P에 있어서 차량 A3의 속도가 보통임을, 차량 A3의 속도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서버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 탑승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에 의해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T3'이라고 산출한다. 예를 들어, 시각 T3에서는, 교통 사고가 복구되었고, 긴급 차량도 이미 철수하였다는 점에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 T3'과 시각 T3의 차는, 해소 시각 T2'과 시각 T2의 차보다 더욱 작아진다. 해소 시각 T3'은, 서버 제어부(21)에 의해 산출된 타이밍 여하에 따라서는, 해소 시각 T1' 및 T2'과 비교하여, 빨라질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고, 늦어질 수도 있다. 서버 통신부(22)는, 서버 제어부(21)에 의해 산출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 T3'을,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서버 기억부(23)는, 장래 발생할 다른 교통 사고에 있어서 서버 제어부(21)가 기계 학습에 의해 마찬가지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지점 P에 있어서의 각 시각과 관련된 정보를, 최신의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이 후속 차량으로 송신된 후에도 여전히 기억한다. 서버 기억부(23)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 통신부(22)가 최신의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후속 차량으로 송신하면, 그보다 이전의 시각과 관련된 정보를 소거해도 된다.
도 7은, 정보 처리 시스템(3)의 동작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3)의 동작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200: 차량(10)에 있어서의 제어부(11)는, 위치 정보 취득부(16)에 의해,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201: 차량(10)에 있어서의 제어부(11)는, 스텝 S200에 있어서 취득한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통신부(12)에 의해 서버(20)에 송신한다.
스텝 S202: 서버(20)의 서버 제어부(21)는, 스텝 S200에 있어서 취득된 차량(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3: 서버(20)의 서버 제어부(21)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 P에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한다.
스텝 S204: 차량(10)에 있어서의 제어부(11)는, 주행 상태 취득부(17)에 의해,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10)의 주행 상태를 취득한다. 차량(10)에 있어서의 제어부(11)는, 탑승자 정보 취득부(15)에 의해, 차량(10)의 차실 내에서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차량(10)에 있어서의 제어부(11)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차량(10)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205: 차량(10)에 있어서의 제어부(11)는, 스텝 S204에 있어서 취득한 차량(10)의 주행 상태, 탑승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에 의해 서버(20)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서버(20)의 서버 제어부(21)는, 차량(10)의 주행 상태, 탑승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의 각각을 스텝 S203의 직후에 취득한다. 서버(20)의 서버 제어부(21)가 이들 정보를 취득하는 타이밍은,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20)의 서버 제어부(21)는, 이들 정보를 상시 취득해도 되고, 스텝 S201에서 모아서 취득해도 되고, 그 밖의 적절한 타이밍에 취득해도 된다.
스텝 S206: 서버(20)의 서버 제어부(21)는, 스텝 S205에 있어서 취득한 차량(10)의 주행 상태, 탑승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한다.
스텝 S207: 서버(20)의 서버 제어부(21)는, 스텝 S206에 있어서 산출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후속 차량으로 송신한다.
이상과 같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3)에 의하면,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후속 차량으로 송신함으로써, 교통 사고의 정보를 정확하게, 또한 실시간으로 후속 차량의 탑승자가 파악할 수 있다. 교통 사고의 정보는,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포함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맞춘, 고정밀도의 해소 시각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지점 P에 도달한 복수의 차량(10)으로부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각각에 대해 해소 시각을 산출함으로써, 당해 해소 시각을 실시간으로, 또한 계속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후속 차량의 탑승자는, 최신의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계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주행 루트의 유지 또는 변경에 대해 적절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가,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차량(10)의 주행 화상인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주행 화상에 기초하는 시각적인 정보에 의해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을 정확하게 취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기계 학습에 기초하는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 예상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 외에도, 지점 P에 있어서의 탑승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함으로써, 교통 사고에 대한 탑승자의 반응도 고려한 더 고정밀도의 해소 시각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차 밖의 상황뿐만 아니라, 차실 내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상황도 포함하는 다각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차실 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지점 P에 있어서의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이러한 시각 정보로서의 탑승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은,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 가능한 임의의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차량(10)의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시각 정보에 의해서는 취득할 수 없는 다양한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시각 정보에 의해서는 취득할 수 없는 탑승자에 기인하는 소리 정보를, 소리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시각 정보에 의해서는 취득할 수 없는 미묘한 감정의 변화를 탑승자의 생체 상태로서, 생체 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정보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 외에도, 지점 P에 있어서의 차량(10)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함으로써, 교통 사고와 관련된 차량(10)의 주행 상태도 고려한 더 고정밀도의 해소 시각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3)은, 차 밖의 상황뿐만 아니라, 차량(10)의 주행 상태도 포함하는 다각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여러 도면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한 것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각 수단 또는 각 스텝 등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도록 재배치 가능하고, 복수의 수단 또는 스텝 등을 하나로 조합하거나, 또는 분할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의 각 구성부는, 차량(10)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의 각 구성부가 실행하는 일부 또는 전부의 처리 동작을,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등의 임의의 전자 기기가 실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등의 범용의 전자 기기를,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의 각 구성부, 또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서버(20)로서 기능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부(12) 등의 각 기능을 실현하는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을, 전자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당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시킨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발명은,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도 실현 가능하다.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가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후속 차량으로 송신해도 되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에 대체하여, 또는 추가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3)이, 지점 P에 있어서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차량(10)으로부터 취득하여, 후속 차량으로 송신해도 된다.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3)의 서버(20)가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산출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20)에 대체하여, 또는 추가하여, 차량(10)에 탑재되어 있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1)의 제어부(11)가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해도 된다.

Claims (10)

  1.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11)와,
    다른 차량과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12)와,
    차량(10)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P)에 상기 차량(10)이 도달하면, 상기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상기 지점(P)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12)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하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지점(P)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4)에 의해 취득된 상기 탑승자에 의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점(P)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후속 차량으로 송신하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에 의해 취득된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점(P)에 상기 차량(10)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지점(P)에 상기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상기 지점(P)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후속 차량으로 송신하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환경 정보 취득부(18)는, 상기 차량(10)의 외부를 촬상하는 차량 외부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상기 차량(10)의 주행 화상을 포함하는,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5.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제1 차량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제2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량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지점(P)에 상기 제1 차량이 도달하면, 상기 지점(P)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차량에 있어서의 상기 통신부(12)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차량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지점(P)에 상기 제1 차량이 도달한 후에 상기 제2 차량이 도달하면, 상기 지점(P)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차량에 있어서의 상기 통신부(12)에 의해 후속 차량으로 송신하는,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
  6.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10)과,
    상기 차량(10)과 통신 접속되어 있는 서버(20)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10)은,
    상기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차량(10)의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서버(20)는,
    상기 차량(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점(P)에 상기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상기 지점(P)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후속 차량으로 송신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은, 상기 차량(10)의 외부를 촬상하는 차량 외부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환경에 관한 정보는, 상기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상기 차량의 주행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은, 상기 차량(10)의 차실 내에서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서버(20)는, 상기 지점(P)에 상기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상기 지점(P)에 있어서의 상기 탑승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은, 상기 차량(10)의 차실 내를 촬상하는 차실 내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차실 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은, 상기 차량(10)의 주행 상태를 취득하고,
    상기 서버(20)는, 상기 지점(P)에 상기 차량(10)이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상기 지점(P)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교통 사고 정체의 해소 시각을 산출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200016088A 2019-02-26 2020-02-11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293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3103A JP7131433B2 (ja) 2019-02-26 2019-02-26 車載用情報処理装置、車両間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JP-P-2019-033103 201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221A true KR20200104221A (ko) 2020-09-03
KR102293589B1 KR102293589B1 (ko) 2021-08-25

Family

ID=6957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088A KR102293589B1 (ko) 2019-02-26 2020-02-11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69847A1 (ko)
EP (1) EP3703026A3 (ko)
JP (1) JP7131433B2 (ko)
KR (1) KR102293589B1 (ko)
CN (1) CN1116129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4728C2 (en) * 2021-02-19 2022-10-25 Scania Cv Ab Method and control arrangement for estimating relevance of location-based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2351A (ja) * 2011-03-31 2012-11-01 Mazda Motor Corp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20130003521A (ko) * 2011-06-30 2013-01-09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센서를 이용한 운전 안내 시스템
JP2013045343A (ja) * 2011-08-25 2013-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の動作方法
JP2016060336A (ja) * 2014-09-17 2016-04-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08657B1 (ko) * 2015-09-01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9096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7132390A (ja) * 2016-01-28 2017-08-0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2018032436A (ja) * 2017-11-02 2018-03-01 みこらった株式会社 自動運転車及び自動運転車用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9096A (ja) * 1996-09-03 1998-03-24 Toshiba Corp 経路選択支援情報提供装置
JPH1186184A (ja) * 1997-09-09 1999-03-30 Aqueous Res:Kk 車両走行情報提供装置及び交通情報提供局
JP2002257561A (ja) * 2001-03-02 2002-09-11 Denso Corp 渋滞情報提供装置
JP4108435B2 (ja) * 2002-10-16 2008-06-2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両用情報処理装置
JP2008084003A (ja) 2006-09-27 2008-04-10 Mazda Motor Corp 車両用運転支援システム
JP2010218101A (ja) * 2009-03-16 2010-09-30 Toyota Motor Corp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交通情報通信装置
EP2442291B1 (en) * 2010-10-13 2013-04-24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Traffic event monitoring
JP5585405B2 (ja) * 2010-11-15 2014-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交通情報システム、交通情報取得装置および交通情報提供装置
JP5729345B2 (ja) * 2012-04-10 2015-06-03 株式会社デンソー 感情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03903468B (zh) * 2012-12-25 2016-11-16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道路拥堵时间预警方法及装置
CN104282165B (zh) * 2013-07-12 2017-07-28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路段拥堵预警方法及装置
DE102013014872A1 (de) * 2013-09-06 2015-03-12 Audi Ag Verfahren, Auswertesystem und kooperatives Fahrzeug zum Prognostizieren von mindestens einem Stauparameter
MX370796B (es) * 2014-04-14 2020-01-08 Sirius Xm Radio Inc Sistemas, métodos y aplicaciones para utilizar y mejorar comunicaciones de vehículo a vehículo, inclusive sinergias e interoperación con radio satelital.
KR101626654B1 (ko) * 2014-06-23 2016-06-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WO2016030934A1 (ja) * 2014-08-25 2016-03-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032369B2 (en) * 2015-01-15 2018-07-24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traffic monitoring and alert
KR20160107636A (ko) * 2015-03-04 201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사고 방지를 위한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728326B1 (ko) * 2015-03-19 2017-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JP2017117005A (ja) * 2015-12-21 2017-06-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事故通知システム、通知システム、車載通知装置及び事故通知方法
JP6260912B2 (ja) * 2016-02-09 2018-0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渋滞箇所情報提供のための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27273B2 (ja) * 2016-03-22 2018-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提供装置
JP6337382B2 (ja) * 2016-05-19 2018-06-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交通情報共有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US10049571B2 (en) * 2016-06-29 2018-08-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tuational understanding of unknown roadway conditions that are ahead for a connected vehicle
US20190193659A1 (en) * 2016-07-07 2019-06-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cciden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accident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WO2019017253A1 (ja) * 2017-07-18 2019-01-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154696A (zh) * 2017-12-25 2018-06-12 重庆冀繁科技发展有限公司 车辆事故管理系统及方法
US10700782B2 (en) * 2018-01-12 2020-06-30 Intel Corporati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2351A (ja) * 2011-03-31 2012-11-01 Mazda Motor Corp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20130003521A (ko) * 2011-06-30 2013-01-09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센서를 이용한 운전 안내 시스템
JP2013045343A (ja) * 2011-08-25 2013-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の動作方法
JP2016060336A (ja) * 2014-09-17 2016-04-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08657B1 (ko) * 2015-09-01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9096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7132390A (ja) * 2016-01-28 2017-08-0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2018032436A (ja) * 2017-11-02 2018-03-01 みこらった株式会社 自動運転車及び自動運転車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3026A3 (en) 2020-10-28
CN111612936A (zh) 2020-09-01
JP2020140237A (ja) 2020-09-03
EP3703026A2 (en) 2020-09-02
JP7131433B2 (ja) 2022-09-06
KR102293589B1 (ko) 2021-08-25
US20200269847A1 (en)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61552B (zh) 自动驾驶系统
WO2019163121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228472B (zh) 车辆控制系统、车辆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20190039627A1 (en) Alert control apparatus and alert control method
KR20190005442A (ko) 차량용 주행 시스템 및 차량
US20180141569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program
CN101652802A (zh) 安全驾驶支持装置
CN109720343B (zh) 车辆控制设备
CN109890662B (zh) 车辆控制系统、车辆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1986505B (zh) 控制装置、上下车设施、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11964668B2 (en)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nd travel control device
CN111260481A (zh) 信息处理系统、程序及控制方法
KR102293589B1 (ko) 차량 탑재용 정보 처리 장치, 차량간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시스템
JP717252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N111267864B (zh) 信息处理系统、程序和控制方法
CN111301418A (zh) 驾驶辅助装置及其控制方法、车辆以及存储介质
JP2020032781A (ja) 停車支援装置
US20230401612A1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US11648938B2 (en) Braking data mapping
JP7246195B2 (ja) 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装置
JP2024064277A (ja) 客室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1111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車両
KR20230113427A (ko) 자율 주행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4064278A (ja) 客室管理装置
JP2020042614A (ja) 車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