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707A - 적층체, 증명증,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 증명증,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707A
KR20200103707A KR1020207019654A KR20207019654A KR20200103707A KR 20200103707 A KR20200103707 A KR 20200103707A KR 1020207019654 A KR1020207019654 A KR 1020207019654A KR 20207019654 A KR20207019654 A KR 20207019654A KR 20200103707 A KR20200103707 A KR 20200103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cording layer
security foil
relief
sid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812B1 (ko
Inventor
나오키 미나미카와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42D25/391Special inks absorbing or reflecting polarised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4Reli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1Marking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42D25/45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42D25/46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using press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61Reflection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step profile, contours of substrate or grooves, pitch variations,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5/00Cards, e.g. identity cards, credit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9/00Carriers for sound or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3Identity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4Pass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적층체는, 기록층과, 투광성의 표면측 피복층과, 기록층과 표면측 피복층으로 라미네이트되고 적층체 내에 봉입된 시큐리티박을 구비한다. 또, 시큐리티박의 두께가 기록층 두께의 1/5 이하임으로써, 시큐리티박을 재이용한 개찬을 억제한다. 시큐리티박은, 릴리프면을 갖는 릴리프층과, 릴리프면을 덮는 보호층을 구비하며, 또한, 두께 방향에 있어서, 보호층은 기록층에 접착되어 있고, 릴리프층은 표면측 피복층에 접착되어 있다. 시큐리티박과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시큐리티박과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다.

Description

적층체, 증명증,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적층체, 적층체를 구비하는 증명증,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ID 카드, 패스포트, 및, 운전 면허증 등의 인증용 정보가 기록된 증명증에 대해, 릴리프 구조를 포함하는 시큐리티박이 2 개의 층 사이에 끼워지며, 또한, 각 층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증명증에 의하면, 시큐리티박이 증명증의 외표면에 위치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시큐리티박에 화학적인 손상 및 물리적인 손상의 적어도 일방이 잘 생기지 않고, 또, 시큐리티박이 증명증을 구성하는 다른 부재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6107137호 명세서
그런데, 서로 동일한 종류의 증명증 사이에서는, 서로 동일한 화상을 표시하는 시큐리티박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증명증에 있어서, 진정한 증명증으로부터 시큐리티박이 꺼내지면, 꺼내진 시큐리티박은, 개찬 (改竄) 된 인증용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짜 증명증을 제조하기 위해 재이용되어 버린다. 가짜 증명증의 인증이 재이용된 시큐리티박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경우, 시큐리티박 자체는 진정한 증명증에서 유래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짜 증명증의 판별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시큐리티박의 재이용이 어려운 증명증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항은, 인증용의 정보를 포함하는 증명증에 한정되지 않고, 시큐리티박을 포함하는 한편, 인증용의 정보 이외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적층체에도 공통되고 있다.
본 개시는, 적층체가 구비하는 시큐리티박의 재이용을 억지 (抑止)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적층체, 증명증,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층체는, 기록층과, 투광성의 표면측 피복층과, 상기 기록층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으로 라미네이트되고, 적층체 내에 봉입된 두께가 상기 기록층 두께의 1/5 이하인 시큐리티박을 구비한다. 상기 시큐리티박은, 릴리프면을 갖는 릴리프층과, 상기 릴리프면을 덮는 보호층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기록층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릴리프층은 상기 표면측 피복층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시큐리티박과 상기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상기 시큐리티박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증명증은, 상기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를 지지하는 지지층을 구비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기록층과 표면측 피복층을 준비하는 것과, 릴리프면을 갖는 릴리프층과, 상기 릴리프면을 덮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층 두께의 1/5 이하의 두께의 시큐리티박을, 상기 기록층의 외측 가장자리 및 상기 표면측 피복층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록층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에 의해 봉입하는 것과, 상기 기록층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 사이에 상기 시큐리티박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록층, 상기 표면측 피복층, 및, 상기 시큐리티박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기록층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에 의해 상기 시큐리티박이 봉입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시큐리티박과 상기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상기 시큐리티박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적층체로부터 시큐리티박이 꺼내질 때에는, 먼저, 기록층과 표면측 피복층이 분리된다. 이 때, 시큐리티박과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시큐리티박과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기 때문에, 시큐리티박은 기록층에 남는다. 시큐리티박을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시큐리티박을 기록층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두께가 기록층의 1/5 이하인 시큐리티박에서는, 시큐리티박의 두께가 기록층 두께의 1/5 보다 두꺼운 구조, 예를 들어, 시큐리티박의 두께가 기록층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인 구조와 비교하여, 시큐리티박의 박리시에 시큐리티박이 파괴되기 쉽다. 그 때문에, 시큐리티박을 파괴하지 않고서 기록층으로부터 시큐리티박을 벗기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적층체가 구비하는 시큐리티박을 재이용하여 가짜 적층체를 제조하기가 어렵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상기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시큐리티박이 덮는 영역에 피조사 영역을 가져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피조사 영역을 시큐리티박이 갖는 광학적인 효과와 함께 시인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고, 상기 보호층은, 카보네이트 결합,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기록층과 보호층 사이의 접착 강도를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 및 상기 표면측 피복층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제 1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릴리프층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제 2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호층과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를 높이며, 또한, 릴리프층과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층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고리형 폴리올레핀, 및, 멜라민으로 구성되는 제 1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를 함유하고, 상기 보호층은,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에스테르, 산 변성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로 구성되는 제 2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를 함유하고, 상기 기록층 및 상기 표면측 피복층의 각각은, 폴리카보네이트, 비정질 코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되는 제 3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3 물질군의 각 재료에 대한 제 1 물질군의 각 재료의 접착 강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한편, 제 3 물질군의 각 재료에 대한 제 2 물질군의 각 재료의 접착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그 때문에, 릴리프층이 제 1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의 물질을 함유하고, 보호층이 제 2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의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시큐리티박과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시큐리티박과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은 구성의 실현이 용이하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면은, 상기 릴리프면에 입사된 입사광을 회절하는 특성, 상기 입사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특성, 상기 입사광을 등방적으로 반사하는 특성, 상기 입사광을 이방적으로 반사하는 특성, 상기 입사광을 집광하는 특성, 및, 상기 입사광에 포함되는 특정한 편광을 반사하는 특성의 적어도 하나를 가져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릴리프 구조가 입사광에 관한 특정한 광학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시큐리티박의 위조가 어렵다. 이로써, 시큐리티박을 구비하는 적층체의 위조도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적층체의 위조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피복층은, 적외선에 있어서의 일부의 대역 또는 전체 대역의 파장을 투과시키고, 상기 시큐리티박은, 적외선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의 대역 또는 전체 대역의 파장을 투과시켜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면측 피복층과 시큐리티박을 개재하여, 기록층에 피조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기록층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시큐리티박이 덮는 영역에 피조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적층체가 구비하는 시큐리티박의 재이용이 억제된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적층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I-I 선을 따른 적층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다른 적층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적층체가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는 작용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명증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II-II 선을 따른 증명증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포함하는 일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포함하는 일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9 는, 도 1 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포함하는 일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적층체, 증명증,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적층체의 구조, 적층체의 작용, 증명증의 구조, 증명증에 있어서의 각 층의 재료,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실험 결과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발명의 취지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형태의 해석을 한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것임을 이해하길 바란다. 이하에 설명하는 대표적인 실시형태는, 당업자이면, 그 설계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면은 설명적인 것으로, 그것들에 나타내는 치수는, 예를 들어, 각 층의 두께나, 그 비율 등, 실제와 상이한 경우가 있고, 도면 중의 치수비는, 그것들에 나타내는 비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편의상의 이유가 없는 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배경으로부터의 독자적인 단일 발명을 기초로 하는 1 군의 실시형태이다. 또, 본 개시의 각 측면은, 단일 발명을 기초로 한 1 군의 실시형태의 측면이다. 본 개시의 각 구성은, 본 개시의 각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각 피처는 조합 가능하고, 각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각 피처, 본 개시의 각 구성, 본 개시의 각 측면,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조합은 상승적 기능을 가지며, 상승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적층체의 구조]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적층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과 같이, 적층체 (10) 는 시트상이다. 도 1 의 구성에서는, 적층체 (10) 의 윤곽 형상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형상이지만, 적층체 (10) 의 외형은, 사각형 형상 이외에,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적층체 (10) 가 시트상이며, 또한, 윤곽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인 경우, 적층체 (10) 는 카드 형상이다.
적층체 (10) 는, 표면 (10F) 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적층체 (10) 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시큐리티박 (20) 을 구비하고 있다. 시큐리티박 (20) 에는, 인증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시큐리티박 (20) 의 외형은 타원 형상으로 해도 되고, 시큐리티박 (20) 의 외형은, 타원 형상 이외에, 사각형 형상 또는 원 형상 등이어도 된다. 시큐리티박 (20) 은 릴리프면을 갖고, 릴리프면은, 릴리프면에 입사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릴리프면은 인증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릴리프면의 반사광은, 인증 정보로서 제 1 화상 (PIC1) 을 나타낸다. 제 1 화상 (PIC1) 은, 릴리프면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된다. 시큐리티박 (20) 은, 인증 정보로서 제 1 화상 (PIC1) 을 표시한다. 도 1 에서는, 제 1 화상 (PIC1) 은 별형이다. 시큐리티박 (20) 이 표시하는 제 1 화상 (PIC1) 의 종류는, 기하학 모양, 문자, 숫자, 기호 (signal), 표시 (sign), 심볼, 엠블럼, 문장 혹은 코드, 또는 이것들이 조합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심볼과 엠블럼은, 깃발, 방패, 검, 창, 왕관, 별, 달, 하트, 로고, 리본, 라인, 꽃, 잎, 곡물, 과일, 새, 날개, 물고기, 절족동물, 포유류, 전설상의 생물, 파충류, 양서류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1 차원 코드, 2 차원 코드로 할 수 있다. 1 차원 코드는 바코드, 시리얼 넘버 또는 쌍방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2 차원 코드는 QR 코드 (등록 상표) 로 할 수 있다. 기하학 모양은, 채문 (Guilloche) 으로 할 수 있다.
시큐리티박 (20) 은, 적외선에 있어서의 일부의 대역 또는 적외의 전체 대역의 파장을 투과시켜도 된다. 투과시키는 적외선의 대역은, 적외 레이저의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투과시키는 적외선의 대역은, 900 nm 이상 1100 nm 이하의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YAG 레이저의 광선 (beam) 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시큐리티박 (20) 너머로, 적외선의 레이저 광선 (beam) 을 후술하는 기록층에 조사하여, 기록층에 피조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록층은, 본원의 우선권 주장의 출원에 기재된 발색층과 동일하다.
적층체 (10) 는, 또한, 표면 (10F) 을 통해 제 2 화상 (PIC2) 을 표시할 수 있다. 제 2 화상 (PIC2) 은, 후술하는 기록층에 형성된 피조사 영역으로서 기록할 수 있다. 제 2 화상 (PIC2) 이 취할 수 있는 종류는, 제 1 화상 (PIC1) 이 취할 수 있는 종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2 화상 (PIC2) 은, 제 1 화상 (PIC1) 과 동종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또, 제 2 화상 (PIC2) 은, 시큐리티박 (20) 을 둘러쌀 수 있다. 제 2 화상 (PIC2) 은, 제 1 화상 (PIC1) 에 커플링한 형태로 할 수 있다. 제 2 화상 (PIC2) 은 복수의 세그먼트의 집합으로 할 수 있다. 도 1 에서는, 제 2 화상 (PIC2) 은, 제 1 화상 (PIC1) 을 둘러싸는 타원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I-I 선을 따른 적층체 (10) 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서는, 시큐리티박 (20) 의 구조를 설명하는 편의상, 시큐리티박 (20) 이 구비하는 각 층의 두께가 과장되어 있다.
도 2 와 같이, 적층체 (10) 는, 기록층 (11), 투광성의 표면측 피복층 (12), 및, 시큐리티박 (20) 을 구비하고 있다. 시큐리티박 (20) 은,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으로 라미네이트되고, 시큐리티박 (20) 이 적층체 (10) 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에 시큐리티박 (20) 이 봉입되어 있다. 시큐리티박 (20) 은, 릴리프면 (21R) 을 갖는 릴리프층 (21) 을 구비하고 있다.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 (T20) 는, 기록층 (11) 두께 (T11) 의 1/5 이하이다. 또,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 (T20) 는, 기록층 (11) 두께 (T11) 의 1/200 이상으로 해도 된다. 적층체 (10) 에 있어서, 시큐리티박 (20) 과 기록층 (11) 사이의 접착 강도가, 시큐리티박 (20)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다. 접착 강도는, JIS K 6854-1 (ISO 8510-1) 에 의해 규정된 90 도 박리 시험 방법에 준거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릴리프면 (21R) 은, 이하의 어느 특성 (property) 의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a) 릴리프면 (21R) 에 입사된 입사광을 회절하는 특성
(b) 릴리프면 (21R) 에 입사된 입사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특성
(c) 릴리프면 (21R) 에 입사된 입사광을 등방적으로 반사하는 특성
(d) 릴리프면 (21R) 에 입사된 입사광을 이방적으로 반사하는 특성
(e) 릴리프면 (21R) 에 입사된 입사광을 집광하는 특성
(f) 릴리프면 (21R) 에 입사된 입사광에 포함되는 특정한 편광을 반사하는 특성
릴리프 구조는, 상기 서술한 어느 특성을 갖는 경우에도,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바꿔 말하면, 릴리프면 (21R) 은 요철면이다. 1 개의 릴리프면 (21R) 은, 상기 서술한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 릴리프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특성을 적어도 하나 가질 수 있다. 릴리프층 (21) 의 표면 (21F) 에 평행한 평면을 기준면으로 설정할 때, 릴리프 구조에 있어서의 높이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는, 0.1 ㎛ 이상 10 ㎛ 이하로 할 수 있다. 또, 릴리프 구조에 있어서, 오목부가 위치하는 간격, 또는, 볼록부가 위치하는 간격은, 0.1 ㎛ 이상 20 ㎛ 이하로 할 수 있다. 또, 릴리프층 (21) 은, 적외선에 있어서의 일부의 대역 또는 전체 대역의 파장을 투과시켜도 된다. 투과시키는 적외선의 대역은, 적외 레이저의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투과시키는 적외선의 대역은, 900 nm 이상 1100 nm 이하의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YAG 레이저의 광선 (beam) 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시큐리티박 (20) 너머로, 적외선의 레이저 광선을 기록층 (11) 에 조사하고, 이로써, 기록층 (11) 에 피조사 영역 (11a) 을 형성할 수 있다. 기록층 (11) 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피조사 영역 (11a) 을 형성하는 레이저는, 펄스 레이저로 할 수 있다. 펄스 레이저는, 펄스의 간격, 1 펄스의 에너지를 변조할 수 있다. 이로써, 펄스 레이저의 레이저 광선으로, 기록층 (11) 의 재질에 맞춰, 기록층 (11) 에 피조사 영역 (11a) 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레이저는, 적외 파장의 적외 레이저로 할 수 있다. 적외 레이저의 펄스 레이저는, YAG 레이저로 할 수 있다.
시큐리티박 (20) 은, 릴리프면 (21R) 을 덮는 보호층 (22)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시큐리티박 (20) 은,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1 쌍의 면을 포함하고 있다. 릴리프층 (21) 은, 릴리프면 (21R) 과, 릴리프면 (21R) 과는 반대측의 면인 표면 (21F) 을 갖는다. 보호층 (22) 은, 릴리프면 (21R) 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이면 (22R) 을 갖는다. 1 쌍의 면은 제 1 면과 제 2 면을 포함한다. 보호층 (22) 의 이면 (22R) 을, 기록층 (11) 에 접하는 제 1 면으로 할 수 있다. 릴리프층 (21) 의 표면 (21F) 을, 표면측 피복층 (12) 에 접하는 제 2 면으로 할 수 있다. 또, 보호층 (22) 은, 적외선에 있어서의 일부의 대역 또는 전체 대역의 파장을 투과시켜도 된다. 투과시키는 적외선의 대역은, 적외 레이저의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투과시키는 적외선의 대역은, 900 nm 이상 1100 nm 이하의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YAG 레이저의 광선 (beam) 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시큐리티박 (20) 너머로, 적외선의 레이저 광선을 기록층 (11) 에 조사하여, 기록층 (11) 에 피조사 영역 (11a) 을 형성할 수 있다.
릴리프층 (21) 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고리형 폴리올레핀, 및, 멜라민으로 구성되는 제 1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보호층 (22) 의 소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에스테르, 산 변성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로 구성되는 제 2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시큐리티박 (20) 은, 추가로 반사층 (23) 을 구비해도 된다. 반사층 (23) 은, 릴리프면 (21R) 을 덮고 있다. 반사층 (23) 은, 은폐성 또는 투광성으로 할 수 있다. 은폐성의 반사층 (23) 은, 금속제의 반사층으로 할 수 있다. 투광성의 반사층 (23) 은, 유전체의 반사층으로 할 수 있다. 반사층 (23) 의 유전체의 가시광에서의 굴절률은, 2.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굴절률이 2.0 이상이면, 릴리프층 (21) 과의 굴절률차를 얻기 쉽다. 시큐리티박 (20) 은, 릴리프면 (21R) 에 포함되는 릴리프 구조가 반사층 (23) 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a), (c), (d), (e), 및, (f) 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있어서,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릴리프면 (21R) 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적층체 (10) 의 관찰자에 의해 시인되기 쉬워진다. 또, 반사층 (23) 은, 적외선의 레이저 광선을 투과시키도록 적외선에 있어서의 일부의 대역 또는 전체 대역의 파장을 투과시켜도 된다. 투과시키는 적외선의 대역은, 적외 레이저의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투과시키는 적외선의 대역은, 900 nm 이상 1100 nm 이하의 파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YAG 레이저의 광선 (beam) 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시큐리티박 (20) 너머로, 적외선의 레이저 광선을 기록층 (11) 에 조사하여, 기록층 (11) 에 피조사 영역 (11a) 을 형성할 수 있다.
릴리프면 (21R) 은 릴리프 구조로서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릴리프면 (21R) 에 입사된 광을 회절하는 특성을 갖는다. 시큐리티박 (20) 은, 릴리프면 (21R) 에서 반사된 회절광에 의해, 상기 서술한 제 1 화상 (PIC1) 을 형성한다.
시큐리티박 (20)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표면 (10F) 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기록층 (11) 의 외측 가장자리 및 표면측 피복층 (12) 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기록층 (11) 및 표면측 피복층 (12) 의 각각에 있어서, 표면 (10F) 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시큐리티박 (20) 보다 외측으로 나온 부분은 서로 접착되어 있다. 즉, 적층체 (10) 는,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에 의해, 시큐리티박 (20) 을 봉입하고 있다. 또, 시큐리티박 (20) 과 기록층 (11) 은 접착되어 있다. 시큐리티박 (20) 과 표면측 피복층 (12) 은 접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큐리티박 (20) 의 릴리프층 (2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은 접착되어 있다. 시큐리티박 (20) 의 보호층 (22) 과 표면측 피복층 (12) 은 접착되어 있다.
기록층 (11) 의 전체 또는 일부는, 레이저 광선의 조사에 의해 변성된다. 레이저 광선의 조사에 의해 변성된 기록층 (11) 은 피조사 영역 (11a) 이 된다. 그 때문에, 기록층 (11) 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피조사 영역 (11a) 이 형성되어, 정보를 기록층 (11) 에 기록할 수 있다. 기록층 (11) 은, 피조사 영역 (11a) 과 미조사 영역 (11b) 으로 구성할 수 있다. 피조사 영역 (11a) 은, 레이저 광선의 조사에 의해 기록층 (11) 이 변성된 영역이다. 미조사 영역 (11b) 은, 레이저 광선이 조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적층체 (10) 는, 피조사 영역 (11a) 에 의해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적층체 (10) 에 기록되는 정보는,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적층체마다 상이한 정보인 개별 정보로 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개인의 인증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개인 인증 정보여도 된다. 개인 인증 정보에는, 생체 정보와 비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방이 포함되어도 된다.
생체 정보는, 생체의 특징 중 인증되는 개인 특유의 특징으로, 초상, 지문, 정맥, 및, 사인 (signature) 등의 화상 또는 패턴이다. 생체 정보는,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로 할 수 있다. 비생체 정보는, 생체 정보 이외의 개인 정보이다. 생체 정보 이외의 개인 정보는, 이름, 생년월일, 연령, 혈액형, 성별, 국적, 주소, 소속, 및, 서명 등을 포함한다. 비생체 정보는, 복수의 문자, 복수의 숫자, 기호, 도형, 필적으로 할 수 있다. 비생체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로 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는 코드로서 기록할 수 있다. 이것들은, 암호 및 평문의 어느 쪽이거나, 또는 이것들 양방이어도 된다.
도 3 과 같이, 적층체 (10) 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시큐리티박 (20) 과 겹쳐지는 영역에 피조사 영역 (11a) 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피조사 영역 (11a) 이 시큐리티박 (20) 의 일부와 겹쳐지며, 또한, 미조사 영역 (11b) 이 시큐리티박 (20) 의 다른 일부와 겹쳐진다. 시큐리티박 (20) 에 겹쳐진 피조사 영역 (11a) 에는,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가 기록되어도 된다.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는, 생체 정보를 포함한 개인 인증 정보로 할 수 있다. 시큐리티박 (20) 에 겹쳐진 피조사 영역 (11a) 에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가 기록됨으로써,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다.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는, 시큐리티박 (20) 과 겹쳐진 영역과, 시큐리티박 (20) 과 겹쳐지지 않는 영역의 쌍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바꿔 말하면, 시큐리티박 (20) 과 겹쳐진 피조사 영역 (11a) 으로서 기록된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의 일부와, 시큐리티박 (20) 과 겹쳐지지 않는 피조사 영역 (11a) 으로서 기록된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의 일부의 쌍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시큐리티박 (20) 과 겹쳐진 피조사 영역 (11a) 으로서 기록된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의 일부는, 시큐리티박 (20) 과 겹쳐지지 않는 피조사 영역 (11a) 으로서 기록된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의 일부에 의해 보완되어 있다. 또, 피조사 영역 (11a) 과 시큐리티박 (20) 사이의 접착 강도는, 미조사 영역 (11b) 과 시큐리티박 (20)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낮아도 된다.
피조사 영역 (11a) 에 레이저 광선이 조사될 때에는, 보호층 (22) 중에서, 피조사 영역 (11a) 에 접하는 부분에도 레이저 광선이 조사된다. 이로써, 보호층 (22) 에는, 레이저 광선이 조사된 부분인 저접착 영역 (22a) 이 형성된다. 보호층 (22) 은, 저접착 영역 (22a) 과, 레이저 광선이 조사되어 있지 않은 고접착 영역 (22b) 으로 형성된다. 저접착 영역 (22a) 에 있어서, 레이저 광선에 의해 보호층 (22) 의 일부가 변성되어 있다. 보호층 (22) 의 고접착 영역 (22b) 은, 결정성의 수지를 함유하고, 저접착 영역 (22a) 은, 보호층 (22) 의 결정성의 수지가 아모르퍼스화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층 (22) 의 고접착 영역 (22b) 이 결정성의 수지를 함유하는 한편, 저접착 영역 (22a) 은, 보호층 (22) 의 결정성의 수지가 레이저 광선의 조사에 의해 아모르퍼스화됨으로써, 고접착 영역 (22b) 의 기록층 (11) 에 대한 접착 강도를 저접착 영역 (22a) 의 접착 강도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저접착 영역 (22a) 의 기록층 (11) 에 대한 접착 강도는 고접착 영역 (22b) 보다 낮다. 이와 같이, 보호층 (22) 은 결정성의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보호층 (22) 의 결정성의 수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 할 수 있다.
또, 기록층 (11) 의 피조사 영역 (11a) 과 시큐리티박 (20) 의 저접착 영역 (22a) 사이의 접착 강도가, 시큐리티박 (20)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낮아도 된다. 이 경우, 표면측 피복층 (12) 을 박리하면, 시큐리티박 (20) 중, 미조사 영역 (11b) 과 접하고 있는 부분은 기록층 (11) 에 남는다. 또, 피조사 영역 (11a) 은, 표면측 피복층 (12) 에 남는다, 즉, 표면측 피복층 (12) 과 함께 박리된다. 그 때문에, 시큐리티박 (20) 이 파괴된다. 이로써, 시큐리티박 (20) 의 재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록층 (11) 의 피조사 영역 (11a) 에 대응한 시큐리티박 (20) 의 영역이 변질부가 되어도 된다. 이 경우, 시큐리티박 (20) 에도 피조사 영역 (11a) 의 정보가 기록되어, 시큐리티박 (20) 이 전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조사 영역 (11a) 은 변성되어 있다. 변성은, 피조사 영역 (11a) 의 탄화여도 된다. 변성은, 피조사 영역 (11a) 의 발포여도 된다. 변성에 의해, 피조사 영역 (11a) 은 착색되어도 된다. 착색은, 흑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피조사 영역 (11a) 의 색은, 흑색 이외의 색이어도 되고, 피조사 영역 (11a) 의 색은, 백색, 및, 오팔로 할 수 있다. 기록층 (11) 에 있어서, 미조사 영역 (11b) 은,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투광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피조사 영역 (11a) 은, 가시광을 투과시키지 않아도 되고, 가시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해도 된다. 피조사 영역 (11a) 은 불투명해도 된다. 미조사 영역 (11b) 의 투과율은, 피조사 영역 (11a)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제 2 화상 (PIC2) 은, 피조사 영역 (11a) 의 이미지이다. 기록층 (11) 의 두께는, 50 ㎛ 이상 800 ㎛ 이하일 수 있다.
표면측 피복층 (12) 은,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성으로 할 수 있다. 또, 표면측 피복층 (12) 은, 적외선에 있어서의 일부의 대역 또는 적외선에 있어서의 전체 대역의 파장의 광을 투과시킬 수도 있다. 표면측 피복층 (12) 중에서, 기록층 (11) 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적층체 (10) 의 표면 (10F) 이다. 표면측 피복층 (12) 이 갖는 투광성에 의해, 적층체 (10) 는, 표면 (10F) 을 통해 각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측 피복층 (12) 이 적외선에 있어서의 일부의 대역 또는 적외선에 있어서의 전체 대역의 파장의 광을 투과시킴으로써, 표면측 피복층 (12) 너머로 적외선의 레이저 광선에 의해 기록층 (11) 에 피조사 영역 (11a) 을 형성할 수 있다. 표면측 피복층 (12) 의 두께는, 50 ㎛ 이상 80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표면측 피복층 (12) 과 시큐리티박 (20) 이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구성이면, 기록층 (11) 은, 기록층 (11) 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기록층 (11) 중 시큐리티박 (20) 이 덮는 영역에 피조사 영역 (11a) 을 가질 수 있다. 시큐리티박 (20) 으로 피조사 영역 (11a) 을 덮음으로써, 피조사 영역 (11a) 에 기록된 정보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시큐리티박 (20) 을 기록층 (11) 으로부터 벗기며, 또한, 새롭게 피조사 영역 (11a) 을 다시 형성함으로써 피조사 영역 (11a) 의 정보를 개찬하고자 하면, 시큐리티박 (20) 은 기록층 (11) 에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시큐리티박 (20) 이 망가진다. 결과적으로, 피조사 영역 (11a) 을 재기록하며, 또한, 시큐리티박 (20) 을 다시 첩부하는 적층체 (10) 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다.
기록층 (11) 및 표면측 피복층 (12) 의 각각은, 폴리카보네이트, 비정질 코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되는 제 3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제 3 물질군에 함유되는 각 재료에 대한 제 1 물질군에 함유되는 각 재료의 접착 강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한편, 제 3 물질군에 함유되는 각 재료에 대한 제 2 물질군의 각 재료의 접착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그 때문에, 릴리프층 (21) 이 제 1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의 물질을 함유하고, 보호층 (22) 이 제 2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의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시큐리티박 (20) 과 기록층 (11) 사이의 접착 강도가, 시큐리티박 (20)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은 구조의 실현이 용이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는, 기록층 (11) 두께의 1/5 이하이다. 시큐리티박 (20) 은, 기록층 (11) 과 비교하여 매우 얇기 때문에, 시큐리티박 (20) 의 측면이 기록층 (11) 과 접하는 면적은, 보호층 (22) 의 이면 (22R) 이 기록층 (11) 에 접하는 면적에 대해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다. 그러므로, 시큐리티박 (20) 중에서, 기록층 (11) 과 접하는 면은, 보호층 (22) 의 이면 (22R) 만으로 간주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사항은, 릴리프층 (21) 의 표면 (21F)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적층체의 작용]
도 4 를 참조하여 적층체가 분리된 상태를 설명한다.
도 4 와 같이, 적층체 (10) 로부터 시큐리티박 (20) 이 꺼내질 때에는, 먼저,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이 분리된다. 이 때, 시큐리티박 (20) 과 기록층 (11) 사이의 접착 강도가, 시큐리티박 (20)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으면, 시큐리티박 (20) 은 기록층 (11) 측에 남는다. 그리고, 시큐리티박 (20) 을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시큐리티박 (20) 을 기록층 (11) 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 (T20) 는 기록층 (11) 두께 (T11) 의 1/5 이하임으로써, 예를 들어,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 (T20) 가 기록층 (11) 의 두께 (T11) 와 동일한 정도인 구성과 비교하여, 시큐리티박 (20) 을 파괴하지 않고서 기록층 (11) 으로부터 시큐리티박 (20) 을 벗기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적층체 (10) 가 구비하는 시큐리티박 (20) 의 재이용을 곤란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큐리티박 (20) 을 사용하여 가짜 적층체를 제조하기가 어렵다. 또한,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 (T20) 는 기록층 (11) 두께 (T11) 의 1/5 이하임으로써, 시큐리티박 (20) 을 레이저 광선이 투과하기 쉬운 한편, 기록층 (11) 에서는 레이저 광선을 흡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 (T20) 는 기록층 (11) 두께 (T11) 의 1/200 이상으로 함으로써, 가공성이 높아진다. 또, 기록층 (11) 의 두께가 시큐리티박 (20) 두께의 5 배보다 얇은 경우, 기록층 (11) 을 깎아내어, 시큐리티박 (20) 을 꺼내기 쉽다.
기록층 (11) 의 두께는, 50 ㎛ 이상 800 ㎛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릴리프 구조에 있어서의 높이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는 0.1 ㎛ 이상 10 ㎛ 이하이며, 또한, 오목부가 위치하는 간격, 또는, 볼록부가 위치하는 간격을 0.1 ㎛ 이상 20 ㎛ 이하로 할 수 있다.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가 기록층 (11) 두께의 1/5 이하임으로써, 시큐리티박 (20) 에 포함되는 릴리프면 (21R) 을 파괴하지 않고서 시큐리티박 (20) 을 기록층 (11) 으로부터 벗기기가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벗겨진 시큐리티박 (20) 이, 진정한 시큐리티박 (20) 과는 상이한 광학 특성을 갖는 릴리프면 (21R) 을 포함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벗겨진 시큐리티박 (20) 을 사용한 가짜 적층체는, 진정한 적층체 (10) 의 가짜인 것이 용이하게 판별된다.
[증명증의 구조]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상기 서술한 적층체 (10) 를 포함하는 증명증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증명증을 신분 증명서로서 구체화한 예를 설명한다. 도 6 에서는, 증명증의 구성을 설명하는 편의상, 증명증이 구비하는 각 층의 두께가 과장되어 있다. 증명증은, 신분 증명서, ID 카드, 패스포트, 및, 사증 등이다.
도 5 와 같이, 증명증 (30) 은, 표면 (30F) 을 포함하고 있다. 표면 (30F) 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증명증 (30) 의 형상은 카드 형상이다. 도 5 에서는, 증명증 (30) 에는, 제 1 화상 (PIC1) 의 정보, 제 3 화상 (PIC3) 의 정보, 제 4 화상 (PIC4) 의 정보, 및, 제 5 화상 (PIC5) 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증명증 (30) 은, 표면 (30F) 을 통해, 제 1 화상 (PIC1), 제 3 화상 (PIC3), 제 4 화상 (PIC4), 및, 제 5 화상 (PIC5) 을 표시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화상 (PIC1), 제 3 화상 (PIC3), 제 4 화상 (PIC4) 은 가시 화상으로 할 수 있다.
제 3 화상 (PIC3) 은, 증명증 (30) 의 종별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이루고 있다. 제 4 화상 (PIC4) 은, 증명증 (30) 의 소유자의 초상을 이루고 있다. 제 4 화상 (PIC4) 은,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로 할 수 있다.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는, 개인의 인증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개인 인증 정보여도 된다. 제 5 화상 (PIC5) 은, 신분 증명에 사용되는 식별 정보의 종류 (PIC5a) 와, 각 종류 (PIC5a) 에 대응하는 소유자의 식별 정보 (PIC5b) 를 구성하고 있다. 제 4 화상 (PIC4) 은, 레이저 광선으로 기록할 수 있다. 제 4 화상 (PIC4) 은, 피조사 영역 (11a) 의 이미지로 할 수 있다. 식별 정보의 종류 (PIC5a) 는, 인쇄 또는 레이저 광선으로 기록할 수 있다. 식별 정보의 종류 (PIC5a) 는, 인쇄 또는 피조사 영역 (11a) 의 이미지로 할 수 있다. 식별 정보 (PIC5b) 는, 레이저 광선으로 기록할 수 있다. 식별 정보 (PIC5b) 는, 피조사 영역 (11a) 의 이미지로 할 수 있다. 식별 정보 (PIC5b) 는, 비생체 정보로 해도 된다. 증명증 (30) 은, 그 종별, 소유자의 초상, 소유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소유자의 초상, 소유자의 식별 정보는, 피조사 영역 (11a) 의 형태로서 증명증 (30) 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증명증 (30) 은, 증명증 (30) 의 소유자의 인증에 사용되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은, 도 5 에 있어서의 II-II 선을 따른 증명증 (30) 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과 같이, 증명증 (30) 은, 적층체 (10) 에 더하여 지지층 (31) 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층 (31) 은, 적층체 (10) 를 보강할 수 있다. 지지층 (31) 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지지층 (31) 을 다층 구조로 하여, 이면측 피복층 (31a) 과 백색층 (31b) 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증명증 (30) 에 있어서, 이면측 피복층 (31a), 백색층 (31b), 및, 적층체 (10) 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적층체 (10) 중에서, 기록층 (11) 이 백색층 (31b) 에 접하고 있다.
이면측 피복층 (31a) 은, 적층체 (10) 가 포함하는 표면측 피복층 (12) 과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이면측 피복층 (31a) 은, 투광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면측 피복층 (31a) 은, 투광성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또, 지지층 (31) 은, 백색층 (31b) 대신에, 백색 이외의 색으로 착색된 착색층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착색층의 색은, 적층체 (10) 가 포함하는 피조사 영역 (11a) 의 색과는 상이한 색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피조사 영역 (11a) 의 이미지가, 착색층의 색과의 콘트라스트에 의해 시인되기 쉬워진다.
백색층 (31b) 중에서, 이면측 피복층 (31a) 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표면 (31bF) 이다. 백색층 (31b) 의 표면 (31bF) 에 인쇄체 (32) 를 구비해도 된다. 인쇄체 (32) 는,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인쇄체 (32) 는, 가시 잉크 또는 불가시 잉크 또는 그 쌍방을 인쇄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가시 인쇄는, 가시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불가시 인쇄는, 불가시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적층체 (10) 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시큐리티박 (20) 과 겹쳐지는 영역에 인쇄체 (32) 를 구비해도 된다.
인쇄체 (32) 는, 시큐리티 인쇄로 할 수 있다. 또, 적층체 (10) 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피조사 영역 (11a) 이 시큐리티 인쇄와 겹쳐지는 영역에 형성되어도 된다. 인쇄체 (32) 에 겹쳐진 피조사 영역 (11a) 에는,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가 기록되어도 된다. 시큐리티박 (20) 과 시큐리티 인쇄 사이에,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가 기록된 피조사 영역 (11a) 을 끼울 수 있다. 시큐리티 인쇄에 겹쳐진 피조사 영역 (11a) 에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가 기록됨으로써,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기록층 (11) 을 백색층 (31b) 측으로부터 깎아, 다른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를 기록하는 개찬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시큐리티 인쇄는, 채문 (Guilloche), 마이크로 문자, 불가시 인쇄, 광학 가변 인쇄로 할 수 있다. 가시 잉크는, 미디엄에 안료를 분산, 또는 염료를 혼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안료를 펄 잉크나, 자성 잉크로 함으로써, 가시 잉크를 광학적 변화 잉크 (Optical Variable Ink) 로 할 수 있다. 광학적 가변화 잉크를 사용한 인쇄는, 광학 가변 인쇄로 할 수 있다. 불가시 잉크는, 형광 잉크나 적외 흡수 잉크로 할 수 있다. 형광 잉크는, 자외선 여기 형광 잉크, 가시광 여기 잉크, 또는 적외 여기 잉크로 할 수 있다. 광학 가변 잉크나 불가시 잉크는, 위조 방지 기술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인쇄는,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로 할 수 있다. 도 6 과 같이, 인쇄체 (32) 는, 제 3 화상 (PIC3) 을 표시하는 인쇄 부분, 제 4 화상 (PIC4) 에 있어서의 초상의 배경을 표시하는 인쇄 부분, 및, 제 5 화상 (PIC5) 에 있어서의 종류 (PIC5a) 를 표시하는 인쇄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체 (32) 의 색은, 피조사 영역 (11a) 의 색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증명증 (30) 이 구비하는 적층체 (10) 에서는, 피조사 영역 (11a) 을 불투명으로 할 수 있는 한편, 미조사 영역 (11b) 을 투광성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인쇄체 (32) 는, 미조사 영역 (11b), 및, 표면측 피복층 (12) 의 각각에 있어서의 투광성에 의해, 증명증 (30) 의 표면 (30F) 을 통해 관찰자에 의해 시인된다. 또한, 표면측 피복층 (12) 중에서, 기록층 (11) 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증명증 (30) 의 표면 (30F) 이다.
도 6 과 같이, 피조사 영역 (11a) 은, 제 4 화상 (PIC4) 의 초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제 5 화상 (PIC5) 의 식별 정보 (PIC5b) 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4 화상 (PIC4) 의 초상과, 제 5 화상 (PIC5) 의 식별 정보 (PIC5b) 는, 증명증 (30) 의 소유자마다 상이한 화상이다. 제 5 화상 (PIC5) 의 식별 정보 (PIC5b) 에 의해, 소유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을 피조사 영역 (11a) 에 의해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증명증 (30) 사이에 있어서, 피조사 영역 (11a) 이 형성되기 전의 기록층 (11) 에 조사하는 레이저 광선의 패턴을 바꾸는 것만에 의해, 각자에 대응한 정보가 기록된 증명증 (30) 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피조사 영역 (11a) 또는 미조사 영역 (11b) 에 기록되는 정보는, 식별 정보로 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일의의 정보로 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개인의 인증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개인 인증 정보여도 된다. 개인 인증 정보에는, 생체 정보와 비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방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증명증 (30) 에는, 소유자 고유의 정보가 기록층 (11) 에 기록되어 있다. 그 때문에, 증명증 (30) 을 개찬하기 위해서는, 개찬된 기록층으로 바꾼 후에, 시큐리티박 (20) 을 이들 기록층에 첩부할, 바꿔 말하면 시큐리티박 (20) 을 재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기록층 (11) 으로부터 시큐리티박 (20) 을 벗기기는 어려운 점에서, 증명증 (30) 의 개찬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증명증 (30) 의 식별 정보가 개찬되면, 증명증 (30) 의 피증명자인 양 행세를 해 버린다.
한편, 시큐리티박 (20) 으로부터 분리된 표면측 피복층 (12) 은, 시큐리티박 (20) 과 같이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표면측 피복층 (12) 이 시큐리티박 (20) 으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해도, 표면측 피복층 (12) 을 이용하여 증명증 (30) 이 위조될 우려는 없다.
[증명증에 있어서의 각 층의 재료]
이하, 증명증 (30) 이 구비하는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설명한다.
[각 피복층 (12, 31a)]
각 피복층 (12, 31a)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는, 동등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피복층 (12, 31a) 중에서, 특히 표면측 피복층 (12) 에는, 시큐리티박 (20) 이 표시하는 제 1 화상 (PIC1) 이 증명증 (30) 의 표면 (30F) 을 통해 외부에 표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시광의 파장, 또는, 관찰광의 파장에 대한 투과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각 피복층 (12, 31a)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비정질 코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염화비닐로 할 수 있다.
각 피복층 (12, 31a) 의 두께는, 50 ㎛ 이상 800 ㎛ 이하로 할 수 있다. 50 ㎛ 이상의 두께의 각 피복층 (12, 31a) 에서는, 물리적인 강도가 높아진다. 물리적인 강도의 증가는, 각 피복층 (12, 31a) 의 주름 등의 결함의 방지에 도움이 된다. 800 ㎛ 이하의 두께의 각 피복층 (12, 31a) 에서는, 각 피복층 (12, 31a) 에 있어서의 두께의 편차나 굽힘이 감소된다. 피복층 (12, 31a) 의 두께의 편차나 굽힘의 저감은, 라미네이트 가공시의 휨 등의 결함의 방지에 도움이 된다.
[기록층 (11)]
기록층 (11) 은, 특정한 파장을 가진 레이저 광선이 조사됨으로써, 그 레이저 광선을 흡수하고, 기록층 (11) 의 재료가 변질된다. 변질된 기록층 (11) 의 재료는 소정의 색을 가질 수 있다. 기록층 (11) 의 재료의 변질은, 탄화로 할 수 있다. 탄화함으로써, 기록층 (11) 의 재료는 흑색으로 할 수 있다. 이 흑색의 반사율은 20 % 이하로 할 수 있다. 반사율은, 입사광의 휘도와 반사광의 휘도의 비로 할 수 있다. 또, 기록층 (11) 의 재료는, 레이저 광선의 조사에 의해 발색되는 혼합물이어도 된다. 이러한 혼합물은 열 응답성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할 수 있다. 열 응답성 마이크로캡슐이 혼합된 기록층 (11) 은, 레이저 광선에 의해 열 응답성 마이크로캡슐의 반응으로 인해 변질되고, 발색된다. 그 때문에, 기록층 (11) 에 레이저 광선을 특정한 패턴으로 조사함으로써, 기록층 (11) 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기록층 (11)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는, 폴리카보네이트에, 특정한 파장을 가진 레이저 광선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체를 첨가한 재료, 또는, 에너지 흡수 분자 구조를 가진 재료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에서는, 에너지 흡수체, 에너지 흡수 분자 구조가 레이저 광선을 흡수함으로써 발생하는 열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가 화학적으로 변화되고, 결과적으로, 기록층 (11) 이 소정의 색을 갖는다. 이 재료의 일례는, LEXAN SD8B94 (SABIC 사 제조) (LEXAN 은 등록 상표) 이다. 기록층 (11)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외에, 폴리염화비닐, 및, 비정질 코폴리에스테르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및, 비정질 코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기록층 (11)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록층 (11) 의 내구성, 및, 발색시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기록층 (11) 의 두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50 ㎛ 이상 800 ㎛ 이하일 수 있다. 기록층 (11) 의 두께가 50 ㎛ 이상임으로써, 기록층 (11) 의 두께가 부족하여 피조사 영역 (11a) 의 발색이 불충분한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피조사 영역 (11a) 과 미조사 영역 (11b) 사이의 콘트라스트가 불충분한 것이 억제된다. 한편, 기록층 (11) 의 두께가 800 ㎛ 이하임으로써, 미조사 영역 (11b) 의 투광성이 저하되어, 피조사 영역 (11a) 과 미조사 영역 (11b) 사이의 콘트라스트가 불충분한 것이 억제된다. 기록층 (11) 및 피복층 (12) 각각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에 관하여, 각 층의 두께가 두꺼운 편이, 박리시에 응력이 분산되기 쉽고, 높은 접착 강도를 달성하기 쉽다. 그 때문에, 기록층 (11) 의 두께를 피복층 (12) 의 두께보다 크게 함으로써, 본 개시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접착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백색층 (31b)]
백색층 (31b) 은, 백색으로 할 수 있다. 백색층 (31b) 이 백색임으로써, 백색층 (31b) 과 인쇄체 (32) 사이의 색의 차이나, 백색층 (31b) 과 피조사 영역 (11a) 사이의 색의 차이에 의해, 인쇄체 (32) 나 피조사 영역 (11a) 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백색층 (31b) 의 가시광에서의 전광선 반사율은, 70 % 이상 99 % 이하로 할 수 있다. 전광선 반사율은, 입사광의 휘도와 반사광의 휘도의 비로 할 수 있다. 가시광에서의 반사율을 70 % 이상 99 % 이하로 함으로써, 인쇄체 (32) 나 피조사 영역 (11a) 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백색층 (31b) 은 은폐성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증명증 (30) 에 포함되는 회로를 증명증 (30) 의 관찰자로부터 회로를 은폐할 수 있다. 특히, 증명증 (30) 에 포함되는 회로의 전체를 백색층 (31b) 에 의해 덮음으로써, 증명증 (30) 의 관찰자로부터 회로를 완전하게 은폐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에는, 칩, 안테나, 저항, 배선, 콘덴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은폐성의 백색층 (31b) 의 광학 투과 농도는 1.0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백색층 (31b) 의 광학 투과 농도는 1.5 이하로 해도 된다. 증명증 (30) 에 포함되는 회로의 칩에 식별 정보를 기록해도 된다. 기록하는 식별 정보에는, 증명증 (30) 에 레이저 광선으로 기록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하는 식별 정보는 암호화할 수 있다.
백색층 (31b)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폴리염화비닐, 비정질 코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에, 산화티탄 등의 백색의 재료가 함유된 재료로 할 수 있다. 백색층 (31b) 의 두께는, 200 ㎛ 이상 800 ㎛ 이하로 할 수 있다. 백색층 (31b) 의 두께가 200 ㎛ 이상임으로써, 용이하게 은폐성이 얻어진다. 백색층 (31b) 이 800 ㎛ 이하임으로써, 백색층 (31b) 의 두께에 있어서의 편차나 굽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백색층 (31b) 의 두께의 편차나 굽힘의 저감은, 라미네이트 가공시의 휨 등의 결함의 방지에 도움이 된다.
[릴리프층 (21)]
릴리프층 (21) 을 형성하는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산 변성 폴리올레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재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고리형 폴리올레핀, 멜라민, 무기물 입자, 에폭시계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이들 재료의 혼합, 복합, 공중합으로 할 수 있다. 릴리프층 (21) 을 형성하는 재료는, 경화 수지로 할 수 있다. 경화 수지는, 경화성 전구체를 경화시킨 것이다. 경화 수지는, 자외선, 열, 전자선에 의해 경화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경화성 전구체는, 열 가소성으로 할 수 있다.
릴리프층 (21) 을 형성하기 위한 경화성 전구체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 등, 자외선 경화성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는,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으로 할 수 있다. 올리고머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등으로 할 수 있다. 릴리프층 (21) 을 형성하기 위한 경화성 전구체는, 이들 이외의 재료여도 된다.
또한, 릴리프층 (21)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산 변성 폴리올레핀, 및, 멜라민의 적어도 1 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성형성이 우수하다. 또한, 릴리프층 (21) 은 단층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층이어도 된다. 다층의 릴리프층 (21) 은, 경화성 수지와 열 가소성 수지의 적층체로 할 수 있다. 릴리프층 (21) 의 릴리프면 (21R) 측을 경화성 수지의 층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열 가소성 수지의 층으로 해도 된다. 열 가소성 수지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산 변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수지로 할 수 있다. 혹은, 다층의 릴리프층 (21) 은, 물성이 상이한 열 가소성 수지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릴리프층 (21) 은 무기 파우더 또는 폴리머 파우더를 함유해도 된다. 파우더를 함유함으로써, 릴리프층 (2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의 접착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릴리프층 (21) 의 릴리프면 (21R) 측을 경화성 수지의 층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무기 파우더 또는 폴리머 파우더를 함유하는 열 가소성 수지의 층으로 해도 된다.
[보호층 (22)]
보호층 (22) 을 형성하는 재료에는, 릴리프층 (21)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호층 (22)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에스테르, 고리형 폴리올레핀, 멜라민,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의 적어도 1 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보호층 (22) 과 보호층 (22) 에 접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층 사이에서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기 쉽다. 또, 보호층 (22)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는, 카보네이트 결합 (-O-CO-O-), 우레탄 결합 (-NH-CO-), 또는, 에스테르 결합 (-O-CO-) 을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접착에 있어서는, 카보네이트 결합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결합이나 우레탄 결합을 갖는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사이의 접착 강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보호층 (22) 에 이들 결합을 갖는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보호층 (22) 과 보호층 (22) 에 접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층 사이의 접착 강도를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보호층 (22) 을 형성하는 재료는, 결정성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결정성 수지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해도 된다. 또, 보호층 (22) 을 형성하는 재료는, 열 가소성 수지로 할 수 있다. 보호층 (22) 을 형성하는 재료는, 융점이 상이한 2 종 이상의 수지의 복합으로 해도 된다. 결정성 수지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착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시큐리티박 (20) 을 박리하였을 때의 흔적이 남도록 할 수 있다.
적층체 (10) 에 있어서, 보호층 (22) 이, 폴리카보네이트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며, 또한, 릴리프층 (21) 이, 폴리카보네이트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이, 다른 재료와의 접착 방법으로서 열과 압력에 의한 직접 용융 접착을 주로 하는 재료에 있어서, 서로 접하는 2 개의 재료, 즉 계면을 형성하는 재료의 각각이, 접착시에 용융되었는지의 여부는, 2 개의 재료가 접착하는 강도에 대해 큰 영향을 미친다. 계면을 구성하는 2 개의 재료가 서로 용융된 경우에는, 이들의 접착이 강고해진다. 이에 대하여, 2 개의 재료를 접착시킬 때, 2 개의 재료 중, 어느 일방 혹은 양방이 용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들 사이에서의 접착은 약해진다. 그 때문에, 보호층 (22) 이, 폴리카보네이트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며, 또한, 릴리프층 (21) 이, 폴리카보네이트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층과의 사이의 접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반사층 (23)]
반사층 (23) 은, 은폐성이어도 되고, 투광성이어도 된다. 은폐성의 반사층 (23) 은, 금속제의 반사층으로 할 수 있다. 반사층 (23) 을 형성하는 금속은, 알루미늄, 은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투광성의 반사층 (23) 은, 유전체의 반사층으로 할 수 있다. 반사층 (23) 의 유전체는, 금속 화합물 또는 산화규소로 할 수 있다. 금속 화합물은, 금속 황화물, 금속 산화물로 할 수 있다. 금속 황화물은, 황화아연으로 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은 이산화티탄으로 할 수 있다. 반사층 (23) 의 두께는, 10 nm 이상 20 nm 이하일 수 있다. 반사층 (23) 은, 퇴적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퇴적에는, 물리 퇴적 (PVD) 또는 화학 퇴적 (CVD) 을 적용할 수 있다. 물리 퇴적은, 진공 증착법 및 스퍼터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반사층 (23) 은, 단층이어도 되고 다층이어도 된다. 다층의 반사층 (23) 은, 퇴적을 복수 회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반사층 (23) 은 릴리프면 (21R) 의 전체에 위치해도 되고, 릴리프면 (21R) 의 일부에만 위치해도 된다. 반사층 (23) 이 릴리프면 (21R) 의 일부에만 위치할 때에는, 반사층 (23) 은 복수의 에어리어로 구성되며, 또한, 각 에어리어의 외형이, 기하학 모양 심볼, 엠블럼, 문장, 또는 이것들이 조합된 형상이어도 된다. 심볼과 엠블럼은, 깃발, 방패, 검, 창, 왕관, 별, 달, 하트, 로고, 리본, 라인, 꽃, 잎, 곡물, 과일, 새, 날개, 물고기, 절족동물, 포유류, 전설상의 생물, 파충류, 양서류를 포함할 수 있다. 기하학 모양은, 채문 (Guilloche) 으로 할 수 있다. 또, 1 개의 반사층 (23) 에 있어서, 일부가 은폐성이며, 또한, 나머지 부분이 투광성이어도 된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증명증 (30) 의 의장성이 높아지는 것에 더하여, 반사층 (23) 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이 복잡해지는 만큼, 증명증 (30) 의 위조가 보다 어려워진다.
반사층 (23) 을 릴리프면 (21R) 의 일부에 형성하는 방법은, 이하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제 1 방법에서는, 용해성의 수지를 릴리프면 (21R) 의 일부에 도포한 후, 반사층 (23)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 의해 박막을 형성하고, 용해성의 수지를, 용해성의 수지 상에 형성된 박막과 함께 세정에 의해 제거한다. 제 2 방법에서는, 먼저, 릴리프면 (21R) 의 전체에 반사층 (23)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 의해 박막을 형성한 후, 박막 상에, 내산성 또는 내알칼리성의 수지를 사용하여 마스크를 형성한다. 그리고, 마스크를 사용하여 박막을 에칭한다. 제 3 방법에서는, 먼저, 릴리프면 (21R) 의 전체에 반사층 (23)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 의해 박막을 형성한 후, 박막 상에, 감광성의 수지에 의해 마스크를 형성한다. 그리고, 마스크를 사용하여 박막을 에칭한다. 또한, 반사층 (23) 을 릴리프면 (21R) 의 일부에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면, 이들 이외의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인쇄체 (32)]
인쇄체 (32) 는, 임의의 색을 가질 수 있다. 또, 인쇄체 (32) 는, 백색층 (31b) 의 표면 (31bF) 에 있어서의 전체에 위치해도 되고, 표면 (31bF) 의 일부에만 위치해도 된다. 또, 인쇄체 (32) 는, 기하학 모양, 배경, 풍경, 모양, 문자, 숫자, 기호 (signal), 표시 (sign), 심볼, 엠블럼, 문장, 또는, 코드,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을 인쇄할 수 있다. 심볼과 엠블럼은, 깃발, 방패, 검, 창, 왕관, 별, 달, 하트, 로고, 리본, 라인, 꽃, 잎, 곡물, 과일, 새, 날개, 물고기, 절족동물, 포유류, 전설상의 생물, 파충류, 양서류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1 차원 코드, 2 차원 코드로 할 수 있다. 1 차원 코드는 바코드, 시리얼 넘버 또는 쌍방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2 차원 코드는 QR 코드로 할 수 있다. 기하학 모양은, 채문 (Guilloche) 으로 할 수 있다.
인쇄체 (32) 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는,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잉크에는, 인쇄 방식에 따라, 오프셋 잉크, 활판 잉크, 및, 그라비아 잉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잉크에는, 조성의 차이에 따라, 수지 잉크, 유성 잉크, 및, 수성 잉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잉크에는, 건조 방식의 차이에 따라, 산화 중합형 잉크, 침투 건조형 잉크, 증발 건조형 잉크, 및, 자외선 경화형 잉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잉크에는, 기능성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기능성 잉크는, 증명증 (30) 에 조사되는 광의 조사 각도, 또는, 증명증 (30) 을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색이 바뀌는 잉크이다. 이러한 기능성 잉크에는, 광학적 변화 잉크 (Optical Variable Ink), 컬러 시프트 잉크, 및, 펄 잉크 등을 들 수 있다.
인쇄체 (32) 는, 토너를 사용한 전자 사진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대전성을 가진 플라스틱 입자에 흑연 및 안료 등의 색 입자를 부착시킨 토너를 준비한다. 그리고, 대전에 의한 정전기를 이용하여 토너를 피인쇄체에 전사시킨 후, 피인쇄체에 전사된 토너를 가열하여 정착시킴으로써, 인쇄체 (32) 를 형성할 수 있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
적층체 (10) 의 제조 방법은,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 제조 방법은, 릴리프면 (21R) 을 포함하는 릴리프층 (21) 을 구비하고, 기록층 (11) 두께의 1/5 이하의 두께의 시큐리티박 (20) 을, 기록층 (11) 의 외측 가장자리 및 표면측 피복층 (12) 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에 의해 라미네이트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조 방법은,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에 시큐리티박 (20) 을 배치한 상태에서, 기록층 (11), 표면측 피복층 (12), 및, 시큐리티박 (20) 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에 의해 시큐리티박 (20) 이 봉입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층체 (10) 에 있어서, 시큐리티박 (20) 과 기록층 (11) 사이의 접착 강도가, 시큐리티박 (20)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다. 이하,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적층체 (10) 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 (10) 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시큐리티박 (20) 이 기록층 (11) 의 표면에 전사된다. 캐리어 (41) 상의 시큐리티박 (20) 에, 캐리어 (41) 를 개재하여 열이나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보호층 (22) 과 기록층 (11) 이 접착된다. 그리고, 시큐리티박 (20) 에 대한 캐리어 (41) 의 상대 위치가 바뀜으로써, 시큐리티박 (20) 이 캐리어 (41) 로부터 벗겨진다. 또한, 시큐리티박 (20) 은, 기록층 (11) 에 한정되지 않고 표면측 피복층 (12) 에 전사되어도 된다.
시큐리티박 (20) 의 전사는,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스탬퍼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전사 공정에서는, 시큐리티박 (20) 이 전사되는 조건으로서, 온도를 80 ℃ 이상 150 ℃ 이하로 설정하고, 스탬퍼에 의해 시큐리티박 (20) 이 피전사체에 접촉하는 시간을 0.1 초 이상 3 초 이하로 설정하며, 또한, 전사압을 100 kg/㎠ 이상 500 kg/㎠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온도, 접촉 시간, 및, 전사압의 각각이 각 상한치 이하로 설정됨으로써, 과잉인 열량이 시큐리티박 (20) 주위의 부분을 피전사체에 전사시키는 것, 및, 과잉인 열량이 피전사체의 표면을 변형시키는 것이 억제된다. 또, 온도, 접촉 시간, 및, 전사압의 각각이 각 하한치 이상으로 설정됨으로써, 피전사체에 대한 시큐리티박 (20) 의 접착성의 불충분함이, 시큐리티박 (20) 의 일부를 피전사체에 전사시키지 않는 것이 억제된다.
도 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큐리티박 (20) 이 전사된 기록층 (11) 을 표면측 피복층 (12) 에 의해 덮는다. 그리고, 시큐리티박 (20), 기록층 (11), 및, 표면측 피복층 (12) 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을 접착하며, 또한,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에 의해 시큐리티박 (20) 을 봉입한다. 이 접착 공정에서는, 기록층 (11) 및 표면측 피복층 (12) 을 연화시키며 또한 변형시키는 열량을, 기록층 (11) 및 표면측 피복층 (12) 에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기록층 (1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의 접착에 있어서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록층 (11) 및 표면측 피복층 (12) 이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할 때에는, 이것들에 열을 부여하는 열원의 온도를 170 ℃ 이상 200 ℃ 이하로 설정하며, 또한, 열원이 이것들에 접하는 시간을 1 분 이상 30 분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기록층 (11) 및 표면측 피복층 (12) 을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사 공정에 있어서, 표면측 피복층 (12) 에 시큐리티박 (20) 을 전사하였을 때에는, 접착 공정에 있어서, 시큐리티박 (20) 이 전사된 표면측 피복층 (12) 을 기록층 (11) 에 의해 덮으면 된다.
도 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측 피복층 (12) 을 개재하여 기록층 (11) 의 일부에 레이저 광선 (L) 을 조사한다. 이 조사 공정에 의해, 기록층 (11) 에 피조사 영역 (11a) 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피조사 영역 (11a) 을 가진 적층체 (10) 를 얻을 수 있다. 피조사 영역 (11a) 을 가진 적층체 (10) 는, 증명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박 (20) 을 지지하는 캐리어 (41) 에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및, 폴리프로필렌 (PP) 등의 플라스틱제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캐리어 (41) 에 사용되는 필름은, 시큐리티박 (20) 의 전사시에 캐리어 (41) 에 부여되는 열이나 압력에 의해 변형이나 변질을 잘 발생시키지 않는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41) 에는, 종이, 합성지, 플라스틱 복층지, 및, 수지 함침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캐리어 (41) 의 두께는, 4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12 ㎛ 이상 50 ㎛ 이하로 해도 된다. 캐리어 (41) 의 두께가 4 ㎛ 이상임으로써, 캐리어 (41) 의 물리적인 강도가 불충분한 것이, 캐리어 (41) 를 취급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억제된다.
캐리어 (41) 는, 단층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캐리어 (41) 가 다층 구조일 때에는, 상기 서술한 플라스틱제의 필름 등과 같이 캐리어 (41) 에 물리적인 강도를 부여하는 코어층과, 코어층과 시큐리티박 (2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중간층에는, 시큐리티박 (20) 의 박리의 용이성을 조정하는 층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증명증 (30) 을 제조할 때에는, 도 7 을 사용하여 앞서 설명한 공정에 있어서, 기록층 (11) 을 표면측 피복층 (12) 으로 덮는다. 그리고, 기록층 (11), 백색층 (31b), 및, 이면측 피복층 (31a) 을 이 순서로 적층한 상태에서, 시큐리티박 (20), 기록층 (11), 표면측 피복층 (12), 백색층 (31b), 및, 이면측 피복층 (31a) 에 열과 압력을 가한다. 이로써, 증명증 (30) 의 전구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전구체의 기록층 (11) 에, 식별 정보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증명증 (30) 이 얻어진다.
[실험 결과]
이하, 증명증의 실험 결과와 비교 결과를 설명한다.
[실험 결과 1]
증명증의 제조에 앞서, 캐리어 상에 시큐리티박을 이하의 방법으로 형성하였다. 먼저, 두께가 25 ㎛ 인 PET 필름 (루미러 25T60, 도레이 (주) 제) (루미러는 등록 상표) 을 캐리어로서 준비하고,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PET 필름의 1 개의 면에 릴리프층용의 수지 A 를 도포하였다. 이 때, 수지 A 에 함유되는 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제거한 후의 도막의 두께가 3 ㎛ 가 되도록, 수지 A 를 PET 필름에 도포하였다. 그리고, 용제를 제거한 후의 도막에 금속 원통판을 대고 누름으로써, 롤 형성 가공을 실시하였다. 이로써, 릴리프면을 포함하는 릴리프층을 얻었다. 이 때, 프레스 압력을 2 kgf/㎠ 로 설정하고, 프레스 온도를 240 ℃ 로 설정하며, 프레스 스피드를 10 m/분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진공 증착법을 이용하여, 황화아연 (ZnS) 제의 반사층을 600 Å 의 두께로 릴리프면에 형성하였다. 이어서, 보호층용의 수지 B 를 반사층 상에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도포하였다. 이 때, 수지 B 에 함유되는 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제거한 층인 보호층의 두께가 4 ㎛ 가 되도록, 수지 B 를 반사층에 도포하였다. 이로써, 캐리어에 형성된 시큐리티박을 얻었다. 또한, 시큐리티박의 두께는, 7.06 ㎛ 인 것이 확인되었다.
[릴리프층용의 수지 A]
폴리메타크릴산메틸 2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10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80 질량부
[보호층용의 수지 B]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2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10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50 질량부
톨루엔 50 질량부
다음으로, 두께가 100 ㎛ 인 기록층 (LEXAN SD8B94, SABIC 사 제조) 을 준비하고, 핫 스탬프 전사기를 사용하여, 기록층에 시큐리티박을 전사하였다. 이 때, 전사 온도를 140 ℃ 로 설정하고, 압력을 200 kg/㎠ 로 설정하고, 전사 시간을 1 초로 설정하였다.
두께가 100 ㎛ 인 각 피복층 (LEXAN SD8B14, SABIC 사 제조), 및, 두께가 400 ㎛ 이며, 또한, 인쇄체가 형성된 백색층 (LEXAN SD8B24, SABIC 사 제조) 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면측 피복층, 백색층, 기록층, 및, 표면측 피복층이 두께 방향을 따라 이 순서로 나열되며, 또한, 기록층과 표면측 피복층에 시큐리티박이 봉입되도록, 이들 층을 적층하였다. 그 후, 이들 층의 적층체에 열원을 사용하여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면측 피복층, 백색층, 기록층, 및, 표면측 피복층을 접착하였다. 이 때, 열원의 온도를 190 ℃ 로 설정하고, 압력을 80 N/㎠ 로 설정하며, 열원이 적층체에 접촉하는 시간을 15 분으로 설정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적층체를 카드 형상으로 타발 (打拔) 하였다. 그리고, 레이저 인쇄기를 사용하여 기록층의 일부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피조사 영역을 형성하였다. 이 때, 레이저 인쇄기로서, 파장이 1064 nm 인 레이저 광선을 출력하는 인쇄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피조사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증명증의 소유자에 관련된 개별 정보를 기록층에 기록하였다. 이로써, 증명증을 얻었다.
[비교 결과 1]
릴리프층용의 수지를 수지 A 에서 수지 C 로 변경하며, 또한, 보호층용의 수지를 수지 B 에서 수지 D 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험 결과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교 결과 1 의 증명증을 얻었다.
[릴리프층용의 수지 C]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2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10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50 질량부
톨루엔 50 질량부
[보호층용의 수지 D]
폴리메타크릴산메틸 2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10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80 질량부
[평가]
실험 결과 1 의 증명증과, 비교 결과 1 의 증명증의 각각에 대해, 시큐리티박과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 및, 시큐리티박과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접착 강도를, JIS K 6854-1 (ISO 8510-1) 에 의해 규정된 90 도 박리 시험 방법에 준거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1 및 비교 결과 1 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는,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시큐리티박의 두께가 7.06 ㎛ 이며, 기록층의 두께가 100 ㎛ 이기 때문에, 실험 결과 1 과 비교 결과 1 의 양방에 있어서, 시큐리티박의 두께는, 기록층 두께의 대략 1/12.5 인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1
표 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험 결과 1 의 증명증에 있어서, 시큐리티박과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5.1 N/15 mm 폭으로, 시큐리티박과 표면측 피복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분리가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하여, 시큐리티박과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20 N/15 mm 폭 이상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시큐리티박과 기록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분리가 곤란하여, 시큐리티박을 기록층으로부터 벗기고자 하면, 시큐리티박과 기록층의 계면 부근에 있어서 시큐리티박이 파괴되고, 나아가서는 릴리프층이 파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때문에, 실험 결과 1 의 증명증에 포함되는 시큐리티박의 재이용은 어려운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 결과 1 의 증명증에 있어서, 시큐리티박과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20 N/15 mm 폭 이상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시큐리티박을 표면측 피복층으로부터 벗기고자 하면, 시큐리티박과 표면측 피복층의 계면 부근에 있어서 시큐리티박이 파괴되고, 나아가서는 릴리프층이 파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하여, 시큐리티박과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는 4.6 N/15 mm 폭으로, 시큐리티박과 기록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분리가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요컨대, 비교 결과 1 에서는, 개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표면측 피복층과 함께 시큐리티박이 기록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점에서, 시큐리티박을 표면측 피복층과 함께 재이용하고, 이로써, 위조한 기록층과 시큐리티박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가짜 증명증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바꿔 말하면, 비교 결과 1 의 증명증에 포함되는 시큐리티박의 재이용이 용이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체, 증명증,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는, 기록층 (11) 두께의 1/5 이하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시큐리티박 (20) 의 두께가 기록층 (11) 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인 구성과 비교하여, 시큐리티박 (20) 을 파괴하지 않고서 기록층 (11) 으로부터 시큐리티박 (20) 을 벗기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적층체 (10) 가 구비하는 시큐리티박 (20) 을 재이용하여 가짜 적층체를 제조하기가 어렵다.
(2) 피조사 영역 (11a) 을 시큐리티박 (20) 으로 덮음으로써, 피조사 영역 (11a) 에 기록된 정보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다.
(3) 기록층 (11) 이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며, 또한, 보호층 (22) 이 카보네이트 결합,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함유함으로써, 기록층 (11) 과 보호층 (22) 사이의 접착 강도를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4) 기록층 (11) 및 표면측 피복층 (12) 이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며, 또한, 보호층 (22) 이 폴리카보네이트보다 낮은 융점의 수지를 함유하며, 또한, 릴리프층 (21) 이 폴리카보네이트보다 높은 융점의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이로써, 보호층 (22) 과 기록층 (11) 사이의 접착 강도를 높이며, 또한, 릴리프층 (21)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의 접착 강도를 낮출 수 있다.
(5) 릴리프층 (21) 이 제 1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의 물질을 함유하고, 보호층 (22) 이 제 2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의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시큐리티박 (20) 과 기록층 (11) 사이의 접착 강도가, 시큐리티박 (20) 과 표면측 피복층 (12)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은 구성의 실현이 용이하다.
(6) 릴리프 구조가 입사광에 대한 특정한 광학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시큐리티박 (20) 의 위조가 어렵다. 이로써, 시큐리티박 (20) 을 구비하는 적층체 (10) 의 위조도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적층체 (10) 의 위조를 억제할 수 있다.
(7) 표면측 피복층 (12) 은, 적외선에 있어서의 일부의 대역 또는 전체 대역의 파장을 투과시키고, 시큐리티박 (20) 은, 적외선에 있어서의 일부의 대역 또는 전체 대역의 파장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로써, 표면측 피복층 (12) 과 시큐리티박 (20) 을 개재하여, 기록층 (11) 에 피조사 영역 (11a) 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기록층 (11) 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시큐리티박 (20) 이 덮는 영역에 피조사 영역 (11a) 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반사층 (23) 의 가시광에 대한 굴절률은 2.0 미만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더라도, 반사층 (23) 의 굴절률이 릴리프층 (21) 의 굴절률보다 높으면, 적층체 (10) 가 반사층 (23) 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반사층 (23) 에 의한 효과를 적잖이 얻을 수는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도시되고 기재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과 균등한 효과를 가져오는 모든 실시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서술되는 발명의 특징 (feature) 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개시된 각각의 특징 (feature), 그 특징 (feature) 의 모든 조합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부분」, 「요소」, 「화소」, 「셀」, 「세그먼트」 「단위」 「표시체」, 「물품」이라는 용어는 물리적 존재이다. 물리적 존재는, 물질적 형태, 또는, 물질에 둘러싸인 공간적 형태를 가리킬 수 있다. 물리적 존재는, 구조체로 할 수 있다. 구조체는, 특정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특정한 기능을 가진 구조체의 조합은, 각 구조체의 각 기능의 조합에 의해 상승적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본 개시 및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를 들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본문) 는, 일반적으로, 「오픈된」 용어로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포함한다」라는 용어는, 「갖는다」라는 용어는 「적어도 갖는다」로 해석해야 하고, 「포함한다」라는 용어는 「포함하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 용어, 구성, 피처, 측면, 실시형태를 해석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해야 한다. 도면에 의해 직접적 또한 일의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사항은, 텍스트와 동등하게, 보정의 근거로 해야 한다.
또한, 특정 수가 도입된 클레임 기재가 의도되는 경우, 그러한 의도는 클레임에 명시적으로 기재되고, 그러한 기재가 없는 경우, 그러한 의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적어도 1 개」및 「1 개 또는 복수」의 도입구의 사용을 포함하고, 청구의 열거를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어구의 사용은, 부정관사 「a」 또는 「an」에 의한 클레임 기재의 도입이, 그러한 클레임을 포함하는 특정한 클레임을, 그러한 기재를 1 개만 포함하는 실시형태로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개 이상」 또는 「적어도 1 개」의 모두의 어구 및 「a」 또는 「an」 등의 부정관사 (예를 들어, 「a」 및/또는 「an」) 는, 적어도 「적어도」를 의미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개」 또는 「1 개 이상」). 클레임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확한 기사의 사용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본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일본 특허출원 2018-001297호 (2018년 1월 9일 출원) 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개시에 도입된다.
10 : 적층체
10F, 21F, 30F, 31bF : 표면
11 : 기록층
11a : 피조사 영역
11b : 미조사 영역
12 : 표면측 피복층
20 : 시큐리티박
21 : 릴리프층
21R : 릴리프면
22 : 보호층
22R : 이면
23 : 반사층
30 : 증명증
31 : 지지층
31a : 이면측 피복층
31b : 백색층
32 : 인쇄체
41 : 캐리어
L : 레이저 광선
PIC1 : 제 1 화상
PIC2 : 제 2 화상
PIC3 : 제 3 화상
PIC4 : 제 4 화상
PIC5 : 제 5 화상
PIC5a : 식별 정보의 종류
PIC5b : 식별 정보

Claims (9)

  1. 기록층과,
    투광성의 표면측 피복층과,
    상기 기록층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으로 라미네이트되고, 적층체 내에 봉입된 두께가 상기 기록층 두께의 1/5 이하인 시큐리티박을 구비하고,
    상기 시큐리티박은, 릴리프면을 갖는 릴리프층과, 상기 릴리프면을 덮는 보호층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기록층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릴리프층은 상기 표면측 피복층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시큐리티박과 상기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상기 시큐리티박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은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상기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시큐리티박이 덮는 영역에 피조사 영역을 갖는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고,
    상기 보호층은, 카보네이트 결합, 우레탄 결합,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는 적층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 및 상기 표면측 피복층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제 1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릴리프층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제 2 수지를 함유하는 적층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층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고리형 폴리올레핀, 및, 멜라민으로 구성되는 제 1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를 함유하고,
    상기 보호층은,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에스테르, 산 변성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로 구성되는 제 2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를 함유하고,
    상기 기록층 및 상기 표면측 피복층의 각각은, 폴리카보네이트, 비정질 코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되는 제 3 물질군 중 적어도 1 개를 함유하는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면은, 상기 릴리프면에 입사된 입사광을 회절하는 특성, 상기 입사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특성, 상기 입사광을 등방적으로 반사하는 특성, 상기 입사광을 이방적으로 반사하는 특성, 상기 입사광을 집광하는 특성, 및, 상기 입사광에 포함되는 특정한 편광을 반사하는 특성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적층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피복층은, 적외선에 있어서의 일부의 대역 또는 전체 대역의 파장을 투과시키고,
    상기 시큐리티박은, 적외선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의 대역 또는 전체 대역의 파장을 투과시키는 적층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를 보강하는 지지층을 구비하는 증명증.
  9. 기록층과 표면측 피복층을 준비하는 것과,
    릴리프면을 갖는 릴리프층과, 상기 릴리프면을 덮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층의 1/5 이하의 두께의 시큐리티박을, 상기 기록층의 외측 가장자리 및 상기 표면측 피복층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록층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에 의해 봉입하는 것과,
    상기 기록층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 사이에 상기 시큐리티박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록층, 상기 표면측 피복층, 및, 상기 시큐리티박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기록층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에 의해 상기 시큐리티박이 봉입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시큐리티박과 상기 기록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상기 시큐리티박과 상기 표면측 피복층 사이의 접착 강도보다 높은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207019654A 2018-01-09 2019-01-09 적층체, 증명증,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638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1297 2018-01-09
JP2018001297 2018-01-09
PCT/JP2019/000398 WO2019139051A1 (ja) 2018-01-09 2019-01-09 積層体、証明証、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707A true KR20200103707A (ko) 2020-09-02
KR102638812B1 KR102638812B1 (ko) 2024-02-20

Family

ID=6721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654A KR102638812B1 (ko) 2018-01-09 2019-01-09 적층체, 증명증,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05514B2 (ko)
EP (2) EP3738784B1 (ko)
JP (2) JP7268605B2 (ko)
KR (1) KR102638812B1 (ko)
FI (1) FI3929002T3 (ko)
WO (1) WO2019139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8605B2 (ja) 2018-01-09 2023-05-08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証明証、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EP3887171B1 (en) * 2018-11-30 2023-06-28 Macsa ID, S.A. Inkless printing method and inkless prin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137Y2 (ko) 1981-12-28 1986-03-04
JP2005284293A (ja) * 2005-03-31 2005-10-13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回折構造形成体
WO2017057722A1 (ja) * 2015-10-02 2017-04-06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構造体
WO2017057723A1 (ja) * 2015-10-02 2017-04-06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7861A (en) 1981-04-27 1982-11-01 Nippon Kokan Kk <Nkk> Production of metallic plate
US4913504A (en) 1982-11-08 1990-04-03 American Bank Note Holographics, Inc. Documents or like articles bearing holograms
EP0201323B1 (en) 1985-05-07 1994-08-17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Article incorporating a transparent hologramm
US5145212A (en) 1988-02-12 1992-09-08 American Banknote Holographics, Inc. Non-continuous holograms, methods of making them and articles incorporating them
DK0401466T3 (da) 1989-06-05 1995-10-30 Landis & Gyr Tech Innovat Laminat med diffraktionsstruktur
JPH05323855A (ja) * 1992-05-15 1993-12-07 Oike Ind Co Ltd 発色性、高回折効率を改良したホログラムフイルム
JP2594367Y2 (ja) * 1992-09-30 1999-04-26 凸版印刷株式会社 開封防止シ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容器
US5683774A (en) 1994-12-09 1997-11-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rable, tamper resistant security laminate
DE29622700U1 (de) 1996-05-20 1997-06-05 Kurz Leonhard Fa Laminierfolie
JPH1035157A (ja) 1996-07-26 1998-02-10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転写シート
JPH11291648A (ja) 1998-04-08 1999-10-26 Toppa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フィルム
US6214443B1 (en) 1998-06-15 2001-04-10 American Bank Note Holographics, Inc. Tamper evident holographic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2000167970A (ja) 1998-12-04 2000-06-20 Toppan Printing Co Ltd 転写保護フィルム
US7667895B2 (en) 1999-07-08 2010-02-23 Jds Uniphase Corporation Patterned structures with optically variable effects
JP4565484B2 (ja) * 2000-06-27 2010-10-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体積ホログラム積層体、および体積ホログラム積層体作製用ラベル
JP4580517B2 (ja) * 2000-07-14 2010-1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回折構造を有する情報記録体、光回折構造貼付用シート、光回折構造転写シート、および情報記録体の製造方法。
NL1017307C2 (nl) 2001-02-07 2002-08-08 Enschede Sdu Bv Gelamineerde geslaagde structuur.
JP2003335083A (ja) * 2002-05-23 2003-11-25 Dainippon Printing Co Ltd 印字記録媒体、定期券、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4095401A2 (en) 2003-04-21 2004-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mper indicating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ing information
DE102004042136B4 (de) 2004-08-30 2006-11-09 Ovd Kinegram Ag Metallisiertes Sicherheitselement
JP2006248221A (ja) 2005-02-09 2006-09-21 Dainippon Printing Co Ltd 複数図柄光輝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輝性複数図柄形成物
DE102006029397A1 (de) 2006-06-27 2008-01-03 Ovd Kinegram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aminierten Schichtverbunds, laminierter Schichtverbund und dessen Verwendung
DE102008012436A1 (de) 2008-02-29 2009-09-03 Bundesdruckerei Gmbh Sicherheits- und/oder Wertdokument
DE102008036670B3 (de) 2008-08-06 2009-11-26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Fol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GB0818270D0 (en) 2008-10-06 2008-11-12 Rue De Int Ltd Security document
EP2177368A1 (en) 2008-10-16 2010-04-21 Gemalto Oy Identification document with colored personalization inside
WO2012050223A1 (ja) * 2010-10-15 2012-04-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媒体の印刷方法
JP2013190478A (ja) 2012-03-12 2013-09-26 Toppa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媒体、粘着ラベル、転写箔及びラベル付き物品
WO2013191762A1 (en) 2012-06-21 2013-12-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static dissipating laser engravable film
JP6273669B2 (ja) 2012-11-13 2018-0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回折層積層体シート、カードの製造方法
US20150367670A1 (en) * 2013-03-07 2015-12-24 Assa Abloy Ab Method of using laser ablation to reveal underlying security feature and device obtained thereby
JP6787346B2 (ja) 2016-01-27 2020-11-18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個人認証媒体
JP6844616B2 (ja) 2016-04-14 2021-03-17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個人認証媒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8001297A (ja) 2016-06-28 2018-01-1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穴加工工具
JP7268605B2 (ja) 2018-01-09 2023-05-08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証明証、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137Y2 (ko) 1981-12-28 1986-03-04
JP2005284293A (ja) * 2005-03-31 2005-10-13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回折構造形成体
WO2017057722A1 (ja) * 2015-10-02 2017-04-06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構造体
WO2017057723A1 (ja) * 2015-10-02 2017-04-06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13602A (ja) 2023-08-16
EP3929002B1 (en) 2023-08-23
KR102638812B1 (ko) 2024-02-20
EP3738784A4 (en) 2021-03-03
EP3738784B1 (en) 2021-10-06
US11305514B2 (en) 2022-04-19
EP3738784A1 (en) 2020-11-18
EP3929002A1 (en) 2021-12-29
JPWO2019139051A1 (ja) 2021-02-12
WO2019139051A1 (ja) 2019-07-18
JP7268605B2 (ja) 2023-05-08
FI3929002T3 (fi) 2023-09-13
US20200331235A1 (en)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8140B2 (en) Image display, labeled artic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US10875350B2 (en) Anti-counterfeiting structure
JP5464028B2 (ja) 偽変造防止用icラベル
JP2023113602A (ja) 積層体、証明証、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US10814662B2 (en) Laminate, personal verification mediu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laminate
US20230021631A1 (en) Laminate, card, method of manufacturing card, method of producing card, card information recording sheet and card including the same
KR102345076B1 (ko) 정보 기록체, 및 개인 증명체
JP5915055B2 (ja) 画像形成体および個人認証媒体並びに画像形成体の形成方法および個人認証媒体の形成方法
JP5760444B2 (ja) 改竄防止媒体及び改竄防止媒体の製造方法
US10471694B2 (en)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and personal authentication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