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326A -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326A
KR20200102326A KR1020190100601A KR20190100601A KR20200102326A KR 20200102326 A KR20200102326 A KR 20200102326A KR 1020190100601 A KR1020190100601 A KR 1020190100601A KR 20190100601 A KR20190100601 A KR 20190100601A KR 20200102326 A KR20200102326 A KR 20200102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e
valve body
rod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1953B1 (ko
Inventor
김홍문
Original Assignee
제이아이산업(주)
김홍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6534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02320A/ko
Application filed by 제이아이산업(주), 김홍문 filed Critical 제이아이산업(주)
Publication of KR2020010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4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liquid or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6Accessories, e.g.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그라인더에 사용되는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그라인더의 메인바디가 선단부측에 연결되고 후단부측에는 공압호스가 연결되어 공압호스로부터 에어그라인더측으로의 공압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형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서 공압통로와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밸브홀과, 상기 밸브홀상에 배치되어 공압통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로드와, 상기 밸브로드를 탄력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밸브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밸브로드의 단부측이 밸브바디의 몸통을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며, 상기 밸브바디의 외측면상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거나 힌지식으로 각운동되어 밸브로드의 단부측을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원통형 밸브소켓이나 링크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소켓이나 링크레버에는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둘 수 있는 안전고리를 연결시킴으로서, 밸브소켓을 전방측으로 밀어내거나 링크레버를 수평 방향으로 젖혀 밸브바디의 공압통로를 개방시키고, 작업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에어그라인더를 떨어뜨릴 경우 에어그라인더가 안전고리에 매달리는 상황이 되는 즉시, 밸브소켓이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되거나 링크레버가 수직 방향으로 다시 세워져 공압통로가 자동 폐쇄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에어그라인더의 사용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Safety valve for an air grinder}
본 발명은 에어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벽체 구조물이나 천정 구조물 등과 같이 다소 높은 위치의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작업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하여 에어그라인더를 놓칠 경우,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둔 안전고리에 에어그라인더가 매달리는 상황이 되는 즉시 에어그라인더를 통한 공압의 유동통로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서, 에어그라인더의 사용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시 선체 도장(塗裝)의 오염된 부분을 제거하는 작업이나, 철구조물 등의 돌출 표면을 미려하게 다듬어 주는 작업이나, 특정 부위의 모따기 작업과 같이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연마작업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삭숫돌을 이용한 그라인더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그라인더는 연삭숫돌이 되는 그라인더휠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의 종류에 따라 전력을 사용하는 전기식 그라인더와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에어그라인더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에어그라인더는 공압호스가 후단부측에 연결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선단 내측에 배치되어 공압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메인바디의 선단 하측에 설치되어 구동부의 회전력을 그라인더휠로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그라인더휠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태로 하여 그 중앙부가 기어박스의 출력축과 연결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메인바디의 후방측 몸통 외주연부에는 그라인더휠의 회전력(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의 조정노브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는 메인바디와 함께 에어그라인더를 견고히 파지할 수 있도록 작업용 손잡이가 추가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박스의 하단측에는 작업자와 마주보는 위치의 그라인더휠 부분(전체의 약 1/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커버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그라인더는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그라인더휠을 비교적 강한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기에 의한 감전사고나 폭발사고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데 반하여, 벽체 구조물이나 천정 구조물 등과 같이 다소 높은 위치의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작업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하여 에어그라인더를 떨어뜨릴 경우에도 에어그라인더의 가동이 중지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전기식 그라인더의 경우는 전기플러그에 의하여 전원과 접속되기 때문에 그라인더를 떨어뜨릴 경우 전기플러그가 쉽게 빠질 수 있지만, 에어그라인더의 경우는 압축공기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압호스를 에어그라인더와 매우 견고하게 연결시켜 놓기 때문에 그라인더를 떨어뜨리더라도 그 연결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에어그라인더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신체와 접촉될 경우, 고속으로 회전하는 그라인더휠에 의한 절창(切創)이나 절단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그라인더의 메인바디가 선단부측에 연결되고 후단부측에는 공압호스가 연결되어 공압호스로부터 에어그라인더측으로의 공압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형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서 공압통로와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밸브홀과, 상기 밸브홀상에 배치되어 공압통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로드와, 상기 밸브로드를 탄력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밸브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밸브로드의 단부측이 밸브바디의 몸통을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며, 상기 밸브바디의 외측면상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거나 힌지식으로 각운동되어 밸브로드의 단부측을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원통형 밸브소켓이나 링크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소켓이나 링크레버에는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둘 수 있는 안전고리를 연결시킴으로서, 밸브소켓을 전방측으로 밀어내거나 링크레버를 수평 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밸브바디의 공압통로가 개방되어 그라인딩 작업이 가능토록 하고, 작업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에어그라인더를 떨어뜨릴 경우 에어그라인더가 안전고리에 매달리는 상황이 되는 즉시, 밸브소켓이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되거나 링크레버가 수직 방향으로 다시 세워져 공압통로가 자동 폐쇄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에어그라인더의 사용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밸브로드의 단부측이 밸브바디의 몸통을 관통하는 부위에 압축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밀(氣密)수단을 제공함으로서, 공압호스로부터 밸브바디를 거쳐 에어그라인더로 유입되는 공압의 손실을 제로(Zero)화시켜 에어그라인더의 정상적인 가동을 보장토록 하고, 상기 밸브소켓의 선단 내주면을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밸브로드의 끝단부를 구면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시킴으로서, 밸브바디로부터 돌출된 밸브로드 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밸브바디의 몸통 부분에 밸브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커버캡을 설치함으로서, 밀폐링이 포함된 밸브로드와 코일스프링의 수리나 교체작업 및 밸브홀의 내부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안전고리가 밸브소켓 또는 링크레버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에어그라인더가 안전고리에 매달림에 따라 에어그라인더의 전체 하중이 안전고리에 집중될 경우, 안전고리를 밸브소켓 또는 링크레버와 자동 분리시키는 가고정수단을 적용시킴으로서, 밸브로드에 의하여 공압통로가 폐쇄된 이후에도 잔여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그라인더휠이 작업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는, 에어그라인더의 메인바디가 선단측에 연결되고 공압호스가 후단측에 연결되어 공압호스로부터 에어그라인더측으로의 공압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형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서 공압통로와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밸브홀과, 상기 밸브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한편 밸브바디의 몸통 외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밸브로드와, 상기 밸브바디의 외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밸브바디로부터 돌출된 밸브로드 부분을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원통형 밸브소켓과, 상기 밸브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밸브로드의 출몰작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소켓의 선단 내측면에는 밸브바디의 외부로 돌출된 밸브로드 부분을 밸브바디의 내부로 밀어넣기 위한 테이퍼부가 제공되고, 상기 밸브소켓의 외측면에는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두기 위한 안전고리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는 밸브소켓을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밸브로드를 밀어 넣으면 밸브바디의 공압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안전고리에 의하여 밸브소켓이 후방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밸브로드가 돌출되면 밸브바디의 공압통로가 폐쇄되는 개폐구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는, 상기 밸브바디의 외측면에 레버브라켓이 조립 설치되고, 상기 레버브라켓에는 밸브바디로부터 돌출된 밸브로드 부분을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링크레버가 링크축을 개재시킨 상태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링크축은 일측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링크레버의 단부측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링크축이 관통되는 링크레버의 단부면은 밸브로드의 출몰작동을 위한 작동캠부로 형성시킴으로서, 해당 링크레버를 수평 방향으로 젖힘에 따라 작동캠부에 의하여 밸브로드가 밸브바디로 밀려 들어가면 밸브바디의 공압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안전고리에 의하여 해당 링크레버가 당겨져 수직 방향으로 다시 세워짐에 따라 밸브로드가 돌출되면 밸브바디의 공압통로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3실시예로서는 상기 밸브바디의 몸통측에 밸브홀을 커버하는 마개 형상의 커버캡이 조립 설치되고, 상기 밸브로드는 커버캡을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커버캡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링크레버는 밸브로드의 단부측과 링크축을 개재시킨 상태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됨으로서, 해당 링크레버를 수평 방향으로 젖힘에 따라 링크축에 의하여 밸브로드가 외부로 당겨지면 밸브바디의 공압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안전고리에 의하여 해당 링크레버가 당겨져 수직 방향으로 다시 세워짐에 따라 링크축에 의하여 밸브로드가 밸브바디의 내부로 다시 밀려 들어가게 되면 밸브바디의 공압통로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공압통로의 개폐구조는, 밸브홀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는 한편, 밸브로드의 외측면과 소정의 여유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로드홀과, 상기 로드홀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어 밸브로드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관통구멍을 베이스로 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공압통로는 공압호스가 연결되는 밸브바디의 후단측으로부터 유입통로가 연장되어 해당 유입통로의 출구가 밸브홀과 연통되고, 상기 에어그라인더의 메인바디가 연결되는 밸브바디의 선단측으로부터 배출통로가 연장되어 해당 배출통로의 입구가 로드홀과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압통로의 개폐수단으로서 밸브로드의 일측단에는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밸브헤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밸브헤드의 외주면과 밸브홀의 내주면 사이에도 소정의 여유간격이 제공되며, 상기 밸브홀과 로드홀간의 단턱진 부위가 밸브헤드의 안착을 위한 밸브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밸브헤드의 외주면에는 밸브시트와 밀착되는 밀폐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3실시예에 적용되는 공압통로의 개폐구조는, 밸브홀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는 입구통로와, 상기 밸브홀로부터 입구통로가 단턱지는 부위에 제공되는 밸브시트가 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밸브헤드와 커버캡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며, 상기 공압통로는 밸브홀과 연통되고, 상기 배출통로는 입구통로와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 상부 또는 내측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밸브바디의 후단측으로부터 밸브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밸브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공압통로는 공압호스가 연결되는 밸브바디의 후단측으로부터 밸브홀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밸브홀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유입통로와, 상기 유입통로의 선단 내측면을 밸브홀의 선단 내측면과 연통시키는 입구통로와, 에어그라인더의 메인바디가 연결되는 밸브바디의 선단측으로부터 밸브홀의 후방 내측면에 이르는 위치까지 관통 형성되는 배출통로를 포함시켜 구성하며, 상기 공압통로의 개폐구조는 밸브바디의 후단부측으로부터 밸브홀을 따라 삽입 설치되는 밸브로드와, 상기 밸브로드의 선단측에 돌출 형성되는 밸브헤드와, 상기 밸브헤드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밀폐링과, 상기 밀폐링이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밸브헤드의 후방측에서 밸브홀의 내주면을 따라 제공되는 밸브시트를 포함시켜 구성하고, 상기 밀폐링이 포함된 밸브헤드의 외측면과 밸브로드의 외측면은 밸브홀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밸브홀의 선단 내측면과 밸브헤드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시키고, 상기 밸브홀의 후단부에는 밸브홀을 커버하는 커버캡을 조립 설치하며, 상기 밸브로드의 후단부는 커버캡을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밸브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레버브라켓은 링크레버를 개재시킨 상태로 커버캡의 후단면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서는 밸브바디의 관통구멍과 밸브로드의 사이에 공압의 누설을 차단하는 기밀구조가 추가로 제공되고, 상기 기밀구조는 밸브로드의 단부측을 사다리꼴 단면의 셔터로드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관통구멍은 셔터로드의 외측면과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테이퍼홀로 형성시킨 구조가 되거나, 상기 밸브로드의 끝단부에 셔터캡을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셔터캡의 상측면에는 관통구멍의 하단 주연부를 커버하는 밀폐링을 장착시킨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셔터로드와 셔터캡은 밸브로드와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밸브바디에는 밸브홀의 덮개 기능을 수행하는 마개 형상의 커버캡이 조립 설치되며, 상기 셔터로드와 셔터캡의 끝단부는 구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셔터캡과 밀착되는 밸브바디의 외측면에는 셔터캡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셔터수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밸브바디에는 밸브홀의 마개 기능을 수행하는 커버캡이 조립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밸브헤드와 커버캡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며, 상기 커버캡은 밸브홀의 직상부 또는 직하부에서 밸브바디의 몸통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캡홀을 따라 밀폐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 1실시예에 사용되는 밸브바디는 에어그라인더의 메인바디와 연결되는 전방몸통 부분으로부터 공압호스가 연결되는 후방몸통 부분이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상기 밸브로드는 밸브홀과 함께 밸브바디의 전방몸통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소켓의 후단부 내측에는 전방몸통과 후방몸통간의 단턱부에 걸리는 돌출턱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테이퍼부는 밸브소켓의 선단측 내주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후방몸통의 후단부측에는 밸브소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든 실시예에 있어 안전고리가 밸브소켓 또는 링크레버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에어그라인더가 안전고리에 매달림에 따라 에어그라인더의 전체 하중이 안전고리에 작용할 시, 안전고리를 밸브소켓 또는 링크레버와 자동 분리시키는 가고정수단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고정수단은 밸브소켓이나 링크레버의 외측면상에 연결되는 가는 철사 재질의 C링 또는 밸브소켓이나 링크레버의 외측면을 통하여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끼움핀 또는 "⊃"자형 판스프링 중에서 택일한 것이 되며, 상기 안전고리는 가고정수단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소켓을 전방측으로 밀어넣거나 링크레버를 수평 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밸브바디의 공압통로가 개방(ON)됨에 따라 그라인딩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하여 에어그라인더를 떨어뜨릴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놓은 안전고리에 에어그라인더가 매달리는 상황이 되는 즉시, 밸브소켓이 밸브바디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딩(에어그라인더의 하중에 의하여 밸브바디가 밸브소켓으로부터 빠져 나옴) 되거나 링크레버가 수직 방향으로 다시 젖혀짐에 따라 공압통로를 폐쇄(OFF) 상태로 자동 세팅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에어그라인더의 사용시 발생하는 절창이나 절단사고와 같은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밸브로드 단부측의 출몰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밸브로드의 단부측이 밸브바디의 몸통을 관통하는 부위로 압축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기밀수단을 제공함으로서, 공압호스로부터 밸브바디를 거쳐 에어그라인더로 유입되는 공압의 손실을 제로화시켜 에어그라인더의 정상적인 가동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특히 사다리꼴 단면의 셔터로드와 테이퍼홀을 기밀수단으로 적용시킨 경우에는 밀폐링과 같이 잦은 교체가 요구되는 소모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압축공기의 누설을 차단시킬 수 있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밀폐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밸브소켓의 선단 내주면을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밸브로드의 단부측, 다시 말해서 셔터로드와 셔터캡의 끝단부를 구면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시킨 경우에는 밸브바디로부터 돌출된 밸브로드의 단부측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밀어 넣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밸브바디의 몸통 부분에 밸브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커버캡을 설치한 경우에는 밀폐링이 포함된 밸브로드와 코일스프링의 수리나 교체작업 및 밸브홀의 내부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에어그라인더가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린 안전고리에 매달림에 따라 공압통로가 완전히 폐쇄된 직후 에어그라인더의 전체 하중이 안전고리에 모두 집중되는 시점에 안전고리가 밸브소켓 또는 링크레버와 자동 분리되도록 하는 가고정수단을 적용시킴으로서, 밸브로드에 의하여 공압통로가 폐쇄된 이후에도 잔여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그라인더휠이 작업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에어그라인더의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 4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안전밸브를 이루는 레버브라켓과 링크레버가 밸브바디의 외주면이 아닌 후방면에 배치되도록 한 경우에는, 에어그라인더의 조정노브와 함께 에어그라인더의 파지용(把持用) 손잡이 기능을 병행하는 안전밸브의 외주면상으로 레버브라켓과 링크레버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에어그라인더의 파지작업이 안전밸브에 의하여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에어그라인더의 안전성과 작업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가 에어그라인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개방(ON)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폐쇄(OFF)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밸브로드 관통부의 또 다른 기밀구조를 나타내는 도 2의 "A"부 발췌도.
도 7의 (가) 내지 (다)는 안전고리의 가고정수단을 종류별로 나타내는 요부 발췌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폐쇄(OFF)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요부 발췌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개방(ON)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폐쇄(OFF)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발췌 배면측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개방(ON)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배면도.
도 1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사용되는 밸브바디의 공압통로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1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개방(ON) 상태와 폐쇄(OFF)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10)가 적용되는 에어그라인더(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호스(8)가 후단부측에 연결되는 메인바디(2)와, 상기 메인바디(2)의 선단 내측에 배치되어 공압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구동부(미도시)와, 상기 메인바디(2)의 선단 하측에 설치되어 구동부의 회전력을 그라인더휠(4)로 전달하는 기어박스(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그라인더휠(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태로 하여 그 중앙부가 기어박스(3)의 출력축과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메인바디(2)의 후방측 몸통 외주연부에는 그라인더휠(4)의 회전력(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의 조정노브(7)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기어박스(3)의 일측(도면상 좌측)에는 메인바디(2)와 함께 에어그라인더(1)를 견고히 파지(把持)할 수 있도록 작업용 손잡이(6)가 추가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박스(3)의 하단측에는 작업자와 마주보는 위치의 그라인더휠(4) 부분(전체의 약 1/2에 해당하는 반원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커버(5)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안전밸브(10)가 적용될 수 있는 에어그라인더(1)의 대표적인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를 가지는 에어그라인더에도 본 발명의 안전밸브(1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그라인더휠(4)을 대신하여 원판 형태의 회전톱날이 설치된 에어커팅기 또는 이와 유사한 종류의 다른 에어공구에도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10)가 적용될 수 있음을 서두에서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10)는 도 1 내지 도 4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가 선단측에 연결되고 공압호스(8)가 후단측에 연결되어 공압호스(8)로부터 에어그라인더(1)측으로의 공압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형 밸브바디(11)와, 상기 밸브바디(11)의 내부에서 공압통로와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밸브홀(17)과, 상기 밸브홀(17)의 내부로 삽입되는 한편 하단측이 밸브바디(11)의 몸통을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는 밸브로드(12)와, 상기 밸브바디(11)의 외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밸브바디(11)로부터 돌출된 밸브로드(12)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원통형 밸브소켓(13)을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밸브홀(17)의 내부에는 밸브로드(12) 하단부의 출몰작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소켓(13)의 선단 내측면에는 밸브바디(11)의 외부로 돌출된 밸브로드(12)의 하단부측을 밸브바디(11)의 내부로 밀어 넣기 위한 테이퍼부(경사면)(13a)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밸브소켓(13)의 외측면에는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두기 위한 안전고리(20)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바디(11)의 내부에는 밸브소켓(13)을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밸브로드(12)의 하단부를 밀어 넣으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안전고리(20)에 의하여 밸브소켓(13)이 후방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밸브로드(12)의 하단부가 돌출되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폐쇄되는 개폐구조가 제공된다.
도면상 밸브바디(11)의 선단부 외주면과 후단부 내주면에 걸쳐 에어그라인더(1)와 공압호스(8)의 연결작업을 위한 나사식 체결부(11c)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공압호스(8)는 호스커넥터(9)에 의하여 밸브바디(11)와 연결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에어그라인더(1)와 공압호스(8)를 밸브바디(11)와 연결시키는 방식은 도면에 도시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에어그라인더(1)와 공압호스(8)를 밸브바디(11)와 연결시키는 부위에도 밀폐링과 같은 기밀수단을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밸브바디(11)의 내부에 제공되는 공압통로의 개폐구조 역시 각종 밸브에 사용되는 다양한 개폐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공압통로 개폐구조의 대표적인 실시예로서는, 밸브홀(17)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는 한편 밸브로드(12)의 외측면과 소정의 여유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로드홀(18)과, 상기 로드홀(18)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어 밸브로드(12)의 하단 외측면과 접촉하는 관통구멍(18b)(도 5 참조)을 따라 밸브로드(12)가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밸브로드(12)의 상단에는 코일스프링(16)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밸브헤드(12a)를 돌출 형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밸브홀(17)과 로드홀(18)간의 단턱진 부위가 밸브헤드(12a)의 안착을 위한 밸브시트(17a)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밸브헤드(12a)의 하측면에는 밸브시트(17a)와 밀착되는 밀폐링(14)이 설치되고, 상기 밸브헤드(12a)의 외주면과 밸브홀(17)의 내주면 사이에도 소정의 여유간격이 제공되며, 상기 공압통로는 공압호스(8)가 연결되는 밸브바디(11)의 후단측으로부터 유입통로(19)가 연장되어 해당 유입통로(19)의 출구가 밸브홀(17)과 연통되고, 상기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가 연결되는 밸브바디(11)의 선단측으로부터 배출통로(19a)가 연장되어 해당 배출통로(19a)의 입구가 로드홀(18)과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10)는 밸브바디(11)의 몸통 부분을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는 밸브로드(12)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출몰시켜 공압통로의 개폐작동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밸브로드(12)의 하단부와 밸브바디(11)의 관통구멍(18b) 사이에 미세한 간극(間隙)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지만, 도 2에서와 같이 안전밸브(10)의 개방(ON)시에 밸브소켓(13)의 내주면이 관통구멍(18b)을 하부에서 추가로 커버하게 되므로, 해당 간극을 통한 압축공기의 누설량은 에어그라인더(1)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수준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밸브로드(12)가 밸브바디(11)를 관통하는 부위에 적절한 기밀수단을 추가로 적용시킴으로서, 밸브로드(12)의 관통부위를 통한 압축공기의 누설을 완전하게 차단시키도록 하는 한편, 밸브로드(12)의 하단부와 관통구멍(18b)의 사이에 적절한 간극을 추가로 확보하여 밸브로드(12) 하단부의 출몰 작동이 한층 더 부드럽고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밸브로드(12)의 하단부를 사다리꼴 단면의 셔터로드(Shutter rod)(12c)로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구멍(18b)은 셔터로드(12c)의 외측면과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테이퍼홀(Taper hole: 경사구멍)(18a)로 형성시킨 기밀구조가 제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밸브로드(12)의 하단부에 셔터캡(Shutter cap)(12d)을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셔터캡(12d)의 상측면에는 관통구멍(18b)의 하단 주연부를 커버하는 밀폐링(14)을 장착시킨 기밀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셔터로드(12c)와 셔터캡(12d)을 적용시킬 경우에는, 밸브헤드(12a)의 하부에 소정 길이 만큼의 연결로드(12b)를 남겨 두고, 셔터로드(12c)와 셔터캡(12d)은 연결로드(12b)와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한 다음, 셔터로드(12c)와 셔터캡(12d)을 연결로드(12b)의 하단측에 나사체결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하는 것이 밸브로드(12)의 손쉬운 장착 측면에서 유리하고, 상기 셔터로드(12c)와 셔터캡(12d)의 하단면은 구면(球面)으로 라운드(Round)지게 형성시킴으로서, 밸브소켓(13)의 테이퍼부(13a)와 연계된 안전밸브(10)의 원활한 개폐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밸브로드(12)의 하단부에 셔터캡(12d)을 돌출 형성시킬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밸브바디(11)의 외측면상에 셔터캡(12d)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셔터수납홈(11d)을 오목하게 형성시킴으로서, 밸브소켓(13)을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셔터캡(12d)을 밀어 넣는 안전밸브(10)의 개방(ON) 작동시 셔터캡(12d)이 밸브바디(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셔터수납홈(11d)을 대신하여 도 6에서와 같이 밸브소켓(13)의 내측면상에 셔터캡(12d)의 돌출폭에 해당하는 만큼의 가이드홈을 밸브소켓(13)의 길이 방향에 걸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셔터캡(12d)의 돌출폭에 해당하는 만큼의 가이드홈을 밸브소켓(13)의 길이 방향에 걸쳐 형성시킬 경우, 밸브소켓(13)에 의한 안전밸브(10)의 개방(ON) 작동시 해당 가이드홈의 위치를 셔터캡(12d)의 위치에 맞추는 번거러운 조작이 필요하므로, 가급적 밸브바디(11)상에 셔터수납홈(11d)을 형성시키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테이퍼부(13a)는 밸브소켓(13)의 선단 내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시킴으로서, 안전밸브(10)의 개방(ON) 작동을 보다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소켓(13)이 밸브바디(11)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안전밸브(10)의 개폐작동을 수행하는 측면을 고려할 경우, 밸브소켓(13)의 전,후방 이동폭을 적절하게 제한하는 한편, 밸브소켓(13)이 밸브바디(11)를 따라 후방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밸브소켓(13)의 조작 측면에서 보다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밸브바디(11)의 몸통 외측면과 밸브소켓(13)의 내주면상에는 걸림식 스토퍼(Stopper) 구조가 추가로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걸림식 스토퍼 구조의 대표적인 적용례로서는 도 2 내지 도 4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바디(11)는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와 연결되는 전방몸통(11a) 부분으로부터 공압호스(8)가 연결되는 후방몸통(11b) 부분이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몸통(11b)의 후단부측에는 밸브소켓(13)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1)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소켓(13)의 후단부 내측에는 전방몸통(11a)과 후방몸통(11b)간의 단턱부에 걸리는 돌출턱(13b)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 상기 스토퍼(21)는 밸브바디(11)의 후방몸통(11b)을 에워싸는 링(Ring)(예를 들어, 고무 재질의 탄성링)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상기 후방몸통(11b)의 후단부측에는 해당 스토퍼(21)의 끼움식 조립을 위한 장착홈(21a)이 제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밸브바디(11)의 후방몸통(11b)을 따라 밸브소켓(13)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스토퍼 수단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밸브로드(12)는 밸브홀(17)과 함께 밸브바디(11)의 전방몸통(11a) 부분에 설치될 것이고, 밸브소켓(13)의 내부에는 밸브바디(11)의 전방몸통(11a)과 후방몸통(11b)에 대응되는 치수의 관통구멍(13c)이 형성될 것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밸브바디(11)에는 밸브홀(17)의 덮개 기능을 수행하는 커버캡(Cover cap)(15)이 조립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커버캡(15)은 밸브홀(17)의 직상부에서 밸브바디(11)의 몸통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캡홀(Cap hole)(15c)의 내측에 밀폐링(14)을 개재시킨 상태로 삽입 설치됨에 따라, 커버캡(15)의 장착시 그 상단면이 밸브바디(11)의 외측면과 동일 표면을 이루거나 또는 그 상단면이 밸브바디(11)의 표면 내측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서 밸브소켓(13)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커버캡(15)의 장착 및 분리작업을 보다 더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커버캡(15)의 하부측과 밸브홀(17)의 상단측 내주면에는 볼트와 너트식의 체결부(15b)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커버캡(15)의 상부면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 사용이 가능하도록 공구홈(1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16)은 밸브로드(12)와 커버캡(15)의 사이에 개재되며, 코일스프링(16)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커버캡(15)의 바닥면과 밸브로드(12)의 밸브헤드(12a) 상단면에는 요철(凹凸) 형태의 스프링지지부(16a)(도 2참조)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고리(20)는 앞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작업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하여 에어그라인더(1)를 높은 위치에서 떨어뜨릴 경우, 에어그라인더(1)가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매달리도록 하는 동시에, 에어그라인더(1)의 하중에 의하여 밸브소켓(13)이 밸브바디(11)의 후방측(에어그라인더가 매달린 형태를 기준으로 하면 상부측)으로 달려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적정한 굵기의 끈이나 밴드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둘 수 있는 치수로 제작한 다음, 핏팅볼트(20a) 등을 이용하여 밸브소켓(13)의 외측면에 연결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부호 20b는 핏팅볼트의 체결공이 된다.
상기와 같은 안전고리(20)의 기본적인 기능, 다시 말해서 에어그라인더(1)가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린 안전고리(20)에 매달리는 상황이 되는 즉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밸브소켓(13)이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밸브로드(12)의 하단부가 돌출됨에 따라, 밸브로드(12)의 밸브헤드(12a)와 밀폐링(14)이 코일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하여 밸브홀(17)의 밸브시트(17a)와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서, 공압통로를 완전히 폐쇄시키는 안전밸브(10)의 OFF 상태로 자동 세팅되는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과 함께, 공압통로의 폐쇄 직후에도 잔여 원심력에 의하여 짧은 시간동안 추가로 회전되는 그라인더휠(4)이 작업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에어그라인더(1)가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린 안전고리(20)에 매달림에 따라 공압통로가 완전히 폐쇄된 직후, 에어그라인더(1)의 전체 하중이 안전고리(20)에 모두 집중되는 시점에 안전고리(20)가 밸브소켓(13)과 자동 분리되도록 하는 가고정수단을 추가로 적용하였으며, 상기 가고정수단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도 7의 (가) 내지 (다)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소켓(13)의 외측면상에 연결되는 가는 철사 재질의 C링(22)이나 밸브소켓(13)의 외측면을 통하여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끼움핀(23) 또는 "⊃"자형의 판스프링(24) 중에서 택일한 것이 되고, 상기 안전고리(20)는 가고정수단과 연결 설치되는 바, 상기 끼움핀(23)과 판스프링(24)에는 안전고리(20)의 연결을 위한 결속링(23a)과 결속헤드(24a)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가고정수단에 의하여 안전고리(20)가 밸브소켓(13)과 분리되기 위해서는, 가는 철사 재질의 C링(22)이 늘어나 걸고리부(22a)에서 빠져 나오거나 끼움핀(23) 또는 판스프링(24)이 해당 끼움구멍(23b)(24b)으로부터 빠져 나와야 하므로, C링(22)의 변형하중이나 끼움구멍(23b)(24b)에 대한 끼움핀(23) 또는 판스프링(24)의 결합력(마찰력 또는 탄성력)이 에어그라인더(1)의 하중(무게)보다는 적게 되어야 함은 물론, 안전밸브(10)의 확실한 자동식 폐쇄(OFF)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변형하중이나 결합력이 밸브바디(11)와 밸브소켓(13)간의 마찰력보다는 크게 되어야 하는 바, 이러한 조건에 부합되도록 C링(22)의 직경(굵기)과 끼움핀(23)의 끼움공차 및 판스프링(24)의 소재와 탄성강도 등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밸브소켓(13)과 연결된 안전고리(20)를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두는 이유는, 에어그라인더(1)를 이용한 그라인딩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안전고리(20)상에 에어그라인더(1)가 매달릴 경우 그 위치가 작업자의 가슴이나 복부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함에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안전고리(20)를 작업자의 손목 부위가 아닌 작업표면과 인접한 다른 구조물상에 걸어둘 수도 있고, 상기 안전고리(20)를 링 형태가 아닌 소정 길이의 타이(Tie:일자형 끈) 형태로 한 상태에서 그 끝단부에 걸고리나 집게 등을 연결시켜 놓을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10)는 도 8 내지 도 10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바디(11)의 외측면에 레버브라켓(25)이 조립 설치되고, 상기 레버브라켓(25)에는 밸브바디(11)로부터 돌출된 밸브로드(12)의 상단측(도면상 셔터로드 부분)을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링크레버(26)가 링크축(25a)을 개재시킨 상태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링크축(25a)은 일측(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링크레버(26)의 하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링크레버(26)의 하단부는 밸브로드(12)의 출몰작동을 위하여 일측 방향(도면상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작동캠부(26a)로 형성된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되어진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안전밸브(10)의 폐쇄(OFF) 상태에서 상기 링크레버(26)를 수평 방향으로 젖힘에 따라, 링크레버(26)의 작동캠부(26a)에 의하여 밸브로드(12)가 밸브바디(11)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하면, 도 10에서와 같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개방(ON)되는 것이고, 상기 안전고리(20)에 의하여 링크레버(26)가 당겨져 수직 방향으로 다시 세워짐에 따라 밸브로드(12)가 돌출되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폐쇄되는 것이며, 도 10에 도시된 개방상태는 코일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링크레버(26)가 도 8의 수직 상태를 넘어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더 각운동하더라도 안전밸브(10)의 폐쇄상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은 안전밸브(10)의 개방 및 폐쇄작동이 보다 더 원활하고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캠부(26a)는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버브라켓(25)은 소정의 깊이만큼 밸브바디(11)의 몸통 내측으로 삽입시켜 밸브바디(11)와 일체로 조립 설치하는 한편, 링크축(25a)을 기준으로 하는 링크레버(26)의 힌지식 각운동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링크레버(26)의 하측부가 삽입되는 "∪"자형 단면의 브라켓(도 9참조)이 적용되었으나, 링크레버(26)의 힌지식 각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레버브라켓(25) 자체의 형태나 설치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안전고리(20) 역시 링크레버(26)의 연결구멍(26b)에 직접 걸어둘 수도 있고, 앞서 설명되어진 가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링크레버(26)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10)는 도 11 내지 도 13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로드(12)의 상단측 부분이 밸브홀(17)을 커버하는 마개 형상의 커버캡(1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링크레버(26)는 밸브로드(12)의 상단부측과 링크축(25a)을 개재시킨 상태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됨으로서, 해당 링크레버(26)를 수평 방향으로 젖힘에 따라 링크축(25a)에 의하여 밸브로드(12)가 외부로 당겨지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개방(ON)되고, 상기 안전고리(20)에 의하여 해당 링크레버(26)가 당겨져 수직 방향으로 다시 세워짐에 따라 링크축(25a)에 의하여 밸브로드(12)가 밸브바디(11)의 내부로 다시 밀려 들어가게 되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폐쇄(OFF)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는 달리 밸브로드(12)가 외부로 당겨질 경우 개방되고, 밸브로드(12)가 내부로 밀려 들어갈 경우 폐쇄되므로, 밸브바디(11) 내부의 공압통로 개폐구조 또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다소의 차이를 가지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적용되는 공압통로의 개폐구조는 밸브홀(17)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는 입구통로(19b)와, 상기 밸브홀(17)로부터 입구통로(19b)가 단턱지는 부위에 제공되는 밸브시트(17a)가 되고, 상기 코일스프링(16)은 밸브헤드(12a)와 커버캡(15)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며, 상기 유입통로(19)는 밸브홀(17)과 연통되고, 상기 배출통로(19a)는 입구통로(19b)와 연통되는 구조가 된다.
도 12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사용되는 링크레버(26)는 링크축(25a)을 중심으로 하는 밸브로드(12)의 당김작동(코일스프링 압축)을 보다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밸브로드(12)의 상단측이 삽입되는 "∩"자형 로드수납부(28)를 하부측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버캡(15)의 상단면 양측에는 링크레버(26)의 각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돌출턱(27)을 평행하게 돌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되어진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앞서 설명되어진 제 1실시예의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밸브로드(12)가 밸브바디(11)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제 2 및 제 3실시예의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밸브로드(12)가 밸브바디(11)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링크레버(26) 역시 레버브라켓(25)이나 커버캡(15)과 함께 밸브바디(11)의 하부측에 배치될 것이며, 상기 유입통로(19)가 로드홀(18)이나 입구통로(19b)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통로(19a)가 밸브홀(17)과 연통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10)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 2실시예 또는 제 3실시예에서 적용된 레버브라켓(25)과 링크레버(26)를 밸브바디(11)의 외주면이 아닌 후방면(도면상 우측면)에 배치시킴에 따라, 에어그라인더(1)의 조정노브(7)와 함께 에어그라인더(1)의 파지용 손잡이 기능을 병행하는 안전밸브(10)의 외주면상으로 레버브라켓(25)과 링크레버(26)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에어그라인더(1)의 파지작업이 안전밸브(10)에 의하여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16의 (가) 및 (나)에서와 같이 상기 밸브홀(17)은 밸브바디(11)의 내측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밸브바디(11)의 후단측으로부터 밸브바디(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만큼 형성되어 있으며, 공압통로를 제공하는 상기 유입통로(19)는 공압호스(8)용 호스커넥터(9)가 연결되는 밸브바디(11)의 후단측으로부터 밸브홀(17)의 하부에서 밸브홀(17)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고, 공압통로를 제공하는 상기 배출통로(19a)는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가 연결되는 밸브바디(11)의 선단측으로부터 밸브홀(17)의 후방 내측면에 이르는 위치까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홀(17)과 유입통로(19)의 선단 내측면이 수직 방향의 입구통로(19b)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공압호스(8)를 통하여 밸브바디(11)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유입통로(19)와 입구통로(19b)를 거쳐 밸브홀(17)의 내부로 일차 유입된 다음, 밸브홀(17)의 후방측과 연통된 배출통로(19a)를 따라 밸브바디(11)의 선단측을 거쳐 에어그라인더(1)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러한 압축공기의 유동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홀(17)의 내부에 밸브기구가 설치되는 것이고, 입구통로(19b)와 배출통로(19a)를 유입통로(19)와 밸브홀(17)상에 각각 형성시키기 위하여 밸브바디(11)를 관통시킨 구멍에는 압축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볼트식 밀폐구(30)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홀(17)을 밸브바디(11)의 내측 하부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시키고, 상기 입구통로(19)를 밸브바디(11)의 내측 상부나 우측 또는 좌측에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적용되는 밸브기구(공압통로 개폐기구)는 밸브바디(11)의 후단부측으로부터 밸브홀(17)을 따라 삽입 설치되는 밸브로드(12)와, 상기 밸브로드(12)의 선단측(도면상 좌측단)에 돌출 형성되는 밸브헤드(12a)와, 상기 밸브헤드(12a)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밀폐링(14)과, 상기 밀폐링(14)이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밸브헤드(12a)의 후방측에서 밸브홀(17)의 내주면을 따라 제공되는 밸브시트(17a)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링(14)이 포함된 밸브헤드(12a)의 외측면과 밸브로드(12)의 외측면은 배출통로(19a)의 입구에 해당하는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범위에 걸쳐 밸브홀(17)의 내주면과 소정의 여유간격(통로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6)은 밸브홀(17)의 선단 내측면과 밸브헤드(12a)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고, 상기 밸브헤드(12a)의 선단면에도 코일스프링(16)의 안정적인 장착을 위한 스프링지지부(16a)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홀(17)의 후단부에는 밸브홀(17)을 커버하는 커버캡(15)이 체결부(15b)에 의하여 나사체결식으로 조립 설치되고, 상기 밸브로드(12)의 후단부는 커버캡(15)을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밸브바디(11)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코일스프링(16)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공압통로의 개폐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링크레버(26)는 커버캡(15)의 후방면에서 커버캡(15)과 일체로 연결 설치된 레버브라켓(25)상에 링크축(25a)을 개재시킨 상태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적용되는 밸브기구는 앞서 설명되어진 제 2실시예의 밸브기구를 수평 방향으로 눕혀서 설치한 것으로 해석하면 무방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앞서 설명되어진 제 3실시예의 밸브기구를 제 4실시예에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이 경우 상기 링크레버(26)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캡(15)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밸브로드(12)의 후단부와 함께 링크축(25a)에 의하여 레버브라켓(25)과 연결 설치될 것이고, 상기 코일스프링(16) 또한 밸브헤드(12a)와 밸브시트(17a)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될 것이며, 상기 커버캡(15)을 관통하는 밸브로드(12)의 후방측 외주연부에는 압축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링(14)을 설치하거나, 제 1 및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은 테이퍼홀(18a)과 셔터로드(12c)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시트(17a)를 커버캡(15)의 선단측(도면상 좌측단)에 형성시킴으로서 밸브홀(17)의 가공시 밸브시트(17a)를 밸브홀(17)의 내주면에 형성시키기 위한 까다로운 작업을 배제시키는 것인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캡(15)은 밸브홀(17)을 통하여 소정의 깊이만큼 파이프 형태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밸브시트(17a)의 후방측에 해당하는 커버캡(15)의 몸통 부분에는 유입통로(19)의 선단측 입구통로(19b)를 밸브홀(17)의 후방측 배출통로(19a)와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구멍(29)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멍(29)이 제공된 커버캡(15)의 내주면과 밸브로드(12)의 외측면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편, 상기 연통구멍(29)이 제공된 커버캡(15)의 외주면과 밸브홀(17)의 내주면 사이에도 배출통로(19a)의 입구에 이르는 위치까지는 소정의 여유간격이 제공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10)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도 17의 (가)에서와 같이 링크레버(26)를 전방측(도면상 좌측)으로 각운동시켜 링크레버(26)를 젖힘에 따라, 링크레버(26)의 작동캠부(26a)에 의하여 밸브로드(12)가 밸브바디(11)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하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개방(ON)되고, 도 17의 (나)에서와 같이 안전고리(20)에 의하여 링크레버(26)가 후방측(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져 다시 세워짐에 따라 밸브로드(12)가 돌출되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폐쇄(OFF)되는 것이며, 도 17의 (가)에 도시된 개방상태는 링크레버(26)에 제공된 걸림턱(26c)과 코일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되어진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서 링크레버(26)의 작동캠부(26a)는 일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4실시예에 따른 링크레버(26)의 작동캠부(26a)는 모서리 부분만이 모따기식으로 라운드지는 사각판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링크레버(26)의 편심된 위치에 링크축(25a)을 관통시켜 밸브로드(12)의 출몰작동을 캠구동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작동캠부(26a)의 형태 자체는 크게 제한을 두지 않더라도 무방하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작동캠부(26a)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소켓(13)을 전방측으로 밀어내거나 링크레버(26)를 수평 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개방(ON)됨에 따라 에어그라인더(1)에 의한 그라인딩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하여 에어그라인더(1)를 떨어뜨릴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놓은 안전고리(20)상에 에어그라인더(1)가 매달리는 상황이 되는 즉시, 밸브소켓(13)이 밸브바디(11)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딩(에어그라인더의 하중에 의하여 밸브바디의 전방몸통이 밸브소켓으로부터 빠져 나옴) 되거나 링크레버(26)가 수직 방향으로 다시 젖혀짐에 따라 공압통로가 폐쇄(OFF) 상태로 자동 세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에어그라인더(1)의 사용시 발생하는 절창이나 절단사고와 같은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밸브로드(12) 단부측의 출몰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밸브로드(12)의 단부측이 밸브바디(11)의 몸통을 관통하는 부위로 압축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기밀수단을 제공함으로서, 공압호스(8)로부터 밸브바디(11)를 거쳐 에어그라인더(1)로 유입되는 공압의 손실을 제로화시켜 에어그라인더(1)의 정상적인 가동을 보장할 수 있으며, 특히 사다리꼴 단면의 셔터로드(12c)와 테이퍼홀(18a)을 기밀수단으로 적용시킨 경우에는 밀폐링과 같이 잦은 교체가 요구되는 소모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압축공기의 누설을 차단시킬 수 있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소켓(13)의 선단 내주면을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부(13a)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밸브로드(12)의 단부측, 다시 말해서 셔터로드(12c)와 셔터캡(12d)의 끝단면을 구면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시킴에 따라, 밸브바디(11)로부터 돌출된 밸브로드(12)의 단부측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상기 밸브바디(11)의 몸통 부분에 밸브홀(17)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커버캡(15)을 설치함으로서, 밀폐링(14)이 포함된 밸브로드(12)와 코일스프링(16)의 수리나 교체작업 및 밸브홀(17)의 내부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에어그라인더(1)가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린 안전고리(20)에 매달림에 따라 공압통로가 완전히 폐쇄된 직후, 에어그라인더(1)의 전체 하중이 안전고리(20)에 모두 집중되는 시점에 안전고리(20)가 밸브소켓(13) 또는 링크레버(26)와 자동 분리되도록 하는 가고정수단을 적용시킴으로서, 밸브로드(12)에 의하여 공압통로가 폐쇄된 이후에도 잔여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그라인더휠(4)이 작업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에어그라인더(1)의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 4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안전밸브(10)를 이루는 레버브라켓(25)과 링크레버(26)가 밸브바디(11)의 외주면이 아닌 후방면에 배치되도록 한 경우에는, 에어그라인더(1)의 조정노브(7)와 함께 에어그라인더(1)의 파지용(把持用) 손잡이 기능을 병행하는 안전밸브(10)의 외주면상으로 레버브라켓(25)과 링크레버(26)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에어그라인더(1)의 파지작업이 안전밸브(10)에 의하여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에어그라인더(1)의 안전성과 작업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1 : 에어그라인더 2 : 메인바디 3 : 기어박스
4 : 그라인더휠 5 : 안전커버 6 : 손잡이
7 : 조정노브 8 : 공압호스 9 : 호스커넥터
10 : 안전밸브 11 : 밸브바디 11a : 전방몸통
11b : 후방몸통 11c,15b : 체결부 11d : 셔터수납홈
12 : 밸브로드 12a : 밸브헤드 12b : 연결로드
12c : 셔터로드 12d : 셔터캡 13 : 밸브소켓
13a : 테이퍼부 13b : 돌출턱 13c,18b : 관통구멍
14 : 밀폐링 15 : 커버캡 15a : 공구홈
15c : 캡홀 16 : 코일스프링 16a : 스프링지지부
17 : 밸브홀 17a : 밸브시트 18 : 로드홀
18a : 테이퍼홀 19 : 유입통로 19a : 배출통로
19b : 입구통로 20 : 안전고리 20a : 핏팅볼트
20b : 체결공 21 : 스토퍼 21a : 장착홈
22 : C링 22a : 걸고리부 23 : 끼움핀
23a : 결속링 23b,24b : 끼움구멍 24 : 판스프링
24a : 결속헤드 25 : 레버브라켓 25a : 링크축
26 : 링크레버 26a : 작동캠부 26b : 연결구멍
26c : 걸림턱 27 : 돌출턱 28 : 로드수납부
29 : 연통구멍 30 : 밀폐구

Claims (12)

  1.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가 선단측에 연결되고 공압호스(8)가 후단측에 연결되어 공압호스(8)로부터 에어그라인더(1)측으로의 공압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형 밸브바디(11)와, 상기 밸브바디(11)의 내부에서 공압통로와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밸브홀(17)과, 상기 밸브홀(17)의 내부로 삽입되는 한편 밸브바디(11)의 몸통 외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밸브로드(12)와, 상기 밸브바디(11)의 외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밸브바디(11)로부터 돌출된 밸브로드(12) 부분을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원통형 밸브소켓(13)과, 상기 밸브홀(17)의 내부에 설치되어 밸브로드(12)의 출몰작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소켓(13)의 선단 내측면에는 밸브바디(11)의 외부로 돌출된 밸브로드(12) 부분을 밸브바디(11)의 내부로 밀어넣기 위한 테이퍼부(13a)가 제공되고, 상기 밸브소켓(13)의 외측면에는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두기 위한 안전고리(2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밸브바디(11)의 내부에는 밸브소켓(13)을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밸브로드(12)를 밀어 넣으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안전고리(20)에 의하여 밸브소켓(13)이 후방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밸브로드(12)가 돌출되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폐쇄되는 개폐구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2.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가 선단측에 연결되고 공압호스(8)가 후단측에 연결되어 공압호스(8)로부터 에어그라인더(1)측으로의 공압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형 밸브바디(11)와, 상기 밸브바디(11)의 내부에서 공압통로와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밸브홀(17)과, 상기 밸브홀(17)의 내부로 삽입되는 한편 밸브바디(11)의 몸통 외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밸브로드(12)와, 상기 밸브바디(11)의 외측면에 조립 설치되는 레버브라켓(25)과, 상기 레버브라켓(25)상에 링크축(25a)을 개재시킨 상태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밸브바디(11)로부터 돌출된 밸브로드(12) 부분을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링크레버(26)와, 상기 밸브홀(17)의 내부에 설치되어 밸브로드(12)의 출몰작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축(25a)은 일측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링크레버(26)의 단부측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링크축(25a)이 관통되는 링크레버(26)의 단부면은 밸브로드(12)의 출몰작동을 위한 작동캠부(26a)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레버(26)의 타단부에는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두기 위한 안전고리(2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밸브바디(11)의 내부에는 링크레버(26)를 수평 방향으로 젖힘에 따라 작동캠부(26a)에 의하여 밸브로드(12)가 밸브바디(11)로 밀려 들어가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안전고리(20)에 의하여 링크레버(26)가 당겨져 수직 방향으로 다시 세워짐에 따라 밸브로드(12)가 돌출되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폐쇄되는 개폐구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3.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가 선단측에 연결되고 공압호스(8)가 후단측에 연결되어 공압호스(8)로부터 에어그라인더(1)측으로의 공압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형 밸브바디(11)와, 상기 밸브바디(11)의 내부에서 공압통로와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밸브홀(17)과, 상기 밸브바디(11)의 몸통측에 조립 설치되어 밸브홀(17)을 커버하는 마개 형상의 커버캡(15)과, 상기 커버캡(15)을 관통하여 밸브홀(17)의 내부로 삽입되는 한편, 소정의 길이만큼 커버캡(15)의 외부로 돌출되는 밸브로드(12)와, 상기 커버캡(15)의 외부로 돌출된 밸브로드(12)의 단부측과 링크축(25a)을 개재시킨 상태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밸브로드(12)의 출몰작동을 수행하는 링크레버(26)와, 상기 밸브홀(17)의 내부에 설치되어 밸브로드(12)의 출몰작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축(25a)은 일측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링크레버(26)의 단부측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링크축(25a)이 관통되는 링크레버(26)의 단부면은 밸브로드(12)의 출몰작동을 위한 작동캠부(26a)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레버(26)의 타단부에는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걸어 두기 위한 안전고리(2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밸브바디(11)의 내부에는 링크레버(26)를 수평 방향으로 젖힘에 따라 링크축(25a)에 의하여 밸브로드(12)가 외부로 당겨지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안전고리(20)에 의하여 링크레버(26)가 당겨져 수직 방향으로 다시 세워짐에 따라 링크축(25a)에 의하여 밸브로드(12)가 밸브바디(11)의 내부로 다시 밀려 들어가게 되면 밸브바디(11)의 공압통로가 폐쇄되는 개폐구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통로의 개폐구조는 밸브홀(17)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는 한편, 밸브로드(12)의 외측면과 소정의 여유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로드홀(18)과, 상기 로드홀(18)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어 밸브로드(12)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관통구멍(18b)을 베이스로 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공압통로는 공압호스(8)가 연결되는 밸브바디(11)의 후단측으로부터 유입통로(19)가 연장되어 해당 유입통로(19)의 출구가 밸브홀(17)과 연통되고, 상기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가 연결되는 밸브바디(11)의 선단측으로부터 배출통로(19a)가 연장되어 해당 배출통로(19a)의 입구가 로드홀(18)과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압통로의 개폐수단으로서 밸브로드(12)의 일측단에는 코일스프링(16)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밸브헤드(12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밸브헤드(12a)의 외주면과 밸브홀(17)의 내주면 사이에도 소정의 여유간격이 제공되며, 상기 밸브홀(17)과 로드홀(18)간의 단턱진 부위가 밸브헤드(12a)의 안착을 위한 밸브시트(17a)를 제공하고, 상기 밸브헤드(12a)의 외주면에는 밸브시트(17a)와 밀착되는 밀폐링(1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홀(17)은 밸브바디(11)의 내측 상부 또는 내측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밸브바디(11)의 후단측으로부터 밸브바디(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공압통로는 공압호스(8)가 연결되는 밸브바디(11)의 후단측으로부터 밸브홀(17)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밸브홀(17)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유입통로(19)와, 상기 유입통로(19)의 선단 내측면을 밸브홀(17)의 선단 내측면과 연통시키는 입구통로(19b)와,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가 연결되는 밸브바디(11)의 선단측으로부터 밸브홀(17)의 후방 내측면에 이르는 위치까지 관통 형성되는 배출통로(19a)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공압통로의 개폐구조는 밸브바디(11)의 후단부측으로부터 밸브홀(17)을 따라 삽입 설치되는 밸브로드(12)와, 상기 밸브로드(12)의 선단측에 돌출 형성되는 밸브헤드(12a)와, 상기 밸브헤드(12a)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밀폐링(14)과, 상기 밀폐링(14)이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밸브헤드(12a)의 후방측에서 밸브홀(17)의 내주면을 따라 제공되는 밸브시트(17a)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링(14)이 포함된 밸브헤드(12a)의 외측면과 밸브로드(12)의 외측면은 밸브홀(17)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스프링(16)은 밸브홀(17)의 선단 내측면과 밸브헤드(12a)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고, 상기 밸브홀(17)의 후단부에는 밸브홀(17)을 커버하는 커버캡(15)이 조립 설치되며, 상기 밸브로드(12)의 후단부는 커버캡(15)을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밸브바디(11)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레버브라켓(25)은 링크레버(26)를 개재시킨 상태로 커버캡(15)의 후단면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캡(15)은 밸브홀(17)을 통하여 소정의 깊이만큼 파이프 형태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밸브시트(17a)는 커버캡(15)의 선단측에 제공되며, 상기 밸브시트(17a)의 후방측에 해당하는 커버캡(15)의 몸통 부분에는 유입통로(19)의 선단측 입구통로(19b)를 밸브홀(17)의 후방측 배출통로(19a)와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구멍(29)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멍(29)이 제공된 커버캡(15)의 내측면 부분과 밸브로드(12)의 외측면 부분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편, 상기 커버캡(15)을 관통하는 밸브로드(12)의 후방측 외주연부에는 밀폐링(1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통로의 개폐구조는 밸브홀(17)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는 입구통로(19b)와, 상기 밸브홀(17)로부터 입구통로(19b)가 단턱지는 부위에 제공되는 밸브시트(17a)와, 상기 밸브로드(12)의 일측단에 돌출 형성되는 밸브헤드(12a)와, 상기 밸브헤드(12a)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밸브시트(17a)와 밀착되는 밀폐링(14)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16)은 밸브헤드(12a)와 커버캡(15)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며,
    상기 공압통로는 공압호스(8)가 연결되는 밸브바디(11)의 후단측으로부터 유입통로(19)가 연장되어 해당 유입통로(19)의 출구가 밸브홀(17)과 연통되고, 상기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가 연결되는 밸브바디(11)의 선단측으로부터 배출통로(19a)가 연장되어 해당 배출통로(19a)의 입구가 입구통로(19b)와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1)의 관통구멍(18b)과 밸브로드(12)의 사이에는 공압의 누설을 차단하는 기밀구조가 추가로 제공되고, 상기 기밀구조는 밸브로드(12)의 단부측을 사다리꼴 단면의 셔터로드(12c)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관통구멍(18b)은 셔터로드(12c)의 외측면과 쐐기식으로 밀착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테이퍼홀(18a)로 형성시킨 구조가 되거나, 상기 밸브로드(12)의 끝단부에 셔터캡(12d)을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셔터캡(12d)의 상측면에는 관통구멍(18b)의 하단 주연부를 커버하는 밀폐링(14)을 장착시킨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로드(12c)와 셔터캡(12d)은 밸브로드(12)와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밸브바디(11)에는 밸브홀(17)의 덮개 기능을 수행하는 커버캡(15)이 조립 설치되며,
    상기 셔터로드(12c)와 셔터캡(12d)의 끝단부는 구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셔터캡(12d)과 밀착되는 밸브바디(11)의 외측면에는 셔터캡(12d)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셔터수납홈(11d)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밸브바디(11)에는 밸브홀(17)의 마개 기능을 수행하는 마개 형상의 커버캡(15)이 조립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16)은 밸브헤드(12a)와 커버캡(15)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며,
    상기 커버캡(15)은 밸브홀(17)의 직상부 또는 직하부에서 밸브바디(11)의 몸통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캡홀(15c)을 따라 밀폐링(14)을 개재시킨 상태로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1)는 에어그라인더(1)의 메인바디(2)와 연결되는 전방몸통(11a) 부분으로부터 공압호스(8)가 연결되는 후방몸통(11b) 부분이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상기 밸브로드(12)는 밸브홀(17)과 함께 밸브바디(11)의 전방몸통(11a)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소켓(13)의 후단부 내측에는 전방몸통(11a)과 후방몸통(11b)간의 단턱부에 걸리는 돌출턱(13b)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테이퍼부(13a)는 밸브소켓(13)의 선단측 내주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후방몸통(11b)의 후단부측에는 밸브소켓(13)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1)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20)가 밸브소켓(13) 또는 링크레버(26)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에어그라인더(1)가 안전고리(20)에 매달림에 따라 에어그라인더(1)의 전체 하중이 안전고리(20)에 작용할 시, 안전고리(20)를 밸브소켓(13) 또는 링크레버(26)와 자동 분리시키는 가고정수단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수단은 밸브소켓(13)이나 링크레버(26)의 외측면상에 연결되는 가는 철사 재질의 C링(22) 또는 밸브소켓(13)이나 링크레버(26)의 외측면을 통하여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끼움핀(23) 또는 "⊃"자형 판스프링(24) 중에서 택일한 것이 되고, 상기 안전고리(20)는 가고정수단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KR1020190100601A 2019-02-21 2019-08-16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KR102231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0407 2019-02-21
KR1020190020407 2019-02-21
KR1020190065342 2019-06-03
KR1020190065342A KR20200102320A (ko) 2019-02-21 2019-06-03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326A true KR20200102326A (ko) 2020-08-31
KR102231953B1 KR102231953B1 (ko) 2021-03-25

Family

ID=7223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601A KR102231953B1 (ko) 2019-02-21 2019-08-16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95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135U (ko) * 1989-08-28 1991-04-16
JP3039135U (ja) * 1996-12-28 1997-07-11 株式会社空研 動力工具の操作レバーの安全装置
KR200265040Y1 (ko) * 2001-11-27 2002-02-21 김승범 에어건
US20070141967A1 (en) * 2005-10-14 2007-06-21 Sp Air Kabushiki Kaisha Die Grinder with Rotatable Head
KR20080083205A (ko) * 2006-02-06 2008-09-16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압식 왕복동 공구
KR100985466B1 (ko) * 2010-01-11 2010-10-05 (주)삼화기업 핸드 그라인더
KR20110118204A (ko) * 2010-04-23 2011-10-3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초기작동 안전성 향상을 위한 시동장치가 구비된 에어공구 회전장치
KR20160040008A (ko) * 2014-10-02 2016-04-12 임두승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135B2 (ja) * 1992-04-20 2000-05-08 ヤマハ株式会社 データ中継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135U (ko) * 1989-08-28 1991-04-16
JP3039135U (ja) * 1996-12-28 1997-07-11 株式会社空研 動力工具の操作レバーの安全装置
KR200265040Y1 (ko) * 2001-11-27 2002-02-21 김승범 에어건
US20070141967A1 (en) * 2005-10-14 2007-06-21 Sp Air Kabushiki Kaisha Die Grinder with Rotatable Head
KR20080083205A (ko) * 2006-02-06 2008-09-16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압식 왕복동 공구
KR100985466B1 (ko) * 2010-01-11 2010-10-05 (주)삼화기업 핸드 그라인더
KR20110118204A (ko) * 2010-04-23 2011-10-3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초기작동 안전성 향상을 위한 시동장치가 구비된 에어공구 회전장치
KR20160040008A (ko) * 2014-10-02 2016-04-12 임두승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953B1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1588C (en) Closure for an equipment sub
IL242578A (en) Oil filter assembly with rotary drain hinge
KR20140106518A (ko) 붐 스윙형 굴삭기의 유압 배관 고정장치
KR102030160B1 (ko) 밸브시트 연마장치
US5698129A (en) Sliding gate valve for a metallurgical vessel
MX2012014518A (es) Canal de llenado, su uso y metodo de llenado.
RU25111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мещения кожуха для разливк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и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ятора потока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KR102231953B1 (ko)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KR20200102320A (ko)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EP2675593B1 (en) Apparatus for tightening threaded fasteners
GB2108555A (en) Well slip unit
KR102014654B1 (ko) 밸브 셔터
KR20200043866A (ko)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032397B (zh) 高温自动解锁式紧急切断阀
KR102223833B1 (ko) 공압 지연 차단 방식 밸브 셔터
CN209868131U (zh) 一种磨齿机的锯片调节机构
KR101873829B1 (ko) 절단기
JP2524270B2 (ja) 仕切弁
JP2020518479A (ja) モジュール式治工具用迅速交換装置
EP3738715B1 (en) Device for supporting spring-damper assemblies for machines for assembling/disassembling vehicle suspensions
KR101664585B1 (ko) 차량용 서랍식 에어클리너
CN219827794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衬氟球阀
CN220745134U (zh) 一种基于远程控制系统的抓钢机
CN217838091U (zh) 一种吊钩的防脱落机构
US20070228674A1 (en) Chuc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