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008A -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 Google Patents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008A
KR20160040008A KR1020140133440A KR20140133440A KR20160040008A KR 20160040008 A KR20160040008 A KR 20160040008A KR 1020140133440 A KR1020140133440 A KR 1020140133440A KR 20140133440 A KR20140133440 A KR 20140133440A KR 20160040008 A KR20160040008 A KR 20160040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air
shaft
valve
in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254B1 (ko
Inventor
임두승
임민규
Original Assignee
임두승
임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두승, 임민규 filed Critical 임두승
Priority to KR102014013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2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100)은,
에어가 주입되어 분사되는 바디(103)와, 상기 바디(103)의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피스톤(140)과, 상기 피스톤(140)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바디(103)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레버(150)를 포함하는 에어건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40)은 상기 레버(150)에 의해서 가압 및 가압해제되는 샤프트(141)와, 상기 샤프트(141)와 분리된 상태에서 연접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밸브(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스톤(140)이 샤프트(141)와 밸브(144)로 분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오링(O)이 마모되거나 밸브(144)가 손상되는 경우, 캡(160)을 개방하여 밸브(144)를 상방으로 인출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밸브(144)가 샤프트(141)와 분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둘 중에 어느 하나가 손상되면 해당되는 것만 교체하면 되므로, 밸브(144)와 샤프트(141)를 모두 갈아야 하는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보다 저비용으로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Air gun that has a piston of split type}
본 발명은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개폐 기능을 하는 피스톤이 분할되어 구성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상부와 하부 중 선택해서 공기의 주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에어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에어 컴프레서에 에어호스(H)를 연결하고, 상기 에어호스(H)에 에어건(1)을 연결하므로 에어를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건(1)은 에어가 주입되어 분사되는 바디(5)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5)의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개폐부(40)가 구성되며, 상기 바디(5)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개폐부(40)를 작동시키는 레버(50)가 구성된다.
상기 바디(5)는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에어가 주입되는 손잡이부(10)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1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에어가 분사하도록 형성된 분사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0)와 분사부(20) 사이의 상단(7)에서 손잡이부(10)와 분사부(20) 사이의 하단(9)으로 관통되어 상기 개폐부(40)가 장착되는 안내홀(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0)의 종단을 관통하여 상기 안내홀(30)까지 관통된 제1통로(13)가 구성되고, 상기 안내홀(30)에서 분사부(20)의 종단으로 관통된 제2통로(23)가 구성된다.
상기 안내홀(30)은 내측면에 링 형상의 내측 플랜지(33)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플랜지(33)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는 피스톤(4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41)이 돌출되는 쪽의 반대쪽인 상방을 마감하는 캡(47)이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41)은 상부에 내측 플랜지(33)의 상면에 걸리는 판상의 밸브(43)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43)와 캡(47) 사이에 개재되어 피스톤(41)을 밀어내는 압축스프링(45)이 구성된다.
상기 제1통로(13)는 내측 플랜지(33)의 상방으로 연결되고, 제2통로(23)는 내측 플랜지(33)의 하방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20)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피스톤(41)의 하방을 눌러주는 레버(50)가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배경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손잡이부(10)의 종단에는 에어호스(H)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10)를 잡고 레버(50)를 당기지 않게 되면, 도 2의 (a)에서처럼 압축 스프링(45)의 팽창력에 의해서 밸브(43)를 밀어내므로 내측 플랜지(33)의 홀(35)을 폐색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는 제2통로(23)로 공급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50)를 당기게 되면 도 2의 (b)에서처럼 피스톤(41)이 상승하면서 압축 스프링(45)이 압축되어 밸브(43)가 상승하게 되어 상기 홀(35)이 개방된다. 따라서, 제1통로(13)로 유입된 에어가 안내홀(30)을 통해서 제1통로(13)로 공급되어 분사부(20)의 종단으로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50)를 놓게 되면 압축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서 피스톤(41)을 밀어내게 되므로 에어의 분사를 중단할 수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밸브(43)는 내측 플랜지(33)의 상면에 잦은 탈착을 반복하므로 쉽게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교체가 가능하도록 캡(47)이 구성되어 있지만, 압축 스프링(45)만을 교체할 수 있을 뿐 상기 피스톤(41)을 상방으로 인출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상기 피스톤(41)의 하부가 상기 안내홀(3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확장되어 에어의 누기가 방지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내측 플랜지(33)의 홀(35)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상기 캡(47)은 안내홀(30)에 단순히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니플(N)에 연결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에어호스(H)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경우, 안내홀(30)에 연결하면 분사부(20)가 수평이 되어 손잡이부(10)를 잡고 작업하기 편리하지만, 손잡이부(10)의 종단에 에어호스(H)를 연결하게 되면 손잡이부(10)가 상방을 향하게 되고 분사부(20)가 하방을 향하게 되어 작업 시, 에어건(1)을 회동시켜야 하고 에어호스(H)도 휘어지게 되어, 에어호스(H)의 복원력에 의해서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65040호 (2002년 02월 05일)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피스톤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둘째, 상기 안내홀에도 니플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은,
에어가 주입되어 분사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바디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레버를 포함하는 에어건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레버에 의해서 가압 및 가압해제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분리된 상태에서 연접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에어가 주입되어 분사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바디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에어가 주입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에어가 분사되도록 형성된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와 분사부 사이의 상단에서 손잡이부(110)와 분사부 사이의 하단으로 관통되어 상기 피스톤이 장착되고 에어가 통과하는 안내홀과, 상기 안내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링 형상의 내측 플랜지와, 상기 손잡이부의 종단에서 내측 플랜지 상부의 안내홀에 연결되는 제1통로와, 상기 내측 플랜지 하부의 안내홀에서 상기 분사부의 종단으로 관통되는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안내홀에 수용되어 상기 내측 플랜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에어건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 및 상기 안내홀 중 어느 하나를 마감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레버에 의해서 가압 및 가압해제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플랜지의 하부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분리된 상태에서 연접되어 상기 내측 플랜지를 개폐시키는 밸브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내측 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과, 상기 밸브의 상부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레버에 의해서 가압 및 가압해제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플랜지의 하부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분리된 상태에서 연접되어 상기 내측 플랜지를 개폐시키는 밸브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내측 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과, 상기 밸브와 상기 캡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종단에서 내측 플랜지 상부의 안내홀에 연결되는 제1통로와, 상기 내측 플랜지 하부의 안내홀에서 상기 분사부의 종단으로 관통되는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통로를 상기 캡이 마감하고 상기 안내홀은 니플이 연결되도록 개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는 축 형상으로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오링홈과, 상기 오링홈에 장착되어 상기 내측 플랜지를 개폐시키는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의 행정을 조정하여 에어의 분사량을 제한하는 개폐량 조정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량 조정부는, 상기 캡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하는 탭홀과, 상기 탭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피스톤이 샤프트와 밸브로 분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오링이 마모되거나 밸브가 손상되는 경우, 캡을 개방하여 밸브를 상방으로 인출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밸브가 샤프트와 분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둘 중에 어느 하나가 손상되면 해당되는 것만 교체하면 되므로, 밸브와 샤프트를 모두 갈아야 하는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보다 저비용으로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안내홀에 니플을 연결하고 제1통로를 캡으로 마감하는 구성이 가능하므로, 도 6에서처럼, 손잡이부는 하방을 향하게 되고 분사부는 전방을 향하게 되어 사용하기 편한 상태로 에어호스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만약 도 3처럼 니플이 손잡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손잡이부가 상방을 향하기 때문에 작업할 때 방향을 바로 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때 에어호스가 휘어지기 때문에 에어호스의 복원력이 작업에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개폐량 조정부에 구성된 볼트의 정역 회전에 따라 피스톤의 상승량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미세한 양으로 에어를 분사할 경우에는 볼트의 하강 정도를 조정하여 피스톤의 상승량을 줄이도록 한다. 이렇게 하므로 레버를 힘껏 당겨도 설정된 양만큼만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에어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F부를 발췌한 것으로서 (a)는 피스톤이 하강하여 제1통로가 폐색된 상태이고, (b)는 피스톤이 상승하여 제1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서 제1통로에 니플이 연결된 것으로서 피스톤이 하강하여 제1통로가 폐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 구성되는 피스톤과 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서 제1통로에 니플이 연결된 것으로서 피스톤이 상승하여 제1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서 안내홀에 니플이 연결된 상태로서 피스톤이 하강하여 제1통로가 폐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서 안내홀에 니플이 연결된 상태로서 피스톤이 상승하여 제1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서 안내홀에 개폐 조정부가 장착된 것으로서 피스톤이 하강하여 제1통로가 폐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서 제1통로에 니플이 연결된 것으로서 피스톤이 하강하여 제1통로가 폐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 구성되는 피스톤과 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서 제1통로에 니플이 연결된 것으로서 피스톤이 상승하여 제1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서 안내홀에 니플이 연결된 상태로서 피스톤이 하강하여 제1통로가 폐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서 안내홀에 니플이 연결된 상태로서 피스톤이 상승하여 제1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에서 안내홀에 개폐 조정부가 장착된 것으로서 피스톤이 하강하여 제1통로가 폐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에어호스에 연결되어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건은, 도 3에서처럼, 에어가 주입되어 분사되는 바디(103)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03)의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피스톤(140)이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140)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바디(103)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레버(15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03)는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에어가 주입되는 손잡이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1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에어가 분사되도록 형성된 분사부(120)가 구성된다. 따라서, 손잡이부(110)와 분사부(120)는 ㄱ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10)와 분사부(120) 사이의 상단(105)에서 손잡이부(110)와 분사부(120) 사이의 하단(107)으로 관통되어 상기 피스톤(140)이 장착되는 안내홀(130)이 구성된다. 상기 상단(105)은 손잡이부(110)와 분사부(120)가 ㄱ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외측방으로 돌출되어 꺾어지는 부분을 가리키고, 상기 하단(107)은 손잡이부(110)와 분사부(120)가 ㄱ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내측방으로 오목하게 꺾어지는 부분을 가리킨다. 또한, 상기 안내홀(130)의 내측면에는 개폐 기능을 하도록 내측 플랜지(13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10)의 종단(115)에서 내측 플랜지(135) 상부의 안내홀(130)에 연결되는 제1통로(111)가 구성되고, 상기 내측 플랜지(135) 하부의 안내홀(130)에서 상기 분사부(120)의 종단(123)으로 관통되는 제2통로(121)가 구성된다. 상기 제1통로(111)에서 종단(115) 쪽으로는 암나사부(113)가 구성되고, 상기 암나사부(113)에 체결되는 수나사부(173)가 형성된 니플(170)이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통로(121)의 종단(123) 쪽으로도 암나사부가 구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노즐(127)이 구성된다.
상기 안내홀(130)에는 캡(160)이 마감되어 구성되는데 안내홀(130)의 상단(105) 쪽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캡(160)의 외측면에는 상기 암나사부(133)에 체결되는 수나사부(163)가 형성된다. 따라서 캡(160)의 착탈이 가능하고, 캡(160)은 오링(167)에 끼워지므로 캡(160)과 안내홀(130) 사이에 기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상기 제1통로(111)를 캡(160)으로 마감하고, 안내홀(130)은 상기 니플(170)이 연결하도록 바꾸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니플(170)의 수나사부(173)는 안내홀(130)의 암나사부(133)에 체결되고, 상기 캡(160)의 수나사부(163)는 제1통로(111)의 암나사부(113)에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140)은 상기 레버(150)에 의해서 가압 및 가압해제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플랜지(135)의 하부에 배치되는 샤프트(141)가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41)와 분리된 상태에서 연접되어 상기 내측 플랜지(135)를 개폐시키는 밸브(144)가 구성된다. 또한, 샤프트(141)와 내측 플랜지(135)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R)과, 밸브(144)와 캡(160)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V)이 구성된다. 이때, 도 3의 경우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V)이 밸브(144)와 캡(160) 사이에 개재되고, 도 6의 경우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V)이 니플(170)과 밸브(144) 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141)는 하부에 형성되어 안내홀(130)에 수용되는 하부축(142)과 상기 하부축(14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축(142)보다 폭이 작은 상부축(1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축(143)의 둘레에는 안내홀(130)에 밀착되는 패킹(P)이 구성되므로 샤프트(141)와 안내홀(130) 사이로 에어가 누기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샤프트(141)는 압축 스프링(R)에 상부축(T)이 끼워지고 상기 압축 스프링(142)은 패킹(P)과 내측 플랜지(135) 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다.
상기 내측 플랜지(135)의 하방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150)에 의해서 압박되고 상기 내측 플랜지(135)에 걸리는 피스톤(141)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41)의 상단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플랜지(135)를 관통하고 상기 내측 플랜지(135)의 상단에 걸리는 외측 플랜지(144)가 형성된 축 형상의 밸브(143)가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141)은 도 4에서처럼, 하부에 형성되어 안내홀(130)에 밀착되는 하부축(S)과 상기 하부축(S)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축(S)보다 폭이 작은 상부축(T)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축(T)의 둘레에는 패킹(143)이 구성되므로 피스톤(141)과 안내축(130) 사이로 에어가 누기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피스톤(141)은 압축 스프링(142)에 상부축(T)이 끼워지고 상기 압축 스프링(142)은 하부축(S)과 내측 플랜지(135) 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143)는 상기 외측 플랜지(144)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부축(148)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축(148)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측 플랜지(144)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42)을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141)의 상단 즉 상부축(T)의 상단에 밀착되는 하부축(149)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축(149)의 둘레를 따라 에어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측방과 하방으로 개방된 홈(G)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축(148)과 상기 캡(160)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143)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압축스프링(145)이 구성된다.
상기 밸브(144)는 축 형상으로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오링홈(145)이 구성되고, 상기 오링홈(145)에 장착되어 상기 내측 플랜지(135)를 개폐시키는 오링(O)이 구성된다. 상기 오링(O)은 내측 플랜지(135)의 상단에 배치되어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밸브(144)에서 오링(O)의 상부에는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홈(147)이 측면에 형성되고, 오링(O)의 하부에는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홈(146)이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레버(150)는 분사부(120)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141)의 하부축(142)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레버(150)는 전방으로는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샤프트(141)가 하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레버(150)의 회동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캡(160)의 다른 실시에로서, 도 9에서처럼 상기 안내홀(130)을 마감하는 캡(160)이 구성되고, 상기 캡(160)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140)의 행정을 조정하여 에어의 분사량을 제한하는 개폐량 조정부(161)가 추가된다.
상기 개폐량 조정부(161)는 상기 캡(16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하는 탭홀(162)이 구성되고 상기 탭홀(162)에 체결되는 볼트(165)가 구성된다. 따라서, 피스톤(140)의 밸브(144)가 볼트(165)에 닿도록 하므로 밸브(144)의 개방 정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볼트(165)에 체결된 너트(N)가 캡(160)의 상면을 압박하도록 하므로 볼트(165)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볼트(165)는 압축 스프링(V)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100)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처럼, 레버(150)에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압축 스프링(R)에 의해서 샤프트(141)가 레버(150)를 하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압축 스프링(V)에 의해서 밸브(144)의 오링(O)은 내측 플랜지(135)에 밀착되어 안내홀(130)이 폐색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통로(111)에 연결된 니플(170)을 통해서 공급되는 에어가 제2통로(121)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서처럼, 레버(150)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샤프트(141)가 상승하면서 밸브(144)를 밀어올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오링(O)이 내측 플랜지(135)에서 이탈하게 되어 제1통로(111)로 유입된 에어가 안내홀(130)을 통해서 제2통로(121)로 유입되어 노즐(127) 바깥으로 분사된다. 이때, 밸브(144)는 도 4에서 도시한 유입홈(147)과 배기홈(146)을 통해서 내측 플랜지(135)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압축 스프링(V, R)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다시, 레버(150)에 가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3에서처럼, 압축 스프링(V, R)의 복원력에 의해서 안내홈(130)을 폐색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피스톤(140)이 샤프트(141)와 밸브(144)로 분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오링(O)이 마모되거나 밸브(144)가 손상되는 경우, 캡(160)을 개방하여 밸브(144)를 상방으로 인출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밸브(144)가 샤프트(141)와 분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둘 중에 어느 하나가 손상되면 해당되는 것만 교체하면 되므로, 밸브(144)와 샤프트(141)를 모두 갈아야 하는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보다 저비용으로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안내홈(130)에 니플(170)을 연결하고 제1통로(111)를 캡(160)으로 마감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레버(150)로 인한 개폐 원리는 상기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부에서 에어호스가 천정에서 하방으로 늘러뜨려진 경우, 상기 니플(170)에 에어호스를 연결하게 되면 도 6에서처럼, 손잡이부(110)는 하방을 향하게 되고 분사부(120)는 전방을 향하게 된다. 즉, 사용하기 편한 상태로 에어호스에 연결된다. 이때, 만약 도 3처럼 니플(170)이 손잡이부(11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손잡이부(110)가 상방을 향하기 때문에 작업할 때 방향을 바로 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때 에어호스가 휘어지기 때문에 에어호스의 복원력이 작업에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도 6처럼 사용할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9의 경우에는, 볼트(165)의 정역 회전에 따라 피스톤(140)의 상승량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아주 미세한 양으로 에어를 분사할 경우에는 볼트(165)의 하강 정도를 조정하여 피스톤(140)의 상승량을 줄이도록 한다. 이렇게 하므로 레버(150)를 힘껏 당겨도 설정된 양만큼만 에어가 분사된다. 만약, 상기 볼트(165)가 없다면 손의 악력으로 매번 정확한 힘으로 레버(150)를 당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103: 바디
105: 상단 107: 하단
110: 손잡이부 111: 제1통로
120: 분사부 121: 제2통로
127: 노즐 130: 안내홀
133: 암나사부 135: 내측 플랜지
140: 피스톤 141: 샤프트
142: 하부축 143: 상부축
P: 패킹 R: 압축 스프링
144: 밸브 145: 오링
O: 오링 146: 배기홈
147: 유입홈 V: 압축 스프링
150: 레버 160: 캡
161: 개폐량 조정부 162: 탭홀
163: 수나사부 165: 볼트
167l: 오링

Claims (6)

  1. 에어가 주입되어 분사되는 바디(103)와,
    상기 바디(103)의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피스톤(140)과,
    상기 피스톤(140)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바디(103)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레버(150)를 포함하는 에어건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40)은 상기 레버(150)에 의해서 가압 및 가압해제되는 샤프트(141)와,
    상기 샤프트(141)와 분리된 상태에서 연접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밸브(14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2. 에어가 주입되어 분사되는 바디(103)와,
    상기 바디(103)의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를 개폐시키는 피스톤(140)과,
    상기 피스톤(140)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바디(103)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레버(15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03)는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에어가 주입되는 손잡이부(110)와,
    상기 손잡이부(11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에어가 분사되도록 형성된 분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10)와 분사부(120) 사이의 상단(105)에서 손잡이부(110)와 분사부(120) 사이의 하단(107)으로 관통되어 상기 피스톤(140)이 장착되고 에어가 통과하는 안내홀(130)과,
    상기 안내홀(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링 형상의 내측 플랜지(135)와,
    상기 손잡이부(110)의 종단(115)에서 내측 플랜지(135) 상부의 안내홀(130)에 연결되는 제1통로(111)와,
    상기 내측 플랜지(135) 하부의 안내홀(130)에서 상기 분사부(120)의 종단(123)으로 관통되는 제2통로(121)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140)은 상기 안내홀(130)에 수용되어 상기 내측 플랜지(135)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에어건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111) 및 상기 안내홀(130) 중 어느 하나를 마감하는 캡(160)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140)은 상기 레버(150)에 의해서 가압 및 가압해제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플랜지(135)의 하부에 배치되는 샤프트(141)와,
    상기 샤프트(141)와 분리된 상태에서 연접되어 상기 내측 플랜지(135)를 개폐시키는 밸브(144)와,
    상기 샤프트(141)와 상기 내측 플랜지(135)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R)과,
    상기 밸브(144)의 상부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V)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130)에 형성된 암나사부(133)와,
    상기 제1통로(111)에 형성된 암나사부(113)와,
    상기 암나사부(133, 113)에 체결되도록 상기 캡(160)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44)는 축 형상으로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오링홈(145)과,
    상기 오링홈(145)에 장착되어 상기 내측 플랜지(135)를 개폐시키는 오링(O)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160)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140)의 행정을 조정하여 에어의 분사량을 제한하는 개폐량 조정부(161)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량 조정부(161)는, 상기 캡(16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하는 탭홀(162)과,
    상기 탭홀(162)에 체결되는 볼트(16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KR1020140133440A 2014-10-02 2014-10-02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KR10164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440A KR101642254B1 (ko) 2014-10-02 2014-10-02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440A KR101642254B1 (ko) 2014-10-02 2014-10-02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008A true KR20160040008A (ko) 2016-04-12
KR101642254B1 KR101642254B1 (ko) 2016-07-25

Family

ID=5580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440A KR101642254B1 (ko) 2014-10-02 2014-10-02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2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326A (ko) * 2019-02-21 2020-08-31 제이아이산업(주)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KR102265685B1 (ko) 2019-12-16 2021-06-17 (주)완산 공기조절용 에어건
KR20230125549A (ko) * 2022-02-21 2023-08-29 이경일 에어건용 밸브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7056A (ja) * 1996-11-12 1999-06-02 Nissan Motor Co Ltd エアスプレーガン
KR200265040Y1 (ko) 2001-11-27 2002-02-21 김승범 에어건
KR200383497Y1 (ko) * 2005-02-18 2005-05-03 이정훈 에어건의 밸브유니트 구조
KR101311996B1 (ko) * 2012-08-27 2013-09-27 조우형 에어건
KR20140107795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금광이엔지 청소용 에어 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7056A (ja) * 1996-11-12 1999-06-02 Nissan Motor Co Ltd エアスプレーガン
KR200265040Y1 (ko) 2001-11-27 2002-02-21 김승범 에어건
KR200383497Y1 (ko) * 2005-02-18 2005-05-03 이정훈 에어건의 밸브유니트 구조
KR101311996B1 (ko) * 2012-08-27 2013-09-27 조우형 에어건
KR20140107795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금광이엔지 청소용 에어 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326A (ko) * 2019-02-21 2020-08-31 제이아이산업(주) 에어그라인더용 안전밸브
KR102265685B1 (ko) 2019-12-16 2021-06-17 (주)완산 공기조절용 에어건
KR20230125549A (ko) * 2022-02-21 2023-08-29 이경일 에어건용 밸브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254B1 (ko) 201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147B1 (en) Sprinkler having valve module with reciprocating valve seat
US2057434A (en) Spray gun
KR101642254B1 (ko) 분할식 피스톤이 구성된 에어건
CN106179822B (zh) 一种能够调节涂料喷出幅度的新型喷枪
US7201332B2 (en) Adjustable spray nozzle
KR101630356B1 (ko)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CN206587947U (zh) 水压控制隐藏式灌溉喷头
MX2009009475A (es) Valvula de liberacion de presion.
CN207546810U (zh) 一种可调压力的水枪
CN211412383U (zh) 一种高压喷头
CN202962726U (zh) 高压无气喷枪
CN205978679U (zh) 一种超高压溢流阀
US2852310A (en) Hose nozzles
CN208660202U (zh) 一种多功能喷雾直流水枪
WO2017049820A1 (zh) 一种虹吸式喷笔
CN104888992A (zh) 一种快卸式电喷枪
JP2017087131A (ja) 塗装用スプレーガン
JP2012179510A (ja) 液体噴出器
CN202588131U (zh) 喷雾器喷枪的调压、稳压装置
CN203778239U (zh) 一种快卸式电喷枪
CN209077295U (zh) 一种高压清洗机
CN206046315U (zh) 一种能够调节涂料喷出幅度的新型喷枪
CN220759633U (zh) 一种喷枪流量调节结构
CN204062068U (zh) 一种二氧化碳减压阀
CN209066221U (zh) 一种泡沫沥青及普通沥青喷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