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369A - 종방향으로 가변적인 판금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및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 붐 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종방향으로 가변적인 판금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및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 붐 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369A
KR20200101369A KR1020207018680A KR20207018680A KR20200101369A KR 20200101369 A KR20200101369 A KR 20200101369A KR 1020207018680 A KR1020207018680 A KR 1020207018680A KR 20207018680 A KR20207018680 A KR 20207018680A KR 20200101369 A KR20200101369 A KR 20200101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arm segment
cord
concret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228B1 (ko
Inventor
안스가 뮬러
로랜드 마아센
Original Assignee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푸츠마이스터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0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5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pneumatic or hydraulic motors, e.g. for actuating jib-cranes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36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mobile support, e.g. tru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 코드(33), 하측 코드(34) 및 상측 코드(33)와 하측 코드(34)를 연결하는 두 개의 측부(35, 36)를 포함하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붐-아암 세그먼트는 종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두 개의 소구역(41, 42) 사이의 종방향 연결부(44)를 포함하며, 종방향 연결부(44)는 코드 부분(56, 66)에 걸쳐서 그리고 측부 부분(53, 63)에 걸쳐서 연장된다. 측부 부분(53, 63)은 제1 소구역(41)에서 그리고 제2 소구역(42)에서 코드 부분(56, 66)에 대해서 절곡된다. 코드 부분(56)의 재료 두께는 제2 소구역(42)에 있는 코드 부분(66)의 재료 두께보다 제1 소구역(41)에서 더 크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붐-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붐-아암 세그먼트는 정하중 및 동하중을 흡수하기에 매우 적합하고 비용-효과적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종방향으로 가변적인 판금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및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 붐 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상측 코드(chord), 하측 코드 및 상측 코드와 하측 코드를 연결하는 두 개의 측부를 갖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펌프 붐 아암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펌프에 의해서 전달되는 액체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펌프로부터 먼 영역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펌프에 연결된 전달 라인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콘크리트-펌프 붐 아암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붐-아암 세그먼트로부터 조립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붐-아암 세그먼트는 함께 붐 아암의 길이를 이루고, 접힌 상태에서, 붐-아암 세그먼트는 운송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컴팩트한 상태로 접힌다.
콘크리트 펌프는 일반적으로, 액체 콘크리트가 펄스식으로 전달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붐 아암은 상당한 동하중을 받는다. 또한, 콘크리트 펌프가 작동 중에, 콘크리트 펌프로부터 액체 콘크리트가 배출되어야 하는 곳까지의 거리에 의존하여, 붐-아암 세그먼트가 상이한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이것은, 붐-아암 세그먼트 상의 인장 하중 및 압축 하중이, 붐 아암의 작동 상태에 의존하여 완전히 상이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콘크리트 펌프의 붐-아암 세그먼트는 작동 중에 특별한 하중을 받는다.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가 정적 하중 및 동적 하중을 용이하게 견디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및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이다. 인용된 종래기술로부터 기원되는 본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서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에서 구체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는,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두 개의 소구역 사이에 있는 종방향 조인트를 포함한다. 종방향 조인트는 코드 부분에 걸쳐서 그리고 측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제1 소구역에서 그리고 제2 소구역에서, 측부 부분은 코드 부분에 대해서 절곡된다. 제1 소구역에서 코드 부분의 재료 두께는 제2 소구역에서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종방향 조인트가,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에서 발생되는 정적인 힘과 동적인 힘을 흡수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측부 부분이 코드 부분에 대해서 절곡되기 때문에, 용접 시임(weld seam)이 코드와 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통적인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와 비교하여, 국부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점이 달성된다. 만약 더 큰 하중이 엣지 영역에서 흡수될 수 있다면, 상측 코드 및/또는 하측 코드에서의 감소된 재료 두께가 붐-아암 세그먼트의 어떤 소구역에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조인트는 서로 상이한 재료 두께의 영역들을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종방향 조인트는 용접 시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접 시임에 의해서, 제1 소구역의 구성요소 및 제2 소구역의 구성요소는 서로 버트(butt) 용접될 수 있다. 제1 소구역에서 재료 두께는 2 mm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3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제2 소구역에서 재료 두께는 제1 소구역에서 재료 두께보다 0.5 mm 내지 4 mm,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3 mm의 값 만큼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료 두께의 사양은 용접 시임의 외부 영역에 관련된다.
상측 코드, 하측 코드 및 두 개의 측부는 박스-형상 단면의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박스-형상 프로파일의 측부는 중력에 평행한 평면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상측 코드 및 하측 코드가 측부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열되는 경우, 이것은,의도된 바와 같이, 붐-아암 세그먼트의 종방향 축선이 측방향으로 포인팅될 때, 상측 코드 및 하측 코드의 평면에 중력이 가로지르게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붐-아암 세그먼트의 상측 코드 및 하측 코드는 큰 굽힘 하중을 받는다. 용어, 상측 코드 및 하측 코드는 서로에 상대적으로 상측 코드 및 하측 코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반면에, 상측 코드가 하측 코드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지 여부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동작 상태에 의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양자가 가능하다.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는 인접한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에 대한 피봇가능한 연결을 위한 피봇을 포함할 수 있다. 피봇은,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의 측부를 교차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조인트는 코드 부분 및 측부 부분을 구비한 붐-아암 세그먼트의 두 개의 표면 부분에 걸쳐서, 즉 코드 표면의 일 부분 및 측면의 일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코드 표면 및 측면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단면으로 고려될 때, 6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약 90°의 각도를 형성한다. 코드 부분과 측부 부분 사이의 굽힘에 의해서 형성되는 각도는 대응하는 사이즈가 될수 있다.
제1 소구역에서, 코드 부분의 재료 두께가 측부 부분에서 재료 두께와 일치할 수 있다. 제2 소구역에 동일한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코드 부분은 종방향 조인트에 인접하는 제1 소구역 내의 일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부 부분은 같은 방식으로, 종방향 조인트에 인접하는 제1 소구역 내의 일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코드 부분과 측부 부분 모두가 편평한 형상인 경우, 두 개 사이의 굽힘은 더욱 용이해진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코드 부분 및/또는 측부 부분은 타측으로부터 종방향 조인트에 인접하는 제2 소구역 내의 일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소구역 내의 코드 부분 및 제2 소구역 내의 코드 부분은 동일한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소구역 내의 측부 부분 및 제2 소구역 내의 측부 부분은 동일한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조인트는 코드 표면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종방향 조인트는 두 개의 측부 부분에 걸쳐서 더 연장될 수 있으며, 하나의 측부 부분은 일 측에서 코드 부분에 결합되고, 제2 측부 부분은 타 측에서 코드 부분에 결합된다. 붐-아암 세그먼트는 종방향 조인트의 영역에서 종방향 축선과 관련하여 대칭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종방향 조인트는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종방향은 90°의 각도로 교차된다.
제1 소구역에서, 코드 부분은 두 개의 측부 부분 사이에서 용접 시임 없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교차하는 용접 시임 없이 종방향 조인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코드 부분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응하는 특징부를 갖는 종방향 조인트는 반대 코드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코드 표면에 있는 종방향 조인트는, 종방향 조인트를 통해서 연장되는 평면이 붐-아암 세그먼트의 종방향 축선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서 정렬될 수 있다.
종방향 조인트와 인접하는 측부 부분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용접될 수 있다. 조인트는 용접 시임일 수 있다. 용접 시임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부 부분은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버트-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 및/또는 제2 소구역에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요소는 반대측 코드 표면으로부터 절곡되는 측부 부분일 수 있다. 하나의 코드 표면으로부터 타 코드 표면까지의 종방향 조인트에 평행한 움직임은 두 개의 측부 부분 사이에 있는 용접 시임으로부터 이격된 임의의 추가적인 용접 시임과 교차하지 않는다. 종방향으로 정렬된 용접 시임에 의해 서로 결합된 두 개의 측부 부분은 대응하는 재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 및/또는 제2 소구역에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절곡된 측부 부분과 인접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는 측판이다. 측판은 측부의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판은 절곡된 측부 부분에 용접 시임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측판은 절곡된 측부 부분에 버트 결합될 수 있다. 측판은 절곡된 측부 부분보다 더 작은 재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측판의 재료 두께는, 예를 들어, 절곡된 측부 부분의 재료 두께의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일 수 있다.
측판은, 일측에서, 상측 코드에 대해서 절곡된 측부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에서, 하측 코드에 대해서 절곡된 측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코드 면으로부터 타 코드 면까지의 종방향 조인트에 평행한 움직임은 측판의 두 개의 용접 시임으로부터 이격된 임의의 추가적인 용접 시임과 교차하지 않는다.
측판에 대해서 설명된 특징부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의 측판 및/또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2 소구역의 측판에 적용될 수 있다.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의 측판은 종방향으로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2 소구역의 측판에 인접할 수 있다. 종방향 조인트는 두 개의 측판 사이의 조인트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두 개의 측판은 서로 버트 용접될 수 있다. 측판들 사이의 종방향 조인트는, 종방향 조인트를 통해서 연장되는 평면이 붐-아암 세그먼트의 종방향 축선을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상측 코드 내 종방향 조인트에 대해서 그리고/또는 하측 코드 내 종방향 조인트에 대해서 정렬될 수 있다.
붐-아암 세그먼트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포함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1 측판이 일 측부의 일 부분을 형성하고 제2 측판이 반대측 측부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이것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 및/또는 제2 소구역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박스-형상 프로파일은 4 개의 구성요소로부터, 즉 절곡된 측부 부분을 갖는 두 개의 코드 구성요소 및 두 개의 측판으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박스-형상 프로파일에서, 붐-아암 세그먼트의 종방향 축선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았을 때, 코드 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측부들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붐-아암 세그먼트는 제1 소구역으로부터 제2 소구역의 방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소구역에서, 박스-형상 프로파일의 반대 표면들 사이의 거리는 종방향 조인트가 접근될 수록 감소된다. 제2 소구역에서, 박스-형상 프로파일의 반대 표면들 사이의 거리는 종방향 조인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감소된다. 테이퍼는 두 개의 측면들 사이의 거리를, 그리고/또는 상측 코드와 하측 코드 사이의 거리를 가리킬 수 있다.
제1 소구역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근위 단부에 더 가깝게 배열될 수 있고, 제2 소 구역은 원위 단부에 더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 "근위"는, 붐 아암의 펼쳐진 상태에서, 붐 아암이 장착된 베이스(다시 말해, 예를 들어, 트럭)에 더 가까운 붐-아암 세그먼트의 단부를 가리킨다. 역으로, 붐-아암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는 펼쳐진 상태의 붐 아암의 자유 단부에 더 가깝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의 프로파일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비드가 측부, 상측 코드 및/또는 하측 코드 각각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비드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개별적인 비드가 일 표면에 형성되는 경우, 비드는 표면의 경계를 정하는 두 개의 엣지 사이의 가운데에 배열될 수 있다. 표면의 폭의 5% 내지 20%에 걸쳐서 연장되는 폭이 좁은 비드가 가능하다. 표면의 폭의 20% 내지 60%에 걸쳐서 연장되는 폭이 넓은 비드가 또한 가능하다. 비드는 표면에 대해서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붐-아암 세그먼트는, 종방향 조인트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판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다른 구성요소 상에 편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강판은 제1 소구역에서 그리고 제2 소구역에서 붐-아암 세그먼트의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조인트는 보강판의 가장자리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는 용접 시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보강판은 전체 가장자리에 걸쳐서 붐-아암 세그먼트의 다른 구성요소에 용접될 수 있다. 보강판은 절곡된 측부 부분과 오버랩될 수 있다.
각각의 보강판은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보강판은 붐-아암 세그먼트를 통한 수직 종방향 단면에 대해 서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전체로, 붐-아암 세그먼트는 동일한 종방향 조인트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네 개의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보강판은 상측 코드에 대해서 절곡된 측부 부분과 오버랩될 수 있고, 두 개의 보강판은 하측 코드에 대해서 절곡된 측부 부분과 오버랩될 수 있다.
보강판은 종방향 조인트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테이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 및/또는 제2 소구역에 적용될 수 있다. 테이퍼는 보강판의 표면의 크기 및/또는 두께를 가리킬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에 의해서, 종방향 조인트에 인접한 구성요소에서 응력이 종방향 조인트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감소되는 점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판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과 제2 소구역 사이에서 힘의 균일한 전달을 촉진한다.
이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측부 부분과 오버랩되는 보강판은, 보강판이 종방향 조인트의 영역에서 코드 부분의 일 엣지에 가깝게 배열되고, 종방향 조인트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엣지로부터 거리가 증가하도록 형상지워지고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 및/또는 제2 소구역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보강판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붐-아암 세그먼트의 소구역 사이에서 힘의 균일한 전달이 촉진될 수 있다.
보강판은 전체로 측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보강판이 측부를 넘어서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붐-아암 세그먼트의 이 부분에서 가장 높은 그리고 가장 낮은 지점은 상측 코드 또는 하측 코드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기 코드를 넘어서 돌출되는 보강판의 이러한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측 코드 및 하측 코드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측부와 슬리브 방식으로 오버랩되는 보강판이 또한 가능하다.
보강판은 측부에 형성된 비드와 오버랩될 수 있다. 비드는 측부의 표면에 대해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강판은 비드의 경사면 상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보강판의 두께가 비드의 두께를 넘지 않는 경우, 보강판이 측방향으로 비드보다 더 돌출되지 않는 점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판이, 측부와 평행하게 정렬된 비드의 표면과 오버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보강판은 비드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보강판이 비드보다 측부로 더 돌출된다. 비드의 영역에서, 보강판은 비드에 매칭되는 홈을 가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보강판은 비드의 영역에서 외측으로 더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보강판이 상측 코드 및/또는 하측 코드에 장착되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이 보강판은 측부 상에 배열된 보강판의 맥락에서 설명된 동일한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에는 근위 단부에서 그리고 원위 단부에서 각각의 피봇 조인트 요소가 장착될 수 있다. 피봇 조인트 요소는, 인접한 붐-아암 세그먼트 또는 베이스의 매칭되는 피봇 조인트 요소와 피봇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피봇 조인트 요소에 의해서 붐-아암 세그먼트가 타 부분에 대해서 피봇될 수 있다.
붐-아암 세그먼트는 유압 실린더를 위한 관절 지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유압 실린더는 관절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붐-아암 세그먼트의 원위 단부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조인트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근위 단부와 관절 지점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붐-아암 세그먼트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근위 단부와 관절 지점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이러한 종방향 조인트, 특히 적어도 세 개의 이러한 종방향 조인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네 개의 이러한 종방향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두께는 근위 단부로부터 거리가 멀어질 수록 계속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두 개의 종방향 조인트 사이에서 재료 두께는 일정할 수 있다. 이것은 상측 코드, 하측 코드 및/또는 측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 개의 붐-아암 세그먼트를 갖는 콘크리트-펌프 붐 아암에 관한 것이며, 붐-아암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조인트를 포함한다. 피봇 조인트는 매 두 개의 인접한 붐-아암 세그먼트 사이에 형성된다. 피봇 조인트의 축선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양 측부를 통해서 연장되는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측부는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교차되거나, 또는 이 방향과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각도를 형성한다. 코드 표면은 피봇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조인트는, 제1 붐-아암 세그먼트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관절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는, 제2 붐-아암 세그먼트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제1 관절형 레버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관절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는 제1 붐-아암 세그먼트로부터 제1 관절형 레버까지 연장되고, 결과적으로, 유압 실린더의 스트로크 운동은 붐-아암 세그먼트들 사이의 피봇 운동으로 변환된다. 제1 붐-아암 세그먼트로부터 보았을 때, 유압 실린더는 바람직하게는 제2 관절형 레버의 먼 측에서 제1 관절형 레버에 부착된다.
콘크리트-펌프 붐 아암은, 붐 아암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러리, 특히 새로운 콘크리트를 위한 전달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붐 아암의 각각의 세그먼트에는 전달 라인 세그먼트가 할당될 수 있다. 전달 라인의 인접한 세그먼트들은 조인트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조인트 축선은 바람직하게는 연관된 붐-아암 세그먼트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조인트와 동축이다. 전달 라인의 개별적인 세그먼트는 강성 파이프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붐-아암 세그먼트는 상측 코드, 하측 코드 및 상측 코드와 하측 코드를 연결시키는 두 개의 측부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종방향 조인트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과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2 소구역 사이에서 생성되며, 이 조인트는 코드 부분에 걸쳐서 그리고 측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측부 부분은 제1 소구역에서 그리고 제2 소구역에서 코드 부분에 대해 절곡된다. 코드 부분의 재료 두께는 제2 소구역에서보다 제1 소구역에서 더 크다.
종방향 조인트는 용접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제1 소구역의 구성요소와 제2 소구역의 구성요소 사이의 종방향 조인트를 제조하고 다음으로 코드 부분에 대해서 측부 부분을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여전히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구성요소 상의 측부 부분이 먼저 코드 부분에 대해서 절곡되고, 다음으로 종방향 조인트가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붐-아암 세그먼트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추가적인 특징부에 의해서 향상될 수 있다. 붐-아암 세그먼트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추가적인 특징부에 의해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유리한 실시형태에 의해서 아래 실시예의 방식으로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접힌 상태에 있는 붐 아암을 갖는 콘크리트-펌프 비이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콘크리트-펌프 비이클을 붐 아암이 펼쳐진 상태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붐-아암 세그먼트를 도시한다.
도 4는 두 개의 붐-아암 세그먼트 사이의 조인트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붐-아암 세그먼트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에 도 5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실시형태의 선 A-A를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경우의 붐-아암 세그먼트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서 선 B-B를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의 도 9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의 도 9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의 도 8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붐-아암 세그먼트의 코드 표면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트럭(14)은, 액체 콘크리트를 프리-차징 탱크(16)로부터 전달 라인(17)을 거쳐서 전달하는 콘크리트 펌프(15)를 구비한다. 전달 라인(17)은, 선회 링(19)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붐 아암(18)을 따라서 연장된다. 붐 아암(18)은, 관절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세 개의 붐-아암 세그먼트(20, 21, 22)를 포함한다. 붐-아암 세그먼트(20, 21, 22)는 조인트에 의해서 서로에 대해서 피봇될 수 있기 때문에, 붐 아암(18)은 접힌 상태(도 1)와 펼쳐진 상태(도 2)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전달 라인(17)은 세번째 붐-아암 세그먼트(22)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연장되어, 액체 콘크리트가 콘트리트 펌프(15)로부터 먼 영역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붐 아암의 피봇 상태에 의존하여, 붐-아암 세그먼트(20, 21, 22) 상의 하중은 완전히 상이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붐 아암은 액체 콘크리트의 펄스식 전달에 의해 큰 동하중에 노출된다.
붐-아암 세그먼트(20, 21, 22) 사이의 피봇 조인트는 피봇 조인트가 큰 피봇 각도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접힌 상태에서, 붐-아암 세그먼트(20, 21, 22)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세그먼트 사이에 작은 각도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되는 펼쳐진 상태에서, 붐-아암 세그먼트(20, 21, 22)는 서로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조인트 구성은, 제1 붐-아암 세그먼트(20)와 제2 붐-아암 세그먼트(21) 사이에 있는 피봇 조인트의 예를 사용하여 도 4에 도시된다. 피봇은 피봇 핀(23)에 의해서 형성되고, 이 피봇 핀에 의해서 붐-아암 세그먼트(21)의 근위 단부가 붐-아암 세그먼트(20)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다. 제1 관절형 레버(24)는 피봇 핀(23)에 인접한 지점에서 제1 붐-아암 세그먼트(20)에 부착된다. 제2 관절형 레버(25)는 피봇 핀(23)에 인접한 지점에서 제2 붐-아암 세그먼트(21)에 부착된다. 두 개의 관절형 레버는 26에서 관절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27)는 제1 붐-아암 세그먼트(20) 상의 관절 지점(28)으로부터 제1 관절형 레버(24)의 외측 단부로 연장된다. 관절형 레버(24, 25)에 의해서, 유압 실린더(27)의 스트로크 운동은 붐-아암 세그먼트(20, 21) 사이의 피봇 운동으로 변환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붐-아암 세그먼트(30)는 근위 단부(31)로부터 원위 단부(32)로 연장된다. 붐-아암 세그먼트(30)는 상측 코드(33), 하측 코드(34) 및 두 개의 측부(35, 36)를 구비하는 박스-형상 프로파일로서 구성된다. 피봇 홀(37)은 근위 단부(31)에 가깝게 형성된다. 피봇 홀은, 붐-아암 세그먼트(30)를 인접한 붐-아암 세그먼트에 연결하는 피봇 핀(23)을 수용한다. 피봇 홀(37) 옆에 배열된 스터드 볼트(38)에는 관절형 레버(25)가 연결된다. 보강판(40)은 피봇 홀(37) 및 스터드 볼트(38)를 둘러싸고, 따라서 이 영역에서 발생되는 특히 큰 힘이 신뢰가능하게 흡수될 수 있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붐-아암 세그먼트(30)는, 원위 단부에 가깝게, 추가적인 피봇 홀(37) 및, 관절형 레버(24)가 연결될 수 있는 추가적인 스터드 볼트(38)를 포함한다. 보강판(40)은 피봇 홀(37) 및 스터드 볼트(38)를 둘러싼다. 대응하는 보강판(40)이 붐-아암 세그먼트(30)의 반대 측부(36)(도 3에서 가시적이지 않다) 상에 형성된다.
붐-아암 세그먼트의 박스-형상 프로파일은 근위 단부(31)로부터 유압 실린더를 위한 관절 지점(28)까지 연속적으로 테이퍼진다. 상측 코드(33) 및 하측 코드(34)뿐만 아니라 두 개의 측부(35, 36)는 따라서, 근위 단부(31)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서로 접근된다. 테이퍼는 피봇 홀(37)의 영역에서 여전히 꽤 명확하고, 다음으로, 연속적인 테이퍼는, 단면의 변화가 도 3에서 사실상 감지될 수 없을 만큼의 감소된 크기로 계속된다.
근위 단부(31)와 관절 지점(28) 사이에서, 붐-아암 세그먼트는 두 개의 종방향 조인트(44, 45)를 포함한다. 종방향 조인트(44)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41)과 제2 소구역(42) 사이에 배열되는 한편, 종방향 조인트(45)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2 소구역(42)과 제3 소구역(43) 사이에 배열된다. 상측 코드(33) 및 하측 코드(34)는 제1 소구역(41)에서 10 mm의 재료 두께, 제2 소구역(42)에서 8 mm의 재료 두께, 그리고 제3 소구역(43)에서 6 mm의 재료 두께를 갖는다.
종방향 조인트(44, 45)에서, 상이한 재료 두께의 소구역들이 서로에 대해서 맞닿아 있고,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용접 시임(weld seam)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다. 용접된 보강판(46, 47)은 종방향 조인트(44, 45)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종방향 조인트(44, 45)에 추가적인 안정성을 부여한다.
도 5에 따르면, 제1 소구역(41)에 있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박스-형상 프로파일은 두 개의 구성요소 프로파일(51, 52)로부터 조립된다. 구성요소 프로파일(51, 52)은 각각 10 mm 두께의 강판으로부터 제조된다. 구성요소 프로파일(51)은, 코드 부분(56)에 대해서 90°에 걸쳐서 절곡된 두 개의 측부 부분(53)을 포함한다. 구성요소 프로파일(52)은, 코드 부분(57)에 대해서 90°에 걸쳐서 절곡된 두 개의 측부 부분(54)을 포함한다. 측부 부분(53, 54)은 단부 면에서 맞닿아 용접 시임에 의해서 결합되며, 결과적으로 직각사각형 단면의 박스-형상 프로파일이 형성된다.
유사하게, 제2 소구역(42)에 있는 붐-아암 세그먼트의 박스-형상 프로파일은 두 개의 구성요소 프로파일(61, 62)로부터 조립된다. 구성요소 프로파일(61, 62)은 각각 8 mm 두께의 강판으로부터 제조된다. 구성요소 프로파일(61)은, 코드 부분(66)에 대해서 90°에 걸쳐서 절곡된 두 개의 측부 부분(63)을 포함한다. 구성요소 프로파일(61)은, 코드 부분(67)에 대해서 90°에 걸쳐서 절곡된 두 개의 측부 부분(64)을 포함한다. 측부 부분(53, 54)은 단부 면에서 맞닿아 용접 시임에 의해서 결합되며, 결과적으로 직각사각형 단면의 박스-형상 프로파일이 형성된다.
종방향 조인트(44)의 영역에서, 제1 소구역(41)의 박스-형상 프로파일은 제2 소구역(42)의 박스-형상 프로파일과 일치하며, 결과적으로 두 개의 소구역(41, 42)은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둘레로 연장되는 용접 시임에 의해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보강판(46)은 가장자리 용접 시임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측부 부분(54, 64) 상에 용접되고, 종방향 조인트(44)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종방향 조인트(44)의 영역으로부터 시작되는 보강판(46)은 두 개의 단부를 향해서 테이퍼진다. 종방향 조인트(44)의 영역에서, 보강판(46)은 코드 부분(57, 67)에 대한 엣지까지 연장된다. 보강판(46)의 두 개의 단부는 이 엣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유사한 구성의 보강판(47)은 측부 부분(53, 63) 상에 용접되고, 같은 방식으로 종방향 조인트(44)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성요소 프로파일(61, 62)의 측부 부분(63, 64)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프로파일(51, 52)의 측부 부분(53, 54)은 상당히 더 짧다. 두 개의 측판(58, 59)은 측부 부분(53, 54) 사이에 용접되고, 상기 판은 구성요소 프로파일(51, 52)과 비교하여 50% 만큼 감소된 재료 두께를 갖는다. 제1 소구역(41)에서, 측판(58, 59)은 따라서 5 mm의 두께를 갖는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측판(68)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2 소구역(42)에서 측부 부분(63, 64) 사이에 용접된다. 측판(68)은 4 mm의 재료 두께를 갖는다. 보강판(46, 47)은 측부 부분(53, 54, 63, 64)의 엣지를 넘어서 연장되고 또한 측판(58, 59, 68)과 오버랩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붐-아암 세그먼트의 두 개의 측부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비드(bead)(70)를 구비한다. 두 개의 코드 면은 각각 내측으로 포인팅되는 비드(71)를 구비한다. 비드(70, 71)는 프로파일에 증가된 안정성을 부여한다. 상측 영역에 배열된 보강판(47)은 비드(70)보다 더 두껍다. 보강판(47)이 비드(70)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보강판(47)은 내측에서 감소된 재료 두께를 갖고, 결과적으로 보강판(47)의 외부는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하측 영역에 배열되는 보강판(46)은 비드(70)보다 더 얇고 비드(70)의 경사진 면 상에서 종료된다. 도 10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측면은 각각 단일 비드(70) 대신 두 개의 비드(72, 73)를 구비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보강판(74)은 붐-아암 세그먼트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되고, 슬리브의 방식으로 두 개의 대향하는 측부의 상측 영역과 오버랩된다. 도 12는, 보강판(47)이 붐-아암 세그먼트의 윤곽을 넘어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3에서, 두 개의 보강판(75)은 코드 표면 상에 배열되고, 코드 부분(56, 66) 사이에 있는 종방향 조인트(44)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보강판(75)은 코드 부분(56, 66)에 대해서 위로 돌출되고, 결과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붐-아암 세그먼트의 크기가 보강판(75) 만큼 증가된다.

Claims (13)

  1.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에 있어서,
    상측 코드(chord)(33), 하측 코드(34) 및 상기 상측 코드(33)와 상기 하측 코드(34)를 연결하는 두 개의 측부(35, 36)를 포함하고, 종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붐-아암 세그먼트의 두 개의 소구역들(41, 42) 사이에 있는 종방향 조인트(44)를 포함하되,
    상기 종방향 조인트(44)는 코드 부분(56, 66)에 걸쳐서, 그리고 측부 부분(53, 63)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측부 부분(53, 63)은 상기 제1 소구역(41)에서 그리고 상기 제2 소구역(42)에서 상기 코드 부분(56, 66)에 대해서 절곡되고, 상기 제1 소구역(41)에 있는 코드 부분(56)의 재료 두께는 상기 제2 소구역(42)에 있는 코드 부분(66)의 재료 두께보다 더 큰,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구역(41)에서 상기 재료 두께는 2 mm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10 mm인,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구역에서 상기 재료 두께는 상기 제1 소구역에서 상기 재료 두께보다 0.5 mm 내지 4 mm,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3 mm의 값만큼 더 작은,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구역(41)에서 상기 코드 부분(56) 및 상기 제2 소구역(42)에서 상기 코드 부분(66)은 동일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조인트(44)는 상기 코드 표면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되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코드(33)에 대해서 절곡된 측부 부분(53, 63)은 상기 하측 코드(34)에 대해서 절곡된 측부 부분(54, 64)에 연결되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부분(53, 63)은 측판(58, 59, 68)에 연결되며, 상기 측판(58, 59, 68)은 상기 측부 부분(53, 63)보다 더 작은 재료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아암 세그먼트는 상기 제1 소구역(41)으로부터 상기 제2 소구역(42)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조인트(44)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보강판(46, 47)을 포함하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46, 47)은 상기 제1 소구역(41)에서 그리고 상기 제2 소구역(42)에서 상기 측부 부분(53, 63)과 오버랩되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46, 47)은 상기 종방향 조인트(44)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테이퍼지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조인트(44)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46, 47)은 코드 부분(56, 66)의 일 엣지에 가깝게 배열되고, 상기 엣지로부터 거리는, 상기 종방향 조인트(44)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13.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붐-아암 세그먼트는 상측 코드(33), 하측 코드(34) 및 상기 상측 코드(33)와 상기 하측 코드(34)를 연결하는 두 개의 측부(35, 36)를 포함하되, 종방향 조인트(44)는 상기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1 소구역(41)과 상기 붐-아암 세그먼트의 제2 소구역(42) 사이에서 생성되며, 상기 조인트는 코드 부분(56, 66)에 걸쳐서 그리고 측부 부분(53, 63)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측부 부분(53, 63)은 상기 제1 소구역(41)에서 그리고 상기 제2 소구역(42)에서 상기 코드 부분(56, 66)에 대해서 절곡되고, 상기 코드 부분(56, 66)의 재료 두께는 상기 제2 소구역(42)에서보다 상기 제1 소구역(41)에 더 큰,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207018680A 2017-12-19 2018-12-18 종방향으로 가변적인 판금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및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 붐 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614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23240.4A DE102017223240A1 (de) 2017-12-19 2017-12-19 Betonpumpen-Mastarm-Segment mit in Längsrichtung variabler Blechstärk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Betonpumpe-Mastarm-Segments
DE102017223240.4 2017-12-19
PCT/EP2018/085418 WO2019121632A1 (de) 2017-12-19 2018-12-18 Betonpumpen-mastarm-segment mit in längsrichtung variabler blechstärk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betonpumpe-mastarm-seg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369A true KR20200101369A (ko) 2020-08-27
KR102614228B1 KR102614228B1 (ko) 2023-12-14

Family

ID=6490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680A KR102614228B1 (ko) 2017-12-19 2018-12-18 종방향으로 가변적인 판금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및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 붐 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70314A1 (ko)
EP (1) EP3728760A1 (ko)
JP (1) JP2021508360A (ko)
KR (1) KR102614228B1 (ko)
CN (1) CN111512007B (ko)
DE (1) DE102017223240A1 (ko)
WO (1) WO2019121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7456A1 (de) * 2019-03-22 2020-09-24 Schwing Gmbh Knickmast mit Mastsegmen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astsegmentes
DE102021104701A1 (de) 2021-02-26 2022-09-01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Mastarm-Seg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astarm-Segments
CN115075566A (zh) * 2022-06-28 2022-09-20 徐州徐工施维英机械有限公司 转台以及泵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357A (ja) * 2002-08-02 2004-04-2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ブーム構造およびブーム部材の製造方法
JP2005029984A (ja) * 2003-07-08 2005-02-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作業腕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517785A (ja) * 2007-02-09 2010-05-27 インダストリアル オリガミ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立体的荷重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7990A (en) * 1971-01-11 1973-01-02 Case Co J I Concrete placement apparatus
US3942554A (en) * 1974-04-19 1976-03-09 Werner Corporation Extendable crane with folding conduit
US4105151A (en) * 1977-08-11 1978-08-08 Eltzroth James L Crane conversion method
JPH0211431Y2 (ko) * 1984-10-02 1990-03-22
DE4224162A1 (de) * 1992-07-22 1994-01-27 Korthaus Ernst Betonverteilersystem
WO1998002276A1 (en) * 1996-07-11 1998-01-22 Tarkington William H A method of assembling conveyor systems for transporting an article
DE10106427B4 (de) * 2001-02-12 2006-06-22 Schwing Gmbh Verteilervorrichtung für Dickstoffe, insbesondere für Beton
US6691487B2 (en) * 2001-11-08 2004-02-17 Dietrich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reinforcing a portion of a metal joist adjacent an opening therethrough and methods for forming reinforced openings in metal support members
JP4030833B2 (ja) * 2002-01-04 2008-01-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の長尺構造部材
JP2008050807A (ja) * 2006-08-23 2008-03-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溶接構造体
JP2009036324A (ja) * 2007-08-02 2009-02-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軸受装置
CN201330507Y (zh) * 2008-12-25 2009-10-21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泵送设备用臂节及臂架
CN201649661U (zh) * 2010-03-05 2010-11-24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建设机械分公司 一种混凝土泵车及其布料杆与转台的连接装置
CN201738589U (zh) * 2010-08-19 2011-02-09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臂架系统及混凝土泵车
CN102182319A (zh) * 2011-06-13 2011-09-14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臂架结构及混凝土泵车
US9290363B2 (en) * 2011-07-21 2016-03-22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Tailor welded panel beam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E102012221031A1 (de) * 2012-11-19 2014-05-22 Terex Cranes Germany Gmbh Kran, Gittermast für einen derartigen Kran und Gittermaststück für einen derartigen Gitterma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357A (ja) * 2002-08-02 2004-04-2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ブーム構造およびブーム部材の製造方法
JP2005029984A (ja) * 2003-07-08 2005-02-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作業腕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517785A (ja) * 2007-02-09 2010-05-27 インダストリアル オリガミ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立体的荷重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12007B (zh) 2022-03-15
CN111512007A (zh) 2020-08-07
DE102017223240A1 (de) 2019-06-19
KR102614228B1 (ko) 2023-12-14
WO2019121632A1 (de) 2019-06-27
JP2021508360A (ja) 2021-03-04
EP3728760A1 (de) 2020-10-28
US20200370314A1 (en)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4228B1 (ko) 종방향으로 가변적인 판금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펌프 붐-아암 세그먼트, 및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 붐 아암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8511935B1 (en) Pavement dowel assembly bar
US6871667B2 (en) Distribution device for thick matter, especially for concrete
EP2960378B1 (en) Pipe supp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0892030B1 (ko) 상하 반면부에서 굴곡도가 큰 단면 세그먼트와 굴곡도가작은 단면 세그먼트를 갖는 신축자재식 크레인 지브
US8887763B2 (en) Arm made of composite material and relative production method
US20150090850A1 (en) Segment of an articulated arm and articulated arm comprising said segment
US20170254101A1 (en) Articulated boom
US10378182B2 (en) Excavator boom and excavator
JP5661011B2 (ja) 橋梁用上部工の製造方法、橋梁及び橋梁用上部工
CN109667385A (zh) 一种钢筋混凝土超短柱
EP3363764B1 (en) Work machine boom
US20190127998A1 (en) Hollow two-point lever
CN107109853B (zh) 柱臂和混凝土分配柱
JP6245768B2 (ja) バケット
KR20230175250A (ko) 콘크리트 펌프의 붐 아암 세그먼트
CN208293764U (zh) 一种高强度加固h型钢结构
US20240133191A1 (en) Boom-arm seg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boom-arm segment
CN206737228U (zh) 一种钢混空心楼盖
CN211258640U (zh) 湿喷机的平衡节连接结构
CN106536825A (zh) 桥梁施工方法及桥梁结构
CN208899739U (zh) 一种楼面钢承板
JPS58222220A (ja) 作業用車両におけるブ−ムのブ−ム素体
CN117795169A (zh) 用于混凝土泵的可伸缩杆段和用于生产可伸缩杆段的方法
RU49044U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ержнев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