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794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794A
KR20200099794A KR1020190017843A KR20190017843A KR20200099794A KR 20200099794 A KR20200099794 A KR 20200099794A KR 1020190017843 A KR1020190017843 A KR 1020190017843A KR 20190017843 A KR20190017843 A KR 20190017843A KR 20200099794 A KR20200099794 A KR 20200099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mperature
control signal
during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미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794A/ko
Priority to DE102019129900.4A priority patent/DE102019129900A1/de
Priority to US16/683,926 priority patent/US11031067B2/en
Priority to CN201911273018.8A priority patent/CN111583980B/zh
Publication of KR2020009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individual to each memory cell, i.e. internal refresh
    • G11C11/4023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individual to each memory cell, i.e. internal refresh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26Temperature related aspects of refresh oper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8Safety or protection circuits, e.g. for preventing inadvertent or unauthorised reading or writing; Status cells; Test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4Bit-line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7Bit-line organisation, e.g. bit-line layout, folded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4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with means for avoiding disturbances due to temperature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8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슈도 극저온(pseudo cryogenic)을 포함하는 온도 범위일 때, 증폭 구간 동안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고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3 제어신호를 활성화기 위한 제어기;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 구간 중 초기 구간 동안 제1 전원라인을 제1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 드라이버;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 구간 중 후기 구간 동안 상기 제1 전원라인을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제2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 드라이버; 상기 제3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2 전원라인을 제3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3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원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온도 범위일 때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상기 초기 구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3 전압을 이용하여 1차 증폭하고 상기 후기 구간 동안 상기 제2 및 제3 전압을 이용하여 2차 증폭하기 위한 감지 증폭기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온일 때 보다 저온일 때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더 상승한다. 즉, 상온일 때보다 저온일 때 상기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나빠진다. 상기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나빠지면, 예를 들어, 디램(DRAM)을 비롯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메모리 셀(memory cell)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기 위한 감지 증폭기의 오프셋(offset)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감지 증폭기의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이 열화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온용 트랜지스터를 개발할 수 있겠으나, 상기 저온용 트랜지스터는 상온에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범용성이 떨어진다. 상기 범용성을 높이기 위해 저온용 트랜지스터와 상온용 트랜지스터를 모두 구성할 경우 공정 비용이 상승하므로 가격 경쟁력에서 불리하다.
최근, 극저온(cryogenic)에서 동작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디램은 상온에서 동작하는 디램과 비교했을 때 메모리 셀의 데이터 유지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그러므로,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디램은 리프레쉬(refresh) 동작을 거의 실시하지 않거나 또는 리프레쉬 주기를 최대로 늘림으로써,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극저온(cryogenic)에서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극저온에서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을 확보하는 동시에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온 및 극저온에서 이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슈도 극저온(pseudo cryogenic)을 포함하는 온도 범위일 때, 증폭 구간 동안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고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3 제어신호를 활성화기 위한 제어기;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 구간 중 초기 구간 동안 제1 전원라인을 제1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 드라이버;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 구간 중 후기 구간 동안 상기 제1 전원라인을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제2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 드라이버; 상기 제3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2 전원라인을 제3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3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원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온도 범위일 때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상기 초기 구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3 전압을 이용하여 1차 증폭하고 상기 후기 구간 동안 상기 제2 및 제3 전압을 이용하여 2차 증폭하기 위한 감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는 77K ± 7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은 각각 제1 및 제2 고전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전압은 저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라인 쌍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메모리 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은 비트 라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온도 범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온을 포함하는 제1 온도 범위일 때 증폭 구간 동안 제1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슈도 극저온(pseudo cryogenic)을 포함하는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3 제어신호를 공통으로 활성화기 위한 제어기;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전원라인을 제1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 드라이버;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원라인을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제2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 드라이버; 상기 제3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전원라인을 제3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3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원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을 이용하여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고, 상기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상기 증폭 구간 중 초기 구간 동안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을 이용하여 1차 증폭하고 상기 증폭 구간 중 후기 구간 동안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을 이용하여 2차 증폭하기 위한 감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 범위는 77K ± 7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범위는 상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은 각각 제1 및 제2 고전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전압은 저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라인 쌍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메모리 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은 비트 라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온도 범위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온도 플래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플래그 신호와 액티브 신호와 프리차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온을 포함하는 제1 온도 범위일 때 증폭 구간 동안 제1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슈도 극저온(pseudo cryogenic)을 포함하는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2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3 제어신호를 공통으로 활성화기 위한 제어기;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전원라인을 제1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 드라이버;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원라인을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제2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 드라이버; 상기 제3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전원라인을 제3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3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원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을 이용하여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고, 상기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기 위한 감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 범위는 77K ± 7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범위는 상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은 각각 제1 및 제2 고전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전압은 저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라인 쌍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메모리 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은 비트 라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온도 범위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온도 플래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플래그 신호와 액티브 신호와 프리차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극저온(cryogenic)일 때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이 향상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센싱 마진이 향상될 때 제1 및 제2 전류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온 및 극저온에서 이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짐으로써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중 상온일 때의 동작을 일예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중 극저온일 때의 동작을 일예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중 상기 극저온일 때의 동작을 다른 예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극저온(cryogenic)은, 예를 들어, 77K ± 7K에 대응하는 제1 온도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77K ± 7K에 대응하는 온도 범위에 포함되는 상기 극저온을 슈도 극저온(pseudo cryogenic)이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슈도 극저온은 CMOS 소자가 동작 가능한 온도 범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온은 슈도 극저온보다 높은 제2 온도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블록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메모리 셀(110), 제1 드라이버(120), 제2 드라이버(130), 제3 드라이버(140), 감지 증폭기(150), 온도 센서(160), 및 제어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110)은 비트 라인 쌍(BLT, BLB) 중 어느 하나의 라인과, 워드 라인(WL)에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 셀(110)은 정 비트 라인(BLT)과 워드 라인(WL)에 접속될 수 있다. 메모리 셀(110)은 워드 라인(WL)을 통해 인가된 전압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될 경우 비트 라인 쌍(BLT, BLB)에 실린 데이터를 라이트(write)하거나 또는 리드(read)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 셀(110)은 NMOS 트랜지스터(NN)와 커패시터(C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120)는 제1 제어신호(SAP1)에 기초하여 제1 전원 라인(RTO)을 제1 고전압(VCORE1)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120)는 상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인에이블되어 제1 전원 라인(RTO)을 제1 고전압(VCORE1)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12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또는, 제1 드라이버(12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중 초기 구간(tA) 동안 인에이블되어 제1 전원 라인(RTO)을 제1 고전압(VCORE1)으로 구동할 수 있고 증폭 구간(tSA) 중 후기 구간(tB) 동안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드라이버(120) PMOS 트랜지스터(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130)는 제2 제어신호(SAP2)에 기초하여 제1 전원 라인(RTO)을 제2 고전압(VCORE2)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2 고전압(VCORE2)은 제1 고전압(VCORE1)보다 높고 소정의 전압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전압은 메모리 셀(110)에 포함된 NMOS 트랜지스터(NN)의 턴온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130)는 상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13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인에이블되어 제1 전원 라인(RTO)을 제2 고전압(VCORE2)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는, 제2 드라이버(13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중 초기 구간(tA) 동안 디스에이블될 수 있고 증폭 구간(tSA) 중 후기 구간(tB) 동안 인에이블되어 제1 전원 라인(RTO)을 제2 고전압(VCORE2)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드라이버(130)는 PMOS 트랜지스터(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드라이버(140)는 제3 제어신호(SAN)에 기초하여 제2 전원 라인(SB)을 저전압(VSS)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130)는 상온 및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제2 전원 라인(SB)을 저전압(VSS)으로 구동할 수 있다. 즉, 제3 드라이버(140)는 상온 및 슈도 극저온일 때 공통으로 인에이블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드라이버(140)는 NMOS 트랜지스터(N1)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증폭기(150)는 제1 및 제2 전원라인(RTO, SB) 사이에 접속될 수 있고, 비트 라인 쌍(BLT, BLB)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감지 증폭기(150)는 상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제1 고전압(VCORE1)과 저전압(VSS)을 이용하여 비트 라인 쌍(BLT, BLB)의 전압 차이를 증폭할 수 있다. 감지 증폭기(15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구간(tSA) 동안 제2 고전압(VCORE2)과 저전압(VSS)을 이용하여 비트 라인 쌍(BLT, BLB)의 전압 차이를 증폭할 수 있다. 또는, 감지 증폭기(150)는 슈도 극저온일 때 비트 라인 쌍(BLT, BLB)의 전압 차이를 증폭 구간(tSA) 중 초기 구간(tA) 동안 제1 고전압(VCORE1)와 저전압(VSS)을 이용하여 1차 증폭한 다음 증폭 구간(tSA) 중 후기 구간(tB) 동안 제2 고전압(VCORE2)와 저전압(VSS)을 이용하여 2차 증폭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증폭기(150)는 래치 타입의 감지 증폭기(latch type sense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0)는 슈도 극저온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온도 범위를 감지할 수 있고, 상온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온도 범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0)는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를 생성할 수 있다.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는 단일 비트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멀티 비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는 상온일 때 논리 로우 레벨(또는 논리 하이 레벨)을 가질 수 있고 극저온일 때 논리 하이 레벨(또는 논리 로우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제어기(170)는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와 액티브 신호(ACT)와 프리차지 신호(PCG)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SAP1, SAP2, SAN)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상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제1 제어신호(SAP1)를 활성화할 수 있고 제2 제어신호(SAP2)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제1 제어신호(SAP1)을 비활성화할 수 있고 제2 제어신호(SAP2)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제어기(17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중 초기 구간(tA) 동안 제1 제어신호(SAP1)를 활성화하고 제2 제어신호(SAP2)를 비활성화할 수 있고 증폭 구간(tSA) 중 후기 구간(tB) 동안 제1 제어신호(SAP1)를 비활성화하고 제2 제어신호(SAP2)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어기(17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제1 제어신호(SAP1)와 제2 제어신호(SAP2) 중 제2 제어신호(SAP2)만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제1 제어신호(SAP1)와 제2 제어신호(SAP2)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상온 및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제3 제어신호(SAN)를 공통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상온일 때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동작을 일예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 센서(160)는 상온에 대응하는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 센서(160)는 상온일 때 논리 로우 레벨의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를 생성할 수 있다.
액티브 신호(ACT)가 활성화되면, 워드 라인(WL)을 통해 인가된 전압에 따라 메모리 셀(110)이 선택된다. 이에 따라, 비트 라인 쌍(BLT, BLB) 중 정 비트 라인(BLT)과 메모리 셀(110) 사이에 전하 공유(charge sharing)가 일어나면서 정 비트 라인(BLT)과 부 비트 라인(BLB) 사이에는 전압 차이(ΔV1)가 발생한다.
제어기(170)는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와 액티브 신호(ACT)와 프리차지 신호(PCG)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SAP1, SAP2, SAN)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170)는 상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제1 및 제3 제어신호(SAP1, SAN)를 활성화할 수 있고 제2 제어신호(SAP2)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120)는 활성화된 제1 제어신호(SAP1)에 기초하여 증폭 구간(tSA) 동안 제1 전원 라인(RTO)을 제1 고전압(VCORE1)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3 드라이버(140)는 활성화된 제3 제어신호(SAN)에 기초하여 증폭 구간(tSA) 동안 제2 전원 라인(SB)을 저전압(VSS)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드라이버(130)는 비활성화된 제2 제어신호(SAP2)에 기초하여 증폭 구간(tSA) 동안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감지 증폭기(150)는 증폭 구간(tSA) 동안 제1 고전압(VCORE1)과 저전압(VSS)을 이용하여 비트 라인 쌍(BLT, BLB)의 전압 차이(ΔV1)를 증폭할 수 있다.
도 3에는 슈도 극저온일 때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동작을 일예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도 센서(160)는 슈도 극저온에 대응하는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 센서(160)는 슈도 극저온일 때 논리 하이 레벨의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를 생성할 수 있다.
액티브 신호(ACT)가 활성화되면, 워드 라인(WL)을 통해 인가된 전압에 따라 메모리 셀(110)이 선택된다. 이에 따라, 비트 라인 쌍(BLT, BLB) 중 정 비트 라인(BLT)과 메모리 셀(110) 사이에 전하 공유(charge sharing)가 일어나면서 정 비트 라인(BLT)과 부 비트 라인(BLB) 사이에는 전압 차이(ΔV2)가 발생한다.
제어기(170)는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와 액티브 신호(ACT)와 프리차지 신호(PCG)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SAP1, SAP2, SAN)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17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제2 및 제3 제어신호(SAP2, SAN)를 활성화할 수 있고 제1 제어신호(SAP1)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130)는 활성화된 제2 제어신호(SAP2)에 기초하여 증폭 구간(tSA) 동안 제1 전원 라인(RTO)을 제2 고전압(VCORE2)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3 드라이버(140)는 활성화된 제3 제어신호(SAN)에 기초하여 증폭 구간(tSA) 동안 제2 전원 라인(SB)을 저전압(VSS)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드라이버(120)는 비활성화된 제1 제어신호(SAP1)에 기초하여 증폭 구간(tSA) 동안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감지 증폭기(150)는 증폭 구간(tSA) 동안 제2 고전압(VCORE2)과 저전압(VSS)을 이용하여 비트 라인 쌍(BLT, BLB)의 전압 차이(ΔV2)를 증폭할 수 있다.
도 4에는 슈도 극저온일 때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의 동작을 다른 예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온도 센서(160)는 슈도 극저온일 때 논리 하이 레벨의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온도 센서(160)는 슈도 극저온에 대응하는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를 생성할 수 있다.
액티브 신호(ACT)가 활성화되면, 워드 라인(WL)을 통해 인가된 전압에 따라 메모리 셀(110)이 선택된다. 이에 따라, 비트 라인 쌍(BLT, BLB) 중 정 비트 라인(BLT)과 메모리 셀(110) 사이에 전하 공유(charge sharing)가 일어나면서 정 비트 라인(BLT)과 부 비트 라인(BLB) 사이에는 전압 차이(ΔV2)가 발생한다.
제어기(170)는 온도 플래그 신호(TC_FLAG)와 액티브 신호(ACT)와 프리차지 신호(PCG)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SAP1, SAP2, SAN)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17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중 초기 구간(tA) 동안 제1 제어신호(SAP1)를 활성화할 수 있고 제2 제어신호(SAP2)를 비활성화할 수 있고 증폭 구간(tSA) 중 후기 구간(tB) 동안 제1 제어신호(SAP1)를 비활성화할 수 있고 제2 제어신호(SAP2)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슈도 극저온일 때 증폭 구간(tSA) 동안 제3 제어신호(SAN)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120)는 활성화된 제1 제어신호(SAP1)에 기초하여 초기 구간(tA) 동안 제1 전원 라인(RTO)을 제1 고전압(VCORE1)으로 구동할 수 있고, 비활성화된 제1 제어신호(SAP1)에 기초하여 후기 구간(tB) 동안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130)는 비활성화된 제2 제어신호(SAP2)에 기초하여 초기 구간(tB) 동안 디스에이블될 수 있고, 활성화된 제2 제어신호(SAP2)에 기초하여 후기 구간(tB) 동안 제2 전원 라인(RTO)을 제2 고전압(VCORE2)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3 드라이버(140)는 활성화된 제3 제어신호(SAN)에 기초하여 증폭 구간(tSA) 동안 제2 전원 라인(SB)을 저전압(VSS)으로 구동할 수 있다.
감지 증폭기(150)는 초기 구간(tA) 동안 제1 고전압(VCORE1)과 저전압(VSS)을 이용하여 비트 라인 쌍(BLT, BLB)의 전압 차이(ΔV2)를 1차 증폭한 다음 후기 구간(tB) 동안 제2 고전압(VCORE2)과 저전압(VSS)을 이용하여 비트 라인 쌍(BLT, BLB)의 전압 차이를 2차 증폭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들(도 2 내지 도4의 동작들)은 특정 모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모드는 리드(read) 모드, 라이트(write) 모드, 리프레쉬(refresh)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슈도 극저온일 때의 동작들(도 3 및 도 4의 동작들)은 다음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슈도 극저온일 때의 동작들(도 3 및 도 4의 동작들)이 상기 라이트 모드에서 실시되면, 메모리 셀(110)에는 정 비트 라인(BLT)에 실린 데이터, 즉 제2 고전압(VCORE2)으로 증폭된 데이터가 라이트될 수 있다. 이후 다른 모드(상기 리드 모드, 상기 라이트 모드, 상기 리프레쉬 모드 등)가 실시되어 메모리 셀(110)과 정 비트 라인(BLT) 사이에 전하 공유(charge sharing)가 일어나면, 비트 라인 쌍(BLT, BLB)은 제1 전압 차이(ΔV1)보다 큰 제2 전압 차이(ΔV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슈도 극저온일 때 감지 증폭기(150)의 오프셋(offset)이 증가하더라도 비트 라인 쌍(BLT, BLB) 사이에는 제1 전압 차이(ΔV1)보다 큰 제2 전압 차이(ΔV2)가 발생하기 때문에 감지 증폭기(150)의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슈도 극저온에서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이 향상되면서도 상기 센싱 마진을 향상시킬 때 낮은 레벨의 제1 고전압과 높은 레벨의 제2 고전압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상온 및 슈도 극저온에서 모두 이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으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0 : 메모리 셀
120 : 제1 드라이버 130 : 제2 드라이버
140 : 제3 드라이버 150 : 감지 증폭기
160 : 온도 센서 170 : 제어기

Claims (17)

  1. 슈도 극저온(pseudo cryogenic)을 포함하는 온도 범위일 때, 증폭 구간 동안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고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3 제어신호를 활성화기 위한 제어기;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 구간 중 초기 구간 동안 제1 전원라인을 제1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 드라이버;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 구간 중 후기 구간 동안 상기 제1 전원라인을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제2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 드라이버;
    상기 제3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2 전원라인을 제3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3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원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온도 범위일 때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상기 초기 구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3 전압을 이용하여 1차 증폭하고 상기 후기 구간 동안 상기 제2 및 제3 전압을 이용하여 2차 증폭하기 위한 감지 증폭기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범위는 77K ± 7K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은 각각 제1 및 제2 고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압은 저전압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 쌍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메모리 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은 비트 라인 쌍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범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상온을 포함하는 제1 온도 범위일 때 증폭 구간 동안 제1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슈도 극저온(pseudo cryogenic)을 포함하는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3 제어신호를 공통으로 활성화기 위한 제어기;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전원라인을 제1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 드라이버;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원라인을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제2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 드라이버;
    상기 제3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전원라인을 제3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3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원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을 이용하여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고, 상기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상기 증폭 구간 중 초기 구간 동안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을 이용하여 1차 증폭하고 상기 증폭 구간 중 후기 구간 동안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을 이용하여 2차 증폭하기 위한 감지 증폭기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 범위는 77K ± 7K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범위는 상온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은 각각 제1 및 제2 고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압은 저전압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 쌍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메모리 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은 비트 라인 쌍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온도 범위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온도 플래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플래그 신호와 액티브 신호와 프리차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상온을 포함하는 제1 온도 범위일 때 증폭 구간 동안 제1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슈도 극저온(pseudo cryogenic)을 포함하는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2 제어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제3 제어신호를 공통으로 활성화기 위한 제어기;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전원라인을 제1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 드라이버;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원라인을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제2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 드라이버;
    상기 제3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전원라인을 제3 전압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3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원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을 이용하여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고, 상기 제2 온도 범위일 때 상기 증폭 구간 동안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증폭하기 위한 감지 증폭기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 범위는 77K ± 7K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범위는 상온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은 각각 제1 및 제2 고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압은 저전압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 쌍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메모리 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은 비트 라인 쌍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온도 범위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온도 플래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플래그 신호와 액티브 신호와 프리차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190017843A 2019-02-15 2019-02-15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200099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43A KR20200099794A (ko) 2019-02-15 2019-02-15 반도체 메모리 장치
DE102019129900.4A DE102019129900A1 (de) 2019-02-15 2019-11-06 Halbleiterspeichervorrichtung
US16/683,926 US11031067B2 (en) 2019-02-15 2019-11-14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ecuring sensing margin at cryogenic temperature
CN201911273018.8A CN111583980B (zh) 2019-02-15 2019-12-12 半导体存储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43A KR20200099794A (ko) 2019-02-15 2019-02-15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794A true KR20200099794A (ko) 2020-08-25

Family

ID=7184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843A KR20200099794A (ko) 2019-02-15 2019-02-15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31067B2 (ko)
KR (1) KR20200099794A (ko)
CN (1) CN111583980B (ko)
DE (1) DE1020191299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181B1 (ko) * 2006-04-03 2007-05-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및 그의구동방법
DE102006021527B3 (de) * 2006-05-09 2007-09-13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r Halbleiterspeich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integrierten Halbleiterspeichers
KR20120086067A (ko) * 2011-01-25 2012-08-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60001948A (ko) * 2014-06-30 2016-01-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JP6462410B2 (ja) * 2015-02-26 2019-01-3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テストプログラムおよびテスト方法
KR102468819B1 (ko) * 2016-08-25 2022-11-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압 공급 회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62948B2 (en) 2016-12-09 2020-09-01 Rambus Inc. Floating body DRAM with reduced access energy
KR20200065703A (ko) * 2018-11-30 2020-06-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83980B (zh) 2023-09-08
US11031067B2 (en) 2021-06-08
US20200265889A1 (en) 2020-08-20
DE102019129900A1 (de) 2020-08-20
CN111583980A (zh)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6358B1 (en)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US7158430B2 (en) Bit line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US20120008446A1 (en) Precharg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1003574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구동방법
US9343137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9324408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20170143125A (ko) 기준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100695524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0005288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20009979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99875B1 (ko) 센스앰프 구조를 개선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49023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ense amplifier that is selectively disabled
US1014107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812098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a method of controlling a BIT line sense amplifier is improved
KR101171254B1 (ko) 비트라인 센스앰프 제어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468819B1 (ko) 전압 공급 회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0003211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센스 앰프 제어 방법
KR2011006041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40028556A (ko) 차동 신호 전송 구조를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00131550A (ko)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감지 회로
US20080080273A1 (en) Over-drive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60046135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KR100780641B1 (ko) 이중 오버 드라이버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695285B1 (ko)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 구동 회로 및 방법
KR2006003926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앰프 구동전압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