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766A - 전력구 모듈화 공법 공정 기술 - Google Patents
전력구 모듈화 공법 공정 기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9766A KR20200099766A KR1020190017792A KR20190017792A KR20200099766A KR 20200099766 A KR20200099766 A KR 20200099766A KR 1020190017792 A KR1020190017792 A KR 1020190017792A KR 20190017792 A KR20190017792 A KR 20190017792A KR 20200099766 A KR20200099766 A KR 202000997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
- module structure
- cable
- vertical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구 내에 케이블 포설을 위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미리 제작하여 전력구내에 설치함으로써 케이블 포설 작업에 대한 작업 생산성을 높이고, 전력구와 통하는 수직구에 가이드수단을 설치하여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전력구로 하강시 전력구 내에 설치된 레일부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a) 전력구와 통하는 수직구의 선단부에 가이드수단을 설치하는 단계;(b) 전력구의 바닥면에 레일부를 설치하는 단계;(c)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상기 가이드수단을 통해 가이드시키면서 수직구를 통해 하강하여 레일부에 안착시키는 단계;(d)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목표 지점까지이동시키는 단계;(e) 상기 목표 지점에서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및 상기 (e) 단계는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복수개 각각에 대하여 상기 목표 지점을 갱신하며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a) 전력구와 통하는 수직구의 선단부에 가이드수단을 설치하는 단계;(b) 전력구의 바닥면에 레일부를 설치하는 단계;(c)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상기 가이드수단을 통해 가이드시키면서 수직구를 통해 하강하여 레일부에 안착시키는 단계;(d)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목표 지점까지이동시키는 단계;(e) 상기 목표 지점에서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및 상기 (e) 단계는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복수개 각각에 대하여 상기 목표 지점을 갱신하며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미리 제작하여 전력구 내에 케이블 포설 작업에 대한 생산성을 높이고,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전력구로 하강시 안전하고 정확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배전설비는 가공설비에 비해 전력의 안정공급 및 공급신뢰도 향상, 도시환경미화 등의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우수하여, 매년 지중배전설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예컨대 고압선이나 아파트 단지내의 전기는 공동구를 만들어 지하로 매설하면 전기의 위험이나 도심의 공중에 전선이 사라져 도심의 미관을 깨끗하게 유짓킬 수 있으며 전기 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중배전설비를 위해 지중전력구터널(이하, '전력구'라 함)이 시공된다.
전력구는 지하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지상과 소통할 수 있는 수직구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력구의 내부에 배전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상에서 배전케이블을 수직구를 통해 진입시켜 전력구 내부로 이동시키는 풀링 작업과, 풀링된 케이블을 전력구 내부에 배치하는 케이블 포설 작업이 실시된다.
이때, 케이블 포설 작업을 위해, 케이블 행거가 제공된다.
상기 케이블 행거는 전력구내 송,배전선로를 위해 가설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프레임 등의 금구류로서,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876571호 케이블 행거』 등을 통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 행거는 전력구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블 포설 후, 시공 및 유지 보수 등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케이블 행거 및 케이블 행거를 통해 전력구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작업은 케이블 행거 및 상기 케이블 행거에 제반되는 프레임 등 조립에 작업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블 행거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 케이블 포설 시간이 증가되는 등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구 내에 케이블 설치를 위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사전 제작한 후, 전력구 내에 배치해 놓음으로써 케이블 포설 작업을 위한 맨아워 절감 및 공기 단축을 통해 전력구 내 케이블 포설 작업에 대한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가이드수단을 통해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전력구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전력구와 통하는 수직구의 선단부에 가이드수단을 설치하는 단계;(b) 전력구의 바닥면에 레일부를 설치하는 단계;(c)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상기 가이드수단을 통해 가이드시키면서 수직구를 통해 하강하여 레일부에 안착시키는 단계;(d)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목표 지점까지이동시키는 단계;(e) 상기 목표 지점에서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및 상기 (e) 단계는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복수개 각각에 대하여 상기 목표 지점을 갱신하며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력구내 케이블 포설을 위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사전에 제작하고, 이를 전력구 내에 배치한 후 케이블 포설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맨아워 및 케이블 포설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공정에서 모듈 구조체를 미리 제작하여 포설 현장에 공급함으로써, 맨아워 절감은 물론 포설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어 케이블 포설 작업에 대한 공수를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 포설 작업에 대한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력구과 통하는 수직구에 설치된 워크웨이(walkway) 간격을 모듈 구조체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치하고, 수직구에 가이드수단을 설치하여 그 가이드수단을 통해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가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직구로 하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중앙 구조부와 중앙 구조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 거치 구조부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케이블 포설을 위한 프레임 조립을 위해 기존에 필요로 했던 많은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레일부를 따라 구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 유닛의 승하강 구동 유닛을 통해 연직 포스트가 구름장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하강 됨으로써, 레일부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연직 포스트 각각의 레벨 조정이 가능하여, 연직 포스트 간 레벨 편차로 인해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레일 이동중 어느 한쪽으로 가해지는 편하중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전도사고, 파손, 고장 등을 레벨 편차 해소를 위한 승하강 조정을 통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전송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레벨 센서의 측정값을 전송함으로써,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연직 포스트의 각각의 레벨 편차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일거에 확인할 수 있어, 레벨 편차 발생에 따른 전도사고, 장치 파손 내지 고장 등의 발생전 보다 즉각적으로 레벨 편차 해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작업자가 진입이 어려운 케이블 거치 구조부에 진입하지 않고도 중앙 구조부 내의 작업 가능 공간에서 높이 조절 포스트와 측방 가압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전력구의 측방 지지와 전력구의 바닥 지지를 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중앙 구조부가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c는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d는 승하강 구동 유닛 및 지지 부재의 도시를 생략한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중앙 구조부가 레일부를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 완료한 도착 상태
에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상부 포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원터치 체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 중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수직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중앙 구조부가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c는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d는 승하강 구동 유닛 및 지지 부재의 도시를 생략한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중앙 구조부가 레일부를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 완료한 도착 상태
에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상부 포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원터치 체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 중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수직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는 플랜트 전력구 공사 지하 전력선 케이블
포설을 위한 철 구조물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는 전력구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모듈 구조체일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케이블 거치 구조부의 도시를 생략한 케이블 포설용 모
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중앙 구조부가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상태에 있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는 내부에 작
업 가능 공간(110)이 형성되고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
포스트(120)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갖는 중앙 구조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중앙 구조부(100)는 횡 방향을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연직 포스트(120)가 한 쌍을 이루어(도 3 참조), 3쌍의 연직 포스트(120)가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도 2 참조)되는 골조(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이처럼 연직 포스트(120)는 6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중앙 구조부(100)에 작용하는 외력을 견딜 수 있을 만큼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직 포스트(120)는 종 방향을 따라 1500m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횡 방향을 따라 2265m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직 포스트(120)는 알파벳 H 형태의 단면을 갖는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직 포스트(120)는 강재(이를 테면 H형강)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중앙 구조부(100)는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 포스트(120)의 상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종 방향 부재(140)(세로보 또는 종 방향 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종 방향 부재(140)는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연직 포스트(120)의 사이마다 1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종 방향 부재(140)는 I 빔(I-Beam) 또는 H 빔(H-Beam)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종 방향 부재(140)는 강재(이를 테면 I형강 또는 H형강)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구조부(100)는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종 방향 부재(140) 사이를 연결하는 횡 방향 부재(150)(가로보 또는 횡 방향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횡 방향 부재(150)는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즉, 중앙 구조부(100)는 연직 포스트(120), 종 방향 부재(140) 및 횡 방향 부재(150)를 포함하는 뼈대 구조일 수 있고, 그 뼈대 구조의 내부에 작업 가능 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 가능 공간(110)은 중앙 복도식이라 할 수 있다. 연직 포스트(120)는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한 쌍의 연직 포스트(120) 사이 공간에 작업 가능 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상하 방향 길이(높이) 역시 작업 가능 공간(110)에서 작업자가 작업에 용이한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직 포스트(120)의 높이는 2100mm일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는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연직 포스트(120) 사이를 경사지게 가로질러 2개의 연직 포스트(120)를 연결하는 경사 브레이싱(1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를 갖는 중앙 구조부(100)가 휘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연직 포스트(120) 사이에 경사 브레이싱(1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2개의 경사 브레이싱(130)은 X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직 포스트(120), 경사 브레이싱(130), 종 방향 부재(140) 및 횡 방향 부재(150)는 볼트 결합, 용접, 리벳 결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조립되어 프레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경사 브레이싱(130)은 L형 단면을 갖는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사 브레이싱(130)은 강재(L형강)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조라 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는 중앙 구조
부(1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는 좌우 대칭(횡 방향 대칭)인 한 쌍으로 구비되어, 중앙 구조부(100)의 횡 방향 양측에 대하여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2개의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 중 중앙 구조부(100)의 횡
방향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a)는, 중앙 구조부(100)로부터 횡 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는 캔틸레버부(210) 및 캔틸레버부(2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높이 조절 포스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a)의 캔틸레버부(210)는 횡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일 수 있으며 그 타단이 중앙 구조부(100)에 대하여 고정(구속)되고, 그 일단이 자유단인 캔틸레버(외팔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포스트(220)는 제1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a)의 캔틸레버부(210)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캔틸레버부(210)는 하측으로 대략 2100mm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a)의 높이 조절 포스트(220)는 캔틸레버부(210)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측으로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캔틸레버부(210)는 상측으로 대략 1056mm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 포스트(220)는 선택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a)와 마찬가지로 중앙 구조부(100)의 횡 방향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b) 역시 중앙 구조부(100)로부터 횡 방향 타측으로 돌출되는 캔틸레버부(210) 및 캔틸레버부(2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높이 조절 포스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b)는 제1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a)와 좌우 대칭인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는 케이블 거치를 위한 랙 형태일 수 있다.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는 케이블을 거치하는 전기랙 형태의 프레임 구조로, 이러한 랙 형태의 프레임 구조가 캔틸레버부(2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는 지하 공동구 전기랙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랙 구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랙 형태의 프레임 구조의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는 캔틸레버부(210)의 하측을 따라, 또는 상측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케이블을 지지하는 형태로 케이블이 거치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바(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바(240)는 캔틸레버부(210)의 상측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거치바(240)의 간격은 케이블의 직경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거치바(240)는 상하 방향을 따라 300mm 내지 350mm의 간격(부재 중심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바(240)는 상호 대응하는 수평 레벨에 대하여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바(240) 상에 종 방향을 따라 연장된 케이블이 놓이는
형태로 케이블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바(240)는 높이 조절 포스트(220)와 연직 포스트(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a)의 경우, 거치바(240)는 그 일단이 높이조절 포스트(220)와 연결될 수 있고, 그 타단이 보조 포스트(25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포스트(250)는 캔틸레버부(210)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조 포스트(250) 중 적어도 일부는 연직 포스트(120)와 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포스트(250) 중 적어도 일부가 연직 포스트(120)와 이웃하게 배치됨으로써, 캔틸레버부(210)에 가해지는 제1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a)의 자중 및 이에 포설(배치)되는케이블의 자중을, 보조 포스트(250)와 적어도 일부 접촉되는 형태로 이웃하는 연직포스트(120)도 분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케이블 거치구조부(200a)의 보조 포스트(2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높이 조절 포스트(220)와 횡 방향 타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조 포스트(250)는 종 방향을 따라 1500mm 간격(부재 중심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높이 조절 포스트(220)와 횡 방향으로 따라 1041mm 간격(부재 중심간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포스트(250)가 구비된 경우, 보조 포스트(250)의 횡방향 타측면이 연직 포스트(120)의 횡 방향 일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직 포스트(120)와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조 포스트(250)는 연직 포스트(1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는 전력구의 종
방향 경로를 따라 놓인 레일부(300)를 따라 중앙 구조부(100)가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부(300) 상에 안착되어 복수의 연직 포스트(120)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구름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종 방향 경로를 따라 놓인 레일부(300)는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레일부(300)의 레일은 I형 레일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레일의 높이는 100mm일 수 있다. 구름 장치(400)는 한 쌍의 레일 각각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구름 장치(400)의 개수는 연직 포스트(12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연직 포스트(120)를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직 포스트(120)가 6개 구비된 경우, 구름 장치(400) 역시 6개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종 방향 일측에서 바라본 도
면)이고, 도 4b는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횡 방향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4c는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d는 승하강 구동 유닛 및 지지 부재의 도시를 생략한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 구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구름 장치(400) 각각은, 종 방향을 따라 구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 유닛(4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구름 장치(400) 각각은 유압 캐스터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복수의 구름 장치(400)는 레일용 유압 캐스터만 포함할 수 있고, 일반용 유압 캐스터만 포함 할 수 있으며, 레일용 유압 캐스터와 일반용 유압 캐스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름 장치(400)는 중앙 구조부(100)가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부(300) 상에 안착되어 종 방향을 따라 구름 동작하는 롤러 유닛(41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유닛(410)은 캐스터(411)를 포함할 수 있다. 캐스터(411)는 레일(300) 상부를 이탈없이 움직일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411)는 본 케이블 포설 모듈 구조체(1)와 같은 중량물을 지지하며 구름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capacity)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하나의 롤러 유닛(410)에 대하여 캐스터(411)는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캐스터(411)는 레일의 상면 및 좌측면과 접촉되고, 그 중 다른 하나의 캐스터(411)는 레일의 상면 및 우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캐스터(411) 는 횡 방향으로 상호 더욱 가까워지거나 더욱 멀어지도록 횡 방향 간격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볼트와 너트 간 나사 결합
량을 조절함으로써, 2개의 캐스터(41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캐스터(411)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롤러 유닛(410)이 레일에 대하여 더욱 최적으로 맞물려 구름 이동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롤러 유닛(410)은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에 종 방향에 대한 외력이 가해지면 레일부(300)를 따라 구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복수의 구름 장치(400) 각각에는 브레이크 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500)는 브레이크 패드(510), 레버(520) 및 스프링(53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500)는, 구름 장치(400)의 종 방향 양측 중 구름 장치(400)가 지지하는 연직 포스트(120)가 배치된 측이 아닌 그 반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500)는 연직 포스트(120)에 대하여 간섭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작업 가능 공간(110)에서 작업자가 브레이크 장치(500)를 조작할 수 있다. 작업 가능 공간(110)에서 작업자가 레버(520)를 하측으로 조작(예를 들면, 작업자가 자신의 발 등을 사용하여 레버(520)를 눌러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면, 브레이크 패드(510)의 적어도 일부가 캐스터(41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캐스터(411) 회전에 저항을 가해 캐스터(411)가 레일부(300)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스프링(530)은, 브레이크 패드(510)와 레버(520) 사이에 위치해 레버(520)가 하측으로 조작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패드(510)가 캐스터(411)에 충분한 밀착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레버(520)를 다시 상측으로 조작하면 브레이크 패드(510)와 캐스터(411)의 접촉이 해제되어 캐스터(411)가 레일부(300)를 따라 구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레버(520)의 조작 방향은 하측(브레이크 작용) 및 상측(브레이크 해제)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구름 장치(400) 각각에는 브레이크 장치(500)가 설치되어 하부 캐스터(411)에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연직 포스트(120)는 종 방향 양 측면 중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받침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121)는 연직 포스트(120)의 종 방향 양 측면 중 일 측면으로부터 종 방향 일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구름 장치(400) 중 어느 하나는 2개의 연직 포스트(120)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경사 브레이싱(130)의 하단이 연결된 부분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재(121)는 복수의 구름 장치(400) 중 어느 하나와 경사 브레이싱(130)의 하단이 연결된 부분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재(121)는 복수의 구름 장치(4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지지 반력을 경사 브레이싱(130)의 하단이 연결된 부분으로 전달함으로써, 경사 브레이싱(130)이 상기 지지 반력을 보다 직접적으로 분담하도록 하여, 받침부재(121)가 단독으로 상기 지지 반력을 부담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보다 효율적인 내력 확보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받침부재(121)는 그 하면이 레일부(300)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재(121)와 레일부(300)의 레일의 사이에 구름 장치(400)가 배치되도록 받침부재(121)는 레일부(30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받침부재(121)는 레일부(300)로부터 상측으로 300mm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구름 장치(400)는 받침부재(121)에 대한 지지를 통해 연직 포스트(12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구름 장치(400) 각각은 받침부재(121)에 대한 지지가 보다 수월하도록 받침부재(121)의 하측면과 그 상측면이 면접촉되는 지지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121)와 지지 부재(430)가 면 접촉되어 연결되므로 구름 장치(400)가 종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이와 연결된 중앙 구조부(100) 역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구름 장치(400) 각각은, 롤러 유닛(4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승하강 구동 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구동 유닛(420)에 의해, 연직 포스트(120)가 구름 장치(4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승하강 구동 유닛(420)은 인력 또는 도구에 의해 그 승하강량(스트로크량)을 수동 조절 가능한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승하강 구동 유닛(420)은 이에 마련된 레버의 왕복 운동 등을 통해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승하강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름 장치(400)가 지지하고 있는 연직 포스트(12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다만, 승하강 구동장치(420)는 상술한 수동 조작 가능한 유압 실린더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직 포스트(120)를 승하강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승하강 구동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구름 장치(400) 중 적어도 일부는, 레일부(300)의 레일을 따라 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구름 장치(400)는 각각의 승하강 구동 유닛(420)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연직 포스트(120) 각각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승하강 구동을 통해 소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구름 장치(400)가 레일부(300)의 레일을 따라 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전력구의 바닥면(20)이 고르지 못한 경우, 레일부(300)의 레일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되지 못한 경우 등에 있어서 연직 포스트(120)의 양중되는 레벨을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름 장치(400) 각각은, 승하강 구동 유닛(420)의 승하강 이동된 부분이 레일부(300)의 레일 상면 또는 전력구의 바닥면(20)으로부터 떨어진 이격 레벨(이격 높이)을 측정하는 레벨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름장치(400) 각각은, 레벨 센서의 측정값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름 장치(400) 각각의 레벨 센서는 복수의 구름 장치(400) 각각이 지지하고 있는 연직 포스트(120)가 레일 상면 또는 전력구의 바닥면(20)으로부터 양중된(들어올려진) 거리(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레벨 센서는 승하강 구동 유닛(420)에서 승하강 구동에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유닛(블록, 부재) 부분에 배치되되, 레일 상면 또는 전력구의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거리 센서(예를 들면 레이저 거리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전송 모듈은 레벨 센서에서 측정한 이격 레벨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작업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각각의 연직 포스트(120)별 이격 레벨 또는 이격 레벨간의 레벨 편차를 파악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연직 포스트(120) 각각의 이격 레벨 또는 상호 간의 레벨 편차를 시각적으로 일거에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작업자는 연직 포스트(120) 각각의 이격 레벨 또는 상호 간의 레벨 편차를 확인하여, 레벨 편차가 발생된 해당 연직 포스트(120)의 레벨 편차가 해소되도록 승하강 구동 유닛(42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조절할 수 있다.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는 상당히 큰 자중을 갖는 구조체로서, 본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가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할 때 복수의 연직 포스트(120) 각각이 양중된 레벨이 상이하여 레벨 편차가 발생함에 따라 구조체의 이동 중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게 하중(편하중)이 실리게 되면, 이동 중 전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고, 편하중이 실린 연직 포스트(120)에 대하여 설치된 구름 장치(400)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함으로 인해 구름 장치(400)나 구름 장치(400)가 지지하는 받침부재(121)가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본원의 발명자는 이러한 모듈 구조체 이동시의 곤란성을 인식하고 레벨 센서와 전송 모듈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각각의 연직 포스트(120)가 레일 상면또는 전력구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이격 레벨)간의 편차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의 이동 중에 연직 포스트(120)가 발생되는 즉시 그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른 조치(레벨 편차 해소를 위한 승하강 조절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가 목표 지점에 도달하면 승하강 구동 유닛(420)을 통해 종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연직 포스트(120)의 레벨을 케이블이 수평하게 포설(배치)될 수 있는 수준으로 최종적으로 조정(고압선 케이블의경우 수평하게 배치되지 못하고 5 mm 이상 단차(높이 편차)가 나게 되면 의도되지 않은 저항이 생기게 되므로 정밀하게 레벨을 맞출 필요가 있음)한 뒤, 연직 포스트(120)의 하단을 레일부(300)의 레일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을 참조하면, 연직 포스트(120)의 하단에는 레일부(300)의 레일과의 고정 체결을 위해 체결용 홀(122a)이 상하 방향으로 통공된 포스트 고정용 부재(12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용 부재(122)는 체결용 홀(122a)을 통해 삽입된 볼트 등의 체결용 유닛에의해 레일과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승하강 구동 유닛(420)으로 인해 연직포스트(120)가 승강되어 연직 포스트(120)의 하측면과 레일부(300) 사이에 소정의 갭(틈)이 형성되면 갭(틈)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보강 부재를 삽입한 뒤, 연직포스트(120)와 레일을 고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고정용 부재(122)는 연직 포스트(120)의 하단으로부터 종 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고정용 부재(122)는 연직 포스트(120)의 하단으로부터 종 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돌출 형성된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용 홀(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름 장치(400)는 연직 포스트(120)의 하측면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아닌 연직 포스트(1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받침부재(121)를 통해 연직 포스트(120)를 지지하여, 목표 지점에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구조체(1)가 도달하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 구름 장치(400)의 승하강 레벨 조정을 통해 복수의 연직 포스트(120)를 레일부(300)의 레일 상면 상에 안착시킨 다음, 구름 장치(400)는 다시 회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직 포스트(120)가 레일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름 장치(400)를 하강 방향으로 구동되게 조작하면, 구름 장치(400)는 상대적으로 레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받침부재(12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도 5는 중앙 구조부가 레일부를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 완료한 도착 상태
에 있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상부 포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원터치 체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 포스트(220)는, 캔틸레버부(210)와 연결되는 상부 포스트(221), 상부 포스트(221)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포스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a)에서 상부 포스트(221)는 캔틸레버부(210)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포스트(222)는 상부 포스트(221)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포스트(222)는 그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게 위치한 상부 포스트(221)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포스트(222)는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그 하측면이 전력구의 바닥면(20)과 접촉되더라도 상부 포스트(221)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 포스트(220)는 하부 포스트(222)의 슬라이드 이동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상부 포스트(221)와 하부 포스트(222)가 중첩되는 구간에 장착되는 원터치 잠금 버튼(223)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포스트(220)는 원터치 높이 조절 포스트일 수 있다. 원터치 잠금 버튼(223)은 단순 누름이나 단순 돌림을 통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원터치 잠금 버튼(223)의 조작에 의해 하부 포스트(222)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어 하부 포스트(222)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포스트(222)는 상기 잠금이 해제되면, 그 자체의 자중에 의해 상부 포스트(221)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향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포스트(221)와 맞춤 결합(맞물림결합 또는 레일 결합)될 수 있다. 원터치 잠금 버튼(223)은 하부 포스트(222)가 그 하측면이 전력구의 바닥면(20)과 접촉된 경우에도 상부 포스트(221)와 중첩되는 구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포스트(222)의 하단이 전력구의 바닥면(20)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 포스트(222)는 원터치 잠금 버튼(223)에 의해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잠금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포스트(222)의 하단이 전력구의 바닥면(20)과 접촉되어 전력구의 바닥면(20)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하부 포스트(222)는 원터치 잠금 버튼(223)에 의해 슬라이드 잠금이 해제되어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높이 조절 포스트(220)에 의해, 중앙 구조부(100)가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상태에서 전력구의 바닥면(20)으로부터 그 하단이 이격되도록 높이 조절 가능하고, 중앙 구조부(100)가 레일부(300)를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 완료한 도착 상태에서 전력구의 바닥면(20)을 그 하단이 지지하도록 높이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원터치 잠금 버튼(223)은, 상부 포스트(221)와 하부 포스트(222)가 중첩되는 구간 중 중앙 구조부(100)의 작업 가능 공간(110)을 향하는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원터치 잠금 버튼(223)은 작업자가 작업 가능 공간(110)에서 막대기와 같은 도구(tool)를 이용하여 원터치 잠금 버튼(223)을 조작(터치)할 수 있도록 작업 가능 공간(110)을 향하는 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부 포스트(221)에는 중앙 구조부(100)의 작업 가능 공간(110)을 향하는 측면에 개구부(221a)가 형성되고, 개구부(221a)의 양측에는 상부 포스트(211)의 내측에서 작업 가능 공간의 반대편 측을 향하게 돌출된 톱니(221b)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포스트(221)의 톱니(221b)는 하부 포스트(222)의 상측에 구비되는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톱니(224a)와 맞물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포스트(221)의 톱니(221b)의 형상과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톱니(224a)의 형상은, 상호 맞물림 결합시에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양 톱니는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일 방향 쐐기 결합 형태로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맞물림 결합은, 원터치 체결 유닛(224)이 하향 이동될 수 없는 형태로 상부 포스트(221)의 톱니(221b)의 상면 상에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하면이 접촉된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부 포스트(221)의 톱니(221b)는 그 첨단이 비스듬하게 상측을 향하는 형상일 수 있고,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톱니(224a)는 그 첨단이 비스듬하게 하측을 향하는 형상(이를 테면 "∠"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하부 포스트(222)는 이러한 원터치 체결 유닛(224)과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 포스트(221)는,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톱니(224a)와 맞물림 결합되고, 하부 포스트(222)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작업 가능 공간(110)을 향하는 측에는 원터치 잠금 버튼(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포스트(221)의 톱니(221b)와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톱니(224a)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하부 포스트(222)의 하단이 전력구의
바닥면(20)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원터치 잠금 버튼(223)의 조작을 통한 하부 포스트(222)의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 가능 공간(110)에서 작업자가 원터치 잠금 버튼(223)에 누름막대를 통해 누름압력을 가하면, 원터치 체결 유닛(224)이 상부 포스트(221)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부 포스트(221)의 톱니(221b)와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톱니(224a)의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포스트(222)는 그 자중에 의해 상부 포스트(221)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향 슬라이드 이동되고, 그 하측면이 전력구의 바닥면(20)과 접촉될 수 있다. 그 후, 조임 부재를 통해 원터치 잠금 버튼(223)을 조이게 되면, 언터치 잠금 버튼(223)과 원터치 체결 유닛(224)과의 나사 결합 관계에 의해, 상부 포스트(221)의 톱니(221b)와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톱니(224a)가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터치 잠금 버튼(223)은 누름 고정 볼트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조임 부재는 롱 복스렌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 포스트(221)의 외부를 감싸며 상부 포스트(2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향 슬라이드 이동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인 하부 포스트(222)는, 메인 포스트 구조물인 상부 포스트(221)의 안쪽에 생성된 톱니 모양의 홈(221a)과 원터치 체결 유닛(224)의 톱니 모양 홈(224a)의 맞물림 체결에 의해 상부 포스트(222)에 고정되어 하부 포스트(222)의 하단이 전력구의 바닥면(20)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포스트(222)의 하단이 전력구의 바닥면(20)과 이격되어 목표 지점까지 이동 완료한 도착 상태에서, 작업자는 작업자의 통로 구간인 작업 가능 공간(110)에서 누름막대로 원터치 잠금 버튼(223)의 볼트 헤드부를 누르면 하부 포스트(222)는 자중에 의해 전력구의 바닥면(20)을 향해 내려갈 수 있다. 최종적으로 롱 복스렌치를 이용해 원터치 잠금 버튼(223)을 조여 상부 포스트(221)와 하부 포스트(222)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하부 포스트(222)의 하단이 전력구의 바닥면(20)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진입이 어려운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에 작업자가 진입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중앙 구조부 내측의 작업 가능 공간(110)에서도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기(누름막대 및 롱 복스렌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원터치 잠금버튼(223)을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목표 지점에서 하부 포스트(222)의 하단이 전력구의 바닥면(20)을 지지하도록 하는 조작에 있어서의 곤란성(높이 조절 포스트가 횡 방향 가장 바깥쪽에 위치함에 따른 접근 곤란성)이 쉽게 해소될 수 있다.
중앙 통로부에서 양 끝단부 높이 조절 포스트(220)까지 트레이와 모듈렉 프레임(케이블 거치 구조부)의 간섭으로 작업자가 높이 조절 포스트(220)에 근접하여 직접 조작이 불편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유동식 하부 포스트(222)가 필요하며 조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누름 기능으로 조절이 가능한 부재인 원터치 잠금 버튼(223)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는, 이동시에는 레일부(300) 설치로 인하여 수직 포스트 프레임(높이 조절 포스트)과 전력구의 하부 바닥면(20)이 이격되어야 하고, 목표 지점에 이동되어 설치되면 연직 포스트(120)의 수직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전력구의 바닥면(20)과 이격 거리만큼 하부로 내려와 전력구의 바닥면(20)의 하중을 전달해주는 부재가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원터치 잠금버튼(223)에 의해 상부 포스트(221)에 대한 상대적 하향 슬라이드 이동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하부 포스트(222)를 구비함으로써, 레일부(300) 상에서의 이동시에는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의 기둥(높이 조절 포스트)이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이격시킬 수 있고, 목표 지점 도달시에는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의 기둥(높이 조절 포스트)이 비로소 바닥면에 안착되어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를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 변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2개의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 중 중앙 구조부(100)의 횡 방향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 거치 구조부는, 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캔틸레버부(210)에 대하여 설치되고 전력구의 일측면(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측방 가압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구조부(100)가 레일부(300)를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완료한 도착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가압 유닛(230)을 통해 전력구의 일측면(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가압 유닛(230)가 전력구의 측면(10)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앙 구조부(100)는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측방 가압 유닛(230)은,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캔틸레버부(210)와의 나사 결합에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되는 횡 방향 이동 부재(231) 및 면 방향이 전력구의 측면(10)을 향하도록 횡 방향 이동 부재(231)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가압판(2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캔틸레버부(210)는 측방 가압 유닛(230)과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캔틸레버부(210)의 종방향 측면(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종 방향(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 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재(211)에는 횡 방향 이동 부재(231)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 부재(211)의 홀의 내주면은 횡 방향 이동 부재(231)와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 가공(예를 들면 암나사 사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돌출 부재(211)의 나사 가공된 홀은 부착된 너트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재(211)는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고, 횡 방향 이동부재(231)는 복수개의 돌출부재(211) 각각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재(211) 중 적어도 둘 이상에는 너트가 부착되어 내주면에 암나사선이 형성된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암나사선이 형성된 둘 이상의 홀에 대해 횡 방향 이동 부재(231)가 나사 결합되고, 그 나사 결합량에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횡 방향 이동 부재(231)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가압판(232)은 횡 방향 이동 부재(231)가 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력구의 측면(10)과 접촉될 수 있다. 횡 방향 이동 부재(231)가 전력구의 측면(10)이 접촉되는 상태는 가압판(232)의 가압면이 전력구의 측면(10)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접촉되는 상태일 수 있다.
횡 방향 이동 부재(231) 역시 원터치 잠금 버튼(223)과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진입이 어려운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에 작업자가 진입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중앙 구조부의 작업 가능 공간(110) 측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횡 방향 이동 부재(231)는, 가압판(232)이 전력구의 측면(10)과 접촉된 상태에서도 횡 방향 타측 단부가 중앙 구조부(100)로부터 50 cm 이내에 위치하는 길이로 구비되어, 작업 가능 공간(110)에서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용 구조체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상기 케이블 포설용 구조체 시공 방법은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용 구조체 시공 방법으로서 그와 동일하거나 상응한 기술적 특징을 공유한다고 할 것이므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구조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이용한 케이
블 포설용 구조체 시공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이
용한 케이블 포설용 구조체 시공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구의 양측에 가이드수단(600)을 설치한다.(S10))
가이드수단(600)은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를 전력구내에 설치될 레일부(300)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수단(6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수직구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수단(600)은 수직구의 측벽에 직선으로 설치된 직선부(610)와 직선부(610)로부터 수직구의 외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 라운드부(620)로 구성된다.
즉, 라운드부(620)를 통해 가이드수단(600) 간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상기 라운드부(620)를 따라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가 유연하게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의 하단부는 가이드수단(600)의 라운드부(620)를 따라 직선부(610)로 가이드되면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수직구로 하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구의 바닥면(20)에 레일부(300)를 설치한다.(S20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레일부(300)는 전력구의 레일부(300) 방향 경로를 따라 전력구의 바닥면(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구의 바닥면(10)은 전력구의 터널 부분의 바닥면(10)일 수 있다. 레일부(300)는 한 쌍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레일부(300)의 레일은 I형 레일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레일부(300) 설치가 완료되면, 케이블 포설 모듈 구조체(1)를 전력구로 하강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S300)
케이블 포설 모듈 구조체(1)를 기중기 등의 중장비를 이용해 인양한 후, 상기 케이블 포설 모듈 구조체(1)의 가장자리를 상기 가이드수단(600)에 밀착시킨다.
이후, 상기 가이드수단(600)을 따라 케이블 포설 모듈 구조체(1)를 하강시킨다.
이때, 케이블 포설 모듈 구조체(1)의 가장자리는 가이드수단(600)의 라운드부(620)를 따라 직선부(610)로 가이드된 후, 전력구 바닥으로 하강된다.
상기 가이드수단(600)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수직구를 통해 전력구 바닥으로 하강된 케이블 포설 모듈 구조체(1)는 레일부(300)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일부(300)를 따라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를 목표 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에 외력을 가하면, 롤러 유닛(410)이 레일부(300)를 따라 구름 동작하여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구름 장치(400)의 롤러 유닛(410)은 레일바퀴의 역할을 수행하고, 승하강 구동 유닛(420)은 상기 롤러 유닛(410)의 구름 동작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중앙 구조부(100)의 연직 포스트(120)를 레일부(300)로부터 이격시켜 들어올리는 양중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원에 의하면, 종래의 케이블 포설을 위한 구조물과 같이 프레임 각각을 현장에서 일일이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프레임 조립이 완료된 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를 양중하여 레일부(300)를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시키면 되므로, 전력구에 대한 케이블 포설용 구조체의 시공성이 종래 대비 훨씬 높은 수준으로 확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가 목표지점에 도달하면,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S500)
이때, 중앙 구조부(100)는 복수의 구름 장치(400)의 하강 이동에 의해 연직 포스트(120)가 레일부(300) 상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직 포스트(120)는 그 하단에 형성된 고정용 부재(122)의 체결용 홀(122a)을 통해 삽입된 볼트 등의 체결용 유닛에 의해 레일과 고정될 수 있다. 2개의 케이블 거치구조부(200) 각각은, 중앙 구조부(100)로부터 횡 방향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캔틸레버부(2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높이조절 포스트(220)에 의해 전력구의 바닥면(20)에 대하여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는, 전력구의 양측면(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캔틸레버부(210)에 대하여 각각 설치되는 측방 가압 유닛(230)이 전력구의 양측면(10)을 가압함으로써 횡 방향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400 단계 및 S500 단계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 복수개 각각에 대
하여 목표 지점을 갱신하며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복수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 모두가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S400 단계 및 S500 단계는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력구의 수 km의 터널 구간에 대하여 설치된 레일부(300)를 따라, 복수개의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가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각각의 목표 지점에서 레일부(300) 상에 안착되어 설치 완료되는 방식으로 S720 단계 및 S730 단계의 수행이 반복될 수 있다.
이 같이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1) 복수개를 전력구의 미리 설정된 구간에 대하여 배치 완료하고 나면, 케이블 거치 구조부(200)(예를 들면 거치바 상)에전력선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포설 공정은 당 분야의 통상의기술자에게 자명한 공정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은 미리 제작된 케이블 포설 모듈 구조체를 전력구에 설치하여 케이블 포설 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수직구를 통해 전력구로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하강시 가이드수단을 통해 가이드될 수 있으므로 전력구에 설치된 레일부에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100: 중앙 구조부
110: 작업 가능 공간 120: 연직 포스트
121: 받침부재 122: 포스트 고정용 부재
122a: 체결용 홀 130: 경사 브레이싱
140: 종 방향 부재 150: 횡 방향 부재
200: 케이블 거치 구조부 210: 캔틸레버부
211: 돌출 부재 220: 높이 조절 포스트
221: 상부 포스트 221a: 톱니
222: 하부 포스트 223: 원터치 잠금 버튼
224: 원터치 체결 유닛 224a: 톱니
230: 측방 가압 유닛 231: 횡 방향 이동 부재
232: 가압판 240: 거치바
250: 보조 포스트 300: 레일부
400: 구름 장치 410: 롤러 유닛
420: 승하강 구동 유닛 430: 지지 부재
500: 브레이크 장치 510: 브레이크 패드
520: 레버 530: 스프링
600 : 가이드수단 610 : 직선부
620 : 라운드부 10: 전력구 측면
20: 전력구 바닥면
110: 작업 가능 공간 120: 연직 포스트
121: 받침부재 122: 포스트 고정용 부재
122a: 체결용 홀 130: 경사 브레이싱
140: 종 방향 부재 150: 횡 방향 부재
200: 케이블 거치 구조부 210: 캔틸레버부
211: 돌출 부재 220: 높이 조절 포스트
221: 상부 포스트 221a: 톱니
222: 하부 포스트 223: 원터치 잠금 버튼
224: 원터치 체결 유닛 224a: 톱니
230: 측방 가압 유닛 231: 횡 방향 이동 부재
232: 가압판 240: 거치바
250: 보조 포스트 300: 레일부
400: 구름 장치 410: 롤러 유닛
420: 승하강 구동 유닛 430: 지지 부재
500: 브레이크 장치 510: 브레이크 패드
520: 레버 530: 스프링
600 : 가이드수단 610 : 직선부
620 : 라운드부 10: 전력구 측면
20: 전력구 바닥면
Claims (5)
- (a) 전력구와 통하는 수직구의 선단부에 가이드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b) 전력구의 바닥면에 레일부를 설치하는 단계;
(c)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상기 가이드수단을 통해 가이드시키면서 수직구를 통해 하강하여 레일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d)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목표 지점까지이동시키는 단계;
(e) 상기 목표 지점에서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및 상기 (e) 단계는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복수개 각각에 대하여 상기 목표 지점을 갱신하며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수직구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수직구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수직구의 측벽에 직선으로 설치된 직선부와, 직선부로부터 수직구의 외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 라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는,
내부에 작업 가능 공간이 형성되고 레일부 설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연직 포스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갖는 중앙 구조부;
상기 중앙 구조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 거치 구조부;
상기 전력구의 레일부 경로를 따라 상기 중앙 구조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 상에 안착되며, 상기 연직 포스트를 지지하는 구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 포스트는 연직포스트로부터 돌출된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름 장치는 상기 받침부재 지지를 통해 상기 연직 포스트를 지지하며,
상기 구름 장치는,
레일부를 따라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유닛;
상기 롤러 유닛과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 설치된 승하강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직포스트는 상기 승하강 구동 유닛에 의해, 레일부를 기준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거치 구조부는 전력구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높이 조절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포스트는,
전력구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상부 포스트;
상기 상부 포스트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
되는 하부 포스트;
상기 하부 포스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시키며, 상기 하부포스트의 상측에 구비된 원터치 체결유닛:을 포함하며,
상부 포스트와 원터치 체결 유닛 각각에는 서로 맞물려 결합된 톱니가 형성되되,
상기 톱니는 원터치 체결 유닛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일 방향 쐐기 결합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원터치 체결 유닛에는 나사 결합된 원터치 잠금 버튼이 마련되어, 원터치 잠금 버튼의 나사 회전을 통해 상부포스트와 원터치 체결 유닛 간 톱니의 맞물림이 강화되거나, 상부포스트와 원터치 체결 유닛 간 톱니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7792A KR102203732B1 (ko) | 2019-02-15 | 2019-02-15 | 전력구 모듈화 공법 공정 기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7792A KR102203732B1 (ko) | 2019-02-15 | 2019-02-15 | 전력구 모듈화 공법 공정 기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9766A true KR20200099766A (ko) | 2020-08-25 |
KR102203732B1 KR102203732B1 (ko) | 2021-01-15 |
Family
ID=7224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7792A KR102203732B1 (ko) | 2019-02-15 | 2019-02-15 | 전력구 모듈화 공법 공정 기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3732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2869B1 (ko) * | 2007-11-16 | 2008-04-16 | (주)동우기술단 |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
KR20110131595A (ko) * | 2010-05-31 | 2011-12-07 | 주식회사 우진산전 | 모노레일 궤도용 선로 작업차 |
KR101281703B1 (ko) * | 2012-03-29 | 2013-07-03 | 일진파워텍(주) | 레일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치 및 포설공법 |
KR101401583B1 (ko) * | 2014-03-04 | 2014-06-02 |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
KR101462842B1 (ko) * | 2014-07-01 | 2014-11-19 | 일진파워텍(주) |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 |
KR20150012683A (ko) * | 2013-07-26 | 2015-02-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케이블 포설 장치 |
JP6011660B2 (ja) * | 2015-03-04 | 2016-10-19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ケーブル支持装置 |
KR101876571B1 (ko) | 2011-09-28 | 2018-07-10 | 한국전력공사 | 케이블 행거 |
KR101915432B1 (ko) * | 2018-01-29 | 2018-11-05 | 이상균 |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 |
-
2019
- 2019-02-15 KR KR1020190017792A patent/KR1022037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2869B1 (ko) * | 2007-11-16 | 2008-04-16 | (주)동우기술단 |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
KR20110131595A (ko) * | 2010-05-31 | 2011-12-07 | 주식회사 우진산전 | 모노레일 궤도용 선로 작업차 |
KR101876571B1 (ko) | 2011-09-28 | 2018-07-10 | 한국전력공사 | 케이블 행거 |
KR101281703B1 (ko) * | 2012-03-29 | 2013-07-03 | 일진파워텍(주) | 레일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치 및 포설공법 |
KR20150012683A (ko) * | 2013-07-26 | 2015-02-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케이블 포설 장치 |
KR101401583B1 (ko) * | 2014-03-04 | 2014-06-02 |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
KR101462842B1 (ko) * | 2014-07-01 | 2014-11-19 | 일진파워텍(주) |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 |
JP6011660B2 (ja) * | 2015-03-04 | 2016-10-19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ケーブル支持装置 |
KR101915432B1 (ko) * | 2018-01-29 | 2018-11-05 | 이상균 |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3732B1 (ko) | 2021-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033367B (zh) | 一种钢柱筒架交替支撑式钢平台与塔吊同步提升装置及其提升方法 | |
CN106401198A (zh) | 一种大跨度钢连廊提升设备及施工方法 | |
CN203728411U (zh) | 内爬式塔机承重梁安装装置及内爬式塔机 | |
CN204299175U (zh) | 液压爬模系统 | |
JP3855784B2 (ja) | レールレススライド工法 | |
KR102072664B1 (ko) | 컴퓨터 제어 기반의 교량 인상 시스템 및 공법 | |
CN107724671B (zh) | 一种整体式滑升模板系统及其施工方法 | |
CN202510841U (zh) | 一种线缆搁置架 | |
CN106150057A (zh) | 一种分片式液压提升爬架 | |
KR102203732B1 (ko) | 전력구 모듈화 공법 공정 기술 | |
CN213418443U (zh) | 一种自爬式电梯井道作业平台 | |
CN110565937A (zh) | 一种门式整体提升钢平台 | |
CN100431943C (zh) | 可移动组装式检修架 | |
CN211173157U (zh) | 一种安装超高钢梁的托架 | |
CN107963533B (zh) | 模块化电梯井道设计方法 | |
CN108589905B (zh) | 桁架连廊整体后提升施工系统及其施工方法 | |
KR101980898B1 (ko) | 케이블 포설용 모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용 구조체 시공 방법 | |
CN205777531U (zh) | 楼板施工用张弦梁模板支撑设备 | |
CN111285267B (zh) | 动臂塔机爬升梁监测与调节系统 | |
CN108643595B (zh) | 悬挑钢梁的全自动矫正装置及其施工方法 | |
CN108755419B (zh) | 一种桥梁防震钢挡块吊装的施工平台及安装方法 | |
CN107826975B (zh) | 一种桥式起重机桥架 | |
CN220646017U (zh) | 一种可调节安装的组合式地铁疏散平台 | |
CN104695694A (zh) | 一种蜗轮蜗杆丝杠升降的附着式脚手架 | |
CN220228131U (zh) | 一种高空走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