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432B1 -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432B1
KR101915432B1 KR1020180010346A KR20180010346A KR101915432B1 KR 101915432 B1 KR101915432 B1 KR 101915432B1 KR 1020180010346 A KR1020180010346 A KR 1020180010346A KR 20180010346 A KR20180010346 A KR 20180010346A KR 101915432 B1 KR101915432 B1 KR 10191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ower cable
unit
pow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균
Original Assignee
이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균 filed Critical 이상균
Priority to KR102018001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력의 필요성, 전력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전력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은,
전력구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00); 전력 케이블(10)의 슬립을 방지하는 마찰부재가 구비되고, 지지되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높이가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이동대차에서 하부를 향해 늘어져 상기 전력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벨트(700)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을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대차(300);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결와이어(610)와, 상기 이동대차(30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630)와 상기 연장부(6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와이어(610)를 고정하는 클램프(650)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와이어(610)와 상기 이동대차(300)를 연결시키는 고정부(640)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소정거리 간격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600);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연결와이어(610)가 감기는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풀리(510)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와이어(610)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와이어(610)에 의해 상기 연결부(600)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대차를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30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전력 케이블(1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500);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설치되는 가이드지지부(420)와, 상기 가이드지지부(4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10)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구(100) 내에 구비되는 행거(400); 및 상기 전력 케이블의 이송, 피복손상검사 및 길이마킹을 포함하는 전력선 포설을 제어하는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를 포함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에 있어서,
전력 케이블 포설을 위한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구동부(500)의 구동풀리(510)를 회전시키는 것에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에 걸쳐져 지지되는 연결와이어(610)를 회전시켜 이동대차(300)들을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전력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력 케이블(10)을 이송시키는 케이블 이송과정(S100); 상기 케이블 이송과정(S100)의 수행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면,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이동대차(300)들이 이동될 수 있는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만큼 이동대차(300)들이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판단과정(S300); 상기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판단과정(S300)의 판단 결과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 이동한 경우, 상기 포설케이블제어부(4000)가 구동부(500)의 구동을 정지한 후, 전력 케이블 포설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케이블포설종료판단과정(S500); 및 상기 케이블포설종료판단과정(S500)의 판단 결과 전력 케이블 포설이 종료된 경우에는 처리과정을 종료하고, 전력 케이블 포설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신호를 출력하고, 작업자들로부터 역구동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구동부(500)를 역구동시켜 이동대차(300)들을 반대 방향으로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만큼 이송시켜 이동대차(300)들이 위치를 복원시킨 후 상기 케이블 이송과정(S100)으로 복귀하여 처리과정을 반복 수행하도록 하는 이동대차복귀과정(S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ELECTRIC CABLE INSTALL APPARATUS AND METHOD WITH MOVABLE INSTALLER}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 포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력의 필요성, 전력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전력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선박 등의 기관실이나 또는 대형 건축물에는 대용량의 전기의 공급을 위해 전력 케이블을 포설하여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전력 케이블의 무게 및 큰 부피로 인하여 자동으로 전력 케이블을 포설하는데 한계가 있어 한국등록특허 제10-126401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윈치를 이용하여 견인력을 부가하고 인력을 이용하여 방향 등을 조절하면서 포설한다.
이때, 사전에 미리 전력 케이블의 설치 장소에서 전력 케이블 포설 길이를 측정한 후, 길이 맞게 선 재단을 수행하고, 재단된 전력 케이블을 드럼에 권취하여 대형 선박이나 대형 건물 등의 포설 위치로 이송하여 전력 케이블을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재단된 전력 케이블은 전력의 부분 누설(PD: Partial Discharge) 등으로 인해 접속 단자 이외의 부분에서의 접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만일 선재단된 전력 케이블이 포설 길이보다 짧아지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이를 고철로 처리하게 되는 등 큰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전력 케이블의 하중으로 인해 연선 또는 정선 등의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전력 케이블의 피복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손상된 전력 케이블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인력 및 시간의 손실뿐만 아니라 비용의 손실 또한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더욱이, 피복의 손상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화재 또는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또한 가진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401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형 선박이나 대형 건물 등에 전력 케이블을 포설하고자 하는 경우, 전력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최소화하고, 포설에 필요한 힘을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 설치에 드는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하여 설치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 피복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것에 의해 포설된 전력 케이블의 누전으로 인한 감전,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전력 케이블의 포설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의 포설이 종료된 상태에서 전력 케이블 피복의 손상을 발견하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의 교체를 위한 불필요한 노력과 시간 및 비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는,
전력구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00); 전력 케이블(10)의 슬립을 방지하는 마찰부재가 구비되고, 지지되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높이가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이동대차에서 하부를 향해 늘어져 상기 전력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벨트(700)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을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대차(300);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결와이어(610)와, 상기 이동대차(30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630)와 상기 연장부(6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와이어(610)를 고정하는 클램프(650)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와이어(610)와 상기 이동대차(300)를 연결시키는 고정부(640)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소정거리 간격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600);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연결와이어(610)가 감기는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풀리(510)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와이어(610)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와이어(610)에 의해 상기 연결부(600)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대차를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30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전력 케이블(1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500);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설치되는 가이드지지부(420)와, 상기 가이드지지부(4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10)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구(100) 내에 구비되는 행거(400); 및 상기 전력 케이블의 이송, 피복손상검사 및 길이마킹을 포함하는 전력선 포설을 제어하는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를 포함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에 있어서,
전력 케이블 포설을 위한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구동부(500)의 구동풀리(510)를 회전시키는 것에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에 걸쳐져 지지되는 연결와이어(610)를 회전시켜 이동대차(300)들을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전력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력 케이블(10)을 이송시키는 케이블 이송과정(S100);
상기 케이블 이송과정(S100)의 수행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면,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이동대차(300)들이 이동될 수 있는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만큼 이동대차(300)들이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판단과정(S300);
상기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판단과정(S300)의 판단 결과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 이동한 경우, 상기 포설케이블제어부(4000)가 구동부(500)의 구동을 정지한 후, 전력 케이블 포설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케이블포설종료판단과정(S500);
상기 케이블포설종료판단과정(S500)의 판단 결과 전력 케이블 포설이 종료된 경우에는 처리과정을 종료하고, 전력 케이블 포설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신호를 출력하고, 작업자들로부터 역구동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구동부(500)를 역구동시켜 이동대차(300)들을 반대 방향으로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만큼 이송시켜 이동대차(300)들이 위치를 복원시킨 후 상기 케이블 이송과정(S100)으로 복귀하여 처리과정을 반복 수행하도록 하는 이동대차복귀과정(S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은,
상기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0)가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사하는 피복손상검사부(20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 이송과정(S100)이 수행되어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피복손상검사부(2000)가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피복손상을 검사하는 피복손상 검사과정(S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복손상 검사과정(S200)은,
상기 피복손상검사부(200)가 내부의 동선 등의 심선(12)을 와이어와 절연물질로 피복한 절연피복(11)으로 구성되는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이극통전롤러부(2200), 전압 측정을 위한 고압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2300), 상기 고압 전원을 인가한 전력 케이블(10)의 전압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압 측정부(2400) 및 상기 전원공급부(23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전압 측정부(2400)에서 출력되는 전압 값을 분석하여 피복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전압측정제어부(2500)를 포함하는 전압측정기(2100)로 구성되어,
상기 전압측정제어부(2500)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지속적으로 전원공급부(2300)를 제어하여 피복손상 검사를 위한 고압전원을 이극통전롤러부(2200)로 인가하고,
상기 전압측정부(2400)가 상기 전원공급부(2300)의 고압 전원을 이극통전 롤러부(2200)로 인가하는 두 개의 전원선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전압측정제어부(2500)가 수신된 전력 케이블(10)의 전압 값을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 값들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전압 값의 범위보다 낮은 전압인 경우 전력 케이블(10)의 피복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피복손상 검사과정(S200)은,
상기 피복손상검사부(200)가 X선을 조사하여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출하기 위해, X선을 발생시키는 X선발생부(2610),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620), 전력 케이블(10)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X선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X선검출부(2630),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620)와 X선 검출부(2630)를 밀폐하며 X선을 차폐하는 차폐케이스(2640) 및 비파괴검사제어부(2650)를 포함하는 비파괴검사기(2600)로 구성되어,
상기 X선발생부(2610)가 X선을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 측으로 조사한 후, 상기 비파괴검사제어부(2650)가 상기 X선검출부(2630)에서 촬상되는 전력 케이블(10)의 절연피복(11)을 투과한 X선 영상 이미지를 수신한 후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절연손상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출하는 과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은,
상기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0)가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를 지지하며 이송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3620)와, 케이블포설제어부(4000)와 연동하여 일정 길이마다 길이마크를 착색시키도록 이송된 전력 케이블(10)의 길이를 표시하도록 가변되는 회전식 숫자판과 잉크통 및 잉크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디지털 스탬프(3630) 및 한 쌍의 가이드롤러(3620)와 디지털 스탬프(3630)를 밀폐하는 길이마커함체(3640)를 포함하는 길이마커(3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 판단과정(S300)에 의한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의 전력 케이블(10) 이송이 기 설정된 횟수 종료된 경우,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가 상기 길이마커(3000)를 구동시켜 전력 케이블(10)의 표면에 길이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실선과 길이 값을 착색시켜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10)의 바라보는 위치의 단부로부터의 길이를 표시하는 케이블길이마킹과정(S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는,
전력구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00);
전력 케이블(10)의 슬립을 방지하는 마찰부재가 구비되고, 지지되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높이가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이동대차에서 하부를 향해 늘어져 상기 전력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벨트(700)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을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대차(300);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결와이어(610)와, 상기 이동대차(30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630)와 상기 연장부(6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와이어(610)를 고정하는 클램프(650)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와이어(610)와 상기 이동대차(300)를 연결시키는 고정부(640)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소정거리 간격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600);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연결와이어(610)가 감기는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풀리(510)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와이어(610)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와이어(610)에 의해 상기 연결부(600)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대차를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30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전력 케이블(1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500);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설치되는 가이드지지부(420)와, 상기 가이드지지부(4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10)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구(100) 내에 구비되는 행거(400);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사하는 피복손상검사부(2000);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를 지지하며 이송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3620)와, 케이블포설제어부(4000)와 연동하여 일정 길이마다 상기 길이마크를 착색시키도록 이송된 전력 케이블(10)의 길이를 표시하도록 가변되는 회전식 숫자판과 잉크통 및 잉크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디지털 스탬프(3630) 및 한 쌍의 가이드롤러(3620)와 디지털 스탬프(3630)를 밀폐하는 길이마커함체(3640)를 포함하는 길이마커(3000); 및
상기 전력 케이블의 이송, 피복손상검사 및 길이마킹을 포함하는 전력선 포설을 제어하는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은, 대형 선박이나 대형 건물 등에 전력 케이블을 포설하고자 하는 경우, 전력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최소화하고, 포설에 필요한 힘을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 설치에 드는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하여 설치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 피복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것에 의해 포설된 전력 케이블의 누전으로 인한 감전,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전력 케이블의 포설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의 포설이 종료된 상태에서 전력 케이블 피복의 손상을 발견하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의 교체를 위한 불필요한 노력과 시간 및 비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되는 일 실시예의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가 전력구(100) 내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의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에 포함되는 이동대차(300) 및 구동부(500)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피복손상검사부(2000)의 일 실시예로서 전압측정기(2100)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피복손상검사부(2000)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비파괴검사기(2600)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길이마커(3000)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되는 일 실시예의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가 전력구 내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0)는 전력구(100)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00),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10)을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대차(300), 상기 이동대차(300)를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500),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피복손상을 검사하는 피복손상검사부(2000),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의 일정 길이별로 파크 위치와 길이 정보를 인쇄하는 길이마커(3000) 및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구(100)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지하를 따라 매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력 케이블(10)이 포설되어 연결되는 건물(20) 등과 같은 대상물까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력구(100)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0)가 구비된다. 먼저, 상기 전력구(100) 내에는 행거(400)가 설치된다. 상기 행거(400)는 상기 전력구(100)의 내부를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전력구(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의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에 포함되는 이동대차 및 구동휠의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행거(400)는 상기 전력구(100)의 일 측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프레임(410)과, 상기 프레임(410)에서 소정거리로 연장되는 가이드지지부(420)와, 상기 가이드지지부(420)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지지부(420)는 후술하는 가이드레일(200)이 고정 및 설치되도록 상기 프레임(410)의 상단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는 상기 가이드지지부(42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전력구(100)를 따라 이동한 전력 케이블(10)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도 상기 프레임(410)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연장 거리는 상기 가이드 지지부(420)의 연장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결정된다. 상기 가이드지지부(420)의 연장거리와 상기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연장 거리가 동일하거나 비슷하다면, 상기 가이드지지부(420)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300)에 의해 이동되는 전력 케이블(10)이 상기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1000)는 전력구(100) 내에 가이드레일(200)을 구비하고,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전력 케이블(10)이 안착되는 이동대차(3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이동대차(300)가 자체 구동력으로 이동하는, 소위 '견인대차'등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대차(300)를 외부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500)를 구비하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이동대차(300)가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대차(30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다면, 이동대차(300)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에 인장력이 발생하여 전력 케이블(10)의 손상 및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1000)는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소정 거리 간격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600)를 더 구비하고, 구동부(500)는 연결부(600)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대차(300)에 의해 지지되는 전력 케이블(10)을 이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200)은 가이드지지부(420)에 고정된 소위 '아이빔(I-bea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대차(300)는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몸체부(310)와, 몸체부(310)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바퀴(32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이동대차(300)는 전력 케이블(10)을 지지하는 지지벨트(7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벨트(700)는 몸체부(310)의 하부에 늘어져서 구비되며, 지지벨트(700)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적절한 강도 및 유연성을 가지도록 재질이 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벨트(700)는 심체와 커버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심체로는 고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스틸 코드(Steel cord)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틸 코드는 단층으로 위사가 없으므로 고강력 구현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벨트(700)의 커버 고무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마모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고무는 엠보싱 형태로 돌출시키거나 요홈 형태로 교번 형성시킨 구조를 가져 미끄럼 방지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대차(300)의 이동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이 함께 이동하는 경우에 전력 케이블(10)과 지지벨트(700) 사이에서 슬립(slip)이 발생하면 전력 케이블(10)은 이동하지 않고 이동대차(300)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슬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벨트(700)의 내측에는 전력 케이블(10)의 슬립을 방지하는 마찰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전력 케이블(10)과 지지벨트(700) 사이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슬립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벨트(700)에 의해 지지되는 전력 케이블(10)의 높이는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케이블(10)의 이동이 끝나고 전력 케이블(10)을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에 안착시켜 포설하는 경우에 지지벨트(700)에 의해 지지되는 전력 케이블(10)의 높이가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높이와 상이하다면 전력 케이블(10)을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에 안착시키는 경우에 매번 번거롭고 힘든 작업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10)을 지지하는 지지벨트(700)의 처짐 길이는 지지벨트(700)에 의해 지지되는 전력 케이블(10)의 높이가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이 지지벨트(700)에 의해 지지되는 전력 케이블(10)의 높이가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높이에 대응하게 되면, 전력 케이블(10)을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에 안착시켜 포설하는 경우에 매우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소정거리 간격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600)는 연결와이어(610)와, 연결와이어(610)와 몸체부(310)를 연결시키는 고정부(64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와이어(610)가 이동대차(300)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결와이어(610)와 고정되어 연결되는 고정부(640)는 상기 몸체부(310)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640)는 상기 몸체부(31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630)와 연장부(6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연결와이어(610)를 고정하는 클램프(65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500)가 연결와이어(610)를 이동시키게 되면, 연결 와이어(610)와 고정 연결된 이동대차(300)는 연결돠이어(610)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전력 케이블(10)의 하중을 분산하여 이동대차(300)가 지지할 수 있으며, 이동대차(300)의 이동 시에도 복수의 이동대차(300)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전력 케이블(10)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500)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연결와이어(610)가 감기는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가 서로 대향하여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 사이에 연결와이어(610)가 감기게 된다. 따라서 모터 등의 동력원(미도시)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510)의 회전에 의해 연결와이어(610)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종동풀리(530)도 회전하게 되고 연결와이어(610)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복손상검사부(2000)는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0)의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는 상류측에 설치되어 이동대차(300)를 통해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설을 위해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0)를 통해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전압측정, 비파괴검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피복손상검사부(2000)의 일 실시예로서 전압측정기(2100)의 구성도이다.
도 4의 전압측정기(2100)는 피복손상검사부(2000)를 구성하는 피복손상검사부함체(2001, 도 2 참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압측정기(2100)는, 내부의 동선 등의 심선(12)을 와이어와 절연물질로 피복한 절연피복(11)으로 구성되는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이극통전롤러부(2200), 전압 측정을 위한 고압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2300), 상기 고압 전원을 인가한 전력 케이블(10)의 전압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압 측정부(2400) 및 상기 전원공급부(23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전압 측정부(2400)에서 출력되는 전압 값을 분석하여 피복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전압측정제어부(2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이극통전롤러부(2200)는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지지하며 전력 케이블(10)로 고압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도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이극통전롤러(2201)와 전원공급부(2300)를 연결하는 이극 전원이 접속되는 탄소브러시 등의 한 쌍의 회전접지부(2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극통전롤러(2201)는 중앙부에 양단부를 절연하는 원통형의 절연부(2203)를 매개로 하여 양측으로 절연 분할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이극통전롤러(2201)의 양단부 각각이 전원공급부(2300)의 두 개의 전원선 각각에 접속되도록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부(2300)에 의해 인가되는 고압 전원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절연부(2203)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300)는 전압측정제어부(2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이극통전롤러부(2200)로 고압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감전 또는 단락에 의한 감전 등의 안전 사고의 방지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23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사용전원 또는 DC 전원을 고압으로 승압하고 전류는 최소로 하는 전력변환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압측정부(2400)는 전원공급부(2300)의 고압 전원을 이극통전롤러(2201)로 공급하는 고압 전원을 공급하는 두 개이 전원선 사이의 전압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압측정제어부(2500)는 전원공급부(2300)를 제어하여 피복손상 검사를 위한 고압전원을 이극통전롤러부(2200)로 인가하도록 하고, 전압측정부(2400)에서 측정된 전압 값을 수신한 후 분석하여 피복 손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전압측정기(2100)는 외부와 절연되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피복손상검사부함체(2001)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전압측정기(2100)에 의한 전압측정에 의한 전력 케이블 피복손상 검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10)의 끝단부를 접지한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으로, 전압측정제어부(2500)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지속적으로 전원공급부(2300)를 제어하여 피복손상 검사를 위한 고압전원을 이극통전롤러부(2200)로 인가한다.
이 후, 전압측정부(2400)가 전원공급부(2300)의 고압 전원을 이극통전 롤러부(2200)로 인가하는 두 개의 전원선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이때, 절연손상부(13)가 존재하는 경우 고압전원의 고압에 의해 절연손상부(13)를 따라 고압의 전원이 심선(12)으로 유도되어 이극통전롤러부(2200)의 양단부 사이의 전압 값이 하락하게 된다. 전압측정제어부(2500)는 수신된 전력 케이블(10)의 전압 값을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 값들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전압 값의 범위보다 낮은 전압인 경우 전력 케이블(10)의 피복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렇게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이 검출된 경우 전압측정제어부(2500)는 전력 케이블 피복손상 신호를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로 인가하여 포설 작업을 중지하거나, 전압측정기(2100) 자체에 구비된 알람장치(미 도시)를 이용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가 전력 케이블 피복 손상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피복손상검사부(2000)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비파괴검사기(26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피복손상검사부(2000)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비파괴검사기(2600)는 X선을 조사하여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을 발생시키는 X선발생부(2610),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620), 전력 케이블(10)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X선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X선검출부(2630),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620)와 X선 검출부(2630)를 밀폐하며 X선을 차폐하는 차폐케이스(2640) 및 비파괴검사제어부(2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X선발생부(2610)는 전력 케이블(10)의 절연피복(13, 도 4 참조)에 대한 비파괴검사를 위한 X선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발생된 X선은 외부와 차폐된 상태로 차폐케이스(2640)의 내부로 조사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2620)는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도록 전력 케이블(1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을 지지하며 이송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X선검출부(2630)는 디지털 X선 검출판 등으로 구성되어, X선에 의한 감광신호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에 대한 X선 영성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폐케이스(2640)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620)와 X선검출부(2630)를 내부에 위치도록 하여 X선이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X선 차폐패널을 적용한 함체로 구성된다.
상기 비파괴검사제어부(2650)는 전력 케이블(10)에 대한 비파괴 검사 수행을 위한 X선의 생성하도록 X선 발생부(26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비파괴검사제어부(2650)는 X선 검출부(2630)에서 출력되는 전력 케이블(10)에 대한 X선 영상 신호를 수신한 후, 이미지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전력 케이블(10)의 절연피복(12)에 절연손상부(13, 도 4 참조) 이미지를 검출하여 절연피복(11)의 손상 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비파괴검사기(2600)는 X선발생부(2610)가 X선을 전력 케이블(10) 측으로 조사한 후, 상기 비파괴검사제어부(2650)가 X선검출부(2630)에서 촬상되는 전력 케이블(10)의 절연피복(11)을 투과한 X선 영상 이미지를 수신한 후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절연손상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출하게 된다.
이때 전력 케이블 피복의 손상 여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어 X선 영상 이미지를 전력 케이블 포설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판독하는 것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X선 검출부(2630)에서 출력되는 전력 케이블(10)에 대한 X선 영상 신호를 수신한 후 비파괴검사제어부(2659)가 이미지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전력 케이블(10)의 절연피복(12)에서 절연손상부(13, 도 4 참조) 이미지를 검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판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전압측정 또는 비파괴검사에 의한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의 피복 손상을 포설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전력 케이블의 포설이 종료된 후 테스트에 의해 전력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된 것을 발견한 경우의 전력 케이블 제거 및 제설치 등의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력 케이블의 포설 과정에서 피복 손상을 검사할 수 있게 되므로, 전력 케이블 손상의 불인지에 의해 가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누설 또는 단락에 의한 화재, 감전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길이마커(3000)의 구성도이다.
상술한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0)는 길이마커(3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10)에 소정 길이마다 길이를 표시하는 숫자와 길이의 위치를 나타내는 실선을 포함하는 길이마크를 착색시키는 케이블길이마킹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길이마커(3000)를 도 6과 같이,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를 지지하며 이송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3620)와, 케이블포설제어부(4000)와 연동하여 일정 길이마다 상기 길이마크를 착색시키는 디지털 스탬프(3630) 및 한 쌍의 가이드롤러(3620)와 디지털 스탬프(3630)를 밀폐하는 길이마커함체(3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스탬프(3630)는 이송된 전력 케이블(10)의 길이를 표시하도록 가변되는 회전식 숫자판과 잉크통 및 잉크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디지털 스탬프(3630)는 케이블포설제어부(4000)의 제어에 따라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길이를 표시하도록 숫자판을 가변시킨 후, 전력 케이블(10)이 일정 거리 이송된 경우마다 길이를 나타내는 실선과 숫자를 스탬핑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의 표면에 착색시키도록 동작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10)의 검사 위치에서 해당 위치까지의 전력 케이블(10)의 포설 길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는 구동부(500), 피복손상검사부(2000), 길이마커(30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0)의 전체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는 이동대차(300)들의 이동 제한 거리 이내에서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도록 구동부(500)를 제어한다. 상기 이동대차(300)들은 설정된 거리까지 전력 케이블(10)을 이송한 경우 구동풀리(51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구동풀리(51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거리인 단위이송거리만큼 전력 케이블(10)을 이송시킨 후에는 위치 복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는 단위이송거리만큼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된 경우 구동부(5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 후, 작업자에 의해 지지벨트(700)에 의한 전력 케이블(10)의 고정이 해제된 후 역회적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역회전하여 역방향으로 단위이송거리만큼 이동대차(300)들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500)를 제어한다. 이 후, 작업자에 의해 지지벨트(700)로 전력 케이블(10)을 이송하도록 고정한 후에 구동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다시 구동부(500)를 전력 케이블(10)을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구동풀리(51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과정을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는 피복손상검사부(20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전압측정기(2100) 또는 비파괴검사기(2600)의 피복손상검사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피복손상검사 구동의 제어는 일정시간 또는 지속적으로 피복손상을 검사하도록 상기 전압측정기(2100) 또는 비파괴검사기(2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는 단위이송거리만큼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된 경우, 이송거리 정보를 길이마커(2600)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길이마커(3000)가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일정 거리마다 실선과 길이를 나타내는 숫자를 착색시키는 길이마킹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길이마킹은 기 설정된 횟수의 단위거리 이송 시마다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과 같이, 상기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은, 케이블 이송과정(S100), 피복손상 검사과정(S200), 단위케이블이송거리 판단과정(S300), 케이블길이마킹과정(S400), 케이블포설종료판단과정(S500) 및 이동대차복귀과정(S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을 설명하면, 작업자에 의해 연결부(600)들에 의해 구동부(500)와 연결된 복수의 이동대차(300)들에 지지부(700)를 이용하여 포설될 전력 케이블(10)이 가이드레일(200)에 의해 부상된 상태로 지지된 후 전력 케이블 포설을 위한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구동부(500)의 구동풀리(510)를 회전시키는 것에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에 걸쳐져 지지되는 연결와이어(610)를 회전시켜 이동대차(300)들을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전력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력 케이블(10)을 이송시키는 케이블 이송과정(S100)을 수행한다.
케이블 이송과정(S100)의 수행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면,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이동대차(300)들이 이동될 수 있는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만큼 이동대차(300)들이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판단과정(S300)을 수행하여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만큼 이동대차(300)들이 이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케이블 이송과정(S100)을 계속 수행한다. 상술한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판단과정(S300)에서 이동대차(300)(또는 전력 케이블)들이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만큼 이동하였는지의 검출은 이동대차(30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가이드레일(200) 등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미도시)들이나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엔코더 등의 케이블 길이 측정 수단(미도시) 또는 이동대차(300)의 이동 제한 위치에 설치되어 이동대차(300)에 의해 스위칭됨으로써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 이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가이드레일(200) 등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 케이블의 이송 중의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판단과정(S300)의 수행에 의해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 이동하였다는 이송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포설케이블제어부(4000)는 구동부(500)의 구동을 정지한 후, 케이블포설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케이블포설종료판단과정(S500)을 수행한다. 케이블포설종료판단과정(S500)에 의해 기 설정된 길이의 전력 케이블(10)의 포설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력 케이블 포설을 종료하는 것에 의해 처리과정을 종료한다.
이와 달리, 전력 케이블의 포설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신호를 출력하고, 이 후, 작업자들이 지지벨트(700)들을 풀어 전력 케이블(10)의 지지를 해제한 후 역구동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포설케이블제어부(4000)가 구동부(500)를 역구동시켜 이동대차(300)들을 반대 방향으로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만큼 이송시켜 이동대차(300)들이 위치를 복원시키는 이동대차복귀과정(S600)을 수행한 후, 케이블 이송과정(S100)으로 복귀하여 처리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은, 상술한 케이블 이송과정(S100)이 수행되어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는 경우, 전력 케이블(10)의 피복손상을 검사하는 피복손상 검사과정(S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케이블 이송과정(S100)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면, 케이블포설제어부(4000)에 전송된 피복손상검사 신호에 따라 피복손상검사부(2000)가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에 피복 손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는 피복손상 검사과정(S200)을 수행한다.
이때, 피복손상검사부(2000)는 도 4에서 설명된 전압측정기(2100)를 이용하여 고전압 저전류의 고압전원을 전력 케이블(10)로 인가한 후 고압전원의 전압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측정되거나, 도 5에서 설명된 X선 등을 전력 케이블(10)에 조사한 후 X선 영상에 대한 이미지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절연피복(12)의 절연손상부(130)를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의 영상처리는 경계선 검출 피복(11)의 X선 영상이미지에서 경계선 검출 또는 급격한 흑백 색변화 등을 추출하는 것에 의해 피복(11)의 X선 영상으로부터 피복손상부(13)의 영상을 검출하는 처리과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은, 상술한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 판단과정(S300)에 의해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 케이블이 종료된 경우, 케이블포설제어부(400)가 도 6에서 설명한 길이마커(3000)를 구동시켜 전력 케이블(10)의 표면에 길이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실선과 길이 값을 착색시켜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10)의 바라보는 위치의 단부로부터의 길이를 표시하는 케이블길이마킹과정(S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케이블 포설장치
10: 케이블, 11: 절연피복, 12: 심선, 13: 절연손상부
100: 전력구, 200: 가이드레일, 300: 이동대차, 400: 행거, 500: 구동부, 510: 구동풀리, 530: 종동풀리, 600: 연결부, 610: 연결와이어, 700: 지지벨트
2000: 피복손상검사부, 2001: 피복손상검사부함체
2100: 전압측정기, 2200: 이극통전롤러부, 2201: 이극통전롤러, 2203: 절연부, 2205: 회전접지부, 2300: 전원공급부, 2400:전압측정부, 2500: 전압측정제어부
2600: 비파괴검사기, 2610: X선발생부, 2620: 가이드롤러, 2630: X선검출부, 2640: 차폐케이스, 2650: 비파괴검사제어부
3000: 길이마커, 3620: 가이드롤러, 3630: 디지털스탬프, 3640: 길이마커 함체
4000: 케이블포설제어부

Claims (6)

  1. 전력구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00); 전력 케이블(10)의 슬립을 방지하는 마찰부재가 구비되고, 지지되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높이가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이동대차에서 하부를 향해 늘어져 상기 전력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벨트(700)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을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대차(300);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결와이어(610)와, 상기 이동대차(30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630)와 상기 연장부(6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와이어(610)를 고정하는 클램프(650)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와이어(610)와 상기 이동대차(300)를 연결시키는 고정부(640)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소정거리 간격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600);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연결와이어(610)가 감기는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풀리(510)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와이어(610)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와이어(610)에 의해 상기 연결부(600)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대차를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30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전력 케이블(1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500);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설치되는 가이드지지부(420)와, 상기 가이드지지부(4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10)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구(100) 내에 구비되는 행거(400); 상기 전력 케이블의 이송, 피복손상검사 및 길이마킹을 포함하는 전력선 포설을 제어하는 케이블포설제어부(4000); 및 상기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사하는 피복손상검사부(2000)를 포함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에 있어서,
    전력 케이블 포설을 위한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구동부(500)의 구동풀리(510)를 회전시키는 것에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에 걸쳐져 지지되는 연결와이어(610)를 회전시켜 이동대차(300)들을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전력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력 케이블(10)을 이송시키는 케이블 이송과정(S100);
    상기 케이블 이송과정(S100)이 수행되어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피복손상검사부(2000)가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피복손상을 검사하는 피복손상 검사과정(S200);
    상기 케이블 이송과정(S100)의 수행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면,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이동대차(300)들이 이동될 수 있는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만큼 이동대차(300)들이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판단과정(S300);
    상기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판단과정(S300)의 판단 결과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 이동한 경우,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구동부(500)의 구동을 정지한 후, 전력 케이블 포설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케이블포설종료판단과정(S500); 및
    상기 케이블포설종료판단과정(S500)의 판단 결과 전력 케이블 포설이 종료된 경우에는 처리과정을 종료하고, 전력 케이블 포설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 전력 케이블(10)이 이송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신호를 출력하고, 작업자들로부터 역구동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구동부(500)를 역구동시켜 이동대차(300)들을 반대 방향으로 단위 케이블 이송거리 만큼 이송시켜 이동대차(300)들이 위치를 복원시킨 후 상기 케이블 이송과정(S100)으로 복귀하여 처리과정을 반복 수행하도록 하는 이동대차복귀과정(S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손상 검사과정(S200)은,
    상기 피복손상검사부(2000)가 내부의 동선 등의 심선(12)을 와이어와 절연물질로 피복한 절연피복(11)으로 구성되는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이극통전롤러부(2200), 전압 측정을 위한 고압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2300), 상기 고압 전원을 인가한 전력 케이블(10)의 전압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압 측정부(2400) 및 상기 전원공급부(23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전압 측정부(2400)에서 출력되는 전압 값을 분석하여 피복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전압측정제어부(2500)를 포함하는 전압측정기(2100)로 구성되어,
    상기 전압측정제어부(2500)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지속적으로 전원공급부(2300)를 제어하여 피복손상 검사를 위한 고압전원을 이극통전롤러부(2200)로 인가하고,
    상기 전압측정부(2400)가 상기 전원공급부(2300)의 고압 전원을 이극통전 롤러부(2200)로 인가하는 두 개의 전원선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전압측정제어부(2500)가 수신된 전력 케이블(10)의 전압 값을 기 설정된 범위의 전압 값들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전압 값의 범위보다 낮은 전압인 경우 전력 케이블(10)의 피복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손상 검사과정(S200)은,
    상기 피복손상검사부(2000)가 X선을 조사하여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출하기 위해, X선을 발생시키는 X선발생부(2610),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620), 전력 케이블(10)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X선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X선검출부(2630), 전력 케이블(10)의 이송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620)와 X선 검출부(2630)를 밀폐하며 X선을 차폐하는 차폐케이스(2640) 및 비파괴검사제어부(2650)를 포함하는 비파괴검사기(2600)로 구성되어,
    상기 X선발생부(2610)가 X선을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 측으로 조사한 후,
    상기 비파괴검사제어부(2650)가 상기 X선검출부(2630)에서 촬상되는 전력 케이블(10)의 절연피복(11)을 투과한 X선 영상 이미지를 수신한 후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절연손상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출하는 과정인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1000)가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을 지지하며 이송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3620)와, 케이블포설제어부(4000)와 연동하여 일정 길이마다 길이마크를 착색시키도록 이송된 전력 케이블(10)의 길이를 표시하도록 가변되는 회전식 숫자판과 잉크통 및 잉크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디지털 스탬프(3630) 및 한 쌍의 가이드롤러(3620)와 디지털 스탬프(3630)를 밀폐하는 길이마커함체(3640)를 포함하는 길이마커(3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 판단과정(S300)에 의한 단위 케이블 이송 거리만큼의 전력 케이블(10) 이송이 기 설정된 횟수 종료된 경우, 상기 케이블포설제어부(4000)가 상기 길이마커(3000)를 구동시켜 전력 케이블(10)의 표면에 길이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실선과 길이 값을 착색시켜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10)의 바라보는 위치의 단부로부터의 길이를 표시하는 케이블길이마킹과정(S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방법.
  6. 전력구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00);
    전력 케이블(10)의 슬립을 방지하는 마찰부재가 구비되고, 지지되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높이가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이동대차에서 하부를 향해 늘어져 상기 전력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벨트(700)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을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대차(300);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결와이어(610)와, 상기 이동대차(30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630)와 상기 연장부(6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와이어(610)를 고정하는 클램프(650)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와이어(610)와 상기 이동대차(300)를 연결시키는 고정부(640)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대차(300)를 소정거리 간격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600);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연결와이어(610)가 감기는 구동풀리(510)와 종동풀리(530)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풀리(510)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와이어(610)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와이어(610)에 의해 상기 연결부(600)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대차를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30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전력 케이블(1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500);
    상기 가이드레일(200)이 설치되는 가이드지지부(420)와, 상기 가이드지지부(4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10)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지지부(430, 440, 450)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구(100) 내에 구비되는 행거(400);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의 피복 손상을 검사하는 피복손상검사부(2000);
    이송되는 전력 케이블(10)를 지지하며 이송을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3620)와, 케이블포설제어부(4000)와 연동하여 일정 길이마다 길이마크를 착색시키도록 이송된 전력 케이블(10)의 길이를 표시하도록 가변되는 회전식 숫자판과 잉크통 및 잉크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디지털 스탬프(3630) 및 한 쌍의 가이드롤러(3620)와 디지털 스탬프(3630)를 밀폐하는 길이마커함체(3640)를 포함하는 길이마커(3000); 및
    상기 전력 케이블의 이송, 피복손상검사 및 길이마킹을 포함하는 전력선 포설을 제어하는 케이블포설제어부(4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KR1020180010346A 2018-01-29 2018-01-29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 KR10191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346A KR101915432B1 (ko) 2018-01-29 2018-01-29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346A KR101915432B1 (ko) 2018-01-29 2018-01-29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432B1 true KR101915432B1 (ko) 2018-11-05

Family

ID=6432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346A KR101915432B1 (ko) 2018-01-29 2018-01-29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43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927B1 (ko) 2018-12-24 2020-04-07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지중 케이블 포설장치와 이를 이용한 공법
KR20200099766A (ko) * 2019-02-15 2020-08-25 삼성물산 주식회사 전력구 모듈화 공법 공정 기술
CN112531549A (zh) * 2020-11-09 2021-03-19 深圳供电局有限公司 电缆巡视装置
KR102335093B1 (ko) * 2021-06-17 2021-12-03 대명지이씨(주) 케이블 포설장치
IT202000019975A1 (it) * 2020-08-11 2022-02-11 Prysmian Spa Metodo e attrezzatura per l’installazione di un cavo di potenza in un tunnel
KR102402893B1 (ko) * 2021-11-24 2022-05-30 (주)에너듀 전력기자재 이동형 비파괴 검사장치
IT202100011645A1 (it) * 2021-05-06 2022-11-06 Prysmian Spa Metodo e attrezzatura per installare un cavo di potenza in un sito di posa
CN116952959A (zh) * 2023-06-06 2023-10-27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网建设工程用居配线缆终端检测设备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927B1 (ko) 2018-12-24 2020-04-07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지중 케이블 포설장치와 이를 이용한 공법
KR20200099766A (ko) * 2019-02-15 2020-08-25 삼성물산 주식회사 전력구 모듈화 공법 공정 기술
KR102203732B1 (ko) * 2019-02-15 2021-01-15 삼성물산 주식회사 전력구 모듈화 공법 공정 기술
EP3955402A1 (en) * 2020-08-11 2022-02-16 Prysmian S.p.A.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installation of a power cable in a tunnel
US11894667B2 (en) 2020-08-11 2024-02-06 Prysmian S.P.A.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installation of a power cable in a tunnel
IT202000019975A1 (it) * 2020-08-11 2022-02-11 Prysmian Spa Metodo e attrezzatura per l’installazione di un cavo di potenza in un tunnel
CN112531549A (zh) * 2020-11-09 2021-03-19 深圳供电局有限公司 电缆巡视装置
CN112531549B (zh) * 2020-11-09 2022-07-15 深圳供电局有限公司 电缆巡视装置
IT202100011645A1 (it) * 2021-05-06 2022-11-06 Prysmian Spa Metodo e attrezzatura per installare un cavo di potenza in un sito di posa
EP4087074A1 (en) * 2021-05-06 2022-11-09 Prysmian S.p.A. Method and equipment for installing a power cable in a deployment site
KR102335093B1 (ko) * 2021-06-17 2021-12-03 대명지이씨(주) 케이블 포설장치
KR102402893B1 (ko) * 2021-11-24 2022-05-30 (주)에너듀 전력기자재 이동형 비파괴 검사장치
CN116952959A (zh) * 2023-06-06 2023-10-27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网建设工程用居配线缆终端检测设备
CN116952959B (zh) * 2023-06-06 2024-03-15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网建设工程用居配线缆终端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432B1 (ko) 이동식 포설기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포설 장치 및 방법
EP11737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levator rope degradation using magnetic energy
CN101058384B (zh) 电梯设备和用于检查承载机构的方法
FI88282B (fi) Utrustning foer kontroll av rakheten hos hissgejder
CA2102647C (en) Eddy current technique for detection of surface defects in metal components under covers
KR102062819B1 (ko) 단지 내 통신 케이블 고장 진단 시스템
US102745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a generator stator core step iron region with the rotor in-situ
WO2015194629A1 (ja) 非破壊検査装置
CN211877864U (zh) 一种涡流高速在线管材检测设备
KR100692764B1 (ko) 차체 전착공정용 행거장치의 절연상태 자동 측정 시스템
JPH1071808A (ja) タイヤの側壁部分にあるカーカス層中の磁化可能材から成る剛性担体の配置誤差検出のための装置と方法
JP2018119970A (ja) 斜張橋の斜材点検方法
WO2010098756A1 (en) Elevator inspection system
KR101793655B1 (ko) 전기철도용 전차선로 비파괴 검사장치
CN101365637A (zh) 用于监控和/或无损坏地检测传动元件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装置
US11112382B2 (en) Robotic magnetic flux inspection system for bridge wire rope suspender cables
CN107428506B (zh) 电梯设备
GB2206969A (en) Non-destructive magnetic testing device
KR102267712B1 (ko) 와이어로프 결함 검사장치
CN115266911A (zh) 一种天然气管道防腐测试装置及方法
JP6308529B2 (ja) 斜張橋の斜材点検装置及び斜材点検方法
CN100419458C (zh) 管路探查带的制造装置
KR102072189B1 (ko) 강재 용접부위 손상 검출장치
JP7093967B2 (ja) 検査システム
PL239177B1 (pl) Urządzenie do pomiaru stanu przewodów energetycznych z rdzeniem stalowym podwieszonych na izolator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