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972A - 감열 기록 매체,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물품 - Google Patents

감열 기록 매체,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972A
KR20200096972A KR1020207020241A KR20207020241A KR20200096972A KR 20200096972 A KR20200096972 A KR 20200096972A KR 1020207020241 A KR1020207020241 A KR 1020207020241A KR 20207020241 A KR20207020241 A KR 20207020241A KR 20200096972 A KR20200096972 A KR 20200096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recording
recording medium
layer
transparent substrate
medium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쿠 고하라
야스히로 가도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20009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1Base lay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45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film forming compositions cured by mechanical wave energy, e.g. ultrasonics, cured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or cur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e.g. electric discharge,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4Direct thermal recording [DT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0Cover layers; Layers separated from substrate by imaging layer; Protective layers; Layers applied before im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투명 기재; 투명 기재 상의 감열 기록층; 및 감열 기록층 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로서, 배리어층이 중공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투명 기재를 갖는 감열 기록층의 면으로부터 감열 기록층에 열 에너지가 인가될 때, 감열 기록층이 발색하는 감열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투명 기재 상에 감열 기록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감열 기록층 상에 중공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도 제공된다.

Description

감열 기록 매체,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물품
본 개시는 감열 기록 매체,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물품에 관한 것이다.
감열 기록 매체는 예컨대 신선 식료품, 도시락 및 식품점의 POS의 분야, 예컨대 도서 및 문서의 복사 분야, 팩스마일과 같은 통신 분야, 발권기, 영수증 및 서명 영수증과 같은 발권 분야, 및 항공기 업계의 배기지용 태그와 같은 다방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용도 이외에도, 감열 기록 매체는 예컨대 약품 관리용 라벨, 검체 관리용 라벨 및 공정 관리용 라벨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예컨대 약품 관리용 라벨, 검체 관리용 라벨 및 공정 관리용 라벨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라벨의 표시를 장기간 유지시키기 위해, 예컨대 내용제성 및 내찰상성의 우수한 성능을 같은 감열 기록 매체가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내용제성 및 내찰상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감열 기록층 상에 수지제의 보호층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감열 기록층 상에 수지 필름 및 실리콘 필름을 순차 적층함으로써 내수성, 내유성 및 내찰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1956호 특허문헌 2: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 제07-25142호
본 개시는 내용제마찰성, 발색 감도, 시인성 및 경시 소색 내성(temporal color fade resistance)이 우수한 감열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양태에 따르면, 감열 기록 매체는 투명 기재, 투명 기재 상의 감열 기록층 및 감열 기록층 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배리어층은 중공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투명 기재를 갖는 감열 기록층의 면으로부터 감열 기록층에 열 에너지가 인가될 때, 감열 기록층이 발색한다.
본 개시는 내용제마찰성, 발색 감도, 시인성 및 경시 소색 내성이 우수한 감열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시형태의 설명]
(감열 기록 매체)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는 투명 기재, 투명 기재 상의 감열 기록층 및 감열 기록층 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배리어층은 중공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투명 기재를 갖는 감열 기록층의 면으로부터 감열 기록층에 빛 또는 열 에너지가 인가될 때, 감열 기록층이 발색한다. 감열 기록 매체는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층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는 하기 지견에 기초한다. 종래의 감열 기록층에서는, 인자된 정보가 경시적으로 소색하여, 상품 가치가 저하한다. 이것이 약품 관리, 검체 관리 및 공정 관리에서의 용도에 있어서, 오인없이 적절히 관리를 행하기 어렵게 한다.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는, 투명 기재가 감열 기록 매체의 기록면측의 표면을 구성하도록 제공되는 층 구성을 가짐으로써, 내용제마찰성, 발색 감도, 시인성 및 경시 소색 내성이 향상될 수 있다.
<투명 기재>
상기 투명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투명 기재가 감열 기록층에 인자된 화상을 시인할 수 있게 하는 투명성 및 유기 용제에 대한 내용제성을 갖는 한, 목적에 따라서 투명 기재의 형태, 구조, 평균 두께 및 소재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투명성은 ASTM D1003 또는 ISO 14782에 따라 측정된 헤이즈도에 의해 규정되는 성질을 지칭한다. 헤이즈도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헤이즈도의 측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예는 헤이즈 미터(기구명: HZ-V3, Suga Test Instruments Co., Ltd.로부터 입수가능)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내용제성은 주로 유기 용제에 대한 내성을 지칭한다. 유지 용제의 예는 알콜, 예컨대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및 프로판올, 케톤, 예컨대 아세톤 및 MEK(메틸 에틸 케톤),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톨루엔 및 크실렌, 및 에스테르, 예컨대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을 포함한다. 이들 유기 용제 중 하나를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유기 용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투명 기재의 재료는, 재료가 상기 기재된 내용제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재료의 예는 무기 재료, 유기 재료 및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재료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기 재료의 예는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이하, 플라스틱 필름으로 지칭됨)으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한다. 이들 유기 재료 중 하나를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유기 재료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유기 재료 중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프로필렌(PP)이 유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인자시에 투명 기재를 통해 감열 기록층에 열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함으로써, 헤드 매칭성이 우수한 감열 기록 매체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예컨대, 수용성 수지, 예컨대 폴리비닐 알콜 및 변성 폴리비닐 알콜, 수분산성 수지, 예컨대 아크릴 에멀젼,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스테르, 스티렌 유도체, 실리콘 수지 및 아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의 적어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경화시킨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여, 투명 기재 상에 내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변성 폴리비닐 알콜로서는, 예컨대, 카르복시 변성 폴리비닐 알콜, 예컨대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설폰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실리콘 변성 폴리비닐 알콜 및 그 외의 변성-폴리비닐 알콜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충전제로서, 내열층은 무기 안료, 예컨대 탄산칼슘,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티탄, 수산화아연, 황산바륨, 클레이, 카올린, 탈크 및 표면 처리된 칼슘 및 표면 처리된 실리카, 또는 유기계 분말, 예컨대 아크릴 수지, 요소-포르말린 수지,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수지 및 염화비닐리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폴리비닐 알콜 및 변성 폴리비닐 알콜에 대한 가교제로서, 내열층은 글리옥살 유도체, 메틸올 유도체, 에피클로로히드린 유도체,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히드라진 및 히드라지드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재료 중에서, 변성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아미드 수지와, 무기 안료, 예컨대 탄산칼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내열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열층을 제공함으로써, 헤드 매칭성 및 인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열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1.5 ㎛ 이하이다.
투명 기재는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그 외의 첨가제를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첨가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투명 기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투명 기재의 형상의 예는 다각형, 예컨대 정방형 및 장병형, 원형, 타원형, 평판형, 시트형 및 롤형을 포함한다.
투명 기재의 평균 두께는 예컨대 감열 기록 매체의 용도 및 재질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을 투명 기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 기재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20 ㎛ 이하,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16 ㎛ 이하이다. 투명 기재의 평균 두께가 4 ㎛ 이상 25 ㎛ 이하이면, 양호한 핸들링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할 수 있고, 인쇄시에 인쇄 헤드로부터의 열을 감열 기록층에 적절히 전할 수 있다.
투명 기재와 감열 기록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투명 기재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산화 반응 처리(예컨대 크롬산), 에칭 처리, 용이 접착 처리 및 대전 방지 처리에 의해 표면 개질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표면 개질 방법 이외의 감열 기록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예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계 수성 에멀젼 또는 우레탄계 수성 에멀젼 단독, 또는 아크릴계 수성 에멀젼과 우레탄계 수성 에멀젼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층(용이 접착층)을 투면 기재 상에 형성한 후, 용이 접착층 위에 감열 기록층을 형성하는 단계의 방법을 포함한다. 용이 접착층을 제공함으로써, 필름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감열 기록층>
감열 기록층은 류코 염료, 현색제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한다.
-류코 염료-
류코 염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류코 염료의 예는 예컨대, 트리페닐메탄계, 플루오란계, 페노티아진계, 아우라민계, 스피로피란계 및 인돌리노프탈라이드계 염료에 대한 류코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류코 염료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류코 염료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류코 화합물의 예는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프탈라이드,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크리스탈 바이올렌 락톤으로도 공지됨),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6-디에틸아미노프탈라이드,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6-클로로프탈라이드, 3,3-비스(p-디부틸아미노페닐)프탈라이드, 3-시클로헥실아미노-6-클로로플루오란, 3-디메틸아미노-5,7-디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8-벤즈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클로로플루오란, 3-(N-p-톨일-N-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2-{3,6-비스(디에틸아미노)-9-(o-클로로아닐리노)크산틸 락탐 벤조에이트}, 3-디에틸아미노-6-메틸-7-(m-트리클로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부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n-아밀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N-디에틸아미노)-5-메틸-7-(N,N-디벤질아미노)플루오란, 벤조일 류코 메틸렌 블루, 6'-클로로-8'-메톡시-벤조인돌리노-스피로피란, 6'-브로모-3'-메톡시-벤조인돌리노-스피로피란, 3-(2'-히드록시-4'-디메틸아미노페닐)-3-(2'-메톡시-5'-클로로페닐)프탈라이드, 3-(2'-히드록시-4'-디메틸아미노페닐)-3-(2'-메톡시-5'-니트로페닐)프탈라이드, 3-(2'-히드록시-4'-디에틸아미노페닐)-3-(2'-메톡시-5'-메틸페닐)프탈라이드, 3-(2'-메톡시-4'-디메틸아미노페닐)-3-(2'-히드록시-4'-클로로-5'-메틸페닐)프탈라이드, 3-(N-에틸-N-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2-에톡시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이소부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모르폴리노-7-(N-프로필-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7-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5-클로로-7-(N-벤질-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7-(디-p-클로로페닐)메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5-클로로-7-(α-페닐에틸아미노)플루오란, 3-(N-에틸-p-톨루이디노)-7-(α-페닐에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메톡시카르보닐페닐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5-메틸-7-(α-페닐에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피페리디노플루오란, 2-클로로-3-(N-메틸톨루이디노)-7-(p-n-부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6-비스(디메틸아미노)플루오렌스피로(9,3')-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 3-(N-벤질-N-시클로헥실아미노)-5,6-벤조-7-α-나프틸아미노-4'-브로모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메시티디노-4',5'-벤조플루오란, 3-N-메틸-N-이소프로필-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2',4'-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5-클로로-(α-페닐에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피페리디노플루오란, 3-(N-벤질-N-시클로헥실아미노)-5,6-벤조-7-α-나프틸아미노-4'-브로모플루오란, 3-N-에틸-N-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p-디메틸아미노페닐)-3-{1,1-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틸렌-2-일}프탈라이드, 3-(p-디메틸아미노페닐)-3-{1,1-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틸렌-2-일}-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 3-(p-디메틸아미노페닐)-3-(1-p-디메틸아미노페닐-1-페닐에틸렌-2-일)프탈라이드, 3-(p-디메틸아미노페닐)-3-(1-p-디메틸아미노페닐-1-p-클로로페닐에틸렌-2-일)-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 3-(4'-디메틸아미노-2'-메톡시)-3-(1''-p-디메틸아미노페닐-1''-p-클로로페닐-1'',3''-부타디엔-4''-일)벤조프탈라이드, 3-(4'-디메틸아미노-2'-벤질옥시)-3-(1''-p-디메틸아미노페닐-1''-페닐-1'',3''-부타디엔-4''-일)벤조프탈라이드, 3-디메틸아미노-6-디메틸아미노-플루오렌-9-스피로-3'-(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3-비스{1,1-비스(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5,6-디클로로-4,7-디브로모프탈라이드, 비스(p-디메틸아미노스티릴)-1-나프탈렌설포닐메탄 및 비스(p-디메틸아미노스티릴)-1-p-톨일설포닐메탄을 포함한다.
류코 염료의 50% 누적 체적 입경(D50)은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0.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0.4 ㎛ 이하이다.
류코 염료의 50% 누적 체적 입경(D50)의 측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예는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기구명: LA-920, Horiba, Ltd.로부터 입수가능)를 포함한다.
류코 염료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감열 기록층의 전량이 100 질량부일 때,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4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 30 질량부 이하이다.
-현색제-
현색제로서는, 류코 염료가 가열시에 류코 염료와 반응하여 류코 염료를 발색시키는 다양한 전자 수용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현색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현색제의 예는 페놀성 물질, 유기 산성 물질, 무기 산성 물질 및 이들 물질의 에스테르 또는 염을 포함한다.
현색제의 예는 갈산, 살리실산, 3-이소프로필살리실산, 3-시클로헥실살리실산, 3,5-디-tert-부틸살리실산, 3,5-디-α-메틸벤질살리실산,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1,1'-이소프로필리덴 비스(2-클로로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 비스(2,6-디브로모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 비스(2,6-디클로로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 비스(2-메틸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 비스(2,6-디메틸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 비스(2-tert-부틸페놀), 4,4'-sec-부틸리덴 디페놀, 4,4'-시클로헥실리덴 비스페놀, 4,4'-시클로헥실리덴 비스(2-메틸페놀), 4-tert-부틸페놀, 4-페닐페놀, 4-히드록시 디페녹시드, α-나프톨, β-나프톨, 3,5-크실레놀, 티몰, 메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4-히드록시아세토페논, 노볼락형 페놀 수지, 2,2'-티오비스(4,6-디클로로페놀), 카테콜, 레조르신, 히드로퀴논, 피로갈롤, 플로로글루시놀, 플로로글루시놀 카르복실산, 4-tert-옥틸카테콜, 2,2'-메틸렌비스(4-클로로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2,2,-디히드록시디페닐, 2,4'-디히드록시디페닐 설폰, 4,4'-[옥시비스(에틸렌옥시-P-페닐렌설포닐)]디페놀, 에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부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벤질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p-히드록시벤조산-p-클로로벤질, p-히드록시벤조산-o-클로로벤질, p-히드록시벤조산-p-메틸벤질, p-히드록시벤조산-n-옥틸, 벤조산, 살리실산아연, 1-히드록시-2-나프토산, 2-히드록시-6-나프토산, 2-히드록시-6-나프토산아연, 4-히드록시디페닐 설폰, 4-히드록시-4'-클로로디페닐 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피드, 2-히드록시-p-톨루엔산, 3,5-디-tert-부틸 살리실산아연, 3,5-디-tert-부틸 살리실산주석, 타르타르산, 옥살산, 말레산, 시트르산, 숙신산, 스테아르산, 4-히드록시프탈산, 붕산, 티오요소 유도체, 4-히드록시티오페놀 유도체, 비스(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에틸 비스(4-히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n-프로필 비스(4-히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m-부틸 비스(4-히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벤질 비스(4-히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페네틸 비스(4-히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메틸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n-프로필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1,7-비스(4-히드록시페닐티오)3,5-디옥사헵탄, 1,5-비스(4-히드록시페닐티오)3-옥사헵탄, 디메틸 4-히드록시프탈레이트, 4-히드록시-4'-메톡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에톡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프로폭시디페닐설폰, 4,4'-비스(3-(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페닐우레이도)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부톡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이소부톡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부톡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tert-부톡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벤질옥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페녹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m-메틸벤질옥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p-메틸벤질옥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O-메틸벤질옥시)디페닐설폰, 4-히드록시-4'-(p-클로로벤질옥시)디페닐설폰 및 N-(2-(3-페닐우레이도)페닐)벤젠설폰아미드를 포함한다. 이들 현색제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현색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현색제의 50% 누적 체적 입경(D50)은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0.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0.4 ㎛ 이하이다.
현색제의 50% 누적 체적 입경(D50)의 측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예는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기구명: LA-920, Horiba, Ltd.로부터 입수가능)를 포함한다.
현색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류코 염료 1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이다.
-바인더 수지-
바인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콜 수지, 전분 또는 전분의 유도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컨대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및 에틸 셀룰로오스; 수용성 고분자, 예컨대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에스테르-메타크릴산 삼원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알칼리 염,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알칼리 염, 폴리아크릴아미드, 알긴산나트륨, 젤라틴 및 카제인; 예컨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에멀젼; 및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 공중합체의 라텍스. 이들 바인더 수지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바인더 수지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바인더 수지 중에서, 투명성 및 기재와의 결착의 관점에서 폴리비닐 알콜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 외의 성분-
그 외의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그 외의 성분의 예는 감도 향상제로서의 다양한 열 가융성 물질, 보조 첨가제, 계면 활성제, 활제, 충전재, 자외선 흡수제 및 착색 안료를 포함한다.
--열 가융성 물질--
열 가융성 물질의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 및 베헨산; 지방산 아미드, 예컨대 스테아르산 아미드 및 팔미트산 아미드; 지방산 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팔미트산아연 및 베헨산아연; 및 p-벤질 비페닐, 터페닐, 트리페닐메탄, 벤질 p-벤질옥시벤조에이트, β-벤질옥시나프탈렌, 페닐 β-나프토에이트, 페닐 1-히드록시-2-나프토에이트, 메틸 1-히드록시-2-나프토에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글리콜 카보네이트, 테레프탈산디벤질, 테레프탈산디메틸, 1,4-디메톡시나프탈렌, 1,4-디에톡시나프탈렌, 1,4-디벤질옥시나프탈렌, 1,2-디페녹시에탄, 1,2-비스(3-메틸페녹시)에탄, 1,2-비스(4-메틸페녹시)에탄, 1,4-디페녹시-2-부텐, 1,2-비스(4-메톡시페닐티오)에탄, 디벤조일메탄, 1,4-디페닐티오부탄, 1,4-디페닐티오-2-부텐, 1,3-비스(2-비닐옥시에톡시)벤젠, 1,4-비스(2-비닐옥시에톡시)벤젠, p-(2-비닐옥시에톡시)비페닐, p-아릴옥시비페닐, p-프로파르길옥시비페닐, 디벤조일옥시메탄, 디벤조일옥시프로판, 디벤질 디설피드, 1,1-디페닐 에탄올, 1,1-디페닐프로판올, p-벤질옥시 벤질알콜, 1,3-페녹시-2-프로판올, N-옥타데실카르바모일-p-메톡시카르보닐 벤젠, N-옥타데실카르바모일 벤젠, 1,2-비스(4-메톡시페녹시)프로판, 1,5-비스(4-메톡시페녹시)-3-옥사펜탄, 옥살산디벤질, 옥살산비스(4-메틸벤질) 및 옥살산비스(4-클로로벤질). 이들 열 가융성 물질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열 가융성 물질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보조 첨가제--
보조 첨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보조 첨가제의 예는 힌더드 페놀 화합물 및 힌더드 아민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보조 첨가제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보조 첨가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보조 첨가제의 예는 2,2'-메틸렌비스(4-에틸-6-터셔리 부틸페놀), 4,4'-부틸리덴 비스(6-터셔리 부틸-2-메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터셔리 부틸페닐)부탄,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시클로헥실페닐)부탄, 4,4'-티오비스(6-터셔리 부틸-2-메틸페놀),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S, 4,4-티오비스(2-메틸페놀), 4,4'-티오비스(2-클로로페놀),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및 테트라키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 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보조 첨가제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보조 첨가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
계면 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의 예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및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들 계면 활성제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계면 활성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아세테이트,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라우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염을 포함한다. 이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는 아세틸렌 글리콜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아세틸렌 글리콜계 계면 활성제의 예는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 3,6-디메틸-4-옥티-3,6-디올, 3,5-디메틸-1-헥신-3-디올 및 2,5,8,11-테트라메틸-6-도데신-5,8-디올을 포함한다. 이들 아세틸렌 글리콜계 계면 활성제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아세틸렌 글리콜계 계면 활성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활제--
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활제의 예는 고급 지방산 또는 고급 지방산의 금속 염, 고급 지방산 아미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동물성 왁스, 식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 및 석유계 왁스를 포함한다. 이들 활제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활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충전재--
충전재의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무기 분말, 예컨대 탄산칼슘,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아연, 황산바륨, 클레이, 카올린, 탈크, 표면 처리된 칼슘 및 표면 처리된 실리카; 및 유기 분말, 예컨대 요소-폴르말린 수지,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수지 및 염화비닐리덴 수지. 이들 충전재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충전재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충전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바인더 수지 1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 4.0 질량부 이하이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예는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자외선 흡수제의 예는 페닐 살리실레이트, p-ter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설포벤조페논, 비스(2-메톡시-4-히드록시-5-벤조일페닐)메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을 포함한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자외선 흡수제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착색 안료--
착색 안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착색 안료의 예는 크롬 옐로우, 산화철 안료, 몰리브덴산 오렌지, 카드뮴 레드, 황화아연 화합물, 한자 옐로우, 한자 오렌지, 로즈 레드, 피라졸론 레드, 리놀 레드, 구리 프탈로시아닌 블루, 코팔 폴리브로모프탈로시아닌 블루, 인단트렌 블루, 이소디벤자트렌 바이올렛 및 안단트렌 오렌지를 포함한다. 이들 착색 안료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착색 안료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감열 기록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감열 기록층의 형성 방법의 예는, 류코 염료 및 현색제를 바인더 수지와 함께, 분산기, 예컨대 볼밀, 아트라이터 및 샌드밀을 사용하여 분쇄 및 분산시킨 후, 추가로 생성물을 예컨대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을 제조하고,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을 투명 기재 상에 도포한 후,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을 건조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포 방법의 예는 블레이드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그라비아 오프셋 코트법, 바 코트법, 롤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콤마 코트법, U 콤마 코트법, AKKU 코트법, 스무딩 코트법,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4롤 또는 5롤 코트법, 딥 코트법, 커튼 코트법, 슬라이드 코트법 및 다이 코트법을 포함한다.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에 함유된 입자의 50% 누적 체적 입경(D50)은 바람직하게는 0.10 ㎛ 이상 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 이상 0.5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 ㎛ 이상 0.40 ㎛ 이하이다.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에 함유된 입자의 예는 염료, 현색제, 충전제 및 착색 안료를 포함한다.
감열 기록층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1.0 g/m2 이상 20.0 g/m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g/m2 이상 10.0 g/m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g/m2 이상 4.0 g/m2 이하이다.
<배리어층>
배리어층은 감열 기록층이 투명 기재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의 감열 기록층의 면에 제공되는 층이다. 배리어층은 중공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성분을 더 포함한다. 배리어층을 제공함으로써, 임의의 그 외의 층에 포함된 성분에 의한 감열 기록층의 열화를 억제하고 경시 소색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제층으로부터의 점작체의 마이그레이트를 방지할 수도 있다.
-중공 입자-
중공 입자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쉘 내에 공기 또는 임의의 그 외의 기체가 충전된 입자이다. 중공 입자의 쉘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예는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및 폴리부타디엔 수지 또는 이들 열가소성 수지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염화비닐리덴 및 아크릴로니트릴로 주로 형성된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공 입자의 중공률은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중공 입자의 중공률이 45% 이상이면, 발색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중공률은 중공 입자의 체적과 공극의 비를 지칭하며, 백분율(%)로 표시된다. 중공 입자는 대략 구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공률은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중공률(%) = [(공극의 체적)/(중공 입자의 체적)]×100
중공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입자 외경)은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 10 ㎛ 이하이다. 중공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입자 외경)이 0.4 ㎛ 이상 10 ㎛ 이하이면, 발색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중공 입자의 함유량은 바인더 수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이다.
--바인더 수지--
바인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콜 수지, 전분 또는 전분의 유도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컨대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및 에틸 셀룰로오스; 수용성 고분자, 예컨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 피롤리돈,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에스테르-메타크릴산 삼원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알칼리 염,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알칼리 염, 폴리아크릴아미드, 알긴산나트륨, 젤라틴 및 카제인; 예컨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에멀젼; 및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 공중합체의 라텍스(수성 에멀젼). 이들 바인더 수지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바인더 수지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바인더 수지 중에서, 감열 기록층과의 결착성 및 배리어 기능의 관점에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성분-
그 외의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감열 기록층에 적용가능한 성분과 동일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배리어층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g/m2 이상 10.0 g/m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g/m2 이상 8.0 g/m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g/m2 이상 6.0 g/m2 이하이다.
<그 외의 층>
그 외의 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그 외의 층의 예는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은 배리어층의 감열 기록층측의 면과는 반대의 배리어층의 면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에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점착제의 예는 감압 점착제 및 그 외의 유형의 점착제를 포함한다.
점착제의 예는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아세트산비닐-아크릴계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 에테르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 부티랄계 수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천연 고무,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한다. 이들 재료 중 1종을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재료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가교제에 의해 가교시킬 수 있다. 점착제층의 재료는 핫멜트 타입일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20 ㎛ 이하이다.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의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점착제층 상에 박리지를 첩합함으로써, 감열 기록 매체를 스티커형 감열 기록 매체 또는 감열 기록 라벨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박리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박리지의 예는 중성지, 산성지 또는 플라스틱을 첩합시켜 얻어진 박리지를 포함한다. 또한, 투명 기재의 감열 기록층이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에 정형 일러스트, 예컨대 컬러 표시된 로고 또는 정형문이 인자법, 예컨대 잉크젯 또는 오프셋에 의해 인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감열 기록 매체의 형상의 예는 라벨형, 시트형 및 롤형을 포함한다. 또한, 감열 기록 매체는 투명 기재 상에 이형층을 형성하여 롤형으로 권취된 라이너리스 타입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1)는 투명 기재(11) 상에 감열 기록층(12) 및 배리어층(13)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1)의 투명 기재(11)를 갖는 면으로부터 감열 기록층(12)에 열원(21)에 의해 열 에너지가 인가되어, 감열 기록층(12)이 발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층(13) 상에 점착제층(14)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재(11) 상에 이형층(16)을 제공한 층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은 투명 기재 상에 감열 기록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감열 기록층 상에 중공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그 외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감열 기록층을 형성하는 단계>
감열 기록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감열 기록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채용할 수 있다.
투명 기재의 감열 기록층이 제공되는 면에는,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의 도포 전에,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산화 반응 처리(예컨대 크롬산), 에칭 처리, 용이 접착 처리 및 대전 방지 처리에 의한 표면 개질 처리를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투명 기재와 감열 기록층 사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표면 개질 방법 외에,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를 포함하는 층(용이 접착층)을 투명 기재 상에 형성한 후, 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를 포함하는 층 상에 감열 기록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다음으로, 감열 기록층 상에 배리어층용 도포액을 도포하여 배리어층을 형성한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의 예는 중공 입자를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액과 함께, 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배리어층용 도포액을 제조하고,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재료를 생성물에 첨가하고, 배리어층용 도포액을 감열 기록층에 도포하고, 이어서 배리어층용 도포액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리어층용 도포액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의 도포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배리어층 상에 첨착제층을 형성하는지 여부는 임의이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포 방법, 예컨대 바 코트법, 롤 코트법, 콤마 코트법 및 그라비아 코트법에 의해 배리어층 상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이어서 점착제를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외의 단계>
그 외의 단계로서, 예컨대, 스티커형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 상에 박리지를 첩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지를 첩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라이너리스형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의 경우에는, 투명 기재의 감열 기록층이 형성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에, 이형층용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다. 이형층용 도포액의 도포 방법은 상술한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의 도포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은, 투명 기재를 갖는 감열 기록층의 면을 통해 열원을 사용하여 빛 또는 열 에너지를 감열 기록층에 인가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열원의 예는 써멀 헤드, 써멀 스탬프, CO2 레이저 및 반도체 레이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의 용도의 예는, 고내용제성을 가질 필요가 있는 물품, 예컨대 용제 용기에 첩부 또는 부착되어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제 용기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용제 용기의 재료의 예는 금속, 플라스틱 및 유리를 포함한다. 고내용제성을 가질 필요가 있는 물품에 감열 기록 매체를 이용함으로써, 용제가 감열 기록 매체에 부착하더라도, 예컨대 문자의 소실 없이 물품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다.
(물품)
본 개시의 물품은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감열 기록 매체로서,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물품이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상태라는 것은,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를 물품에 예컨대 첩부 또는 부착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본 개시의 물품은, 물품이 본 개시의 감열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물품의 예는 패킹재, 포장 재료 및 포장지를 포함한다. 특히 언급될 물품의 예는 특히 고내용제성을 가질 필요가 있는 물품을 포함한다.
실시예
하기에서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할 것이다. 본 개시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1의 제조>
2-아닐리노-3-메틸-6-부틸아미노플루오란(20 질량부) 및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40 질량부)을 샌드밀을 사용하여 분산 처리하여 염료 분산액 A1인 <A액>을 얻었다.
마찬가지로, 4,4'-[옥시비스(에틸렌옥시-P-페닐렌설포닐)]디페놀로 주로 형성된 중합물(상품명: D-90, Nippon Soda Co., Ltd.로부터 입수가능)(10 질량부), 2,4'-디히드록시디페닐설폰(상품명: PBS-24, Nicca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가능)(10 질량부),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30 질량부) 및 물(30 질량부)을 <A액>의 제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산 처리하여 현색제 분산액 B1인 <B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얻어진 염료 분산액 A1(20 질량부), 얻어진 현색제 분산액 B1(80 질량부),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30 질량부), 실리카(1 질량부) 및 물(45 질량부)을 혼합 및 교반하여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1인 <C액>을 얻었다.
<배리어층용 도포액 D1의 제조>
중공 수지 입자(중공률 30%)(25 질량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15 질량부) 및 물(60 질량부)을 교반하고 분산시켜 배리어층용 도포액 D1인 <D액>을 얻었다.
-감열 기록 매체 1의 제조-
투명 기재로서 역할을 하고 코로나 처리된 평균 두께 12 ㎛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일면에,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1 및 배리어층용 도포액 D1을 이 순서로, 양쪽 모두 액체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이 5.0 g/m2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감열 기록 매체 전구체 1을 얻었다.
다음으로, 감열 기록 매체 전구체 1을 고밀도 폴리에틸렌 백에 넣고, 밀폐하여 40℃ 환경에서 72 시간 동안 경화시켜 감열 기록 매체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추가로 배리어층 상에 감압 점착제로서 역할을 하는 아크릴 에멀젼(Henkel Japan Ltd.로부터 입수가능, AQUENCE PS AQ590 NACOR, 고형분 농도 54 질량%)을 아크릴 에멀젼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이 20 g/m2가 되도록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 이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감열 기록 매체 2의 점착제층 상에 추가로 평균 두께 50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E5100, Toyobo Co., Ltd.로부터 입수가능)을 압착시켜 지지체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 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 있어서, 중공률이 45%인 중공 수지 입자를 사용하여 배리어층용 도포액 D2를 제조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 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 중공률이 95%인 중공 수지 입자를 사용하여 배리어층용 도포액 D3을 제조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 5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 있어서, 중공률이 90%인 중공 수지 입자를 사용하여 배리어층용 도포액 D4를 제조하고, 평균 두께 12 ㎛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대신에, 코로나 처리된 평균 두께 1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E5100, Toyobo Co., Ltd.로부터 입수가능)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 6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 있어서, 평균 두께 1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코로나 처리된 평균 두께 4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LUMIRROR F57, Toray Industries, Inc.로부터 입수가능)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7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 있어서, 평균 두께 1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코로나 처리된 평균 두께 20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8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6에 있어서, 평균 두께 1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코로나 처리된 평균 두께 25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E5100, Toyobo Co., Ltd.로부터 입수가능)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9를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6에 있어서, 평균 두께 1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코로나 처리된 평균 두께 12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E5100, Toyobo Co., Ltd.로부터 입수가능)을 사용하고, 배리어층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을 0.5 g/m2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10을 얻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에 있어서, 배리어층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을 1.0 g/m2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11을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에 있어서, 배리어층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을 8.0 g/m2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12를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0에 있어서, 배리어층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을 10.0 g/m2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13을 얻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0에 있어서, 배리어층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을 5.0 g/m2로 변경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감열 기록층과는 반대의 면에, 이하 기재된 배합에 따라 제조된 내열층용 도포액 E1인 <E액>을, 액체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이 0.5 g/m2가 되도록 도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14를 얻었다.
<내열층용 도포액 E1>
-실리콘 고무(상품명: SD7226,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로부터 입수가능): 10 질량부
-톨루엔: 50 질량부
(실시예 15)
실시예 14에 있어서, 내열층용 도포액 E1인 <E액> 대신에, 이하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된 내열층용 도포액 E2인 <E액>을, 액체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이 0.5 g/m2가 되도록 도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15를 얻었다.
<무기 충전제 분산액 F1>
이하에 기재된 배합에 따라 제조된 액체를, 샌드밀을 사용하여 24 시간 동안 분산 처리하여 무기 충전제 분산액 F1인 <F액>을 제조하였다.
-수산화알루미늄(평균 입경 0.6 ㎛, 상품명: HYDIRITE H-43M, Showa Denko K.K.로부터 입수가능): 20 질량부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 20 질량부
-물: 60 질량부
<내열층용 도포액 E2>
다음으로, 이하 기재된 배합에 따른 액체를 혼합 및 교반하여 내열층용 도포액 E2인 <E액>을 얻었다.
-<F액> 무기 충전제 분산액 F1: 25 질량부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 50 질량부
-폴리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25 질량% 수용액: 8 질량부
-물: 100 질량부
(실시예 16)
실시예 15에 있어서, 코로나 처리된 평균 두께 12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코로나 처리되지 않은 평균 두께 12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16을 얻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감열 기록층 사이에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수계 에멀젼을, 건조 후의 수계 에멀젼의 잔존 부착량이 0.3 g/m2가 되도록 도포하여 용이 접착층을 제공한 것 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17을 얻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5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 B1인 <B액> 대신에, 하기 기재된 배합에 따라 제조되고 샌드밀을 사용하여 분산 처리된 현색제 분산액 B2인 <B액>을 사용하여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2를 제조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18을 얻었다.
<현색제 분산액 B2>
-2,4'-디히드록시디페닐설폰(상품명: BPS-24, Nicca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가능): 20 질량부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 30 질량부
-물: 30 질량부
(실시예 19)
실시예 15에 있어서, 현색제 분산액 B1인 <B액> 대신에, 하기 기재된 배합에 따라 제조되고 샌드밀을 사용하여 분산 처리된 현색제 분산액 B3인 <B액>을 사용하여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3을 제조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19를 얻었다.
<현색제 분산액 B3>
-4,4'-비스(3-(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페닐우레이도)디페닐 설폰(상품명: UU, Asahi Kasei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 10 질량부
-2,4'-디히드록시디페닐설폰(상품명: BPS-24, Nicca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가능): 10 질량부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 30 질량부
-물: 30 질량부
(실시예 20)
실시예 15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1인 <C액> 대신에, 하기 기재된 배합에 따라 제조된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4인 <C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20을 얻었다.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4>
-염료 분산액 A1: 20 질량부
-현색제 분산액 B1: 80 질량부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상품명: SUMISORB 300, 자외선 흡수제, Sumitomo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가능): 0.8 질량부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 30 질량부
-실리카: 1 질량부
-물: 45 질량부
(실시예 21)
실시예 15에 있어서,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1인 <C액> 대신에, 하기 기재된 배합에 따라 제조된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5인 <C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21을 얻었다.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5>
-염료 분산액 A1: 20 질량부
-현색제 분산액 B1: 80 질량부
-황색 착색 안료: 0.5 질량부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 30 질량부
-실리카: 1 질량부
-물: 45 질량부
(비교예 1)
평균 두께 50 ㎛의, 실시예 3에서 지지체층으로서 사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배리어층용 도포액 D4,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1 및 내열층용 도포액 E2를, 액체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이 각각 5.0 g/m2, 5.0 g/m2 및 1.5 g/m2 가 되도록 순차 적층시켜 감열 기록 매체 22를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5에 있어서, 배리어층을 제공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23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5에 있어서, 배리어층용 도포액 D4 대신에, 하기 기재된 배합에 따른 배리어층용 도포액 D5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24를 얻었다.
<배리어층용 도포액 D5>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 100 질량부
-폴리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25 질량% 수용액: 16 질량부
(비교예 4)
실시예 14에 있어서, 코로나 처리된 평균 두께 12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코로나 처리되지 않은 평균 두께 1.5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고, 배리어층을 제공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 25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5에 있어서,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평균 두께를 5 ㎛로 변경하고, 내열층을 제공하지 않고,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1 및 배리어층용 도포액 D4 대신에, 하기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된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6 및 배리어층용 도포액 D6을, 액체의 건조 후의 잔존 부착량이 감열 기록층에 대해 10 g/m2, 그리고 배리어층에 대해 0.5 g/m2이 되도록 도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열 기록 매체를 제조하여, 감열 기록 매체 26을 얻었다.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6의 제조>
1,2-벤조-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10 질량부) 및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100 질량부)을 샌드밀을 사용하여 분산 처리하여 염료 분산액 A2인 <A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2-옥소테트라데칸산(20 질량부) 및 폴리비닐 알콜 10 질량% 수용액(100 질량부)을 샌드밀을 사용하여 분산 처리하여 현색제 분산액 B4인 <B액>을 제조하였다.
염료 분산액 A2(50 질량부) 및 현색제 분산액 B4(50 질량부)를 혼합하여 감열 기록층용 도포액 C6를 제조하였다.
<배리어층용 도포액 D6>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상품명: CROSSNATE D-70,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로부터 입수가능): 100 질량부
[표 1-1]
Figure pct00001
[표 1-2]
Figure pct00002
다음으로,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감열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내용제마찰성", "발색 감도", "시인성", "인열 내성", "경시 소색 내성", "내광성", "인쇄성" 및 "결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1 및 2-2에 나타낸다.
(내용제마찰성)
감열 프린터(장치명: DMX-I-4308, DATA MAX Co., Ltd.로부터 입수가능)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감열 기록 매체에 대해, 인자 속도 2 인치/s, 인자 농도 10으로 인자를 수행하여 시험 샘플을 얻었다. 다음으로, 마찰 시험기(기구명: FR-2, Suga Test Instruments Co., Ltd.로부터 입수가능)의 홀더(폭 20 mm 및 깊이 50 mm 평면)에 99 질량% 농도의 에탄올에 침지된 면포를 세트하고, 각각의 감열 기록 매체의 투명 기재측에 100 gf/cm2의 하중을 걸어 100 왕복 사이클의 마찰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시험 샘플의 시험 전후에 인자부 농도를, 반사 농도 측정기(기구명: MACBETH RD-914, Gretag-Macbeth Ltd.로부터 입수가능)로 측정하였다. 하기 기재된 식에 따라 인자부 잔존율을 산출하고, 하기 기재된 평가 기준에 따라 "내용제마찰성"을 평가하였다. "C", "B" 및 "A" 수준의 "내용제마찰성"은 실제 사용상 문제없는 수준이다.
인자부 잔존율 = (시험 후의 인자부 농도)/(시험 전의 인자부 농도)×100
<평가 기준>
A: 인자부 잔존율이 90% 이상이었다.
B: 인자부 잔존율이 80% 이상 90% 미만이었다.
C: 인자부 잔존율이 75% 이상 80% 미만이었다.
D: 인자부 잔존율이 75% 미만이었다.
(발색 감도)
감열 프린터(장치명: TH-PMD, Okura Denki로부터 입수가능)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감열 기록 매체에 대해, 0.4 mJ/도트의 에너지를 인가하여 인자를 수행하고, 인자부 농도를 반사 농도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또한, 열 경사 시험기(기구명: HG-100-2, Toyo Seiki Seisaku-sho, Ltd.로부터 입수가능)를 사용하여, 150℃, 2 kgf에서 2 초 동안 감열 기록 매체를 발색시켰다. 발색 농도를 반사 농도 측정기로 측정하고, 최대 발색 농도로서 사용하였다. 감열 프린터에 의해 인자한 인자부의 반사 농도 및 최대 발색 농도를 비교하여, 하기 기재된 평가 기준에 따라 "발색 감도"를 평가하였다. "C", "B" 및 "A" 수준의 "발색 감도"는 실제 사용상 문제없는 수준이다.
<평가 기준>
A: 최대 발색 농도까지 발색하였다.
B: 최대 발색 농도의 90% 이상까지 발색하였다.
C: 최대 발색 농도의 80% 이상까지 발색하였다.
D: 최대 발색 농도의 80% 미만까지 발색하였다.
(시인성)
감열 프린터(장치명: DMX-I-4308, DATA MAX Co., Ltd.로부터 입수가능)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감열 기록 매체에 대해, 인자 속도 2 인치/s, 인자 농도 10으로 인자를 수행하였다. 인자된 문자의 시인성을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인자된 문자의 수와 시인할 수 있었던 문자의 수 사이의 비율을 산출하고, 하기 기재된 평가 기준에 따라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C", "B" 및 "A" 수준의 "시인성"은 실제 사용상 문제없는 수준이다.
<평가 기준>
A: 판독 가능 부분이 100%였다.
B: 판독 가능 부분이 85% 이상이었다.
C: 판독 가능 부분이 70% 이상이었다.
D: 판독 가능 부분이 70% 미만이었다.
(인열 내성(tear resistance))
감열 프린터(장치명: TH-PMD, Okura Denki로부터 입수가능)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감열 기록 매체에 대해, 0.1 mJ/도트 내지 0.4 mJ/도트의 에너지를 인가하여 인자를 수행하였다. 투명 기재의, 써멀 헤드와의 스티킹에 의한 인열, 박리 또는 컬링의 발생의 유무를 육안으로 판정하여, 하기 기재된 평가 기준에 따라 "인열 내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에 대해서는, 인자에 의한 도공층, 예컨대 감열 기록층 및 배리어층의 박리 또는 컬링의 유무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A: 인열, 박리 또는 컬링이 발생하지 않았다.
B: 인열, 박리 또는 컬링이 발생하지 않았다(그러나 일부에서 스티킹이 발생함).
C: 인열, 박리 또는 컬링이 발생하지 않았다(그러나 스티킹이 발생함).
(경시 소색 내성)
감열 프린터(장치명: DMX-I-4308, DATA MAX Co., Ltd.로부터 입수가능)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감열 기록 매체에 대해, 인자 속도 2 인치/s, 인자 농도 10으로 인자를 수행하여 샘플을 얻었다. 각각의 시험 샘플의 인자부 농도를 반사 농도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이어서, 40℃ 및 90% RH 환경에 24 시간 농안 시험 샘플을 노출시킨 후, 재차 인자부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험 전후의 인자부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인자부 잔존율을 산출하고, 하기 기재된 평가 기준에 따라 "경시 소색 내성"을 평가하였다. "C", "B" 및 "A" 수준의 "경시 소색 내성"은 실제 사용상 문제없는 수준이다.
<평가 기준>
A: 인자부 잔존율이 90% 이상이었다.
B: 인자부 잔존율이 80% 이상 90% 미만이었다.
C: 인자부 잔존율이 75% 이상 80% 미만이었다.
D: 인자부 잔존율이 75% 미만이었다.
(내광성)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감열 기록 매체에 대해, 웨더 오미터(기구명: CI3000, Atlas로부터 입수가능)를 사용하여, 조도 0.35 W/m2, 챔버 온도 45℃에서 24 시간 동안 Xe 램프광을 조사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전후의 배경의 L*, a* 및 b* 값에 기초하여 하기 기재된 식에 따라 색차 ΔE를 산출하고, 하기 기재된 평가 기준에 따라 "내광성"을 평가하였다.
(색차 ΔE) = {(L* 2-L* 1)+(a* 2-a* 1)+(b* 2-b* 1)}^(1/2)
*L* 1, a* 1 및 b* 1: 조사 시험 전의 L*, a* 및 b*
L* 2, a* 2 및 b* 2: 조사 시험 후의 L*, a* 및 b*
<평가 기준>
A: ΔE<2.0
B: 2.0≤ΔE
(인쇄성)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감열 기록 매체의 보호층 상에 RI 테스터를 이용하여, 잉크 게이지 6, 인자 속도 1,000 rpm으로, 잉크 부착량이 6 g/m2가 되도록, UV 유색 잉크(상품명: BEST CURE UV TML-2 red/indigo, T&K TOKA Co., Ltd.로부터 입수가능)를 도포하였다. 자외선으로 조사하고 잉크를 경화시켜 인자를 실시하였다. 인자된 샘플에 폭 18 mm의 셀룰로오스 테이프(상품명: CT18, Nichiban Co., Ltd.로부터 입수가능)를 인자 흐름 방향을 따라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첩부하였다. (i) 180°의 각도로 셀룰로오스 테입을 천천히 박리하기, (ii) 90°의 각도로 셀룰로오스 테입을 천천히 박리하기, 및 (iii) 90°의 각도로 셀룰로오스 테입을 빨리 박리하기의 3 단계 방법을 연속하여 수행하여, 인자된 화상의 박리 상태를 육안으로 판정하고, 하기 기재된 평가 기준에 따라 "인쇄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i) 내지 (iii) 모두에서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B: (i) 및 (ii) 단계에서는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iii) 단계에서는 박리가 발생하였다.
C: (i) 또는 (ii) 단계에서 박리가 발생하였다.
(결착성)
실시예 1의 감열 기록 매체의 배리어층 상에, 실시예 3 및 비교예 1, 4 및 5의 감열 기록 매체의 지지체 상에, 그리고 그 외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감열 기록 매체의 점착제층 상에, 폭 18 mm의 셀룰로오스 테입(상품명: CT18, Nichiban Co., Ltd.로부터 입수가능)을 인자 흐름 방향을 따라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첩부하였다. (i) 180°의 각도로 셀룰로오스 테입을 천천히 박리하기, (ii) 90°의 각도로 셀룰로오스 테입을 천천히 박리하기, 및 (iii) 90°의 각도로 셀룰로오스 테입을 빨리 박리하기의 3 단계 방법을 연속하여 수행하여, 투명 기재와 감열 기록층 사이의 박리 상태를 육안으로 판정하고, 하기 기재된 평가 기준에 따라 "결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모든 단계에서 박리가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iii) 단계에서만 박리가 발생하였다.
B: (i) 단계에서는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ii) 단계에서는 박리가 발생하였다.
C: (i) 단계에서 박리가 발생하였다.
(종합 평가)
상기 기재된 평가에서 달성된 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을 종합 평가로 채용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2에 나타낸다.
[표 2-1]
Figure pct00003
[표 2-2]
Figure pct00004
본 개시의 양태는 예컨대 하기와 같다.
<1> 투명 기재;
상기 투명 기재 상의 감열 기록층; 및
상기 감열 기록층 상의 배리어층
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로서,
상기 배리어층이 중공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기재를 갖는 상기 감열 기록층의 면으로부터 상기 감열 기록층에 열 에너지가 인가될 때, 상기 감열 기록층이 발색하는 감열 기록 매체.
<2> <1>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평균 두께가 4 ㎛ 이상 25 ㎛ 이하인 감열 기록 매체.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 상에 점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감열 기록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의 투명 기재의 면 상에 내열층을 더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7> <6>에 있어서, 상기 내열층이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중 적어도 어느 1종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8>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 상기 감열 기록층 및 상기 내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의 부착량이 0.5 g/m2 이상 10.0 g/m2 이하인 감열 기록 매체.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공 입자의 중공률이 45% 이상인 감열 기록 매체.
<11> <5>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 상에 박리지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12>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 상에 이형층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13> 투명 기재 상에 감열 기록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열 기록층 상에 중공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14>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감열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감열 기록 매체, <13>에 따른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14>에 따른 물품은, 관련 기술에서의 제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1: 감열 기록 매체
11: 투명 기재
12: 감열 기록층
13: 배리어층
14: 점착제층
15: 박리지
16: 이형층
21: 열원

Claims (14)

  1. 투명 기재;
    상기 투명 기재 상의 감열 기록층; 및
    상기 감열 기록층 상의 배리어층
    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로서,
    상기 배리어층이 중공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기재를 갖는 상기 감열 기록층의 면으로부터 상기 감열 기록층에 열 에너지가 인가될 때, 상기 감열 기록층이 발색하는 감열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평균 두께가 4 ㎛ 이상 25 ㎛ 이하인 감열 기록 매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 상에 점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감열 기록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의 투명 기재의 면 상에 내열층을 더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층이 이타콘산 변성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중 적어도 어느 1종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 상기 감열 기록층 및 상기 내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의 부착량이 0.5 g/m2 이상 10.0 g/m2 이하인 감열 기록 매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입자의 중공률이 45% 이상인 감열 기록 매체.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 상에 박리지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 상에 이형층을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
  13. 투명 기재 상에 감열 기록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열 기록층 상에 중공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열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KR1020207020241A 2017-12-22 2018-12-21 감열 기록 매체,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물품 KR202000969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46998A JP2019111726A (ja) 2017-12-22 2017-12-22 感熱記録媒体、感熱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物品
JPJP-P-2017-246998 2017-12-22
PCT/JP2018/047154 WO2019124531A1 (en) 2017-12-22 2018-12-21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producing method, and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972A true KR20200096972A (ko) 2020-08-14

Family

ID=6501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241A KR20200096972A (ko) 2017-12-22 2018-12-21 감열 기록 매체,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08917A1 (ko)
EP (1) EP3727866A1 (ko)
JP (1) JP2019111726A (ko)
KR (1) KR20200096972A (ko)
CN (1) CN111556812A (ko)
WO (1) WO2019124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6642A (ja) * 2020-03-19 2021-09-27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媒体、感熱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物品
JP7072130B1 (ja) * 2020-07-27 2022-05-19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JP2022147650A (ja) * 2021-03-23 2022-10-06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媒体、レーザー印刷方法、及びレーザー印刷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142A (ja) 1993-07-07 1995-01-27 Mitsubishi Pencil Co Ltd 感熱記録体
KR20020011956A (ko) 2001-12-31 2002-02-09 김연준 자기장을 이용한 초크랄스키 풀러 및 이를 이용한 단결정잉곳 성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670A (ja) * 1993-06-29 1995-04-11 Ricoh Co Ltd 透明感熱記録媒体
JPH07223370A (ja) * 1993-04-02 1995-08-22 Ricoh Co Ltd 透明感熱記録媒体
US5380693A (en) * 1993-04-02 1995-01-10 Ricoh Company, Ltd. Transparent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JPH079763A (ja) * 1993-06-15 1995-01-13 Mitsubishi Paper Mills Ltd 可逆性感熱記録材料
JPH08118811A (ja) * 1993-12-15 1996-05-14 Ricoh Co Ltd 版下用感熱記録媒体および版下フィルム
EP0688680B2 (en) * 1994-06-09 2002-08-07 Ricoh Company, Ltd Transparent thermal recording medium
JPH08187944A (ja) * 1995-01-09 1996-07-23 Ricoh Co Ltd 感熱記録材料
JP2991082B2 (ja) * 1995-05-15 1999-12-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可逆的カラー画像形成方法及び可逆的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0214238A (ja) * 1999-01-22 2000-08-04 Toshiba Corp バッテリ駆動予想時間算出装置及びバッテリ駆動予想時間算出方法
JP2000247946A (ja) * 1999-02-26 2000-09-12 Fuji Photo Film Co Ltd グアニジン化合物および感熱記録材料
JP2002011956A (ja) 2000-06-30 2002-01-15 General Kk 表面保護フィルムを備えた感熱記録体の製造方法
JP2003011518A (ja) * 2001-06-28 2003-01-15 Mitsui Chemicals Inc 多色感熱記録材料
CN1705568A (zh) * 2002-10-02 2005-12-07 通用数据公司 热敏记录材料及其制备与使用方法
JP2008037098A (ja) * 2006-07-10 2008-02-21 Toshiba Tec Corp 可逆性感熱記録媒体及びこの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記録方法
JP2008055843A (ja) * 2006-09-01 2008-03-13 Fujifilm Corp 感熱記録材料
JP2009017621A (ja) * 2007-07-02 2009-01-22 Nec Corp 携帯端末装置および充電ガイダンス方法
JP5471208B2 (ja) * 2008-09-10 2014-04-16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材料
US8546300B2 (en) * 2010-01-15 2013-10-01 Ricoh Company,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 and image recording method
US8665214B2 (en) * 2010-12-29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battery lif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5283316B (zh) * 2013-05-22 2018-03-30 王子控股株式会社 热敏记录体
WO2015050098A1 (ja) * 2013-10-04 2015-04-0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感熱記録体
JP6237157B2 (ja) * 2013-11-25 2017-11-29 富士通株式会社 蓄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蓄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及び、蓄電池の充放電制御プログラム
KR102447667B1 (ko) * 2015-03-31 2022-09-2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열전사 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142A (ja) 1993-07-07 1995-01-27 Mitsubishi Pencil Co Ltd 感熱記録体
KR20020011956A (ko) 2001-12-31 2002-02-09 김연준 자기장을 이용한 초크랄스키 풀러 및 이를 이용한 단결정잉곳 성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27866A1 (en) 2020-10-28
JP2019111726A (ja) 2019-07-11
US20210008917A1 (en) 2021-01-14
CN111556812A (zh) 2020-08-18
WO2019124531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1694B2 (en)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6566100B2 (ja) 感熱記録材料
KR102588965B1 (ko) 감열 기록 매체
WO2018173810A1 (en)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and article
KR20200096972A (ko) 감열 기록 매체, 감열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및 물품
JP5032924B2 (ja) 感熱記録材料
CN109328143B (zh) 热敏记录介质和制品
JP7415712B2 (ja) 感熱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20152022A (ja) 感熱記録媒体、及び感熱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5298693B2 (ja) 感熱記録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