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517A - 밀봉판, 콘덴서 및 밀봉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밀봉판, 콘덴서 및 밀봉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6517A KR20200096517A KR1020207015741A KR20207015741A KR20200096517A KR 20200096517 A KR20200096517 A KR 20200096517A KR 1020207015741 A KR1020207015741 A KR 1020207015741A KR 20207015741 A KR20207015741 A KR 20207015741A KR 20200096517 A KR20200096517 A KR 202000965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hole
- opening
- valve body
- ga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QQADJVZYDDRJT-UHFFFAOYSA-N ethene;prop-1-ene Chemical group C=C.CC=C HQQADJVZYDDR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81 Ethylene propyl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43 off-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2—Vents or other means allowing expan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01G11/20—Reformation or processes for removal of impurities, e.g. scaveng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29—Processes of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0—Sealing, e.g. of lead-in wi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콘덴서 케이스(외장 케이스(52))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판(2)이며, 콘덴서 케이스 내의 가스(G)를 배출하는 관통 구멍(8)을 구비하는 본체부(4)와, 관통 구멍을 덮어 배치되어 있고, 가스를 투과시키는 밸브체부(26)를 포함하는 압력 밸브(12)와,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콘덴서 케이스 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된 밸브체부를 도입하는 수납부(16)와, 밸브체부를 통과한 가스를 방출하는 개구부(20)를 구비하고 있고, 수납부 내에서 밸브체부의 일부에 접촉시켜 밸브체부를 변형시키는 스토퍼(스토퍼벽(1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압력 밸브의 가스 투과성의 증가와, 압력 밸브의 작동 압력을 높게 유지하는 것을 실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덴서 케이스를 밀봉함과 함께, 케이스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밀봉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해 콘덴서 등의 축전 디바이스에서는, 케이스 내에 봉입한 콘덴서 소자와 전해액의 반응에 의해 수소 가스 등이 발생하여, 케이스의 내압이 서서히 상승해간다. 콘덴서는, 케이스 내부의 전해액을 차단하면서, 케이스 내부에 고인 가스를 방출하여 케이스 내의 압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압력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압력 밸브는, 내부 압력이 밸브의 내압 능력을 초과하였을 때에 파단 작동한다. 이 압력 밸브의 작동이 콘덴서의 수명이며, 콘덴서의 파손이 된다.
이러한 밀봉판의 압력 밸브에 관하여, 밀봉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 내에, 일부를 박육화한 압력 밸브를 배치함과 함께, 압력 밸브를 관통 구멍 내에서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방폭 밸브로서, 밀봉판의 관통 구멍에 신장률이 상이한 복수의 밸브체를 적층하고, 용기 외측의 밸브체를 설치하여 금구로 고정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또한, 막부의 평면부의 일부에 박육화된 파열부를 구비하는 방폭 밸브이며, 통상의 설치부의 일단부에 플랜지상의 빠짐 방지용 계합부를 마련하여 밀봉판의 요철부에 계합시키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그런데, 밀봉판의 압력 밸브는, 가스 투과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밸브체의 수지의 두께가 가스 투과성에 영향을 미친다. 압력 밸브는, 가스의 발생에 의한 케이스 내부의 압력 상승에 따라서 밸브체부가 팽창하고, 이 팽창에 의해 수지의 두께가 변함으로써 가스의 투과 능력이 증감된다. 즉, 수지가 박육화될수록 가스 투과량이 증가한다. 그러나, 압력 밸브는, 박육화될수록 밸브체 부분의 강성이 낮아져 케이스 내부 압력에 대한 내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압력의 증가에 대하여 밸브체가 견딜 수 없어 작동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압력 밸브의 동작압을 높이기 위해서, 압력 밸브를 두껍게 함으로써 강성을 높인 것으로는 가스 배출량의 부족을 초래하여, 내부 압력의 상승에 의해 케이스 등의 파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그 밖에도, 가스의 투과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압력 밸브의 직경을 대형화하여 가스의 투과 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설치된 압력 밸브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밸브체부의 강성이 저하되고, 동작압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3에는, 이러한 과제의 개시나 시사는 없을 뿐 아니라, 개시된 구성으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압력 밸브의 가스 투과성의 증가와, 압력 밸브의 작동 압력을 높게 유지하는 것을 실현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가스의 방출 능력과 압력 밸브의 작동 압력을 컨트롤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밀봉판의 일 측면은, 콘덴서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판이며, 상기 콘덴서 케이스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관통 구멍을 덮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투과시키는 밸브체부를 포함하는 압력 밸브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덴서 케이스 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된 상기 밸브체부를 도입하는 수납부와, 상기 밸브체부를 통과한 상기 가스를 방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부 내에서 상기 밸브체부에 접촉하여 상기 밸브체부를 변형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납부 내에서 상기 밸브체부의 일부에 접촉하고, 상기 밸브체부를 다단계로 부풀려도 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단수 또는 복수의 상기 개구부를 구비하면 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납부의 중앙측에 대하여 개구되는 제1 개구부와, 해당 제1 개구부의 주위에, 상기 제1 개구부보다도 소경으로 개구되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면 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납부 내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팽창된 상기 밸브체부에 접촉시키는 복수의 리브를 구비하면 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면 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일부를 막는 스토퍼벽 및 해당 스토퍼벽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구멍의 내벽을 따라서 세워 설치된 입벽부를 포함하는 밸브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벽부는, 상기 압력 밸브의 일부에 접촉되어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상기 압력 밸브를 고정 지지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스토퍼벽 및 상기 입벽부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되면 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내에서 상기 스토퍼보다도 가스 방출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부를 통과한 상기 가스를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방출할 때에만 개방 상태가 되는 방습 밸브를 구비하면 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상기 방습 밸브는 상기 관통 구멍 내에서 상기 스토퍼와 이격하여 설치되면 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방습 밸브 사이에 상기 압력 밸브를 통과한 가스를 유입시키고, 이 가스를 정류하여 상기 방습 밸브측으로 흘리는 방출부를 구비하면 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또한 일단부측이 상기 스토퍼에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측에 상기 방습 밸브의 일부를 적재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면 된다.
상기 밀봉판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토퍼보다도 가스 방출 방향의 하류측에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한 가스를 상기 관통 구멍의 하류측으로 흘리는 제1 방출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한 가스를 상기 제1 방출부측으로 흘리는 제2 방출부를 형성하는 벽부를 구비하면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콘덴서의 일 측면은, 콘덴서 소자와, 상기 콘덴서 소자를 수납하는 콘덴서 케이스와, 상기 콘덴서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판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판은, 상기 콘덴서 케이스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관통 구멍을 덮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투과시키는 밸브체부를 포함하는 압력 밸브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덴서 케이스의 압력에 의해 팽창된 상기 밸브체부를 도입하는 수납부와, 상기 밸브체부를 통과한 상기 가스를 방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부 내에서 상기 밸브체부에 접촉하여 상기 밸브체부를 변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밀봉판의 제조 방법의 일 측면은, 콘덴서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판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콘덴서 케이스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본체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가스를 투과시키는 밸브체부를 포함하는 압력 밸브를 상기 관통 구멍에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밸브체부를 통과한 상기 가스를 방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콘덴서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의해 팽창된 상기 밸브체부를 도입하는 수납부 내에서 상기 밸브체부에 접촉하여 상기 밸브체부를 변형시키는 스토퍼를 상기 관통 구멍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어느 것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관통 구멍에 형성된 수납부 내에서, 밸브체부를 변형시키고, 일정한 상태까지 팽창시켜 박육화함으로써, 가스의 방출 기능이 높아지므로 효율적인 가스 배출을 행할 수 있다.
(2) 관통 구멍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해, 수납부 내에서 팽창하는 밸브체부의 변형량을 일정하게 억제함으로써, 콘덴서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대한 내압성이 향상되어, 압력 밸브의 동작압을 올릴 수 있다.
(3) 관통 구멍에 형성된 수납부나 스토퍼에 의해, 밸브체부의 팽창 상태에 따라서 가스의 방출 기능이나 압력 밸브의 동작압을 컨트롤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각 실시 형태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밀봉판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6은 콘덴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밀봉판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리브와 밸브체부의 접촉 상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밸브 가이드에 방습 밸브를 설치한 상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험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험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험예 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험예 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밀봉판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6은 콘덴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밀봉판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리브와 밸브체부의 접촉 상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밸브 가이드에 방습 밸브를 설치한 상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험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험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험예 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험예 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밀봉판(2)은, 내부에 콘덴서 소자나 전해액을 넣은 콘덴서 케이스를 봉입하는 수단의 일례이다. 이 밀봉판(2)은, 예를 들어 설치되는 케이스의 개구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케이스를 원형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직경 또는 그것에 가까운 직경의 원반상으로 형성된다. 그 밖에도, 케이스의 개구부가 다각형인 경우에는, 형상이나 크기에 맞게 형성된다.
이 밀봉판(2)은, 예를 들어 케이스의 개구부보다도 소직경이며 밀봉 시에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는 본체부(4)와, 본체부(4)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케이스의 개구부에 감합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된 플랜지부(6)를 구비한다.
밀봉판(2)은, 예를 들어 본체부(4)의 평판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8)을 구비하고 있고, 그 구멍 내부에 개구 직경의 일부를 막는 스토퍼벽(10)이나 도시하지 않은 압력 밸브(1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4)에는, 양극측 및 음극측의 외부 단자(14-1, 14-2)가 설치될 뿐 아니라, 보조 단자나 기타 부품을 구비하면 된다. 외부 단자(14-1, 14-2)는 전자 기기나 장치 등에 접속하는 접속부의 일례이며,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콘덴서 소자의 음극부 또는 양극부와 접속되어 있다.
관통 구멍(8)은 콘덴서 케이스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통과시키는 가스 배출 경로의 일례이며, 밀봉판(2)의 표리의 평판면에 대하여 관통되어 있다. 관통 구멍(8)은 내경이 일정해도 되고, 또는 내부에 설치하는 부품 등의 위치에 따라서 내경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8)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부품의 계지 구조를 구비하면 된다. 관통 구멍(8)은 콘덴서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하였을 때에 케이스 내부와 콘덴서 외부를 연결함으로써,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나 전해액의 화학 반응에서 발생한 가스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의 일례이다. 스토퍼벽(10)은 본 개시의 스토퍼의 일례이며, 관통 구멍(8)의 내부에서 팽창하는 압력 밸브(12)에 접촉하여 변형시키는 구성이다. 이렇게 스토퍼벽(10)이 접촉함으로써, 압력 밸브(12)는 팽창이 억제된다.
<관통 구멍(8) 내부의 압력 밸브(12)의 설치 구조>
관통 구멍(8)은,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6)측의 개구 부분에 배치된 압력 밸브(12)에 의해 덮여 있다. 압력 밸브(12)는 관통 구멍(8)에 대한 전해액 등의 유출을 방지함과 함께,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 투과량을 조정하는 수단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탄성력이 있는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등의 고무 재료로 구성되면 되고, 가스 G를 투과시켜 관통 구멍(8)에 흘림과 함께 가스 G의 압력을 받아 팽창하는 탄성력을 갖는다. 압력 밸브(12)는, 예를 들어 플랜지부(6) 또는 관통 구멍(8) 내벽에 대하여 접착이나 압착 이외에도, 도시하지 않은 접속 수단을 이용하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관통 구멍(8)에는, 압력 밸브(12)와 스토퍼벽(10)을 이격시킴으로써, 가스 G를 흘리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8) 내의 공간은, 도시하지 않은 콘덴서 케이스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발생한 가스 G가 관통 구멍(8)측으로 흐름으로써 팽창 변형하는 압력 밸브(12)를 도입하는 수납부(16)의 일례이다. 밀봉판(2)은, 예를 들어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G의 발생에 의한 콘덴서 케이스 내의 압력 상승에 대하여, 관통 구멍(8)을 통하여 가스 G를 배출한다. 이 때 압력을 받아 팽창하는 압력 밸브(12)는, 예를 들어 수납부(16)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8)의 내벽이나 스토퍼벽(10)의 벽면에 접촉한다. 또한 스토퍼벽(10)에는, 예를 들어 관통 구멍(8)의 중심축에 따라서 소정의 직경 또는 폭으로 형성된 개구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구부(20)는, 압력 밸브(12)를 투과한 가스 G를 관통 구멍(8)의 방출부(18)측으로 흘리는 부분의 일례이다. 이 개구부(20)는, 팽창된 압력 밸브(12)의 일부가 배치되고, 또는 그 개구 내부에 압력 밸브(12)의 일부를 도입한다. 이 때 팽창된 압력 밸브(12)의 밸브체부는, 다단계로 부풀려진다. 즉, 밸브체부에는, 적어도 관통 구멍(8)의 내벽, 스토퍼벽(10)의 벽면을 따라서 팽창하는 제1 팽창부(12a)와, 개구부(20) 내에 침입하여 팽창하는 제2 팽창부(12b)가 형성된다. 제1 팽창부(12a)와 제2 팽창부(12b) 사이에는, 관통 구멍(8)의 내벽면과 스토퍼벽(10)의 벽면의 접촉에 의해 압박되어, 팽창에 의한 변위가 방해된 굴곡부가 된다. 이 때 제1 팽창부(12a)와 제2 팽창부(12b)는 팽창 전보다도 박육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가스 G의 투과성이 향상되었다.
압력 밸브(12)가 팽창된 밀봉판(2)에는, 수납부(16)의 용적분만큼 케이스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저류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팽창부(12b)는 수납부(16)보다도 소직경인 개구부(20)를 통하여 가스 G를 투과하여 배출함으로써, 밸브체부가 파단 작동하는 동작압을 올릴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수납부(16) 내의 밸브체부의 전체에 작용하고, 가스가 투과하는 제2 팽창부(12b)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 등에 의한다.
이와 같이, 밀봉판(2)은, 관통 구멍(8) 내의 수납부(16)의 용적이나 개구부(20)의 크기 중 어느 것 또는 그들 양쪽에 의해, 가스 G의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것 외에도, 케이스 내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부가 파단에 이르는 동작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스토퍼벽(10)을 압력 밸브(12)의 팽창 부분에 접촉시킴으로써 밸브체부를 변형시켜, 그 팽창량을 조정할 수 있다.
(2) 스토퍼벽(10)에 의해 수납부(16) 내에 압력 밸브(12)를 팽창시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밸브체부의 박육화에 의한 가스의 투과성을 향상시켜, 밀봉판(2)의 가스 방출 기능이 높아진다.
(3) 수납부(16)의 용적에 따라서, 팽창하는 압력 밸브(12)의 두께를 설정할 수 있어, 밀봉판(2)의 가스 투과성을 조정할 수 있다.
(4) 스토퍼벽(10)에 형성되는 개구부(20)의 크기에 의해, 밸브체부의 가스 투과 면적이 조정되어, 이 개구부(20)를 소직경으로 할수록 밸브체부의 동작압이 높아진다.
(5) 스토퍼벽(10)에 수납부(16)보다도 소직경인 개구부(20)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20) 내에서의 가스의 유속이 증가하여, 가스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도 1,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밀봉판(2)은,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8) 내에, 팽창된 압력 밸브(12)와 접촉하는 스토퍼벽(10)이 본체부(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벽(10)은, 예를 들어 관통 구멍(8)의 형성 처리에 있어서, 본체부(4)와 플랜지부(6)의 양측으로부터 일정한 깊이까지 절삭 등에 의해 가공하고, 관통 구멍(8)의 중간 부분에 소정의 두께를 남김으로써 형성되면 된다. 그리고 스토퍼벽(10)은, 예를 들어 관통 구멍(8)의 중심축, 또는 독립된 기준축에 기초하는 소정의 직경 또는 크기이며, 관통 구멍(8)보다도 소경인 개구부(20)가 형성되면 된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8)은, 내벽을 따라서 소정의 폭 및 두께의 스토퍼벽(10)과, 가스 G를 통과시키는 개구부(20)를 구비한다.
또한 이 밀봉판(2)은 관통 구멍(8)의 내부에 압력 밸브(12)를 지지하는 입벽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입벽부(22)는 스토퍼벽(10)으로 구획된 관통 구멍(8) 중 콘덴서 케이스로부터 가스 G를 도입하는 개구측에 설치된다. 입벽부(22)는, 예를 들어 관통 구멍(8)의 가스 G의 흐름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길이이며, 관통 구멍(8)의 내주면을 따라서 연속 또는 간헐적인 벽면을 갖는 통상 벽면을 구비하고 있고, 적어도 일단부측이 스토퍼벽(10)의 벽면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또한, 입벽부(22)는, 압력 밸브(12)에 접촉시키는 스토퍼벽(10)의 벽면 길이에 대하여 얇은 폭이며, 스토퍼벽(10)의 개구부(20)를 막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입벽부(22)의 벽면과 관통 구멍(8)의 벽면 사이에는, 압력 밸브(12)의 측면부(24)를 끼워넣고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8)에는, 개구부(20)보다도 직경 큰 입벽부(22)의 내측 공간이 압력 밸브(12)를 도입하는 수납부(16)로서 형성된다.
압력 밸브(12)는, 예를 들어 관통 구멍(8)의 내벽에 접촉하는 측면부(24)와 관통 구멍(8)의 개구부를 덮는 밸브체부(26)를 구비하고 있고, 관통 구멍(8)과 동등한 외경이며, 또한 일단부측이 개구되어 있는 유저(有底)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력 밸브(12)는 측면부(24)의 두께에 대하여 밸브체부(26)의 두께를 박육으로 해도 되고, 또는 동등한 두께로 할 수 있다. 측면부(24) 및 밸브체부(26)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면 되고, 예를 들어 탄성력이 있는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등의 고무 재료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측면부(24)와 밸브체부(26)를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 적어도 밸브체부(26)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재료를 사용하면 된다.
콘덴서의 이용이 개시되어 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압력 밸브(12)는 발생한 가스 G가 관통 구멍(8)측으로 흐름으로써 밸브체부(26)가 압력을 받아 팽창된다. 밸브체부(26)는,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한 일부분이 스토퍼벽(10)까지 달하고, 또한 개구부(20)의 테두리부에 접촉한다. 이 개구부(20)의 테두리부에 접촉한 밸브체부(26)의 일부가 또한 개구부(20) 내에 침입하여 팽창된다. 이렇게 밸브체부(26)는 다단계로 팽창된다. 밸브체부(26)는, 예를 들어 입벽부(22)나 스토퍼벽(10)의 내벽면을 따라서 팽창하면서 변위되는 제1 팽창부(26a)와, 개구부(20) 내에 침입하여 관통 구멍(8) 내에 달하거나 또는 관통 구멍(8)에 면하는 위치까지 변위하는 제2 팽창부(26b)가 형성된다. 제1 팽창부(26a)와 제2 팽창부(26b) 사이에는, 입벽부(22)나 스토퍼벽(10)의 내벽면과의 접촉에 의해 압박되어, 팽창에 의한 변위가 방해된 굴곡부가 된다. 이 팽창 시에 밸브체부(26)에 작용하는 힘의 상태나 밸브체부(26)의 상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압력 밸브(12)의 상태와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스토퍼벽(10)을 압력 밸브(12)의 팽창 부분에 접촉시킴으로써 밸브체부(26)의 팽창량을 조정할 수 있다.
(2) 스토퍼벽(10)에 의해, 수납부(16) 내에 밸브체부(26)를 팽창시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밸브체부(26)의 박육화에 의한 가스의 투과성이 향상되어, 밀봉판(2)의 가스 방출 기능이 높아진다.
(3) 입벽부(22)의 내벽측에 접촉시킴으로써, 관통 구멍(8)에 대한 압력 밸브(12)의 고정 지지성이 높아진다.
(4) 입벽부(22)와 압력 밸브(12)의 측면부(24)의 접촉 면적 및 관통 구멍(8)의 내벽면에 대한 접촉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압력 밸브(12)의 고정 지지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관통 구멍(8)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수납부(16)의 용적에 의해 밸브체부(26)의 두께를 설정할 수 있어, 밀봉판(2)의 가스 투과성을 조정할 수 있다.
(6) 개구부(20)의 크기에 의해 밸브체부(26)의 가스 투과 면적이 조정됨과 함께, 이러한 개구부(20)를 소직경으로 할수록 밸브체부(26)의 동작압을 높일 수 있다.
(7) 밀봉판(2)은, 스토퍼벽(10)에 의해 수납부(16)보다도 소직경인 개구부(20)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20) 내에서의 가스의 유속이 증가하여, 가스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도 1, 2 또는 도 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밀봉판(2)은,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8)의 내부에 스토퍼 기능 및 압력 밸브(12)의 측면부(24)를 고정 지지하는 입벽부(22)의 기능을 갖는 밸브 가이드(2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밸브 가이드(27)는 중심측에 공간부를 갖는 통상체이며, 관통 구멍(8)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관통 구멍(8)과 동등한 직경의 플랜지부(29)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부(29)의 내측에는 관통 구멍(8)의 중심축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벽(28)을 구비한다. 또한 플랜지부(29)에는, 관통 구멍(8)의 내벽면을 따라서, 케이스측을 향해 입벽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가이드(27)에는, 예를 들어 관통 구멍(8)의 중심축측에 달하지 않은 길이로 스토퍼벽(28)이 형성되어, 가스 G를 통과시키는 개구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가이드(27)는, 예를 들어 스토퍼벽(28), 플랜지부(29) 및 입벽부(22)를 동일 부재로 하여, 폴리페닐렌술피드(PPS)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면 되고, 또는 이들 구성마다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일체화되면 된다.
콘덴서의 이용이 개시되어 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압력 밸브(12)는, 예를 들어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부(26)가 팽창하여, 팽창부(26a)가 스토퍼벽(28)까지 달하고, 또한 개구부(20)의 테두리부에 접촉된다. 이 개구부(20)의 테두리부에 접촉된 팽창부(26b)가 또한 개구부(20) 내에 침입하여 팽창된다.
<제3 실시 형태의 효과>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밸브 가이드(27)는, 스토퍼벽(28)을 압력 밸브(12)의 팽창 부분에 접촉시킴으로써 밸브체부(26)의 팽창량을 조정할 수 있다.
(2) 밸브 가이드(27)의 스토퍼벽(28)에 의해, 수납부(16) 내에 압력 밸브(12)를 팽창시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밸브체부(26)의 박육화에 의한 가스의 투과성이 향상되어, 밀봉판(2)의 가스 방출 기능이 높아진다.
(3) 밸브 가이드(27)의 입벽부(22)를 압력 밸브(12)의 내벽측에 접촉시킴으로써, 관통 구멍(8)에 대한 압력 밸브(12)의 고정 지지성이 높아진다.
[제4 실시 형태]
도 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밀봉판(30)은, 예를 들어 본체부(4)에 형성된 관통 구멍(8)에 대하여 통상의 압력 밸브(12)가 삽입됨과 함께, 그 압력 밸브(12)의 개구 부분에 대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감합 가능하게 형성된 밸브 가이드(34)가 설치된다. 또한, 관통 구멍(8)에는, 예를 들어 밸브 가이드(34)의 상부에 방습 밸브(36)를 개재시키고, 그 위에 좌금(38)이 설치된다.
방습 밸브(36)는, 밀봉판(30)의 가스 배출 기능에 대한 역류 방지 수단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덕빌형 밸브가 사용된다. 방습 밸브(36)는, 케이스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가 개방되어 가스를 방출함과 함께, 가스 방출 시 외에는 밸브체를 폐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케이스 외부측으로부터의 공기나 수분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좌금(38)은, 관통 구멍(8) 내에 배치된 압력 밸브(12), 밸브 가이드(34), 방습 밸브(36) 등을 관통 구멍(8) 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수단의 일례이며, 방습 밸브(36)의 밸브체를 관통시키는 개구부와, 외주부를 따라서 관통 구멍(8)의 내벽에 대하여 압력을 가지고 계지시키는 계지편을 구비하고 있다.
밀봉판(30)은, 케이스측의 내면측에 관통된 외부 단자(14-1, 14-2)의 일부가 집전판(40-1, 40-2)의 일부에 접촉된다. 밀봉판(30)이 설치된 콘덴서(50)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52)의 내부에 콘덴서 소자(54)와 함께 전해액 등이 봉입된다. 집전판(40-1, 40-2)은, 일단부측이 콘덴서 소자(54)의 전극마다의 탭(56)과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측이 밀봉판(30)을 관통한 외부 단자(14-1, 14-2)의 단자부에 접속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 상태가 된다.
외장 케이스(52)는 본 개시의 콘덴서 케이스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밀봉판(30)이 설치되는 일단부측이 개구된 유저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5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52)의 개구부측은, 예를 들어 수납부 내부측에 있는 밀봉판(30)의 일단부측의 위치 또는 밀봉판(30)의 측면 부분의 위치에 맞추어 개구부를 코오킹하여 협소화시킴으로써, 밀봉판(30)을 고정하고 있다. 또한 외장 케이스(52)의 개구부는, 선단부측을 개구부의 내측으로 말려들게 하여, 밀봉판(30)의 상면측에 접촉 또는 압입되어 있다.
관통 구멍(8)에 배치된 압력 밸브(12)는, 밸브 가이드(34), 방습 밸브(36), 좌금(38) 등과 적층 상태에서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 때 압력 밸브(12)의 밸브체부(26)가 밀봉판(30)의 저면과 단차없이 배치되어도 되고, 또는 밀봉판(30)의 단부면측 소정량이 돌출된 상태에서 배치되면 된다.
<밸브 가이드(34)의 구성에 대하여>
밸브 가이드(34)는,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8)의 내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가이드(34)는 단부면측의 외주 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8) 내부의 계지부에 계합시키는 플랜지부(60)를 구비함과 함께, 밸브 가이드(34)의 중심측으로 돌출되어 압력 밸브(12)의 팽창을 저지하는 스토퍼벽(64)을 구비한다. 가스를 투과시키는 개구부(20)는 스토퍼벽(64)의 돌출 길이에 의해 개구 면적이 결정된다.
밸브 가이드(34)는,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60)와 일체로 형성된 입벽부(62)의 외주부가 압력 밸브(12)에 포위되어 있다. 즉, 유저 통상의 압력 밸브(12)의 내부에 밸브 가이드(34)가 삽입된다. 압력 밸브(12)는, 예를 들어 측면부(24)의 외주측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면 된다.
외장 케이스(52)에서 발생한 가스 등에 의한 내부 압력 F(G)가 발생하면, 압력 밸브(12)는, 예를 들어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가이드(34)의 수납부(16)를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던 밸브체부(26)가 압력 방향으로 팽창된다. 이 때 압력 밸브(12)의 제1 팽창부(26a)는, 입벽부(62)나 스토퍼벽(64)으로부터 소정의 접촉 압력 Fr을 받으면서 연신한다. 이렇게 제1 팽창부(26a)는, 접촉 압력 Fr에 의해 그 이상 팽창할 수 없는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두께에 변화가 있어도 밸브체가 파단되지 않는 상태에서 유지된다. 또한 밸브 가이드(34)의 개구부(20)측에 달한 제2 팽창부(26b)는, 개구부(20)의 주연으로부터, 수납부(16)나 개구부(20)의 중심축 방향의 접촉 압력 Fr을 받음으로써, 개구부(20) 내부로의 과대한 팽창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제2 팽창부(26b)는, 예를 들어 개구부(20) 내에 소정의 크기로 팽창함으로써 박육 상태가 유지되어, 팽창에 의한 밸브체부(26)의 파단을 회피하면서, 가스 G의 투과량이 증가한다.
<밀봉판(30)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이 밀봉판(30)의 제조 공정은, 본 개시의 밀봉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면 된다.
(1) 밀봉판(30)의 관통 구멍(8) 내에 압력 밸브(12)를 배치하는 공정.
(2) 압력 밸브(12)의 개구 부분의 내측에 밸브 가이드(34)의 수납부(16)가 배치되도록 관통 구멍(8) 내부에 밸브 가이드(34)를 삽입하는 공정.
(3) 그 밖에도, 방습 밸브(36)나 좌금(38)을 설치하는 공정.
<제4 실시 형태의 효과>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압력 밸브(12)는, 밸브 가이드(34)의 내벽이나 스토퍼벽(64)으로부터의 접촉 압력을 받음으로써 변위량이 억제됨과 함께, 소정의 두께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가스의 투과성을 높임과 함께, 압력 밸브의 동작압을 높게 취할 수 있다.
(2) 압력 밸브(12)의 동작압을 높임으로써 가스 압력 조절 기능이 향상되고, 콘덴서 케이스 내의 압력 상승을 억제하여 콘덴서(5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7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밸브 가이드(70)는,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6)에 있어서 압력 밸브(12)의 팽창에 의한 변위를 저지하는 스토퍼벽(64)의 일부에 복수의 관통 구멍(7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관통 구멍(72)은, 예를 들어 스토퍼벽(64)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20)를 중심으로, 그의 주연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72)은 개구부(20)와 동일한 직경 또는 그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72)은, 예를 들어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벽(64)의 외주측으로서, 입벽부(62)의 단부면을 따라서 형성된다. 즉, 관통 구멍(72)은 수납부(16)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통 구멍(72)은 개구부(20)와 함께 수납부(16)로부터 가스를 배출하는 본 개시의 개구부의 일례이며,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하여 수납부(16)의 종단부 외연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팽창된 밸브체부(26)와 접촉하지 않거나, 또는 접촉량을 적게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밸브 가이드(70)는, 가스를 배출하는 제1 개구부로서 관통 구멍(8)의 중심축에 형성된 대경의 개구부(20)와, 그 주위에 형성된 제2 개구부인 관통 구멍(72)을 구비한다.
또한, 밸브 가이드(70)에는, 플랜지부(60)의 내측으로서, 스토퍼벽(64)의 방출측의 면과 플랜지부(60) 상에 적재되는 방습 밸브(36)를 이격시키고 있는 공간부에 방출부(74)가 형성된다. 이 방출부(74)는, 예를 들어 밸브체부(26)로부터 개구부(20)나 관통 구멍(72)을 통과한 가스를 밸브 가이드(27)로부터 방출하는 부분이며, 관통 구멍(8) 또는 개구부(20)의 개구 중심축과 동축 상에 형성된다. 방출부(74)는 수납부(16)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직경이며, 적어도 개구부(20) 및 관통 구멍(72)이 연통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면 된다.
또한, 방출부(74)는, 스토퍼벽(64)의 형성 위치에 따라서 밸브 가이드(70)의 플랜지부(60)측의 단부면으로부터의 깊이, 즉, 방출된 가스 G가 체류 가능한 용적이 결정된다. 방출부(74)의 깊이, 즉, 플랜지부(60)측의 단부면으로부터 스토퍼벽(64)의 형성 위치는, 예를 들어 플랜지부(60)의 두께보다도 큰 값으로 하면 된다. 이에 의해 방출부(74)에는, 개구부(20) 및 관통 구멍(72)을 통과한 가스 G가 유입된다.
가스 G의 발생 등에 의해 발생한 케이스의 내부 압력을 받은 밸브체부(26)는, 예를 들어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팽창부(26a)가 입벽부(62)를 따라서 변위됨과 함께, 일부가 스토퍼벽(64)의 내측에 접촉한다. 이 때, 수납부(16) 내에 있어서, 입벽부(62)과 스토퍼벽(64)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예를 들어 곡면상으로 부풀려진 밸브체부(26)와의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발생하고 있다. 외장 케이스로부터 유입된 가스는, 박육화된 제1 팽창부(26a)를 투과하고, 이 밸브체부(26)와 스토퍼벽(64)으로 형성된 간극측에도 유입된다.
그래서, 이 밸브 가이드(70)에서는, 이러한 간극에 인접한 스토퍼벽(64)의 일부에 가스를 흘리는 관통 구멍(72)을 마련함으로써, 제1 팽창부(26a)를 투과한 가스도 배출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밸브 가이드(70)는, 수납부(16) 내에서 팽창된 압력 밸브(12)를 투과하는 가스에 대하여, 스토퍼벽(64)을 통과시키는 유로를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방출부(74)는, 관통 구멍(8) 내에 설치되는 방습 밸브(36)에 의해 폐지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 내부 압력의 증가에 의해 압력 밸브(12)를 투과한 가스 G는, 개구부(20)나 관통 구멍(72)을 통과하여 방출부(74)에 유입되면, 방출부(74) 내에서 정류되어 방습 밸브(36)의 방출 개구부측으로 흐른다.
또한, 수납부(16)에는, 입벽부(62) 및 스토퍼벽(64)과 팽창된 밸브체부(26)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밸브체부(26)는, 외장 케이스의 내부 압력의 크기에 의해 입벽부(62)나 스토퍼벽(64)에 밀착 상태로 되어,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도, 스토퍼벽(64)의 외주측에 관통 구멍(72)을 형성함으로써, 스토퍼벽(64)을 통과시키는 가스의 유로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부(26)가 스토퍼벽(64)에 밀착되는 경우, 관통 구멍(72) 내에 제1 팽창부(26a)의 일부가 들어가고, 이 부분으로부터 관통 구멍(72)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되면 된다.
<제5 실시 형태의 효과>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관통 구멍(72)을 마련함으로써 가스의 배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부(16)의 용적에 대한 가스 배출 효율을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이 배출 효율의 상승에 의해, 콘덴서의 내부 압력의 상승이 억제되어, 안전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2) 스토퍼벽(64)의 일부에 관통 구멍(72)을 마련함으로써, 압력 밸브(12)의 팽창에 의한 변위를 억제하고, 밸브체부(26)의 박육화를 유지하면서, 가스 배출량의 향상과 압력 밸브(12)의 동작압의 향상이 도모된다.
(3) 관통 구멍(72)의 개구 직경에 따라서 스토퍼벽(64)의 가스 배출 유로의 개구 면적이 결정되고, 콘덴서에 따른 가스 배출 기능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4) 관통 구멍(72)의 개구 직경을 개구부(20)보다도 소경으로 하여, 밸브체부(26)를 관통 구멍(72)의 내부에 침입시키지 않거나, 또는 접촉량을 적게 함으로써, 밸브체부(26)에 대한 관통 구멍(72)으로부터의 접촉 압력 Fr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밸브체부(26)의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5) 밸브 가이드(70)에는, 스토퍼벽(64)의 개구부(20)나 관통 구멍(72)을 통과한 가스 G를 흘리는 방출부(74)를 구비함으로써, 압력 밸브(12)의 팽창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 G를 정류하여, 방습 밸브(36)의 일부에 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밸브 가이드(70)에 방출부(74)를 구비함으로써, 스토퍼벽(64)과 방습 밸브(36)의 접촉에 의해 개구부(20)나 관통 구멍(72)이 폐색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9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도 2, 도 7 및 도 8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밸브 가이드(80)는,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으로 형성된 입벽부(62)의 일단부측에 직경이 큰 플랜지부(60)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납부(16)가 형성됨과 함께, 수납부(16)의 내경을 협소화한 개구부(20)를 형성하는 스토퍼벽(64)을 구비한다. 또한, 이 밸브 가이드(80)의 수납부(16) 내에는, 예를 들어 입벽부(62)의 내벽이나 스토퍼벽(64)의 벽면에 소정 폭의 리브(84)가 복수매 형성되어 있다. 리브(84)는, 예를 들어 입벽부(62)의 내벽면으로부터 수납부(16)의 중심측을 향해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84)의 길이는, 가스를 흘리는 방향을 따라서 수납부(16)의 높이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리브(84)는, 예를 들어 수납부(16)의 중심축의 주위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면 된다.
또한, 리브(84)의 돌출 길이는, 예를 들어 스토퍼벽(64)의 폭과 동등하게 형성되면 된다. 즉, 수납부(16) 내에 있어서, 리브(84)의 선단 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가상의 개구 공간(86)의 직경 X는, 예를 들어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벽(64)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20)의 직경 a와 동등하게 하면 된다.
이들 리브(84)는 본 개시의 스토퍼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팽창된 압력 밸브(12)의 밸브체부(26)에 대하여, 수납부(16) 내에서 접촉하여 팽창에 의한 변위를 억제함과 함께, 소정의 팽창 형상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리브(84)는, 예를 들어 팽창에 의해 박육화된 밸브체부(26)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 소정의 여유를 갖게 하는 것 외에도, 그 밸브체부(26)와 접촉하는 선단 부분을 구면상이나 테이퍼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리브(84)는 밸브체부(26)에 대한 손상 방지를 위한 폭을 가짐과 함께, 수납부(16) 내에 있어서 밸브체부(26)의 팽창을 과대하게 방해하지 않도록 협소화시키고 있다. 그래서, 밸브 가이드(80)는, 예를 들어 스토퍼벽(64)의 내벽면의 면적에 대한 리브(84)의 합계 면적이 소정의 범위 내가 되도록 설정한 후에, 1개당 리브(84)의 폭이나 리브(84)의 개수 등이 설정되면 된다.
<리브(84)와 밸브체부(26)의 접촉 상태에 대하여>
밸브 가이드(80)는,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6) 내에 5개의 리브(84)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압력 밸브(12)가 콘덴서 케이스의 내부 압력을 받아 팽창하고, 밸브 가이드(80)의 단부면측으로부터 수납부(16) 내로 침입하고 있다.
수납부(16)의 내부에서는, 예를 들어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0)에 면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밸브체부(26) 중, 제1 팽창부(26a)가 입벽부(62) 및 리브(84)의 측면을 따라서 연신함과 함께, 제2 팽창부(26b)가 스토퍼벽(64)에 접촉하여, 팽창에 의한 변위가 막혀 있다. 또한 밸브체부(26)는 수납부(16)의 가스 흐름 방향에 대향하고 있는 리브(84)의 선단부에 대하여 제3 팽창부(26c)가 접촉하여, 팽창에 의한 변위가 막혀 있다. 이러한 밸브체부(26)의 연신은, 개구부(20)에 면하지 않은 각 리브(84)의 주연부에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수납부(16) 중 개구부(20)에 면하는 부분에서는, 예를 들어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84)의 선단부를 따라서 제3 팽창부(26c)가 연신함과 함께, 가스의 흐름 방향에 따른 리브(84)의 측면부에 대하여 제1 팽창부(26a)가 접촉한다. 그리고, 개구부(20)에 달한 밸브체부(26)는 개구부(20) 내에 침입하여, 가장 박육화된 제2 팽창부(26b)가 되고, 가스를 투과한다.
또한, 밸브 가이드(80)는, 예를 들어 스토퍼벽(64)의 벽면의 일부에 가스를 투과시키는 관통 구멍(72)을 형성하면 된다.
<제6 실시 형태의 효과>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수납부(16) 내에 스토퍼로서 복수의 리브(84)를 마련함으로써, 팽창한 밸브체부(26)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밸브체부(26)가 보다 박육화되어, 가스 투과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또한, 리브(84)에 의해 밸브체부(26)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팽창하는 밸브체부(26)의 형상 유지 기능이 향상되고, 팽창하는 밸브체부(26)의 변형량을 억제할 수 있어, 밸브체부(26)의 동작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밸브체부(26)의 전체의 넓은 부분에 리브(84)를 접촉시켜 팽창에 의한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밸브체부(26)의 일부에 과대한 접촉 압력이 걸리지 않으므로, 밸브체부(26)의 파단의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4) 리브(84)의 폭이나 길이에 의해 밸브체부(26)의 팽창을 조정할 수 있어, 콘덴서의 특성에 맞는 압력 밸브의 가스 배출 기능 및 동작압의 조정을 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아진다.
[제7 실시 형태]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판의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 도 2, 도 9 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밀봉판(90)은,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가이드(34)의 방출부(74) 내에 방습 밸브(36)를 지지하는 지지부(92)를 구비한다. 이 지지부(92)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는 방출부(74)의 둘레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92)는, 방출부(74)의 중심 부분에 적어도 스토퍼벽(64)의 개구부(20)와 동등 또는 그보다도 직경이 큰 방출로(94)를 구비하고 있고,
중공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92)는 적어도 가스 G의 흐름 방향을 향해 방출부(74)와 동등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92)는, 예를 들어 플랜지부(60)측에 적재되는 방습 밸브(36)에 대하여 방출부(74)에 면하는 부분을 지지한다.
이에 의해 밀봉판(90)에서는, 관통 구멍(8)의 내벽면과의 접촉 저항과 함께, 지지부(92)에의 적재에 의해 방습 밸브(36)의 설치 위치나 형상이 유지된다.
지지부(92)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나 플라스틱 재료, 기타 금속 재료 등으로 형성되면 된다. 이 지지부(92)는, 예를 들어 밸브 가이드(34)로부터 독립된 부품이어도 되고, 또는 밸브 가이드(34)와 일체로 형성되면 된다. 또한 지지부(92)는, 예를 들어 내부에 가스 G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가스 유로나 경량화를 위한 슬릿 등을 구비하면 된다.
<제7 실시 형태의 효과>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밸브 가이드(34)의 방출부(74)에 면하는 부분에 접촉하여 방습 밸브(36)를 지지함으로써, 밀봉판이 설치되는 콘덴서 케이스측의 압력 저하에 의해 방습 밸브(36)가 변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2) 좌금(38)의 압박에 의한 방출부(74)측에의 방습 밸브(36)의 저조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3) 지지부(92)에 의해 방습 밸브(36)에 대한 지지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스토퍼벽(64)의 개구부(20)에 대하여, 방습 밸브(36)의 밸브체를 대향 방향으로 유지시키므로, 가스 G의 방출에 대한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4) 밸브 가이드(34)와 지지부(92)에 의해 방습 밸브(36)의 평면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관통 구멍(8)에 대한 방습 밸브(36)의 설치 방향의 변동이나 방습 밸브(36)의 변형이 억제되어, 관통 구멍(8)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이나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 지지부(92)에 의해 방습 밸브(36)의 저면측의 일부가 지지됨으로써, 관통 구멍(8) 내에서의 방습 밸브(36)의 변형이나 변위를 피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12는,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밸브 가이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밸브 가이드(100)는, 예를 들어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판(2)의 관통 구멍(8)의 내벽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내벽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계합부에 계지시키는 플랜지부(60)와, 이 플랜지부(60)보다도 소직경인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압력 밸브(12)의 일부에 계합시키는 입벽부(62)를 구비한다. 밸브 가이드(100)에는, 입벽부(62)의 내측에 압력 밸브(12)의 팽창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는 스토퍼벽(6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스토퍼벽(64)의 중심 부분이나 그의 주연 부분에 가스 G를 투과시키는 개구부(20), 및 관통 구멍(72)을 구비한다.
밸브 가이드(100)에는, 플랜지부(60)가 형성되는 단부면의 외주측에 방습 밸브(36)를 적재하는 평면상의 적재면(102)을 구비함과 함께, 그 단부면의 중앙측에 가스 G를 밸브 가이드(100)의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부(104)를 구비한다. 이 방출부(104)는, 예를 들어 스토퍼벽(64)의 개구부(20)의 개구 중심과 동축 상이며, 개구부(20)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직경으로 개구된 제1 방출부(104A)와, 이 제1 방출부(104A)의 개구 중심으로부터 플랜지부(60)의 평면을 따라서 방사 방향으로 개구된 복수의 제2 방출부(104B)를 구비한다. 이 제2 방출부(104B)는 스토퍼벽(64)의 관통 구멍(72)의 개구 위치에 맞추어 형성된다. 제1 방출부(104A)와 제2 방출부(104B)는 연통되어 있으며, 개구부(20) 또는 관통 구멍(72)을 통과한 가스 G를 개구부(20) 내에 흘릴 수 있다.
플랜지부(60)의 단부면에는, 적재면(102)보다도 내주측으로서, 인접하는 제2 방출부(104B)를 구획하는 지지벽(106)을 구비한다. 이 지지벽(106)은 본 발명의 벽부의 일례이며, 적재면(10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60)의 단부면에 있어서 적재면(102)에 대하여 수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벽(106)은, 적재되는 방습 밸브(36)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각 지지벽(106)은, 예를 들어 관통 구멍(72)의 형성 위치나 설치 수에 따라서 크기나 위치가 설정되고, 모두 동일한 형상이어도 되고, 또는 상이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밸브 가이드(100)의 입벽부(62)측에는,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G의 발생에 의해 팽창된 압력 밸브(12)를 도입하는 수납부(16)가 개구되어 있으며, 이 수납부(16)측으로부터 스토퍼벽(64)의 개구부(20)나 관통 구멍(72)에 가스 G가 흘려진다.
밸브 가이드(100)는 관통 구멍(8) 내에 설치되면, 예를 들어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벽(64)의 외주 및 수납부(16)측의 개구 부분이 압력 밸브(12)에 의해 덮인다. 또한 밸브 가이드(100)의 플랜지부(60)의 단부면측의 적재면(102) 상에 방습 밸브(36)가 설치됨과 함께 그 방습 밸브(36)의 상면측을 압박하는 좌금(38)이 설치된다. 밸브 가이드(100)의 단부면에 적재된 방습 밸브(36)는, 예를 들어 외주면측이 플랜지부(60)의 적재면(102) 상에 적재됨과 함께, 내주측의 일부가 지지벽(106) 상에 적재된다. 그리고 좌금(38)에 의한 압박력은, 예를 들어 방습 밸브(36)의 측면과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8)의 접촉에 의한 마찰 저항 및 적재면(102) 및 지지벽(106)에 부가된다.
방습 밸브(36)가 적재된 밸브 가이드(100)에서는, 제1 방출부(104A)가 방습 밸브(36)의 가스 방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관통 구멍(72) 상에 개구된 제2 방출부(104B)는, 플랜지부(60)측의 개구 부분이 방습 밸브(36)에 의해 밀폐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제2 방출부(104B)는, 예를 들어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72)을 통과한 가스 G를, 연통된 제1 방출부(104A)측으로 통류시킨다.
즉 지지벽(106)은, 방습 밸브(36)의 저부측을 지지함과 함께, 관통 구멍(72)으로부터 제1 방출부(104A)를 향해 가스 G를 흘리는 방출부로서 제2 방출부(104B)를 구성하고 있다.
<제8 실시 형태의 효과>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밸브 가이드(100)에 형성한 지지벽(106)에 의해 방습 밸브(36)에 대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밀봉판이 설치되는 콘덴서 케이스측의 압력 저하에 의해 방습 밸브(36)가 변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2) 또한 밸브 가이드(100)에 형성한 지지벽(106)에 의해 방습 밸브(36)에 대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좌금(38)의 압박에 의한 방습 밸브(36)의 저조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3) 밸브 가이드(100)에 의해 방습 밸브(36)의 변위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관통 구멍(8)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이나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지지벽(106)으로 구획된 제2 방출부(104B)에 의해, 관통 구멍(72)을 통과한 가스 G를 방습 밸브(36)의 방출 개구측으로 흘릴 수 있어, 밀봉판(2)의 가스 방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실험예 1]
이어서, 밸브 가이드의 개구부 구성과 동작압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실험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험예 1에서는, 예를 들어 제5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밸브 가이드(70)를 사용하고 있으며,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벽(64)의 외주측에 관통 구멍(7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밸브 가이드(70)에 있어서의 개구부(20)의 개구 직경 a를 상이하게 한 경우의 압력 밸브의 동작압을 비교하고 있다. 이 실험예 1에서는, 예를 들어 개구부(20)의 개구 직경 a를 φ3[mm], φ4[mm], φ5[mm], φ7[mm]의 4종류로 설정하고 있다. 수납부(16)의 직경 b는, φ10[mm]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비교예로서, 스토퍼벽(64)을 구비하지 않는 밸브 가이드의 개구 직경이 φ10[mm]인 경우를 설정하고 있다.
각 치수의 개구부(20)에 설정한 밸브 가이드(70)를 콘덴서에 설치하고, 압력 밸브(12)가 파단되었을 때의 동작압을 측정한다.
이 측정 결과는,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직경 a가 φ3[mm]인 경우에는 콘덴서의 내부 압력이 1.0[MPa]에서 파단되고, 가장 높은 동작압이 되었다. 또한 개구 직경 a가 φ4[mm]인 경우에는 콘덴서의 내부 압력이 0.77[MPa]에서 파단되고, 개구 직경 a가 φ5[mm]인 경우에는 콘덴서의 내부 압력이 0.60[MPa]에서 파단되고, 개구 직경 a가 φ7[mm]인 경우에는 콘덴서의 내부 압력이 0.45[MPa]에서 파단되었다. 또한, 스토퍼벽(64)을 구비하지 않는 개구 직경 a가 φ10[mm]인 경우에는, 콘덴서의 내부 압력이 0.31[MPa]에서 파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과 같이 밸브 가이드(70)는, 수납부(16) 내에 밸브체부(26)의 변위를 억제하는 스토퍼벽(64)을 구비함으로써, 압력 밸브(12)의 동작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스를 배출하는 개구부(20)는, 개구 직경이 작을수록 밸브체부(26)를 지지하는 스토퍼벽(64)의 면적이 커지고, 밸브체부(26)의 동작압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20)가 협소화됨으로써 가스 배출량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관계되는 밸브 가이드(70)나 압력 밸브(12)를 사용하는 콘덴서에 요구되는 밸브체부(26)의 동작압에 따라서, 개구부(20)의 직경을 설정하여, 동작압과 가스 배출 기능을 조정하면 된다.
[실험예 2]
이어서, 밸브 가이드의 수납부의 깊이와 가스 투과량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실험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험예 2에서는, 밸브 가이드의 수납부(16)의 깊이 H가 가스 투과량에 끼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수납부(16)의 깊이 H가 H1=1[mm], H2=2[mm], H3=3[mm]인 경우에 밸브 가이드 또는 밀봉판을 통과한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고 있다.
이 측정 결과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깊이 H1, H2, H3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스 내의 내부 압력[MPa]이 커짐에 따라서 가스 투과량[mL/h]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동일한 내부 압력에 대하여, 수납부의 깊이 H가 깊어짐에 따라서 가스 투과량이 커지고 있다.
이상의 측정에 의해, 수납부(16)의 깊이는 밸브체부(26)의 팽창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깊이 H1보다도 H2, H3으로 됨에 따라서 밸브체부(26)의 팽창량이 커진다. 이렇게 팽창량이 커짐으로써 밸브체부(26)가 박육화되어, 가스 투과량이 증가하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 결과로부터, 밸브 가이드는, 예를 들어 콘덴서로부터 요구되는 가스 배출량에 따라서 수납부(16)의 깊이를 조정하면 된다. 또한, 이러한 수납부(16)의 깊이를 크게 함으로써 밸브체부(26)의 팽창량이 커지는 점에서, 압력 밸브(12)에 요구되는 동작압의 값도 고려하여 수납부(16)의 깊이 H를 설정하면 된다.
[실험예 3]
이어서, 밸브 가이드의 형상과 동작압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실험예 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험예 3에서는, 밸브 가이드의 수납부(16)의 깊이와 리브(84)의 유무에 대한 동작압의 관계를 측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실험예 3에서는, 제6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리브(84)를 구비한 밸브 가이드(80)를 이용하고 있으며, 개구부(20)의 개구 직경 a와 리브(84)의 선단부로 구성되는 가상의 개구 공간(86)의 직경 X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리브(84)를 구비하지 않는 밸브 가이드는,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구성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개구 직경 a는 모두 5[mm]로 하고, 수납부(16)의 깊이는, 리브가 없는 경우가 3[mm], 리브가 있는 경우가 3[mm]과 1.5[mm]로 하였다.
이 측정 결과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측정에 있어서 동작 압력값은 0.6[MPa]로 일치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값이 되었다. 이 측정 결과로부터, 밸브체부(26)의 동작압은, 리브(84)의 유무나 수납부(16)의 깊이가 아니라, 팽창된 밸브체부(26)가 접촉하는 개구부(20)의 개구 직경 a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이 명백해졌다. 즉, 팽창된 밸브체부(26) 중, 스토퍼벽(64)이나 입벽부(62)에 의해 변위가 억제되는 제1 팽창부(26a)의 면적 또는 체적에 관계없이, 가스를 투과시키는 개구부(20) 내에 침입하여 팽창하는 제2 팽창부(26b)의 크기에 의해 압력 밸브(12)의 동작압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 실험예 3의 조건에서는, 압력 밸브에 요구되는 동작압에 따라서, 개구부(20)의 개구 직경 a를 설정하면 된다.
또한, 이 실험예 3의 조건에서는, 개구부(20)의 개구 직경 a와 리브(84)의 선단부로 구성되는 가상의 개구 공간(86)의 직경 X를 동등하게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이 개구 공간의 직경 X를 개구부(20)의 개구 직경 a와 상이하게 한 경우에는, 상이한 결과가 얻어진다고 추측한다.
(1) 개구 직경 a가 개구 공간의 직경 X보다도 큰(a>X) 경우, 즉, 수납부(16) 내에 있어서, 입벽부(62)의 벽면으로부터 수납부(16) 내로 돌출된 리브(84)의 길이가 스토퍼벽(64)의 폭보다도 길고, 개구부(20)의 내측으로 리브(84)가 돌출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밸브체부(26)는, 리브(84)에 의해 형성되는 직경 X의 크기로 제2 팽창부(26b)가 형성되기 때문에, 밸브체부(26)의 동작압은 직경 X의 크기에 의존한다고 생각한다.
(2) 또한, 개구 직경 a가 개구 공간의 직경 X보다도 작은(a<X) 경우, 밸브체부(26)는, 리브(84)보다도 내측에 있는 개구부(20) 내에 제2 팽창부(26b)가 형성되기 때문에, 밸브체부(26)의 동작압은 개구 직경 a의 크기에 의존한다고 생각한다.
[실험예 4]
이어서, 밸브 가이드의 형상과 가스 투과량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실험예 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험예 4에서는, 스토퍼벽(64)의 외주측에 가스 배출용 관통 구멍(72)을 구비하는지 여부와 함께, 리브(84)의 유무에 따른 가스 투과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측정에 사용하는 밸브 가이드는, 개구부(20)의 개구 직경 a가 5[mm], 수납부(16)의 깊이 H가 3[mm]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1) 관통 구멍(72)과 리브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2) φ1[mm]의 관통 구멍(72)을 8개 구비함과 함께, 리브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3) 관통 구멍(72)을 구비하지 않고 리브(84)를 구비하는 경우, (4) φ1[mm]의 관통 구멍(72)을 5개 구비함과 함께, 리브(84)를 구비하는 경우이다.
또한, 비교예로서, 스토퍼벽(64)을 구비하지 않는 개구부의 개구 직경 a가 φ10[mm]인 경우를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의 밸브 가이드에 있어서, 내부 압력을 0.4[MPa]로 설정한 경우의 가스 투과량을 측정하고 있다.
이 측정 결과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관통 구멍(72)과 리브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1.4[mL/h]의 가스 투과량이 측정되었다.
(2) φ1[mm]의 관통 구멍(72)을 8개 구비함과 함께, 리브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3.5[mL/h]의 가스 투과량이 측정되었다.
(3) 관통 구멍(72)을 구비하지 않고 리브(84)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4.5[mL/h]의 가스 투과량이 측정되었다.
(4) φ1[mm]의 관통 구멍(72)을 5개 구비함과 함께, 리브(84)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7.3[mL/h]의 가스 투과량이 측정되었다.
또한, 비교예의 밸브 가이드에서는, 압력 밸브가 작동하여, 밸브체부가 파단되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로부터, (1)과 (2)의 경우를 비교하면, 스토퍼벽(64)에 관통 구멍(72)을 형성함으로써, 가스의 투과성이 향상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1)과 (3)의 경우를 비교하면, 수납부(16) 내에 리브(84)를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어 밸브체부(26)의 팽창 상태가 변하여, 가스 투과성이 향상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2)과 (4)의 결과를 비교하면, 관통 구멍(72)의 형성수를 많게 한 경우보다도 리브(84)를 구비하는 쪽이 가스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명백해졌다.
[다른 실시 형태]
이어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변형예를 이하에 열거한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가이드(80)에 리브(84)를 형성하는 경우, 수납부(16)의 개구부(20)의 개구 직경 a와 리브(84)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개구 공간의 직경 X가 동등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리브(84)는, 예를 들어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0)보다도 돌출시켜도 된다. 이 경우, 리브(84)의 선단부로 형성되는 가상의 개구 공간(86)의 직경 X는 개구 직경 a1보다도 소직경이 된다.
또한, 밸브 가이드(80)는, 예를 들어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84)를 구비하고, 스토퍼벽(64)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수납부(16)의 개구부(20)의 개구 직경 a2는, 가상의 개구 공간(86)의 직경 X보다도 대직경이 된다. 이 경우, 밸브체부(26)는 콘덴서 케이스측의 내부 압력에 대하여 리브(84)에 접촉되어 있으며, 리브(84)끼리의 사이나 가상의 개구 공간(86)의 직경 X의 내부가 제2 팽창부(26b)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밸브체부(26)는 팽창하여 박육화되므로, 가스의 방출 기능이 높아져서 효율적인 가스 배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부(26)가 리브(84)와의 접촉에 의해 고정 지지되므로, 박육 상태가 유지되어 동작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84)는, 예를 들어 도 1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벽(64)을 리브(84)보다도 돌출시켜 개구부(20)를 소직경화시켜도 된다. 이 경우, 리브(84)의 선단부로 형성되는 가상의 개구 공간(86)의 직경 X는 개구 직경 a3보다도 대직경이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가이드의 수납부(16)에 대하여, 가스를 흘리는 유로의 중앙 부분에 직경이 큰 개구부(20)가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밸브 가이드(110)는, 예를 들어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16)의 유로 상을 덮는 스토퍼벽(64)의 면 상에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직경의 복수의 개구부(112)를 형성하면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적어도 수납부(16)의 중심축에 면하는 부분에 1개 또는 복수의 개구부(112)를 구비하면 된다.
그 밖에도, 밸브 가이드(120)는, 예를 들어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폭의 개구부(122, 124)를 복수개 형성하면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0)나 관통 구멍(72)을 원형 형상으로 개구시키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구부(20)나 관통 구멍(72)은 사각형이나 기타 형상으로 개구시켜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되거나, 또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있어서 각종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밀봉판, 콘덴서 및 밀봉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스를 투과함과 함께 콘덴서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밸브체부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이 팽창된 밸브체부의 일부에 접촉시켜 그 변위를 억제하는 스토퍼벽을 구비함으로써, 밸브체부를 박육화한 상태로 유지시켜, 가스 투과성의 향상과 동작 압력의 향상이 도모되어, 유용하다.
2, 30, 90 밀봉판
4 본체부
6, 60 플랜지부
8, 72 관통 구멍
10, 28, 64 스토퍼벽
12 압력 밸브
12a, 26a 제1 팽창부
12b, 26b 제2 팽창부
12c, 26c 제3 팽창부
14-1, 14-2 외부 단자
16 수납부
18, 74 방출부
20, 112, 122, 124 개구부
22, 62 입벽부
24 측면부
26 밸브체부
27, 34, 70, 80, 100, 110, 120 밸브 가이드
29 플랜지부
36 방습 밸브
38 좌금
40-1, 40-2 집전판
50 콘덴서
52 외장 케이스
54 콘덴서 소자
56 탭
84 리브
86 개구 공간
92 지지부
94 방출로
102 적재면
104 방출부
104A 제1 방출부
104B 제2 방출부
106 지지벽
4 본체부
6, 60 플랜지부
8, 72 관통 구멍
10, 28, 64 스토퍼벽
12 압력 밸브
12a, 26a 제1 팽창부
12b, 26b 제2 팽창부
12c, 26c 제3 팽창부
14-1, 14-2 외부 단자
16 수납부
18, 74 방출부
20, 112, 122, 124 개구부
22, 62 입벽부
24 측면부
26 밸브체부
27, 34, 70, 80, 100, 110, 120 밸브 가이드
29 플랜지부
36 방습 밸브
38 좌금
40-1, 40-2 집전판
50 콘덴서
52 외장 케이스
54 콘덴서 소자
56 탭
84 리브
86 개구 공간
92 지지부
94 방출로
102 적재면
104 방출부
104A 제1 방출부
104B 제2 방출부
106 지지벽
Claims (14)
- 콘덴서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판이며,
상기 콘덴서 케이스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관통 구멍을 덮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투과시키는 밸브체부를 포함하는 압력 밸브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덴서 케이스 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된 상기 밸브체부를 도입하는 수납부와,
상기 밸브체부를 통과한 상기 가스를 방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부 내에서 상기 밸브체부에 접촉하여 상기 밸브체부를 변형시키는 스토퍼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납부 내에서 상기 밸브체부의 일부에 접촉하고, 상기 밸브체부를 다단계로 부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단수 또는 복수의 상기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납부의 중앙측에 대하여 개구되는 제1 개구부와, 해당 제1 개구부의 주위에, 상기 제1 개구부보다도 소경으로 개구되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납부 내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팽창된 상기 밸브체부에 접촉시키는 복수의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관통 구멍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일부를 막는 스토퍼벽 및 해당 스토퍼벽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구멍의 내벽을 따라서 세워 설치된 입벽부를 포함하는 밸브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벽부는, 상기 압력 밸브의 일부에 접촉하여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상기 압력 밸브를 고정 지지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스토퍼벽 및 상기 입벽부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내에서 상기 스토퍼보다도 가스 방출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부를 통과한 상기 가스를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방출할 때에만 개방 상태가 되는 방습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 밸브는 상기 관통 구멍 내에서 상기 스토퍼와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방습 밸브 사이에 상기 압력 밸브를 통과한 가스를 유입시키고, 이 가스를 정류하여 상기 방습 밸브측으로 흘리는 방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일단부측이 상기 스토퍼에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측에 상기 방습 밸브의 일부를 적재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제4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토퍼보다도 가스 방출 방향의 하류측에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한 가스를 상기 관통 구멍의 하류측으로 흘리는 제1 방출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한 가스를 상기 제1 방출부측으로 흘리는 제2 방출부를 형성하는 벽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 - 콘덴서 소자와,
상기 콘덴서 소자를 수납하는 콘덴서 케이스와,
상기 콘덴서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판
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판은,
상기 콘덴서 케이스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관통 구멍을 덮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투과시키는 밸브체부를 포함하는 압력 밸브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덴서 케이스 내의 압력에 의해 팽창된 상기 밸브체부를 도입하는 수납부와,
상기 밸브체부를 통과한 상기 가스를 방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부 내에서 상기 밸브체부에 접촉하여 상기 밸브체부를 변형시키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 콘덴서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판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콘덴서 케이스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본체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가스를 투과시키는 밸브체부를 포함하는 압력 밸브를 상기 관통 구멍에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밸브체부를 통과한 상기 가스를 방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콘덴서 케이스 내의 내부 압력에 의해 팽창된 상기 밸브체부를 도입하는 수납부 내에서 상기 밸브체부에 접촉하여 상기 밸브체부를 변형시키는 스토퍼를 상기 관통 구멍에 설치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243728 | 2017-12-20 | ||
JPJP-P-2017-243728 | 2017-12-20 | ||
PCT/JP2018/046763 WO2019124435A1 (ja) | 2017-12-20 | 2018-12-19 | 封口板、コンデンサおよび封口板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6517A true KR20200096517A (ko) | 2020-08-12 |
KR102565795B1 KR102565795B1 (ko) | 2023-08-09 |
Family
ID=6699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5741A KR102565795B1 (ko) | 2017-12-20 | 2018-12-19 | 밀봉판, 콘덴서 및 밀봉판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393639B2 (ko) |
EP (1) | EP3731248A4 (ko) |
JP (1) | JP7283393B2 (ko) |
KR (1) | KR102565795B1 (ko) |
CN (1) | CN111448632B (ko) |
WO (1) | WO201912443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5795B1 (ko) * | 2017-12-20 | 2023-08-09 | 닛뽄 케미콘 가부시끼가이샤 | 밀봉판, 콘덴서 및 밀봉판의 제조 방법 |
DE102019133565A1 (de) * | 2019-12-09 | 2021-06-10 | Tdk Electronics Ag | Elektrolytkondensator mit Kontrollelement zur Gasdiffus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54299A (ja) | 2004-08-11 | 2006-02-23 | Shinshu Univ | ガス抜き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部品 |
JP2013207031A (ja) | 2012-03-28 | 2013-10-07 | Hitachi Aic Inc | コンデンサ用圧力弁 |
JP2014209526A (ja) * | 2013-03-22 | 2014-11-06 |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 蓄電デバイス |
JP2016157769A (ja) | 2015-02-24 | 2016-09-01 | Nok株式会社 | 防爆弁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60866A (en) * | 1932-07-19 | 1936-11-17 | Solar Mfg Corp | Container vent |
JPS5024981Y1 (ko) * | 1970-02-09 | 1975-07-28 | ||
US3880273A (en) * | 1973-03-02 | 1975-04-29 | Irving Leonard Kaplan | Automatic stacking machine for bars and the like |
JPS61144570U (ko) * | 1985-02-27 | 1986-09-06 | ||
JPH09326249A (ja) * | 1996-06-05 | 1997-12-16 |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 密閉形鉛蓄電池 |
JP4411726B2 (ja) * | 2000-02-16 | 2010-02-10 |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 調圧弁及びコンデンサ |
JP2002075314A (ja) | 2000-09-01 | 2002-03-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池用安全機構およびその製造方法 |
WO2003044397A1 (en) * | 2001-11-22 | 2003-05-30 | Nok Corporation | Pressure release valve |
JP5024981B2 (ja) * | 2005-04-20 | 2012-09-12 | 株式会社東芝 | 医用画像データ変換装置 |
JP4613728B2 (ja) * | 2005-07-26 | 2011-01-1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コンデンサ |
CN101341562B (zh) * | 2005-11-22 | 2013-04-17 | 麦斯韦尔技术股份有限公司 | 超级电容器压力控制系统 |
JP2010109272A (ja) * | 2008-10-31 | 2010-05-13 | Nok Corp | 圧力開放弁 |
TWI431837B (zh) * | 2011-06-27 | 2014-03-21 | Delta Electronics Inc | 儲能元件封裝結構 |
WO2013073192A1 (ja) | 2011-11-17 | 2013-05-23 |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13191842A (ja) * | 2012-02-17 | 2013-09-26 | Nippon Chemicon Corp |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6284036B2 (ja) * | 2012-02-21 | 2018-02-28 |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 電解コンデンサ |
CN103321725B (zh) * | 2012-03-23 | 2016-06-01 | 江门市大长江集团有限公司 | 摩托车二次补气阀 |
JP6016478B2 (ja) * | 2012-06-28 | 2016-10-26 | ニチコン株式会社 | 電解コンデンサ用の圧力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解コンデンサ |
JP2014127692A (ja) * | 2012-12-27 | 2014-07-07 | Nippon Chemicon Corp |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封口板 |
CN105190939B (zh) * | 2013-03-25 | 2018-04-06 |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 蓄电装置 |
JP2015181153A (ja) * | 2014-03-06 | 2015-10-15 | 日東電工株式会社 | 気体透過部材及び通気性容器 |
JP2015185225A (ja) * | 2014-03-20 | 2015-10-22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密閉型電池 |
WO2016002220A1 (ja) | 2014-07-04 | 2016-01-07 |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 コンデンサ |
KR102565795B1 (ko) * | 2017-12-20 | 2023-08-09 | 닛뽄 케미콘 가부시끼가이샤 | 밀봉판, 콘덴서 및 밀봉판의 제조 방법 |
-
2018
- 2018-12-19 KR KR1020207015741A patent/KR10256579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2-19 US US16/954,809 patent/US11393639B2/en active Active
- 2018-12-19 WO PCT/JP2018/046763 patent/WO2019124435A1/ja unknown
- 2018-12-19 JP JP2019560528A patent/JP7283393B2/ja active Active
- 2018-12-19 CN CN201880079638.5A patent/CN111448632B/zh active Active
- 2018-12-19 EP EP18891289.3A patent/EP3731248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54299A (ja) | 2004-08-11 | 2006-02-23 | Shinshu Univ | ガス抜き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部品 |
JP2013207031A (ja) | 2012-03-28 | 2013-10-07 | Hitachi Aic Inc | コンデンサ用圧力弁 |
JP2014209526A (ja) * | 2013-03-22 | 2014-11-06 |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 蓄電デバイス |
JP2016157769A (ja) | 2015-02-24 | 2016-09-01 | Nok株式会社 | 防爆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5795B1 (ko) | 2023-08-09 |
EP3731248A1 (en) | 2020-10-28 |
US20210098200A1 (en) | 2021-04-01 |
US11393639B2 (en) | 2022-07-19 |
EP3731248A4 (en) | 2021-10-06 |
CN111448632B (zh) | 2022-09-16 |
JP7283393B2 (ja) | 2023-05-30 |
WO2019124435A1 (ja) | 2019-06-27 |
CN111448632A (zh) | 2020-07-24 |
JPWO2019124435A1 (ja) | 2020-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36931B2 (ja) | コンデンサ | |
US8182934B2 (en) | Secondary battery | |
KR20200096517A (ko) | 밀봉판, 콘덴서 및 밀봉판의 제조 방법 | |
JP2024105497A (ja) | 電解コンデンサにおけるコンデンサ素子に膜を固定する方法 | |
JP6323638B2 (ja) | 蓄電デバイス | |
EP3115101A1 (en) | Gas-permeable member and breathable container | |
JP6278176B2 (ja) | ガス抜き弁を設けた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 |
CN105340031B (zh) | 电容器模块及其制造方法 | |
JP6489124B2 (ja) | コンデンサ | |
JP2006108185A (ja) | 電解コンデンサ | |
US10586656B2 (en) | Pressure valve and electrolytic capacitor | |
JP5181454B2 (ja) | コンデンサ | |
JP2020102541A (ja) | 圧力開放弁 | |
JP7196846B2 (ja) |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6264526B2 (ja) | 蓄電デバイス | |
JP4716936B2 (ja) | コンデンサ用圧力弁 | |
JP2010232675A (ja) | 電解コンデンサ | |
JP2014207259A (ja) | 封口体、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20240170227A1 (en) | Power storage device | |
JP2005209822A (ja) | 電解コンデンサ | |
JP2009064957A (ja) | 圧力弁を有するコンデンサ | |
JP2018006366A (ja) | 防爆弁 | |
JP2014187292A (ja) | ガス抜き弁を設けたコンデンサ及び封口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