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996A -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996A
KR20200094996A KR1020190012511A KR20190012511A KR20200094996A KR 20200094996 A KR20200094996 A KR 20200094996A KR 1020190012511 A KR1020190012511 A KR 1020190012511A KR 20190012511 A KR20190012511 A KR 20190012511A KR 20200094996 A KR20200094996 A KR 20200094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jube
weight
parts
yoka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785B1 (ko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김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숙 filed Critical 김미숙
Priority to KR102019001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7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996A/ko
Priority to KR1020210111582A priority patent/KR2021011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Abstract

본 발명은 대추 양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를 고형화하여 혼합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대추 양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추고, 팥앙금, 한천가루,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 견과류,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대추 양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추고 100중량부에 팥앙금 130~200중량부, 한천가루 3~30중량부, 설탕 10~70중량부, 올리고당 3~30중량부, 대추즙 30~100 중량부, 견과류 10~100중량부, 물 120~30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대추 양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천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잘 불려두어 한천가루물을 형성하는 과정(1과정),
양갱틀에 견과류를 미리 넣어 두는 과정(2과정),
상기에서 형성한 한천가루물을 포함하여, 대추고, 팥앙금,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을 혼합하여 가열조에 넣고 끓이는 과정(3과정),
상기의 3과정의 가열 혼합물을 식힌 후 상기한 견과류가 포함된 양갱틀에 넣고 대추 양갱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4과정),
상기의 대추 양갱 형상을 형성한 후 냉장고에 넣고 응고시키는 과정(5과정),
을 포함하는 대추 양갱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a jujube yokan and the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대추 양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추씨를 제거한 대추를 고형화하여 혼합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대추 양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 관련 생활 습관병(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의 발생빈도가 급격하게 증가가 되고 있으며 생활수준이 빠르게 향상되고, 특히 의료산업의 발달로 수명이 급격히 증가한 반면, 노령화 인구의 증가에 따라 암, 당뇨, 동맥경화, 면역성 질환 등 많은 만성, 난치성 질환을 포함한 성인병 및 퇴행성 질환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이르렀고 사회적으로 웰빙(well-being) 붐이 조성되고 있다.
이와 함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먹거리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데,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양갱에 대한 수요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양갱은 우리나라 식품공전상 캔디류에 속하며 당류, 앙금류 및 겔화제 등을 원료로 하며 이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양갱 중 대표적인 것이 수분함량이 높은 연양갱으로서 팥앙금을 주원료로 하여 한천 및 당류와 함께 가열하는 전통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사회적인 요구가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쑥, 밤, 고구마, 호박 등과 같은 다양한 첨가물이 첨가되어 제조되고는 있으나, 그 제조방법이 한정되어 개발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추는 한방에서 감초처럼 감미를 내기 위하여 첨가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자체로도 위경련, 불면증 소화불량, 대장하혈, 청혈, 지각과민증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약효가 있다. 민간에서는 잘 익은 대추를 말렸다가 달여 먹으면 열을 내리고 변비를 없애며 기침도 멎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식하면 각성작용이 있으며 볶은 것은 최면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추의 약용성분으로는 각종 sterols, alkaloids, saponins, vitamins, serotonin, organic acid, fatty acids, polyphenol, flavonoids 및 amino acids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약리 작용으로는 대추 메탄올 추출물이 간세포의 괴사와 효소의 유출을 저해하고 간의 저항력 및 간 기능을 유지시킴으로써 간 보호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첨가물이 첨가되어 제조되는 양갱의 제조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7126호(대추 양갱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대추 농축액 5 내지 15중량%, 대추 슬라이스 05 내지 5중량%, 팥앙금 28 내지 34중량%, 한천 11 내지 13중량%, 물엿 18 내지 22중량%, 포도당 6 내지 7중량%, 설탕 26 내지 3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대추 양갱 제조 방법은, 대추 농축액, 대추슬라이스, 팥앙금, 한천, 물엿, 포도당, 설탕을 포함하는 대추 양갱 원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된 양갱 원료를 혼합 및 가열하여 양갱 원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제조된 양갱원액을 제품 성형기에 넣고 성형하는 제3단계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4900호(대추양갱, 이하 '선행기술 2'이라 함)는 대추고, 대두 백앙금, 물, 한천, 설탕을 재료로 하되, 대추고의 함량은 10~20중량%이고 대두 백앙금의 함량은 30~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2의 경우 단순히 대추추출액 또는 대추슬라이스 및 대추가 함유된 젤리 등을 첨가하는 양갱에 대한 기술만을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대추 고유의 풍미를 살리지 못하여 소비자가 취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추 고유의 맛과 풍미를 살리면서 식감을 현저히 높이고, 대추의 영양성분을 충분히 보호하는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의 대추 양갱을 제조하는 방법은 양갱의 형성이 불완전하고 양갱의 식감을 살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바, 본 발명은 대추고와 대추즙을 혼합하여 양갱을 제조하는 법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특징이 있는 대추고와 대추즙을 함유하여 대추 양갱의 식감을 높이면서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고,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여 소비자의 취향과 기호에 맞게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젊은 세대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대추고, 팥앙금, 한천가루,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 견과류,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대추 양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추고 100중량부에 팥앙금 130~200중량부, 한천가루 3~30중량부, 설탕 10~70중량부, 올리고당 3~30중량부, 대추즙 30~100 중량부, 견과류 10~100중량부, 물 120~30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대추 양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천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잘 불려두어 한천가루물을 형성하는 과정(1과정),
양갱틀에 견과류를 미리 넣어 두는 과정(2과정),
상기에서 형성한 한천가루물을 포함하여, 대추고, 팥앙금,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을 혼합하여 가열조에 넣고 끓이는 과정(3과정),
상기의 3과정의 가열 혼합물을 식힌 후 상기한 견과류가 포함된 양갱틀에 넣고 대추 양갱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4과정),
상기의 대추 양갱 형상을 형성한 후 냉장고에 넣고 응고시키는 과정(5과정),
을 포함하는 대추 양갱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대추 양갱은 대추 고유의 맛과 풍미를 살리면서 식감을 현저히 높이고, 대추의 영양성분을 충분히 보호하는 작용과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대추 양갱은 대추고와 대추즙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징이 있고, 또한 이러한 특징이 있는 대추고와 대추즙을 함유하여 대추 양갱의 식감을 높이면서 대추의 약리적 성분과 맛과 향이 가미된 양갱을 즐길 수 있고, 당도가 높지 않으면서 대추의 식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대추 양갱은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고,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여 소비자의 취향과 기호에 맞게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젊은 세대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작용과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대추고, 팥앙금, 한천가루,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 견과류,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대추 양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추고, 팥앙금, 한천가루,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 견과류, 물을 혼합하여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추고 100중량부에 팥앙금 130~200중량부, 한천가루 3~30중량부, 설탕 10~70중량부, 올리고당 3~30중량부, 대추즙 30~100 중량부, 견과류 10~100중량부, 물 120~30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대추 양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대추고, 팥앙금, 한천가루,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 견과류, 물을 상기한 중량부대로 준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한천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잘 불려두어 한천가루물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과정)
본 발명은 한천가루 3~30중량부에 물 120~300중량부를 혼합하여 불려두는 한천가루물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한천가루는 통상의 한천을 건조하여 가루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
한천은 우무를 동결탈수하거나 압착탈수하여 건조시킨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우무는 보통 우뭇가사리·개우무·새발 등 우뭇가사리과의 해초로 만든다. 꼬시래기·갈래곰보 등의 해초로도 만들 수 있다. 우무를 만드는 것은 홍조류의 해초로서 깊은 바다에서 자라고 있으며 엽록소 이외에 홍조소라 이르는 홍색의 색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홍색 또는 홍자색을 나타낸다.
우뭇가사리는 5월에서 10월에 걸쳐 채취한다. 해녀가 바다 속으로 잠수하여 낫으로 잘라내거나, 배 위에서 채취기구와 그물을 내려서 바다 밑을 쳐내어 얻는다. 채취한 해초는 종류별로 가려낸 다음에 맹물로 씻어 소금기를 빼내고, 홍색이 없어져서 백색이 될 때까지 햇볕에 쬔다.
한천은 수분 15%, 단백질 2%, 회분 3.5%, 지방 0.5% 이하로서 대부분은 다당류이다. 다당류는 중성다당류인 아가로오스(agarose) 70%와 산성다당류인 아가로펙틴(agaropectin) 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한천에 기능성 첨가물을 한천의 총 중량에서 1~3중량%로 포함시켜 고지혈증과 비만의 예방의 기능이 있는 대추 양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기능성 첨가물은 김, 미역, 다시마, 톳, 함초, 상백피, 세모, 매생이를 혼합하여 조성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기능성 첨가물은 김 100중량부에 미역 80~120중량부, 다시마 80~120중량부, 톳 80~120중량부, 함초 80~120중량부, 상백피 80~120중량부, 세모 80~120중량부, 매생이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기능성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한 중량부대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에 물 100~5,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원재료 100중량부에 물 100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하면 약 80~1000중량부 정도의 추출액이 나오게 된다.
본 발명은 양갱틀에 상기한 견과류를 미리 넣어 두는 과정을 수행한다.(2과정)
상기한 양갱틀은 양갱을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직육면체 형태의 틀을 의미한다.
상기한 견과류는 호두, 잣, 땅콩, 아몬드, 밤, 브라질너트 등의 통상적인 견과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형성한 한천가루물을 포함하여, 대추고, 팥앙금,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을 혼합하여 가열조에 넣고 끓이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과정에 혼합되는 혼합물의 비율은 대추고 100중량부에 팥앙금 130~200중량부, 한천가루 3~30중량부, 설탕 10~70중량부, 올리고당 3~30중량부, 대추즙 30~100 중량부, 물 120~300중량부를 혼합하게 된다.
상기한 가열조는 열(熱)을 가하여 그 안에 있는 내용물을 끓이는 통상의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대추고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한 대추고를 제조하는 방법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대추고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1)
상기한 대추고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대추의 씨와 살을 분리하여 분리한 대추살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1-1)
본 발명은 상기에서 분리한 대추살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장치에 넣고 가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1-2)
상기한 분리한 대추살 100중량부에 물 100~2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한불에서 5~20분 정도 끓인 다음 약한 불에서 40~80분 정도 지속하여 끓이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대추살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한 혼합물에 물을 대추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1000~3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분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1-3)
본 발명은 상기에서 분쇄한 대추살과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체와 같은 거르는 장치를 이용하여 거르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1-3)
본 발명은 상기에서 걸러진 대추살과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다시 가열장치에 넣고 중약불에서 2~3시간 정도를 조리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1-3))
본 발명에서 조리는 과정은 걸러진 대추살과 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수분이 거의 없어질 정도 즉, 끈적 끈적한 상태로 될 때까지 조리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조리는 과정을 수행 후에 식힌 다음 냉장 보관하거나 냉동 보관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대추즙을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한 대추즙을 제조하는 방법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대추즙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2)
상기한 대추즙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대추의 씨와 살을 분리하여 분리한 대추살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2-1)
본 발명은 상기에서 분리한 대추살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장치에 넣고 가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2-2)
상기한 분리한 대추살 100중량부에 물 100~2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강한불에서 5~20분 정도 끓인 다음 약한 불에서 40~80분 정도 지속하여 끓이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대추살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한 혼합물에 물을 대추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1000~3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분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2-3)
본 발명은 상기에서 분쇄한 대추살과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체와 같은 거르는 장치를 이용하여 거르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2-4)
본 발명은 상기에서 걸러진 대추살과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다시 가열장치에 넣고 한 번 더 강불에서 가열하여 대추즙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2-5)
본 발명은 상기의 대추즙을 형성하는 과정 후에 식힌 다음 냉장 보관하거나 냉동 보관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팥앙금은 통상의 팥앙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팥앙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팥앙금은 팥, 설탕, 소금을 사용하여 팥앙금을 제조하게 된다.
먼저 팥을 여러번 수세한 후 물에 2~3시간 정도 불리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불린 팥을 물은 혼합하여 가열장치에 넣고 초벌 삶기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초벌 삶기한 팥의 불을 끄고 물을 버리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초벌 삶기한 팥 100중량부에 물 100~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장치에 넣고 2차 삶기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2차 삶기 과정에서 계속하여 가열하여 물을 졸이는 과정을 수행한다.
물을 과정은 팥이 물에 잠기지 않을 정도까지 졸이면 충분하다.
상기한 물을 졸이는 과정 후에 팥을 으깨는 과정을 수행한다.
팥을 으깨는 것은 수동적으로 또는 믹서,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 후에 팥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설탕을 10~80중량부, 소금 1~10중량부를 혼합하여 팥앙금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탕은 통상의 설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이당류 또는 단당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팥 100중량부에 첨가물 1~5 중량부을 포함하여 형성된 팥앙금의 식감과 미각을 증진시켜 대추 양갱의 식감과 맛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물은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스파탐, 글리실리진산나트륨, 둘신, 사이클레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아스파탐, 글리실리진산나트륨, 둘신, 사이클레메이트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첨가물에 천연 성분으로 이루어진 천연 첨가물을 더 포함하여 이를 포함한 대추 양갱이 소화 촉진, 면역력 강화 및 체온을 높여주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천연 첨가물은 상기한 첨가물 전체에서 2~5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천연 첨가물은 창출 100중량부에 마황 100~120 중량부, 길경 10~40중량부, 생지황 110~150중량부, 백출 100~150중량부, 위령선 80~120 중량부, 천오두 80~120 중량부, 선퇴 80~120 중량부, 시호 80~120 중량부, 적복령 80~120 중량부, 지각 80~120 중량부, 천마 80~1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한 중량부대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에 물 100~5,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원재료 100중량부에 물 100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하면 약80~1000중량부 정도의 추출액이 나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천연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5~85%[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80%[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추출물은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말 형태로 5~25중량부 정도 추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400~1000중량부로 희석된 것(즉, 증류수+분말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은 통상의 올리고당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올리고당을 대신하여 물엿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3과정의 한천가루물을 포함하여, 대추고, 팥앙금,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을 혼합하여 넣고 끓인 가열 혼합물을 식힌 후 상기한 견과류가 포함된 양갱틀에 넣고 대추 양갱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4과정)
본 발명은 상기의 대추 양갱 형상을 형성한 후 냉장고에 넣고 1~3시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2시간 정도 넣어서 응고시키는 과정으로 대추 양갱을 제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5과정)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정으로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대추 양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갱을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대추를 이용한 대추 양갱을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대추고, 팥앙금, 한천가루,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 견과류,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대추 양갱.
  2. 제1항에 있어서,
    대추고 100중량부에 팥앙금 130~200중량부, 한천가루 3~30중량부, 설탕 10~70중량부, 올리고당 3~30중량부, 대추즙 30~100 중량부, 견과류 10~100중량부, 물 120~30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대추 양갱.
  3. 한천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잘 불려두어 한천가루물을 형성하는 과정(1과정),
    양갱틀에 견과류를 미리 넣어 두는 과정(2과정),
    상기에서 형성한 한천가루물을 포함하여, 대추고, 팥앙금, 설탕, 올리고당, 대추즙을 혼합하여 가열조에 넣고 끓이는 과정(3과정),
    상기의 3과정의 가열 혼합물을 식힌 후 상기한 견과류가 포함된 양갱틀에 넣고 대추 양갱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4과정),
    상기의 대추 양갱 형상을 형성한 후 냉장고에 넣고 응고시키는 과정(5과정),
    을 포함하는 대추 양갱 제조 방법.







KR1020190012511A 2019-01-31 2019-01-31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KR102295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511A KR102295785B1 (ko) 2019-01-31 2019-01-31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10111582A KR20210119922A (ko) 2019-01-31 2021-08-24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511A KR102295785B1 (ko) 2019-01-31 2019-01-31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582A Division KR20210119922A (ko) 2019-01-31 2021-08-24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996A true KR20200094996A (ko) 2020-08-10
KR102295785B1 KR102295785B1 (ko) 2021-08-30

Family

ID=720494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511A KR102295785B1 (ko) 2019-01-31 2019-01-31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10111582A KR20210119922A (ko) 2019-01-31 2021-08-24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582A KR20210119922A (ko) 2019-01-31 2021-08-24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5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920A (ko) 2021-09-10 2023-03-17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양갱 찰떡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양갱 찰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26B1 (ko) * 2010-04-08 2011-03-02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 양갱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KR20120074900A (ko) * 2010-12-28 2012-07-06 경산시 대추 양갱
KR20140076260A (ko) * 2012-12-12 2014-06-20 주식회사 보은물산 대추를 이용한 양갱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8122A (ko) * 2015-08-05 2017-02-16 이종선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26B1 (ko) * 2010-04-08 2011-03-02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 양갱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KR20120074900A (ko) * 2010-12-28 2012-07-06 경산시 대추 양갱
KR20140076260A (ko) * 2012-12-12 2014-06-20 주식회사 보은물산 대추를 이용한 양갱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8122A (ko) * 2015-08-05 2017-02-16 이종선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견과류 양갱 만들기’(2015. 9. 25.) [2020. 9. 4.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sjkim1227&logNo=220491857648>* *
블로그('양갱만들기, 양갱레시피(설탕을적게 넣은 건강한 양갱)', 2016.10.2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920A (ko) 2021-09-10 2023-03-17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양갱 찰떡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양갱 찰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922A (ko) 2021-10-06
KR102295785B1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084B1 (ko) 구기자와 겨우살이를 이용한 식품첨가제
KR101687790B1 (ko) 산야초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CN104431966A (zh) 一种香辣海鲜黄豆酱及其制备方法
KR20190044179A (ko) 감태와 포도껍질 및 오미자 추출물이 함유된 닭갈비 소스의 제조방법
KR20100027256A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간장게장
CN105768011A (zh) 一种海鲜麻辣汤汁及其制备方法
KR20210119922A (ko) 대추 양갱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44189A (ko) 여주와 돼지감자 추출물이 함유된 닭갈비 소스의 제조방법
KR101747793B1 (ko) 꾸지뽕의 풍미가 있는 떡의 제조방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20100006459A (ko) 비타민나무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된장
KR101557627B1 (ko) 셀룰로오스 및 코코넛을 함유한 단호박 호두 설기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1017B1 (ko) 곤드레 나물이 함유된 떡의 제조방법
KR102326532B1 (ko) 올리브 고구마 양갱의 제조방법
CN104431967A (zh) 一种海参鸡丝黄豆酱及其制备方法
KR102323687B1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CN104855853B (zh) 一种平卧菊三七蔬菜脆小球的加工方法
KR100585187B1 (ko)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1031B1 (ko) 오디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오디 양갱
KR101988984B1 (ko) 배건과를 이용한 떡 제조방법
KR101038716B1 (ko) 미꾸라지 어묵
KR102525913B1 (ko) 전복 마들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전복 마들렌
KR101817252B1 (ko) 여주가 포함된 여주된장 제조방법 및 여주된장
CN104431963A (zh) 一种蟹肉泡椒风味黑豆酱及其制备方法
KR102300693B1 (ko)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