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227A - 핸드레일 또는 다른 세장형 물품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또는 다른 세장형 물품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227A
KR20200090227A KR1020207018203A KR20207018203A KR20200090227A KR 20200090227 A KR20200090227 A KR 20200090227A KR 1020207018203 A KR1020207018203 A KR 1020207018203A KR 20207018203 A KR20207018203 A KR 20207018203A KR 20200090227 A KR20200090227 A KR 20200090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andrail
thermoplastic
cut
end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538B1 (ko
Inventor
커비 웨인 크로스비
제이슨 웡
레지날드 앤서니 버트웰
앤드류 올리버 케니
Original Assignee
이에이치씨 캐나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이치씨 캐나다, 인크. filed Critical 이에이치씨 캐나다,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9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2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 B29C66/0224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with removal of material
    • B29C66/02241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s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10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direct heating both surface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29C65/205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special ways of bringing the welding mirrors into position
    • B29C65/206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special ways of bringing the welding mirrors into position by sliding
    • B29C65/2069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special ways of bringing the welding mirrors into position by sliding with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lane comprising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207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special ways of bringing the welding mirrors into position by sliding with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lane comprising the parts to be joined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comprising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4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overing both elemen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combined operations or combined techniques, e.g. welding and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8Covering the joint by a coating material
    • B29C66/0384Covering the joint by a coating material the coating material being in tape, strip or ban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4Single butt joints
    • B29C66/1142Single butt to but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2Preventing air-incl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4Joining profiled elements
    • B29C66/5241Joining profiled element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profiled element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2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4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length of the fibres
    • B29C66/72141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B29C66/91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 B29C66/919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 B29C66/919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in explicit relation to the fus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of the material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91935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in explicit relation to the fus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of the material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lower than said fusion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3/00Belt fastenings, e.g. for conveyor belts
    • F16G3/10Joining belts by sewing, sticking, vulcanising, or the like; Constructional adaptations of the belt ends for this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36Sl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81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befor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1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 B29L2031/003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9Articles shaped in a closed loop,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핸드레일은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슬라이더 직물층을 갖는다.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한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은: 숄더 부분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분리하기 위한 절단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단부 부분에 대해, 적어도 숄더 부분을 그 전방 부분으로부터 제거하여 슬라이더 직물층 및 열가소성 물질층에 전방 부분을 포함하는 중앙 부분을 남기는 단계; 전방 부분을 필요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을 함께 조립하여 몰딩을 위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레일 또는 다른 세장형 물품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1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91,95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전반적으로 핸드레일 또는 일정한 단면의 다른 세장형 물품에 스플라이스 조인트(spliced joint)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단락은 이 단락에서 설명된 어떤 것이 종래 기술이거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의 지식의 일부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미국 특허 제6,086,806호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통로용 핸드레일에 조인트를 형성하는 몰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핸드레일은 내부의 대체로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핸드레일은 압출에 의해 형성되며 T자형 슬롯 둘레에서 연장되는 열가소성 물질의 제1 층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물질의 제2 층은 제1 층의 외부 둘레에서 연장되고 핸드레일의 외부 프로파일을 한정한다. 슬라이더층(slider layer)은 T자형 슬롯에 안감으로 덧대어지고(line) 제1 층에 접합된다. 연신 억제물(stretch inhibitor)은 제1 층 내에서 연장된다. 제1 층은 제2 층보다 더 경질인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086,806호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다음의 단락은 독자에게 청구된 주제를 한정하거나 제한하지 않는 다음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이동 핸드레일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핸드레일은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T자형 슬롯의 내부 둘레의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부분 각각에서,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열가소성 본체의 숄더 부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슬라이더 직물층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숄더 부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계; 각각의 단부 부분에 대해, 적어도 숄더 부분을 그 전방 부분으로부터 제거하여 슬라이더 직물층 및 열가소성 물질층에 전방 부분을 포함하는 중앙 부분을 남기는 단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열가소성 물질의 전방 부분을 필요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을 함께 조립하여 몰딩을 위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동 핸드레일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핸드레일은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T자형 슬롯의 내부 둘레의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부분 각각에서,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열가소성 본체의 숄더 부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슬라이더 직물층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숄더 부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계; 각각의 베이스 섹션에 대해, 그 전방 부분을 제거하여 그 후방 부분을 남기는 단계; 베이스 섹션의 후방 부분의 마주하는 표면을 가열하여 열가소성 물질을 용융시키는 단계; 및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맨드릴 상에 장착하고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함께 활주시켜, 베이스 섹션의 후방 부분들이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베이스 섹션의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이 융합되어 조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이동 핸드레일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핸드레일은 축,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T자형 슬롯의 내부 둘레의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부분 각각에서,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열가소성 본체의 숄더 부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슬라이더 직물층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숄더 부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계; 각각의 단부 부분에 대해, 핸드레일의 축에 수직인 중앙 평면의 중심선을 베이스 섹션의 상단에 마킹하는 단계; 적어도 베이스 섹션의 전방 부분의 열가소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핸드레일 단부 부분 둘레의 중심선 마킹을 슬라이더 직물로 이전시키는 단계; T자형 슬롯의 상단에서 중앙 평면과의 교차점으로부터 그리고 전방 부분에서 멀어지게 중앙 평면에 대해 45도 각도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숄더 부분 내부의 슬라이더 직물 상에 경사선을 제공하는 단계; 및 경사진 평면과 중앙 평면 사이의 슬라이더 직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이동 핸드레일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핸드레일은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T자형 슬롯의 내부 둘레의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부분 각각에서,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열가소성 본체의 숄더 부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슬라이더 직물층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숄더 부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계; 베이스 섹션의 후방 부분이 서로 맞닿게 하도록 베이스 섹션의 전방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연신 억제물 위에 제2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제2 수평 절단의 단부에서 전방 및 후방 부분 및 수직 절단을 통해 연장시켜 제1 및 제2 단부 부분 각각으로부터 표피층을 제거하는 단계; 혼직층(interweave layer)에서 연신 억제물을 절단하여 상보적인 단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혼직층과 베이스 섹션 사이 및 혼직층 위에 복수의 열가소성 플라이층(thermoplastic ply layer)을 제공하는 단계; 혼직층 위에 대체 캡을 제공하는 단계; 및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몰드 내에 배치하고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온도 및 압력을 받게 하여 제1 및 제2 핸드레일 단부 부분과 플라이의 열가소성 물질을 함께 융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 양태는 이동 핸드레일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핸드레일은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T자형 슬롯의 내부 둘레의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부분 각각에서,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열가소성 본체의 숄더 부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슬라이더 직물층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숄더 부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계; 각각의 단부 부분에 대해, 적어도 숄더 부분을 그 전방 부분으로부터 제거하여 슬라이더 직물층 및 열가소성 물질층에 전방 부분을 포함하는 중앙 부분을 남기는 단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열가소성 물질의 전방 부분을 필요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 평행한 내부 및 외부 에지를 갖는 새들을 각각의 숄더 부분에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숄더 부분에 대해, 새들의 외부 에지의 위치를 위한 라인을 마킹하는 단계; 각각의 새들에 대해, 외부 에지를 숄더 부분 상의 마킹된 라인과 정렬시키고, 그 외부 에지에 인접한 새들을 가열하고 새들을 숄더 부분에 대해 가압하여 새들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이후에 새들이 T자형 슬롯 내에 밀접하게 장착되는 것을 보장하고 새들의 내부 에지를 슬라이더 직물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의 다른 양태 및 특징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검토하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교시된 것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은 절단의 형성을 나타내는 핸드레일의 단부 부분의 도면이다.
도 2는 절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핸드레일의 단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표피층의 제거를 도시한다.
도 5는 맨드릴 상에 장착된 핸드레일의 단부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맨드릴 상에 장착된 핸드레일의 단부 부분 및 뒤로 벤딩된 상단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맨드릴 상에 장착된 핸드레일의 단부 부분 및 숄더 부분의 분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슬라이더 직물층의 절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전동 공구를 이용한 슬라이더 직물층의 에지의 제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탭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더 직물층의 절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히트 패들의 사용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혼직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함께 조립된 단부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함께 조립된 단부 부분, 및 혼직 패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함께 조립된 단부 부분, 및 상단 캡의 배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탭의 위치를 보여주는,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a는 새들 및 또한 새들 템플릿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7b는 새들을 조인트 상에 배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청구된 발명 각각의 일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해, 이하에서 다양한 장치 또는 방법이 설명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어떠한 청구된 발명도 제한하지 않으며, 임의의 청구된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된 것과 상이한 장치 또는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청구된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한 장치 또는 방법의 특징 모두를 갖는 장치 또는 방법이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수 또는 모든 장치 또는 방법에 공통되는 특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장치 또는 방법은 임의의 청구된 발명의 실시예가 아닐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청구되지 않는 이하에서 설명된 장치 또는 방법에 개시된 임의의 발명은 다른 보호 수단, 예를 들어 연속 특허 출원의 주제일 수 있고, 본 출원인(들), 발명자(들) 및/또는 소유자(들)는 임의의 그러한 발명을 본 명세서에서의 그 개시에 의해 포기하거나 청구 포기하거나 공중에 헌납하려는 의도는 없다.
본 개시내용에서, 다양한 요소 또는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또는 대안적으로 '상부' 및 '하부'로 지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몰드 조립체 및 다른 구성요소는 임의의 배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에 대한 언급은 편의를 위한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몰드 조립체는 핸드레일을 반전 위치에서 몰딩하기 위해 설명될 수 있지만, 핸드레일의 조인트는 일반적으로 핸드레일 및 몰드의 구성요소와 함께 임의의 배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몰드 조립체 및 핸드레일 단부 부분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하부' 및 '상부'와 같은 배향을 나타내는 설명으로 식별될 수 있지만, 이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뿐, 이들 구성요소가 해당 배향으로 사용되거나 존재하는 것이 필수는 아니다. 특히, 핸드레일은 파지되도록 이용 가능한 정상 사용시에 상단 표면인 표면을 갖지만,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몰딩할 때, 핸드레일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반전된다. 어떤 경우든, 핸드레일 설치시, 핸드레일은 회귀 운전(return run)에서 반전된다.
아래에 설명된 방법은 다수의 개별 단계를 포함하며, 일부 단계는 반드시 특정 순서로 수행되어야 한다. 다른 단계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순서는 일부 상황에서 특정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방법의 단계는 히트 패들 및 열풍 건의 사용을 필요로 할 것이다. 가열하는 데에 시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제1 단계는 히트 패들과 열풍 건을 모두 턴온시켜 이들을 예열할 수 있다. 열풍 건은 핸드레일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예를 들어 350℃의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단계는, 여기서 제1 핸드레일 단부(100) 및 제2 핸드레일 단부(200)로 지정된 핸드레일 단부의 준비를 필요로 한다. 제1 및 제2 핸드레일 단부(100, 200)의 대응하는 부분은 1XX 및 2XX로서 유사하고 대응하는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핸드레일은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0으로 지정된다. 핸드레일(10)은 열가소성 본체로 형성되며 내부 T자형 슬롯(12)을 갖는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는다. 핸드레일(10)의 열가소성 본체는 열가소성 물질의 제1 층(14) 및 열가소성 물질의 제2 층(1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연신 억제물(18)은 열가소성 물질의 제1 층(14) 내에서 평면으로 연장된다. 연신 억제물(18)은 개수가 달라질 수 있고, 단일 연신 억제물 요소, 예를 들어 강철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신 억제물(18)은 강철 와이어로서 형성될 수 있고, 단순화 및 간결성을 위해, 아래의 방법 설명에서 "와이어"로 식별될 수 있지만, 임의의 적절한 연신 억제물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공지된 방식으로 T자형 슬롯(12)에 안감으로 덧대어지는(line) 슬라이더 직물층(20)이 제공되어, 핸드레일(10)과 핸드레일이 장착되는 가이드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초기 단계로서, 핸드레일 단부(100, 200) 각각은 연신 억제물(18)을 포함하는 혼직층(104, 204)으로부터 표피층(102, 202)을 분리하고 이들 혼직층(104, 204)을 106, 206으로 지시된 베이스 섹션에서 핸드레일의 나머지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수평 절단을 필요로 한다
표피 및 혼직층(102, 202, 104, 204)은 핸드레일 부분의 상단 섹션(112, 212)을 포함한다. 공장 환경에서 생산되는 생산 스플라이스의 경우, 띠톱을 사용하여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톱으로 절단하기 위해, 핸드레일을 90°선회시킨 다음 띠톱이 수직 평면으로 절단한다. 핸드레일 스플라이스가 현장에서, 즉 핸드레일의 설치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그러한 절단은 나이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절단이 이루어지면, 제1 및 제2 핸드레일 단부(100, 200)는 스플라이스 맨드릴(40) 상으로 활주될 수 있다. 스플라이스 맨드릴(40)은 핸드레일 단부(100, 200)에 억지 끼워맞춤을 제공하도록 T자형 슬롯(12)의 내부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는다. 스플라이스 맨드릴(40)에는 또한 스플라이스 프로세스에서 절단 및 다른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다수의 수평 프리컷 홈(42)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의 제1 단계는 표피층(102, 202)을 제거하는 것이다. 표피층(102, 202)을 제거하기 위해, 금속 곱자가 직선 에지로서 사용될 수 있고, 유틸리티 나이프가 사용되어 연신 억제물(18)을 절단하거나 스코어링하지 않게 주의하면서 열가소성 물질을 절단할 수 있다.
양쪽 핸드레일 단부(100, 200)는 혼직층(104, 204)의 단부로부터 10 mm에서 혼직층(104, 204)의 단부를 가로질러 90°로 마킹된다. 이어서 와이어 절단기를 사용하여 이 라인을 가로질러 절단하고, 도 5의 135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혼직층(104, 204)의 10 mm 피스를 폐기한다.
혼직층(104, 204)은 원하는 혼직 패턴을 형성하도록 절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래에 설명되는 도 14는 20개의 와이어(18) 및 14개의 와이어(18)를 갖는 핸드레일에 대한 예시적인 혼직 패턴을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개의 와이어에 대한 혼직 패턴은 암형 단부 패턴(50) 및 수형 단부 패턴(52)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또는 연신 억제물(18)은 54로 나타낸 혼직 패턴의 단부로부터 0, 63, 125, 188 및 250 mm의 길이로 절단된다. 14개의 와이어 또는 연신 억제물(18)을 갖는 핸드레일의 경우, 혼직 패턴의 단부로부터 0, 65, 137 및 250 mm로서 측정된 4개의 상이한 길이가 있을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혼직 패턴은 혼직층(104, 204)의 길이를 따라 나이프로 이루어진 수직 절단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길이방향 절단이 이루어지면, 와이어 절단기가 사용되어 와이어(18)의 부분 및 대응하는 둘레의 열가소성 물질을 절단하여 도 14에 도시된 패턴을 남긴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핸드레일 단부(100, 200) 중 하나에서 슬라이더 직물층(20)에는 탭(130)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더 직물층은 암형 혼직 패턴(50)을 가질 수 있다.
핸드레일 단부(100, 200)가 맨드릴(40) 상에 장착되면, 혼직층(104, 204)이 뒤로 절첩되고 핸드 클램프로 유지되어 나머지 베이스 섹션(106, 206)을 노출된 상태로 남길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섹션(106, 206)의 상단 표면(115, 215)에는, 슬라이더 직물층(20)의 상단 및 폴리우레탄의 코팅층을 대체로 가로질러 90도 중심선(116)이 그려져 있다. 20개의 와이어에 대한 혼직 패턴의 경우, 중심선(116)은 각각의 제1 및 제2 핸드레일 단부의 말단으로부터 125 mm에서 그려질 것이다.
나머지 본체 부분 또는 베이스 섹션(106, 206)을 형성하는 절단은 얇은 중앙 부분(114, 214)에 의해 연결된 숄더 부분(113, 213)를 갖는 본체 부분(106, 206) 각각을 초래한다. 중앙 부분(114, 214)은 슬라이더층(20)의 전방 부분 위에 얇은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116, 216)으로부터, 대략 슬라이더 직물(20)이 스플라이스 맨드릴(40) 둘레에서 접어 젖힌 곳에서, 스코어 라인(118, 218)이 핸드레일의 길이를 따라 이루어진다. 이들 라인(118, 218)을 절단할 때, 슬라이더 직물(20)을 절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이들 라인(118, 218)은 숄더 부분(113, 213)의 열가소성 물질을 중앙 부분(114, 214)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하여, 슬라이더층(20)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 후, 한 쌍의 작은 디바이스 바이스 그립 또는 한 쌍의 플라이 그리퍼를 사용하여, 각각의 숄더 부분(113, 213)을 파지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또는 스코어 라인(118, 218) 아래의 숄더에서 언더라이닝 슬라이더 직물(20)로부터 떼어 놓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직물(20)의 에지(22)는 제2 열가소성 물질층(16)의 폴리우레탄에 매립되고, 이전 단계는 슬라이더 직물층(20)의 에지를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숄더 부분(113, 213)의 폴리우레탄이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핸드레일 단부 부분(100, 200)의 절단 단부로부터 약 30 mm에서 분리되면, 핸드레일 단부 부분(100, 200)은 맨드릴(40)로부터 제거되고, 뒤집히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 위치에서 맨드릴(40) 상에 클램핑된다.
이어서, 중심선(116, 216)은 핸드레일의 숄더 둘레에서 숄더 부분(113, 213)의 상단으로, 그리고 핸드레일의 밑판으로 수동으로 이전되어, 1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 직물(20)의 내부에 마킹된다.
핸드레일 단부(100)에 대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한 절차가 다른 핸드레일 단부(200)에 적용되며, 마크(119)는 숄더 부분(113), 립의 5 mm 안쪽, 중심선(117)에 제공된다. 이 마크(119)로부터, 필요한 거리, 예를 들어 20 또는 25 mm가 중심선(116)으로부터 다시 측정되고, 마크(120)가 립의 상단에 이루어진다. 마크(119 및 120)는, 중심선(117)에서 핸드레일의 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45° 각도로 평면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직선(122)과 직선으로 결합되지만, 도면에서는 만곡된 것으로 보이고, 이는 숄더 부분(113)의 양 측면에 대해 행해진다.
예를 들어, Dremel™, 회전 연마 공구, 또는 슬라이더 직물층(20)의 라인 부분을 연삭하거나 달리 제거하는 다른 공구를 사용하여, 라인이 직선(122)을 따라 추적된다.
유틸리티 나이프에 의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고 12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숄더 부분(113)의 에지를 따라 길이방향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들 절단은 핸드레일 부분 단부(100)의 양 측면에 대해, 중심선(116)으로부터, 25 mm을 뺀, 핸드레일의 전달 단부까지이다. 나이프는 수직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물질에 파묻힌 슬라이더 직물층(20)의 에지를 잡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핸드레일의 절단 단부에서 시작하여, 한 쌍의 작은 바이스 그립을 사용하여 목부 영역, 즉 T자형 슬롯의 내부로부터 립 영역 둘레에서 직물을 제거한다. 이는 레버리징 운동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직물층(20)은, 이미 중심선으로부터 25 mm 뒤로 절단된 영역을 포함하여 중심선(116)까지 다시 제거된다.
Dremel™ 또는 다른 적절한 공구(예를 들어, Dremel™ 비트 No. 199)를 사용하여, 슬라이더 직물층(20)의 나머지 패브릭은 숄더 부분(113)을 따라 제거된다. 공구(138)는 열가소성 카카스로 너무 깊게 절단하지 않고 라인을 따라 직물만을 제거하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설정되어야 한다. 사용시에 스플라이스의 가능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이 영역에서 모든 직물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어서, 제1 핸드레일 단부 부분(100)은 정상적인 직립 위치로 복귀되고 다시 스플라이스 맨드릴(40) 상으로 활주된다. 이 후, 중심선(116)과 제1 핸드레일 단부 부분(100)의 단부면 사이의 직물 단부 부분(126)에는 숄더 부분(113)이 완전히 없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평행한 라인(128)이, Dremel™ 공구로 절단된 코너로부터 스플라이스의 단부를 향해, 유틸리티 나이프를 사용하여 그려진다. 중심선(116)으로부터 15 mm를 측정하여, 스플라이스의 단부를 향해 45°로 절단이 이루어진다. 금속 곱자(carpenter's square) 등을 사용하여 이 라인을 가로질러 절단하여 경사진 탭(130)을 형성한다.
다른 핸드레일의 경우, 직물층이 90도로 있는 상태에서 중심선(116)으로부터 제1 핸드레일(100)의 단부를 향해 25 mm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 라인을 가로질러 절단이 이루어져 25 mm의 직사각형 탭을 형성한다.
제2 또는 다른 핸드레일 단부(200)의 경우, 직물(20)은 90도로 금속 곱자를 사용하여 중심선(216)에서 횡으로 절단된다.
탭(130)의 크기는 최소 15 mm x 25 mm이여야 한다. 나머지 직물은 폐기될 수 있다.
숄더 부분(113)은 유틸리티 나이프를 사용하여 중심선(116)에서 제거된다. 이소프로필 또는 에틸 알코올을 절단 중에 블레이드에 사용하여 윤활을 제공할 수 있다. 절단을 똑바로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클램프가 사용되어 숄더 부분(113)을 맨드릴(40)에 대해 유지할 수 있다. 핸드레일의 변형을 피하기 위해 톱질 작업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고르지 않은 절단이 생기게 된다. 양호한 용접을 보장하기 위해,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 절단이 달성되어야 한다.
숄더 부분(113)이 절단되면, 양호한 용접이 나중에 달성될 수 있도록 립의 하단에 대한 절단이 가능한 한 핸드레일의 액세스에 대해 수직이 되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숄더 부분(113)을 통한 임의의 절단이 불량한 경우, 절단면은 맨드릴(40)의 중앙 슬롯(44)으로 이동되어야 하고, 그 다음 숄더는 중앙 슬롯(44)의 에지를 따라가면서 톱질 작업에서 유틸리티 나이프를 사용하여 정사각형으로 절단되어야 한다. 절단을 수행하는 동안, 숄더 부분(113)은, 유틸리티 나이프가 중앙 슬롯(44)의 평탄한 표면을 따르도록 맨드릴(40)에 대해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다시, 이소프로필 알코올이 윤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스플라이스를 조립하기 위해, 핸드레일 단부 부분(100, 200) 모두가 스플라이스 맨드릴(40) 상으로 활주되어, 슬라이더 직물층의 단부가 중앙 슬롯(44)의 에지와 정렬된다. 탭(130)은 제1 핸드레일 단부 부분(100) 아래에 밀어넣어져, 다음 단계에서 간섭 또는 손상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패들(70)이 2개의 핸드레일 단부 사이에 배치되기에 충분한 공간을 허용하도록 핸드레일 단부(100, 200) 사이에 간극이 제공된다.
히트 패들(70)은 원하는 온도로 가열되고, 필요한 경우 와이어 브러시를 사용하여 세정될 수 있다. 히트 패들(70)은 단부 부분(100, 200) 사이에 배치되어, 25 mm 중첩이 손상되지 않고 슬롯(44)에 삽입되도록 한다. 단부 부분(100, 200)은 히트 패들(70)에 대해 압박된다. 제1 및 제2 핸드레일 단부 부분(100, 200)의 단부면이 1 mm 버섯 효과를 제공할 정도로 용융되어 펼쳐지기 시작하면, 히트 패들(70)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되고, 핸드레일 단부(100, 200)는 5 내지 10 초 동안 빠르게 함께 타이트하게 푸시되어 단부를 서로 결합시킨다.
양호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의 요소가 고려될 수 있다: (a) 용융물은 내내 균등하다; (b) 단부는 매우 빠르게 함께 푸시된다; (c) 용접하는 동안 2개의 단부를 함께 푸시하면서 숄더는 서로 적절하게 정렬된다; (d) 2개의 핸드레일 단부 부분(100, 200)이 함께 용접되면, 결과적인 조인트는 손으로 조인트를 구부리고 균열을 육안으로 체크함으로써 검사되고; 조인트가 갈라지면, 스플라이스를 분리하고 재용접한 다음 다시 테스트해야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혼직층(104, 204)이 뒤로 유지된 상태에서, 본체 플라이층(140, 240)이 삽입되어 절단 단계로 인해 손실된 열가소성 물질을 보상할 수 있다.
탭(230)이 있는 곳 위에서 제2 상단 표면(212) 상에, 라인이 중심선(216)으로부터 25 mm 마킹된다. 혼직층(204) 아래에 본체 플라이(240)가 제공되고 삽입된다. 본체 플라이는 라인(242)에서 횡으로 절단된다. 경사진 탭이 제공될 때, 244에서 45°의 각도로 추가로 절단되어, 이 본체 플라이(240)는 언더라이닝 탭에 대응하고 탭(130) 위로 연장되지 않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대응하여, 제1 핸드레일 단부(100)에 대해, 본체 플라이(140)가 제공되며, 이 본체 플라이는 다시 혼직층(104) 아래에 똑바로 끼워맞춤된다. 본체 플라이는 중심선(116)까지 연장되도록 절단된다.
본체 플라이층(140, 240)은 히트 건에 의해 핸드레일의 하위 본체 부분(106, 206)에 용접된다. 히트 건은 350℃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히트 건은 각각의 플라이와 언더라이닝 열가소성 물질 사이를 목표로 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롤러, 예컨대 2 인치 롤러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물질을 롤링하기 전에 가온시킬 수 있다. 롤링할 때, 포획된 공기로 인해 스플라이스 조인트에 공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든 공기가 배출되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때, 완전한 용접이 수행되지 않고 본체 플라이층(140, 240)을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것만이 필요할 수 있다.
유틸리티 나이프를 사용하여 숄더 부분(113, 213)으로부터 버섯 효과를 트리밍할 수 있다.
이어서, 핸드 클램프를 제거함으로써 혼직층(104, 204)이 해제될 수 있다. 아직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도 14의 혼직 패턴이 형성되거나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수형 단부 패턴(52)을 먼저 형성함으로써 혼직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수형 단부 패턴(52)을 템플릿으로서 사용하여, 암형 단부 패턴(50)이 절단될 수 있다. 혼직의 단부 부분들은 1 mm 간격을 두고 맞대며, 중첩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물질의 제3 및 제4 플라이가 혼직 위에 제공될 수 있고, 플라이는 스타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치수(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3 플라이 및 때로는 제4 플라이가 있다.
필요에 따라, 히트 건 및 롤러를 사용하여 2개의 혼직층(104, 204)의 단부 패턴이 적어도 언더라이닝 열가소성 물질 상에 고정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열풍 건은 제자리에 용접되거나 고정되는 혼직층(104)의 암형 단부의 제1 레그의 밑면을 가온하는 데에 사용된다. 암형 단부의 제2 레그에 대해 유사한 절차가 사용되어 제2 레그를 제자리에 용접하거나 고정시키고, 2개의 경우 모두 공기를 배출한다. 혼직층의 수형 단부에 대해 유사한 절차가 이어진다.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완성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60)이 마련된다. 캡(160)은 제거된 표피층(102, 202)에 대응하는 핸드레일의 길이로부터 피스를 절단함으로써 마련된다. 이와 같이, 캡(160)은 표피층(102, 202)의 두께에 띠톱 또는 다른 절삭 공구에 의해 제거된 임의의 재료의 두께를 더한 값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이의 삽입에 의해 효과적으로 대체되는 임의의 재료에 대한 허용 오차를 뺀 값을 가져야 한다.
조립된 스플라이스는 핸드레일 단부(100, 200)의 수직 단부 에지(132, 232) 사이에 공간을 남긴다. 캡(160)은 이 거리보다 약간 길게 절단되어야 한다.
캡(160)을 장착하기 위해, 캡(160)의 일 단부는, 캡(160)의 단부가 에지면(132, 232)의 단부와 마주보고 그로부터 수 mm만큼 이격되어 있는 스플라이스 영역 위에 위치 설정된다. 캡(160)의 단부면 및 마주보는 에지면을 가열하기 위해 열풍 건이 사용된다. 충분히 가열되면, 단부면은 고온 에지면에 대해 가압된다; 가열은, 예를 들어 재료의 용융을 유발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캡은 평평해야 하며 공기가 포획될 수 있는 균열이 없어야 한다.
스플라이스의 다른 단부에서, 캡은 스플라이스 영역에서 똑바르고 센터링되어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체크되어야 한다. 이어서, 금속 탄소 정사각형 가이드 및 유틸리티 나이프를 사용하여, 캡(160)은 2개의 마주보는 에지면(132, 232) 사이의 공간보다 약간 더 길도록 트리밍되며, 예를 들어 캡(160)은 다른 에지면과 중첩함으로써 1 mm 지나서 연장될 수 있다. 그 후, 캡은 상향으로 융기될 수 있다.
다른 단부에 대해, 열풍 건이 사용되어 캡(160)의 단부면 및 다른 핸드레일 단부의 다른 더 마주보는 에지면을 가열한다. 그 다음, 캡은 에지면에 대해 타이트하게 가압된다. 다시, 이는 캡을 과열시키지 않고 재료를 용융시키지 않으며 포획된 공기가 없이 캡을 평평하게 남기도록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플라이스 영역이 세정되고 스플라이스에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보호 필름은 설치될 때까지 표면을 세정되고 보호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보호 필름은 설치 전에 제거될 것이다. 보호 필름은 압출 동안 전체 핸드레일에 부착되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이다. 스플라이스 동안 필름이 제거되고 스플라이스가 완료되면 새로운 섹션이 추가된다.
그 후, 스플라이스 조인트가 반전되고 핸드레일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의 밑판 내부가 위를 향하도록 반전 위치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이어서, 접착제 플라이 피스가 삽입된다. 접착제 TPU 플라이는 본체 플라이와 조성이 상이하며 매우 얇다(0.25 mm). 접착제 TPU 플라이는 TPU 접착제층을 갖는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재료가 새들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접착제 TPU 플라이는 탭(130)보다 약 15-20 mm 더 길고 1 내지 2 mm 더 넓게 되도록 절단되고 탭(130) 아래에 위치된다.
송풍 속도가 더 낮은 열풍 건을 사용하여, 접착제 플라이가 탭(130) 아래에서 가열한 다음, 탭(130)은 핸드레일의 밑판으로 푸시되어 슬라이더 직물(20)에 부착하게 된다. 이어서, 탭 너머로 연장되는 접착제는 탭의 에지로 롤백되어 탭과 밑판 사이의 단차부를 채우는 비드를 형성한다.
핸드레일 단부 부분의 슬라이더 직물(20)에 탭(130)이 부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핸드레일 단부(100, 200)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임의의 버섯 효과는 회전 공구를 사용하여 립의 상단으로부터 목부 영역 내측의 밑판에 있는 슬라이더로 트리밍되고 제거될 수 있다. 이 재료는 스플라이스가 너무 부피가 크지 않고 몰드에 올바르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제거된다.
슬라이더 에지가 제거된 핸드레일 립에 형성된 공동(124)은 핸드레일 커버 재료의 스트립으로 채워지고 열풍 건을 사용하여 결합된다.
이어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새로운 미사용 슬라이더 직물이 얻어지고 새들(150)을 형성하도록 절단된다. 이 새들 재료는 TPU 접착제로 사전 코팅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탭을 제위치에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플라이와 동일한 재료이다. 도 17a는 새들의 형상을 도시하고, 새들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 17a에 도시된 새들(15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새들 템플릿이 제공된다. 새들 템플릿은 곱자 등을 사용하여 새들 재료에 45°로 정렬된다. 바이어스는 길이방향으로부터 45도, 즉 라인(152, 154)에 대해 45도이다. 새들(150)은 직물 재료로부터 템플릿의 형상으로 절단된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의 에지를 정렬시키기 위해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립의 전면으로부터 12 mm의 핸드레일 숄더 상에 마크(162)가 형성된다.
새들(150)은 단부 삼각형이 절단된 사다리꼴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새들(150)은, 핸드레일에서의 그 위치에 대해 서로 평행한 내부 에지(152) 및 외부 에지(154), 그리고 이들 내부 및 외부 에지(152, 154)에 각각 수직인 2개의 단부 에지(156)를 갖는다. 2개의 경사 에지(158)는 새들(150)의 형상을 완성시킨다.
이어서, 새들(150)은, 새들 외부 에지(154)가 위에서 형성된 12 mm 마크와 정렬된 상태에서, 숄더 부분(113) 상에 위치되고 용접 조인트 상에 센터링된다. 새들이 유지되고 숄더 부분(113) 및 새들의 접착제에 열이 인가된다. 새들(150)은 숄더 위로 가압되어 용접부 상에 센터링되고 12 mm 마크와 정렬된다. 재료는 적절한 결합을 제공하도록 충분히 가열되어야 한다. 열풍 건이 사용되어 새들의 직물면을 가열하고 새들을 상단 립 위에서 목부 영역을 향해 목부 영역으로 계속 절첩할 수 있다. 모든 에지는 가능한 한 똑바르고 평행해야 한다. 접착제는, 새들이 슬라이더 직물과 완전히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과열되지 않아야 한다. 이때, 가열의 주요 기능은 새들(150)을 보다 유연하게 만드는 것이다.
상기 단계는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다른 쪽의 새들(150)에 대해 반복된다.
새들(150)이 핸드레일의 밑판에 고정된 후, 립 면 위에서 나아가고 견고하게 가압되는 새들(150)의 에지에 열이 인가되어, 스플라이스가 몰드에 위치될 때 새들이 적절하게 위치 설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양쪽 새들(150)이 제자리에 있으면, 캡(160)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된 핸드레일 피스가 이어서 커버 재료의 스트립(170)을 얻는 데에 사용되어 새들(150)의 에지를 밀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핸드레일 피스는 뒤집힌다.
커버 재료의 스트립(170)은, 핸드레일의 피스를 취하고 핸드레일 숄더의 길이를 따라 3개 또는 4개의 스폿을 마킹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들 스트립은, 그리스 펜슬 또는 다른 제거 가능한 마킹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커버 재료가 립의 상단에 떨어지는 곳으로부터 숄더 둘레의 5 mm 및 18 mm에 측정 및 마킹될 수 있다. 이어서, 유틸리티 나이프를 사용하여 숄더로부터 커버 재료의 스트립(170)을 제거하고, 상기 마크를 사용하여 이 스트립(170)에 대한 에지를 결정할 수 있다. 재료의 스트립은 두께가 1.5 mm 이하일 수 있다.
이들 스트립(170)은, 예를 들어 200 mm의 길이로 절단된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피스 각각은 새들에 센터링된다. 일부 핸드레일의 경우, 커버 피스의 길이는 새들 에지를 넘어 약 10 mm이여야 한다.
열풍 건(열풍건은 최대 온도가 350℃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음)이 사용되어 커버 재료 피스를 새들(150) 중 하나의 양 측면에 고정시키고, 피스의 폭(예를 들어, 14 mm)이 새들(150)의 에지 위에 센터링되는 것을 보장한다. 열풍 건은, 피스의 숄더 에지를 가열하고 고정시키기 전에, 먼저 커버 피스의 새들 에지를 가열하고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새들면 상에 피스를 고정시키는 것이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렇다면 새들(150)의 재료가 아니라 커버 피스만이 용융되도록 가열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새들 재료가 용융되면 스플라이스가 조기에 고장날 수 있다.
커버 피스의 기능 중 하나는 새들 접착제를 밀봉하여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일조하는 것이다.
완성 스플라이스를 몰딩하기 위해, 예를 들어 2017년 11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91,971호 및 발명의 명칭이 핸드레일 또는 다른 세장형 물품에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MOULD ASSEMBLY FOR FORMING A SPLICED JOINT IN A HANDRAIL OR OTHER ELONGATE ARTICLE)인 대응 국제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코어 요소를 갖는 적절한 몰드가 선택되고, 각각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코어는 스플라이스에서 T자형 슬롯(12)에 삽입된다. 스플라이스로부터 제거되는 동안 코어가 고착된 것으로 보이면 또는 접착제가 슬라이더 탭의 단부에 간극을 남겨두고 핸드레일의 밑판으로부터 제거되면, 슬라이더 탭 및 새들이 위치되는 코어에 몰딩 이형제가 도포될 수 있다.
코어를 핸드레일에 삽입하기 전에, 숄더와 새들은 히트 건으로 서서히 가열되어 보다 유연하게 만들 수 있어, 핸드레일이 코어 둘레에 타이트하게 끼워맞춤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코어는 스플라이스 영역 위에 센터링하고 퍼티 나이프를 사용하여 코어를 전방 숄더로 파고 들어 삽입될 수 있으며, 코어의 삽입은 삽입 프로세스 동안 임의의 새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행해져야 한다.
위의 설명은 하나 이상의 장치 또는 방법의 예를 제공하며, 다른 장치 또는 방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36)

  1. 이동 핸드레일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핸드레일은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T자형 슬롯의 내부 둘레의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부분 각각에서,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열가소성 본체의 숄더 부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슬라이더 직물층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숄더 부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계;
    각각의 단부 부분에 대해, 적어도 숄더 부분을 그 전방 부분으로부터 제거하여 슬라이더 직물층 및 열가소성 물질층에 전방 부분을 포함하는 중앙 부분을 남기는 단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열가소성 물질의 전방 부분을 필요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을 함께 조립하여 몰딩을 위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 직물층의 전방 부분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은, T자형 슬롯의 내부 치수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더 직물층의 다른 부분에 중첩 및 결합하기 위해 열가소성 물질층의 일부를 통합하는 탭 부분이 슬라이더 직물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얇은,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에는 제1 및 제2 단부 부분 각각에 대해 중심선이 제공되고, 전방 및 후방 부분은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중심선의 양 측면 상에 제공되며,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부분의 베이스 섹션은 서로 맞닿아 함께 결합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부 부분 각각에 대해, 전방 및 후방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제1 수평 절단이 제공되고, 연신 억제물 위에서 전방 및 후방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제2 수평 절단이 제공되며, 수직 절단이 제2 수평 전달의 단부에 제공되어 제1 및 제2 단부 부분 각각으로부터 표피층을 제거하고, 제1 및 제2 수평 절단은 각각의 제1 및 제2 혼직층을 남기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부 부분 각각에 대해, 중심선으로부터 그 단부면까지, 열가소성 물질의 결합층을 통해, T자형 슬롯의 에지에 인접하여 그 위에서 연장되는, 대체로 수직이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절단을 제공하여, 슬라이더 직물층으로부터 숄더 부분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직물층의 에지는 숄더 부분의 열가소성 물질에 매립되고, 상기 방법은 숄더 부분으로부터 슬라이더 직물층의 에지 부분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길이방향 절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부 부분 각각에 대해, 중심선을 따라 T자형 슬롯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슬라이더층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 및 슬라이더층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슬라이더층은, 중심선에서 핸드레일의 단면에 대해 45도 각도로 연장되고 T자형 슬롯의 상단에서의 중심선으로부터 그 단부에서 멀어지게 경사진 평면으로 숄더 부분에서 연장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슬라이더층을 회전 연마 공구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물질의 길이방향 절단을 슬라이더 직물층에서 45도의 경사진 절단으로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 억제물을 복수의 연신 억제물 부재로서 제공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연신 억제물 부재를 각각 통합하는 복수의 세장형 피스를 제공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혼직층으로 절단하고 세장형 피스를 상이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단부 부분의 제1 혼직층은 수형 패턴을 형성하고, 제2 단부 부분의 제2 혼직층은 수형 패턴에 상보적인 대응하는 암형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 부분 각각의 세장형 피스는 5개의 상이한 길이 중 하나로 절단되고, 하나의 길이는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중심선에 대응하며, 2개의 길이는 중심선보다 짧고 2개의 길이는 중심선보다 긴,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혼직층과 상기 베이스 섹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이층을 제공하고, 상기 혼직층 위에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이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 부분으로부터 제거된 표피층을 대체하기 위해 대체 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캡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단부면들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더 길게 절단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캡을 제위치에 적어도 고정시키기 위해, 대체 캡의 단부 및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에지면을 가열 및 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층에 대해, 가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플라이층 및 하위 열가소성 물질을 가열하는 단계, 및 플라이층을 제위치에 적어도 고정시키도록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층은 열풍 건으로 가열되고, 압력은 롤러를 사용하여 인가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몰드 내에 위치되고, 상기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적어도 30 초의 시구간 동안 섭씨 170도 초과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다양한 열가소성 물질 성분이 용융되고 함께 결합하여, 완성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몰드에서 제거하기 전에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둘러싸는 2개의 몰드부 및 핸드레일의 T자형 슬롯에 끼워맞춤되는 코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요소는 T자형 슬롯 내에 부동식으로 장착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의 상단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코어 요소를 압박하는 압력을 코어 요소에 제공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가열 동안, 액추에이터는 코어 요소에 압력을 인가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냉각시킨 후, 몰드부는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해제하도록 분리되고 액추에이터는 코어 요소를 몰드 요소 중 하나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하도록 추가의 압력을 인가하는, 방법.
  22. 이동 핸드레일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핸드레일은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T자형 슬롯의 내부 둘레의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부분 각각에서,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열가소성 본체의 숄더 부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슬라이더 직물층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숄더 부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계;
    각각의 베이스 섹션에 대해, 그 전방 부분을 제거하여 그 후방 부분을 남기는 단계;
    베이스 섹션의 후방 부분의 마주하는 표면을 가열하여 열가소성 물질을 용융시키는 단계; 및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맨드릴 상에 장착하고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함께 활주시켜, 베이스 섹션의 후방 부분들이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베이스 섹션의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이 함께 융합되어 조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맨드릴에 적어도 하나의 단면 슬롯을 제공하는 단계;
    열가소성 물질을 용융시키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된 히트 패들을 제공하고, 패들을 맨드릴의 슬롯에 장착하는 단계;
    베이스 섹션의 후방 부분이 패들과 맞닿아 열가소성 물질을 용융시키도록 베이스 섹션의 후방 부분을 베이스 섹션에 대해 위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패들을 제거하고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함께 활주시켜, 베이스 섹션의 후방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섹션의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은 함께 융합되어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조인트 둘레의 열가소성 물질을 냉각시킨 후, 임의의 과도한 열가소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부 부분에 제2 수평 절단 및 수직 절단을 제공하여, 제1 및 제2 단부 부분으로부터 표피층을 제거하고,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전방 및 후방 부분에 혼직층을 남기는 단계를 포함하고, 혼직층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이 서로 맞닿는 베이스 섹션의 후방 부분과 함께 활주될 수 있도록 조인트로부터 멀어지게 벤딩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조인트를 형성한 후, 수형 및 암형 패턴 중 하나를 혼직층 중 하나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보적인 암형 또는 수형 패턴을 다른 혼직층에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이동 핸드레일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핸드레일은 축,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T자형 슬롯의 내부 둘레의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부분 각각에서,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열가소성 본체의 숄더 부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슬라이더 직물층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숄더 부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계;
    각각의 단부 부분에 대해, 핸드레일의 축에 수직인 중앙 평면의 중심선을 베이스 섹션의 상단에 마킹하는 단계;
    적어도 베이스 섹션의 전방 부분의 열가소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핸드레일 단부 부분 둘레의 중심선 마킹을 슬라이더 직물로 이전시키는 단계;
    T자형 슬롯의 상단에서 중앙 평면과의 교차점으로부터 그리고 전방 부분에서 멀어지게 중앙 평면에 대해 45도 각도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숄더 부분 내부의 슬라이더 직물 상에 경사선을 제공하는 단계; 및
    경사진 평면과 중앙 평면 사이의 슬라이더 직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이동 핸드레일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핸드레일은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T자형 슬롯의 내부 둘레의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부분 각각에서,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열가소성 본체의 숄더 부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슬라이더 직물층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숄더 부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계;
    베이스 섹션의 후방 부분이 서로 맞닿게 하도록 베이스 섹션의 전방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연신 억제물 위에 제2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제2 수평 절단의 단부에서 전방 및 후방 부분 및 수직 절단을 통해 연장시켜 제1 및 제2 단부 부분 각각으로부터 표피층을 제거하는 단계;
    혼직층에서 연신 억제물을 절단하여 상보적인 단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혼직층과 베이스 섹션 사이 및 혼직층 위에 복수의 열가소성 플라이층을 제공하는 단계;
    혼직층 위에 대체 캡을 제공하는 단계; 및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몰드 내에 배치하고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온도 및 압력을 받게 하여 제1 및 제2 핸드레일 단부 부분과 플라이의 열가소성 물질을 함께 융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내에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장착하기 전에, 상기 플라이 층, 상기 혼직층 및 상기 상단 캡 중 일부를 제위치에 적어도 고정시키기 위해 가열 디바이스 및 압력 디바이스, 바람직하게는 롤러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전체 길이를 연장시키지 않으면서 서로 중첩하는 다수의 플라이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몰드 내에 장착하기 전에 약간 돌출되도록 수직 절단 사이의 길이보다 긴 대체 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층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슬라이더 직물층에 제공된 탭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단되는, 방법.
  33. 이동 핸드레일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핸드레일은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T자형 슬롯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 T자형 슬롯 위에 있는 열가소성 본체 내의 연신 억제물 및 T자형 슬롯의 내부 둘레의 슬라이더 직물층을 포함하고, 핸드레일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단부 부분의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부분에 인접한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부분 각각에서, 열가소성 본체의 상단 섹션을 열가소성 본체의 숄더 부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슬라이더 직물층 위의 열가소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수평 절단을 제공하고, 숄더 부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계;
    각각의 단부 부분에 대해, 적어도 숄더 부분을 그 전방 부분으로부터 제거하여 슬라이더 직물층 및 열가소성 물질층에 전방 부분을 포함하는 중앙 부분을 남기는 단계;
    슬라이더 직물층 및 열가소성 물질의 전방 부분을 필요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
    평행한 내부 및 외부 에지를 갖는 새들을 각각의 숄더 부분에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숄더 부분에 대해, 새들의 외부 에지의 위치를 위한 라인을 마킹하는 단계;
    각각의 새들에 대해, 외부 에지를 숄더 부분 상의 마킹된 라인과 정렬시키고, 그 외부 에지에 인접한 새들을 가열하고 새들을 숄더 부분에 대해 가압하여 새들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이후에 새들이 T자형 슬롯 내에 밀접하게 장착되는 것을 보장하고 새들의 내부 에지를 슬라이더 직물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새들은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도록 내부 및 외부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경사진 에지, 및 사다리꼴 형상을 잘라버리도록 내부 및 외부 에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단부 에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새들은 바이어스 절단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핸드레일의 외부 상에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취한 커버 재료의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따라 그리고 새들의 외부 에지 위로 연장되는 각각의 스트립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새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스트립의 열가소성 물질을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열가소성 물질에 적어도 고정시키도록 스트립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6. 위에서 설명된 및/또는 위에서 청구된 및/또는 도면에 도시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 또는 방법.
KR1020207018203A 2017-11-29 2018-11-29 핸드레일 또는 다른 세장형 물품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 KR102600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1954P 2017-11-29 2017-11-29
US62/591,954 2017-11-29
PCT/CA2018/051522 WO2019104434A1 (en) 2017-11-29 2018-11-29 Method of forming a spliced joint in a handrail or other elongate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227A true KR20200090227A (ko) 2020-07-28
KR102600538B1 KR102600538B1 (ko) 2023-11-09

Family

ID=6666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203A KR102600538B1 (ko) 2017-11-29 2018-11-29 핸드레일 또는 다른 세장형 물품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745435B2 (ko)
EP (1) EP3717392A4 (ko)
JP (1) JP7358354B2 (ko)
KR (1) KR102600538B1 (ko)
CN (1) CN111712457B (ko)
BR (1) BR112020010353B1 (ko)
CA (1) CA3083137A1 (ko)
MX (1) MX2020005656A (ko)
WO (1) WO20191044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699B1 (ko) * 2021-02-25 2022-03-14 (주)동남테크 핸드레일 이음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83139A1 (en) 2017-11-29 2019-06-06 Ehc Canada, Inc. Mould assembly for forming a spliced joint in a handrail or other elongate article
EP3717392A4 (en) 2017-11-29 2021-09-08 EHC Canada, Inc. PROCESS FOR FORMING A SPLICE JOINT IN A HANDRAIL OR OTHER ELONGATED ARTICLE
CA3098323A1 (en) 2018-05-07 2019-11-14 Ehc Canada, Inc. Composite handrails with reduced density carca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459B1 (ko) * 1996-04-05 2004-12-14 로날드 에이치. 볼 열가소성물품들의이음방법및장치
FR2920508A1 (fr) * 2007-08-31 2009-03-06 Ficap Sa Procede de jonction d'une boucle de traction, notamment d'une main courante d'escalier mecanique ou de trottoir roulant
KR101862969B1 (ko) * 2014-05-30 2018-05-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엔드리스 핸드레일의 제조 방법, 엔드리스 핸드레일 및 에스컬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026B2 (ja) * 1997-09-02 2006-05-2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用ハンドレールの接続方法
US6241153B1 (en) 1998-03-17 2001-06-05 Cardxx, Inc. Method for making tamper-preventing, contact-type, smart cards
JP2000351570A (ja) * 1999-06-14 2000-12-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移動手摺の予備成形装置および予備成形方法
JP2001328790A (ja) 2000-05-18 2001-11-2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移動手摺の加熱加圧装置
JP2002205316A (ja) 2000-11-10 2002-07-23 Tejima Giken Kk 樹脂製ボーリングピン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樹脂製ボーリングピン
JP2004224504A (ja) 2003-01-22 2004-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用コンベアーの移動手摺
AT500085B1 (de) * 2003-05-28 2007-01-15 Semperit Ag Holding Spleisskonstruktion für längsprofile
DE10344468A1 (de) 2003-09-25 2005-04-14 New-York Hamburger Gummi-Waaren Compagni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dlosverbindung von Handläufen für Fahrtreppen und Fahrsteige
UA74441C2 (uk) 2003-12-18 2005-12-15 Відкрите Акціонерне Товариство "Більшовик" Спосіб з'єднання кінців поручня
KR100644926B1 (ko) 2005-08-30 2006-11-10 강명호 분리형 금형을 구비한 사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087978B2 (ja) 2007-04-16 2012-12-0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取替方法
KR101571910B1 (ko) 2007-09-10 2015-11-25 이에이치씨 캐나다, 인크. 열가소성 핸드레일의 압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4937215B2 (ja) * 2008-09-01 2012-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製長尺体の接続方法
KR101764047B1 (ko) * 2013-04-24 2017-08-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컬레이터의 엔드리스 핸드레일 및 에스컬레이터
CN203959626U (zh) 2014-06-02 2014-11-26 依合斯电梯扶手(上海)有限公司 扶手带接头结构
CN203957349U (zh) 2014-06-02 2014-11-26 依合斯电梯配件(上海)有限公司 聚氨酯扶手带手工接头工具用加热平台
JP6070745B2 (ja) * 2015-03-17 2017-02-0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移動手摺の製造方法
CN105415561A (zh) 2015-10-30 2016-03-23 依合斯电梯扶手(上海)有限公司 聚氨酯扶手带现场模压装置及其系统
EP3717392A4 (en) 2017-11-29 2021-09-08 EHC Canada, Inc. PROCESS FOR FORMING A SPLICE JOINT IN A HANDRAIL OR OTHER ELONGATED ARTICLE
CA3083139A1 (en) 2017-11-29 2019-06-06 Ehc Canada, Inc. Mould assembly for forming a spliced joint in a handrail or other elongate art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459B1 (ko) * 1996-04-05 2004-12-14 로날드 에이치. 볼 열가소성물품들의이음방법및장치
FR2920508A1 (fr) * 2007-08-31 2009-03-06 Ficap Sa Procede de jonction d'une boucle de traction, notamment d'une main courante d'escalier mecanique ou de trottoir roulant
KR101862969B1 (ko) * 2014-05-30 2018-05-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엔드리스 핸드레일의 제조 방법, 엔드리스 핸드레일 및 에스컬레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699B1 (ko) * 2021-02-25 2022-03-14 (주)동남테크 핸드레일 이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538B1 (ko) 2023-11-09
EP3717392A4 (en) 2021-09-08
RU2020120891A (ru) 2021-12-29
RU2020120891A3 (ko) 2022-04-29
CN111712457B (zh) 2022-10-25
CA3083137A1 (en) 2019-06-06
JP2021504649A (ja) 2021-02-15
BR112020010353A2 (pt) 2020-11-10
WO2019104434A1 (en) 2019-06-06
BR112020010353B1 (pt) 2024-04-30
JP7358354B2 (ja) 2023-10-10
CN111712457A (zh) 2020-09-25
EP3717392A1 (en) 2020-10-07
MX2020005656A (es) 2020-11-09
US11745435B2 (en) 2023-09-05
US20210370616A1 (en)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0227A (ko) 핸드레일 또는 다른 세장형 물품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법
KR101862969B1 (ko) 엔드리스 핸드레일의 제조 방법, 엔드리스 핸드레일 및 에스컬레이터
JP5020104B2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504649A5 (ko)
JP2007518606A5 (ko)
EP1011925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weeper or abrasive element and such element
RU2777289C2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срощен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в поручне или другом протяженном изделии
TWI685416B (zh) 用於粗端編接帶狀元件的裝置和方法
US20100193118A1 (en) Heat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JP5966755B2 (ja) コンベヤベルトの接合方法
US6151790A (en) Waterstop joining tool
JP4110148B2 (ja) 路面処理方法及び走行式テープ貼付装置
JP2006069222A (ja) 中空基材の端末処理方法および中空基材の端末構造
RU2544072C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концов резинотканевых лент
KR101119076B1 (ko) 줄눈 형성용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줄눈 시공방법
ES2327076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perfiles.
EP0688635B1 (en) A stratified grinder for working edges of slabs of marble, granit and the like
CN214605990U (zh) 口罩的耳带成型焊接装置
JP5719567B2 (ja) 再生コンベヤベルトの製造方法
KR200328214Y1 (ko) 비드 제거장치용 칼날조립체의 회전사상커터 조립구조
JP2000351570A (ja) 乗客コンベア移動手摺の予備成形装置および予備成形方法
TR201608034A2 (tr) Alttan muşamba kaynak sistemi ve yöntemi
EP1925437B1 (en) Method for applying a resin layer on a selected surface
JP2001248270A (ja) シート防水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帯状補助具、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熱風融着機
JP2004181720A (ja) 中空基材の端末処理方法および中空基材の端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