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668A - 이리듐 착물 화합물, 그 화합물 및 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그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이리듐 착물 화합물, 그 화합물 및 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그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668A
KR20200089668A KR1020207013889A KR20207013889A KR20200089668A KR 20200089668 A KR20200089668 A KR 20200089668A KR 1020207013889 A KR1020207013889 A KR 1020207013889A KR 20207013889 A KR20207013889 A KR 20207013889A KR 20200089668 A KR20200089668 A KR 2020008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ring
compound
iridium complex
complex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나가야마
오키 이에무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8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33Irid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
    • H01L51/0085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5Metal complexes of the platinum group, i.e. Os, Ir, Pt, Ru, Rh or P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u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Ir 은 이리듐 원자. L 은 2 좌 배위자. 고리 Cy1 은 탄소 원자 C1, C2 를 포함하는 방향 고리 또는 복소 방향 고리. 고리 Cy2 는 탄소 원자 C3, 질소 원자 N1 을 포함하는 복소 방향 고리. R1, R2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 a, b 는, 각각 고리 Cy1 또는 고리 Cy2 로 치환할 수 있는 최대수의 정수. m 은 1 ∼ 3, n 은 0 ∼ 2, m + n = 3. 적어도 1 개의 R1 은, 하기 식 (2) 로 나타낸다. R5 ∼ R11 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 RX1, RX2 는,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Description

이리듐 착물 화합물, 그 화합물 및 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그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이하, 「유기 EL 소자」 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의 발광층의 재료로서 유용한 이리듐 착물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그 화합물 및 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그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조명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유기 EL 소자를 이용하는 각종 전자 디바이스가 실용화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는, 인가 전압이 낮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작고, 삼원색 발광도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의 디스플레이 모니터뿐만 아니라, 휴대전화나 스마트 폰으로 대표되는 중소형 디스플레이에도 실용화되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층이나 전하 주입층, 전하 수송층 등 복수의 층을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상당수는, 유기 재료를 진공하에서 증착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진공 증착법에서는, 증착 프로세스가 번잡하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진공 증착법으로 제조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는 조명이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형화가 매우 어렵다.
최근, 대형의 디스플레이나 조명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프로세스로서, 습식 성막법 (도포법) 이 연구되고 있다. 습식 성막법은, 진공 증착법에 비해 안정적인 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나 조명 장치의 양산화나 대형 디바이스로의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를 습식 성막법으로 제조하려면, 사용되는 재료는 모두 유기 용제에 용해하여 잉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일 필요가 있다. 사용 재료가 용제 용해성이 열등한 경우, 장시간 가열하는 등의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 전에 재료가 열화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용액 상태로 장시간 균일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면, 용액으로부터 재료의 석출이 일어나, 잉크젯 장치 등에 의한 성막 (成膜) 이 불가능하게 된다. 습식 성막법에 사용되는 재료에는, 유기 용제에 신속하게 용해하는 것과, 용해된 후 석출되지 않고 균일 상태를 유지한다라는 2 가지 의미에서의 용해성이 요구된다.
최근, 이 잉크의 농도를 높게 하는 요구가 높아져 오고 있다. 고농도의 잉크를 사용하여 막두께가 보다 두꺼운 발광층을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구동 수명을 늘리거나, 소자의 광학적 설계를 최적화하여, 이른바 마이크로캐비티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현시켜 색순도를 높이는 등의 개량이 가해져 오고 있다. 유기 EL 소자의 습식 성막용 재료에는, 종래보다 높은 용제 용해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녹색 발광 재료로는, Ir(ppy)3 과 같은 페닐-피리딘 배위자를 갖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이 범용되고 있다. 이것 자체의 용제 용해성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용제 용해성을 부여하는 치환기를 도입하여 용제 용해성을 개선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3 및 비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3 및 비특허문헌 1 에는, Ir(ppy)3 과 같은 페닐-피리딘 배위자를 갖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용제 용해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용해성 부여기로서 m-페닐렌기와 같은 굴곡한 방향족기나 알킬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페닐-피리딘 배위자의 오르토 위치에 페닐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해성 부여기를 도입하면, 방향족기에 의한 공액계의 연장 효과나 알킬기의 전자 공여성 효과 때문에, 발광 파장은 Ir(ppy)3 본래의 발광 파장보다 장파장 시프트해 버린다. 이 때문에, 이들을 유기 EL 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한 경우, 녹색의 색순도의 악화를 일으킬 염려가 있다.
발광 파장을 단파장화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페닐-피리딘형 배위자의 페닐기측에, 불소나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혹은 시아노기와 같은 전자 구인성 치환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있다. 반대로 피리딘측에, 알킬기나 아미노기 등의 전자 공여성 치환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당해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전기 화학적 성질, 즉 HOMO 나 LUMO 의 값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는 적합하기 어렵다.
이들 치환기가 그 치환 위치에 도입된 경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동 중에 배위자가 분해되어, 구동 수명의 대폭적인 악화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배위자의 기본적인 골격의 설계만으로, 용제 용해성을 저해하지 않고, 또한 녹색의 색순도의 향상, 즉 발광 파장을 단파장화하는 새로운 분자 설계의 개발이 필요로 된다.
국제 공개 제2004/02688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74000호 국제 공개 제2016/194784호
비특허문헌 1 : K. -H. Lee et al, Journal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9, 7099-7103 (2009)
본 발명은, 높은 용제 용해성과 색순도의 향상을 양립시키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특히, 높은 용제 용해성과 보다 단파장의 발광 극대 파장을 나타내는 녹색 이리듐 착물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특정 화학 구조를 갖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이, 녹색 발광 재료로서 종래 재료에 비해 높은 용제 용해성과 보다 단파장의 발광 극대 파장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 에 있어서, Ir 은 이리듐 원자를 나타낸다.
L 은 2 좌 배위자를 나타내고, 복수 있는 경우에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고리 Cy1 은 탄소 원자 C1 및 C2 를 포함하는 방향 고리 또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낸다.
고리 Cy2 는 탄소 원자 C3 및 질소 원자 N1 을 포함하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낸다.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a 및 b 는, 각각 고리 Cy1 또는 고리 Cy2 로 치환할 수 있는 최대수의 정수를 나타낸다.
m 은 1 ∼ 3 의 정수, n 은 0 ∼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m + n = 3 이다.
R1 및/또는 R2 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적어도 1 개의 R1 은,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2) 에 있어서, * 는 고리 Cy1 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5 ∼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RX1 및 R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2] 상기 식 (1) 의 고리 Cy1 및 (R1)a 가,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것인, [1] 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3) 에 있어서,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1, R5 ∼ R11, RX1 및 RX2 는, 식 (1) 및 식 (2) 에서 정의한 것과 각각 동일하다.]
[3] 배위자 L 이 하기 식 (4) 로 나타내는 것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4) 에 있어서,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고리 Cy3 은, 탄소 원자 C4 및 C5 를 포함하는 방향 고리 또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내고, C4 에서 이리듐 원자와 결합한다.
고리 Cy4 는, 탄소 원자 C6 및 질소 원자 N2 를 포함하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내고, N2 에서 이리듐 원자와 결합한다.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c 및 d 는, 각각 고리 Cy3 또는 고리 Cy4 로 치환할 수 있는 최대수의 정수이다.]
[4] 배위자 L 이 하기 식 (5) 로 나타내는 것인, [3] 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 (5) 에 있어서,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5]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 및 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6]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7] [6] 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갖는 표시 장치.
[8] [6] 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갖는 조명 장치.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은 높은 용제 용해성을 가지므로, 습식 성막법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작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은, 단파장의 발광 극대 파장을 나타내는 녹색 이리듐 착물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을 사용한 소자는, 특히 녹색 발광 소자에 있어서 그 색순도가 높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로서 특히 유용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방향 고리」 는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 를 가리키고, 고리 구성 원자로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복소 방향 고리」(헤테로 방향 고리) 와는 구별된다. 동일하게, 「방향족기」 는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기」를 가리킨다. 「복소 방향족기」(헤테로 방향족기) 는 「복소 방향족 고리기」를 가리킨다.
[이리듐 착물 화합물]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1) 에 있어서, Ir 은 이리듐 원자를 나타낸다.
L 은 2 좌 배위자를 나타내고, 복수 있는 경우에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고리 Cy1 은 탄소 원자 C1 및 C2 를 포함하는 방향 고리 또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낸다.
고리 Cy2 는 탄소 원자 C3 및 질소 원자 N1 을 포함하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낸다.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a 및 b 는, 각각 고리 Cy1 또는 고리 Cy2 로 치환할 수 있는 최대수의 정수를 나타낸다.
m 은 1 ∼ 3 의 정수, n 은 0 ∼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m + n = 3 이다.
R1 및/또는 R2 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적어도 1 개의 R1 은,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것이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 (2) 에 있어서, * 는 고리 Cy1 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5 ∼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RX1 및 R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구조상의 특징>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은, 이리듐 원자에 직접 공유결합하고 있는 배위자의 고리형 구조 부분 (고리 Cy1 부분) 에 식 (2) 로 나타내는 치환기가 존재하는 것에 큰 특징이 있다.
후기 화합물 D-2 와 같이, 그 고리형 구조 부분에 2,6-디메틸페닐기를 치환한 화합물이 잘 알려져 있다. 이 화합물에서는, 디메틸기의 입체 장애가 충분하지 않아 이리듐 원자와 그 고리형 구조 부분에 분포하는 HOMO 가 디메틸페닐기로 새어 나오기 때문에, 충분한 단파장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나아가서는, 메틸기가 HOMO 가 존재하는 공간으로 돌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이리듐 착물 화합물에 정공이 들어갔을 때, 메틸기로부터 수소 원자가 하이드라이드 음이온으로서 전이하고, 배위자의 분해를 유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비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치환의 오르토-비페닐기를 그 고리형 구조 부분에 도입한 경우에는, 발광 파장은 큰 장파장 시프트를 일으킨다. 이것도, 입체 장애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비페닐 부분의 비틀림이 완전 불충분하고, HOMO 가 확대되기 때문에 장파장화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에서는, 식 (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위치와 6 위치에 치환기 RX1 과 RX2 를 도입함으로써 비페닐 부분을 크게 비틈과 함께, 비틀어진 상태를 고정하여, 비페닐 간의 회전 운동을 일으키지 않게 함으로써, 비틀기 위해서 도입한 2 및 6 위치의 치환기 RX1, RX2 가, HOMO 와 접촉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에 의해, 이상 서술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배위자에 있어서는, 고리 Cy1 과 식 (2) 중의 R5 ∼ R8 을 포함하는 벤젠 고리의 결합은 회전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고리 Cy1 과 당해 결합을 포함하는 면 (이것을 지면으로 한다) 에 대해, 식 (2) 로 나타내는 치환기가 지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좌하는 것의 혼합물, 즉 광학 이성체가 된다. 이 관계는 이리듐에 배위하여 착물이 된 후에도 유지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이 화학식으로는 단일이어도 복수의 구조 이성체의 집합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구조가 상이한 화합물이 복수 존재하는 용액에서는, 서로의 결정화를 서로 저해하기 때문에, 동일 농도에 있어서 완전 단일의 이성체 구조만을 포함하는 용액에 비해 결정화는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전자의 결정은 통상 입경이 작아 복수의 이성체의 결정이 혼합된 분말로서 얻어지고, 각각의 결정 내에 약간이지만 다른 구조 이성체를 흡수한다는 결함을 갖는 때문에, 결정 구조가 보다 불안정하여 용제에의 용해 속도가 빨라진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에서는, 용제에의 용해 속도가 높아지고, 또한, 일단 용해되어 잉크가 된 후의 용액 상태를 장시간 유지한다는 통상보다 높은 용제 용해성이 얻어진다고 추측된다.
<고리 Cy1
고리 Cy1 은 이리듐 원자에 배위하는 탄소 원자 C1 및 C2 를 포함하는 방향 고리 또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낸다.
고리 Cy1 은, 단고리여도 되고, 복수의 고리가 결합하고 있는 축합 고리여도 된다. 축합 고리의 경우, 고리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6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착물의 용제 용해성을 저해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리 Cy1 이 복소 방향 고리인 경우, 고리 구성 원자로서 탄소 원자 외에 포함되는 헤테로 원자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규소 원자, 인 원자 및 셀렌 원자에서 선택되는 것이, 착물의 화학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고리 Cy1 의 구체예로는, 방향 고리로는, 단고리의 벤젠 고리 ; 2 고리의 나프탈렌 고리 ; 3 고리 이상의 플루오렌 고리, 안트라센 고리, 페난트렌 고리, 페릴렌 고리, 테트라센 고리, 피렌 고리, 벤즈피렌 고리, 크리센 고리, 트리페닐렌 고리, 플루오란텐 고리 등을 들 수 있다.
복소 방향 고리로는, 함산소 원자의 푸란 고리, 벤조푸란 고리, 디벤조푸란 고리 ; 함황 원자의 티오펜 고리, 벤조티오펜 고리, 디벤조티오펜 고리 ; 함질소 원자의 피롤 고리, 피라졸 고리, 이미다졸 고리, 벤조이미다졸 고리, 인돌 고리, 인다졸 고리, 카르바졸 고리, 인돌로카르바졸 고리, 인데노카르바졸 고리, 피리딘 고리, 피라진 고리, 피리다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트리아진 고리, 퀴놀린 고리, 이소퀴놀린 고리, 신놀린 고리, 프탈라진 고리, 퀴녹살린 고리, 퀴나졸린 고리, 퀴나졸리논 고리, 아크리딘 고리, 페난트리딘 고리, 카르볼린 고리, 푸린 고리 ; 복수 종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옥사졸 고리, 옥사디아졸 고리, 이소옥사졸 고리, 벤조이소옥사졸 고리, 티아졸 고리, 벤조티아졸 고리, 이소티아졸 고리, 벤조이소티아졸 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발광 파장을 정밀하게 제어하거나, 유기 용제에의 용해성을 향상시키거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고리 상에 적절한 치환기가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그러한 치환기의 도입 방법이 많이 알려져 있는 고리가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상기 구체예 중, 탄소 원자 C1 및 C2 를 포함하는 1 개의 고리가 벤젠 고리 또는 피리딘 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는, 상기 서술한 방향 고리 외에, 디벤조푸란 고리, 디벤조티오펜 고리, 카르바졸 고리, 인돌로카르바졸 고리, 인데노카르바졸 고리, 카르볼린 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탄소 원자 C1 및 C2 를 포함하는 1 개의 고리가 벤젠 고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예로는, 벤젠 고리, 나프탈렌 고리, 플루오렌 고리, 디벤조푸란 고리, 디벤조티오펜 고리 및 카르바졸 고리를 들 수 있다.
고리 Cy1 을 구성하는 원자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용제 용해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그 고리의 구성 원자수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다. 그 고리의 구성 원자수는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고리 Cy2
고리 Cy2 는, 탄소 원자 C3 및 이리듐 원자에 배위하는 질소 원자 N1 을 포함하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낸다.
고리 Cy2 로는, 구체적으로는, 단고리의 피리딘 고리, 피리다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피라진 고리, 트리아진 고리, 피롤 고리, 피라졸 고리, 이소옥사졸 고리, 티아졸 고리, 옥사졸 고리, 옥사디아졸 고리, 티아졸 고리, 푸린 고리 ; 2 고리 축환의 퀴놀린 고리, 이소퀴놀린 고리, 신놀린 고리, 프탈라진 고리, 퀴나졸린 고리, 퀴녹살린 고리, 나프티리딘 고리, 인돌 고리, 인다졸 고리, 벤조이소옥사졸 고리, 벤조이소티아졸 고리, 벤조이미다졸 고리, 벤조옥사졸 고리, 벤조티아졸 고리 ; 3 고리 축환의 아크리딘 고리, 페난트롤린 고리, 카르바졸 고리, 카르볼린 고리 ; 4 고리 이상 축환의 벤조페난트리딘 고리, 벤조아크리딘 고리 또는 인돌로카르볼린 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리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가 추가로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치환기를 도입하기 쉬워 발광 파장이나 용제 용해성의 조정이 용이한 점, 및, 이리듐과 착물화할 때에 수율 양호하게 합성할 수 있는 수법이 많이 알려져 있는 점에서, 고리 Cy2 로는 단고리 또는 4 고리 이하의 축합 고리가 바람직하고, 단고리 또는 3 고리 이하의 축합 고리가 보다 바람직하고, 단고리 또는 2 고리의 축합 고리가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미다졸 고리, 옥사졸 고리, 티아졸 고리, 벤조이미다졸 고리, 벤조옥사졸 고리, 벤조티아졸 고리, 피리딘 고리, 퀴놀린 고리, 이소퀴놀린 고리, 피리다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피라진 고리, 트리아진 고리, 신놀린 고리, 프탈라진 고리, 퀴나졸린 고리, 퀴녹살린 고리 또는 나프티리딘 고리가 바람직하고, 또한 이미다졸 고리, 옥사졸 고리, 퀴놀린 고리, 이소퀴놀린 고리, 피리다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또는 피라진 고리가 바람직하고, 특히 벤조이미다졸 고리, 벤조옥사졸 고리, 벤조티아졸 고리, 피리딘 고리, 이소퀴놀린 고리, 피리다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또는 피라진 고리가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발광색을 녹색으로 하는 것이 용이한 피리딘 고리이다.
<R1 및 R2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단, 적어도 1 개의 R1 은 하기 식 (2) 로 나타낸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2) 에 있어서, * 는 고리 Cy1 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5 ∼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RX1 및 R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R1, R2, R5 ∼ R11 은 각각 독립적이며,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1, R2, R5 ∼ R11 은 추가로 결합하여 지방족, 방향족 또는 복소 방향족의,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R1, R2, R5 ∼ R11 이 치환기인 경우, 치환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발광 파장의 정밀한 제어나 사용하는 용제와의 상성,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 하는 경우의 호스트 화합물과의 상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인 기가 선택된다. 그들 최적화의 검토 시에, 바람직한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하에 기술되는 치환기군 W 에서 선택되는 치환기 범위이다.
(치환기군 W)
R1, R2, R5 ∼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D, F, Cl, Br, I, -N(R')2, -CN, -NO2, -OH, -COOR', -C(=O)R', -C(=O)NR', -P(=O)(R')2, -S(=O)R', -S(=O)2R', -OS(=O)2R',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킬기,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콕시기,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킬티오기, 탄소수 2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케닐기, 탄소수 2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키닐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방향족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복소 방향족기, 탄소수 5 이상 40 이하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5 이상 40 이하의 아릴티오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헤테로아르알킬기,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디아릴아미노기,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아릴헤테로아릴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디헤테로아릴아미노기에서 선택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알킬티오기, 그 알케닐기, 그 알키닐기, 그 아르알킬기 및 헤테로아르알킬기는, 추가로 1 개 이상의 R'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기에 있어서의 1 개의 -CH2- 기 혹은 2 이상의 인접하고 있지 않은 -CH2- 기가, -C(-R')=C(-R')-, -C≡C-, -Si(-R')2, -C(=O)-, -NR'-, -O-, -S-, -CONR'- 혹은 2 가의 방향족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기에 있어서의 1 개 이상의 수소 원자가, D, F, Cl, Br, I 또는 -CN 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그 방향족기, 그 복소 방향족기, 그 아릴옥시기, 그 아릴티오기, 그 디아릴아미노기, 그 아릴헤테로아릴아미노기 및 그 디헤테로아릴아미노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추가로 1 개 이상의 R'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n-옥틸기, 노르보르닐기,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탄소수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필옥시기, n-부톡시기, n-헥실옥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2-에톡시에톡시기, 2-에톡시에톡시에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탄소수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킬티오기의 예로는,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기, n-부틸티오기, n-헥실티오기, 이소프로필티오기, 시클로헥실티오기, 2-메틸부틸티오기, n-헥실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탄소수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케닐기의 예로는,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헵테닐기, 시클로펜테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시클로옥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탄소수는 2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키닐기의 예로는, 에티닐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닐기, 펜티닐기, 헥시닐기, 헵티닐기, 옥티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탄소수는 2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방향족기 및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복소 방향족기는, 단일의 고리 혹은 축합 고리로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1 개의 고리에 추가로 다른 종류의 방향족기 또는 복소 방향족기가 결합 혹은 축환하여 생성되는 기여도 된다.
이들의 예로는,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벤조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벤조페난트레닐기, 피레닐기, 크리세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페릴레닐기, 벤조피레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나프타세닐기, 펜타세닐기, 비페닐기, 터페닐기, 플루오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디하이드로페난트레닐기, 디하이드로피레닐기, 테트라하이드로피레닐기, 인데노플루오레닐기, 푸릴기, 벤조푸릴기, 이소벤조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티오펜, 벤조티오페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피롤릴기, 인돌릴기, 이소인돌릴기, 카르바졸릴기, 벤조카르바졸릴기, 인돌로카르바졸릴기, 인데노카르바졸릴기, 피리딜기, 신놀릴기, 이소신놀릴기, 아크리딜기, 페난트리딜기, 페노티아지닐기, 페녹사질기, 피라졸릴기, 인다졸릴기, 이미다졸릴기, 벤즈이미다졸릴기, 나프토이미다졸릴기, 페난트로이미다졸릴기, 피리딘이미다졸릴기, 옥사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나프토옥사졸릴기, 티아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피리미딜기, 벤조피리미딜기, 피리다지닐기, 퀴녹살리닐기, 디아자안트라세닐기, 디아자피레닐기, 피라지닐기, 페녹사지닐기, 페노티아지닐기, 나프티리디닐기, 아자카르바졸릴기, 벤조카르보리닐기, 페난트롤리닐기, 트리아졸릴기, 벤조트리아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트리아지닐기, 2,6-디페닐-1,3,5-트리아진-4-일기, 테트라졸릴기, 푸리닐기, 벤조티아디아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성과 내구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이들 기의 탄소수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5 이상 40 이하의 아릴옥시기의 예로는, 페녹시기, 메틸페녹시기, 나프톡시기, 메톡시페녹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성과 내구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이들 기의 탄소수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5 이상 40 이하의 아릴티오기의 예로는, 페닐티오기, 메틸페닐티오기, 나프틸티오기, 메톡시페닐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성과 내구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이들 기의 탄소수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아르알킬기의 예로는, 1,1-디메틸-1-페닐메틸기, 1,1-디(n-부틸)-1-페닐메틸기, 1,1-디(n-헥실)-1-페닐메틸기, 1,1-디(n-옥틸)-1-페닐메틸기, 페닐메틸기, 페닐에틸기, 3-페닐-1-프로필기, 4-페닐-1-n-부틸기, 1-메틸-1-페닐에틸기, 5-페닐-1-n-프로필기, 6-페닐-1-n-헥실기, 6-나프틸-1-n-헥실기, 7-페닐-1-n-헵틸기, 8-페닐-1-n-옥틸기, 4-페닐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성과 내구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이들 기의 탄소수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헤테로아르알킬기의 예로는, 1,1-디메틸-1-(2-피리딜)메틸기, 1,1-디(n-헥실)-1-(2-피리딜)메틸기, (2-피리딜)메틸기, (2-피리딜)에틸기, 3-(2-피리딜)-1-프로필기, 4-(2-피리딜)-1-n-부틸기, 1-메틸-1-(2-피리딜)에틸기, 5-(2-피리딜)-1-n-프로필기, 6-(2-피리딜)-1-n-헥실기, 6-(2-피리미딜)-1-n-헥실기, 6-(2,6-디페닐-1,3,5-트리아진-4-일)-1-n-헥실기, 7-(2-피리딜)-1-n-헵틸기, 8-(2-피리딜)-1-n-옥틸기, 4-(2-피리딜)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성과 내구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이들 헤테로아르알킬기의 탄소수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디아릴아미노기의 예로는, 디페닐아미노기, 페닐(나프틸)아미노기, 디(비페닐)아미노기, 디(p-터페닐)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성과 내구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이들 기의 탄소수는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36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아릴헤테로아릴아미노기의 예로는, 페닐(2-피리딜)아미노기, 페닐(2,6-디페닐-1,3,5-트리아진-4-일)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성과 내구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이들 기의 탄소수는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36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디헤테로아릴아미노기로는, 디(2-피리딜)아미노기, 디(2,6-디페닐-1,3,5-트리아진-4-일)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성과 내구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이들 디헤테로아릴아미노기의 탄소수는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36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R1, R2, R5 ∼ R11 로는 특히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발광 재료로서의 내구성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F, -CN,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킬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방향족기 또는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복소 방향족기가 바람직하다.
식 (2) 로 나타내는 기의 고리 Cy1 상의 바람직한 치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리 Cy1 이 벤젠 고리인 경우, 화합물의 안정성 및 특히 녹색 발광을 기대하려면 발광 파장이 장파장화하지 않는 구조가 선택되어야 한다. 그 때문에, 식 (2) 로 나타내는 기는, 고리 Cy1 에 있어서, 탄소 원자 C1 에 대해 파라 위치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식 (1) 의 고리 Cy1 및 (R1)a 가,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 (3) 에 있어서,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1, R5 ∼ R11, RX1 및 RX2 는, 식 (1) 및 식 (2) 에서 정의한 것과 각각 동일하다.]
<RX1 및 RX2
RX1 및 R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20 의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이다. 이들은 R1, R2, R5 ∼ R11 의 치환기군 W 에 기재한 후술한 R' 에 의해 추가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X1 및 RX2 는, 입체적으로 보다 복잡한 지점에 위치하는 치환기이기 때문에, 합성을 용이하게 실시한다는 관점에서,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 ∼ 6 의 알킬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R'>
R'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F, Cl, Br, I, -N(R'')2, -CN, -NO2, -Si(R'')3, -B(OR'')2, -C(=O)R'', -P(=O)(R'')2, -S(=O)2R'', -OSO2R'',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킬기,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콕시기,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킬티오기, 탄소수 2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케닐기, 탄소수 2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키닐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방향족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복소 방향족기, 탄소수 5 이상 40 이하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5 이상 40 이하의 아릴티오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헤테로아르알킬기,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디아릴아미노기,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아릴헤테로아릴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디헤테로아릴아미노기에서 선택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알킬티오기, 그 알케닐기, 그 알키닐기, 그 아르알킬기 및 그 헤테로아르알킬기는, 추가로 1 개 이상의 R''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기에 있어서의 1 개의 -CH2- 기 혹은 2 이상의 인접하고 있지 않은 -CH2- 기가, -C(-R'')=C(-R'')-, -C≡C, -Si(-R'')2-, -C(=O)-, -NR''-, -O-, -S-, -CONR''- 혹은 2 가의 방향족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기에 있어서의 1 개 이상의 수소 원자가, D, F, Cl, Br, I 또는 -CN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그 방향족기, 그 복소 방향족기, 그 아릴옥시기, 그 아릴티오기, 그 디아릴아미노기, 그 아릴헤테로아릴아미노기 및 그 디헤테로아릴아미노기는, 추가로 1 개 이상의 R''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2 개 이상의 인접하는 R' 가 서로 결합하여, 지방족 또는 방향족 혹은 복소 방향족의, 단고리 혹은 축합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R''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
R'' 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F, -CN,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방향족기 또는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복소 방향족기에서 선택된다.
2 개 이상의 인접하는 R'' 가 서로 결합하여, 지방족 또는 방향족 혹은 복소 방향족의, 단고리 혹은 축합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L>
L 은 2 좌 배위자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동일 분자 내에 L 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 재료로서 사용하는 관점에서, L 의 바람직한 구조를 이하의 식 (7A) ∼ (7F) 로 예시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식 (7A) ∼ (7F) 에 있어서,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2 좌 배위자 L 은 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골격의 탄소 원자가 질소 원자 등 다른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추가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2 좌 배위자 L 이 치환기를 갖는 경우, 그 치환기로는, R1, R2, R5 ∼ R11 로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또는 고리형의 알킬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헤테로아르알킬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방향족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복소 방향족기이다. 이들은 추가로 상기 서술한 R' 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이리듐 원자와 2 좌 배위자 L 의 결합 양식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좌 배위자 L 의 질소 원자 및 탄소 원자로 결합하는 양식, 2 좌 배위자 L 의 2 개의 질소 원자로 결합하는 양식, 2 좌 배위자 L 의 2 개의 탄소 원자로 결합하는 양식, 2 좌 배위자 L 의 탄소 원자 및 산소 원자로 결합하는 양식, 2 좌 배위자 L 의 2 개의 산소 원자로 결합하는 양식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 좌 배위자 L 의 질소 원자 및 탄소 원자로 결합하는 양식이 열안정성 즉 내구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고, 2 좌 배위자 L 의 2 개의 산소 원자로 결합하는 양식이 발광 효율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배위자 L 이 하기 식 (4) 로 나타내는 구조인 경우, 특히 하기 식 (5) 로 나타내는 구조인 경우,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 (4) 에 있어서,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고리 Cy3 은, 탄소 원자 C4 및 C5 를 포함하는 방향 고리 또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내고, C4 에서 이리듐 원자와 결합한다.
고리 Cy4 는, 탄소 원자 C6 및 질소 원자 N2 를 포함하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내고, N2 에서 이리듐 원자와 결합한다.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c 및 d 는, 각각 고리 Cy3 또는 고리 Cy4 로 치환할 수 있는 최대수의 정수이다.]
바람직한 고리 Cy3 또는 고리 Cy4 의 종류와 범위는 각각 고리 Cy1 또는 고리 Cy2 와 동의이다. 바람직한 R3 및 R4 의 종류와 범위는 R1 및 R2 와 동의이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식 (5) 에 있어서,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a, b, c, d, m, n>
a, b, c, d 는 각각 고리 Cy1, Cy2, Cy3, Cy4 로 치환할 수 있는 최대의 정수이다.
m 은 1 ∼ 3 의 정수, n 은 0 ∼ 2 의 정수이며, m + n 은 3 이다. 바람직하게는 m = 2, n = 1 이거나, m = 3 이다.
<구체예>
이하에, 하기 실시예 1 의 화합물 1 이외의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있어서, 「Ph」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신규 이리듐 착물 화합물]
본 발명은,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과는 별도로, 상이한 신규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이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을 제공한다.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는, 높은 용제 용해성과 색순도의 향상을 양립시키는 것이며, 특히 높은 용제 용해성과 보다 단파장의 발광 극대 파장을 나타내는 녹색 이리듐 착물 화합물이다.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0] 하기 식 (10) 으로 나타내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식 (10) 에 있어서, Ir 은 이리듐 원자를 나타낸다.
m1 은 1 또는 2 의 정수, n1 은 1 또는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m1 + n1 = 3 이다.
Ra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Rb1, Rc1 및 R21 ∼ R2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Ra1 ∼ Rc1 및 R21 ∼ R24 끼리가 추가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단, Rb1 및 Rc1 중의 적어도 1 개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 또는 복소 방향족기이다.]
[11] 상기 식 (10) 의 m1 이 2 인, [10] 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
[12] Rb1 이,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 또는 복소 방향족기인, [10] 또는 [11] 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
[13] R21 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20 의 알킬기 혹은 아르알킬기인, [10]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
[14] [10]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 및 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15] [10]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6] [15] 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갖는 표시 장치.
[17] [15] 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갖는 조명 장치.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는 높은 용제 용해성을 가지므로, 습식 성막법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작에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는, 단파장의 발광 극대 파장을 나타내는 녹색 이리듐 착물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를 사용한 소자는, 특히 녹색 발광 소자에 있어서 그 색순도가 높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로서 특히 유용하다.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는, 하기 식 (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식 (10) 에 있어서, Ir 은 이리듐 원자를 나타낸다.
m1 은 1 또는 2 의 정수, n1 은 1 또는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m1 + n1 = 3 이다.
Ra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Rb1, Rc1 및 R21 ∼ R2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Ra1 ∼ Rc1 및 R21 ∼ R24 끼리가 추가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단, Rb1 및 Rc1 중의 적어도 1 개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 또는 복소 방향족기이다.]
<구조상의 특징>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는, 페닐-피리딘 배위자 중의 일방의 피리딘 고리의 5 위치에, 2,6-치환의 벤젠 고리를 도입하고 있다. 이로써 용해성 부여를 위해서 필요한 치환기의 도입이 종래 기술에 비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이 때문에, 발광 파장의 장파장화를 일으키는 일 없이, 용제 용해성이 우수한 이리듐 착물 화합물로 할 수 있다.
페닐-피리딘 골격을 배위자로서 갖는 이리듐 착물에 있어서, 3 개의 페닐-피리딘 배위자의 피리딘 고리가 무치환인 경우, 용제 용해성은 현저하게 낮은 것이 된다. 그 이유로는, 피리딘 고리의 높은 극성과, 이들이 착물의 페이셜형 구조에 의해, 분자 내에서 편향된 방향으로 프로펠러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분자 전체적으로 극성이 상당히 높아지고, 또한, 부분적으로 구조가 정렬된 부위가 생기기 때문에, 결정성이 높아져 버리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용제 용해성 부여의 목적으로 피리딘 고리 이외에 치환기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결정성을 없애기 위해서 상당히 사이즈가 큰 치환기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후술한 최대 발광 파장 측정예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용해성 부여기로서 도입하는 2,6-치환의 벤젠 고리의 치환 위치를 피리딘 고리의 5 위치가 아니라 4 위치로 한 경우에는, 장파장화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m1 및 n1
m1 은 1 또는 2, n1 은 1 또는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m1 + n1 = 3 이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용해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m1 = 2 이고 n1 =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Ra1
Ra1 은,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식 (10) 중에 포함되는 2 개의 Ra1 은, 각각 독립적이며,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그 알킬기 및 그 아르알킬기는 직사슬형, 분기형 또는 고리형이어도 되고, 전술한 치환기군 W 에서 예시된 치환기에 의해 추가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알킬기 및 아르알킬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합성이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6 이다. 아르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5 ∼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30 이다.
<Rb1, Rc1 및 R21 ∼ R24
Rb1, Rc1 및 R21 ∼ R24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식 (10) 중에 포함되는 복수의 Rb1, Rc1 및 R21 ∼ R24 는, 모두 서로 독립적이며,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b1, Rc1 및 R21 ∼ R24 는 서로 추가로 결합하여 지방족, 방향족 또는 복소 방향족의,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단, Rb1 및 Rc1 중의 적어도 1 개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 또는 복소 방향족기이다. 그 바람직한 범위는 전술한 치환기군 W 중에 기재된 방향족기 또는 복소 방향족기, 및 이들이 가지고 있어도 되는 치환기와 동일하다.
상기 방향족기 또는 복소 방향족기 이외의 치환기 Rb1 또는 Rc1, 및 R21 ∼ R24 의 치환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발광 파장의 정밀한 제어나 사용하는 용제와의 상성,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 하는 경우의 호스트 화합물과의 상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기가 선택될 수 있다. 그것들 최적화의 검토 시에, 바람직한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전술한 치환기군 W 에서 선택되는 치환기 범위이다.
Rb1 및 Rc1 중, 특히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발광 재료로서의 내구성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적어도 Rb1 이,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 또는 복소 방향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잔여의 Rb1 또는 Rc1, 및 R21 ∼ R24 의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 재료로서의 내구성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F, -CN,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킬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방향족기 또는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복소 방향족기이다.
특히 바람직한 R21 의 범위는, 발광 파장을 보다 단파장으로 하고, 녹색의 색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D, F, Cl, Br, I, -N(R')2, -CN, -NO2, -OH, -COOR', -C(=O)R', -C(=O)NR', -P(=O)(R')2, -S(=O)R', -S(=O)2R', -OSO2R', 탄소수 1 ∼ 30 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킬기,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콕시기, 탄소수 1 이상 30 이하의, 직사슬, 분기 혹은 고리형 알킬티오기, 탄소수 5 이상 40 이하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5 이상 40 이하의 아릴티오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5 이상 60 이하의 헤테로아르알킬기,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디아 릴아미노기,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아릴헤테로아릴아미노기 또는 탄소수 10 이상 40 이하의 디헤테로아릴아미노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불소 원자 혹은 탄소수 1 ∼ 20 의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이다.
또한, 상기 R11 에서 사용한 R' 는, 전술한 R' 와 동의이다.
<구체예>
이하에,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최대 발광 파장 (발광 극대 파장)>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및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는, 발광 파장을 보다 단파장으로 할 수 있다. 발광 파장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특히 녹색 발광 영역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에 본 발명은 바람직하다.
녹색 발광에 있어서, 발광 파장의 짧기를 나타내는 지표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순서로 측정한 최대 발광 파장이 540 nm 이하가 바람직하고, 530 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20 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최대 발광 파장은 490 nm 이상이 바람직하고, 500 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범위임으로써,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서 바람직한 녹색 발광 재료의 바람직한 색을 발현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최대 발광 파장의 측정 방법)
상온하에서,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당해 이리듐 착물 화합물을 농도 1 × 10-4 mol/L 이하로 용해한 용액에 대해, 분광 광도계 (하마마츠 포토닉스사 제조 유기 EL 양자 수율 측정 장치 C9920-02) 로 인광 스펙트럼을 측정한다. 얻어진 인광 스펙트럼 강도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파장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최대 발광 파장으로 한다.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합성 방법>
<배위자의 합성 방법>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및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의 배위자는, 이미 알려진 유기 합성 반응을 조합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특히, 스즈키-미야우라 커플링 반응 및/또는 피리딘 고리 합성 반응을 주로 하고, 추가로 그것들에의 치환기 도입 반응을 조합함으로써 여러 가지 배위자용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합성 방법>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및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는, 이미 알려진 방법의 조합 등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리듐 착물 화합물 및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의 합성 방법에 대해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 페닐피리딘 배위자를 예로서 사용한 하기 식 스킴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염소 가교 이리듐 2 핵 착물을 경유하는 방법 (M. G. Colombo, T. C. Brunold, T. Riedener, H. U. Gudel, Inorg. Chem., 1994, 33, 545-550), 하기 식 스킴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2 핵 착물로부터 추가로 염소 가교를 아세틸아세토네이트와 교환시켜 단핵 착물로 변환한 후 목적물을 얻는 방법 (S. Lamansky, P. Djurovich, D. Murphy, F. Abdel-Razzaq, R. Kwong, I. Tsyba, M. Borz, B. Mui, R. Bau, M. Thompson, Inorg. Chem., 2001, 40, 1704-1711)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식 스킴 [A] 로 나타내는 전형적인 반응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제 1 단계로서, 제 1 배위자 2 당량과 염화이리듐 n 수화물 1 당량의 반응에 의해 염소 가교 이리듐 2 핵 착물을 합성한다. 용매는 통상 2-에톡시에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가 사용되지만, 무용매 혹은 다른 용매를 사용해도 된다. 배위자를 과잉량 사용하거나, 염기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하여 반응을 촉진할 수도 있다. 염소 대신에 브롬 등 다른 가교성 음이온 배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 온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0 ℃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범위임으로써 부생물이나 분해 반응을 수반하는 일 없이 목적의 반응만이 진행되고, 높은 선택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2 단계째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은과 같은 할로겐 이온 포착제를 첨가하여 제 2 배위자와 접촉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착물을 얻는다. 용매는 통상 에톡시에탄올 또는 디글림이 사용되지만, 배위자의 종류에 따라 무용매 혹은 다른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복수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할로겐 이온 포착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반응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지만, 반응 수율을 높여, 보다 양자 수율이 높은 페이셜 이성체를 선택적으로 합성하려면 그 포착제의 첨가가 유리하다. 반응 온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0 ℃ ∼ 250 ℃ 의 범위에서 실시된다.
하기 식 스킴 [B] 로 나타내는 전형적인 반응 조건을 설명한다.
제 1 단계의 2 핵 착물은 식 스킴 [A] 와 동일하게 합성할 수 있다. 제 2 단계는, 그 2 핵 착물에 아세틸아세톤과 같은 1,3-디온 화합물을 1 당량 이상, 및, 탄산나트륨과 같은 그 1,3-디온 화합물의 활성 수소를 빼낼 수 있는 염기성 화합물을 1 당량 이상 반응시킴으로써, 1,3-디오나토 배위자가 배위하는 단핵 착물로 변환한다. 통상 원료의 2 핵 착물을 용해할 수 있는 에톡시에탄올이나 디클로로메탄 등의 용매가 사용된다. 배위자가 액상인 경우 무용매로 실시할 수도 있다. 반응 온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0 ℃ ∼ 200 ℃ 의 범위 내에서 실시된다.
[화학식 20]
Figure pct00020
제 3 단계는, 제 2 배위자를 1 당량 이상 반응시킨다. 용매의 종류와 양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제 2 배위자가 반응 온도에서 액상인 경우에는 무용매여도 된다. 반응 온도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반응성이 약간 부족하기 때문에 100 ℃ ∼ 300 ℃ 의 비교적 고온하에서 반응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글리세린 등 고비점의 용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최종 반응 후에는 미반응 원료나 반응 부생물 및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서 정제를 실시한다. 통상적인 유기 합성 화학에 있어서의 정제 조작을 적용할 수 있지만, 상기 비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로 순상의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가 실시된다. 전개액에는 헥산, 헵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메탄올의 단일 또는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정제는 조건을 변경하여 복수회 실시해도 된다. 그 밖의 크로마토그래피 기술 (역상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사이즈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페이퍼 크로마토그래피) 이나, 분액 세정, 재침전, 재결정, 분체의 현탁 세정, 감압 건조 등의 정제 조작을 필요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리듐 착물 화합물의 용도>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및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재료, 즉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녹색 발광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하고, 유기 전계 발광 소자나 그 밖의 발광 소자 등의 발광 재료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및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는, 용제 용해성이 우수한 점에서, 용제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및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와 용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 (이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와 용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은 통상 습식 성막법으로 층이나 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특히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유기층은, 특히 발광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의 함유량은, 통상 0.0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통상 99.9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중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의 함유량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인접하는 층 (예를 들어, 정공 수송층이나 정공 저지층) 으로부터 발광층으로 효율적으로, 정공이나 전자의 주입이 실시되고, 구동 전압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 중에, 1 종만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조합되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예를 들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나 용제 외에,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특히 발광층에 사용되는 전하 수송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를 발광 재료로 하고, 다른 전하 수송성 화합물을 전하 수송 호스트 재료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에 함유되는 용제는, 습식 성막에 의해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를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휘발성을 갖는 액체 성분이다.
그 용제는, 용질인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가 높은 용제 용해성을 가지므로, 이들보다 오히려 후술한 전하 수송성 화합물이 양호하게 용해되는 유기 용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용제로는, 예를 들어, n-데칸, 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데칼린, 비시클로헥산 등의 알칸류 ;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페닐시클로헥산, 테트랄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류 ; 1,2-디메톡시벤젠, 1,3-디메톡시벤젠, 아니솔, 페네톨, 2-메톡시톨루엔, 3-메톡시톨루엔, 4-메톡시톨루엔, 2,3-디메틸아니솔, 2,4-디메틸아니솔, 디페닐에테르 등의 방향족 에테르류 ; 아세트산페닐, 프로피온산페닐, 벤조산메틸, 벤조산에틸, 벤조산프로필, 벤조산 n-부틸 등의 방향족 에스테르류, 시클로헥산온, 시클로옥탄온, 펜콘 등의 지환족 케톤류 ; 시클로헥산올, 시클로옥탄올 등의 지환족 알코올류 ; 메틸에틸케톤, 디부틸케톤 등의 지방족 케톤류 ; 부탄올, 헥산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류 ;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GMEA) 등의 지방족 에테르류 ;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알칸류나 방향족 탄화수소류이며, 특히, 페닐시클로헥산은 습식 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 바람직한 점도와 비점을 가지고 있다.
이들 용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조합, 및 비율로 사용해도 된다.
사용하는 용제의 비점은 통상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이며, 통상 27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점 230 ℃ 이하이다. 이 범위를 하회하면, 습식 성막 시에 있어서, 조성물로부터의 용제 증발에 의해, 성막 안정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용제의 함유량은,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9.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이다.
통상 발광층의 두께는 3 ∼ 200 nm 정도이지만, 용제의 함유량이 이 하한 이상임으로써, 조성물의 점성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아, 성막 작업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용제의 함유량이 이 상한 이하임으로써, 성막 후, 용제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막의 두께가 얻어지고, 성막이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이 함유할 수 있는 다른 전하 수송성 화합물로는, 종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리딘, 카르바졸, 나프탈렌, 페릴렌, 피렌, 안트라센, 크리센, 나프타센, 페난트렌, 코로넨, 플루오란텐, 벤조페난트렌, 플루오렌, 아세토나프토플루오란텐, 쿠마린, p-비스(2-페닐에테닐)벤젠 및 그들의 유도체, 퀴나크리돈 유도체, DCM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 (DCM (4-(dicyanomethylene)-2-methyl-6-(p-dimethylaminostyryl)-4H-pyran)) 계 화합물, 벤조피란 유도체, 로다민 유도체, 벤조티옥크산텐 유도체, 아자벤조티오크산텐, 아릴아미노기가 치환된 축합 방향족 고리 화합물, 아릴아미노기가 치환된 스티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조합, 및 비율로 사용해도 된다.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 중의 다른 전하 수송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 중의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의 1 질량부에 대해, 통상 100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하이며, 통상 0.01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화합물등 외에, 추가로 다른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용제 외에, 다른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용제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조합, 및 비율로 사용해도 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기판 상에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적어도 1 층의 유기층을 갖는 것이고, 유기층 중 적어도 1 층이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층은 발광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를 포함하는 유기층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습식 성막법에 의해 형성된 층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습식 성막법에 의해 형성된 층은, 발광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습식 성막법이란, 도포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스핀 코트법, 딥 코트법, 다이 코트법, 바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롤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캐필러리 코트법, 잉크젯법, 노즐 프린팅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어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등의 습식으로 성막되는 방법을 채용하고, 이들 방법으로 성막된 막을 건조하여 막 형성을 실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에 바람직한 구조예를 나타내는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부호 1 은 기판, 부호 2 는 양극, 부호 3 은 정공 주입층, 부호 4 는 정공 수송층, 부호 5 는 발광층, 부호 6 은 정공 저지층, 부호 7 은 전자 수송층, 부호 8 은 전자 주입층, 부호 9 는 음극을 각각 나타낸다.
이들 구조에 적용하는 재료는, 공지된 재료를 적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각 층에 관한 대표적인 재료나 제법을 일례로서 이하에 기재한다. 공보나 논문 등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 해당 내용을 당업자의 상식의 범위에서 적절히 적용, 응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기판 (1)>
기판 (1) 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지지체가 되는 것이며, 통상, 석영이나 유리의 판, 금속판이나 금속박,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이 사용된다. 이들 중, 유리판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등의 투명한 합성 수지의 판이 바람직하다.
기판 (1) 은, 외기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열화가 일어나기 어려운 점에서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제의 기판 등과 같이 가스 배리어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판 (1) 의 적어도 편면에 치밀한 실리콘 산화막 등을 형성하여 가스 배리어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 (2)>
양극 (2) 은, 발광층측의 층에 정공을 주입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양극 (2) 은, 통상, 알루미늄, 금, 은, 니켈, 팔라듐, 백금 등의 금속 ; 인듐 및/또는 주석의 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 ; 요오드화구리 등의 할로겐화금속 ; 카본 블랙 혹은 폴리(3-메틸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성 고분자 등에 의해 구성된다.
양극 (2) 의 형성은, 통상,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등의 건식법에 의해 실시되는 경우가 많다. 은 등의 금속 미립자, 요오드화구리 등의 미립자, 카본 블랙, 도전성의 금속 산화물 미립자, 도전성 고분자 미분말 등을 사용하여 양극 (2)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바인더 수지 용액에 분산시켜, 기판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도전성 고분자의 경우에는, 전해 중합에 의해 직접 기판 상에 박막을 형성하거나, 기판 상에 도전성 고분자를 도포하여 양극 (2) 을 형성할 수도 있다 (Appl. Phys. Lett., 60권, 2711페이지, 1992년).
양극 (2) 은, 통상, 단층 구조이지만, 적층 구조로 해도 된다. 양극 (2) 이 적층 구조인 경우, 1 층째의 양극 상에 상이한 도전 재료를 적층해도 된다.
양극 (2) 의 두께는, 필요로 되는 투명성과 재질 등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특히 높은 투명성이 필요로 되는 경우에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60 % 이상이 되는 두께가 바람직하고, 80 % 이상이 되는 두께가 더욱 바람직하다.
양극 (2) 의 두께는, 통상 5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nm 이상이며, 통상 10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nm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투명성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양극 (2) 의 두께는 필요한 강도 등에 따라 임의의 두께로 하면 되고, 이 경우, 양극 (2) 은 기판 (1) 과 동일한 두께여도 된다.
양극 (2) 의 표면에 성막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성막 전에, 자외선 및 오존, 산소 플라스마, 아르곤 플라스마 등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양극 상의 불순물을 제거함과 함께, 그 이온화 포텐셜을 조정하여 정공 주입성을 향상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주입층 (3)>
양극 (2) 측으로부터 발광층 (5) 측으로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층은, 통상, 정공 주입 수송층 또는 정공 수송층으로 불린다. 양극 (2) 측으로부터 발광층 (5) 측으로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층이 2 층 이상 있는 경우에, 보다 양극 (2) 측에 가까운 쪽의 층을 정공 주입층 (3) 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정공 주입층 (3) 은, 양극 (2) 으로부터 발광층 (5) 측으로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주입층 (3) 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 정공 주입층 (3) 은, 양극 (2) 상에 형성된다.
정공 주입층 (3) 의 막두께는, 통상 1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5 nm 이상, 통상 10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nm 이하이다.
정공 주입층 (3) 의 형성 방법은, 진공 증착법이어도 되고, 습식 성막법이어도 된다. 성막성이 우수한 점에서는, 습식 성막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주입층 (3) 은, 정공 수송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공 수송성 화합물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정공 주입층 (3) 중에 카티온 라디칼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티온 라디칼 화합물과 정공 수송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성 화합물)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은, 통상, 정공 주입층 (3) 이 되는 정공 수송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습식 성막법의 경우에는, 통상, 추가로 용제도 함유한다.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은, 정공 수송성이 높고, 주입된 정공을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정공 이동도가 크고, 트랩이 되는 불순물이 제조 시나 사용 시 등에 발생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온화 포텐셜이 작고, 가시광에 대한 투명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공 주입층 (3) 이 발광층 (5) 과 접하는 경우에는, 발광층 (5) 으로부터의 발광을 소광하지 않는 것이나 발광층 (5) 과 엑시플렉스를 형성하여, 발광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성 화합물로는, 양극 (2) 으로부터 정공 주입층 (3) 으로의 전하 주입 장벽의 관점에서, 4.5 eV ∼ 6.0 eV 의 이온화 포텐셜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성 화합물의 예로는, 방향족 아민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포르피린계 화합물, 올리고티오펜계 화합물, 폴리티오펜계 화합물, 벤질페닐계 화합물, 플루오렌기로 3 급 아민을 연결한 화합물, 하이드라존계 화합물, 실라잔계 화합물, 퀴나크리돈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예시 화합물 중, 비정질성 및 가시광 투과성의 점에서, 방향족 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방향족 3 급 아민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방향족 3 급 아민 화합물이란, 방향족 3 급 아민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고, 방향족 3 급 아민 유래의 기를 갖는 화합물도 포함한다.
방향족 3 급 아민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표면 평활화 효과에 의해 균일한 발광을 얻기 쉬운 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1000000 이하인 고분자 화합물 (반복 단위가 이어지는 중합형 화합물) 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3 급 아민 고분자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1]
Figure pct00021
(식 (I) 중, Ar1 및 A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Ar3 ∼ A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Q 는, 하기 연결기군 중에서 선택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Ar1 ∼ Ar5 중, 동일한 N 원자에 결합하는 2 개의 기는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하기에 연결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2]
Figure pct00022
(상기 각 식 중, Ar6 ∼ A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복소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Ra ∼ Rb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임의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Ar1 ∼ Ar16 의 방향족기 및 복소 방향족기로는, 고분자 화합물의 용해성, 내열성, 정공 주입 수송성의 점에서, 벤젠 고리, 나프탈렌 고리, 페난트렌 고리, 티오펜 고리, 피리딘 고리 유래의 기가 바람직하고, 벤젠 고리, 나프탈렌 고리 유래의 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식 (I)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방향족 3 급 아민 고분자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국제 공개 제2005/089024호 팜플렛에 기재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수용성 화합물)
정공 주입층 (3) 에는, 정공 수송성 화합물의 산화에 의해, 정공 주입층 (3) 의 도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수용성 화합물로는, 산화력을 갖고, 상기 서술한 정공 수송성 화합물로부터 1 전자 수용하는 능력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전자 친화력이 4 eV 이상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전자 친화력이 5 eV 이상인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자 수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트리아릴붕소 화합물, 할로겐화 금속, 루이스산, 유기산, 오늄염, 아릴아민과 할로겐화 금속의 염, 아릴아민과 루이스산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4-이소프로필-4'-메틸디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의 유기기가 치환된 오늄염 (국제 공개 제2005/089024호) ; 염화철 (III)(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51067호), 퍼옥소 2 황산암모늄 등의 고원자가의 무기 화합물 ; 테트라시아노에틸렌 등의 시아노 화합물 ; 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1365호) 등의 방향족 붕소 화합물 ; 풀러렌 유도체 및 요오드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 라디칼 화합물)
카티온 라디칼 화합물로는, 정공 수송성 화합물로부터 1 전자 제거한 화학종인 카티온 라디칼과, 카운터 아니온으로 이루어지는 이온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단, 카티온 라디칼이 정공 수송성의 고분자 화합물 유래인 경우, 카티온 라디칼은 고분자 화합물의 반복 단위로부터 1 전자 제거한 구조가 된다.
카티온 라디칼로는, 정공 수송성 화합물로서 전술한 화합물로부터 1 전자 제거한 화학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성 화합물로서 바람직한 화합물로부터 1 전자 제거한 화학종인 것이, 비정질성, 가시광의 투과율, 내열성, 및 용해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카티온 라디칼 화합물은, 전술한 정공 수송성 화합물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생성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정공 수송성 화합물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정공 수송성 화합물로부터 전자 수용성 화합물로 전자 이동이 일어나고, 정공 수송성 화합물의 카티온 라디칼과 카운터 아니온으로 이루어지는 카티온 이온 화합물이 생성된다.
PEDOT/PSS (Adv. Mater., 2000년, 12권, 481페이지) 나 에메랄딘염산염 (J. Phys. Chem., 1990년, 94권, 7716페이지) 등의 고분자 화합물 유래의 카티온 라디칼 화합물은, 산화 중합 (탈수소 중합) 함으로써도 생성된다.
산화 중합은, 모노머를 산성 용액 중에서, 퍼옥소 2 황산염 등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또는, 전기 화학적으로 산화하는 것이다. 이 산화 중합 (탈수소 중합) 의 경우, 모노머가 산화됨으로써 고분자화됨과 함께, 산성 용액 유래의 아니온을 카운터 아니온으로 하는, 고분자의 반복 단위로부터 1 전자 제거된 카티온 라디칼이 생성된다.
(습식 성막법에 의한 정공 주입층 (3) 의 형성)
습식 성막법에 의해 정공 주입층 (3) 을 형성하는 경우, 통상, 정공 주입층 (3) 이 되는 재료를 가용인 용제 (정공 주입층용 용제) 와 혼합하여 성막용의 조성물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 을 조제하고, 이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정공 주입층 (3) 의 하층에 해당하는 층 (통상은, 양극 (2)) 상에 습식 성막법에 의해 성막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시킨다. 성막한 막의 건조는, 습식 성막법에 의한 발광층 (5) 의 형성에 있어서의 건조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정공 수송성 화합물의 농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임의이지만, 막두께의 균일성의 점에서는, 낮은 편이 바람직하고, 정공 주입층 (3) 에 결함이 생기기 어려운 점에서는, 높은 편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용제로는, 예를 들어, 에테르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아미드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계 용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GMEA) 등의 지방족 에테르 및 1,2-디메톡시벤젠, 1,3-디메톡시벤젠, 아니솔, 페네톨, 2-메톡시톨루엔, 3-메톡시톨루엔, 4-메톡시톨루엔, 2,3-디메틸아니솔, 2,4-디메틸아니솔 등의 방향족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용제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페닐, 프로피온산페닐, 벤조산메틸, 벤조산에틸, 벤조산프로필, 벤조산 n-부틸 등의 방향족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실벤젠, 3-이소프로필비페닐, 1,2,3,4-테트라메틸벤젠, 1,4-디이소프로필벤젠, 메틸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계 용제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외에, 디메틸술폭사이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 (3) 의 습식 성막법에 의한 형성은, 통상,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 후에, 이것을, 정공 주입층 (3) 의 하층에 해당하는 층 (통상은, 양극 (2)) 상에 도포 성막하고, 건조함으로써 실시된다. 정공 주입층 (3) 은, 통상, 성막 후에, 가열이나 감압 건조 등에 의해 도포막을 건조시킨다.
(진공 증착법에 의한 정공 주입층 (3) 의 형성)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정공 주입층 (3)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정공 주입층 (3) 의 구성 재료 (전술한 정공 수송성 화합물, 전자 수용성 화합물 등) 의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진공 용기 내에 설치된 도가니에 넣고 (2 종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각각을 각각의 도가니에 넣고), 진공 용기 내를 진공 펌프로 10-4 Pa 정도까지 배기한 후, 도가니를 가열하여 (2 종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각각의 도가니를 가열하여), 도가니 내의 재료의 증발량을 제어하면서 증발시켜 (2 종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각각 독립적으로 증발량을 제어하면서 증발시켜), 도가니에 대향하여 놓인 기판 상의 양극 (2) 상에 정공 주입층 (3) 을 형성시킨다. 2 종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혼합물을 도가니에 넣고, 가열, 증발시켜 정공 주입층 (3) 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증착 시의 진공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 10-6 Torr (0.13 × 10-4 Pa) 이상, 9.0 × 10-6 Torr (12.0 × 10-4 Pa) 이하이다.
증착 속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Å/초 이상, 5.0 Å/초 이하이다.
증착 시의 성막 온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50 ℃ 이하이다.
<정공 수송층 (4)>
정공 수송층 (4) 은, 양극 (2) 측으로부터 발광층 (5) 측으로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층이다. 정공 수송층 (4) 은,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필수의 층은 아니지만, 양극 (2) 으로부터 발광층 (5) 으로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이 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층 (4) 을 형성하는 경우, 통상, 정공 수송층 (4) 은, 양극 (2) 과 발광층 (5)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서술한 정공 주입층 (3) 이 있는 경우, 정공 수송층 (4) 은 정공 주입층 (3) 과 발광층 (5) 사이에 형성된다.
정공 수송층 (4) 의 막두께는, 통상 5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nm 이상이고, 통상 3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이다.
정공 수송층 (4) 의 형성 방법은, 진공 증착법이어도 되고, 습식 성막법이어도 된다. 성막성이 우수한 점에서는, 습식 성막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층 (4) 은, 통상, 정공 수송층 (4) 이 되는 정공 수송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정공 수송층 (4) 에 포함되는 정공 수송성 화합물로는, 특히,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로 대표되는, 2 개 이상의 3 급 아민을 포함하여 2 개 이상의 축합 방향족 고리가 질소 원자로 치환된 방향족 디아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34681호), 4,4',4''-트리스(1-나프틸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등의 스타버스트 구조를 갖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 (J. Lumin., 72-74권, 985페이지, 1997년), 트리페닐아민의 4 량체로 이루어지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 (Chem. Commun., 2175페이지, 1996년), 2,2',7,7'-테트라키스-(디페닐아미노)-9,9'-스피로비플루오렌 등의 스피로 화합물 (Synth. Metals, 91권, 209페이지, 1997년), 4,4'-N,N'-디카르바졸비페닐 등의 카르바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카르바졸, 폴리비닐트리페닐아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53953호), 테트라페닐벤지딘을 함유하는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 (Polym. Adv. Tech., 7권, 33페이지, 1996년)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습식 성막법에 의한 정공 수송층 (4) 의 형성)
습식 성막법으로 정공 수송층 (4)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상기 서술한 정공 주입층 (3) 을 습식 성막법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 대신에 정공 수송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킨다.
습식 성막법으로 정공 수송층 (4)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정공 수송층 형성용 조성물은, 추가로 용제를 함유한다. 정공 수송층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하는 용제는, 상기 서술한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용제와 동일한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정공 수송성 화합물의 농도는,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정공 수송성 화합물의 농도와 동일한 범위로 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 (4) 의 습식 성막법에 의한 형성은, 전술한 정공 주입층 (3) 의 성막법과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진공 증착법에 의한 정공 수송층 (4) 의 형성)
진공 증착법으로 정공 수송층 (4) 을 형성하는 경우, 통상, 상기 서술한 정공 주입층 (3) 을 진공 증착법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정공 주입층 (3) 의 구성 재료 대신에 정공 수송층 (4) 의 구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시킨다. 증착 시의 진공도, 증착 속도 및 온도 등의 성막 조건 등은, 상기 정공 주입층 (3) 의 진공 증착 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발광층 (5) >
발광층 (5) 은, 1 쌍의 전극 사이에 전계가 부여되었을 때에, 양극 (2) 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과 음극 (9) 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가 재결합함으로써 여기되어, 발광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층이다.
발광층 (5) 은, 양극 (2) 과 음극 (9) 사이에 형성되는 층이며, 발광층 (5) 은, 양극 (2) 상에 정공 주입층 (3) 이 있는 경우에는, 정공 주입층 (3) 과 음극 (9) 사이에 형성되고, 양극 (2) 상에 정공 수송층 (4) 이 있는 경우에는, 정공 수송층 (4) 과 음극 (9) 사이에 형성된다.
발광층 (5) 의 막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임의이지만, 막에 결함이 생기기 어려운 점에서는 두꺼운 편이 바람직하고, 저구동 전압으로 하기 쉬운 점에서 얇은 편이 바람직하다. 발광층 (5) 의 막두께는, 3 nm 이상이 바람직하고, 5 n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통상 200 nm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 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발광층 (5) 은, 적어도, 발광의 성질을 갖는 재료 (발광 재료) 를 함유함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전하 수송성을 갖는 재료 (전하 수송성 재료) 를 함유한다. 발광 재료로는, 어느 발광층에,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가 포함되어 있으면 되고, 적절히 다른 발광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또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이외의 다른 발광 재료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발광 재료)
발광 재료는, 원하는 발광 파장으로 발광하고,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발광 재료를 적용 가능하다. 발광 재료는, 형광 발광 재료여도 되고, 인광 발광 재료여도 되지만, 발광 효율이 양호한 재료가 바람직하고, 내부 양자 효율의 관점에서 인광 발광 재료가 바람직하다.
형광 발광 재료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재료를 들 수 있다.
청색 발광을 부여하는 형광 발광 재료 (청색 형광 발광 재료) 로는, 예를 들어, 나프탈렌, 페릴렌, 피렌, 안트라센, 쿠마린, 크리센, p-비스(2-페닐에테닐)벤젠 및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녹색 발광을 부여하는 형광 발광 재료 (녹색 형광 발광 재료) 로는, 예를 들어, 퀴나크리돈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Al(C9H6NO)3 등의 알루미늄 착물 등을 들 수 있다.
황색 발광을 부여하는 형광 발광 재료 (황색 형광 발광 재료) 로는, 예를 들어, 루브렌, 페리미돈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적색 발광을 부여하는 형광 발광 재료 (적색 형광 발광 재료) 로는, 예를 들어, DCM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 계 화합물, 벤조피란 유도체, 로다민 유도체, 벤조티오크산텐 유도체, 아자벤조티오크산텐 등을 들 수 있다.
인광 발광 재료로는, 예를 들어, 장주기형 주기표 제 7 ∼ 11 족에서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유기 금속 착물 등을 들 수 있다. 장주기형 주기표의 제 7 ∼ 11 족에서 선택되는 금속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루테늄, 로듐, 팔라듐, 은, 레늄, 오스뮴, 이리듐, 백금, 금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금속 착물의 배위자로는, (헤테로)아릴피리딘 배위자, (헤테로)아릴피라졸 배위자 등의 (헤테로)아릴기와 피리딘, 피라졸, 페난트롤린 등이 연결된 배위자가 바람직하고, 특히 페닐피리딘 배위자, 페닐피라졸 배위자가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이란,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인광 발광 재료로서, 예를 들어, 트리스(2-페닐피리딘)이리듐, 트리스(2-페닐피리딘)루테늄, 트리스(2-페닐피리딘)팔라듐, 비스(2-페닐피리딘)백금, 트리스(2-페닐피리딘)오스뮴, 트리스(2-페닐피리딘)레늄 등의 페닐피리딘 착물 및 옥타에틸백금포르피린, 옥타페닐백금포르피린, 옥타에틸팔라듐포르피린, 옥타페닐팔라듐포르피린 등의 포르피린 착물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계의 발광 재료로는,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2,7-디일),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2,7-디일)-co-(4,4'-(N-(4-sec-부틸페닐))디페닐아민)],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2,7-디일)-co-(1,4-벤조-2{2,1'-3}-트리아졸)] 등의 폴리플루오렌계 재료, 폴리[2-메톡시-5-(2-에틸헥실옥시)-1,4-페닐렌비닐렌] 등의 폴리페닐렌비닐렌계 재료를 들 수 있다.
(전하 수송성 재료)
전하 수송성 재료는, 정전하 (정공) 또는 부전하 (전자) 수송성을 갖는 재료이며,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재료를 적용 가능하다.
전하 수송성 재료는, 종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층 (5) 에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발광층 (5) 의 호스트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전하 수송성 재료로는,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아민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포르피린계 화합물, 올리고티오펜계 화합물, 폴리티오펜계 화합물, 벤질페닐계 화합물, 플루오렌기로 3 급 아민을 연결한 화합물, 하이드라존계 화합물, 실라잔계 화합물, 실라나민계 화합물, 포스파민계 화합물, 퀴나크리돈계 화합물 등의 정공 주입층 (3) 의 정공 수송성 화합물로서 예시한 화합물 등, 안트라센계 화합물, 피렌계 화합물, 카르바졸계 화합물, 피리딘계 화합물, 페난트롤린계 화합물, 옥사디아졸계 화합물, 실롤계 화합물 등의 전자 수송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전하 수송성 재료로는,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로 대표되는 2 개 이상의 3 급 아민을 포함하여 2 개 이상의 축합 방향족 고리가 질소 원자로 치환된 방향족 디아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34681호), 4,4',4''-트리스(1-나프틸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등의 스타버스트 구조를 갖는 방향족 아민계 화합물 (J. Lumin., 72-74권, 985페이지, 1997년), 트리페닐아민의 4 량체로 이루어지는 방향족 아민계 화합물 (Chem. Commun., 2175페이지, 1996년), 2,2',7,7'-테트라키스-(디페닐아미노)-9,9'-스피로비플루오렌 등의 플루오렌계 화합물 (Synth. Metals, 91권, 209페이지, 1997년), 4,4'-N,N'-디카르바졸비페닐 등의 카르바졸계 화합물 등의 정공 수송층 (4) 의 정공 수송성 화합물로서 예시한 화합물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하 수송성 재료로는, 2-(4-비페닐릴)-5-(p-터셔리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 (tBu-PBD), 2,5-비스(1-나프틸)-1,3,4-옥사디아졸 (BND) 등의 옥사디아졸계 화합물, 2,5-비스(6'-(2',2”-비피리딜))-1,1-디메틸-3,4-디페닐실롤 (PyPySPyPy) 등의 실롤계 화합물, 바소페난트롤린 (BPhen), 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BCP, 바소쿠프로인) 등의 페난트롤린계 화합물 등도 들 수 있다.
(습식 성막법에 의한 발광층 (5) 의 형성)
발광층 (5) 의 형성 방법은, 진공 증착법이어도 되고, 습식 성막법이어도 되지만, 성막성이 우수한 점에서, 습식 성막법이 바람직하다.
습식 성막법에 의해 발광층 (5)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상기 서술한 정공 주입층 (3) 을 습식 성막법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정공 주입층 형성용 조성물 대신에, 발광층 (5) 이 되는 재료를 가용인 용제 (발광층용 용제) 와 혼합하여 조제한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시킨다. 이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로는, 예를 들어, 정공 주입층 (3) 의 형성에 대해 예시한 에테르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아미드계 용제 외에, 알칸계 용제, 할로겐화 방향족 탄화수계 용제, 지방족 알코올계 용제, 지환족 알코올계 용제, 지방족 케톤계 용제 및 지환족 케톤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용제는,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의 용제로서도 예시한 대로이며, 이하에 용제의 구체예를 들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GMEA) 등의 지방족 에테르계 용제 ;
1,2-디메톡시벤젠, 1,3-디메톡시벤젠, 아니솔, 페네톨, 2-메톡시톨루엔, 3-메톡시톨루엔, 4-메톡시톨루엔, 2,3-디메틸아니솔, 2,4-디메틸아니솔, 디페닐에테르 등의 방향족 에테르계 용제 ;
아세트산페닐, 프로피온산페닐, 벤조산메틸, 벤조산에틸, 벤조산프로필, 벤조산 n-부틸 등의 방향족 에스테르계 용제 ;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시클로헥실벤젠, 테트랄린, 3-이소프로필비페닐, 1,2,3,4-테트라메틸벤젠, 1,4-디이소프로필벤젠, 메틸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제 ;
n-데칸, 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데칼린, 비시클로헥산 등의 알칸계 용제 ;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
부탄올, 헥산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계 용제 ;
시클로헥산올, 시클로옥탄올 등의 지환족 알코올계 용제 ;
메틸에틸케톤, 디부틸케톤 등의 지방족 케톤계 용제 ;
시클로헥산온, 시클로옥탄온, 펜콘 등의 지환족 케톤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알칸계 용제 및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보다 균일한 막을 얻기 위해서는, 성막 직후의 액막으로부터 용제가 적당한 속도로 증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용제의 비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이고, 통상 27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점 230 ℃ 이하이다.
용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임의이지만,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인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 중의 합계 함유량은, 저점성이기 때문에 성막 작업이 실시하기 쉬운 점에서 많은 편이 바람직하고, 후막이고 성막하기 쉬운 점에서 낮은 편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제의 함유량은,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9.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이다.
습식 성막 후의 용제 제거 방법으로는, 가열 또는 감압을 사용할 수 있다. 가열 방법에 있어서 사용하는 가열 수단으로는, 막 전체에 균등하게 열을 부여하는 점에서, 클린 오븐, 핫 플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임의이지만, 건조 시간을 짧게 하는 점에서는 온도가 높은 편이 바람직하고, 재료에 대한 데미지가 적은 점에서는 낮은 편이 바람직하다. 가온 온도의 상한은 통상 2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다. 가온 온도의 하한은 통상 30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이다. 가온 온도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통상 사용되는 전하 수송 재료 또는 인광 발광 재료의 내열성보다 낮아져, 분해나 결정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가온 온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용제의 제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시간은,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용제의 비점이나 증기압, 재료의 내열성, 및 가열 조건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진공 증착법에 의한 발광층 (5) 의 형성)
진공 증착법에 의해 발광층 (5)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발광층 (5) 의 구성 재료 (전술한 발광 재료, 전하 수송성 화합물 등) 의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진공 용기 내에 설치된 도가니에 넣고 (2 종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각각을 각각의 도가니에 넣고), 진공 용기 내를 진공 펌프로 10-4 Pa 정도까지 배기한 후, 도가니를 가열하여 (2 종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각각의 도가니를 가열하여), 도가니 내의 재료의 증발량을 제어하면서 증발시켜 (2 종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각각 독립적으로 증발량을 제어하면서 증발시켜), 도가니에 대향하여 놓인 정공 주입층 (3) 또는 정공 수송층 (4) 상에 발광층 (5) 을 형성시킨다. 2 종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혼합물을 도가니에 넣고, 가열, 증발시켜 발광층 (5) 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증착 시의 진공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 10-6 Torr (0.13 × 10-4 Pa) 이상, 9.0 × 10-6 Torr (12.0 × 10-4 Pa) 이하이다.
증착 속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Å/초 이상, 5.0 Å/초 이하이다.
증착 시의 성막 온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50 ℃ 이하이다.
<정공 저지층 (6)>
발광층 (5) 과 후술한 전자 주입층 (8) 사이에, 정공 저지층 (6) 을 형성해도 된다. 정공 저지층 (6) 은, 발광층 (5) 상에, 발광층 (5) 의 음극 (9) 측의 계면에 접하도록 적층되는 층이다.
정공 저지층 (6) 은, 양극 (2) 으로부터 이동해 오는 정공을 음극 (9) 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과, 음극 (9) 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광층 (5) 의 방향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갖는다. 정공 저지층 (6) 을 구성하는 재료에 요구되는 물성으로는, 전자 이동도가 높고 정공 이동도가 낮을 것, 에너지 갭 (HOMO, LUMO 의 차) 이 클 것, 여기 삼중항 준위 (T1) 가 높을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정공 저지층 (6)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비스(2-메틸-8-퀴놀리놀라토)(페놀라토)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라토)(트리페닐실라놀라토)알루미늄 등의 혼합 배위자 착물, 비스(2-메틸-8-퀴놀라토)알루미늄-μ-옥소-비스-(2-메틸-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 2 핵 금속 착물 등의 금속 착물, 디스티릴비페닐 유도체 등의 스티릴 화합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42996호), 3-(4-비페닐일)-4-페닐-5(4-tert-부틸페닐)-1,2,4-트리아졸 등의 트리아졸 유도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41759호), 바소쿠프로인 등의 페난트롤린 유도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79297호) 등을 들 수 있다. 국제 공개 제2005/022962호에 기재된 2,4,6 위치가 치환된 피리딘 고리를 적어도 1 개 갖는 화합물도, 정공 저지층 (6) 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정공 저지층 (6) 의 형성 방법에 제한은 없고, 전술한 발광층 (5) 의 형성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저지층 (6) 의 막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임의이지만, 통상 0.3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nm 이상이고, 통상 1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nm 이하이다.
<전자 수송층 (7)>
전자 수송층 (7) 은 소자의 전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발광층 (5) 또는 정공 저지층 (6) 과 전자 주입층 (8) 사이에 형성된다.
전자 수송층 (7) 은, 전계가 부여된 전극 사이에 있어서 음극 (9) 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광층 (5) 의 방향으로 수송할 수 있는 화합물로 형성된다. 전자 수송층 (7) 에 사용되는 전자 수송성 화합물로는, 음극 (9) 또는 전자 주입층 (8) 으로부터의 전자 주입 효율이 높고, 또한, 높은 전자 이동도를 가져 주입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화합물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전자 수송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8-하이드록시퀴놀린의 알루미늄 착물 등의 금속 착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94393호), 10-하이드록시벤조[h]퀴놀린의 금속 착물, 옥사디아졸 유도체, 디스티릴비페닐 유도체, 실롤 유도체, 3-하이드록시플라본 금속 착물, 5-하이드록시플라본 금속 착물, 벤즈옥사졸 금속 착물, 벤조티아졸 금속 착물, 트리스벤즈이미다졸릴벤젠 (미국 특허 제5645948호 명세서), 퀴녹살린 화합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07169호), 페난트롤린 유도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31459호), 2-t-부틸-9,10-N,N'-디시아노안트라퀴논디이민, n 형 수소화 비정질 탄화실리콘, n 형 황화아연, n 형 셀렌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수송층 (7) 의 막두께는, 통상 1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5 nm 이상이며, 통상 3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이다.
전자 수송층 (7) 은, 발광층 (5) 과 동일하게 하여 습식 성막법, 혹은 진공 증착법에 의해 발광층 (5) 또는 정공 저지층 (6) 상에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통상은, 진공 증착법이 사용된다.
<전자 주입층 (8)>
전자 주입층 (8) 은, 음극 (9) 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전자 수송층 (7) 또는 발광층 (5) 에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 주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려면, 전자 주입층 (8) 을 형성하는 재료는, 일함수가 낮은 금속이 바람직하다. 예로는, 나트륨이나 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 바륨이나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등이 사용된다.
전자 주입층 (8) 의 막두께는, 0.1 ∼ 5 nm 가 바람직하다.
음극 (9) 과 전자 수송층 (7) 의 계면에 전자 주입층 (8) 으로서, LiF, MgF2, Li2O, Cs2CO3 등의 극박 절연막 (막두께 0.1 ∼ 5 nm 정도) 을 삽입하는 것도,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유효한 방법이다 (Appl. Phys. Lett., 70권, 152페이지, 1997년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74586호 ; IEEETrans. Electron. Devices, 44권, 1245페이지, 1997년 ; SID 04 Digest, 154페이지).
또한, 바소페난트롤린 등의 함질소 복소 고리 화합물이나 8-하이드록시퀴놀린의 알루미늄 착물 등의 금속 착물로 대표되는 유기 전자 수송 재료에, 나트륨, 칼륨, 세슘, 리튬, 루비듐 등의 알칼리 금속을 도프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7017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004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00482호 등에 기재) 함으로써, 전자 주입·수송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막질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막두께는 통상 5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nm 이상이며, 통상 2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이다.
전자 주입층 (8) 은, 발광층 (5) 과 동일하게 하여 습식 성막법 혹은 진공 증착법에 의해, 발광층 (5) 혹은 그 위의 정공 저지층 (6) 또는 전자 수송층 (7) 상에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습식 성막법의 경우의 자세한 것은, 전술한 발광층 (5) 의 경우와 동일하다.
<음극 (9)>
음극 (9) 은, 발광층 (5) 측의 층 (전자 주입층 (8) 또는 발광층 (5) 등) 에 전자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음극 (9) 의 재료로는, 상기 양극 (2) 에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효율적으로 전자 주입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음극 (9) 의 재료로는, 일함수가 낮은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주석, 마그네슘, 인듐, 칼슘,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또는 그들의 합금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마그네슘-은 합금, 마그네슘-인듐 합금, 알루미늄-리튬 합금 등의 저일함수의 합금 전극 등을 들 수 있다.
소자 안정성의 점에서는, 음극 (9) 상에, 일함수가 높고, 대기에 대해 안정적인 금속층을 적층하여, 저일함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음극 (9) 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하는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구리, 니켈, 크롬, 금, 백금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음극의 막두께는 통상, 양극 (2) 과 동일하다.
<그 밖의 구성층>
이상, 도 1 에 나타내는 층 구성의 소자를 중심으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양극 (2) 및 음극 (9) 과 발광층 (5) 사이에는, 그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한, 상기 설명에 있는 층 외에도, 임의의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발광층 (5) 이외의 임의의 층을 생략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공 저지층 (8) 과 동일한 목적으로, 정공 수송층 (4) 과 발광층 (5) 사이에 전자 저지층을 형성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전자 저지층은, 발광층 (5) 으로부터 이동해 오는 전자가 정공 수송층 (4) 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발광층 (5) 내에서 정공과의 재결합 확률을 증가시키고, 생성된 여기자를 발광층 (5) 내에 가두는 역할과, 정공 수송층 (4) 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을 효율적으로 발광층 (5) 의 방향으로 수송하는 역할이 있다.
전자 저지층에 요구되는 특성으로는, 정공 수송성이 높고, 에너지 갭 (HOMO, LUMO 의 차) 이 클 것, 여기 삼중항 준위 (T1) 가 높을 것을 들 수 있다.
발광층 (5) 을 습식 성막법으로 형성하는 경우, 전자 저지층도 습식 성막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소자 제조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전자 저지층도 습식 성막 적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전자 저지층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F8-TFB 로 대표되는 디옥틸플루오렌과 트리페닐아민의 공중합체 (국제 공개 제2004/084260호) 등을 들 수 있다.
도 1 과는 반대의 구조, 즉, 기판 (1) 상에 음극 (9), 전자 주입층 (8), 전자 수송층 (7), 정공 저지층 (6), 발광층 (5), 정공 수송층 (4), 정공 주입층 (3), 양극 (2) 의 순서로 적층할 수도 있다. 적어도 일방이 투명성이 높은 2 장의 기판 사이에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층 구성을 복수단 겹친 구조 (발광 유닛을 복수 적층시킨 구조) 로 할 수도 있다. 그때에는 단 사이 (발광 유닛 사이) 의 계면층 (양극이 ITO, 음극이 Al 인 경우에는 그 2 층) 대신에, 예를 들어 V2O5 등을 전하 발생층으로서 사용하면 단 사이의 장벽이 적어져, 발광 효율·구동 전압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단일의 소자, 어레이상으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소자, 양극과 음극이 X-Y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된 구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는,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의 형식이나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EL 디스플레이」 (오움사, 평성16년(2004년) 8월 20일 발간, 토키토 시즈오, 아다치 치하야, 무라타 히데유키 저)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 반응은 모두 질소 기류하에서 실시하였다.
「S-Phos」 는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1,1'-비페닐」의 약기이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화합물 1) 의 합성]
<반응 1>
[화학식 23]
Figure pct00023
500 mL 가지형 플라스크에, m-브로모요오드벤젠 32.1 g, 국제 공개 제2016/194784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한 3-(6-페닐헥실)페닐보론산 8.9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 팔라듐 2.4 g, 2M-인산 3 칼륨 수용액 140 mL, 에탄올 60 mL 및 톨루엔 190 mL 를 첨가하고, 105 ℃ 의 오일 배스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수상을 제거하고 용매를 감압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5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5/95) 로 정제함으로써, 중간체 1 을 무색 오일상으로서 43.2 g 얻었다.
<반응 2>
[화학식 24]
Figure pct00024
1 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1 43.2 g,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33.2 g, 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디클로로메탄 부가물 2.7 g, 아세트산칼륨 55.2 g 및 디메틸술폭사이드 410 mL 를 첨가하고, 90 ℃ 의 오일 배스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 후, 물 0.8 L 및 디클로로메탄 0.5 L 를 첨가하여 분액 세정하였다. 유상을 황산마그네슘 (부피로 50 mL) 으로 건조 후, 여과하여 용매를 감압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4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3/7) 로 정제함으로써, 중간체 2 를 황색 오일상으로서 44.0 g 얻었다.
<반응 3>
[화학식 25]
Figure pct00025
1 L 가지형 플라스크에, 4-브로모-2-클로로페놀 7.1 g, 중간체 2 17.8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 팔라듐 1.1 g, 2M-인산 3 칼륨 수용액 50 mL 및 1,2-디메톡시에탄 150 mL 를 첨가하고, 100 ℃ 의 오일 배스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물 105 mL, 35 % 염산 35 mL 및 디클로로메탄 150 mL 를 첨가하여 분액 세정하였다. 유상을 황산마그네슘 (부피로 20 mL) 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하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5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4/6) 로 정제함으로써, 중간체 3 을 무색 오일상으로서 9.9 g 얻었다.
<반응 4>
[화학식 26]
Figure pct00026
1 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3 9.9 g, 건조 디클로로메탄 100 mL, 트리에틸아민 7 mL 를 넣고, 빙수로 냉각하면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무수물 8.0 mL 와 디클로로메탄 10 mL 의 혼합액을 5 분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실온으로 되돌려 30 분간 교반하였다. 7.0 g 의 탄산나트륨을 물 100 mL 에 녹인 용액을 첨가하여 중화한 후, 물 100 mL 및 디클로로메탄 150 mL 를 첨가하여 분액 세정하였다. 유상을 황산마그네슘 (부피로 30 mL) 으로 건조한 후, 여과, 용매를 감압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4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5/95, 이어서 1/9) 로 정제한 바, 중간체 4 를 무색 오일상으로서 10.1 g 얻었다.
<반응 5>
[화학식 27]
Figure pct00027
1 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4 10.1 g, 2-(3-피나콜보릴페닐)피리딘 5.8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 팔라듐 0.75 g, 2M-인산 3 칼륨 수용액 28 mL, 에탄올 25 mL 및 톨루엔 62 mL 를 첨가하고, 100 ℃ 의 오일 배스에서 3 시간 40 분간 교반하였다. 물 100 mL 를 첨가하여 분액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 (부피로 20 mL) 으로 건조 후, 여과하여 용매를 감압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5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1/1, 이어서 8/2, 9/1, 1/0) 로 정제함으로써, 중간체 5 를 백색 고체로서 8.7 g 얻었다.
<반응 6>
[화학식 28]
Figure pct00028
1 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5 8.7 g, 2,6-디메틸페닐보론산 4.8 g, 아세트산팔라듐 0.26 g, S-Phos 0.95 g, 수산화바륨 8 수화물 9.7 g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0 mL 를 첨가하고, 95 ℃ 의 오일 배스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냉각 후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500 mL, 디클로로메탄) 로 정제함으로써, 중간체 6 을 무색 오일상으로서 9.0 g 얻었다.
<반응 7>
[화학식 29]
Figure pct00029
1 L 가지형 플라스크에, 4-브로모-2-클로로페놀 24.9, 3-비페닐보론산 28.4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 팔라듐 1.5 g, 2M-인산 3 칼륨 수용액 180 mL 및 1,2-디메톡시에탄 300 mL 를 첨가하고, 100 ℃ 의 오일 배스에서 2.5 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물 200 mL, 1 N 염산 180 mL 및 35 % 염산 5 mL 를 첨가하여 분액 세정하였다. 유상을 황산마그네슘 (부피로 50 mL) 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하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55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4/6) 로 정제함으로써, 중간체 7 을 무색 오일상으로서 24.8 g 얻었다.
<반응 8>
[화학식 30]
Figure pct00030
1 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7 24.8 g, 건조 디클로로메탄 300 mL, 트리에틸아민 25 mL 를 넣고, 빙수로 냉각하면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무수물 30 mL 와 디클로로메탄 25 mL 의 혼합액을 25 분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실온으로 되돌려 1 시간 교반하였다. 10 g 의 탄산나트륨을 물 200 mL 에 녹인 용액을 첨가하여 중화한 후, 분액하였다. 유상을 황산마그네슘 (부피로 20 mL) 으로 건조한 후,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4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3/7) 로 정제한 바, 중간체 8 을 황색 오일상으로서 34.4 g 얻었다.
<반응 9>
[화학식 31]
Figure pct00031
1 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8 27.3 g, 2-(3-피나콜보릴페닐)피리딘 18.6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 팔라듐 2.5 g, 2M-인산 3 칼륨 수용액 85 mL, 에탄올 80 mL 및 톨루엔 160 mL 를 첨가하고, 100 ℃ 의 오일 배스에서 3.5 시간 교반하였다. 물 200 mL 를 첨가하여 분액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 (부피로 30 mL) 으로 건조 후, 여과하여 용매를 감압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5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1/1, 이어서 4/1) 로 정제함으로써, 중간체 9 를 황색 오일상으로서 18.3 g 얻었다.
<반응 10>
[화학식 32]
Figure pct00032
1 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9 16.8 g, 2,6-디메틸페닐보론산 12.1 g, 아세트산팔라듐 0.67 g, S-Phos 2.5 g, 수산화바륨 8 수화물 25.8 g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00 mL 를 첨가하고, 95 ℃ 의 오일 배스에서 4 시간 40 분간 교반하였다. 냉각 후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500 mL, 디클로로메탄) 로 정제함으로써, 중간체 10 을 옅은 황색 고체로서 18.6 g 얻었다.
<반응 11>
[화학식 33]
Figure pct00033
측관이 부착된 딤로드를 구비한 300 m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10 15.6 g, 염화이리듐 n 수화물 (후루야 금속사 제조, Ir 함량 52 질량%) 5.4 g, 물 24 mL 및 2-에톡시에탄올 80 mL 를 첨가하고, 135 ℃ 의 오일 배스에서 2 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145 ℃ 에서 8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동안, 기화해 오는 용매를 딤로드로 응축시켜 측관으로부터 제거하였다. 도중 반응 개시 4 시간 후, 디글림 40 mL 를 추가하였다. 도중 반응 개시 후 7 시간의 시점에서 에톡시에탄올 20 mL, 톨루엔 40 mL 및 염화이리듐 n 수화물 0.5 g 을 첨가하였다. 제거한 용매의 양은 전부로 80 mL 였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물 100 mL 를 첨가하고, 셀라이트 여과하고, 여과물을 디클로로메탄 600 mL 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감압하 용매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300 mL, 디클로로메탄) 로 정제한 바, 등색 고체의 중간체 11 을 16.8 g 얻었다.
<반응 12>
[화학식 34]
Figure pct00034
100 m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11 1.0 g, 3,5-헵탄디온 0.52 g, 탄산나트륨 0.9 g 및 디클로로메탄 30 mL 를 넣고, 오일 배스 온도를 60 ℃ 로 하여 환류하였다. 반응 개시 후 25 분 후, 2-에톡시에탄올 25 mL 를 넣고, 오일 배스 온도를 150 ℃ 까지 승온시켰다. 그동안 증발하는 용매는 측관이 부착된 딤로드로 제거하였다. 반응 개시 40 분 후, 실온까지 냉각 후, 여과하고, 여과액에 물 100 mL 를 첨가하면 황색분이 석출되었다. 이것을 여과 채취하고, 물 및 메탄올로 세정한 바, 중간체 12 를 황색 고체로서 0.86 g 얻었다.
<반응 13>
[화학식 35]
Figure pct00035
500 m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12 8.8 g, 중간체 6 5.7 g 및 글리세린 91 g 을 넣고, 오일 배스를 235 ℃ 까지 승온시켜 3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100 ℃ 까지 냉각한 후 물 200 cc 를 넣고, 여과하고, 여과 채취한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400 mL 에 용해하고, 물 400 mL 로 분액 세정하였다. 그 후, 황산마그네슘 (부피로 50 mL) 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감압하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7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4/6) 로 정제한 바, 화합물 1 을 1.5 g 얻었다.
[용제 용해성의 확인]
화합물 1, 하기에 나타내는 화합물 D-1 및 화합물 D-2 를, 각각 시클로헥실벤젠에 3 질량% 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손에 의한 진탕만으로 용해성을 관찰한 바, 모두 2 분 이내에 용해되었다. 어느 화합물도 충분한 용제 용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화합물 D-1 및 화합물 D-2 는, 화합물 1 의 합성예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11613 의 기재를 기초로 합성하였다.
[화학식 36]
Figure pct00036
[실시예 1]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인 화합물 1 에 대해, 이하의 방법으로, 발광 양자 수율, 및 최대 발광 파장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화합물 1 을, 실온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알드리치사 제조, 탈수, 안정제 비첨가) 에 용해하여, 1 × 10-5 mol/l 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용액을 테플론 (등록상표) 콕이 부착된 석영 셀에 넣고, 질소 버블링을 20 분 이상 실시하고, 실온에서 절대 양자 수율을 측정하였다. 동시에 얻어진 인광 스펙트럼으로부터 CIE 색도 좌표를 구하였다. 이 인광 스펙트럼의 강도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파장을, 최대 발광 파장으로 하였다. 발광 양자 수율은, 화합물 1 이 나타내는 값을 1 로 한 상대값으로 나타냈다.
발광 양자 수율의 측정에는, 이하의 기기를 사용하였다.
장치 : 하마마츠 포토닉스사 제조 유기 EL 양자 수율 측정 장치 C9920-02
광원 : 모노크롬 광원 L9799-01
검출기 : 멀티 채널 검출기 PMA-11
여기광 : 380 nm
[비교예 1 및 비교예 2]
화합물 1 대신에, 화합물 D-1 또는 화합물 D-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으로 최대 발광 파장 및 CIE 색도 좌표와 발광 양자 수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37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은, 최대 발광 파장이 짧고, 녹색 발광 재료로서 색순도가 높은 것이다.
화합물 D-1 은, 화합물 1 에 비해 최대 발광 파장이 분명하게 길다.
화합물 D-2 의 최대 발광 파장은, 화합물 D-1 의 최대 발광 파장과 비교해 큰 차는 없지만, 발광 양자 수율이 작기 때문에, 발광 효율이 나쁘다.
발광 스펙트럼의 CIE 색도 좌표를 비교하면, 화합물 1 은 y 좌표의 값을 저하시키는 (즉 색순도를 악화시키는) 일 없이 x 좌표가 보다 작은 값으로 되어 있어, 녹색으로서 순도가 높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예]
이하에,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에 관련된 참고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화합물 10) 의 합성]
<반응 14>
[화학식 37]
Figure pct00038
300 mL 의 가지형 플라스크에, 2-클로로-5-요오드피리딘 14.8 g, 2,4,6-트리메틸페닐보론산 10.1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2.5 g, 수산화바륨 8 수화물 39.9 g 및 1,4-디옥산 150 mL 를 넣고, 오일 배스 중 90 ℃ 에서 2 시간, 추가로 100 ℃ 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5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7/3, 이어서 1/0) 로 정제함으로써, 2-클로로-5-(2,4,6-트리메틸페닐)피리딘을 황색 고체로서 13.8 g 얻었다.
<반응 15>
[화학식 38]
Figure pct00039
1 L 가지형 플라스크에, 2-클로로-5-(2,4,6-트리메틸페닐)피리딘 13.8 g, 페닐보론산 8.9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 팔라듐 1.2 g, 2M-인산 3 칼륨 수용액 90 mL, 에탄올 40 mL 및 톨루엔 80 mL 를 첨가하고, 100 ℃ 의 오일 배스에서 5 시간 교반하였다. 수상을 제거하고, 용매를 감압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5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7/3, 이어서 9/1) 로 정제함으로써, 2-페닐-5-(2,4,6-트리메틸페닐)피리딘을 황색 오일상으로서 15.7 g 얻었다.
<반응 16>
[화학식 39]
Figure pct00040
측관이 부착된 딤로드를 구비한 300 mL 가지형 플라스크에, 2-페닐-5-(2,4,6-트리메틸페닐)피리딘 15.7 g, 염화이리듐 n 수화물 (후루야 금속사 제조, Ir 함량 52 질량%) 9.4 g, 물 30 mL 및 2-에톡시에탄올 100 mL 를 첨가하고, 145 ℃ 의 오일 배스에서 9.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동안, 기화하여 오는 용매를 딤로드로 응축시켜 측관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제거한 용매의 양은 전부로 30 mL 였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물 2 mL 를 첨가하고, 여과하고, 메탄올 50 mL 로 세정하고, 이어서 건조한 바, 등색 고체의 중간체 13 을 15.7 g 얻었다.
<반응 17>
[화학식 40]
Figure pct00041
300 mL 가지형 플라스크에, 중간체 13 7.5 g, 국제 공개 제2013/105615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한 중간체 14 8.3 g,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은 (I) 3.2 g, 디글림 25 mL 를 넣고, 오일 배스에서 130 ℃ 로 승온시켰다. 승온 후 즉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 mL 를 첨가하였다. 1.5 시간 교반하고, 추가로 140 ℃ 에서 40 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 용매를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중성 겔 500 mL, 디클로로메탄/헥산 = 4/6) 로 정제한 바, 화합물 10 을 황색 고체로서 2.1 g 얻었다.
[용제 용해성의 확인]
<실시예 I-1>
화합물 10 을 시클로헥실벤젠에 3 중량% 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손에 의한 진탕만으로 용해성을 관찰한 바, 신속하게 용해되었다. 그 후, 실온에서 50 시간 정치하여 석출의 유무를 관찰한 바, 균일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화합물 10 은 용제 용해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I-1>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D-5 를 시클로헥실벤젠에 3 중량% 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손에 의한 진탕만으로 용해성을 관찰하 바, 신속하게 용해되었다. 그 후, 실온에서 50 시간 정치하여 석출의 유무를 관찰한 바, 균일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화합물 D-5 는 용제 용해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화합물 D-5 는 화합물 10 의 합성예 및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04371호의 기재를 기초로 합성하였다.
[화학식 41]
Figure pct00042
<비교예 I-2>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D-6 을 시클로헥실벤젠에 3 중량% 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손에 의한 진탕만으로 용해성을 관찰한 바, 고체의 잔류를 확인하였다. 또한, 100 ℃ 의 핫 플레이트 상에서 3 분간 가열했지만 다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로 150 ℃ 로 승온시켜 3 분간 가열한 바 용해되어 균일 상태가 되었다. 그 후, 실온에서 정치한 바, 불과 2 시간 후에 분상 고체의 석출이 관찰되었다. 화합물 D-6 은 용제 용해성이 나쁜 것이 확인되었다. 화합물 D-6 은 화합물 1 의 합성예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11613호의 기재를 기초로 합성하였다.
[화학식 42]
Figure pct00043
[발광 양자 수율과 최대 발광 파장의 평가]
<실시예 II-1>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인 화합물 10 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 1 에 있어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광 양자 수율, 및 최대 발광 파장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발광 양자 수율은, 화합물 10 이 나타내는 값을 1 로 한 상대값으로 나타냈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II-1>
화합물 10 대신에 화합물 D-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II-1 과 동일한 조작으로 최대 발광 파장과 발광 양자 수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44
표 2 로부터, 본 발명의 이리듐 착물 화합물 2 인 화합물 10 은, 화합물 D-5 에 비해 발광 양자 수율이 분명하게 큼과 아울러, 최대 발광 파장이 짧고, 녹색 발광 재료로서 색순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최대 발광 파장 측정예>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D-3 및 화합물 D-4 에 대해, 실시예 II-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대 발광 파장을 측정한 바, 화합물 D-3 은 517 nm, 화합물 D-4 는 522 nm 였다. 이 점에서, 페닐-피리딘 배위자의 피리딘 고리의 4 위치에 2,6-치환의 벤젠 고리를 도입하면, 이것을 도입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발광 파장의 장파장화를 초래하여, 녹색 발광의 색순도 악화를 초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화합물 D-3 및 D-4 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11613호의 기재를 기초로 합성하였다.
[화학식 43]
Figure pct00045
본 발명을 특정 양태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7년 11월 2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7-229167, 및 일본 특허 출원 2017-229168에 기초하고 있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1 : 기판
2 : 양극
3 : 정공 주입층
4 : 정공 수송층
5 : 발광층
6 : 정공 저지층
7 : 전자 수송층
8 : 전자 주입층
9 : 음극
10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laims (8)

  1.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이리듐 착물 화합물.
    Figure pct00046

    [식 (1) 에 있어서, Ir 은 이리듐 원자를 나타낸다.
    L 은 2 좌 배위자를 나타내고, 복수 있는 경우에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고리 Cy1 은 탄소 원자 C1 및 C2 를 포함하는 방향 고리 또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낸다.
    고리 Cy2 는 탄소 원자 C3 및 질소 원자 N1 을 포함하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낸다.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a 및 b 는, 각각 고리 Cy1 또는 고리 Cy2 로 치환할 수 있는 최대수의 정수를 나타낸다.
    m 은 1 ∼ 3 의 정수, n 은 0 ∼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m + n = 3 이다.
    R1 및/또는 R2 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적어도 1 개의 R1 은,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pct00047

    [식 (2) 에 있어서, * 는 고리 Cy1 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5 ∼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RX1 및 R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 (1) 의 고리 Cy1 및 (R1)a 가,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것인, 이리듐 착물 화합물.
    Figure pct00048

    [식 (3) 에 있어서,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1, R5 ∼ R11, RX1 및 RX2 는, 식 (1) 및 식 (2) 에서 정의한 것과 각각 동일하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위자 L 이 하기 식 (4) 로 나타내는 것인, 이리듐 착물 화합물.
    Figure pct00049

    [식 (4) 에 있어서,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고리 Cy3 은, 탄소 원자 C4 및 C5 를 포함하는 방향 고리 또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내고, C4 에서 이리듐 원자와 결합한다.
    고리 Cy4 는, 탄소 원자 C6 및 질소 원자 N2 를 포함하는 복소 방향 고리를 나타내고, N2 에서 이리듐 원자와 결합한다.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c 및 d 는, 각각 고리 Cy3 또는 고리 Cy4 로 치환할 수 있는 최대수의 정수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배위자 L 이 하기 식 (5) 로 나타내는 것인, 이리듐 착물 화합물.
    Figure pct00050

    [식 (5) 에 있어서, * 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 및 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리듐 착물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7. 제 6 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갖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갖는 조명 장치.
KR1020207013889A 2017-11-29 2018-11-29 이리듐 착물 화합물, 그 화합물 및 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그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KR202000896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9167 2017-11-29
JPJP-P-2017-229167 2017-11-29
JP2017229168 2017-11-29
JPJP-P-2017-229168 2017-11-29
PCT/JP2018/043899 WO2019107467A1 (ja) 2017-11-29 2018-11-29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該化合物および溶剤を含有する組成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668A true KR20200089668A (ko) 2020-07-27

Family

ID=6666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889A KR20200089668A (ko) 2017-11-29 2018-11-29 이리듐 착물 화합물, 그 화합물 및 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그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038126B2 (ko)
EP (1) EP3719028A4 (ko)
JP (2) JP7147783B2 (ko)
KR (1) KR20200089668A (ko)
CN (1) CN111344295A (ko)
WO (1) WO2019107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1196A4 (en) * 2019-05-15 2022-06-2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Iridium complex compound, composition containing said compound and solvent,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containing said compound,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US20210135130A1 (en) * 2019-11-04 2021-05-0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WO2022250044A1 (ja) * 2021-05-25 2022-12-0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含有組成物及び有機電界発光素子と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6886A2 (de) 2002-08-24 2004-04-01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Rhodium-und iridium-komplexe
JP2014074000A (ja) 2012-10-05 2014-04-24 Mitsubishi Chemicals Corp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該化合物及び溶剤を含有する組成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WO2016194784A1 (ja) 2015-05-29 2016-12-08 三菱化学株式会社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507A (en) 1983-03-25 1985-09-03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ies
US5061569A (en) 1990-07-26 1991-10-29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organic electroluminescent medium
JP3562652B2 (ja) 1992-04-03 2004-09-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6207169A (ja) 1992-11-17 1994-07-26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734341B2 (ja) 1993-03-26 1998-03-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753953A (ja) 1993-08-19 1995-02-28 Mitsubishi Chem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JPH1079297A (ja) 1996-07-09 1998-03-24 Sony Corp 電界発光素子
US5776622A (en) 1996-07-29 1998-07-07 Eastman Kodak Company Bilayer eletron-injeting electrode for use in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US5645948A (en) 1996-08-20 1997-07-08 Eastman Kodak Company Blu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JPH10270171A (ja) 1997-01-27 1998-10-09 Junji Kido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H11242996A (ja) 1998-02-25 1999-09-07 Mitsubishi Chemical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JPH11251067A (ja) 1998-03-02 1999-09-17 Junji Kido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2002100482A (ja) 2000-09-20 2002-04-05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2100478A (ja) 2000-09-20 2002-04-05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023204B2 (ja) 2001-05-02 2007-12-19 淳二 城戸 有機電界発光素子
GB0306409D0 (en) 2003-03-20 2003-04-23 Cambridge Display Tech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994083B1 (ko) 2003-07-31 2010-11-12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화합물, 전하 수송 재료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934890B1 (ko) 2004-03-11 2010-01-06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전하 수송막용 조성물 및 이온 화합물, 이를 이용한 전하 수송막 및 유기 전계 발광 장치, 및 유기 전계 발광 장치의제조 방법 및 전하 수송막의 제조 방법
WO2005124890A1 (en) * 2004-06-09 2005-12-29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lumineschent iridium complex and devices made with such compound
JP5723083B2 (ja) * 2005-03-15 2015-05-27 イシス イノベイション リミテッド 多分岐デンドリマー
US8778508B2 (en) * 2006-12-08 2014-07-1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Light-emitting organometallic complexes
KR100989817B1 (ko) * 2007-07-24 2010-10-29 다우어드밴스드디스플레이머티리얼 유한회사 신규한 적색 인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09073246A1 (en) * 2007-12-06 2009-06-1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Method for the synthesis of iridium (iii) complexes with sterically demanding ligands
JP5320881B2 (ja) 2008-07-23 2013-10-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照明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
JP2012151226A (ja) 2011-01-18 2012-08-09 Toyota Industries Corp 基板間接続構造
JP2012151266A (ja) * 2011-01-19 2012-08-0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照明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
WO2013105615A1 (ja) 2012-01-13 2013-07-18 三菱化学株式会社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並びに該化合物を含む溶液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102132591B1 (ko) * 2012-08-08 2020-07-10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이리듐 착물 화합물, 그리고 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KR101520527B1 (ko) * 2012-11-21 2015-05-14 주식회사 두산 이리듐(ⅲ)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5087961A1 (ja) * 2013-12-12 2015-06-18 三菱化学株式会社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該化合物の製造方法、該化合物を含む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US9847497B2 (en) * 2014-02-18 2017-12-1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3140871B1 (en) * 2014-05-08 2018-12-2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Stabilized imidazophenanthridine materials
KR102323210B1 (ko) * 2014-11-14 2021-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765199B1 (ko) * 2014-12-15 2017-08-07 (주)위델소재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US9450195B2 (en) * 2014-12-17 2016-09-2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KR102390371B1 (ko) 2015-03-13 2022-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WO2017092481A1 (zh) * 2015-12-04 2017-06-08 广州华睿光电材料有限公司 金属有机配合物、高聚物、混合物、组合物以及有机电子器件
JP6506727B2 (ja) 2016-06-23 2019-04-24 日本リーテック株式会社 ケーブル保護管防護金具およびケーブル保護管防護金具の設置方法
JP2017229168A (ja) 2016-06-23 2017-1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CN111263766B (zh) * 2017-11-07 2024-04-02 三菱化学株式会社 铱配位化合物、含有该化合物和溶剂的组合物、含有该化合物的有机电致发光元件、显示装置和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6886A2 (de) 2002-08-24 2004-04-01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Rhodium-und iridium-komplexe
JP2014074000A (ja) 2012-10-05 2014-04-24 Mitsubishi Chemicals Corp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該化合物及び溶剤を含有する組成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WO2016194784A1 (ja) 2015-05-29 2016-12-08 三菱化学株式会社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K. -H. Lee et al, Journal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9, 7099-7103 (2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38126B2 (en) 2021-06-15
US20200274078A1 (en) 2020-08-27
US20210257564A1 (en) 2021-08-19
WO2019107467A1 (ja) 2019-06-06
JPWO2019107467A1 (ja) 2020-12-17
EP3719028A1 (en) 2020-10-07
JP7388508B2 (ja) 2023-11-29
US11404652B2 (en) 2022-08-02
CN111344295A (zh) 2020-06-26
JP7147783B2 (ja) 2022-10-05
JP2022184975A (ja) 2022-12-13
EP3719028A4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8508B2 (ja)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該化合物および溶剤を含有する組成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7439891B2 (ja)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該化合物及び溶剤を含有する組成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7409428B2 (ja)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の製造方法
US20220069238A1 (en) Iridium complex compou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and solvent,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containing the compound, display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KR20220010598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조성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JP2020152746A (ja) 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20240011686A (ko) 이리듐 착물 화합물, 이리듐 착물 화합물 함유 조성물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그 제조 방법
WO2020145294A1 (ja)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
JP7047355B2 (ja)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該化合物及び溶剤を含有する組成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20220024000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조성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WO2023182184A1 (ja) 発光層用組成物、並びに、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136252A1 (ja)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と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WO2021161974A1 (ja) 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イリジウム錯体化合物含有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とその製造方法、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照明装置
TW202413387A (zh) 銥錯合體化合物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