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458A - 토너 잔여율 추정 - Google Patents

토너 잔여율 추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458A
KR20200087458A KR1020190003756A KR20190003756A KR20200087458A KR 20200087458 A KR20200087458 A KR 20200087458A KR 1020190003756 A KR1020190003756 A KR 1020190003756A KR 20190003756 A KR20190003756 A KR 20190003756A KR 20200087458 A KR20200087458 A KR 2020008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ing cartridge
rate
residual
re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0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7458A/ko
Priority to EP19909370.9A priority patent/EP3814847A4/en
Priority to US17/260,683 priority patent/US11320774B2/en
Priority to PCT/US2019/042639 priority patent/WO2020146010A1/en
Publication of KR2020008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된다. 본체는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될 수 있다. 연통부는 현상 카트리지에 연결되어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결합하기 위해 본체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는 현상 카트리지의 잔여 토너량을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토너 리필 시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충전율 및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너 잔여율 추정{ESTIMATION OF TONER REMAINING RATE}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현상 카트리지는 토너를 수용하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 카트리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현상 카트리지를 새로운 현상 카트리지로 교체하거나, 현상 카트리지에 토너를 리필할 수 있다.
도 1은 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결합하여 토너를 리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현상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을 일 예를 적용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예에서 토너 리필이 토너 소진 상태일 때 이루어진 경우,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데이터 결과이다.
도 9는 도 7의 예에서 토너 리필이 토너 소진 상태가 아닐 때 이루어진 경우,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데이터 결과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결합하여 토너를 리필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채용될 수 있는 현상 카트리지(2)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본체(1)와, 본체(1)에 착탈 가능한 형태의 현상 카트리지(2)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에는 도어(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3)는 본체(1)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체(1)의 상부를 개방하는 도어(3)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본체(1)의 측부 또는 전부를 개방하는 도어가 채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어(3)를 열고, 현상 카트리지(2)를 본체(1)에 장착하거나,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본체(1)에는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의 외부로부터 토너 충전부(1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연통부(8)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는 토너 수용부(230)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될 수 있다. 연통부(8)는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충전부(10)에 연결되어 토너 수용부(230)에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결합하기 위해 본체(1)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부(8)는 본체(1)의 전면부(1-2)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전면부(1-2)는 사용자와 대향되므로, 사용자가 연통부(8)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이용한 토너 리필 작업이 연통부(8)를 통하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연통부(8)는 본체(1)의 상면(1-1)에 마련될 수 있다. 토너 충전부(10)는 연통부(8)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통부(8)와 토너 충전부(10)는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토너 리필 카트리지(9)는 본체(1)의 상방으로부터 연통부(8)를 통하여 토너 충전부(10)에 액세스할 수 있다.
감광드럼(2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23)는 감광드럼(2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3)에는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대전롤러(23)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22)는 토너를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킬 수 있다.
공급롤러(24)는 토너를 현상롤러(22)에 부착시킬 수 있다. 공급롤러(24)에 토너를 현상롤러(22)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규제부재(25)는 현상롤러(22)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할 수 있다. 규제부재(25)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현상롤러(22)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는 규제 블레이드일 수 있다. 클리닝 부재(26)는 대전 전에 감광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하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26)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감광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폐토너로 지칭한다.
광주사기(4)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주사할 수 있다. 광주사기(4)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2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전사롤러(5)는 감광드럼(21)과 대향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5)에는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전사롤러(5)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5)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표면에 유지될 수 있다. 정착기(6)는 토너화상이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인쇄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2)는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가 설치된 현상부(210)와, 감광드럼(21)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용되는 폐토너 수용부(220)와, 현상부(210)와 연결되고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 수용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토너 수용부(230)에 토너를 리필하기 위하여, 현상 카트리지(2)는 토너 수용부(230)와 연결된 토너 충전부(10)를 구비할 수 있다. 토너 충전부(10)는 후술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2)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현상 카트리지(2)는 현상부(210)와, 폐토너 수용부(220)와, 토너 수용부(230)와, 토너 충전부(10)를 구비하는 일체형 현상 카트리지일 수 있다.
감광드럼(21)의 외주의 일부분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감광드럼(21)의 노출된 부분에 전사롤러(5)가 접촉되어 전사닙을 형성할 수 있다. 현상부(210)에는 토너를 현상롤러(22) 쪽으로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운반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운반부재는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폐토너 수용부(220)는 현상부(2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폐토너 수용부(220)는 현상부(21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광 통로(2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클리닝 부재(26)에 의하여 감광드럼(21)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폐토너 수용부(220)에 수용될 수 있다. 감광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하나 이상의 폐토너 이송부재(221)(222)(223)에 의하여 폐토너 수용부(220)의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부재의 형태와 갯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폐토너 수용부(220)의 용적이나 형태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폐토너를 폐토너 수용부(220) 내부에 분산시킬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폐토너 이송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토너 수용부(230)는 토너 충전부(10)와 연결되어 토너를 수용할 수 있다. 토너 수용부(230)는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부(234)에 의하여 현상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부(234)는 폐토너 수용부(2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현상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토너 공급부(234)는 광주사기(4)에 의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주사되는 노광 광(L)과 간섭되지 않도록 노광 광(L)의 유효 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토너 수용부(230)에는 토너를 토너 공급부(234)를 통하여 현상부(210)로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토너 공급부재(231)(232)(233)가 설치될 수 있다. 토너 공급 부재의 형태와 갯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토너 수용부(230)의 용적이나 형태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토너를 현상부(210)로 공급하기 위하여 토너 수용부(230)에는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토너 공급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토너 공급부재(233)는 토너를 토너 공급부(234)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대전롤러(23)에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감광드럼(21)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될 수 있다. 광주사기(4)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공급롤러(24)는 토너를 현상롤러(22)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규제부재(25)는 현상롤러(22)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토너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현상롤러(22)에는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현상롤러(22)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닙으로 운반된 토너는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되어 감광드럼(21)의 표면에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픽업롤러(71)에 의하여 적재수단(7)으로부터 인출된 인쇄매체(P)는 이송롤러(72)에 의하여 전사롤러(5)와 감광드럼(21)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전사롤러(5)에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은 인쇄매체(P)로 전사될 수 있다. 인쇄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이 정착기(6)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인쇄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될 수 있다. 인쇄매체(P)는 배출롤러(73)에 의하여 배출된다. 인쇄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26)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따르면, 현상 카트리지(2)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지 않고,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토너를 현상 카트리지(2)에 리필할 수 있도록, 현상 카트리지(2)는 토너 충전부(10)를 구비할 수 있다. 토너 충전부(10)는 현상 카트리지(2)와 일체로 형성되어 현상 카트리지(2)와 함께 본체(1)에 착탈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컨트롤러(20)는 현상 카트리지(2) 및 센서(30)와 연결되어,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 ①을 보면, 추정된 토너 잔여율은 1이하의 값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추정된 토너 잔여율이 1이면 토너 잔여율이 100%로서, 현상 카트리지(2)에 토너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식 ①에서 '소모량'은 화상 형성 작업에 이용되는 이미지데이터에 기초하여 픽셀 또는 도트를 카운팅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식 ①에서 '소모량'은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0)를 이용할수록 누적되어 증가하며, '리필 시점의 누적된 소모량'은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소모량으로서, 토너 리필 시에 '소모량 - 리필 시점의 누적된 소모량'은 0의 값을 가진다. '목표 소모량'은 현상 카트리지(2)에 토너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을 때의 기대 수명에 대응되는 소모량을 의미한다. '보정값'은 토너 리필 시 토너 리필 용량,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다. 이때, 토너 리필 시 토너 리필 용량은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충전 용량일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 또는 현상 카트리지(2)의 기대 수명에 대응되는 목표 소모량은 현상 카트리지(2) 내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충전 용량 또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기대 수명에 대응되는 토너 리필 용량은 토너 리필 카트리지(9) 내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현상 카트리지(2)를 통해 컨트롤러(20)에 전달될 수 있다.
식 ②를 보면, '보정값'은 토너 리필 용량에도 불구하고 토너를 더 충전할 수 있는 여유 용량의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 즉, '리필 시 여유 용량율'에서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잔여율'을 뺀 값일 수 있다.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잔여율'은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이 계산상 음수의 값을 가질 수 있어, 그 값이 음수인지 여부에 따라 적정한 값으로 조정됨을 의미한다.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은 토너 리필 직전까지의 화상 형성 작업에 이용되는 이미지데이터에 기초하여 픽셀 또는 도트를 카운팅함으로써 계산되는 토너의 소모량을 현상 카트리지(2)에 토너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을 때의 기대 수명에 대응되는 소모량으로 나눈 토너 소모율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부연 설명들은 도 6 내지 도 9의 예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보정값'은 토너 리필 용량이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보다 작아서, 현상 카트리지(2)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는 경우, 토너를 더 충전할 수 있는 그 여유 용량의 비율만큼은 토너 잔여율에서 제하고, 반대로, 리필 직전까지 현상 카트리지(2)에 남아 있던 토너 용량만큼은 토너 잔여율에 더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식 ③을 보면, '리필 시 여유 용량율'은 토너 리필 시 토너 리필 용량의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 즉, '리필 시 충전율'을 1에서 뺀 값을 의미한다.
식 ①에 식 ②와 식 ③을 대입하면,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 ④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식 ④는 식 ①을 변형한 형식에 해당하는 식이다. 식 ④를 보면, 토너 리필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은 토너 리필 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충전율, 즉, '리필 시 충전율'과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토너 잔여율'을 합한 값에 토너 소모율에 대응되는 항(term)의 값을 빼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시 '소모량 - 리필 시점의 누적된 소모량'은 0의 값을 가지므로, 토너 소모율에 대응되는 항의 값이 0이 된다. 따라서, 토너 리필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은 토너 리필 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충전율 및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추정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충전율 및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토너 잔여율은 토너 리필 시마다 결정되어 다음 토너 리필 시까지 유지되는 값일 수 있다.
한편, 토너 리필은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2)에 연결되어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가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되는 본체(1)의 외부면에 형성된 연통부(8)를 통해 현상 카트리지(2)에 결합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현상 카트리지(2)가 교체된 때, 토너 리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는 센서(3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토너 리필 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충전율 및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센서(30)는 현상 카트리지(2)의 잔여 토너량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30)는 현상 카트리지(2)의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보다 적은지 여부 또는 소정의 기준보다 초과한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30)는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보다 많은지 적은지, 또는 잔여 토너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0)는 현상 카트리지(2)에 수용된 토너의 무게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잔여 토너량을 감지하거나, 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토너 소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30)는 현상 카트리지(2)의 잔여 토너량을 연속적으로 감지하거나 소정의 주기마다 또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감지할 수 있다. 센서(30)는 현상 카트리지(2)의 잔여 토너량을 감지하기 위해 현상 카트리지(2)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현상 카트리지(2)의 교체 감지에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0)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결합 없이도 현상 카트리지(2)에 수용된 토너의 무게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거나, 센서(30)에 연결된 현상 카트리지(2)의 접촉이 끊어짐을 감지한 경우 또는 현상 카트리지(2)의 교체와 함께 센서(30)도 교체된 경우 등에 컨트롤러(20)는 현상 카트리지(2)가 교체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토너 리필 여부 및 토너 리필이 이루어진 구체적인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 토너 리필이 이루어진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컨트롤러(20)의 토너 잔여율 추정에 대해 살펴본다.
컨트롤러(20)는 현상 카트리지(2)가 교체된 때,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실제 충전 용량의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초기 충전율 및 0의 값을 가지는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센서(30)로부터 감지된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 이하일 때, 토너 리필 카트리지(9)에 의해 토너가 리필되면,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실제 충전 용량의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재충전율 및 0의 값을 가지는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센서(30)로부터 감지된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 이하일 때 토너가 소진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기준은 토너가 소진된 상태라고 볼 수 있는 임의의 임계점에 해당하는 토너량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센서(30)로부터 감지된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을 초과할 때, 토너 리필 카트리지(9)에 의해 토너가 리필되면,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실제 충전 용량의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재충전율 및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인지 여부에 따라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이면 0의 값을 조정된 토너 잔여율로 하고, 음수가 아니면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을 조정된 토너 잔여율로 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센서(30)로부터 감지된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을 초과할 때 토너가 소진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미도시)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스크린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현상 카트리지(2)에 수용된 토너의 잔여율을 추정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본체(1)에 장착되어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2)의 잔여 토너량을 센서(30)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센서(3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토너 리필 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충전율 및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이하, 토너 리필이 이루어진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블록 6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토너 리필이 있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현상 카트리지(2)의 교체가 있었거나, 토너 리필 카트리지(9)가 현상 카트리지(2)가 장착되는 본체(1)의 외부면에 형성된 연통부(8)를 통해 현상 카트리지(2)에 결합되어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량이 증가된 경우 토너 리필이 있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블록 6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현상 카트리지(2)의 교체가 있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교체된 경우, 블록 6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실제 충전 용량의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초기 충전율 및 0의 값을 가지는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이 이용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교체되지 않은 경우, 블록 6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가 소진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센서(30)로부터 감지된 현상 카트리지(2)의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가 소진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가 소진된 상태인 경우, 블록 65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에 의해 토너가 리필되면,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실제 충전 용량의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재충전율 및 0의 값을 가지는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이 이용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센서(30)로부터 감지된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 이하일 때 토너가 소진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가 소진된 상태가 아닌 경우, 블록 66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센서(30)로부터 감지된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을 초과할 때 토너가 소진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인 경우, 블록 67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에 의해 토너가 리필되면,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실제 충전 용량의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재충전율 및 0의 값을 가지는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이 이용될 수 있다.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가 아닌 경우, 블록 68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에 의해 토너가 리필되면,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실제 충전 용량의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재충전율 및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의 값을 그대로 가지는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을 일 예를 적용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서는, 현상 카트리지(2)가 교체되는 경우는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실제 충전 용량이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과 같은 예, 즉,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실제 충전 용량이 100%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이용한 토너 리필의 경우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실제 충전 용량의 현상 카트리지(2)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이 0.5인 예로서, 현상 카트리지(2)를 토너 리필 카트리지(9)로 재충전시 50%가 충전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와 같은 예에 따르면, 현상 카트리지(2)가 교체된 경우, 블록 7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초기 충전율이 1이므로, '리필 시 여유 용량율'이 0이고, '조정된 잔여율'도 0으로 설정한다.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에 각각의 수치를 대입하면, 식 ②에 따라 '보정값'이 0이 되고, 토너 리필 시에 '소모량 - 리필 시점의 누적된 소모량'은 0의 값을 가지므로, 식 ①에 따라 '추정된 잔여율'이 1이 됨을 알 수 있다.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2)의 실체 충전 용량이 100%인 예라고 하였으므로, '추정된 잔여율'은 100%에 대응되는 1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가 소진된 상태인 경우, 블록 75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에 의해 토너가 리필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재충전율이 0.5이므로, '리필 시 여유 용량율'이 0.5이고, '조정된 잔여율'은 0으로 설정한다.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에 각각의 수치를 대입하면, 식 ②에 따라 '보정값'이 0.5가 되고, 토너 리필 시에 '소모량 - 리필 시점의 누적된 소모량'은 0의 값을 가지므로, 식 ①에 따라 '추정된 잔여율'이 0.5가 됨을 알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를 토너 리필 카트리지(9)로 재충전시 50%가 충전되는 예라고 하였으므로, '추정된 잔여율'은 50%에 대응되는 0.5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가 소진된 상태가 아니고,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인 경우, 블록 77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에 의해 토너가 리필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재충전율이 0.5이므로, '리필 시 여유 용량율'이 0.5이고, '조정된 잔여율'은 0으로 설정한다.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에 각각의 수치를 대입하면, 식 ②에 따라 '보정값'이 0.5가 되고, 토너 리필 시에 '소모량 - 리필 시점의 누적된 소모량'은 0의 값을 가지므로, 식 ①에 따라 '추정된 잔여율'이 0.5가 됨을 알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를 토너 리필 카트리지(9)로 재충전시 50%가 충전되는 예라고 하였으므로, '추정된 잔여율'은 50%에 대응되는 0.5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토너가 소진된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인 경우에는 '조정된 잔여율'이 0이 되도록 하여, '추정된 잔여율'이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재충전율인 0.5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가 소진된 상태가 아니고,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가 아닌 경우, 블록 78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컨트롤러(20)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에 의해 토너가 리필된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재충전율이 0.5이므로, '리필 시 여유 용량율'이 0.5이고, '조정된 잔여율'은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로 설정한다.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에 각각의 수치를 대입하면, 식 ②에 따라 '보정값'이 '0.5 -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되고, 토너 리필 시에 '소모량 - 리필 시점의 누적된 소모량'은 0의 값을 가지므로, 식 ①에 따라 '추정된 잔여율'은 '0.5 +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됨을 알 수 있다. 즉, 토너가 소진된 상태가 아니고,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가 아닌 경우에는 '조정된 잔여율'을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되도록 하여, 리필 직전까지 현상 카트리지(2)에 남아 있던 토너 용량만큼의 토너 잔여율이 '추정된 잔여율'에 더 반영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의 예에서 토너 리필이 토너 소진 상태일 때 이루어진 경우,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데이터 결과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 1은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과 실제 잔여율이 0으로 같은 경우이고, 케이스 2는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이 실제 잔여율보다 큰 경우로서 0보다 큰 값이며, 케이스 3은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이 실제 잔여율보다 작은 경우로서 0보다 작은 값인 경우이다.
도 8은 토너 리필이 토너 소진 상태일 때 이루어진 경우이므로,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이 0의 값을 가지도록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 토너를 리필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토너가 소진된 상태에서,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이용하여 현상 카트리지(2)를 50% 재충전하였으므로, 추정된 토너 잔여율이 0.5의 값에 대응되는 50%가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데이터 결과를 보면, 모든 케이스에서 토너 리필 직전에 실제 잔여율은 0이고,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은 그 값에 상관없이 모두 0으로 조정되었으며, 토너 리필 시에 '소모량 - 리필 시점의 누적된 소모량'은 0이므로, 추정된 잔여율은 0.5의 값에 대응되는 50%임을 알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예에서 토너 리필이 토너 소진 상태가 아닐 때 이루어진 경우, 도 5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기 위한 식이 유효함을 나타내는 데이터 결과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케이스 1은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과 실제 잔여율이 같은 경우로서 각각 0보다 큰 값이고, 케이스 2는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이 실제 잔여율보다 큰 경우이며, 케이스 3은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이 실제 잔여율보다 작은 경우로서 0보다 작은 값인 경우이다.
도 9는 토너 리필이 토너 소진 상태가 아닐 때 이루어진 경우이므로, 토너 리필 직전까지 실제 잔여율은 0보다 큰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 토너를 리필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토너 소진 전에,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이용하여 현상 카트리지(2)의 50%를 더 재충전하였으므로, 추정된 토너 잔여율이 최소한 0.5의 값에 대응되는 50% 이상이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데이터 결과를 보면, 모든 케이스에서 토너 리필 직전에 실제 잔여율은 0보다 큰 값이고, 토너 리필 시에 '소모량 - 리필 시점의 누적된 소모량'은 0임을 알 수 있다.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이 -10% 대응되는 음수인 케이스 3의 경우에는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이 0으로 조정되고,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이 음수가 아닌 케이스 1과 케이스 2의 경우에는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잔여율을 그대로 조정된 잔여율로 할 수 있다. 케이스 1과 케이스 2의 경우, 추정된 잔여율이 70%(50%+20%)이고, 케이스 3의 경우, 추정된 잔여율이 50%임을 알 수 있다. 모든 케이스에서 토너 리필 시 추정된 잔여율은 최소한 0.5의 값에 대응되는 50% 이상이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내용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Claims (15)

  1.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연결되어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부면에 형성된 연통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잔여 토너량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토너 리필 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충전율 및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에 따른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을 초과할 때, 상기 토너 리필 카트리지에 의해 토너가 리필되면, 상기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실제 충전 용량의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재충전율 및 상기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인지 여부에 따라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이면 0의 값을 상기 조정된 토너 잔여율로 하고, 음수가 아니면 상기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을 상기 조정된 토너 잔여율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 이하일 때, 상기 토너 리필 카트리지에 의해 토너가 리필되면, 상기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실제 충전 용량의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재충전율 및 0의 값을 가지는 상기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교체된 때, 상기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의 실제 충전 용량의 상기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상기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초기 충전율 및 0의 값을 가지는 상기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 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충전율 및 상기 조정된 토너 잔여율은 토너 리필 시마다 결정되어 다음 토너 리필 시까지 유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은 상기 토너 리필 직전까지의 화상 형성 작업에 이용되는 이미지데이터에 기초하여 픽셀 또는 도트를 카운팅함으로써 계산되는 토너의 소모량을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토너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을 때의 기대 수명에 대응되는 소모량으로 나눈 토너 소모율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본체에 장착되어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잔여 토너량을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토너 리필 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충전율 및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에 따른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연결되어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의 외부면에 형성된 연통부를 통해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을 초과할 때, 상기 토너 리필 카트리지에 의해 토너가 리필되면, 상기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실제 충전 용량의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재충전율 및 상기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인지 여부에 따라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이 음수이면 0의 값을 상기 조정된 토너 잔여율로 하고, 음수가 아니면 상기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을 상기 조정된 토너 잔여율로 하는,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연결되어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의 외부면에 형성된 연통부를 통해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잔여 토너량이 소정의 기준 이하일 때, 상기 토너 리필 카트리지에 의해 토너가 리필되면, 상기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실제 충전 용량의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재충전율 및 0의 값을 가지는 상기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교체된 때, 상기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의 실제 충전 용량의 상기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의 최대 충전 용량에 대한 비율인 상기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초기 충전율 및 0의 값을 가지는 상기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된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 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충전율 및 상기 조정된 토너 잔여율은 토너 리필 시마다 결정되어 다음 토너 리필 시까지 유지되는,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은 상기 토너 리필 직전까지의 화상 형성 작업에 이용되는 이미지데이터에 기초하여 픽셀 또는 도트를 카운팅함으로써 계산되는 토너의 소모량을 상기 현상 카트리지에 토너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을 때의 기대 수명에 대응되는 소모량으로 나눈 토너 소모율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방법.
  15. 본체에 장착되어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잔여 토너량을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토너 리필 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충전율 및 토너 리필 직전까지 계산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한 조정된 토너 잔여율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에 따른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토너 잔여율을 추정하는 명령어들;
    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로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90003756A 2019-01-11 2019-01-11 토너 잔여율 추정 KR20200087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756A KR20200087458A (ko) 2019-01-11 2019-01-11 토너 잔여율 추정
EP19909370.9A EP3814847A4 (en) 2019-01-11 2019-07-19 ESTIMATION OF TONER RATE REMAINING
US17/260,683 US11320774B2 (en) 2019-01-11 2019-07-19 Estimation of toner remaining rate
PCT/US2019/042639 WO2020146010A1 (en) 2019-01-11 2019-07-19 Estimation of toner remaining 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756A KR20200087458A (ko) 2019-01-11 2019-01-11 토너 잔여율 추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58A true KR20200087458A (ko) 2020-07-21

Family

ID=7152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756A KR20200087458A (ko) 2019-01-11 2019-01-11 토너 잔여율 추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20774B2 (ko)
EP (1) EP3814847A4 (ko)
KR (1) KR20200087458A (ko)
WO (1) WO20201460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0760B2 (ja) 1996-06-24 1998-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278249A (ja) 2001-03-21 2002-09-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DE60304379T2 (de) 2002-01-31 2007-02-01 Ricoh Co., Ltd. Tonernachfüllvorrichtung und damit versehene Entwicklungsvorrichtung für ein Bilderzeugungsgerät
US6925268B2 (en) * 2003-03-21 2005-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stimating toner levels
JP2004354666A (ja) 2003-05-29 2004-12-16 Seiko Epson Corp トナー消費量演算装置および方法と画像形成装置
JP5201309B2 (ja) 2006-11-30 2013-06-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0085538A (ja) 2008-09-30 2010-04-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補給方法
US8666264B2 (en) 2010-06-03 2014-03-04 Casio Computer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refilling method therefor
JP2013117558A (ja) 2011-12-01 2013-06-13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16114921A (ja) 2014-12-15 2016-06-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駆動装置の異常判定方法、トナー充填装置、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69594B2 (ja) 2015-06-26 2018-01-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6010A1 (en) 2020-07-16
EP3814847A4 (en) 2022-03-23
US11320774B2 (en) 2022-05-03
US20210325807A1 (en) 2021-10-21
EP3814847A1 (en) 202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282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remaining amount detecting method
JP4282266B2 (ja) 電子写真測定システム
US11442380B2 (en) Controlling toner refill by using toner refill cartridge
US88919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waste developer control
US11294301B2 (en) Detecting toner injection amount of toner refill cartridge
KR20200087458A (ko) 토너 잔여율 추정
JP2014228632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20076909A (ja) 画像形成装置
JP7254510B2 (ja) 画像形成装置
US11416724B2 (en) Toner supply control in image forming apparatus by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JP2004347929A (ja) 画像形成装置
US11385585B2 (en) Determination of remaining life of photoconductor
JPH092370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98490A (ja) 画像形成装置
JP6000624B2 (ja) 画像形成装置
US99103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oner development in an image forming device
JP2024046314A (ja) 画像形成装置、かぶりマージン決定方法およびかぶりマージン決定プログラム
JP200515712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21002015A (ja) 画像形成装置
JPS6336338Y2 (ko)
JP20151252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2325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56476A (ja) 印刷装置
JP2005010559A (ja) 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