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826A -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826A
KR20200082826A KR1020180173795A KR20180173795A KR20200082826A KR 20200082826 A KR20200082826 A KR 20200082826A KR 1020180173795 A KR1020180173795 A KR 1020180173795A KR 20180173795 A KR20180173795 A KR 20180173795A KR 20200082826 A KR20200082826 A KR 2020008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ning
extract
brownish
brown
supercri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미애
김숙정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8017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826A/ko
Publication of KR2020008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조성물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갈색거저리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항산화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식품, 사료 및 약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사육이 용이하여 경제적인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것이어서 내성이나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효과도 우수하므로, 상기 미백 조성물은 미백 화장품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TENEBRIO MOLITOR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 구체적으로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 케라틴 및 헤모글라빈의 농도 및 분포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자외선 등의 환경적 조건, 피로,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상기 피부색과 관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멜라닌이다.
멜라닌(흑색소, Melanin)은 인간 피부의 색을 나타내고 피부를 보호하고, 자외선(UV)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색소이다. 상기 멜라닌은 피부의 표피(epidermis)의 기저층(basal layer)에 있는 멜라노사이트 세포(melanocyte cells)에 의해 생산된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에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EC:1.14.18.1)가 작용하여 도파, 도파퀴논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상기 타이로시네이즈는 구리원자를 포함하는 금속이온 함유 모노옥시제나제(a copper-containing monooxygenase)중 하나로, 상기한 바와 같이, 멜라닌 생합성 경로(melanin biosynthesis pathway)에 있어서 중요한 효소(key enzyme)이다.
상기 멜라노사이트 세포에 의해 합성된 멜라닌은 주변 각질세포로 전이되어 사람의 피부색을 나타낸다.
상기 멜라닌이 피부에서 필요이상으로 과도하게 생성되면, 피부색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또는 점 등을 발생시키고, 과색소침착증 등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피부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색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 미에 대한 관심과 자기관리에 대한 욕구의 증가와 함께 피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기미나 점과 같은 피부의 잡티제거를 위해 피부 미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또 다른 측면에서 야외에서의 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의 증가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의 감소는 타이로시네이즈를 저해하거나, 자외선(UV)에 의한 노출을 감소시키거나, 멜라노사이트 세포를 저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중에서 기존 미백용 화장품과 관련해서는 타이로시네이즈를 저해할 수 있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미백용 화장품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화학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나 아스콜빈산, 코직산, 글루타치온과 같은 타이로시나제에 대해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피부 외용 연고나, 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미백을 실현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들은 주로 합성물질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거나, 그 효능의 측면이나 화장품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변질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자극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알러지(allergy) 유발이나 피부암 유도 등과 같은 문제가 제기되어 그 사용자체가 전면 금지되는 국가도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피부과의 처방이 필요한 약용으로 분류되어, 병원이나 약국에서 판매되는 외용 조성물에 한해서 전체 조성물 중 1% 미만의 농도를 첨가될 수 있는 것으로 규제되고 있다.
또한, 비타민 C 유도체인 아스콜빈산(ascorbic acid)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이나 변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고 그에 따라 미백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scorbyl-palmitate, Ascorbyl-dipalmitate, Ascorbyl stearare 또는 Ascorbyl magnesium phosphate 등의 유도체가 개발되고 있으나 특수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으면 피부 속으로 침투가 어렵다는 문제가 단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코직산은 경구 투여시 발암 가능성이 있어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더 필요하며,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아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천연재료로부터 분리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은 주로 페놀 구조(phenol structure)를 가지거나 금속 킬레이트 효소(metal chelating agent)로, 상기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들은 활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독성(high toxicity)과 불충분한 투과성(insufficient penetrative ability)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까지의 미백제보다 효능이 뛰어나고 좀 더 안전한 미백용 화장품의 유효성분 일 예로, 멜라닌 자체를 분해할 수 있는 성분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KR 10-2018-0097100A KR 10-2018-0033405A KR 10-2018-0006699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피부 미백에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Tenebrio molitor)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의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박일 수 있다.
상기 미백 조성물은 미백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또는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Tenebrio molitor)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박, 더욱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180분 동안 추출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미백 효과 및 제조 수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다 한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상기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을 미생물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180분 동안 추출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박을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효성분이란 미백 조성물,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미백 효과를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개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통풍을 포함한 특정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부작용이나 내성 등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없는 천연물질 유래의 미백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구하던 중, 최근 인간이나 동물의 영양성분으로 활용가능한 음식물이 아닌 다른 물질로 사육이 가능하면서도 사육 효율이 높으면서도 다양한 기능성을 가져,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품 원료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곤충 또는 곤충의 유충 중에서 미백 효과, 구체적으로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효과가 우수한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기존의 미백활성 조성물에 사용된 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나 코직산과 같이 안전성에 문제가 있거나, 글루타치온 또는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과 같이 불쾌한 냄새 등으로 인한 제형 상의 문제가 있지 아니한 것을 확인하였고,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미백 조성물 내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추출방법 및 추출용매의 측면에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초임계 추출법을 수행하되,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180분 동안 추출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박이 미백 효과가 가장 우수하고, 추가적으로 추출대상인 갈색거저리 분말을 제조함에 있어서, 갈색거저리 건조과정 및 조건과 추출물 제조 후 후처리 공정인 발효 조건에 있어서, 미생물 발효 특히 유산균 발효를 진행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백 조성물은 약학 용도 또는 화장품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미백 조성물은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초임계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180분 동안 추출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박일 수 있다.
상기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곤충으로, 갈색쌀거저리라고도 불리운다. 몸길이는 약 15 mm이고, 몸 빛깔이 구룡충(구룡거저리)과 비슷해 어두운 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상기 갈색거저리는 머리에 점들이 있으나 촘촘히 나 있지 않으며, 촉각(더듬이)의 끝마디는 길이와 나비가 같다. 앞가슴등판은 정사각형이고, 뒷가두리의 새로홈은 뚜렷하며, 복판은 나비가 넓은 오각형이다. 상기 갈색거저리의 유충은 밀웜(mealworm)이라 하여 먹이곤충이나 애완용으로 많이 사육하는데, 유충기간은 약 10 주이나 인공 사육시 약 2 주이다. 상기 밀웜은 변태기간이 비교적 짧으며 곡식을 먹이로 하여 매우 청결하기 때문에 애완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상기 갈색거저리는 육류보다 단백질 함량이 풍부하며 지방 함량이 낮기 때문에 단백질 보급원으로 매우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어 대체식량자원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기타 산업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미백 효과 및 제조 수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추출과정을 수행한 이후, 미생물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180분 동안 추출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박을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추출 과정 이후에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통상적 방법으로 건조된 추출물의 건조물과 통상적 방법으로 농축된 추출물의 농축물, 상기 추출물, 건조물 또는 농축물의 희석액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수득한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멜라닌이란 흑갈색의 색소로서 피부, 털 또는 눈 등에 존재한다. 일정량 이상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자외선의 침투를 차단하여 인체를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해주며, 상기 멜라닌의 양에 의해 피부색이 결정된다.
상기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는 경우에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변이 유발되는 한편, 반대로 외부 환경 요인 등에 의해 과잉 생산되는 경우,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초 침착 및 피부 잡티의 원인이 되어 미용적인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피부암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멜라닌을 분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은 미백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갈색거저리와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부작용이나 독성 등의 안전성이 문제되지 아니하고, 추출수율도 우수하므로, 상기 미백 조성물은 여러 측면에서 우수한 상품성을 갖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과 관련하여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하고 안전성이 인정되어,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류,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또는 비타민 C이거나, 이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 또는 이들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일 수 있고,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또는 케라틴 등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후, 정제과정을 거쳐 취득할 수 있으며,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다당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또는 콘드로이틴 황산 등일 수 있고, 그들의 염(나트륨염 등)등 일 수 있다. 상기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일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일 수 있고, 상기 해초 엑기스에는 상기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포함된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은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또는 정제수 등일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은 구체적으로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 등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는 일 예로,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 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릴 또는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일 수 있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는 일 예로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또는 와셀린 등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는 일 예로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유지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또는 경화피마자유 등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또는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또는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또는 아미드아민형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및 이들의 복합 안료 등일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일 예로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안료는 일 예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 오렌지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는 일 예로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 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사불화에틸렌 등일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미백 효과와 관련하여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식품, 의약품, 화장품 및 사료 등으로 다양한 사용법이 연구되고 있는 곤충인 갈색거저리와 안전한 용매인 이산화탄소 및 GRAS 미생물인 유산균을 이용한 것이므로 부작용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고, 안전성도 인정되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미백을 포함한 멜라닌과 관련된 다양한 용도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의 추출조건에 따른 미백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가로축은 초임계 추출조건에 따른 결과이고, 세로축은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든 실험결과는 최소한 3회 이상 반복하여 평균치로 표시하였고, 각 군과의 비교는 ANOVA test를 이용하여 각각 p<0.05인 경우를 유의성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 실시예 .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최적 미백 효과 확인]
실시예 1.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된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갈색거저리 시료는 전라남도 소재의 녹색곤충㈜ 에서 사육한 갈색거저리를 이용하였다. 갈색거저리 시료는 상기 녹색곤충㈜에서 공급받은 갈색거저리 유충을 36시 동안 절식시킨 후 마이크로웨이브건조기(2450MHz)를 이용하여 10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 함량 6% 이내로 건조시켜 갈색거저리 유충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시료 추출물 제조는 갈색거저리 유충 시료로부터 지방을 제거하고 단백질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각각 헥산 추출법 및 초임계 추출법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헥산 추출법은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시료 100 g에 헥산 1 kg, 2 kg 및 3 kg를 첨가하고, 상온, 구체적으로 15 내지 20℃에서 180분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 후에, 추출물은 감압여과하여 회수하였고, 추출물 즉, 헥산 탈지 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추출박 시료는 24시간 동안 후드(Hood)에 방치하여 잔존하는 헥산을 제거하였다.
또한, 초임계 추출법은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을 각 300g씩 초임계추출기(ISA-SEFE-0500-0700-080, Ilshin autoclave co., Ltd,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40, 50 및 60℃의 3가지 온도조건에서 180분간 CO2를 추출용매로 추출하였다. 상기 초임계 추출과정을 완료한 후, 물은 이 끝난 후, 완전 농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추출박은 따로 회수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갈색거저리 추출물 종류에 따른 미백활성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갈색거저리 추출물에 의한 미백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갈색거저리 추출물에 의한 미백활성은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타이로시나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미백 효과 측정에 사용된 세포 B16F10은 Korean Cell Line Bank(KCLB, Seoul, Korean)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구입한 B16F10 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BRL Co., Grand Island, NY, USA) 및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함유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 배지에 100 nM α-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 - MSH, Sigma-Aldrich Co., S t. Louis, MO, USA)를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생존율 측정시약 3-[4,5-dimethyl 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MTT), L-DOPA, L-tyrosine, arbutin, dimethyl sulfoxide(DMSO) 등은 Sigma-Aldrich C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Tyrosinase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Texas, CA,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MiTF 및 2차항체는 Abcam (Cambridge, M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시료의 미백활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우선, 상기 B16F10 세포에 α-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인산완충액(pH 7.4)으로 세척한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 침전물을 얻어 1%(w/v) triton X-100을 함유한 10 mM phosphate buffer(pH 6.8)를 100 μL를 가하고 5분간 흔든 후, 세포와 용액을 모두 eppendorf tube로 이전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측정에 이용하였다. 약물 처치 후 얻은 상층액은 96 well plate에 40 μL를 분주하고,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7.2)에 녹인 10 mM L-DOPA 200 μL를 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Tyrosinase에 의해 생성된 DOPA chrome은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의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대비 각 추출물의 저해 활성과 양성대조군인 알부틴을 처리한 대조군(Arbutin)의 저해 활성을 확인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 조건에서 초임계 추출을 한 경우가, 다른 온도 조건에서 추출한 것에 비하여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과 관련된 미백활성의 측면 및 추출수율의 측면에서 갈색거저리를 50℃에서 초임계 추출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180분 동안 추출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400 bar의 압력 조건 및 50℃의 온도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180분 동안 추출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초임계 추출박을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73795A 2018-12-31 2018-12-31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20200082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95A KR20200082826A (ko) 2018-12-31 2018-12-31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95A KR20200082826A (ko) 2018-12-31 2018-12-31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26A true KR20200082826A (ko) 2020-07-08

Family

ID=7160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795A KR20200082826A (ko) 2018-12-31 2018-12-31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0303A (zh) * 2021-09-06 2021-12-31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黄粉虫粪生物炭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699A (ko) 2016-07-11 2018-01-19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염증성 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3405A (ko) 2016-09-24 2018-04-03 서종완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7100A (ko) 2017-02-22 2018-08-3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699A (ko) 2016-07-11 2018-01-19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염증성 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3405A (ko) 2016-09-24 2018-04-03 서종완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7100A (ko) 2017-02-22 2018-08-3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0303A (zh) * 2021-09-06 2021-12-31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黄粉虫粪生物炭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101006A (ja) 表皮ブドウ球菌由来のグリセロール産生促進剤、皮膚表皮角化細胞由来の抗菌ペプチド産生促進剤、およびそれらの皮膚保護用外用剤への利用
KR20100094614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08236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347097B1 (ko)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1236212B1 (ko) 하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96294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20011697A (ko) 리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20200082826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284899B1 (ko) 황기 펩타이드 숙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7529A (ko)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4373B1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2196158B1 (ko)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2223A (ko) 리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394459B1 (ko)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102017078B1 (ko) 매실을 이용한 복령 균사체 배양액 추출물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9125B1 (ko) 도고온천수를 이용하여 배양된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618301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1540A (ko) 대왕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JP2005255613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