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097B1 -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 Google Patents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097B1
KR101347097B1 KR1020110040703A KR20110040703A KR101347097B1 KR 101347097 B1 KR101347097 B1 KR 101347097B1 KR 1020110040703 A KR1020110040703 A KR 1020110040703A KR 20110040703 A KR20110040703 A KR 20110040703A KR 101347097 B1 KR101347097 B1 KR 101347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ubcritical
whitening
seaweed
m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509A (ko
Inventor
마승진
정재천
고기봉
서한수
윤병재
강혜숙
최유리
김후경
곽안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씨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씨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씨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1004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09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미백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내성이나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조건은 수율 측면에서도 가장 우수한 효과를 가지므로,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 및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 제조방법은 미백 화장품을 포함한 미백효과가 요구되는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A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SALICORNIA HERBACEA EXTRACT}
본 발명은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 케라틴 및 헤모글라빈의 농도 및 분포에 따라 결정되어 지고, 상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자외선 등의 환경적 조건, 피로,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상기 피부색과 관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멜라닌이다.
멜라닌(흑색소, Melanin)은 인간 피부의 색을 나타내고 피부를 보호하고, 자외선(UV)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색소이다. 상기 멜라닌은 피부의 표피(epidermis)의 기저층(basal layer)에 있는 멜라노사이트 세포(melanocyte cells)에 의해 생산된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에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 EC:1.14.18.1)가 작용하여 도파, 도파퀴논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상기 타이로시나아제는 구리원자를 포함하는 금속이온 함유 모노옥시제나제(a copper-containing monooxygenase)중 하나로, 상기한 바와 같이, 멜라닌 생합성 경로(melanin biosynthesis pathway)에 있어서 중요한 효소(key enzyme)이다. 상기 멜라노사이트 세포에 의해 합성된 멜라닌은 주변 각질세포로 전이되어 사람의 피부색을 나타낸다.
상기 멜라닌이 피부에서 필요이상으로 과도하게 생성되면, 피부색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또는 점 등을 발생시키고, 과색소침착증 등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피부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색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 미에 대한 관심과 자기관리에 대한 욕구의 증가와 함께 피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기미나 점과 같은 피부의 잡티제거를 위해 피부 미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또 다른 측면에서 야외에서의 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의 증가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의 감소는 타이로시나아제를 저해하거나, 자외선(UV)에 의한 노출을 감소시키거나, 멜라노사이트 세포를 저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중에서 기존 미백용 화장품과 관련해서는 타이로시나아제를 저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므로, 상기 타이로시나아제 저해제는 미백용 화장품을 포함한 미백 제품의 유효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미백용 화장품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화학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나 아스콜빈산, 코직산, 글루타치온과 같은 타이로시나아제에 대해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피부 외용 연고나, 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미백을 실현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들은 주로 합성물질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거나, 그 효능의 측면이나 화장품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변질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자극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알러지(allergy) 유발이나 피부암 유도 등과 같은 문제가 제기되어 그 사용자체가 전면 금지되는 국가도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피부과의 처방이 필요한 약용으로 분류되어, 병원이나 약국에서 판매되는 외용 조성물에 한해서 전체 조성물 중 1% 미만의 농도를 첨가될 수 있는 것으로 규제되고 있다.
또한, 비타민 C 유도체인 아스콜빈산(ascorbic acid)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이나변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고 그에 따라 미백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scorbyl-palmitate, Ascorbyl-dipalmitate, Ascorbyl stearare 또는 Ascorbyl magnesium phosphate 등의 유도체가 개발되고 있으나 특수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으면 피부 속으로 침투가 어렵다는 문제가 단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코직산은 경구 투여시 발암 가능성이 있어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더 필요하며,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아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천연재료로부터 분리한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은 주로 페놀 구조(phenol structure)를 가지거나 금속 킬레이트 효소(metal chelating agent)로, 상기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들은 활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독성(high toxicity)과 불충분한 투과성(insufficient penetrative ability)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천연재료로 안전성이 보장되면서도, 미백활성이 우수하고, 제조수율이 뛰어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피부 미백에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미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나 내성 등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없는 천연물질 특히, 염전 등에서 자생하는 염생식물 유래의 미백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구하던 중, 염전 등에서 자생하는 염생식물로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 안전성이 보장된 함초 추출물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을 연구하였으며, 상기 연구 과정 중에서 함초 아임계 추출물이 기존의 타이로시나아제를 저해할 수 있으며, 특히 아임계 조건에 따라 타이로시나아제 저해활성 즉, 미백활성과 화장품에 요구되는 항산화활성이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부터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나아가 상기 최적의 미백활성을 가지는 조건에서 최적의 수율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백 활성이 뛰어난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함초(Salicornia herbacea)란 명아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퉁퉁마디라고도 하고, 전체 모양이 산호를 닮았다고 하여 산호초라고도 한다. 상기 함초는 한국 특히, 한국의 서해안, 일본, 중국 및 인도 등지에 분포하며, 주로 바닷가나 개펄에서 자란다. 상기 함초는 바닷물과 주로 가까운 개펄이나 염전 주변에 무리 지어 자라는 염생식물로, 일반 육상식물과 달리 바닷물을 흡수하여 생육한다. 상기 함초의 줄기는 육질이고 원기둥 모양이며, 가지가 마주 달리고, 퇴화한 비늘잎이 마주 달리며, 마디가 튀어나와 있어서, 이 때문에 퉁퉁마디라고 불리운다. 상기 함초의 꽃은 8 내지 9월에 녹색으로 피고, 가지의 위쪽 마디 사이의 오목한 곳에 3개씩 달린다. 상기 함초의 열매는 포과로서, 납작한 달걀 모양이고 10월에 익는데, 화피로 싸이고 검은 종자가 들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supercritical fluid)란 물질이 액체와 기체의 두 상태가 서로 분간할 수 없게 되는 임계상태에서의 온도와 이때의 증기압 즉, 그의 임계점보다 높은 온도와 압력하에 있을 때 즉, 초임계점 이상의 상태에 있는 유체를 의미하며, 아임계 유체(sub-supercritical fluid)란 초임계 유체와 거의 비슷한 성격을 가진 유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임계 추출법이란 상기 아임계 유체, 구체적으로 임계온도보다 낮고, 증기압보다 높은 압력에서 형성되는 기체와 액체의 성질을 모두 갖는 아임계 유체를 이용한 추출법을 의미한다. 상기 아임계 유체가 물로부터 제조되는 경우, 즉 아임계 상태의 물은 비유전율이 상온상압의 조건의 유기용매와 비슷해져 소수성 물질도 용해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아임계 유체로 물을 이용하는 경우, 무독성의 물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인체 및 환경에 대해 유해성 논란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압력 및 온도 조건에 따라 미백활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이 변화되었으며, 특정 온도 또는 압력 보다 상승되거나, 특정 온도 또는 압력 보다 감소하는 경우 오히려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이 변화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추가로 아임계 용매로 수용매를 이용하는 경우 안전성도 보장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확인된 결과로부터 상기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2 MPa 내지 4 MPa의 아임계 수를 이용한 함초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170℃ 내지 250℃의 조건,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0℃의 조건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2 MPa 내지 4 MPa, 바람직하게는 2.5 MPa 내지 3.5 MPa, 구체적으로 3 MPa 및 17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95℃ 내지 2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0℃의 조건에서 추출된 아임계 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아임계 추출물의 아임계 용매가 아임계 수라는 측면에서 아임계수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아임계 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란 측면에서, 2 MPa 내지 4 MPa, 바람직하게는 2.5 MPa 내지 3.5 MPa, 구체적으로 3 MPa의 아임계 수를 이용한 함초 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함초 추출물은 17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95℃ 내지 2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0℃의 조건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은 미백 효과가 요구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멜라닌과 관련하여 멜라닌의 과다 생성을 제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외용 약학 조성물에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2 MPa 내지 4 MPa의 아임계 수를 이용하여 170℃ 내지 250℃의 조건에서 추출한 함초(Salicornia herbacea)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MPa 내지 4 MPa의 아임계 수를 이용하여 170℃ 내지 250℃의 조건에서 추출한 함초(Salicornia herbacea)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최적의 미백 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2 MPa 내지 4 MPa, 바람직하게는 2.5 MPa 내지 3.5 MPa, 구체적으로 3 MPa에서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특정 온도 이상의 온도 조건 또는 특정 온도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는 오히려 추출수율이 떨어지며, 270℃ 이상, 보다 제한적으로는 240℃ 이상의 온도에서 아임계추출을 수행하는 경우, 함초 아임계 추출물에서 탄 냄새와 같은 기호성 및 풍미를 해치는 냄새와 향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이러한 냄새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240℃ 이하, 바람직하게는 220℃ 이상에서 생산하여야 함을 확립하였고, 상기 확인된 생산 수율 및 최종 제품의 풍미를 고려하면, 최적의 추출 온도 조건은 17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95℃ 내지 2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0℃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함초(Salicornia herbacea) 분말을 물, 일 예로 증류수에 첨가하고, 2 MPa 내지 4 MPa의 압력조건 및 170℃ 내지 250℃의 온도조건에서 아임계 추출법을 수행하여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백 활성을 갖는 함초 아임계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함초 아임계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함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함초 분말을 물, 일 예로 증류수에 첨가하고 2 MPa 내지 4 MPa의 압력조건 및 170℃ 내지 250℃의 온도조건에서 아임 추출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초(Salicornia herbacea) 분말을 물, 일 예로 증류수에 첨가하고, 2 MPa 내지 4 MPa의 압력조건 및 170℃ 내지 250℃의 온도조건에서 아임 추출법을 수행하여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함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함초 분말을 물, 일 예로 증류수에 첨가하고 2 MPa 내지 4 MPa의 압력조건 및 170℃ 내지 250℃의 온도조건에서 아임계 추출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응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알 수 있는 공지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흑갈색의 색소로서 피부, 털 또는 눈 등에 존재한다. 일정량 이상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자외선의 침투를 차단하여 인체를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해주며, 상기 멜라닌의 양에 의해 피부색이 결정된다.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는 경우에 백반증과 같은 피부 병변이 유발되는 한편, 반대로 외부 환경 요인 등에 의해 과잉 생산되는 경우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초 침착 및 피부 잡티의 원인이 되어 미용적인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피부암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멜라닌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은 미백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멜라닌 분해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식품으로 오랫동안 사용한 함초에 대해 안전성이 인정되는 물 즉, 수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임계 추출물이므로 부작용이나 독성 등의 안전성이 문제되지 아니하여서, 상기 미백 조성물은 여러 측면에서 우수한 상품성을 갖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2 MPa 내지 4 MPa, 바람직하게는 2.5 MPa 내지 3.5 MPa, 구체적으로 3 MPa 및 17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95℃ 내지 2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0℃의 조건에서 추출된 아임계 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아임계 추출물의 아임계 용매가 아임계 수라는 측면에서 아임계수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아임계 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란 측면에서, 2 MPa 내지 4 MPa, 바람직하게는 2.5 MPa 내지 3.5 MPa, 구체적으로 3 MPa의 아임계 수를 이용한 함초 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함초 추출물은 17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95℃ 내지 2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0℃의 조건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피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0.001 중량% 내지 50 중량% 또는 0.01 중량% 내지 25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능, 즉,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뛰어나고, 안전성이 인정되어,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류,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또는 비타민 C이거나, 이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 또는 이들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일 수 있고,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또는 케라틴 등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후, 정제과정을 거쳐 취득할 수 있으며,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다당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또는 콘드로이틴 황산 등일 수 있고, 그들의 염(나트륨염 등)등 일 수 있다. 상기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일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일 수 있고, 상기 해초 엑기스에는 상기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포함된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은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또는 정제수 등일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은 구체적으로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 등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는 일 예로,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릴 또는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일 수 있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는 일 예로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또는 와셀린 등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는 일 예로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유지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또는 경화피마자유 등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또는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또는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는 일 예로,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또는 아미드아민형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및 이들의 복합 안료 등일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일 예로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안료는 일 예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 오렌지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는 일 예로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사불화에틸렌 등일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2 MPa 내지 4 MPa, 바람직하게는 2.5 MPa 내지 3.5 MPa, 구체적으로 3 MPa 및 17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95℃ 내지 2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0℃의 조건에서 추출된 아임계 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아임계 추출물의 아임계 용매가 아임계 수라는 측면에서 아임계수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아임계 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란 측면에서, 2 MPa 내지 4 MPa, 바람직하게는 2.5 MPa 내지 3.5 MPa, 구체적으로 3MPa의 아임계 수를 이용한 함초 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함초 추출물은 17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95℃ 내지 2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20℃의 조건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일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이 제제화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또는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1일 0.000001 ㎎/㎏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 내지 10㎎/㎏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의 외용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되거나 수 회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함초 아임계 추출물 분해물은 멜라닌 생합성의 주요 효소인 타이로시나아제의 저해 활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식용으로 사용된 함초로부터 추출한 것이므로, 부작용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고, 안전성도 인정되며, 기존에 그 사용용도가 제한되어, 폐기물로 처리될 수 있는 함초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최적의 활성을 갖는 추출물을 최적의 수율로 제조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피부 미백을 포함한 멜라닌과 관련된 다양한 용도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초 아임계 추출물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위해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함초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추출대상인 함초는 전라남도 개펄에서 수득한 함초를 하기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우선 비교군으로 사용되는 함초 열수 추출물은 상기 수득한 함초(Salicornia Herbacia)를 40℃의 조건에서 냉풍건조법으로 48시간 동안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함초를 마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함초 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함초 분말에 대해 열수 추출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수 추출물은 증류수 200 mL에 상기 제조된 함초 분말 20g을 첨가하고, 95℃에서 4시간 동안 열수추출법을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된 열수 추출액은 15℃까지 냉각한 후, 여과지(Whatman No.2)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한 후, -40℃에서 동결건조하여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열수 추출물은 실험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예인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아임계 추출장치(TPR-I, T-04231, TAIATSU TECHNO, 일본)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된 함초 분말 각 20 g을 증류수 200 mL에 첨가한 후, 상기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조건을 0.5 MPa 내지 5 MPa으로 조절하고, 온도조건은 90℃ 내지 240℃으로 조절하면서 각각 1분간 반응시켜 함초 아임계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함초 아임계 추출액은 15℃까지 냉각한 후, 여과지(Whatman No.2)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40℃에서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 조건별 아임계 추출물은 실험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함초 아임계 추출물과의 미백활성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험군인 각 조건별 함초 아임계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교군인 함초 열수 추출물의 미백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함초 아임계 추출물 및 상기 함초 열수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효소인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 from mushroom, Sigma, USA)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0.5 mL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0.1 M, pH 6.8), 0.78 mL의 증류수(distilled water) 및 0.02 mL의 타이로시나아제 용액(Tyrosinase solution in 0.1M PBS, pH 6.8, 2500 unit/mL)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 아임계 추출 조건별 실험군 또는 열수 추출물 0.2 mL을 크벳(cuvette)에 첨가하고 혼합한 후, 25℃에서 6분 동안 반응(pre-incubation)시켰다. 상기 반응시킨 반응액에 0.5 mL의 기질(substrate) 용액, 구체적으로 L-3,4-Dihydroxyphenylalanine(L-DOPA, Sigma, USA) 용액(in distilled water, 10 mM)를 크벳(cuvette)에 첨가 후 25℃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후에, 상기 실험군과 비교군의 타이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은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생성양을 확인하였다. 아무런 시료를 넣지 않고, 증류수를 0.2 mL 첨가한 대조군의 측정값인 7.69 mg(dry wt. equi)/mL에 대한 측정값을 각 시료의 활성으로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추출물의 양을 조절하면서, 타이로시나아제의 활성을 50%까지 저해할 수 있는 양을 측정하여,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IC50값으로 나타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추출 온도(Reaction temperature)




추출압력 90℃ 120℃ 150℃ 180℃ 210℃ 240℃
0.5MPa 7.2% 12.4% 20.6% 36.7% 45.6% 53.1%
1MPa 21.4% 29.9% 42.8% 50.7% 58.7% 76.1%
3MPa 41.9% 47.2% 54% 60.1% 73% 77.1%
5MPa 35% 39.7% 45.1% 49.5% 64% 74.7%
열수 추출물 32.3%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IC50 mg/mL)
추출 온도(Reaction temperature)




추출압력 90℃ 120℃ 150℃ 180℃ 210℃ 240℃
0.5MPa 21.25 12.65 8.90 5.72 5.06 3.96
1MPa 8.39 5.71 4.26 4.89 4.03 3.03
3MPa 4.13 3.60 3.60 3.56 3.20 2.75
5MPa 4.89 4.42 4.27 3.95 3.64 2.98
열수 추출물 5.76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같은 온도의 경우, 추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다가, 3 MPa에서 가장 우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5 MPa에서 오히려 저해 활성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상기 3 MPa에서 추출된 추출물이 다른 압력 조건에서 추출된 추출물에 비하여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약 10% 내지 30% 정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미백활성을 갖는 함초의 아임계 추출물 제조를 위한 최적 제조 압력은 3 MP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3 MPa의 조건에서 추출하는 경우에는 실험을 수행한 모든 온도에서 비교예인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온도 조건과 관련하여, 각 압력조건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이되었고, 특히 180℃ 이상에서 추출된 아임계 추출물의 경우, 모든 압력 조건에서 비교군인 함초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타이로시아나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240℃에서 추출한 아임계 추출물의 경우에는 그 정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모든 압력 조건에서 추출한 아임계 추출물에서 탄 냄새가 느껴졌으며, 경우에 따라너슨 탄 냄새가 강하게 느껴졌고, 실험적으로 270℃에서 아임계 추출을 수행한 경우 생성된 추출물에서는 탄 냄새가 매우 강하게 느껴져 식품이나 화장품 재료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산된 함초 아임계 추출물은 최종적으로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과 같은 외용 조성물이나 식품 조성물에 사용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270℃는 아임계 추출 온도조건으로 바람직학지 않고, 적어도 240℃ 이하의 온도에서 추출하여야 하며, 대부분의 압력 조건에서 240℃와 활성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고, 최종 추출물에서 탄 냄새와 같은 기호성과 관련된 문제점이 전혀 지적되지 아니한 210℃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함초 아임계 추출조건에 따른 최적 추출수율의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함초 아임계 추출물과 관련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3 MPa 조건에서 각 온도 조건 별 아임계 추출물 추출 수율을 확인하여, 추출 수율에 따른 최적 추출조건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용매 추출물과 관련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열수 추출물과 함께 상기 실시예 1의 용매 추출법에서 용매를 물 대신 100% 메탄올 용매 및 100% 에탄올 용매로 대체하고, 추출온도를 80℃에서 15℃로 조절하여 메탄올 용매 추출액 및 에탄올 용매 추출액을 제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추출물 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추가 실험을 수행하여, 이 결과를 상기 표 3에 같이 표시하였다. 상기 추출수율은 추출과정에서 사용된 함초 분말 각 20 g을 기준으로 용매를 제거한 후 최종 수득된 추출물의 양을 측정하여 %(w/w)값으로 표시하였다.
수율(%(w/w))

아임계
추출
(3MPa)




90℃ 45.0
120℃ 44.2
150℃ 50.6
180℃ 55.6
210℃ 60.7
240℃ 55.2
열수 추출물(95℃/ 4hr) 48.4
에탄올 추출물(15℃/ 4hr) 10.9
메탄올 추출물(15℃/ 4hr) 21.7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의 경우, 약 10% 내지 20% 정도의 낮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의 경우 48.4%의 수율을 나타내어 용매 추출의 경우 유기용매 보다는 수용매가 추출수율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타이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3 MPa에서 아임계 추출을 수행한 경우, 120℃까지는 오히려 열수 추출보다 수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온도가 상승하면서 추출수율이 향상되어, 150℃에서는 오히려 추출수율이 향상되었고, 210℃에서 가장 높은 수율이 확인되어,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에 비해서는 약 300% 내지 600%의 수율을, 열수 추출에 비해서도 약 125%의 수율인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240℃에서는 오히려 추출 수율이 감소되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추출수율이 감소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실험을 수행한 270℃에서도 약 50% 대의 추출수율이 확인되어 이를 뒷받침하였다. 또한, 상기 270℃에서는 추출과정에서부터 탄 냄새가 확인되었고, 최종 수득한 추출물에서 탄 냄새가 매우 강하였고, 240℃의 경우에도 일정 수준 탄 냄새를 느낄 수 있었으나, 210℃에서는 210℃ 보다 낮은 다른 온도 조건과 같이 탄 냄새가 느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추출물은 화장품과 같은 외용 조성물이나 식품 조성물에 사용되기 위한 것이므로, 풍미와 관련된 점을 무시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가장 주된 용도인 미백활성과 관련하여,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하고, 추출 수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된 조건인 3 MPa 및 210℃에서 수용매를 이용하여 함초 아임계 수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예 :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조성물의 제조
상기 미백활성이 확인된 함초 아임계 추출물 분해물이 포함된 미백 조성물의 다양한 제제를 하기 표 4 내지 표 8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1. 유연 화장수의 제조
번 호 성분명(원 료) 단위(중량 %)
1 함초 아임계 추출물 0.5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피마자유 0.5
5 에탄올 6.0
6 향료, 방부제, 색소 적량
7 정제수 잔량
합 계(Total) 100.0
제조예 2. 영양로션 제조
번 호 성분명(원 료) 단위(중량 %)
1 함초 아임계 추출물 0.5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카보머 0.1
5 트리에탄올아민 0.1
6 스쿠알란 4.0
7 유동파라핀 3.0
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4.0
9 스테아린산 1.0
10 에틸알코올 1.0
1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5
12 폴리솔베이트60 1.5
13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14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1.0
15 향료, 방부제, 색소 적량
16 정제수 잔량
합 계(Total) 100.0
제조예 3. 영양크림의 제조
번 호 성분명(원 료) 단위(중량 %)
1 함초 아임계 추출물 0.2
2 글리세린 5.0
3 부틸렌글리콜 5.0
4 카보머 0.2
5 트리에탄올아민 0.2
6 스쿠알란 5.0
7 유동파라핀 3.5
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4.5
9 스테아린산 1.5
10 에틸알코올 2.0
11 밀납 1.0
12 바세린 2.0
1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14 폴리솔베이트60 1.5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16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1.5
17 향료, 방부제, 색소 적량
18 정제수 잔량
합 계(Total) 100.0
제조예 4. 에센스의 제조
번 호 성분명(원 료) 단위(중량 %)
1 함초 아임계 추출물 0.2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2-올레이트 1.50
4 세라마이드 0.7
5 세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합 계(Total) 100.0
제조예 5. 친수성 연고제의 제조
번 호 성분명(원 료) 단위(중량 %)
1 함초 아임계 추출물 0.5
2 백색 바세린 25.0
3 스테아릴 알콜 22.0
4 에칠(또는 메칠) p-옥시벤조에이트 0.25
5 프로필렌 글리콜 12.0
6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7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0.15
8 향료, 방부제, 색소 등 기타 부형제 잔량

Claims (5)

  1. 함초(Salicornia herbacea) 분말을 물에 첨가하고, 3 MPa의 압력조건 및 210℃의 온도조건에서 아임계 추출법을 수행하여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백 활성을 갖는 함초 아임계 추출물의 제조방법.
  2. 3 MPa의 압력조건 및 210℃의 온도조건의 아임계 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함초(Salicornia herbacea)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40703A 2011-04-29 2011-04-29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1347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03A KR101347097B1 (ko) 2011-04-29 2011-04-29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03A KR101347097B1 (ko) 2011-04-29 2011-04-29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09A KR20120122509A (ko) 2012-11-07
KR101347097B1 true KR101347097B1 (ko) 2014-01-10

Family

ID=4750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703A KR101347097B1 (ko) 2011-04-29 2011-04-29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6B1 (ko) 2015-06-12 2016-01-21 조영희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421B1 (ko) * 2012-12-31 2019-07-0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흑미로부터 향기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WO2015093662A1 (ko) * 2013-12-19 2015-06-25 에이치씨바이오텍 주식회사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3869A (ko) 2019-12-11 2021-06-21 (주)셀턴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노간주 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88538B1 (ko) * 2021-06-08 2021-08-12 주식회사 어헤즈 미네랄 성분과 바이오틱스 물질을 포함하는 탈모증상 완화를 위한 헤어 또는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041A (ko) * 2008-03-27 2009-10-01 김인 생약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2137B1 (ko) 2010-07-30 2011-03-17 정애리시 함초유의 제조방법
KR20110029893A (ko) * 2009-09-16 2011-03-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양파로부터 퀘르세틴을 추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041A (ko) * 2008-03-27 2009-10-01 김인 생약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9893A (ko) * 2009-09-16 2011-03-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양파로부터 퀘르세틴을 추출하는 방법
KR101022137B1 (ko) 2010-07-30 2011-03-17 정애리시 함초유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함초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화장품에의 응용",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02.) *
"함초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화장품에의 응용",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0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6B1 (ko) 2015-06-12 2016-01-21 조영희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09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47097B1 (ko)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8406B1 (ko)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0708236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10000356A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1236212B1 (ko) 하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20011697A (ko) 리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20120036011A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00040606A (ko)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604373B1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55395B1 (ko) 굴피나무의 수피, 심재,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6669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394459B1 (ko)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100702891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200082826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