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991A -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991A
KR20200078991A KR1020180168424A KR20180168424A KR20200078991A KR 20200078991 A KR20200078991 A KR 20200078991A KR 1020180168424 A KR1020180168424 A KR 1020180168424A KR 20180168424 A KR20180168424 A KR 20180168424A KR 20200078991 A KR20200078991 A KR 20200078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ster
test data
slave
uni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186B1 (ko
Inventor
홍기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186B1/ko
Priority to US16/587,458 priority patent/US11049583B2/en
Priority to CN201910971615.1A priority patent/CN111354411B/zh
Publication of KR2020007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8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with adaption or trimming of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9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data integrity, e.g. data losses, bit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06F3/0611Improving I/O performance in relation to response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8Controller constru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1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in voltage or current gener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3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in clock generator or timing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05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voltage or current gener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1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I/O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15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clock generation or timing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4Implementation of control logic, e.g. test mode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8Address generation devices; Devices for accessing memories, e.g. details of address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8Address generation devices; Devices for accessing memories, e.g. details of addressing circuits
    • G11C29/30Accessing single arrays
    • G11C29/32Serial access; Scan 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38Response ver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46Test trigger log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슬레이브 및 마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는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고, 기준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생성한 판정결과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SEMICONDUCTOR SYSTEM WITH TRAINING}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시스템의 동작이 고속화됨에 따라 마스터(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 CPU 또는 GPU)에서 제공된 신호를 슬레이브(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가 정확히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트레이닝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트래이닝 기능은 커맨드 트래이닝, 라이트(Write) 트래이닝 또는/및 리드(Read) 트래이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라이트 트래이닝은 마스터가 미리 정해진 패턴의 데이터를 슬레이브에 전송하고, 슬레이브가 마스터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다시 마스터로 전송하며, 마스터가 슬레이브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판정하고 즉, 패스/페일(Pass/Fail)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기준으로 데이터 아이(Data eye)의 센터를 검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래이닝 수행 시간 단축 및 트래이닝 동작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슬레이브 및 마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는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고, 기준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생성한 판정결과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하도록 구성될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슬레이브 및 마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는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병렬화하기 위한 파이프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기준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테스트 데이터의 패스 여부를 판정하여 생성한 판정결과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 하고, 상기 판정결과 데이터의 데이터 아이 센터를 검출하는 제 1 트래이닝 동작과,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파이프 레지스터에 라이트 하였다가 리드하고 리드된 상기 테스트 데이터의 패스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트래이닝 동작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은 트래이닝 수행 시간 단축 및 트래이닝 동작의 정확도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트래이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메모리 뱅크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제어 회로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판정 회로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트래이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어 회로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트래이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트래이닝 예를 들어, 라이트 트래이닝 동작은 슬레이브(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의 초기화 구간(예를 들어, 파워 업 이후 또는/및 초기 레지스터 셋업 이후), 리프레쉬 동작 이후 또는/및 동작 환경(온도 또는 전압) 변화 등이 발생한 경우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트래이닝 동작은 마스터(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의 요청 시마다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가 슬레이브에 정해진 명령(예를 들어, 액티브 명령)을 제공하여 메모리 액티브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01).
마스터가 정해진 명령(예를 들어, 라이트 명령)과 어드레스를 제공하여,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슬레이브의 메모리 뱅크들(Memory Bank) 중에서 정해진 어느 하나의 메모리 뱅크(예를 들어, BKa)에 기준 데이터를 저속으로 기록한다(S102).
기준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S102)에 비해 추후 언급할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 또는/및 기록하는 동작이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단계(S102)에서 "저속"은 그 이후의 단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린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오류 발생 확률은 고속 동작에 비해 저속 동작 시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단계(S102)가 저속 특히, 데이터 전송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로 이루어지므로 메모리 뱅크(BKa)에 기준 데이터가 안정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마스터가 정해진 명령(예를 들어, 라이트 명령)과 어드레스를 제공하여,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슬레이브의 메모리 뱅크 (예를 들어, BKi)에 데이터 즉, 테스트 데이터를 기록한다(S103).
마스터는 테스트 데이터를 고속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고속"은 상기 단계(S102)의 "저속"에 비해 높은 속도를 의미한다. 즉, 상기 단계(S102)의 동작 주파수에 비해 상기 단계(S103)의 동작 주파수가 높을 수 있다.
테스트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트 각각은 마스터가 미리 알고 있는 패턴(비트 수 및 형식)을 가질 수 있다.
마스터는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의 최종 조정 단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마스터는 판단 결과(S104),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의 최종 조정 단계가 아닌 경우,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을 변경한다(S105).
마스터가 메모리 뱅크(BKi)가 풀(Full) 상태인지 즉,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여분의 메모리 셀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
마스터는 슬레이브의 저장 용량 및 각 메모리 뱅크의 사용 정보 등을 알고 있다. 따라서 단계(S103)에서 전송한 테스트 데이터로 인해 해당 메모리 뱅크(BKi)가 풀(Full)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마스터는 판단 결과(S106), 메모리 뱅크(BKi)가 풀 상태가 아니면 슬레이브의 메모리 뱅크(BKi)에 테스트 데이터를 기록한다(S103).
한편, 마스터는 판단 결과(S106), 메모리 뱅크(BKi)가 풀(Full) 상태이면 슬레이브의 다른 메모리 뱅크(BKj)에 테스트 데이터를 기록한다(S107).
이때 단계(S107)는 메모리 뱅크(BKi)가 풀(Full) 상태이면 슬레이브의 다른 메모리 뱅크(BKj)에 테스트 데이터를 기록한 예를 든 것이나, 필요에 따라(예를 들어, 트래이닝의 편의성 또는 메모리 어드레스 지정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메모리 뱅크(BKi)가 풀(Full) 상태가 아니더라도 슬레이브의 다른 메모리 뱅크(BKj)에 테스트 데이터를 기록할 수 도 있다.
마스터는 판단 결과(S104),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의 최종 조정 단계인 경우, 테스트 데이터 기록 완료를 슬레이브에 알릴 수 있다.
슬레이브는 기준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패스/패일(Pass/Fail)을 판정한 판정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판정결과 데이터를 또 다른 메모리 뱅크(예를 들어, BKm)에 기록한다(S108).
슬레이브는 테스트 데이터 기록 완료를 인지한 이후부터 판정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테스트 데이터 기록 완료를 인지하는 것과 무관하게 테스트 데이터가 기록되는 시점부터 순차적으로 판정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슬레이브는 판정결과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메모리 뱅크(BKm)에 기록된 판정결과 데이터를 마스터로 전송한다(S109).
마스터는 최종 트래이닝 과정 예를 들어, 슬레이브에서 전송된 판정결과 데이터의 데이터 아이(Data Eye) 센터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10).
마스터는 검출된 데이터 아이의 센터에 해당하는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을 저장하고, 추후 노멀 동작을 위한 기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트래이닝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데이터 아이의 센터에 해당하는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은 마스터에 저장됨은 물론이고, 슬레이브의 모드 레지스터 등에 저장함으로써 슬레이브의 동작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초의 트래이닝 이후에는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을 기 설정된 전 범위만큼 가변시켜 가며 트래이닝을 수행하지 않고, 이전 트래이닝 동작에서 검출된 데이터 아이의 센터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을 시작점으로 설정하여 트래이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트래이닝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트래이닝 방법은 중간의 리드 과정 없이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라이트 하는 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트래이닝 방법은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분할하여 라이트 및 리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테스트 데이터의 양은 추후 기술할 파이프 레지스터의 총 기억 용량에 비해 클 수 있다. 상술한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분할하여 라이트 및 리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은 반도체 시스템의 리프레쉬 동작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라이트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데이터 리텐션(Retension) 시간 이내이면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라이트하고, 그렇지 않으면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분할하여 라이트 및 리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이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반도체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100)은 마스터(101) 및 슬레이브(105)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101)는 기준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슬레이브(105)의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들 중에서 정해진 영역들 각각에 라이트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101)는 슬레이브(105)에서 제공된 판정결과 데이터의 데이터 아이 센터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1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GPU와 같은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슬레이브(105)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101)와 슬레이브(105) 사이에는 데이터 채널(107)과 커맨드/어드레스 채널(108)이 연결될 수 있다.
마스터(101)와 슬레이브(105)는 데이터 채널(107)을 통해 데이터(DQ)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101)는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기 저장된 테스트 데이터를 데이터 채널(107)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마스터(101)는 커맨드/어드레스 채널(108)을 통해 슬레이브(105)에 커맨드/어드레스(C/A)를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101)는 액티브, 라이트, 리드 등의 명령 및 어드레스와, 기준 전압(VREF) 가변을 위한 정보를 커맨드/어드레스(C/A)에 인코딩(Encoding)할 수 있다.
마스터(101)는 반도체 시스템(100)의 동작 상태 즉, 노멀 동작/트래이닝 동작에 따라 커맨드/어드레스(C/A)에 서로 다른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
마스터(101)는 슬레이브(105)의 노멀 동작 및 트래이닝 동작과 관련하여 슬레이브(10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로직(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101)의 제어 로직은 하드 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저장된 테스트 데이터 출력 동작과, 커맨드/어드레스(C/A) 생성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101)는 송신기(102)(TX) 및 수신기(RX)(10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02)는 지연시간 가변이 가능한 지연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101)는 송신기(102)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가변시킴으로써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마스터(101)는 슬레이브(105)에서 전송된 판정결과 데이터를 수신기(103)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105)는 메모리 코어(110), 제어 회로(120), 제 1 수신기(130), 송신기(140), 제 2 수신기(150) 및 판정 회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신기(130)는 마스터(101)에서 데이터 채널(107)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DQ)를 기준 전압(VREF)에 따라 수신하여 메모리 코어(110)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140)는 메모리 코어(1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채널(107)을 통해 마스터(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제 2 수신기(150)는 마스터(101)에서 커맨드/어드레스 채널(108)을 통해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수신하여 제어 회로(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0)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디코딩하여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들(ctrl) 및 기준 전압(VREF)을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 코어(110)는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들 즉, 복수의 메모리 뱅크들(BK)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코어(110)는 제 1 수신기(13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노멀 라이트 데이터, 기준 데이터 또는/및 테스트 데이터)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메모리 뱅크들(예를 들어, BKa, BKi)에 저장하거나, 메모리 뱅크(예를 들어, BKm)에 저장된 데이터(노멀 리드 데이터, 테스트 데이터 또는/및 판정결과 데이터)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리드하여 메모리 코어(11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판정 회로(170)는 메모리 코어(110)의 정해진 메모리 뱅크들(BKa, BKi) 각각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판정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하고, 생성된 판정결과 데이터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정해진 메모리 뱅크(BKm)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판정 회로(170)는 하나의 구성예일 뿐, 슬레이브(105)에 BIST(Built-in Self Test) 회로 또는 병렬 테스트 회로 등과 같은 테스트 회로가 구비된 경우 해당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메모리 뱅크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뱅크(BK)는 복수의 워드 라인들(WL)과 복수의 비트 라인들(BL)에 연결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M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제어 회로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20)는 디코딩 회로(121) 및 기준전압 생성회로(1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 회로(121)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디코딩하여 제어신호들(ctrl)과 기준 전압(VREF) 가변을 위한 정보 즉, 기준전압 코드신호(CODE_VREF)를 생성할 수 있다.
디코딩 회로(121)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디코딩하여 제어신호들(ctrl) 및 기준전압 코드신호(CODE_VREF)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전압 생성회로(123)는 기준전압 코드신호(CODE_VREF)에 기초하여 기준전압(VREF)을 생성하며, 기준전압(VREF)의 레벨은 기준전압 코드신호(CODE_VREF)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준전압 생성회로(123)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판정 회로(170)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판정 회로(170)는 적어도 하나의 판정 유닛(171)을 포함할 수 있다.
판정 유닛(171)은 제 1 로직 게이트(173), 제 2 로직 게이트(174) 및 제 3 로직 게이트(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로직 게이트(173)는 기준 데이터(DATA_REF)와 테스트 데이터(DATA_TEST)를 부정 논리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2 로직 게이트(174)는 기준 데이터(DATA_REF)와 테스트 데이터(DATA_TEST)를 부정 논리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3 로직 게이트(175)는 제 1 로직 게이트(173)의 출력과 제 2 로직 게이트(174)의 출력을 배타적 논리합하여 판정결과 데이터(DATA_JUDGE)로서 출력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DATA_REF)는 기술한 바와 같이, 저속 전송됨에 따라 오류 없이 목표로 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판정 유닛(171)은 테스트 데이터(DATA_TEST)의 값이 기준 데이터(DATA_REF)의 값과 동일하면 판정결과 데이터(DATA_JUDGE)를 패스(Pass)를 의미하는 로직 하이(또는 로우 로우)의 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판정 유닛(171)은 테스트 데이터(DATA_TEST)의 값이 기준 데이터(DATA_REF)의 값과 다르면 판정결과 데이터(DATA_JUDGE)를 패일(Fail)을 의미하는 로직 로우(또는 로직 하이)의 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트래이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마스터가 현재의 트래이닝 동작이 최초의 트래이닝인지 또는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메모리 셀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201).
최초의 트래이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해당 슬레이브에 대한 트래이닝 동작 예를 들어, 라이트 트래이닝 동작이 이전까지 한번도 이루어진 적이 없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일 수 있다.
최초의 트래이닝인 경우 슬레이브의 메모리 셀에 어떠한 유효 데이터도 기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트래이닝을 위한 테스트 데이터 기록이 가능하다.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메모리 셀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슬레이브에 대한 트래이닝이 이미 이루어졌더라도 메모리 셀들 중에서 현재 유효 데이터가 없는 메모리 셀들 즉, 테스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여분의 메모리 셀들이 트래이닝에 사용할 만큼 충분한 경우, 여분의 메모리 셀들을 이용하여 트래이닝을 위한 테스트 데이터 기록이 가능하다.
판단 결과(S201), 현재의 트래이닝 동작이 최초의 트래이닝이거나,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메모리 셀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을 경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트래이닝 동작(S101 ~ S11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S201), 현재의 트래이닝 동작이 최초의 트래이닝이 아니며, 트래이닝 동작을 위한 여분의 메모리 셀들이 없는 경우 마스터는 슬레이브의 파이프 레지스터로 트래이닝을 위한 데이터 즉,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한다(S202).
파이프 레지스터는 슬레이브에서 데이터 병렬화를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며 이를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마스터는 파이프 레지스터가 풀(Full) 상태인지 또는 마스터의 테스트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마스터는 파이프 레지스터의 뎁스(Depth) 및 데이터 입/출력 처리 방식 예를 들어, 버스트 랭스(Burst Lengh)를 알고 있다.
따라서 마스터는 자신이 전송한 테스트 데이터의 양(비트 수)에 따라 파이프 레지스터가 풀 상태로 되는지를 알 수 있다.
판단 결과(S203), 파이프 레지스터가 풀 상태가 아니며, 마스터의 테스트 데이터 전송 요청이 없으면 상기 단계(S202)를 반복 수행한다.
한편, 판단 결과(S203), 파이프 레지스터가 풀 상태이거나, 마스터의 테스트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으면 파이프 레지스터에 저장된 테스트 데이터가 마스터로 전송되도록 한다(S204).
마스터는 수신한 테스트 데이터의 패스/페일을 판정하고(S205), 패스/페일 판정 결과에 따라 데이터 아이의 센터를 검출할 수 있다.
마스터는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의 최종 조정 단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6).
마스터는 판단 결과(S206),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의 최종 조정 단계가 아닌 경우,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을 변경한다(S207).
마스터는 정해진 모든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단계들(S202 ~ S207)를 반복한다.
마스터는 판단 결과(S206),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의 최종 조정 단계인 경우, 검출된 데이터 아이의 센터에 해당하는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을 저장 및 추후 노멀 동작을 위한 기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트래이닝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데이터 아이의 센터에 해당하는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은 마스터에 저장됨은 물론이고, 슬레이브의 모드 레지스터 등에 저장함으로써 슬레이브의 동작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초의 트래이닝 이후에는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을 기 설정된 전 범위만큼 가변시켜 가며 트래이닝을 수행하지 않고, 이전 트래이닝 동작에서 검출된 데이터 아이의 센터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타이밍 및 기준전압을 시작점으로 설정하여 트래이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트래이닝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트래이닝 방법은 중간의 리드 과정 없이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라이트 하는 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트래이닝 방법은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분할하여 라이트 및 리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테스트 데이터의 양은 파이프 레지스터의 총 기억 용량에 비해 클 수 있다. 상술한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분할하여 라이트 및 리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은 반도체 시스템의 리프레쉬 동작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라이트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데이터 리텐션(Retension) 시간 이내이면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라이트하고, 그렇지 않으면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테스트 데이터를 분할하여 라이트 및 리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트래이닝 방법은 테스트 데이터를 메모리 뱅크에 라이트하므로 용량의 한계가 거의 없다. 따라서, 파이프 레지스터의 용량 제한으로 인해 전체 테스트 데이터 중에서 일부만을 라이트하고 리드하여 패스/페일을 판정하고, 다시 나머지 테스트 데이터를 라이트하고 리드하여 패스/페일을 판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지 않아도 되므로 트래이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임은 물론이고, 노멀 동작 시 사용되는 메모리 뱅크에 테스트 데이터를 직접 라이트 및 리드하므로 트래이닝 동작의 신뢰도 또한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트래이닝 동작 이후 트래이닝을 위한 여분의 메모리 셀이 없는 경우에도 파이프 레지스터를 이용한 제 2 트래이닝 동작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래이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반도체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200)은 마스터(201) 및 슬레이브(205)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201)는 기준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슬레이브(205)의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들 중에서 정해진 영역들 각각에 라이트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201)는 슬레이브(205)에서 제공된 판정결과 데이터의 데이터 아이 센터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201)는 CPU 또는 GPU와 같은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슬레이브(205)는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201)와 슬레이브(205) 사이에는 데이터 채널(207)과 커맨드/어드레스 채널(208)이 연결될 수 있다.
마스터(201)와 슬레이브(205)는 데이터 채널(207)을 통해 데이터(DQ)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201)는 커맨드/어드레스 채널(208)을 통해 슬레이브(205)에 커맨드/어드레스(C/A)를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201)는 커맨드/어드레스(C/A)에 액티브, 라이트, 리드 등의 명령 및 어드레스, 트래이닝 제어에 관련된 정보 및 기준 전압(VREF) 가변을 위한 정보를 인코딩(Encoding)할 수 있다.
마스터(201)는 반도체 시스템(200)의 동작 상태 즉, 노멀 동작/최초 트래이닝 여부/트래이닝 동작을 위한 여분의 메모리 셀의 존재 여부에 따라 커맨드/어드레스(C/A)에 서로 다른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
마스터(201)는 슬레이브(205)의 노멀 동작 및 트래이닝 동작과 관련하여 슬레이브(20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로직(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201)의 제어 로직은 하드 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저장된 테스트 데이터 출력 동작과, 커맨드/어드레스(C/A) 생성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201)는 송신기(202)(TX) 및 수신기(RX)(20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02)는 지연시간 가변이 가능한 지연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201)는 송신기(202)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가변시킴으로써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마스터(201)는 슬레이브(205)에서 전송된 판정결과 데이터를 수신기(203)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205)는 메모리 코어(210), 제어 회로(220), 제 1 수신기(230), 송신기(240), 제 2 수신기(250), 파이프 레지스터(260), 데이터 경로 전환회로(270) 및 판정 회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신기(230)는 마스터(201)에서 데이터 채널(207)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DQ)를 기준 전압(VREF)에 따라 수신하여 메모리 코어(210)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240)는 파이프 레지스터(26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채널(207)을 통해 마스터(201)로 송신할 수 있다.
제 2 수신기(250)는 마스터(201)에서 커맨드/어드레스 채널(208)을 통해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수신하여 제어 회로(2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220)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디코딩하여 제어신호들(ctrl) 및 기준 전압(VREF)을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 코어(210)는 복수의 메모리 뱅크(BK)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코어(210)는 제 1 수신기(23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메모리 뱅크에 저장하거나, 메모리 뱅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리드하여 출력할 수 있다.
파이프 레지스터(260)는 메모리 코어(2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병렬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파이프 레지스터(260)는 메모리 코어(2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병렬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경로 전환회로(270)는 마스터(201)에서 파이프 레지스터(260)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다.
판정 회로(370)는 메모리 코어(210)의 정해진 메모리 뱅크들(BKa, BKi) 각각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판정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하고, 생성된 판정결과 데이터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정해진 메모리 뱅크(BKm)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판정 회로(370)는 하나의 구성 예일 뿐, 슬레이브(205)에 BIST(Built-in Self Test) 회로 또는 병렬 테스트 회로 등과 같은 테스트 회로가 구비된 경우 해당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판정 회로(370)는 도 5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201)에서 파이프 레지스터(260)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는 제 1 수신기(230)에서 메모리 코어(210)를 경유하지 않고 파이프 레지스터(260)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이다.
반도체 시스템(200)의 노멀 동작 시, 데이터 경로 전환회로(270)는 마스터(201)에서 파이프 레지스터(260)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차단할 수 있다.
반도체 시스템(200)의 트래이닝 동작이 최초의 트래이닝이거나,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테스트 데이터를 기록할 여분의 메모리 셀들이 있을 경우, 데이터 경로 전환회로(270)는 마스터(201)에서 파이프 레지스터(260)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트래이닝 동작이 최초의 트래이닝이 아니며, 트래이닝 동작을 위해 테스트 데이터를 기록할 여분의 메모리 셀들이 없는 경우, 데이터 경로 전환회로(270)는 마스터(201)에서 파이프 레지스터(260)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를 제어신호들(ctrl)에 따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200)에서 송신기(202), 데이터 채널(207), 커맨드/어드레스 채널(208), 제 1 수신기(230), 송신기(240), 제 2 수신기(250) 및 메모리 코어(21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반도체 시스템(100)의 송신기(102), 데이터 채널(107), 커맨드/어드레스 채널(108), 제 1 수신기(130), 송신기(140), 제 2 수신기(150) 및 메모리 코어(110)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220)는 디코딩 회로(221) 및 기준전압 생성회로(2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 회로(221)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디코딩하여 기준 전압(VREF) 가변을 위한 정보 즉, 기준전압 코드신호(CODE_VREF) 및 트래이닝 제어에 관련된 제어신호들(ctrl)을 생성할 수 있다.
디코딩 회로(221)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디코딩하여 기준전압 코드신호(CODE_VREF) 및 제어신호들(ctrl)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전압 생성회로(223)는 기준전압 코드신호(CODE_VREF)에 따라 가변된 레벨의 기준전압(VREF)을 생성할 수 있다.
기준전압 생성회로(223)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슬레이브 및 마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는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고, 기준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생성한 판정결과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은 메모리 뱅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뱅크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이닝 동작은
    상기 슬레이브의 초기화 구간에 수행되는 반도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이닝 동작은
    상기 슬레이브의 파워 업 이후, 상기 슬레이브의 파워 업 이후와 리프레쉬 동작 이후 또는 상기 슬레이브의 파워 업 이후와 상기 리프레쉬 동작 이후 및 상기 마스터 요청 시 수행되는 반도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상기 기준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 중에서 제 1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하고,
    상기 테스트 데이터 전체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 중에서 제 2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는
    상기 판정결과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 중에서 제 3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상기 트래이닝 동작과 관련된 커맨드/어드레스,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로직,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 및
    상기 판정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지연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테스트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기준 전압에 따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수신기,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
    상기 마스터에서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수신기,
    상기 커맨드/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내부 커맨드/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전압의 레벨을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제어회로, 및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판정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판정 회로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9. 슬레이브 및 마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는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병렬화하기 위한 파이프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기준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테스트 데이터의 패스 여부를 판정하여 생성한 판정결과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 하고, 상기 판정결과 데이터의 데이터 아이 센터를 검출하는 제 1 트래이닝 동작과,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파이프 레지스터에 라이트 하였다가 리드하고 리드된 상기 테스트 데이터의 패스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트래이닝 동작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은 메모리 뱅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뱅크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래이닝 동작 및 상기 제 2 트래이닝 동작은
    상기 슬레이브의 파워 업 이후, 상기 슬레이브의 파워 업 이후와 리프레쉬 동작 이후 또는 상기 슬레이브의 파워 업 이후와 상기 리프레쉬 동작 이후 및 상기 마스터 요청 시 수행되는 반도체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상기 기준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 중에서 제 1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하고,
    상기 테스트 데이터 전체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 중에서 제 2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 중에서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위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테스트 데이터의 양은 상기 파이프 레지스터의 총 기억 용량에 비해 큰 반도체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상기 슬레이브의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에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여분의 영역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트래이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는
    커맨드/어드레스,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로직,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 및
    상기 판정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지연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을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테스트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시스템.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기준 전압에 따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영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1 수신기,
    상기 제 1 수신기에서 상기 파이프 레지스터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를 제어신호들에 따라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경로 전환회로,
    상기 파이프 레지스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
    상기 마스터에서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수신기,
    상기 커맨드/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어신호들 및 상기 기준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 및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판정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판정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래이닝 동작 시,
    상기 데이터 경로 전환회로는 상기 제어신호들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기에서 상기 파이프 레지스터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를 차단하는 반도체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노멀 동작 시, 상기 데이터 경로 전환회로는 상기 제어신호들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기에서 상기 파이프 레지스터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를 차단하는 반도체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래이닝 동작 시,
    상기 데이터 경로 전환회로는 상기 제어신호들에 따라 상기 제 1 수신기에서 상기 파이프 레지스터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를 연결하는 반도체 시스템.
KR1020180168424A 2018-12-24 2018-12-24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 KR10264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424A KR102648186B1 (ko) 2018-12-24 2018-12-24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
US16/587,458 US11049583B2 (en) 2018-12-24 2019-09-30 Semiconductor system with a training operation
CN201910971615.1A CN111354411B (zh) 2018-12-24 2019-10-14 具有训练操作的半导体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424A KR102648186B1 (ko) 2018-12-24 2018-12-24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991A true KR20200078991A (ko) 2020-07-02
KR102648186B1 KR102648186B1 (ko) 2024-03-18

Family

ID=7109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424A KR102648186B1 (ko) 2018-12-24 2018-12-24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49583B2 (ko)
KR (1) KR102648186B1 (ko)
CN (1) CN1113544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446A (ko) * 2021-12-08 2023-06-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장 장치, 호스트 장치 및 그들의 동작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342A (ko) * 2000-08-30 2002-10-11 실리콘 이미지, 인크. 데이터 아이 트래킹을 사용하는 데이터 회복
US20030105999A1 (en) * 2001-12-05 2003-06-05 Koss Louise A. Apparatus for random access memory array self-test
US20080005493A1 (en) * 2006-06-30 2008-01-03 Hynix Semiconductor Inc. Multi-port memory device with serial input/output interface
JP2009239327A (ja) * 2008-03-25 2009-10-15 Fujitsu Ltd データ伝送システム、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
KR20110100467A (ko) * 2010-03-04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트레이닝 최적화 방법
US20130069678A1 (en) * 2011-09-20 2013-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gin testing integrated circuits
KR101254647B1 (ko) * 2012-08-13 2013-04-15 주식회사 유니테스트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테스트장치
KR101527690B1 (ko) * 2014-10-10 2015-06-11 (주) 에이블리 낸드 플래시 메모리 테스트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60034961A (ko) * 2013-09-27 2016-03-30 인텔 코포레이션 메모리 제어기의 판독 트레이닝
US20160211035A1 (en) * 2015-01-20 2016-07-21 Sandisk Technologies Inc. Selective Online Burn-In with Adaptive and Delayed Verification Methods for Memor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9728B2 (en) 2000-11-13 2004-12-07 Wu-Tung Cheng Full-speed BIST controller for testing embedded synchronous memories
US7294998B2 (en) * 2002-12-13 2007-11-13 Advantest Corp. Timing gener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test device having the timing generation circuit
JP5013394B2 (ja) * 2005-09-13 2012-08-2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435833B2 (ja) * 2006-01-24 2010-03-24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試験装置および選択装置
US7596730B2 (en) * 2006-03-31 2009-09-29 Advantest Corporation Test method, test system and assist board
JP4854604B2 (ja) * 2007-06-20 2012-01-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それを搭載したカード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8683164B2 (en) 2009-02-04 2014-03-25 Micron Technology, Inc. Stacked-die memory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stacked-die memory systems
US8310291B2 (en) * 2010-11-17 2012-11-13 Apple Inc. DLL having a different training interval during a voltage change
KR20130064990A (ko) * 2011-12-09 2013-06-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기준전압생성회로 및 이를 이용한 내부전압생성회로
US8874973B2 (en) * 2012-10-26 2014-10-28 Lsi Corporation Methods and structure to assure data integrity in a storage device cache in the presence of intermittent failures of cache memory subsystem
KR102047938B1 (ko) * 2013-05-28 2019-11-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160068550A (ko) * 2014-12-05 2016-06-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멀티 칩 패키지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US20160314821A1 (en) 2015-04-22 2016-10-27 Mediatek Inc. Method for accessing multi-port memory module, method for increasing write ports of memory module and associated memory controller
KR102405054B1 (ko) * 2015-11-27 2022-06-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78982A (ko) 2018-12-24 2020-07-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342A (ko) * 2000-08-30 2002-10-11 실리콘 이미지, 인크. 데이터 아이 트래킹을 사용하는 데이터 회복
US20030105999A1 (en) * 2001-12-05 2003-06-05 Koss Louise A. Apparatus for random access memory array self-test
US20080005493A1 (en) * 2006-06-30 2008-01-03 Hynix Semiconductor Inc. Multi-port memory device with serial input/output interface
JP2009239327A (ja) * 2008-03-25 2009-10-15 Fujitsu Ltd データ伝送システム、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
KR20110100467A (ko) * 2010-03-04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트레이닝 최적화 방법
US20130069678A1 (en) * 2011-09-20 2013-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gin testing integrated circuits
KR101254647B1 (ko) * 2012-08-13 2013-04-15 주식회사 유니테스트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테스트장치
KR20160034961A (ko) * 2013-09-27 2016-03-30 인텔 코포레이션 메모리 제어기의 판독 트레이닝
KR101527690B1 (ko) * 2014-10-10 2015-06-11 (주) 에이블리 낸드 플래시 메모리 테스트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20160211035A1 (en) * 2015-01-20 2016-07-21 Sandisk Technologies Inc. Selective Online Burn-In with Adaptive and Delayed Verification Methods for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49583B2 (en) 2021-06-29
CN111354411B (zh) 2023-11-28
KR102648186B1 (ko) 2024-03-18
CN111354411A (zh) 2020-06-30
US20200202969A1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103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writing multiple parameter codes for memory operating parameters
US11195571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with data input
KR20200078982A (ko)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KR100809690B1 (ko) 저속 테스트 동작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방법
US9818493B2 (en) Memory device, memor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emory device
US7765442B2 (en) Memory device testable without using data and dataless test method
KR20190132788A (ko) 스토리지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 방법
US683929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lumn decoder enable timing in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KR20160121270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테스트 방법
KR20210033593A (ko) 메모리 모듈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648186B1 (ko) 트래이닝 기능을 갖는 반도체 시스템
KR20220030487A (ko)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9362005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parallel bit test and test method thereof
KR20210040707A (ko)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1152052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test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56420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emiconductor memor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lf refresh cycle thereof
US8370568B2 (en) Memory interface and adaptive data access method
CN114566205A (zh) 存储芯片的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12309444B (zh) 存储器接口电路、存储器存储装置及设定状态检测方法
US11947382B2 (en) Measuring a timing margin of a memory device using an internal oscilloscope
US6950921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grated memory unit partitioned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US9287010B1 (en) Repair system for semiconductor apparatus and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CN117334241A (zh) 测试方法、测试结构及存储器
CN114582412A (zh) 存储芯片的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12035053A (zh) 存储器存储装置及其运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