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260A -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260A
KR20200077260A KR1020180166608A KR20180166608A KR20200077260A KR 20200077260 A KR20200077260 A KR 20200077260A KR 1020180166608 A KR1020180166608 A KR 1020180166608A KR 20180166608 A KR20180166608 A KR 20180166608A KR 20200077260 A KR20200077260 A KR 20200077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electronic control
mounting assembly
main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647B1 (ko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166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6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하나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는, 전자제어장치, 전자제어장치의 하면이 안착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전자제어장치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차량에 고정되어 메인프레임과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여, 전자제어장치를 차량에 결합하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전자제어장치에 별도의 결합부를 구비하지 않으며, 브라켓에 전자제어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가 구비되어 별도의 공정없이 전자제어장치가 간편하게 결합되고 전자제어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Electric Control Unit Mounting Assembly}
본 실시예들은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제어장치가 간편하게 차량에 결합되고 전자제어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 Electric Control Unit)가 구비되어, 차량에 설치된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의 안전성 및 조향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차량에는 주변 물체를 인식하여 차량과의 거리, 상대속도, 방향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처리하는 레이더 전자제어장치(Radar ECU)가 구비되어 주변 차량 등이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레이더 전자제어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결합방법이 달라 그 구조를 다르게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따라서 동일한 품질로 관리하기 어렵고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전자제어장치를 차량에 결합하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전자제어장치에 별도의 결합부를 구비하지 않으며, 브라켓에 전자제어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가 구비되어 별도의 공정없이 전자제어장치가 간편하게 결합되고 전자제어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자제어장치, 전자제어장치의 하면이 안착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전자제어장치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브라켓, 차량에 고정되어 메인프레임과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자제어장치를 차량에 결합하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전자제어장치에 별도의 결합부를 구비하지 않으며, 브라켓에 전자제어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가 구비되어 별도의 공정없이 전자제어장치가 간편하게 결합되고 전자제어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도 2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 도 8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도 2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 도 10 내지 도 11은 도 2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100)는 전자제어장치(101), 전자제어장치(101)의 하면이 안착되는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전자제어장치(101)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07)를 포함하는 브라켓(103), 차량에 고정되어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105)을 포함한다.
이러한 브라켓(103)은 후술할 지지부(107) 및 탄성지지부(131) 등이 소정의 강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POM(Polyacetal), PA(Polyamide),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제어장치(101)는 차량에 구비되어 각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기능을 수행하는데, 차량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105)에 브라켓(103)을 매개로 결합되게 된다.
브라켓(103)은 전자제어장치(101)의 하면이 안착되는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전자제어장치(101)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07)를 포함한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메인프레임(110)은 전자제어장치(101)의 하면에 알맞은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고,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지지부(107)가 전자제어장치(101)의 측면에 지지됨으로서 전자제어장치(101)가 브라켓(103)에 결합되게 된다.
메인프레임(110)에는 결합부(141)가 구비되어 결합부재(161)에 의해 브라켓(103)이 마운팅브라켓(105)에 결합되는데, 즉 전자제어장치(101)가 차량에 직접 결합되기 위해 별도의 결합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01)의 설치방식과 무관하게 전자제어장치(101)를 동일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전자제어장치(101)의 품질관리가 용이해지고 원가가 절감된다. 결합부(141), 결합부재(11) 및 마운팅브라켓(161)의 결합방식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부(107)는 끝단이 전자제어장치(101)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제 1 지지부(111)와 끝단이 전자제어장치(101)의 상면보다 위로 연장되는 제 2 지지부(121)를 포함하되, 제 1 지지부(111)에는 내측면에 전자제어장치(101)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 1 돌출부(113)가 구비되어, 제 1 돌출부(113)는 끝단면이 전자제어장치(101)의 측면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제 2 지지부(121)에는 내측면에 전자제어장치(101)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 2 돌출부(123)가 구비되어, 제 2 돌출부(123)는 하면이 전자제어장치(101)의 상면에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제 1 지지부(111)와 제 2 지지부(121)는 각각 둘 이상 구비되되, 제 1 지지부(111)는 전자제어장치(101)가 측방향으로 고정되도록 메인프레임(110)의 가장자리에 위치되고, 제 2 지지부(121)는 메인프레임(110)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 1 지지부(111)가 메인프레임(110)의 각 측면에 위치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101)가 메인프레임(110) 상에서 측방향으로 고정되게 되는데, 이 때 제 1 지지부(111)의 내측면에 제 1 돌출부(113)가 구비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101)가 결합될 때 제 1 지지부(111)가 외측으로 벌어되며 전자제어장치(101)의 측면을 내측으로 탄성지지하여 전자제어장치(101)가 고정되게 된다.
제 1 지지부(111)가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제 1 돌출부(113)가 전자제어장치(101)의 각 측면에 지지됨에 따라, 제 1 돌출부(113)와 전자제어장치(101)의 측면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노이즈가 감소된다.
일례로, 전자제어장치(101)와 메인프레임(110)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 1 지지부(111)가 메인프레임(110)의 각 변에 구비되어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전자제어장치(101)의 측면을 탄성지지하여 전자제어장치(101)가 메인프레임(110) 상에서 측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제 1 돌출부(113)는 원형돌기로 형성되되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전자제어장치(101)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며 브라켓(103)에 결합될 때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벌어져 별도의 공정없이 간편하게 전자제어장치(101)를 브라켓(103)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121)가 메인프레임(110)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위치됨으로써, 제 2 돌출부(123)에 의해 전자제어장치(101)가 상하방향으로 고정될 때 브라켓(10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 돌출부(123)가 전자제어장치(101)의 어느 일측에서만 상면에 지지된다면 전자제어장치(101)가 브라켓(103)에서 쉽게 이탈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2 지지부(121)는 메인프레임(110)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위치된다.
제 2 지지부(121)는 외측으로 벌어진 후 전자제어장치(101)가 삽입되고, 내측으로 복원되며 제 2 돌출부(123)가 전자제어장치(101)의 상면에 지지되게 된다.
이 때, 제 1 지지부(111)와 제 2 지지부(121)에는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되는 부위에 절개부(115,125)가 구비될 수 있는데, 따라서 제 1 지지부(111)와 제 2 지지부(121)의 강성이 낮아져 전자제어장치(101)가 삽입될 때 외측으로 쉽게 벌어져 전자제어장치(101)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2 돌출부(123)는 상면이 경사지게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101)의 결합이 더욱 간편해질 수 있다.
즉, 전자제어장치(101)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될 때, 전자제어장치(101)의 하면과 측면의 경계가 제 2 돌출부(123)의 상면에 지지되게 되고, 전자제어장치(101)를 하측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제 2 지지부(121)가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벌어져 별도의 공정없이 간편하게 전자제어장치(101)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제 2 돌출부(123)는 전자제어장치(101)의 상면에 지지되는 면적이 넓도록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 2 돌출부(123)의 상면에 가이드홈(127)이 구비되고 전자제어장치(101)에는 하면에 가이드홈(127)에 대응되는 돌기부(129)가 구비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101)의 결합이 정밀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자제어장치(101)가 브라켓(103)에 결합될 때 먼저 돌기부(129)가 가이드홈(127)에 맞물리며 브라켓(103) 상에서 전자제어장치(101)가 결합되는 위치가 결정되고, 그 후 삽입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101)를 빠르고 정확하게 브라켓(103)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메인프레임(110)에는 상측으로 벤딩형성되는 탄성지지부(107)가 구비되어 전자제어장치(101)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전자제어장치(101)가 결합될 때 탄성지지부(107)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탄성지지부(107)가 상측으로 전자제어장치(101)를 탄성지지함에 따라 전자제어장치(101)가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며 또한 전자제어장치(101)의 상면과 제 2 돌출부(123)의 하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노이즈가 감소된게 된다.
이러한 탄성지지부(107)는 메인프레임(110)을 "ㄷ"자 형으로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를 상측으로 벤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지지부(107)의 하측에는 빈공간(133)이 형성될 수 있는데, 탄성지지부(107)가 하측으로 가압될 때 빈공간(133)에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탄성지지부(107)의 가동범위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107)는 메인프레임(110)과 연결된 일단부로부터 전자제어장치(101)의 하면에 지지되는 타단부까지 기울기가 점차 낮아지며 타단부가 메인프레임과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101)의 결합이 용이해지며 결합된 후에는 전자제어장치(101)의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자제어장치(101)가 결합되는 초기에는 일단에서 먼 부위가 전자제어장치(101)의 하면에 지지되며 가압되므로 탄성지지부(107)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 전자제어장치(101)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그 후, 전자제어장치(101)가 삽입되면 탄성지지부(107)가 가압되는 부위가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방향(L)으로 이동됨에 따라 탄성지지부(107)의 변형량이 커져 상측으로 큰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01)가 상하로 고정되어 진동이 방지된다.
한편, 메인프레임(110)에는 외곽테두리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며 중심부에 결합공(143)이 형성된 결합부(141)가 구비되고 결합부(141)에는 결합부재(161)가 결합되되, 결합부재(161)는 상하로 관통된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마운팅브라켓(105)에 구비되는 지지기둥(151,153)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전자제어장치(101)가 결합된 브라켓(103)이 마운팅브라켓(105)에 결합되어, 전자제어장치(101)가 차량에 직접 결합되기 위해 별도의 결합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결합부재(161)의 하단부에는 하측끝단까지 절개되는 슬릿(163)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결합부(141)의 내경부가 삽입되는 원주홈(165)이 구비된다.
즉, 슬릿(163)이 오므라들며 결합부재(161)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결합공(143)에 삽입되고, 슬릿(163)이 탄성력에 의해 펴지며 원주홈(165)에 결합부(141)의 내경부가 삽입되며 결합부재(161)가 결합부(141)에 상하방향 및 경방향으로 고정된다. 원주홈(165)은 슬릿(163)에 의해 분할되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61)는 결합공(143)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측끝단이 경방향으로 확장형성되어 결합부(141)의 하면에 지지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결합부재(161)가 결합부(1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기둥(151,153)의 상단부에는 구형상의 삽입부(155)가 구비되고, 결합부재(161)에는 내주면에 삽입부(15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155)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지지기둥(151,153)과 결합부재(161)가 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155)가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안착부(1001)가 구비됨으로써, 결합부재(161)와 지지기둥(151,153)가 쉽게 결합되며, 삽입부(155)와 안착부(1001)가 미끄러지며 결합부재(161)의 회전이 가능하여 후술할 전자제어장치(101)의 위치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지지기둥(151,153)은 두 개 이상 구비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기둥(151)은 마운팅브라켓(105)과 나사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퇴함에 따라 전자제어장치(101)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즉, 나머지 지지기둥(153)은 마운팅브라켓(105)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기둥(153)에 결합된 결합부재(16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나사결합된 지지기둥(151)이 전진 또는 후퇴하며 브라켓(103)이 회전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기둥(151,153)과 결합부(141)가 세 쌍 구비되되, 브라켓(103)의 서로 마주보는 외곽테두리에 구비되는 두 개의 결합부(141)가 마운팅브라켓(105)과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기둥(153)과 각각 결합되고, 그와 이격되는 다른 결합부(141)가 마운팅브라켓(105)과 나사결합되는 지지기둥(151)과 결합되어, 마주보는 두 결합부(141)를 잇는 직선이 브라켓(103)의 회전축이 되며 전자제어장치(101)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다만, 지지기둥(151,153)과 결합부(141)의 위치 및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위치에 다른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제어장치의 위치가 조정가능함으로서 각 차량의 종류별 특성에 따라 전자제어장치를 원하는 방향 및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안착부(1001)는 결합부재(161)의 내주면 상단부에 구비되고, 결합부재(161)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자제어장치(101)의 위치가 조정될 때 결합부재(161)는 삽입부(155)에 지지되며 회전되는데 그 회전중심이 상단부에 위치됨으로써, 지지기둥(151,153)과 결합부재(161) 내주면이 지지되며 결합부재(161)의 과도한 회전에 대해 스토핑작용을 할 수 있다.
다만, 결합부재(161)의 내경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커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101)의 위치가 조정되기 위한 가동범위가 확보되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에 의하면, 마운팅브라켓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지지부가 구비되어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가 차량에 직접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전자제어장치의 설치방식과 무관하게 전자제어장치를 동일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전자제어장치의 품질관리가 용이해지고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지지부가 전자제어장치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제 1 지지부와 상면보다 위로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그에 전자제어장치의 측면과 상면을 지지하는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가 메인프레임 상에서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에는 절개부가 구비되어 강성이 낮아짐으로써, 전자제어장치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2 돌출부는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될 때 제 2 지지부가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벌어져 별도의 공정없이 전자제어장치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제 2 돌출부에는 상면에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전자제어장치에는 하면에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전자제어장치의 결합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에 전자제어장치의 하면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가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며 전자제어장치의 상면과 제 2 돌출부의 하면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노이즈가 감소된다.
또한, 메인프레임의 결합부와 마운팅브라켓의 지지기둥이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됨으로써 전자제어장치를 차량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지지기둥 중 일부가 마운팅브라켓에 나사결합됨으로서 전자제어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01: 전자제어장치
103: 브라켓 105: 마운팅브라켓
107: 지지부 110: 메인프레임
111: 제 1 지지부 113: 제 1 돌출부
115,125: 절개부 121: 제 2 지지부
123: 제 2 돌출부 127: 가이드홈
129: 돌기부 131: 탄성지지부
141: 결합부 143: 결합공
151,153: 지지기둥 155: 삽입부
161: 결합부재 163: 슬릿
165: 원주홈 1001: 안착부

Claims (15)

  1. 전자제어장치;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하면이 안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브라켓;
    차량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
    을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끝단이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제 1 지지부와 끝단이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상면보다 위로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지지부에는 내측면에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 1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에는 내측면에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 2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는 각각 둘 이상 구비되되,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측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부위에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면이 경사지게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에는 상면에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에는 하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측으로 벤딩형성되는 탄성지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하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하면에 지지되는 타단부까지 기울기가 점차 낮아지며 타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외곽테두리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며 중심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하로 관통된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구비되는 지지기둥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하단부에는 하측끝단까지 절개되는 슬릿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내경부가 삽입되는 원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공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측끝단이 경방향으로 확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에는 구형상의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내주면에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두 개 이상 구비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나사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퇴함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내주면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KR1020180166608A 2018-12-20 2018-12-20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KR10252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608A KR102525647B1 (ko) 2018-12-20 2018-12-20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608A KR102525647B1 (ko) 2018-12-20 2018-12-20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60A true KR20200077260A (ko) 2020-06-30
KR102525647B1 KR102525647B1 (ko) 2023-04-26

Family

ID=7112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608A KR102525647B1 (ko) 2018-12-20 2018-12-20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6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716U (ko) * 1996-12-30 1998-09-25 양재신 전자제어모듈(ecm)케이스
KR20100122256A (ko) * 2009-05-12 2010-1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어셈블리
KR20140006616A (ko) * 2012-07-06 2014-01-16 영화테크(주) 마운팅 브래킷 분리형 정션박스
KR20150002461U (ko) * 2013-12-16 2015-06-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KR20150133044A (ko) * 2014-05-19 2015-11-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
KR20170112762A (ko) *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레이더 축 보정장치
US20170359093A1 (en) * 2016-06-09 2017-12-14 Yazaki Corporation Attachment structure for electronic component accommodation box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716U (ko) * 1996-12-30 1998-09-25 양재신 전자제어모듈(ecm)케이스
KR20100122256A (ko) * 2009-05-12 2010-1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어셈블리
KR20140006616A (ko) * 2012-07-06 2014-01-16 영화테크(주) 마운팅 브래킷 분리형 정션박스
KR20150002461U (ko) * 2013-12-16 2015-06-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KR20150133044A (ko) * 2014-05-19 2015-11-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
KR20170112762A (ko) *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레이더 축 보정장치
US20170359093A1 (en) * 2016-06-09 2017-12-14 Yazaki Corporation Attachment structure for electronic component accommodation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647B1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0300B1 (en) Steering device
JP2010143319A (ja) バンパ取付装置
KR102487792B1 (ko) 스티어링 시스템용 기어박스의 마운팅부시
KR102178026B1 (ko) 유지장치
US20130154242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driver seat airbag device
KR20200117484A (ko) 에어벤트 장치
JP4744221B2 (ja) 制振支持装置及びスピーカ装置
WO2014002888A1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200077260A (ko)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JP6302829B2 (ja) グロメット
KR102451989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KR20190107864A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지지 장치
KR20160070198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70086963A (ko) 내부 구성요소의 회전이 가능한 부시와 이를 구비한 스태빌라이저 바 어셈블리
US20220065284A1 (en) Nut fastener assembly
KR20160017199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KR102574375B1 (ko) 변속케이블의 결합장치
KR20220128091A (ko) 레이더 체결 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10009678A (ja) ディスクトレイとトレイ飾りとの取付け構造
KR102135278B1 (ko) 차량의 조향 컬럼용 틸트장치
KR101886532B1 (ko) 도어트림 마운팅 구조 및 방법
KR102124534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40104125A (ko)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7425574B2 (ja) 表示装置
CN210852274U (zh) 车辆扬声器的安装结构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