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125A -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125A
KR20140104125A KR1020130017869A KR20130017869A KR20140104125A KR 20140104125 A KR20140104125 A KR 20140104125A KR 1020130017869 A KR1020130017869 A KR 1020130017869A KR 20130017869 A KR20130017869 A KR 20130017869A KR 20140104125 A KR20140104125 A KR 20140104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tilting
gear
plate bracke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명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17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125A/ko
Publication of KR2014010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별도의 부품으로 조립되던 틸트 기어들이 필요없게 되어,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Tilt or Tilt and Telescope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별도의 부품으로 조립되던 틸트 기어들이 필요없게 되어,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운전자가 레버를 풀었을 때, 탄성지지체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헤드부의 틸트기어블럭이 틸트 장홀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게 되어서, 틸트 장홀의 제1기어치와 틸트기어블럭의 제2기어치 사이에 치걸림이 생기지 않게 되어 원활한 틸트 또는 텔레스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조향휠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조향휠의 위치 조정에는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프 동작이 포함된다.
먼저, 틸트 동작은 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의 자세에 맞추어 조향휠의 상하 고정각도를 조정하는 것이고, 텔레스코프 동작은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조향컬럼의 길이를 신축하여 조향휠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100)는, 조향축(175)을 수용하는 외측 튜브(100), 외측 튜브(100)에 인입되는 내측 튜브(170), 내측 튜브(170)와 함께 차체에 고정되는 하부 브라켓(165), 외측 튜브(100)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고 양 날개가 하부 측으로 향하는 지지부(155), 외측 튜브(100)와 함께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105), 상부 브라켓(105)에 연결되고 지지부(155)의 양 날개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되 틸트 장홀(110)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50), 틸트 장홀(110)을 관통하는 조절 볼트(130), 지지 브라켓(150)의 일측면에 구비된 틸트 제1기어(145) 및 틸트 제1기어(145)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틸트 제2기어(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절 레버(115)가 풀리면 캠(135)에 의해서 틸트 제2기어(140)가 틸트 제1기어(145)와 분리되고, 지지 브라켓(150)과 지지부(155) 사이의 밀착력이 해소된다. 따라서, 외측 튜브(100)와 지지부(155)는 텔레스 방향 및 틸트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조절 레버(115)가 잠기게 되면, 틸트 제1기어(145)와 틸트 제2기어(140)가 밀착되어 치합 고정되고, 지지 브라켓(150)과 지지부(155)가 강하게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외측 튜브(100)는 텔레스 방향 및 틸트 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는, 틸트 또는 텔레스 작동을 위해 별도의 틸트 기어 구조가 필요하므로 조립되는 부품이 많아 작업 소요시간이 길어지고 원가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틸트 또는 텔레스 작동을 위해 운전자가 조절 레버를 풀더라도 틸트 제1기어와 틸트 제2기어의 치물림이 완전히 해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서, 틸트 또는 텔레스 작동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종래 별도의 부품으로 조립되던 틸트 기어들이 필요없게 되어,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운전자가 레버를 풀었을 때, 탄성지지체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헤드부의 틸트기어블럭이 틸트 장홀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게 되어서, 틸트 장홀의 제1기어치와 틸트기어블럭의 제2기어치 사이에 치걸림이 생기지 않게 되어 원활한 틸트 또는 텔레스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너 튜브가 삽입되는 아우터 튜브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틸트 장홀 중 어느 한쪽 틸트 장홀의 양측에 제1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브라켓;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틸트 장홀과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제1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는 틸트 장홀에 인입 또는 인출되며 제1기어치와 치합되도록 양측에 제2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는 틸트기어블럭이 구비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조절 볼트; 및 헤드부와 플레이트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서, 헤드부에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별도의 부품으로 조립되던 틸트 기어들이 필요없게 되어,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레버를 풀었을 때, 탄성지지체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헤드부의 틸트기어블럭이 틸트 장홀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게 되어서, 틸트 장홀의 제1기어치와 틸트기어블럭의 제2기어치 사이에 치걸림이 생기지 않게 되어 원활한 틸트 또는 텔레스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절 볼트와 탄성지지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절 볼트와 탄성지지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200)는, 이너 튜브(203)가 삽입되는 아우터 튜브(207)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부(205)의 양측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틸트 장홀(213,213') 중 어느 한쪽 틸트 장홀(213)의 양측에 제1기어치(301)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브라켓(210);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상기 틸트 장홀(213,213')과 가이드부(205)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몸체부(311)와, 몸체부(311)의 일측에 형성되되 제1기어치(301)가 형성되어 있는 틸트 장홀(213)에 인입 또는 인출되며 제1기어치(301)와 치합되도록 양측에 제2기어치(417)가 형성되어 있는 틸트기어블럭(415)이 구비된 헤드부(230)를 포함하는 조절 볼트(310); 및 헤드부(230)와 플레이트브라켓(210) 사이에 구비되어서, 헤드부(230)에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너 튜브(203)와 아우터 튜브(207)는 모두 중공의 튜브 형상으로 이뤄지는데, 이너 튜브(203)는 아우터 튜브(207) 내부로 삽입되며, 조향휠과 연결되는 조향축(201)은 이너 튜브(203)와 아우터 튜브(207) 내부로 삽입된다.
아우터 튜브(207)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부(205)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가이드부(205)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이뤄진다.
플레이트브라켓(210)은 아우터 튜브(207)의 가이드부(205) 양측에 구비되는데, 플레이트브라켓(210)은 대략 'U' 형상으로 이뤄진다.
한편, 플레이트브라켓(210)에는 서로 마주보는 틸트 장홀(213,213')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틸트 장홀(213,213') 중 어느 한쪽 틸트 장홀(213)의 양측에는 제1기어치(301)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 볼트(310)는 몸체부(311)와 헤드부(230)를 포함하여 이뤄지는데, 몸체부(311)는 원기둥 형상으로써 플레이트브라켓(210)의 틸트 장홀(213,213')과 아우터 튜브(207)의 가이드부(205)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헤드부(230)에는 몸체부(311)의 일측에 형성되되 제1기어치(301)가 형성되어 있는 틸트 장홀(213)에 인입 또는 인출되며 제1기어치(301)와 치합되도록 양측에 제2기어치(417)가 형성되어 있는 틸트기어블럭(415)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절 볼트(310)의 헤드부(230)에 제2기어치(417)가 형성되어 있는 틸트기어블럭(415)을 구비하고, 플레이트브라켓(210)의 틸트 장홀(213)에 제1기어치(301)를 형성함으로써, 종래 별도의 부품으로 조립되던 틸트 기어들(140,145, 도 1 참조)이 필요없게 되어,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헤드부(230)의 틸트기어블럭(415) 외측에는, 후술할 탄성지지체(3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환형의 요홈부(419)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지지체(330)는 헤드부(230)와 플레이트브라켓(210) 사이에 구비되어서, 헤드부(230)에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데, 탄성지지체(330)는 일 예로, 코일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230)와 플레이트브라켓(210) 사이에 탄성지지체(330)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가 레버(250)를 풀었을 때, 탄성지지체(330)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헤드부(230)의 틸트기어블럭(415)이 틸트 장홀(213)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게 되어서, 틸트 장홀(213)의 제1기어치(301)와 틸트기어블럭(415)의 제2기어치(417) 사이에 치걸림이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이러한 탄성지지체(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헤드부(230)의 요홈부(419)에 삽입되어 지지되는데, 탄성지지체(330)의 타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브라켓(210)의 헤드부(230)와 마주하는 면에 요홈부(419)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홈부(510)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브라켓(210)에 홈부(510)를 더 형성함으로써, 탄성지지체(330)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먼저 틸트 또는 텔레스 작동을 위해 운전자가 레버(250)를 풀면, 캠 구조(이는 일반적인 틸트 또는 텔레스 조향장치에서 레버에 결합되는 캠 구조와 동일하다)의 작동에 의해 조절 볼트(31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더불어 헤드부(230)가 탄성지지체(330)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플레이트브라켓(21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헤드부(230)의 틸트기어블럭(415)이 틸트 장홀(213)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어서, 틸트 작동이 가능해지며, 텔레스 작동 또한 가능해진다.
이와 반대로, 운전자가 레버(250)를 잠그면, 조절 볼트(310)가 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더불어 헤드부(230)가 탄성지지체(330)를 압착하면서 헤드부(230)의 틸트기어블럭(415)이 틸트 장홀(213)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 때, 틸트 장홀(213)의 제1기어치(301)와 틸트기어블럭(415)의 제2기어치(417)는 치물림되어 결합되므로, 결국 틸트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며, 또한 텔레스 방향으로의 이동 역시 구속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별도의 부품으로 조립되던 틸트 기어들이 필요없게 되어,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레버를 풀었을 때, 탄성지지체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헤드부의 틸트기어블럭이 틸트 장홀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게 되어서, 틸트 장홀의 제1기어치와 틸트기어블럭의 제2기어치 사이에 치걸림이 생기지 않게 되어 원활한 틸트 또는 텔레스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201 : 조향축 203 : 이너 튜브
205 : 가이드부 207 : 아우터 튜브
210 : 플레이트브라켓 213,213' : 틸트 장홀
230 : 헤드부 301 : 제1기어치
310 : 조절 볼트 311 : 몸체부
330 : 탄성지지체 415 : 틸트기어블럭
417 : 제2기어치

Claims (3)

  1. 이너 튜브가 삽입되는 아우터 튜브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틸트 장홀 중 어느 한쪽의 양측에 제1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브라켓;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상기 틸트 장홀과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는 틸트 장홀에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기 제1기어치와 치합되도록 양측에 제2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는 틸트기어블럭이 구비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조절 볼트;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플레이트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서, 상기 헤드부에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틸트기어블럭 외측에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브라켓의 상기 헤드부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요홈부에 대응되는 홈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1020130017869A 2013-02-20 2013-02-20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20140104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869A KR20140104125A (ko) 2013-02-20 2013-02-20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869A KR20140104125A (ko) 2013-02-20 2013-02-20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125A true KR20140104125A (ko) 2014-08-28

Family

ID=5174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869A KR20140104125A (ko) 2013-02-20 2013-02-20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41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7094A (zh) * 2015-10-16 2015-12-30 中联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立柱、应用转向立柱的拖拉机
CN107472349A (zh) * 2017-09-19 2017-12-1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下柱管调节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7094A (zh) * 2015-10-16 2015-12-30 中联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立柱、应用转向立柱的拖拉机
CN107472349A (zh) * 2017-09-19 2017-12-1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下柱管调节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775B1 (ko) 전동식 시트레일 이송장치
CN106573641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KR100794956B1 (ko) 고리형 서포트 요크를 구비하는 조향장치
CN103171608A (zh) 伸缩护套接合机构
JP202001932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9446780B2 (en) Steering apparatus
KR20140104125A (ko)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US10428893B2 (en) Vehicular body reinforcing device
KR101615224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KR102181869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936111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KR102167920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631210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CN208102097U (zh) 一种车辆转向管柱调节装置
JP445775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140094266A (ko)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및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102135278B1 (ko) 차량의 조향 컬럼용 틸트장치
JP2008155794A (ja) 可動部材のスライド機構
KR102245792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2151112B1 (ko)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
KR20180006761A (ko) 차량용 조향 컬럼
KR101724202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745046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JP6234582B2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用電気機械式ブレーキ倍力装置、および、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に付設しておよび/またはブレーキシステム内部に電気機械式ブレーキ倍力装置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
KR20130115759A (ko) 조정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래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