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111B1 -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111B1
KR101936111B1 KR1020140158468A KR20140158468A KR101936111B1 KR 101936111 B1 KR101936111 B1 KR 101936111B1 KR 1020140158468 A KR1020140158468 A KR 1020140158468A KR 20140158468 A KR20140158468 A KR 20140158468A KR 101936111 B1 KR101936111 B1 KR 101936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tilt
block
cam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7631A (ko
Inventor
최윤철
정덕무
김영광
정해원
황진원
김현철
최민영
손호철
박영석
정세훈
이인우
Original Assignee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1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111B1/ko

Links

Images

Abstract

틸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을 위한 틸트 록킹 장치는, 틸트 하우징, 상기 틸트 하우징에 설치되며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슬롯을 통과하는 상태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체결되어 틸트 동작 시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함께 이동하는 틸트 로드, 그리고 상기 틸트 로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트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틸트 록킹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블록과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사이드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Structure for locking/unlocking tilt for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틸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스티어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티어링 칼럼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틸팅(tilting) 작동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틸팅 작동 구조는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틸팅 작동이 잠금 또는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 틸트 잠금/해제 구조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10-2012-0025792호에 개시된 틸트 록킹 구조에서는, 칼럼의 틸팅을 위한 작동 시에 틸트 잠금(locking) 방향과 틸팅 방향이 동일하여 적절한 갭(gap)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틸팅 시 래치(latch) 걸림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틸팅 작동 구조에서는 이빨 구조가 가이드 블록(guide block)의 상면에 위치함으로써, 틸트 작동 시 마운팅 하우징(mounting housing)이 벌어지게 되면 락킹 블록과의 틈새가 감소하여 래치 걸림이 발생할 수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2-0025792 (공개일: 2012. 03. 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틸팅 작동 시에 래치 걸림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틸트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을 위한 틸트 록킹 장치는, 틸트 하우징, 상기 틸트 하우징에 설치되며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슬롯을 통과하는 상태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체결되어 틸트 동작 시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함께 이동하는 틸트 로드, 그리고 상기 틸트 로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트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틸트 록킹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블록과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사이드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은 틸트 거동 시에 상기 틸트 로드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1 이빨을 포함한다.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이빨에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2 이빨을 구비하는 록킹 블록, 상기 틸트 로드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틸트 로드에 체결되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빨이 상기 제2 이빨에 치합되도록 상기 록킹 블록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캠 블록, 상기 록킹 블록과 상기 캠 블록을 수용하는 록킹 케이지, 그리고 상기 제1 이빨과 상기 제2 이빨의 치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상기 록킹 블록에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틸트 거동 시에 상기 틸트 로드와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록킹 케이지와 상기 록킹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록킹 케이지에 대해 상기 록킹 블록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록킹 케이지는 상기 제1 이빨을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블록의 제2 이빨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제1 이빨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삭제
상기 캠 블록은 캠 작용을 위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원호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록킹 케이지는 상기 캠 블록의 원호부와 면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원호부를 지지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록킹 블록은 상기 캠 블록과의 접촉을 위한 경사 접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 접촉면은 2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는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록킹 케이지의 일 측면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는 텔레스코픽 록킹을 위한 텔레스코픽 록킹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틸트 레버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인서트 캠, 상기 인서트 캠과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돌기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캠 부재, 그리고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에 대해 상기 캠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캠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틸트 록킹 장치가 스티어링 칼럼의 사이드에 배치되어 틸트 록킹을 위한 이빨이 틸트 하우징의 변형 방향과 무관하게 형성되므로, 틸팅 시 래치 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가 스티어링 칼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의 틸트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의 록킹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는 틸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을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는 록킹 상태인 경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이 가능하지 않도록 작동하고 록킹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작동한다.
가이드 블록(guide block)(10)이 틸트 하우징(tilt housing)(20)에 설치된다.
틸트 로드(30)는 가이드 블록(10)과 틸트 하우징(20)을 통과하여 스티어링 칼럼(1)에 체결될 수 있다. 스티어링 칼럼(1) 틸팅 작동을 하는 경우 틸트 로드(30)가 스티어링 칼럼(1)과 함께 회동한다.
틸트 레버(40)가 틸트 로드(30)의 끝단에 체결될 수 있다. 틸트 로드(30)는 틸트 레버(40)와 회동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틸트 레버(40)에 체결된다. 틸트 레버(4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가 록킹이 해제되도록 작동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스티어링 칼럼(1)에 연결된 스티어링 휠을 틸팅시킬 수 있으며 이때 스티어링 칼럼(1)과 함께 틸트 로드(30) 및 그에 연결된 틸트 레버(40)도 함께 회동된다.
틸트 하우징(20)은 스티어링 칼럼(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하우징(20)은 스티어링 칼럼(1)의 상부 자켓(2)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틸트 하우징(20)은 스티어링 칼럼(1)의 상면 및 좌우 측면을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틸트 하우징(20)은 상면부(21) 및 그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틸트 하우징(20)은 차체에 고정되며, 스티어링 칼럼(1)이 틸트 하우징(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함으로써 틸팅이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 자켓(3)이 상부 자켓(2) 내로 삽입되어 스티어링 칼럼(1)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자켓(2)이 하부 자켓(3)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는 경우 텔레스코픽 기능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록킹 장치에 텔레스코픽 록킹 구조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설명한다.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10)은 틸트 하우징(2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틸트 하우징(20)의 측면부(23)에 고정될 수 있다. 틸트 하우징(20)의 측면부(23)에는 가이드 블록(10)이 설치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여이게 가이드 블록(1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0)은 가이드 슬롯(guide slot)(11)을 구비한다. 가이드 슬롯(11)은 틸팅 작동 시 틸트 로드(3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틸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틸트 로드(30)는 가이드 슬롯(11)을 통과하는 상태로 스티어링 칼럼(1)에 체결되며 틸트 동작 시 스티어링 칼럼(1)과 함께 회동한다.
틸트 록킹 어셈블리(50)는 틸트 로드(30)의 회전에 대응하여 가이드 블록(1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트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작용한다.
이때,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10)과 틸트 록킹 어셈블리(50)는 스티어링 칼럼(1)의 사이드(side)에 배치된다. 여기서 스티어링 칼럼(10)의 사이드는 스티어링 휠 쪽에서 스티어링 칼럼(1)을 바라볼 때 스티어링 칼럼(1)의 좌우측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블록(10)과 틸트 록킹 어셈블리(50)는 틸트 하우징(20)의 측면부(23)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0)은 제1 이빨(13)를 구비한다.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빨(13)는 가이드 블록(10)의 가이드 슬롯(11)을 형성하는 내면 중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틸트 록킹 어셈블리(50)는 록킹 블록(510), 록킹 케이지(520), 캠 블록(530) 그리고 탄성 부재(540)를 포함한다.
록킹 블록(510)은 가이드 블록(10)의 제1 이빨(13)에 선책적으로 치합되는 제2 이빨(511)를 구비한다. 제1 이빨(13)와 제2 이빨(511)가 서로 치합되는 경우 틸트 록킹이 되며 치합이 해제되는 경우 틸트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록킹 블록(510)은 제2 이빨(511)가 제1 이빨(13)와 마주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록킹 케이지(520)는 록킹 블록(510)을 수용한다. 록킹 케이지(520)는 록킹 블록(510)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521)을 구비하며, 록킹 블록(510)은 수용 공간(521)에 배치된다. 한편, 록킹 케이지(520)는 개방부(523)를 포함하며, 록킹 블록(510)의 제2 이빨(511)는 이 개방부(523)를 통해 노출되어 가이드 블록(10)의 제1 이빨(13)와 마주하게 된다. 한편, 록킹 케이지(520)는 틸트 로드(30)가 관통하는 관통공(526)을 구비할 수 있다.
캠 블록(530)은 틸트 로드(30)와 함께 회전하도록 틸트 로드(30)에 체결된다. 캠 블록(530)은 틸트 로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531)을 구비하며, 틸트 로드(30)가 이 관통공(531)에 삽입된다. 이때, 틸트 로드(30)와 관통공(531)은 함께 회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다각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텔리스코픽 잠금/해제 기능이 구비되는 경우, 캠 블록(530)이 틸트 로드(30)의 축방향으로 슬립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원활한 슬립이 가능하도록 캠 블록(530)의 관통공(531)의 내면 또는 틸트 로드(30)의 표면에 그리스가 도포될 수 있다.
캠 블록(530)은 그 회전에 대응하여 제2 이빨(511)가 제1 이빨(13)와 치합되도록 록킹 블록(510)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캠 블록(530)은 캠 작용에 의해 록킹 블록(51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 블록(530)은 캠 작용을 위한 돌출부(533)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533)의 회전 위치에 따라 록킹 블록(510)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2 이빨(511)가 제1 이빨(13)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한편, 록킹 블록(510)에는 캠 블록(530)의 돌출부(533)와의 접촉을 위한 경사 접촉면(51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캠 블록(530)은 돌출부(533)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원호부(535)를 구비할 수 있으며, 록킹 케이지(520)는 원호부(535)와 면접촉하는 상태로 원호부(535)를 지지하는 함몰부(5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함몰부(525)는 원호부(535)와 동일한 원호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540)는 제1 이빨(13)와 제2 이빨(511)의 치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록킹 블록(510)에 제공한다. 즉, 캠 블록(530)이 록킹 블록(510)을 밀고 그에 의해 제1 이빨(13)와 제2 이빨(511)의 치합이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탄성 부재(540)가 압축된 상태로 틸트 록킹이 유지되고, 캠 블록(530)이 회전하여 록킹 블록(510)이 미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5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록킹 블록(510)이 제1 이빨(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고 그에 의해 틸트 록킹이 해제되어 틸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탄성 부재(540)는 록킹 케이지(520)와 록킹 블록(510) 사이에 개재되어 록킹 케이지(520)에 대해 록킹 블록(5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540)는 록킹 케이지(520)의 안착면(527)과 록킹 블록(510)의 안착면(515)에 각각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5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태의 스프링일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물결 형태의 판 스프링 등일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록킹 블록(1510)은 캠 블록(530)과의 접촉면이 2단 구조를 갖는다. 즉 록킹 블록(1510)의 접촉면이 두 개의 접촉면(1511, 1512)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캠 블록(53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틸트 록킹 어셈블리(50)는 록킹 케이지(520)의 일 측면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50)가 록킹 케이지(520)의 일 측면을 덮도록 설치됨으로써, 록킹 케이지(520)와 커버 플레이트(550) 사이의 공간에 록킹 블록(510), 탄성 부재(540), 그리고 캠 블록(530)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550)에는 틸트 로드(30)가 통과하는 관통공(551)이 형성된다.
한편, 텔레스코픽 록킹 기능을 위한 텔레스코픽 록킹 어셈블리(6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텔레스코픽 록킹 어셈블리(60)는 틸트 레버(40)에 설치되는 인서트 캠(610), 캠 부재(620), 그리고 캠 스프링(6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620)의 일 측면은 가이드 블록(10)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인서트 캠(610)은 틸트 레버(40)와 함께 회전하도록 틸트 레버(40) 내에 설치되며, 캠 부재(620)는 인서트 캠(6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서트 캠(610)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611)가 형성되고, 캠 부재(620)에는 돌기(611)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621)이 구비된다. 돌기(611)가 경사면(6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인서트 캠(610)이 회전을 하게 되면 캠 부재(620)가 인서트 캠(6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블록(10)이 인서트 캠(610)에 의해 밀려나게 되고 그 결과 틸트 하우징(20)의 측면부(23)가 변형되면서 스티어링 칼럼(1)에 밀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1)의 상부 자켓(2)이 그 축방향으로 거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텔레스코픽 기능이 록킹된다.
한편, 캠 스프링(630)은 커버 플레이트(550)에 대해 캠 부재(6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텔레스코픽 록킹 상태에서 틸트 레버(4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인서트 캠(610)의 돌기가 캠 부재(620)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그때 캠 스프링(6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캠 부재(620)가 인서트 캠(610) 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에 따라 틸트 하우징(20)의 측면부(23)가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1)의 상부 자켓(2)이 축방향으로 거동이 가능해져 텔레스코픽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인서트 캠(610)과 캠 부재(620)에는 틸트 로드(30)가 관통되는 관통공(613, 623)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캠 스프링(630)에도 틸트 로드(30)가 관통되는 관통공(63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로드(30)가 캠 부재(620), 가이드 블록(10), 그리고 틸트 록킹 어셈블리(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나아가 틸트 로드(30)는 스티어링 칼럼(1)의 상부 자켓(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틸트 로드(30)의 일단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레버(40)가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상부 자켓(2)을 통과하며 끝단부에 구비된 나사산(31)에 볼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체결 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틸트 락킹 시 틸트 하우징이 변형되는 방향, 즉 틸트 하우징(20)의 측면부가 변형되는 방향(즉 스티어링 칼럼의 폭 방향)과 가이드 블록(10)의 제1 이빨(13) 및 록킹 블록(510)의 제2 이빨(510)의 이빨 방향이 서로 연관되지 않음으로써, 틸팅 시 래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가이드 블록
11: 가이드 슬롯
13: 제1 이빨
20: 틸트 하우징
30: 틸트 로드
40: 틸트 레버
50: 틸트 록킹 어셈블리
510: 록킹 블록
511: 제2 이빨
520: 록킹 케이지
530: 캠 블록
540: 탄성 부재
60: 텔레스코픽 록킹 어셈블리
610: 인서트 캠
620: 캠 부재
630: 캠 스프링

Claims (9)

  1. 틸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을 위한 틸트 록킹 장치로서,
    틸트 하우징,
    상기 틸트 하우징에 설치되며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슬롯을 통과하는 상태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체결되어 틸트 동작 시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함께 이동하는 틸트 로드, 그리고
    상기 틸트 로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트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틸트 록킹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블록과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사이드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은 틸트 거동 시에 상기 틸트 로드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1 이빨을 포함하고,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이빨에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2 이빨을 구비하는 록킹 블록,
    상기 틸트 로드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틸트 로드에 체결되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빨이 상기 제2 이빨에 치합되도록 상기 록킹 블록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캠 블록,
    상기 록킹 블록과 상기 캠 블록을 수용하는 록킹 케이지, 그리고
    상기 제1 이빨과 상기 제2 이빨의 치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상기 록킹 블록에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틸트 거동 시에 상기 틸트 로드와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록킹 케이지와 상기 록킹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록킹 케이지에 대해 상기 록킹 블록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록킹 케이지는 상기 제1 이빨을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블록의 제2 이빨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제1 이빨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틸트 록킹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캠 블록은 캠 작용을 위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원호부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 케이지는 상기 캠 블록의 원호부와 면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원호부를 지지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틸트 록킹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록킹 블록은 상기 캠 블록과의 접촉을 위한 경사 접촉면을 구비하는 틸트 록킹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경사 접촉면은 2단 구조를 갖는 틸트 록킹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는 상기 록킹 케이지의 일 측면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틸트 록킹 장치.
  9. 제1항에서,
    텔레스코픽 록킹을 위한 텔레스코픽 록킹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텔레스코픽 록킹 어셈블리는
    틸트 레버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인서트 캠,
    상기 인서트 캠과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돌기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캠 부재, 그리고
    상기 틸트 록킹 어셈블리에 대해 상기 캠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캠 스프링을 포함하는 틸트 록킹 장치.
KR1020140158468A 2014-11-14 2014-11-14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KR101936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468A KR101936111B1 (ko) 2014-11-14 2014-11-14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468A KR101936111B1 (ko) 2014-11-14 2014-11-14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631A KR20160057631A (ko) 2016-05-24
KR101936111B1 true KR101936111B1 (ko) 2019-04-03

Family

ID=5611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468A KR101936111B1 (ko) 2014-11-14 2014-11-14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99B1 (ko) * 2018-01-26 2019-11-04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077177B1 (ko) 2018-04-17 2020-02-13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242181B1 (ko) 2018-10-24 2021-04-20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조작 레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9504B2 (en) * 2001-05-18 2003-12-09 Delphi Technologies, Inc.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KR101412191B1 (ko) 2010-09-08 2014-06-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 록킹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631A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01511B (zh) 转向柱装置
EP2472035B1 (en) Lock device for vehicle
KR101525718B1 (ko) 조향 록 장치
KR101936111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EP2607207A2 (en) Steering device
EP3292852B1 (en)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for unlocking the connecting device
US20140373664A1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JP2013127264A (ja)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JP6064807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888002B1 (ko)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WO2016208496A1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JP610329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80090912A (ko) 플레인 와셔를 구비한 틸트 앤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JP5277103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CN111819126B (zh) 转向柱组件
CN105026671A (zh) 车用门锁装置
KR101882244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KR101798310B1 (ko) 차량용 핸들 장치
JP2008094254A (ja) 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操舵装置
JP6743608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090049199A (ko) 틸팅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컬럼의 록킹장치 구조
JP7192403B2 (ja) 操作装置の操作レバー部
JP2019035246A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JP6271263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4940830B2 (ja) 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