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244B1 -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244B1
KR101882244B1 KR1020110108939A KR20110108939A KR101882244B1 KR 101882244 B1 KR101882244 B1 KR 101882244B1 KR 1020110108939 A KR1020110108939 A KR 1020110108939A KR 20110108939 A KR20110108939 A KR 20110108939A KR 101882244 B1 KR101882244 B1 KR 101882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ilt
cam
moving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731A (ko
Inventor
손성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2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는 틸트바디; 상기 틸트바디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트샤프트; 상기 틸트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상기 틸트샤프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틸트샤프트의 승강 이동에 대한 잠김 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한 쌍의 조정캠; 및 상기 틸트바디와 상기 레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틸트바디와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고, 일단부가 상기 틸트바디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TILTING APPARATUS FOR STEERING COLUMN I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의 일원화를 통해 레버의 유격을 방지함은 물론 유격에 의해 발생되는 떨림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은 운전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적합하게 변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틸트 기능과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다. 이때,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 등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틸트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국내 특허 출원 제2004-0051449호(출원일 : 2004. 07. 02.)에는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틸트장치는 스프링의 반발력 발생 발생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레버의 유격을 방지하고, 레버의 유격에 따른 소음, 오작동,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레버의 동작에 따른 작동 소음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스프링의 반발력 발생 발생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레버의 유격을 방지하고, 레버의 유격에 따른 소음, 오작동,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레버의 동작에 따른 작동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는 틸트바디; 상기 틸트바디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트샤프트; 상기 틸트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상기 틸트샤프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틸트샤프트의 승강 이동에 대한 잠김 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한 쌍의 조정캠; 및 상기 틸트바디와 상기 레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틸트바디와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고, 일단부가 상기 틸트바디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캠은, 상기 틸트바디에 지지되고, 상기 틸트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캠; 및 상기 이동캠과 마주보는 면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고정캠;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캠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고정캠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돌기와, 상호 이격된 상기 이동돌기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이동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캠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돌기가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상호 이격된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캠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조정돌기와, 상호 이격된 상기 제1조정돌기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1조정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캠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조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2조정돌기와,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조정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상호 이격된 상기 제2조정돌기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2조정홈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틸트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틸트바디와 상기 레버 사이에서 탄성 지지되는 완충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캠에는, 외주면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걸림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틸트샤프트에는, 상기 레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틸트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레버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이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반발력 발생이나 유격 발생에 따라 작동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틸트바디와 레버 사이의 유격을 방지함은 물론 유격에 따른 레버의 유동을 방지하고, 소음, 오작동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품간의 유격을 제거할 수 있고, 유격에 의해 발생되는 떨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떨림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일원화를 통해 작은 힘을 사용하면서도 레버의 동작을 부드럽게 하고, 레버의 동작에 따른 작동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일원화를 통해 부품수 감소와 경량화에 이바지하고, 조립 공정의 축소와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캠과 고정캠 사이의 간극없이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됨에 따라 레버의 유동을 더욱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의 회전에 따라 잠김 상태가 설정되었을 때, 레버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의 조정캠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에서 잠김 여부에 따른 캠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에서 레버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의 조정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단측이 스티어링휠에 장착되고 하단측이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기어박스에 연결되는 조향축(S)과, 조향축(S)을 감싸는 스티어링 컬럼(11)을 구비한다. 이때, 스티어링 컬럼(11)의 틸트 동작을 위한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는 틸트바디(10)와, 틸트샤프트(20)와, 레버(30)와, 조정캠(60)과, 탄성부재(90)를 포함한다.
틸트바디(10)는 조향축(S)이 차체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 조향축(S)을 감싸는 스티어링 컬럼(11)과, 스티어링 컬럼(11)이 차체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틸트브라켓(13)을 포함할 수 있다. 틸트브라켓(13)은 스티어링 컬럼(11)의 양측에 지지벽(12)이 위치하도록 한다. 지지벽(12)에는 스티어링 컬럼(11)의 틸트 방향을 따라 승강홀(14)이 길게 형성된다. 승강홀(14)은 스티어링 컬럼(11)이 틸트 동작을 통해 이동할 때, 틸트샤프트(2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틸트샤프트(20)는 틸트바디(10)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틸트샤프트(20)는 틸트브라켓(13)의 지지벽(12)에 형성된 승강홀(14)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레버(30)는 틸트샤프트(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레버(30)에는 고정캠(80)이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정캠(60)은 한 쌍이 마주보면서 틸트샤프트(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레버(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틸트샤프트(20)의 승강 이동에 대한 잠김 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조정캠(60)은 이동캠(70)과 고정캠(80)으로 분리된다.
이동캠(70)은 틸트바디(10)에 지지되고 틸트샤프트(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캠(70)에는 레버(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캠(80)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돌기(71)와, 상호 이격된 이동돌기(71)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이동홈(7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캠(70)에는 레버(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조정돌기(72)와, 상호 이격된 제1조정돌기(72)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1조정홈(7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캠(70)에는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이동돌기(71)와 이동홈(73) 간의 상호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동홈(73)으로부터 이동돌기(71)를 향해 이동경사면(75)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캠(80)은 이동캠(70)과 마주보는 면이 맞물린 상태에서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고정캠(80)에는 레버(30)의 결합홈(31)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기(88)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캠(70)에도 결합돌기(8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캠(7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88)는 승강홀(14)에 삽입되어 틸트샤프트(20)의 승강 이동에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캠(80)에는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이동홈(73)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81)와,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이동돌기(71)가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상호 이격된 고정돌기(81)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83)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83)에는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제1조정홈(7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2조정돌기(82)와,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제1조정돌기(72)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상호 이격된 제2조정돌기(82)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2조정홈(8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캠(80)에는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고정돌기(81)와 고정홈(83) 간의 상호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홈(83)으로부터 고정돌기(81)를 향해 고정경사면(85)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90)는 틸트바디(10)와 레버(30) 사이에 개재되어 틸트바디(10)와 레버(30)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90)의 일단은 틸트바디(10)에 고정되도록 한다. 탄성부재(90)는 틸트바디(10)에 고정되는 고정부(91)와, 고정부(91)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93)와, 지지부(93)에서 연장 형성되어 틸트바디(10)와 레버(30) 사이에서 틸트바디(10)와 레버(30)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95)로 구분된다. 완충부(9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캠(60)의 원주 상에서 굽어져 벤딩 형상을 나타냄으로써 휨모멘트가 발생되고,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 사이에서 스프링텐션을 발생시켜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를 탄성 지지하도록 하고, 레버(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완충부(95)는 조정캠(60)의 둘레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90)에는 걸림부(9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조정캠(60)에는 가이드부(61)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61)는 조정캠(60)의 원주 상에 함몰 형성된다. 가이드부(61)는 이동캠(70)의 원주 상에 함몰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76)와, 고정캠(80)의 원주 상에 함몰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86)로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부(97)는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함몰 형성된 가이드부(61)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한다. 걸림부(97)는 탄성부재(90)의 완충부(95)에서 굽어져 벤딩 형상으로 가이드부(61)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조정캠(6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틸트장치가 잠김 상태를 설정하는 경우, 걸림부(97)가 가이드부(61)에 삽입되어 레버(30)의 회전을 제한하고, 레버(30)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부(61)는 조정캠(6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90)의 걸림부(97)는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61)가 삽입되도록 완충부(95)에서 굽어져 벤딩 형상을 가지고 함몰 형성되고, 조정캠(6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는 고정부재(40)와 베어링(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부재(40)는 레버(30)를 지지하도록 틸트샤프트(20)에 고정되는 것으로, 틸트샤프트(2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50)은 레버(30)와 고정부재(4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고정부재(40)에 간섭되지 않고, 레버(30)가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의 잠김 상태를 설정하거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에서 잠김 여부에 따른 캠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에서 레버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는 틸트 동작에 따른 잠김 상태가 설정되는 경우, 이동캠(70)과 고정캠(80) 사이의 간격을 넓혀 틸트브라켓(13)의 지지벽(12) 사이가 좁혀지도록 하고, 틸트 동작에 따른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이동캠(70)과 고정캠(80) 사이의 간격을 좁혀 틸트브라켓(13)의 지지벽(12) 사이가 넓혀지도록 한다.
탄성부재(90)의 완충부(95)가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 사이에 개재되어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를 탄성 지지하고 있다. 탄성부재(90)의 완충부(95)에는 벤딩 형상으로 굽어져 형성됨으로써,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 사이에서 스프링텐션을 발생시켜 레버(30)의 유동을 방지한다.
먼저 잠김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이동캠(70)과 고정캠(80) 사이의 간격을 넓혀야 한다. 레버(30)를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캠(70)의 이동돌기(71)와 고정캠(80)의 고정돌기(81)가 마주보며 맞닿게 된다. 또한, 이동캠(70)의 이동홈(73)과 고정캠(80)의 고정홈(83)은 마주보며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 사이의 간격(L)이 넓어지고, 틸트브라켓(13)의 지지벽(12) 사이가 좁아지게 되어 잠김 상태를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90)의 완충부(95)는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 사이에서 이완되어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90)는 고정부(91)가 틸트브라켓(13)에 고정된 상태에서 완충부(95)가 유격없이 조정캠(60)의 원주 상에 위치하게 되어 차량의 진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잠김 상태가 설정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캠(70)의 제1가이드부(76)와 고정캠(80)의 제2가이드부(86)가 동일 선상에 위치함에 따라 탄성부재(90)의 걸림부(97)가 이동캠(70)의 제1가이드부(76)와 고정캠(80)의 제2가이드부(86)에 모두 삽입 결합됨으로써, 레버(30)의 회전을 억제시킬 수 있다.
잠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이동캠(70)과 고정캠(80) 사이의 간격을 좁혀야 한다. 레버(30)를 회전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캠(70)의 이동돌기(71)가 고정캠(80)의 고정홈(83)에 삽입되고, 고정캠(80)의 고정돌기(81)가 이동캠(70)의 이동홈(73)에 삽입 고정된다. 이에 따라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 사이의 간격(l)이 좁아지고, 틸트브라켓(13)의 지지벽(12) 사이가 넓어지게 되어 잠김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90)의 완충부(95)는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 사이에서 압축되어 틸트브라켓(13)과 레버(3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90)는 고정부(91)가 틸트브라켓(13)에 고정된 상태에서 완충부(95)가 유격없이 조정캠(60)의 원주 상에 위치하게 되어 차량의 진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잠김 상태가 해제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캠(70)의 제1가이드부(76)와 고정캠(80)의 제2가이드부(86)가 어긋남에 따라 탄성부재(90)의 걸림부(97)가 이동캠(70)의 제1가이드부(76)와 고정캠(80)의 제2가이드부(86)에서 이탈됨으로써, 레버(3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잠김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틸트샤프트(20)가 승강홀(14)을 따라 승강 이동되어 스티어링 컬럼(11)이 틸트된다.
이동캠(70)의 제1조정돌기(72)는 고정캠(80)의 제2조정홈(8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고, 고정캠(80)의 제2조정돌기(82)는 이동캠(70)의 제1조정홈(7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됨에 따라 레버(3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잠김 상태를 설정할 때와 달리 탄성부재(90)의 완충부(95)가 압축되도록 사용자가 힘을 가해야 하지만, 이동캠(70)과 고정캠(80)이 틸트샤프트(20)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미세하기 때문에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데 필요한 힘은 레버(30)의 작동편의성을 저하시킬 만큼 크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90)의 고정부(91)와 지지부(93)와 완충부(95)가 연장 절곡의 형상으로 일원화됨으로써, 누적 공차 또는 스프링 간의 선 접촉에 의한 불안정한 품질을 해소하여 안정된 품질 수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원화된 탄성부재(90)를 통해 공정 축소 및 부품수 감소를 통한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S: 조향축 10: 틸트바디
11: 스티어링 컬럼 13: 틸트브라켓
12: 지지벽 14: 승강홀
20: 틸트샤프트 30: 레버
31: 결합홈 40: 고정부재
50: 베어링 60: 조정캠
61: 가이드부 70: 이동캠
71: 이동돌기 73: 이동홈
75: 이동경사면 72: 제1조정돌기
74: 제1조정홈 76: 제1가이드부
80: 고정캠 81: 고정돌기
83: 고정홈 85: 고정경사면
82: 제2조정돌기 84: 제2조정홈
86: 제2가이드부 88: 결합돌기
90: 탄성부재 91: 고정부
93: 지지부 95: 완충부
97: 걸림부

Claims (7)

  1. 틸트바디;
    상기 틸트바디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트샤프트;
    상기 틸트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상기 틸트샤프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틸트샤프트의 승강 이동에 대한 잠김 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한 쌍의 조정캠; 및
    상기 틸트바디와 상기 레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틸트바디와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고, 일단부가 상기 틸트바디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틸트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틸트바디와 상기 레버 사이에서 탄성 지지되며, 벤딩 형상으로 굽어진 완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캠에는, 외주면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캠은,
    상기 틸트바디에 지지되고, 상기 틸트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캠; 및
    상기 이동캠과 마주보는 면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고정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캠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고정캠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돌기와, 상호 이격된 상기 이동돌기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이동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캠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돌기가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상호 이격된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캠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조정돌기와, 상호 이격된 상기 제1조정돌기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1조정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캠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조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2조정돌기와,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조정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상호 이격된 상기 제2조정돌기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2조정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샤프트에는,
    상기 레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틸트샤프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레버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장치.
KR1020110108939A 2011-10-24 2011-10-24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KR101882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939A KR101882244B1 (ko) 2011-10-24 2011-10-24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939A KR101882244B1 (ko) 2011-10-24 2011-10-24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731A KR20130044731A (ko) 2013-05-03
KR101882244B1 true KR101882244B1 (ko) 2018-07-26

Family

ID=4865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939A KR101882244B1 (ko) 2011-10-24 2011-10-24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7679B (zh) * 2014-08-08 2016-08-17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调节机构
KR102267717B1 (ko) * 2015-05-27 2021-06-22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조향컬럼용 틸트 구조체
KR102123257B1 (ko) 2017-08-31 2020-06-17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 조향 컬럼의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620A (ja) * 2003-11-21 2005-06-16 Nsk Ltd 車両用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614196B1 (ko) * 2005-06-21 2006-08-22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위치조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809B1 (ko) * 2009-12-02 2012-03-30 남양공업주식회사 텔레스코픽 작동력을 저감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620A (ja) * 2003-11-21 2005-06-16 Nsk Ltd 車両用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614196B1 (ko) * 2005-06-21 2006-08-22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위치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731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328B2 (en) Steering lock device
JPWO2008018435A1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882244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CN110905321A (zh) 用于车辆的后挡板的铰链总成
JP2013217116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WO2016208496A1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KR101936111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CN111819126B (zh) 转向柱组件
JP6517410B1 (ja)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6357378B2 (ja) シフト装置
JP5329153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KR102167920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120083537A (ko) 랙바의 지지구조체
KR102135278B1 (ko) 차량의 조향 컬럼용 틸트장치
KR20090078674A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JP7179606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ドアラッチ装置
JP5787663B2 (ja) 端末支持装置取付構造
KR102261543B1 (ko) 차량 조향장치의 틸트 레버 장치
KR102299296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WO2022168849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7192403B2 (ja) 操作装置の操作レバー部
JP6727726B2 (ja) 動力伝達ユニット
KR100814748B1 (ko) 자동차의 틸트식 조향장치
JP5275179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KR101285404B1 (ko) 차량용 텔레스코픽 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