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809B1 - 텔레스코픽 작동력을 저감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픽 작동력을 저감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809B1
KR101131809B1 KR1020090124617A KR20090124617A KR101131809B1 KR 101131809 B1 KR101131809 B1 KR 101131809B1 KR 1020090124617 A KR1020090124617 A KR 1020090124617A KR 20090124617 A KR20090124617 A KR 20090124617A KR 101131809 B1 KR101131809 B1 KR 101131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c
tube
sliding tube
main tub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235A (ko
Inventor
홍성종
구상철
Original Assignee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6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Mechanical transmissions for actuators
    • B60Y2400/414Ramp or 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1)과, 이 마운팅브라켓(1)의 일단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슬라이딩튜브(10)와, 이 슬라이딩튜브(10)가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접속되는 메인튜브(20)를 포함하여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로서, 상기 메인튜브(10)에는 중앙부가 일부 절결된 절결부(11b)를 사이에 두고 하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텔레스코픽블록(11)이 일체로 병행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튜브(10)가 상기 틸트브라켓(31)을 매개로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의 소정부에 마운팅브라켓(1)을 매개로 고정되는 슬라이딩튜브(10)에는 이 슬라이딩튜브(10)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기 메인튜브(20)로부터 신장 및 축소 작동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텔레스코픽수단(40)이 접속되며, 상기 텔레스코픽수단(40)은 상기 조작레버(36)의 회동에 연동하여 조임작동되는 캠기구(C1)의 작동에 따라 설정 조임력이 발생하는 조임보울트(35)에 의해 상기 양쪽의 텔레스코픽블록(11, 11)을 관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튜브(20) 및 슬라이딩튜브(10)를 동시에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과 함께 마찰 구속함과 더불어, 텔레스코픽 작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구간이동되도록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에 형성된 텔레스코픽장공(11a)과, 상기 텔레스코픽장공(11a)을 관통하는 상기 조임보울트(35)를 감싸도록 결합된 구름수단(1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텔레스코픽 작동력을 저감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AN AXIALLY ADJUSTABLE STEERING COLUMN IN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서 운전자의 체격이나 운전자세에 맞도록 텔레스코픽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보다 부드럽게 텔레스코픽 구속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장치는 가변 스티어링 휠의 일종으로서, 틸트 기능은 스티어링 휠 각도를 가변시켜 운전자의 체격 및 운전자의 자세에 맞도록 하는 기능이고, 텔레스코픽 기능은 스티어링샤프트를 2중으로 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틸트 및 텔레스코픽 기능을 종래엔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으로 개별 작동 방식으로 별개 구동을 수행하였으나, 작동 상 번거러움이 있어 일체 구동 방식으로 대체하려 하나, 일체식으로 구현할 경우에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이러한 복잡한 구조에 의하여 설계 상 오류가 발생되는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종래에는 틸트 및 텔레스코픽 동작을 조정하는 조작레버가 운전석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조작레버의 회동 각도가 크게 설계되면 차량 충돌 시, 운전자가 조작레버에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현재에는 조작레버의 회동 각도를 가능한 작게 설정되더라도 틸트 및 텔레스코픽의 잠금이나 작동이 보다 견고하게 설정됨과 동시에, 텔레스코픽 작동 상의 부드러운 조작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의 작동력을 저감하도록 설계하는 요건 해결책이 인간공학적인 자동차를 추구하면서, 절실히 대두되게 되었다.
더욱이, 틸트 작동 시,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의 틸트업 유지력으로 인해, 특히, 틸트다운 상태에서는 조임보울트가 텔레스코픽블록에 형성된 텔레스코픽장공을 따라 신축 작동을 위한 진퇴 이동 시, 상기 조임보울트와 텔레스코픽장공의 강한 마찰력을 이기고, 진퇴 이동해야 함으로써,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작동력이 증대됨으로써, 텔레스코픽 작동 상의 스무스한 이동을 보장받을 수 없어, 신뢰성을 해치는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조작레버와 연결된 작동 보울트의 인력을 통해 텔레스코픽 작동을 수행함에 있어, 보다 텔레스코픽 작동 상의 견인 작동력을 저감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조작레버의 작동 각도의 회동 작동을 수행하여,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해 슬라이딩튜브를 진퇴 이동함에 있어, 보다 작은 견인 작동력으로도 부드럽게 텔레스코픽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티어링 칼럼의 조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마운팅브라켓(1)과, 이 마운팅브라켓(1)의 일단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슬라이딩튜브(10)와, 이 슬라이딩튜브(10)가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접속되는 메인튜브(20)를 포함하여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튜브(10)에는 중앙부가 일부 절결된 절결부(11b)를 사이에 두고 하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텔레스코픽블록(11)이 일체로 병행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튜브(10)가 상기 틸트브라켓(31)을 매개로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튜브(10)와 마운팅 브라켓(1)은 틸트브라켓(31)을 매개로 고정결합되되, 상기 틸트브라켓(31)의 일단은 메인튜브(10(와 힌지결합되어 틸팅동작을 수행하며 타단은 마운팅브라켓(1)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후술하는 조작레버(36)의 회동에 의해 상기 틸트브라켓(31)에 대한 메인튜브(10)는 회전제한이 해제되어 틸팅이 이루어지면,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차량의 소정부에 마운팅브라켓(1)을 매개로 고정되는 슬라이딩튜브(10)에는 이 슬라이딩튜브(10)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기 메인튜브(20)로부터 신장 및 축소 작동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텔레스코픽수단(40)이 접속되며,
상기 텔레스코픽수단(40)은 상기 조작레버(36)의 회동에 연동하여 조임작동 되는 캠기구(C1)의 작동에 따라 설정 조임력이 발생하는 조임보울트(35)에 의해 상기 양쪽의 텔레스코픽블록(11, 11)을 관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튜브(20) 및 슬라이딩튜브(10)를 동시에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과 함께 마찰 구속함과 더불어, 텔레스코픽 작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구간이동되도록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에 형성된 텔레스코픽장공(11a)과, 상기 텔레스코픽장공(11a)을 관통하는 상기 조임보울트(35)를 감싸도록 결합된 구름수단(1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름수단(100)은 상기 양쪽 텔레스코픽블록(11, 11)의 사이에 맞춤 설정된 부시부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름수단(100)은 상기 양쪽 텔레스코픽블록(11, 11)의 사이에 배열되되, 상기 절결부(11b)를 통해, 텔레스코픽 작동 시, 상기 메인튜브(20)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링형부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서 운전자의 체격이나 운전자세에 맞도록 텔레스코픽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보다 부드럽게 텔레스코픽 조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하기에는 도면의 좌측부분을 일단으로 도면의 우측부분을 타단으로 그리고, 도면의 윗부분을 상단으로, 도면의 아랫부분을 하단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티어링 컬럼용 조종장치를 개략적으로 블록화하여 설명하기 위해 블록화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티어링 컬럼용 조종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의 하부 구성을 예시한 저면 구조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선 A-A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의 하부 구성을 예시한 저면 구조도이며, 도 7은 도 5의 선 B-B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조종장치는, 차량에서 운전자의 체격이나 운전자세에 맞도록 텔레스코픽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보다 부드럽게 텔레스코픽 구속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의 일환으로서 도출되었다.
또, 상기한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는, 마운팅브라켓(1)과, 이 마운팅브라켓(1)의 일단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슬라이딩튜브(10)와, 이 슬라이딩튜브(10)가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접속되는 메인튜브(20)를 포함하여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튜브(10)에는 중앙부가 일부 절결된 절결부(11b)를 사이에 두고 하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텔레스코픽블록(11)이 일체로 병행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튜브(10)가 상기 틸트브라켓(31)을 매개로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차량의 소정부에 마운팅브라켓(1)을 매개로 고정되는 슬라이딩튜브(10)에는 이 슬라이딩튜브(10)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기 메인튜브(20)로부터 신장 및 축소 작동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텔레스코픽수단(40)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수단(40)은 상기 조작레버(36)의 회동에 연동하여 조임작동되는 캠기구(C1)의 작동에 따라 설정 조임력이 발생하는 조임보울트(35)에 의해 상기 양쪽의 텔레스코픽블록(11, 11)을 관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튜브(20) 및 슬라이딩튜브(10)를 동시에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과 함께 마찰 구속함과 더불어, 텔레스코픽 작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구간이동되도록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에 형성된 텔레스코픽장공(11a)과, 상기 텔레스코픽장공(11a)을 관통하는 상기 조임보울트(35)를 감싸도록 결합된 구름수단(1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구름수단(100)은 상기 양쪽 텔레스코픽블록(11, 11)의 사이에 맞춤 설정된 부시부재(1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구름수단(100)은 상기 양쪽 텔레스코픽블록(11, 11)의 사이에 배열되되, 상기 절결부(11b)를 통해, 텔레스코픽 작동 시, 상기 슬라이딩튜브(10)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링형부재(1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름수단(100)으로서의 상기 링형부재(100'')와 부시부재(100')의 외주면은 단면상에서 볼 때, 도 5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름 대상이 되는 슬라이딩튜브(10) 등의 곡률반경 이하의 곡률반경을 갖는 장구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텔레스코픽 작동 시, 지지면으로서의 메인튜브(20)의 하면과, 텔레스코픽블록(11, 11)의 사이면에서 마찰력이 최소한으로 발생되는 상태에서 보다 안정되게, 구름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텔레스코픽장공(11a)의 내곽측에 상기 부시부재(100')가 배열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부시부재(100')가 텔레스코픽 작동 시,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 11)의 사이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면서, 슬라이딩됨으로써, 텔레스코픽 작동 상 이동도가 개선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링형부재(100'')의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형부재(100'')가 상기 절결부(11b) 를 통해 상기 메인튜브(20)의 하면 외주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면서, 슬라이딩됨으로써, 텔레스코픽 작동상 이동도가 개선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 (3, 3)은,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작동 시, 상방향으로 탄 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쌍이다.
이에 의해, 텔레스코픽 작동 상의 견인 조작력의 경감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달성 가능한 것이다.
이로써, 스티어링 컬럼의 상향 틸트 시, 이 틸트업 유지력으로 인해, 특히, 틸트다운 상태에서는 조임보울트가 텔레스코픽블록에 형성된 텔레스코픽장공을 따라 신축 작동을 위한 진퇴 이동 시, 상기 조임보울트와 텔레스코픽장공의 강한 마찰력을 이기고, 진퇴 이동해야 함으로써,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작동력이 증대됨으로써, 텔레스코픽 작동 상의 스무스한 이동을 보장받을 수 없는 등의 단점을 해소하도록, 상기 구름수단(100)이 스무스하게 텔레스코픽 작동력을 경감시킴으로써, 보다 신뢰성있고도 인간공학적인 텔레스코픽 작동감을 구현한 스티어링 컬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효과적으로 텔레스코픽 조작력을 경감시킴과 더불어, 이동형으로 간이하게 구름이동시키면서 틸트브라켓(31)과 텔레스코픽블록(11, 11)의 조임 작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스티어링 컬럼용 조종장치를 개략적으로 블록화하여 설명하기 위해 블록화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 구조도,
도 3은 도 1의 스티어링 컬럼용 조종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 구조도,
도 4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의 하부 구성을 예시한 저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선 A-A에 따른 단면 구조도,
도 6은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의 하부 구성을 예시한 저면 구조도, 및
도 7은 도 5의 선 B-B에 따른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라이딩 튜브 11 : 텔레스코픽블록
11a : 텔레스코픽장공 11b : 절결부
20 : 슬라이딩컬럼하우징 31 : 틸트브라켓
35 : 조임보울트 36 : 조작레버
40 : 텔레스코픽수단 C1 : 캠기구
100 : 구름수단 100' : 부시부재
100'' : 링형부재

Claims (4)

  1. 마운팅브라켓(1)과, 이 마운팅브라켓(1)의 일단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슬라이딩튜브(10)와, 이 슬라이딩튜브(10)가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접속되는 메인튜브(20)를 포함하여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하는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튜브(20)에는 중앙부가 일부 절결된 절결부(11b)를 사이에 두고 하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텔레스코픽블록(11)이 일체로 병행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튜브(20)가 틸트브라켓(31)을 매개로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차량의 소정부에 마운팅브라켓(1)을 매개로 고정되는 슬라이딩튜브(10)에는 이 슬라이딩튜브(10)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기 메인튜브(20)로부터 신장 및 축소 작동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텔레스코픽수단(40)이 결합되며,
    상기 텔레스코픽수단(40)은 조작레버(36)의 회동에 연동하여 조임작동되는 캠기구(C1)의 작동에 따라 설정 조임력이 발생하는 조임보울트(35)에 의해 상기 양쪽의 텔레스코픽블록(11, 11)을 관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튜브(20) 및 슬라이딩튜브(10)를 동시에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과 함께 마찰 구속함과 더불어, 텔레스코픽 작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구간이동되도록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에 형성된 텔레스코픽장공(11a)과, 상기 텔레스코픽장공(11a)을 관통하는 상기 조임보울트(35)를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름수단(1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름수단(100)은 상기 양쪽 텔레스코픽블록(11, 11)의 사이에 맞춤 설정된 부시부재(10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구름수단(100)으로서의 상기 부시부재(100')의 외주면은 단면상에서 볼 때, 슬라이딩튜브(10)의 곡률반경 이하의 곡률반경을 갖는 장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
  2. 마운팅브라켓(1)과, 이 마운팅브라켓(1)의 일단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슬라이딩튜브(10)와, 이 슬라이딩튜브(10)가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접속되는 메인튜브(20)를 포함하여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하는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튜브(20)에는 중앙부가 일부 절결된 절결부(11b)를 사이에 두고 하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텔레스코픽블록(11)이 일체로 병행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튜브(20)가 틸트브라켓(31)을 매개로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차량의 소정부에 마운팅브라켓(1)을 매개로 고정되는 슬라이딩튜브(10)에는 이 슬라이딩튜브(10)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기 메인튜브(20)로부터 신장 및 축소 작동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텔레스코픽수단(40)이 결합되며,
    상기 텔레스코픽수단(40)은 조작레버(36)의 회동에 연동하여 조임작동되는 캠기구(C1)의 작동에 따라 설정 조임력이 발생하는 조임보울트(35)에 의해 상기 양쪽의 텔레스코픽블록(11, 11)을 관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튜브(20) 및 슬라이딩튜브(10)를 동시에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과 함께 마찰 구속함과 더불어, 텔레스코픽 작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구간이동되도록 상기 텔레스코픽블록(11)에 형성된 텔레스코픽장공(11a)과, 상기 텔레스코픽장공(11a)을 관통하는 상기 조임보울트(35)를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름수단(1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름수단(100)은 상기 양쪽 텔레스코픽블록(11, 11)의 사이에 배열되되, 상기 절결부(11b)를 통해, 텔레스코픽 작동 시, 상기 슬라이딩튜브(10)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링형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구름수단(100)으로서의 상기 링형부재(100'')의 외주면은 단면상에서 볼 때, 슬라이딩튜브(10)의 곡률반경 이하의 곡률반경을 갖는 장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90124617A 2009-12-02 2009-12-15 텔레스코픽 작동력을 저감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 KR101131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254 2009-12-02
KR20090118254 2009-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35A KR20110063235A (ko) 2011-06-10
KR101131809B1 true KR101131809B1 (ko) 2012-03-30

Family

ID=4439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617A KR101131809B1 (ko) 2009-12-02 2009-12-15 텔레스코픽 작동력을 저감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4252A1 (de) 2013-03-29 2014-10-02 Mando Corporation Teleskopvorrichtung einer lenksäule für ein fahrzeu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244B1 (ko) * 2011-10-24 2018-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KR101401432B1 (ko) * 2011-11-03 2014-05-30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WO2013066063A1 (ko) * 2011-11-03 2013-05-10 남양공업㈜ 스티어링 컬럼
KR101839637B1 (ko) * 2013-05-30 2018-03-1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및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102087448B1 (ko) * 2014-06-11 2020-04-16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 컬럼 조립체
KR102538797B1 (ko) * 2018-04-26 2023-06-01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552A (ja) 2000-05-16 2001-11-20 Toyota Motor Corp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038833A (ja) * 2005-08-03 2007-02-15 Toyota Motor Corp テレスコピック式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552A (ja) 2000-05-16 2001-11-20 Toyota Motor Corp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038833A (ja) * 2005-08-03 2007-02-15 Toyota Motor Corp テレスコピック式ステアリング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4252A1 (de) 2013-03-29 2014-10-02 Mando Corporation Teleskopvorrichtung einer lenksäule für ein fahrzeug
KR101521185B1 (ko) * 2013-03-29 2015-05-1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장치
US9079610B2 (en) 2013-03-29 2015-07-14 Mando Corporation Telescopic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DE102014004252B4 (de) * 2013-03-29 2016-03-03 Mando Corporation Teleskopvorrichtung einer lenksäule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35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809B1 (ko) 텔레스코픽 작동력을 저감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용 조종장치
CN110087972B (zh) 用于机动车辆转向系统的方向盘和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JP5883988B2 (ja) シート傾斜調整機構、車両シート及び当該車両シートの取り付け方法
EP0818379B1 (en)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use in a motor vehicle
JP6493211B2 (ja) 位置調節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9033368B2 (en) Tilt or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7168708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083936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9586610B2 (en) Steering column rake adjustment lock/unlock device
US20080245176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n actuation mechanism for telescoping and tilting movement
KR101032983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JP483501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957598B2 (ja) シート用長さ調整機構、シート部分の傾斜調整機構、車両シート
KR101806680B1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컬럼 하우징
JP2004513822A (ja) 車両の前部座席
JP4628092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CN112278064A (zh) 转向柱装置
KR101622125B1 (ko) 차량용 조향 틸트 구조체
KR20130115759A (ko) 조정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래치 장치
EP3800110B1 (en) Steering wheel with a storage and steering configuration
KR101584868B1 (ko) 차량의 리어시트
JP417269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10060083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장치
JPH0224369Y2 (ko)
KR101905679B1 (ko) 차량용 텔레스코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