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461U -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461U
KR20150002461U KR2020130010477U KR20130010477U KR20150002461U KR 20150002461 U KR20150002461 U KR 20150002461U KR 2020130010477 U KR2020130010477 U KR 2020130010477U KR 20130010477 U KR20130010477 U KR 20130010477U KR 20150002461 U KR20150002461 U KR 201500024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hole
mounting bracket
mount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10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461U/ko
Publication of KR20150002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4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박스본체(10)에 일체로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12,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장착브라켓(12)에는 관통장공(14)이 형성되고, 제2 장착브라켓(12')에는 관통정공(1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정공(14')의 중심은 상기 관통장공(14)의 장축을 연장한 가상의 연결선 상에 위치된다. 상기 관통장공(14)에는 연속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제1부싱(16)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정공(14')에는 제2부싱(16')이 인서트사출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부싱(16)의 외면을 둘러서는 가이드홈(18)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장공(14)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8)에 안착되어 제1부싱(16)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제1부싱(16)이 관통장공(14) 내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하므로 패널에 설치된 한 쌍의 체결구(20)의 위치가 설계된 것과 달라지더라도 박스본체를 패널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Mounting apparatus of box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가 장착되는 패널에 형성된 체결공의 위치가 어느 정도 오차가 있더라도 장착이 가능하게 된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는 각종 전자부품이 집적되어 구성되는 박스, 예를 들면, 정션박스나 퓨즈박스 등과 같은 것이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박스는 여러 종류의 전자부품을 집적하여 설치하므로 자동차 내부의 공간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박스는 자동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패널과 같은 고정부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박스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브라켓의 관통공을 패널에 고정되어 있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관통하고 이에 체결너트를 체결함에 의해 장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브라켓은 박스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박스몸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이 사용된다. 따라서, 체결너트를 조으거나 풀기 위한 공구의 회전력에 의해 장착브라켓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부싱을 상기 관통공에 삽입하여 체결작업시에 장착브라켓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서로 인접하는 장착브라켓에서는 상기 패널에 고정된 체결구 사이의 오차 때문에 일측의 관통공은 정공으로 하지만, 타측의 관통공은 장공으로 만드는데, 상기 장착공으로 만들어진 관통공 내에는 횡단면이 장공형상으로 된 부싱이 없어 정공형상으로 만들어진 부싱을 설치하였다. 하지만, 패널 측의 체결구의 위치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 상기 장공내에 설치된 부싱을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부싱을 장공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상기 부싱이 장공 내에서 선형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부상을 장공 내에서 빼내고 이동된 위치에 다시 삽입하는 구성이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015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브라켓에서 부싱을 장공 내에서 선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박스본체에 구비되어 박스본체를 패널에 구비된 한 쌍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장착하는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장공이 형성되는 제1장착브라켓과, 상기 박스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장공의 장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 상에 관통정공의 중심이 있도록 형성되는 제2장착브라켓과, 상기 제1장착브라켓의 관통장공의 장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일측 체결구가 관통하는 제1부싱과, 상기 제2장착브라켓의 관통정공에 설치되고 상기 타측 체결구가 관통하는 제2부싱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장공의 내면에는 상기 제1부싱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싱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위치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부싱의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하부 외면 양측에는 절단면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부와 간섭없이 제1부싱이 관통장공에 삽입된다.
상기 박스본체는 메인몸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은 상기 메인몸체, 커버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브라켓의 관통정공에는 상기 체결구중 나머지 하나가 관통하는 제2부싱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부싱과 제2부싱은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에 비해 강도가 높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장착장치에서는 제1 장착브라켓의 관통장공에 설치된 제1부싱이 상기 관통장공 내에서 제2 장착브라켓의 관통정공과의 가상의 연결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에 설치된 체결구의 위치가 정위치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있더라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패널에 박스본체를 장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적용된 자동차용 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에서 장공이 형성된 장착브라켓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에서 정공이 형성된 장착브라켓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례에서 장공이 형성된 장착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부싱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본체(10)는 메인몸체(도면부호 부여 않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버(도면부호 부여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박스본체(10)의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메인몸체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12,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12,12')은 자동차의 패널에 박스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패널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제1 장착브라켓(12)을 관통하여서는 관통장공(14)이 형성되고, 제2 장착브라켓(12')을 관통하여서는 관통정공(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브라켓(12)에 형성된 관통장공(14)의 장축방향은 상기 제1장착브라켓(12)과 제2장착브라켓(12')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 방향과 같다. 이는 상기 제1장착브라켓(12)과 제2장착브라켓(12')을 관통하는 체결구(2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체결구(20)의 변형이나 상기 체결구(20)가 장착된 패널 부분의 변형으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가상의 연결선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체결구(20)가 위치이동될 수도 있으나, 그 경우는 제2장착브라켓(12)을 관통하는 체결구(20)를 회전중심으로 해서 박스몸체(10)를 회전시켜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관통장공(14)의 내면을 둘러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부(1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부(15)는 상기 관통장공(14)의 내면에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돌부(15)는 그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된다. 상기 가이드돌부(15)를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제1부싱(16)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관통장공(14)에는 제1부싱(16)이 설치된다. 상기 제1부싱(16)은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내부를 체결구(20)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제1부싱(16)의 외면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18)은 상기 제1부싱(16)의 외면을 둘러 홈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18)에는 상기 관통장공(14)의 가이드돌부(15)가 위치되어 상기 제1부싱(16)이 상기 관통장공(14)내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장공(14) 내에서 제1부싱(16)이 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부싱(16)에서 상기 가이드홈(18)을 기준으로 하부 외면 양측에는 절단면(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면(19)은 상기 제1부싱(16)의 서로 대칭되는 양측 외면을 잘라내어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절단면(19)은 상기 관통장공(14)에 제1부싱(16)이 삽입될 때, 상기 관통장공(14)의 가이드돌부(15)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절단면(19)의 각각 상기 관통장공(14)의 가이드돌부(15)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돌부(15)가 상기 가이드홈(18)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싱(16)을 90도 회전하면 상기 절단면(19)이 없는 쪽의 가이드홈(18)에 상기 가이드돌부(15)가 안착되어 상기 제1부싱(16)이 상기 관통장공(14)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된다.
한편, 상기 제2장착브라켓(12')의 관통정공(14')에는 제2부싱(16)이 설치된다. 상기 제2부싱(16')은 상기 제1부싱(16)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물론, 상기 제1부싱(16)과 제2부싱(16')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부싱(16')에는 상기 절단면이 없어도 상관없다. 상기 제2부싱(16')은 상기 제2장착브라켓(12')을 만들 때, 즉 상기 메인몸체를 만들 때 인서트사출을 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부싱(16')을 상기 제2장착브라켓(12')에 인서트사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2부싱(16')의 가이드홈(18)은 제2장착브라켓(12')을 형성하는 수지가 채워져서 마치 상기 가이드돌부(15)와 같은 구성으로 되면서 상기 제2부싱(16')에 체결정공(14')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부싱(16)과 제2부싱(16')은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12')에 비해 강도가 큰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좋기로는 스틸과 같은 금속이 사용된다.
한편, 자동차용 박스가 자동차의 패널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패널에 체결구(20)가 미리 설치된다. 상기 체결구(20)는 일종의 볼트로서 상기 패널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패널에 상기 체결구(20)가 용접되어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구(20)가 변형되거나, 상기 패널이 변형되어 상기 체결구(20) 사이의 거리가 설계된 것과 달리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20)에 변형이 발생하면 상기 체결구(20)의 연장방향이 달라지면서 체결구(20)의 위치가 설계된 것과는 달라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경우에 대비하면서 체결너트를 조으는 공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12,1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박스본체(10)를 자동차의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패널에 체결구(20)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체결구(2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패널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체결구(20)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12,12')의 관통장공(14)과 관통정공(14')을 관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박스본체(10)가 상기 패널에 가조립된 상태가 되고, 상기 체결구(20)에 각각 체결너트(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12,12')이 상기 패널에 장착되고 박스본체(10)가 상기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체결구(20) 사이의 거리가 설계된 것과는 달리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저, 상기 체결구(20) 사이의 거리가 설계된 것보다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부싱(16)을 상기 관통장공(14) 내에서 이동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이동은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20)의 선단은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하부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된 부분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부싱(16)이 상기 관통장공(14)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체결구(20)를 상기 제1부싱(16)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직경이 점차 커지는 부분에 제1부싱(16)이 안내되면서 관통장공(14)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부싱(16)의 이동은 상기 제2부싱(16')에서 멀어지는 방향이나 제2부싱(16')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1부싱(16)과 제2부싱(16')을 각각 상기 체결구(20)가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체결구(20)에 각각 체결너트를 체결하면 자동차용 박스가 패널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구(20)중에서 하나가 제 위치를 벗어나거나, 체결구(20) 또는 패널이 변형되어 체결구(20)의 선단이 제 위치를 벗어난 경우가 있다. 즉, 상기 관통장공(14)과 관통정공(14')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벗어난 위치에 적어도 일측 체결구(20)가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장착브라켓(12')의 체결정공(14')을 중심으로 상기 박스몸체(10)가 회전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체결장공(14)내에서 제1부싱
(16)이 이동되도록 하여 양측의 체결구(20)가 상기 제1장착브라켓(12)의 관통장공(14)에 설치된 제1부싱(16)과 제2장착브라켓(12')의 관통정공(14')에 설치된 제2부싱(16')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싱(16)과 제2부싱(16')을 각각 상기 체결구(20)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20)에 각각 체결너트를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하면 자동차용 박스가 패널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12,12')이 메인몸체에 모두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12,12')은 메인몸체 외에 상부커버나 하부커버 등에 형성될 수도 있다.
10: 박스본체 12: 제1장착브라켓
12': 제2장착브라켓 14: 관통장공
14': 관통정공 15: 가이드돌부
16: 제1부싱 16': 제2부싱
18: 가이드홈 19: 절단면
20: 체결구

Claims (6)

  1. 박스본체에 구비되어 박스본체를 패널에 구비된 한 쌍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장착하는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장공이 형성되는 제1장착브라켓과,
    상기 박스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장공의 장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 상에 관통정공의 중심이 있도록 형성되는 제2장착브라켓과,
    상기 제1장착브라켓의 관통장공의 장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일측 체결구가 관통하는 제1부싱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장공의 내면에는 상기 제1부싱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싱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위치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싱의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하부 외면 양측에는 절단면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부와 간섭없이 제1부싱이 관통장공에 삽입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는 메인몸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은 상기 메인몸체, 커버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브라켓의 관통정공에는 상기 체결구중 나머지 하나가 관통하는 제2부싱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싱과 제2부싱은 상기 제1 및 제2 장착브라켓에 비해 강도가 높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KR2020130010477U 2013-12-16 2013-12-16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KR201500024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477U KR20150002461U (ko) 2013-12-16 2013-12-16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477U KR20150002461U (ko) 2013-12-16 2013-12-16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461U true KR20150002461U (ko) 2015-06-24

Family

ID=5351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477U KR20150002461U (ko) 2013-12-16 2013-12-16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46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260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KR20230099547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260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KR20230099547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216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50002461U (ko) 자동차용 박스의 장착장치
CA2907941A1 (en) Attachment element
US10315475B2 (en) Towing hook attachment structure
JP2008021832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固定構造
EP2891838B1 (de) Befestigungsvorrichtung
EP3374234B1 (de) Befestigungssystem
DE102009023323A1 (de) Sensormodul
KR102363827B1 (ko) 자동차의 구조 요소와 기능 요소의 조립체
EP2789511B1 (en) Through anchor
DE19815705A1 (de) Befestigungs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Abgasrohres an einem Fahrzeugbauteil
JP5913883B2 (ja) ケーブル保護案内部材の取付構造
CN104134957A (zh) 线束的车身临时固定结构
DE102004004851B4 (de) Sensorbefestigung
EP3567265B1 (en) Apparatu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 vehicle
JP2019132336A5 (ja) 中間ブラケット、ワイヤ、車両用ドア及びワイヤの製造方法
US20190300040A1 (en) Steering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7038737B4 (de) Bodenplatte für eine Sensorbaugruppe, Trägerkörper zur Befestigung der Sensorbaugruppe, Sensorbaugruppe und Befestigungssystem
JP7201374B2 (ja) ブラケットおよび電子機器
DE102012024037B3 (de) Vorrichtung zur Führung eines Körpers und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KR101823967B1 (ko) 자동차 번호판용 봉인장치
KR20170001195U (ko) 자동차 블럭 및 이에 사용되는 단자볼트
JP2017197200A (ja) 載置台
JP6309302B2 (ja) 電気接続箱
US20190120668A1 (en) Spring clip for sensor mou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