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670A -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670A
KR20200074670A KR1020180163330A KR20180163330A KR20200074670A KR 20200074670 A KR20200074670 A KR 20200074670A KR 1020180163330 A KR1020180163330 A KR 1020180163330A KR 20180163330 A KR20180163330 A KR 20180163330A KR 20200074670 A KR20200074670 A KR 20200074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ing
film
layer
thin film
cov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369B1 (ko
Inventor
이창우
윤성환
한윤덕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3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6/0272Deposition of sub-layers, e.g. to promote the adhesion of the main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694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4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4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 C23C28/046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with at least one amorphous inorganic material layer, e.g. DLC, a-C:H, a-C:Me, the layer being doped or no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습식 코팅법을 이용하여 접착력 강화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접착력 강화층 상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하드코팅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방오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IN FILM HARD COATING FILM FOR A FOLDABLE COVER WINDOW AND A THIN FILM HARD COATING FILM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명세서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하드코팅 커버 윈도우 필름은 PET 또는 투명 PI 기재 위에 습식코팅 방식에 의해 UV 경화시킨 제품을 사용하였다. 특히 투명 PI 기재 위에 습식코팅 방식에 의해 UV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를 코팅한 제품은 높은 경도를 실현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높은 경도를 실현하기 위하여 20 ~ 50㎛ 수준의 두꺼운 후막의 하드코팅층이 필요하고, 이러한 후막에 의하여 굴곡성과 필름 Curl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유사기술로는 저굴절층과 고굴절층을 순차적으로 다층 스퍼터 증착하여 반사방지필름을 제조하는 기술들이 제안되어 있다. 반사방지 기술 또한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꼭 필요한 기술이지만, 상기 기술은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광굴절율 설계 및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고분자 필름이 디스플레이의 커버 윈도우 특히 폴더블 커버 윈도우 필름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경도(4 ~ 9H), 굴곡성, 방오성 등의 성능이 요구된다. 하지만, 반사방지 기술은 폴더블 커버 윈도우 필름으로 사용되기 위한 경도와 굴곡성에 문제가 있다. 특히 스퍼터 방식에 의한 굴절층 증착은 증착막이 딱딱하여 굴곡시 크랙 발생 및 기재와의 접착력 문제로 높은 경도를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접착력이 뛰어나면서도, 탄성이 우수하여 굴곡성이 향상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246022호
본 발명은 종래의 폴더블 커버 윈도우 필름과 비교하여, 접착력이 뛰어나면서도, 탄성이 우수하여 굴곡성이 향상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습식 코팅법을 이용하여 접착력 강화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접착력 강화층 상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하드코팅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방오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으로서, 폴리이미드 필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적층된 접착력 강화층; 상기 접착력 강화층 상에 적층된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적층된 방오층;을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의하면, 상기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은 종래의 필름과 비교하여 두께가 획기적으로 얇고, 마찰에 의한 내스크래치 특성이 우수하며, 필름 컬(Curl) 현상이 없고, 벤딩에 의한 필름의 손상이 없으며, 높은 경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방오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습식코팅으로 접착력 강화층 코팅 후,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접착력이 뛰어나고 탄성이 우수하여 굴곡성이 향상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습식 코팅법을 이용하여 접착력 강화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접착력 강화층 상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하드코팅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방오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습식 코팅법으로 1 ~ 5㎛ 박막의 접착력 강화층을 코팅한 후,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수백 nm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박막의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습식 코팅법을 이용하여 적층된 접착력 강화층이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된 하드코팅층과의 접착력이 뛰어나고 그 자체가 탄성을 가지고 있어, 하드코팅막의 경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굴곡성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적층된 하드코팅층은 결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비정질(amorphous)의 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뛰어난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벤딩시 하드코팅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습식 코팅법과 관련하여 그라비아(gravure) 코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슬롯 다이(slot die) 코팅법, 콤마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바 코팅법 및 침적 코팅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코팅의 박막화를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슬롯 다이 코팅법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화학 기상 증착법(chemcal vapor deposition, CVD)은 감압 하의 플라스마 방전에 의해 원료가스를 화학적으로 활성화해, 통상의 열여기에서 어려운 화학반응에 의해 막을 증착시키는 것이다. 전계에 의해 가속된 전자와 가스 분자가 비탄성 충돌하여 분자가 이온화, 해리 내지 여기되어 증착될 수 있다. 비평형 반응이므로 다양한 조성의 막이 꽤 저온에서 퇴적할 수 있고 내열성이 낮은 수지 기판의 성막에 적합하다. 플라스마 발생에는 고주파가 잘 이용되지만,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자계를 이용해 발생한 플라스마를 확산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화학 기상 증착법의 기상의 공급원은 구체적으로, Si 공급원으로써,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헥사메틸 디실록산(Hexamethyldisiloxane, HMDSO), 또는 실란(Silane) 일 수 있으며, 산소 분위기에서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원료가스를 화학적으로 활성화하여 화학반응에 의해 하드코팅막을 증착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방오층은 화학기상증착법 또는 전자빔(Electron Beam)법을 이용하여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화학기상증착법 또는 전자빔(Electron Beam)법을 이용하여 적층됨으로써, 습식코팅법 대비 치밀하고 균일한 박막의 내구성 있는 방오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발수성과 내지문성이 우수한 방오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으로서, 폴리이미드 필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적층된 접착력 강화층; 상기 접착력 강화층 상에 적층된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적층된 방오층;을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10), 접착력 강화층(20), 하드코팅층(30) 및 방오층(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한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습식 코팅법에 의하여 적층되어 접착력과 탄성이 우수한 접착력 강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력 강화층 상에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하여 적층된 하드코팅층은 비정질로서 뛰어난 유연성을 가지며, 방오층은 화학기상증착법 또는 전자빔(Electron Beam)법을 이용하여 적층되어 발수성과 내지문성이 우수하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접착력 강화층의 두께는 1㎛ 내지 5㎛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접착력이 저하되어 박리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5㎛ 초과인 경우 폴리이미드 필름과 접착력 강화층의 수축률 차이에 의해 필름의 컬(curl)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헤이즈가 증가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00nm 초과 내지 1000nm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nm 내지 800nm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00nm 이하인 경우 연필경도와 내마모성이 저하되어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1000nm 이상인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어 벤딩시 하드코팅층이 깨질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방오층의 두께는 10nm 내지 50nm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nm 내지 25nm 일 수 있다. 상기 방오층의 두께가 10nm 미만인 경우 발수성, 내지문성,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두께가 50nm 초과인 경우 발수성, 내지문성, 내마모성은 차이가 없는 반면, 고두께로 코팅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고가의 방오 원료를 다량으로 소모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접착력 강화층은 열경화성 수지인 우레탄, 아크릴,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우레탄: 아크릴: 에폭시 수지가 5~10: 1~5: 1~3의 혼합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된 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인 폴리이미드 필름과 하드코팅층의 접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접착력 강화층은 열경화성 수지 희석제인 용매와 열경화성 수지 경화제 또는 경화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의 함량은 고형분인 열경화성 수지 함량 대비 60~85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함량이 60중량% 미만일 경우, 접착력 강화층을 적층하기 위한 코팅제의 점도가 높아 코팅시 생산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85중량% 초과일 경우, 열경화성 수지의 함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코팅막 두께가 낮아져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열경화성 수지 경화제 또는 경화촉진제 함량은 접착력 강화층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일 수 있다. 1중량% 미만이면 코팅제의 미반응분 잔류로 인하여 경화후 블로킹이 발생될 수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하면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규소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규소계 화합물은 SiOx(x는 1.2 내지 2), 또는 SiOxCy(x는 0.8 내지 2, y는 0.5 내지 4)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비정질(amorphous)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되어 결정성을 가지지 않은 비정질의 막을 형성하므로 뛰어난 유연성을 가져, 벤딩시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방오층은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플루오르알킬 실란, 퍼플루오르알킬 실란,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고,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습식 코팅법을 이용하여 접착력 강화층을 적층하였으며, 상기 접착력 강화층 상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하드코팅층을 적층하였다. 구체적으로, 습식 코팅법은 슬롯다이 코팅 장비를 이용하여 접착력 강화층을 적층하였으며, 접착력 강화층 상에 화학기상증착(CVD) 장비를 이용하여 하드코팅층을 적층하였다.
비교예 7의 경우 접착력 강화층을 습식 코팅법이 아닌, SiO2 Sputtering Target 방법으로 적층하였으며, 비교예 8의 경우 하드코팅층 적층시, 화학기상증착법이 아닌 슬롯다이 코팅법으로 실리카 아크릴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을 적층하였다.
기재필름 접착력 강화층 하드코팅층 방오막
비교예1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우레탄수지 화합물(우레탄수지,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포함, 율촌화학) 헥사메틸디실록산(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실시예1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우레탄수지 화합물(율촌화학) (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실시예2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우레탄수지 화합물(율촌화학) (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실시예3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우레탄수지 화합물(율촌화학) (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비교예2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우레탄수지 화합물(율촌화학) (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비교예3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우레탄수지 화합물(율촌화학) (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적층하지 않음)
비교예4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우레탄수지 화합물(율촌화학) (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비교예5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적층하지 않음) (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실시예4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우레탄수지 화합물(율촌화학) (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비교예6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우레탄수지 화합물(율촌화학) (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비교예7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SiO2 Sputtering Target(Advaced Engineering Materials사) (Shenzhen Lodi Chemial사, LD-S-763)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비교예8 Colorless PI(코오롱인더스트리사, A_50) 우레탄수지 화합물(율촌화학) 실리카 아크릴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율촌화학) 퍼를루오르폴리에테르 실란 화합물(파인켐텍사, FCT F-Series)
실험예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두께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기재필름 접착력 강화층 하드코팅층 방오막
비교예1 CPI(50㎛) 1㎛ 100nm 18nm
실시예1 CPI(50㎛) 1㎛ 300nm 18nm
실시예2 CPI(50㎛) 1㎛ 500nm 18nm
실시예3 CPI(50㎛) 1㎛ 800nm 18nm
비교예2 CPI(50㎛) 1㎛ 1,000nm 18nm
비교예3 CPI(50㎛) 1㎛ 500nm -
비교예4 PET(50㎛) 1㎛ 500nm 18nm
비교예5 CPI(50㎛) - 500nm 18nm
실시예4 CPI(50㎛) 3㎛ 500nm 18nm
비교예6 CPI(50㎛) 10㎛ 500nm 18nm
비교예7 CPI(50㎛) 1㎛ 500nm 18nm
비교예8 CPI(50㎛) 1㎛ 1000nm 18nm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성능을 비교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부착력은 투명 PI 기재에 하드코팅된 부분을 1mm 간격으로 격자 크로스컷팅한 후, 3M 810 테이프를 부착하여 0.5mm/s의 속도로 Peel Off하여 하드코팅층의 박리여부를 측정하였다. 부착력 측정 결과에 있어서 ○는 하드코팅층의 박리가 없음을 나타내고, X는 하드코팅층이 박리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연필경도의 경우, 하드코팅층 또는 방오막 시료에 45° 각도로 KS G 2630(연필)에 규정된 연필 심을 대고 750gf의 하중을 가하여 0.5mm/s의 속도로 20mm를 5회 실시하여 도막이 벗겨지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필경도 측정 결과에 있어서 ○는 도막이 벗겨짐이 없음을 나타내고, X는 도막이 벗겨짐을 나타낸다.
필름 컬(Curl) 현상의 경우, 평탄한 유리판 위에 기재의 하드코팅층 또는 방오막을 위로 향하게 펼쳐, TD 방향으로 시료를 마름모 모양으로 100mm X 100mm 크기로 시료를 채취한 후 시료의 4각이 유리판에서 떨어진 거리를 측정한 평균값을 평가하였다.
곡률반경의 경우, 곡률반경 2R로 세팅 후 1cycle/s의 속도로 시료를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여 총 200,000 cycles 반복 후, 시료의 접힘 부분의 기재, 하드코팅층 및 방오막의 손상여부를 현미경을 이용하여 육안 평가하였다.
내마모성의 경우, 하드코팅층 또는 방오막 시료는 Steel Wool 마모 테스트를 진행하여 분석하였다. 가로 180mm X 세로 70mm 시료를 Steel Wool Grade #0000에 하중 750gf를 가하여 분당 40cycles의 속도로 1000cycles 문질러 하드코팅층 또는 방오막의 스크래치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는 하드코팅층 또는 방오막이 스크래치가 없음을 나타내고, X는 하드코팅층 또는 방오막이 스크래치가 있음을 나타낸다.
전광선투과율과 헤이즈의 경우, 오염되지 않은 시료를 가로 50mm X 세로 50mm 채취후 NIPPON DENSHOKU사 NDH2000 Haze Meter를 이용하여 전광선투과율과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접촉각의 경우, 하드코팅층 또는 방오막의 표면을 물(Water)이 적시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드코팅층 또는 방오막에 대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KRUSS사 DSA100를 이용하여 물(Water)의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이러한 접촉각은 표면 자유에너지에 의해 결정되며, 접촉각이 높을수록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짐을 의미한다.
부착력 연필경도 Curl 곡률반경 내마모성 전광선투과율 헤이즈 접촉각
비교예1 2H 0mm X 92.5% 0.43% 104
실시예1 6H 0mm 92.3% 0.46% 104
실시예2 7H 0mm 91.8% 0.50% 106
실시예3 7H 0mm 91.2% 0.67% 104
비교예2 7H 5mm X 90.1% 0.95% 106
비교예3 6H 0mm X 91.6% 0.52% 77
비교예4 4H 5mm X X 91.7% 0.48% 107
비교예5 X X 0mm X X 92.1% 0.46% 103
실시예4 7H 10mm 91.4% 0.83% 106
비교예6 7H 35mm 89.7% 1.25% 106
비교예7 7H 20mm X 91.3% 0.71% 104
비교예8 3H 50mm X 88.4% 1.4% 95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100nm이하로 너무 얇으면(비교예 1) 연필경도와 내마모성이 떨어지고, 1000nm이상이면(비교예 2) 2R의 곡률반경 상태에서 이십만회 벤딩시 하드코팅층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폴리이미드 필름 대신에, PET 50㎛의 기재필름을 사용했을 경우(비교예 4) 2R의 곡률반경 상태에서 2십만회 벤딩시 PET 기재필름에서 백화현상이 발생하였다.
접착력 강화층을 코팅하지 않고 하드코팅층과 방오막을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코팅했을 경우(비교예 5), 폴리이미드 필름과 하드코팅층 간의 접착력이 떨어져 벤딩시 하드코팅층이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접착력 강화층의 두께를 너무 두껍게 코팅하면(비교예 6) 기재와 접착력 강화층의 수축률 차이에 의해 필름 Curl과 헤이즈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플루오르계 방오막을 코팅하지 않을 경우(비교예 3), 발수성, 내지문성,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접착력 강화층을 습식 코팅법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코팅하는 경우(비교예 7), 2R의 곡률반경 상태에서 이십만회 벤딩시 접착력 강화층과 함께 하드코팅층의 미세한 크랙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하드코팅층을 화학기상증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코팅하는 경우(비교예 8),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10: 폴리이미드 필름
20: 접착력 강화층
30: 하드코팅층
40: 방오층

Claims (10)

  1.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습식 코팅법을 이용하여 접착력 강화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접착력 강화층 상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하드코팅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방오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은 화학기상증착법 또는 전자빔(Electron Beam)법을 이용하여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으로서,
    폴리이미드 필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적층된 접착력 강화층;
    상기 접착력 강화층 상에 적층된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 상에 적층된 방오층;을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강화층의 두께는 1㎛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00nm 초과 내지 1000n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의 두께는 10nm 내지 5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강화층은 열경화성 수지, 용매, 열경화정수지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규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비정질(amorpho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은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KR1020180163330A 2018-12-17 2018-12-17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KR102227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330A KR102227369B1 (ko) 2018-12-17 2018-12-17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330A KR102227369B1 (ko) 2018-12-17 2018-12-17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670A true KR20200074670A (ko) 2020-06-25
KR102227369B1 KR102227369B1 (ko) 2021-03-15

Family

ID=7140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330A KR102227369B1 (ko) 2018-12-17 2018-12-17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270B1 (ko) * 2022-03-03 2022-10-28 주식회사 지웰코퍼레이션 스마트 모빌리티 디스플레이용 내충격성 및 내오염성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및 전자 소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22B1 (ko) 2010-08-19 2013-04-02 (주)에스아이티 반사 방지용 윈도우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사 방지용 윈도우 패널
JP2014134770A (ja) * 2012-12-13 2014-07-24 Dic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加飾フィルム及び保護フィルム
KR20160115468A (ko) * 2015-03-27 2016-10-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WO2018088542A1 (ja) * 2016-11-11 2018-05-17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イミドフィルムとハードコート層とを含む積層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22B1 (ko) 2010-08-19 2013-04-02 (주)에스아이티 반사 방지용 윈도우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사 방지용 윈도우 패널
JP2014134770A (ja) * 2012-12-13 2014-07-24 Dic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加飾フィルム及び保護フィルム
KR20160115468A (ko) * 2015-03-27 2016-10-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WO2018088542A1 (ja) * 2016-11-11 2018-05-17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イミドフィルムとハードコート層とを含む積層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270B1 (ko) * 2022-03-03 2022-10-28 주식회사 지웰코퍼레이션 스마트 모빌리티 디스플레이용 내충격성 및 내오염성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및 전자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369B1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5103B (zh) 层叠薄膜及层叠薄膜的制造方法
EP1969041B1 (en) Durable transparent coatings for aircraft passenger windows
US8197942B2 (en) Gas barrier sheet
JP7010560B2 (ja) ハードコートを有する物品
KR101523747B1 (ko) 박막형 하드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442206A (zh) 层叠薄膜
CN115812035B (zh) 带防污层的光学薄膜
KR102227369B1 (ko)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폴더블 커버 윈도우용 박막 하드코팅 필름
US20090311539A1 (en) Wear-resistant coating for polymeric transparencies
US20200200947A1 (en) Multilayer antireflective articl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N115803192B (zh) 带防污层的光学薄膜
KR20160115468A (ko) 커버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CN110637504A (zh) 有机电致发光层叠体
JP2000338307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JP3723682B2 (ja) 反射防止フイルム
JP2000238177A (ja)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積層体
KR20200065912A (ko) 눈부심 방지 기능을 갖는 고투명 배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012272B2 (ja) ガスバリア性シート
JP3980006B2 (ja)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729080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
US11458703B2 (en) Barrier film
KR101894788B1 (ko) 플렉시블 oled 기판용 투명 배리어 필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투명 배리어 필름
JPH09277426A (ja) 透明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8027485A (zh) 带防污层的光学薄膜及其制造方法
JP2013195456A (ja) 反射防止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