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810A -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소자 - Google Patents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810A
KR20200070810A KR1020180158344A KR20180158344A KR20200070810A KR 20200070810 A KR20200070810 A KR 20200070810A KR 1020180158344 A KR1020180158344 A KR 1020180158344A KR 20180158344 A KR20180158344 A KR 20180158344A KR 20200070810 A KR20200070810 A KR 20200070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ula
group
composit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임
박병하
드미트리 안드로소브
공혜영
김기남
정원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0810A/ko
Priority to EP19193042.9A priority patent/EP3666836A1/en
Priority to US16/661,650 priority patent/US11286350B2/en
Publication of KR2020007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10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9D183/12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alkoxy or aryl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L83/12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6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83/00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특정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말단에 특정 관능기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소자 {COMPOSITION, FILM COMPRISING CURED PRODUCT OF THE SAME, STACKED STRUCTURE COMPRISING THE FILM AND DISPLAY DEVICE}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소자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기능성 층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근래 손가락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접촉 위치를 인식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이 보편화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면의 슬립성 및 터치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의 표면에 기능성 층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층은 내지문성 또는 슬립성이 약하여 빈번한 접촉에 의해 쉽게 지문시인성 및 슬립감이 소실 또는 파괴되어 그 기능을 급격하게 잃을 수 있다.
일 구현예는 지문시인성 및 슬립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말단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R3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 사이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1은 *-CH2CH2-* 또는 *-CH2CH(CH3)-* 일 수 있다.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이고, 상기 R3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몰비가 10:90 내지 40:60 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4 및 화학식 5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2,000 g/mol 내지 20,0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매는 PGMEA, 사이클로헥사논, 톨루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은 0.4 이하의 마찰계수, 65˚ 이상의 물 접촉각 및 45˚ 이하의 오일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공한다.
기능성 층의 지문 시인성 및 슬립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사진이고,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사진이고,
도 5는 비교예 2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사진이다.
이하, 구현예에 대하여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제 적용되는 구조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면에서 본 구현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된'이란, 화합물 중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나 그의 염, 술폰산기나 그의 염, 인산이나 그의 염, C1 내지 C20 알킬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C6 내지 C30 아릴기,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C1 내지 C30 알콕시기,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C3 내지 C20 헤테로아릴알킬기,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C3 내지 C15의 사이클로알케닐기, C6 내지 C15 사이클로알키닐기, C3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헤테로'란, N, O, S, Se, Te, Si 및 P에서 선택된 헤테로 원자를 1개 내지 4개 함유한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조합’이란 둘 이상의 혼합 및 둘 이상의 적층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말단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더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화학식 2]
Figure pat00007
[화학식 3]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R3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함으로써, 발수성과 친유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이를 활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은 지문이 묻더라도 잘 보이지 않고, 슬립성 및 내구성이 우수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가 블록공중합체일 경우, 교대공중합체 또는 랜덤공중합체 구조와 비교하여, 낮은 마찰계수를 유지하면서 지문시인성이 확보되는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중합체는 삼원 블록공중합체(triblock copolymer)의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합성 측면에서도 매우 용이하다. 예컨대, 실록산기 함유 반복단위와 알킬렌옥시기 함유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이원 블록공중합체(diblock copolymer)의 경우, 합성이 어려워,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이원 블록공중합체보다 삼원 블록공중합체가 보다 큰 분자량을 가지기 때문에, 슬립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말단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양 말단의 표면 에너지 차이에 의해 상기 공중합체는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실란기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실란기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알콕시기는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는 상기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코팅 또는 증착 시 가수분해 및/또는 축중합 반응에 의해 기재 또는 하부막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 사이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 사이에 우레탄 연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우레탄 연결기는 하기 화학식 L-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L-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L-1에서,
L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이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L1은 *-CH2CH2-* 또는 *-CH2CH(CH3)-* 일 수 있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이고, R3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10:90 내지 40:60의 몰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0
[화학식 5]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4 및 화학식 5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이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몰수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몰수의 1/4 미만일 경우, 물 접촉각이 저하되어 지문시인성이 떨어지며,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몰수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몰수의 2/3 초과일 경우, 디아이오도메탄 접촉각이 증가하여 지문시인성이 떨어지게 된다.
예컨대, 상기 공중합체는 2,000 g/mol 내지 20,0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슬립성 및 내구성이 모두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PGMEA, 사이클로헥사논, 톨루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실록산 구조단위와 폴리알킬렌글리콜 구조단위가 일방향으로 정렬되어 주쇄에 포함된 삼원 블록공중합체 및 상기 삼원 블록공중합체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포함함으로써, 슬립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다.
전술한 조성물은 용액 공정에 의한 코팅 또는 건식 공정에 의한 증착에 의해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은 코팅 필름 또는 증착 필름일 수 있다. 코팅 필름은 용매에 전술한 표면 코팅재를 용해 또는 분산시킨 용액을 예컨대 스핀 코팅, 슬릿 코팅, 잉크젯 인쇄 또는 침지에 의해 코팅하고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증착 필름은 예컨대 열 증착, 진공 증착 또는 화학 기상 증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필름은 기재 필름 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필름은 예컨대 유리판, 금속판 또는 고분자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름은 전술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필름은 슬립성, 지문 시인성, 내구성이 모두 우수하다.
이 때 폴리실록산 구조단위가 기재 측에 결합되고 폴리알킬렌글리콜 구조단위가 표면(공기) 측에 배열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높은 물 접촉각(contact angle)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양호한 슬립성 및 발수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예컨대 약 60° 이상의 물 접촉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62°도 이상, 예컨대 63° 이상, 예컨대 65° 이상의 물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물 접촉각은 세실 드롭 기술(Sessile drop technique)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물 접촉각 측정 시 사용된 액체로는 당연히 물이며, 측정장비는 Drop shape analyzer (DSA100, KRUSS, Germany)를 사용하여 일정량(~3ul)의 물을 필름의 표면 위에 떨어뜨린 후 접촉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낮은 오일 접촉각(contact angle)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양호한 내지문성 및 친유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일 접촉각을 확인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디아이오도메탄이 있다. 오일 접촉각이 낮다는 것은 오일의 젖음성(wetting)이 좋아, 표면이 친유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상기 필름은 예컨대 약 60° 이상의 오일 접촉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49°도 이상, 예컨대 47° 이하, 예컨대 45° 이하의 오일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오일 접촉각은 세실 드롭 기술(Sessile drop technique)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오일 접촉각 측정 시 사용된 액체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아이오도메탄을 대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측정장비는 Drop shape analyzer (DSA100, KRUSS, Germany)를 사용하여 일정량(~3ul)의 디아이오도메탄을 필름의 표면 위에 떨어뜨린 후 접촉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빈번한 마찰 후에도 낮은 마찰계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의 내구성은 복수의 마찰 후의 입체장애 정도를 확인하여 계산된 마찰계수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찰계수(Dynamic coefficient of friction)는 206g의 추 바닥에 피마찰자(3cm x 3cm 우레탄패드)를 붙이고, 이를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이 코팅된 코팅필름 위에 올려놓은 후 슬라이딩(슬라이딩 속도: 150mm/sec)하여 입체장애 정도를 계산(Material Studio/Synthia module)한 후, 이를 마찰계수(Dynamic coefficient of friction)로 환산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찰계수는 약 0.4 이하일 수 있으며, 약 0.3 이하일 수 있으며 약 0.2 이하일 수 있으며 약 0.1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필름 사이에 하나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투명 필름일 수 있으며 예컨대 투명 플렉서블 필름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름 또는 상기 적층체는 표시 패널 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표시 패널과 필름 또는 적층체는 직접 결합되거나 점착제를 개재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름 또는 적층체는 관찰자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100)는 표시 패널(50) 및 기능성 필름(10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50)은 예컨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예컨대 벤더블 표시 패널, 폴더블 표시 패널 또는 롤러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기능성 필름(10A)은 전술한 필름 또는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찰자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50)과 기능성 필름(10A) 사이에는 추가적으로 다른 층이 개재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단일층 또는 복수층의 고분자 층(도시하지 않음)과 선택적으로 투명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200)는 표시 패널(50), 기능성 필름(10A), 그리고 표시 패널(50)과 기능성 필름(10A)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7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50)은 예컨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예컨대 벤더블 표시 패널, 폴더블 표시 패널 또는 롤러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기능성 필름(10A)은 전술한 필름 또는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찰자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0)은 기능성 필름(10A)과 표시 패널(50)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어 기능성 필름(10A)을 통해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터치되면 터치 위치 및 위치 변화를 인식하고 터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동 모듈(도시하지 않음)은 출력된 터치 신호로부터 터치 지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지점의 위치에 표시된 아이콘을 확인하며 확인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기능의 수행 결과는 표시 패널(50)에 표시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0)과 기능성 필름(10A) 사이에는 다른 층이 개재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단일층 또는 복수층의 고분자 층(도시하지 않음)과 선택적으로 투명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0)과 표시 패널(50) 사이에는 다른 층이 개재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단일층 또는 복수층의 고분자 층(도시하지 않음)과 선택적으로 투명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필름 또는 적층체를 포함한 기능성 필름(10A)은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카메라, 터치스크린 패널 등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공중합체의 제조
제조예 1
HO-PPG(polypropyleneglycol)/PDMS(polydimethylsiloxane)/PPG-OH (1당량), I-(CH2)3-Si(OMe)3 (1당량) 및 Potassium tert-butoxide (2당량)(in THF)을 80℃에서 20분 간 반응시켜, PPG/PDMS/PPG-Si(OMe)3 (PDMS 40 wt%)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PPG/PDMS/PPG-Si(OMe)3의 PDMS 함량이 40 wt%가 아닌 30 wt%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제조예 3
PPG/PDMS/PPG-Si(OMe)3의 PDMS 함량이 40 wt%가 아닌 20 wt%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제조예 1
PPG-Si(OMe)3
평가 1: 마찰계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얻은 공중합체 각각의 표면에 대한 마찰계수(추 무게: 206g, 피마찰자: 3cm x 3cm 우레탄패드, 슬라이딩 속도: 150mm/sec)를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 제조예 1
마찰계수 0.25 0.31 0.36 0.5
상기 표 1로부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 제조된 공중합체는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된 공중합체보다 마찰계수가 작아,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은 슬립성이 우수할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2-1: 지문시인성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얻은 공중합체 각각의 물 접촉각 및 오일 접촉각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접촉각은 Sessile drop technique 방법으로 평가하고 Drop shape analyzer(DSA100, KRUSS, Germany)를 사용하여 물 및 디아이오도메탄을 각각 필름 위에 떨어뜨린 후 접촉각을 측정한다.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제조예 1
물 접촉각(°) 71.9 67.7 65.5 118
오일 접촉각(°) 44.4 40.6 35.7 95
상기 표 2로부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 제조된 공중합체는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된 공중합체와 달리, 65˚ 이상의 물 접촉각 및 45˚ 이하의 오일 접촉각을 가짐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은 지문시인성이 우수할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물 및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톨루엔 용매에 제조예 1에서 얻은 공중합체를 20 중량% 농도로 넣고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한다.
강화 글라스 위에 상기 조성물을 건식 코팅하여 10nm 두께의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얻은 공중합체 대신 제조예 2에서 얻은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서 얻은 공중합체 대신 제조예 3에서 얻은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한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얻은 공중합체 대신 비교제조예 1에서 얻은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한다.
비교예 2
강화 글라스
평가 2-2: 지문시인성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필름 및 비교예 2의 강화 글라스에 지문을 묻힌 후 이들 각각의 사진을 찍어 이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도 5로부터 실시예 1의 필름은 비교예 1의 필름 및 비교예 2의 강화 글라스와 비교하여 지문이 묻더라도 지문이 잘 보이지 않아 지문시인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말단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2

    [화학식 2]
    Figure pat00013

    [화학식 3]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R3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이다.
  2. 제1항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관능기 사이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L1은 *-CH2CH2-* 또는 *-CH2CH(CH3)-*인 조성물.
  4. 제3항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이고,
    상기 R3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인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몰비가 10:90 내지 40:60인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at00015

    [화학식 5]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4 및 화학식 5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이다.
  6. 제1항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2,000 g/mol 내지 20,0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조성물.
  7. 제1항에서,
    상기 용매는 PGMEA, 사이클로헥사논, 톨루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9. 제7항에서,
    상기 필름은 0.4 이하의 마찰계수, 65˚ 이상의 물 접촉각 및 45˚ 이하의 오일 접촉각을 가지는 필름.
  10.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제8항 또는 제9항의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11. 제10항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KR1020180158344A 2018-12-10 2018-12-10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소자 KR20200070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44A KR20200070810A (ko) 2018-12-10 2018-12-10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소자
EP19193042.9A EP3666836A1 (en) 2018-12-10 2019-08-22 Compositions, films comprising cured products of the same, stacked structures comprising the films, and display devices
US16/661,650 US11286350B2 (en) 2018-12-10 2019-10-23 Compositions, films comprising cured products of the same, stacked structures comprising the films, and display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44A KR20200070810A (ko) 2018-12-10 2018-12-10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810A true KR20200070810A (ko) 2020-06-18

Family

ID=6773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344A KR20200070810A (ko) 2018-12-10 2018-12-10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86350B2 (ko)
EP (1) EP3666836A1 (ko)
KR (1) KR20200070810A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1890A (en) 1995-03-09 1997-10-28 Kansai Paint Co., Ltd. Highly stain-resistant film-forming coating composition
JP3926461B2 (ja) 1998-02-13 2007-06-06 ナトコ株式会社 塗料組成物
US7419707B2 (en) * 2005-02-21 2008-09-02 Fujifilm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 for the formation of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102006031152A1 (de) 2006-07-04 2008-01-10 Byk-Chemie Gmbh Polyhydroxyfunktionelle Polysiloxane als anti-adhäsive und schmutzabweisende Zusätze in Beschichtungen, polymeren Formmassen und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CN101675126B (zh) 2007-05-01 2014-07-30 阿克佐诺贝尔国际涂料股份有限公司 基于可固化聚有机硅氧烷聚氧化烯共聚物的防污涂料组合物
KR101824617B1 (ko) * 2009-11-04 201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실리케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필름
KR101064797B1 (ko) 2009-12-29 2011-09-14 배형원 하드코팅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하드코팅제와 하드코팅필름
EP2530122B1 (en) * 2010-01-25 2015-11-11 LG Chem, Ltd. Curable composition
US8742022B2 (en) 2010-12-20 2014-06-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non-ionic surfactant exhibiting reduced fingerprint visibility
US9296904B2 (en) 2010-12-20 2016-03-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non-ionic surfactant exhibiting reduced fingerprint visibility
KR101800743B1 (ko) * 2011-01-10 2017-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돋보임 방지 피막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지문 돋보임 방지 피막, 및 상기 피막을 포함하는 물품
KR101501682B1 (ko) 2011-07-18 201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내지문성을 갖는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 방지 필름
KR101860710B1 (ko) 2011-07-27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지문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막
CN104080877B (zh) 2012-01-31 2016-08-17 旭硝子株式会社 防指纹附着剂及其制造方法、硬质涂层用组合物、具有硬质涂层的基材以及触摸屏
KR101492570B1 (ko) 2012-05-09 2015-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지문성과 지문 은닉성을 갖는 폴리디알킬실록산 코팅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46729B1 (ko) 2013-12-11 2015-08-24 한국과학기술원 에폭시 실록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하드코팅막 및 이의 제조 방법
JP6757317B2 (ja) 2014-10-16 2020-09-16 クィーンズ ユニバーシティー アット キングストン 汚れ防止および落書き防止組成物
JP6575191B2 (ja) 2015-07-14 2019-09-18 日油株式会社 指滑り層形成用樹脂組成物、指滑り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20170130096A1 (en) 2015-10-28 2017-05-11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Amphiphilic siloxane materials to reduce adhesion events in medical, marine and industrial applications
KR102012543B1 (ko) 2016-05-11 2019-08-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987790A (zh) * 2017-12-11 2018-05-04 浙江工业大学 一种低粘度的聚硅氧烷聚醚基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6350B2 (en) 2022-03-29
EP3666836A1 (en) 2020-06-17
US20200181331A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3096B2 (en) Perfluoroether moiety-containing polymer and a surface treating agent comprising the same
KR102609435B1 (ko) 적층체, 윈도우 필름 및 전자 기기
JP2007272197A5 (ko)
WO2013146112A1 (ja) フルオロポリエーテル基含有シリコーン化合物
CN112789325B (zh) 含氟醚组合物、涂布液、物品及其制造方法
TW201634612A (zh) 含氟塗佈劑及以該塗佈劑處理之物品
KR20130129135A (ko) 불소 함유 알코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JP2020163837A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06801A (ko)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필름, 표시 장치, 물품 및 물품 제조방법
KR20210022978A (ko)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필름, 표시 장치 및 물품
KR20200021200A (ko) 표면 코팅재, 필름,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20200070810A (ko)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소자
KR20210108673A (ko)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필름, 표시 장치 및 물품
KR102338699B1 (ko) 표면개질제, 코팅 조성물 및 물품
US11512223B2 (en) Surface coating materials and films and stacked structures and display devices and articles
US20200325358A1 (en) Surface coating material and film and stacke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and article
US20200291259A1 (en) Surface coating materials, films, stacked structures, display devices, articles, and coating methods
KR20190042033A (ko) 조성물
KR20220083348A (ko) 적층체,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및 물품
KR20200109117A (ko) 표면 코팅재, 필름, 적층체, 표시 장치 및 물품
TWI833329B (zh) 塗覆膜、塗覆組成物以及顯示元件
KR20220069619A (ko)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필름, 표시 장치, 물품 및 물품 제조방법
WO2023132276A1 (ja) 組成物、組成物の製造方法、コーティング液、物品及び物品の製造方法
KR20180031897A (ko)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KR20230127507A (ko)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