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152A - 내열합금 및 반응관 - Google Patents

내열합금 및 반응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152A
KR20200070152A KR1020197015536A KR20197015536A KR20200070152A KR 20200070152 A KR20200070152 A KR 20200070152A KR 1020197015536 A KR1020197015536 A KR 1020197015536A KR 20197015536 A KR20197015536 A KR 20197015536A KR 20200070152 A KR20200070152 A KR 20200070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esistant alloy
rem
reaction tube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628B1 (ko
Inventor
구니히데 하시모토
요헤이 엔조
Original Assignee
구보다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구보다코포레이션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4026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088075A1/ja
Publication of KR2020007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2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constructed of material selected for its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9/00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9/14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in pipes or coils with or without auxiliary means, e.g. digesters, soaking drums, expansion means
    • C10G9/18Apparatus
    • C10G9/20Tube furnaces
    • C10G9/203Tube furnaces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8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without Mo and W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15Tubular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 B01J2219/02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comprising coatings on the surfac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reactive components
    • B01J2219/0236Metal based
    • B01J2219/024Metal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 B01J2219/025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reactor vessel proper
    • B01J2219/0277Metal based
    • B01J2219/0286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23K31/027Making tubes with soldering or w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1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 C22C19/052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with the maximum Cr content being at least 4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1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 C22C19/05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with the maximum Cr content being at least 30% but less than 4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산화성이 뛰어나고, 인장 연성 등의 기계적 특성, 용접성이 뛰어난 내열합금 및 반응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질량%로, C:0.35%~0.7%, Si:0%를 초과하고 1.5% 이하, Mn:0%를 초과하고 2.0% 이하, Cr:22.0%~40.0%, Ni:25.0%~48.3%, Al:1.5%~4.5%, Ti:0.01%~0.6%, 및,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Pa=-11.1+28.1×C+29.2×Si-0.25×Ni-45.6×Ti, Ya=-13.75×Al+63.75로 했을 때에, Pa<Ya이다.

Description

내열합금 및 반응관
본 발명은, 탄화수소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관 등에 이용되는 내열합금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에 Al 산화물층을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는 내열합금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스티렌 모노머 등의 스티렌계의 탄화수소는, 열분해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가열된 반응관에 탄화수소계 원료 가스와 수증기 유체를 유통시켜, 원료 유체를 반응 온도역까지 가열하여 열분해함으로써 생성된다.
반응관은, 고온 분위기에 노출되고, 또한, 유통하는 원료 가스 등에 의한 산화, 침탄, 질화 등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뛰어난 내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응관에는, 고온 강도가 뛰어난 오스테나이트계의 내열합금이 이용되고 있다.
오스테나이트계 내열합금은, 고온 분위기에서의 사용 중에 표면에 금속 산화물층이 형성되고, 이 산화물층이 배리어가 되어, 고온 분위기 하에서 모재를 보호한다. 한편, 이들 금속 산화물로서 모재 중의 Cr이 산화되고, Cr 산화물(주로 Cr2O3으로 이루어진다)이 형성되어 버리면, Cr 산화물은 치밀성이 낮기 때문에, 산소나 탄소의 침입 방지 기능이 충분하지 않고, 고온 분위기 하에서 내부 산화를 일으켜, 산화물층이 비대화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Cr 산화물은, 가열과 냉각의 반복 사이클에 있어서 박리하기 쉽고, 박리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여도, 외부 분위기로부터의 산소나 탄소의 침입 방지 기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산화물층을 통과하여 모재에 내부 산화나 침탄을 발생시키는 불편함이 있다.
이것에 대해, 일반적인 오스테나이트계 내열합금보다 Al의 함유량을 늘림으로써, 치밀성이 높고, 산소나 탄소를 투과하기 어려운 알루미나(Al2O3)를 주체로 하는 산화물층을 모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소51-7861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57-39159호 공보
그러나, 반응관 중의 Al 함유량이 많아지면 재료의 연성이 열화하여 고온 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반응관은, 복수의 관본체를 용접함으로써 전장(全長)을 길게 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Al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관본체끼리의 용접성이 저하하여, 용접 균열이 발생해 버리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산화성이 뛰어나고, 인장 연성 등의 기계적 특성, 용접성이 뛰어난 내열합금 및 반응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질량%로,
C:0.35%~0.7%,
Si:0%를 초과하고 1.5% 이하,
Mn:0%를 초과하고 2.0% 이하,
Cr:22.0%~40.0%,
Ni:25.0%~48.3%,
Al:1.5%~4.5%,
Ti:0.01%~0.6%, 및,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Pa=-11.1+28.1×C+29.2×Si-0.25×Ni-45.6×Ti,
Ya=-13.75×Al+63.75
로 했을 때에,
Pa<Ya
이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또한,
질량%로,
희토류 원소(REM):0.01%~0.2%를 함유하고,
상기 Pa는,
Pa=-11.1+28.1×C+29.2×Si-0.25×Ni-45.6×Ti+18.0×REM
이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또한,
질량%로,
Nb:0.01%~2.0%를 함유하고,
상기 Pa는,
상기 희토류 원소(REM)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Pa=-11.1+28.1×C+29.2×Si-0.25×Ni-45.6×Ti-16.6×Nb,
상기 희토류 원소(REM)를 함유하는 경우,
Pa=-11.1+28.1×C+29.2×Si-0.25×Ni-45.6×Ti+18.0×REM-16.6×Nb이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또한,
질량%로,
W:0%를 초과하고 1.0% 이하, 및, Mo:0%를 초과하고 0.5% 이하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표면에 Al 산화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원심력 주조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500℃~1150℃의 고온 분위기에서의 사용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반응관은,
상기 구성의 내열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관본체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반응관은,
상기 관본체끼리 용접에 의해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내열합금은, Al을 함유함으로써, Cr보다 Al이 우선하여 Al 산화물을 형성하여, Cr 산화물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Cr 산화물의 박리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Al의 첨가량은 1.5%~4.5%로 낮기 때문에, 기계적 성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Al의 첨가량이 낮기 때문에, 용접성이 뛰어나므로, 내열합금끼리 용접하는 경우여도 용접 균열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에 의해 제작되는 관본체는, 내산화성이 뛰어나고, 또한, 용접성에도 뛰어나므로, 관본체끼리 용접하여 제작되는 반응관은, 500℃~1100℃의 고온 환경 하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스티렌계의 탄화수소 제조용의 반응관으로서 지극히 적합하다.
도 1은, Pa값을 세로축, Al의 함유량을 가로축으로 하고, 용접성에 의거하여 공시편(供試片)을 회귀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비드 균열 시험의 판정에 이용되는 균열, 점상(点狀) 결함의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관형으로 형성되어 관본체를 구성하고, 관본체끼리 용접하여 반응관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반응관은, 내부를 탄화수소 가스 원료 등이 유통하고, 외부로부터 가열되며, 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탄화수소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내열합금은,
질량%로,
C:0.35%~0.7%,
Si:0%를 초과하고 1.5% 이하,
Mn:0%를 초과하고 2.0% 이하,
Cr:22.0%~40.0%,
Ni:25.0%~48.3%,
Al:1.5%~4.5%,
Ti:0.01%~0.6%, 및,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Pa=-11.1+28.1×C+29.2×Si-0.25×Ni-45.6×Ti,
Ya=-13.75×Al+63.75
로 했을 때에,
Pa<Ya
이다.
이하, 성분 한정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C:0.35%~0.7%
C는, 주조성을 양호하게 하고, 고온 크리프 파단 강도를 높이는 작용이 있다. 또한, Ti, Nb, Cr 등과 결합하여 탄화물을 형성하고, 고온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 때문에, 적어도 0.35%를 함유시킨다. 그러나, 함유량이 너무 많아지면, Cr7C3의 1차 탄화물이 폭넓게 형성되기 쉬워져, 반응관의 내표면으로의 Al의 전이가 저해되고, Al의 공급 부족이 발생하여, Al2O3과 같은 Al 산화물의 형성이 억제된다. 또한, 2차 탄화물이 과잉되게 석출되기 때문에, 연성, 인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상한은 0.7%로 한다. 또한, C의 함유량은 0.35%~0.5%가 보다 바람직하다.
Si:0%를 초과하고 1.5% 이하
Si는, 용탕 합금의 탈산제로서, 또한 용탕 합금의 유동성을 높이고, 내산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함유시킨다. 그러나, 과도한 Si의 첨가는, 연성의 저하, 고온 크리프 파단 강도의 저하, 주조 후의 표면 품질의 악화, 용접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Si의 함유량은, 상한을 1.5%로 한다. 또한, Si의 함유량은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Mn:0%를 초과하고 2.0% 이하
Mn은, 용탕 합금의 탈산제가 되고, 또한, 용탕 중의 S을 고정시켜, 용접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함유시킨다. 그러나, 과도한 Mn의 첨가는, 고온 크리프 파단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고, 내산화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상한을 2.0%로 한다. 또한, Mn의 함유량은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Cr:22.0%~40.0%
Cr은, 고온 강도 및 반복 내산화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Cr은, Ni, Fe과 함께 1000℃를 넘는 고온역에서 뛰어난 내열성을 발휘함과 더불어, C, N와 1차 탄화물을 생성하여, 고온 크리프 파단 강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Al과 함께 산화물층을 형성하여, 내산화성, 내식성이 뛰어난 특성을 내열합금에 갖게 한다. 따라서, 적어도 22.0% 이상 함유시킨다. 한편, Cr 탄화물이나 Cr 질화물의 과잉된 생성은 연성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함유량의 상한은 40.0%로 한다. 또한, Cr의 함유량은 22.0%~36.0%가 보다 바람직하다.
Ni:25.0%~48.3%
Ni은, 반복 내산화성 및 금속 조직의 안정성의 확보, 고온 크리프 강도의 확보, 및, 내열합금의 오스테나이트화의 안정화에 필요한 원소이다. 또한, Cr과 함께, 고온 강도, 내산화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Ni의 함유량이 적으면, Fe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Al 산화물의 생성을 저해한다. 이 때문에, 적어도 25.0% 이상 함유시킨다. 한편, 과도하게 Ni을 첨가해도, 그 효과는 포화하며, 또한, 경제적으로도 불리하기 때문에, 그 상한을 52.0%로 한다. 또한, Ni의 함유량은 29.0%~50.0%가 보다 바람직하다. Ni의 함유량의 상한은 48.3%가 적합하고, 46.0%가 더욱 바람직하다.
Al:1.5%~4.5%
Al은, 내열합금에 Al 산화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원소이다. Al 산화물의 형성에 의해, Cr 산화물과 함께, 내열합금의 내침탄성, 내코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Al은 Ni과 함께 γ'상을 형성하여, 내열합금의 오스테나이트상을 강화한다. 이 때문에, Al은 1.5% 이상 함유시킨다. 그러나, Al의 과도한 첨가는, 연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또한, γ'상이 불안정하게 되어, 취화상(脆化相)의 생성을 초래한다. 또한, Al의 과도한 첨가는, 주조성의 악화를 초래하여, 내열합금의 청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그 상한을 4.5%로 한다. 또한, Al의 함유량은 2.0%~4.0%가 보다 바람직하다.
Ti:0.01%~0.6%
Ti은, 탄화물을 형성하기 쉬운 원소이며, 크리프 파단 강도의 향상, 고온 인장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원소이다. 따라서, Ti:0.01% 이상을 함유시킨다. 한편으로, Ti의 과도한 첨가는, 연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또한, Ti 산화물의 생성을 재촉하여, 내열합금의 청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그 상한은, Ti:0.6%로 한다. 또한, Ti의 함유량은, 0.05%~0.3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내열합금의 각 함유 원소는,
Pa=-11.1+28.1×C+29.2×Si-0.25×Ni-45.6×Ti+18.0×REM,
Ya=-13.75×Al+63.75로 했을 때에,
Pa<Ya이다. 또한, Pa로서, 상기에 표시한 원소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원소의 값은 제로로서 취급한다.
Pa와 Ya가 상기 식을 만족함으로써, 내열합금의 용접성과 내산화성(Al 산화물층의 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Pa는, C, Si, Ni, Ti의 각 원소의 함유량에 관한 식이다. Pa는, 이들 각 원소의 함유량과 Al의 함유량을 다양하게 바꾼 공시편을 제작하고, 비드 두기 시험에 의거하여 공시편의 용접성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용접성에 영향을 주는 원소의 영향 계수를 회귀 분석에 의해 구함으로써 도출된 것이다.
Pa는, 그 영향 계수를 참조하면, 플러스인 C, Si는 각각 용접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원소이며, 수치(절대값)가 클수록, 그 악영향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영향 계수가 마이너스인 Ni, Ti은, 용접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수치(같음)가 클수록,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공시편의 Pa를 세로축, Al의 함유량을 가로축으로서 플롯한 것이며, 용접성이 양호했던 것을 마름모꼴, 용접성이 불충분했던 것을 사각으로 플롯하고 있다. 또한, 공시편에 Al 산화물층이 양호하게 형성되고 내산화성을 구비하기 위해서, 상기한 Al의 함유량의 범위(Al:1.5%~4.5%)를 타깃으로 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Pa와 Al 산화물층이 양호하게 형성되는 Al의 함유량에 대해서, 용접성이 뛰어난 집단과, 용접성이 불충분한 집단이 명확하게 영역 구분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그래프로부터, 용접성에 의거하여, Al의 함유량을 포함하는 Ya를 상관관계가 명료하게 분석될 수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집단을 분단하는 Al의 함유량에 의거하는 Ya 직선:Ya=-13.75×Al+63.75를 결정할 수 있다. 즉, Al:1.5%~4.5%의 범위에 있어서, Pa<Ya를 만족함으로써, 용접성뿐만 아니라, 내산화성에도 뛰어난 내열합금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 내열합금에는, 필요에 따라서 하기 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희토류 원소(REM):0.01%~0.2%
REM은, 주기율표의 La부터 Lu에 이르는 15종류의 란타넘 계열에, Y, Hf 및 Sc를 추가한 18종류의 원소를 의미한다. 내열합금에 함유시키는 REM은, Ce, La, Nd를 주체로 할 수 있고, 이들 3원소가 합계량으로 희토류 원소 전체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이다. REM은, Al 산화물층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활성 금속이기 때문에 Al 산화물층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REM은, 온도 변화에 수반되는 산화물층의 스파클링 파괴를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모재에 고용하여 내산화성의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REM은 0.01% 이상 함유시킨다. 한편으로, REM은, 우선적으로 산화물을 형성하고, 모재의 청정도, 연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상한을 0.2%로 한다. 또한, REM의 함유량은 0.01%~0.18%가 보다 바람직하다.
내열합금에 REM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한 Pa는,
Pa=-11.1+28.1×C+29.2×Si-0.25×Ni-45.6×Ti+18.0×REM으로 한다.
W:0%를 초과하고 1.0% 이하, 및, Mo:0%를 초과하고 0.5%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W, Mo은, 모재에 고용하고, 모재의 오스테나이트상을 강화하여 크리프 파단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등한 특성을 갖는 원소이며,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W, Mo의 과도한 함유는 연성이나 내침탄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또한, 특히 1050℃ 이하의 온도에서 Al 산화물을 생성하는 경우에, 그 형성을 저해한다. 또한, W, Mo의 과도한 함유는, 모재의 내산화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Mo은, 당량적으로 W에 비하여 2배의 작용을 발휘한다. 따라서, W의 상한은 1.0%, Mo의 상한은 0.5%로 한다.
Nb:0.01%~2.0%
Nb은, 탄화물을 형성하기 쉬운 원소이며, 크리프 파단 강도의 향상, 고온 인장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Nb은, 시효 연성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따라서, Nb:0.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을 함유시킨다. 한편으로, Nb의 과도한 첨가는, 연성을 초래하고, 또한, Al 산화물층의 내박리성의 저하를 초래함과 더불어, 내산화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Nb의 상한은 2.0%, 바람직하게는 1.6%로 한다.
이 경우, 상기한 Pa는, 희토류 원소(REM)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Pa=-11.1+28.1×C+29.2×Si-0.25×Ni-45.6×Ti-16.6×Nb, 희토류 원소(REM)를 함유하는 경우, Pa=-11.1+28.1×C+29.2×Si-0.25×Ni-45.6×Ti+18.0×REM-16.6×Nb이다.
Nb은, Pa에 있어서의 영향 계수가 마이너스이며, 용접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용접성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내열합금은, 예를 들면 원심력 주조에 의해 통형으로 형성된 원심력 주조체로 이루어지는 관본체로 할 수 있다. 관본체는, 직관형, U자형 등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들을 용접함으로써, 반응관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관본체는, 용접성이 뛰어나므로, 관본체끼리의 용접도 용접 균열 등의 발생을 억제하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으며, 얻어진 반응관은, 충분한 접합 강도, 기계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반응관은, 탄화수소 가스의 침탄이나 코킹을 억제하기 위해서, 내표면에 Al 산화물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산화물층은, Al 산화물층 형성 처리를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Al 산화물층 형성 처리는, 독립된 공정으로서 관본체 또는 반응관을 산화 분위기에 있어서 열처리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고, 열분해 장치 중에서 사용될 때의 고온 분위기에 의해 실시할 수도 있다.
Al 산화물층 형성 처리는, 산소를 1체적% 이상 포함하는 산화성 가스, 스팀이나 CO2가 혼합된 산화성 분위기에 있어서, 내열합금을 900℃, 바람직하게는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이상의 온도로 열처리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경우는, 1시간 이상이 적합하다.
Al 산화물층 형성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관본체의 내표면이 산소와 접촉하여, 모재 표면에 확산한 Al, Cr, Ni, Si, Fe 등이 산화하여 산화물층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Cr, Ni, Si, Fe보다 우선하여 Al이 산화물을 형성한다. 또한, 모재 중의 Al도 일부가 표면에 전이하여 산화물을 구성하고, Al2O3을 주체로 하는 Al 산화물층이 형성된다.
반응관은, 내표면에 Al 산화물층이 형성됨으로써, 고온 분위기 하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뛰어난 내산화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관은, 500℃~1100℃의 탄화수소 가스를 유통시켜 열분해함으로써, 올레핀계나 스티렌계의 탄화수소를 제조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실시예
원심력 주조에 의해 표 1에 게시하는 합금 조성(단위:질량%,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의 공시편(두께 25mm 이하와 두께 25mm 이상)을 각각 제작하고, 하기 요령으로 비드 두기 시험을 실시하여, 용접에 의한 균열성을 판정하였다. 발명예는 공시 No.11~23, 비교예는 공시 No.31~38이다. 표 1 중, REM은, Ce, La, Y의 합계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발명예는, 모두 본 발명의 성분 조성의 범위에 들어가 있는데, 비교예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성분 조성으로부터 벗어나는 원소에 「*」를 붙이고 있다. 즉, 공시 No.31은 W 과다, No.32, No.33은 Ti을 포함하지 않으며, 또한, No.33은 REM 과다, No.34~36은 Si 과다, No.37은 Al 과다, No.38은 본 발명의 합금 조성은 만족하지만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a<Ya를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이다.
[표 1]
Figure pct00001
또한, 표 1의 각 공시편에 대해서, Pa와 Ya를 산출하여, 이들의 대소 관계를 비교하였다. 표 1 중, Pa<Ya를 만족하는 공시편에 대해서, 「Pa<Ya」의 란에 체크 마크를 기입하고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공시 No.33~36, 38은, 모두 Pa<Ya를 만족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No.38은, 각 원소의 성분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데, Pa>Ya의 비교예이다.
비드 두기 시험에 앞서, 공시편의 시험면에 그라인더에 의해 기계 가공을 실시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였다. 시험면은, 용접 개선이 되는 부분 및 용접에 의한 열영향을 받는 부분이다.
또한, 액체 침투 탐상 시험을 각 공시편의 시험면에 실시하여, 시험면에 균열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면이 건전한 것이 확인된 공시편에 대해, TIG 용접에 의해 표 2에 나타내는 조건 비드 두기 시험을 행하였다. 비드는 스트레이트 비드, 비드 길이는 50~100mm이다.
[표 2]
Figure pct00002
또한, 본 시험의 시공 순서는, A법에 의한 시험 후, 액체 침투 탐상 시험에서 결함이 발견되었을 경우에, B법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2 및 표 3에 A법(필러 메탈(용접봉):무) 및 B법(필러 메탈:유)에 의한 비드의 판정 기준을 나타낸다. 또한, B법에서는, 미소한 균열이어도 판정은 「OUT」으로 하고 있다.
[표 3]
Figure pct00003
상기 시험의 결과, A법에 의해 두께 25mm 이하, 두께 25mm 이상의 어느 공시편에 대해서도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던 공시편은, 균열성의 평가 「A」, A법에 의해 결함이 발견되었지만, B법에 의해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던 공시편은, 균열성의 평가 「B」, B법에서도 결함이 발견된 공시편은, 균열성의 평가 「C」로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중 「균열성」으로 나타내고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발명예인 공시 No.11~23은 모두 균열성의 평가가 「A」 또는 「B」였지만, 비교예인 공시 No.31~38은 모두 균열성의 평가는 「C」였다.
비교예는, No.31, 32 및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a<Ya를 만족하지만, 균열성의 평가는 「C」로 되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성분 범위로부터 벗어나고 있는 것으로, 비록 Pa<Ya를 만족하였다고 해도, 균열성의 평가가 향상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각 원소의 성분 범위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공시 No.38은, 균열성의 평가가 「C」이지만, 이것은, Pa가 Ya보다 크고, Pa<Ya를 만족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은 주목해야 한다.
공시편의 균열성에 대해서, 평가 「A」 또는 「B」의 것을 종합적인 평가 「A」, 평가 「C」의 것을 종합적인 평가 「B」로서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중 「판정」에 나타내고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발명예의 공시편은 모두 판정 「A」, 비교예의 공시편은 모두 판정 「B」였다.
또한, 발명예와 비교예의 Pa와 Ya의 값을 비교하면, 발명예의 Pa는 모두 마이너스의 값이며, Ya는 플러스의 값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Pa<0, Ya>0, 더욱 바람직하게는, Ya>15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고, 혹은 범위를 한축하도록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내열합금은,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반응관에 한정하지 않고, 킬른, 레토르트, 버너 튜브, 라디언트 튜브 등의 내열성, 내산화성 등의 요구되는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 비드
12 크레이터
14 균열
16 점상 결함

Claims (9)

  1. 질량%로,
    C:0.35%~0.7%,
    Si:0%를 초과하고 1.5% 이하,
    Mn:0%를 초과하고 2.0% 이하,
    Cr:22.0%~40.0%,
    Ni:25.0%~48.3%,
    Al:1.5%~4.5%,
    Ti:0.01%~0.6%, 및,
    잔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Pa=-11.1+28.1×C+29.2×Si-0.25×Ni-45.6×Ti,
    Ya=-13.75×Al+63.75
    로 했을 때에,
    Pa<Ya
    인, 내열합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질량%로,
    희토류 원소(REM):0.01%~0.2%를 함유하고,
    상기 Pa는,
    Pa=-11.1+28.1×C+29.2×Si-0.25×Ni-45.6×Ti+18.0×REM
    인,
    내열합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질량%로,
    Nb:0.01%~2.0%를 함유하고,
    상기 Pa는,
    상기 희토류 원소(REM)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Pa=-11.1+28.1×C+29.2×Si-0.25×Ni-45.6×Ti-16.6×Nb,
    상기 희토류 원소(REM)를 함유하는 경우,
    Pa=-11.1+28.1×C+29.2×Si-0.25×Ni-45.6×Ti+18.0×REM-16.6×Nb,
    인, 내열합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량%로,
    W:0%를 초과하고 1.0% 이하, 및, Mo:0%를 초과하고 0.5% 이하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내열합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에 Al 산화물층이 형성되어 있는, 내열합금.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심력 주조체인, 내열합금.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0℃~1150℃의 고온 분위기에서 사용되는, 내열합금.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열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관본체를 갖는, 반응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관본체끼리 용접에 의해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반응관.
KR1020197015536A 2017-11-06 2018-10-30 내열합금 및 반응관 KR102303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13608 2017-11-06
JPJP-P-2017-213608 2017-11-06
JP2018082803A JP6422608B1 (ja) 2017-11-06 2018-04-24 耐熱合金及び反応管
JPJP-P-2018-082803 2018-04-24
JP2018194816A JP6934462B2 (ja) 2017-11-06 2018-10-16 耐熱合金及び反応管
JPJP-P-2018-194816 2018-10-16
PCT/JP2018/040264 WO2019088075A1 (ja) 2017-11-06 2018-10-30 耐熱合金及び反応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152A true KR20200070152A (ko) 2020-06-17
KR102303628B1 KR102303628B1 (ko) 2021-09-17

Family

ID=6426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536A KR102303628B1 (ko) 2017-11-06 2018-10-30 내열합금 및 반응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36655B2 (ko)
EP (1) EP3683325A4 (ko)
JP (2) JP6422608B1 (ko)
KR (1) KR102303628B1 (ko)
CN (1) CN110023526A (ko)
CA (1) CA3049514C (ko)
TW (1) TWI7379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9284B1 (ja) * 2017-11-06 2018-06-06 株式会社クボタ 鋼材と接触して使用される鉄鋼製品
FR3082209B1 (fr) 2018-06-07 2020-08-07 Manoir Pitres Alliage austenitique avec haute teneur en aluminium et procede de conception associe
CA3124057C (en) 2018-12-20 2023-06-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rosion resistant alloy for thermal cracking reactors
CN112853155A (zh) * 2021-01-08 2021-05-28 烟台玛努尔高温合金有限公司 具有优异高温耐腐蚀性和抗蠕变性的高铝奥氏体合金
GB2611082A (en) * 2021-09-27 2023-03-29 Alloyed Ltd A stainless steel
CN117026015B (zh) * 2023-07-18 2024-02-13 大湾区大学(筹) 一种耐高温的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8612A (ja) 1974-12-29 1976-07-08 Fujitsu Ltd Denwakokanshisutemu
JPS5739159A (en) 1980-08-19 1982-03-04 Nippon Steel Corp Austenite type heat resistant and oxidation resistant cast alloy forming a 2 o3film on surface thereof
KR20110132359A (ko) * 2009-03-31 2011-12-07 구보다코포레이션 알루미나 배리어층을 가지는 주조 제품
KR20140143744A (ko) * 2012-03-23 2014-12-17 구보다코포레이션 알루미나 배리어층을 가지는 주조 제품
JP2016132019A (ja) * 2015-01-21 2016-07-25 株式会社クボタ 耐熱管の溶接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3817A (ko) * 1973-12-25 1975-07-26
JPS5278612A (en) 1975-10-29 1977-07-02 Nippon Steel Corp Austenite-based heat-resistant steel capable of forming film of a#o# a t high temperatures in oxidizing atmosphere
JPH02197521A (ja) * 1989-01-27 1990-08-06 Kobe Steel Ltd 低降伏比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H09243284A (ja) * 1996-03-12 1997-09-19 Kubota Corp 内面突起付き熱交換用管
DE102008051014A1 (de) * 2008-10-13 2010-04-22 Schmidt + Clemens Gmbh + Co. Kg Nickel-Chrom-Legierung
JP6068158B2 (ja) * 2012-03-30 2017-01-25 株式会社クボタ アルミナバリア層を有する鋳造製品
CN109906129B (zh) 2016-11-09 2021-09-10 株式会社久保田 堆焊用合金、焊接用粉末和反应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8612A (ja) 1974-12-29 1976-07-08 Fujitsu Ltd Denwakokanshisutemu
JPS5739159A (en) 1980-08-19 1982-03-04 Nippon Steel Corp Austenite type heat resistant and oxidation resistant cast alloy forming a 2 o3film on surface thereof
KR20110132359A (ko) * 2009-03-31 2011-12-07 구보다코포레이션 알루미나 배리어층을 가지는 주조 제품
KR20140143744A (ko) * 2012-03-23 2014-12-17 구보다코포레이션 알루미나 배리어층을 가지는 주조 제품
JP2016132019A (ja) * 2015-01-21 2016-07-25 株式会社クボタ 耐熱管の溶接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3325A1 (en) 2020-07-22
JP6934462B2 (ja) 2021-09-15
CN110023526A (zh) 2019-07-16
TW201936936A (zh) 2019-09-16
KR102303628B1 (ko) 2021-09-17
US11136655B2 (en) 2021-10-05
US20190345592A1 (en) 2019-11-14
EP3683325A4 (en) 2021-01-20
TWI737940B (zh) 2021-09-01
JP2019085643A (ja) 2019-06-06
CA3049514A1 (en) 2019-05-09
JP6422608B1 (ja) 2018-11-14
JP2019085638A (ja) 2019-06-06
CA3049514C (en)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0152A (ko) 내열합금 및 반응관
US10053756B2 (en) Nickel chromium alloy
KR100591362B1 (ko) 내 침탄성과 내 코킹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강 및스테인리스 강 관
JP6068158B2 (ja) アルミナバリア層を有する鋳造製品
JPWO2012176586A1 (ja) 耐浸炭性金属材料
JP6309576B2 (ja) アルミナバリア層を有するエチレン製造用反応管
KR20150101469A (ko) 피복 아크 용접봉
JP2011173124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溶接方法
JP6417146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構造体及び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の耐熱部材
KR20190084208A (ko) 육성 용접용 합금, 용접용 분말 및 반응관
JP6235402B2 (ja) 強度、靭性および耐sr割れ性に優れた溶接金属
JP2008214734A (ja) 耐メタルダスティング性に優れた金属材料
WO2019088075A1 (ja) 耐熱合金及び反応管
JP5401964B2 (ja) 金属管の製造方法
JP2001107180A (ja) 荷油タンク用耐蝕鋼
JP2001247940A (ja) 耐浸炭性及び耐メタルダスティング性にすぐれる耐熱合金
JPH051344A (ja) 耐コーキング性に優れたエチレン分解炉管用耐熱鋼
US20220389552A1 (en) Steel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anti-coking properties
JP2013198917A (ja) アルミナバリア層を有する鋳造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181947B2 (ja) 溶接金属
JP6908539B2 (ja) 9Cr−1Mo鋼溶接用TIGワイヤ
JP6335247B2 (ja) 内面突起付反応管
JPH07258780A (ja) 耐浸炭性に優れた耐熱合金
JP2011190470A (ja) 溶接部の耐食性に優れる隙間のない溶接施工用高強度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9052120A (ja) ステンレス鋼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