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992A - 수확기 및 유량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수확기 및 유량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992A
KR20200063992A KR1020190152008A KR20190152008A KR20200063992A KR 20200063992 A KR20200063992 A KR 20200063992A KR 1020190152008 A KR1020190152008 A KR 1020190152008A KR 20190152008 A KR20190152008 A KR 20190152008A KR 20200063992 A KR20200063992 A KR 20200063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grain
period
senso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다카사키
요시유키 도다
소타로 하야시
다카노리 호리
나오키 사이토
도시키 와타나베
하루유키 데라니시
교스케 야마오카
슌 마츠나가
?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22819A external-priority patent/JP70348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33814A external-priority patent/JP705917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0006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1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 A01D41/1272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grain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8Control devices; Brakes; Bearings

Abstract

고정밀도로 곡립의 수량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확된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 장치로 탈곡된 곡립이 반송되어 저류되는 곡립 탱크와, 수확 작업 중에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경시적으로 검출하는 유량 센서(20)와, 수확 작업 중에 유량 센서(20)에 전달되는 진동을 경시적으로 검출하는 진동 센서(19)와, 진동의 값에 기초하여 유량을 연산하는 제어부(73)를 구비한다.
또한, 원활한 개폐판의 개폐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탈곡되어 반송되는 곡립이 저류되는 곡립 탱크와, 반송되는 곡립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류한 후, 곡립 탱크로 방출하는 일시 저류부(1051)와, 일시 저류부(1051)의 횡측방에 나란히 마련되고, 일시적으로 저류된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부(1052)와, 일시 저류부(1051)의 저부 영역에 있어서의 제1 측벽에 기단이 축 지지되고, 상방으로 요동한 폐쇄 상태와 하방으로 요동한 개방 상태로 변위되는 도어(1057)와, 제1 측벽과 마주보는 제2 측벽에 마련되는 누설 방지구(1060)를 구비하고, 폐쇄 상태에서는 도어(1057)의 자유 단부가 누설 방지구(1060)에 근접하여 일시 저류부(1051)는 곡립을 저류 가능한 상태가 되고, 개방 상태에서는 일시 저류부(1051)에 1차 저류된 곡립이 곡립 탱크로 낙하하여 방출되는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수확기 및 유량 산출 방법{HARVESTER AND METHOD FOR CALCULATING FLOW RATE}
탈곡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를 구비하는 수확기,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 산출 방법 및 탈곡된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를 구비하는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수확기에는, 탈곡한 곡립을 곡립 탱크에 저류하고,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계측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반송된 곡립이 투입부를 통해 곡립 탱크에 투입되고, 투입부의 출구 부근에 유량 센서가 마련된다. 투입부로부터 튕겨진 곡립은 유량 센서의 검지판에 압박 접촉되어, 검지판에 작용하는 압박력을 로드셀이 변형으로서 검출함으로써, 반송된 곡립의 유량이 계측된다.
또한, 수확기에는, 수확하여 탈곡된 곡립의 품질을 작업 주행하면서 측정하는 품질 계측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 탑재되는 품질 계측 장치인 내부 품질 계측 장치는,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일부를 수용 보유 지지부에 일시적으로 저류하고, 저류된 곡립의 품질을 측정한다. 수용 보유 지지부는, 상하로 요동하는 개폐판을 구비하고, 개폐판은 수용 보유 지지부의 바닥 부분을 이루는 상태와 개방되는 상태로 변위된다. 개폐판이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판은 수용 보유 지지부의 바닥 부분이 되고, 수용 보유 지지부에 곡립이 저류되어, 곡립이 일정량 저류된 상태에서 곡립의 품질이 측정된다. 곡립의 품질이 측정되면 개폐판이 개방되고, 곡립은 곡립 저류 공간으로 배출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199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26168호 공보
그러나 곡립의 유량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오차가 발생한다. 오차의 요인 중 하나로서, 탈곡 센서에서 발생한 진동 등이 있다. 탈곡 센서에서 발생한 진동 등이 반송 장치 등을 통해 유량 센서에 전달되고, 유량 센서의 검지판의 변형에 오차가 발생하여, 유량 센서가 계측하는 유량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량은 변형으로서 검출되고, 진동에 의해서도 로드셀에 압력이 미쳐 변형이 발생하므로, 유량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유량은 진동의 영향을 받기 쉽다.
본 발명은, 고정밀도로 곡립의 유량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품질 계측 장치에서는, 일시 저류부(수용 보유 지지부)의 바닥 부분에 상당하는 개폐판이 상하로 요동하여 바닥 부분을 개폐하는 구조이므로, 개폐판이 폐쇄된 상태에서, 일시 저류부의 내측벽과 개폐판 사이에 곡립이 꽉 차서, 그 후 개폐판의 개폐를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개폐판의 요동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일시 저류부의 내측벽과 개폐판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는 경우가 있어, 곡립이 꽉 차기 쉬운 상태의 품질 계측 장치도 있었다.
본 발명은, 원활한 개폐판의 개폐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확기는, 수확된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 탈곡된 곡립이 반송되어 저류되는 곡립 탱크와, 수확 작업 중에 상기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경시적으로 검출하는 유량 센서와, 수확 작업 중에 상기 유량 센서에 전달되는 진동을 경시적으로 검출하는 진동 센서와, 상기 진동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유량 센서에 전달되는 진동을 검출하고, 진동의 크기를 기준으로 유량 센서가 검출한 유량의 적부를 판단하여,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유량을 연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진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유량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시간 폭의 기간이 정해지고, 상기 기간마다, 소정의 진동 역치 이상의 상기 진동이 검출된 이상 기간인지 검출되지 않는 정상 기간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기간에서는, 검출된 유량의 최고값을 상기 정상 기간에 있어서의 유량으로 하고, 상기 이상 기간에서는, 상기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산출된 유량을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진동의 크기로부터, 유량 센서의 검출값의 신뢰도가 높은 정상 기간인지, 진동의 영향에 의해 유량 센서의 검출값이 신뢰할 수 없는 이상 기간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상 기간에서는,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유량이 산출된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은 유량을 사용하여 이상 기간의 유량을 추정할 수 있어, 진동의 영향을 회피한 고정밀도의 유량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기간보다 전측의 기간이며 상기 이상 기간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정상 기간인 전측 기간과 상기 이상 기간보다 후측의 기간이며 상기 이상 기간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정상 기간인 후측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을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상 기간의 전후의, 이상 기간과 시간적으로 근접하는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이 이상 기간의 유량을 산출하므로, 계속적으로 검출되는 유량의 검출 경향을 근거로 한, 더 고정밀도의 유량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측 기간의 유량과 상기 후측 기간의 유량의 평균값을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검출된 유량의 변동이 억제된 유량을,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판정부는, 상기 진동의 값이 상기 진동 역치 이상이고, 또한 상기 유량 센서가 검출한 유량이 소정의 유량 역치 이상인 기간을 상기 이상 기간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이상 기간인지 여부의 판정을, 검출된 진동에 추가하여 유량을 사용하여 행함으로써, 이상 기간이라는 판정이 더 정확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의 값이 상기 진동 역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유량 센서가 검출한 유량이 상기 유량 역치 이상인 기간에 대해서는, 상기 유량 센서가 검출한 유량의 최고값을 그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의 영향이 적어 진동이 소정의 값보다 작아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실제로 반송되는 곡립이 상정 이상으로 많아져, 검출된 유량이 상정 이상으로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이 기간은 정상 기간이고, 검출된 유량은 적절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상 기간인지 여부의 판정을 진동만으로 행함으로써, 이와 같이, 원래 정상 기간이어야 하는 기간을 이상 기간이라고 오판정하는 것이 억제되어, 더 적절한 유량이 구해진다.
또한, 상기 유량 센서 및 상기 진동 센서는, 동일한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동 센서는, 더 확실하게 유량 센서에 전달되는 진동을 검출할 수 있어, 고정밀도로 유량을 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량 산출 방법은,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산출하는 방법이며, 수확 작업 중에 상기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경시적으로 검출하는 공정과, 수확 작업 중에 진동을 경시적으로 검출하는 공정과, 소정 시간 폭의 기간마다, 소정의 진동 역치 이상의 상기 진동이 검출된 이상 기간인지 검출되지 않는 정상 기간인지를 판정하는 공정과, 상기 정상 기간에서는, 검출된 유량의 최고값을 상기 정상 기간에 있어서의 유량으로 하고, 상기 이상 기간에서는, 상기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산출된 유량을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진동의 크기로부터, 유량 센서의 검출값의 신뢰도가 높은 정상 기간인지, 진동의 영향에 의해 유량 센서의 검출값이 신뢰할 수 없는 이상 기간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상 기간에서는,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유량이 산출된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은 유량을 사용하여 이상 기간의 유량을 추정할 수 있어, 진동의 영향을 회피한 고정밀도의 유량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기간보다 전측의 기간이며 상기 이상 기간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정상 기간인 전측 기간과 상기 이상 기간보다 후측의 기간이며 상기 이상 기간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정상 기간인 후측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을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상 기간의 전후의, 이상 기간과 시간적으로 근접하는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이 이상 기간의 유량을 산출하므로, 계속적으로 검출되는 유량의 검출 경향을 근거로 한, 더 고정밀도의 유량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측 기간의 유량과 상기 후측 기간의 유량의 평균값을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검출된 유량의 변동이 억제된 유량을,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의 값이 상기 진동 역치 이상이고, 또한 검출된 유량이 소정의 유량 역치 이상인 기간을 상기 이상 기간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이상 기간인지 여부의 판정을, 검출된 진동 외에도 유량을 사용하여 행함으로써, 이상 기간이라는 판정이 더 정확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고정밀도로 구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진동의 값이 상기 진동 역치보다 작고, 또한 검출된 유량이 상기 유량 역치 이상인 기간에 대해서는, 검출된 유량의 최고값을 그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의 영향이 적어 진동이 소정의 값보다 작아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실제로 반송되는 곡립이 상정 이상으로 많아져, 검출된 유량이 상정 이상으로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이 기간은 정상 기간이며, 검출된 유량은 적절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상 기간인지 여부의 판정을 진동만으로 행함으로써, 이와 같이, 원래 정상 기간이어야 하는 기간을 이상 기간이라고 오판정하는 것이 억제되어, 더 적절한 유량이 구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수확기는, 탈곡되어 반송되는 곡립이 저류되는 곡립 탱크와, 반송되는 곡립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류한 후, 상기 곡립 탱크로 방출하는 일시 저류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의 횡측방에 나란히 마련되고, 일시적으로 저류된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의 저부 영역에 있어서의 제1 측벽에 기단이 축 지지되고, 상방으로 요동한 폐쇄 상태와 하방으로 요동한 개방 상태로 변위되는 도어와, 상기 제1 측벽과 마주보는 제2 측벽에 마련되는 누설 방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자유 단부가 상기 누설 방지구에 근접하여 상기 일시 저류부는 곡립을 저류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일시 저류부에 1차 저류된 곡립이 상기 곡립 탱크로 낙하하여 방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의 자유 단부가 누설 방지구의 하방을 향해 폐쇄 상태로 변위됨으로써 일시 저류부의 저부가 도어와 누설 방지구로 형성되고, 일시 저류부에 곡립을 저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도어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 도어의 선단과 제2 측벽 사이에 곡립이 꽉 차는 것이 억제되어, 도어의 개폐가 저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원활한 도어의 개폐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상면이 상기 누설 방지구의 하면에 맞닿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도어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 도어의 선단과 제2 측벽 사이에 곡립이 꽉 차는 것이 억제되어, 원활한 도어의 개폐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와 누설 방지구가 맞닿으므로, 곡립이 일시 저류부로부터 누설되어 떨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확실하게 소정량의 곡립이 저류되어, 정확하게 곡립의 품질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구의 하면이 평면이고, 상기 도어의 상면과 상기 누설 방지구의 하면이 면 접촉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도어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 도어의 선단과 제2 측벽 사이에 곡립이 꽉 차는 것이 억제되어, 원활한 도어의 개폐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와 누설 방지구가 면 접촉하므로, 더 확실하게 일시 저류부의 저부를 폐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곡립이 일시 저류부로부터 누설되어 떨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확실하게 소정량의 곡립이 저류되므로, 정확하게 곡립의 품질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측벽측으로부터 상기 자유 단부를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와 역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굴곡부를 갖고,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제1 굴곡부보다 상기 기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굴곡부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의 하방에 도어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전환 기구 등의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어도, 제1 굴곡부에 의해 구조물에 접촉하는 일 없이 도어를 개방 상태로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도어가 계측 곡립 저류부나 상하향 통로 등의 곡립이 배출되는 영역으로 돌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더 많은 곡립을 저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굴곡부를 마련함으로써, 도어가 적절하게 누설 방지구에 근접 또는 맞닿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구의 상면은 상기 제2 측벽에 근접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누설 방지구 상에 곡립이 머무르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일시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이 적절하게 교체됨과 함께, 일시 저류부에 적절하게 곡립이 저류된다.
또한, 상기 일시 저류부보다 하방에 마련되고, 방출된 곡립이 저류되는 계측 곡립 저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측 곡립 저류부가 곡립으로 가득찬 것을 검출하는 만배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계측 곡립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이 허용량에 도달한 것이나, 도어의 변위 범위에 도달한 것을 만배 센서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후, 품질 계측 장치에 곡립을 투입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대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동작이 곡립에 의해 저해된 상태에서 개폐하는 것이 방지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전환 기구 및 도어가 고장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확기는, 탈곡되어 반송되는 곡립이 저류되는 곡립 탱크와, 반송되는 곡립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류한 후, 방출하는 일시 저류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보다 하방에 마련되고, 방출된 곡립이 저류되는 계측 곡립 저류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의 횡측방에 나란히 마련되고, 일시적으로 저류된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의 저부 영역에 있어서의 제1 측벽에 축 지지되고, 상방으로 요동한 폐쇄 상태와 하방으로 요동한 개방 상태로 변위되는 도어와, 상기 계측 곡립 저류부가 곡립으로 만배 상태가 된 것을 검출하는 만배 센서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계측 곡립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이 허용량에 도달한 것이나, 도어의 변위 범위에 도달한 것을 만배 센서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후, 품질 계측 장치에 곡립을 투입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대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동작이 곡립에 의해 저해된 상태에서 개폐되는 것이 방지되어, 도어 및 전환 기구가 고장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배 센서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바로 아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만배 센서에 의해, 계측 곡립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이 도어의 변위 범위에 도달한 것을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배 센서는, 상기 계측 곡립 저류부 내에 노출되는 양태로 상기 계측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효율적으로 만배 센서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만배 센서가 만배 상태를 검지한 경우,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 상태인 경우는 상기 개방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폐쇄 상태인 경우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저류된 곡립에 의해 도어의 동작이 저해되는 것이 억제됨과 함께, 개폐판이 개방 상태가 되어 일시 저류부에 곡립을 계속 저류하여, 일시 저류부로부터 곡립이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곡립 반송 기구와 곡립 탱크를 도시하는 콤바인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3은 투입부와 유량 센서를 예시하는 주요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4는 지지 프레임의 구성을 예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유량을 산출하는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유량을 산출하는 방법의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유량 센서와 진동 센서를 사용한 유량의 수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량 센서와 진동 센서를 사용한 유량의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다른 실시 형태의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0는 곡립 탱크에 있어서의 품질 계측 장치를 예시하는 콤바인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11은 품질 계측 장치 배치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2는 품질 계측 장치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주요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13는 개폐판과 누설 방지구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판과 누설 방지구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판과 누설 방지구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확기의 일례로서 콤바인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자주하는 주행 기체(2)와,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식립 곡간을 수확하는 수확부(3)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 우측에, 캐빈(4)으로 주위가 덮인 운전부(5)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5)의 후방에는, 수확부(3)에서 수확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6)와,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7)가 횡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7)는 기체 우측에 위치하고, 탈곡 장치(6)는 기체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운전부(5)는 곡립 탱크(7)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운전부(5)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8)의 하방에 엔진(14)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후방부이며 곡립 탱크(7)의 후방에, 곡립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을 기외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9)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된 곡립은, 곡립 반송 기구(16)에 의해, 탈곡 장치(6)로부터 곡립 탱크(7)의 내부로 반송된다. 또한, 곡립 탱크(7)의 하방에는, 곡립 탱크(7)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량 센서의 일례로서 로드셀(10)이 마련된다. 로드셀(10)은 곡립의 중량(수량)에 따라서 받는 압력을 변형 센서에 의해 전압 등으로서 검출한다. 저류된 곡립의 중량(수량)은, 출력값인 전압으로부터 산출된다.
〔곡립 반송 기구〕
다음으로, 도 2, 도 3을 사용하여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곡립 반송 기구(16)에 대해 설명한다. 곡립 반송 기구(16)는, 탈곡 장치(6)의 저부에 마련된 1번물 회수 스크루(16A)와 리프팅 컨베이어(16B)와 횡 이송 컨베이어(16C)를 포함한다.
횡 이송 컨베이어(16C)의 종단 영역에, 곡립 탱크(7)의 내부에 곡립을 확산 방출하는 곡립 방출 장치(13)가 마련되어 있다. 곡립 방출 장치(13)는, 방출 회전체(32)와 방출 회전체(32)의 주위를 덮는 방출 케이스(31)를 구비하고 있다. 방출 회전체(32)는, 회전축(32b)과, 회전축(32b)에 마련된 블레이드판(32a)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블레이드이다. 블레이드판(32a)은, 회전축(32b)으로부터 직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32b)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판(32a)은, 그 회전 방향으로 곡립을 압출해 가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압출면을 갖고 있다. 방출 케이스(31)는, 블레이드판(32a)의 회전 궤적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이다. 방출 케이스(31)의 둘레면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다. 이 절결에 의해, 블레이드판(32a)의 회전에 의해 곡립을 곡립 탱크(7)의 내부에 있어서의 후방측으로 방출하는 곡립 방출구(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곡립 방출 장치(13)의 방출 케이스(31)의 하면측에 복수의 개구(33)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계측용 곡립(탱크에 저류되는 곡립의 일부)은, 개구(33)를 빠져나가 후술하는 일시 저류부(51)에 공급된다.
〔유량 센서〕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곡립 방출구(30)에 인접하는 상태에서, 곡립 방출구(30)로부터 방출되는 곡립의 유량인 방출량을 계측하는 유량 센서(20)가 마련되어 있다. 유량 센서(20)는 지지 프레임(40)에 지지되고, 지지 프레임(40)은, 곡립 탱크(7)의 벽부 중, 좌측벽(7a)과 우측벽(7b)에 걸쳐 있다. 유량 센서(20)는, 검지판(21)과 로드셀(22)을 스페이서(23)를 통해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드셀(22)의 일단부(22A)는, 지지 프레임(40)에 스페이서(24)를 통해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로드셀(22)의 타단부(22B)의 상방에, 검지판(21)이 스페이서(23)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검지판(21)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블레이드판(32a)의 선단이 검지판(21)에 가장 접근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블레이드판(32a)의 접선 방향을 따라 후방 상향으로 경사진다. 검지판(21)의 좌우 폭은, 곡립 방출구(30)의 좌우 폭에 걸쳐 있고, 검지판(21)의 좌우 폭이 블레이드판(32a)의 좌우 폭보다 넓어지도록, 검지판(21)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곡립 방출구(30)의 좌우 폭의 전체 폭에 걸쳐 토출되는 곡립이, 모두 검지판(21)에 압박 접촉되어, 유량 센서(20)가 곡립 방출 장치(13)로부터의 토출되는 곡립을 남김없이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판(21)이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므로, 검지판(21)에 압박 접촉된 곡립이 곡립 탱크(7)의 후방부로 튕긴다.
로드셀(22)이 지지 프레임(40)에 외팔보 지지되고, 또한 스페이서(23, 24)가, 로드셀(22)에 대해 상하 좌우 대칭이 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로드셀(22)의 중심부(22C)에 응력이 집중되기 쉬워진다. 즉, 로드셀(22)이 검지판(21)으로부터 하중을 받으면, 타단부(22B)에 모멘트 하중이 걸려, 중심부(22C)에 변형이 발생한다.
로드셀(22)의 중심부(22C)에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로드셀(22)로부터 전기 신호가 발생한다. 이 전기 신호는, 곡립의 유량을 평가하기 위한 검출 신호로서 사용되고, 전기 신호는 예를 들어 전압값이나 전류값으로 표시된다. 곡립 방출 장치(13)로부터 보내져 오는 곡립의 방출량이 많아질수록, 검지판(21)에 대한 곡립의 압박력은 커지고, 로드셀(22)의 검출 신호도 커진다.
검지판(21)과 곡립 방출구(30)가 인접하는 구성에 의해, 곡립 방출구(30)로부터 토출되는 곡립을 유량 센서(20)가 검지하기 쉬워지므로, 유량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러나 검지판(21)이 방출 케이스(31)에 직접 설치되는 경우, 블레이드판(32a)의 회전 진동은, 방출 케이스(31)를 통해 검지판(21)에 전달되고, 로드셀(22)에도 전달된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판(32a)의 회전 진동이, 노이즈가 되어 유량 센서(20)에 검출되어, 수량 검출의 정밀도의 향상이 저해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40)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지지 프레임〕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량 센서(20)는 곡립 방출구(30)에 인접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고, 유량 센서(20)는, 지지 프레임(40)에 지지되어 있다. 곡립 탱크(7)의 벽부 중, 좌우 측벽(7a, 7b)의 각각에,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벽부 프레임(71, 71)이 수평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0)은, 예를 들어 산형강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고, 곡립 탱크(7)의 좌우 양단에 걸치는 지지 부재(41)와, 지지 부재(41)의 좌우 양단에 용접 고정된 좌우 한 쌍의 설치 부재(42)를 갖는다. 설치 부재(42)가 좌우의 벽부 프레임(71, 71)에 볼트 고정됨으로써, 지지 프레임(40)은 곡립 탱크(7)에 양단 지지된다.
지지 부재(41)는 단면으로 보아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0)이 곡립 탱크(7)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41)는 기체 측면으로 보아 V자를 상하 반전시킨 형상이 되고,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후방 상향 경사부(41a)와,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후방 하향 경사부(41b)를 갖는다. 후방 상향 경사부(41a)가 유량 센서(20)를 지지하므로, 전후 폭에 있어서, 후방 상향 경사부(41a)는 스페이서(24)의 하면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후방 상향 경사부(41a)의 좌우 양단에, 절판부(41d, 41d)가 형성되어 있다. 절판부(41d, 41d)는, 후방 상향 경사부(41a)에 대해 굴곡되고, 좌우 측벽(7a, 7b)과 평행한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절판부(41d, 41d)와, 좌우의 설치 부재(42, 42)에 형성된 측부(42b, 42b)가 각각 용접 고정된다.
이와 같이, 유량 센서(20)가 지지 프레임(40)에 지지되고, 검지판(21)과 곡립 방출구(30)가 인접하는 구성임으로써, 곡립 방출구(30)로부터 토출되는 곡립의 압박력을 유량 센서(20)가 검지하기 쉬운 것이 되고, 또한 블레이드판(32a)의 회전에 기인하는 진동이 유량 센서(20)에 전달되기 어려운 것이 된다.
좌우의 설치 부재(42, 42)와 좌우의 벽부 프레임(71, 71)을 접합하는 볼트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좌우 한 쌍의 설치 부재(42, 42)는, 좌우의 벽부 프레임(71, 71) 상을 긴 구멍(42c)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곡립 탱크(7)의 좌우 측벽(7a, 7b)에 대한 지지 프레임(40)의 위치가, 변경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블레이드판(32a)과 검지판(21)의 이격 거리를 수평 방향을 따라 조정할 수 있어, 검지판(21)에 대한 곡립의 압박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검지판(21)의 전방 하단과 방출 케이스(31)의 하단의 간극 간격을, 수평 방향을 따라 조정할 수 있다.
〔품질 계측 장치〕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부 위치에,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50)가 마련되어 있다. 품질 계측 장치(50)는, 곡립의 수분량이나 단백량 등의 곡립의 성분(품질)을 계측한다. 품질 계측 장치(50)는, 계측 대상인 곡립을 일시 저류하는 제1 저류부인 일시 저류부(51)와, 일시 저류부(51)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에 대해 계측 작용하여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부인 계측부(52)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 저류부(51)가 곡립 탱크(7)의 내측에 위치하고, 계측부(52)가 곡립 탱크(7)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계측부(52)는, 밀폐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 케이스(53)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일시 저류부(51)는, 수납 케이스(53)의 내측의 측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대략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곡립을 저류할 수 있다.
일시 저류부(51)는, 그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향 통로(55)가 형성되고, 상하향 통로(55)의 도중에 형성된 배출구(56)와, 배출구(56)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도면 참조)와 배출구(56)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시하지 않음)로 위치 변경 가능한 셔터(57)와,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셔터(57)를 자세 변경하는 조작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일시 저류부(51)는, 곡립 반송 기구(16)(도 2 참조)에 의해 곡립 탱크(7)의 내부로 반송되고, 곡립 방출 장치(13)로부터 방출되는 곡립의 일부를, 계측용 곡립으로서 받아내어 저류한다.
일시 저류부(51)는, 상하향 통로(55)의 상단이 개방되고, 곡립의 도입구(62)가 형성되어 있다. 곡립 방출 장치(13)로부터 방출된 곡립을 이 도입구(62)로부터 도입하여, 셔터(57)를 폐쇄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곡립을 받아내어, 셔터(57)의 상부에 형성된 저류용 공간(63)에 곡립을 저류할 수 있다. 셔터(57)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면, 저류되어 있던 곡립이 하방으로 낙하 배출되어 곡립 탱크(7)의 내부로 복귀된다.
일시 저류부(51)는, 공간(63) 내에 1차 저류 센서(65)를 구비한다. 1차 저류 센서(65)는 접촉 센서이며, 공간(63) 내에 일정량의 곡립이 저류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계측부(52)는, 곡립이 일정량 저류된 상태에서 곡립의 품질을 계측한다. 1차 저류 센서(65)가 공간(63) 내에 일정량의 곡립이 저류된 것을 검지한 후, 계측부(52)가 성분(품질)을 계측하면,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는, 셔터(57)를 개방 위치 변경시켜, 후술하는 계측 곡립 저류 공간(S)을 갖는 2차 저류부(54)로 곡립을 배출한다.
계측부(52)는, 저류용 공간(63)에 저류되는 곡립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곡립으로부터 얻어진 광에 기초하여, 공지 기술인 분광 분석 방법에 의해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한다. 저류용 공간(63)을 형성하는 측면 중 계측부(52)측의 측면에 광이 투과 가능한 창부(64)가 형성되고, 계측부(52)는, 이 창부(64)를 통해, 곡립에 광을 조사함과 함께, 곡립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계측 곡립 저류 공간(S)은, 벽(66)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며, 배출구(56)를 통해 일시 저류부(51)에 있어서의 저류용 공간(63)과 연통되고, 또한 측부가 곡립 탱크(7)의 저류 공간(Q)(내부 공간)과 구획됨과 함께 하부가 곡립 탱크(7)의 저류 공간(Q)과 연통되어 있다. 계측 곡립 저류 공간(S)은, 평면으로 보아, 일시 저류부(51)에 대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광폭으로 형성되고, 또한 하부가 상부보다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광폭이 되는 형태로 곡립 탱크(7)의 하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계측 곡립 저류 공간(S)은 저류 공간(Q)과 구획되어 있으므로, 곡립의 저류 중에 저류 공간(Q)으로부터 곡립이 유입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곡립 탱크(7)의 저류 상태에 관계없이, 계측 곡립 저류 공간(S)에는, 일시 저류부(51)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만이 저류된다. 그 결과, 계측 곡립 저류 공간(S)의 크기에 따른 횟수의 유량의 계측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진동 센서〕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량 센서(20)에 전달되는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센서(19)가 마련된다. 진동 센서(19)는, 진동의 크기를 검출한다. 진동의 크기는, 예를 들어 가속도 등으로서 검출된다. 유량 센서(20)에 전달되는 진동은, 탈곡 장치(6)나 곡립 반송 기구(16) 등에서 발생하여, 곡립 탱크(7)의 측벽(좌측벽(7a) 등)에 전달되고, 지지 프레임(40)을 통해 유량 센서(20)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진동 센서(19)는, 진동의 전달 경로인 지지 프레임(40)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동 센서(19)는, 후방 상향 경사부(41a)의 스페이서(24)가 접속되는 면에 대한 이면에 마련되고, 가능한 한, 스페이서(24)의 바로 뒤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 센서(19)는, 지지 프레임(40)의 후방 하향 경사부(41b)에 마련되어도 된다. 즉, 진동 센서(19)는, 후방 하향 경사부(41b)의 방출 케이스(31)가 지지되는 스페이서(24)의 근방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 센서(19)가 후방 상향 경사부(41a) 또는 후방 하향 경사부(41b)의 이면에 마련되면, 유입되는 곡립이 직접 진동 센서(19)에 접촉하는 것이 억제되어, 더 정확하게 진동을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량 센서(20)가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40)의, 가능한 한 유량 센서(20)가 지지되는 위치의 근방에 진동 센서(19)를 마련함으로써, 유량 센서(20)에 전달되는 진동이 정확하게 검출된다.
〔유량을 산출하는 구성〕
다음으로, 유량을 산출하는 구성 예에 대해,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어부(73)는, 유량 센서(20) 및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이 입력되어, 유량값을 출력한다. 제어부(73)는, LAN 등을 통해 유량 센서(20) 및 진동 센서(19)와 접속되어, 유량 센서(20) 및 진동 센서(19)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제어부(73)는, 일정 기간마다 유량 센서(20)의 검출값으로부터 유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유량을 산출하는 기간은, 블레이드판(32a)이 1회전하는 기간(주기)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3)는, 검출값 입력부(74), 이상 판정부(75), 유량 산출부(76), 유량 수정부(77), 유량 출력부(78)를 구비한다.
검출값 입력부(74)는, 유량의 검출값으로서, 예를 들어 전압값(검출 전압)이 유량 센서(20)로부터 경시적으로 입력되고, 진동 센서(19)로부터 가속도 등의 진동의 크기가 입력된다. 입력된 유량과 진동은, 이상 판정부(75) 및 유량 산출부(76)로 송신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유량」이라는 용어는, 유량 센서(20)의 검출값을 포함한 의미로 사용되며, 산출된 유량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마찬가지로, 「진동」이라는 용어는,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을 포함한 의미로 사용되며, 진동의 크기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상 판정부(75)는, 수신한 전압값(유량)과 진동에 기초하여, 기간마다 유량 센서(20)의 측정값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유량 센서(20)는 진동의 영향에 의해 검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수신한 전압값과 진동에 기초하여, 유량 센서(20)의 검출값에 검출 오차가 발생하여, 이상값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유량 센서(20)의 검출 전압이 미리 정해진 유량용 역치보다 높고, 또한 진동이 미리 정해진 진동용 역치보다 높은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정된다. 또한, 진동이 미리 정해진 진동용 역치보다 높은 경우에만 이상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상값을 출력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그 기간을 이상 기간이라고 판정하고, 이상값을 출력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는 그 기간을 정상 기간이라고 판정한다. 판정 결과는 유량 수정부(77)로 송신된다.
유량 산출부(76)는, 수신한 전압값으로부터 기간마다의 유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유량 산출부(76)는, 그 기간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압값으로부터 유량을 산출한다. 전압값과 유량의 관계는, 미리 작성된 테이블이나 변환식으로서 유량 산출부(76)에 유지된다. 이 테이블이나 변환식을 사용하여, 최대의 전압값으로부터 유량이 산출된다. 산출된 유량은, 유량 수정부(77)로 송신된다.
유량 수정부(77)는, 유량 산출부(76)로부터 수신한 유량 및 이상 판정부(75)의 판정 결과를 수신한다. 유량 수정부(77)는, 이상 기간인 경우는, 정상 기간의 유량으로부터 그 기간의 유량을 산출하고, 유량 산출부(76)에서 산출된 유량을 산출된 유량으로 치환한다. 유량 수정부(77)는, 치환된 유량을 그 기간의 유량으로서 유량 출력부(78)로 송신한다. 유량 수정부(77)는, 정상 기간인 경우는, 유량 산출부(76)에서 산출된 유량을 그대로 그 기간의 유량으로서 유량 출력부(78)로 송신한다. 또한, 유량 산출부(76)는, 정상 기간의 유량만을 산출하고, 이상 기간의 유량은 유량 수정부(77)에서만 산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유량 출력부(78)는, 유량을 수신하여, 기간마다의 유량으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유량은 도시하지 않은 다른 기능부로 송신되고, 다른 기능부는, 기간마다의 유량으로부터 곡립 탱크(7)(도 1 참조)에 저류된 곡립의 수량을 산출한다. 혹은, 다른 기능부는, 별도 포장 정보를 수신하여, 포장의 미리 정해진 구획마다의 유량이나 수량을 매핑한다.
또한, 이상 판정부(75)는, 유량 센서(20)의 검출값 및 진동으로부터 이상인지 정상인지를 판정하였지만, 유량 산출부(76) 또는 유량 수정부(77)에서 산출된 유량과 진동으로부터 이상인지 정상인지를 판정해도 된다. 즉, 이상 판정 전에, 유량 산출부(76)에서 유량 센서(20)의 검출값으로부터 유량이 산출되고, 유량 산출부(76) 또는 유량 수정부(77)는, 산출된 유량을 이상 판정부(75)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73)는, 하나의 제어부(73)에서, 검출값 입력부(74), 이상 판정부(75), 유량 산출부(76), 유량 수정부(77), 유량 출력부(78)를 구비해도 되지만, 복수의 제어부(73)로 분할해도 된다. 또한, 검출값 입력부(74), 이상 판정부(75), 유량 산출부(76), 유량 수정부(77), 유량 출력부(78)도, 각각 조합되어 통합되어도 되고, 복수의 기능부로 분할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5, 도 6, 도 7을 사용하여, 유량을 산출하는 방법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에 나타낸 제어부(73)에 의해 유량이 산출되는 공정을 설명하지만, 유량의 산출은, 다른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유량의 산출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하지 않은 기억 장치에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도시하지 않은 CPU나 제어부(73) 등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유량 센서(20)는, 경시적으로 검출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값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진동 센서(19)는, 경시적으로 진동을 검출값으로서 검출하여, 검출값을 출력한다.
제어부(73)의 검출값 입력부(74)는, 유량 센서(20)의 검출값 및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을 취득한다(도 6의 스텝 #1). 취득한 각각의 검출값과 시간의 관계를 그래프화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래프가 된다.
곡립 탱크(7)(이하 모두 도 2 참조)에 투입되는 곡립은, 곡립 방출 장치(13)의 회전하는 블레이드판(32a)(이하 모두 도 2 참조)에 압출되어 방출된다. 그 때문에, 곡립 탱크(7)에 투입되는 곡립의 유량은, 블레이드판(32a)이 1회전하는 시간을 하나의 기간으로 하여, 기간마다 계측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판(32a)은 100mmsec에 1회전한다. 이 경우의 기간의 시간 폭은 100mmsec가 되어, 100mmsec마다 유량이 계측된다.
유량은, 예를 들어 유량 센서(20)의 검출 전압을 변환하여 구해진다. 그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그래프에서는, 유량 센서(20)의 값으로서 검출 전압의 경시 변화가 나타난다. 각 기간에 있어서의 검출 전압의 최고값이 구해지고, 최고값의 검출 전압으로부터 유량이 산출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기간 C에 있어서의 검출 전압의 최고값은 V1이 되어, V1로부터 유량이 산출된다. 진동은, 예를 들어 진동 센서(19)가 검출한 가속도로 나타나고, 도 7에 나타낸 그래프에서는, 가속도의 경시 변화가 나타난다.
이상 판정부(75)는, 각 기간에 있어서, 진동의 크기 및 유량 중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여, 그 기간에 검출된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정한다(도 6의 스텝 #2). 또한, 유량은, 검출값으로부터 산출된 유량을 사용해도 되지만, 유량 센서(20)의 검출값, 예를 들어 검출 전압으로 할 수도 있다(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검출값으로서 검출 전압을 사용함). 또한, 진동은,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에 기초하는 진동의 크기를 사용해도 되지만,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유량으로서 유량 센서(20)의 검출 전압이 사용되고, 진동으로서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각 기간에 있어서, 진동 센서(19)의 검출값 및 유량 센서(20)의 검출값의 각각에 소정의 역치를 마련하고,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이 진동용 진동 역치를 초과한 적이 있고, 또한 유량 센서(20)의 검출값이 유량용 유량 역치를 초과한 적이 있는 기간을 이상 기간으로 하고,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이 진동용 진동 역치를 초과하지 않은 기간, 및 유량 센서(20)의 검출값이 유량용 유량 역치를 초과하지 않은 기간을 정상 기간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있어서의 기간 C에서는,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은 진동용 진동 역치를 초과한 적이 없고, 또한 유량 센서(20)의 검출값도 유량용 유량 역치를 초과한 적이 없으므로, 기간 C는 정상 기간이라고 판정된다. 반대로, 기간 D에서는,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은 진동용 진동 역치를 초과한 경우가 있고, 또한 유량 센서(20)의 검출값은 유량용 유량 역치를 초과한 경우가 있으므로, 기간 D는 이상 기간이라고 판정된다. 또한,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으로서 진동 파형의 피크값을 검출하고, 각 기간 내에서 검출된 피크값을 진동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진동이 진동 역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정상 기간의 경우, 유량 산출부(76)는, 유량 센서(20)의 검출 전압으로부터 유량을 산출한다. 각 기간의 검출 전압으로서, 기간 내에서 검출 전압의 최고값이 그 기간의 검출 전압이 된다. 유량의 산출은, 미리 검출 전압과 유량의 관계를 정리한 대응표나 관계식을 준비해 두고, 이 대응표나 관계식을 사용하여 검출 전압으로부터 유량을 산출한다. 정상 기간의 경우, 이와 같이 하여 구한 유량이 그 기간의 유량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정상 기간인 기간 C에 있어서의 검출 전압의 최고값은 V1이고, 정상 기간인 기간 G에 있어서의 검출 전압의 최고값은 V2이다. 그 때문에, 정상 기간인 기간 C에서는 검출 전압 V1에 대응하는 유량이 기간 C의 유량이 되고, 정상 기간인 기간 G에서는 검출 전압 V2에 대응하는 유량이 기간 G의 유량이 된다(도 6의 스텝 #3).
유량 수정부(77)는, 이상 기간에 있어서의 유량을, 이상 기간의 주변의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유량 수정부(77)는, 이상 기간에 있어서, 유량 센서(20)의 검출값으로부터 구하는 유량을, 다른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수정한다(치환한다). 예를 들어, 유량 수정부(77)는, 그 이상 기간보다 이전의 가장 가까운 정상 기간인 전측 기간에 있어서의 유량과, 이상 기간보다 이후의 가장 가까운 정상 기간인 후측 기간에 있어서의 유량의 평균값을 그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한다. 또한, 유량 수정부(77)는, 전측 기간의 유량 또는 후측 기간의 유량을 그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유량 수정부(77)는, 3개 이상의 정상 기간의 평균값을 그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기간 D, E, F는 이상 기간이고, 그 전후의 기간 C, G는 정상 기간이다. 기간 D, E, F의 검출 전압은, 기간 C의 검출 전압 V1과 기간 G의 검출 전압 V2의 평균값인 (V1+V2)/2가 되고, 기간 D, E, F의 유량은, 검출 전압 (V1+V2)/2에 대응하는 유량이 된다(도 6의 스텝 #4).
산출된 유량은, 유량 출력부(78)로부터, 유량을 산출하거나 포장의 유량 맵을 작성하거나 하는 다른 기능부, 혹은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도시하지 않음) 등에 출력된다(도 6의 스텝 #5).
유량 센서(20)는, 탈곡 장치(6)(도 1 참조)나 곡립 반송 기구(16)(도 1 참조), 곡립 방출 장치(13)(도 1 참조), 또는 엔진(14)(도 1 참조) 등에서 발생한 진동의 영향에 의해, 검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확기에 의하면, 유량 및 진동 중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여, 각 기간이 이상 기간인지 정상 기간인지 판정하고, 이상 기간에 있어서는 유량 센서(20)의 검출값에 오차가 있다고 판단하여,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이상 기간의 유량을 산출하므로, 진동의 영향을 회피하고,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도 5를 참조하면서 도 8을 사용하여, 이상 기간의 유량을 산출하는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이상 기간의 판정을 진동만으로 행한다.
기간 A, B, F, G에 있어서, 진동 역치를 초과하는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은 검출되지 않으므로, 기간 A, B, F, G는 정상 기간이라고 판정된다. 기간 C, D, E에 있어서, 진동 역치를 초과하는 진동 센서(19)의 검출값이 검출되므로, 기간 C, D, E는 이상 기간이라고 판정된다. 여기서, 정상 기간이라고 판정된 기간 A, B, G에 있어서는, 유량 역치를 초과하는 유량 센서(20)의 검출 전압은 검출되지 않지만, 정상 기간이라고 판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간 F에 있어서의 유량 센서(20)의 검출 전압의 최고값은 V3이며, 유량 역치를 초과한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정상 기간 B에 있어서의 유량 센서(20)의 검출 전압의 최고값은 V1이고, 정상 기간 G에 있어서의 유량 센서(20)의 검출 전압의 최고값은 V2이다.
이러한 경우, 유량 역치를 초과한 검출 전압이 검출된 기간이라도, 정상 기간이라면, 그 검출 전압에 대응하는 유량이 그 기간에 있어서의 유량이 된다. 그 때문에, 정상 기간이라고 판정된 기간 F의 유량은, 검출 전압 V3에 대응하는 유량이 된다.
또한, 각각의 이상 기간에 있어서, 각 이상 기간보다 이전의 가장 가까운 정상 기간 중, 유량 센서(20)의 검출 전압의 최고값이 유량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기간이 전측 기간이 된다. 마찬가지로, 각 이상 기간보다 이후의 가장 가까운 정상 기간 중, 유량 센서(20)의 검출 전압의 최고값이 유량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기간이 후측 기간이 된다. 이상 기간의 유량은, 전측 기간에 있어서의 유량과 후측 기간에 있어서의 유량의 평균값이 된다. 그 때문에, 이상 기간이라고 판정된 기간 C, D, E의 유량은, 전측 기간이 되는 기간 B의 검출 전압 V1과, 후측 기간이 되는 기간 G의 검출 전압 V2의 평균값인 검출 전압 (V1+V2)/2에 대응하는 유량이 된다.
이와 같이, 진동이 진동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기간은 정상 기간이라고 판정되어, 가령 유량이 유량 역치를 초과하고 있다고 해도, 유량의 수정이 행해지지 않고, 그 유량이 그 기간의 유량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실제로 반송된 곡립의 유량이 많아진 것을 새는 일 없이 검출할 수 있음과 함께, 진동이 큰 경우에는 이상 기간이라고 판정되어, 그 기간의 유량을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산출하므로, 진동의 영향을 회피하고,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2) 유량 센서(20) 및 진동 센서(19)의 지지 구조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량 센서(20) 및 진동 센서(19)가, 곡립 탱크(7)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프레임 부재, 또는 곡립 탱크(7)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프레임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유량 센서(20) 및 진동 센서(19)가, 곡립 탱크(7)의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에 걸치는 프레임 부재에 지지되는 구조여도 된다.
(3)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방출구(30)는, 횡 이송 컨베이어(16C)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곡립 방출 장치(13)의 구성이나, 곡립 방출구(30)와 유량 센서(20)의 위치 관계는 임의이다. 예를 들어, 횡반송부(11)의 반송 방향 말단에, 횡 이송 스크루(12)의 축심 방향으로 개구되는 토출구(14a)가 형성되어, 곡립이 기체 횡 방향으로 토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유량 센서(20)는, 횡 이송 컨베이어(16C)의 축심 방향을 따라, 곡립 방출구(30)와 대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곡립 방출구(30)로부터 방출되는 곡립의 방출 방향도 임의이며, 그 후방에 유량 센서(20)가 마련되면 된다.
(4)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검지판(21)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검지판(21)은, 후단부에 근접할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곡립 탱크(7)의 후방으로 튕기는 곡립의 양이 많아진다.
(5)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유량 센서(20)에, 검지판(21)과 로드셀(22)이 스페이서(23)를 통해 구비되어 있지만, 유량 센서(20)는, 곡립의 수량이 로드셀(22)에만 의해 검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곡립의 수량이, 로드셀(22) 대신에, 변형 게이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6)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설치 부재(42, 42)가 좌우의 벽부 프레임(71, 71)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지지 프레임(4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치 부재(42)와 벽부 프레임(71) 사이에 스페이서를 끼우는 것 등에 의해, 지지 프레임(40)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설치 부재(42)가, 곡립 탱크(7)의 좌우 측벽(7a, 7b)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7)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프레임(40)은, 산형강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지지 프레임(40)은, T형강이나 홈형강 등이어도 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40)은, 스테인리스강의 조합이나, 일체 성형된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수확기의 일례로서 콤바인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1)에 의해 자주하는 주행 기체(1002)와, 주행 기체(1002)의 전방부에 식립 곡간을 수확하는 수확부(1003)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002)의 전방부 우측에, 캐빈(1004)으로 주위가 덮인 운전부(1005)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1005)의 후방에는, 수확부(1003)에서 수확된 곡간(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1006)와,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1007)가 횡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1007)는 기체 우측에 위치되고, 탈곡 장치(1006)는 기체 좌측에 위치되어 있다. 즉, 운전부(1005)는 곡립 탱크(1007)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운전부(1005)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008)의 하방에 엔진(1014)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002)의 후방부이며 곡립 탱크(1007)의 후방에, 곡립 탱크(1007)에 저류된 곡립을 기체 밖으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009)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된 곡립은, 곡립 반송 기구(1016)에 의해, 탈곡 장치(1006)로부터 곡립 탱크(1007)의 내부로 반송된다. 또한, 곡립 탱크(1007)의 하방에는, 곡립 탱크(1007)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량 센서의 일례로서 로드셀(1010)이 마련된다. 로드셀(1010)은 곡립의 중량(수량)에 따라서 받는 압력을 변형 센서에 의해 전압 등으로서 검출한다. 저류된 곡립의 중량(수량)은, 출력값인 전압으로부터 산출된다.
곡립 탱크(1007)에는, 곡립이 저류된 양을 검출하는 레벨 센서인 하나 또는 복수의 벼 센서(1015)가 마련된다. 벼 센서(1015)는, 예를 들어 접촉 센서이며, 저류된 곡립이 벼 센서(1015)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벼 센서(1015) 중, 곡립 탱크(1007)의 상단부 근방에 마련되는 벼 센서(1015a)는, 곡립 탱크(1007) 내의 곡립이 가득차, 배출을 요하는 상태까지 저류된 것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벼 센서(1015a)가 곡립을 검출하면, 작업자에게 그 취지가 보고되고, 작업자는, 곡립을 배출하기 위한 행동으로 이행한다.
곡립 탱크(1007)에 저류되는 곡립의 양(수량)은, 운전부(1005)에 마련되는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복수의 인디케이터가 마련되고, 점등되는 인디케이터의 수로 수량이 표시된다. 수량은, 주로 로드셀(1010)의 검출값으로부터 구해지고, 벼 센서(1015)가 곡립을 검출한 경우에는, 벼 센서(1015)의 검출값이 로드셀(1010)의 검출값에 우선되고, 그 벼 센서(1015)에 대응하는 수량에 따른 표시가 이루어진다.
〔곡립 반송 기구〕
다음으로, 도 10, 도 11을 사용하여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곡립 반송 기구(1016)에 대해 설명한다. 곡립 반송 기구(1016)는, 탈곡 장치(1006)의 저부에 마련된 1번물 회수 스크루(1016A)와 리프팅 컨베이어(1016B)와 횡 이송 컨베이어(1016C)를 포함한다.
횡 이송 컨베이어(1016C)의 종단 영역에, 곡립 탱크(1007)의 내부에 곡립을 확산 방출하는 곡립 방출 장치(1013)가 마련되어 있다. 곡립 방출 장치(1013)는, 방출 회전체(1032)와 방출 회전체(1032)의 주위를 덮는 방출 케이스(1031)를 구비하고 있다. 방출 회전체(1032)는, 회전축(1032b)과, 회전축(1032b)에 마련된 블레이드판(1032a)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블레이드이다. 블레이드판(1032a)은, 회전축(1032b)으로부터 직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1032b)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판(1032a)은, 그 회전 방향으로 곡립을 압출해 가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압출면을 갖고 있다. 방출 케이스(1031)는, 블레이드판(1032a)의 회전 궤적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이다. 방출 케이스(1031)의 둘레면의 일부가 잘려나가 있다. 이 절결에 의해, 블레이드판(1032a)의 회전에 의해 곡립을 곡립 탱크(1007)의 내부에 있어서의 후방측으로 방출하는 곡립 방출구(10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곡립 방출 장치(1013)의 방출 케이스(1031)의 하면측에 복수의 개구(1033)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계측용 곡립(탱크에 저류되는 곡립의 일부)은, 개구(1033)를 빠져나가 후술하는 품질 계측 장치(1050)의 일시 저류부(1051)에 공급된다.
〔품질 계측 장치〕
도 11,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1007)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부 위치에,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1050)가 마련되어 있다. 품질 계측 장치(1050)는, 곡립의 수분량이나 단백량 등의 곡립의 성분(품질)을 계측한다. 품질 계측 장치(1050)는, 계측 대상인 곡립을 일시 저류하는 제1 저류부인 일시 저류부(1051)와, 일시 저류부(1051)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에 대해 계측 작용하여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부인 계측부(105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 저류부(1051)가 곡립 탱크(1007)의 내측에 위치하고, 계측부(1052)가 곡립 탱크(1007)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계측부(1052)는, 밀폐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 케이스(1053)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일시 저류부(1051)는, 수납 케이스(1053)의 내측의 측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대략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의 공간(1063)에 곡립을 저류할 수 있다.
일시 저류부(1051)는, 그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향 통로(1055)가 형성되고, 상하향 통로(1055)의 도중에 형성된 배출구(1056)와, 배출구(1056)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도 11의 실선, 도 12의 파선의 상태)와 배출구(1056)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12의 실선의 상태)로 위치 변경 가능한 개폐판(1057)(도어에 상당)과, 전동 모터(1061)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판(1057)을 자세 변경하는 전환 기구(1068)가 구비되어 있다.
일시 저류부(1051)는, 곡립 반송 기구(1016)(도 10 참조)에 의해 곡립 탱크(1007)의 내부로 반송되고, 곡립 방출 장치(1013)로부터 방출되는 곡립의 일부를, 계측용 곡립으로서 받아내어 저류한다.
일시 저류부(1051)는, 상하향 통로(1055)의 상단이 개방되고, 곡립의 도입구(1062)가 형성되어 있다. 곡립 방출 장치(1013)로부터 방출된 곡립을 이 도입구(1062)로부터 도입하여, 개폐판(1057)을 폐쇄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곡립을 받아내어, 개폐판(1057)의 상부에 형성된 저류용 공간(1063)에 곡립을 저류할 수 있다. 개폐판(1057)을 개방 상태로 전환하면, 저류되어 있던 곡립이 하방으로 낙하 배출되어 곡립 탱크(1007)의 내부로 복귀된다. 또한, 배출된 곡립은, 곡립 탱크(1007)의 내부에 마련되고, 배출구(1056)를 통해 일시 저류부(1051)와 접속되는 계측 곡립 저류부(1054)로 배출되어도 된다.
일시 저류부(1051)는, 공간(1063) 내에 1차 저류 센서(1065)를 구비한다. 1차 저류 센서(1065)는 접촉 센서이며, 공간(1063) 내에 일정량의 곡립이 저류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계측부(1052)는, 곡립이 일정량 저류된 상태에서 곡립의 품질을 계측한다. 1차 저류 센서(1065)가 공간(1063) 내에 일정량의 곡립이 저류된 것을 검지한 후, 계측부(1052)가 성분(품질)을 계측하면, 전환 기구(1068)는 개폐판(1057)을 개방 위치로 변위시켜, 계측된 곡립을 배출한다. 곡립은, 곡립 탱크(1007)의 내부로 배출되어도 되지만, 후술하는 계측 곡립 저류 공간(S100)을 갖는 계측 곡립 저류부(1054)로 곡립을 배출시켜도 된다. 품질 계측 장치(1050)에 도달할 정도의 곡립이 곡립 탱크(1007)에 저류되면, 품질 계측 장치(1050)에서, 순차 반송되는 곡립의 품질을 계측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계측 곡립 저류부(1054)를 마련하여 계측 완료된 곡립을 곡립 탱크(1007)와는 별도로 저류함과 함께, 품질 계측 장치(1050)를 곡립 탱크(1007)의 내부 곡립으로부터 격리하도록 배치한다. 이에 의해, 품질 계측 장치(1050)의 개폐판(1057)이나 계측부(1052) 등이 곡립 탱크(1007)에 저류된 곡립과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어, 곡립 탱크(1007)에 저류된 곡립량에 관계없이 품질을 계속적으로 계측할 수 있다.
또한, 1차 저류 센서(1065)는, 곡립 탱크(1007)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이나, 품질 계측 장치(1050)에 투입되는 곡립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에 사용할 수도 있다. 곡립 탱크(1007)로 반송되는 곡립 중, 얼마만큼의 비율의 곡립이 품질 계측 장치(1050)에 투입되는지를 실험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일시 저류부(1051)가 곡립으로 가득찬 것을 1차 저류 센서(1065)가 검출하고 나서, 다음으로 1차 저류 센서(1065)가 만배를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품질 계측 장치(1050)에 곡립이 투입되는 스피드인 곡립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어, 곡립 탱크(1007)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1차 저류 센서(1065)로 유량을 구한 경우, 이 유량은, 로드셀(1010)(도 9 참조)의 측정값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로드셀(1010)(도 9 참조)의 측정값은, 곡립 탱크(1007)에 저류되는 곡립의 저류 방법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곡립의 저류 방법은, 곡립 탱크(1007)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에 따라 정해진다. 그 때문에, 1차 저류 센서(1065)로 구한 유량에 기초하여, 로드셀(1010)(도 9 참조)의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
계측부(1052)는, 저류용 공간(1063)에 저류되는 곡립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곡립으로부터 얻어진 광에 기초하여, 공지 기술인 분광 분석 방법에 의해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한다. 저류용 공간(1063)을 형성하는 측면 중 계측부(1052)측의 측면에 광이 투과 가능한 창부(1064)가 형성되고, 계측부(1052)는, 이 창부(1064)를 통해, 곡립에 광을 조사함과 함께, 곡립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계측 곡립 저류 공간(S100)은, 벽(1066)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며, 배출구(1056)를 통해 일시 저류부(1051)에 있어서의 저류용 공간(1063)과 연통되고, 또한 측부가 곡립 탱크(1007)의 저류 공간(Q100)(내부 공간)과 구획됨과 함께 하부가 곡립 탱크(1007)의 저류 공간(Q100)과 연통되어 있다. 계측 곡립 저류 공간(S100)은, 평면으로 보아, 일시 저류부(1051)에 대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광폭으로 형성되고, 또한 하부가 상부보다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광폭이 되는 형태로 곡립 탱크(1007)의 하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계측 곡립 저류 공간(S100)은 저류 공간(Q100)과 구획되어 있으므로, 곡립의 저류 중에 저류 공간(Q100)으로부터 곡립이 유입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곡립 탱크(1007)의 저류 상태에 관계없이, 계측 곡립 저류 공간(S100)에는, 일시 저류부(1051)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만이 저류된다. 그 결과, 계측 곡립 저류 공간(S100)의 크기에 따른 횟수의 유량의 계측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저류 센서(1065)는, 일시 저류부(1051)에 소정량의 곡립이 저류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이며,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차 저류 센서(1065)는, 일시 저류부(1051) 중, 평면으로 보아, 계측부(1052)의 계측광 투사 영역의 상방에 마련된다. 또한, 1차 저류 센서(1065)는, 일시 저류부(1051) 중, 평면으로 보아, 계측부(1052)의 계측광 투사 영역의 바로 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측광 투사 영역보다 조금 높은 영역에 1차 저류 센서(1065)가 배치됨으로써, 계측부(1052)로부터의 계측광이 1차 저류 센서(1065)에 조사되는 것을 회피하면서, 1차 저류 센서(1065)에 의해 설정되는 일시 저류부(1051)의 만배 레벨을 낮추어, 샘플링 횟수를 많게 할 수 있다.
1차 저류 센서(1065)는, 일시 저류부(1051)의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일시 저류부(1051)의 내표면에 설치된다. 즉, 1차 저류 센서(1065)가 일시 저류부(105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위로 곡립이 올라가는 경우가 있어도, 곡립이 1차 저류 센서(1065)의 경사에 의해 저절로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판〕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폐판(1057)은, 지지축(1057a)을 통해 모터실(1069)의 측벽(제1 측벽에 상당)에 축 지지되고, 지지축(1057a)의 곡립 탱크 횡방향 축심을 개폐 축심(X)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일시 저류부(1051)의 배출구(1056)를 폐색하는 상승 폐쇄 위치(폐쇄 위치, 폐쇄 상태)와, 일시 저류부(1051)의 배출구(1056)를 개방하는 하강 개방 위치(개방 위치,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개폐판(1057)의 개폐 축심(X)은, 일시 저류부(1051)에 대해 계측부(1052)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또한, 개폐판(1057)은 모터실(1069)의 측벽에 축 지지되어도 되지만, 곡립 탱크(1007)의 전방측벽(1071)과 마주보는, 품질 계측 장치(1050)의 측벽 등에 축 지지되어도 된다.
개폐판(1057)은, 상승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형상이며, 개폐 축심(X)을 따르는 방향으로 볼 때의 형상이 상향으로 굴곡되고, 다른 개소에서 하향으로 굴곡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개폐판(1057)은 2개소에서 굴곡되고, 개폐 축심(X)에 가까운 기단측의 굴곡부(1057b)(제1 굴곡부에 상당)가 상향으로 굴곡되고(상향으로 돌출되어 굴곡), 개폐 축심(X)으로부터 이격된 자유 단부측의 굴곡부(1057c)(제2 굴곡부에 상당)가 하향으로 굴곡된다(하향으로 돌출되어 굴곡). 또한, 개폐판(1057)은, 계측부(1052)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마련되고, 계측부(1052)의 광 조사 영역에, 개폐판(1057) 상에 1차 저류된 곡립이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일시 저류부(1051)에 보유 지지된 곡립이 이루는 곡립군의 저면의 형상이 개폐판(1057)의 형상 및 위치와 동일한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일시 저류부(1051)에 보유 지지된 곡립이 이루는 곡립군의 곡립량이, 계측부(1052)에 의한 검출을 소정대로 행하게 하기 위한 필요 최소한에 가까운 곡립량으로 설정되어, 샘플링 횟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판(1057)이 상승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형상이며, 개폐 축심(X)을 따르는 방향으로 볼 때의 형상이 상향으로 굴곡된 형상이 되는 것 대신에, 상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도 된다.
품질 계측 장치(1050)의 계측부(1052)와 마주보는 위치에 모터실(1069)이 마련된다. 전환 기구(1068)는, 모터실(1069)의 내부 중 일시 저류부(1051)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된 전동 모터(1061) 및 개폐 조작부(1067)를 구비한다. 모터실(1069)은, 상하향 통로(1055)의 횡측에 위치하고 있다.
개폐 조작부(1067)는, 모터실(1069)의 일시 저류부(1051)가 위치하는 측의 측벽에 마련된다. 개폐 조작부(1067)는, 전동 모터(1061)의 출력축(1061a) 중, 모터실(1069)의 벽으로부터 상하향 통로(1055)가 위치하는 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연결된 캠 기구(107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조작부(1067)는, 전동 모터(1061)에 의해 구동되어 개폐판(1057)을 개폐 조작한다.
개폐 조작부(1067)는, 전동 모터(1061)의 구동에 따른 캠 기구(1070)의 동작에 수반하여 폐쇄 조작 상태가 되면, 개폐 조작부(1067)가 개폐판(1057)의 이면측에 맞닿아 밀어올림 작용함으로써, 개폐판(1057)을 상승 폐쇄 위치로 조작한다.
개폐 조작부(1067)는, 전동 모터(1061)의 구동에 따른 캠 기구(1070)의 동작에 수반하여 개방 조작 상태가 되면, 개폐판(1057)에 대한 개폐 조작부(1067)의 밀어올림 작용을 해제함으로써, 개폐판(1057)을 중량에 의해 하강 개방 위치로 조작한다.
도 12,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품질 계측 장치(1050)는, 곡립 탱크(1007)의 전방측벽(1071)(제2 측벽에 상당)에 돌출부(이하, 누설 방지구(1060)라고 칭함)를 구비한다. 누설 방지구(1060)는, 곡립 탱크(1007)의 전방측벽(1071)의 지지축(1057a)에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품질 계측 장치(1050)의 내부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계측부(1052)의 하방에 계측부(1052)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개폐판(1057)의 지지축(1057a)으로부터 자유 단부의 선단까지의 수평 방향의 길이 T는, 지지축(1057a)으로부터 누설 방지구(1060)의 돌출 선단까지의 수평 방향의 길이 t보다 길다. 또한, 개폐판(1057)이 상승 폐쇄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의 선단을 전방측벽(107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이격시킨다. 즉, 개폐판(1057)이 상승 폐쇄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의 선단은, 곡립이 끼일 일이 없는 거리만큼 전방측벽(1071)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누설 방지구(1060)의 바로 아래 영역에 도달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개폐판(1057)이 상승 폐쇄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는,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에 근접 혹은 맞닿는다. 그 때문에,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의 선단을 전방측벽(1071)으로부터 곡립이 통과할 수 있을만큼 이격시켜도, 개폐판(1057)과 누설 방지구(1060)로, 일시 저류부(1051)에 곡립을 저류할 수 있다.
종래의 누설 방지구(1060)가 마련되지 않는 품질 계측 장치(1050)에서는, 개폐판(1057)이 상승 폐쇄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 저류된 곡립의 일부가, 개폐판(1057)과 전방측벽(1071) 사이에 끼이는 경우가 있어, 개폐판(1057)의 개폐를 저해하는 경우가 있었다. 누설 방지구(1060)를 마련하여, 상승 폐쇄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가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의 하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곡립은, 개폐판(1057)의 상면 부분과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에 끼이는 경우가 있어도, 개폐판(1057)과 전방측벽(1071) 사이에 끼이는 일은 없다. 개폐판(1057)의 상면 부분과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에 곡립이 끼어도, 개폐판(1057)의 개폐를 저해하는 일은 없어, 원활한 개폐판(1057)의 개폐가 유지된다.
또한, 누설 방지구(1060)는, 개폐판(1057)으로, 일시 저류부(1051)의 저부 영역에 상당하는 배출구(1056)를 폐색하여, 일시 저류부(1051)에 곡립을 저류할 수 있는 구성이면 형상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누설 방지구(1060)의 저면은 평탄면이어도 된다. 누설 방지구(1060)의 저면이 평탄면인 경우, 개폐판(1057)이 상승 폐쇄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의 개폐판(1057)의 자유 저부의 상면이, 누설 방지구(1060)의 저면과 평행면으로 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개폐판(1057)이 상승 폐쇄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의 상면을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에 면 접촉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누설 방지구(1060)와 개폐판(1057)으로, 일시 저류부(1051)의 저부인 배출구(1056)를 확실하게 폐색할 수 있어, 일시 저류부(1051)에 곡립을 양호하게 저류할 수 있다.
또한, 누설 방지구(1060)의 상면은, 전방측벽(1071)으로부터 누설 방지구(1060)의 선단 단부에 걸쳐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투입되는 곡립이, 경사면을 미끄러져 일시 저류부(1051)의 저부에 도달하여, 확실하게 일시 저류부(1051)의 저부로부터 곡립을 저류할 수 있다.
〔만배 센서〕
도 11,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품질 계측 장치(1050)는, 계측 곡립 저류부(1054) 내에 만배 센서(107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배 센서(1072)는 접촉 센서이며, 저류된 곡립으로 계측 곡립 저류부(1054) 내가 가득찬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만배 센서(1072)는, 수납 케이스(1053) 내에 마련되고, 예를 들어 검출부가 전방측벽(1071)으로부터 상하향 통로(1055) 내에 노출되는 양태로 마련된다. 만배 센서(1072)가 배치되는 높이는, 만배 센서(1072)가 곡립을 검출한 상태에서는, 곡립에 의해 개폐판(1057)의 개폐가 저해되지 않는 높이이며, 만배 센서(1072)는, 개폐판(1057)의 개폐 범위 밖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만배 센서(1072)는, 개폐판(1057)이 하강 개방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의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 선단 부분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만배 센서(1072)의 상단 부분의 높이가, 개폐판(1057)이 하강 개방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의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 선단 부분의 높이와 동일 정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강 개방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의 개폐판(1057)에 도달할 정도의 곡립이 계측 곡립 저류부(1054)에 저류되면, 그 후에 개폐판(1057)을 개폐할 수 없게 된다. 그렇게 하면, 일시 저류부(1051)에 저류된 곡립의 배출을 행할 수 없게 되어, 저류된 곡립이 교체되지 않아, 계속해서 곡립의 품질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개폐판(1057)의 변위 범위의 하단 혹은 그보다 낮은 위치에, 만배 센서(1072)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만배 센서(1072)를 마련함으로써, 계측 곡립 저류부(1054)에 저류된 곡립이 개폐판(1057)의 변위 범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후, 품질 계측 장치(1050)에 곡립을 투입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대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개폐판(1057)의 동작이 곡립에 의해 저해된 상태에서 개폐하는 것이 방지되어, 개폐판(1057) 및 전환 기구(1068)가 고장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만배 센서(1072)에 의해 계측 곡립 저류부(1054)가 가득찬 것이 검출되면, 개폐판(1057)이 하강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는 그 상태를 유지하고, 개폐판(1057)이 상승 폐쇄 위치인 경우는 개폐판(1057)을 하강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류된 곡립에 의해 개폐판(1057)의 동작이 저해되는 것이 억제됨과 함께, 개폐판(1057)이 상승 개방 위치가 되어 일시 저류부(1051)에 곡립을 계속 저류하여, 일시 저류부(1051)로부터 곡립이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개폐판(1057)이 상승 폐쇄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는,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에 근접 혹은 맞닿으면 된다. 개폐판(1057)의 상면과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 사이에, 다량의 곡립이 유출되지 않고, 투입된 곡립의 대부분이 일시 저류부(1051)에 저류될 정도의 간극이 형성되어도 된다. 혹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판(1057)의 상면과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이 면 접촉해도 된다. 게다가,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의 선단이,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에 맞닿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개폐판(1057)의 굴곡부(1057c)에 있어서의 굴곡 각도를 도 13의 상태보다 크게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폐판(1057)의 상면과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 사이에 곡립이 끼인 경우라도, 개폐판(1057)은 자유 단부의 선단일수록 누설 방지구(1060)에 근접하도록 굴곡되어 있으므로, 개폐판(1057)의 선단과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의 간극은 비교적 작아진다. 그 결과, 개폐판(1057)의 상면과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 사이에 곡립이 끼인 경우라도, 개폐판(1057)의 선단과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의 간극으로부터 곡립이 누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2)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2개소에서 굴곡되는 개폐판(1057)이 예시되었지만, 개폐판(1057)은, 상승 폐쇄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가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에 근접 혹은 맞닿으면 되며, 개폐판(1057)의 형상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폐판(1057)은 굴곡부를 갖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개폐판(1057)은, 3개소 이상에서 굴곡되어도 된다. 이러한 개폐판(1057)이라도, 개폐판(1057)의 자유 단부 부분이 누설 방지구(1060)의 하면(1060a)에 면 접촉, 맞닿음, 혹은 근접할 수 있으면 된다.
(3) 만배 센서(1072)는 필수의 구성 요소는 아니다. 만배 센서(1072)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 미리 정한 횟수만큼 품질의 측정이 행해짐으로써, 계측 곡립 저류부(1054)가 가득찬 것을 추정하는 등의 대처가 행해져도 된다.
(4)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계측광을 곡립에 검출 매체로서 작용시키는 계측부(1052)를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초음파 등 각종 검출 매체를 곡립에 작용시키는 계측부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5)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만배 센서(1072)를 근접 센서에 의해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근접 센서 대신에, 만배 센서(1072)를 광학식의 존부 센서 혹은 접촉식의 존부 센서 등, 각종 형식의 센서에 의해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6) 개폐판(1057)은 판상의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일시 저류부(1051)의 저부를 개폐할 수 있으면 형상은 묻지 않는다.
(7) 벼 센서(1015)의 개수 및 곡립 탱크(1007) 내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는 임의이다. 벼 센서(1015)는, 3개 이하 혹은 5개 이상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벼 센서(1015)는, 곡립 탱크(1007)의 어느 내벽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곡립 방출 장치(1013)의 방출 구성 및 곡립 반송 기구(1016)의 반송 구성도 임의이다. 또한, 품질 계측 장치(1050)의 배치 위치도, 곡립 방출 장치(1013)의 구성 및 배치 위치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통형 콤바인뿐만 아니라, 자탈형 콤바인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옥수수 수확기, 감자 수확기, 당근 수확기, 사탕수수 수확기 등의 다양한 수확기에 적용할 수 있다.
6: 탈곡 장치
7: 곡립 탱크
19: 진동 센서
20: 유량 센서
41: 지지 부재
73: 제어부
75: 이상 판정부
1007: 곡립 탱크
1051: 일시 저류부
1052: 계측부
1054: 계측 곡립 저류부
1057: 개폐판(도어)
1057b: 굴곡부(제1 굴곡부)
1057c: 굴곡부(제2 굴곡부)
1060: 누설 방지구
1060a: 하면
1072: 만배 센서

Claims (22)

  1. 수확된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 탈곡된 곡립이 반송되어 저류되는 곡립 탱크와,
    수확 작업 중에 상기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경시적으로 검출하는 유량 센서와,
    수확 작업 중에 상기 유량 센서에 전달되는 진동을 경시적으로 검출하는 진동 센서와,
    상기 진동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폭의 기간이 정해지고,
    상기 기간마다, 소정의 진동 역치 이상의 상기 진동이 검출된 이상 기간인지, 검출되지 않는 정상 기간인지를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기간에서는, 검출된 유량의 최고값을 상기 정상 기간에 있어서의 유량으로 하고,
    상기 이상 기간에서는, 상기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산출된 유량을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수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기간보다 전측의 기간이며 상기 이상 기간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정상 기간인 전측 기간과 상기 이상 기간보다 후측의 기간이며 상기 이상 기간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정상 기간인 후측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을 연산하는, 수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측 기간의 유량과 상기 후측 기간의 유량의 평균값을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수확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판정부는, 상기 진동의 값이 상기 진동 역치 이상이고, 또한 상기 유량 센서가 검출한 유량이 소정의 유량 역치 이상인 기간을 상기 이상 기간이라고 판정하는, 수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의 값이 상기 진동 역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유량 센서가 검출한 유량이 상기 유량 역치 이상인 기간에 대해서는, 상기 유량 센서가 검출한 유량의 최고값을 그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수확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센서 및 상기 진동 센서는, 동일한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수확기.
  8.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산출하는 방법이며,
    수확 작업 중에 상기 곡립 탱크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경시적으로 검출하는 공정과,
    수확 작업 중에 진동을 경시적으로 검출하는 공정과,
    소정 시간 폭의 기간마다, 소정의 진동 역치 이상의 상기 진동이 검출된 이상 기간인지 검출되지 않는 정상 기간인지를 판정하는 공정과,
    상기 정상 기간에서는, 검출된 유량의 최고값을 상기 정상 기간에 있어서의 유량으로 하고, 상기 이상 기간에서는, 상기 정상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산출된 유량을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유량 산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기간보다 전측의 기간이며 상기 이상 기간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정상 기간인 전측 기간과 상기 이상 기간보다 후측의 기간이며 상기 이상 기간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정상 기간인 후측 기간의 유량을 사용하여,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을 연산하는, 유량 산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기간의 유량과 상기 후측 기간의 유량의 평균값을 상기 이상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유량 산출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값이 상기 진동 역치 이상이고, 또한 검출된 유량이 소정의 유량 역치 이상인 기간을 상기 이상 기간이라고 판정하는, 유량 산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값이 상기 진동 역치보다 작고, 또한 검출된 유량이 상기 유량 역치 이상인 기간에 대해서는, 검출된 유량의 최고값을 그 기간의 유량으로 하는, 유량 산출 방법.
  13. 탈곡되어 반송되는 곡립이 저류되는 곡립 탱크와,
    반송되는 곡립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류한 후, 상기 곡립 탱크로 방출하는 일시 저류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의 횡측방에 나란히 마련되고, 일시적으로 저류된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의 저부 영역에 있어서의 제1 측벽에 기단이 축 지지되고, 상방으로 요동한 폐쇄 상태와 하방으로 요동한 개방 상태로 변위되는 도어와,
    상기 제1 측벽과 마주보는 제2 측벽에 마련되는 누설 방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자유 단부가 상기 누설 방지구에 근접하여 상기 일시 저류부는 곡립을 저류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일시 저류부에 1차 저류된 곡립이 상기 곡립 탱크로 낙하하여 방출되는 상태가 되는, 수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상면이 상기 누설 방지구의 하면에 맞닿는, 수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구의 하면이 평면이고, 상기 도어의 상면과 상기 누설 방지구의 하면이 면 접촉하는, 수확기.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측벽측으로부터 상기 자유 단부를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와 역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굴곡부를 갖고,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제1 굴곡부보다 상기 기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굴곡부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수확기.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구의 상면은 상기 제2 측벽에 근접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인, 수확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저류부보다 하방에 마련되고, 방출된 곡립이 저류되는 계측 곡립 저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측 곡립 저류부가 곡립으로 가득찬 것을 검출하는 만배 센서를 구비하는, 수확기.
  19. 탈곡되어 반송되는 곡립이 저류되는 곡립 탱크와,
    반송되는 곡립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류한 후, 방출하는 일시 저류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보다 하방에 마련되고, 방출된 곡립이 저류되는 계측 곡립 저류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의 횡측방에 나란히 마련되고, 일시적으로 저류된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의 저부 영역에 있어서의 제1 측벽에 축 지지되고, 상방으로 요동한 폐쇄 상태와 하방으로 요동한 개방 상태로 변위되는 도어와,
    상기 계측 곡립 저류부가 곡립으로 만배 상태가 된 것을 검출하는 만배 센서를 구비하는, 수확기.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만배 센서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바로 아래 영역에 위치하는, 수확기.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만배 센서는, 상기 계측 곡립 저류부 내에 노출되는 양태로 상기 계측부에 마련되는, 수확기.
  2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만배 센서가 만배 상태를 검지한 경우,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 상태인 경우는 상기 개방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폐쇄 상태인 경우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수확기.
KR1020190152008A 2018-11-28 2019-11-25 수확기 및 유량 산출 방법 KR202000639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22819 2018-11-28
JP2018222819A JP7034894B2 (ja) 2018-11-28 2018-11-28 収穫機及び流量算出方法
JPJP-P-2018-233814 2018-12-13
JP2018233814A JP7059170B2 (ja) 2018-12-13 2018-12-13 収穫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992A true KR20200063992A (ko) 2020-06-05

Family

ID=7086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008A KR20200063992A (ko) 2018-11-28 2019-11-25 수확기 및 유량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63992A (ko)
CN (1) CN111226575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9983A (ja) 2013-04-09 2018-08-02 味の素株式会社 取得方法、算出方法、糖尿病評価装置、算出装置、糖尿病評価プログラム、算出プログラム、糖尿病評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2018126168A (ja) 2018-05-24 2018-08-1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1485A (ja) * 1993-03-29 1994-10-07 Tokico Ltd 振動式測定装置
US5837906A (en) * 1997-06-09 1998-11-17 Ludwig Kipp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eal-time volumetric flow rate of grain in a field harvester using acoustical transducers
US6083103A (en) * 1998-02-25 2000-07-04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Sensor apparatus with butterfly valve for maintaining packing density of moving material
JP4737950B2 (ja) * 2004-06-11 2011-08-03 三菱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の負荷警報装置
DE102008017671B4 (de) * 2008-04-08 2020-09-10 Deere & Company Messanordnung zur Massendurchsatzerfassung mit Massen- und Volumenmessung und darauf basierender Massendichtenbestimmung sowie Massendurchsatzangabe bei kleinen Durchsätzen anhand der zuletzt erfassten Massendichte
CN101581588A (zh) * 2009-06-05 2009-11-18 江苏大学 一种通用型谷物流量测定装置
CN101995284B (zh) * 2010-09-14 2012-04-04 江苏大学 一种冲量式谷物质量流量传感器标定与试验装置
CN104378219A (zh) * 2013-08-12 2015-02-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由器流量数据智能分析的方法和装置
RU2656294C2 (ru) * 2014-03-24 2018-06-04 Ксиан Донгфенг Мэшинери Энд Электроник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состояния измерения кориолисового массового расходомера
JP6521926B2 (ja) * 2016-10-06 2019-05-2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9983A (ja) 2013-04-09 2018-08-02 味の素株式会社 取得方法、算出方法、糖尿病評価装置、算出装置、糖尿病評価プログラム、算出プログラム、糖尿病評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2018126168A (ja) 2018-05-24 2018-08-1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26575A (zh) 2020-06-05
CN111226575B (zh)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5367B2 (en) Combine having a temporary retention unit and a shutter
US10244680B2 (en) Automatic calibration system for header height controller with operator feedback
CN107613754B (zh) 联合收割机
JP7034894B2 (ja) 収穫機及び流量算出方法
PL241260B1 (pl) Układy czujnikowe i sposoby wykrywania naprężenia przenośnika w systemie wydobywczym
JP6521926B2 (ja) コンバイン
KR20200063992A (ko) 수확기 및 유량 산출 방법
CN106332599B (zh) 联合收割机
KR102619441B1 (ko) 콤바인
JP2018038272A (ja) コンバイン
CN112533475A (zh) 联合收割机、收获量计算方法、计算系统、计算程序、及记录有计算程序的 记录介质;谷粒排出收获量计算方法、计算系统、计算程序、及记录有计算 程序的记录介质、不正常流入检测系统、检测程序、记录有检测程序的记录 介质、及检测方法;储存水平检测系统
JP5947126B2 (ja) コンバイン
JP6022519B2 (ja) コンバイン
WO2015152362A1 (ja) コンバイン
JP2016202117A (ja) コンバイン
JP6023139B2 (ja) コンバイン
JP6289405B2 (ja) コンバイン
JP2020092668A (ja) 収穫機
KR20200079415A (ko) 콤바인
JP2015037388A (ja) コンバイン
JP6296849B2 (ja) 収穫機
JP7045308B2 (ja) 排出部診断システム
JP7059121B2 (ja) コンバイン
JP7059124B2 (ja) コンバイン及び収量算出方法
EP3463511B1 (en) Infusion device and method allowing for detecting a drift in a sensor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