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846A - 회전 조리기 - Google Patents
회전 조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3846A KR20200063846A KR1020180150044A KR20180150044A KR20200063846A KR 20200063846 A KR20200063846 A KR 20200063846A KR 1020180150044 A KR1020180150044 A KR 1020180150044A KR 20180150044 A KR20180150044 A KR 20180150044A KR 20200063846 A KR20200063846 A KR 202000638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food
- present
- unit
- w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조리기로서, 상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이 위치하는 조리부, 조리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조리 전후의 음식물이 위치하는 배치부, 조리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음식의 가열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및 연기 등의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부 및 조리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음식물을 뒤집는 날개부 및 조리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날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을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음식물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수반되는 사용자의 과도한 피로 누적을 방지하며, 음식물을 뒤집는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내부에 위치된 음식물을 회전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는 가스, 전기 등으로 구동되어 발열하는 가열수단을 통해 음식이나 음식을 만들기 위한 재료를 데우거나 가열하는 장치를 뜻한다. 이와 같은 조리기는 팬 등으로 구비되는데, 조리 시 연기가 다량 발생하는 재료의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에 함유된 음식 냄새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발생하여 연기 및 냄새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이에 선행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5564호)은 밀폐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트레이 상에 음식을 위치시킨 다음, 히터를 가동시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회전 드럼식 조리기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트레이와 히터가 이격됨에 따라 음식의 조리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의 트레이는 고정되고 조리팬이 회전하면서 조리팬의 내주면과 접하는 음식을 뒤집는데, 조리팬과 접하지 않거나 크기가 큰 음식은 뒤집기 어렵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음식이 설익거나 타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1289호)는 회전하는 조리팬을 구비하고 조리팬의 내부에는 음식을 뒤집는 뒤집음판이 형성됨으로써, 조리팬의 회전에 따라 음식의 가열 및 뒤집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드럼식 조리기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2의 경우 조리팬에 구비되는 기름배출공은 조리팬의 회전 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게 되고 기름배출용기는 고정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조리팬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바로 배출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행문헌 2에서는 기름과 음식이 지속적으로 접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선행문헌 2의 조리팬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조리팬 및 하우징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는 경우 조리팬이 회전하지 않아 음식을 제대로 조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선행문헌 2는 조리팬에서 음식을 즉시 꺼낼 수 없어 긴급 상황에서의 대처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설익거나 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되,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크기가 크거나 뒤집기 어려운 음식물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뒤집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이나 이물질을 바로 배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긴급한 경우 음식물을 즉시 꺼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이 위치하는 조리부, 조리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조리 전후의 음식물이 위치하는 배치부, 조리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음식의 가열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및 연기 등의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부 및 조리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음식물을 뒤집는 날개부 및 조리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날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을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음식물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수반되는 사용자의 과도한 피로 누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을 직접 손으로 뒤집지 않아도 되어 기름 등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을 뒤집는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리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리기를 하측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리기를 하측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리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조리기는 상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이 위치하는 조리부(110), 조리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조리 전후의 음식물이 위치하는 배치부(120), 조리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음식의 가열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및 연기 등의 유출을 방지하는 커버부(130), 조리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음식물을 뒤집는 날개부(140) 및 조리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날개부(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식물"은 가공 전후의 음식 및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재료를 뜻하고, 특히 가열하여 먹을 수 있는 고기 등의 육류를 지칭한다. 또한, 가열수단은 가스, 전기 등으로 구동되어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통해 조리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음식물을 가열하는 구성으로서 버너, 인덕션, 가스레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110)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제1 공간부(e1)의 형상을 용이하게 나타내기 위해 제2 공간부(e2) 및 배치부(120)를 제거하여 도시하였다.
조리부(110)는 음식물이 조리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조리부(110)는 하면에 별도의 가열수단과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돌기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부(110)의 상면은 개구되어 음식물, 후술할 배치부(120) 및 날개부(140)가 위치된다. 상세하게, 조리부(110)의 상면은 원통 형상으로 음각됨으로써 제1 공간부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원통 형상으로 음각 형성된 제1 공간부(e1)는 양 끝단의 모서리가 소정의 각도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간부(e1)의 양 끝단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공간부(e1)의 단면은 ""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공간부(e1)의 양 끝단의 모서리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라운딩 처리되는 경우, 제1 공간부(e1)는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제1 공간부(e1)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역삼각형, 깔대기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공간부(e1)가 형성됨에 따라, 음식물을 가운데 방향(제1 공간부의 내측 방향을 뜻함)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후술할 날개부(140)에 의해 음식물을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이 뒤집어지지 않아 타거나 설익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부(110)에는 배치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추가로 개구되어 제2 공간부(e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부(e2)는 배치부(120)의 형상, 크기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한 쌍의 제2 공간부(e2)의 사이에 제1 공간부(e1)가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배치부(120)의 사이에 조리를 위한 음식물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자의 변경에 따라 제1 공간부(e1) 및 제2 공간부(e2)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조리부(110)의 재질은 열 전달이 용이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조리부(110)의 재질은 열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텅스텐, 주철, 탄소강, 스테인레스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재질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부(e1) 상에 위치한 음식물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조리부(110)의 하측 방향에는 제1 공간부(e1)에서 음식물의 가열에 의해 형성된 기름을 배출하는 배출부(112)가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 배출부(112)는 제1 공간부(e1)와 연결되어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출부(112)는 선술한 돌기부(111)와 접하지 않고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는 가열수단과 접하는 돌기부(111)와의 접촉을 피하도록 설계됨으로써 가열수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꽃 등이 기름과 만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조리부(110)는 실링부를 더 포함한다. 실링부는 조리부(110) 및 후술할 커버부(130)와의 접촉 이후 제1 공간부(e1)의 기밀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실링부는 제1 공간부(e1)의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테 형상으로 형성되고 별도로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링부는 가열되어 부피가 커지는 질석 등의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제1 공간부(e1)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음식이 조리될 때 상측 방향에 위치한 커버부(130)와의 면접촉을 증가시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배치부(120)는 조리 전후의 음식물을 위치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배치부(120)는 조리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배치부(120)는 그릴 등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 공간부(e2)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리 전의 음식물을 배치부(120) 상에 위치시켜 조리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조리 후의 음식믈 배치부(120)의 상측 방향에 위치시켜 기름기를 제거하거나 식힐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치부(1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공간부(e1)의 외측 방향에 형성된 제2 공간부(e2)에 삽입되어 위치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공간부(e2)는 선술한 배출부(112)와 연결되어 배치부(120)의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는 기름 등을 수거하여 조리부(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전후의 음식물이 기름과 접하여 변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조리 후에 형성된 기름을 별도로 수거하여 치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커버부(130)는 조리 과정에서 기름, 연기 등이 의도하지 않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커버부(130)는 제1 공간부(e1)에서 조리되는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 연기, 냄새 등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커버부(130)는 조리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되, 하면이 제1 공간부(e1)의 테두리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 커버부(130)는 하면이 제1 공간부(e1)의 상측에서 조리부(110)의 상면과 접함에 따라 제1 공간부(e1)를 밀폐한다. 여기서, 커버부(130)는 하면이 제1 공간부(e1)의 테두리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부(e1)의 테두리가 팔각형 형상을 갖음에 따라, 커버부(130)는 제1 공간부(e1)의 테두리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하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130)는 조리부(110)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는 수직방향으로의 단면이 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 커버부(130)의 내부는 조리부(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제1 공간부(e1)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날개부(140)가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날개부(140)는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을 뒤집기 위해 고안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날개부(140)는 제1 공간부(e1)의 내부에 구비되되 조리부(110)에 별도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거치홈에 삽입되어 일단 및 타단이 고정되고, 후술할 동력 공급부(150)를 통해 동력을 공급받아 제1 공간부(e1) 내에서 회전 운동한다. 여기서, 날개부(14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하면이 제1 공간부(e1) 및 커버부(130)의 내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자면, 날개부(140)는 ""단면 형상을 갖는 제1 공간부(e1)의 내면 및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부(130)의 내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날개부(140)의 일단은 동력 공급부(150)와 연결되고 동력 공급부(150)의 구동축(a)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날개부(140)의 하면은 제1 공간부(e1)의 내면과 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 공간부(e1)와의 면접촉을 지속적으로 이루며 회전한다. 여기서, 제1 공간부(e1)에 위치한 음식물을 날개부(14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상승한다. 이후, 회전 운동한 날개부(140)가 조리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할 시, 날개부(140)의 하면은 커버부(130)의 내면과 면접촉을 이루고, 음식물은 제1 공간부(e1)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여기서, 음식물은 날개부(140) 및 지면 사이의 사이각이 커짐에 따라 날개부(14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여 제1 공간부(e1)로 이동하면서 뒤집어진다. 선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간부(e1)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날개부(140)는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날개부(14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직접 손으로 음식물을 뒤집지 않아도 되어 기름 등에 의한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크거나 뒤집기 어려운 음식물도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가 고정된 상태에서 날개부(140)만 회전 운동하기 때문에 음식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날개부(140)의 회전 운동이 중단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됨에 따라 음식물이 타는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커버부(130)를 즉시 개방시켜 음식물을 꺼낼 수 있다. 이는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부(110)가 회전 운동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했을 때, 보다 신속한 음식물의 처리가 가능하여 긴급 상황에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동력 공급부(150)는 날개부(14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동력 공급부(150)는 조리부(110)에 장착되어 위치하고 동력을 생산하는 모터 등으로 구비된다. 또한, 동력 공급부(150)는 구동축(a)이 날개부(140)의 일단과 연결됨에 따라 날개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 공급부(150)는 조리부(11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별도의 제3 공간부 내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리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 상면이 개구되는 조리부(110)를 포함하는 회전 조리기로서,
상기 조리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에 조리 전후의 음식물이 배치되는 배치부(120);
상기 조리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및 연기 등의 배출을 방지하는 커버부(130); 및
상기 커버부(130)의 내부에 위치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을 뒤집는 날개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0044A KR20200063846A (ko) | 2018-11-28 | 2018-11-28 | 회전 조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0044A KR20200063846A (ko) | 2018-11-28 | 2018-11-28 | 회전 조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3846A true KR20200063846A (ko) | 2020-06-05 |
Family
ID=7108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0044A KR20200063846A (ko) | 2018-11-28 | 2018-11-28 | 회전 조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63846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1289B1 (ko) | 2013-05-29 | 2013-11-20 | 김인호 | 드럼식 조리기 |
KR101645564B1 (ko) | 2015-12-07 | 2016-08-05 | (주) 대동에프앤디 | 회전 드럼식 조리기 |
-
2018
- 2018-11-28 KR KR1020180150044A patent/KR2020006384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1289B1 (ko) | 2013-05-29 | 2013-11-20 | 김인호 | 드럼식 조리기 |
KR101645564B1 (ko) | 2015-12-07 | 2016-08-05 | (주) 대동에프앤디 | 회전 드럼식 조리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25740A (en) | Rotatable cooking apparatus | |
EP2422666A1 (en) | Indoor range-top grill | |
WO2009102495A1 (en) | Indoor range-top grill | |
KR101207996B1 (ko) | 숯불구이 장치 | |
KR200489004Y1 (ko) | 회전식 구이기 | |
KR100853566B1 (ko) | 회전식 구이 장치 | |
KR101497267B1 (ko) |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 |
KR20200063846A (ko) | 회전 조리기 | |
KR101618604B1 (ko) | 바베큐 장치 | |
US20230190036A1 (en) | Kitchen container for preparing food cooked "in the barrel" | |
US3598611A (en) | Method of inhibiting smoke and containing spatter of cooking meat | |
KR101579528B1 (ko) | 전기 구이기 | |
KR100773372B1 (ko) | 직화구이장치 | |
KR100606462B1 (ko) | 고기구이기 | |
JP2004261254A (ja) | 加熱調理器 | |
KR101541709B1 (ko) | 원적외선을 이용한 드럼식 조리장치 | |
KR200460459Y1 (ko) | 가마솥 회전구이기 | |
KR20200127852A (ko) |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 |
KR200375308Y1 (ko) | 고기구이기 | |
KR20080003993U (ko) | 회전가열식 숯불구이기 | |
KR200478355Y1 (ko) | 자동 회전식 바베큐 장치 | |
JP3185555U (ja) | 焼き板 | |
CN215305169U (zh) | 一种高发热效率的无烟烤炉 | |
KR20020075622A (ko) | 고기 구이장치 | |
KR100344180B1 (ko) | 고기 조리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