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37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379A
KR20200063379A KR1020180148256A KR20180148256A KR20200063379A KR 20200063379 A KR20200063379 A KR 20200063379A KR 1020180148256 A KR1020180148256 A KR 1020180148256A KR 20180148256 A KR20180148256 A KR 20180148256A KR 20200063379 A KR20200063379 A KR 20200063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edge
corner
display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식
김민기
이아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379A/ko
Priority to JP2019065016A priority patent/JP2020086425A/ja
Priority to US16/661,023 priority patent/US11528812B2/en
Priority to TW108141575A priority patent/TWI835921B/zh
Priority to CN201911164604.9A priority patent/CN111221163A/zh
Priority to EP19211836.2A priority patent/EP3660818B1/en
Publication of KR20200063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379A/ko
Priority to US18/078,666 priority patent/US11968789B2/en
Priority to US18/588,506 priority patent/US2024020608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01L27/3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앞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앞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옆 표시 영역 및 코너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옆 표시 영역은 상기 앞 표시 영역의 제1측에 위치하는 제1 옆 표시 영역과 제2측에 위치하는 제2 옆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앞 표시 영역의 코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앞 표시 영역은 평탄한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각각 곡면을 이루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면의 형태는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의 곡면 형태와 다르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연신 및/또는 수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곡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네비게이션, 디지털 사진기, 전자 북, 휴대용 게임기, 또는 각종 단말기 등과 같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가 표시 장치로서 적용된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표시 장치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둥글게 휘어진 곡면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곡면부에서도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장치 등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기재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의 코너도 둥글게 형성하고 코너에서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둥근 코너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둥근 코너의 모양을 수려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앞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앞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옆 표시 영역 및 코너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옆 표시 영역은 상기 앞 표시 영역의 제1측에 위치하는 제1 옆 표시 영역과 제2측에 위치하는 제2 옆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앞 표시 영역의 코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앞 표시 영역은 평탄한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각각 곡면을 이루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면의 형태는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의 곡면 형태와 다르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연신 및/또는 수축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은 연신 및/또는 수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앞 표시 영역은 복수의 제1 표시 단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은 복수의 제2 표시 단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복수의 제3 표시 단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제2 표시 단위들의 피치 및 제3 표시 단위들의 피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표시 단위들이 피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은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엣지에 연결된 제2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에 수직인 방향인 제1방향으로의 상기 제2 표시 단위들의 피치가 상기 제1방향으로의 상기 제1 표시 단위들의 피치보다 작고, 상기 제2 엣지에 수직인 방향인 제2방향으로의 상기 제3 표시 단위들의 피치가 상기 제1방향으로의 상기 제1 표시 단위들의 피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의 상기 제2 표시 단위들의 피치는 상기 제1 엣지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2방향으로의 상기 제3 표시 단위들의 피치는 상기 제2 엣지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제1 엣지부터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앞 표시 영역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r이고,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일 수 있다.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은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엣지에 연결된 제2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부터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앞 표시 영역의 경계까지의 곡면 상 거리는 πr/2이고,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일 수 있다.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은 상기 코너 표시 영역보다 작은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을 갖고 상기 앞 표시 영역과 같은 정도의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에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을 이룬 후에는 제2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하면, 상기 코너 표시 영역과 상기 앞 표시 영역의 경계로부터 상기 제1 엣지까지의 거리는 r이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곡면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제2 엣지까지의 곡면 상 거리는 πr/2이고,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일 수 있다.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에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을 이룬 후에는 제2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하면, 상기 코너 표시 영역과 상기 앞 표시 영역의 경계로부터 상기 제1 엣지까지의 거리는 πr/2이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곡면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제2 엣지까지의 곡면 상 거리는 πr/2이고,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이고, 상기 제1 엣지의 길이는 (π/2)2r일 수 있다.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룰 때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수축할 수 있다.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은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와 연결된 제2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에 연결된 제3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 및 상기 제3 엣지는 각각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일 수 있다.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은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와 연결된 제2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에 연결된 제3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는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3 엣지는 직선을 이루고,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는 상태가 될 때 연신되어 곡선을 이루어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앞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앞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옆 표시 영역 및 코너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옆 표시 영역은 상기 앞 표시 영역의 제1측에 위치하는 제1 옆 표시 영역과 제2측에 위치하는 제2 옆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앞 표시 영역의 코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앞 표시 영역은 평탄한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각각 곡면을 이루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면의 형태는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의 곡면 형태와 다르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은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와 연결된 제2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에 연결된 제3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 및 상기 제3 엣지는 각각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접합되어 있다.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이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부터 상기 앞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πr/2일 수 있다.
상기 제3 엣지의 길이는 πr/2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평탄한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곡면을 이루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비해 연신 및/또는 수축이 잘 되고 연신된 상태에서 상기 곡면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코너는 둥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기재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코너를 둥글게 형성하고 코너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둥근 코너의 제조가 용이해지며, 둥근 코너의 모양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둥근 코너의 형태를 기하학적 표시 수단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일부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을 구부리기 전의 코너에 대한 평면 전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을 구부리기 전의 평면 전개도로서 표시 단위들의 배치를 도시하고,
도 9는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서 곡면을 형성하기 전과 곡면을 형성한 후의 형태를 도시하고,
도 11, 도 12 및 도 13은 각각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곡면을 형성하기 전의 표시 장치의 일부에 대한 평면 전개도이고,
도 14는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15는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공정 다음의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은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표시 영역의 화소들의 배치도이고,
도 18은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표시 영역의 화소들의 배치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각각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1 내지 도 23은 각각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 뷰(in a plan view)는 서로 교차하는 두 방향(예를 들어, 제1방향(DR1) 방향 및 제2방향(DR2))에 평행한 면을 관찰하는 뷰를 의미하고(평면상이라고도 표현함), 단면 뷰(in a cross-sectional view)는 제1방향(DR1) 및 제2방향(DR2)에 평행한 면에 수직인 방향(예를 들어, 제3방향(DR3))으로 자른 면을 관찰하는 뷰를 의미한다. 또한, 두 구성 요소가 중첩한다고 할 때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두 구성 요소가 제3방향(DR3)으로(예를 들어, 기판의 윗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표시 영역은 표시면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제3방향(DR3)에서 보았을 때 앞면에 위치하는 앞 표시 영역(front display area)(DA1), 앞 표시 영역(DA1)의 적어도 두 측에 각각 위치하는 옆 표시 영역(side display area)(DA2), 그리고 앞 표시 영역(DA1)의 코너에 위치하는 코너 표시 영역(corner display area)(DA3)을 포함한다. 앞 표시 영역(DA1)은 표시 장치에서 중앙에 위치하고,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은 표시 장치에서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여 앞 표시 영역(DA1) 주위에 위치한다.
앞 표시 영역(DA1)은 표시 영역 전체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시면을 가질 수 있다. 평면 뷰에서 앞 표시 영역(DA1)의 전체적인 모양은 네 개의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 표시 영역(DA1)의 모서리는 도시한 바와 같이 뾰족할 수도 있고 둥글 수도 있다. 앞 표시 영역(DA1)의 4개의 변은 각각 제1방향(DR1) 또는 제2방향(DR2)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2)은 앞 표시 영역(DA1)의 상하좌우의 네 개의 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네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만 포함할 수도 있다. 각 옆 표시 영역(DA2)의 표시면은 곡면을 이루며, 곡면의 위치에 따라 곡률이 일정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각 옆 표시 영역(DA2)은 대체로 타원 기둥 또는 원기둥과 같은 곡면 기둥의 옆면의 일부(예를 들어 1/4)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3)은 표시 장치의 네 개의 코너 또는 일부 코너에 각각 위치하며 인접한 두 옆 표시 영역(D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코너 표시 영역(DA3)의 표시면은 곡면을 이루며, 곡면의 위치에 따라 곡률이 일정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3)의 곡면의 형태는 옆 표시 영역(DA2)의 곡면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코너 표시 영역(DA3)은 대체로 구 또는 타원형 구와 같은 곡면체의 일부(예를 들어 1/8)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코너 표시 영역(DA3)의 표시면 상(곡면 상이라고도 할 수 있음)의 위치는 도시된 원점(O)을 기준으로 한 곡률 반지름(r), 제3방향(DR3)과 이루는 각(θ)(극각이라 함, 단위는 라디안(radian)임), 그리고 제1방향(DR1)과 제2방향(DR2)이 이루는 평면인 xy평면으로의 사영이 제1방향(DR1)과 이루는 각(φ)(방위각이라 함, 단위는 라디안(radian)임)으로 나타내는 극좌표계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곡률 반지름(r)은 일정할 수도 있고 코너 표시 영역(DA3)의 곡면 또는 표시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단면 뷰에서 차례대로 적층된 표시 패널(10), 편광층(20), 점착층(또는 접착층)(30), 그리고 커버 윈도우(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단위인 복수의 화소와 복수의 신호선 등의 전기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외부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은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 패널(10)과 편광층(20) 사이에 별도의 터치 센서층이 위치할 수도 있다.
편광층(20)은 플렉서블 필름 형태일 수 있고, 표시 패널(10)이 포함하는 여러 전극 또는 배선에서 반사되는 외부광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층(20)은 원편광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편광층(20)은 선형 편광자와 사분파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는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는 OCA, OCR, PSA 등의 점착층(30)을 통해 편광층(20)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 대체로 평평하고,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는 곡률로 휘어져 곡면을 이루고 있다. 휘어진 곡률, 즉 곡률 반지름(r)은 위치에 따라 일정할 수도 있고 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휘어져 있는 표시 영역은 곡면 표시 영역(curved display area)(DAr)이라 한다. 곡면 표시 영역(DAr)은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은 휘어져 있는 가장자리 영역(10r)을 포함하고, 편광층(20)은 휘어져 있는 가장자리 영역(20r)을 포함하고, 커버 윈도우(40)는 휘어져 있는 가장자리 영역(40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a)는 앞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1000)와 대부분 동일하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표시 장치(1000a)는 앞 표시 영역(DA1), 앞 표시 영역(DA1)의 적어도 두 측에 위치하는 옆 표시 영역(DA2), 그리고 코너 표시 영역(DA3)을 포함한다.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률을 가지고 휘어져 곡면을 이룬다.
코너 표시 영역(DA3)은 전체적으로 연신 및/또는 수축이 가능하다. 즉, 코너 표시 영역(DA3)은 가해지는 힘에 따라 그 면적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2)은 전체적으로 코너 표시 영역(DA3)과 같은 정도로 연신 및/또는 수축이 가능할 수도 있고, 코너 표시 영역(DA3)보다 낮은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을 가질 수도 있다. 앞 표시 영역(DA1)은 코너 표시 영역(DA3) 또는 옆 표시 영역(DA2)과 같은 정도의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을 가질 수도 있고, 이보다 낮은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을 가질 수도 있다. 한 예로, 앞 표시 영역(DA1)은 고정 형태를 가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성질을 가질 수는 있으나 면적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은 실질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앞 표시 영역(DA1), 옆 표시 영역(DA2) 및 코너 표시 영역(DA3)은 복수의 표시 단위(UT)를 포함한다. 각 표시 단위(UT)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의 기본색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는 화소일 수도 있고,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단위 그룹일 수도 있다. 하나의 단위 그룹은 서로 다른 기본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화소들, 예를 들어 적색 화소, 녹색 화소, 그리고 청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단위(UT)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표시 단위(UT)가 제1방향(DR1) 및 제2방향(DR2)으로 배열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앞 표시 영역(DA1)뿐 아니라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에도 복수의 표시 단위(UT)가 위치할 수 있다. 앞 표시 영역(DA1)에서 복수의 표시 단위(UT)의 배열 형태는 옆 표시 영역(DA2) 또는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의 복수의 표시 단위(UT)의 배열 형태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의 복수의 표시 단위(UT)의 배열 형태는 옆 표시 영역(DA2) 또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의 복수의 표시 단위(UT)의 배열 형태와 다를 수 있다.
평면 뷰에서 표시 장치(1000a)의 가장자리 변인 엣지는 옆 표시 영역(DA2)의 가장자리 변인 엣지(ED1, ED2)와 코너 표시 영역(DA3)의 가장자리 변인 엣지(ED3)를 포함할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2)의 엣지(ED1, ED2) 각각은 제1방향(DR1) 또는 제2방향(DR2)으로 연장된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일 수 있고,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ED3)는 실질적으로 곡선일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ED3)는 곡률 반지름이 일정하거나 변하는 원의 일부인 호의 형태일 수 있다. 엣지(ED3)의 양끝은 각각 두 옆 표시 영역(DA2)의 엣지(ED1, ED2)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2)과 앞 표시 영역(DA1) 사이의 경계도 실질적으로 직선일 수 있고, 코너 표시 영역(DA3)은 앞 표시 영역(DA1)의 코너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앞 표시 영역(DA1)과 옆 표시 영역(DA2)의 경계에서, 앞 표시 영역(DA1)과 옆 표시 영역(DA2)은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하나의 기판 및 그 위의 적층된 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별개의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코너 표시 영역(DA3)과 옆 표시 영역(DA2) 및/또는 앞 표시 영역(DA1) 사이의 경계에서, 코너 표시 영역(DA3)은 옆 표시 영역(DA2) 및/또는 앞 표시 영역(DA1)과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하나의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별개의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3)과 옆 표시 영역(DA2)이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엣지(ED3)는 엣지(ED1, ED2)와 물리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앞 표시 영역(DA1)과 옆 표시 영역(DA2)이 서로 별개의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을 포함하는 경우 두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은 서로 접합된 상태일 수 있고, 코너 표시 영역(DA3)과 옆 표시 영역(DA2)이 서로 별개의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을 포함하는 경우 두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은 서로 접합된 상태일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의 곡률 반지름을 r로 표시할 때(이후로도 동일함),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ED3)의 길이는 대략 πr/2일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2)의 곡면 또는 표시면 상에서, 엣지(ED1, ED2)부터 앞 표시 영역(DA1)과 옆 표시 영역(DA2)의 경계(이후로는, 간단히 앞 표시 영역(DA1)의 경계라고 함)까지의 곡면 상 거리는 대략 ðr/2일 수 있다.
도 6은 앞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1000a)의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을 곡면으로 구부리기 전의 표시 장치(100a)의 한 코너(AA)에 대한 도면으로서 2차원 평면 상에서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은 곡면이 되기 전 평면 상태이며 펼쳐진 상태라 할 수 있다. 이후에서도 펼쳐진 상태라 하면,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이 곡면으로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 또는 곡면을 펴서 다시 수축된 상태로 편 상태를 의미한다.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인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이 구부러진 상태의 도 5와 비교하여 도 6을 참조하면,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이 펼쳐진 상태에서,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EG3)의 길이는 대략 πr/2일 수 있고, 옆 표시 영역(DA2)의 엣지(EG1, EG2)부터 앞 표시 영역(DA1)과 옆 표시 영역(DA2)의 경계까지의 평면상 거리는 대략 r일 수 있다.
여기서, ED1, ED2, 그리고 ED3는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인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이 구부러져 곡면인 상태에서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를 나타내고, EG1, EG2, 그리고 EG3는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이 구부러지기 전 펼쳐진 상태에서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를 나타낸다.
펼쳐진 상태의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EG3)와 곡면인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ED3)의 길이는 모두 대략 πr/2일 수 있다. 펼쳐진 상태의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EG3)와 앞 표시 영역(DA1)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곡률 반지름(r)과 같지만, 휘어져 곡면이 된 후의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ED3)와 앞 표시 영역(DA1)의 경계까지의 곡면 상 거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πr/2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펼쳐진 상태의 옆 표시 영역(DA2)의 엣지(EG1, EG2)와 앞 표시 영역(DA1)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곡률 반지름(r)과 같지만, 휘어져 곡면인 옆 표시 영역(DA2)의 엣지(ED1, ED2)와 앞 표시 영역(DA1)의 경계까지의 곡면 상 거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πr/2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바깥쪽으로 향하는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이 휘어지는 과정에서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은 앞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늘어나야(stretch) 한다. 예를 들어, 앞 표시 영역(DA1)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옆 표시 영역(DA2)은 좌측으로 늘어나고, 상측에 위치하는 옆 표시 영역(DA2)은 상측으로 늘어나고, 코너 표시 영역(DA3)은 방사상인 반지름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늘어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 각 엣지(EG1, EG2, EG3)부터 앞 표시 영역(DA1)의 경계까지의 곡면 상 거리(최단 거리를 의미함)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r에서 시작하여 휘어져 곡면인 상태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πr/2까지 늘어나, 곡면인 표시면을 가지는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은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이 휘어지는 과정에서 그 면적이 늘어난다.
이에 따라,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이 펼쳐진 상태에서 표시 단위(UT) 사이의 거리 및/또는 표시 단위(UT) 자체의 면적은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이 곡면을 이룬 상태에서와 다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옆 표시 영역(DA2)이 펼쳐진 상태에서, 앞 표시 영역(DA1)과 제1방향(DR1)으로 인접한 옆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1방향(DR1)의 피치(Wb1)(인접한 표시 단위들(UT)의 배열 피치를 의미함)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1방향(DR1)의 피치(Wa1)보다 작을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2)에서 피치(Wb1)는 일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치(Wb1)는 피치(Wa1)의 대략 1/(π/2), 즉 2/π일 수 있다. 한편, 앞 표시 영역(DA1)과 제1방향(DR1)으로 인접한 옆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2방향(DR2)의 피치(Wb2)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2방향(DR2)의 피치(Wa2)와 동일할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2)에서 인접한 표시 단위(UT) 사이의 거리(제1방향(DR1))도 앞 표시 영역(DA1)에서 인접한 표시 단위(UT) 사이의 거리(제1방향(DR1))보다 작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옆 표시 영역(DA2)이 펼쳐진 상태에서, 앞 표시 영역(DA1)과 제2방향(DR2)으로 인접한 옆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2방향(DR2)의 피치(Wc2)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2방향(DR2)의 피치(Wa2)보다 작을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2)에서 피치(Wc2)는 일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치(Wc2)는 피치(Wa2)의 대략 1/(π/2), 즉 2/π일 수 있다. 한편, 앞 표시 영역(DA1)과 제2방향(DR2)으로 인접한 옆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1방향(DR1)의 피치(Wc1)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1방향(DR1)의 피치(Wa1)와 동일할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2)에서 인접한 표시 단위(UT) 사이의 거리(제2방향(DR2))도 앞 표시 영역(DA1)에서 인접한 표시 단위(UT) 사이의 거리(제2방향(DR2))보다 작을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 표시 단위(UT)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열(row)(Ur)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열(Ur)은 반지름 방향, 즉 앞 표시 영역(DA1)의 모서리에서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열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달리 인접한 열(Ur) 사이에도 표시 단위(UT)가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3)이 곡면을 이루기 전 펼쳐진 상태에서,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 표시 단위들(UT)의 반지름 방향의 피치(Wr)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 단위들(UT)의 피치(Wa1) 또는 피치(Wa2)보다 작을 수 있다. 피치(Wr)는 앞 표시 영역(DA1)과 제1방향(DR1)으로 인접한 옆 표시 영역(DA2)에 위치하는 표시 단위들(UT)의 제1방향(DR1)의 피치(Wb1) 또는 앞 표시 영역(DA1)과 제2방향(DR2)으로 인접한 옆 표시 영역(DA2)에 위치하는 표시 단위들(UT)의 제2방향(DR2)의 피치(Wc2)와 동일할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 피치(Wr)는 일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치(Wr)는 피치(Wa1) 또는 피치(Wa2)의 대략 1/(π/2), 즉 2/π일 수 있다. 한편,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 인접한 표시 단위(UT) 사이의 거리(반지름 방향)도 앞 표시 영역(DA1)에서 인접한 표시 단위(UT) 사이의 거리(제1방향(DR1) 또는 제2방향(DR2))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이 연신되어 곡면을 이루는 상태에서는, 옆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 단위들(UT)의 곡면 또는 표시면 상 피치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 단위들(UT)의 곡면 또는 표시면 상 피치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즉,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이 연신되어 곡면을 이루기 전에는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의 표시 단위(UT)의 해상도(resolution)가 앞 표시 영역(DA1)의 표시 단위(UT)의 해상도보다 클 수 있고,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이 연신되어 곡면을 이룬 후에는 옆 표시 영역(DA1)과 코너 표시 영역(DA3)의 표시 단위(UT)의 곡면 또는 표시면 상의 해상도는 앞 표시 영역(DA1)의 표시 단위(UT)의 해상도와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8을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b)는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이 곡면을 이루기 전의 펼쳐진 상태의 표시 장치로서, 도 7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a)와 대부분 동일하나 옆 표시 영역(DA2) 및/또는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 표시 단위들(UT)의 피치가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앞 표시 영역(DA1)의 경계로부터 옆 표시 영역(DA2) 또는 코너 표시 영역(DA3)의 엣지를 향하는 최단 거리의 방향을 외곽 방향(outer direction)(Drt)이라 할 때, 옆 표시 영역(DA2) 및/또는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 표시 단위들(UT)의 피치는 외곽 방향(Drt)에 따라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앞 표시 영역(DA1)과 제1방향(DR1)으로 인접한 옆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1방향(DR1)의 피치(Wb)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1방향(DR1)의 피치(Wa1)보다 작을 수 있고, 외곽 방향(Drt)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앞 표시 영역(DA1)과 제2방향(DR2)으로 인접한 옆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2방향(DR2)의 피치(Wc)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2방향(DR2)의 피치(Wa2)보다 작을 수 있고, 외곽 방향(Drt)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외곽 방향(Drt) 또는 반지름 방향의 피치(Wr)는 앞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 단위들(UT)의 제1방향(DR1)의 피치(Wa1) 및/또는 표시 단위들(UT)의 제2방향(DR2)의 피치(Wa2)보다 작으며, 외곽 방향(Drt)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표시 단위(UT)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일정할 때, 옆 표시 영역(DA2) 및/또는 코너 표시 영역(DA3)에서 인접한 표시 단위(UT) 사이의 거리는 외곽 방향(Drt)에 따라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옆 표시 영역(DA2) 및 코너 표시 영역(DA3)이 휘어지며 연신되어 곡면을 이룰 때 각 지점의 극각(θ)은 0부터 π/2까지이고, 펼쳐진 상태에서의 표시 단위들(UT)의 외곽 방향(Drt)의 피치(Wb, Wc, Wr)는 휘어진 후 대응하는 극각(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펼쳐진 상태에서 옆 표시 영역(DA2) 및 코너 표시 영역(DA3)의 표시 단위들(UT)의 외곽 방향(Drt)의 피치(Wb, Wc, Wr)는 대응하는 극각(θ)의 함수로서, 외곽 방향(Drt)의 반대 방향으로 가면서 ln(1/cosθ)의 비율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각(θ)이 π/6인 지점에서의 피치(Wb, Wc, Wr)와 극각(θ)이 π/3인 지점에서의 피치(Wb, Wc, Wr)의 비는 이 순서대로 대략 ln(1/cos(π/3)): ln(1/cos(π/6)) 일 수 있다.
비율(ln(1/cosθ)은 앞에서 설명한 도 2에 도시한 도면에서 원점(O)을 기준으로 한 전개도 상 거리(rθ)가 연장된 곡면 상의 거리(rsinθ)의 연신 변형률(ε)에 대한 다음과 같은 수학식 1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ε=ln(dy/dx)=ln(1/cosθ), x=rθ, y= rsinθ (ln은 자연 로그를 나타낸다.)
다음 도 9를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b)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0a)와 대부분 동일하나, 표시 영역은 앞 표시 영역(DA4), 옆 표시 영역(DA5), 그리고 코너 표시 영역(DA6)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들(DA4, DA5, DA6)은 각각 앞에서 설명한 표시 영역들(DA1, DA2, DA3)의 형태 및 배치와 동일할 수 있다.
앞에서의 실시예와 같이 코너 표시 영역(DA6)은 연신 및/또는 수축이 가능하나, 옆 표시 영역(DA5)은 코너 표시 영역(DA6)보다 낮은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을 가지며 앞 표시 영역(DA4)과 같은 정도의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 표시 영역(DA4)과 옆 표시 영역(DA5)은 고정 형태를 가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성질을 가질 수는 있으나 면적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은 거의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옆 표시 영역(DA5)에 위치하는 표시 단위(UT)들의 피치는 앞 표시 영역(DA4)에 위치하는 표시 단위들(UT)의 피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때 적어도 일부 영역이 연신되는 코너 표시 영역(DA6)에 위치하는 표시 단위들(UT)의 피치는, 코너 표시 영역(DA6)의 연신 전에는 앞 표시 영역(DA4)의 표시 단위들(UT)의 피치보다 작을 수 있고, 위치에 따라서도 변화할 수 있다. 그 변화 비율은 앞에서 설명한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b)의 가장자리 영역이 곡면이 되기 전의 표시 장치는 코너 표시 영역(DA6)에 따라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다양한 실시예와 같을 수 있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b)는 옆 표시 영역(DA2)의 가장자리 변인 엣지(ED4, ED5)와 코너 표시 영역(DA6)의 가장자리 변인 엣지(ED3a)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ED3a)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a)의 엣지(ED3)와 같을 수 있고, 엣지(ED4, ED5)는 앞에서 설명한 엣지(ED1, ED2)와 같을 수 있다.
곡면을 이루기 전의 코너 표시 영역은 DA6a로 표시한다.
앞 표시 영역(DA4)과 옆 표시 영역(DA5)은 서로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하나의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을 포함할 수 있고, 코너 표시 영역(DA6, DA6a)은 앞 표시 영역(DA4) 및 옆 표시 영역(DA5)과 물리적으로 별개의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을 포함하고 앞 표시 영역(DA4) 및 옆 표시 영역(DA5)의 기판 및 적층된 층들에 접합된 상태일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5)과 코너 표시 영역(DA6, DA6a)의 경계의 대부분에서 코너 표시 영역(DA6, DA6a)은 옆 표시 영역(DA5)과 분리되어 있고 서로 접합된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을 포함하면서 코너 표시 영역(DA6, DA6a)과 앞 표시 영역(DA4)의 경계인 연결점(CP)에서 코너 표시 영역(DA6, DA6a)은 앞 표시 영역(DA4)과 물리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코너 표시 영역(DA6, DA6a)은 앞 표시 영역(DA4) 및 옆 표시 영역(DA5)과 같은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을 포함하나 옆 표시 영역(DA5)과의 경계에서는 코너 표시 영역(DA6, DA6a)과 옆 표시 영역(DA5)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앞 표시 영역(DA4)과는 연결점(CP)을 통해 연속적인 기판 및 적층된 층들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점(CP)은 점이 아닌 일정 면적을 가지는 영역일 수 있다.
엣지(ED3a)는 엣지(ED4, ED5)에 연결되어 있지만 접합된 상태일 수 있다. 연결점(CP)에는 코너 표시 영역(DA6, DA6a)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들이 통과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b)의 가장자리 영역이 연신되어 곡면으로 되기 전의 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코너 표시 영역(DA6a)은 연신되기 전의 상태에서의 엣지(EG3a)의 길이는 πr/2이며, 옆 표시 영역(DA5)과의 경계를 이루는 코너 표시 영역(DA6a)의 변의 길이는 대략 곡률 반지름(r)과 같을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5)은 실질적으로 연신되지 않고 곡면을 이룰 것이므로 휘어지기 전에도 앞 표시 영역(DA4)의 경계로부터 옆 표시 영역(DA5)의 엣지(ED5)까지의 거리는 대략 πr/2이며 이 길이 그대로 굴곡되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반해, 코너 표시 영역(DA6a)의 연결점(CP)으로부터의 반지름 방향의 길이는 r부터 시작하여 도 10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곡면 상태에서는 대략 πr/2이 된다. 이렇게 연신된 코너 표시 영역(DA6)은 곡면을 이룬 상태에서 옆 표시 영역(DA5)과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도 1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c)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1000b)와 같은 형태의 곡면을 가지도록 가장자리 영역이 구부러질 수 있다. 펼쳐진 상태의 표시 장치(100c)는 도 10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0b)의 펼쳐진 상태와 대부분 동일하나, 코너 표시 영역(DA6b)이 다를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b)은 펼쳐진 상태에서도 옆 표시 영역(DA5)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코너 표시 영역(DA6b)의 엣지(EG3b)는 옆 표시 영역(DA5)의 엣지(EG4, EG5)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b)의 기판 및 적층된 층들은 옆 표시 영역(DA5) 및 앞 표시 영역(DA4)의 기판 및 적층된 층들과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0c)의 옆 표시 영역(DA5)이 곡면으로 구부러질 때 옆 표시 영역(DA5)은 실질적으로 연신되지 않고, 앞 표시 영역(DA4)의 경계로부터 옆 표시 영역(DA5)의 엣지(EG4, EG5)까지의 거리는 대략 πr/2을 유지한 채 구부러져 곡면일 때에도 대략 πr/2인 거리를 가질 수 있다.
곡면을 이루기 전 상태(펼쳐진 상태)에서 코너 표시 영역(DA6b)의 엣지(EG3b)의 길이는 (π/2)2r이고, 코너 표시 영역(DA6b)이 구부러져 곡면을 이룬 상태에서는 도 2 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πr/2의 길이를 가진다. 즉, 코너 표시 영역(DA6b)이 펼쳐진 상태에서 시작하여 구부러져 곡면을 이룰 때, 엣지(EG3b)의 길이는 (π/2)2r에서 πr/2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너 표시 영역(DA6b)의 전체 영역 중 일부는 수축하고 일부는 연신되어, 도 11에 도시한 2차원 상의 평면 형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곡면 상태로 구부러질 수 있다.
다음 도 12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d)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1000b)와 같은 형태의 곡면을 가지도록 가장자리 영역이 구부러질 수 있다. 가장자리 영역이 곡면을 이루기 전의 펼쳐진 상태의 표시 장치(100d)는 도 10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c)와 대부분 동일하나, 코너 표시 영역(DA6c)이 다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들과 달리 코너 표시 영역(DA6c)은 연신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연신 가능한 영역이 아닐 수 있다. 즉, 코너 표시 영역(DA6c)은 옆 표시 영역(DA5) 및 앞 표시 영역(DA4)과 동일하게 연신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코너 표시 영역(DA6c)은 연신 가능하여도 무방하다.
코너 표시 영역(DA6c)은 펼쳐진 상태에서 이웃한 두 옆 표시 영역(DA5) 중 하나와 물리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합되어 경계(BD3)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코너 표시 영역(DA6c)의 엣지(EG7)는 코너 표시 영역(DA6c)이 연결된 옆 표시 영역(DA5)의 엣지(EG5)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c)의 엣지(EG7)의 길이는 대략 πr/2일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c)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옆 표시 영역(DA5)의 경계(BD4)와 마주하는 엣지(EG6)를 더 포함한다. 엣지(EG6)는 엣지(EG7)와 연결되어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옆 표시 영역(DA5)과 분리되어 있다. 엣지(EG6)는 직선이지 않고 완만한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연결점(CP)으로부터 엣지(EG7)와 엣지(EG6)의 교점까지 가상의 직선을 그었을 때, 그 가상의 직선부터 엣지(EG6)까지의 증가된 거리(dL)(가상의 직선에 수직인 방향의 최단 거리를 의미함)는 엣지(EG6)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예를 들어 앞에서의 도 2를 참고하여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dL/r=θ-(π/2)sinθ
수학식 2에 따라 엣지(EG6)와 가상의 직선까지의 거리는 엣지(EG6)의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 클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c)의 엣지(EG6)의 길이는 대략 πr/2일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c)의 엣지(EG6)는 수축이나 연신 없이 3차원 상에서 곡면을 이루며 구부려져 옆 표시 영역(DA5)의 경계(BD4)와 만날 수 있고, 엣지(EG6)와 경계(BD4)는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면이 형성된 표시 장치의 형태는 앞에서 설명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0b)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음 도 13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e)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1000b)와 같은 형태의 곡면을 가지도록 가장자리 영역이 구부러질 수 있다. 가장자리 영역이 곡면을 이루기 전의 펼쳐진 상태의 표시 장치(100e)는 도 12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d)와 대부분 동일하나, 코너 표시 영역(DA6d)이 다를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d)은 연신 가능하여 코너 표시 영역(DA6d)이 곡면을 이룰 때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d)은 펼쳐진 상태에서 이웃한 두 옆 표시 영역(DA5) 중 하나와 물리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합되어 경계(BD3)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코너 표시 영역(DA6d)의 엣지(EG8)는 코너 표시 영역(DA6d)이 연결된 옆 표시 영역(DA5)의 엣지(EG5)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d)의 엣지(EG8)의 길이는 대략 πr/2일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d)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옆 표시 영역(DA5)의 경계(BD4)와 마주하는 엣지(EG9)를 더 포함한다. 엣지(EG9)는 엣지(EG8)와 연결되어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옆 표시 영역(DA5)과 분리되어 있다. 엣지(EG9)는 앞에서 설명한 엣지(EG6)와 달리 연결점(CP)으로부터 엣지(EG8)의 끝단까지 연결한 직선일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d)이 곡면을 이루도록 연신될 때 엣지(EG9)는 늘어나 3차원 상에서 새로운 엣지(ED9)를 이룰 수 있다. 엣지(ED9)는 곡선일 수 있다. 연신되기 전의 엣지(EG9)부터 곡선인 엣지(ED9)까지의 증가된 거리(dLa)(엣지(EG9)에 수직인 방향의 최단 거리를 의미함)는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예를 들어 앞에서의 도 2를 참고하여 위의 수학식 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거리(dLa)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거리(dL)와 같은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코너 표시 영역(DA6d)이 곡면을 이룬 상태에서의 새로운 엣지(ED9)의 길이는 대략 πr/2일 수 있다. 엣지(ED9)는 옆 표시 영역(DA5)의 경계(BD4)와 만나 엣지(ED9)와 경계(BD4)는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면이 형성된 표시 장치의 형태는 앞에서 설명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0b)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a, 1000b)의 코너도 둥글게 형성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코너 표시 영역(DA3, DA6)을 가지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둥근 코너 표시 영역(DA3, DA6)의 모양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다음 도 14를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c)에 대해 설명한다.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c)는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곡면을 이루는 상태 또는 곡면을 이루기 전의 상태 모두의 표시 장치)와 동일할 수 있으나, 앞에서 설명한 앞 표시 영역(DA1, DA4)에 대응하는 앞 표시 영역(DA9)과 앞에서 설명한 옆 표시 영역(DA2, DA5) 및 코너 표시 영역(DA3, DA6)에 대응하는 주위 표시 영역(DA10)을 포함할 수 있다. 앞 표시 영역(DA9)의 코너(CN)는 뾰족하지 않고 둥근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위 표시 영역(DA10)이 곡면을 이루는 표시 장치(1000c)의 코너(CN)의 형태가 완벽하고 수려한 곡면을 이룰 수 있고, 주위표시 영역(DA10과 앞 표시 영역(DA9) 사이의 경계가 더 완벽한 둥근 형태를 이루어 모서리로 인식되는 부분이 없을 수 있다.
이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커버 윈도우에 제조된 표시 패널을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였던 편광층(20)은 편의상 생략하였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라미네이트 장치는 형상 패드(300) 및 형상 패드(3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패드(350a)를 포함하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패드부 아래에는 지그가 더 위치할 수 있다.
가장자리 패드(350a)의 탄성 계수(모듈러스라고도 함)는 형상 패드(300)의 탄성 계수보다 낮아 형상이 더 잘 변할 수 있다. 가장자리 패드(350a)는 형상 패드(300)의 윗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장자리 패드(350a)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거나 에어 펌프에 연결되어 가장자리 패드(350a)의 형태 및 부피가 공기압에 따라 가변일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의 아랫면에 점착 시트(50)를 부착시킨 후, 패드부 위에 표시 패널(10)을 위치시킨다. 이때, 형상 패드(300)보다 높은 탄성을 가지는 가장자리 패드(350a)인 경우 가장자리 패드(350a)가 최소 부피를 가질 수 있도록 점착 시트(50)를 아래쪽 방향(F1)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10)의 가장자리 영역은 실질적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고, 곡면을 이루는 가장자리 영역(10ra)을 이룰 수 있다. 가장자리 패드(350a)가 에어 펌프를 포함하거나 에어 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가장자리 패드(350a)는 최소 공기압으로 최소 부피를 가진 상태일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커버 윈도우(40) 아랫면에 점착층(30)을 형성한 후 커버 윈도우(40)를 패드부 위에 위치시킨다. 커버 윈도우(40)는 휘어져 곡면을 이루는 가장자리 영역(40r)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패드부 아래의 지그가 상승함에 따라 형상 패드(300) 위의 표시 패널(10)의 중앙부가 먼저 점착층(30)과 접촉할 수 있다. 점착층(30)과 접촉하는 표시 패널(10)의 중앙부는 앞에서 설명한 앞 표시 영역(DA1, DA4)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10)의 가장자리 영역(10ra)은 커버 윈도우(40) 아래의 점착층(30)과 접촉하지 않도록 점착 시트(5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도 16을 참조하면, 가장자리 패드(350a)의 부피를 키운다. 이를 위해 형상 패드(300)보다 높은 탄성을 가지는 가장자리 패드(350a)인 경우 가장자리 패드(350a)의 부피가 커질 수 있도록 점착 시트(50)를 잡아당기는 방향(F2)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아직 점착층(30)과 접촉하지 않은 표시 패널(10)의 가장자리 영역(10ra)은 연신되어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의 옆 표시 영역(DA2, DA5)과 코너 표시 영역(DA3, DA6)의 곡면을 이루는 가장자리 영역(10r)을 이룰 수 있다. 가장자리 패드(350a)가 에어 펌프를 포함하거나 에어 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공기압을 증가시켜 가장자리 패드(350a)의 부피가 커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표시 패널(10)의 가장자리 영역(10r)도 점착층(30)과 접촉하여 표시 패널(10) 전체가 커버 점착층(30)을 통해 윈도우(40)와 합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가장자리 영역(10r)의 형태는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곡면을 가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점착 시트(50)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코너에 위치하는 둥근 형태의 코너 표시 영역(DA3, DA6)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음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여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단위(UT)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서 연신 및/또는 수축이 가능할 필요가 없는 표시 영역(DAg), 예를 들어 앞 표시 영역(DA1, DA4) 또는 옆 표시 영역(DA5)에 위치할 수 있는 표시 단위(UT)의 예를 도시한다. 표시 영역(DAg)은 기판(110a)을 포함하고, 기판(110a)은 플렉서블하거나 강성일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연신 및/또는 수축이 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단위(UT)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이 한 기본색의 빛을 내보낼 수 있는 화소(R, G, B)이거나, 서로 다른 기본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화소(R, G, B)일 수 있다.
도 18은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서 연신 및/또는 수축이 가능한 표시 영역(DAs), 예를 들어 코너 표시 영역(DA3, DA6) 또는 옆 표시 영역(DA2)에 위치할 수 있는 표시 단위(UT)의 예를 도시한다. 표시 영역(DAs)은 기판(110b)을 포함하고, 기판(110b)은 구조적 또는 재료적으로 연신 및/또는 수축이 가능하다. 구조적으로 연신 및/또는 수축이 가능한 기판(110b)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메인부(111) 및 인접한 메인부(111)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BR)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브릿지(BR)는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굴곡되어 있어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고, 표시 영역(DAs)에 힘이 가해지면 표시 영역(DAs)의 기판(110b)은 메인부(111)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연신 및/또는 수축될 수 있다. 기판(110b)이 연신 및/또는 수축될 때 브릿지(BR)의 형태에 변화가 생기며 메인부(111) 자체는 변형 없이 회전할 수 있다.
각 메인부(111)에는 복수의 화소들(R, G, B)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단위(UT)는 하나의 메인부(111)이거나 하나의 화소(R, G, B)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다음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여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주변 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d)는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들(1000, 1000a, 1000b, 1000c)과 대부분 동일하나,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의 곡면의 형태가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도 2와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d)를 선(LA)을 따라 자른 단면을 볼 때,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의 곡면이 원점(O)을 기준으로 이루는 각(α)은 0°보다 크거나 같고 90°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9는 각(α)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예를 도시한다. 즉,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의 곡면 상에서 선(LA)이 표시 장치(1000d)의 엣지와 만나는 점(PT)부터 옆 표시 영역(DA2)/코너 표시 영역(DA3)과 앞 표시 영역(DA1) 사이의 경계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각(α)은 0° 이상 90° 미만일 수 있다.
도 20은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1 내지 도 23은 각각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은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들(1000, 1000a, 1000b, 1000c, 1000d)과 대부분 동일하나, 옆 표시 영역(DA2) 및 코너 표시 영역(DA3) 중 일부만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e)는 앞에서 설명한 옆 표시 영역(DA2)과 코너 표시 영역(DA3)의 일부만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 되어 옆 표시 영역(DA2a) 및 코너 표시 영역(DA3a)이 되고 나머지 영역은 비표시 영역(ND)이 될 수 있다. 옆 표시 영역(DA2a) 및 코너 표시 영역(DA3a)은 경계(DT)를 기준으로 앞 표시 영역(DA1)에 인접하고, 표시 장치(1000e)의 엣지에 인접한 바깥쪽 영역이 비표시 영역(ND)이 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도 2와 도 20을 함께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e)를 선(LA)을 따라 자른 단면을 볼 때, 옆 표시 영역(DA2a)과 코너 표시 영역(DA3a)의 곡면이 원점(O)을 기준으로 이루는 각(β)은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옆 표시 영역(DA2a)과 코너 표시 영역(DA3a)의 곡면 상에서 선(LA)이 경계(DT)와 만나는 점부터 옆 표시 영역(DA2a)/코너 표시 영역(DA3a)과 앞 표시 영역(DA1) 사이의 경계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각(β)은 0° 보다 크고 90°보다 작을 수 있다.
한 표시 장치(1000e)에서 앞 표시 영역(DA1), 옆 표시 영역(DA2a) 및 코너 표시 영역(DA3a)이 하나의 연속된 표시 영역(DD)을 이룰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은 표시 영역(DD)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2는 앞 표시 영역(DA1)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옆 표시 영역(DA2) 및 전체 코너 표시 영역(DA3)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에 포함되는 예를 도시한다. 즉, 앞 표시 영역(DA1)과 앞 표시 영역(DA1)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옆 표시 영역(DA2)이 하나의 연속된 표시 영역을 이룰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앞 표시 영역(DA1)의 일측 또는 복수의 측에 복수의 이격된 옆 표시 영역(DA2b)이 위치하고 이웃한 옆 표시 영역(DA2b) 사이 또는 옆 표시 영역(DA2b)과 코너 표시 영역(DA3) 사이에는 비표시 영역(ND)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앞 표시 영역(DA1) 주위의 주변 영역의 일부가 앞에서 설명한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일부만이 영상을 표시하는 옆 표시 영역(DA2c) 및 코너 표시 영역(DA3b)이 되고 나머지 영역은 비표시 영역(ND)이 될 수 있다. 도 23은 앞 표시 영역(DA1)을 기준으로 하측에 옆 표시 영역(DA2c) 및 코너 표시 영역(DA3b)이 위치하고 그 바깥쪽에 비표시 영역(ND)이 위치하는 예를 도시한다. 옆 표시 영역(DA2c) 및 코너 표시 영역(DA3b)은 앞 표시 영역(DA1)에 인접하고, 비표시 영역(ND)은 표시 장치(1000g)의 엣지에 인접한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앞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앞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옆 표시 영역 및 코너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옆 표시 영역은 상기 앞 표시 영역의 제1측에 위치하는 제1 옆 표시 영역과 제2측에 위치하는 제2 옆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앞 표시 영역의 코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앞 표시 영역은 평탄한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각각 곡면을 이루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면의 형태는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의 곡면 형태와 다르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연신 및/또는 수축이 가능한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은 연신 및/또는 수축 가능한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앞 표시 영역은 복수의 제1 표시 단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은 복수의 제2 표시 단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복수의 제3 표시 단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제2 표시 단위들의 피치 및 제3 표시 단위들의 피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표시 단위들이 피치보다 작은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은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엣지에 연결된 제2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에 수직인 방향인 제1방향으로의 상기 제2 표시 단위들의 피치가 상기 제1방향으로의 상기 제1 표시 단위들의 피치보다 작고,
    상기 제2 엣지에 수직인 방향인 제2방향으로의 상기 제3 표시 단위들의 피치가 상기 제1방향으로의 상기 제1 표시 단위들의 피치보다 작은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의 상기 제2 표시 단위들의 피치는 상기 제1 엣지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2방향으로의 상기 제3 표시 단위들의 피치는 상기 제2 엣지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작아지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제1 엣지부터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앞 표시 영역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r이고,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인
    표시 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은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엣지에 연결된 제2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부터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앞 표시 영역의 경계까지의 곡면 상 거리는 πr/2이고,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인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은 상기 코너 표시 영역보다 작은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을 갖고 상기 앞 표시 영역과 같은 정도의 연신력 및/또는 수축력을 가지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에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을 이룬 후에는 제2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하면, 상기 코너 표시 영역과 상기 앞 표시 영역의 경계로부터 상기 제1 엣지까지의 거리는 r이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곡면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제2 엣지까지의 곡면 상 거리는 πr/2이고,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인
    표시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에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을 이룬 후에는 제2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하면, 상기 코너 표시 영역과 상기 앞 표시 영역의 경계로부터 상기 제1 엣지까지의 거리는 πr/2이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곡면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제2 엣지까지의 곡면 상 거리는 πr/2이고,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이고, 상기 제1 엣지의 길이는 (π/2)2r인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룰 때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수축하는 표시 장치.
  12. 제8항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은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와 연결된 제2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에 연결된 제3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 및 상기 제3 엣지는 각각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접합되어 있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인 표시 장치.
  14. 제8항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은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와 연결된 제2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에 연결된 제3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는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3 엣지는 직선을 이루고,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는 상태가 될 때 연신되어 곡선을 이루어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접합되어 있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인 표시 장치.
  16. 앞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앞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옆 표시 영역 및 코너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옆 표시 영역은 상기 앞 표시 영역의 제1측에 위치하는 제1 옆 표시 영역과 제2측에 위치하는 제2 옆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앞 표시 영역의 코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앞 표시 영역은 평탄한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각각 곡면을 이루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면의 형태는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의 곡면 형태와 다르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은 제1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은 상기 곡면을 이루기 전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와 연결된 제2 엣지 및 상기 제2 엣지에 연결된 제3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엣지 및 상기 제3 엣지는 각각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3 엣지는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이 상기 곡면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옆 표시 영역과 접합되어 있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및 상기 코너 표시 영역의 곡률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상기 제2 엣지의 길이는 πr/2이고,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엣지부터 상기 앞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옆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πr/2인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제3 엣지의 길이는 πr/2인 표시 장치.
  19. 제1 표시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표시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평탄한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곡면을 이루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비해 연신 및/또는 수축이 잘 되고 연신된 상태에서 상기 곡면을 이루고 있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코너는 둥근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1020180148256A 2018-11-27 2018-11-27 표시 장치 KR20200063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56A KR20200063379A (ko) 2018-11-27 2018-11-27 표시 장치
JP2019065016A JP2020086425A (ja) 2018-11-27 2019-03-28 表示装置
US16/661,023 US11528812B2 (en) 2018-11-27 2019-10-23 Display device
TW108141575A TWI835921B (zh) 2018-11-27 2019-11-15 顯示裝置
CN201911164604.9A CN111221163A (zh) 2018-11-27 2019-11-25 显示设备
EP19211836.2A EP3660818B1 (en) 2018-11-27 2019-11-27 Display device
US18/078,666 US11968789B2 (en) 2018-11-27 2022-12-09 Display device
US18/588,506 US20240206080A1 (en) 2018-11-27 2024-02-2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56A KR20200063379A (ko) 2018-11-27 2018-11-27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379A true KR20200063379A (ko) 2020-06-05

Family

ID=6869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56A KR20200063379A (ko) 2018-11-27 2018-11-2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528812B2 (ko)
EP (1) EP3660818B1 (ko)
JP (1) JP2020086425A (ko)
KR (1) KR20200063379A (ko)
CN (1) CN111221163A (ko)
TW (1) TWI8359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8509B2 (en) 2020-10-16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rner da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1499B1 (en) 2018-06-12 2021-02-16 Facebook Technologies, Llc Display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light
US11145631B1 (en) * 2018-06-12 2021-10-12 Facebook Technologies, Llc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910316B2 (en) 2019-04-23 2021-02-02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N111243442B (zh) 2020-03-13 2021-1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曲面显示装置
US11825684B2 (en) * 2020-06-04 2023-1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1799310B (zh) * 2020-06-22 2023-04-2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和屏体
KR20220004871A (ko) 2020-07-03 2022-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06673A (ko) 2020-07-08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20021945A (ko) 2020-08-13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33574A (ko) 2020-09-07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N112071881B (zh) * 2020-09-09 2022-04-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34278A (ko) * 2020-09-10 2022-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N112053633B (zh) * 2020-09-16 2022-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068236B (zh) * 2020-09-16 2022-09-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偏光片结构、模组结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20041261A (ko) * 2020-09-24 2022-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241039A (zh) * 2020-10-20 2021-01-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偏光片、显示模组及偏光片的加工方法
CN112310123B (zh) * 2020-10-27 2023-02-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20220064479A (ko) * 2020-11-11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008347A1 (en) * 2020-12-03 2024-01-0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13066366B (zh) * 2021-03-15 2022-05-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138498A (ko) * 2021-04-02 2022-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N113470530B (zh) * 2021-07-01 2023-05-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13689788A (zh) 2021-08-12 2021-11-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曲面显示模组
CN113917589A (zh) * 2021-09-10 2022-01-11 明基材料有限公司 全周曲面偏光板
CN117178656A (zh) * 2022-03-31 2023-12-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743B1 (ko) 2014-10-21 2021-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신이 가능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88659B1 (ko) 2014-12-02 2016-01-27 제이앤디써키트주식회사 발광 소자가 실장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404370B1 (ko) * 2015-10-02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6446349B2 (ja) 2015-10-06 2018-1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KR102481878B1 (ko) 2015-10-12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20170046873A (ko) 2015-10-21 2017-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551139B1 (ko) 2016-03-10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54508B1 (ko) 2016-05-04 2024-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47935B1 (ko) 2016-06-24 2023-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연마장치
CN109859673B (zh) 2016-08-04 2022-04-01 苹果公司 具有用于弯曲边缘的像素调光的显示器
KR102653367B1 (ko) 2016-12-08 2024-04-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7473963U (zh) 2017-10-31 2018-06-0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有效显示区具有倒角区域的显示屏及显示装置
CN108766977B (zh) 2018-05-24 2021-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基板、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US11175769B2 (en) * 2018-08-16 2021-11-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enclos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8509B2 (en) 2020-10-16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rner d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06694A1 (en) 2023-04-06
CN111221163A (zh) 2020-06-02
EP3660818A1 (en) 2020-06-03
JP2020086425A (ja) 2020-06-04
US20200170126A1 (en) 2020-05-28
US11528812B2 (en) 2022-12-13
TW202036211A (zh) 2020-10-01
US11968789B2 (en) 2024-04-23
EP3660818B1 (en) 2023-08-16
TWI835921B (zh) 2024-03-21
US20240206080A1 (en) 202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3379A (ko) 표시 장치
US11782545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9291843B2 (en) Display apparatus
US9536860B2 (en) Stretchable display
US1012198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9907162B2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00058638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803266B2 (en) Display device
WO2022099818A1 (zh) 一种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10949045B2 (en) Flexible touch substrate and touch device that have reduced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different signal lines
US10453363B2 (en) Annula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CN105912152A (zh) 触摸传感器
CN112863341B (zh) 可拉伸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10225997A1 (en) Tiled display device
US11341873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11681546B (zh) 元件阵列基板以及显示装置
CN113778261B (zh) 可拉伸显示模组及可拉伸显示设备
US12022689B2 (en) Display device
WO2022151583A1 (zh) 可拉伸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060789B1 (ko) 표시 장치
US20230100542A1 (en) Electronic device
TWI814380B (zh) 可撓式電子裝置
US20160195967A1 (en) Display device
US1201621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216597588U (zh) 一种柔性可拉伸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