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278A -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278A
KR20220034278A KR1020200116098A KR20200116098A KR20220034278A KR 20220034278 A KR20220034278 A KR 20220034278A KR 1020200116098 A KR1020200116098 A KR 1020200116098A KR 20200116098 A KR20200116098 A KR 20200116098A KR 20220034278 A KR20220034278 A KR 2022003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area
extension
auxiliar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열
김상우
박준형
신재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4278A/ko
Priority to US17/344,150 priority patent/US11569323B2/en
Priority to EP21191563.2A priority patent/EP3968403A1/en
Priority to CN202111028314.9A priority patent/CN114171557A/zh
Publication of KR2022003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 H01L51/0097
    • H01L51/524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10K71/231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etching of exis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H01L2227/32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퉁이(corner)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있어서, 전면표시영역 및 상기 모퉁이에 배치된 코너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코너표시영역에 배치된 표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연장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리어층이 적층되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1연장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제1보조영역과 이격된, 표시 패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확장시킨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 장치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편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 중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은 전면표시영역,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결되고, 구부러지는 제1측면표시영역, 및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결되고, 구부러지는 제2측면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등 다양한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곡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합성 수지 등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기판은 플렉서블 특성을 갖기에, 제조공정에서 핸들링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강성(rigidity)을 갖는 지지기판 상에 플렉서블 기판을 형성하여 여러 공정을 거친 후, 플렉서블 기판을 지지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확장시킨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의 모퉁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구부러질 수 있는 코너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정 중 코너표시영역의 박리 및 코너표시영역의 변형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퉁이(corner)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있어서, 전면표시영역 및 상기 모퉁이에 배치된 코너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코너표시영역에 배치된 표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연장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리어층이 적층되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1연장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제1보조영역과 이격된, 표시 패널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과 인접한 인접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접영역과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상기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보조영역 사이에는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2관통부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영역 및 상기 제2보조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영역의 폭은 상기 제1보조영역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영역은 상기 제1연장영역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영역은 상기 제1연장영역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영역의 연장 방향은 적어도 2회 이상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과 인접한 인접영역, 및 상기 인접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을 연결하는 연결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접영역, 상기 제1연장영역, 상기 제1보조영역, 및 상기 연결영역에 둘러싸이고,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요소는 상기 제1연장영역에서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표시요소들은 상기 제1연장영역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모퉁이(corner)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전면표시영역 및 상기 모퉁이에 배치되어 구부러지는 코너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코너표시영역에 배치된 표시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연장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영역의 폭은 상기 제1연장영역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과 인접한 인접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상기 인접영역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상기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보조영역 사이에는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2관통부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1연장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제1보조영역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과 인접한 인접영역, 및 상기 인접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을 연결하는 연결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접영역, 상기 제1연장영역, 상기 제1보조영역, 및 상기 연결영역에 둘러싸이고,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전면표시영역과 제1방향으로 연결되며, 제1곡률반지름을 가지며 구부러지는 제1측면표시영역 및 상기 전면표시영역과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곡률반지름과 상이한 제2곡률반지름을 가지며 구부러지는 제2측면표시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제1측면표시영역 및 상기 제2측면표시영역 사이에서 상기 전면표시영역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모퉁이(corner)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지기판 상에 상기 모퉁이와 중첩하도록 제1패턴층 및 제2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기판 상에 기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층을 상기 제1패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각하여 폐곡선 형상을 구비한 제1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층을 상기 제2패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각하여 상기 제1개구부와 이격되고 폐곡선 형상을 구비한 제2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층 중 상기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개구부를 둘러싸는 외곽영역을 상기 지지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곽영역은, 상기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영역, 상기 제1연장영역과 대향하며, 상기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개구부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연결영역, 및 상기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연결영역을 연결하는 제1가이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층은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영역은 상기 베이스층 및 상기 배리어층과 중첩하고, 상기 제1가이드영역은 상기 베이스층과 중첩하며, 상기 배리어층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영역 상에 화소회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소회로층 상에 표시요소층 및 박막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을 적어도 일부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판 상에 상기 모퉁이와 중첩하도록 제3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층을 상기 제3패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각하여 폐곡선 형상으로 상기 외곽영역에 둘러싸인 제3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개구부와 이격되며, 상기 외곽영역은,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연장영역과 상기 연결영역을 연결하는 제2가이드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영역 및 상기 제2가이드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곽영역을 상기 지지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기판층 중 상기 제1패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개구부에 둘러싸인 제1더미패턴은 상기 지지기판에 잔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퉁이와 중첩하는 코너표시영역을 구부리는 단계; 및 커버 윈도우를 상기 코너표시영역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표시 패널에 있어서, 전면표시영역,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측면표시영역,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측면표시영역, 및 상기 제1측면표시영역 및 상기 제2측면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된 코너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코너표시영역 상에 배치된 표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영역, 상기 제1연장영역의 일단에서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보다 작은 폭을 구비한 제1보조영역,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과 인접한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의 일단에서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연장영역보다 작은 폭을 구비한 제2보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영역, 상기 제2연장영역, 상기 제1보조영역, 상기 제2보조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정의하며,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 사이에서 상기 관통부의 크기는 상기 제1보조영역 및 상기 제2보조영역 사이에서 상기 관통부의 크기보다 작은, 표시 패널을 개시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연장영역과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영역을 포함하여 제1연장영역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정 간 박리 및 간격 변형을 방지하면서 코너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표시 패널에 적용될 수 있는 화소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모퉁이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영역의 부화소 배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a의 VII-VII'선에 따른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표시영역 및 중간표시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8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그루브 및 댐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8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k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모퉁이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모퉁이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XV-X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XVI-X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XVII-X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모퉁이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표시 장치에서 도 1의 y 방향으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표시 장치에서 도 1의 x 방향으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표시 장치에서 전면표시영역(FDA) 양측에 코너표시영역(CDA)이 배치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안경형 디스플레이, 및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자동차의 계기판, 및 자동차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또는 대쉬보드에 배치된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대신하는 룸 미러 디스플레이(room mirror display), 자동차의 뒷좌석용 엔터테인먼트로, 앞좌석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제1방향의 장변과 제2방향의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서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둔각을 이루거나,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 및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및 -x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의 변의 길이와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의 변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의 단변 및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의 장변을 가질 수 있다.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의 장변과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의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 및 커버 윈도우(CW)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1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플렉서블 윈도우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크랙(crack) 등의 발생없이 외력에 따라 용이하게 휘면서 표시 패널(10)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유리, 사파이어,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예를 들어, 강화 유리(Ultra Thin Glass, UTG), 투명폴리이미드(Colorless Polyimide, CPI)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CW)는 유리 기판의 일면에 가요성이 있는 고분자 층이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고, 또는, 고분자층으로만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커버 윈도우(CW)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필름과 같은 투명 접착 부재에 의해 커버 윈도우(CW)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주변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PX)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화소(PX)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들은 각각 부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화소(PX)들은 각각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화소(PX)들은 각각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청색 부화소, 및 백색 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전면표시영역(FDA), 측면표시영역(SDA),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표시영역(DA)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PX)들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표시영역(FDA), 측면표시영역(SDA),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의 화소(PX)들은 각각 독립적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면표시영역(FDA), 측면표시영역(SDA),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의 화소(PX)들은 각각 어느 하나의 이미지의 일부분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면표시영역(FDA)은 편평한 표시영역으로, 표시요소를 구비한 제1화소(PX1)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표시영역(FDA)은 대부분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측면표시영역(SDA)은 표시요소를 구비한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표시영역(SDA)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표시영역(SDA)은 제1측면표시영역(SDA1), 제2측면표시영역(SDA2), 제3측면표시영역(SDA3),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측면표시영역(SDA1), 제2측면표시영역(SDA2), 제3측면표시영역(SDA3),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3측면표시영역(SDA3)은 전면표시영역(FDA)과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측면표시영역(SDA1)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3측면표시영역(SDA3)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3측면표시영역(SDA3)은 곡률반지름을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3측면표시영역(SDA3)이 각각 가지는 곡률반지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3측면표시영역(SDA3)이 각각 가지는 곡률반지름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3측면표시영역(SDA3)이 각각 가지는 곡률반지름이 제1곡률반지름(R1)으로 동일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3측면표시영역(SDA3)은 동일 유사하므로, 제1측면표시영역(SDA1)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은 전면표시영역(FDA)과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측면표시영역(SDA2)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4측면표시영역(SDA4)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은 곡률반지름을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이 각각 가지는 곡률반지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이 각각 가지는 곡률반지름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이 각각 가지는 곡률반지름이 제2곡률반지름(R2)으로 동일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은 동일 유사하므로, 제2측면표시영역(SDA2)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측면표시영역(SDA1)의 제1곡률반지름(R1)은 제2측면표시영역(SDA2)의 제2곡률반지름(R2)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곡률반지름(R1)은 제2곡률반지름(R2)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곡률반지름(R1)은 제2곡률반지름(R2)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측면표시영역(SDA1)의 제1곡률반지름(R1)은 제2측면표시영역(SDA2)의 제2곡률반지름(R2)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곡률반지름(R1)이 제2곡률반지름(R2)보다 큰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코너표시영역(CDA)은 표시 패널(10)의 모퉁이(corner, CN)에 배치되어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코너표시영역(CDA)은 모퉁이(CN)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모퉁이(CN)는 표시 장치(1) 및/또는 표시 패널(10)의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의 장변 및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의 단변이 만나는 부분일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이웃하는 측면표시영역(S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표시영역(CDA)은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2측면표시영역(SD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코너표시영역(CDA)은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제3측면표시영역(SDA3) 사이, 또는, 제3측면표시영역(SDA3)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 사이, 또는, 제4측면표시영역(SDA4) 및 제1측면표시영역(SDA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표시영역(SDA) 및 코너표시영역(CDA)은 전면표시영역(FDA)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구부러질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에는 표시요소를 포함하는 제2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코너표시영역(CDA)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측면표시영역(SDA1)의 제1곡률반지름(R1) 및 제2측면표시영역(SDA2)의 제2곡률반지름(R2)이 상이한 경우, 코너표시영역(CDA)에서의 곡률반지름은 점차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측면표시영역(SDA1)의 제1곡률반지름(R1)이 제2측면표시영역(SDA2)의 제2곡률반지름(R2)보다 큰 경우, 코너표시영역(CDA)의 곡률반지름은 제1측면표시영역(SDA1)으로부터 제2측면표시영역(SDA2)로의 방향으로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표시영역(CDA)의 제3곡률반지름(R3)은 제1곡률반지름(R1)보다 작고, 제2곡률반지름(R2)보다 클 수 있다.
중간표시영역(MDA)은 코너표시영역(CDA) 및 전면표시영역(FD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표시영역(MDA)은 측면표시영역(SDA) 및 코너표시영역(CDA)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표시영역(MDA)은 제1측면표시영역(SDA1)과 코너표시영역(CDA)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중간표시영역(MDA)은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코너표시영역(CDA)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중간표시영역(MDA)은 제3화소(PX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중간표시영역(MDA)에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구동회로 또는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압배선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3화소(PX3)는 구동회로 또는 전원배선과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화소(PX3)의 표시요소는 상기 구동회로 또는 상기 전원배선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회로 또는 전원배선은 주변영역(PA)에 배치되고, 제3화소(PX3)는 구동회로 또는 전원배선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변영역(PA)은 표시영역(DA)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영역(PA)은 표시영역(DA)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영역(PA)은 측면표시영역(SDA)의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코너표시영역(CDA)의 외측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전면표시영역(FDA)뿐만 아니라, 측면표시영역(SDA),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에서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 중 표시영역(DA)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는 코너에서 구부러지며, 이미지를 표시하는 코너표시영역(CDA)을 포함함으로써,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표시 패널에 적용될 수 있는 화소회로(PC)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화소회로(PC)는 표시요소, 예를 들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연결될 수 있다.
화소회로(PC)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빛을 방출하거나,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는 스캔선(SL) 및 데이터선(DL)에 연결되며, 스캔선(SL)으로부터 입력되는 스캔 신호 또는 스위칭 전압에 기초하여 데이터선(DL)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 또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로 전달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와 구동전압선(PL)에 연결되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로부터 전달받은 전압과 구동전압선(PL)에 공급되는 제1전원전압(ELVDD)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는 구동전압선(PL)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연결되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 값에 대응하여 구동전압선(PL)으로부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전류에 의해 소정의 휘도를 갖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대향전극은 제2전원전압(ELVSS)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은 화소회로(PC)가 2개의 박막트랜지스터와 1개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화소회로(PC)는 3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표시 패널(10)의 코너표시영역(CDA)이 구부러지기 전의 형상으로, 표시 패널(10)이 펴진(unbend)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표시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이 표시요소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 패널(10)은 표시영역(DA) 및 주변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복수의 화소(PX)들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며, 주변영역(PA)은 표시영역(DA)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영역이다. 표시영역(DA)은 전면표시영역(FDA), 측면표시영역(SDA),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들은 각각 부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화소는 표시요소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소정의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화소는 이미지를 구현하는 최소 단위로 발광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표시요소로 채용하는 경우, 상기 발광영역은 화소정의막의 개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화소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기판(100) 및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다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기판(100) 및/또는 상기 다층막에 표시영역(DA) 및 주변영역(PA)을 정의할 수 있다. 즉, 기판(100) 및/또는 상기 다층막은 전면표시영역(FDA), 측면표시영역(SDA), 코너표시영역(CDA), 중간표시영역(MDA), 및 주변영역(PA)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판(100)에 전면표시영역(FDA), 측면표시영역(SDA), 코너표시영역(CDA), 중간표시영역(MDA), 및 주변영역(PA)이 정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100)은 글라스이거나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기판(100)은 플렉서블, 롤러블, 벤더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기판(100)은 전술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주변영역(PA)은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 영역으로 비표시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변영역(PA)은 표시영역(DA)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영역(PA)은 표시영역(DA)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영역(PA)은 측면표시영역(SDA)의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코너표시영역(CDA)의 외측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주변영역(PA)에는 화소(PX)들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구동회로(DC), 또는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회로(DC)는 스캔선(SL)을 통해 각 화소(PX)에 스캔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회로일 수 있다. 또는 데이터선(DL)을 통해 각 화소(PX)에 데이터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미도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회로는 표시 패널(10)의 일 측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영역(PA) 중 데이터 구동회로는 제1측면표시영역(SDA1)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주변영역(PA)은 전자소자나 인쇄회로기판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인 패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는 절연층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은 컨트롤러와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부터 전달된 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표시영역(FDA)에는 표시요소를 구비한 제1화소(PX1)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표시영역(FDA)은 편평한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표시영역(FDA)은 대부분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측면표시영역(SDA)은 표시요소를 구비한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으며,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측면표시영역(SDA)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구부러지는 영역일 수 있다. 측면표시영역(SDA)은 제1측면표시영역(SDA1), 제2측면표시영역(SDA2), 제3측면표시영역(SDA3),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3측면표시영역(SDA3)은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3측면표시영역(SDA3)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은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표시 패널(10)의 모퉁이(corner, CN)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10)의 모퉁이(CN)는 표시 패널(10)의 가장자리 중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의 장변 및 표시 패널(10)의 가장자리 중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의 단변이 만나는 부분일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이웃하는 측면표시영역(S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표시영역(CDA)은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2측면표시영역(SD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코너표시영역(CDA)은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제3측면표시영역(SDA3) 사이, 또는, 제3측면표시영역(SDA3) 및 제4측면표시영역(SDA4) 사이, 또는, 제4측면표시영역(SDA4) 및 제1측면표시영역(SDA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2측면표시영역(SDA2)에 사이에 배치된 코너표시영역(CDA)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코너표시영역(CDA)은 전면표시영역(FD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표시영역(CDA)은 제1측면표시영역(SDA1) 및 제2측면표시영역(SDA2) 사이에 배치되어 전면표시영역(FDA)을 적어도 일부 둘러쌀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표시요소를 구비한 제2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으며,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코너표시영역(CDA)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모퉁이(CN)에 대응하여 배치되면서,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구부러지는 영역일 수 있다.
중간표시영역(MDA)은 전면표시영역(FDA) 및 코너표시영역(C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표시영역(MDA)은 측면표시영역(SDA) 및 코너표시영역(CDA)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표시영역(MDA)은 제1측면표시영역(SDA1)과 코너표시영역(CDA) 사이 및/또는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코너표시영역(CDA)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표시영역(MDA)은 구부러질 수 있다.
중간표시영역(MDA)에는 표시요소를 구비한 제3화소(PX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구동회로(DC) 또는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배선(미도시)이 중간표시영역(MDA)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회로(DC)는 중간표시영역(MDA) 및 주변영역(PA)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간표시영역(MDA)에 배치되는 제3화소(PX3)는 구동회로(DC) 또는 상기 전원배선과 중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화소(PX3)는 구동회로(DC) 또는 상기 전원배선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회로(DC)는 주변영역(PA)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측면표시영역(SDA),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 중 적어도 하나는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면표시영역(SDA) 중 제1측면표시영역(SDA1)이 제1곡률반지름을 가지고 구부러지고, 측면표시영역(SDA) 중 제2측면표시영역(SDA2)이 제2곡률반지름을 가지고 구부러질 수 있다. 제1곡률반지름이 제2곡률반지름보다 큰 경우, 코너표시영역(CDA)이 구부러지는 곡률반지름은 제1측면표시영역(SDA1)으로부터 제2측면표시영역(SDA2)로의 방향으로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이 구부러졌을 때, 코너표시영역(CDA)에는 인장 변형(tensile strain)보다 압축 변형(compressive strain)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너표시영역(CDA)에는 수축 가능한 기판 및 다층막 구조가 적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코너표시영역(CDA)에 배치되는 다층막의 적층구조 또는 기판(100)의 형상은 전면표시영역(FDA)에 배치되는 다층막의 적층구조 또는 기판(100)의 형상과 상이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모퉁이(CN)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4의 V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모퉁이(CN)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기판은 전면표시영역(FDA), 제1측면표시영역(SDA1), 제2측면표시영역(SDA2),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표시영역(FDA)에는 제1화소(PX1)가 배치될 수 있고, 코너표시영역(CDA)에는 제2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중간표시영역(MDA)에는 제3화소(PX3)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영역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주변영역은 코너표시영역(CDA)의 외측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영역은 코너표시영역(CDA)을 적어도 일부 둘러쌀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주변영역이 코너표시영역(CDA)의 외측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코너표시영역(CDA)은 표시 패널의 모퉁이(CN)에 배치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연장영역(LA), 보조영역(AA),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영역(LA), 보조영역(AA),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에는 제2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화소(PX2)는 코너표시영역(CDA)에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화소(PX2)들은 연장영역(LA), 보조영역(AA),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은 서로 유사하므로, 제1인접영역(ADA1)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장영역(LA)은 코너표시영역(CDA)에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영역(LA)들은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 중 압축 변형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는 영역에는 복수의 연장영역(LA)들이 배치될 수 있고, 코너표시영역(CDA) 중 압축 변형이 상대적으로 작게 발생하는 영역에는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연장영역(LA)들 중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연장영역(LA1)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연장영역(LA1)은 중간표시영역(M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은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무기물질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연장영역(LA1)은 상기 베이스층 및 상기 배리어층과 중첩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의 베이스층은 제1보조영역(AA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장영역(LA1)의 베이스층은 제1보조영역(AA1)의 베이스층과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의 배리어층은 제1보조영역(AA1)과 이격될 수 있다.
보조영역(AA)은 연장영역(LA)과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조영역(AA)은 코너표시영역(CDA)에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영역(AA)들은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과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보조영역(AA1)의 연장 방향은 제1연장영역(LA1)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보조영역(AA1)의 연장 방향은 제1연장영역(LA1)의 연장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연장영역(LA1)의 폭(LAd1)은 제1보조영역(AA1)의 폭(AAd1)보다 클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의 폭(LAd1)은 제1연장영역(LA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1연장영역(LA1)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의 폭(AAd1)은 제1보조영역(AA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1보조영역(AA1)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연장영역(LA1)의 폭(LAd1)은 제1보조영역(AA1)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연장영역(LA1)의 폭(LAd1)은 제1보조영역(AA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연장영역(LA1)의 폭(LAd1)은 제1보조영역(AA1)의 폭(AAd1)보다 큰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보조영역(AA1)의 폭은 제1보조영역(AA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보조영역(AA1)의 폭은 제1보조영역(AA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조영역(AA1)의 폭은 제1연장영역(LA1)으로부터 제1보조영역(AA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커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보조영역(AA1)의 폭은 제1연장영역(LA1)으로부터 제1보조영역(AA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작아질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으로부터 연장된 베이스층과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은 제1보조영역(AA1)에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영역(LA1)에 배치된 배리어층은 제1보조영역(AA1)과 이격될 수 있다.
제2연장영역(LA2)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장영역(LA2)은 중간표시영역(M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연장영역(LA2)은 제1연장영역(LA1)과 유사하게 베이스층 및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장영역(LA2)의 베이스층은 제2보조영역(AA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연장영역(LA2)의 베이스층은 제2보조영역(AA2)의 베이스층과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연장영역(LA2)의 배리어층은 제2보조영역(AA2)과 이격될 수 있다.
제2보조영역(AA2)은 제1보조영역(AA1)과 유사하게 제2연장영역(LA2)과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보조영역(AA2)의 연장 방향은 제2연장영역(LA2)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보조영역(AA2)의 연장 방향은 제2연장영역(LA2)의 연장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장영역(LA2)의 길이는 제1연장영역(LA1)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제2연장영역(LA2)의 길이는 제2연장영역(LA2)의 배리어층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의 길이는 제1연장영역(LA1)의 배리어층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장영역(LA2)의 길이는 제1연장영역(LA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연장영역(LA2)의 길이는 제1연장영역(LA1)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연장영역(LA2)의 길이는 제1연장영역(LA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 사이의 제2거리(d2)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의 제1거리(d1)보다 클 수 있다. 제1거리(d1)는 서로 마주보는 제1연장영역(LA1)의 가장자리 및 제2연장영역(LA2)의 가장자리 사이의 최대 이격거리일 수 있다. 제2거리(d2)는 서로 마주보는 제1보조영역(AA1)의 가장자리 및 제2보조영역(AA2)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장영역(LA2)은 제1보조영역(AA1)과 마주볼 수 있다. 이 때, 제2연장영역(LA2) 및 제1보조영역(AA1) 사이의 제3거리(d3)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의 제1거리(d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3거리(d3)는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 사이의 제2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3거리(d3)는 서로 마주보는 제2연장영역(LA2)의 가장자리 및 제1보조영역(AA1)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제1인접영역(ADA1)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인접영역(ADA1)은 제1연장영역(LA1)과 인접할 수 있다. 제1인접영역(ADA1)은 제1연장영역(LA1)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제1인접영역(ADA1)은 제1보조영역(AA1)과 인접할 수 있다. 제1인접영역(ADA1)은 제1보조영역(AA1)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제1보조영역(AA1), 및 제1인접영역(ADA1) 사이에서 제1관통부(PNP1)가 정의될 수 있다. 제1관통부(PNP1)는 제1연장영역(LA1)의 가장자리 중 일부, 제1보조영역(AA1)의 가장자리 중 일부, 및 제1인접영역(ADA1)의 가장자리 중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제1관통부(PNP1)는 표시 패널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관통부(PNP1)는 빈 공간으로 표시 패널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제2연장영역(LA2),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 사이에서 제2관통부(PNP2)가 정의될 수 있다. 제2관통부(PNP2)는 제1연장영역(LA1)의 가장자리 중 일부, 제2연장영역(LA2)의 가장자리 중 일부, 제1보조영역(AA1)의 가장자리 중 일부, 및 제2보조영역(AA2)의 가장자리 중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관통부(PNP2)는 서로 마주보는 제1연장영역(LA1)의 가장자리 및 제2연장영역(LA2)의 가장자리와 서로 마주보는 제1보조영역(AA1)의 가장자리 및 제2보조영역(AA2)의 가장자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2관통부(PNP2)는 제1관통부(PNP1)와 유사하게 표시 패널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관통부(PNP2)는 빈 공간으로 표시 패널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1인접영역(ADA1)은 제1관통부(PNP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은 제2관통부(PNP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모퉁이(CN)에서 표시 패널이 구부러질 때 코너표시영역(CDA)은 인장 변형(tensile strain)보다 압축 변형(compressive strain)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는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연장영역(LA)들은 코너표시영역(CDA)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은 제1관통부(PNP1) 및 제2관통부(PNP2)가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이 생략된 경우, 제2관통부(PNP2)가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에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에 형성된 구성요소들을 제거하여 제2관통부(PNP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이 생략된 경우,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에 형성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은 각각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과 연결되어 제2관통부(PNP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관통부(PNP2)의 크기가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에서 제1거리(d1)이고,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 사이에서 제2거리(d2)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관통부(PNP2)의 크기가 보조영역(AA)에서 연장영역(LA)의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감소되어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 사이 및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에 형성된 구성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제2연장영역(LA2),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에는 복수의 제2화소(PX2)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화소(PX2)들은 제1연장영역(LA1)의 연장 방향 및 제2연장영역(LA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에는 제2화소(PX2)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은 제2화소(PX2)들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연장영역(LA1)에 배치된 제2화소(PX2)들의 수는 제2연장영역(LA2)에 배치된 제2화소(PX2)들의 수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영역(LA1)에 제2화소(PX2)들이 4개 배치될 수 있고, 제2연장영역(LA2)에 제2화소(PX2)들이 5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연장영역(LA1)의 길이는 제2연장영역(LA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장영역(LA2)의 길이 및 제1연장영역(LA1)의 길이의 차이(dd1)는 제2화소(PX2)들 간의 이격거리(dd2)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연장영역(LA1)에 배치된 제2화소(PX2)들의 수는 제2연장영역(LA2)에 배치된 제2화소(PX2)들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패널은 손상없이 구부러질 수 있는 모퉁이(CN)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패널은 모퉁이(CN)와 중첩된 코너표시영역(CDA)에 제2화소(PX2)들이 배치되어 구부러진 모퉁이(CN)에서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영역(LA)의 부화소 배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코너표시영역(CDA)은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연장영역(LA) 및 보조영역(AA)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영역(LA)에는 제2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화소(PX2)는 연장영역(LA)의 연장방향(EDR)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중간표시영역(MDA)에는 제3화소(PX3)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3화소(PX3)들은 연장방향(EDR)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제3화소(PX3)들은 복수의 제2화소(PX2)들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2화소(PX2) 및 제3화소(PX3)는 각각 적색 부화소(Pr), 녹색 부화소(Pg), 및 청색 부화소(Pb)를 포함할 수 있다. 적색 부화소(Pr), 녹색 부화소(Pg), 및 청색 부화소(Pb)는 각각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화소는 이미지를 구현하는 최소 단위로 발광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표시요소로 채용하는 경우, 상기 발광영역은 화소정의막의 개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적색 부화소(Pr), 녹색 부화소(Pg), 및 청색 부화소(Pb)는 스트라이프(stripe)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적색 부화소(Pr), 녹색 부화소(Pg), 및 청색 부화소(Pb)는 연장방향(EDR)과 수직한 수직방향(VDR)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색 부화소(Pr)들, 녹색 부화소(Pg)들, 및 청색 부화소(Pb)들은 각각 연장방향(EDR)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색 부화소(Pr), 녹색 부화소(Pg), 청색 부화소(Pb)는 연장방향(EDR)의 장변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달리, 적색 부화소(Pr), 녹색 부화소(Pg), 및 청색 부화소(Pb)는 연장방향(EDR)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적색 부화소(Pr), 녹색 부화소(Pg), 청색 부화소(Pb)는 수직방향(VDR)의 장변을 가질 수 있다.
제3화소(PX3)의 적색 부화소(Pr), 녹색 부화소(Pg), 및 청색 부화소(Pb)는 각각 제2화소(PX2)의 적색 부화소(Pr), 녹색 부화소(Pg), 및 청색 부화소(Pb)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2화소(PX2)의 부화소 배치 구조 및 제3화소(PX3)의 부화소 배치 구조는 S-스트라이프(stirpe)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화소(PX2) 및 제3화소(PX3)는 각각 적색 부화소(Pr), 녹색 부화소(Pg), 및 청색 부화소(P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열(1l)에는 녹색 부화소(Pg)가 배치되고, 인접한 제2열(2l)에는 적색 부화소(Pr) 및 청색 부화소(P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녹색 부화소(Pg)는 수직방향(VDR)으로 장변을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며, 적색 부화소(Pr) 및 청색 부화소(Pb)는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적색 부화소(Pr)의 변 및 청색 부화소(Pb)의 변은 녹색 부화소(Pg)의 장변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화소(PX2)의 부화소 배치 구조 및 제3화소(PX3)의 부화소 배치 구조는 펜타일(pentile) 타입일 수 있다.
도 7은 도 5a의 VII-VII'선에 따른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기판(100), 버퍼층(111), 화소회로층(PCL), 무기패턴층(PVX2), 표시요소층(DEL), 및 박막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제1베이스층(100a), 제1배리어층(100b), 제2베이스층(100c), 및 제2배리어층(100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베이스층(100a), 제1배리어층(100b), 제2베이스층(100c), 및 제2배리어층(100d)은 차례로 적층되어 기판(10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리어층(100b) 및 제2배리어층(100d)은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배리어층으로,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화물(SiOX)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단일 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버퍼층(111)은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11)은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및 실리콘산화물(SiO2)과 같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화소회로층(PCL)은 버퍼층(1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회로층(PCL)은 구동회로(DC) 및 화소회로(P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회로(DC)는 중간표시영역(MDA)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회로(PC)는 전면표시영역(F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회로(PC)는 중간표시영역(MDA)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동회로(DC)는 구동회로 박막트랜지스터(DC-TF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회로(DC)는 스캔선과 연결될 수 있다. 화소회로(PC)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층(PCL)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의 구성요소들 아래 또는/및 위에 배치되는 무기절연층(IIL), 제1절연층(115), 및 제2절연층(116)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절연층(IIL)은 제1게이트절연층(112), 제2게이트절연층(113), 및 층간절연층(11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는 반도체층(Act), 게이트전극(GE), 소스전극(SE), 및 드레인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폴리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반도체층(Act)은 비정질(amorphous) 실리콘을 포함하거나,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거나, 유기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채널영역 및 채널영역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드레인영역 및 소스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E)은 채널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E)은 저저항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E)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Act)과 게이트전극(GE) 사이의 제1게이트절연층(112)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게이트절연층(113)은 게이트전극(GE)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게이트절연층(113)은 제1게이트절연층(112)과 유사하게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 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게이트절연층(113) 상부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상부 전극(CE2)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전극(CE2)은 그 아래의 게이트전극(GE)과 중첩할 수 있다. 이 때, 제2게이트절연층(113)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전극(GE) 및 상부 전극(CE2)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전극(GE)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하부 전극(CE1)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가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전극(CE2)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및/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물질의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층간절연층(114)은 상부 전극(CE2)을 덮을 수 있다. 층간절연층(114)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절연층(114)은 전술한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각각 층간절연층(11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전도성이 좋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Ti/Al/Ti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 및 구동회로 박막트랜지스터(DC-TFT)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와 유사하게 반도체층, 게이트전극,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절연층(115)은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을 덮으며 배치될 수 있다. 제1절연층(115)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절연층(115)은 Polymethylmethacrylate(PMMA)나 Polystyrene(PS)과 같은 일반 범용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와 같은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전극(CML) 및 연결배선(CL)은 제1절연층(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연결전극(CML) 및 연결배선(CL)은 제1절연층(115)의 컨택홀을 통해 드레인전극(DE) 또는 소스전극(SE)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전극(CML) 및 연결배선(CL)은 전도성이 좋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전극(CML) 및 연결배선(CL)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전극(CML) 및 연결배선(CL)은 Ti/Al/Ti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배선(CL)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중간표시영역(MDA)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배선(CL)은 주변영역 또는 코너표시영역으로부터 중간표시영역(MDA)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배선(CL)은 측면표시영역으로부터 중간표시영역(MD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배선(CL)은 구동회로 박막트랜지스터(DC-TFT)와 중첩될 수 있다.
제2절연층(116)은 연결전극(CML) 및 연결배선(CL)을 덮으며 배치될 수 있다. 제2절연층(116)은 유기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절연층(116)은 Polymethylmethacrylate(PMMA)나 Polystyrene(PS)과 같은 일반 범용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와 같은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패턴층(PVX2)은 제2절연층(11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무기패턴층(PVX2)은 중간표시영역(MDA)에 중첩할 수 있다. 무기패턴층(PVX2)은 실리콘질화물(SiNx) 및/또는 실리콘산화물(SiOx) 등의 무기물질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기패턴층(PVX2)은 생략될 수 있다.
표시요소층(DEL)은 화소회로층(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요소층(DEL)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요소층(DEL)은 전면표시영역(FDA)에 배치된 전면 유기발광다이오드(FOLED) 및 중간표시영역(MDA)에 배치된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는 무기패턴층(PVX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회로(DC)와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구동회로(DC)가 배치되는 중간표시영역(MDA)에서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면 유기발광다이오드(FOLED)의 화소전극(211)은 제2절연층(116)의 컨택홀을 통해 연결전극(CM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의 화소전극(211)은 제2절연층(116)의 컨택홀을 통해 연결배선(CL)과 연결될 수 있다.
화소전극(211)은 인듐틴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징크산화물(ZnO; zinc oxide), 인듐산화물(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산화물(IGO; indium gallium oxide) 또는 알루미늄징크산화물(AZO; aluminum zinc oxide)와 같은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화소전극(211)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사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화소전극(211)은 전술한 반사막의 위/아래에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211) 상에는 화소전극(211)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개구(118OP)를 갖는 화소정의막(118)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18)은 유기절연물 및/또는 무기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118OP)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발광영역(이하, 발광영역이라 함, EA)을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개구(118OP)의 폭이 발광영역(EA)의 폭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개구(118OP)의 폭은 부화소의 폭에 해당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18) 상에는 스페이서(119)가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19)는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100) 및/또는 기판(100) 상의 다층막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의 경우 마스크 시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마스크 시트가 화소정의막(118)의 개구(118OP) 내부로 진입하거나 화소정의막(118)에 밀착할 수 있다. 스페이서(119)는 기판(100)에 증착물질을 증착 시 상기 마스크 시트에 의해 기판(100) 및 상기 다층막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119)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스페이서(119)는 실리콘질화물(SiNx)나 실리콘산화물(SiO2)과 같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거나, 유기절연물 및 무기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119)는 화소정의막(118)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119)는 화소정의막(118)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소정의막(118)과 스페이서(119)는 하프톤 마스크 등을 이용한 마스크 공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18) 상에는 중간층(212)이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층(212)은 화소정의막(118)의 개구(118OP)에 배치된 발광층(212b)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212b)은 소정의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고분자 또는 저분자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212b)의 아래와 위에는 각각 제1기능층(212a) 및 제2기능층(212c)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능층(212a)은 예컨대,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을 포함하거나, 홀 수송층 및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능층(212c)은 발광층(212b) 위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선택적(optional)일 수 있다. 제2기능층(212c)은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또는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능층(212a) 및/또는 제2기능층(212c)은 후술할 대향전극(213)과 마찬가지로 기판(100)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대향전극(213)은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대향전극(213)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반)투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대향전극(213)은 전술한 물질을 포함하는 (반)투명층 상에 ITO, IZO, ZnO 또는 In2O3과 같은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향전극(213) 상에는 캡핑층(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캡핑층은 LiF, 무기물, 또는/및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대향전극(2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막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은 박막봉지층(TFE)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무기봉지층(310), 유기봉지층(320) 및 제2무기봉지층(33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제1무기봉지층(310) 및 제2무기봉지층(330)은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아연산화물(ZnO),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폴리머(polymer)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계열의 소재로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유기봉지층(320)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 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터치전극층이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전극층 상에는 광학기능층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전극층은 외부의 입력, 예컨대 터치 이벤트에 따른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광학기능층은 외부로부터 표시 장치를 향해 입사하는 빛(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및/또는 표시 장치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광학기능층은 위상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 위상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광학기능층은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은 표시 장치의 화소들 각각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상을 고려하여 배열될 수 있다. 컬러필터들 각각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안료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컬러필터들 각각은 전술한 안료나 염료 외에 양자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컬러필터들 중 일부는 전술한 안료나 염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산화티타늄과 같은 산란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광학기능층은 상쇄간섭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쇄간섭 구조물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제1반사층과 제2반사층을 포함할 있다. 제1반사층 및 제2반사층에서 각각 반사된 제1반사광과 제2반사광은 상쇄 간섭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광 반사율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터치전극층 및 광학기능층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일반적인 것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코너표시영역(CDA)은 전면표시영역 및/또는 중간표시영역(MDA)으로부터 연장된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보조영역(AA2)은 제2연장영역(LA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제2연장영역(LA2),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 사이에는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2관통부(PNP2)가 정의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에는 제2화소(PX2)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중간표시영역(MDA)에는 제3화소(PX3)들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화소(PX2)들 및 복수의 제3화소(PX3)들은 제1연장영역(LA1)의 연장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화소(PX2)들 및 복수의 제3화소(PX3)들은 제2연장영역(LA2)의 연장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은 적어도 일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표시영역(CDA)은 제1영역(LPA1) 및 제2영역(LP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LPA2)은 제1영역(LPA1) 및 중간표시영역(M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은 제2영역(LPA2)에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은 제2영역(LPA2)에서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 상에는 그루브(Gv)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Gv)는 기준면으로부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오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루브(Gv) 중 적어도 하나는 제1연장영역(LA1) 및/또는 제2연장영역(LA2)에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Gv)는 제1그루브(Gv1), 제2그루브(Gv2), 제3그루브(Gv3), 제4그루브(Gv4), 제5그루브(Gv5), 및 제6그루브(Gv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그루브(Gv1)는 제1연장영역(LA1) 및/또는 제2연장영역(LA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그루브(Gv1)는 복수의 제2화소(PX2)들을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그루브(Gv1)는 제2화소(PX2)를 개별적으로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제2그루브(Gv2)는 제2화소(PX2) 및 제3화소(PX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그루브(Gv2)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그루브(Gv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그루브(Gv2)는 중간표시영역(MD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그루브(Gv3)는 제2그루브(Gv2) 및 제3화소(PX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그루브(Gv3)는 제2그루브(Gv2)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그루브(Gv3)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이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그루브(Gv4)는 제1연장영역(LA1) 및/또는 제2연장영역(L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4그루브(Gv4)는 제1그루브(Gv1)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그루브(Gv4)는 복수의 제2화소(PX2)들 및 제1그루브(Gv1)를 둘러쌀 수 있다.
제5그루브(Gv5)는 제3그루브(Gv3) 및 제3화소(PX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5그루브(Gv5)는 제2그루브(Gv2) 및/또는 제3그루브(Gv3)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그루브(Gv5)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이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6그루브(Gv6)는 제2영역(LP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6그루브(Gv6)는 이웃하는 제1연장영역(LA1)의 제4그루브(Gv4) 및 제2연장영역(LA2)의 제4그루브(Gv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무기패턴층(PVX2)은 그루브(Gv)의 양측에 배치되며, 그루브(Gv)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팁을 가질 수 있다.
제2화소(PX2)에 포함된 표시요소가 유기발광다이오드인 경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화소전극,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대향전극(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은 화소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제1기능층, 및/또는 발광층과 대향전극(213) 사이에 제2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능층 및 제2기능층은 중간표시영역(MDA),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능층 및 상기 제2기능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기능층 및 상기 제2기능층을 통해 외부의 산소 또는 수분 등이 중간표시영역(MDA),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산소 또는 수분은 중간표시영역(MDA),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에 배치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손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기능층 및 상기 제2기능층을 그루브(Gv) 및 돌출팁에 의해 단절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기발광다이오드로의 수분 및 산소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기판 상에 배치되는 댐부(DP)를 포함할 수 있다. 댐부(DP)는 기준면으로부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부(DP)는 무기패턴층(PVX2)의 상면으로부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댐부(DP) 중 적어도 하나는 제2화소(PX2)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즉, 댐부(DP) 중 적어도 하나는 제2화소(PX2)의 표시요소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댐부(DP)는 제1댐부(DP1) 및 제2댐부(D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댐부(DP1)는 복수의 제2화소(PX2)를 둘러쌀 수 있다. 제1댐부(DP1)는 제1그루브(Gv1) 및 제4그루브(Gv4)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댐부(DP1)의 일부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이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댐부(DP1)는 중간표시영역(MD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댐부(DP2)는 제1댐부(DP1) 및 제3화소(PX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댐부(DP2)는 제2그루브(Gv2) 및 제3그루브(Gv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댐부(DP2)는 제2그루브(Gv2) 및/또는 제3그루브(Gv3)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댐부(DP2)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이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보조댐부(ADP1)는 제2화소(PX2) 및 제1댐부(D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보조댐부(ADP1)는 제1그루브(Gv1) 및 제4그루브(Gv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보조댐부(ADP1)는 제2화소(PX2) 및 제1그루브(Gv1)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제2보조댐부(ADP2)는 제3화소(PX3) 및 제2댐부(D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보조댐부(ADP2)는 제3그루브(Gv3) 및 제5그루브(Gv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보조댐부(ADP2)는 제3그루브(Gv3) 및/또는 제5그루브(Gv5)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보조댐부(ADP2)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이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보조댐부(ADP1) 및 제2보조댐부(ADP2)는 무기패턴층(PVX2) 상부에 배치되며, 무기패턴층(PVX2)의 상면으로부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보조댐부(ADP1)의 두께 및 제2보조댐부(ADP2)의 두께는 댐부(DP)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제2화소(PX2)에 포함된 표시요소가 유기발광다이오드인 경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소 및 수분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봉지하기 위한 박막봉지층이 상기 제2화소(PX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댐부(DP)는 무기패턴층(PVX2)의 상면으로부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댐부(DP)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그루브(Gv1), 제3그루브(Gv3), 제4그루브(Gv4), 및 제5그루브(Gv5)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이 채워질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또는 제2연장영역(LA2)에 배치된 다층막 중 하나는 제1연장영역(LA1) 및/또는 제2연장영역(LA2)의 말단부에 대응하여 컨택홀(CNT)을 구비할 수 있다. 컨택홀(CNT)은 제1그루브(Gv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컨택홀(CNT)은 제1그루브(Gv1)에 둘러싸일 수 있다. 컨택홀(CNT)은 중간표시영역(MDA)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제2화소(PX2) 및 제1그루브(Gv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향전극(213)도 제1기능층 또는 제2기능층과 유사하게 중간표시영역(MDA) 및 연장영역(LA)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대향전극(213)은 그루브(Gv)를 기준으로 단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장영역(LA1) 및/또는 제2연장영역(LA2)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배선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배선은 컨택홀(CNT)을 통해 제2화소(PX2)로 제2전원전압(ELVSS, 도 3 참조) 공급할 수 있다.
도 9a는 도 8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그루브 및 댐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있어서, 도 7 및 도 8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의미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박막트랜지스터(TFT2)와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는 코너표시영역(CD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는 중간표시영역(MD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박막트랜지스터(TFT2) 및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는 코너표시영역(CDA)에서 부화소를 구현하며,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는 중간표시영역(MDA)에서 부화소를 구현할 수 있다.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 중 어느 하나는 중간표시영역(MDA)의 가장자리에 가장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며,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간표시영역(MDA) 및 코너표시영역(CDA)에는 기판(100), 버퍼층(111), 화소회로층(PCL), 표시요소층(DEL), 및 박막봉지층(TFE)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회로층(PCL)은 무기절연층(IIL), 연결배선(CL), 제1절연층(115), 제2절연층(116), 및 무기패턴층(PVX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배선(CL)은 하부연결배선(LCL), 제1연결배선(CL1), 제2연결배선(CL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연결배선(LCL)은 제1게이트절연층(112) 및 제2게이트절연층(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연결배선(LCL)은 제2게이트절연층(113) 및 층간절연층(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연결배선(LCL)은 도 7의 게이트전극(GE) 및 상부 전극(CE2) 중 하나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연결배선(LCL)은 버퍼층(111) 및 제1게이트절연층(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연결배선(LCL)은 도 8의 반도체층(Act)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연결배선(LCL)은 중간표시영역(MDA)으로부터 코너표시영역(CDA)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연결배선(LCL)은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선이거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배선일 수 있다.
제1연결배선(CL1)은 무기절연층(IIL) 상에 배치되고, 제1절연층(115)은 제1연결배선(C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절연층(115)은 그루브를 기준으로 코너절연층(115C) 및 중간절연층(115M)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절연층(115)은 제2그루브(Gv2)를 기준으로 코너절연층(115C) 및 중간절연층(115M)으로 분리될 수 있다. 코너절연층(115C)은 제2박막트랜지스터(TFT2)를 덮으며 배치될 수 있고, 중간절연층(115M)은 구동회로 박막트랜지스터(DC-TFT)를 덮으며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연결배선(CL1)의 일부는 코너절연층(115C) 및 중간절연층(115M) 사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2연결배선(CL2), 제2연결전극(CML2), 및 제3연결전극(CML3)은 제1절연층(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전극(CML2)은 코너절연층(115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연결전극(CML3)은 제2연결배선(CL2)의 일부일 수 있다.
제3연결전극(CML3)은 중간절연층(115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연결전극(CML3)은 제1연결배선(CL1)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3연결전극(CML3)은 중간절연층(115M)로부터 코너절연층(115C)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중간절연층(115M)의 측면 및 코너절연층(115C)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제3연결전극(CML3)은 코너절연층(115C) 및 중간절연층(115M) 사이에 노출된 제1연결배선(CL1)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배선(CL1) 및 제3연결전극(CML3)은 외부로부터 수분이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 또는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연결배선(CL2) 및 제3연결전극(CML3) 상에는 하부무기패턴층(PVX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무기패턴층(PVX1)은 제2연결배선(CL2) 및/또는 제3연결전극(CML3) 상에서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하부무기패턴층(PVX1)들은 제2연결배선(CL2) 및/또는 제3연결전극(CML3)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하부무기패턴층(PVX1) 중 어느 하나는 서로 마주보는 중간절연층(115M)의 측면 및 코너절연층(115C)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절연층(116)은 제2연결배선(CL2), 제2연결전극(CML2) 및 제3연결전극(CML3)을 덮으며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무기패턴층(PVX1) 및 제2절연층(116)에는 그루브(Gv)가 정의될 수 있다. 그루브(Gv)는 제2절연층(116)의 상면으로부터 기판(100)의 두께 방향으로 오목할 수 있다. 제2절연층(116)은 홀(H)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홀(H)은 하부무기패턴층(PVX1)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절연층(116)은 하부무기패턴층(PVX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그루브(Gv)는 하부무기패턴층(PVX1)의 중앙부분 및 제2절연층(116)의 홀(H)로 정의될 수 있다.
제2절연층(116)의 홀(H)은 에칭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무기패턴층(PVX1)이 생략된다면, 제2연결배선(CL2)이 상기 에칭공정으로 식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연결배선(CL2)의 저항이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2연결배선(CL2) 상에 제2절연층(116)의 홀(H)에 중첩되도록 하부무기패턴층(PVX1)이 배치되므로, 제2연결배선(CL2)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절연층(116) 상에는 무기패턴층(PVX2)이 배치될 수 있다. 무기패턴층(PVX2)은 그루브(Gv)의 양측에 배치되며, 그루브(Gv)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팁(PT)을 가질 수 있다.
무기패턴층(PVX2) 상에 배치된 제1기능층(212a), 제2기능층(212c), 및 대향전극(213)은 그루브(Gv) 및 한쌍의 돌출팁(PT)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Gv) 내에는 제1기능층패턴(212Pa), 제2기능층패턴(212Pc), 및 대향전극패턴(213P)이 배치될 수 있다.
무기패턴층(PVX2) 상에는 무기패턴층(PVX2)의 상면으로부터 기판(10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댐부(DP)를 포함할 수 있다. 댐부(DP)는 서로 이격된 제1댐부(DP1) 및 제2댐부(DP2)를 포함할 수 있다. 댐부(DP) 및 그루브(Gv)는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댐부(DP)는 제1층(118a, 118b) 및 제1층(118a, 118b) 상에 제2층(119a, 119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층(118a, 118b)은 화소정의막(118)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층(118a, 118b)은 화소정의막(118)이 형성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층(119a, 119b)은 스페이서(119, 도 7 참조)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층(119a, 119b)은 스페이서(119)가 형성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 및 제1댐부(DP1) 사이에 제1보조댐부(ADP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댐부(ADP1)는 제1그루브(Gv1) 및 제4그루브(Gv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보조댐부(ADP2)는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 및 제2댐부(D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보조댐부(ADP2)는 제3그루브(Gv3) 및 제5그루브(Gv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보조댐부(ADP1) 및 제2보조댐부(ADP2)는 무기패턴층(PVX2) 상에 배치되며, 무기패턴층(PVX2)의 상면으로부터 기판(10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보조댐부(ADP1) 및 제2보조댐부(ADP2)는 제1층(118c, 118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층(118c, 118d)은 화소정의막(118)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댐부(DP)의 두께는 제1보조댐부(ADP1)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댐부(DP)의 두께는 제2보조댐부(ADP2)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부(DP)는 제1층(118a, 118b) 및 제2층(119a, 119b)을 포함하지만, 제1보조댐부(ADP1) 및 제2보조댐부(ADP2)는 제1층(118c, 118d)을 포함하여 서로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댐부(DP)의 두께는 무기패턴층(PVX2)의 상면으로부터 제2층(119a, 119b)의 상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제1보조댐부(ADP1)의 두께 또는 제2보조댐부(ADP2)의 두께는 무기패턴층(PVX2)의 상면으로부터 제1층(118c, 118d)의 상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제2층(119a, 119b)의 상면까지의 거리는 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제1보조댐부(ADP1)의 제1층(118c)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제2층(119a, 119b)의 상면까지의 거리는 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제2보조댐부(ADP2)의 제1층(118d)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댐부(DP)의 제2층(119a, 119b)은 도 7의 스페이서(119)와 유사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부(DP)의 제2층(119a, 119b)은 표시 패널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마스크 시트에 의해 화소회로층(PCL) 및 표시요소층(DEL) 중 적어도 하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댐부(DP)의 제2층(119a, 119b)은 마스크 시트와 접촉하여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댐부(DP)의 제2층(119a, 119b)이 형상이 변형된 경우, 제1무기봉지층(310)은 댐부(DP)의 제2층(119a, 119b)의 변형된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리어 특성이 약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댐부(DP) 사이에 제1보조댐부(ADP1) 및 제2보조댐부(ADP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보조댐부(ADP1)의 두께 및 제2보조댐부(ADP2)의 두께는 댐부(DP)의 두께보다 얇기 때문에, 마스크 시트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무기봉지층(310)은 평탄한 제1보조댐부(ADP1)의 상면 및 제2보조댐부(ADP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외기 또는 수분이 유기발광다이오드로 도달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제1무기봉지층(310)의 배리어 특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보조댐부(ADP1) 및 제2보조댐부(ADP2)는 제1댐부(DP1) 및 제2댐부(DP2)와 유사하게 스페이서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보조댐부(ADP1) 및 제2보조댐부(ADP2)는 댐부(DP)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 및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를 덮을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박막봉지층(TFE)이 제1무기봉지층(310), 유기봉지층(320), 및 제2무기봉지층(33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로부터 제1댐부(DP1)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박막봉지층(TFE)은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으로부터 제2댐부(DP2)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무기봉지층(310)은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전체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무기봉지층(310)은 제1그루브(Gv1), 제1보조댐부(ADP1), 제4그루브(Gv4), 제1댐부(DP1), 제2그루브(Gv2), 제2댐부(DP2), 제3그루브(Gv3), 제2보조댐부(ADP2), 및 제5그루브(Gv5)에서 전체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무기봉지층(310)은 그루브(Gv) 내부에 배치된 제1기능층패턴(212Pa), 제2기능층패턴(212Pc), 및 대향전극패턴(213P)을 덮을 수 있다. 제1무기봉지층(310)은 무기패턴층(PVX2)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무기봉지층(310)은 무기패턴층(PVX2) 중 돌출팁(PT)과 접촉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댐부(DP)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봉지층(320)은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로부터 제1댐부(DP1)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제1그루브(Gv1) 및/또는 제4그루브(Gv4)를 채울 수 있다. 또한, 유기봉지층(320)은 중간 유기발광다이오드(MOLED)로부터 제2댐부(DP2)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제3그루브(Gv3) 및/또는 제5그루브(Gv5)를 채울 수 있다. 즉, 유기봉지층(320)은 제1댐부(DP1) 및 제2댐부(DP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제2그루브(Gv2)에는 유기봉지층(320)이 채워지지 않을 수 있다.
제2무기봉지층(330)은 제1무기봉지층(310)과 마찬가지로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에 전체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무기봉지층(330)은 제1댐부(DP1) 및 제2댐부(DP2)에서 제1무기봉지층(31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무기봉지층(330)은 제2그루브(Gv2)에서 제1무기봉지층(310)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봉지층(320)은 댐부(DP)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도 9a 및 도 9b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의미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코너표시영역은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상에는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은 제2영역(LPA2)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은 제1영역(LPA1)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제1영역(LPA1)에서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에 제2관통부(PNP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영역(LPA2)에는 화소회로층(PCL), 표시요소층(DEL) 및 박막봉지층(TFE)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회로층(PCL)은 제2박막트랜지스터(TFT2), 제1연결배선(CL1), 제2연결배선(CL2), 무기절연층(IIL), 제1절연층(115), 및 제2절연층(116)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요소층(DEL)은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LPA2) 상에는 제1그루브(Gv1), 제4그루브(Gv4), 및 제6그루브(Gv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그루브(Gv1) 및 제4그루브(Gv4) 사이에 제1보조댐부(ADP1)가 배치될 수 있고, 제4그루브(Gv4) 및 제6그루브(Gv6) 사이에 제1댐부(DP1)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100) 및 무기절연층(IIL)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절연층(115)은 제6그루브(Gv6)를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절연층(115)은 제6그루브(Gv6)를 기준으로 제1코너절연층(115C1) 및 제2코너절연층(115C2)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기절연층(IIL)도 제6그루브(Gv6)를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연결배선(CL2) 및 제2연결전극(CML2)은 제1절연층(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연결전극(CML2)은 제2연결배선(CL2)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결배선(CL2)은 제1코너절연층(115C1) 및 제2코너절연층(115C2)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배선(CL2)은 서로 마주보는 제1코너절연층(115C1)의 측면 및 제2코너절연층(115C2)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연결배선(CL2)은 제1코너절연층(115C1) 및 제2코너절연층(115C2) 사이에 노출된 제1연결배선(CL1)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배선(CL1) 및 제2연결배선(CL2)은 외부로부터 수분이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연결배선(CL2) 상에는 하부무기패턴층(PVX1)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무기패턴층(PVX1)은 제2연결배선(CL2) 상에서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하부무기패턴층(PVX1)들은 제2연결배선(CL2)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하부무기패턴층(PVX1) 중 어느 하나는 서로 마주보는 제1코너절연층(115C1)의 측면 및 제2코너절연층(115C2)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제1댐부(DP1)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에는 화소회로층(PCL), 표시요소층(DEL) 및 박막봉지층(TFE)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회로층(PCL)은 제2박막트랜지스터(TFT2), 제1연결배선(CL1), 제2연결배선(CL2), 무기절연층(IIL), 제1절연층(115), 및 제2절연층(116)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요소층(DEL)은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상에는 각각 제1그루브(Gv1) 및 제4그루브(Gv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그루브(Gv1) 및 제4그루브(Gv4) 사이에 제1보조댐부(ADP1)가 배치될 수 있고, 제4그루브(Gv4) 및 제2관통부(PNP2) 사이에는 제1댐부(DP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은 제2영역(LPA2)에서 제2관통부(PNP2)를 기준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무기절연층(IIL), 제1절연층(115), 제2절연층(116), 박막봉지층(TFE)은 제2관통부(PNP2)를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2은 도 8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9a 및 도 9b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의미하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모퉁이에 배치된 코너표시영역(CDA)을 포함하는 기판(100) 및 코너표시영역(CDA)에 배치된 제2박막트랜지스터(TFT2) 및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는 중간표시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이다.
코너표시영역(CDA)은 제1연장영역(LA1) 및 제1보조영역(AA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은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판(100)은 베이스층 및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은 차례로 적층된 제1베이스층(100a), 제1배리어층(100b), 제2베이스층(100c), 및 제2배리어층(10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은 베이스층 및 배리어층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장영역(LA1)은 제1베이스층(100a), 제1배리어층(100b), 제2베이스층(100c), 및 제2배리어층(100d)과 중첩할 수 있다.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 중 적어도 하나는 제1연장영역(LA1)에서 제1보조영역(AA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은 제1연장영역(LA1)으로부터 제1보조영역(AA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은 제1보조영역(AA1)에서 서로 컨택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과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은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과 중첩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으로부터 연장된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과 중첩될 수 있다. 제1배리어층(100b) 및 제2배리어층(100d)은 제1보조영역(AA1)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배리어층(100b) 및 제2배리어층(100d)은 제1보조영역(AA1)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배리어층(100b)의 단부는 제2배리어층(100d)의 단부보다 제1보조영역(AA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층은 제1보조영역(AA1)에서 상면을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베이스층(100c)은 제1보조영역(AA1)에서 제2베이스층(100c)의 상면(100cUS)을 노출할 수 있다.
제2보조영역(AA2)은 제1보조영역(AA1)과 제2관통부(PNP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2보조영역(AA2)은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베이스층(100c)의 상면(100cUS)은 제2보조영역(AA2)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2연결배선(CL2)은 제1연장영역(LA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결배선(CL2)은 제1절연층(115) 및 제2절연층(1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결배선(CL2)은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로 제2전원전압(ELVSS, 도 3 참조)을 공급할 수 있다.
제2절연층(116)은 제2연결배선(CL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컨택홀(CNT)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컨택홀(CNT)은 제1연장영역(LA1)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택홀(CNT)은 제1연장영역(LA1)에 배치된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들 중 중간표시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와 제1그루브(Gv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배선(CL2)은 대향전극(213)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배선(CL2)은 코너 유기발광다이오드(COLED)의 대향전극(213)에 제2전원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결배선(CL2) 및 대향전극(213)은 화소전극(21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화소전극패턴(211P)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화소전극패턴(211P)은 화소전극(211)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컨택홀(CNT)에 중첩할 수 있다. 화소전극패턴(211P)은 화소전극(211)이 형성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능층(212a) 및 제2기능층(212c)은 컨택홀(CNT)을 노출시키도록 컨택홀(CNT)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기능층(212a) 및 제2기능층(212c)은 제2연결배선(CL2)을 노출하는 컨택홀(CNT)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화소전극패턴(211P)을 통해 연결되는 제2연결배선(CL2) 및 대향전극(213)은 낮은 저항을 유지할 수 있다. 제1기능층(212a) 및 제2기능층(212c)은 제1연장영역(LA1)의 전면에 형성되는 범위를 조절하여 연장영역(LA)의 말단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대향전극(213)은 제1연장영역(LA1)의 전면에 형성되는 범위를 조절하여 화소전극패턴(211P)과 중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그루브(Gv1) 및 제4그루브(Gv4) 내부의 대향전극패턴(213P)은 하부무기패턴층(PVX1) 또는 제1절연층(115)과 컨택되고, 무기패턴층(PVX2)의 돌출팁(PT)은 대향전극(213)과 컨택될 수 있다.
무기절연층(IIL), 제1절연층(115), 제2절연층(116), 표시요소층(DEL), 및 박막봉지층(TFE)은 제1연장영역(LA1)에 배치될 수 있다. 무기절연층(IIL)은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회로층(PCL) 및/또는 표시요소층(DEL)에 배치된 금속층은 제1보조영역(AA1) 및 제2보조영역(AA2)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연장영역(LA1)에는 표시 패널의 크랙을 방지하는 크랙댐(CD)이 배치될 수 있다. 크랙댐(CD)은 제1연장영역(LA1)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k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모퉁이(CN)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k는 도 4의 V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k에 있어서, 도 5a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의미하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a 내지 도 13k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모퉁이(CN)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패널에 포함되는 기판은 전면표시영역(FDA), 제1측면표시영역(SDA1), 제2측면표시영역(SDA2),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표시영역(FDA)에는 제1화소(PX1)가 배치될 수 있고, 코너표시영역(CDA)에는 제2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중간표시영역(MDA)에는 제3화소(PX3)가 배치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표시 패널의 모퉁이(CN)에 배치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연장영역(LA), 보조영역(AA),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영역(LA), 보조영역(AA),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에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보조영역(AA2)은 제2연장영역(LA2)에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1연장영역(LA1)이 연장되는 방향은 제1보조영역(AA1)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장영역(LA1)은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 및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은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연장영역(LA2)이 연장되는 방향은 제2보조영역(AA2)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영역(AA)들이 연장되는 방향은 보조영역(AA)들의 단부를 이은 가상의 선(IML)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선(IML)은 제1보조영역(AA1)의 단부에서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1보조영역(AA1)은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제1보조영역(AA1)의 폭(AAd1)은 제2보조영역(AA2)의 폭(AAd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의 폭(AAd1)은 제1보조영역(AA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1보조영역(AA1)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제2보조영역(AA2)의 폭(AAd2)은 제2보조영역(AA2)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2보조영역(AA2)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즉, 제1보조영역(AA1)은 제2보조영역(AA2)보다 제1인접영역(ADA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보조영역(AA1)의 폭(AAd1)은 제2보조영역(AA2)의 폭(AAd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복수의 연장영역(LA)들은 제3연장영역(LA3) 및 제4연장영역(L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연장영역(LA3) 및 제4연장영역(LA4)은 제2연장영역(LA2)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보조영역(AA3)은 제3연장영역(LA3)에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보조영역(AA4)은 제4연장영역(LA4)에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보조영역(AA3)의 길이(L3)는 제4보조영역(AA4)의 길이(L4)보다 작을 수 있다. 제3보조영역(AA3)의 길이(L3)는 제3연장영역(LA3)의 단부로부터 제3보조영역(AA3)의 단부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제4보조영역(AA4)의 길이(L4)는 제4연장영역(LA4)의 단부로부터 제4보조영역(AA4)의 단부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제3보조영역(AA3)의 폭(AAd3)은 제4보조영역(AA4)의 폭(AAd4)보다 작을 수 있다. 제3보조영역(AA3)의 폭(AAd3)은 제3보조영역(AA3)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3보조영역(AA3)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제4보조영역(AA4)의 폭(AAd4)은 제4보조영역(AA4)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4보조영역(AA4)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따라서, 제3보조영역(AA3)의 길이(L3) 및 제4보조영역(AA4)의 길이(L4)가 상이하더라도, 제3보조영역(AA3) 및 제4보조영역(AA4)의 영률(Young's modulus)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3d를 참조하면, 보조영역(AA)의 폭은 연장영역(LA)으로부터 보조영역(A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영역(AA) 및 연장영역(LA)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보조영역(AA)의 폭(AAd-1)은 보조영역(AA)의 단부에서 보조영역(AA)의 폭(AAd-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3e를 참조하면, 보조영역(AA)의 폭은 연장영역(LA)으로부터 보조영역(A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영역(AA) 및 연장영역(LA)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보조영역(AA)의 폭(AAd-1)은 보조영역(AA)의 단부에서 보조영역(AA)의 폭(AAd-2)보다 클 수 있다.
도 13f를 참조하면, 보조영역(AA)의 폭은 연장영역(LA)으로부터 보조영역(A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커진 후 다시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영역(AA)의 어느 중간에서의 폭(AAd-3)은 보조영역(AA) 및 연장영역(LA)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보조영역(AA)의 폭(AAd-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보조영역(AA)의 어느 중간에서의 폭(AAd-3)은 보조영역(AA)의 단부에서 보조영역(AA)의 폭(AAd-2)보다 클 수 있다.
도 13g를 참조하면, 보조영역(AA)의 폭은 연장영역(LA)으로부터 보조영역(A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작아진 후 다시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영역(AA)의 어느 중간에서의 폭(AAd-3)은 보조영역(AA) 및 연장영역(LA)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보조영역(AA)의 폭(AAd-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보조영역(AA)의 어느 중간에서의 폭(AAd-3)은 보조영역(AA)의 단부에서 보조영역(AA)의 폭(AAd-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3d 내지 도 13g에 도시된 같이 보조영역(AA)의 형상에 따라 제2관통부(PNP2)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3h를 참조하면,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에 각각 연결된 제1부분(AA1-1) 및 제2부분(AA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i를 참조하면, 제1부분(AA1-1) 및 제2부분(AA1-2)은 연결부분(CAA)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부분(AA1-1) 및 제2부분(AA1-2)은 복수의 연결부분(CAA)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보조영역(AA1)은 사다리 형상일 수 있다.
도 13j를 참조하면, 제1보조영역(AA1)은 적어도 2회 이상 연장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으로부터 구불구불하게(serpentine)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조영역(AA1)은 정현 곡선(sine curve)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3k를 참조하면,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에 각각 연결된 제1부분(AA1-1) 및 제2부분(AA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AA1-1) 및 제2부분(AA1-2)은 각각 적어도 2회 이상 연장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제1부분(AA1-1) 및 제2부분(AA1-2)은 제1연장영역(LA1)으로부터 구불구불하게(serpentine) 연장될 수 있다.
제1부분(AA-1) 및 제2부분(AA1-2)은 연결부분(CAA)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부분(AA1-1) 및 제2부분(AA1-2)은 복수의 연결부분(CAA)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모퉁이(CN)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4의 V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도 5a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의미하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모퉁이(CN)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패널에 포함되는 기판은 전면표시영역(FDA), 제1측면표시영역(SDA1), 제2측면표시영역(SDA2),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표시영역(FDA)에는 제1화소(PX1)가 배치될 수 있고, 코너표시영역(CDA)에는 제2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중간표시영역(MDA)에는 제3화소(PX3)가 배치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표시 패널의 모퉁이(CN)에 배치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연장영역(LA) 및 보조영역(A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영역(LA) 및 보조영역(AA)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도 14의 실시예는 도 5a의 실시예의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이 생략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에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보조영역(AA2)은 제2연장영역(LA2)에 연결되며,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에 압축 변형이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코너표시영역(CDA)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연장영역(LA)들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XV-X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XVI-X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XVII-X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패턴층(P)을 지지기판(SS) 상에 형성할 수 있다. 패턴층(P)은 제조된 표시 패널 및/또는 표시 장치에서 모퉁이(CN)와 중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기판(SS)은 지지기판(SS)의 상면(SSUS) 및 지지기판(SS)의 하면(SSLS)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판(SS)의 상면(SSUS)에는 패턴층(P)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기판(SS)의 하면(SSLS)은 지지기판(SS)의 상면(SSUS)과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지지기판(SS)은 제조된 표시 패널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와 강성을 갖는 물질로, 예를 들어, 글래스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층(P)은 복수개로 지지기판(SS)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층(P)은 서로 이격된 제1패턴층(P1), 제2패턴층(P2), 및 제3패턴층(P3)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층(P)은 특정 형상을 갖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패턴층(P)의 형상은 예시일 뿐이며, 패턴층(P)의 형상은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패턴층(P)은 후술할 기판(100)을 지지기판(SS)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레이저를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턴층(P)은 300nm의 파장대 근방에서 90% 이상의 흡수율(또는 10% 이하의 투과율)을 구비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층(P)은 비정질실리콘(a-Si), 폴리실리콘(Poly-Si), 결정질실리콘(Crystalline-Si), ZnO, IZO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장이 308nm인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308nm 파장에서는 비정질실리콘(a-Si)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층(P)은 패턴층(P)을 형성하는 물질을 지지기판(SS) 상에 도포한 후,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지지기판(SS) 상에 기판층(100L)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층(100L)은 패턴층(P)을 덮으며 형성될 수 있다. 기판층(100L)은 차례로 적층된 제1베이스층(100a), 제1배리어층(100b), 제2베이스층(100c), 및 제2배리어층(10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 중 적어도 하나는 패턴층(P)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은 제1배리어층(100b)의 단부 및/또는 제2배리어층(100d)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패턴층(P)과 중첩할 수 있다. 이 때,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은 서로 컨택될 수 있다. 제2베이스층(100c)의 상면(100cUS)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배리어층(100b) 및 제2배리어층(100d)은 패턴층(P)과 이격될 수 있다. 제1배리어층(100b) 및 제2배리어층(100d)은 패턴층(P)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기판층(100L)을 식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층(100L)은 패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층(100L)은 제2패턴층(P2)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각될 수 있다. 기판층(100L)은 제3패턴층(P3)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은 패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각될 수 있다. 이 때, 식각은 건식 식각 및/또는 습식 식각일 수 있다.
기판층(100L)을 식각하여 개구부(OP)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기판층(100L)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층(100L)은 제1개구부(OP1), 제2개구부(OP2), 및 제3개구부(O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구부(OP1), 제2개구부(OP2), 및 제3개구부(OP3)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폐곡선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개구부(OP1), 제2개구부(OP2), 및 제3개구부(OP3)는 각각 폐곡선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OP)는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패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7a에서 제1개구부(OP1), 제2개구부(OP2), 및 제3개구부(OP3)는 각각 제1패턴층(P1)의 가장자리, 제2패턴층(P2)의 가장자리, 및 제3패턴층(P3)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개구부(OP)는 기판층(100L)을 더미패턴(DMP) 및 외곽영역(OTA)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더미패턴(DMP)은 패턴층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개구부(OP)에 둘러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더미패턴(DMP)은 제1베이스층(100a)의 일부 및 제2베이스층(100c)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패턴(DMP)은 제1베이스층(100a)의 일부 및 상기 제1베이스층(100a)의 일부 상에 배치된 제2베이스층(10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더미패턴(DMP1)은 제1패턴층(P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개구부(OP1)에 둘러싸일 수 있다. 제2더미패턴(DMP2)은 제2패턴층(P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개구부(OP2)에 둘러싸일 수 있다. 제3더미패턴(DMP3)은 제3패턴층(P3)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개구부(OP3)에 둘러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부(OP)는 패턴층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부(OP)는 패턴층을 전체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더미패턴(DMP)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구부(OP)가 기판층(100L)을 더미패턴(DMP) 및 외곽영역(OTA)으로 분리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외곽영역(OTA)은 개구부(OP)를 둘러쌀 수 있다. 외곽영역(OTA)은 연장영역(LA), 가이드영역(GA), 연결영역(CA-1), 전면표시영역(FDA), 제1측면표시영역(SDA1), 제2측면표시영역(SDA2),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영역(LA)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영역(LA)은 인접한 개구부(OP)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장영역(LA1)은 제1개구부(OP1) 및 제2개구부(OP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연장영역(LA2)은 제2개구부(OP2) 및 제3개구부(OP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연장영역(LA)들은 개구부(OP)에 의해 적어도 일부 분리될 수 있다.
연결영역(CA-1)은 복수의 연장영역(LA)들과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영역(CA-1)은 복수의 개구부(OP)들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연장영역(LA)들과 대향할 수 있다. 연결영역(CA-1)은 복수의 개구부(OP)들을 각각 적어도 일부 둘러쌀 수 있다. 연결영역(CA-1)은 복수의 개구부(OP)들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전면표시영역(FDA) 및/또는 중간표시영역(MDA)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영역(LA) 및 연결영역(CA-1) 사이에는 가이드영역(GA)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영역(GA)은 연장영역(LA) 및 연결영역(CA-1)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영역(GA)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영역(GA)들은 각각 복수의 연장영역(LA)들을 연결영역(CA-1)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영역(GA1)은 제1연장영역(LA1)을 연결영역(CA-1)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가이드영역(GA2)은 제2연장영역(LA2)을 연결영역(CA-1)으로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영역(GA)은 서로 마주보는 개구부(OP)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영역(GA1)은 제1개구부(OP1) 및 제2개구부(OP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가이드영역(GA2)은 제2개구부(OP2) 및 제3개구부(OP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개구부(OP)가 폐곡선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연장영역(LA)은 가이드영역(GA)을 통해 연결영역(CA-1)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제1연장영역(LA1) 상에 화소회로층(PCL)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회로층(PCL)은 버퍼층(111), 무기절연층(IIL), 제1절연층(115), 및 제2절연층(1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소회로층(PCL)은 제2박막트랜지스터(TFT2), 제2연결배선(CL2), 및 제2연결전극(CML2)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무기패턴층(PVX2), 제1그루브(Gv1), 제5그루브(Gv5), 제1보조댐부(ADP1), 및 제1댐부(DP1)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회로층(PCL)을 형성한 후, 개구부(OP)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베이스층(100c)의 상면(100cUS)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만을 식각하여 개구부(OP)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화소회로층(PCL) 상에 표시요소층(DEL) 및 박막봉지층(TFE)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기능층(212a), 제2기능층(212c), 대향전극(213), 제1무기봉지층(310), 및 제2무기봉지층(330)은 제1연장영역(LA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능층(212a), 제2기능층(212c), 대향전극(213), 제1무기봉지층(310), 및 제2무기봉지층(330)은 제1가이드영역(GA1) 및 제2가이드영역(GA2)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영역(GA)에서 제2베이스층(100c)의 상면(100cUS)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OP)는 제1기능층(212a), 제2기능층(212c), 및 대향전극(213)이 형성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OP)는 제1무기봉지층(310) 및 제2무기봉지층(330)이 형성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능층(212a), 제2기능층(212c), 대향전극(213), 제1무기봉지층(310), 및 제2무기봉지층(330)은 기판층(100L) 전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층들이 형성되기 전에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을 식각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외곽영역(OTA)을 지지기판(SS)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층(100L)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탈착 방식(Laser Release)에 따라 외곽영역(OTA)과 지지기판(SS)을 분리시킬 수 있다. 레이저는 지지기판(SS)의 하면(SSLS)에서 지지기판(SS)의 상면(SSUS)으로의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는 지지기판(SS)의 상면(SSUS)과 마주보는 기판층(100L)의 하면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는 예를 들어, 파장이 308nm인 엑시머 레이저, 파장이 343nm, 또는 파장이 355nm인 고체 UV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미패턴(DMP) 하부에는 패턴층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레이저를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더미패턴(DMP2) 하부에는 제2패턴층(P2)이 배치되어 레이저를 흡수할 수 있으며, 제3더미패턴(DMP3) 하부에는 제3패턴층(P3)이 배치되어 레이저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가 조사되더라도, 더미패턴(DMP)은 지지기판(SS)에 탈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더미패턴(DMP)은 지지기판(SS)에 잔존할 수 있다.
외곽영역(OTA)이 지지기판(SS)으로부터 분리될 때, 가이드영역(GA)은 연장영역(LA)을 연결영역(CA-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만약 가이드영역(GA)이 생략되어 연장영역(LA)이 연결영역(CA-1)에 이격되어 있는 경우, 외곽영역(OTA)이 지지기판(SS)으로부터 분리될 때, 복수의 연장영역(LA)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도하지 않은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장영역(LA1)에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발생한 경우, 제1연장영역(LA1)은 다른 복수의 연장영역(LA)들과 상이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연장영역(LA)들 사이의 간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연장영역(LA1)이 다른 복수의 연장영역(LA)들과 다르게 시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영역(OTA)이 지지기판(SS)으로부터 분리될 때, 가이드영역(GA)이 연장영역(LA)을 연결영역(CA-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곽영역(OTA)을 지지기판(SS)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연장영역(LA)이 손상되거나 의도하지 않는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제1가이드영역(GA1) 및 제2가이드영역(GA2) 사이의 제2거리(d2-1)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의 제1거리(d1-1)보다 클 수 있다. 제1거리(d1-1)는 서로 마주보는 제1연장영역(LA1)의 가장자리 및 제2연장영역(LA2)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제2거리(d2-1)는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드영역(GA1)의 가장자리 및 제2가이드영역(GA2)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제1가이드영역(GA1) 및 제2가이드영역(GA2) 사이의 제2거리(d2-1)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의 제1거리(d1-1)보다 크므로, 연장영역(LA)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외곽영역(OTA)이 가이드영역(GA)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패턴층(P) 상에 배치된 기판층(100L)은 하나의 더미패턴(DMP)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연장영역(LA)들을 지지기판(SS)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인접한 연장영역(LA)들 사이에 배치된 더미패턴(DMP)의 일부가 지지기판(SS) 상에 잔존하지 않고, 연장영역(LA)들과 함께 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연장영역(LA)들 중 일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장영역(LA)들 구부릴 때 압축 변형이 높게 발생하여 연장영역(LA)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곽영역(OTA)이 가이드영역(GA)을 포함함으로써, 패턴층(P) 상에 배치된 기판층(100L)은 복수의 더미패턴(DMP)들로 분리될 수 있다. 외곽영역(OTA)이 탈착될 때 발생하는 응력은 복수의 더미패턴(DMP)들로 각각 분산될 수 있으며, 제1연장영역(LA1)의 단부 및 제2연장영역(LA2)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 더미패턴(DMP)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가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곽영역(OTA)이 지지기판(SS)으로부터 탈착될 때, 인접한 연장영역(LA)들 사이에 배치된 더미패턴(DMP)의 일부가 지지기판(SS)에 잔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장영역(LA)들 사이에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코너표시영역을 구부릴 때 압축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코너표시영역이 손상됨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연장영역(LA2) 및 제1가이드영역(GA1) 사이의 제3거리(d3-1)는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의 제1거리(d1-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3거리(d3-1)는 제1가이드영역(GA1) 및 제2가이드영역(GA2) 사이의 제2거리(d2-1)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3거리(d3-1)는 서로 마주보는 제2연장영역(LA2)의 가장자리 및 제1가이드영역(GA1)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제2관통부(PNP2)의 크기가 가이드영역(GA)에서 연장영역(LA)의 방향으로 단계적 및/또는 점차적으로 감소되므로, 외곽영역(OTA)이 탈착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이드영역(GA1) 및 제2가이드영역(GA2) 사이 및 제1연장영역(LA1) 및 제2연장영역(LA2) 사이에 형성된 구성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연결영역(CA-1)을 적어도 일부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영역(CA-1)을 커팅라인(CUL)을 따라 커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영역(CA-1)은 커팅라인(CUL)을 따라 레이저 커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영역(CA-1)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때, 가이드영역(GA)의 일부도 제거될 수 있다. 가이드영역(GA)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제1베이스층(100a) 및 제2베이스층(100c)과 중첩하고,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제1배리어층(100b) 및 제2배리어층(100d)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쉽게 커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곽영역(OTA)이 가이드영역(GA)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연장영역(LA)이 공정 간 박리되거나, 인접한 연장영역(LA)들 사이의 간격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영역(GA)의 연장 방향은 연장영역(LA)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영역(GA)의 연장 방향은 연장영역(LA)의 연장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영역(GA1)의 폭은 제2가이드영역(GA2)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영역(GA1)의 폭은 제2가이드영역(GA2)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영역(GA1)의 길이는 제2가이드영역(GA2)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영역(GA1)의 폭은 제2가이드영역(GA2)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가이드영역(GA1)의 영률은 제2가이드영역(GA2)의 영률과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영역(GA)의 폭은 연장영역(LA)으로부터 연결영역(CA-1)으로의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영역(GA)의 폭은 연장영역(LA)으로부터 연결영역(CA-1)으로의 방향을 따라 커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영역(GA)의 폭은 연장영역(LA)으로부터 연결영역(CA-1)으로의 방향을 따라 작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영역(GA)의 폭은 연장영역(LA)으로부터 연결영역(CA-1)으로의 방향을 따라 커진 후 다시 작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영역(GA)의 폭은 연장영역(LA)으로부터 연결영역(CA-1)으로의 방향을 따라 작아진 후 다시 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영역(GA1)은 제1연장영역(LA1)에 각각 연결된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은 연결부분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가이드영역(GA1)은 사다리 형상일 수 있다. 제1가이드영역(GA1)이 사다리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 제1가이드영역(GA1)은 제1연장영역(LA1) 및 연결영역(CA-1)을 지지하면서, 레이저 커팅에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영역(GA)은 적어도 2회 이상 연장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가이드영역(GA)은 연장영역(LA)으로부터 구불구불하게(serpentine)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영역(GA)은 정현 곡선(sine curve)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영역(GA)이 적어도 2회 이상 연장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공정 중 외부 충격이 가이드영역(GA)을 통해 연장영역(LA)으로 전달됨은 완화시킬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레이저 커팅된 가이드영역(GA)은 표시 패널에 연장영역(LA)과 연결된 보조영역(AA)으로 잔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영역(GA1)은 레이저 커팅되어 제1연장영역(LA1)과 연결된 제1보조영역(AA1)으로 잔존할 수 있다. 제2가이드영역(GA2)은 레이저 커팅되어 제2연장영역(LA2)과 연결된 제2보조영역(AA2)으로 잔존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을 구부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의 모퉁이(CN)와 중첩하는 코너표시영역(CDA)을 구부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너표시영역(CDA)은 제3곡률반지름(R3)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너표시영역(CDA)은 표시 패널(10) 하부에 가이드 필름을 배치하고, 진공 상태에서 구부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너표시영역(CDA)은 열 성형 방식으로 구부릴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표시 패널(10) 상에 커버 윈도우(CW)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은 커버 윈도우(CW)에 합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 및 커버 윈도우(CW)는 광학 투명 접착제(미도시)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커버 윈도우(CW)에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으로 합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CW)를 표시 패널(10)의 코너표시영역(CDA)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모퉁이(CN)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4에 있어서, 도 5a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의미하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4의 실시예는 코너표시영역(CDA)이 연결영역(CA)을 더 포함하는 차이가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모퉁이(CN)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패널에 포함되는 기판은 전면표시영역(FDA), 제1측면표시영역(SDA1), 제2측면표시영역(SDA2),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표시영역(FDA)에는 제1화소(PX1)가 배치될 수 있고, 코너표시영역(CDA)에는 제2화소(PX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중간표시영역(MDA)에는 제3화소(PX3)가 배치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표시 패널의 모퉁이(CN)에 배치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연장영역(LA), 보조영역(AA), 제1인접영역(ADA1), 제2인접영역(ADA2), 및 연결영역(C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영역(LA), 보조영역(AA), 제1인접영역(ADA1), 및 제2인접영역(ADA2)은 전면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영역(CA)은 복수의 연장영역(LA)들과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영역(CA)은 제1인접영역(ADA1), 제2인접영역(ADA2), 및 복수의 보조영역(AA)들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영역(LA) 및 연결영역(CA) 사이에는 보조영역(AA)이 배치될 수 있다. 보조영역(AA)은 연장영역(LA) 및 연결영역(CA)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보조영역(AA)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보조영역(AA)들은 각각 복수의 연장영역(LA)들을 연결영역(CA)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조영역(AA1)은 제1연장영역(LA1)을 연결영역(CA)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보조영역(AA2)은 제2연장영역(LA2)을 연결영역(CA)과 연결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제1보조영역(AA1), 제1인접영역(ADA1), 및 연결영역(CA) 사이에서 제1관통부(PNP1-1)가 정의될 수 있다. 제1관통부(PNP1-1)는 제1연장영역(LA1)의 가장자리 중 일부, 제1보조영역(AA1)의 가장자리 중 일부, 제1인접영역(ADA1)의 가장자리 중 일부, 및 연결영역(CA)의 가장자리의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제1관통부(PNP1-1)는 제1연장영역(LA1), 제1보조영역(AA1), 제1인접영역(ADA1), 및 연결영역(CA)에 둘러싸일 수 있다. 제1관통부(PNP1-1)는 표시 패널을 관통할 수 있다.
제1연장영역(LA1), 제2연장영역(LA2), 제1보조영역(AA1), 제2보조영역(AA2), 및 연결영역(CA) 사이에서 제2관통부(PNP2-1)가 정의될 수 있다. 제2관통부(PNP2-1)는 제1연장영역(LA1)의 가장자리 중 일부, 제2연장영역(LA2)의 가장자리 중 일부, 제1보조영역(AA1)의 가장자리 중 일부, 제2보조영역(AA2)의 가장자리 중 일부, 및 연결영역(CA)의 가장자리의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제2관통부(PNP2-1)는 제1연장영역(LA1), 제1보조영역(AA1), 제2연장영역(LA2), 제2보조영역(AA2), 및 연결영역(CA)에 둘러싸일 수 있다. 제2관통부(PNP2-1)는 제1관통부(PNP1-1)와 유사하게 표시 패널을 관통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5에 있어서, 도 2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의미하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연결영역(CA-1)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커팅라인(CUL)은 가이드영역(GA)과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영역(CA-1)의 일부는 잔존할 수 있으며, 연결영역(CA-1)의 일부는 제1인접영역(ADA1), 제2인접영역(ADA2), 및 보조영역(AA)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DMP: 더미패턴
GA1, GA2: 제1가이드영역, 제2가이드영역
OP1, OP2: 제1개구부, 제2개구부
R1, R2: 제1곡률반지름, 제2곡률반지름
PNP1, PNP1-1: 제1관통부
PNP2, PNP2-1: 제2관통부
AA1, AA2: 제1보조영역, 제2보조영역
LA1, LA2: 제1연장영역, 제2연장영역
ADA1: 제1인접영역
P1, P2: 제1패턴층, 제2패턴층
CA, CA-1: 연결영역
1: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100: 기판
100L: 기판층

Claims (26)

  1. 모퉁이(corner)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있어서,
    전면표시영역 및 상기 모퉁이에 배치되는 코너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코너표시영역에 배치된 표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연장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리어층이 적층되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1연장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제1보조영역과 이격된, 표시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과 인접한 인접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접영역과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정의된, 표시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상기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보조영역 사이에는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2관통부가 정의된, 표시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영역 및 상기 제2보조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 사이의 거리보다 큰, 표시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영역의 폭은 상기 제1보조영역의 폭보다 큰, 표시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영역은 상기 제1연장영역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표시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영역은 상기 제1연장영역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 표시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영역의 연장 방향은 적어도 2회 이상 변경된, 표시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과 인접한 인접영역, 및
    상기 인접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을 연결하는 연결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접영역, 상기 제1연장영역, 상기 제1보조영역, 및 상기 연결영역에 둘러싸이고,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정의된, 표시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요소는 상기 제1연장영역에서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표시요소들은 상기 제1연장영역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패널.
  11. 모퉁이(corner)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전면표시영역 및 상기 모퉁이에 배치되어 구부러지는 코너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코너표시영역에 배치된 표시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연장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영역의 폭은 상기 제1연장영역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과 인접한 인접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상기 인접영역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정의된,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상기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보조영역 사이에는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2관통부가 정의된, 표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1연장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제1보조영역과 이격된, 표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과 인접한 인접영역, 및
    상기 인접영역 및 상기 제1보조영역을 연결하는 연결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접영역, 상기 제1연장영역, 상기 제1보조영역, 및 상기 연결영역에 둘러싸이고,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정의된, 표시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전면표시영역과 제1방향으로 연결되며, 제1곡률반지름을 가지며 구부러지는 제1측면표시영역 및
    상기 전면표시영역과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곡률반지름과 상이한 제2곡률반지름을 가지며 구부러지는 제2측면표시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제1측면표시영역 및 상기 제2측면표시영역 사이에서 상기 전면표시영역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며 배치된, 표시 장치.
  17. 모퉁이(corner)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지기판 상에 상기 모퉁이와 중첩하도록 제1패턴층 및 제2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기판 상에 기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층을 상기 제1패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각하여 폐곡선 형상을 구비한 제1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층을 상기 제2패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각하여 상기 제1개구부와 이격되고 폐곡선 형상을 구비한 제2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층 중 상기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개구부를 둘러싸는 외곽영역을 상기 지지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영역은,
    상기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영역,
    상기 제1연장영역과 대향하며, 상기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개구부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연결영역, 및
    상기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연결영역을 연결하는 제1가이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층은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영역은 상기 베이스층 및 상기 배리어층과 중첩하고,
    상기 제1가이드영역은 상기 베이스층과 중첩하며, 상기 배리어층과 이격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영역 상에 화소회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소회로층 상에 표시요소층 및 박막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을 적어도 일부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판 상에 상기 모퉁이와 중첩하도록 제3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층을 상기 제3패턴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각하여 폐곡선 형상으로 상기 외곽영역에 둘러싸인 제3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 및 상기 제2개구부와 이격되며,
    상기 외곽영역은,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개구부 및 상기 제3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연장영역과 상기 연결영역을 연결하는 제2가이드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영역 및 상기 제2가이드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 사이의 거리보다 큰,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영역을 상기 지지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기판층 중 상기 제1패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개구부에 둘러싸인 제1더미패턴은 상기 지지기판에 잔존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퉁이와 중첩하는 코너표시영역을 구부리는 단계; 및
    커버 윈도우를 상기 코너표시영역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6. 표시 패널에 있어서,
    전면표시영역,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측면표시영역,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측면표시영역, 및 상기 제1측면표시영역 및 상기 제2측면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된 코너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코너표시영역 상에 배치된 표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표시영역은,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영역,
    상기 제1연장영역의 일단에서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보다 작은 폭을 구비한 제1보조영역,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연장영역과 인접한 제2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의 일단에서 상기 전면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연장영역보다 작은 폭을 구비한 제2보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영역, 상기 제2연장영역, 상기 제1보조영역, 상기 제2보조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정의하며,
    상기 제1연장영역 및 상기 제2연장영역 사이에서 상기 관통부의 크기는 상기 제1보조영역 및 상기 제2보조영역 사이에서 상기 관통부의 크기보다 작은, 표시 패널.
KR1020200116098A 2020-09-10 2020-09-10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20034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98A KR20220034278A (ko) 2020-09-10 2020-09-10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17/344,150 US11569323B2 (en) 2020-09-10 2021-06-10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EP21191563.2A EP3968403A1 (en) 2020-09-10 2021-08-16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CN202111028314.9A CN114171557A (zh) 2020-09-10 2021-09-02 显示面板、显示装置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98A KR20220034278A (ko) 2020-09-10 2020-09-10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278A true KR20220034278A (ko) 2022-03-18

Family

ID=7736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098A KR20220034278A (ko) 2020-09-10 2020-09-10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69323B2 (ko)
EP (1) EP3968403A1 (ko)
KR (1) KR20220034278A (ko)
CN (1) CN1141715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1883B (zh) * 2020-09-16 2024-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3061B2 (en) * 2009-08-25 2013-11-26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791578B1 (ko) * 2011-02-17 2017-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6132503B2 (ja) * 2012-10-02 2017-05-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9844133B2 (en) 2015-12-21 2017-12-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stretchable sheet
KR102572720B1 (ko) 2016-05-03 2023-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7029894B2 (ja) 2017-07-11 2022-03-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90101270A (ko) 2018-02-22 2019-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 발광 소자 제조 방법
CN108766977B (zh) 2018-05-24 2021-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基板、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102627816B1 (ko) 2018-10-25 202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8638A (ko) 2018-11-19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63379A (ko) 2018-11-27 2020-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98742A (ko) * 2019-02-11 2020-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49279A (ko) * 2020-06-01 2021-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825684B2 (en) * 2020-06-04 2023-1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220030467A (ko) * 2020-09-01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69323B2 (en) 2023-01-31
EP3968403A1 (en) 2022-03-16
US20220077242A1 (en) 2022-03-10
CN114171557A (zh)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395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EP3920230A1 (en) Display panel
US20240179939A1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2022036777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246701A1 (en) Display device
US20240023390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EP3968403A1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20230074124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51634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20037548A (ko)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
KR20220014365A (ko) 표시 장치
US20220328569A1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display device
US2022021627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20220149303A1 (en)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apparatus
US20240040900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11849628B2 (en)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20240179974A1 (en) Bending area structure of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US2022020914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389398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3029258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40049738A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44703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30110422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