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481A - 와이어 그리퍼 - Google Patents

와이어 그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481A
KR20200060481A KR1020207012406A KR20207012406A KR20200060481A KR 20200060481 A KR20200060481 A KR 20200060481A KR 1020207012406 A KR1020207012406 A KR 1020207012406A KR 20207012406 A KR20207012406 A KR 20207012406A KR 20200060481 A KR20200060481 A KR 20200060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gripping
engaging
fix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022B1 (ko
Inventor
히로아키 미야사코
토모야 야마모토
코지 츠부카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그리핑 대상인 와이어형상체의 직경의 크기에 상관없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잠금 및 그 해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와이어 그리퍼(wire gripper)를 제공한다. 와이어 그리퍼(1)의 본체(2)의 상방(上方)에는, 전선의 일측면에 대어지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작동부(8)는 본체(2)에 대해 회동(回動)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나아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와 대향(對向)하는 위치에서 작동부(8)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는 나사축(12a)과 노브(12b)로 이루어지는 나사부(12)가, 시프트 지지부(14)를 시프트 조작하는 시프트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지지부(14)에는 걸림결합 핀(16)이 시프트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에는, 걸림결합 핀(16)과 걸림결합 가능한 후크(18)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후크(18)가 걸림결합 핀(16)에 걸림결합한 상태에서 노브(12b)를 돌려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측으로 끌어 당김으로써 잠금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와이어 그리퍼
[0001]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를 임시로 지지하거나, 통신케이블·전철 선로용 전선을 임시로 잡아당기는 작업 등, 장력이 발생하는 와이어형상체(線狀體)를 그리핑(gripping)하기 위한 와이어 그리퍼(wire gripper)에 관한 것이다.
[0002] 도 11은 종래의 와이어 그리퍼(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와이어 그리퍼(100)의 본체(101)측에는, 그리핑 대상인 와이어형상체(150)의 상방(上方)의 일측면에 대어지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102)가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01)에는, 지지축(105)에 의해 작동부(104)가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軸支)되어 있다. 나아가, 이 작동부(104) 상에는,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103)가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작동부(104)의 요동단(搖動端)에는, 작동부(104)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06)가 축지지되어 있다. 조작부(106)는,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장선기(張線器) 등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102)에 대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103)의 이격/접근(離接) 동작이, 작동부(104)를 통한 조작부(106)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작동부(104)의 캠 기구를 이용한 와이어 그리퍼(100)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0003]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와이어 그리퍼(100)에서는, 조작부(106)를 당기는 힘에 따라 와이어형상체(150)를 끼움지지(挾持)하는 힘이 변화한다. 따라서, 조작부(106)를 계속 당기고 있는 한, 와이어형상체(150)를 그리핑하는 힘이 계속 작용한다. 즉, 조작부(106)를 끌어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와이어형상체(150)를 끼움지지하는 힘이 소실되므로, 안정적으로 그리핑 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다.
[0004] 그 때문에, 도 11의 와이어 그리퍼(100)에서는, 일단 그리핑된 와이어형상체(150)가 어떠한 충격으로 인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103)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동부(104)가 회동(回動)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잠금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 기구는, 본체(10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암(雌)나사가 형성된 기대(基臺; 101a)에 나사결합된 나사축(107)의 선단(先端)을 작동부(104)의 측면에 부딪히게 함으로써, 작동부(104)의 개방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작부(106)에 불필요한 외력(外力)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와이어형상체(150)의 그리핑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242477호
[0006] 그러나, 도 11에 나타낸 와이어 그리퍼(100)의 잠금 구조에 있어서, 나사축(107)은, 작동부(104)의 요동 방향을 따라 나사식으로 진퇴(進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102) 및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103)의 사이로의 와이어형상체(150)의 출입에 수반하는 작동부(104)의 변동 폭에 따라, 나사축(107)을 크게 나사식으로 진퇴시킬 필요가 있다.
[0007] 또한, 안정된 잠금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을 얻기 위해서는, 잠금 위치는, 작동부(104)의 지지점(支點)으로부터 떨어져 있을수록 효과적이다. 그러나, 지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클수록, 작동부(104)의 변동 폭도 커지므로, 그에 맞추어 나사축(107)의 이동량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작업 효율은 현저히 저하된다.
[0008] 따라서, 본 발명은, 그리핑 대상인 와이어형상체의 직경의 크기에 상관없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잠금 및 그 해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와이어 그리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9]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는, 와이어형상체를 사이에 끼우도록 그리핑하는 와이어 그리퍼로서, 상기 와이어형상체의 일측면에 대어지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가 일체로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 조작 가능하게 축지지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와이어형상체의 타측면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대향하여 이격/접근 가능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와, 상기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및 상기 작동부 중 어느 일방(一方)과 상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와의 사이에서 서로 걸림결합 가능한 쌍을 구성하며, 적어도 일방이 걸림결합 상대에 대해 이격/접근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한 시프트 기구를 갖고 있는 걸림결합 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시프트 기구가, 상기 이격/접근 방향으로 나사식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설치(螺設)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결합 쌍의 일방을 지지하면서, 나사식으로 진퇴하는 상기 나사부와 일체가 되어 상기 이격/접근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한 시프트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걸림결합 쌍이, 상기 시프트 지지부에 지지된 걸림결합 핀과 상기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또는 상기 작동부에 축지지된 후크의 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걸림결합 쌍이, 상기 시프트 지지부에 축지지된 후크와 상기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또는 상기 작동부에 고정된 걸림결합 핀의 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3]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시프트 기구가, 상기 이격/접근 방향으로 나사식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및 상기 작동부 중 어느 일방에 설치(螺設)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결합 쌍의 일방을 지지하면서, 나사식으로 진퇴하는 상기 나사부와 일체가 되어 상기 이격/접근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한 시프트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걸림결합 쌍이, 상기 시프트 지지부에 지지된 걸림결합 핀과 상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축지지된 후크의 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걸림결합 쌍이, 상기 시프트 지지부에 축지지된 후크와 상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고정된 걸림결합 핀의 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6]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작동부의 회동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및 작동부 중 어느 일방과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와의 사이에 구성된 걸림결합 쌍에 의해, 양자(兩者)의 이격(離間)을 저지하여, 와이어형상체의 그리핑 상태를 안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걸림결합 쌍의 적어도 일방이 걸림결합 상대에 대해 이격/접근하는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걸림결합 쌍에 의한 걸림결합 상태를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그리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8]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대해 나사식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나사부에 의해 시프트 기구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치 맞춤의 미세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은 이동량으로 큰 힘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고, 걸림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0019]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측에서 걸림결합 핀을 근소하게 시프트시키는 것만으로 후크를 걸었다 풀었다 할 수가 있으므로, 단시간에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20]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측에서 후크를 근소하게 시프트시키는 것만으로, 걸림결합 핀에 대해 후크를 걸었다 풀었다 할 수가 있으므로, 단시간에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21]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또는 작동부에 대해 나사식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나사부에 의해 시프트 기구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치 맞춤의 미세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은 이동량으로 큰 힘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고, 걸림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0022]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또는 작동부측에서 걸림결합 핀을 근소하게 시프트시키는 것만으로 후크를 걸었다 풀었다 할 수가 있으므로, 단시간에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23]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또는 작동부측에서 후크를 근소하게 시프트시키는 것만으로, 걸림결합 핀에 대해 후크를 걸었다 풀었다 할 수가 있으므로, 단시간에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24]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작동부의 회동면과 후크의 회동면이 평행한 관계에 있으므로, 양자의 회동축을 공용(共用)으로 할 수가 있어, 부품 수가 적은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 그리퍼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시프트 기구가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 1의 와이어 그리퍼에 대한 복수의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 5는, 시프트 기구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또는 작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 1의 와이어 그리퍼에 대한 복수의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와이어 그리퍼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시프트 기구가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 6의 와이어 그리퍼에 대한 복수의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시프트 기구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또는 작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 6의 와이어 그리퍼에 대한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잠금 기구가 부착된 와이어 그리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002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27]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1)의 전체 사시도이다.
[0028] 대략 평판형(平板型)인 본체(2)의 상방에는, 그리핑 대상이 되는 와이어형상체인 전선(電線; 도시 생략)의 상방의 일측면에 대어지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의 하방에는, 작동부(8)가 지지축(9)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작동부(8)의 하방의 요동단에는 조작부(10)가 지지축(11)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부(10)를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부(8)의 요동 조작이 행해진다. 조작부(10)는, 본체(2)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구멍(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구멍(2a)을 따라 전후로 조작된다. 작동부(8)의 중간 위치에는, 전선의 하방의 타측면으로부터 대어지는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가,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와 대향하도록 하여 지지축(7)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작동부(8)는 조작부(10)에 의한 요동 조작에 의해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 기구를 구성하고 있어,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대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전선을 그리핑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조작부(10)를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동안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측으로 꽉 누르는 힘이 생긴다.
[0029]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에서는, 조작부(10)를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소실 또는 감소되면,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측으로 꽉 누르기 위한 충분한 힘을 잃어, 전선을 그리핑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1)는,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측에 고정시키는 잠금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부(10)에 가해지고 있던 힘이 소실되더라도, 그리핑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0030] 구체적으로는, 이 잠금 구조는, 나사부(12) 및 시프트 지지부(14)를 포함하는 시프트 기구와, 걸림결합 핀(16) 및 후크(18)에 의한 걸림결합 쌍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걸림결합 쌍의 일방(一方)의 구성인 후크(18)는,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작동부(8)에 대해 축지지하고 있는 지지축(7)을 공통의 축으로 하여, 작동부(8)의 회동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결합 쌍의 타방(他方)의 구성인 걸림결합 핀(16)은, 시프트 지지부(14)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잠금 구조의 동작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0031] 도 2는, 도 1의 와이어 그리퍼(1)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18)에는, 주연(周緣)의 일부에 노치(19)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축(7)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걸림결합 핀(16)과 걸림결합이 가능하다. 판 형상의 후크(18)가 걸림결합 핀(16)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적어도 전선을 수용 가능한 정도의 회동 범위에 있어서는, 작동부(8)의 회동에 규제는 없으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대해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다. 전선을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의 사이에 그리핑한 후, 후크(18)를 걸림결합 핀(16)에 걸림결합시키면, 열림 방향으로의 작동부(8)의 회동은 규제된다. 이와 같이, 단지 후크(18)를 걸림결합 핀(16)에 걸림결합시켰을 뿐인 상태를, 여기서는, 임시 잠금 상태라 부르기로 한다. 이러한 임시 잠금 상태라 하더라도,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의 측방은, 후크(18)에 의해 커버되므로, 그리핑한 전선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1)에서는, 더 나아가, 시프트 기구의 작용에 의해, 후크(18)를 완전한 잠금 상태로 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시프트 기구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0032]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와이어 그리퍼(1)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면(端面)만을 나타내고 있다.
[0033]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는, 나사축(12a)이 상하 방향(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대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의 이격/접근 방향)을 향해 설치(螺設)되어 있다. 나사축(12a)은, 상방의 노브(12b)를 잡고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나사축(12a)에는 걸림결합 핀(16)을 지지하는 단면(斷面)이 L자형인 시프트 지지부(14)가,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걸림결합 핀(16)은, 가이드를 위해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형성된, 상하로 연장되는 긴 구멍(4b) 내에, 선단을 끼워 넣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0034] 상기 구성에 의해, 노브(12b)를 회전 조작하여 나사축(12a)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걸림결합 핀(16)을 긴 구멍(4b)이 형성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들, 나사축(12a), 노브(12b), 시프트 지지부(14) 및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의 나사 구멍(4a)에 의해 시프트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0035] 이와 같이, 후크(18)를 근소한 각도만큼 회동시키면,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의 개방과 임시 잠금 상태를 신속하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0036] 나아가, 상기 임시 잠금 상태로부터, 걸림결합 핀(16)이 상승하도록 노브(12b)를 회전 조작하면, 걸림결합 핀(16)과 후크(18) 간의 걸림결합 상태가 강화되어, 완전한 잠금 상태가 된다. 이러한 완전한 잠금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노브(12b)의 회전 조작은, 걸림결합 핀(16)과 노치(19)(도 2 참조) 간의 틈새를 좁힐 만큼의 근소한 회전으로 충분하다.
[0037] 또한 여기서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걸림결합 핀(16)의 선단을 가이드하기 위한 긴 구멍(4b)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상기 긴 구멍(4b)은 필수적인 구조는 아니다.
[0038] 다만, 상기 긴 구멍(4b)이 형성되어 있으면, 시프트 지지부(14)를 시프트시킬 때 움직임이 안정될 뿐만 아니라, 노브(12b)를 조심성 없이 지나치게 돌림으로 인해 나사축(12a)이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로부터 탈락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39] 또한, 긴 구멍(4b) 내에 걸림결합 핀(16)의 선단을 끼워 넣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후크(18)의 두께 방향의 전역(全域)에 걸림결합 핀(16)을 걸림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프트 동작 시에, 걸림결합 핀(16)의 선단이 후크(18)로부터 풀어져 버리는 등의 불충분한 걸림결합도 방지할 수 있다.
[0040]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걸림결합 쌍의 잠금 조작에서는, 후크(18)의 회동에 의한 신속한 걸림결합과, 나사축(12a)을 근소하게 조여 넣는 동작에 의해 완료되므로, 효율적으로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와이어 그리퍼(1)의, 시프트 기구 및 걸림결합 쌍으로 이루어진 잠금 기구의 변형(variation)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0041] 도 4는, 시프트 기구가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복수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측에 시프트 기구를 가지는 구성 중, 도 4의 (a), (b)는 시프트 기구에 걸림결합 핀(16a, 16b)이 조합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반해, 도 4의 (c), (d)는 시프트 기구에 후크(18c, 18d)가 조합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프트 기구 및 걸림결합 쌍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림결합 핀(16a, 16b, 16c, 16d)은 흰색 동그라미로, 후크(18a, 18b, 18c, 18d)는 갈고리형(鉤型)의 화살표로 걸림결합 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시프트 방향은,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가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그려진 짧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후크(18a, 18b, 18c, 18d)의 회동의 지지점(7a, 7b, 7c, 7d)은, 갈고리형의 화살표의 단부(端部)에 검정색 동그라미로 표시되어 있다.
[0042] 도 4의 (a)는, 다른 변형예에 대한 비교를 위해 도 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걸림결합 핀(16), 후크(18), 지지축(7)으로서 나타낸 구성은, 도 4의 (a)에서는, 걸림결합 핀(16a), 후크(18a), 지지점(7a)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시프트 기구로서의 시프트 지지부(14)에 대해서는, 그 시프트 방향만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구체적인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0043] 후크(18a)는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측에 설치되고,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측에 걸림결합 핀(16a)이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기구에는 걸림결합 핀(16a)이 조합되어 있으므로, 걸림결합 후에 걸림결합 핀(16a)을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 후크(18a)를 완전한 잠금 상태로 할 수가 있다.
[0044] 또한, 여기서는, 후크(18a)의 지지점(7a)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작동부(8)에 축지지하고 있는 지지축(7)을 공용으로 한 도 1의 와이어 그리퍼(1)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작동부(8)의 요동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의 지지축(7)과 도 4의 (a)의 지지점(7a)이 일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도 1에 있어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작동부(8)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는 지지축(7)과는 별개의 구성(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지지점(7a)이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0045] 도 4의 (b)는, 작동부(8)에 후크(18b)가 축지지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걸림결합 핀(16b)은, 도 4의 (a)와 마찬가지로,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 상에 시프트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0046]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의 기울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후크(18b)의 축지지 위치는 작동부(8) 상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4의 (a)의 구성보다도 큰 회전 모멘트를 작동부(8)에 발생시키는 축지지 위치를,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시프트 동작이라 하더라도, 보다 큰 힘으로 잠금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47] 또한, 후크(18b)의 회전 반경이 큰 편일수록 시인성(視認性)이 향상되므로, 원격 위치로부터의 조작도 용이해진다.
[0048] 도 4의 (c)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후크(18c)가 축지지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걸림결합 핀(16c)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a), (b)와는 달리, 후크(18c)의 지지점(7c)이 시프트 기구와 조합되어 있고, 걸림결합 핀(16c)은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시프트 지지부(14)에 후크(18c)를 축지지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0049] 도 4의 (d)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후크(18d)가 축지지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도 4의 (c)와 동일하지만, 걸림결합 핀(16d)이 작동부(8) 상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상이하다.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걸림결합 핀(16d)의 위치를 작동부(8) 상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도 4의 (b)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시프트 동작에 대해, 보다 큰 힘으로 잠금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0] 도 5는, 시프트 기구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 또는 작동부(8)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복수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 또는 작동부(8)측에 시프트 기구를 가지는 구성 중, 도 5의 (a), (b)는 시프트 기구에 후크(18e, 18f)가 조합된 구성을 나타내고, 도 5의 (c), (d)는 시프트 기구에 걸림결합 핀(16g, 16h)이 조합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프트 기구 및 걸림결합 쌍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림결합 핀(16e, 16f, 16g, 16h)은 흰색 동그라미로, 후크(18e, 18f, 18g, 18h)는 갈고리형의 화살표로, 시프트 방향은,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의 이격 방향을 따라 그려진 짧은 화살표로, 후크(18e, 18f, 18g, 18h)의 회동의 지지점(7e, 7f, 7g, 7h)은 검정색 동그라미로 표시되어 있다.
[0051] 도 5의 (a)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걸림결합 핀(16e)이 고정되고,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 상의 지지점(7e)에 후크(18e)가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후크(18e)는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 상에서,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대한 이격/접근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걸림결합 핀(16e)과 임시적인 걸림결합이 가능한 위치까지 시프트 조작에 의해 지지점(7e)을 이동시켜 두고, 후크(18e)를 걸림결합시킨 후, 걸림결합 핀(16e)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시프트시킴으로써, 완전한 잠금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0052] 도 5의 (b)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걸림결합 핀(16f)이 고정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도 5의 (a)와 동일하지만, 후크(18f)가 시프트 가능하게 작동부(8)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도 4의 (b)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보다도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로부터 떨어진 작동부(8) 상에 후크(18f)의 지지점(7f)이 있으므로, 그 만큼 후크(18f)의 회동 반경은 커진다. 따라서,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원격 위치로부터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지점(7f)을, 작동부(8) 상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0053] 도 5의 (c)는,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에 걸림결합 핀(16g)이 고정되고,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후크(18g)가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후크(18g)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 상에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에 대한 이격/접근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 5의 (a)의 구성과 비교하면,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 및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에 대한 배치가 반대의 관계로 되어 있지만, 잠금 시의 끼움지지력에는 큰 차이는 없다. 후크(18g)가 아래로 늘어뜨려진 위치에 일치하도록 걸림결합 핀(16g)이 배치되어 있으면, 중력에 맡겨 후크(18g)를 아래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걸림결합 핀(16g)의 시프트 기구만을 조작하여 걸림결합 및 잠금 상태의 조여 넣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54] 도 5의 (d)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후크(18h)가 축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도 5의 (c)와 동일하지만, 걸림결합 핀(16h)이 작동부(8)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잠금을 위해 소요되는 조여 넣는 힘이 커지는 등, 후크(18h)의 회동 반경이 큰 도 5의 (b)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55]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모두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걸림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걸림결합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0056] 또한, 도 1의 걸림결합 핀(16) 및 후크(18)로 이루어진 걸림결합 쌍이나,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걸림결합 쌍에서는, 일방에만 시프트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걸림결합 쌍의 구성(걸림결합 핀, 후크)의 양방(兩方)에 시프트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0057] 또한, 도 1에서는, 나사축(12a)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에 일체로 시프트 지지부(14)가 설치된 시프트 기구의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나사축(12a)과 시프트 지지부(14)를 이송 나사 구조에 의한 시프트 기구로서 구성해도 상관없다.
[0058] (제2 실시형태)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21)의 전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21)는, 걸림결합 쌍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1)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와이어 그리퍼(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한다.
[0059] 도 6의 와이어 그리퍼(21)에서는, 노브(12b)의 회전 조작에 의해 나사식으로 진퇴하는 나사부(12)와 일체가 되어 시프트하는 시프트부(24)(시프트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프트부(24)와 나사부(12)의 나사축(12a) 간의 연결 구조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도 1의 시프트 지지부(14)와 나사축(12a) 간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연결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B-B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 8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0060] 시프트부(24)는, 나사축(12a)과 직접 연결된 고정편(固定片; 27)과, 상기 고정편(27)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요동편(搖動片; 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측에는, 도 6의 Y방향을 향해 걸림결합 클로(2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부(24)의 요동편(25)에는, 걸림결합 클로(28)가 걸림결합할 수 있는 걸림결합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요동편(25)과 걸림결합 클로(28)에 의해 걸림결합 쌍이 구성되어 있다.
[0061] 도 7에, 도 6의 와이어 그리퍼(21)의 동작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7에서는, 시프트부(24)의 요동편(25)이 대략 수평 위치까지 들어 올려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동편(25)을 들어 올려,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 사이의 측방(Y방향)을 개방함으로써, 전선의 출입이 가능한 상태가 형성된다. 요동편(25)을 회동 조작하는 것만으로 전선의 수용구(收容口)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결합 클로(28)가 요동편(25)의 걸림결합 구멍(26)에 끼워져 들어간 상태에서 나사부(12)의 노브(12b)를 근소하게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잠금 및 잠금의 해제가 가능하다. 여기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지 요동편(25)을 걸림결합 클로(28)에 걸림결합시켰을 뿐인 상태를, 임시 잠금 상태라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시프트 기구에 의해 요동편(25)을 시프트시켜서 걸림결합 클로(28)와 함께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측으로 끌어 당긴 상태를, 완전한 잠금 상태로 하여 구별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시프트 기구에 대해, 도 8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0062] 도 8에, 도 6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와이어 그리퍼(2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면(端面)만을 나타내고 있다.
[0063]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대해 나사축(12a)이 상하 방향(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대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의 이격/접근 방향)을 향해 설치(螺設)되어 있다. 나사부(12)는, 상방의 노브(12b)를 잡고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의 와이어 그리퍼(1)와 마찬가지이다.
[0064]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퍼(21)에서는, 시프트부(24)의 고정편(27)측이 나사축(12a)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편(27)에 대해, 걸림결합 쌍의 일방을 구성하는 요동편(25)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
[0065]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선을 수용한 후, 걸림결합 클로(28)에 걸림결합한 요동편(25)을, 나사축(12a)과 함께 상승시키면,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가 들어올려져, 그리핑된 전선을 세게 조이도록 잠글 수가 있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잠금에 필요한 이동량은, 요동편(25)의 걸림결합 구멍(26)과 걸림결합 클로(28) 간의 틈새를 좁히는 정도의 근소한 양이며, 잠금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어서, 와이어 그리퍼(21)의, 시프트 기구 및 걸림결합 쌍으로 이루어진 잠금 기구의 변형(variation)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66] 도 9는, 시프트 기구가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복수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측에 시프트 기구를 가지는 구성 중, 도 9의 (a), (b)는 시프트 기구에 걸림결합 클로(28a, 28b)가 조합된 구성을 나타내며, 도 9의 (c), (d)는 시프트 기구에 요동편(25c, 25d)이 조합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를 이용하여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프트 기구 및 걸림결합 쌍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림결합 클로(28a, 28b, 28c, 28d)는 흰색 동그라미로, 요동편(25a, 25b, 25c, 25d)은 갈고리형의 화살표로 걸림결합 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시프트 방향은,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가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그려진 짧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요동편(25a, 25b, 25c, 25d)의 각각과 힌지 결합된 지지점(27a, 27b, 27c, 27d)은 검정색 동그라미로 표시되어 있다.
[0067] 도 9의 (a)는, 요동편(25a)이 작동부(8) 상의 지지점(27a)에 축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편(25a)은, 작동부(8)의 요동면과 교차하는 방향(도 6에 나타낸 YZ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도 8에 있어서 나사축(12a) 및 노브(12b)로 이루어진 나사부(12)로서 나타낸 바와 같은 시프트 기구는, 여기서는, 걸림결합 클로(28a)와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도시 생략). 이 걸림결합 클로(28a)측이 걸림결합 상대인 요동편(25a)을 끌어 당김으로써, 완전한 잠금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0068] 도 9의 (b)는, 작동부(8) 상의 지지점(27b)에 요동편(25b)이 축지지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요동편(25b)은, 도 9의 (a)와 마찬가지로,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 상에 시프트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를 축지지하는 위치보다도 회동 모멘트가 큰 위치를 요동편(25b)의 지지점(힌지부)으로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요동편(25b)의 시프트에 의한 잠금력은, 도 9의 (a)의 구성보다도 커진다.
[0069] 또한, 요동편(25b)의 회동 반경이 큰 편이, 시인(視認)이 용이하고, 원격 조작용의 펜치 등으로 파지하는 부분도 대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원격 위치로부터 조작을 행하는 경우는, 도 9의 (b)의 구성이 적합하다.
[0070] 도 9의 (c)는, 다른 변형예에 대한 비교를 위해 도 6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걸림결합 클로(28c)는,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9의 (a), (b)와는 달리, 요동편(25c)의 지지점(27c)이 시프트 기구 상에 설치되어 있고, 걸림결합 클로(28c)는 고정되어 있다.
[0071] 도 9의 (d)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 상의 지지점(27d)에 요동편(25d)이 축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도 9의 (c)와 동일하지만, 걸림결합 클로(28d)가 작동부(8)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잠금에 의한 끼움지지 고정력을 크게 설정할 수 있는 등, 요동편(25d)의 회동 반경이 큰 도 9의 (b)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72] 도 10은, 시프트 기구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 또는 작동부(8)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복수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a), (b)는 시프트 기구에 요동편(25e, 25f)이 조합된 구성을 나타내며, 도 10의 (c), (d)는 시프트 기구에 걸림결합 클로(28g, 28h)가 조합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도,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를 이용하여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프트 기구 및 걸림결합 쌍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림결합 클로(28e, 28f, 28g, 28h)는 흰색 동그라미로, 요동편(25e, 25f, 25g, 25h)은 갈고리형의 화살표로 걸림결합 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시프트 방향은,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가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그려진 짧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요동편(25e, 25f, 25g, 25h)의 각각과 힌지 결합된 지지점(27e, 27f, 27g, 27h)은 검정색 동그라미로 표시되어 있다.
[0073] 도 10의 (a)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걸림결합 클로(28e)가 고정되고,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 상의 지지점(27e)에 요동편(25e)이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요동편(25e)은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 상에서,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대한 이격/접근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걸림결합 클로(28e)에 임시로 걸림결합 가능한 위치까지 시프트 조작에 의해 지지점(27e)을 이동시켜 두고, 요동편(25e)을 걸림결합시킨 후, 걸림결합 클로(28e)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시프트시킴으로써, 완전한 잠금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0074] 도 10의 (b)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걸림결합 클로(28f)가 고정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도 10의 (a)과 동일하지만, 요동편(25f)이 시프트 가능하게 작동부(8)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도 9의 (b)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보다도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로부터 떨어진 작동부(8) 상에 요동편(25f)의 지지점(27f)이 있으므로, 그 만큼 요동편(25f)의 회동 반경은 커진다. 따라서,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원격 위치로부터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0075] 도 10의 (c)는,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에 걸림결합 클로(28g)가 고정되고,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 상의 지지점(27g)에 요동편(25g)이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요동편(25g)은,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 상에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에 대한 이격/접근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 10의 (a)의 구성과 비교하면,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 및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6)에 대한 배치가 반대의 관계로 되어 있지만, 잠금 시의 끼움지지력에는 큰 차이는 없다. 요동편(25g)을 아래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걸림결합 클로(28g)의 시프트 기구만을 조작하여 걸림결합 및 잠금 상태의 조여 넣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76] 도 10의 (d)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4)에 요동편(25h)이 축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도 10의 (c)과 동일하지만, 걸림결합 클로(28h)가 작동부(8)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잠금에 의한 끼움지지 고정력을 크게 설정할 수 있는 등, 요동편(25f)의 회동 반경이 큰 도 10의 (b)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0077]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예의 일부이며, 이하와 같은 변형예도 포함된다.
[0078]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걸림결합 쌍의 일방인 후크(18)가, 작동부(8)의 회동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동 가능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걸림결합 쌍의 일방인 요동편(25)이, 작동부(8)의 회동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들 요동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작동부(8)의 회동면에 대해 직교 또는 평행 이외의 면을 따라, 회동 또는 요동하는 걸림결합 구조여도 상관없다.
[0079]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나사부(12)의 나사축(12a)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예로서, 나사축(12a)의 나사식 진퇴와 함께 시프트시키는 시프트 기구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나사축(12a) 상에 배치한 너트 부재를, 걸림결합 대상의 일방과 일체화하고, 이송 나사 기구에 의해 시프트 기구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0080]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는, 그리핑 상태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잠글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를 임시로 지지하거나, 통신케이블·전철 선로용 전선을 임시로 잡아당기는 작업뿐만 아니라, 건축 현장에서 메인 로프를 장설하는 작업 등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1, 21 와이어 그리퍼
2 본체
2a 가이드 구멍
4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
4a 나사 구멍(시프트 기구)
4b 긴 구멍(가이드)
6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7 지지축
7a, 7b, 7c, 7d, 7e, 7f, 7g, 7h 지지점(변형예)
8 작동부
9 지지축
10 조작부
11 지지축
12 나사부(시프트 기구)
12a 나사축
12b 노브
14 시프트 지지부(시프트 기구)
16 걸림결합 핀(걸림결합 쌍의 일방)
16a, 16b, 16c, 16d, 16e, 16f, 16g, 16h 걸림결합 핀(변형예)
18 후크(걸림결합 쌍의 일방)
18a, 18b, 18c, 18d, 18e, 18f, 18g, 18h 후크(변형예)
19 노치
24 시프트부(시프트 기구)
25 요동편(걸림결합 쌍의 일방)
25a, 25b, 25c, 25d, 25e, 25f, 25g, 25h 요동편(변형예)
26 걸림결합 구멍
27 고정편
27a, 27b, 27c, 27d, 27e, 27f, 27g, 27h 지지점
28 걸림결합 클로(걸림결합 쌍의 일방)
28a, 28b, 28c, 28d, 28e, 28f, 28g, 28h 걸림결합 클로(변형예)
100 (종래의) 와이어 그리퍼
101 본체
101a 기대
102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
103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104 작동부
105 지지축
106 조작부
107 나사축
150 와이어형상체

Claims (8)

  1. 와이어형상체를 사이에 끼우도록 그리핑하는 와이어 그리퍼로서,
    상기 와이어형상체의 일측면에 대어지는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가 일체로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 조작 가능하게 축지지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와이어형상체의 타측면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대향하여 이격/접근 가능한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와,
    상기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및 상기 작동부 중 어느 일방(一方)과 상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와의 사이에서 서로 걸림결합 가능한 쌍을 구성하며, 적어도 일방이 걸림결합 상대에 대해 이격/접근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한 시프트 기구를 갖고 있는 걸림결합 쌍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기구는,
    상기 이격/접근 방향으로 나사식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설치(螺設)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결합 쌍의 일방을 지지하면서, 나사식으로 진퇴하는 상기 나사부와 일체가 되어 상기 이격/접근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한 시프트 지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리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결합 쌍은, 상기 시프트 지지부에 지지된 걸림결합 핀과 상기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또는 상기 작동부에 축지지된 후크의 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리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결합 쌍은, 상기 시프트 지지부에 축지지된 후크와 상기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또는 상기 작동부에 고정된 걸림결합 핀의 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리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기구는,
    상기 이격/접근 방향으로 나사식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와이어 그리핑부 및 상기 작동부 중 어느 일방에 설치(螺設)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결합 쌍의 일방을 지지하면서, 나사식으로 진퇴하는 상기 나사부와 일체가 되어 상기 이격/접근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한 시프트 지지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리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결합 쌍은, 상기 시프트 지지부에 지지된 걸림결합 핀과 상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축지지된 후크의 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리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결합 쌍은, 상기 시프트 지지부에 축지지된 후크와 상기 고정 와이어 그리핑부에 고정된 걸림결합 핀의 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리퍼.
  8.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작동부의 회동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리퍼.

KR1020207012406A 2017-11-02 2018-10-19 와이어 그리퍼 KR102426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2842 2017-11-02
JP2017212842 2017-11-02
PCT/JP2018/039034 WO2019087825A1 (ja) 2017-11-02 2018-10-19 掴線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481A true KR20200060481A (ko) 2020-05-29
KR102426022B1 KR102426022B1 (ko) 2022-07-27

Family

ID=6633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406A KR102426022B1 (ko) 2017-11-02 2018-10-19 와이어 그리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92890B2 (ko)
KR (1) KR102426022B1 (ko)
CN (1) CN111295810B (ko)
TW (1) TWI789447B (ko)
WO (1) WO2019087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18797A (ja) * 2021-02-03 2022-08-16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477A (ja) 2003-02-10 2004-08-26 Nagaki Seiki Co Ltd 掴線器
CN201946938U (zh) * 2010-12-29 2011-08-24 汉中群峰机械制造有限公司 防滑脱卡线器
JP2012005181A (ja) * 2010-06-14 2012-01-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Pg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6364A1 (fr) * 1986-05-22 1987-11-25 Atelier De Construction Steiger S.A. Machine à tricoter
JPH0715847A (ja) * 1993-06-22 1995-01-17 Asahi Tec Corp くさび式引留クランプ
JP2003319542A (ja) * 2002-04-19 2003-11-07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引留めクランプ
JP4121081B2 (ja) * 2003-08-07 2008-07-16 三和テッキ株式会社 架線引き留め用カムアロング
TWM264738U (en) * 2004-06-01 2005-05-11 Li Yao Ind Co Ltd Structure of pressing-plies for cable
JP3180307U (ja) * 2012-09-28 2012-12-13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CN106711895A (zh) * 2015-08-18 2017-05-24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沈阳供电公司 一种碳纤维复合芯导线专用卡线器
CN205745855U (zh) * 2016-05-30 2016-11-30 北京市东方友谊食品配送公司 一种搭扣锁紧管道快速堵漏卡箍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477A (ja) 2003-02-10 2004-08-26 Nagaki Seiki Co Ltd 掴線器
JP2012005181A (ja) * 2010-06-14 2012-01-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Pgクランプ
CN201946938U (zh) * 2010-12-29 2011-08-24 汉中群峰机械制造有限公司 防滑脱卡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087825A1 (ja) 2020-10-22
TW201924169A (zh) 2019-06-16
CN111295810B (zh) 2021-06-01
JP6792890B2 (ja) 2020-12-02
KR102426022B1 (ko) 2022-07-27
TWI789447B (zh) 2023-01-11
WO2019087825A1 (ja) 2019-05-09
CN111295810A (zh)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800B2 (ja) 掴線器
JP4942561B2 (ja) 間接活線工具
JP2019080442A (ja) 張線装置
AU2015228745B2 (en) Lifting hook, safety latch of lifting hook and locking and releasing device of safety latch
CN103715634A (zh) 抓线器
US9039055B1 (en) Clevis type hook with safety latch
AU2016393022B2 (en) Safety hook
US11396739B2 (en) Modular ground engagement tooling system
US10415311B2 (en) Pole grab and ladder including the same
KR20200060481A (ko) 와이어 그리퍼
JP6629122B2 (ja) 間接活線工具のアダプ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作業方法
KR100875439B1 (ko)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
CN108946524B (zh) 一种塔式起重机载重小车牵引绳锁紧装置
JP6967218B2 (ja) 安全器
FR2957812A1 (fr) Descendeur auto-bloquant sur filin tendu a points de friction variables
KR20200005231A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JP4966598B2 (ja) 仮設横架材のフック
CN216016273U (zh) 紧线器及线材切割工具
JP6497947B2 (ja) 車両に搭載された荷箱
JP2021155185A (ja) 吊り上げ治具
KR101008571B1 (ko) 신축조절기
KR200180777Y1 (ko) 회전식 가이드 스토퍼
JP5797696B2 (ja) 間接活線工具用アダプタ
JP5329214B2 (ja) ロック機構および収納装置
KR100979428B1 (ko) 소선회형 굴삭기의 핸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