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983A - 보드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보드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983A
KR20200059983A KR1020180145394A KR20180145394A KR20200059983A KR 20200059983 A KR20200059983 A KR 20200059983A KR 1020180145394 A KR1020180145394 A KR 1020180145394A KR 20180145394 A KR20180145394 A KR 20180145394A KR 20200059983 A KR20200059983 A KR 20200059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board
stage
board
gam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870B1 (ko
Inventor
방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 보드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 보드게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 보드게임즈
Priority to KR102018014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870B1/ko
Priority to PCT/KR2019/015144 priority patent/WO2020105917A1/ko
Publication of KR2020005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214Three-dimensional game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261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261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 A63F2003/00435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with a sloping playing field or part thereof
    • A63F2003/00447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with a sloping playing field or part thereof on three or more sides, e.g. pyramid-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게임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피라미드 형태의 메인 게임판과, 메인 게임판에 장착되는 다단 게임판이 고정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삼차원 형태의 보드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는 피라미드 형태의 메인 게임판과, 메인 게임판에 끼워지는 다단 게임판을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와 상단 게임판 고정부재 고정부재로 및 하단 게임판 지지대로 고정시킨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3차원 형태의 게임판을 3차원 형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드게임 장치{BOARD GAME APARATUS}
본 발명은 보드게임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피라미드 형태의 메인 게임판과, 메인 게임판에 장착되는 다단 게임판이 고정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삼차원 형태의 보드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드게임 장치는 평평한 2차원 형태의 게임판과, 게임판 상을 이동하는 게임말, 및 게임말을 이동시키는 주사위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보드게임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보드게임 장치는 평평한 2차원 형태로 구성되어 게임 몰입감 및 흥미도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3차원 형태의 게임보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3차원 형태의 보드게임 장치는 2차원 형태보다 그 형태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5849호(2016.04.01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6015호(2016.09.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보드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는 상부에 중심홀이 형성된 원형뿔과 타원뿔, 사각뿔을 포함하는 다각뿔 형태의 메인 게임판과, 상기 메인 게임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단 게임판, 및 상기 다단 게임판을 상기 메인 게임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 게임판의 상부 측면과 상기 다단 게임판의 상면을 덮되 중심부에 상단 게임판 중심홀이 형성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과, 상기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의 중심홀의 가장자리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를 포함하는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와, 상기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의 중심홀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가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게임판의 상부 내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상단 게임판 고정핀을 포함한다.
일단과 타탄이 상기 다단 게임판 중 일 다단 게임판과 타 다단 게임판에 끼워지는 바 형상의 다단 게임판 이동구를 포함한다.
상기 다단 게임판 이동구는, 일단과 타단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된 바 형상의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와, 상기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와 결합되어 일단과 타탄에 상기 다단 게임판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간격을 형성하는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는 상부에 중심홀이 형성된 원형뿔과 타원뿔, 사각뿔을 포함하는 다각뿔 형태의 메인 게임판과, 상기 메인 게임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단 게임판, 상기 다단 게임판을 상기 메인 게임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일단와 타탄이 상기 다단 게임판 중 일 다단 게임판과 타 다단 게임판에 끼워지는 바 형상의 다단 게임판 이동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 게임판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다단 게임판의 상면을 지지하는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다단 게임판은 상기 메인 게임판의 하단 측면에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단 게임판과, 상기 하단 게임판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메인 게임판의 중단 측면에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는 중단 게임판, 및 상기 중단 게임판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메인 게임판의 중단 측면에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단 게임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는 상기 중단 게임판의 상면을 지지하되, 상기 메인 게임판의 일 측면 일측을 관통하는 제1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와, 상기 메인 게임판의 타 측면 타측을 관통하는 제2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게임판의 하부 가장자리를 수납지지하며, 상기 다단 게임판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다단 게임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단 게임판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는 피라미드 형태의 메인 게임판과, 메인 게임판에 끼워지는 다단 게임판을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와 상단 게임판 고정부재 및 하단 게임판 지지대로 고정시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게임판을 3차원 형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조립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 메인 게임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 메인 게임판이 접혀진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의 평면도(상) 및 측면도(하)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에 상단 게임판 고정핀이 삽입되기 전 상태인 상단 게임판 고정부재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에 상단 게임판 고정핀이 삽입된 상태인 상단 게임판 고정부재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하단 게임판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하단 게임판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조립된 게임판이 하단 게임판 지지대에 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게임말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다단 게임판 이동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다단 게임판 이동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조립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라미드 형태의 메인 게임판(200)과, 메인 게임판(200)의 가장자리에 끼워지는 다단 게임판(100), 다단 게임판(100)을 메인 게임판(2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 400, 51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 메인 게임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 메인 게임판이 접혀진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메인 게임판(200)은 후술될 다단 게임판(100)을 3차원 형태로 구현하기 위한 지지대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지면 절두 피라미드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메인 게임판(200)은 제1 삼각판(210)과, 제1 삼각판(210)에 대향하는 제2 삼각판(220), 제1 삼각판(210)과 제2 삼각판(220) 각각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삼각판(230), 제3 삼각판(230)과 대향하되 제1 삼각판(210)과 제2 삼각판(220)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 삼각판(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삼각판(210)과 제2 삼각판(220), 제3 삼각판(230) 및 제4 삼각판(240)의 경계는 각각의 삼각판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각각의 삼각판의 경계가 접혀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삼각판 형상인 제1 내지 제4 삼각판(210, 220, 230, 240)이 각각의 경계가 접혀짐으로 인해 펼쳐지면 3차원의 피라미드 형태가 되고, 보드게임이 종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게임판(200)의 상부는 절두 형태로서, 메인 게임판 중심홀(H)이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의 메인 게임판(200)은 절두 원뿔 형상일 수도 있다.
다단 게임판(100)은 중심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고리 판 형상으로서, 메인 게임판(200)에 중심이 끼워져 게임판이 3차원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다단 게임판(100)은 하단 게임판(110)과, 하단 게임판(110) 상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중단 게임판(120), 및 중단 게임판(120) 상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단 게임판(130)을 포함한다.
하단 게임판(110)은 다단 게임판(100) 중 면적 및 지름이 가장 큰 게임판으로서, 메인 게임판(200)의 상부를 통해 하단 게임판(100)의 중심 홀이 삽입되어 메인 게임판(200)의 하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끼워진다. 또한, 하단 게임판(110)에는 보드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숫자를 포함하는 문자, 문양, 그림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하단 게임판(110)의 상면을 따라 숫자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본 실시예는 하단 게임판(110)의 상면에 표시된 숫자를 따라 게임말이 이동하며, 게임말의 이동거리는 주사위 등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중단 게임판(120)은 하단 게임판(110) 보다 면적 및 지름이 작은 게임판으로서, 메인 게임판(200)의 상부를 통해 중단 게임판(120)의 중심 홀이 삽입되어 메인 게임판(200)의 중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끼워진다. 또한, 이에 따라, 메인 게임판(200)의 하단에는 하단 게임판(110)이 구비되고, 중단 게임판(120)은 하단 게임판(11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중단 게임판(120)의 상면에도 하단 게임판(110)과 같이 숫자를 포함하는 문자와 문양 및 그림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중단 게임판(120)의 상면에도 숫자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중단 게임판(120)의 상면에 표시되는 숫자도 게임말의 이동에 사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중단 게임판(120)이 하단 게임판(110)과 상단 게임판(130) 사이에 한 개만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단 게임판(110)과 상단 게임판(130) 사이에, 상단 게임판(130)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다수개의 중단 게임판(12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후술될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00)는 중단 게임판(120)의 개수만큼 구비되어야 한다. 즉, 중단 게임판(120) 마다 제1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10)와 제2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20)를 포함하는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00)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단 게임판(130)은 다단 게임판(100) 중 면적과 지름이 가장 작은 게임판으로서, 상단 게임판(130) 역시 메인 게임판(200)의 상부를 통해 상단 게임판(130)의 중심 홀이 삽입되어 메인 게임판(200)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끼워진다. 이에 따라, 메인 게임판(200)의 하단에는 하단 게임판(110)이 위치되고, 메인 게임판(200)의 중단에는 중단 게임판(120)이, 메인 게임판(200)의 상단에는 상단 게임판(130)이 중단 게임판(12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된다. 또한, 상단 게임판(130)의 상면에도 전술된 하단 게임판(110) 및 중단 게임판(120)과 같이 숫자를 포함하는 문자와 문양 및 그림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숫자가 표시된 것을 예시한다. 또한, 상단 게임판(130)에는 숫자와 함께 결승점이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결승점에 게임말이 도착하면 최종 승자가 된다.
한편, 하단 게임판(110)과 중단 게임판(120) 및 상단 게임판(130)은 동심원 형태로서, 게임 종료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게임판(110)의 중심홀에 중단 게임판(120)이 끼워지고, 중단 게임판(120)의 중심홀에 상단 게임판(130)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판 형태로 만들어 보관할 수 있다.
고정부재(300, 400, 510)는 다단 게임판(100)을 메인 게임판(2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단 게임판(120)을 메인 게임판(200)에 고정시키는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00)와, 상단 게임판(130)을 메인 게임판(200)에 고정시키는 상단 게임판 고정부재(400, 510)를 포함한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00)는 메인 게임판(20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중단 게임판(120)의 상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00)는 중단 게임판(120)의 일측 상면을 지지하는 제1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10)와, 중단 게임판(120)의 타측 상면을 지지하는 제2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 게임판(120)의 일측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 지지부(311)와, 상면 지지부(311)에서 연장되어 메인 게임판(200)의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삽입부(3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중단 게임판(120)이 메인 게임판(200)에 삽입되면 중단 게임판(120)의 상면과 메인 게임판(200)의 측면은 둔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1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10)의 상면 지지부(311)는 조립시 측면도를 기준으로 관통삽입부(312)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전방면과, 관통삽입부(31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하도록 형성되어 전방면과 둔각을 이루는 저면을 포함한다.
제2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20)는 전술된 제1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10)는 메인 게임판(200)의 일 측면을 관통하되 일 측면의 중심 일측으로 편심되어 관통되도록 한다. 또한, 제2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20)는 상기 일 측면과 대향하는 메인 게임판(200)의 타 측면을 관통하되 타 측면의 중심 타측으로 편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10)와 제2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20)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으로 어긋나도록 위치되어 두 개의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00)만으로도 중단 게임판(12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단 게임판 고정부재(400, 510)는 상단 게임판(130)의 중심홀과 메인 게임판(200)의 중심홀(H)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단 게임판(130)이 메인 게임판(200)의 상부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서, 상단 게임판 고정부재(400, 510)는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400)와,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400)에 삽입되는 상단 게임판 고정핀(510)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의 평면도(상) 및 측면도(하)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의 저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400)는 상단 게임판(130)의 상부로 노출된 메인 게임판(200)의 외면을 덮으며 상단 게임판(130)의 상면을 지지하되, 메인 게임판(200)의 내면을 후크와 같이 걸어 상단 게임판(130)이 메인 게임판(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400)는 절두 피라미드 형태의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과,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의 내측에서 하향 돌출된 한 쌍의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0)를 포함한다.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은 메인 게임판(200)과 유사한 형태로서, 등변사다리꼴 형태인 4개의 측면이 경계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절두 피라미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은 상단 게임판(130)의 상부로 노출된 메인 게임판(200)의 외면을 덮되, 하부 가장자리가 상부 게임판의 상면과 접하여 상부 게임판이 메인 게임판(200)의 상부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이에 따라, 상부 게임판은, 메인 게임판(200)의 지름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에 의해서 메인 게임판(20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없고,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에 의해 메인 게임판(200)의 상부로 이동할 수도 없다. 따라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에 의해 상부 게임판은 메인 게임판(200)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0)는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이 메인 게임판(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0)는 한 쌍, 즉, 제1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1)와 제2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2)를 포함한다.
제1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1)는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의 중심홀 일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1)는 대략적으로 바(bar) 형상이되,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과 연결된 부위가 절곡될 수 있으나 원복하기 위한 탄성을 가지도록 한다.
제2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2)는 제1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1)와 동일한 형상이며,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의 중심홀 타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1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1)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2) 역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410)과 연결된 부위가 절곡될 수 있으나 원복하기 위한 탄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1)와 제2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2)는 서로 마주보며 접한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며 이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에 상단 게임판 고정핀이 삽입되기 전 상태인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에 상단 게임판 고정핀이 삽입된 상태인 상단 게임판 고정부재 저면 사시도이다.
상단 게임판 고정핀(510)은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400)가 메인 게임판(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게임판 고정핀(510) 손잡이(511)에서 상단 게임판 고정핀(510) 삽입부(512)가 연장형성된 형성이며,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단 게임판 고정핀(510)이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400)의 중심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즉, 상단 게임 고정핀은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400)의 중심홀로 삽입되며, 제1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1)와 제2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2) 사이로 끼워진다. 이에 따라, 제1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1)와 제2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2)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게 되며, 제1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1)와 제2 상단 게임판(130) 고정탄 성부가 메인 게임판(200)의 내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400)는 메인 게임판(200)의 외면과 상부 게임판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420)는 메인 게임판(200)의 내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상단 게임판(130)이 메인 게임판(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300) 상에 삽입 장착되는 피규어(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규어(500)는 드래곤 등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 게임판(110)을 지지하는 하단 게임판 지지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하단 게임판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하단 게임판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조립된 게임판이 하단 게임판 지지대에 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하단 게임판 지지대(700)는 하단 게임판(110)의 하면을 지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하단 게임판 지지대(70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710)과, 외벽(710)과 소정간격 이격된 내벽(720), 외벽(710)과 내벽(720)의 바닥을 연결하는 저면부(730), 및 내벽(720) 내부의 바닥면인 수납공간(74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게임판 지지대(700)의 내벽(720)과 외벽(710) 및 저면부(730)에는 메인 게임판(200)의 하단 가장자리가 삽입고정되고, 외벽(710)의 상면이 하단 게임판(110)의 하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메인 게임판(200)도 고정됨과 동시에 하단 게임판(110)도 지지되어 메인 게임판(200)과 하단 게임판(11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메인 게임판(200)의 하단 가장자리 길이는 사각형태틀 형태인 저면부(730)의 일 가장자리 길이에 대응되어야 한다. 여기서, 하단 게임판 지지대(700)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의 구성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수납공간(740)에 게임말과 주사위 게임판 고정부재, 및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가 수납되어 보드게임 장치의 포장상자에 넣어져 보관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최하단에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스는 도시되지 않은 덮개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를 수납하는 상자의 구성품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가 하단 게임판 지지대(7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단 게임판 지지대(700)를 수납한다. 이때, 하단 게임판 지지대(700)는 케이스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고, 하단 게임판(110)의 가장자리도 케이스 내에 수납된다. 즉, 하단 게임판 지지대(700)부터 하단 게임판(110)까지의 높이는 케이스의 높이보다 낮다. 이에 따라, 하단 게임판(110)의 가장자리는 케이스 내벽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하단 게임판(110)의 하면과 메인 게임판(200)은 하단 게임판 지지대(700)에 의해 지지되고, 가장자리는 케이스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어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는 3차원 형상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다단 게임판 이동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에서 다단 게임판 이동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는 하단 게임판(110)과 중단 게임판(120) 및 상단 게임판(130)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하단 게임판(110)에 끼워지면 타단이 중단 게임판(120)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의 일단이 중단 게임판(120)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단 게임판(130)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가 설치된 번호에 게임말이 도착하면 해당 게임말은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를 따라 중단 게임판(120) 또는 상단 게임판(130)으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중단 게임판(120) 또는 하단 게임판(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는 게임판 이동 방향을 정하기 위해서, 서로 결합된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610)와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620)를 포함한다.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610)는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620)와 결합되어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610)의 일면에는 폭포 형상이 형성되고, 타면은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6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610)는 평평한 직사각 판 형상의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611)와,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611)의 일단에서 일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일 절곡부(612),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611)의 타단에서 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타 절곡부(613)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611)의 타면에는 사각돌기 형상으로 돌출된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결합부(614)와,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돌기(615)가 형성된다.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620)는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610)와 결합되되, 사다리 형상의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621)와,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621)의 일단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일 절곡부(622),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621)의 타단에서 타 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타 절곡부(623)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621)에는 전술된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결합부(614)와 결합되는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결합부(624)와,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돌기(615)와 결합되는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결합구(625)가 형성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610)와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620)는 서로 결합되어 일면에는 폭포 형상, 타면에는 사다리 형상이 보여지게 된다. 또한,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일 절곡부(612)와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일 절곡부(622)는 다단 게임판(100)이 사이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간격이 형성되며,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타 절곡부(613)와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타 절곡부(623) 사이에도 간격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타 절곡부(613)와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일 절곡부(622)는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단 게임판(100)의 가장자리가 손상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간격이 다단 게임판(100)의 두께와 같거나 작기 때문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를 이용한 게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는 하단 게임판(110)의 상면(숫자 표시)의 시작지점에 게임말을 놓고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숫자만큼 하단 게임판(110)의 상면을 따라 게임말을 이동시킨다. 이때, 특정 구간에 도착하면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를 설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되어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자신의 게임말이 위치한 곳에는 설치할 수 없거나 설치하여도 바로 영향을 받을 수 없다. 이후 게임말이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가 설치된 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를 따라 중단 게임판(120)으로 게임말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중단 게임판(120)에서도 하단 게임판(110)에서처럼 주사위를 굴려 게임말을 이동시킨다. 중단 게임판(120)에서는 다단 게임판 이동구(600)를 설치할 권한이 생기면 폭포가 형성된 면으로 설치하거나 사다리가 생긴 면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폭포가 형성된 면으로 설치할 경우 해당 구간에 게임말이 도착하면 게임말을 하단 게임판(110)으로 내려가도록 할 수 있고, 사다리가 형성된 면이 바깥쪽으로 보이도록 설치할 경우 해당 구간에 도착한 게임말을 상부 게임판으로 올라가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부 게임판의 도착지점에 게임말이 도착하면 승리하게 된다. 물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 장치를 이용한 게임방법의 일 예일뿐 본 발명은 보드게임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다단 게임판 110: 하단 게임판
120: 중단 게임판 130: 상단 게임판
200: 메인 게임판 210: 제1 삼각판
220: 제2 삼각판 230: 제3 삼각판
240: 제4 삼각판 300: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
310: 제1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 311: 상면 지지부
312: 관통삽입부 320: 제2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
400: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 410: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
420: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 421: 제1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
422: 제2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 500: 피규어
510: 상단 게임판 고정핀 511: 상단 게임판 고정핀 손잡이
512: 상단 게임판 고정핀 삽입부 600: 다단 게임판 이동구
610: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611: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612: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일 절곡부
613: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타 절곡부
614: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결합부
615: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돌기
620: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621: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622: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일 절곡부
623: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타 절곡부
624: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결합부
625: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 본체 결합구
700: 하단 게임판 지지대 710: 외벽
720: 내벽 730: 저면부
740: 수납공간

Claims (11)

  1. 상부에 중심홀이 형성된 원형뿔과 타원뿔, 사각뿔을 포함하는 다각뿔 형태의 메인 게임판과,
    상기 메인 게임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단 게임판, 및
    상기 다단 게임판을 상기 메인 게임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 게임판의 상부 측면과 상기 다단 게임판의 상면을 덮되 중심부에 상단 게임판 중심홀이 형성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과, 상기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의 중심홀의 가장자리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를 포함하는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와,
    상기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의 중심홀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가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게임판의 상부 내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상단 게임판 고정핀을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 게임판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다단 게임판의 상면을 지지하는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게임판은 상기 메인 게임판의 하단 측면에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단 게임판과, 상기 하단 게임판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메인 게임판의 중단 측면에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는 중단 게임판, 및 상기 중단 게임판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메인 게임판의 중단 측면에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단 게임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는 상기 중단 게임판의 상면을 지지하되, 상기 메인 게임판의 일 측면 일측을 관통하는 제1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와, 상기 메인 게임판의 타 측면 타측을 관통하는 제2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임판의 하부 가장자리를 수납지지하며, 상기 다단 게임판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다단 게임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단 게임판 지지대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일단과 타탄이 상기 다단 게임판 중 일 다단 게임판과 타 다단 게임판에 끼워지는 바 형상의 다단 게임판 이동구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게임판 이동구는,
    일단과 타단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된 바 형상의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와, 상기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와 결합되어 일단과 타탄에 상기 다단 게임판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간격을 형성하는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7. 상부에 중심홀이 형성된 원형뿔과 타원뿔, 사각뿔을 포함하는 다각뿔 형태의 메인 게임판과,
    상기 메인 게임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단 게임판,
    상기 다단 게임판을 상기 메인 게임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일단와 타탄이 상기 다단 게임판 중 일 다단 게임판과 타 다단 게임판에 끼워지는 바 형상의 다단 게임판 이동구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 게임판의 상부 측면과 상기 다단 게임판의 상면을 덮되 중심부에 상단 게임판 중심홀이 형성된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과, 상기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의 중심홀의 가장자리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를 포함하는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와,
    상기 상단 게임판 고정 덮개판의 중심홀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상단 게임판 고정 탄성부가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게임판의 상부 내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상단 게임판 고정핀을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 게임판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다단 게임판의 상면을 지지하는 중단 게임판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임판의 하부 가장자리를 수납지지하며, 상기 다단 게임판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다단 게임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단 게임판 지지대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11.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게임판 이동구는,
    일단과 타단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된 바 형상의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와, 상기 제1 다단 게임판 이동구와 결합되어 일단과 타탄에 상기 다단 게임판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간격을 형성하는 제2 다단 게임판 이동구를 포함하는 보드게임 장치.
KR1020180145394A 2018-11-22 2018-11-22 보드게임 장치 KR102185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94A KR102185870B1 (ko) 2018-11-22 2018-11-22 보드게임 장치
PCT/KR2019/015144 WO2020105917A1 (ko) 2018-11-22 2019-11-08 보드게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94A KR102185870B1 (ko) 2018-11-22 2018-11-22 보드게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983A true KR20200059983A (ko) 2020-05-29
KR102185870B1 KR102185870B1 (ko) 2020-12-02

Family

ID=7077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394A KR102185870B1 (ko) 2018-11-22 2018-11-22 보드게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5870B1 (ko)
WO (1) WO202010591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745A (ko) * 2012-09-10 2014-03-19 이보환 게임이 구비된 유아용 책상
KR20160035849A (ko) 2014-09-24 2016-04-0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 체험형 세금교육 보드게임
KR20160106015A (ko) 2016-08-22 2016-09-09 김동환 주사위 게임
KR20170024371A (ko) *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로보로보 완구용 결합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583A (ko) * 2013-05-01 2014-11-11 허홍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745A (ko) * 2012-09-10 2014-03-19 이보환 게임이 구비된 유아용 책상
KR20160035849A (ko) 2014-09-24 2016-04-0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 체험형 세금교육 보드게임
KR20170024371A (ko) *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로보로보 완구용 결합유닛
KR20160106015A (ko) 2016-08-22 2016-09-09 김동환 주사위 게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게임 방법 설명] 3D 뱀 사다리 게임 조립 방법", 인터넷 유튜브 게시영상(2018.01.07.)* *
"Cat and Mice. Cheesepyramid Traps 3D board game", 인터넷 유튜브 게시영상(2017.06.2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870B1 (ko) 2020-12-02
WO2020105917A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37263T5 (es) Sistema de anclaje de objetos en el suelo
US9975039B1 (en) Building brick tower toppling game
WO2015187358A1 (en) Base block and methods
KR200494762Y1 (ko) 캣타워
KR20200059983A (ko) 보드게임 장치
USD818482S1 (en) Display screen for a multi-player card game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848739B (zh) 具有耦合构件的游戏棋盘部件、包括这种部件的可变游戏棋盘和包括这种游戏棋盘的游戏
JP5543680B1 (ja) 段ボール製仕切り板キット
CA3039020A1 (en) Building block and methods
KR100699235B1 (ko)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JP2020043889A (ja) 簡易トイレ
JPH03502652A (ja) 遊戯具
US20140145400A1 (en) Card Holder Device
KR102601326B1 (ko) 깃발 꽂이대
KR101804808B1 (ko) 모바일 직소 퍼즐 구조체
KR20190038497A (ko) 입체완구
KR200492260Y1 (ko) 블록 및 카드를 이용한 놀이교구
JP3164473U (ja) 墓構造体
KR20200143062A (ko) 라운드 받침부를 형성하고 있는 광고표지판
KR102120972B1 (ko) 게임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게임 완구
US9629507B1 (en) Child water safety apparatus
JP3205543U (ja) パーティション
JP3201230U (ja) 耐震用固定具
JP7019130B2 (ja) 曲面体固定容器
US20190232153A1 (en) Gamboar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