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808A -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808A
KR20200057808A KR1020180124946A KR20180124946A KR20200057808A KR 20200057808 A KR20200057808 A KR 20200057808A KR 1020180124946 A KR1020180124946 A KR 1020180124946A KR 20180124946 A KR20180124946 A KR 20180124946A KR 20200057808 A KR20200057808 A KR 20200057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teamer
pressure
coo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609B1 (ko
Inventor
김점원
Original Assignee
김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원 filed Critical 김점원
Priority to KR102018012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6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조리 대상물을 압력 조리하며, 조리과정 중 발생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발생부와; 그 일단부가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스팀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스팀을 이동시키는 스팀유도부와; 상기 스팀유도부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식재료를 수용하고, 스팀유도부를 통해 공급된 스팀을 받아 상기 식재료를 가열하는 찜요리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는, 음식을 조리하는 압력용기인 스팀발생부와 찜통을 연결하여, 음식의 조리 과정시 발생하는 압력용기 내의 고온 고압의 스팀을 찜통으로 유도하여 찜요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에너지 활용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Energy economizing type food steamer}
본 발명은 스팀을 이용한 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시 발생하는 열과 압력 에너지를 활용하여 대상물을 가열 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음식을 조리하는데 사용하는 찜기(food steamer)는, 물을 끓여 스팀을 발생하고 발생한 스팀을 대상물에 가함으로써 대상물을 익히는 조리도구이다. 스팀을 이용한 찜요리는, 간접열을 이용해 재료를 가열하는 방식이니만큼, 음식이 타거나 영양소가 파괴될 염려가 없고, 재료 고유의 풍미를 그대로 유지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근래에는, 무겁고 취급이 불편한 토기형 떡시루를 대신하는, 다양한 형식이나 크기의 찜기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찜기는 과거의 떡시루에 비해 가볍고 관리하기 편리한 구조를 가져 식당은 물론 일반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 된다.
상기 찜기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재료를 수용하는 찜통을 갖는다. 상기 가열부는 찜통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기히터나 가스불로 물을 끓여 스팀을 발생한다. 발생된 스팀은 찜통으로 올라가 찜통에 수용되어 있는 재료를 가열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찜기는, 단지 스팀을 발생하기 위하여 전기에너지나 가스 등을 소모하여야 하고, 또한 사용한 스팀은 공기 중에 그대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에너지의 활용성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단점을 갖는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29860호 (조리용 스팀찜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97454호 (스팀찜기 판매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호 (스팀찜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음식의 조리 과정시 발생하는 압력용기 내의 고온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찜요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는, 조리 대상물을 압력 조리하며, 조리과정 중 발생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발생부와; 그 일단부가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스팀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스팀을 이동시키는 스팀유도부와; 상기 스팀유도부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조리대상물을을 수용하고, 스팀유도부를 통해 공급된 스팀을 받아 상기 식재료를 가열하는 찜요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부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를 밀폐하는 밀폐뚜껑을 갖는 압력솥이고, 상기 밀폐뚜껑에는, 스팀이 배출되는 배출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찜요리부는; 그 하부에 스팀을 받아들이는 압입포트가 장착되어 있는 찜통과, 상기 찜통을 밀폐하는 찜통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찜통뚜껑에는 스팀배출밸브와 안전밸브와 신호추가 구비되며, 상기 스팀유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팀호스와, 상기 스팀호스에 설치되며 스팀호스를 통과하는 스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스팀호스를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압력정보를 기초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며 밸브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스팀호스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포트 및 압입포트에 결합하는 연결피팅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스팀유도부를 스팀발생부 및 찜요리부로부터 분리하여, 스팀발생부와 찜요리부를 별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포트 및 압압포트에 각각 끼워져 배출포트 및 압입포트를 밀폐하는 밀폐캡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찜통의 내부에는 식재료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찜통의 하부에는, 찜통을 바닥면으로부터 띄워, 찜통 하부에, 상기 압입포트와 연결피팅부의 결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다리부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는, 음식을 조리하는 압력솥인 스팀발생부와 찜통을 연결하여, 음식의 조리 과정시 발생하는 압력용기 내의 고온 고압의 스팀을 찜통으로 유도하여 찜요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에너지 활용성이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후술할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100)는, 스팀발생부(200), 스팀유도부(400), 찜요리부(300)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스팀발생부(200)는 단순히 스팀을 발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압력 요리를 하는 취사도구이다. 가령 밥을 하는 압력솥일 수 있다. 압력솥은 목적하는 조리를 하며 고온 고압의 스팀을 발생하는데, 본 실시예의 스팀찜기는 발생하는 스팀을 공기 중에 버리지 않고 활용하는 것이다.
스팀유도부(400)는, 스팀발생부(200)에서 발생한 고온 고압의 스팀을 유도하여 상기 찜요리부(300)로 전달한다. 찜요리부(300)는 스팀유도부(400)를 통해 전달 받은 스팀을 이용해 그 내부에 수용된 조리대상물, 즉 식재료를 익히는 용기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스팀찜기는, 조리 대상물을 압력 조리하며, 조리과정 중 발생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발생부와, 그 일단부가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스팀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스팀을 이동시키는 스팀유도부와, 상기 스팀유도부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식재료를 수용하고, 스팀유도부를 통해 공급된 스팀을 받아 상기 식재료를 가열하는 찜요리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에너지 질약형 스팀찜기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100)는, 스팀발생부(200), 스팀유도부(400), 찜요리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스팀발생부(200)는, 조리 대상물을 압력 조리하며 조리과정 중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을 외부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압력용기(211)와 밀폐뚜껑(231)으로 이루어진다.
압력용기(211)는 통상의 압력솥과 같이 상부로 개방된 조리용 용기로서 상단부에 손잡이(212)를 갖는다. 또한 밀폐뚜껑(231)은 압력용기(211)의 상부에 맞추어진 상태로 압력용기(211)를 밀폐한다. 밀폐뚜껑(231)의 양측부에는 손잡이(232)가 구비된다.
양측 손잡이 중 일측 손잡이(232)에는 개방버튼(233)이 위치한다. 개방버튼(233)은 압력용기(211)에 결합되어 있는 밀폐뚜껑(231)을 압력용기(2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버튼이다. 압력용기(211)와 밀폐뚜껑(231)의 개폐방식은 일반적인 압력밥솥과 같다.
아울러, 상기 밀폐뚜껑(231)에는 안전밸브(235)와 신호추(236)와 배출포트(237)가 구비된다. 안전밸브(235)는 스팀발생부(200) 내부의 과도한 압력 상승시 자동으로 개방되어 스팀을 배출하는 안전장치이다. 또한 신호추(236)는 스팀발생부(200) 내부의 압력이 적정 압력에 도달했을 때, 스팀의 압력에 의해 흔들려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밸브(235)와 신호추(236)는 일반적인 압력솥에 적용되어 있는 안전밸브 및 신호추이다.
배출포트(237)는 스팀유도부(400)의 일측 연결피팅(411)이나 밀폐캡(238)이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스팀 배출 구멍으로서,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237a)를 갖는다. 밀폐캡(238)은 배출포트(237)를 차단하는 마개이다. 밀폐캡(238)으로 배출포트(237)를 막으면, 스팀발생부(200)를 하나의 독립적 압력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찜요리부(300)는, 조리 대상물을 스팀으로 가열하여 찜요리를 만드는 조리용기로서, 찜통(311)과 찜통뚜껑(331)으로 이루어진다. 찜통(311)은 그 내부에 받침대(350)을 수용한다. 받침대(350)는 조리대상물 즉, 식재료(A)를 받치는 구조체이다. 참고로, 상기 식재료는 스팀 가열하기 위한 떡이나 면발(국수류 면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찜통(311)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손잡이(312)가 구비되어 있고, 바닥에는 압입포트(314)가 설치된다. 압입포트(314)는 찜통(311)의 내부공간을 하부로 개방하는 통로로서, 스팀유도부(400)의 연결피팅(413)이나 밀폐캡(316)이 나사식으로 선택 결합한다. 밀폐캡(316)은 압입포트(314)를 밀폐하는 마개이다. 밀폐캡(316)으로 압입포트(314)롤 차단하면, 찜요리부(300)를 독립적인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찜통(311)의 바닥 양측에는 다리부(313)가 설치된다. 다리부(313)는, 찜통(311)을 바닥면으로부터 띄워, 찜통 하부에, 상기 압입포트(314)와 연결피팅(413)의 결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찜통뚜껑(331)은 찜통(311)의 상부에 채워져 찜통(311)을 밀폐하는 것으로서, 배출밸브(334)와 안전밸브(335)와 신호추(237)를 갖는다. 배출밸브(334)는 찜통(311) 내부의 스팀을 배출하는 밸브이다. 또한 안전밸브(335)는 찜요리부(300) 내부의 압력의 과도한 상승시 자동으로 개방되어 스팀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추(237)는 찜요리부(300) 내부의 압력이 적정 압력에 도달했을 때 흔들리며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아울러 찜통뚜껑(331)의 양측부에는 손잡이(332)가 구비된다. 손잡이(332)는 찜통(311)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312)에 맞추어지며 일측 손잡이에는 개방버튼(333)을 갖는다. 개방버튼(333)은 찜통(311)에 결합되어 있는 찜통뚜껑(331)을 찜통(311)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버튼이다. 찜통(311)과 찜통뚜껑(331)의 개폐방식은 일반적인 압력밥솥과 같다.
한편, 상기 스팀유도부(4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팀호스(410), 압력센서(417), 밸브(415), 제어부(418), 타이머(419), 연결피팅(411,4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팀호스(410)는 그 내부로 고온고압의 스팀을 통과시키는 파이프이다. 스팀호스(4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가능하다. 스팀호스(410)가 플렉시블함이 좋다.
상기 연결피팅(411,413)은, 스팀호스(410)의 양단부에 위치하며, 배출포트(237)와 압입포트(314)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용 부속이다. 일측 연결피팅(411)을 배출포트(237)에 고정하고, 타측 연결피팅(413)을 압입포트(314)에 결합함으로서 스팀발생부(200)와 찜요리부(300)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스팀발생부(200)에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이 찜요리부(300)로 넘어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417)은, 스팀호스(410)를 통과하는 스팀의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한 내용을 제어부(418)로 전달한다. 압력센서(417)가 감지한 호스 내부의 압력은 스팀발생부(200) 내부의 압력과 동일하다.
또한 밸브(415)는 스팀호스(410)를 통한 스팀의 유동량을 결정한다. 즉, 찜요리부(300)로 공급되는 스팀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밸브(415)는 제어부(418)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형 밸브일 수 있다.
제어부(418)는 압력센서(417)로부터 전달받은 압력 정보를 기초로 밸브(415)의 개폐를 결정한다. 가령, 압력용기(211) 내부의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한 순간 밸브(415)를 개방하는 것이다. 상기 밸브(415)는 솔레노이드형 밸브로서 상시 막힘밸브이다. 제어부(418)로부터 신호를 받을 때 개방되는 것이다. 밸브(415)의 개방 정도는 제어부(418)를 통해 조절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어부(418)와 압력센서(417)를 생략하고, 밸브(415)는 수동식 밸브로 적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신호추(236)가 흔들리기 시작할 때 수동식 밸브를 개방하여, 스팀을 스팀발생부(200)에서 찜요리부(300)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타이머(419)는 스팀이 찜요리부(300)로 공급되는 시간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타이머(419)를 통해 스팀의 공급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스팀을 10초나 20초 동안만 공급하여야 할 때, 타이머(415)에 10초나 20초를 입력하는 것이다. 당연히 타이머(419)는 제어부(418)와 접속되어 제어부로 하여금, 밸브(415)가,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동안만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스팀찜기(100)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팀발생부(200)의 압력용기에 압력 조리할 식재료를 물과 함께 넣은 후 밀폐뚜껑(231)을 씌워 밀폐시킨다. 이와 동시에 찜요리부(300)의 찜통(311)에는 식재료(A)를 넣고 찜통뚜껑(331)을 씌운다.
이와 같이, 스팀발생부(200)와 찜요리부(300)의 밀폐가 완료되었다면, 스팀발생부(200)의 밀폐뚜껑(231)에 직용되어 있는 밀폐캡(238)과, 찜요리부(300)의 찜통(311)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밀폐캡(316)을 분리하고, 상기 배출포트(237)와 압입포트(314)에 연결피팅(411,413)을 각각 고정시킨다.
상기한 준비 상태가 완료 되었다면, 스팀발생부(200)에 열을 가하여 압력조리를 시작한다. 압력용기(211)에 열이 가해짐에 따라 내부 온도와 압력이 증가하며 스팀이 발생하고 식재료의 압력조리가 진행된다. 이 때 압력용기(211) 내부의 압력은 압력센서(417)를 통해 실시간 체크되며 체크된 압력정보는 제어부(418)로 전달 된다.
마침내 압력용기(211)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였다면, 제어부(418)는 밸브(415)를 개방하여, 스팀발생부(200) 내부의 스팀이 스팀호스(410)를 통과해 찜통(311)으로 넘어가도록 한다.
스팀유도부(400)에 압력센서(417)와 제어부(418)가 포함되지 않고 밸브(415)가 수동식이라면, 상기 신호추(236)가 흔들릴 때 밸브를 개방한다.
여하튼 상기 스팀호스(410)를 통과한 스팀은 압입포트(314)를 통과해 찜요리부(300)의 내부를 채우며 식재료(A)를 가열한다. 스팀발생부(200)에서 발생하는 스팀이 찜요리부(300)로 전달되어 활용되는 것이다.
스팀발생부(200)에서의 압력조리와, 찜요리부(300)에서의 찜요리가 완료되었다면, 신호추(236)를 기울여 압력용기(211) 내부의 스팀을 빼내고, 이와 동시에 밸브(415)는 차단한다. 또한 배출밸브(334)를 개방하여 찜통(311) 내부의 스팀도 배출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스팀이 완전히 배출되었다면, 스팀유도부(400)를 분리한 후, 밀폐뚜껑(231)과 찜통뚜껑(331)을 개방하여 요리를 꺼낸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스팀찜기 200:스팀발생부 211:압력용기
212:손잡이 231:밀폐뚜껑 232:손잡이
233:개방버튼 235:안전밸브 236:신호추
237:배출포트 237a:암나사부 238:밀폐캡
300:찜요리부 311:찜통 312:손잡이
313:다리부 314:압입포트 316:밀폐캡
331:찜통뚜껑 332:손잡이 333:개방버튼
334:배출밸브 335:안전밸브 350:받침대
337:신호추 400:스팀유도부 410:스팀호스
411,413:연결피팅 415:밸브 417:압력센서
418:제어부 419:타이머

Claims (4)

  1. 조리 대상물을 압력 조리하며, 조리과정 중 발생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발생부와;
    그 일단부가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스팀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스팀을 이동시키는 스팀유도부와;
    상기 스팀유도부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식재료를 수용하고, 스팀유도부를 통해 공급된 스팀을 받아 상기 식재료를 가열하는 찜요리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부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를 밀폐하는 밀폐뚜껑을 갖는 압력솥이고,
    상기 밀폐뚜껑에는, 스팀이 배출되는 배출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찜요리부는;
    그 하부에 스팀을 받아들이는 압입포트가 장착되어 있는 찜통과, 상기 찜통을 밀폐하는 찜통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찜통뚜껑에는 스팀배출밸브와 안전밸브와 신호추가 구비되며,
    상기 스팀유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팀호스와,
    상기 스팀호스에 설치되며 스팀호스를 통과하는 스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스팀호스를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압력정보를 기초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며 밸브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스팀호스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포트 및 압입포트에 결합하는 연결피팅을 포함하는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유도부를 스팀발생부 및 찜요리부로부터 분리하여, 스팀발생부와 찜요리부를 별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포트 및 압압포트에 각각 끼워져 배출포트 및 압입포트를 밀폐하는 밀폐캡이 더 포함되는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찜통의 내부에는 식재료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찜통의 하부에는, 찜통을 바닥면으로부터 띄워, 찜통 하부에, 상기 압입포트와 연결피팅부의 결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다리부가 설치된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KR1020180124946A 2018-10-19 2018-10-19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KR10213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946A KR102130609B1 (ko) 2018-10-19 2018-10-19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946A KR102130609B1 (ko) 2018-10-19 2018-10-19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808A true KR20200057808A (ko) 2020-05-27
KR102130609B1 KR102130609B1 (ko) 2020-07-08

Family

ID=7091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946A KR102130609B1 (ko) 2018-10-19 2018-10-19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697U (ko) 2021-05-06 2022-11-15 박주화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573U (ja) * 2009-03-05 2009-05-21 エアメイト エレクトリカル(シェンチェン)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圧力調理器具用機能拡張装置
KR101429860B1 (ko) 2013-09-27 2014-08-12 김종화 조리용 스팀찜기
KR101597454B1 (ko) 2014-09-03 2016-02-24 홍동표 스팀찜기 판매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573B2 (ja) * 1995-07-04 2001-03-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保冷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573U (ja) * 2009-03-05 2009-05-21 エアメイト エレクトリカル(シェンチェン)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圧力調理器具用機能拡張装置
KR101429860B1 (ko) 2013-09-27 2014-08-12 김종화 조리용 스팀찜기
KR101597454B1 (ko) 2014-09-03 2016-02-24 홍동표 스팀찜기 판매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609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34512U (zh) 食物蒸锅
JP4190559B2 (ja) 加圧下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器具
EP2606776B1 (en) Pressurized steam cooker
CN107028485B (zh) 家庭用双层蒸锅的密封结构
KR102130609B1 (ko)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KR102034756B1 (ko) 이중가열식 다용도 찜기
KR101406689B1 (ko) 진공냄비를 이용한 간접조리기
KR100495080B1 (ko) 다기능 중탕기
KR100473282B1 (ko) 자동압력 중탕기
CN201492273U (zh) 多功能汤粥煲
TWM543647U (zh) 全罩式蒸汽鍋
KR100664605B1 (ko) 조리기구 뚜껑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구 가열 제어 장치
CN208779505U (zh) 一种多功能燃气炒菜节能设备
KR0128707Y1 (ko) 3중 구조의 내부용기와 상,하부히터를 구비한 전기밥솥
CN206777212U (zh) 一种食品料理机
CN207285849U (zh) 一种低温食物慢煮机
KR200315788Y1 (ko) 자동압력 중탕기
CN104887064B (zh) 一种高密封防烫伤安全高压锅
CN214433623U (zh) 多胆式电饭煲
CN208703974U (zh) 一种高效节能环形灶用烧水器
KR200319825Y1 (ko) 자동압력 중탕기용 중탕전용용기
KR200165198Y1 (ko) 찜기
KR101518417B1 (ko) 스팀 공급장치
CN215424105U (zh) 电热蒸汽桶
CN2151690Y (zh) 高安全性电控高压锅结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