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697U -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 Google Patents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697U
KR20220002697U KR2020210001427U KR20210001427U KR20220002697U KR 20220002697 U KR20220002697 U KR 20220002697U KR 2020210001427 U KR2020210001427 U KR 2020210001427U KR 20210001427 U KR20210001427 U KR 20210001427U KR 20220002697 U KR20220002697 U KR 202200026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er
rice cooker
vegetables
electric ric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화
Original Assignee
박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화 filed Critical 박주화
Priority to KR2020210001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697U/ko
Publication of KR202200026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밥솥을 통해 야채를 수용하도록 안착시키는 전용찜솥을 밥솥에 올려 밥을 지을 때 함께 야채를 익힐 수 있도록 하여, 일반가정에서도 취향에 따라 쉽게 각종의 야채를 익혀 섭취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과 섭취자의 취향만족 등을 제공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야채를 익히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용 찜기에 있어서, 야채를 찌는 찜솥과; 상기 전기밥솥의 내측에 구성되되, 상기 찜솥을 받침하도록 구성되는 돌기가 있는 내솥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TIER STEAM - COOKERS}
본 고안은,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밥솥을 통해 밥을 지을 때 야채를 함께 익힐 수 있도록 내솥을 구성함으로써, 일반가정에서도 취향에 따라 쉽게 각종의 야채를 익혀 섭취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과 섭취자의 취향만족 등을 제공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음식을 조리하는데 사용하는 찜기는 물을 끓여 스팀을 발생하고 발생한 스팀을 대상물에 가함으로써 대상물을 익히는 조리도구이다.
스팀을 이용한 찜요리는 간접열을 이용해 재료를 가열하는 방식이니만큼 음식이 타거나 영양소가 파괴될 염려가 없고, 재료 고유의 풍미를 그대로 유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무겁고 취급이 불편한 토기형 떡시루를 대신하는 다양한 형식이나 크기의 찜기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찜기는 과거의 떡시루에 비해 가볍고 관리하기 편리한 구조를 가져 식당은 물론 일반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상기 찜기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재료를 수용하는 찜통을 갖는다. 상기 가열부는 찜통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기히터나 가스불로 물을 끓여 스팀을 발생한다.
발생한 스팀은 찜통으로 올라가 찜통에 수용되어 있는 재료를 가열한다.
그런대 상기한 종래의 찜기는 단지 스팀을 발생하기 위하여 전기에너지가 가스 등을 소모하여야 하고, 또한 사용한 스팀은 공기 중에 그대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에너지의 활용성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의 일례를 참고하면, 특허 제10-2130609호의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대상물을 압력조리하며 조리과정 중 발생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발생부와, 그 일단부가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스팀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스팀을 이동시키는 스팀유도부와, 상기 스팀유도부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식재료를 수용하고 스팀유도부를 통해 공급된 스팀을 받아 상기 식재료를 가열하는 찜요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부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를 밀폐하는 밀폐뚜껑을 갖는 압력솥이고, 상기 밀폐뚜껑에는 스팀이 배출되는 배출포트가 구비된다.
상기 찜요리부는 그 하부에 스팀을 받아들이는 압입포트가 장착되어 있는 찜통과 상기 찜통을 밀폐하는 찜통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찜통뚜껑에는 스팀배출밸브와 안전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스팀유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팀호스와 상기 스팀호스에 설치되며 스팀호스를 통과하는 스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스팀호스를 통한 스팀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압력정조를 기초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스팀호스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포트 및 압입포트에 결합하는 연결피팅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형 밸브이며, 상기 스팀유도부를 스팀발생부 및 찜요리부로부터 분리하여 스팀발생부와 찜요리부를 별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팀찜기는 압력밥솥과 찜기 각각이 별도로 구성됨으로써, 대용량 찜 요리를 주로 사용하는 식당 또는 공장 등에 사용이 적합하나, 소용량을 취급하는 일반 가정 등에서는 사용이 번거롭고 보관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1인 가구 증가로 평소 2 ~ 3컵(쌀컵기준) 밥을 지을면 전기밥솥의 윗공간이 남는다.
또한, 밥을 지을 때 취향에 따라 감자나 고구마, 당근 등(이하 '야채'라 한다)을 올려 놓아 익혀 먹을 경우가 있고, 이 경우, 야채의 외피가 밥의 표면에 늘러 붙게 되고, 이에 따라 밥의 식감을 저해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213060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7068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밥솥을 통해 밥을 지을 때 야채를 함께 익힐 수 있도록 내솥을 구성함으로써, 일반가정에서도 취향에 따라 쉽게 각종의 야채를 익혀 섭취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과 섭취자의 취향만족 등을 제공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기밥솥용 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 밥솥을 이용하여 야채를 익히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에 있어서, 내측에 야채를 수용하도록 안착시키는 찜솥과; 상기 전기밥솥의 내측에 구성되되, 상기 찜솥을 받침하도록 구성되는 돌기가 있는 내솥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찜솥은, 야채가 안착되는 바닥면과;테두리 상단부와 돌기가 있는 내솥형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찜솥에는, 야채의 종류에 따라 분리시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바닥면과 옆면에는, 전기밥솥을 통해 밥을 지을 때 발생하는 열기가 야채의 익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찜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거치대는, 상기 찜솥이 안착되도록 받침하는 돌기가 있는 내솥형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 밥솥을 통해 밥을 지을 때 야채를 함께 익힐 수 있도록 찜기를 구성함으로써, 일반가정에서도 취향에 따라 쉽게 각종의 야채를 익혀 섭취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과 섭취자의 취향만족 등을 제공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밥솥용 찜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밥솥용 찜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례에 따른 전기밥솥용 찜기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전기밥솥용 찜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찜솥(10)과 돌기가 있는 내솥(1)을 포함한다.
상기 찜솥(10)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외주연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테두리(120) 및 상기 테두리(120)의 일측에 구성되는 손잡이(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찜솥(10)은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찜솥(10)은 양은, 스테인리스스틸,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이다.
상기 바닥면(110)은 상단에 야채를 안착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110)과 테두리(120)에는 전기 밥솥을 통해 밥 지을 때 발생되는 증기 등의 열기가 야채로 전달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찜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찜공(112)은 바닥면(110)에 안착된 야채가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120)는 상기 바닥면(110)의 외주연에서 일정높이 세워져 상기 바닥면(110)에 안착된 야채가 타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120)에는 상기 바닥면(110)에 안착된 야채로 증기 등의 열기가 전달되어 상기 야채의 익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찜공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테두리(1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찜솥(10)을 전기밥솥(1)에 안착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테두리(120)의 상단 내측에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30)는 복수로 구성되어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손잡이(130)는 고리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찜솥(10)을 안정적으로 안착 또는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찜솥(10)에는 야채의 종류에 따라 분리시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140)가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140)는 상기 바닥면(110)에서 일정높이로 세워져 상기 찜솥(10)의 공간을 분리시킴에 따라 야채를 종류별로 분리시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밥솥용 찜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전기밥솥(1)의 돌기있는 내측에 찜솥(10)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전기밥솥(1)에는 밥을 짓기 위한 일정량의 쌀알이 수용된 상태이고, 상기 전기밥솥(1)의 내측에 돌기에 의해 찜솥(10)이 위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칸막이(140)에 의해 분리된 공간으로 야채를 종류별로 분리시켜 안착시킨 찜솥(10)을 안착한다.
이후, 전기밥솥(1)을 통해 밥을 짓게되면 밥을 짓을 때 발생되는 증기 등의 열기가 찜솥(10)의 찜공(112)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찜솥(10)에 안착된 야채가 익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밥솥(1)을 통해 밥 짓기가 완료되면, 상기 전기밥솥(1) 내에 구성된 찜솥(10)에 안착된 야채 또한 익혀진 상태이므로, 상기 찜솥(10)의 손잡이(130)를 통해 전기밥솥(1)의 내부에서 상기 찜솥(10)을 취득하여, 익혀진 야채의 취식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기밥솥(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의 일정높이에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전기밥솥(1)의 내측에 찜솥(10)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받침돌기(2)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돌기(2)는 상기 전기밥솥(1)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단에 안착되는 찜솥(10)을 받침, 지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받침돌기(2)는 찜솥(1)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받침돌기(2)는 찜솥(1)의 하단을 확고하게 받침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돌기(2)는 전기밥솥(1)의 내측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돌기(2)는 상기 전기밥솥(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성시켜 용접 등으로 융착시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돌기(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밥솥(1)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찜솥(10)의 상단을 받침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찜솥(10)에는 테두리(120)에 다수의 찜공(112)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전기밥솥 2: 받침돌기
10: 찜솥 110: 바닥면
112: 찜공 120: 테두리
130: 손잡이 140: 칸막이

Claims (4)

  1. 전기 밥솥을 이용하여 야채를 익히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에 있어서,
    내측에 야채를 수용하도록 안착시키는 찜솥과;
    상기 전기밥솥의 내측에 구성되되, 밥솥내솥 돌기가 있는 형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찜솥은,
    야채가 안착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외주연에 세워지는 테두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찜솥에는,
    야채의 종류에 따라 분리시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옆면에는,
    전기밥솥을 통해 밥을 지을 때 발생하는 열기가 야채의 익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찜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KR2020210001427U 2021-05-06 2021-05-06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KR202200026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427U KR20220002697U (ko) 2021-05-06 2021-05-06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427U KR20220002697U (ko) 2021-05-06 2021-05-06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97U true KR20220002697U (ko) 2022-11-15

Family

ID=8404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427U KR20220002697U (ko) 2021-05-06 2021-05-06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697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685A (ko) 2017-12-13 2019-06-21 유래현 스마트 찜기
KR102130609B1 (ko) 2018-10-19 2020-07-08 김점원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685A (ko) 2017-12-13 2019-06-21 유래현 스마트 찜기
KR102130609B1 (ko) 2018-10-19 2020-07-08 김점원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515B1 (ko) 면 조리용 압력솥
US6526875B1 (en)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US6603099B2 (en) Multifunctio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JP2010188120A (ja) 食品調理用バスケットおよび対応する調理システム
US20110000380A1 (en) Food steamer
US20190021537A1 (en) Energy saving safety cooking pot without steam outlet
US6875959B1 (en) Food steamer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RU262435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рки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на пару
KR20220002697U (ko) 전기 밥솥용 전용찜기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AU2004255207B2 (en) Combined food cooker and steamer
KR20110113082A (ko) 수육용기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KR20150098143A (ko) 조리용 찜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US10765250B1 (en) Steam cooking apparatuses with invertible steaming insert baskets and controlled venting lids
CN208030945U (zh) 一种烹饪器具
KR20210097970A (ko) 열효율이 강화된 냄비
KR101518417B1 (ko) 스팀 공급장치
KR101019413B1 (ko)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CN211722759U (zh) 烹饪器具
KR102655243B1 (ko) 적층식 조리기구 세트
US20100000992A1 (en) Microwave Steamer
KR20190129313A (ko)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