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245A -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245A
KR20200057245A KR1020180141340A KR20180141340A KR20200057245A KR 20200057245 A KR20200057245 A KR 20200057245A KR 1020180141340 A KR1020180141340 A KR 1020180141340A KR 20180141340 A KR20180141340 A KR 20180141340A KR 20200057245 A KR20200057245 A KR 20200057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sided
cereal
cutting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9438B1 (ko
Inventor
정지수
정건우
Original Assignee
정지수
정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수, 정건우 filed Critical 정지수
Priority to KR102018014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4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2Coated, filled, multilayered or hollow ready-to-eat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쌀류와 곡물류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의 내부에 구성되고, 과일류, 야채류, 버섯류, 임산물류, 해초류, 해산물류 및 육류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코어층으로 구성된 이중면을 제조하는 이중면 제조장치; 상기 이중면이 공급되고, 공급된 상기 이중면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되, 압착식으로 눌러 절단하는 커팅장치; 상기 커팅장치에 의해 절단된 이중면을 압착하여 시리얼로 제조하고, 제조된 시리얼을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을 제조하는 로스팅 장치; 및 상기 로스팅 장치로부터 상기 이중면 시리얼이 공급되고, 공급된 상기 이중면 시리얼을 이용하여 이중면 시리얼 바를 제조하는 성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스팅 장치는 상기 성형장치로부터 상기 압착 이중면을 공급받으며, 상기 압착 이중면을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real bar using cereal and double noodle using double noodle}
본 발명은 곡물류로 이루어진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과, 상기 시리얼을 이용하여 시리얼바를 제조하는 시리얼바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곡물류로 이루어진 외피층과 식용 가능한 다양한 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코어층으로 구성된 이중면을 커팅, 압착 및 로스팅하여 식감 및 맛이 뛰어나고 소비자의 건강상태(영양결핌 환자나 운동선수와 같은 고영양이 필요한 자)에 따라 섭취할 영양분의 고저 조절이 가능한 이중면을 제조하고, 상기 이중면을 이용하여 시리얼 및 시리얼 바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쌀 소비가 현저히 줄면서 기존의 쌀 가공 산업도 시대에 발맞춰 새로운 변신을 하고 있으며, 기존의 밀가루 제품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글루텐 과민 반응에 따른 건강상의 부작용으로 밀가루를 대체할 쌀 및 다양한 잡곡류를 활용한 대체 식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면서 웰빙과 프리미엄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화한 쌀 가공 식품들이 다수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능성 쌀가공 식품으로는 쌀을 포함하여 내부에 유용한 성분의 재료를 넣어 면의 내부에 다양한 영양 성분의 속재료를 채운 이중구조의 면(dual noodle)이 있으며, 이러한 이중구조의 면(이하, 이중면이라고 함.)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 식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03694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고 함.)에는, 다수의 풍미 및 텍스처(texture)를 갖는 곡분질 반죽이 충전된 시리얼(cereal) 제품을 제공하는 충전된 시리얼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1의 경우, 다양한 풍미의 시리얼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시리얼 자체에 각종 과일류, 약용채소류, 육류, 미역, 김, 다시마와 같은 해초류 새우/게등 갑각류와 각종 생선 및 육류 등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소재를 넣을 수가 없고, 단지 반죽에 제한된 분말 형태의 소재를 반죽자체에 혼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 생산하거나 일부 건조바나나와 건과류 등을 별개의 혼합내용물로 포장하여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소비자들이 원하는 다양한 기능과 영양을 구현하기에는 많이 부족하고 제조절차와 방법이 복잡하며 비효율적인 생산방법으로 소비자들의 건강상태에 따른 다양한 욕구들을 충족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1735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고 함.)에는, 통곡물을 그대로 사용하여 정제되지 않은 영양분이 섭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연화가공시켜 식감을 향상시키고 끈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통곡물 시리얼바 제조방법이 게재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문헌2의 경우, 캐러멜에 단순히 과일코팅제를 도포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는 과일의 향만을 제공할 뿐, 과일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성분과 풍미 등의 효능을 제공하기 어렵고, 캐러멜과 같은 성분으로 인해 오히려 영양소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036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1735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쌀을 원재료로 이용하여 쌀의 소비를 촉진시키면서도, 탄수화물을 주된 성분으로 하는 쌀에 모든 과일류와 식용가능한 야채류, 해초류 및 생선육, 패류등을 포함한 해산물류 그리고 육류와 치즈등 가공품류등의 각종 내부 소재의 영양성분을 부가하여 영양 균형을 맞추고 식감이나 맛이 좋고, 대량 생산을 가능한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류로 이루어진 외피층과 식용 가능한 다양한 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코어층으로 구성된 이중면을 커팅, 압착 및 로스팅하여 식감 및 맛이 뛰어난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피층과 코어층의 성분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이중구조의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다양한 칼로리 섭취제한 기능과 영양소의 과다, 또는 과소를 조절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건강관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쌀류와 곡물류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의 내부에 구성되고, 과일류, 야채류, 버섯류, 임산물류, 해초류, 해산물류 및 육류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코어층으로 구성된 이중면을 절단 및 로스팅하고, 로스팅된 이중면의 표면으로 첨가물을 도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쌀류는 현미와 백미가 각각 1:3 ~ 1:5의 중량비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물류는 보리, 콩,수수, 기장, 조 및 밀이 단독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둘 이상 혼합된 혼합곡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곡물은, 총 중량에 있어서 콩 30중량%~70중량%, 보리 10중량%~20중량%, 수수 5중량%~10중량%, 기장 5중량%~10중량%, 조 5중량%~10중량%, 밀 5중량%~1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는, 쌀류와 곡물류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의 내부에 구성되고, 과일류, 야채류, 버섯류, 임산물류, 해초류, 해산물류 및 육류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코어층으로 구성된 이중면을 제조하는 이중면 제조장치; 상기 이중면이 공급되고, 공급된 상기 이중면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되, 압착식으로 눌러 절단하는 커팅장치; 상기 커팅장치에 의해 절단된 이중면을 압착하여 시리얼로 제조하고, 제조된 시리얼을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을 제조하는 로스팅 장치; 및 상기 로스팅 장치로부터 상기 이중면 시리얼이 공급되고, 공급된 상기 이중면 시리얼을 이용하여 이중면 시리얼 바를 제조하는 성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스팅 장치는 상기 성형장치로부터 상기 압착 이중면을 공급받으며, 상기 압착 이중면을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는 상기 이중면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커팅본체; 상기 커팅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중면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커팅 가이드; 상기 커팅 가이드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이중면 제조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이중면을 가닥별로 상기 커팅 가이드로 공급하는 제1이중면 공급판; 상기 커팅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팅 가이드로 공급된 이중면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제1 내지 제3커팅수단; 및 상기 제1 내지 제3커팅수단의 구동 및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커팅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는 상기 이중면의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며, 압착이 이루어진 이중면 시리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압착 프레임; 상기 압착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방을 개폐시키며, 압착시 이중면 시리얼 바의 전,후방면을 형성하거나, 상기 압착 이중면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압착 개폐판; 상기 압착 개폐판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는 승하강 부재; 및 상기 압착 프레임으로 공급되는 절단된 이중면, 또는 이중면 시리얼을 압착하는 압착 회전 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장치는, 상기 커팅장치 및 성형장치와 연결되며, 양측으로 다수개의 로스팅 로울러가 구비된 로스팅 본체; 및 상기 로스팅 본체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온풍을 제공하는 온풍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에는, 로스팅이 이루어진 이중면 시리얼 바의 표면에 꿀, 시럽, 물엿 및 조청으로 구성된 첨가물을 도포하는 첨가물 도포장치; 및 상기 첨가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건조하는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면 시리얼 및 이중면 시리얼 바 제조방법은, (a) 이중면 제조장치를 통해 외피층과 코어층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면을 제조하고, 제조된 이중면을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로 이송하는 단계; (b)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로 공급된 이중면을 제1 내지 제3 커팅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커팅이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해 절단된 이중면을 로스팅 장치로 이송하여 로스팅시켜 시리얼로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의 표면으로 첨가물 도포장치에 의해 첨가물을 도포하는 단계; (e) 상기 첨가물이 도포된 시리얼을 성형장치로 이송하여 시리얼 바를 제조하는 단계; (f) 첨가물이 도포된 이중면 시리얼 바를 0~4℃의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건조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절단된 이중면을 압착 및 건조한 후 상기 로스팅 장치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쌀을 이용하여 외피층을 가공하고, 그 내부에 맛이 좋고 영양 균형을 갖춘 속재료가 포함된 이중면을 절단하고 이를 압착 가공하여 다양한 기능의 고영양/저영양 시리얼 및 시리얼 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중면을 일정크기로 절단하고 압착방식으로 시리얼 제품으로 만들고 압착하지 않은 절단된 이중면은 다양한 소재의 시리얼바로 만들기 위하여 공장 자동화를 통하여 영양 칼로리가 조절되고 식감과 맛이 탁월한 다양한 기능성 시리얼류와 시리얼바류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피층과 코어층의 성분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이중면 시리얼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칼로리 섭취제한 기능과 영양소의 과다, 또는 과소를 조절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선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면을 제조하는 이중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의 커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의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의 로스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를 이용한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면을 제조하는 이중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면 시리얼 바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의 커팅장치, 성형장치 및 로스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면을 이용하여 이중면 시리얼 및 상기 이중면 시리얼을 이용하여 이중면 시리얼 바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중면 시리얼을 이루는 이중면을 제조하는 이중면 제조장치(100)와, 이중면 제조장치(102)로부터 공급되는 이중면을 이용하여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를 제조하는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면 제조장치(102)는 이중면의 외피층을 이루는 쌀류 및 곡물류를 일정량 공급하는 외피재료 공급부(110), 공급된 쌀류 및 곡물류를 혼합 및 숙성시키는 외피재료 혼합부(120), 이중면의 코어층을 이루는 다양한 코어재료를 일정량 종류별로 각각 공급하는 코어재료 공급부(130), 공급된 코어재료를 혼합 및 숙성시키는 코어재료 혼합부(140), 외피재료 혼합부(120) 및 코어재료 혼합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외피재료 및 코어재료를 이용하여 이중면을 사출하는 이중면 사출부(150) 및 사출된 이중면을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104)로 이송하는 이중면 이송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피재료 공급부(110)는 현미와 백미로 이루어지는 쌀류와, 보리, 콩,수수, 기장, 조 및 밀로 이루어지는 곡물류를 일정량 외피재료 혼합부(120)로 공급하는 것으로,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의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쌀류를 이루는 현미와 백미는 각각 1:3 ~ 1:5의 중량비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백미가 가지는 특유의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 현미의 공급량에 비해 현미와 백미가 각각 최소 1:3, 최대 1:5의 중량비로 공급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물류는 보리, 콩,수수, 기장, 조 및 밀이 단독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둘 이상 혼합된 혼합곡물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곡물을 외피재료 혼합부(120)로 모두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곡물류는 중량비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급되는 쌀류의 최대 공급량에 대해 10중량%~15중량%의 비율로 공급되어 쌀류가 가지는 특유의 점도를 유지하는 한편, 과도한 영양분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의 영양 균형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곡물류는 총 중량에 있어서 콩 30중량%~70중량%, 보리 10중량%~20중량%, 수수 5중량%~10중량%, 기장 5중량%~10중량%, 조 5중량%~10중량%, 밀 5중량%~10중량%로 공급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그 중량비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외피재료 혼합부(120)는 외피재료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쌀류 및 곡물류를 혼합 및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온도에서 숙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외피재료의 혼합 및 반죽시 일정량의 연수가 추가로 공급되어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수는 정량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외피재료의 양에 따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코어재료 공급부(130)는 이중면의 내부에 구성되는 코어층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코어재료를 코어재료 혼합부(140)로 공급하는 것으로,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 공정이 이루어진 코어재료를 코어재료 혼합부(14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코어재료의 분쇄시 콜로이드 분쇄기가 사용된다. 콜로이드 분쇄기는 원료 상태 그대로(콜로이드) 습식 분쇄하여 미립화시키는 밀(mill)로서 속재료를 외피면의 내부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가공한다.
코어재료는 각종 과일류, 야채류, 버섯류, 임산물류, 해초류, 해산물류 및 육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총 중량에 있어서, 해산물, 또는 육류 중 어느 하나 30중량%~55중량%, 과일류 6중량%~10중량%, 야채류 20중량%~25중량%, 버섯류 10중량%~20중량%, 임산물류 3중량%~5중량%, 해초류 6중량%~10중량%의 비율로 공급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그 중량비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해산물과 육류는 둘 중 어느 하나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둘 모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한정된 중량%의 범위 내에서 1:1의 비율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코어재료 혼합부(140)는 코어재료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코어재료를 혼합 및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온도에서 숙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코어재료의 혼합 및 반죽시 일정량의 연수가 추가로 공급되어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수는 정량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외피재료의 양에 따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중면 사출부(150)는 외피재료 혼합부(120) 및 코어재료 혼합부(140)로부터 각각 반죽된 외피재료 혼합물과 코어재료 혼합물을 공급받고, 공급된 각 재료들을 이중면 성형에 적합하도록 특수 처리한 후 사출한다.
이를 위해 이중면 사출부(150)는 외피재료 혼합물 및 코어재료 혼합물을 각각 개별적으로 특수 처리를 위한 재료 압출기(152) 및 재료 가열기(15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료 압출기(152)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된 외피재료 혼합물과 코어재료 혼합물을 2중 구조로 이루어진 노즐을 통해 사출하는 사출부(156)를 포함한다.
이때, 재료 압출기(152)는 외피재료 혼합물 및 코어재료 혼합물을 고압의 압력으로 이송하고, 재료 가열기(154)는 재료 압출기(152)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송 중인 외피재료 혼합물 및 코어재료 혼합물에 열을 가하여 증숙시킨다.
사출부(156)는 중심 노즐(156a)과 상기 중심 노즐(156a)의 둘레를 감싸는 외측 노즐(156b)로 이루어지는 사출 노즐을 구비하며, 외측 노즐(156b)을 통해 쌀 반죽이 사출되어 외피면이 성형되고 중심 노즐(156a)을 통해 속재료가 사출된다.
따라서, 외측 노즐(156b)을 통해 중공부를 갖는 형상으로 외피면이 사출됨과 동시에 외피면의 중공부에 위치한 중심 노즐(156a)을 통해 속재료가 사출됨으로써 외피면 내부에 속재료가 채워진 이중면(dual noodle)이 가공된다.
이중면 이송부(160)는 이중면 사출부(150)를 통해 성형된 이중면을 곧게 정렬하여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104)로 이송하는 것으로, 실시예로써 컨베이어식 이송부가 사용된다. 이때, 이중면 제조장치는 동시에 여러 가닥의 이중면을 사출하므로 각각의 이중면이 겹치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해 컨베이어식 이송부는 구동모터, 기어부, 구동풀리, 종동풀리 및 컨베이어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컨베이어벨트의 투입구 측에 정렬기 등을 구비하여 다수의 이중면이 펼쳐진 상태에서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104)로 이송되게 한다.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104)는 이중면 제조장치(102)에 의해 제조된 이중면이 공급되고, 공급된 이중면을 일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장치(200)와, 로스팅 장치(400)로부터 공급되는 이중면 시리얼을 압착시켜 이중면 시리얼 바를 제조하거나, 또는 커팅장치(200)에 의해 커팅된 이중면을 직접 공급받아 압착시켜 압착된 상태의 절단된 이중면을 제조하는 성형장치(300)와, 상기 커팅장치(200)에 의해 제공되는 절단된 이중면, 또는 상기 성형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압착된 상태의 절단된 이중면을 고온/고압으로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을 제조하는 로스팅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팅장치(200)는 이중면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커팅본체(210), 커팅본체(210)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이중면의 진입 및 커팅(절단)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커팅 가이드(220), 커팅 가이드(220)의 전방에 구비되며, 이중면 이송부(160)로부터 이송되는 이중면이 가닥별로 커팅 가이드(22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제1이중면 공급판(230), 커팅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팅 가이드(2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중면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 및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의 구동 및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커팅 구동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팅본체(210)는 커팅장치(200)의 본체부를 이루는 측면 프레임으로서 양측으로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212) 및 이 가이드 레일(212)을 따라 이동하는 위치 조절판(214)이 구성된다.
이때, 위치 조절판(214)에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212)은 커팅 구동부(280)의 제어에 따라 위치 조절판(214)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상의 LM 가이드, 또는 전동식 볼 스크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팅 가이드(220)는 커팅본체(210)의 하부에 구성되는 바닥 프레임으로, 제1이중면 공급판(230)으로부터 공급되는 이중면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팅 가이드(220)는 제1이중면 공급판(230)에 의해 가닥별로 공급되는 이중면이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커팅홈(222)이 형성되고, 이 커팅홈(222)의 양측으로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에 구성된 커틸칼날(270)이 위치하며, 이중면이 커팅홈(222) 상에서 이중면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커팅 안내돌기(224)가 구성된다.
이때, 커팅 가이드(220)는 이중면의 굵기에 따라 커팅 구동부(28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이중면 공급판(230)은 일단에 소정 각도 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중면 이송부(160)와 연결되는 진입 안내판(232)과, 이 진입 안내판(232)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커팅 가이드(220)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이송되는 이중면이 가닥별로 커팅 가이드(220)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 가이드부(234)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은 커팅 가이드(220)로 공급되는 이중면을 일정한 크기를 이룰 때까지 절단하는 것으로,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커팅칼날(270)이 구성된다.
이때, 커팅칼날(270)은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에 각각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제2커팅수단(250)에 구성되는 커팅칼날(270) 보다 제1커팅수단(240)에 구성되는 커팅칼날(270)의 수가 적게 형성되고, 제3커팅수단(260)에 구성되는 커팅칼날(270)은 상기 제2커팅수단(250)에 구성되는 커팅칼날(270) 보다 많게 형성되어 이중면이 각각의 커팅수단들을 통과할 때 마다 더욱 작은 크기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최초 절단이 이루어지는 제1커팅수단(240)의 원주면의 한 열에 구성된 커팅칼날(270)의 수가 총 14개인 경우, 제2커팅수단(250)에 구성되는 커팅칼날(270)은 21개로 구성되고, 제3커팅수단(260)에 구성되는 커팅칼날(270)은 28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이중면은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점차 그 길이가 짧은 형태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커팅칼날(270)은 이중면을 압착하여 절단하는 압착식 절단날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날카로운 날로 이중면을 절단하는 경우, 외피층이 매끈하게 잘리면서 실제 2중 구조의 시리얼제조를 위한 형상과 차이가 크게 되고 개방된 절단면을 통해 코어층을 이루는 코어재료가 누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중면을 압착식으로 눌러 절단하여 증숙된 이중면의 외피층이 압착되면서 끊어지므로 외피층의 양단이 밀봉되는 형태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중면을 압착식으로 눌러 이중면을 가공하면 찰기가 있는 이중면의 외피층 중 절단면 단부가 서로 접착되어 절단면을 폐쇄하므로 코어재료의 누출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은 커팅 가이드(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병렬 구조로 커팅본체(2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은 각각 복수개로 구성되며, 커팅 가이드(2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이 회전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 사이로 연속 공급 중인 이중면을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의 표면에는 테프론(Teflon)이 코팅된다. 테프론은 불소성분이 보호막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송중인 이중면이 들러붙지 않는다. 따라서, 이중면의 형상 불량을 방지하면서도 정속도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 사이의 간격은 이중면의 굵기 및 공급 속도에 따라 최적의 간격으로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들 간 간격은 커팅된 이중면의 길이에 따라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중면 제조장치에서 성형된 이중면은 제1이중면 공급판(23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이중면 이송부(160)에 의해 이송된 이중면은 회전중인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 사이를 통과하면서 커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시리얼 및 시리얼 바의 제조 방법에 따라 성형장치(300), 또는 로스팅 장치(400)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커팅 구동부(280)는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의 구동 및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각각 별개의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하나의 구동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을 기어 및 동력 전달장치 등을 이용하여 동시에 전달하여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커팅 구동부(280)는 커팅본체(210)에 구성된 가이드 레일(212)의 이동 작동을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커팅수단(240, 250, 260)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팅장치(200)는 절단된 이중면을 이송장치에 의해 로스팅 장치(400)로 바로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로스팅 장치(400)는 이송된 이중면을 고온/고압으로 가열하여 이중면 시리얼 바로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성형장치(300)로 상기 절단된 이중면을 이송하여 압착 및 건조가 이루어진 이후 로스팅 장치(400)로 이송하여 로스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스팅 장치(400)는 커팅장치(200) 및 성형장치(300)와 각각 연결 구성되며, 커팅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절단된 이중면을 고온/고안으로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로 제조한 후 성형장치(300)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성형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압착된 상태의 절단된 이중면(이하 압착 이중면이라고 함.)을 고온/고안으로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로 제조한 후 성형장치(300)로 공급하여 이중면 시리얼 바의 형태로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로스팅 장치(300)는 상기 커팅장치(200) 및 성형장치(300)와 이송장치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며, 이송중인 절단된 이중면, 또는 압착 이중면에 고온/고압의 온풍을 토출시키는 로스팅 공정을 통해 이중면 시리얼을 제조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로스팅 장치(400)는 이송장치의 이송 경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다수개의 로울러(420)가 장착되는 로스팅 본체(410)와, 로스팅 본체(410)의 상부에 구성되며, 고온/고압의 온풍을 제공하는 온풍 공급장치(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로스팅 본체(410)는 절단된 이중면, 또는 압착 이중면이 진입되어 로스팅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로스팅부(412)와, 로스팅부(412)의 양측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로울러(420)들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로울러(420)는 절단된 이중면을 압착하여 시리얼로 제조하는 시리얼 제조 로울러와, 시리얼 제조 로울러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을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을 제조하는 로스팅 로울러로 이루어진다.
또한, 로스팅 장치(400)는 하부에 구성되며, 로스팅 공정이 완료된 이후, 로스팅부(412)에 남아 있는 온풍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배출 송풍기 등으로 이루어진 배출장치(450)가 더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104)는 로스팅이 이루어진 이중면 시리얼의 표면에 꿀, 시럽 등과 같은 첨가물을 도포하는 첨가물 도포장치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첨가물 도포장치는 분사노즐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도포되도록 하거나, 또는 첨가물이 수용되는 첨가물 수조를 이중면 시리얼이 통과하면서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설계 변경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성형장치(300)는 로스팅 장치(400)로부터 공급되는 이중면 시리얼을 압착하여 이중면 시리얼 바를 제조하거나, 또는 커팅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절단된 이중면을 압착하여 압착 이중면을 제조한 후, 로스팅 장치(400)로 공급하는 것으로, 압착 프레임(310), 압착 개폐판(330), 승하강 부재(340), 압착 회전 로울러(350) 및 제2이중면 공급판(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착 프레임(310)은 압착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며, 압착이 이루어진 이중면 시리얼, 또는 압착 이중면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압착 회전 로울러(3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압착 개폐판(330)은 압착 프레임(310)의 개방된 전,후방을 개폐시키며, 로스팅 장치(400)로부터 이중면 시리얼이 공급되는 경우, 이중면 시리얼 바의 전,후방면 형상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커팅장치(200)로부터 절단된 이중면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압착 회전 로울러(350)의 전,후방부를 지지하여 압착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압착 이중면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압착 개폐판(330)은 압착 프레임(310)의 전,후방부에 각각 구성되는 전방 개폐판(332)과, 후방 개폐판(334)으로 구성되며, 압착 공정시에는 전방 및 후방 개폐판(332, 334)이 모두 승강 상태에 위치하여 개방된 압착 프레임(310)의 전후방을 밀폐시켜 이중면 시리얼, 또는 압착 이중면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압착 개폐판(330)은 이중면 시리얼, 또는 절단된 이중면의 공급시 전방 개폐판(332)만 하향 이동하여 제1이중면 공급판(230)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제2이중면 공급판(360)으로부터 이중면 시리얼, 또는 절단된 이중면이 압착 회전 로울러(350)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압착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후방 개폐판(334)만 하향 이동하여 성형이 이루어진 이중면 시리얼 바, 또는 압착 이중면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중면 시리얼 바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제조된 이중면 시리얼 바는 전술한 첨가물 도포장치로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압착 이중면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제조된 압착 이중면은 로스팅 장치(400)로 이송되어 로스팅 공정에 의해 이중 시리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승하강 부재(340)는 전방 및 후방 개폐판(332, 334)에 각각 구성되어 개별적인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통상의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착 회전 로울러(350)는 압착 프레임(310)의 내부에 구성되며, 이중면 시리얼, 또는 절단된 이중면을 가압하여 압착에 의해 이중면 시리얼 바, 또는 압착 이중면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첨가물 도포장치에 의해 첨가물이 도포된 이중면 시리얼, 또는 시리얼 바는 상기 첨가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건조 및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냉각장치는 0~4℃의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건조 및 냉각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가공된 이중면 시리얼, 또는 시리얼 바는 전술한 냉각장치를 통해 건조 및 냉각 공정을 거친 후 바로 진공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유통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이중면 제조장치(102) 및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104)를 이용하여 이중면 시리얼 바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중면 시리얼 바 제조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중면 제조장치(102)를 통해 외피층과 코어층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면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0)
상기 S510 단계는, 외피재료 공급부(110)를 통해 현미와 백미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쌀류와, 보리, 콩,수수, 기장, 조 및 밀이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둘 이상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곡물로 이루어지는 곡물류를 외피재료 혼합부(120)로 공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S510 단계는, 이중면의 내부에 구성되는 코어층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코어재료를 코어재료 혼합부(140)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쌀류와 곡물류를 초미세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외피재료 혼합부(120)에서 상기 쌀류와 곡물류로 이루어진 외피재료를 혼합하고, 코어재료 혼합부(120)에서 각종 과일류, 야채류, 버섯류, 임산물류, 해초류, 해산물류 및 육류로 이루어지는 코어재료를 혼합한 후, 각각의 혼합물들을 이중면 사출부(150)로 공급하여 압출에 의해 이중면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조된 이중면을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104)로 이송한다.
다음으로,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104)로 공급된 이중면을 제1 내지 제3 커팅수단(240. 250, 260)을 통해 순차적으로 커팅이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20)
상기 S520 단계는, 이중면의 커팅시 이중면을 압착식으로 눌러 절단하여 증숙된 이중면의 외피층이 압착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절단된 이중면을 로스팅 장치(400)로 이송하여 고온/고압으로 상기 절단된 이중면을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30)
이때, 상기 S530 단계는, 절단된 이중면을 로스팅 장치(400)로 이송하기 전 상기 절단된 이중면을 압착 및 건조한 후 상기 로스팅 장치(400)로 이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절단된 이중면의 압착 및 건조는 본 발명의 성형장치(300)와 냉각장치를 통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S530 단계는, 상기 S520 단계에 의해 절단된 이중면을 성형장치(300)로 이송하고, 성형장치(300)에서는 상기 절단된 이중면을 압착하여 압착 이중면을 제조하고, 이 후, 냉각장치로 이송하여 냉각 및 건조가 이루어진 압착 이중면을 로스팅 장치(400)로 이송하여 로스팅 공정에 의한 이중면 시리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로스팅이 이루어진 이중면 시리얼 바의 표면으로 첨가물 도포장치에 의해 꿀, 시럽, 물엿 및 조청을 포함하는 첨가물을 도포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40)
상기 S54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첨가물이 도포된 시리얼을 성형장치(300)로 이송하여 시리얼 바를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50)
이후, 첨가물이 도포된 이중면 시리얼 바를 0~4℃의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건조 및 냉각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60)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중면 시리얼 바는, 저칼로리가 함유된 제품은 다이어트용으로, 평균의 칼로리가 함유된 제품은 일반용으로, 고 칼로리가 함유된 제품은 환자용과 운동선수용, 특수 직업군용 등 다양한 식품으로 가공하여 유통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이중면 제조장치 104: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
110: 외피재료 공급부 120: 외피재료 혼합부
130: 코어재료 공급부 140: 코어재료 혼합부
150: 이중면 성형부 160; 이중면 이송부
200: 커팅장치 210: 커팅본체
220: 커팅 가이드 230: 제1이중면 공급판
240: 제1커팅수단 250: 제2커팅수단
260: 제3커팅수단 270: 커팅칼날
280: 커팅 구동부 300: 성형장치
310: 압착 프레임
330: 압착 개폐판 340: 승하강 부재
350: 압착 회전 로울러 360; 제2이중면 공급판
400; 로스팅 장치 410: 로스팅 본체
420; 로울러 440: 온풍공급장치
450: 배출장치

Claims (8)

  1. 쌀류와 곡물류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의 내부에 구성되고, 과일류, 야채류, 버섯류, 임산물류, 해초류, 해산물류 및 육류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코어층으로 구성된 이중면을 절단 및 로스팅하고, 로스팅된 이중면의 표면으로 첨가물을 도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면 시리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류는 현미와 백미가 각각 1:3 ~ 1:5의 중량비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물류는 보리, 콩,수수, 기장, 조 및 밀이 단독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둘 이상 혼합된 혼합곡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곡물은, 총 중량에 있어서 콩 30중량%~70중량%, 보리 10중량%~20중량%, 수수 5중량%~10중량%, 기장 5중량%~10중량%, 조 5중량%~10중량%, 밀 5중량%~1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면 시리얼.
  3. 쌀류와 곡물류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의 내부에 구성되고, 과일류, 야채류, 버섯류, 임산물류, 해초류, 해산물류 및 육류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코어층으로 구성된 이중면을 제조하는 이중면 제조장치;
    상기 이중면이 공급되고, 공급된 상기 이중면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되, 압착식으로 눌러 절단하는 커팅장치;
    상기 커팅장치에 의해 절단된 이중면을 압착하여 시리얼로 제조하고, 제조된 시리얼을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을 제조하는 로스팅 장치; 및
    상기 로스팅 장치로부터 상기 이중면 시리얼이 공급되고, 공급된 상기 이중면 시리얼을 이용하여 이중면 시리얼 바를 제조하는 성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스팅 장치는 상기 성형장치로부터 상기 압착 이중면을 공급받으며, 상기 압착 이중면을 로스팅하여 이중면 시리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는
    상기 이중면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커팅본체;
    상기 커팅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중면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커팅 가이드;
    상기 커팅 가이드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이중면 제조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이중면을 가닥별로 상기 커팅 가이드로 공급하는 제1이중면 공급판;
    상기 커팅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팅 가이드로 공급된 이중면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제1 내지 제3커팅수단; 및
    상기 제1 내지 제3커팅수단의 구동 및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커팅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는
    상기 이중면의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며, 압착이 이루어진 이중면 시리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압착 프레임;
    상기 압착 프레임의 개방된 전,후방을 개폐시키며, 압착시 이중면 시리얼 바의 전,후방면을 형성하거나, 상기 압착 이중면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압착 개폐판;
    상기 압착 개폐판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는 승하강 부재; 및
    상기 압착 프레임으로 공급되는 절단된 이중면, 또는 이중면 시리얼을 압착하는 압착 회전 로울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장치는,
    상기 커팅장치 및 성형장치와 연결되며, 양측으로 다수개의 로울러들이 구비된 로스팅 본체; 및
    상기 로스팅 본체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온풍을 제공하는 온풍 공급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면 시리얼 및 이중면 시리얼 바 제조장치에는, 로스팅이 이루어진 이중면 시리얼 바의 표면에 꿀, 시럽, 물엿 및 조청으로 구성된 첨가물을 도포하는 첨가물 도포장치; 및
    상기 첨가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건조하는 건조 및 냉각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
  8. (a) 이중면 제조장치를 통해 외피층과 코어층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면을 제조하고, 제조된 이중면을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장치로 이송하는 단계;
    (b) 이중면 시리얼 및 이중면 시리얼 바 제조장치로 공급된 이중면을 제1 내지 제3 커팅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커팅이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해 절단된 이중면을 로스팅 장치로 이송하여 로스팅시켜 시리얼로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의 표면으로 첨가물 도포장치에 의해 첨가물을 도포하는 단계;
    (e) 상기 첨가물이 도포된 시리얼을 성형장치로 이송하여 시리얼 바를 제조하는 단계;
    (f) 첨가물이 도포된 이중면 시리얼 바를 0~4℃의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건조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절단된 이중면을 압착 및 건조한 후 상기 로스팅 장치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면 시리얼 및 시리얼 바 제조방법.
KR1020180141340A 2018-11-16 2018-11-16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2159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40A KR102159438B1 (ko) 2018-11-16 2018-11-16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340A KR102159438B1 (ko) 2018-11-16 2018-11-16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245A true KR20200057245A (ko) 2020-05-26
KR102159438B1 KR102159438B1 (ko) 2020-09-23

Family

ID=7091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340A KR102159438B1 (ko) 2018-11-16 2018-11-16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4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1162C1 (ru) * 2020-12-25 2021-12-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батончиков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и грибного сырья
CN114304362A (zh) * 2022-01-24 2022-04-12 安徽燕之坊食品有限公司 一种藜麦即食谷物棒及其加工工艺
KR102551668B1 (ko) * 2022-12-13 2023-07-05 주식회사 인크레더블 버티컬-디스트리뷰터와 터널 로스터를 구비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694A (ko) 1996-06-21 1998-03-30 김주용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방법
KR20080002682A (ko) * 2006-06-30 2008-01-04 크래프트 후우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전립 함유 복합 식품의 제조
KR20160101280A (ko) * 2015-02-16 2016-08-25 동서식품주식회사 자색고구마를 함유한 시리얼 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 식품
KR101652939B1 (ko) * 2016-03-29 2016-09-05 정건우 이중면을 이용한 성형쌀 제조장치
KR20160143296A (ko) * 2015-06-05 2016-12-14 임영숙 밤 추출액이 함유된 시리얼 바 제조방법
KR101811735B1 (ko) 2015-09-10 2017-12-22 손주임 통곡물 시리얼바 제조방법
KR20180108133A (ko) * 2017-03-24 2018-10-04 서승주 충전물이 들어있는 이중면발 및 이중면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694A (ko) 1996-06-21 1998-03-30 김주용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방법
KR20080002682A (ko) * 2006-06-30 2008-01-04 크래프트 후우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전립 함유 복합 식품의 제조
KR20160101280A (ko) * 2015-02-16 2016-08-25 동서식품주식회사 자색고구마를 함유한 시리얼 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 식품
KR20160143296A (ko) * 2015-06-05 2016-12-14 임영숙 밤 추출액이 함유된 시리얼 바 제조방법
KR101811735B1 (ko) 2015-09-10 2017-12-22 손주임 통곡물 시리얼바 제조방법
KR101652939B1 (ko) * 2016-03-29 2016-09-05 정건우 이중면을 이용한 성형쌀 제조장치
KR20180108133A (ko) * 2017-03-24 2018-10-04 서승주 충전물이 들어있는 이중면발 및 이중면발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1162C1 (ru) * 2020-12-25 2021-12-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батончиков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и грибного сырья
CN114304362A (zh) * 2022-01-24 2022-04-12 安徽燕之坊食品有限公司 一种藜麦即食谷物棒及其加工工艺
KR102551668B1 (ko) * 2022-12-13 2023-07-05 주식회사 인크레더블 버티컬-디스트리뷰터와 터널 로스터를 구비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438B1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0592A (en) Multiple screw pasta manufacturing process
KR102159438B1 (ko)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US6338867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aste products
CN102550972B (zh) 一种双管膨化食品的制备方法
US5296247A (en) Method of making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by co-extrusion
US5216946A (en)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made by co-extrusion
CN107594338A (zh) 一种制作营养面条的方法及面条机
EP3232807B1 (en) Method for producing a palatable coated dry pet food
AU711572B2 (en) Manufacture of cooked cereals
US8039037B2 (en) Multi-textured ready-to-eat cereal with extruded rice pellets
KR101652939B1 (ko) 이중면을 이용한 성형쌀 제조장치
KR20040099610A (ko) 어묵으로 만두피를 제작한 만두 제조 시스템
KR200201867Y1 (ko)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KR101719169B1 (ko) 성형롤이 개선된 2단 압출 면성형기
CN107373362A (zh) 一种糙米脆片及其制备方法
KR100340676B1 (ko)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AU677655B2 (en)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made by co-extrusion
KR20110090562A (ko) 칼라 뻥튀기의 제조방법
CN105249224A (zh) 葵花籽香味锅巴及其制作方法
CN206629932U (zh) 荞片挤出生产线
KR102315431B1 (ko) 통곡물 베이스 퍼핑 장치를 이용하는 통곡물 퍼핑 과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통곡물 퍼핑 과자
CN108719781A (zh) 一种利用二次压延工艺生产挂面的方法
RU254211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укурузных хлопьев с фитодобавкой
CN207269789U (zh) 玉米面生产玉米米粒的设备
KR100219810B1 (ko) 상이한 원료의 복수의 로프가 병착되어 일체화된 튀김과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