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290A -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 Google Patents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290A
KR20200056290A KR1020190130460A KR20190130460A KR20200056290A KR 20200056290 A KR20200056290 A KR 20200056290A KR 1020190130460 A KR1020190130460 A KR 1020190130460A KR 20190130460 A KR20190130460 A KR 20190130460A KR 20200056290 A KR20200056290 A KR 20200056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wheel drive
wheel
oil pump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094B1 (ko
Inventor
미즈키 이마후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0005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60K1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of mechanic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 B60K17/35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including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power transfer, e.g. viscous clutches
    • B60K17/3515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including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power transfer, e.g. viscous clutches with a clutch adjacent to traction wheel, e.g. automatic wheel hu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3/08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for varying torque distribution between driven axles, e.g. by transfer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6Auxiliary drives from the transmission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02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with the engine main axis, e.g. crankshaft axis, substantially in or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60K6/52Driving a plurality of drive axles, e.g. four-wheel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6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73Friction devices, e.g. clutches or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3/08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for varying torque distribution between driven axles, e.g. by transfer clutch
    • B60K2023/08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for varying torque distribution between driven axles, e.g. by transfer clutch for varying front-rear torque distribution with a central differential
    • B60K2023/082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for varying torque distribution between driven axles, e.g. by transfer clutch for varying front-rear torque distribution with a central differential for adding torque to the fron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8Four-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80Control of differentials
    • B60Y2300/84Differential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 B60Y2400/424Friction clutches
    • B60Y2400/4244Friction clutches of wet type, e.g. using multip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 B60Y2400/427One-way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60Y2400/73Planetary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2Four wheel dri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사륜 구동 차량의 상기 트랜스퍼 (22 ; 200),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은 사륜 구동 차량의 이륜 구동시에 있어서 프로펠러 샤프트를 부구동륜과 구동력원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고,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및 오일 펌프 (120) 를 포함한다.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에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일 펌프 (120) 는, 제 1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상기 사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습식 클러치 (48) 에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일 펌프 (120) 는,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상기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습식 클러치 (48) 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TRANSFER FOR FOUR-WHEEL DRIVE VEHICLE}
본 발명은, 구동력원으로부터 주구동륜에 전달되는 구동력의 일부를, 습식 클러치를 통하여 부구동륜에 전달하는 형식의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에 관한 것이다.
구동력원과, 주구동륜 및 부구동륜과, 사륜 구동시에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일부를 상기 부구동륜에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를 갖고, 이륜 구동시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상기 부구동륜과 상기 구동력원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로부터 분리하는 사륜 구동 차량에 사용되고,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 동력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제 1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입력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 상기 입력 회전 부재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주구동륜에 출력하는 제 1 출력 회전 부재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에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2 출력 회전 부재와, 유성 기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회전 부재의 회전을 변속하여 상기 제 1 출력 회전 부재에 전달하는 하이 로 전환 기구와, 상기 제 1 출력 회전 부재에 전달된 구동력의 일부를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에 전달하는 습식 클러치와, 상기 습식 클러치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오일 펌프를 구비하는 사륜 구동 차량용 트랜스퍼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30646 에 기재된 사륜 구동 차량용 트랜스퍼가 그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30646 의 도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성 기어 장치의 회전 요소에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에 의해 상기 오일 펌프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30646 의 도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오일 펌프를, 상기 유성 기어 장치의 회전 요소에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면,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의 이륜 구동시에도 사륜 구동시에도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오일 펌프가 회전 구동되므로,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의 이륜 구동시에도 사륜 구동시에도 상기 오일 펌프로부터 상기 습식 클러치에 상기 윤활유가 공급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습식 클러치가 해방되어 그 습식 클러치에 상기 윤활유의 공급이 불필요한,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도, 상기 윤활유의 공급이 불필요한 상기 습식 클러치에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의 사륜 구동시와 동일한 양의 상기 윤활유가 공급되므로,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 상기 주구동륜에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이 커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륜 구동 차량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구동력원으로부터 주구동륜에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사륜 구동 차량용 트랜스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는, 입력 회전 부재, 제 1 출력 회전 부재, 제 2 출력 회전 부재, 단판 또는 다판의 습식 클러치, 오일 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은, 구동력원과, 주구동륜 및 부구동륜과,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의 사륜 구동시에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일부를 상기 부구동륜에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은,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의 이륜 구동시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상기 부구동륜과 상기 구동력원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력 회전 부재는, 상기 구동력원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출력 회전 부재는,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 상기 입력 회전 부재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주구동륜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에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습식 클러치는, 상기 제 1 출력 회전 부재에 전달된 구동력의 일부를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일 펌프는, 제 1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상기 사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습식 클러치에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일 펌프는,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상기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습식 클러치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에 의하면, 상기 습식 클러치가 해방되어 상기 습식 클러치에 상기 윤활유의 공급이 불필요한,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오일 펌프가 정지되므로,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 상기 주구동륜에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회전 부재에 동력 전달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 1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오일 펌프와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위치하는 제 2 원웨이 클러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후진 주행할 때에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로부터의 후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오일 펌프에 전달하고,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전진 주행할 때에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로부터의 전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오일 펌프에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에 의하면,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후진 주행할 때에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로부터의 후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오일 펌프에 전달하여,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의 후진 주행시에 상기 오일 펌프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이륜 구동으로 주행하기에 비교적 곤란한 오프 로드에서는,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사륜 구동으로 후진 주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오프 로드에서의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의 후진 주행시에 있어서 상기 습식 클러치의 시이징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회전 부재에 연결하는 제 1 회전 요소와, 제 2 회전 요소와, 비회전 부재에 연결하는 제 3 회전 요소를 갖는 유성 기어 장치와, 상기 제 1 회전 요소 및 상기 제 2 회전 요소 중 상기 제 1 출력 회전 부재에 연결하는 회전 요소를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하이 로 전환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는, 상기 유성 기어 장치의 상기 제 2 회전 요소와 함께 상기 제 1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에 의하면, 상기 하이 로 전환 기구를 구비하는 사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 상기 주구동륜에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오프 로드에서 후진 주행할 때에 상기 습식 클러치의 시이징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에 있어서, 제 1 드리븐 기어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오일 펌프는, 상기 윤활유를 상기 습식 클러치에 공급하기 위해서 제 2 회전 축선 둘레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오일 펌프 구동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드리븐 기어는 환상이어도 되고,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의 외주에서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드리븐 기어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이 상기 제 2 회전 축선 둘레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로부터의 전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에 의하면,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가 상기 전진 방향으로 회전해도, 그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이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해 역회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에 있어서, 환상 전동 (傳動) 부재와,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와 동력 전달하도록 상기 환상 전동 부재를 통하여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의 외주에 연결하는 제 2 드리븐 기어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드리븐 기어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가 상기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이 상기 제 2 회전 축선 둘레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가 상기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로부터의 후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에 의하면,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가 상기 후진 방향으로 회전해도, 그 제 2 출력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이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해 역회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장점들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되고,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사륜 구동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골자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사륜 구동 차량에 형성된 트랜스퍼의 구성을 설명하는 골자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사륜 구동 차량에 형성된 트랜스퍼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IV-IV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오일 펌프의 주변부를 확대하는 확대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VI-VI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VII-VII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실시예 2) 의 트랜스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변형되어 있고, 각 부의 치수비 및 형상 등은 반드시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륜 구동 차량 (10) 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륜 구동 차량 (10) 은, 구동력원으로서의 엔진 (12) 과, 좌우 1 쌍의 전륜 (14L, 14R) 과, 좌우 1 쌍의 후륜 (16L, 16R) 과, 엔진 (12) 으로부터의 구동력 (토크) 을 전륜 (14L, 14R) 과 후륜 (16L, 16R) 에 각각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 (1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후륜 (16L, 16R) 은,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이륜 구동 주행 중일 때 즉 이륜 구동시와 상기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사륜 구동 주행 중일 때 즉 사륜 구동시에, 모두 구동륜이 되는 주구동륜이다. 또, 전륜 (14L, 14R) 은,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이륜 구동시에 종동륜이 되고 또한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사륜 구동시에 구동륜이 되는 부구동륜이다. 사륜 구동 차량 (10) 은, 전치 (前置) 엔진 후륜 구동 (FR) 을 베이스로 하는 사륜 구동 차량이다.
동력 전달 장치 (18)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 변속기 (20) 와, 트랜스퍼 (사륜 구동 차량용 트랜스퍼) (22) 와,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 (프로펠러 샤프트) (24) 및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 (26) 와, 전륜용 차동 기어 장치 (28) 와, 후륜용 차동 기어 장치 (30) 와, 좌우 1 쌍의 전륜 차축 (32L, 32R) 과, 좌우 1 쌍의 후륜 차축 (34L, 34R) 등을 구비하고 있다. 자동 변속기 (20) 는, 예를 들어, 복수의 유압식 마찰 걸어맞춤 장치가 선택적으로 작동됨으로써, 복수 단 (段) 의 전진단, 및 1 단의 후진단이 성립하도록 되어 있고, 자동 변속기 (20) 는, 엔진 (12)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트랜스퍼 (22) 는, 자동 변속기 (20)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트랜스퍼 (22) 는, 엔진 (12) 으로부터 출력된 구동력을 전륜 (14L, 14R) 과 후륜 (16L, 16R) 에 분배하는 전후륜 동력 분배 장치로서 기능한다.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 (24) 및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 (26) 는, 각각 트랜스퍼 (22)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륜용 차동 기어 장치 (28) 는,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 (24)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륜용 차동 기어 장치 (30) 는,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 (26)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우 1 쌍의 전륜 차축 (32L, 32R) 은, 각각 전륜용 차동 기어 장치 (28)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우 1 쌍의 후륜 차축 (34L, 34R) 은, 각각 후륜용 차동 기어 장치 (30)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력 전달 장치 (18) 에서는, 자동 변속기 (20) 를 통하여 트랜스퍼 (22) 에 전달된 엔진 (12) 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예를 들어,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 (26), 후륜용 차동 기어 장치 (30), 후륜 차축 (34L, 34R) 등을 순차 통하여 후륜 (16L, 16R) 에 전달된다. 또, 트랜스퍼 (22) 에 있어서 엔진 (12) 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일부가 전륜 (14) 측에 분배되면, 그 분배된 구동력은, 예를 들어,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 (24), 전륜용 차동 기어 장치 (28), 전륜 차축 (32L, 32R) 등을 순차 통하여 전륜 (14L, 14R) 에 전달된다. 또한, 동력 전달 장치 (18) 에는, 전륜용 차동 기어 장치 (28) 와 전륜 차축 (32R)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를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절단하는 전륜측 맞물림식 클러치 (36) 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는 트랜스퍼 (22) 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골자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랜스퍼 (22) 는, 비회전 부재로서의 트랜스퍼 케이스 (38) 를 구비하고 있다. 트랜스퍼 (22) 는, 트랜스퍼 케이스 (38) 내에 있어서, 입력축 (입력 회전 부재) (40) 과, 후륜측 출력축 (제 1 출력 회전 부재) (42) 과,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과,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와, 전륜 구동용 클러치 (습식 클러치) (48) 를 공통의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에 구비하고 있다. 입력축 (40) 은, 자동 변속기 (20) 를 통하여 엔진 (12)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입력축 (40) 은,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트랜스퍼 케이스 (38) 에 지지되어 있다. 후륜측 출력축 (42) 은,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 (26)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후륜측 출력축 (42) 은, 엔진 (12) 으로부터 입력축 (40) 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후륜 (16L, 16R) 에 출력한다.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은, 후륜측 출력축 (42) 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후륜측 출력축 (42) 에 지지되어 있고,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은, 예를 들어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에 의해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에 엔진 (12) 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일부가 전달되면, 그 엔진 (12) 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일부를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 (24) 에 출력한다. 또한,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의 내주면 (44a) 과 후륜측 출력축 (42) 의 외주면 (42a) 사이에는,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들 베어링 (50)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하이 로 전환 기구 (46) 는, 입력축 (40) 의 회전을 변속하여 후륜측 출력축 (42) 에 전달하는 부변속기로서 기능한다.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는, 다판의 습식 클러치이고,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는, 후륜측 출력축 (42) 에 전달된 구동력의 일부를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에 전달, 즉 후륜측 출력축 (42) 으로부터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에 전달하는 전달 토크를 조정한다.
또, 트랜스퍼 (22) 는, 트랜스퍼 케이스 (38) 내에 있어서, 전륜측 출력축 (52) 과, 전륜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54) 을 공통의 제 2 회전 축선 (C2) 둘레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트랜스퍼 (22) 는, 전륜 구동용 체인 (56) 과,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를 구비하고 있다. 전륜측 출력축 (52) 은,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 (24)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륜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54) 은, 전륜측 출력축 (52)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륜 구동용 체인 (56) 은,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과 전륜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54) 에 각각 걸려,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과 전륜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54) 을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한다.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는, 후륜측 출력축 (42) 과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도그 클러치이고,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는,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 (26) 와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 (24) 사이의 회전 차동이 제한되지 않는 차동 상태와, 그들 사이의 회전 차동이 제한된 비차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하이 로 전환 기구 (46)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글 피니언형의 유성 기어 장치 (60) 와, 하이 로 슬리브 (62) 를 구비하고 있다. 유성 기어 장치 (60) 는, 입력축 (40)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선 기어 (제 1 회전 요소) (S) 와, 트랜스퍼 케이스 (38) 에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된 링 기어 (제 3 회전 요소) (R) 와, 이들 선 기어 (S) 및 링 기어 (R) 에 맞물리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 (P) 를 자전 가능하고 또한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에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 (제 2 회전 요소) (CA) 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에 있어서, 선 기어 (S) 의 회전 속도는, 입력축 (40) 에 대해 등속이고, 캐리어 (CA) 의 회전 속도는, 입력축 (40) 에 대해 감속된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 기어 (S) 의 내주면에는, 하이측 기어 톱니 (64) 가 형성되어 있고, 캐리어 (CA) 에는, 하이측 기어 톱니 (64) 와 동 직경의 로측 기어 톱니 (66) 가 형성되어 있다.
하이 로 슬리브 (62) 는, 후륜측 출력축 (42) 에 대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또한 후륜측 출력축 (42) 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후륜측 출력축 (42) 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되어 있다. 하이 로 슬리브 (62) 에는, 포크 연결부 (62a) 와, 포크 연결부 (62a) 에 인접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외주 톱니 (62b) 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에서는, 하이 로 슬리브 (62) 가 후륜측 출력축 (42) 에 대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이 로 슬리브 (62) 의 외주 톱니 (62b) 가 하이측 기어 톱니 (64) 에 맞물리면, 즉 선 기어 (S) 가 후륜측 출력축 (42) 에 연결되면, 입력축 (40) 의 회전과 등속의 회전을 후륜측 출력축 (42) 에 전달하는 고속측 기어단 (H) 이 형성된다. 또,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에서는, 하이 로 슬리브 (62) 가 후륜측 출력축 (42) 에 대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이 로 슬리브 (62) 의 외주 톱니 (62b) 가 로측 기어 톱니 (66) 에 맞물리면, 즉 캐리어 (CA) 가 후륜측 출력축 (42) 에 연결되면, 입력축 (40) 의 회전에 대해 감속된 회전을 후륜측 출력축 (42) 에 전달하는 저속측 기어단 (L) 이 형성된다.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의 내주면 (44a) 에 형성된 로크 톱니 (68) 와, 후륜측 출력축 (42) 에 대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또한 후륜측 출력축 (42) 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후륜측 출력축 (42) 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된 로크 슬리브 (70) 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슬리브 (70) 에는, 로크 톱니 (68) 에 맞물림 가능한 외주 톱니 (70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에서는, 로크 슬리브 (70) 가 후륜측 출력축 (42) 에 대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으로 이동되어, 로크 슬리브 (70) 의 외주 톱니 (70a) 가 로크 톱니 (68) 에 맞물리면, 후륜측 출력축 (42) 과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트랜스퍼 (22)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상의 제 1 스프링 (72) 과 코일상의 제 2 스프링 (74) 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스프링 (72) 은, 하이 로 슬리브 (62) 와 로크 슬리브 (7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 형성되어 있고, 하이 로 슬리브 (62) 와 로크 슬리브 (70) 를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제 2 스프링 (74) 은, 후륜측 출력축 (42) 에 형성된 볼록부 (42b) 와 로크 슬리브 (7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 형성되어 있고, 로크 슬리브 (70) 를 로크 톱니 (68)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또한, 트랜스퍼 (22) 에서는, 하이 로 슬리브 (62) 의 외주 톱니 (62b) 가 로측 기어 톱니 (66) 에 맞물리면, 로크 슬리브 (70) 가 제 1 스프링 (72) 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 톱니 (68) 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스프링 (7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동하여, 로크 슬리브 (70) 의 외주 톱니 (70a) 가 로크 톱니 (68) 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 트랜스퍼 (22) 에서는, 하이 로 슬리브 (62) 의 외주 톱니 (62b) 가 하이측 기어 톱니 (64) 에 맞물리면, 로크 슬리브 (70) 가 제 2 스프링 (74) 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 톱니 (68)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제 1 스프링 (72)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동하여, 로크 슬리브 (70) 의 외주 톱니 (70a) 가 로크 톱니 (68) 로부터 멀어진다.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 허브 (76) 와, 클러치 드럼 (78) 과,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와, 피스톤 (82) 을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허브 (76) 는, 후륜측 출력축 (42)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드럼 (78) 은,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는, 클러치 허브 (76) 에 대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클러치 허브 (76) 에 대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 장의 제 1 마찰판 (80a) 과, 클러치 드럼 (78) 에 대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클러치 드럼 (78) 에 대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 장의 제 2 마찰판 (80b) 을 갖고 있다. 피스톤 (82) 은,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에 맞닿아 제 1 마찰판 (80a) 과 제 2 마찰판 (80b) 을 협압 (挾壓) 한다. 또한,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는, 피스톤 (82) 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에 있어서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인 비가압측으로 이동되어 피스톤 (82) 이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에 맞닿지 않는 경우에, 해방 상태가 된다. 한편으로,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는, 피스톤 (82) 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에 있어서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에 가까워지는 측인 가압측으로 이동되어 피스톤 (82) 이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에 맞닿는 경우에 있어서, 피스톤 (82) 의 이동량에 따라 클러치 허브 (76) 와 클러치 드럼 (78) 사이의 전달 토크가 조정되어,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는 선택적으로 해방 상태, 슬립 상태, 완전 걸어맞춤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된다.
트랜스퍼 (22) 는,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가 해방 상태이고 또한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에 있어서 로크 슬리브 (70) 의 외주 톱니 (70a) 와 로크 톱니 (68) 가 맞물려 있지 않은 해방 상태인 경우에는, 후륜측 출력축 (42) 과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가 절단되므로, 엔진 (12) 으로부터 자동 변속기 (20) 를 통하여 전달된 구동력을 후륜 (16L, 16R) 에만 즉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 (26) 에 전달한다. 또, 트랜스퍼 (22) 는,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가 슬립 상태 또는 완전 걸어맞춤 상태인 경우에는, 후륜측 출력축 (42) 과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가 접속되므로, 엔진 (12) 으로부터 자동 변속기 (20) 를 통하여 전달된 구동력을 전륜 (14L, 14R) 및 후륜 (16L, 16R) 에 즉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 (24) 및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 (26) 에 각각 분배한다.
트랜스퍼 (22) 는,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및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를 작동시키는 장치로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 (84) 와, 전동 모터 (84) 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나사 기구 (86) 와, 나사 기구 (86) 에 의해 변환된 직선 운동하는 힘을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및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에 각각 전달하는 전달 기구 (88) 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 기구 (86) 는, 후륜측 출력축 (42) 과 동일한 축심인 제 1 회전 축선 (C1) 상에 배치되어 있고, 나사 축 부재 (90) 와 너트 부재 (92) 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 축 부재 (90) 는, 웜 기어 (94) 를 통하여 전동 모터 (84) 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너트 부재 (92) 는, 나사 축 부재 (90) 가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나사 축 부재 (90) 에 대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 축 부재 (90)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나사 기구 (86) 는, 나사 축 부재 (90) 와 너트 부재 (92) 가 복수의 볼 (96) 을 통하여 작동하는 볼 나사이다. 또, 웜 기어 (94) 는, 전동 모터 (84) 의 모터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웜 (98) 과, 나사 축 부재 (90) 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웜 휠 (100) 을 구비한 기어쌍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나사 기구 (86) 는, 웜 기어 (94) 를 통하여 나사 축 부재 (90) 에 전달된 전동 모터 (84) 로부터의 회전을, 너트 부재 (92) 의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전달 기구 (88)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 샤프트 (102) 와, 포크 (104) 를 구비하고 있다. 포크 샤프트 (102) 는, 제 1 회전 축선 (C1) 과 평행한 제 3 회전 축선 (C3) 상에 배치 형성되어 있고, 포크 샤프트 (102) 는, 너트 부재 (92)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포크 (104) 는, 포크 샤프트 (102) 에 고정 형성되어 있고, 포크 (104) 는, 하이 로 슬리브 (62) 의 포크 연결부 (62a) 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달 기구 (88) 는, 나사 기구 (86) 에 있어서 너트 부재 (92) 가 직선 운동하는 힘을, 포크 샤프트 (102) 및 포크 (104) 를 통하여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의 하이 로 슬리브 (62) 에 전달한다. 또한, 전술했지만, 하이 로 슬리브 (62) 와 로크 슬리브 (70) 사이에는 제 1 스프링 (72) 이 형성되고, 로크 슬리브 (70) 와 후륜측 출력축 (42) 의 볼록부 (42b) 사이에는 제 2 스프링 (74)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전달 기구 (88) 는, 나사 기구 (86) 에 있어서 너트 부재 (92) 가 직선 운동하는 힘을, 하이 로 슬리브 (62) 에 전달함과 함께, 제 1 스프링 (72) 및 제 2 스프링 (74) 에 의해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의 로크 슬리브 (70) 에 전달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피스톤 (82) 은, 나사 기구 (86) 의 너트 부재 (92) 에 대해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너트 부재 (92) 에 대해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의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게, 너트 부재 (92) 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나사 기구 (86) 에 있어서 너트 부재 (92) 가 직선 운동하는 힘은, 피스톤 (82) 을 통하여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에 전달된다. 또한, 피스톤 (82) 은, 너트 부재 (92) 에 연결된,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에 맞닿는 맞닿음 부재이고, 전달 기구 (88) 의 일부로서도 기능한다.
전달 기구 (88) 는, 너트 부재 (92) 와 포크 샤프트 (102) 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 (106) 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기구 (106) 는, 2 개의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와, 원통상의 스페이서 (110) 와, 코일상의 제 3 스프링 (112) 과, 파지 부재 (114) 와, 연결 부재 (116) 를 구비하고 있다. 2 개의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는, 각각, 포크 샤프트 (102) 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 3 회전 축선 (C3) 상에 배치되어 있고, 2 개의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는, 각각의 일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끼리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 (110) 는, 2 개의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 3 스프링 (112) 은, 스페이서 (110) 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파지 부재 (114) 는, 2 개의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의 플랜지를 제 3 회전 축선 (C3)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파지한다. 연결 부재 (116) 는, 파지 부재 (114) 와 너트 부재 (92) 를 연결한다. 또한,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의 각각의 플랜지가 모두 파지 부재 (114) 와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의 각각의 플랜지 사이의 길이는, 스페이서 (110) 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고,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의 각각의 플랜지에 의해 압축된 제 3 스프링 (112) 의 탄성력에 의해,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의 각각의 플랜지가 모두 파지 부재 (114) 와 맞닿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 포크 샤프트 (102) 에는, 포크 샤프트 (102) 에 대한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의 제 3 회전 축선 (C3) 방향의 슬라이딩을 불가능하게 하는 스토퍼 (118a, 118b) 가 구비되어 있다. 스토퍼 (118a, 118b) 에 의해 포크 샤프트 (102) 에 대한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의 제 3 회전 축선 (C3) 방향의 슬라이딩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전달 기구 (88) 에서는, 너트 부재 (92) 가 직선 운동하는 힘을, 연결 기구 (106), 포크 샤프트 (102), 및 포크 (104) 를 통하여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에 전달할 수 있다.
로크 슬리브 (70) 의 외주 톱니 (70a) 는, 포크 샤프트 (102) 가 하이 로 슬리브 (62) 의 외주 톱니 (62b) 를 로측 기어 톱니 (66) 에 맞물리게 하는 위치 즉 로 기어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로크 톱니 (68) 에 맞물린다. 또,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는, 포크 샤프트 (102) 가 하이 로 슬리브 (62) 의 외주 톱니 (62b) 를 하이측 기어 톱니 (64) 에 맞물리게 하는 위치 즉 하이 기어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피스톤 (82) 에 의해 가압되고, 포크 샤프트 (102) 가 상기 로 기어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는 피스톤 (82) 에 의해 가압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크 샤프트 (102) 가 상기 하이 기어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는, 연결 기구 (106) 에 있어서,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 부재 (108a, 108b) 의 플랜지 사이의 길이를, 플랜지가 모두 파지 부재 (114) 에 맞닿은 상태에서의 길이와 스페이서 (110) 의 길이 사이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연결 기구 (106) 는, 포크 샤프트 (102) 가 상기 하이 기어 위치에 배치된 상태인 채로,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가 피스톤 (82) 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와 가압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너트 부재 (92) 의 제 1 회전 축선 (C1) 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사륜 구동 차량 (10) 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전동 모터 (84) 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의해 전동 모터 (84) 의 모터 샤프트의 회전량이 제어됨으로써,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이륜 구동 주행과 사륜 구동 주행이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너트 부재 (92) 의 이동 위치를, 상기 모터 샤프트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피스톤 (82) 이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로부터 이간되고 또한 하이 로 슬리브 (62) 의 외주 톱니 (62b) 가 하이측 기어 톱니 (64) 에 맞물리는 H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륜 구동 차량 (10) 은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에 의해 고속측 기어단 (H) 이 형성되고 또한 엔진 (12) 의 구동력이 후륜 (16L, 16R) 에만 전달되는 H2 주행 즉 이륜 구동 주행을 실시한다. 또한,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상기 이륜 구동으로 주행할 때에는, 전륜측 맞물림식 클러치 (36) 가 해방되므로,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 (24) 가 전륜 (14L, 14R) 과 엔진 (12)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로부터 분리된다. 또, 상기 모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너트 부재 (92) 의 이동 위치를, 상기 모터 샤프트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피스톤 (82) 이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를 가압하고 또한 하이 로 슬리브 (62) 의 외주 톱니 (62b) 가 하이측 기어 톱니 (64) 에 맞물리는 H4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륜 구동 차량 (10) 은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에 의해 고속측 기어단 (H) 이 형성되고 또한 엔진 (12) 의 구동력이 후륜 (16L, 16R) 뿐만 아니라 엔진 (12) 의 구동력의 일부가 전륜 (14L, 14R) 에도 전달되는 H4 주행 즉 사륜 구동 주행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모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너트 부재 (92) 의 이동 위치를, 상기 모터 샤프트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하이 로 슬리브 (62) 의 외주 톱니 (62b) 가 로측 기어 톱니 (66) 에 맞물리는 L4L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륜 구동 차량 (10) 은 하이 로 전환 기구 (46) 에 의해 저속측 기어단 (L) 이 형성되고 또한 엔진 (12) 의 구동력이 후륜 (16L, 16R) 뿐만 아니라 그 엔진 (12) 의 구동력의 일부가 전륜 (14L, 14R) 에도 전달되는 L4L 주행 즉 사륜 구동 주행을 실시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이 로 슬리브 (62) 의 외주 톱니 (62b) 가 로측 기어 톱니 (66) 에 맞물리면, 제 1 스프링 (72) 및 제 2 스프링 (74) 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 슬리브 (70) 의 외주 톱니 (70a) 가 로크 톱니 (68) 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랜스퍼 (22) 에는, 예를 들어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하이 로 전환 기구 (46) 등에 윤활유 (오일) 를 공급하는 오일 펌프 (120) 가 구비되어 있다. 오일 펌프 (120) 에는, 제 1 펌프 커버 (122) 와, 제 2 펌프 커버 (124) 와, 펌프실 (Sp) (도 5 참조) 과, 환상의 이너 로터 (126) 와, 환상의 아우터 로터 (128) 와,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구비되어 있다. 제 1 펌프 커버 (122) 는, 제 1 체결 볼트 (132) 에 의해 트랜스퍼 케이스 (38) 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펌프 커버 (124) 는, 제 2 체결 볼트 (134) (도 4 참조) 에 의해 제 1 펌프 커버 (122) 에 고정되어 있다. 펌프실 (Sp) 은, 제 1 펌프 커버 (122) 에 형성된 오목부 (122a) 와 제 2 펌프 커버 (124) 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다. 이너 로터 (126) 는, 복수의 외주 톱니 (126a) (도 5 참조) 를 갖고 있고, 이너 로터 (126) 는, 펌프실 (Sp) 내에 있어서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축선 즉 제 4 회전 축선 (제 2 회전 축선) (C4)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4 회전 축선 (C4) 은, 제 1 회전 축선 (C1) 에 대해 평행이다. 아우터 로터 (128) 는, 이너 로터 (126) 의 외주 톱니 (126a) 에 맞물리는 복수의 내주 톱니 (128a) (도 5 참조) 를 갖고 있고, 아우터 로터 (128) 는, 펌프실 (Sp) 내에 있어서 제 1 펌프 커버 (122) 에 형성된 오목부 (122a) 에 의해 제 4 회전 축선 (C4) 으로부터 편심 (偏心) 된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은, 이너 로터 (126) 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이너 로터 (126) 에 형성된 끼워 맞춤공 (126b) 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일 펌프 (120) 는,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소정 방향 즉 화살표 F1 방향 (도 4 및 도 5 참조) 으로 회전되면, 트랜스퍼 케이스 (38) 내에 저류된 윤활유가, 펌프실 (Sp) 내에 있어서 아우터 로터 (128) 의 내주 톱니 (128a) 와 이너 로터 (126) 의 외주 톱니 (126a) 에 의해 구분되어 형성된 복수의 공간의 어느 것에, 스트레이너 (136) (도 4 참조) 를 통하여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상기 공간 내에 받아들여진 윤활유가, 이너 로터 (126) 가 회전함으로써 압축되고, 윤활유가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및 하이 로 전환 기구 (46) 등에 공급된다. 즉, 오일 펌프 (120) 에 형성된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은, 윤활유를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및 하이 로 전환 기구 (46) 등에 공급하기 위해서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트랜스퍼 (22) 에는,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동력 전달 경로 (138) 와 제 2 동력 전달 경로 (140) 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동력 전달 경로 (138) 는,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의 회전 구동력, 즉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전륜측 출력축 (52) 의 회전 구동력을,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한다. 제 2 동력 전달 경로 (140) 는, 입력축 (40) 의 회전 구동력을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한다.
제 1 동력 전달 경로 (138) 에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142) 과,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제 2 드리븐 기어) (144) 과, 펌프 구동용 체인 (환상 전동 부재) (146) 과,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가 구비되어 있다.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142) 은, 전륜측 출력축 (52) 에 일체적으로 고정 형성되어 있다.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은,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후륜 (16L, 16R) 측의 단부 (端部) (130a) (도 5 참조) 의 외주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펌프 구동용 체인 (146) 은,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142) 과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에 각각 걸려,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142) 과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을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단부 (130a) 의 외주면 (130b) 과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의 내주면 (144a)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은, 펌프 구동용 체인 (146) 등을 통하여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는, 오일 펌프 (120) 와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개재되어 있다.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는,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의 내륜 (150) 과, 환상의 외륜 (152) 과, 복수의 원기둥상의 롤러 (154) 와, 복수의 스프링 (156) 이 구비되어 있다.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후륜 (16L, 16R) 측의 단부 (130a) 가, 내륜 (150) 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내륜 (150) 의 내주면 (150a) 에 끼워 넣어져 있다. 외륜 (152) 은,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의 내주면 (144a) 에,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롤러 (154) 는, 내륜 (150) 과 외륜 (152) 사이에 형성된 제 1 수용 공간 (S1) 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 (156) 은, 제 1 수용 공간 (S1) 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 (156) 은, 외륜 (152) 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면 (152a) 에 롤러 (154) 가 맞닿도록 롤러 (154) 를 탄성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수용 공간 (S1) 은, 예를 들어 화살표 F1 방향을 향함에 따라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의 직경 방향의 폭 치수 W1 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에서는,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되면, 외륜 (152) 의 캠면 (152a) 과 롤러 (154) 가 접촉하는 면압이 높아지고,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의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구동력이 내륜 (150) 에 전달되어, 내륜 (150) 즉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외륜 (152) 의 캠면 (152a) 과 롤러 (154) 가 접촉하는 면압이 낮아지고,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의 화살표 F1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구동력이, 내륜 (150) 즉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제 1 동력 전달 경로 (138) 에서는,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마찰 걸어맞춤 요소 (80) 를 피스톤 (82) 이 가압하거나, 또는 로크 슬리브 (70) 의 외주 톱니 (70a) 가 로크 톱니 (68) 에 맞물리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사륜 구동시에 있어서, 전륜측 출력축 (52) 에 엔진 (12) 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일부가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 트랜스퍼 (22) 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전진 주행하면 입력축 (40) 및 후륜측 출력축 (42) 이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 화살표 F2 방향 (전진 방향) 으로 회전하고, 사륜 구동 차량 (10) 이 후진 주행을 하면 입력축 (40) 및 후륜측 출력축 (42) 이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 화살표 F2 방향과는 반대 방향 즉 화살표 F3 방향 (후진 방향) 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제 1 동력 전달 경로 (138) 에서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사륜 구동시에 있어서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전진 주행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1 동력 전달 경로 (138) 에서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사륜 구동시에 있어서 사륜 구동 차량 (10) 이 후진 주행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동력 전달 경로 (140) 에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와, 제 1 드리븐 기어 (160) 와,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가 구비되어 있다.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는, 유성 기어 장치 (60) 의 캐리어 (CA) 에 형성되어 있고,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는, 입력축 (40)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캐리어 (CA) 와 함께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로 회전한다. 제 1 드리븐 기어 (160) 는,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에 맞물려 있고, 제 1 드리븐 기어 (160) 는, 환상으로 형성되고,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전륜 (14L, 14R) 측의 단부 (130c) (도 5 참조) 의 외주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펌프 구동축의 단부 (130c) 의 외주면 (130d) 과 제 1 드리븐 기어 (160) 의 내주면 (160a) 사이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는, 오일 펌프 (120) 와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개재되어 있다.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는,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의 내륜 (164) 과, 환상의 외륜 (166) 과, 복수의 원기둥상의 롤러 (168) 와, 복수의 스프링 (170) 이 구비되어 있다.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전륜 (14L, 14R) 측의 단부 (130c) 가, 내륜 (164) 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내륜 (164) 의 내주면 (164a) 에 끼워 넣어져 있다. 외륜 (166) 은, 제 1 드리븐 기어 (160) 의 내주면 (160a) 에, 제 1 드리븐 기어 (160) 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롤러 (168) 는, 내륜 (164) 과 외륜 (166) 사이에 형성된 제 2 수용 공간 (S2) 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 (170) 은, 제 2 수용 공간 (S2) 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 (170) 은, 외륜 (166) 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면 (166a) 에 롤러 (168) 가 맞닿도록 롤러 (168) 를 탄성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 2 수용 공간 (S2) 은, 예를 들어 화살표 F1 방향을 향함에 따라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의 직경 방향의 폭 치수 W2 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에서는, 제 1 드리븐 기어 (160) 가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되면, 외륜 (166) 의 캠면 (166a) 과 롤러 (168) 가 접촉하는 면압이 높아지고, 제 1 드리븐 기어 (160) 의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구동력이 내륜 (164) 에 전달되어, 내륜 (164) 즉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제 1 드리븐 기어 (160) 가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외륜 (166) 의 캠면 (166a) 과 롤러 (168) 가 접촉하는 면압이 낮아지고, 제 1 드리븐 기어 (160) 의 화살표 F1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구동력이, 내륜 (164) 즉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제 2 동력 전달 경로 (140) 에서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이륜 구동시 및 사륜 구동시에 있어서, 입력축 (40)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에 엔진 (12) 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동력 전달 경로 (140) 에서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이륜 구동시, 사륜 구동시에 상관없이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전진 주행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드리븐 기어 (160) 가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 동력 전달 경로 (140) 에서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이륜 구동시, 사륜 구동시에 상관없이 사륜 구동 차량 (10) 이 후진 주행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드리븐 기어 (160) 가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사륜 구동 차량 (10) 에서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가 화살표 F2 방향 (전진 방향) 으로 회전해도, 제 2 동력 전달 경로 (140) 에서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에 의해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로부터의 화살표 F2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오일 펌프 (120) 는 정지한다. 또한, 사륜 구동 차량 (10) 의 이륜 구동시에는,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또는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에 의해, 후륜측 출력축 (42) 과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가 절단되므로,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은 회전하지 않는다.
또, 사륜 구동 차량 (10) 에서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이륜 구동으로 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가 화살표 F3 방향 (후진 방향) 으로 회전하면, 제 2 동력 전달 경로 (140) 에서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에 의해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로부터의 화살표 F3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되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이륜 구동으로 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오일 펌프 (120) 가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된다.
또, 사륜 구동 차량 (10) 에서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사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이 화살표 F2 방향 (전진 방향) 으로 회전하면, 제 1 동력 전달 경로 (138) 에서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에 의해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으로부터의 화살표 F2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되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사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오일 펌프 (120) 가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된다. 또한,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사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가 화살표 F2 방향 (전진 방향) 으로 회전해도, 제 2 동력 전달 경로 (140) 에서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에 의해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로부터의 화살표 F2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 사륜 구동 차량 (10) 에서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사륜 구동으로 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가 화살표 F3 방향 (후진 방향) 으로 회전하면, 제 2 동력 전달 경로 (140) 에서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에 의해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로부터의 화살표 F3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되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사륜 구동으로 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오일 펌프 (120) 가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된다. 또한,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사륜 구동으로 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이 화살표 F3 방향 (후진 방향) 으로 회전해도, 제 1 동력 전달 경로 (138) 에서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에 의해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으로부터의 화살표 F3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랜스퍼 (22) 에 의하면, 오일 펌프 (120) 는,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의 회전에 의해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를 통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오일 펌프 (120) 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사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고,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정지된다. 이 때문에,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가 해방되어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에 윤활유의 공급이 불필요한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오일 펌프 (120) 가 정지되므로,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엔진 (12) 으로부터 후륜 (16L, 16R) 에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트랜스퍼 (22) 에 의하면, 입력축 (40)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로 회전하는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가 구비되고, 오일 펌프 (120) 와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이 후진 주행할 때에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로부터의 후진 방향 즉 화살표 F3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오일 펌프 (120) 에 전달하고,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전진 주행할 때에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로부터의 전진 방향 즉 화살표 F2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오일 펌프 (120) 에 전달하지 않는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이 후진 주행할 때에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로부터의 화살표 F3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오일 펌프 (120) 에 전달하여, 오일 펌프 (120) 를 후진 주행시에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이륜 구동으로 주행하기에 비교적 곤란한 오프 로드에서는, 사륜 구동으로 후진 주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오프 로드에서의 사륜 구동 차량 (10) 의 후진 주행시에 있어서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시이징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트랜스퍼 (22) 에 의하면, 입력축 (40) 에 연결된 선 기어 (S) 와, 캐리어 (CA) 와, 트랜스퍼 케이스 (38) 에 연결된 링 기어 (R) 를 갖는 유성 기어 장치 (60) 를 포함하고, 선 기어 (S) 및 캐리어 (CA) 중 후륜측 출력축 (42) 에 연결되는 회전 요소를 전환하는 하이 로 전환 기구 (46) 가 구비되어 있고,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는, 유성 기어 장치 (60) 의 캐리어 (CA) 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이 로 전환 기구 (46) 를 구비하는 사륜 구동 차량 (10) 에 있어서,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엔진 (12) 으로부터 후륜 (16L, 16R) 에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오프 로드에서 후진 주행할 때에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시이징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트랜스퍼 (22) 에 의하면, 오일 펌프 (120) 에는, 윤활유를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에 공급하기 위해서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소정 방향 즉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되는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구비되고,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외주에는,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에 맞물리는 환상의 제 1 드리븐 기어 (160) 가 배치 형성되고,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외주면 (130d) 과 제 1 드리븐 기어 (160) 의 내주면 (160a) 사이에는,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가 화살표 F3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에 의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되고,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가 화살표 F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에 의해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로부터의 화살표 F2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가 화살표 F2 방향으로 회전해도, 그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의 회전에 연동하여,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화살표 F1 방향에 대해 역회전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의 트랜스퍼 (22) 에 의하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외주에는,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환상의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이 배치 형성되고,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외주면 (130b) 과 펌프 구동용 드리븐 스프로킷 (144) 의 내주면 (144a) 사이에는,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이 화살표 F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에 의해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제 4 회전 축선 (C4) 둘레 화살표 F1 방향으로 회전되고,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이 화살표 F3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원웨이 클러치 (148) 에 의해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으로부터의 화살표 F3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이 화살표 F3 방향으로 회전해도, 그 전륜 구동용 드라이브 스프로킷 (44) 의 회전에 연동하여,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화살표 F1 방향에 대해 역회전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예와 서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트랜스퍼 (사륜 구동 차량용 트랜스퍼) (200) 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트랜스퍼 (200) 는, 실시예 1 의 트랜스퍼 (22) 와 비교하여, 하이 로 전환 기구 (46) 및 디퍼렌셜 로크 기구 (58) 등이 분리되어 있는 점과, 제 1 드리븐 기어 (160) 에 맞물리는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202) 가 후륜측 출력축 (42) 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 의 트랜스퍼 (22) 와 거의 동일하다.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202) 는, 입력축 (40)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회전 축선 (C1) 둘레로 후륜측 출력축 (42) 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트랜스퍼 (200) 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1 의 트랜스퍼 (22) 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트랜스퍼 (200) 에서는,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오일 펌프 (120) 가 정지되므로 이륜 구동시의 전진 주행에 있어서 엔진 (12) 으로부터 후륜 (16L, 16R) 에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트랜스퍼 (200) 에서는, 오일 펌프 (120) 를 사륜 구동 차량 (10) 이 후진 주행할 때에 회전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륜 구동 차량 (10) 이 오프 로드에서의 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의 시이징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밖의 양태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 1 에서는,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는, 유성 기어 장치 (60) 의 캐리어 (CA) 에 형성되고, 전술한 실시예 2 에서는,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202) 는, 후륜측 출력축 (42) 에 형성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202) 는, 입력축 (40)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그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202) 의 회전을 오일 펌프 (120) 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디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 1, 2 에 있어서,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는, 다판의 습식 클러치였지만, 예를 들어 단판의 습식 클러치여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오일 펌프 (120) 는, 내접 기어형의 오일 펌프였지만, 예를 들어 외접 기어형의 오일 펌프, 베인식의 오일 펌프 등이어도 된다. 즉,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윤활유를 전륜 구동용 클러치 (48) 에 공급하는 오일 펌프이면, 어떠한 형식의 오일 펌프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것은 어디까지나 일 실시형태이고,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의 변경, 개량을 추가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5)

  1.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22 ; 200) 로서,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은, 구동력원과 주구동륜 및 부구동륜과,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의 사륜 구동시에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일부를 상기 부구동륜에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은,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의 이륜 구동시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상기 부구동륜과 상기 구동력원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트랜스퍼 (22 ; 200) 는,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 동력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제 1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회전 부재 (40) ;
    상기 구동력원으로부터 상기 입력 회전 부재 (40) 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주구동륜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출력 회전 부재 (42) ;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에 구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
    상기 제 1 출력 회전 부재 (42) 에 전달된 구동력의 일부를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단판 또는 다판의 습식 클러치 (48) ; 및
    제 1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오일 펌프 (120) 로서,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상기 사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습식 클러치 (48) 에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일 펌프 (120) 는,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상기 이륜 구동으로 전진 주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습식 클러치 (48) 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오일 펌프 (120) 를 구비하는,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22 ; 2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회전 부재 (40) 에 동력 전달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 1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 202) ; 및
    상기 오일 펌프 (120) 와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 202)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위치하는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는,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후진 주행할 때에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 202) 로부터의 후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오일 펌프 (120) 에 전달하고, 상기 사륜 구동 차량이 전진 주행할 때에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 202) 로부터의 전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오일 펌프 (120) 에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22 ; 2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회전 부재 (40) 에 연결하는 제 1 회전 요소와, 제 2 회전 요소와, 비회전 부재에 연결하는 제 3 회전 요소를 갖는 유성 기어 장치 (60) ; 및
    상기 제 1 회전 요소 및 상기 제 2 회전 요소 중 상기 제 1 출력 회전 부재 (42) 에 연결하는 회전 요소를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하이 로 전환 기구 (46)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 202) 는, 상기 유성 기어 장치 (60) 의 상기 제 2 회전 요소와 함께 상기 제 1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22 ; 200).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드리븐 기어 (16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오일 펌프 (120) 는, 상기 윤활유를 상기 습식 클러치 (48) 에 공급하기 위해서 제 2 회전 축선 둘레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을 포함하고 ;
    상기 제 1 드리븐 기어 (160) 는 환상이고,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외주에서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 202) 에 맞물리고 ;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는,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드리븐 기어 (160) 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고 ;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는,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 202) 가 상기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상기 제 2 회전 축선 둘레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 및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 (162) 는,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 202) 가 상기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펌프 구동용 드라이브 기어 (158 ; 202) 로부터의 전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22 ; 200).
  5. 제 4 항에 있어서,
    환상 전동 부재 (146), 및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와 동력 전달하도록 상기 환상 전동 부재 (146) 를 통하여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외주에 연결하는 제 2 드리븐 기어 (144)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드리븐 기어 (144) 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고 ;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가 상기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이 상기 제 2 회전 축선 둘레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 및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가 상기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출력 회전 부재 (44) 로부터의 후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상기 오일 펌프 구동축 (130) 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22 ; 200).
KR1020190130460A 2018-11-14 2019-10-21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KR102243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14210A JP7028141B2 (ja) 2018-11-14 2018-11-14 四輪駆動車両用トランスファ
JPJP-P-2018-214210 2018-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90A true KR20200056290A (ko) 2020-05-22
KR102243094B1 KR102243094B1 (ko) 2021-04-21

Family

ID=6838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460A KR102243094B1 (ko) 2018-11-14 2019-10-21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12614B2 (ko)
EP (1) EP3653899B1 (ko)
JP (1) JP7028141B2 (ko)
KR (1) KR102243094B1 (ko)
CN (1) CN1111862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6398A (zh) * 2020-11-16 2022-05-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动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8482A (zh) * 2020-06-04 2020-09-22 江苏途跃特种车技术有限公司 一种纯电适时同步四驱动力总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550A (ja) * 1997-11-30 1999-06-22 Isuzu Motors Ltd 4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ア装置
US6386348B1 (en) * 1999-12-03 2002-05-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KR20040075684A (ko) * 2003-02-21 2004-08-30 보그워너 인코포레이티드 싱글 액추에이터 로스트 모션 시프트 조립체
US7111717B2 (en) * 2003-10-16 2006-09-26 Honda Motor Co., Lt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four wheel drive apparatus
US8428838B2 (en) * 2009-04-23 2013-04-23 Univance Corporation Driving-force transmitting apparatus for four-wheel-driv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429A (en) * 1993-11-30 1995-08-22 Dana Corporation Automatic powershifting transfer case for a vehicle
JPH08175214A (ja) * 1994-12-27 1996-07-09 Ntn Corp ハブクラッチ装置
JP3364359B2 (ja) * 1995-05-30 2003-01-08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ハイブリッド型車両
JP2000142138A (ja) * 1998-11-17 2000-05-23 Kyowa Gokin Kk 自動車用駆動装置
CN101160480A (zh) * 2005-02-28 2008-04-09 Nt咨询国际控股有限公司 具有流体泵的驱动系统
JP4548734B2 (ja) * 2006-06-30 2010-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DE102007021733B4 (de) * 2007-05-09 2011-03-10 Agco Gmbh Antriebsanordnung für Fahrzeuge mit mindestens zwei antreibbaren Fahrzeugachsen
JP5260080B2 (ja) * 2008-02-25 2013-08-14 株式会社ユニバンス 四輪駆動車用駆動力伝達装置
JP2010254058A (ja) * 2009-04-23 2010-11-11 Univance Corp 4輪駆動車用駆動力伝達装置
FR2956462B1 (fr) * 2010-02-18 2012-05-18 Poclain Hydraulics Ind Dispositif de transmission hydraulique dont la pompe principale peut etre actionnee en permanence.
US8210828B2 (en) * 2010-03-30 2012-07-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ssisted direct start control
JP5325188B2 (ja) * 2010-09-24 2013-10-2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液圧発生装置及び駆動装置
JP2012188000A (ja) * 2011-03-10 2012-10-04 Univance Corp 4輪駆動車用駆動力伝達装置
US8469860B1 (en) * 2012-05-01 2013-06-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remediate a clutch fault in a powertrain system
GB2516205B (en) * 2012-06-15 2019-04-17 American Axle & Mfg Inc Disconnectable driveline with a multi-speed RDM and PTU
US9522642B2 (en) * 2013-03-29 2016-12-20 Aisin Aw Co., Ltd. Oil supply device
WO2015114125A2 (en) * 2014-01-31 2015-08-06 Borgwarner Torqtransfer Systems Ab A hydraulic system for a vehicle
JP6135634B2 (ja) * 2014-10-07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トランスファ
JP2016168974A (ja) * 2015-03-13 2016-09-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装置
US9568091B2 (en) * 2015-05-21 2017-02-14 Magna Powertrain Of America, Inc. Active transfer case with splash recovery clutch lubrication system
JP2017030646A (ja) * 2015-08-04 2017-0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トランスファ
JP6394668B2 (ja) * 2016-09-23 2018-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4輪駆動車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550A (ja) * 1997-11-30 1999-06-22 Isuzu Motors Ltd 4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ア装置
US6386348B1 (en) * 1999-12-03 2002-05-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JP4216975B2 (ja) * 1999-12-03 2009-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四輪駆動車両の動力伝達装置
KR20040075684A (ko) * 2003-02-21 2004-08-30 보그워너 인코포레이티드 싱글 액추에이터 로스트 모션 시프트 조립체
US7111717B2 (en) * 2003-10-16 2006-09-26 Honda Motor Co., Lt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four wheel drive apparatus
US8428838B2 (en) * 2009-04-23 2013-04-23 Univance Corporation Driving-force transmitting apparatus for four-wheel-drive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6398A (zh) * 2020-11-16 2022-05-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动车辆
CN114506398B (zh) * 2020-11-16 2024-03-0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动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86295A (zh) 2020-05-22
JP7028141B2 (ja) 2022-03-02
JP2020082741A (ja) 2020-06-04
US11512614B2 (en) 2022-11-29
KR102243094B1 (ko) 2021-04-21
CN111186295B (zh) 2023-02-28
EP3653899B1 (en) 2022-06-01
US20200149445A1 (en) 2020-05-14
EP3653899A1 (en)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4428B (zh) 四轮驱动车及四轮驱动车的控制装置
KR101982690B1 (ko) 차량을 위한 차동 제한 장치
JP6168023B2 (ja) 車両用クラッチ機構
KR20040075684A (ko) 싱글 액추에이터 로스트 모션 시프트 조립체
US10563704B2 (en) Locking transfer case
EP1937990A1 (en) Control assembly
JP2004249979A (ja) 共通のキャリアを有する2つの遊星歯車装置を備えたトランスファーケース
CN107023613B (zh) 高低挡位切换装置、分动器和车辆
JP2000039053A (ja) 自動車のトルク分配装置
JP2009292307A (ja) 四輪駆動車用駆動力伝達装置
KR102243094B1 (ko) 사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퍼
JP2004308907A (ja) ボール・ランプ式アクチュエータ機構を備えたシンクロ装置
US11493128B2 (en) Motive power transmission route switching device and two-speed transmission
KR20190001539A (ko) 차량용 동력 전달 장치
WO2003022615A1 (en) Wheel transmission
JPH1016603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CN109552038B (zh) 车辆用驱动力分配装置
JP2013035530A (ja) 駆動力断接装置
US4685352A (en) Power distributing mechanism
CN212407539U (zh) 车辆防溜制动器及主减速器
JPS6157431A (ja) 四輪駆動車の駆動力伝達装置
KR20030088849A (ko) 휠트랜스미션
KR100483161B1 (ko) 차량의 동력전달장치
JP2002266982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KR20140049349A (ko) 트랙터의 전륜증속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