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877A - 고주파 처치구,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및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 Google Patents

고주파 처치구,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및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877A
KR20200052877A KR1020207006526A KR20207006526A KR20200052877A KR 20200052877 A KR20200052877 A KR 20200052877A KR 1020207006526 A KR1020207006526 A KR 1020207006526A KR 20207006526 A KR20207006526 A KR 20207006526A KR 20200052877 A KR20200052877 A KR 2020005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pair
tip
treatment tool
frequenc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005B1 (ko
Inventor
야스히토 이타미
마사오 이케다
야스히사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74238A external-priority patent/JP69882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74239A external-priority patent/JP70007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76777A external-priority patent/JP71511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76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7151142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61B18/1447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wherein sliding surfaces cause opening/closing of the end eff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4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 A61B2018/1253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monopo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4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 A61B2018/12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bipo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12Bla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12Blade
    • A61B2018/1415Blade multip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 A61B2018/145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having a moving blade for cutting tissue grasped by the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 A61B2018/1457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having opposing blades cutting tissue grasped by the jaws, i.e. combined scissors and pl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6Scis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고주파 처치구(200)는, 한 쌍의 가위부(10)를 갖고 있으며 생체 조직의 절개에 이용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200)이며, 한 쌍의 가위부(1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생체 조직을 전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은, 날면(13)을 가져,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의 표면은, 비도전성층(절연성 피막(12))의 형성 영역과 날면(13)의 표면에 있어서 비도전성층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전극 영역(19)을 포함해, 한 쌍의 가위부(10)가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당해 가위부(10)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Description

고주파 처치구,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및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본 발명은, 고주파 처치구,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및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체강 내에서 생체 조직을 절개하는 처치(병변 부위를 절제하는 처치를 포함함)를 행하기 위한 의료용 기구로서, 내시경의 겸자공(鉗子孔)에 삽입하여 이용되는 고주파 처치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개폐 가능한 한 쌍의 가위부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에는, 개폐 가능한 한 쌍의 전단(剪斷) 가위부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에는, 개폐 가능한 한 쌍의 개폐부를 포함하는 선단 처치구(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공보 제2011-043340호
그러나, 본원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생체 조직의 지혈성에 대하여, 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 본원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한 쌍의 전단 가위부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파지할 때의 확실성이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다.
또, 본원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내시경의 선단으로부터 선단 처치구를 돌출시켜 한 쌍의 개폐부를 벌려 처치를 행할 때에, 내시경의 선단(예를 들면 후드의 선단)에 대하여 한 쌍의 개폐부가 간섭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6 양태는,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생체 조직의 지혈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구조의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생체 조직을 보다 확실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생체 조직을 보다 확실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선단부에 갖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시경의 선단과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시경의 선단과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한 쌍의 가위부를 갖고 있으며 생체 조직의 절개에 이용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로서,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장척(長尺)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기단부끼리가, 이들 가위부의 판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회동축에 있어서 서로 축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날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의 표면은, 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과, 상기 날면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성층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전극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당해 가위부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 영역의 폭 치수가,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내시경의 겸자공에 삽입하여 이용되어 생체 조직을 절개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로서,
공통의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서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하는 날부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전단 가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각각은,
당해 전단 가위부의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있는 기단편과,
당해 전단 가위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선단 클로부와,
당해 전단 가위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클로부와 상기 기단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날부를 갖고,
상기 날부에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의 축 중심과 상기 날부의 바닥을 잇는 가상 직선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상기 선단 클로부의 높이보다, 상기 날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의 형성 영역 중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 쪽이 낮은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선단부에 갖고, 기단측에는,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내시경의 겸자공에 삽입하여 이용되어 생체 조직을 절개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로서,
각각 라인상의 형상의 전극이 형성되고, 공통의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서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 또는 협지하여 고주파 절제하는 한 쌍의 개폐부에 의하여 구성된 선단 처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상기 선단 처치부의 선단측의 부분의 형상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폭이 넓어진 후,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본 발명의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를 선단부에 갖고, 기단측에는, 상기 한 쌍의 개폐부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한 쌍의 가위부를 갖고 있으며 생체 조직의 절개에 이용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로서,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장척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기단부끼리가, 이들 가위부의 판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회동축에 있어서 서로 축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날면과,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면과, 상기 슬라이딩 접촉면에 대한 이면인 외측면과,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날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슬라이딩 접촉면측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측을 향하여, 타방의 상기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의 표면은, 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과, 상기 비도전성층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전극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상기 전극 영역이, 상기 날면과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6 양태에 의하면, 생체 조직의 지혈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제2 양태 및 제3 양태에 의하면, 생체 조직을 보다 확실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양태에 의하면,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의 한 쌍의 개폐부와 내시경의 선단과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목적과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적합한 실시형태, 및 그것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하여 더 명확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가위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가위부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평면도이며, 한 쌍의 가위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도 5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의 (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내측면(슬라이딩 접촉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6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평면도이며, 도 6의 (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선을 따른 절단 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8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8의 (b)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평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9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사시도이며, 도 9의 (b)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를 기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0의 (a)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의 (b)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1의 (a)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사시도이며, 도 11의 (b)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를 기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전단 가위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전단 가위부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평면도이며, 한 쌍의 전단 가위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에 있어서, 도 16의 (a)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전단 가위부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6의 (b)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전단 가위부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도 17의 (a)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전단 가위부의 사시도이며, 도 17의 (b)는 도 16의 (b)의 A-A선을 따른 전단 가위부의 절단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가 내시경의 선단에 마련된 후드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전단 가위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20은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전단 가위부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전단 가위부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는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전단 가위부가 닫히고,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선단 클로부끼리가 겹치기 시작함과 함께,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서로 대응하는 중간 고단부끼리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은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전단 가위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24는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26은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7은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의 평면도이며, 한 쌍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28은 도 25의 A-A선을 따른 절단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가 내시경의 선단에 마련된 후드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0은 제8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31은 제8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32는 제8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의 일방의 개폐부의 선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4는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가위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35는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측면도이며, 한 쌍의 가위부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6은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가 선단부에 구비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의 평면도이며, 한 쌍의 가위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37에 있어서, 도 37의 (a)는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7의 (b)는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내측면(슬라이딩 접촉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8에 있어서, 도 38의 (a)는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평면도이며, 도 38의 (b)는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사시도이다.
도 39에 있어서, 도 39의 (a)는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를 선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9의 (b)는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를 기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4의 A-A선을 따른 절단 단면도이다.
도 41은 제10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기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2에 있어서, 도 42의 (a)는 제1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평면도이며, 도 42의 (b)는 제1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위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의 각종 구성요소는, 개개로 독립된 존재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구성요소가 한 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 하나의 구성요소가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어느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인 것, 어느 구성요소의 일부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 등을 허용한다.
〔제1 실시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측면도에서는, 시스(70)에 있어서 도시한 범위 중, 기단측의 부분에 대해서는, 중심선을 따른 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의 각각에 있어서는, 가위부(10)에 있어서의 전극의 형성 영역(전극 영역(19))에 도트형상의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의 각각에 있어서, 도트형상의 해칭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절연성 피막(12)(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이다. 단, 제1 축지지 구멍(21)의 내부 및 제2 축지지 구멍(22)의 내부에 대해서는, 절연성 피막(12)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200)이다. 고주파 처치구(200)는, 한 쌍의 가위부(10)를 갖고 있으며 생체 조직의 절개에 이용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를, 당해 고주파 처치구(200)의 선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고주파 처치구(200)는, 당해 고주파 처치구(200)의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를 내시경(도시생략)의 겸자공에 삽입하여 이용된다.
또한, 한 쌍의 가위부(10) 중 일방의 가위부(10)를 가위부(10a)라고 칭하고, 타방의 가위부(10)를 가위부(10b)라고 칭한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은, 장척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의 (a), 도 5의 (b) 참조).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위부(10)의 기단부끼리가, 이들 가위부(10)의 판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회동축(축부재(61))에 있어서 서로 축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생체 조직을 전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은, 날면(13)을 갖고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의 표면은, 비도전성층(절연성 피막(12))의 형성 영역과, 날면(13)의 표면에 있어서 비도전성층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전극 영역(19)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위부(10)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당해 가위부(10)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도 6의 (a)). 여기에서,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란, 가위부(10)의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위부(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에 대하여, 당해 가위부(10)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에 의하면, 한 쌍의 가위부(10)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당해 가위부(10)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전극 영역(19)으로부터 생체 조직으로 흐르는 전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지혈성이 얻어진다. 또, 전극 영역(19)은 날면(13)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생체 조직 중 의도한 부위를 선택적으로 소작(燒灼)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은, 당해 가위부(10)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부분인 기단편(20)과, 당해 가위부(10)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부분인 선단편(30)을 갖는다.
기단편(20)의 선단부에는, 당해 기단편(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제1 축지지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제1 축지지 구멍(21)에 공통의 축부재(61)(도 2 내지 도 4)가 삽통되어, 한 쌍의 가위부(10)가 축지지되어 있다.
선단편(30)은, 가위부(10)에 있어서 제1 축지지 구멍(21)보다 선단측의 부분이다.
기단편(20)의 기단부에는, 당해 기단편(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제2 축지지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200)는, 장척의 조작 와이어(68)와, 조작 와이어(68)의 선단에 마련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와, 조작 와이어(68)가 수용된 가요성 시스(70)와, 시스(70)의 기단측에 마련되어 조작 와이어(68)의 기단이 접속된 손잡이 조작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70)는, 조작 와이어(68)를 수용하는 장척이며 또한 관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스(70)는, 스테인리스선 등의 도전성 와이어를 밀착권회하여 제작된, 금속제의 코일(71)(도 2, 도 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스(70)의 외표면에는 절연성 피막(72)(도 2, 도 3)이 밀착하여 마련되어 있다. 단, 시스(70)로서는, 금속제의 코일(71) 대신에 절연성의 관형상 부재(튜브)를 이용해도 된다.
손잡이 조작부(90)는, 한 쌍의 가위부(10)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고주파 처치구(200)에 있어서의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부(90)는, 예를 들면, 조작 와이어(68)가 삽통된 축부(95)와, 이 축부(95)의 기단부에 마련된 손가락걸이 링(92)과, 조작 와이어(68)의 기단이 연결되어 축부(95)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슬라이더(93)와, 회전 조작부(94)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와이어(68)는 축부(95)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유저는, 손가락걸이 링(92)에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을 삽입하고, 슬라이더(93)를 다른 2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 축부(9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구동한다. 이로써, 조작 와이어(68)는 손잡이 조작부(90)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한다. 시스(70)의 기단은 손잡이 조작부(90)에 고정되고, 조작 와이어(68)는 시스(70)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93)의 진퇴 이동에 연동하여 조작 와이어(68)의 선단은 시스(70)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한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의 진퇴부(67)(도 2, 도 3)가 진퇴 구동되어, 한 쌍의 가위부(10)가 개폐한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회전축의 축 방향은, 가위부(10)의 판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가위부(10)의 두께 방향)이며, 한 쌍의 가위부(10)가 개폐할 때에는, 한 쌍의 가위부(10)의 슬라이딩 접촉면(14)끼리가 슬라이딩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조작부(90)는 급전부(91)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부(91)는 한 쌍의 가위부(10)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단자이다. 급전부(91)에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고주파 전원(도시생략)이 접속된다.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가위부(10), 링크편(65, 66)(후술) 및 진퇴부(67)(후술)는, 어느 것도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또, 조작 와이어(68)도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전부(91)에 입력된 고주파 전류는 한 쌍의 가위부(10)에 인가된다.
회전 조작부(94)에는 조작 와이어(68)가 접속되어 있고, 회전 조작부(94)를 축부(95)의 둘레로 축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더(93)에 기단이 고정된 조작 와이어(68)는 시스(70)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이로써,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회전 조작부(94)는 급전부(9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급전부(91)와 고주파 전원(도시생략)을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도시생략)을 하방으로 늘어뜨린 상태로 회전 조작부(94)를 축부(95)의 둘레로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대신에, 슬라이더(93)를 축부(95)의 둘레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슬라이더(93)가 회전 조작부(94)의 기능을 겸하도록 해도 된다. 즉, 슬라이더(93)를 축부(9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구동함으로써 조작 와이어(68)를 진퇴시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를 개폐 조작하고, 또 슬라이더(93)를 축부(95)의 둘레로 축회전시킴으로써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회전 조작부(94)를 축부(95)에 마련하여, 급전부(9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슬라이더(93)를 축부(95)의 둘레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는, 판형상의 한 쌍의 가위부(10)와, 이들 가위부(10)를 개폐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는 축부재(61)와, 2매의 링크편(65, 66)과, 진퇴부(67)와, 지지 프레임(80)을 구비하고 있다.
축부재(61)의 축 방향은, 도 2 및 도 3의 지면(紙面)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도 4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이다. 또, 축부재(61)의 축 방향은, 한 쌍의 가위부(10)끼리의 중첩 방향이며,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가위부(10)의 두께 방향이다.
한 쌍의 가위부(10)는, 조작 와이어(68)의 밀고 당김에 의하여 개폐 구동된다. 조작 와이어(68)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진퇴부(67)는, 조작 와이어(68)의 선단에, 당해 조작 와이어(68)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진퇴부(67)에는 축부재(64)에 의하여 2매의 링크편(65, 66)의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편(65)의 선단부에는 축부재(63)에 의하여 일방의 가위부(10)(가위부(10a))의 기단편(2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일방의 가위부(10a)의 제2 축지지 구멍(22)과 링크편(65)의 선단부에 축부재(63)가 삽통됨으로써, 가위부(10a)와 링크편(65)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링크편(66)의 선단부에는 축부재(62)에 의하여 타방의 가위부(10)(가위부(10b))의 기단편(2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타방의 가위부(10b)의 제2 축지지 구멍(22)과 링크편(66)의 선단부에 축부재(62)가 삽통됨으로써, 가위부(10b)와 링크편(66)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각 축부재(62, 63, 64)의 축 방향은, 축부재(61)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이다.
한 쌍의 가위부(10) 및 링크편(65, 66)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평면 내(축부재(61)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기단편(20)과 링크편(65, 66)에 의하여 마름모꼴의 4절 링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재(62, 63)는, 축부재(64)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고, 축부재(61)는, 축부재(62, 63)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편(20)의 외측면에는 단차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기단편(20)에 있어서 단차부(23)보다 기단측의 부위는, 단차부(23)보다 선단측의 부위보다 얇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편(20)에 있어서 단차부(23)보다 기단측의 부위와 선단측의 부위의 두께의 차는, 링크편(65, 66)의 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로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링크편(65, 66)의 두께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0)은 시스(7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0)은, 시스(7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기단부(81)와, 기단부(81)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82)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브래킷(82)의 각각은, 예를 들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는, 한 쌍의 브래킷(82)의 선단부에 대하여, 축부재(61)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즉, 축부재(61)가,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의 기단편(20)의 제1 축지지 구멍(21)과 한 쌍의 브래킷(82)에 삽통됨으로써, 한 쌍의 가위부(10)의 기단편(20)이 한 쌍의 브래킷(82)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브래킷(82)끼리의 간극에 있어서, 한 쌍의 가위부(10)의 기단편(20)과 링크편(65, 66)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진퇴부(67)에 있어서 시스(70)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82)이 기단부(81)에 대하여 시스(70)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거나, 또는 브래킷(82)이 시스(70)에 대하여 시스(70)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68) 및 진퇴부(67)가 기단측(도 2에 있어서의 우방향)으로 견인되면, 한 쌍의 가위부(10)가 닫힌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68) 및 진퇴부(67)가 선단측(도 3에 있어서의 좌방향)으로 밀려나가면, 한 쌍의 가위부(10)가 열린 상태가 된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의 표면에는 절연성 피막(12)(비도전성층)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피막(12)은, 적어도 선단편(30)의 표면 중, 전극 영역(19)의 형성 영역을 제외한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피막(12)은, 예를 들면 불소 수지, 폴리에터에터케톤(PEEK),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DLC: Diamond-Like Carbon), 또는 세라믹 재료(산화 타이타늄계나 실리콘계 등의 세라믹 재료) 등의 절연성 재료를 가위부(10)의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전극 영역(19)은, 선단편(30)에 있어서 절연성 피막(12)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선상의 부분이다. 한 쌍의 가위부(10)는, 급전부(91)로부터 동위상의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어 모노폴라형의 고주파 전극이 된다. 한 쌍의 가위부(10)로 생체 조직을 파지한 상태로 고주파 전류를 한 쌍의 가위부(10)에 인가함으로써, 생체 조직은 소작되어 절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대신에, 한 쌍의 가위부(10)의 일방을 액티브 전극으로 하고, 타방을 리턴 전극으로 하는 바이폴라형의 고주파 처치구(200)로 해도 된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형상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가위부(10)는 서로 동일 형상이다.
이하, 도 5의 (a)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가위부(10)의 형상의 상세를 설명한다.
가위부(10)는, 날면(13)과,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면(14)과, 슬라이딩 접촉면(14)에 대한 이면인 외측면(15)과, 외측면(15)과 날면(13)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사면(16)과, 날면(13)에 대한 반대측의 면인 배면(背面)(17)을 갖고 있다.
슬라이딩 접촉면(14)과 외측면(15)은, 예를 들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면(13)은, 예를 들면 슬라이딩 접촉면(14) 및 외측면(15)의 쌍방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즉, 날면(13)은, 가위부(10)의 회전축인 축부재(61)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16)은, 날면(13)과 외측면(15)의 쌍방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경사면(16)은, 슬라이딩 접촉면(14)측으로부터 외측면(15)측을 향하여, 타방의 가위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위부(10a)의 경사면(16)은, 당해 가위부(10a)의 슬라이딩 접촉면(14)측(도 7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외측면(15)측(도 7에 있어서의 우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져 있고, 가위부(10b)의 경사면(16)은, 당해 가위부(10b)의 슬라이딩 접촉면(14)측(도 7에 있어서의 우측)으로부터 외측면(15)(도 7에 있어서의 좌측)을 향하여 오르막 경사져 있다.
또한, 환언하면, 경사면(16)은, 날면(13)측으로부터 외측면(15)측을 향하여, 타방의 가위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위부(10a)의 경사면(16)은, 당해 가위부(10a)의 날면(13)측으로부터 외측면(15)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져 있고, 가위부(10b)의 경사면(16)은, 당해 가위부(10b)의 날면(13)측으로부터 외측면(15)를 향하여 오르막 경사져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의 표면은, 비도전성층(절연성 피막(12))의 형성 영역과, 비도전성층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전극 영역(19)을 포함하고 있다.
가위부(10)의 선단편(30)의 선단부(도 5의 (a)에 있어서의 선단편(30)의 좌단부)에는, 선단 클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 클로부(40)는, 닫힘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닫힘 방향이란 일방의 가위부(10)로부터 타방의 가위부(10b)를 향하는 방향이며, 그 반대 방향을 열림 방향이라고 호칭한다. 선단 클로부(40)는, 도 5의 (a)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선단 클로부(40)는, 생체 조직에 파고드는 돌기이다.
선단편(30)에 있어서 선단 클로부(40)보다 기단측(도 5의 (a)에 있어서의 우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닫힘 방향측의 끝가장자리(에지), 즉 도 5의 (a)에 있어서의 선단편(30)의 위가장자리를 따라, 날면(13)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선단 클로부(40)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협지하여 생체 조직의 탈락을 억제한 상태에서, 한 쌍의 가위부(10)의 날면(13)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전단하여 절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선단 클로부(40)에 있어서 선단측을 향하는 면인 선단면(42), 선단 클로부(40)의 정면(頂面)(43) 및 선단 클로부(40)의 측면에도, 각각 절연성 피막(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 클로부(40)의 선단면(42), 정면(43) 및 측면에는, 전극 영역(19)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선단 클로부(40)에 있어서 기단측을 향하는 면인 기단면은, 오목부(57)의 표면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다. 선단 클로부(40)의 기단면에는 절연성 피막(12)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고, 전극 영역(19)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가위부(10)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가위부(10)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돌기부(51)와,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51)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타방의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오목부(55, 56, 57)를 갖고 있다.
날면(13)은, 돌기부(51)의 정면(52)과, 오목부(55, 56, 57)의 표면을 포함하고 있다(도 6의 (a), 도 6의 (b) 참조).
그리고, 돌기부(51)의 정면(52)과 오목부(55, 56, 57)의 표면에 각각 전극 영역(19)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기부(51)의 정면(52)의 전역과, 오목부(55, 56, 57)의 표면의 전역에 전극 영역(19)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위부(10)는, 돌기부(51)를 경계로 하여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55, 56, 57)를 갖고, 선단측의 오목부일수록,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크다(도 6의 (a) 참조).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가위부(10)는, 2개의 돌기부(51)와 3개의 오목부(55, 56, 57)를 갖고 있다. 3개의 오목부(55, 56, 57) 중, 오목부(55)가 가장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오목부(57)가 가장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55)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최대의 폭 치수)보다 오목부(56)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최대의 폭 치수)가 크고, 오목부(56)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최대의 폭 치수)보다 오목부(57)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최대의 폭 치수) 쪽이 크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돌기부(51)의 정면(52)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은, 서로 동일하다.
즉, 가위부(10)는,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부(51)를 갖고, 복수의 돌기부(51)의 정면(52)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은, 서로 동일하다.
여기에서, 가위부(10)의 선단편(30)에 있어서, 가장 기단측의 오목부(55)의 기단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오목부(55)보다 고단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기단측 고단부(58)라고 칭한다.
즉, 선단편(30)의 닫힘 방향측의 끝가장자리에는, 선단편(30)의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선단 클로부(40), 오목부(57), 돌기부(51), 오목부(56), 돌기부(51), 오목부(55) 및 기단측 고단부(58)가 배치되어 있다.
선단 클로부(40)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오목부(57)의 선단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선단 클로부(40)는, 각 돌기부(51) 및 기단측 고단부(58)보다, 닫힘 방향(타방의 가위부(10)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각 돌기부(51)의 정면(52)은, 예를 들면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52)은, 선단편(30)의 선기단 방향과, 가위부(10)의 회전축의 쌍방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가 닫혔을 때에, 개폐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높이)는, 선단 클로부(40)의 정면(43)의 높이가 돌기부(51)의 정면(52)의 높이보다 높고, 돌기부(51)의 정면(52)의 높이가 기단측 고단부(58)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가위부(10)가 닫혔을 때에, 가위부(10)의 선기단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다른 돌기부끼리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도록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가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조직의 파지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돌기부(51)끼리의 높이(개폐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에 대해서도, 선단측에 위치하는 돌기부(51)의 정면(52)의 높이 쪽이, 기단측에 위치하는 돌기부(51)의 정면(52)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실시형태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 돌기부(51)의 정면(52)의 높이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돌기부(51)의 정면(52)과 기단측 고단부(58)의 높이가 서로 동일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면(13)은, 오목부(57), 오목부(57)의 기단측에 인접하는 돌기부(51), 오목부(56), 오목부(56)의 기단측에 인접하는 돌기부(51), 오목부(55) 및 기단측 고단부(58)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기단측 고단부(58)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부분의 날면(13)에 있어서도, 기단측 고단부(58)의 폭 방향 전역에 걸쳐 전극 영역(19)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오목부(55, 56, 57)는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오목부(57)가 가장 깊게 오목하게 되어 있고, 가장 기단측에 위치하는 오목부(55)가 가장 얕게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 각 오목부(55, 56, 57)에 있어서, 보다 깊게 오목하게 되어 있는 부분일수록, 가위부(10)의 두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오목부(55, 56, 57)에 있어서, 보다 깊게 오목하게 되어 있는 부분일수록, 폭 치수 및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각 오목부(55, 56, 57)의 폭 치수, 즉 각 오목부(55, 56, 57)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는, 각 오목부(55, 56, 57)의 기단 및 선단에서는 최소로 되어 있고, 기단과 선단의 중간부에 있어서 최대로 되어 있다.
각 오목부(55, 56, 57)의 표면은, 오목곡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각 오목부(55, 56, 57)의 표면은, 가위부(10)의 회전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있어서 각 오목부(55, 56, 57)의 표면은 시인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돌기부(51)의 정면(52)의 폭 치수, 즉 정면(52)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는, 예를 들면 선기단 방향에 있어서의 돌기부(51)의 전역에 걸쳐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면(52)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는, 예를 들면 오목부(55, 56, 57)에 있어서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최소인 부분의 폭 치수와 동일하고, 또한 기단측 고단부(58)에 있어서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최소인 부분의 폭 치수와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정면(52)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는, 오목부(55, 56, 57)에 있어서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최소인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고, 또한 기단측 고단부(58)에 있어서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최소인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아도 된다.
즉, 돌기부(51)의 정면(52)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이, 돌기부(51) 이외의 전극 영역(19)에 있어서 가장 폭이 좁은 부분의 폭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에 의한 생체 조직의 파지가 보다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선단편(30)에 있어서, 날면(13) 이외의 부분에는, 전극 영역(19)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각 오목부(55, 56, 57)의 표면, 각 돌기부(51)의 정면(52) 및 기단측 고단부(58)의 표면을 제외하고, 선단편(30)의 전체 표면에 절연성 피막(12)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 중 적어도 일방의 가위부(10)에는, 스토퍼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의 닫힘 동작은, 스토퍼부(11)가 타방의 가위부(10)의 날면(13)(예를 들면 기단측 고단부(58))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에 스토퍼부(11)가 형성되어 있고, 가위부(10a)의 스토퍼부(11)가 가위부(10b)의 날면(13)에 맞닿음과 함께, 가위부(10b)의 스토퍼부(11)가 가위부(10a)의 날면(13)에 맞닿음으로써, 한 쌍의 가위부(10)의 닫힘 동작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스토퍼부(11)는, 가위부(10)에 있어서, 도 5의 (b)에 나타내는 슬라이딩 접촉면(14)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11)에 있어서, 타방의 가위부(10)측을 향하는 부위는, 평탄면(11a)으로 되어 있다.
평탄면(11a)은, 예를 들면, 기단측 고단부(58)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위부(10)가 닫혔을 때에는, 평탄면(11a)이 타방의 가위부(10)의 기단측 고단부(58)에 대하여 면접촉함으로써, 한 쌍의 가위부(10)의 닫힘 동작이 규제된다.
이상과 같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가위부(10)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당해 가위부(10)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전극 영역(19)으로부터 생체 조직으로 흐르는 전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지혈성이 얻어진다. 또, 전극 영역(19)은 날면(13)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생체 조직 중 의도한 부위를 선택적으로 소작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조직에 닿기 쉬운 외측면(15)은 절연성 피막(12)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외측면(15)에 대해서는 충분히 절연되어 있어, 외측면(15)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실수로 소작해 버리는 것은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의 (a) 내지 도 9의 (b)를 이용하여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는,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8의 (b), 도 9의 (a) 및 도 9의 (b)의 각각에 있어서는, 가위부(10)에 있어서의 전극의 형성 영역(전극 영역(19))에 도트형상의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도 5의 (a), 도 6의 (a), 도 6의 (b), 도 7의 (a) 및 도 7의 (b)의 각각에 있어서, 도트형상의 해칭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절연성 피막(12)(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이다. 단, 제1 축지지 구멍(21)의 내부에 대해서는, 절연성 피막(12)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가위부(10)에 있어서의 돌기부(51)의 수가, 제1 실시형태와는 달리, 1개이다. 또, 돌기부(51)의 기단측 및 선단측에 인접하여 각각 오목부(55, 56)가 배치되어 있다. 즉, 오목부의 수는, 제1 실시형태와는 달리, 2개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선단편(30)의 닫힘 방향측의 끝가장자리에는, 선단편(30)의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선단 클로부(40), 오목부(56), 돌기부(51), 오목부(55) 및 기단측 고단부(58)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면(13)은, 돌기부(51)의 정면(52)와, 오목부(55, 56)의 표면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면(13)은, 오목부(56), 돌기부(51) 및 오목부(55)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날면(13)의 전역(오목부(55)의 표면, 돌기부(51)의 정면(52) 및 오목부(56)의 표면의 전역)에 걸쳐, 전극 영역(19)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 클로부(40), 오목부(56), 돌기부(51), 오목부(55) 및 기단측 고단부(58)의 각각은, 가위부(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고 있다.
오목부(56) 및 오목부(55)의 각각은, 선단편(30)의 선기단 방향(도 8의 (a), 도 8의 (b)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면(13)은, 오목부(55)의 바닥면, 오목부(56)의 바닥면 및 돌기부(51)의 정면(52)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각각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5)의 바닥면, 오목부(56)의 바닥면 및 돌기부(51)의 정면(52)은, 예를 들면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56)의 바닥면 및 오목부(55)의 바닥면은, 선단편(30)의 선기단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경사면(16)은, 외측면(15)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면(161)과, 날면(13)측에 위치하는 제2 경사면(16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날면(13)과 제1 경사면(161)이 이루는 각도보다, 날면(13)과 제1 경사면(161)이 이루는 각도가 크다. 또, 외측면(15)과 제2 경사면(162)이 이루는 각도보다, 외측면(15)과 제1 경사면(161)이 이루는 각도 쪽이 크다.
또한, 제2 경사면(162)은, 예를 들면 오목부(56)와 외측면(15) 사이, 및 오목부(55)와 외측면(15)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52)과 외측면(15) 사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예를 들면 정면(52)과 외측면(15) 사이에는 제1 경사면(161)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1 경사면(161)은, 오목부(56)와 외측면(15) 사이, 정면(52)과 외측면(15) 사이, 및 오목부(55)와 외측면(15) 사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영역(19)은, 가위부(10)의 선단측일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즉, 선단편(30)의 선기단 방향에 있어서 전극 영역(19)의 길이를 2등분했을 때, 선단측의 전극 영역(19)의 평균 폭 치수 쪽이, 기단측의 전극 영역(19)의 평균 폭 치수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극 영역(19)은, 가위부(10)의 선단측일수록 단계적으로 폭이 넓어져 있어도 되고, 선단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확대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부(56)의 폭 치수(오목부(56)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가, 오목부(55)의 폭 치수(오목부(55)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가위부(10)의 선단측의 부분일수록, 생체 조직의 절제 시에 점막 하에 들어가 절제에 이용되기 때문에, 전극 영역(19)으로부터 생체 조직으로 흐르는 전류를 크게 하여 지혈성을 높이는 효과가 보다 요구된다는 사정에 대하여, 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 가위부(10)는,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가위부(10)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부(51)를 갖고, 전극 영역(19)은, 날면(13)에 있어서 돌기부(51)보다 선단측의 부위(오목부(56))에서는, 당해 돌기부(51)보다 기단측의 부위(오목부(55))와 비교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면(13)이, 가위부(10)의 선단측에 있어서 기단측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으며, 전극 영역(19)은, 날면(13)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부위에서는, 날면(13)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부위와 비교하여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날면(1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전역에 전극 영역(1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 영역(19)의 폭 치수는, 날면(13)의 폭 치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가위부(10)는,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가위부(10)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부(51)를 갖고, 날면(13)은, 돌기부(51)보다 선단측의 부위(오목부(56))에 있어서, 당해 돌기부(51)보다 기단측의 부위(오목부(55))와 비교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 날면(13)의 폭 치수는, 돌기부(51)보다 선단측의 부위(오목부(56))와, 당해 돌기부(51)보다 기단측의 부위(오목부(55))에 있어서, 각각 대략 일정하다.
즉, 오목부(56)의 선기단 방향의 전역에 걸쳐, 오목부(56)의 폭 치수 및 날면(13)의 폭 치수가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오목부(55)의 선기단 방향의 전역에 걸쳐, 오목부(55)의 폭 치수 및 날면(13)의 폭 치수가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선단 클로부(40)에 있어서 선단측을 향하는 면인 선단면(42), 및 선단 클로부(40)의 측면에도, 각각 절연성 피막(12)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 클로부(40)의 선단면(42) 및 측면에는, 전극 영역(19)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다.
단, 선단 클로부(40)의 정면(43)의 일부분(오목부(56)측의 부분)에 있어서는, 절연성 피막(12)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고, 전극 영역(19)이 형성되어 있다(도 9의 (a), 도 9의 (b) 참조). 또, 선단 클로부(40)에 있어서 기단측을 향하는 면인 기단면(41)에도, 절연성 피막(12)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고, 전극 영역(19)이 형성되어 있다(도 9의 (b) 참조).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한 쌍의 가위부(10) 중 적어도 일방의 가위부(10)에는, 스토퍼부(11)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가위부(10)의 닫힘 동작은, 스토퍼부(11)가 타방의 가위부(10)의 날면(13)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되게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에 스토퍼부(11)가 형성되어 있고, 가위부(10a)의 스토퍼부(11)가 가위부(10b)의 날면(13)에 맞닿음과 함께, 가위부(10b)의 스토퍼부(11)가 가위부(10a)의 날면(13)에 맞닿음으로써, 한 쌍의 가위부(10)의 닫힘 동작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스토퍼부(11)는, 예를 들면 오목부(5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평탄면(11a)은, 예를 들면 오목부(55)의 바닥면과 면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위부(10)가 닫혔을 때에는, 평탄면(11a)이 타방의 가위부(10)의 오목부(55)의 바닥면에 대하여 면접촉함으로써, 한 쌍의 가위부(10)의 닫힘 동작이 규제된다.
예를 들면, 평탄면(11a)에도 절연성 피막(12)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고, 평탄면(11a)도 전극 영역(19)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다.
단, 스토퍼부(11)의 평탄면(11a)은, 날면(13)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0의 (a) 내지 도 11의 (b)를 이용하여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는, 상기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면(13)의 폭 치수는, 가위부(10)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폭이 넓게 변화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날면(13)의 선기단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전역에 있어서, 날면(13)의 폭 치수가 가위부(10)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폭이 넓게 변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돌기부(51)의 표면(정면(52))에 있어서 전극 영역(19)이 선단측을 향하여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경사면(162)은, 돌기부(51)의 정면(52)과 외측면(15)의 사이에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경사면(162)은, 오목부(56)와 외측면(15) 사이, 정면(52)과 외측면(15) 사이, 및 오목부(55)와 외측면(15) 사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존재하고 있다(도 10의 (a) 내지 도 11의 (b)).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제1~제3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55, 56, 57)의 표면이 가위부(10)의 회전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목부(55, 56, 57)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슬라이딩 접촉면(14)측으로부터 외측면(15)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져 있어도 된다.
즉, 한 쌍의 가위부(10)의 각각은, 날면(13) 외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면(14)과, 슬라이딩 접촉면(14)에 대한 이면인 외측면(15)을 갖고, 오목부(55, 56, 57)의 표면(오목부(55, 56, 57)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슬라이딩 접촉면(14)측으로부터 외측면(15)측을 향하여, 타방의 가위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 상기의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서는, 가위부(10)의 돌기부(51)의 수가 1개인 예를 설명했지만, 가위부(10)의 돌기부(51)의 수가 복수여도 된다. 그리고, 전극 영역(19)은, 각 돌기부(51)를 경계로 하여 선단측일수록 폭이 넓게 되어 있어도 된다.
즉, 가위부(10)는, 당해 가위부(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부(51)를 갖고, 전극 영역(19)은, 복수의 돌기부(51)의 각각을 경계로 하여 단계적으로 선단측일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의 제1~제3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제1~제3 실시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 한 쌍의 가위부를 갖고 있으며 생체 조직의 절개에 이용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로서,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장척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기단부끼리가, 이들 가위부의 판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회동축에 있어서 서로 축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날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의 표면은, 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과, 상기 날면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성층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전극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당해 가위부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 영역의 폭 치수가,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고주파 처치구.
(2)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상기 가위부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돌기부와,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타방의 상기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날면은, 상기 돌기부의 정면과 상기 오목부의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의 상기 정면과 상기 오목부의 상기 표면에 각각 상기 전극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1)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3) 상기 오목부는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는 (2)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4)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상기 날면 외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면과, 상기 슬라이딩 접촉면에 대한 이면인 외측면을 갖고,
상기 오목부의 상기 표면은, 상기 슬라이딩 접촉면측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측을 향하여, 타방의 상기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2) 또는 (3)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5) 상기 가위부는, 상기 돌기부를 경계로 하여 배치된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갖고,
선단측의 상기 오목부일수록, 상기 전극 영역의 폭 치수가 큰 (3) 또는 (4)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6)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상기 정면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 영역의 폭은, 서로 동일한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7) 상기 돌기부의 상기 정면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 영역의 폭이, 상기 돌기부 이외의 상기 전극 영역에 있어서 가장 폭이 좁은 부분의 폭 이하인 (2)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8) 상기 전극 영역은,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일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9)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상기 가위부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부를 갖고,
상기 전극 영역은, 상기 날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보다 선단측의 부위에서는, 당해 돌기부보다 기단측의 부위와 비교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8)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10)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돌기부를 갖고,
상기 전극 영역은,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각을 경계로 하여 단계적으로 선단측일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9)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11) 상기 돌기부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전극 영역이 선단측을 향하여 폭이 넓게 되어 있는 (9) 또는 (10)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12) 상기 날면이,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에 있어서 기단측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고,
상기 전극 영역은, 상기 날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부위에서는, 상기 날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부위와 비교하여 폭이 넓게 되어 있는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13)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상기 가위부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부를 갖고,
상기 날면은, 상기 돌기부보다 선단측의 부위에 있어서, 당해 돌기부보다 기단측의 부위와 비교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12)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14) 상기 날면의 폭 치수는, 상기 돌기부보다 선단측의 부위와, 당해 돌기부보다 기단측의 부위에 있어서, 각각 대략 일정한 (13)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15) 상기 날면의 폭 치수는, 상기 가위부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폭이 넓게 변화하고 있는 (12) 또는 (13)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제4 실시형태〕
먼저, 도 12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제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측면도에서는, 시스(70A)에 있어서 도시한 범위 중, 기단측의 부분에 대해서는, 중심선을 따른 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a)에 있어서는, 날부(50A)에 있어서의 전극(52A)의 형성 영역(전극 형성 영역(53)(도 16의 (a), 도 16의 (b)))에 도트형상의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전극(52A)은, 선단 클로부(40A)의 후술하는 기단측 가장자리(41A), 저단부(55A), 및, 고단부(54A)의 기단부에 위치하는 전극 기단 위치(53aA)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200A)(이하, 간단히 고주파 처치구(200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선단부에 마련되며, 내시경(300A)(도 18에는 내시경(300A)의 선단부의 후드(310A)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부분을 나타내고 있음)의 겸자공(도시생략)에 삽입하여 이용되어 생체 조직을 절개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이다.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는, 공통의 회전축(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축부재(61A))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서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생체 조직을 전단하는 날부(50A)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의 (a), 도 16의 (b) 및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각각은, 당해 전단 가위부(10A)의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있는 기단편(20A)과, 당해 전단 가위부(10A)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선단 클로부(40A)와, 당해 전단 가위부(10A)에 있어서의 선단 클로부(40A)와 기단편(20A)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날부(50A)를 갖는다.
날부(50A)에는 전극(5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의 축 중심(21aA)과 날부(50A)의 바닥(51A)를 잇는 가상 직선 L1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선단 클로부(40A)의 높이보다, 날부(50A)에 있어서의 전극(52A)의 형성 영역(전극 형성 영역(53A)) 중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 쪽이 낮다.
도 16의 (a)에는, 가상 직선 L1에 대하여 각각 평행한 직선 L2 및 직선 L3이 나타나 있다. 이 중 직선 L2는, 날부(50A)에 있어서의 전극(52A)의 형성 영역(전극 형성 영역(53A)) 중 가장 높은 위치를 지나는 직선이다. 또, 직선 L3은, 선단 클로부(40A)에 있어서 가장 높은 위치를 지나는 직선이다.
가상 직선 L1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선단 클로부(40A)의 높이보다, 날부(50A)에 있어서의 전극(52A)의 형성 영역 중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 쪽이 낮다고 하는 것은, 환언하면, 가상 직선 L1과 직선 L3의 거리보다, 가상 직선 L1과 직선 L2의 거리 쪽이 짧다고 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200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를 선단부에 갖고, 기단측에는,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 조작부(조작부)(90A)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상 직선 L1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선단 클로부(40A)의 높이보다, 날부(50A)에 있어서의 전극(52A)의 형성 영역(전극 형성 영역(53A)) 중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 쪽이 낮은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를 닫을 때에 날부(50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되밀어내는 동작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를 닫을 때에 선단 클로부(40A)를 신속하게 생체 조직에 파고들게 할 수 있어,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보다 확실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200A)는, 장척의 조작 와이어(68A)와, 조작 와이어(68A)의 선단에 마련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와, 조작 와이어(68A)가 수용된 가요성의 시스(70A)와, 시스(70A)의 기단측에 마련되며 조작 와이어(68A)의 기단이 접속된 손잡이 조작부(90A)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70A)는, 조작 와이어(68A)를 수용하는 장척이며 관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스(70A)는, 스테인리스선 등의 도전성 와이어를 밀착권회하여 제작된, 금속제의 코일(71A)(도 13, 도 14)이다. 시스(70A)의 외표면에는 절연성 피막(72A)이 밀착하여 마련되어 있다. 단 시스(70A)로서는, 금속제의 코일(71A) 대신에 절연성의 관형상 부재(튜브)를 이용해도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손잡이 조작부(90A)는, 조작 와이어(68A)가 삽통된 축부(95A)와, 이 축부(95A)의 기단부에 마련된 손가락걸이 링(92A)과, 조작 와이어(68A)의 기단이 연결되어 축부(95A)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슬라이더(93A)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와이어(68A)는 축부(95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유저는, 손가락걸이 링(92A)에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을 삽입하고, 슬라이더(93A)를 다른 2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 축부(95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구동한다. 이로써, 조작 와이어(68A)는 손잡이 조작부(90A)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한다. 시스(70A)의 기단은 손잡이 조작부(90A)에 고정되고, 조작 와이어(68A)는 시스(70A)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93A)의 진퇴 이동에 연동하여 조작 와이어(68A)의 선단은 시스(70A)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한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의 진퇴부(67A)(도 13, 도 14)가 진퇴 구동되어,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가 개폐한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회전축의 축 방향은, 전단 가위부(10A)의 판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가 개폐할 때에는,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내측면끼리가 슬라이딩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조작부(90A)는 급전부(91)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부(91A)는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단자이며,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고주파 전원(도시생략)이 접속된다.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 링크편(65A, 66A) 및 진퇴부(67A)는, 어느 것도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또, 조작 와이어(68A)도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전부(91A)에 입력된 고주파 전류는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에 인가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는, 판형상의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와, 이들 전단 가위부(10A)를 개폐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는 축부재(61A)와, 2매의 링크편(65A, 66A)과, 진퇴부(67A)와, 지지 프레임(80A)을 구비하고 있다.
축부재(61A)의 축 방향은, 도 13 및 도 14의 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 축부재(61A)의 축 방향은,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끼리의 중첩 방향이며,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두께 방향이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는, 조작 와이어(68A)의 밀고 당김에 의하여 개폐 구동된다. 조작 와이어(68A)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진퇴부(67A)는 조작 와이어(68A)의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진퇴부(67A)에는 축부재(64A)에 의하여 2매의 링크편(65A, 66A)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편(65A)에는 축부재(63A)에 의하여 일방의 전단 가위부(10A)(이하, 전단 가위부(10aA))의 기단편(20A)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링크편(66A)에는 축부재(62A)에 의하여 타방의 전단 가위부(10A)(이하, 전단 가위부(10bA))의 기단편(20A)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축부재(62A, 63A, 64A)의 축 방향은, 축부재(61A)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이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 및 링크편(65A, 66A)은,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평면 내(축부재(61A)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기단편(20A)과, 링크편(65A, 66A)에 의하여 마름모꼴의 4절 링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재(62A, 63A)는, 축부재(64A)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고, 축부재(61A)는, 축부재(62A, 63A)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80A)은 시스(70A)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0A)은, 시스(70A)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기단부(81A)와, 기단부(81A)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82A)을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82A)은, 예를 들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는, 한 쌍의 브래킷(82A)의 선단부에 대하여, 축부재(61A)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브래킷(82A)끼리의 간극에 있어서,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기단편(20A)과, 링크편(65A, 66A)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진퇴부(67A)에 있어서 시스(70A)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68A) 및 진퇴부(67A)가 기단측(도 13에 있어서의 우방향)으로 견인되면,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가 닫힌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68A) 및 진퇴부(67A)가 선단측(도 14에 있어서의 좌방향)으로 밀려나가면,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가 열린 상태가 된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각각은, 축부재(61A)의 근방에 있어서 회동면 내에서 얕게 굴곡하는 대략 L자형상(즉 낫형상)을 이루고 있다. 기단편(20A)은,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각각에 있어서, 축부재(61A)보다 기단측의 부분이다. 한편,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각각에 있어서, 축부재(61A)보다 선단측의 부분을, 선단편(30A)이라고 칭한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형상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는 서로 동일 형상이다.
이하, 도 16의 (a), 도 16의 (b) 및 도 17의 (a)를 이용하여, 전단 가위부(10A)의 형상의 상세를 설명한다.
전단 가위부(10A)의 선단편(30A)의 선단에는, 선단 클로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 클로부(40A)는, 닫힘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닫힘 방향이란 일방의 전단 가위부(10A)로부터 타방의 전단 가위부(10A)를 향하는 방향이며, 그 반대 방향을 열림 방향이라고 호칭한다.
선단 클로부(40A)는, 생체 조직에 파고드는 돌기이다.
선단편(30A)에 있어서 선단 클로부(40A)보다 기단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닫힘 방향측의 끝가장자리(에지)를 따라, 날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선단 클로부(40)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감싸도록 유지하여 생체 조직의 탈락을 방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날부(50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절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각각의 표면에는 절연성 피막(12A)(도 16의 (a), 도 16의 (b))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피막(12A)은, 적어도 선단편(30A)의 표면 중, 전극(52A)의 형성 영역을 제외한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피막(12A)은,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를 전단 가위부(10A)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극(52A)은, 날부(50A)에 있어서 절연성 피막(12A)으로부터 노출된 선형상의 부분이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는, 급전부(91A)로부터 동위상의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어 모노폴라형의 고주파 전극이 된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로 생체 조직을 파지한 상태로 고주파 전류를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에 인가함으로써, 생체 조직은 소작되어 절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대신에,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일방을 액티브 전극으로 하고, 타방을 리턴 전극으로 하는 바이폴라형 고주파 처치구(200A)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부(50A)에는, 고단부(54A)와, 고단부(54A)보다 등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된 절결 형상의 저단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날부(50A)에는, 가상 직선 L1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단부(54A)와, 당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단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52A)은, 고단부(54A)로부터 저단부(55A)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전극(52A)은, 도 16의 (a) 및 도 16의 (b)에 나타내는 전극 형성 영역(53A)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 형성 영역(53A)은, 도 17의 (a)에 있어서 해칭이 부여되어 있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부(50A)의 바닥(51A)은, 저단부(55A)의 최저부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부(50A)는, 1개의 고단부(54A)와, 1개의 저단부(55A)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고단부(54A)는, 평탄면인 평탄부(54aA)를 갖고 있다. 또, 저단부(55A)의 저부는, 평탄면인 평탄부(55aA)로 되어 있다. 평탄부(54aA)와 평탄부(55aA)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평탄부(54aA) 및 평탄부(55aA)는, 각각 축부재(61A)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평탄부(54aA) 및 평탄부(55aA)는, 가상 직선 L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선단 클로부(40A)의 후술하는 돌출 방향 끝가장자리(43A)도, 가상 직선 L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를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즉 도 13 및 도 14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선단 클로부(40A)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가장자리(이하, 기단측 가장자리(41A)(도 16의 (a), 도 16의 (b)))와 가상 직선 L1이 이루는 각도 α가 90도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선단 클로부(40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충분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각도 α가 90도이다.
단, 각도 α는 90도 미만이어도 된다. 즉, 기단측 가장자리(41)는 가상 직선 L1에 대하여 오버행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선단 클로부(40A)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가장자리(이하, 선단측 가장자리(42A)(도 16의 (a), 도 16의 (b)))와 가상 직선 L1이 이루는 각도 β는, 90도 이상이어도 되고, 90도 이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각도 β는 대략 90도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선단 클로부(40A)의 돌출 방향의 끝가장자리(이하, 돌출 방향 끝가장자리(43A)(도 16의 (a), 도 16의 (b)))에 있어서의 선단부(43aA) 및 기단부(43bA)가, 각각 R모따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선단 클로부(40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소프트하게 파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선단 클로부(40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소프트하게 또한 충분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 중 적어도 일방의 전단 가위부(10A)에는, 스토퍼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닫힘 동작은, 스토퍼부(11A)가 타방의 전단 가위부(10A)의 날부(50A)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각각에 스토퍼부(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단 가위부(10aA)의 스토퍼부(11A)가 전단 가위부(10bA)의 날부(50A)에 맞닿음과 함께, 전단 가위부(10bA)의 스토퍼부(11)가 전단 가위부(10aA)의 날부(50A)에 맞닿음으로써,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닫힘 동작이 규제된다.
스토퍼부(11A)는, 전단 가위부(10A)에 있어서,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부(11A)에 있어서, 타방의 전단 가위부(10A)측을 향하는 부위는, 평탄면(11aA)으로 되어 있다. 평탄면(11aA)은, 평탄부(54aA) 및 평탄부(55aA)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부(11A)는, 선단편(30A)에 있어서 고단부(54A)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와 저단부(55A)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 중, 고단부(54A)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닫혔을 때에는, 평탄면(11aA)이 타방의 전단 가위부(10A)의 평탄부(54aA)에 대하여 면접촉함으로써,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닫힘 동작이 규제된다.
기단편(20A)의 선단부에는, 당해 기단편(20A)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제1 축지지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제1 축지지 구멍(21A)에 공통의 축부재(61A)가 삽통되어,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가 축지지되어 있다.
기단편(20A)의 기단부에는, 당해 기단편(20A)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제2 축지지 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전단 가위부(10aA)의 제2 축지지 구멍(22A)과 링크편(65A)의 선단부에 축부재(63A)가 삽통되어, 전단 가위부(10aA)와 링크편(65A)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타방의 전단 가위부(10bA)의 제2 축지지 구멍(22A)과 링크편(66A)의 선단부에 축부재(62A)가 삽통되어, 전단 가위부(10bA)와 링크편(66A)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편(20A)의 외측면에는 단차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기단편(20A)에 있어서 단차부(23A)보다 기단측의 부위는, 단차부(23A)보다 선단측의 부위보다 얇게 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편(20A)에 있어서 단차부(23A)보다 기단측의 부위와 선단측의 부위의 두께의 차는, 링크편(65A, 66A)의 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로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링크편(65A, 66A)의 두께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80A)의 한 쌍의 브래킷(82A)은,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기단편(20A)을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회전축(축부재(6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음과 함께, 당해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브래킷(82A)은, 당해 브래킷(82A)의 선단부에 있어서 기단편(20A)을 협지 및 축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브래킷(82A)의 각각의 선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브래킷(82A)의 각각의 대향면(82aA)에 대한 이면인 외면(82b)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브래킷(82)의 각각의 선단부의 외면(82bA)끼리의 거리가, 브래킷(82A)의 기단부의 외면끼리의 거리보다 작다. 즉, 브래킷(82A)의 선단부는, 외면측이 깎여 평탄해진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래킷(82A)과 생체 조직이나 겸자공의 둘레벽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브래킷(82A)에 대한 도장이 용이하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이상과 같은 제4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상 직선 L1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선단 클로부(40A)의 높이보다, 날부(50A)에 있어서의 전극(52A)의 형성 영역(전극 형성 영역(53A)) 중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 쪽이 낮은 것에 의하여,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를 닫을 때에 날부(50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되밀어내는 동작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를 닫을 때에 선단 클로부(40A)를 신속하게 생체 조직에 파고들게 할 수 있어,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보다 확실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을 이용하여 제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A) 및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A) 및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는, 상기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A) 및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부(50A)는, 복수의 저단부(55A)와, 이들 저단부(55A)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단부(54A)인 중간 고단부(56A)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중간 고단부(56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충분한 파지력으로 생체 조직을 파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부(50A)가 2개의 저단부(55A)를 갖고, 이들 2개의 저단부(55A)끼리의 사이에 1개의 중간 고단부(56A)가 배치되어 있다. 또, 기단측의 저단부(55A)의 더 기단측에 고단부(54A)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전극 기단 위치(53aA)는, 예를 들면 기단측의 저단부(55A)의 기단 위치(기단측의 고단부(54A)(중간 고단부(56A)가 아닌 쪽의 고단부(54A)))의 선단 위치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스토퍼부(11A)는, 선단편(30A)에 있어서 기단측의 저단부(55A)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닫혔을 때에는, 평탄면(11aA)이 타방의 전단 가위부(10A)의 기단측의 저단부(55A)의 평탄부(55aA)에 대하여 면접촉함으로써,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닫힘 동작이 규제된다.
복수의(본 실시형태의 경우, 2개의) 저단부(55A)의 깊이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는, 2개의 저단부(55A)의 깊이가 서로 동일하고, 이들 2개의 저단부(55A)의 바닥이 상기 가상 직선 상에 위치한다.
〔제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1 내지 도 23을 이용하여 제6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A) 및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A) 및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는, 상기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A) 및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1 내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부(50A)는, 복수의 저단부(55A)와, 이들 저단부(55A)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단부(54A)인 중간 고단부(56A)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중간 고단부(56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충분한 파지력으로 생체 조직을 파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부(50A)는, 복수의 중간 고단부(56A)를 갖고, 복수의 중간 고단부(56A) 중, 기단측에 위치하는 중간 고단부(56A)일수록, 가상 직선 L1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낮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중간 고단부(56A)끼리 사이에 생체 조직을 끼우는 타이밍을 서로 가깝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부(50A)는 2개의 중간 고단부(56A)를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가 닫히고,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선단 클로부(40A)끼리가 겹치기 시작했을 때에,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서로 대응하는 중간 고단부(56A)끼리가 접촉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전단 가위부(10A)의 중간 고단부(56A)끼리 사이에 생체 조직을 끼우는 타이밍을 실질적으로 같은 타이밍으로 맞출 수 있다.
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중간 고단부(56A)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가장자리(이하, 기단측 가장자리(57A))와 상기 가상 직선 L1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중간 고단부(56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보다 충분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수의 중간 고단부(56A)의 각각에 대하여, 기단측 가장자리(57A)와 가상 직선 L1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기단측 가장자리(57A)와 가상 직선 L1이 이루는 각도가 90도이다. 단, 이 각도는 90도 미만이어도 된다.
또,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A)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중간 고단부(56A)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가장자리(이하, 선단측 가장자리(58))와 상기 가상 직선 L1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중간 고단부(56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보다 충분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수의 중간 고단부(56A)의 각각에 대하여, 선단측 가장자리(58A)와 가상 직선 L1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중간 고단부(56)와 가상 직선 L1이 이루는 각도가 90도이다. 단, 이 각도는 90도 미만이어도 된다.
또, 중간 고단부(56A)의 돌출 방향의 끝가장자리(이하, 돌출 방향 끝가장자리(59A))에 있어서의 선단부(59a) 및 기단부(59bA)가, 각각 R모따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중간 고단부(56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소프트하게 파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 중간 고단부(56A)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소프트하게 또한 충분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제4~제6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제2 양태 및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 있어서는, 선단 클로부(40A)의 기단측 가장자리(41A)와 가상 직선 L1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인 예를 설명했지만, 당해 각도는 90도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에 있어서는, 저단부(55A)가 평탄부(55aA)를 갖는 예를 설명했지만, 전단 가위부(10A)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저단부(55A)의 형상은, 원호상의 절결 형상이어도 된다.
또, 제4~제6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2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제4~제6 실시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내시경의 겸자공에 삽입하여 이용되어 생체 조직을 절개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로서,
공통의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서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하는 날부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전단 가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각각은,
당해 전단 가위부의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있는 기단편과,
당해 전단 가위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선단 클로부와,
당해 전단 가위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클로부와 상기 기단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날부를 갖고,
상기 날부에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의 축 중심과 상기 날부의 바닥을 잇는 가상 직선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상기 선단 클로부의 높이보다, 상기 날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의 형성 영역 중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 쪽이 낮은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2) 당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선단 클로부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인 (1)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3) 상기 선단 클로부의 돌출 방향의 끝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선단부 및 기단부가, 각각 R모따기 형상으로 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4)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 중 적어도 일방의 전단 가위부에는, 스토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닫힘 동작은, 상기 스토퍼부가 타방의 전단 가위부의 상기 날부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5) 상기 날부에는, 고단부와, 상기 고단부보다 등측을 향하여 오목한 절결 형상의 저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단부로부터 상기 저단부에 걸쳐 상기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날부의 상기 바닥은, 상기 저단부의 최저부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6) 상기 날부는, 복수의 상기 저단부와, 이들 저단부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고단부인 중간 고단부를 갖는 (5)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7) 상기 날부는, 복수의 상기 중간 고단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중간 고단부 중, 기단측에 위치하는 중간 고단부일수록, 상기 가상 직선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낮은 (6)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8)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가 닫히고,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상기 선단 클로부끼리가 겹치기 시작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서로 대응하는 상기 중간 고단부끼리가 접촉하는 (6) 또는 (7)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9) 당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중간 고단부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인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10) 당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중간 고단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인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11) 상기 중간 고단부의 돌출 방향의 끝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선단부 및 기단부가, 각각 R모따기 형상으로 되어 있는 (6)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12)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상기 기단편을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은, 당해 브래킷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기단편을 협지 및 축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대향면에 대한 이면인 외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선단부의 외면끼리의 거리가, 상기 브래킷의 기단부의 외면끼리의 거리보다 작은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13)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선단부에 갖고, 기단측에는,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
〔제7 실시형태〕
먼저, 도 24 내지 도 29를 이용하여 제7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측면도에서는, 시스(70B)에 있어서 도시한 범위 중, 기단측의 부분에 대해서는, 중심선을 따른 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선단 처치부(10B)의 선단 방향이란, 회전축(축부재(61B))의 축 중심(61aB)으로부터 선단 처치부(10B)(개폐부(10aB, 10bB))의 선단(도 25에 있어서의 선단 처치부(10B)의 좌단)을 향하는 방향을 말하며, 선단 처치부(10B)의 기단 방향이란, 그 반대방향이다. 따라서, 선기단 방향이란, 도 2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이다.
도 24 내지 도 27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200B)(이하, 간단히 고주파 처치구(200B)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내시경(300B)(도 30에는 내시경(300B)의 선단부의 후드(310B)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부분을 나타내고 있음)의 겸자공(도시생략)에 삽입하여 이용되어 생체 조직(도시생략)을 절개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로서는, 한 쌍의 컵형상의 개폐부를 갖는 생검 겸자를 제외한다.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는,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에 의하여 구성된 선단 처치부(10B)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에는 각각 라인상(선상)의 형상의 전극(5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인상의 형상의 전극(52B)이란, 한 쌍의 컵형상의 개폐부를 갖는 생검 겸자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은 환형상 또는 U자형상의 전극은 아니다. 또한, 전극(52B)은, 부분마다 높낮이 차이가 존재하고 있거나, 사행하고 있거나 해도 된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는, 공통의 회전축(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축부재(61B))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서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생체 조직을 전단 또는 협지하여 고주파 절제한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는, 판형상 또는 봉형상의 형상이며, 컵형상의 형상은 아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도 25의 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선단 처치부(10B)의 선단측의 부분의 형상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폭이 넓어진 후,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폭이 넓다 또는 폭이 좁다는 것은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열림 방향(도 25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폭이 넓다 또는 폭이 좁다고 하는 의미이다.
환언하면,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도 25의 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선단 처치부(10B)의 선단측의 부분의 형상이,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폭이 넓어진 후,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선단 처치부(10)란,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축부재(61B))보다 선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80B)의 브래킷(82B)으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선단 처치부(10B)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200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를 선단부에 갖고, 기단측에는,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 조작부(조작부)(90B)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선단 처치부(10B)의 선단측 부분의 형상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폭이 넓어진 후,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시경(300B)의 선단으로부터 선단 처치부(10B)를 돌출시켜,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를 열어 처치를 행할 때에, 내시경(300B)의 선단(예를 들면 후드(310B)의 선단)에 대한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선단 처치부(10B)가 내시경(300B)의 겸자공(도시생략)의 둘레벽에 대하여 거의 점접촉하기 때문에,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를 겸자공 내에서 전진시키는 동작을 스무스하게 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끼리를 연 상태로 회전 조작하는 경우도 있어, 그 경우에,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와, 이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배후에 위치하는 생체 조직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200B)는 가위 겸자이고,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은, 박판형상의 전단 가위부이며, 이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를 축지지하고 있는 축부재(61B)의 축 방향은, 이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두께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은, 생체 조직을 전단하는 날부(50B)를 각각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은,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의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있는 기단편(20B)과,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선단 클로부(40B)와,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 클로부(40B)와 기단편(20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날부(50B)를 갖는다. 날부(50B)에는 상기의 라인상의 전극(5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200B)는, 장척의 조작 와이어(68B)와, 조작 와이어(68B)의 선단에 마련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와, 조작 와이어(68B)가 수용된 가요성의 시스(70B)와, 시스(70B)의 기단측에 마련되어 조작 와이어(68B)의 기단이 접속된 손잡이 조작부(90B)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70B)는, 조작 와이어(68B)를 수용하는 장척이며 또한 관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스(70B)는, 스테인리스선 등의 도전성 와이어를 밀착권회하여 제작된, 금속제의 코일(71B)(도 25, 도 26)이다. 시스(70B)의 외표면에는 절연성 피막(72B)이 밀착하여 마련되어 있다. 단, 시스(70B)로서는, 금속제의 코일(71B) 대신에 절연성의 관형상 부재(튜브)를 이용해도 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손잡이 조작부(90B)는, 조작 와이어(68B)가 삽통된 축부(95B)와, 이 축부(95B)의 기단부에 마련된 손가락걸이 링(92B)과, 조작 와이어(68B)의 기단이 연결되어 축부(95B)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슬라이더(93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와이어(68B)는 축부(95B)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유저는, 손가락걸이 링(92B)에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을 삽입하고, 슬라이더(93B)를 다른 2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 축부(95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구동한다. 이로써, 조작 와이어(68B)는 손잡이 조작부(90B)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한다. 시스(70B)의 기단은 손잡이 조작부(90B)에 고정되고, 조작 와이어(68B)는 시스(70B)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93B)의 진퇴 이동에 연동하여 조작 와이어(68)의 선단은 시스(70)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한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의 진퇴부(67B)(도 25, 도 26)가 진퇴 구동되어,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개폐한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회전축의 축 방향은,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판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개폐할 때에는,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서로의 대향면(16B)(도 28 참조)의 일부분끼리가 슬라이딩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조작부(90B)는 급전부(91B)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부(91B)는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단자이며,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고주파 전원(도시생략)이 접속된다.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를 구성하는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 링크편(65B, 66B) 및 진퇴부(67B)는, 어느 것도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또, 조작 와이어(68B)도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전부(91B)에 입력된 고주파 전류는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에 인가된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는, 판형상의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와, 이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를 개폐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는 축부재(61B)와, 2매의 링크편(65B, 66B)과, 진퇴부(67B)와, 지지 프레임(80B)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는, 조작 와이어(68B)의 밀고 당김에 의하여 개폐 구동된다. 조작 와이어(68B)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진퇴부(67B)는 조작 와이어(68B)의 선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진퇴부(67B)에는 축부재(64B)에 의하여 2매의 링크편(65B, 66B)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편(65B)에는 축부재(63B)에 의하여 일방의 개폐부(10aB)의 기단편(20B)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편(66B)에는 축부재(62B)에 의하여 타방의 개폐부(10bB)의 기단편(20B)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축부재(62B, 63B, 64B)의 축 방향은, 축부재(61B)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이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 및 링크편(65B, 66B)은,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평면 내(축부재(61B)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기단편(20B)과, 링크편(65B, 66B)에 의하여 마름모꼴의 4절 링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재(62B, 63B)는, 축부재(64B)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고, 축부재(61B)는, 축부재(62B, 63B)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80B)은 시스(70B)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0B)은, 시스(70B)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기단부(81B)와, 기단부(81B)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82B)을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82B)은, 예를 들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는, 한 쌍의 브래킷(82B)의 선단부에 대하여, 축부재(61B)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브래킷(82B)끼리의 간극에 있어서,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기단편(20B)과, 링크편(65, 66)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진퇴부(67)에 있어서 시스(70B)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는,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기단부를 회전축(축부재(61B))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음과 함께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82B)을 구비하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68B) 및 진퇴부(67B)가 기단측(도 25에 있어서의 우방향)으로 견인되면,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힌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68B) 및 진퇴부(67B)가 선단측(도 26에 있어서의 좌방향)으로 밀려나가면,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열린 상태가 된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은, 축부재(61B)의 근방에 있어서 회동면 내에서 얕게 굴곡하는 대략 L자형상(즉 낫형상)을 이루고 있다. 기단편(20B)은,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에 있어서, 축부재(61B)보다 기단측의 부분이다. 한편,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에 있어서, 축부재(61B)보다 선단측의 부분을, 선단편(30B)이라고 칭한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형상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는 서로 동일 형상이다.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의 선단편(30B)의 선단에는, 선단 클로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 클로부(40B)는, 닫힘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닫힘 방향이란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히는 방향, 즉 일방의 개폐부(10aB)로부터 타방의 개폐부(10bB)를 향하는 방향, 및 타방의 개폐부(10b)로부터 일방의 개폐부(10a)를 향하는 방향이다. 또,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열리는 방향을 열림 방향이라 칭한다.
선단 클로부(40B)는, 생체 조직에 파고드는 돌기이다.
선단편(30B)에 있어서 선단 클로부(40B)보다 기단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닫힘 방향측의 끝가장자리(에지)를 따라, 날부(50B)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선단 클로부(40B)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감싸도록 유지하여 생체 조직의 탈락을 방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날부(50B)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절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의 표면에는 절연성 피막(12B)(도 25, 도 26)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피막(12B)은, 적어도 선단편(30B)의 표면 중, 전극(52B)의 형성 영역을 제외한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피막(12B)은,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를 개폐부(10aB, 10bB)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절연성 피막(12B)의 막두께는, 선단 처치부(10B)에 있어서 가장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막두께가, 국부적으로, 다른 부분에 있어서의 막두께보다 두껍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선단 처치부(10B)가 내시경(300B)의 겸자공(도시생략)의 둘레벽에 대하여 거의 점접촉하여 진퇴할 때에도, 선단 처치부(10B)에 있어서 가장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절연성 피막(12B)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어, 당해 부분에 있어서의 금속 소지(素地)의 노출을 억제할 수 있다.
전극(52B)은, 날부(50B)에 있어서 절연성 피막(12B)으로부터 노출된 선상의 부분이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는, 급전부(91B)로부터 동위상의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어 모노폴라형의 고주파 전극이 된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로 생체 조직을 파지한 상태로 고주파 전류를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에 인가함으로써, 생체 조직은 소작되어 절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대신에,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일방을 액티브 전극으로 하고, 타방을 리턴 전극으로 하는 바이폴라형 고주파 처치구(200B)로 해도 된다.
날부(50B)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부(50B)에는, 고단부(54B)와, 고단부(54B)보다 열림 방향측을 향하여 오목한 절결 형상의 저단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52B)은, 예를 들면 선단 클로부(40B)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가장자리, 저단부(55B), 및 고단부(54B)의 기단부에 위치하는 전극 기단 위치(52aB)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선단 처치부(10B)의 선단측의 부분", 즉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폭이 넓어진 후,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부분"은, 전극(52B)의 형성 영역의 기단(전극 기단 위치(52aB))보다 선단측의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선단 처치부(10B)의 선단측의 부분"은, 선단 처치부(10B)의 선기단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 C1(도 25)보다 선단측의 부분이다. 즉,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힌 상태로 선단 처치부(10B)를 선기단 방향으로 2분할한 것 중 선단측의 부분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폭이 넓어진 후,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단 처치부(10B)의 선단측의 부분"은,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도 25의 상방 및 하방의 쌍방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넓어진 후, 서서히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단 처치부(10B)의 전체가,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도 25의 상방 및 하방의 쌍방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넓어진 후, 서서히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즉, 선단 처치부(10B)에 있어서, 도 25의 상하 방향으로 가장 폭이 넓은 부분보다 기단측의 부분은, 서서히 단조롭게 폭이 좁아지고 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 중 적어도 일방에는, 스토퍼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닫힘 동작은, 스토퍼부(11B)가 타방의 개폐부(개폐부(10aB) 또는 개폐부(10bB))의 날부(50B)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에 스토퍼부(11B)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부(10aB)의 스토퍼부(11B)가 개폐부(10bB)의 날부(50B)에 맞닿음과 함께, 개폐부(10bB)의 스토퍼부(11B)가 개폐부(10aB)의 날부(50B)에 맞닿음으로써,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닫힘 동작이 규제된다.
스토퍼부(11B)에 있어서, 타방의 개폐부(개폐부(10aB 또는 10bB))측을 향하는 부위는, 평탄면(11aB)으로 되어 있다.
도 25 내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편(20B)의 외측면에는 단차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기단편(20B)에 있어서 단차부(23B)보다 기단측의 부위는, 단차부(23B)보다 선단측의 부위보다 얇게 되어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편(20B)에 있어서 단차부(23B)보다 기단측의 부위와 선단측의 부위와의 두께의 차는, 링크편(65B, 66B)의 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로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링크편(65B, 66B)의 두께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힌 상태에서, 선기단 방향과 축 방향과의 쌍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즉 도 25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선단 처치부(10B)의 기단부(19B)의 치수가, 브래킷(82B)의 치수보다 작다. 즉, 도 25에 나타내는 치수 W1가 치수 W2보다 작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내시경(300B)의 선단으로부터 선단 처치부(10B)를 돌출시키고,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를 열어 처치를 행할 때에, 내시경(300B)의 선단에 대한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간섭을 보다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끼리를 연 상태로 회전 조작하는 경우에,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와, 이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배후에 위치하는 생체 조직과의 간섭을 보다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80B)의 한 쌍의 브래킷(82BB)은,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기단편(20B)을 한 쌍의 개폐부(10aB, 10b)의 회전축(축부재(61B))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음과 함께, 당해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브래킷(82B)은, 당해 브래킷(82B)의 선단부에 있어서 기단편(20B)을 협지 및 축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브래킷(82B)의 각각의 선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브래킷(82B)의 각각의 대향면(82aB)에 대한 이면인 외면(82bB)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브래킷(82B)의 각각의 선단부의 외면(82bB)끼리의 거리가, 브래킷(82B)의 기단부의 외면끼리의 거리보다 작다. 즉, 브래킷(82B)의 선단부는, 외면측이 깎여져 평탄해진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래킷(82B)과 생체 조직이나 겸자공의 둘레벽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브래킷(82B)에 대한 도장이 용이하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여기에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열림 방향측의 가장자리부(13B)와 외면(14B)과의 경계부(15B)가 모따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선단 처치부(10B)가 내시경(300B)의 겸자공(도시생략)의 둘레벽에 대하여 보다 스무스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를 겸자공 내에서 전진시키는 동작을 스무스하게 할 수 있다.
경계부(15B)는 R모따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열림 방향측의 가장자리부(13B)와 대향면(16B)과의 경계부(17B)도 모따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선단 처치부(10B)가 내시경(300B)의 겸자공(도시생략)의 둘레벽에 대하여 보다 스무스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를 겸자공 내에서 전진시키는 동작을 스무스하게 할 수 있다.
경계부(17B)도 R모따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제7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상 직선 L1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선단 클로부(40B)의 높이보다, 날부(50B)에 있어서의 전극(52B)의 형성 영역(전극 형성 영역(53B)) 중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 쪽이 낮은 것에 의하여,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를 닫을 때에 날부(50B)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되밀어내는 동작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를 닫을 때에 선단 클로부(40B)를 신속하게 생체 조직에 파고들게 할 수 있어,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보다 확실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8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0 내지 도 32를 이용하여 제8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B) 및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7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B) 및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는, 상기의 제7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B) 및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100B)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제7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각각이 박판형상의 전단 가위부인 예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는 각각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서로를 향하는 대향면(56B, 57B)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힌 상태에서, 대향면(56B)과 대향면(57B)은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의 개폐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치게 되어 있다.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는, 대향면(56B, 57B)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개폐부(10aB)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선기단 방향으로 연재하는 전극(52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개폐부(10bB)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선기단 방향으로 연재하는 전극(52B)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개폐부(10aB)와 개폐부(10bB) 중, 개폐부(10aB)의 선단부에는 선단 클로부(40B)가 형성되어 있고, 개폐부(10bB)의 선단부에는 선단 클로부(40B)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개폐부(10bB)는, 선단 클로부(40B)를 갖지 않는 분만큼, 개폐부(10aB)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힌 상태에서, 개폐부(10aB)의 선단 클로부(40B)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면이, 개폐부(10bB)의 선단면에 대하여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한 쌍의 개폐부(10aB, 10bB)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도 30의 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선단 처치부(10B)의 선단측의 부분의 형상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폭이 넓어진 후,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선단 처치부(10B)의 선단측의 부분은, 전극(52B)의 형성 영역의 기단보다 선단측의 부분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선단 처치부(10B)의 선단측의 부분은, 선단 처치부(10B)의 선기단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보다 선단측의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7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제7 및 제8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제4 또는 제5 양태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제7 또는 제8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제4 및 제5 양태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내시경의 겸자공에 삽입하여 이용되어 생체 조직을 절개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로서,
각각 라인상의 형상의 전극이 형성되고, 공통의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서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 또는 협지하여 고주파 절제하는 한 쌍의 개폐부에 의하여 구성된 선단 처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상기 선단 처치부의 선단측의 부분의 형상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폭이 넓어진 후,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2) 상기 선단 처치부의 상기 선단측의 부분은, 상기 전극의 형성 영역의 기단보다 선단측의 부분인 (1)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3) 상기 선단 처치부의 상기 선단측의 부분은, 상기 선단 처치부의 선기단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보다 선단측의 부분인 (1) 또는 (2)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4) 상기 한 쌍의 개폐부의 기단부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에서, 선기단 방향과 상기 축 방향의 쌍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선단 처치부의 기단부의 치수가, 상기 브래킷의 치수보다 작은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5) 상기 한 쌍의 개폐부의 열림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와 외면의 경계부가 모따기 형상으로 되어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6) 상기 한 쌍의 개폐부의 기단부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은, 당해 브래킷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를 협지 및 축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대향면에 대한 이면인 외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선단부의 외면끼리의 거리가, 상기 브래킷의 기단부의 외면끼리의 거리보다 작은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를 선단부에 갖고, 기단측에는, 상기 한 쌍의 개폐부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
〔제9 실시형태〕
먼저, 도 33 내지 도 40을 이용하여 제9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내는 측면도에서는, 시스(70C)에 있어서 도시한 범위 중, 기단측의 부분에 대해서는, 중심선을 따른 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7의 (a), 도 38의 (a), 도 38의 (b), 도 39의 (a) 및 도 39의 (b)의 각각에 있어서는, 가위부(10C)에 있어서의 전극의 형성 영역(전극 영역(19))에 도트형상의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도 37의 (a), 도 38의 (a), 도 38의 (b), 도 39의 (a) 및 도 39의 (b)의 각각에 있어서, 도트형상의 해칭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절연성 피막(12C)(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이다. 단, 제1 축지지 구멍(21C)의 내부 및 제2 축지지 구멍(22C)의 내부에 대해서는, 절연성 피막(12C)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C)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200C)이다. 고주파 처치구(200C)는, 한 쌍의 가위부(10C)를 갖고 있으며 생체 조직의 절개에 이용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C)를, 당해 고주파 처치구(200C)의 선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고주파 처치구(200C)는, 당해 고주파 처치구(200C)의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C)를 내시경(도시생략)의 겸자공에 삽입하여 이용된다.
또한, 한 쌍의 가위부(10C) 중 일방의 가위부(10C)를 가위부(10aC)라고 칭하고, 타방의 가위부(10C)를 가위부(10bC)라고 칭한다.
한 쌍의 가위부(10C)의 각각은, 장척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9의 (a), 도 39의 (b) 참조).
도 34 내지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위부(10C)의 기단부끼리가, 이들 가위부(10C)의 판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회동축(축부재(61C))에 있어서 서로 축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C)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생체 조직을 전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C)의 각각은, 날면(13C)과,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면(14C)과, 슬라이딩 접촉면(14C)에 대한 이면인 외측면(15C)과, 외측면(15C)과 날면(13C)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사면(16C)과, 날면(13C)에 대한 반대측의 면인 배면(17C)을 갖고 있다.
경사면(16C)은, 슬라이딩 접촉면(14C)측으로부터 외측면(15C)측을 향하여, 타방의 가위부(10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위부(10aC)의 경사면(16C)은, 당해 가위부(10aC)의 슬라이딩 접촉면(14C)측(도 40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외측면(15C)측(도 40에 있어서의 우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져 있고, 가위부(10bC)의 경사면(16C)은, 당해 가위부(10bC)의 슬라이딩 접촉면(14C)측(도 40에 있어서의 우측)으로부터 외측면(15C)(도 40에 있어서의 좌측)을 향하여 오르막 경사져 있다.
또한, 환언하면, 경사면(16C)은, 날면(13C)측으로부터 외측면(15C)측을 향하여, 타방의 가위부(10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위부(10aC)의 경사면(16C)은, 당해 가위부(10aC)의 날면(13C)측으로부터 외측면(15C)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져 있고, 가위부(10bC)의 경사면(16C)은, 당해 가위부(10bC)의 날면(13C)측으로부터 외측면(15C)을 향하여 오르막 경사져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C)의 각각의 표면은, 비도전성층(절연성 피막(12C))의 형성 영역과, 비도전성층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전극 영역(19C)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위부(10C)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전극 영역(19C)이, 날면(13C)과 경사면(16C)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가위부(10C)의 각각에 대하여, 전극 영역(19C)이, 날면(13C)과 경사면(16C)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C)에 의하면, 한 쌍의 가위부(10C)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전극 영역(19C)이, 날면(13C)뿐만 아니라 경사면(16C)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생체 조직을 절개할 때에, 날면(13C)과 함께 생체 조직에 접하는 경사면(16C)의 전극 영역(19C)으로부터 생체 조직에 전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생체 조직의 지혈성이 높아진다.
도 39의 (a) 및 도 3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위부(10C)의 각각은, 당해 가위부(10C)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부분인 기단편(20C)과, 당해 가위부(10C)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부분인 선단편(30C)을 갖는다.
기단편(20C)의 선단부에는, 당해 기단편(20C)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제1 축지지 구멍(21C)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C)의 제1 축지지 구멍(21C)에 공통의 축부재(61C)(도 34 내지 도 36)가 삽통되어, 한 쌍의 가위부(10C)가 축지지되어 있다.
선단편(30C)은, 가위부(10C)에 있어서 제1 축지지 구멍(21C)보다 선단측의 부분이다.
기단편(20C)의 기단부에는, 당해 기단편(20C)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제2 축지지 구멍(22C)이 형성되어 있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200C)는, 장척의 조작 와이어(68C)와, 조작 와이어(68C)의 선단에 마련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C)와, 조작 와이어(68C)가 수용된 가요성의 시스(70C)와, 시스(70C)의 기단측에 마련되어 조작 와이어(68C)의 기단이 접속된 손잡이 조작부(90C)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70C)는, 조작 와이어(68C)를 수용하는 장척이며 또한 관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스(70C)는, 스테인리스선 등의 도전성 와이어를 밀착권회하여 제작된, 금속제의 코일(71C)(도 34, 도 3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스(70C)의 외표면에는 절연성 피막(72C)(도 34, 도 35)이 밀착하여 마련되어 있다. 단, 시스(70C)로서는, 금속제의 코일(71C) 대신에 절연성의 관형상 부재(튜브)를 이용해도 된다.
손잡이 조작부(90C)는, 한 쌍의 가위부(10C)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고주파 처치구(200C)에 있어서의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부(90C)는, 예를 들면 조작 와이어(68C)가 삽통된 축부(95C)와, 이 축부(95C)의 기단부에 마련된 손가락걸이 링(92C)과, 조작 와이어(68C)의 기단이 연결되어 축부(95C)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슬라이더(93C)와, 회전 조작부(94C)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와이어(68C)는 축부(95C)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유저는, 손가락걸이 링(92C)에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을 삽입하고, 슬라이더(93C)를 다른 2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 축부(95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구동한다. 이로써, 조작 와이어(68C)는 손잡이 조작부(90C)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한다. 시스(70C)의 기단은 손잡이 조작부(90C)에 고정되고, 조작 와이어(68C)는 시스(70C)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93C)의 진퇴 이동에 연동하여 조작 와이어(68C)의 선단은 시스(70C)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한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C)의 진퇴부(67C)(도 34, 도 35)가 진퇴 구동되어, 한 쌍의 가위부(10C)가 개폐한다.
한 쌍의 가위부(10C)의 회전축의 축 방향은, 가위부(10C)의 판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가위부(10C)의 두께 방향)이며, 한 쌍의 가위부(10C)가 개폐할 때에는, 한 쌍의 가위부(10C)의 슬라이딩 접촉면(14C)끼리가 슬라이딩한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조작부(90C)는 급전부(91C)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부(91C)는 한 쌍의 가위부(10C)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단자이다. 급전부(91C)에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고주파 전원(도시생략)이 접속된다.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C)를 구성하는 한 쌍의 가위부(10C), 링크편(65C, 66C)(후술) 및 진퇴부(67C)(후술)는, 어느 것도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또, 조작 와이어(68C)도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전부(91C)에 입력된 고주파 전류는 한 쌍의 가위부(10C)에 인가된다.
회전 조작부(94C)에는 조작 와이어(68C)가 접속되어 있고, 회전 조작부(94C)를 축부(95C)의 둘레로 축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더(93C)에 기단이 고정된 조작 와이어(68C)는 시스(70C)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이로써,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C)를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회전 조작부(94C)는 급전부(91C)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급전부(91C)와 고주파 전원(도시생략)을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도시생략)을 하방으로 늘어뜨린 상태로 회전 조작부(94C)를 축부(95C)의 둘레로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대신에, 슬라이더(93C)를 축부(95C)의 둘레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슬라이더(93C)가 회전 조작부(94C)의 기능을 겸하도록 해도 된다. 즉, 슬라이더(93C)를 축부(95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구동함으로써 조작 와이어(68C)를 진퇴시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C)를 개폐 조작하고, 또 슬라이더(93C)를 축부(95C)의 둘레로 축회전시킴으로써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C)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회전 조작부(94C)를 축부(95C)에 마련하여, 급전부(91C)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슬라이더(93C)를 축부(95C)의 둘레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도 34 내지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100C)는, 판형상의 한 쌍의 가위부(10C)와, 이들 가위부(10C)를 개폐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는 축부재(61C)와, 2매의 링크편(65C, 66C)과, 진퇴부(67C)와, 지지 프레임(80C)을 구비하고 있다.
축부재(61C)의 축 방향은, 도 34 및 도 35의 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도 36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이다. 또, 축부재(61C)의 축 방향은, 한 쌍의 가위부(10C)끼리의 중첩 방향이며,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가위부(10C)의 두께 방향이다.
한 쌍의 가위부(10C)는, 조작 와이어(68C)의 밀고 당김에 의하여 개폐 구동된다. 조작 와이어(68C)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진퇴부(67C)는, 조작 와이어(68C)의 선단에, 당해 조작 와이어(68C)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진퇴부(67C)에는 축부재(64C)에 의하여 2매의 링크편(65C, 66C)의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편(65C)의 선단부에는 축부재(63C)에 의하여 일방의 가위부(10C)(가위부(10aC))의 기단편(20C)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일방의 가위부(10aC)의 제2 축지지 구멍(22C)과 링크편(65C)의 선단부에 축부재(63C)가 삽통됨으로써, 가위부(10aC)와 링크편(65C)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링크편(66C)의 선단부에는 축부재(62C)에 의하여 타방의 가위부(10C)(가위부(10bC))의 기단편(20C)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타방의 가위부(10bC)의 제2 축지지 구멍(22C)과 링크편(66C)의 선단부에 축부재(62C)가 삽통됨으로써, 가위부(10bC)와 링크편(66C)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각 축부재(62C, 63C, 64C)의 축 방향은, 축부재(61C)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이다.
한 쌍의 가위부(10C) 및 링크편(65C, 66C)은,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내는 평면 내(축부재(61C)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한 쌍의 가위부(10C)의 기단편(20C)과 링크편(65C, 66C)에 의하여 마름모꼴의 4절 링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재(62C, 63C)는, 축부재(64C)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고, 축부재(61C)는, 축부재(62C, 63C)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39의 (a) 및 도 3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편(20C)의 외측면에는 단차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기단편(20C)에 있어서 단차부(23C)보다 기단측의 부위는, 단차부(23C)보다 선단측의 부위보다 얇게 되어 있다.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편(20C)에 있어서 단차부(23C)보다 기단측의 부위와 선단측의 부위의 두께의 차는, 링크편(65C, 66C)의 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로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링크편(65C, 66C)의 두께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0C)은 시스(70C)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0C)은, 시스(70C)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기단부(81C)와, 기단부(81C)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82C)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브래킷(82C)의 각각은, 예를 들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C)는, 한 쌍의 브래킷(82C)의 선단부에 대하여, 축부재(61C)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즉, 축부재(61C)가, 한 쌍의 가위부(10C)의 각각의 기단편(20C)의 제1 축지지 구멍(21C)과 한 쌍의 브래킷(82C)에 삽통되는 것에 의하여, 한 쌍의 가위부(10C)의 기단편(20C)이 한 쌍의 브래킷(82C)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브래킷(82C)끼리의 간극에 있어서, 한 쌍의 가위부(10C)의 기단편(20C)과 링크편(65C, 66C)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진퇴부(67C)에 있어서 시스(70C)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82C)이 기단부(81C)에 대하여 시스(70C)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거나, 또는 브래킷(82C)이 시스(70C)에 대하여 시스(70C)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68C) 및 진퇴부(67C)가 기단측(도 34에 있어서의 우방향)으로 견인되면, 한 쌍의 가위부(10C)가 닫힌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68C) 및 진퇴부(67C)가 선단측(도 35에 있어서의 좌방향)으로 밀려나가면, 한 쌍의 가위부(10C)가 열린 상태가 된다.
한 쌍의 가위부(10C)의 각각의 표면에는 절연성 피막(12C)(비도전성층)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피막(12C)은, 적어도 선단편(30C)의 표면 중 전극 영역(19C)의 형성 영역을 제외한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피막(12C)은, 예를 들면 불소 수지, 폴리에터에터케톤(PEEK),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DLC: Diamond-Like Carbon), 또는 세라믹 재료(산화 타이타늄계나 실리콘계 등의 세라믹 재료) 등의 절연성 재료를 가위부(10C)의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전극 영역(19C)은, 선단편(30C)에 있어서 절연성 피막(12C)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선상의 부분이다. 한 쌍의 가위부(10C)는, 급전부(91C)로부터 동위상의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어 모노폴라형의 고주파 전극이 된다. 한 쌍의 가위부(10C)로 생체 조직을 파지한 상태로 고주파 전류를 한 쌍의 가위부(10C)에 인가함으로써, 생체 조직은 소작되어 절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대신에, 한 쌍의 가위부(10C)의 일방을 액티브 전극으로 하고, 타방을 리턴 전극으로 하는 바이폴라형 고주파 처치구(200C)로 해도 된다.
한 쌍의 가위부(10C)의 형상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가위부(10C)는 서로 동일 형상이다.
이하, 도 37의 (a) 내지 도 40을 이용하여, 가위부(10C)의 형상의 상세를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가위부(10C)는, 날면(13C)과, 슬라이딩 접촉면(14C)과, 슬라이딩 접촉면(14C)에 대한 이면인 외측면(15C)과, 외측면(15C)과 날면(13C)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사면(16C)을 갖고 있다(도 40 참조).
슬라이딩 접촉면(14C)과 외측면(15C)은, 예를 들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면(13C)은, 예를 들면 슬라이딩 접촉면(14C) 및 외측면(15C)의 쌍방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즉, 날면(13C)은, 가위부(10C)의 회전축인 축부재(61C)의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16C)은, 날면(13C)과 외측면(15C)의 쌍방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경사면(16C)은, 외측면(15C)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면(161C)과, 날면(13C)측에 위치하는 제2 경사면(162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날면(13C)과 제1 경사면(161C)이 이루는 각도보다, 날면(13C)과 제1 경사면(161C)이 이루는 각도가 크다. 또, 외측면(15C)과 제2 경사면(162C)이 이루는 각도보다, 외측면(15C)과 제1 경사면(161C)이 이루는 각도 쪽이 크다.
가위부(10C)의 선단편(30C)의 선단부(도 37의 (a)에 있어서의 선단편(30C)의 좌단부)에는, 선단 클로부(40C)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 클로부(40C)는, 닫힘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닫힘 방향이란 일방의 가위부(10C)로부터 타방의 가위부(10bC)를 향하는 방향이며, 그 반대 방향을 열림 방향이라고 호칭한다. 선단 클로부(40C)는, 도 37의 (a)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선단 클로부(40C)는, 생체 조직에 파고드는 돌기이다.
선단편(30C)에 있어서 선단 클로부(40C)보다 기단측(도 37의 (a)에 있어서의 우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닫힘 방향측의 끝가장자리(에지), 즉 도 37의 (a)에 있어서의 선단편(30C)의 위가장자리를 따라, 날면(13C)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C)의 선단 클로부(40C)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협지하여 생체 조직의 탈락을 억제한 상태에서, 한 쌍의 가위부(10C)의 날면(13C)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전단하여 절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가위부(10C)는, 도 3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가위부(10C)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가위부(10C)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중간 돌기부(51C)와, 당해 가위부(10C)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간 돌기부(51C)의 기단측 및 선단측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타방의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오목부(55C, 56C)를 구비하고 있다. 기단측의 오목부(55C)의 기단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오목부(55C)보다 고단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기단측 고단부(58C)라고 칭한다.
선단편(30C)의 닫힘 방향측의 끝가장자리에는, 선단편(30C)의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선단 클로부(40C), 오목부(56C), 중간 돌기부(51), 오목부(55C) 및 기단측 고단부(58C)가 배치되어 있다.
날면(13C)은, 중간 돌기부(51C)의 정면(52C)과, 오목부(55C, 56C)의 표면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날면(13C)은, 오목부(56C), 중간 돌기부(51C) 및 오목부(55C)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날면(13C)의 전역(오목부(55C)의 표면, 중간 돌기부(51C)의 정면(52C) 및 오목부(56C)의 표면의 전역)에 걸쳐,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 클로부(40C), 오목부(56C), 중간 돌기부(51C), 오목부(55C) 및 기단측 고단부(58C)의 각각은, 가위부(10C)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선단 클로부(40C), 오목부(56C), 중간 돌기부(51C) 및 오목부(55C)에 걸친 범위에서는, 가위부(10C)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가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다(도 38의 (a), 도 38의 (b) 참조).
오목부(56C) 및 오목부(55C)의 각각은, 선단편(30C)의 선기단 방향(도 38의 (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면(13C)은, 오목부(55C)의 바닥면, 오목부(56C)의 바닥면 및 중간 돌기부(51C)의 정면(52C)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각각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5C)의 바닥면, 오목부(56C)의 바닥면 및 중간 돌기부(51C)의 정면(52C)은, 예를 들면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56C)의 바닥면 및 오목부(55C)의 바닥면은, 선단편(30C)의 선기단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56C)와 외측면(15C)의 사이의 경사면(16C)에도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다(도 38의 (a) 내지 도 39의 (b) 참조). 즉, 중간 돌기부(51C)보다 가위부(10C)의 선단측의 오목부(56C)와 외측면(15C)의 사이의 경사면(16C)에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오목부(56C)와 외측면(15C)의 사이의 경사면(16C) 중, 오목부(56C)측(날면(13C)측)의 제2 경사면(162C)의 일부분(오목부(56C)측의 부분)에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전극 영역(19C)이, 날면(13C)과 경사면(16C)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6C)와 외측면(15C)의 사이의 제2 경사면(162C)의 전극 영역(19C)은, 오목부(56C)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오목부(55C)와 외측면(15C)의 사이의 경사면(16C)에는,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중간 돌기부(51C)의 정면(52C)보다 가위부(10C)의 선단측의 경사면(16C)과, 중간 돌기부(51C)의 정면(52C)보다 가위부(10C)의 기단측의 경사면(16C) 중, 중간 돌기부(51C)의 정면(52C)보다 가위부(10C)의 선단측의 경사면(16C)에 선택적으로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다.
가위부(10C)의 선단측의 부분일수록, 생체 조직의 절제 시에 점막 하에 파고들어가 절제에 이용되기 때문에, 전극 영역(19C)으로부터 생체 조직으로 흐르는 전류를 크게 하여 지혈성을 높이는 효과가 보다 요구된다는 사정에 대하여, 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 제2 경사면(162C)은, 예를 들면 오목부(56C)와 외측면(15C) 사이, 및 오목부(55C)와 외측면(15C)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52C)과 외측면(15C) 사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예를 들면 정면(52C)과 외측면(15C) 사이에는 제1 경사면(161C)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1 경사면(161C)은, 오목부(56C)와 외측면(15C) 사이, 정면(52C)과 외측면(15C) 사이, 및, 오목부(55C)와 외측면(15C) 사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또, 중간 돌기부(51C)에 있어서의 외측면(15C)측의 측면에 있어서의 경사면(16C)에는, 절연성 피막(12C)이 형성되어 있고, 전극 영역(19C)은 비형성으로 되어 있다.
즉, 경사면(16C)은 중간 돌기부(51C)에도 형성되어 있고, 중간 돌기부(51C)의 경사면(16C)에는, 비도전성층(절연성 피막(1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 영역(19C)은 비형성으로 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선단 클로부(40C)에 있어서 선단측을 향하는 면인 선단면(42C), 선단 클로부(40C)의 정면(43C) 및 선단 클로부(40C)의 측면에도, 각각 절연성 피막(12C)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 클로부(40C)의 선단면(42C), 정면(43C) 및 측면에는, 전극 영역(19C)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선단 클로부(40C)에 있어서 기단측을 향하는 면인 기단면(41C)에는, 절연성 피막(12C)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고,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다. 기단면(41C)의 전극 영역(19C)은, 오목부(56C)의 전극 영역(19C)과 연속하고 있다(도 39의 (b) 참조).
한 쌍의 가위부(10C) 중 적어도 일방의 가위부(10C)에는, 스토퍼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위부(10C)의 닫힘 동작은, 스토퍼부(11C)가 타방의 가위부(10C)의 날면(13C)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가위부(10C)의 각각에 스토퍼부(11C)가 형성되어 있고, 가위부(10aC)의 스토퍼부(11C)가 가위부(10bC)의 날면(13C)에 맞닿음과 함께, 가위부(10bC)의 스토퍼부(11C)가 가위부(10aC)의 날면(13C)에 맞닿음으로써, 한 쌍의 가위부(10C)의 닫힘 동작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부(11C)는, 가위부(10C)에 있어서, 도 37의 (b)에 나타내는 슬라이딩 접촉면(14C)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11C)에 있어서, 타방의 가위부(10C)측을 향하는 부위는, 평탄면(11aC)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부(11C)는, 예를 들면, 오목부(55C)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평탄면(11aC)은, 예를 들면 오목부(55C)의 바닥면과 면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위부(10C)가 닫혔을 때에는, 평탄면(11aC)이 타방의 가위부(10C)의 오목부(55C)의 바닥면에 대하여 면접촉함으로써, 한 쌍의 가위부(10C)의 닫힘 동작이 규제된다.
예를 들면, 평탄면(11aC)에도 절연성 피막(12C)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고, 평탄면(11aC)도 전극 영역(19C)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부(11C)의 평탄면(11aC)은, 날면(13C)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선단 클로부(40C)의 기단면(41C), 오목부(56C)의 표면, 중간 돌기부(51C)의 정면(52C), 오목부(55C)의 표면, 오목부(56C)와 외측면(15C) 사이의 제2 경사면(162C)의 일부분 및 스토퍼부(11C)의 평탄면(11aC)을 제외하고, 선단편(30C)의 전체의 표면에 절연성 피막(12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 돌기부(51C)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경사면은, 오목부(56C)의 표면의 일부분인 것으로 하고, 중간 돌기부(51C)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경사면은, 오목부(55C)의 표면의 일부분인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제9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가위부(10C)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전극 영역(19C)이, 날면(13C)뿐만 아니라 경사면(16C)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생체 조직을 절개할 때에, 날면(13C)과 함께 생체 조직에 닿는 경사면(16C)의 전극 영역(19C)으로부터 생체 조직으로 전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생체 조직의 지혈성이 높아진다.
또한, 생체 조직에 닿기 쉬운 외측면(15C)은 절연성 피막(12C)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외측면(15C)에 대해서는 충분히 절연되어 있어, 외측면(15C)에 의하여 생체 조직을 실수로 소작해 버리는 것은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10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1을 이용하여 제10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C)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는, 상기의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C)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1에 있어서는, 가위부(10C)에 있어서의 전극의 형성 영역(전극 영역(19C))에 도트형상의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도 41에 있어서, 가위부(10C)에 있어서 도트형상의 해칭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절연성 피막(12C)(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이다. 단, 제1 축지지 구멍(21C)의 내부에 대해서는, 절연성 피막(12C)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중간 돌기부(51C)의 정면(52C)보다 가위부(10C)의 선단측의 경사면(16C)과, 중간 돌기부(51C)의 정면(52C)보다 가위부(10C)의 기단측의 경사면(16C)의 쌍방에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부(56C)와 외측면(15C) 사이의 제2 경사면(162C)에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오목부(55C)와 외측면(15C) 사이의 제2 경사면(162C)에도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다.
〔제11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2의 (a) 및 도 42의 (b)를 이용하여 제1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C)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는, 상기의 제9 실시형태에 관한 고주파 처치구(200C)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2의 (a) 및 도 42의 (b)의 각각에 있어서는, 가위부(10C)에 있어서의 전극의 형성 영역(전극 영역(19C))에 도트형상의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도 42의 (a) 및 도 42의 (b)의 각각에 있어서, 가위부(10C)에 있어서 도트형상의 해칭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절연성 피막(12C)(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이다. 단, 제1 축지지 구멍(21C)의 내부에 대해서는, 절연성 피막(12C)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4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경사면(16C)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C)의 폭 치수가, 가위부(10C)의 선단측만큼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전극 영역(19C)의 폭 치수란, 가위부(10C)의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C)의 폭 치수(가위부(10C)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 영역(19C)의 폭 치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2의 (a) 및 도 4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56C)와 외측면(15C) 사이의 제2 경사면(162C)에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정면(52C)과 외측면(15C) 사이의 경사면(16C)(제1 경사면(161C)), 및 오목부(55C)와 외측면(15C) 사이의 제2 경사면(162C)에도 전극 영역(19C)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제9~제11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9~제11 실시형태에서는, 전극 영역(19C)이, 날면(13C)과 경사면(16C)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날면(13C)의 전극 영역(19C)과 경사면(16C)의 전극 영역(19C)이 서로 불연속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9~제11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제9~제11 실시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 한 쌍의 가위부를 갖고 있으며 생체 조직의 절개에 이용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로서,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장척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기단부끼리가, 이들 가위부의 판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회동축에 있어서 서로 축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날면과,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면과, 상기 슬라이딩 접촉면에 대한 이면인 외측면과,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날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슬라이딩 접촉면측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측을 향하여, 타방의 상기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의 표면은, 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과, 상기 비도전성층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전극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상기 전극 영역이, 상기 날면과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2) 상기 전극 영역이, 상기 날면과 상기 경사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1)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3)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상기 가위부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중간 돌기부와,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중간 돌기부의 기단측 및 선단측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타방의 상기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날면은, 상기 중간 돌기부의 정면과 상기 오목부의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돌기부보다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의 상기 오목부와 상기 외측면 사이의 상기 경사면에, 상기 전극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4)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정면보다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정면보다 상기 가위부의 기단측의 상기 경사면 중,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정면보다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의 상기 경사면에 선택적으로 상기 전극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3)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5)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정면보다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정면보다 상기 가위부의 기단측의 상기 경사면의 쌍방에 상기 전극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3)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6) 상기 경사면은, 상기 중간 돌기부에도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비도전성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영역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7) 상기 경사면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 영역의 폭 치수가,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일수록 폭이 넓게 되어 있는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
이 출원은, 2018년 4월 12일에 출원된 일본출원 특원2018-076777호, 2017년 9월 11일에 출원된 일본출원 특원2017-174238호, 2017년 9월 11일에 출원된 일본출원 특원2017-174239호 및 2018년 4월 12일에 출원된 일본출원 특원2018-076776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든 것을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42)

  1. 한 쌍의 가위부를 갖고 있으며 생체 조직의 절개에 이용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로서,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장척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기단부끼리가, 이들 가위부의 판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회동축에 있어서 서로 축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날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의 표면은, 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과, 상기 날면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성층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전극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당해 가위부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 영역의 폭 치수가,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고주파 처치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상기 가위부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돌기부와,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타방의 상기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날면은, 상기 돌기부의 정면과 상기 오목부의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의 상기 정면과 상기 오목부의 상기 표면에 각각 상기 전극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상기 날면 외에,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면과, 상기 슬라이딩 접촉면에 대한 이면인 외측면을 갖고,
    상기 오목부의 상기 표면은, 상기 슬라이딩 접촉면측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측을 향하여, 타방의 상기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고주파 처치구.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위부는, 상기 돌기부를 경계로 하여 배치된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갖고,
    선단측의 상기 오목부일수록, 상기 전극 영역의 폭 치수가 큰 고주파 처치구.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상기 정면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 영역의 폭은, 서로 동일한 고주파 처치구.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상기 정면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 영역의 폭이, 상기 돌기부 이외의 상기 전극 영역에 있어서 가장 폭이 좁은 부분의 폭 이하인 고주파 처치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영역은,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일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상기 가위부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부를 갖고,
    상기 전극 영역은, 상기 날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보다 선단측의 부위에서는, 당해 돌기부보다 기단측의 부위와 비교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돌기부를 갖고,
    상기 전극 영역은,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각을 경계로 하여 단계적으로 선단측일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전극 영역이 선단측을 향하여 폭이 넓게 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면이,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에 있어서 기단측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고,
    상기 전극 영역은, 상기 날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부위에서는, 상기 날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부위와 비교하여 폭이 넓게 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상기 가위부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부를 갖고,
    상기 날면은, 상기 돌기부보다 선단측의 부위에 있어서, 당해 돌기부보다 기단측의 부위와 비교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날면의 폭 치수는, 상기 돌기부보다 선단측의 부위와, 당해 돌기부보다 기단측의 부위에 있어서, 각각 대략 일정한 고주파 처치구.
  15.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날면의 폭 치수는, 상기 가위부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폭이 넓게 변화하고 있는 고주파 처치구.
  16.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내시경의 겸자공에 삽입하여 이용되어 생체 조직을 절개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로서,
    공통의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서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하는 날부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전단 가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각각은,
    당해 전단 가위부의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있는 기단편과,
    당해 전단 가위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선단 클로부와,
    당해 전단 가위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 클로부와 상기 기단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날부를 갖고,
    상기 날부에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의 축 중심과 상기 날부의 바닥을 잇는 가상 직선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상기 선단 클로부의 높이보다, 상기 날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의 형성 영역 중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 쪽이 낮은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당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선단 클로부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인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선단 클로부의 돌출 방향의 끝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선단부 및 기단부가, 각각 R모따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19.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 중 적어도 일방의 전단 가위부에는, 스토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닫힘 동작은, 상기 스토퍼부가 타방의 전단 가위부의 상기 날부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20.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에는, 고단부와, 상기 고단부보다 등측을 향하여 오목한 절결 형상의 저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단부로부터 상기 저단부에 걸쳐 상기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날부의 상기 바닥은, 상기 저단부의 최저부인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날부는, 복수의 상기 저단부와, 이들 저단부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고단부인 중간 고단부를 갖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날부는, 복수의 상기 중간 고단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중간 고단부 중, 기단측에 위치하는 중간 고단부일수록, 상기 가상 직선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가 낮은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23. 청구항 21 또는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가 닫히고,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상기 선단 클로부끼리가 겹치기 시작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서로 대응하는 상기 중간 고단부끼리가 접촉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24.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중간 고단부에 있어서의 기단측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인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25.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중간 고단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상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하인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26.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고단부의 돌출 방향의 끝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선단부 및 기단부가, 각각 R모따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27.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상기 기단편을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은, 당해 브래킷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기단편을 협지 및 축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대향면에 대한 이면인 외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선단부의 외면끼리의 거리가, 상기 브래킷의 기단부의 외면끼리의 거리보다 작은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28.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선단부에 갖고, 기단측에는, 상기 한 쌍의 전단 가위부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
  29.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내시경의 겸자공에 삽입하여 이용되어 생체 조직을 절개하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로서,
    각각 라인상의 형상의 전극이 형성되고, 공통의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서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 또는 협지하여 고주파 절제하는 한 쌍의 개폐부에 의하여 구성된 선단 처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상기 선단 처치부의 선단측의 부분의 형상이,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폭이 넓어진 후,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선단 처치부의 상기 선단측의 부분은, 상기 전극의 형성 영역의 기단보다 선단측의 부분인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31. 청구항 29 또는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선단 처치부의 상기 선단측의 부분은, 상기 선단 처치부의 선기단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보다 선단측의 부분인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32. 청구항 29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의 기단부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에서, 선기단 방향과 상기 축 방향의 쌍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선단 처치부의 기단부의 치수가, 상기 브래킷의 치수보다 작은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33. 청구항 29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의 열림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와 외면의 경계부가 모따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34. 청구항 29 내지 청구항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의 기단부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 축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은, 당해 브래킷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를 협지 및 축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대향면에 대한 이면인 외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브래킷의 각각의 선단부의 외면끼리의 거리가, 상기 브래킷의 기단부의 외면끼리의 거리보다 작은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35. 청구항 29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를 선단부에 갖고, 기단측에는, 상기 한 쌍의 개폐부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
  36. 한 쌍의 가위부를 갖고 있으며 생체 조직의 절개에 이용되는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의료용 고주파 처치구로서,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장척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기단부끼리가, 이들 가위부의 판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회동축에 있어서 서로 축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생체 조직을 전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은, 날면과,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면과, 상기 슬라이딩 접촉면에 대한 이면인 외측면과,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날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슬라이딩 접촉면측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측을 향하여, 타방의 상기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위부의 각각의 표면은, 비도전성층의 형성 영역과, 상기 비도전성층이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전극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위부 중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상기 전극 영역이, 상기 날면과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전극 영역이, 상기 날면과 상기 경사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38. 청구항 36 또는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가위부는,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타방의 상기 가위부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중간 돌기부와,
    당해 가위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중간 돌기부의 기단측 및 선단측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타방의 상기 가위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날면은, 상기 중간 돌기부의 정면과 상기 오목부의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돌기부보다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의 상기 오목부와 상기 외측면 사이의 상기 경사면에, 상기 전극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정면보다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정면보다 상기 가위부의 기단측의 상기 경사면 중,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정면보다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의 상기 경사면에 선택적으로 상기 전극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40.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정면보다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정면보다 상기 가위부의 기단측의 상기 경사면의 쌍방에 상기 전극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41. 청구항 38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중간 돌기부에도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돌기부의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비도전성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영역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42. 청구항 36 내지 청구항 4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 영역의 폭 치수가, 상기 가위부의 선단측일수록 폭이 넓게 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
KR1020207006526A 2017-09-11 2018-09-10 고주파 처치구,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및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KR102635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4238A JP6988287B2 (ja) 2017-09-11 2017-09-11 高周波処置具用ナイフ、及び、医療用の高周波処置具
JPJP-P-2017-174238 2017-09-11
JPJP-P-2017-174239 2017-09-11
JP2017174239A JP7000754B2 (ja) 2017-09-11 2017-09-11 高周波処置具用先端処置具、及び、医療用の高周波処置具
JP2018076777A JP7151143B2 (ja) 2018-04-12 2018-04-12 高周波処置具
JPJP-P-2018-076777 2018-04-12
JPJP-P-2018-076776 2018-04-12
JP2018076776A JP7151142B2 (ja) 2018-04-12 2018-04-12 高周波処置具
PCT/JP2018/033372 WO2019050025A1 (ja) 2017-09-11 2018-09-10 高周波処置具、高周波処置具用ナイフ及び高周波処置具用先端処置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877A true KR20200052877A (ko) 2020-05-15
KR102635005B1 KR102635005B1 (ko) 2024-02-07

Family

ID=6563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526A KR102635005B1 (ko) 2017-09-11 2018-09-10 고주파 처치구,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및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367960A1 (ko)
EP (1) EP3682833A4 (ko)
KR (1) KR102635005B1 (ko)
CN (1) CN111093546B (ko)
BR (1) BR112020004431A2 (ko)
CA (1) CA3075603A1 (ko)
TW (1) TW201929785A (ko)
WO (1) WO2019050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4017A1 (de) 2019-12-11 2021-06-17 Karl Storz Se & Co. Kg Medizinische Schere für mikroinvasive Anwendungen
CN113229932A (zh) * 2020-06-08 2021-08-10 重庆橙壹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加强筋的内窥镜剪刀
CN112828942B (zh) * 2020-09-28 2023-01-24 上海颐鑫新能源科技有限公司 Bibo装置配套用裁剪封口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759A (ko) * 2007-02-08 2008-08-13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JP2009095619A (ja) * 2007-10-12 2009-05-07 River Seiko:Kk 内視鏡用鋏型高周波処置具
WO2011043340A1 (ja) 2009-10-08 2011-04-14 有限会社リバー精工 内視鏡用鋏
JP2012075805A (ja) * 2010-10-06 2012-04-19 River Seiko:Kk 内視鏡用高周波鋏
WO2016068204A1 (ja) * 2014-10-29 2016-05-0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用鋏及び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1194A1 (en) * 1993-05-06 1994-11-07 Corbett Stone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s
US5766166A (en) * 1995-03-07 1998-06-16 Enable Medical Corporation Bipolar Electrosurgical scissors
US5827281A (en) * 1996-01-05 1998-10-27 Levin; John M. Insulated surgical scissors
US6024744A (en) * 1997-08-27 2000-02-15 Ethicon, Inc. Combined bipolar scissor and grasper
US6736813B2 (en) * 1998-01-23 2004-05-18 Olympus Optical Co., Ltd. High-frequency treatment tool
JP4436698B2 (ja) * 2004-02-25 2010-03-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JP4555996B2 (ja) * 2006-05-22 2010-10-06 有限会社リバー精工 内視鏡用高周波切開具
EP2430999B1 (en) * 2009-05-13 2017-11-01 Sumitomo Bakelite Co., Ltd. Hemostatic forceps with a high-frequency electrode comprising a sawtooth portion
AU2012311160B2 (en) * 2011-09-23 2015-11-19 Medi- Safe Surgicals (Pty) Ltd Scalpel Blade Accessory
JP2013138844A (ja) * 2011-12-08 2013-07-18 River Seikoo:Kk 内視鏡用高周波焼灼切開鋏装置
US20140066719A1 (en) * 2012-09-04 2014-03-06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retractor and method of use
JP6180785B2 (ja) * 2013-05-17 2017-08-16 株式会社リバーセイコー 内視鏡用高周波焼灼切開鋏
WO2014185515A1 (ja) * 2013-05-17 2014-11-20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
TWM481803U (zh) * 2014-03-14 2014-07-11 Jia-Yi Zhou 可調整支點位置的剪刀
JP6763128B2 (ja) * 2014-10-29 2020-09-3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用鋏
US20170056038A1 (en) * 2015-08-26 2017-03-02 Ethicon Endo-Surgery, Llc Dissecting surgical jaws
JP6298513B2 (ja) 2015-10-19 2018-03-20 イビデン株式会社 トイレブース用化粧板及びトイレブース
JP6660784B2 (ja) 2016-03-24 2020-03-11 Run.Edge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JP6680030B2 (ja) 2016-03-24 2020-04-15 富士通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6825310B2 (ja) 2016-11-07 2021-02-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吸気装置および弁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759A (ko) * 2007-02-08 2008-08-13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JP2009095619A (ja) * 2007-10-12 2009-05-07 River Seiko:Kk 内視鏡用鋏型高周波処置具
WO2011043340A1 (ja) 2009-10-08 2011-04-14 有限会社リバー精工 内視鏡用鋏
JP2012075805A (ja) * 2010-10-06 2012-04-19 River Seiko:Kk 内視鏡用高周波鋏
WO2016068204A1 (ja) * 2014-10-29 2016-05-0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用鋏及び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KR20170078616A (ko) * 2014-10-29 2017-07-07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가위 및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US20170303954A1 (en) * 2014-10-29 2017-10-26 Sumitomo Bakeite Co., Ltd Endoscopic scissors and endoscopic high frequency treatment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75603A1 (en) 2019-03-14
CN111093546B (zh) 2024-05-24
TW201929785A (zh) 2019-08-01
US20200367960A1 (en) 2020-11-26
WO2019050025A1 (ja) 2019-03-14
RU2020113240A (ru) 2021-10-13
EP3682833A4 (en) 2021-08-04
BR112020004431A2 (pt) 2020-09-08
CN111093546A (zh) 2020-05-01
RU2020113240A3 (ko) 2022-02-08
EP3682833A1 (en) 2020-07-22
KR102635005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1141B2 (ja) 流体移送用及び電子的外科手術用の医療装置
CN109394306B (zh) 具有组织止挡件的钳
CN107106198B (zh) 内窥镜用剪刀及内窥镜用高频处置器具
US5891140A (en) Electrosurgical device for harvesting a vessel especially the internal mammary artery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KR20200052877A (ko) 고주파 처치구, 고주파 처치구용 나이프 및 고주파 처치구용 선단 처치구
EP2489318A1 (en) Vessel sealer and divider with a cutting element retained by a ledge
JP2009006128A (ja) 高周波処置具
EP1261286A1 (en) Surgical instrument
JPH09538A (ja) 高周波処置具
JP2011212315A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H11267132A (ja) 高周波処置具
US6524309B1 (en) Bipolar forceps for conducting a pelviscopy
JP2005204998A (ja) 内視鏡用鋏鉗子
US9186168B2 (en) Med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cutting a tissue using the medical instrument
JP2016087449A (ja) 内視鏡用鋏
JP6841029B2 (ja) 医療用高周波処置具
JP2012075805A (ja) 内視鏡用高周波鋏
JP7151143B2 (ja) 高周波処置具
RU2792081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сокочастотной обработки, нож устройства высокочастотной обработки и инструмент удаленной обработки устройства высокочастотной обработки
JP7000754B2 (ja) 高周波処置具用先端処置具、及び、医療用の高周波処置具
KR102477940B1 (ko) 원통형 소작기구
JPH11299799A (ja) 鋏鉗子
JP7151142B2 (ja) 高周波処置具
JP6988287B2 (ja) 高周波処置具用ナイフ、及び、医療用の高周波処置具
JPH0984804A (ja) 切離機能付凝固鉗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