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702A -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702A
KR20200050702A KR1020180133656A KR20180133656A KR20200050702A KR 20200050702 A KR20200050702 A KR 20200050702A KR 1020180133656 A KR1020180133656 A KR 1020180133656A KR 20180133656 A KR20180133656 A KR 20180133656A KR 20200050702 A KR20200050702 A KR 20200050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terminal
slave
ble module
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144B1 (ko
Inventor
김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102018013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자동차에 장착된 다수의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특성을 이용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정확한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모바일 단말기와의 거리가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자동차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자동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3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과 통신하는 마스터 BLE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블루투스 네임이 포함된 블루투스 연결 명령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모바일 단말기들 중 등록된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존재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BLE 모듈은,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RSSI)가 가장 큰 2개의 BLE 모듈을 선택한 후,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2개의 BLE 모듈 각각으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신호의 입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한다.

Description

자동차{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 도어(이하, 도어)와, 스티어링 휠 부근에는 각각 키박스가 구비되어 있고, 운전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된 상기 키박스에 키를 삽입하여 상기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시키고, 상기 스티어링 휠 부근에 구비된 상기 키박스에 상기 키를 삽입하여 엔진을 시동 또는 정지시킨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도어의 락 또는 언락과, 엔진의 시동 또는 정지를 수동적으로 하는 방식에 대체하여, 리모콘키를 이용하여 도어의 락 또는 언락과, 엔진의 시동 또는 정지를 자동적으로 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즉, 운전자가 상기 리모콘키에 구비된 도어 락 버튼을 누르면 상기 도어가 락되고, 운전자가 상기 리모콘키에 구비된 도어 언락 버튼을 누르면 상기 도어가 언락되며, 운전자가 상기 리모콘키에 구비된 엔진 시동 버튼을 누르면 상기 엔진이 시동되고, 운전자가 상기 리모콘키에 구비된 엔진 정지 버튼을 누르면 상기 엔진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키에는 상기 도어 락 또는 언락, 상기 엔진 시동 또는 정지를 위한 버튼 이외에도,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바, 상기 스마트폰은 그 자체에 탑재된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다양한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모콘키 대신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자동차와 블루투스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앱에 구비된 입력부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입력신호를 입력할 경우 상기 자동차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과, 상기 엔진의 시동 또는 정지를 비롯한,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를 상기 모바일 기기를 이동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RSSI)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거리가 증대함에 따른 신호의 비선형적인 특성, 차체 영향에 의한 반사파 발생 및 인체 영향에 따른 신호 왜곡 등에 의해 정확도가 떨어져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거리 판단 정확도를 만족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자동차에 장착된 다수의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특성을 이용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정확한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모바일 단말기와의 거리가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자동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3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과 통신하는 마스터 BLE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블루투스 네임이 포함된 블루투스 연결 명령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모바일 단말기들 중 등록된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존재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BLE 모듈은,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RSSI)가 가장 큰 2개의 BLE 모듈을 선택한 후,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2개의 BLE 모듈 각각으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신호의 입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마스터 BLE 모듈은, 상기 선택된 2개의 BLE 모듈 사이를 잇는 직선의 중간지점에서부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까지의 직선길이를 상기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전방 중 좌우방향 가운데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후방 중 좌우방향 가운데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좌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4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우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3 슬레이브 BLE 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자동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3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과 통신하는 마스터 BLE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블루투스 네임이 포함된 블루투스 연결 명령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모바일 단말기들 중 등록된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존재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BLE 모듈은,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가 가장 큰 3개의 BLE 모듈을 선택한 후,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3개의 BLE 모듈 각각으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신호의 입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마스터 BLE 모듈은, 상기 선택된 3개의 BLE 모듈 중 전후로 이웃하는 두 개의 BLE 모듈 사이를 잇는 직선들 각각의 중간지점에서부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까지의 직선길이를, 더한 후 2로 나눈 길이를 상기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모바일 단말기 및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에서, 마스터 BLE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된 슬레이브 모듈을 2개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기 및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에서, 마스터 BLE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된 슬레이브 모듈을 3개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기 및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1)는 모바일 단말기(2)와 블루투스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기(2)에 설치된 앱에 구비된 입력부를 사용자가 조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조작하는 신호인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도어 락 입력부, 도어 언락 입력부, 엔진 시동 입력부 및 엔진 정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도어 락 입력부, 상기 도어 언락 입력부, 상기 엔진 시동 입력부 및 상기 엔진 정지 입력부 외에도 자동차(1)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부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입력부는 상기 도어 락 입력부, 상기 도어 언락 입력부, 상기 엔지 시동 입력부 및 상기 엔진 정지 입력부만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1)는, 모바일 단말기(2)가 자동차(1)와 블루투스 연결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을 때,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조작하는 신호인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2)가 자동차(1)와 블루투스 연결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도어 락 입력부를 터치하는 경우 자동차(1)의 사이드 도어가 락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 언락 입력부를 터치하는 경우 자동차(1)의 사이드 도어가 언락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엔진 시동 입력부를 터치하는 경우 자동차(1)의 엔진이 시동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엔진 정지 입력부를 터치하는 경우 자동차(1)의 엔진이 정지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는 자동차(1)와 블루투스 연결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1)는, 자동차(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슬레이브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11)과, 자동차(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슬레이브 BLE 모듈(12)과, 자동차(1)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3 슬레이브 BLE 모듈(13)과, 자동차(1)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 슬레이브 BLE 모듈(14)과,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과 통신하는 마스터 BLE 모듈(20)을 포함한다.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 및 마스터 BLE 모듈(20)은 각각 블루투스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은 각각 그 자체에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에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부 및 마스터 BLE 모듈(20)에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부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슬레이브 BLE 모듈(11)은 자동차(1)의 전방 중 좌우방향 가운데 지점에 배치된다. 제1 슬레이브 BLE 모듈(11)은 자동차(1)의 앞범퍼 중 좌우방향 가운데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슬레이브 BLE 모듈(12)은 자동차(1)의 후방 중 좌우방향 가운데 지점에 배치된다. 제2 슬레이브 BLE 모듈(12)은 자동차(1)의 뒷범퍼 중 좌우방향 가운데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슬레이브 BLE 모듈(12)은 제1 슬레이브 BLE 모듈(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슬레이브 BLE 모듈(13)은 자동차(1)의 좌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슬레이브 BLE 모듈(13)은 자동차(1)의 전방 좌측 휀더에 설치되는 제3-1 슬레이브 BLE 모듈(13A)과, 자동차(1)의 후방 좌측 휀더에 설치되는 제3-2 슬레이브 BLE 모듈(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슬레이브 BLE 모듈(14)은 자동차(1)의 우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4 슬레이브 BLE 모듈(14)은 상기 한 쌍의 제3 슬레이브 BLE 모듈(1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슬레이브 BLE 모듈(14)은 자동차(1)의 전방 우측 휀더에 설치되는 제4-1 슬레이브 BLE 모듈(14A)과, 자동차(1)의 후방 우측 휀더에 설치되는 제4-2 슬레이브 BLE 모듈(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4-1 슬레이브 BLE 모듈(14A)은 제3-1 슬레이브 BLE 모듈(1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4-2 슬레이브 BLE 모듈(14B)은 제3-2 슬레이브 BLE 모듈(13B)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블루투스 네임이 포함된 블루투스 연결 명령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모바일 단말기들 중 등록된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2)가 존재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2)와 블루투스 연결될 수 있다.
마스터 BLE 모듈(20)은,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RSSI)가 가장 큰 2개의 BLE 모듈을 선택한 후,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상기 선택된 2개의 BLE 모듈 각각으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신호의 입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은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입사되는 신호의 위상차를 계산하여 마스터 BLE 모듈(20)로 입력할 수 있고, 마스터 BLE 모듈(20)은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위상차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상기 선택된 2개의 BLE 모듈 각각으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신호의 입사각을 계산할 수 있다.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선택된 2개의 BLE 모듈 사이를 잇는 직선의 중간지점에서부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까지의 직선길이를 상기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마스터 BLE 모듈(20)이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RSSI)가 가장 큰 2개의 BLE 모듈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에서, 마스터 BLE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된 슬레이브 모듈을 2개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기 및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BLE 모듈(20)은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RSSI)가 가장 큰 2개의 BLE 모듈(13A,13B)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마스터 BLE 모듈(20)이 제3-1 슬레이브 BLE 모듈(13A) 및 제3-2 슬레이브 BLE 모듈(13B)을 선택한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후,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상기 선택된 2개의 BLE 모듈(13A,13B) 각각으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신호(S1,S2)의 입사각(a,b)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즉,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제3-1 슬레이브 BLE 모듈(13A)로 입사되는 신호(S1)의 입사각(a)과,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제3-2 슬레이브 BLE 모듈(13B)로 입사되는 신호(S2)의 입사각(b)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입사각(a,b)이 결정되면 설정된 삼각함수로직에 의해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마스터 BLE 모듈(20)에는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 각각의 사이를 잇는 직선의 거리 및 중간지점이 미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선택된 2개의 BLE 모듈(13A,13B) 사이를 잇는 직선(L1)의 중간지점(P)에서부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까지의 직선길이(L2)를 상기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BLE 모듈(20)은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RSSI)가 가장 큰 3개의 BLE 모듈을 선택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마스터 BLE 모듈(20)이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RSSI)가 가장 큰 3개의 BLE 모듈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에서, 마스터 BLE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된 슬레이브 모듈을 3개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기 및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10)는,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이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2)와 연결된 후, 마스터 BLE 모듈(20)은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11,12,13,14)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RSSI)가 가장 큰 3개의 BLE 모듈(11,13A,13b)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마스터 BLE 모듈(20)이 제1 슬레이브 BLE 모듈(11), 제3-1 슬레이브 BLE 모듈(13A) 및 제3-2 슬레이브 BLE 모듈(13B)을 선택한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후,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상기 선택된 3개의 BLE 모듈(11,13A,13B) 각각으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신호(S11,S12,S13)의 입사각(a,b,c,d)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즉,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제1 슬레이브 BLE 모듈(11)로 입사되는 신호(S11)의 입사각(a)과,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제3-1 슬레이브 BLE 모듈(13A)로 입사되는 신호(S12)의 입사각(b,c)과,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제3-2 슬레이브 BLE 모듈(13B)로 입사되는 신호(S13)의 입사각(d)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입사각(a,b,c,d)이 결정되면 설정된 삼각함수로직에 의해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선택된 3개의 BLE 모듈(11,13A,13B) 중 전후로 이웃하는 두 개의 BLE 모듈 사이를 잇는 직선들(L11,L12) 각각의 중간지점(P1,P2)에서부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까지의 직선(L13,L14)길이를, 더한 후 2로 나눈 길이를 상기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즉, 마스터 BLE 모듈(20)은, 제1 슬레이브 BLE 모듈(11), 제3-1 슬레이브 BLE 모듈(13A) 및 제3-2 슬레이브 BLE 모듈(13B) 중, 전후로 이웃하는 제1 슬레이브 BLE 모듈(11) 및 제3-1 슬레이브 BLE 모듈(13A) 사이를 잇는 직선(L11)의 중간지점(P1)에서부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까지의 직선(L13)길이와, 전후로 이웃하는 제3-1 슬레이브 BLE 모듈(13A) 및 제3-2 슬레이브 BLE 모듈(13B) 사이를 잇는 직선(L12)의 중간지점(P2)에서부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까지의 직선(L14)길이를, 더한 후 2로 나눈 길이를 상기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마스터 BLE 모듈(20)은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1,10)는, 모바일 단말기(2) 및 자동차(1,10)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이면 모바일 단말기(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자동차 2 : 모바일 단말기
11 : 제1 슬레이브 BLE 모듈 12 : 제2 슬레이브 BLE 모듈
13 : 제3 슬레이브 BLE 모듈 14 : 제4 슬레이브 BLE 모듈
20 : 마스터 BLE 모듈

Claims (6)

  1. 자동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3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과 통신하는 마스터 BLE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블루투스 네임이 포함된 블루투스 연결 명령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모바일 단말기들 중 등록된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존재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BLE 모듈은,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RSSI)가 가장 큰 2개의 BLE 모듈을 선택한 후,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2개의 BLE 모듈 각각으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신호의 입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자동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BLE 모듈은,
    상기 선택된 2개의 BLE 모듈 사이를 잇는 직선의 중간지점에서부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까지의 직선길이를 상기 거리로 계산하는 자동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전방 중 좌우방향 가운데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후방 중 좌우방향 가운데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좌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4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우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3 슬레이브 BLE 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동차.
  4. 자동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3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자동차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 슬레이브 BLE 모듈과,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과 통신하는 마스터 BLE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블루투스 네임이 포함된 블루투스 연결 명령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모바일 단말기들 중 등록된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존재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네임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BLE 모듈은, 상기 제1 내지 4 슬레이브 BLE 모듈 중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수신강도가 가장 큰 3개의 BLE 모듈을 선택한 후,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3개의 BLE 모듈 각각으로 입사되는 블루투스 신호의 입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자동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거리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자동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BLE 모듈은,
    상기 선택된 3개의 BLE 모듈 중 전후로 이웃하는 두 개의 BLE 모듈 사이를 잇는 직선들 각각의 중간지점에서부터, 상기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까지의 직선길이를, 더한 후 2로 나눈 길이를 상기 거리로 계산하는 자동차.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전방 중 좌우방향 가운데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후방 중 좌우방향 가운데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좌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4 슬레이브 BLE 모듈은 상기 자동차의 우측에 전후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3 슬레이브 BLE 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동차.
KR1020180133656A 2018-11-02 2018-11-02 자동차 KR102127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56A KR102127144B1 (ko) 2018-11-02 2018-11-02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56A KR102127144B1 (ko) 2018-11-02 2018-11-02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02A true KR20200050702A (ko) 2020-05-12
KR102127144B1 KR102127144B1 (ko) 2020-06-26

Family

ID=7067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656A KR102127144B1 (ko) 2018-11-02 2018-11-02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9739A (zh) * 2020-06-04 2020-09-15 北京万维智能技术有限公司 蓝牙ap自动注册设备方法、系统以及蓝牙ap
EP3988402A4 (en) * 2020-08-28 2022-07-27 Guangzhou Chengxing Zhidong Motors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CONTROL DEVICE
US11600122B2 (en) * 2020-07-07 2023-03-07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s, devices and electronic keys for access-restricted environments
CN116607864A (zh) * 2023-05-25 2023-08-18 广州优创电子有限公司 一种免接触式尾门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2139A (ja) * 2005-11-11 2007-05-31 Fujitsu Ten Ltd 無線装置
KR20180054318A (ko) * 2016-11-15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180097981A (ko) * 2017-02-24 201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2139A (ja) * 2005-11-11 2007-05-31 Fujitsu Ten Ltd 無線装置
KR20180054318A (ko) * 2016-11-15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180097981A (ko) * 2017-02-24 201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9739A (zh) * 2020-06-04 2020-09-15 北京万维智能技术有限公司 蓝牙ap自动注册设备方法、系统以及蓝牙ap
CN111669739B (zh) * 2020-06-04 2023-08-04 北京万维智能技术有限公司 蓝牙ap自动注册设备方法、系统以及蓝牙ap
US11600122B2 (en) * 2020-07-07 2023-03-07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s, devices and electronic keys for access-restricted environments
EP3988402A4 (en) * 2020-08-28 2022-07-27 Guangzhou Chengxing Zhidong Motors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CONTROL DEVICE
CN116607864A (zh) * 2023-05-25 2023-08-18 广州优创电子有限公司 一种免接触式尾门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144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144B1 (ko) 자동차
US9734647B2 (en) Smart ke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13948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distance measuring method
US9400328B2 (en) Radar device for an automotive radar system
KR102483316B1 (ko) 차량 원격 조작 시스템
US20170048680A1 (en)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and mobile device for vehicle
WO2019077819A1 (ja) 車両用位置判定システム
US20140253287A1 (en) Vehicle Remote 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uating Vehicle Operations Based on Vehicle FOB Movement
CN101423049B (zh) 一种带有遥控识别的汽车控制方法
CN104122556A (zh) 用于车用雷达系统的雷达装置
CN110549992A (zh) 一种车辆、射频信号定位装置、车辆控制系统及方法
US20220057475A1 (en) Position estimation device, position estimation system, and position estimation method
CN104533129A (zh) 车位锁控制方法及系统
KR102578196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14132291B (zh) 汽车的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2078161A1 (zh) 一种车辆控制方法、车载装置和移动终端
US10227018B2 (en) Establishing a charging connection and an associated communication connection
WO2021192426A1 (ja) 通信装置及び位置推定方法
CN113752826A (zh) 车辆访问系统以及用于以其提供基于区域确定的特征的方法
JP7380156B2 (ja) 携帯端末距離推定システムおよび車載システム
JP6522902B2 (ja) 位置推定装置
US11007925B2 (en) Assistance method for a light control system in a motor vehicle, light control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2023159172A (ja) デジタルキーシステム
CN115973094A (zh) 车辆无钥匙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N203543897U (zh) 一种集成车身控制功能的无钥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